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084A - Apparatus for managing sickroo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aging sick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084A
KR20220121084A KR1020210025082A KR20210025082A KR20220121084A KR 20220121084 A KR20220121084 A KR 20220121084A KR 1020210025082 A KR1020210025082 A KR 1020210025082A KR 20210025082 A KR20210025082 A KR 20210025082A KR 20220121084 A KR20220121084 A KR 20220121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display panel
control module
information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3530B1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102021002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530B1/en
Publication of KR20220121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0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5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Abstract

A sickroom management apparatus is provided, which can manage a sickroom smoothly in an automated manner and ensure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a medical team and a patient. The sickroom management apparatus comprises: a control module interlocking with a medical information system of a hospital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a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n electronic paper output unit outputting received medical information, and disposed at an entrance of the sickroom and a medical bed; a multi-call terminal including a second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data and a multi-sensor unit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an inpatient's calling behavior, and distinguishing and informing the inpatient's intention of call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s sensor unit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medical beds and sickrooms, generating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possessed by the medical team and transmitting such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and a treatment tracking module mounted on the control module, receiving the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short-range communications sensor unit disposed on the medical beds or the sickrooms, calculating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a movement of the medical team in the hospital and an average treatment time and transmitting such information to each medical bed or each sickroom, wherein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includes a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disposed at the entrance of the sickroom and a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disposed on the medical bed, and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operates by interlocking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used by the medical team during a visit of the medical team.

Description

병실관리장치{Apparatus for managing sickroom}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Apparatus for managing sickroom}

본 발명은 병원 등에서 사용 가능한 병실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배정 및 변동 등에 따른 병실 및 병동 전반의 관리와 운영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원활하게 진행하고, 입원환자와 의료진 간 소통도 보다 스마트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병실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that can be used in hospitals, etc., and more specifically, to smoothly perform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overall hospital room and ward according to patient assignment and change, etc. in an automated way, and to communicate between inpatients and medical staff It relates to a ward management device that makes it smarter and more effective.

매일 많은 환자들이 병원에 입원하고 있다. 병상이 많고 다양한 과목의 진료가 가능한 종합병원에서부터 상대적으로 진료과목이 적은 개인병원들까지 다양한 병증을 가진 환자들이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대유행하고 있는 2021년 현재에는 감염병 환자까지 겹쳐 병상부족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였고 의료진의 피로가 많이 가중되었다.Many patients are admitted to the hospital every day. From general hospitals that have many beds and can treat various subjects, to private hospitals with relatively few subjects, patients with various conditions are repeatedly being hospitalized and discharged. As of 2021, when the corona virus is pandemic, even patients with infectious diseases overlapped, resulting in a shortage of beds, and the fatigue of medical staff was greatly aggravated.

또한, 급격한 환자 증가로 인해 의료진 수는 병상대비 부족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전파를 막기 위해 의료진과 환자와의 불필요한 접촉은 최대한 줄이는 등의 조치를 하고 있어 병실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병실이 부실하게 관리되면 극단적인 경우 병상에 혼동이 발생하거나, 위급환자에 대한 원활한 조치가 되지 않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안이 필요하다.In addition,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patients, the number of medical staff is insufficient for the number of beds, and measures such as reducing unnecessary contact between medical staff and patients as much a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are making it difficult to manage the ward. If the ward is poorly managed, in extreme cases, various problems may arise, such as confusion in the hospital bed or the inability to respond smoothly to emergency patients, so alternatives are needed.

그러나 아직 이러한 문제에 대한 기술적 대안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예를 들면, 단순히 병실에 설치된 설비(환기장치 등)에 대한 제어를 자동으로 진행하는 기술(예, 대한민국 특허10-2117039 등) 정도가 알려져 있을 뿐으로, 현 시점의 급증하는 환자로 인해 나타나는 병실 배정 및 변동 등에 관한 문제나, 의료진과 환자간 가능한 비대면 비접촉 원칙 등을 지키면서 환자를 원활하게 관리하는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해결책이 미비한 상황이다.However, technical alternatives to these problems have not yet been proposed. In the conventional case, for example, the degree of technology (eg, Republic of Korea Patent 10-2117039, etc.)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equipment (ventilator, etc.) installed in the hospital room is known only, and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patients at the present time is known.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solutions to problems such as the allocation and change of wards, and the smooth management of patients while adhering to the principle of non-face-to-face contact between medical staff and patients.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117039호, (2020. 05. 2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17039, (2020.05.2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배정 및 변동 등에 따른 병실 및 병동 전반의 관리와 운영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원활하게 진행하고, 입원환자와 의료진 간 소통도 보다 스마트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병실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t facilitates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overall ward and ward according to patient assignment and change in an automated way,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inpatients and medical staff is also smarter and to provide a ward management device that makes it effectiv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병실관리장치는,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과 연동되며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의료정보를 전자종이를 통해 출력하는 전자종이출력부를 포함하고, 병실입구 및 의료베드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입원환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환자정보표시패널; 상기 제어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입원환자의 호출행위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행위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른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멀티감지부를 포함하고,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여 입원환자의 호출의도를 구분하여 알려주는 다중호출단말; 의료베드 및 병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의료진이 가진 근거리통신태그에 반응하여 위치 및 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근거리통신센서부; 및 상기 제어모듈에 탑재되며, 복수의 의료베드 또는 복수의 병실에 배치된 각각의 상기 근거리통신센서부에서 전송된 위치 및 시간정보를 입력받고, 병원 내 의료진의 동선과 평균진료시간을 포함하는 진료진행정보를 산출하여 개별 의료베드 또는 개별 병실 각각으로 전송하여 알려주는 진료추적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환자정보표시패널은, 상기 병실입구에 배치되는 제1환자정보표시패널과, 상기 의료베드에 배치되는 제2환자정보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환자정보표시패널은 의료진 방문 시에 의료진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연동되어 동작한다.A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with a hospital's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includes a control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n electronic paper output unit for outputting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rough electronic paper, and is disposed at the entrance to the hospital room and the medical bed. a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that automatically displays information about inpatient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 multi-sensing unit for recognizing an inpatient's calling behavior into two or more different behaviors and generating different detection signals accordingly, a multi-call terminal that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distinguish and inform the call intention of the inpatient;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disposed in at least one of a medical bed and a hospital room, gener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ag possessed by a medical staff, and transmitting it to a control modu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ealth; And it is mounted on the control module, receives the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s disposed in a plurality of medical beds or a plurality of hospital rooms, and treatment including the movement route and average treatment time of medical staff in the hospital Comprising a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that calculates progress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each individual medical bed or individual ward, wherein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includes a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disposed at the entrance to the ward, and disposed on the medical bed and a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wherein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used by the medical staff when visiting the medical staff.

