KR20220122038A -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038A
KR20220122038A KR1020210026157A KR20210026157A KR20220122038A KR 20220122038 A KR20220122038 A KR 20220122038A KR 1020210026157 A KR1020210026157 A KR 1020210026157A KR 20210026157 A KR20210026157 A KR 20210026157A KR 20220122038 A KR20220122038 A KR 20220122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ook
user
reading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룩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룩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룩슨
Priority to KR102021002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2038A/ko
Publication of KR2022012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포함되는 VR(Virtual Reality) 하드웨어 스펙정보를 분석하여 호환성 분석 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 및 호환성 분석 정보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사용자 감도 지표를 통해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를 보정하는 환경 설정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독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VR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reading service based on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에 기반하여 개인 공간 또는 공공 도서관 등의 배경 테마와 오브젝트의 배치, 배경음악 등 사용자가 원하는 독서 환경을 구성하고 선택 된 도서에 대한 독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ICT 기술의 발전과 5G 상용화가 결합하여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콘텐츠 기술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기술로 변화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게임과 영화, 공연을 중심으로 발전하던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시장은 개인적인 여가 생활에 있어서도 사용자에게 현실과 같은 몰입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같은 개인의 여가 생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몰입형 서비스로 최적화 된 가상현실 독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041249호와 같이 '가상 체험북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는 가상 체험북을 만들고자 하는 이야기의 텍스트 정보에서 추출되는 다수의 객체를 고려하여 3D 가상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는 가상 체험북 저작 장치, 및 상기 가상 체험북의 상기 3D 가상 영상 콘텐츠를 화면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감지하며, 감지된 상기 신체 움직임에 따라 상기 3D 가상 영상 콘텐츠의 영상 화면이 바뀌도록 제어하는 가상 체험북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가상 체험북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을 통해서는 텍스트 정보에서 객체를 추출하여 3D 가상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책 스토리의 다양한 캐릭터의 시점으로 가상 체험 서비스는 게임적인 기술에 포함될 수 있다. 이같은 기술은 사용자가 활자가 인쇄된 매체인 책을 직접 읽으면서 심신을 수양하고 교양을 넓힐 수 있는 독서 본연의 행위와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정보에서 추출되는 객체마다 가상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고 스토리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는 부문은 비용적인 면과 기술적인 면에서도 제공 서비스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현실 세계에서는 공간적, 기능적으로 제약을 받는 독서 본연의 행위를 가상현실을 통해 해방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하에서 독서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에는 종래의 기술의 목적과는 상이하다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041249호(공개일자: 2015년 04월 16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간적, 기능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독서 환경을 구축하고 시스템 환경의 동일성을 보장함으로써 독서에 몰입할 수 있는 최적화 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포함되는 VR(Virtual Reality) 하드웨어 스펙정보를 분석하여 호환성 분석 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 및 호환성 분석 정보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사용자 감도 지표를 통해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를 보정하는 환경 설정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독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VR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포함되는 VR(Virtual Reality) 하드웨어 스펙정보를 분석하여 호환성 분석 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부;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 및 호환성 분석 정보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사용자 감도 지표를 통해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를 보정하는 환경 설정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독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VR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활자가 인쇄된 매체인 책을 직접 읽으면서 심신을 수양하고 교양을 넓힐 수 있는 독서 본연의 행위를 행함에 있어 공간적, 기능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독서 환경을 구축하고 시스템 환경의 동일성을 보장함으로써 독서에 몰입감을 극대화하고, 현실 세계에서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실행이 불가한 부가 기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독서 중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한 VR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한 VR 독서를 실행 환경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사용자의 로그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프리셋 처리모듈을 통한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도서 인터랙션 정보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독서 환경 정보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도서 편집 액션 정보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 클라이언트 단말(200), 출판사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클라이언트 단말(200)과 출판사 단말(300)은 공중망(Public network)과의 연결을 통해 유선 및 무선 중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중망은 국가 혹은 통신 기간 사업자가 구축 및 관리하는 통신망으로, 일반적으로 전화망, 데이터망, CATV망 및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하여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이 타 통신망이나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중망을 네트워크로 대체하여 표기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 출판사 단말(300)과 각 통신망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독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독서 서비스는 독서 공간의 테마 설정, 공간 조명 구성, 책장의 구성, 도서 배치, 도서 검색, 추천 도서, 도서 구매, 도서 열람, 도서 편집, 실행 메뉴 등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VR 주변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R 주변 기기는 HMD(Head Mounted Display), FMD(Face Mounted Display), 컨트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MD E또는 FMD는 스피커, 마이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VR 주변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모션 정보, 음성 정보, 클릭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상기 VR 주변 기기와 연동되어 상기 입력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한 출력 값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 받는 중계 서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상기 VR 주변 기기로 모바일 장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HMD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전송하는 시각, 청각 등에 대한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에 VR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하여 상기 출판사 단말(300)과 유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또는 단말은 사전 설정된 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 클라이언트 단말(200), 출판사 단말(300)은 상기 장치 구분에 한정되지 않고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및 저장, 관리 기능을 고도화하고 확장할 수 있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시스템 관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어부(110), 등록부(120), 분석부(130), 환경 설정부(140), 조작 감지부(150), 콘텐츠 관리부(160), VR 인터페이스 처리부(170), 통신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등록부(12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에서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는 회원 ID, 관심 도서 분야, VR 하드웨어 스펙정보, VR 하드웨어 감도 입출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 ID는 사용자별 VR 독서 서비스 이용 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 ID는 사용자별로 구분될 수 있는 식별자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회원 ID는 상기 이용 로그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독서 환경 정보, 도서 열람 정보, 도서 구매 정보, 독서 이력 정보 등의 서비스 정보를 구분하고 매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원 ID는 사용자에게 독서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는 VR 하드웨어 스펙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R 하드웨어 스펙정보는 VR 주변 기기에 대하여 제조사명, 모델명, 부품 정보, 성능 정보, 규격 정보, 기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R 하드웨어 스펙정보는 제조사별로 상이할 수 있는 VR 주변 기기의 감도 입출력 정보를 보정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는 VR 하드웨어 감도 입출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130)는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포함되는 VR(Virtual Reality) 하드웨어 스펙정보를 분석하여 호환성 분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VR 하드웨어 스펙정보는 VR 주변 기기의 제조사명, 모델명, 부품 정보, 성능 정보, 규격 정보, 기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130)는 상기 VR 하드웨어 스펙정보의 분석을 통해 VR 독서 서비스를 위한 상기 호환성 분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호환성 분석 정보는 시스템 통신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운영체제 정보, 드라이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13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이기종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상기 호환성 분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130)는 상기 VR 주변 기기의 제조사와 모델명을 통해 사전 저장되거나 설정된 세부 VR 하드웨어 스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130)는 각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VR 주변 기기의 모델명에 대하여 VR 독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리스트를 사전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130)는 VR 주변 기기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제조사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연동하여 장비의 상세 스펙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130)는 상기 VR 콘텐츠 서비스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입력과 출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최소 사양 정보를 상기 호환성 분석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석부(130)는 상기 최소 사양 정보를 통해 VR 독서 서비스 콘텐츠의 최적화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분석부(130)는 상기 최소 사양 정보를 통해 VR 독서 서비스 콘텐츠의 최적화를 위한 보정 매트릭스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환경 설정부(140)는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 및 호환 장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사용자 감도 지표를 통해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도 지표는 사용자가 주력 기기로 선정한 제1 VR 주변 기기의 기능별 입출력 파라미터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VR 주변 기기는 제1 HMD 또는 제1 FMD에 포함되는 제1 디스플레이, 제1 스피커, 제1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VR 주변 기기는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설정부(140)는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포함되는 VR 하드웨어 감도 출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감도 지표에 