상기 멀티감지부는, 터치센서, 및 카메라가 포함된 모션인식모듈을 포함하여 터치방식 및 모션인식방식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호출행위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The multi-sensing unit may include a motion recognition module including a touch sensor and a camera to distinguish and recognize the call action in two or more different methods including a touch method and a motion recognition method.

상기 의료베드에 장착되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하여 입원환자의 대소변유무를 감지하는 대소변감지모듈 및 상기 대소변감지모듈과 연동되어 대소변감지시 상기 제어모듈로 비상호출신호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제3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urine detection module mounted on the medical bed and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urine and urine of inpatients and a third that automatically transmits an emergency call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when the urine is detected by interlocking with the urine detection module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상기 의료베드에 배치되어 상기 의료베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및 베개에 배치되어 입원환자의 두부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통신부는, 상기 가속도센서 및 상기 하중센서와 연동되어 상기 가속도센서의 감지값이 기준범위를 초과하여 변동되거나 상기 하중센서의 감지값이 기준시간 이상 나타나지 않으면 상기 비상호출신호를 자동 전송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n acceleration sensor disposed on the medical bed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medical bed, and a load sensor disposed on the pillow to detect a head load of an inpatient,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oad sensor The emergency call signal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is changed beyond the reference range in conjunction with the accelerometer or the detection value of the load sensor does not appear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상기 제2환자정보표시패널은, 상기 제1통신부가 상기 의료진 측에 부착된 근거리통신태그를 감지하여 동작이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detects a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attached to the medical staff side.

상기 진료진행정보를 기록하는 진료정보기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료추적모듈은, 상기 진료정보기록모듈에 기 저장된 종전진료진행정보와 산출된 상기 진료진행정보를 비교하여 개별 의료베드 또는 개별 병실 각각에 대한 의료진의 예상도착시간을 산출하여 알려줄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record module for recording the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wherein the treatment tracking module compares the previous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treatment information record module and the calculated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to an individual medical bed or individual war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d inform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medical staff for each.