대응하여 변환 비율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설정부(140)는 상기 변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VR 하드웨어 감도 입출력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에서 제공되는 제2 VR 주변 기기의 기능별 입출력 파라미터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설정부(140)는 상기 호환성 분석 정보를 통해 상기 제1 VR 주변 기기와 상기 제2 VR 주변 기기의 동일함 또는 상이함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설정부(140)는 프리셋 처리모듈(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셋 처리모듈(141)은 상기 호환성 분석 정보에서 추출되는 VR 입출력 파라미터 정보와 상기 사용자 감도 지표를 이용하여 변환 매트릭스를 통해 출력 보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설정부(140)는 상기 출력 보정값을 통해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호환성 분석 정보에서 추출되는 VR 입출력 파라미터 정보는 사용자의 접속 환경에서 사용되는 제2 VR 주변 기기의 파라미터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도 지표는 사용자가 주력 기기로 사용하는 제1 VR 주변 기기의 파라미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리셋 처리모듈(141)은 제1 VR 주변 기기의 파라미터와 제2 VR 주변 기기의 파라미터를 상기 변환 매트릭스에 대입하여 변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리셋 처리모듈(141)은 상기 제2 VR 주변 기기의 입출력 파라미터에 상기 변환 비율을 적용하여 출력 보정값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변환 매트릭스는 변환 비율을 다음과 같이 추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 후, 상기 출력 보정값은 상기 변환 비율을 통해 제2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 = 제1 VR콘텐츠 출력 파라미터 * 변환비율의 변환 매트릭스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셋 처리모듈(141)은 제1 VR 주변 기기의 해상도의 파라미터 값이 300dpi이고, 제2 VR 주변 기기의 해상도 파라미터 값이 600 dpi인 경우, 상기 변환 비율은 2가 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셋 처리모듈(141)은 VR 콘텐츠에 포함되는 폰트 사이즈를 제1 VR 주변 기기에 폰트 사이즈 6으로 설정된 값을 12로 변환하여 제2 VR 주변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프리셋 처리모듈(141)은 제1 VR 주변 기기의 휘도 값과 제2 VR 주변 기기의 휘도 값을 이용한 변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프리셋 처리모듈(141)은 상기 변환 비율을 제1 VR 주변 기기의 배경 밝기 값에 적용하여 산출된 배경 밝기 값을 VR 콘텐츠에 포함되는 배경 밝기 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주력기기로 설정한 폰트 사이즈를 화면에서 동일한 비율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프리셋 처리모듈(141)은 해상도, 휘도 등에 대하여 변경된 VR 주변 기기를 사용할 시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감도 출력 환경으로 자동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설정부(140)는 상기 VR 콘텐츠 출력 파리미터로 디스플레이 명암, 디스플레이 밝기, 디스플레이 선명도, 음향 출력 세기, 오브젝트 사이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설정부(140)는 상기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를 제1 VR 주변 기기와 제2 VR 주변 기기의 파라미터 값 비율을 통해 획득되는 변환 비율을 활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조작 감지부(15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해 전송되는 모션 정보, 음성 정보, 클릭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조작 감지부(15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전송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VR 콘텐츠에서 반응될 수 있도록 이벤트를 대응시킬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160)는 VR 인터페이스 처리부(170)에서 제공하는 독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출되는 독서 서비스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독거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VR 독서 서비스를 위해 제공될 수 있는 독서 공간의 테마 설정, 공간 조명 구성, 책장의 구성, 도서 배치, 도서 검색, 추천 도서, 도서 구매, 도서 열람, 도서 편집, 도서 환경 구성, 실행 메뉴 등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부(160)는 도서 정보 관리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정보 관리부(161)는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반하여, 도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는 회원 ID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원 ID에 따라서 상기 도서 히스토리 정보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서 히스토리 정보는 열람 도서 정보, 미열람 도서 정보, 열람 도서의 북마크 정보, 추천 도서 정보, 구매 도서 정보, 독서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부(160)는 독서 환경 정보 관리부(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 정보 관리부(162)는 상기 도서 히스토리 정보에 대응하는 독서 환경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 정보는 도서별 독서를 진행하였던 독서 공간의 테마 정보, 조명 정보, 음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부(160)는 음원 정보 관리부(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정보 관리부(163)는 상기 독서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배경음악 정보 또는 인터랙션 효과음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 정보는 독서실과 개인 서재 환경 등의 개인 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서 환경 정보는 카페, 공공 도서관 등의 공공 장소의 테마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음원 정보 관리부(163)는 상기 독서 환경 정보에 최적화 된 음원을 디폴트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원 정보 관리부(163)는 상기 독서 환경 정보에 배경음악 또는 이벤트 발생 시 이에 상호작용으로 출력되는 인터랙션 효과음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정보 관리부(163)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배경음악, 상기 인터랙션 효과음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VR 인터페이스 처리부(17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독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해 전송되는 모션 정보, 음성 정보, 클릭 정보 등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부(170)는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독서 공간 구성 정보인 경우, 배경 그래픽 정보, 조명 설정 정보, 오브젝트 배치정보, 오브젝트 구성 정보, 배경음악 정보, 오브젝트 연동 효과음 정보 등을 포함하는 독서 환경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는 상기 독서 환경 정보로 배경 그래픽 정보, 오브젝트 그래픽 정보, 배경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는 독서 환경을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정적 배경, 동적 배경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는 특정 도서에 따라 연관되는 배경 테마를 제공하고 오브젝트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해 배경 테마와 오브젝트 배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는 조명 밝기, 오브젝트 배치, 독서 위치, 도서 위치 등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음원 발생기를 배치 시켜 배경음악의 중첩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는 사전 구성된 책장을 불러오는 메뉴 실행을 통해 책장 구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책장 구성은 오픈 책장, 히든 책장 등으로 보안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책장은 서랍, 책상, 가방 등의 저장소가 선택되어 자유롭게 도서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책장은 상기 저장소를 흔들거나 던지는 액션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 도서가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든 책장은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오픈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는 상기 책장에 배치된 도서에 대하여 사용자 모션 또는 메뉴 실행을 통해 도서를 재배치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는 다국어 가상 키보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키보드는 손 모양에 따라 사용자가 키 위치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는 음성 기반 문자 입력 시스템 환경을 설정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음성 기반 문자 입력 시스템은 단어나 단락, 문장 별 뒤로 가기를 활용하여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171)는 가상 카드를 생성하는 환경을 설정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카드는 출판사 서버(300)를 통해 도서 구매 등을 처리할 때 사용자가 결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카드는 현실의 실물 카드 정보와 연동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부(170)는 사용자 동적 인터페이스 처리부(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센싱 처리 정보인 경우, 사용자 시선 무브먼트 센싱 정보, 사용자 모션 무브먼트 센싱 정보, 사용자 이동 센싱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동적 센싱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부(170)는 도서 인터랙션(interaction)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도서 핸들링 정보인 경우, 선택 도서 액션 정보, 도서 파지 액션 정보, 도서 페이지 전환 액션 정보,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 도서 편집 액션 정보 등을 포함하는 도서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도서 핸들링 정보에 따라 상호작용을 출력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서 독서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도서를 선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서를 파지하는 액션이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가 열람하고자 하는 도서를 사용자 손가락에서 연장되는 리모트 선이나 가상의 손으로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도서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손가락을 특정 도서에 지정하여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상기 선택 된 도서를 사용자의 특정 부위로 이동시키고 이를 파지하는 상호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로 이동시킨 도서의 제목이 표시 된 겉표지 쪽이 상면으로 위치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특정 공간에 배치된 책을 다시 선택하는 경우, 그 자리에서 위치 재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선택 된 도서에 대하여 일정 속도 이상으로 도서를 털어내는 모션이 입력되면 다시 손으로 날아와서 붙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도서의 이동 시 형성되는 궤적 등의 효과는 다양하게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상기 선택 된 도서를 사용자 특정 부위에 파지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도서의 이동 시 생성하는 궤적 곡선을 표현하기 위하여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책과 손사이 거리를 측정함에 있어 2차원 상에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사용자의 손 그랩포인트(P1)과 도서의 그랩포인트(P2)를 이용하여 손 그랩포인트(P1)와 도서의 그랩 포인트(P2) 사이의 거리(D)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거리(D)는
Figure pat00002
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조절점(P3)는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날아오는 곡선 궤적은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상기 도서 페이지 전환 액션 정보로 도서 표지는 설정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도서 표지는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상기 도서 페이지 전환 액션 정보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컨트롤러를 도서 표지 위에 올리는 경우, 상기 도서의 개요 대화창이 토글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핸들링 정보에 따라 북마크 저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북마크 모양은 제공되는 템플릿의 형태, 색상 등 변경 가능하고 이미지와 애니메이션이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특정 도서의 잠금과 같은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안 기능은 사용자가 지정한 패턴정보, 비밀번호 정보 및 특정하여 지정된 키를 이용하여 보안을 실행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도서 핸들링 정보에 따라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는 특정 도서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는 한 권 이상의 도서가 겹쳐지는 경우, 사용자 시야에서 겹쳐 보이는 부분으로 판단되는 도서 부분에 투명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다수의 도서를 앞 뒤로 겹쳐 보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투명도는 특정 단위의 단계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상기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를 알파 합성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파 합성 기법을 통해 두 권 이상의 도서가 겹쳐지는 부분을 투명화 시킬 수 있다. 상기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는 상위 도서와 하위 도서가 시야에서 겹쳐 보이는 부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도서 페이지 정면으로 가상의 선을 연장하여 겹침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도서 간 거리에 따라 투명화를 위한 알파(Alpha)값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투명화된 도서의 내용 시인성 확보를 위해 투명화 상태로 최종 투과 되는 문자나 이미지의 색상값에서 계산된 휘도와 해당 픽셀과 가장 가까이 비어있는 페이지 픽셀의 휘도인 대비(Contrast)를 확인하여 사용자 시인성 임계점을 넘어서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를 위한 알파 합성 기법의 도서 투명정도 조절 수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7