상기 환자정보표시패널은,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되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가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may be driven by a battery,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본 발명에 의하면, 병원 내 다수의 병실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매우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다. 즉 환자배정 및 변동 등에 따른 병실과 병동 전반의 관리 및 운영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원활하게 진행하여 관련 인력을 줄일 수 있으며, 인력을 줄이면서도 혼동 등은 피하고 정확한 운영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과 입원환자의 불필요한 접촉은 최소화하면서도, 응급상황에 대한 관리나, 진료 등 조치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보다 간결하고 정확한 소통이 이루어지게 하여 의료진뿐만 아니라 환자도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병실관리장치는 상대적으로 저비용으로 비용대비 높은 효과를 발휘하는 장점도 아울러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ery smoothly manage a plurality of wards in a hospital in an automated manner.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related personnel by smoothly performing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overall ward and ward according to patient assignment and change in an automated way,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ersonnel while avoiding confusion and enable accurate operation. In addition, while minimizing unnecessary contact between medical staff and inpatients, it is possible to enable more concise and accurate communication in situations where measures such as management or medical treatment are required for emergency situations, thereby enabling appropriate responses to not only medical staff but also patients.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advantage of exhibiting a high cost-effectiveness at a relatively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병실관리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병실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병실관리장치의 제어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병실관리장치의 환자정보표시패널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병실관리장치의 다중호출단말의 구성과 관련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병실관리장치의 근거리통신센서부를 포함한 의료베드 측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병실관리장치의 제어모듈을 통한 진료진행정보의 산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layout view of a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module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of FIG. 2 .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of FIG.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related operations of the multi-call terminal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of FIG. 2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medical bed side including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of FIG. 2 .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alculation of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module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of FIG. 2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병실관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병실관리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병실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layout diagram of a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병실관리장치(1)는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도 2의 2참조)과 연동된 제어모듈(100)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어모듈(100)이 환자정보표시패널[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과, 다중호출단말(300), 및 근거리통신센서부(41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병실관리장치(1)는 환자정보표시패널을 통해 환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하여 주고, 다중호출단말을 통해 환자의 호출요청을 의료진에게 알려주며, 또한 근거리통신센서부(410) 등을 이용하여 의료진의 움직임을 환자에게 전파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의료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패널을 이용하여 입원환자의 배치, 이동, 및 입 퇴원 등과 관련된 의료진의 업무를 감소시키고 환자에 대한 보다 정확한 관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입원환자는 의료진에게 필요한 사항을 다중호출단말(300) 등을 통해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의료진 역시 다중호출단말(300)과 또 다른 센서들을 통해 입원환자의 요청이나 응급상황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바이러스 확산 등을 막기 위해 비대면, 비접촉 원칙을 지키면서도 환자를 면밀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회진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입원환자 측에서도 근거리통신센서부(410) 등을 통해 파악된 의료진의 이동정보 등을 전달받고 준비할 수 있어 보다 질서 있고 효율적인 진료가 가능하다. 그 밖에도 후술하는 여러 가지 기술적 특징으로 인해 병실 및 병동 전반의 관리와 운영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1 and 2,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odule 100 interlocked with the hospital's medical information system (refer to 2 in FIG. 2), such a control module 100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th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the multi-call terminal 300,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to send and receive data is formed Through this,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1 automatically displays the patient's information through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informs the medical staff of the patient's call request through the multi-call terminal, and also uses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etc. It is formed to propagate the movement of the medical staff to the patient. Therefore, by using a panel that automatically displays medic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ork of medical staff related to the placement, movement, and admission and discharge of inpatients, and to more accurately manage patients. It can be accurately informed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300 or the like. In addition, the medical staff can take necessary measures by accurately identifying the request of inpatients or emergency situations through the multi-call terminal 300 and other sensors. can be managed properly. In addition, when a round is made, the inpatient side can receive and prepare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medical staff identified throug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etc., so that more orderly and efficient treatment is possible. In additio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overall ward and ward can be effectively carried out in an automated manner due to various technical featur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본 발명의 병실관리장치(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병실관리장치(1)는,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2)과 연동되며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제어모듈(100), 제어모듈(1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220)와, 제1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의료정보를 전자종이를 통해 출력하는 전자종이출력부(210)를 포함하고, 병실입구 및 의료베드(c)에 배치되어 제어모듈(100)의 제어에 따라 입원환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환자정보표시패널[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 및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 제어모듈(1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부(320)와, 입원환자의 호출행위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행위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른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멀티감지부(310)를 포함하고, 생성된 감지신호를 제2통신부(320)를 통해 제어모듈(100)로 전송하여 입원환자의 호출의도를 구분하여 알려주는 다중호출단말(300), 의료베드(c) 및 병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의료진이 가진 근거리통신태그(도 4의 500참조)에 반응하여 위치 및 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제1통신부(220) 및 제2통신부(3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어모듈(100)로 전송하는 근거리통신센서부(410), 및 제어모듈(100)에 탑재되며, 복수의 의료베드 또는 복수의 병실에 배치된 각각의 근거리통신센서부(410)에서 전송된 위치 및 시간정보를 입력받고, 병원 내 의료진의 동선과 평균진료시간을 포함하는 진료진행정보를 산출하여 개별 의료베드(c) 또는 개별 병실 각각으로 전송하여 알려주는 진료추적모듈(도 3의 130참조)을 포함하되, 환자정보표시패널은, 병실입구에 배치되는 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과, 의료베드(c)에 배치되는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을 포함하고,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은 의료진 방문 시에 의료진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연동되어 동작한다.The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configured as follows.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1 is interlocked with the hospital's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and is connected to a control module 100 capable of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n electronic paper output unit 210 for outputting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through electronic paper, and is disposed at the entrance to the hospital room and the medical bed (c) to control the control module 100 .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th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and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that automatically displays the information of the inpatient according to the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that separates and recognizes an inpatient's calling action into two or more different actions, and includes a multi-sensing unit 310 that generates different detection signals accordingly, and provides the generated detection signal. 2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and i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multi-call terminal 300, the medical bed (c), and the hospital room that distinguishes and informs the call intention of the inpatient, and the medical staff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that generates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ag (see 500 in FIG. 4 )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module 1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 It is mounted on the unit 410, and the control module 100, and receives the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disposed in a plurality of medical beds or a plurality of hospital rooms, Includes a treatment tracking module (refer to 130 in FIG. 3) that calculates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movement lines and average treatment time and transmits it to each individual medical bed (c) or individual ward to inform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A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disposed at the entrance, and a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disposed on the medical bed (c),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when visiting the medical staff I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used by medical staff.

본 실시예 따라 멀티감지부(310)는, 터치센서(도 5의 311참조) 및 카메라(도 5의 313a참조)가 포함된 모션인식모듈(도 5의 313참조)을 포함하여 터치방식 및 모션인식방식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호출행위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병실관리장치(1)는 진료진행정보를 기록하는 진료정보기록모듈(도 3의 140참조)을 더 포함하여 진료추적모듈(130)은 진료정보기록모듈(140)에 기 저장된 종전진료진행정보와 산출된 진료진행정보를 비교하여 개별 의료베드(c) 또는 개별 병실 각각에 대한 의료진의 예상도착시간을 산출하여 알려줄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 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여러 다른 특징들도 더욱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ulti-sensing unit 310 includes a touch sensor (see 311 in FIG. 5) and a motion recognition module (see 313 in FIG. 5) including a camera (see 313a in FIG. 5) including a touch method and mot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nd recognize the call action in two or more different ways including the recognition method, and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1 further includes a treatment information recording module (refer to 140 in FIG. 3) for recording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The tracking module 130 compares the previous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dical information record module 140 with the calculated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to calculate and inform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medical staff for each individual medical bed (c) or individual ward. ca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3은 도 2의 병실관리장치의 제어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module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of FIG. 2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모듈(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2)과 연동하여 동작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모듈(100)은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2)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의료정보시스템(2)의 정보를 공유하거나 의료정보시스템(2)의 정보를 전달받아 무선으로 전파할 수 있다. 또는 입력된 정보를 의료정보시스템(2) 측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의료정보시스템(2)은 병원에서 구축하여 입원환자와 진료기록 등을 포함하는 각종 의료정보를 저장해 놓은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용량 데이터저장장치와 컴퓨터장치 등이 복합된 시스템일 수 있다. 제어모듈(100)은 이러한 의료정보시스템(2)에 연결되어 의료정보시스템(2)과 연동되어 동작한다. 연동되어 있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의료정보시스템(2)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하며, 필요한 경우 제어신호 등을 수신 받아 동작할 수도 있으므로 제어모듈(100)이 의료정보시스템(2) 측에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방식을 배제하는 의미는 아니다.1 to 3 , the control module 100 is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d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of the hospital. As shown in FIG. 2 , 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of the hospital by wire or wirelessly, and through this, the information of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may be shared or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propagated wirelessly.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side.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may be constructed in a hospital to store various types of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inpatients and medical records, and for example, may be a system in which a large-capacity data storage device and a computer device are combined. The control module 100 is connected to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and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 Interworking basically means sharing data with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and if necessary, it can operate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etc., so that the control module 100 is transmitted from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side. This is not meant to rule out a method that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signal.