또한 알파 합성 픽셀 색상값 도출은
Figure pat00008
의 수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투명화 시인성 임계 판단은
Figure pat00009
의 수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도서 핸들링 정보에 따라 상호작용을 출력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상기 도서 핸들링 정보가 도서 편집 액션 정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도서 핸들링 정보는 도서 페이지를 복사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도서 페이지를 복사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곳에 붙여넣기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서 핸들링 정보는 상기 도서 편집 액션 정보로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상기 클라언트 단말(200)에서 전송된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서, 사용자의 특정 부위가 페이지 찢기 포인트에 위치할 시 상기 도서 편집 액션 정보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도서 편집 액션 정보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가 사전 설정된 도서 페이지의 특정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 모션 정보에 따라 복사하기 또는 잘라내기 인터페이스가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상기 페이지 찢기 포인트에 사용자의 특정 부위가 위치하고 특정 모션이 행해지는 경우,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복사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페이지 내용을 복사하는 출력을 페이지가 찢어지는 형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페이지 복사 처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사용자 모션으로 양손으로 도서의 양쪽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한 쪽 손으로 도서의 외부 방향으로 드래그하게 되면 페이지가 찢어지는 도서 편집 액션 정보로 처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도서의 외부방향을 3차원 좌표를 기준으로 z좌표의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을 드래그하게되면 페이지 복사하기의 도서 편집 액션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도서의 외부방향을 3차원 좌표를 기준으로 z좌표의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을 드래그하게 되면 페이지 잘라내기의 도서 편집 액션이 처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도서의 외부방향을 3차원 좌표를 기준으로 x좌표의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을 드래그하게 되면 페이지 잘라내기의 도서 편집 액션이 처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도서 편집 액션 정보는 페이지 단위가 아닌 글자 단위로 복사하기 또는 잘라내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사용자 모션으로 한손을 사용하는 경우, 특정 손의 부위가 페이지 특정 부분에 위치하여 도서의 외측 방향으로 드래그할 시, 상기 드래그하는 방향에 따라 복사 또는 잘라내기 인터페이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상기 페이지 찢기 포인트에 사용자의 특정 부위가 위치하고 복사를 위한 모션과는 상이한 지정 모션이 행해지는 경우,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잘라내기 할 수 있다. 상기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173)는 페이지 내용을 잘라내는 출력을 페이지가 찢어지고 해당 페이지가 없어지는 형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페이지 잘라내기 처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부(170)는 결제 인터페이스 처리부(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 처리부(174)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도서 구매 정보인 경우, 출판사 단말로 상기 도서 구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도서 구매 정보가 승인 처리 된 도서를 상기 독서 서비스 콘텐츠에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등록단계(S101)는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는 회원 ID, 관심 도서 분야, VR 하드웨어 스펙정보, VR 하드웨어 감도 입출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 ID는 사용자별 VR 독서 서비스 이용 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 ID는 사용자별로 구분될 수 있는 식별자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회원 ID는 상기 이용 로그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독서 환경 정보, 도서 열람 정보, 도서 구매 정보, 독서 이력 정보 등의 서비스 정보를 구분하고 매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회원 ID는 사용자에게 독서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분석단계(S103)는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포함되는 VR(Virtual Reality) 하드웨어 스펙정보를 분석하여 호환성 분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환경 설정단계(S105)는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 및 호환성 분석 정보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사용자 감도 지표를 통해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설정단계는 상기 호환성 분석 정보에서 추출되는 VR 입출력 파라미터 정보와 상기 사용자 감도 지표를 이용하여 변환 매트릭스를 통해 출력 보정값을 획득하는 프리셋 처리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VR 인터페이스 처리단계(S107)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독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단계(S107)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독서 공간 구성 정보인 경우, 배경 그래픽 정보, 조명 설정 정보, 오브젝트 배치정보, 오브젝트 구성 정보, 배경음악 정보, 오브젝트 연동 효과음 정보 등을 포함하는 독서 환경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단계(S107)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센싱 처리 정보인 경우, 사용자 시선 무브먼트 센싱 정보, 사용자 모션 무브먼트 센싱 정보, 사용자 이동 센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동적 센싱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사용자 동적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단계(S107)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도서 핸들링 정보인 경우, 선택 도서 액션 정보, 도서 파지 액션 정보, 도서 페이지 전환 액션 정보,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 