제어모듈(100)은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제어모듈(100)은 일종의 컴퓨터 장치로서 예를 들어, cpu 등을 이용하여 연산하거나 신호를 처리하고 생성하는 중앙제어부(110)와, 입력데이터(D2)와 출력데이터(D1)를 입출시키는 데이터송수신부(120)를 기본으로 포함하고, 전술한 진료추적모듈(130)과 진료정보기록모듈(140)까지 복합적으로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진료추적모듈(130) 역시 cpu 등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연산능력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독립된 연산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가능한 경우 진료추적모듈(130)은 중앙제어부(110)와 하드웨어를 공유하는 형태로 이를 테면, 중앙제어부(110) 상에서 구동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연산프로그램이 복합된 모듈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를 분리하여 독립된 연산장치로 형성하는 경우 진료추적모듈(130)의 연산능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진료정보기록모듈(140)은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또는 하드디스크 장치 등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저장소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control module 100 is a kind of computer device, for example, a central control unit 110 that calculates or processes and generates signals using a CPU, a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input data D2 and output data D1. The unit 120 is included as a basic, and the above-described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and medical information recording module 140 may be mounted in a complex manner. The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may also have a computing capability using a CPU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as an independent computing device, for example.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as such, and if possible, the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shares hardware with the central control unit 110 . For example, one or more operation programs driven on the central control unit 110 are complex. It may be formed as a module or the like. When the hardware is separated and formed as an independent arithmetic device, the arithmetic capability of the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may be further improved. The medical information recording module 140 may be formed as a data storage including, for exampl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or a hard disk device.

데이터송수신부(120)는 전술한 환자정보표시패널[제1환자정보표시패널(도 1의 201참조), 및 제2환자정보표시패널(도 1의 202참조)], 다중호출단말(도 1의 300참조), 근거리통신센서부(도 1의 410참조) 등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형성되며 그러한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송수신부(120)는 근거리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그러한 데이터 전송방식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방식인 경우 데이터송수신부(12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무선공유기, 증폭기 등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새로 설치하거나 병원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100)은 각 병실 등에 배치된 환자정보표시패널과, 다중호출단말(300), 근거리통신센서부(410) 및 후술하는 각종 센서들과 원활하게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송수신부(120)는 그 밖에도 가능한 다양한 무선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병원에 구축되어 있는 다양한 통신장비 등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20 includes the aforementione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a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see 201 in FIG. 1), and a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see 202 in FIG. 1)), a multi-call terminal (see FIG. 1). 300), a short-range communication sensor unit (see 410 in FIG. 1), etc., are form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relessly,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in such limits. Preferably,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2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may include various methods such as Wi-Fi and Bluetooth. For example, in the case of Wi-Fi,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20 may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wireless routers, amplifiers, and the like, which may be newly installed or may be used in a hospital. 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10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relessly smoothly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disposed in each hospital room, the multi-call terminal 300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 and various sensors to be described later.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20 may be formed using various other possibl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s, and may be efficiently configured by utilizing various communication equipments established in hospitals.

제어모듈(100)은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의료정보시스템(2)의 의료정보를 무선으로 출력하여 환자정보표시패널[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 및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로 보내줄 수 있으며, 또한, 다중호출단말(300)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입력 받을 수도 있다. 환자정보표시패널로 출력된 의료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환자정보표시패널을 구성하는 전자종이출력부(도 1 및 도 2의 210참조)로 출력되어 표시될 수 있고, 다중호출단말(300)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는 제어모듈(100)로부터 직접 또는 의료정보시스템(2)등을 경유하여 의료진에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모듈(100)에 형성되거나 제어모듈(100)과 연결되거나 의료정보시스템(2)과 연결된 각종 모니터, 스피커, 또는 무선 알림장치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다중호출단말(300)의 감지신호를 의료진에게 전달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100 wirelessly outputs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through this configuration to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th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and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In addition,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multi-call terminal 300 may be wirelessly received. The medical information output to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may be output and displayed on the electronic paper output unit (refer to 210 in FIGS. 1 and 2) constituting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as described later, and in the multi-call terminal 300 The generated det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medical staff directly from the control module 100 or via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 For example, by variously utilizing various monitors, speakers, or wireless notification devices formed in the control module 100,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or connected to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The detec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medical staff.