도서 편집 액션 정보 등을 포함하는 도서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는 한 권 이상의 도서가 겹쳐지는 경우, 사용자 시야에서 겹쳐 보이는 부분으로 판단되는 도서 부분에 투명도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서 편집 액션 정보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가 사전 설정된 도서 페이지의 특정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 모션 정보에 따라 복사하기 또는 잘라내기 인터페이스가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단계(S107)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도서 구매 정보인 경우, 출판사 단말로 상기 도서 구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도서 구매 정보가 승인 처리 된 도서를 열람 가능 도서 콘텐츠로 제공하는 결제 인터페이스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한 VR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독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은 배경 메뉴로 배경 화면의 테마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독서 환경은 배경 환경 설정 메뉴에서 상기 선택된 배경 화면의 테마에 대하여 세부적인 옵션을 설정하고 사용자 취향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서 환경은 책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독서를 진행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형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책 환경 설정 메뉴는 도서의 크기, 활자의 크기, 도서 페이지 변환 방법 등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서 환경은 배경 음악 설정 메뉴를 통해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경 음악 설정 메뉴는 배경 테마에 대응하는 음원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배경 음악 설정 메뉴는 장르별 음원 정보, 테마별 음원 정보, 가수별 음원 정보, 제목별 음원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한 VR 독서를 실행 환경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상현실(VR)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실행 환경의 설정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사용자가 VR 독서를 실행하기 위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에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한다(S201).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사용자 로그인 정보에 매칭되는 독서 환경을 불러온다(S203).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독서 배경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다(S205).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배경을 변경할 지 확인한다(S207).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배경을 변경하는 선택을 하는 경우, 배경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S207a). 이와는 반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배경을 변경하지 않는 선택을 하는 경우, 도서를 선택하는 단계로 진입한다(S207b). 이 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도서를 변경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S209).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도서 변경하는 선택을 하는 경우, 도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S209a). 이와는 반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도서를 변경하지 않는 선택을 하는 경우, 현재까지 처리된 환경을 저장하는 단계로 진입한다(S209b).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사용자의 로그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각각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VR 주변 기기로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MD는 제조사별로 제공하는 VR 주변 기기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조사는 Oculus, HTC(VIVE), Valve(Inde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VR 독서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등록되어 있는 ID, 또는 회원 가입을 통해 로그인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VR 독서 프로그램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프리셋 처리모듈을 통한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VR 독서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감지할 수 있다(S301).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은 VR 주변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VR 주변 기기들에 대한 하드웨어 스펙을 측정할 수 있다(S303).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주력 VR 주변 기기로 선정한 정보와 상기 하드웨어 스펙을 비교하여 상이하다 판단되는 경우, 변환 매트릭스를 적용할 수 있다(S305).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변환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산출된 출력 보정값을 통해 감지된 VR 주변 기기 변환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변환값은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에 적용되어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 시스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S401).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시스템 환경 설정 값의 저장 여부를 확인한다(S403).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선택이 환경 설정 값을 저장하지 않는 경우, Default(초기값) 환경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S403a).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선택이 환경 설정 값을 저장하는 경우, HDM 기기를 사용하는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S405).
이 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HMD가 변경 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S407).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변경 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저장 된 환경 설정 값을 유지한다(S407a).
이와는 반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이 변경 되는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환경 설정 값을 변경할 지 여부를 확인한다(S409).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선택이 환경 설정 값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 Default(초기값) 환경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S409a).
이와는 반대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200)의 선택이 환경 설정 값을 변경하는 경우, 환경 설정 변환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VR 콘텐츠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S411).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도서 인터랙션 정보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도서는 위치 값(xyz 좌표 기준)과 회전값(Roll, Pith, Yaw)을 저장하여 지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가 독서하고 싶은 도서를 손가락에서 연장되는 리모트 선이나 가상의 손으로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해 선택한 도서가 사용자의 가상의 손 특정 부위로 이동되고, 사용자에게 파지되는 형상을 연출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해 선택한 도서에 대하여 위치를 지정한 후 털어내게 되면 지정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독서 환경 정보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중앙에 위치한 도서를 기준으로 주위에 책 환경 설정 UI, 북마크 설정, 책 스테이터스(status), 보안 및 메모, 오디오북 플레이어, 광고/구매 팝업/추가정보의 대화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대화창은 일정한 시간 후에는 투명화 되어 최소한의 인식 감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책 환경 설정 UI는 책 글자의 속성인 크기, 스타일, 색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책 환경 설정 UI는 속지 속성으로 질감과 색상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책 스테이터스는 책 전체의 투명도를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로 특정 도서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는 한 권 이상의 도서가 겹쳐지는 경우, 사용자 시야에서 겹쳐 보이는 부분으로 판단되는 도서 부분에 투명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다수의 도서를 앞 뒤로 겹쳐 보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투명도는 특정 단위의 단계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도서에 대해서는 투명화를 적용하지 않는다. 상기 거리는 사전에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도서 편집 액션 정보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도서 편집 액션 정보로 원하는 페이지를 찢어 보관하는 인터페이스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한 사용자의 가상의 두 손의 특정 부위가 각각 도서의 양쪽에 접촉되는 경우, 한 쪽의 손으로 페이지를 잡고 당기는 모션을 통해 페이지를 찢어내어 보관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한 사용자의 가상의 한 손 특정 부위가 페이지의 특정 부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가상의 한 손을 도서 외측으로 드래그하여 당기는 모션을 통해 페이지를 찢고 보관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한 사용자의 가상의 손으로 도서 편집 액션 정보를 결정하는 모션은 책에서 보여지는 페이지를 기준으로 한 xyz좌표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한 사용자의 가상의 손 모션이 책에서 보여지는 페이지를 기준으로 위쪽(z축 +방향), 오른쪽(x축 +방향)으로 행해지는 경우, 잘라내기의 도서 편집 액션 정보로 처리될 수 있다.
도 11d를 참조하면, 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200)을 통한 사용자의 가상의 손 모션이 책에서 보여지는 페이지를 기준으로 아래쪽(z축, -방향)으로 행해지는 경우, 복사하기의 도서 편집 액션 정보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가상의 손 모션의 방향에 따른 도서 편집 액션 정보는 설정에 따라 변경되어 매칭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포함되는 VR(Virtual Reality) 하드웨어 스펙정보를 분석하여 호환성 분석 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부;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 및 호환성 분석 정보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사용자 감도 지표를 통해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를 보정하는 환경 설정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독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VR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는 회원 ID, 관심 도서 분야, VR 하드웨어 스펙정보, VR 하드웨어 감도 입출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는 디스플레이 명암, 디스플레이 밝기, 디스플레이 선명도, 음향 출력 세기, 오브젝트 사이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부는,
    상기 호환성 분석 정보에서 추출되는 VR 입출력 파라미터 정보와 상기 사용자 감도 지표를 이용하여 변환 매트릭스를 통해 출력 보정값을 획득하는 프리셋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 서비스 인터페이스에 따라 호출되는 독서 서비스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기반하여, 도서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도서 정보 관리부; 및
    상기 도서 히스토리 정보에 대응하는 독서 환경 정보를 관리하는 독서 환경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독서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배경음악 정보 또는 인터랙션 효과음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음원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독서 공간 구성 정보인 경우, 배경 그래픽 정보, 조명 설정 정보, 오브젝트 배치정보, 오브젝트 구성 정보, 배경음악 정보, 오브젝트 연동 효과음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독서 환경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센싱 처리 정보인 경우, 사용자 시선 무브먼트 센싱 정보, 사용자 모션 무브먼트 센싱 정보, 사용자 이동 센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동적 센싱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사용자 동적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도서 핸들링 정보인 경우, 선택 도서 액션 정보, 도서 파지 액션 정보, 도서 페이지 전환 액션 정보,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 도서 편집 액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서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는 한 권 이상의 도서가 겹쳐지는 경우, 사용자 시야에서 겹쳐 보이는 부분으로 판단되는 도서 부분에 투명도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도서 편집 액션 정보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가 사전 설정된 도서 페이지의 특정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따라 복사하기 또는 잘라내기 인터페이스가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도서 구매 정보인 경우, 출판사 단말로 상기 도서 구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도서 구매 정보가 승인 처리 된 도서를 상기 독서 서비스 콘텐츠에 포함하는 결제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1.