특히, 진료추적모듈(130)은 복수의 의료베드 또는 복수의 병실에 배치된 각각의 근거리통신센서부(도 1 및 도 2의 410참조)에서 전송된 위치 및 시간정보를 입력받고, 병원 내 의료진의 동선과 평균진료시간을 포함하는 진료진행정보를 산출하여 개별 의료베드(도 1 및 도 2의 c참조) 및 개별 병실(도 2의 R1~RN참조) 각각으로 전송하여 알려줄 수 있다. 즉, 의료진이 가진 근거리통신태그(도 4의 500참조)와 서로 다른 근거리통신센서부(410)가 반응하여 해당 위치 및 시간에 대응하는 위치 및 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진료추적모듈(130)이 전달받아 일정한 산식에 의해 의료진의 동선 및 평균진료시간 등을 포함하는 의료진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즉, 진료진행정보)를 생성하여 입원환자 측에 알려 준비하게 할 수 있다. 진료추적모듈(13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산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진료진행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는 의료진이 병원 내에서 이동하는 동선 또는 궤적과, 각 병실이나 의료베드에서 머무는 평균진료시간, 또는 병원 내 경로를 고려한 현재 각 병실과 의료진 사이의 거리(또는 그를 시간으로 환산한 시간거리) 또는 의료진의 도착이 예상되는 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진료추적모듈(130)은 하나 또는 복수의 산식을 활용하여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그산식은 필요에 따라 개선되거나 추가되거나 업데이트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receives the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refer to 410 in FIGS. 1 and 2) disposed in a plurality of medical beds or a plurality of hospital rooms, and the medical staff in the hospital.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movement line and average treatment time of the patient and transmit it to each medical bed (see FIGS. 1 and 2 c) and individual wards (refer to R1 to RN in FIG. 2). That is,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ag (see 500 in FIG. 4) of the medical staff and the differen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react to generate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time, and the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It is possible to generate data (ie,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medical staff including the movement of the medical staff and the average treatment time according to a certain formula, and inform the hospitalized patient to prepare it. The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can calculate various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by using various formulas as needed, which includes the movement line or trajectory of the medical staff in the hospital, the average treatment time spent in each ward or medical bed, or the hospital. It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distance between each ward and the medical staff considering my route (or the time distance converted to time) or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medical staff. The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may calculate information by using one or more formulas, and the formulas may be improved, added, or updated as needed.

아울러, 진료정보기록모듈(140)은 산출된 진료진행정보를 기록하며 진료추적모듈(130)은 진료정보기록모듈(140)에 기 저장된 종전진료진행정보와 산출된 진료진행정보를 비교하여 개별 의료베드 또는 개별 병실 각각에 대한 의료진의 예상도착시간을 산출하여 알려줄 수 있다. 즉 반복적으로 생성되는 의료진의 과거 진료진행정보(즉, 종전진료진행정보)를 축적하였다가, 이를 현시점의 진료진행정보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의료진의 예상동선 및 특정 병실까지의 예상도착시간 등을 산출하여 입원환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진료진행정보는 예를 들어, 의사의 회진 시작부터 종료시점까지의 정보일 수 있으며, 의료진(예를 들어, 의사)에 따라서 패턴(회진 시 병원 내에서 움직인 동선이나 궤적의 형태 등)이나 진료시간(각 병실 또는 의료베드 당 평균진료시간 및 회진 종료시점까지 걸린 전체진료시간) 등이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일 수 있으므로 축적된 종전진료진행정보를 예를 들면, 통계적인 분석방법 등으로 분석하여 특정 의료진(예를 들어, 의사)의 패턴 등을 파악하고 이를 해당 의료진의 현시점의 진료진행정보와 비교하여 남은 움직임 등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예측방식 역시 필요에 따라 개선될 수 있으며 다른 분석방식과 복합되거나 업데이트되어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진료진행정보의 산출 등과 관련된 내용은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record module 140 records the calculated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and the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compares the previous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treatment information record module 140 with the calculated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to provide individual medical car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d inform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medical staff for each bed or individual ward. In other words, by accumulating the repeatedly generated past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ie, previous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and comparing it with the current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the expected movement of the medical staff and the expected arrival time to a specific ward are calculated. to inform inpatients. The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doctor's round, and depending on the medical staff (for example, the doctor), a pattern (such as a movement line or trajectory moved in the hospital during the round) or treatment Since the time (average treatment time for each ward or medical bed and total treatment time until the end of the round) may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accumulated previous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can be analyz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attern of a medical staff (eg, a doctor) and to predict the remaining movements by comparing the pattern with the current medical progres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edical staff. This prediction method can also be improved as needed, and can be combined or updated with other analysis methods to increase reliability. Details related to the calculation of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도 4는 도 2의 병실관리장치의 환자정보표시패널의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of FIG.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환자정보표시패널[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 및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은 제1통신부(220)를 통해 제어모듈(1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전자종이출력부(210)를 포함하여 제1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의료정보를 전자종이출력부(210)를 구성하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e-paper)를 통해 출력한다. 환자정보표시패널은 병실입구에 배치되는 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과, 의료베드(도 1의 c참조)에 배치되는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을 포함하며, 특히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은 의료진 방문 시에 의료진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도 4의 E참조)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병실입구에는 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이 배치되며 각각의 화면(211)은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의 (a)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복수의 병실(R1~RN)이 있는 병원의 각 병실입구에 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을 배치하여 해당 병실 내 입원환자들의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로 표시되는 정보는 해당 병실의 호수, 입원환자의 이름, 성별 등 기본적인 사항과 관련된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보는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전술한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2)에 입력된 정보가 제어모듈(100)로 공유되어 바로 전송된 것일 수 있다.1, 2 and 4 ,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th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and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 is wirelessly connect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including the electronic paper output unit 210, constitutes the electronic paper output unit 210 (electronic paper: e-paper).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includes a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disposed at the entrance to the hospital room, and a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disposed on the medical bed (see FIG. 1 c), and in particular, the second patient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refer to E of FIG. 4 ) used by the medical staff when visiting the medical staff. 1, th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is disposed at the entrance to each hospital room, and each screen 211 may have, for example, the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4 (a). have. That is, by arranging th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at the entrance of each ward of a hospital having a plurality of wards R1 to RN as shown in FIG. 2 , information of inpatients in the corresponding ward can be automatically displayed. Th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may be related to basic matters such as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ward, the name of the inpatient, and the gender, and information may be added as necessary. Such information may be directly transmitted by sharing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of the hospital described above to the control module 100 .