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되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에 포함되는 VR(Virtual Reality) 하드웨어 스펙정보를 분석하여 호환성 분석 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정보 및 호환성 분석 정보에 기반하여, 사전 설정된 사용자 감도 지표를 통해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를 보정하는 환경 설정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전송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VR 콘텐츠 출력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독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VR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단계는,
    상기 호환성 분석 정보에서 추출되는 VR 입출력 파라미터 정보와 상기 사용자 감도 지표를 이용하여 변환 매트릭스를 통해 출력 보정값을 획득하는 프리셋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독서 공간 구성 정보인 경우, 배경 그래픽 정보, 조명 설정 정보, 오브젝트 배치정보, 오브젝트 구성 정보, 배경음악 정보, 오브젝트 연동 효과음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독서 환경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독서 환경 인터페이스 처리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센싱 처리 정보인 경우, 사용자 시선 무브먼트 센싱 정보, 사용자 모션 무브먼트 센싱 정보, 사용자 이동 센싱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동적 센싱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사용자 동적 인터페이스 처리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도서 구매 정보인 경우, 출판사 단말로 상기 도서 구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도서 구매 정보가 승인 처리 된 도서를 열람 가능 도서 콘텐츠로 제공하는 결제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VR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가 도서 핸들링 정보인 경우, 선택 도서 액션 정보, 도서 파지 액션 정보, 도서 페이지 전환 액션 정보,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 도서 편집 액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서 인터랙션 정보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처리하는 도서 인터랙션 인터페이스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겹쳐보기 액션 정보는 한 권 이상의 도서가 겹쳐지는 경우, 사용자 시야에서 겹쳐 보이는 부분으로 판단되는 도서 부분에 투명도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도서 편집 액션 정보는 사용자의 특정 부위가 사전 설정된 도서 페이지의 특정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따라 복사하기 또는 잘라내기 인터페이스가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026157A 2021-02-26 2021-02-26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22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157A KR20220122038A (ko) 2021-02-26 2021-02-26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157A KR20220122038A (ko) 2021-02-26 2021-02-26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038A true KR20220122038A (ko) 2022-09-02

Family

ID=8328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157A KR20220122038A (ko) 2021-02-26 2021-02-26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20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249A (ko) 2013-10-07 2015-04-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체험북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249A (ko) 2013-10-07 2015-04-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체험북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9165B2 (en) Avatar editing environment
CN103649898B (zh) 用于基于上下文的菜单的启动器
KR102315413B1 (ko) 크리에이티브 카메라
US9542038B2 (en) Personalizing colors of user interfaces
JP6609361B2 (ja) 複数参加者ライブ通信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CN109117068A (zh) 用于消息传送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EP4002107A1 (en) Data bind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of mini program, and storage medium
CN115315726A (zh) Diy效果图像修改
US11671696B2 (en)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visual content in media
US11367416B1 (en) Presenting computer-generated content associated with reading content based on user interactions
AU2022215297B2 (en) Creative camera
KR20220122038A (ko)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22041A (ko) Vr 기반 독서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KR20220122040A (ko) 공간 및 기능적 독서 환경이 구축된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20122033A (ko) 기록매체
KR20220122042A (ko) 사용자 센싱 처리 및 핸들링 정보에 따라 가상의 독서 공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KR20220122034A (ko) 사용자 센싱 처리 및 핸들링 정보에 따라 가상의 독서 공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록매체
KR20220122035A (ko) Vr 환경에서 독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20122039A (ko) Vr 환경에서 독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KR20220122036A (ko) 독서 환경이 구축된 vr 기반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220122037A (ko) 가상현실 시스템
AU2021201295B2 (en) Creative cam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