또한, 각 의료베드(도 1의 c참조)에는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이 배치되어 입원환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로 표시되는 정보는 각 의료베드(c)에 단독으로 지정된 입원환자의 이름, 성별과 같은 사항 외에, 각 환자의 병증과 관련된 사항,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시술과 관련된 사항과 같이 의료진에게 필요한 보다 세부적인 사항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과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은 모두 전자종이출력부(210)를 이용하여 전자종이를 통해 의료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종이(electronic paper)는 전자잉크(electronic ink)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일 수 있으며 백라이트 등 내부 광원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광을 이용하여 내용을 표시하며 백라이트가 없어 가볍고, 얇고, 굴절 가능하고, 전력소모가 매우 적은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특히, 전자종이는 전력이 차단되어도 표시된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는 특성이 있어 수 일 내지 수십 일 또는 그 이상 입원하는 입원환자의 정보를 저전력으로 표시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전자종이출력부(210)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전자종이를 예를 들어 평면 또는 곡면 등으로 형성한 것일 수 있으며 제1통신부(220)와 연결되어 무선으로 데이터를 입력 받고 화면(211)으로 표시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모듈(1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받아 바로 표시할 수 있고 배터리 등을 사용하면서도 매우 장시간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과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은 원하는 다양한 위치에 편리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is disposed on each medical bed (refer to c of FIG. 1 ) so that more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inpatient can be displayed. Th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includes matters related to each patient's condition, in addition to matters such as the name and gender of the inpatients designated exclusively for each medical bed (c), and related to the current procedure. It may include more detaile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medical staff, such as Both th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and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may output medical information through the electronic paper using the electronic paper output unit 210 . Electronic paper may be a display device using electronic ink, and displays contents using external light without using an internal light source such as a backlight. It may have several advantages, such as very low consumption. In particular, the electronic paper has the characteristic of maintaining the displayed contents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so it is very useful to display the information of in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for several days to tens of days or more with low power. The electronic paper output unit 21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flat or curved surface of electronic paper hav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to receive data wirelessly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211 . It may be formed to be possible. Accordingl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100 can be wirelessly received and displayed immediately, and operation for a very long time is possible while using a battery or the like. Due to these structural features, th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and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can be conveniently arranged and used in various desired positions.

도 2의 R1은 본 발명의 병실관리장치(1)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기 위해 복수의 병실(R1~RN) 중 어느 하나를 대표하여 도시한 것이다. 즉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각 병실마다 병실입구에 각각 하나의 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이 배치되고, 각 병실에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의료베드에는 각각에 대응하는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하는 다중호출단말(300) 및 근거리통신센서부(410)도 각 의료베드마다 적어도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병원 내 형성된 복수의 병실(R1~RN) 전체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것처럼 제어모듈(100)과 무선 데이터통신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며 작동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각 병실에 설치되는 의료베드의 수, 각 병실에 입원하는 입원환자의 수 등은 바뀔 수 있으므로, 각 병실(R1~RN)에 따라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 다중호출단말(300), 근거리통신센서부(410)의 수는 바뀔 수 있다.R1 of FIG. 2 is a representative diagram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spital rooms R1 to RN in order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at is, although not shown, on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is disposed at the entrance of each ward for each ward, and a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 202) can be arranged. In addition, at least one multi-call terminal 300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each medical bed. This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plurality of wards (R1 to RN) formed in the hospital, and can operate by exchanging data with each other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module 100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medical beds installed in each ward, the number of inpatients admitted to each ward, etc. may chan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300), the number of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can be changed.

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과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은 제어모듈(100)과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제1통신부(2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통신부(220)로는 전술한 데이터송수신부(도 3의 120참조)에서 출력된 출력데이터(D1)가 입력된다. 또는 필요에 따라 제1통신부(220)로부터 데이터송수신부(120)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도 있다. 제1통신부(2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제1통신부(220) 역시 전술한 제어모듈(100)의 데이터송수신부(도 3의 120참조)와 같이 근거리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그러한 데이터 전송방식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통신부(220)는 해당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복수로 가지고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교환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통신 방식에 편리하게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통신부(220)는 와이파이모듈, 블루투스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등을 복수로 배치하고 딥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하게 하거나, 이러한 모듈을 교체 삽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또 다른 형태로 제1통신부(220)를 변형시킬 수 있다.Th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and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are formed to include a control module 100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capable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e output data D1 output from the above-described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see 120 of FIG. 3 ) is input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 Alternatively, data may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to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20 as necessary. Sinc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t does not need to be limit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Preferabl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may als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like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see 120 in FIG. 3) of the control module 100 described above, and such data transmission method is WiFi. , and may include various methods such as Bluetooth. In particular,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may hav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that communicate in a corresponding manner, or may be formed to conveniently respond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by selectively exchanging them.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arranges a plurality of Wi-Fi modules, Bluetooth module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ules, etc. and selects one of them using a dip switch or the like to operate, or replaces these modules. It can be formed so that it can be selectively used in such a way as to be inserted. However,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modified into another form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various ways.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환자정보표시패널[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 및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은 전술한 것처럼 배터리에 구동되되 배터리의 잔량을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도 1 및 도 4의 211a참조)가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211a)는 각각의 전자종이출력부(21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형태나 표시방식 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므로 도시된 예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표시부(211a)로 잔여전력을 상시 표시함으로써 전력소모가 적어 배터리 교환주기가 길더라도 각 환자정보표시패널의 배터리 교환시기를 잊지 않게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전자종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하므로 일시적으로 전력이 차단되더라도 각 환자정보표시패널의 화면(211)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터리는 각 환자정보표시패널의 뒷면 등 적절한 위치에 교체 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1 and 4 ,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th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and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is a display unit that is driven by a battery as described above and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together. (refer to 211a of FIGS. 1 and 4)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 display unit 211a may be positioned on each of the electronic paper output units 210 , and the shape or display method may be variously changed, so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maining power is alway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1a, it is possible to inform that the battery replacement time of each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is not forgotten even if the battery replacement cycle is long due to low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since information is output using the electronic paper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211 of each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can be maintained even if the power is temporarily cut off. Although not shown, the battery may be inserted into an appropriate position, such as the back of each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in a variety of replaceable ways.

특히 각 의료베드마다 배치된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진 방문 시에 의료진이 사용하는 외부기기(E)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은 제1통신부(220)가 의료진 측에 부착된 근거리통신태그(500)를 감지하여 동작이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은 근거리통신태그(500)를 부착한 의료진이 근접하면 자동으로 표시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은 도 4의(b)와 같은 평상시의 화면(211)에서 도 4의 (c)와 같은 화면(211)으로 화면(211) 전체가 일시적으로 바뀔 수 있다. 바뀐 화면(211)을 통해서 의료진은 필요한 조치를 확인하거나, 자신의 처치가 정확한지 확인하거나, 환자와 관련된 그 밖의 다른 의료정보를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약이나 수혈 등의 처치를 진행할 때 필요한 약이나 주사액, 수액, 혈액팩 등을 입원환자의 환자팔찌(해당 내용이 바코드 등으로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를 스캐너 등으로 스캔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정확히 매칭되는지 여부 등을 바뀐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로 표시하여 즉시 알려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스캐너 등이 외부기기(E)가 될 수 있으나 그 밖에도 의료진이 사용하는 다양한 의료기기 등이 외부기기(E)가 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관련 정보를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각종 진료 및 처치와 관련된 과정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의료진이 진료를 끝내고 이동하면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은 자동으로 원래 화면(211)으로 복귀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disposed for each medical bed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E used by the medical staff when visiting the medical staff,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detect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500 attached to the medical staff side. That is, as shown in FIG. 4 ,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can automatically change the display mode when a medical staff who has attache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500 approaches. Accordingly,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may temporarily change the entire screen 211 from the normal screen 211 as shown in FIG. 4(b) to the screen 211 as shown in FIG. 4(c). have. Through the changed screen 211 , the medical staff can confirm a necessary action, check whether their treatment is correct, or additionally check other med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tient. For example, you can scan the patient's wristband (the contents may be marked with a barcode, etc.) of an inpatient with a scanner, etc. and whether it is exactly matched or not can be displayed on the changed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to inform immediately. In such a case, the scanner or the like may be an external device (E), but various other medical devices used by medical staff may be the external device (E). ) can be expressed as Through this, processes related to various treatments and treatments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When the medical staff moves after completing the treatment,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may automatically return to the original screen 211 .

이와 같이 제어모듈(100)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환자정보표시패널을 이용하여 입원환자에 대한 관리뿐만 아니라 각종 진료작업까지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각 환자정보표시패널은 제어모듈(100)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제어모듈(100)은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2)과 연동되어 있는 점을 이용하여 또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기능을 확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환자정보표시패널에는 병원 내 입원환자의 생활과 관련된 정보, 필요한 의학정보 등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의료정보시스템(2)과 연동하여 입원 중인 환자의 진료계획(Clinical plan)이나 그와 관련된 진료정보 등을 표시하여 해당 입원환자가 확인하게 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의 경우]. 또한 음성변환/인식모듈 등을 이용하여 환자정보표시패널에 표시된 각종 내용을 음성으로 환자에게 전달하거나, 환자의 음성을 텍스트 등의 형태로 변환하여 의료진 등에게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며, 카메라모듈 등을 이용하여 환자와 병원 외부의 보호자 등이 화상으로 면회하게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카드리더모듈 등을 이용하여 병실 내에서 병원비 등의 수납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제어모듈(100)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다중호출단말(도 1 및 도 2의 300참조) 등을 함께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환자정보표시패널 및 다중호출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에 음성변환/인식모듈, 카메라모듈, 카드리더모듈 등의 다른 모듈을 결합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모듈(100)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환자정보표시패널, 다중호출단말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병실관리장치(1)의 전체의 기능을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that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erform various treatment tasks as well as management of inpatients. In addition, each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control module 100 is linked with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of the hospital to expand the function in other various ways. may be For example,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fe of inpatients in the hospital, necessary medical information, etc. The related treatmen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inpatient can check it (eg, in the case of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various contents displayed on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to the patient by voice using a voice conversion/recognition module, or convert the patient's voice into text and deliver it to medical staff, etc. It may also be possible to allow patients and guardians outside the hospital to visit by video using this. In addition, if necessary, a card reader module or the like may be used to enable storage of hospital expenses and the like in the hospital room. This can be implemented by using the control module 100 and a multi-call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ee 300 in FIGS. 1 and 2 ) together,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and the multi-call terminal 300 . It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other modules such as a voice conversion/recognition module, a camera module, and a card reader module in one.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expand the overall function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1 by variously utilizing the control module 100, a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multi-call terminal.

도 5는 도 2의 병실관리장치의 다중호출단말의 구성과 관련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related operations of the multi-call terminal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apparatus of FIG. 2 .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중호출단말(300)은 제어모듈(1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부(320)와, 입원환자의 호출행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멀티감지부(310)를 포함한다. 다중호출단말(300)은 예를 들어, 외형상으로는 간단한 리모콘과 같은 형태일 수 있으나 그와 같이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환자가 휴대하기 쉬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예를 들어, 팔찌나 머리띠 형태 등 신체에 부착 가능한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중호출단말(300)은 외부에 버튼이나 간단한 디스플레이 창 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후술하는 모션인식모듈(313)의 카메라 등이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중호출단말(300)은 예를 들어, 각 병실의 의료베드마다 배치되어 각각의 입원환자가 사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다중호출단말(300)은 멀티감지부(310)를 통해 입원환자의 호출행위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행위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른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신호는 제2통신부(320)를 통해 제어모듈(100)로 전송되어 입원환자의 호출의도를 구분하여 알려주게 된다.1, 2 and 5, the multi-call terminal 30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by detecting the call behavior of the inpatient It includes a multi-sensing unit 310 that generates a signal. The multi-call terminal 300 may, for example, have a shape such as a simple remote control in appeara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that are easy for a patient to carry (eg, a bracelet or a headband). It can be variously transformed into a form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ody, etc.). The multi-call terminal 300 may have a button or a simple display window formed on the outside, and a camera of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3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therein. The multi-call terminal 300 may be, for example, arranged for each medical bed in each hospital room and configured to be used by each inpatient. In particular, the multi-call terminal 300 may recognize the call action of the inpatient by dividing it into two or more different actions through the multi-sensing unit 310 and generate different detection signals accordingly. Such a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to classify the call intention of the inpatient.

도 5를 참조하면, 다중호출단말(300)은 제2통신부(320)를 통해 전술한 데이터송수신부(도 3의 120참조)로 입력되는 입력데이터(D2)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데이터송수신부(12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도 있다. 제2통신부(320)는 전술한 제1통신부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구성방식도 동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통신부(320) 역시 전술한 제어모듈(100)의 데이터송수신부(120)와 같이 근거리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그러한 데이터 전송방식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신부(320) 역시 해당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복수로 가지고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교환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통신 방식에 편리하게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통신부(320)는 와이파이모듈, 블루투스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등을 복수로 배치하고 딥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하게 하거나, 이러한 모듈을 교체 삽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2통신부(320)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또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multi-call terminal 300 may transmit the input data D2 input to the above-described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see 120 of FIG. 3 )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 Also, if necessary, data may be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20 .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may function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above-described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may als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like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20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module 100, and such data transmission methods are WiFi and Bluetooth. ) may include various methods such a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may also hav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that communicate in a corresponding manner, or may be formed to conveniently respond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by selectively exchanging them.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arranges a plurality of Wi-Fi modules, Bluetooth module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ules, etc. and selects one of them using a dip switch or the like to operate, or replaces these modules. It can be formed so that it can be selectively used in such a way as to be inserted. However,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may also be modified into another form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various ways.

멀티감지부(310)는 예를 들어, 터치신호를 인식하는 터치센서(311), 및 카메라(313a)가 포함된 모션인식모듈(313)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터치방식 및 모션인식방식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입원환자의 호출행위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멀티감지부(310)는 터치센서(311)와 모션인식모듈(313) 외에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된 버튼부(3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센서(311), 모션인식모듈(313), 버튼부(312)가 개별적으로 입원환자의 호출행위를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기본적으로는 버튼부(312)의 여러 버튼이 각각 서로 다른 호출행위를 표시하게 형성할 수 있다. 서로 구분된 복수의 버튼은 각각 다른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의료진은 버튼부(312)의 감지신호에 따라 입원환자의 서로 다른 호출행위를 구분하여 파악하고 대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버튼부(312)의 버튼 수는 원하는 대로 바꾸어 줄 수 있으나 버튼이 너무 많은 경우 복잡하므로 적정 수를 유지하면서 외형상으로도 서로 구분 가능한 형태로 버튼을 배치할 수 있다.The multi-sensing unit 310 may include, for example, a touch sensor 311 for recognizing a touch signal, and a motion recognition module 313 including a camera 313a, through which a touch method and a motion recognition method are detected. Including two or more different method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nd recognize the call behavior of inpatients. The multi-sensing unit 310 may include a button unit 312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in addition to the touch sensor 311 and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313, and includes a touch sensor 311, a motion recognition module 313, and a button unit. (312) may be formed to identify and recognize the calling behavior of the inpatient individually. For example, most basically, several buttons of the button unit 312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different calling action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butt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generate different detection signals, and thus, the medical staff can identify and respond to different calling behaviors of inpatients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button unit 312 . The number of buttons of the button unit 312 can be changed as desired, but since it is complicated when there are too many buttons, the buttons can be arranged in a shape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number.

또한, 멀티감지부(310)는 터치센서(311)에 입력된 터치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입원환자는 터치센서(311)[예를 들어, 다중호출단말(300) 외측에 터치패드 등의 형태로 적어도 일부가 드러나게 배치할 수 있다]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터치하여 서로 다른 감지신호가 생성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신호가 제어모듈(100)로 전송됨으로써 의료진에게 입원환자의 호출행위가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료진은 둘 이상의 터치형태를 사전에 입원환자에게 교육하거나 임의의 서로 다른 터치형태를 입원환자와 합의하여 결정하고 해당 터치가 발생되면 각각에 대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행위는 터치센서(311)를 간단히 누르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등의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센서(311)를 사용하면 버튼 등을 구분하여 누르기 어려운 중증환자 등도 간단한 슬라이딩 동작 등으로 보다 손쉽게 자신의 요구를 의료진에게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lti-sensing unit 310 may generate different detec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type of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311 . The inpatient may touch the touch sensor 311 (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it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on the outside of the multi-call terminal 300) in different ways to generate different detection signals and this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so that the call action of the inpatient to the medical staff can be grasped. For example, medical staff may educate inpatients on two or more touch types in advance, or determine arbitrary different touch types by agreeing with inpatients, and when the corresponding touch occurs, take action corresponding to each. For example, the touch action may be performed in a simple manner, such as simply pressing the touch sensor 311 or sliding in different directions. If such a touch sensor 311 is used, even a critically ill patient who has difficulty in pressing a button or the like can more easily convey their request to the medical staff through a simple sliding operation.

또한, 멀티감지부(310)는 모션인식모듈(313)을 통해 카메라(313a)로 입원환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서로 다른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가 고개를 끄덕이거나, 눈을 깜박이는 등의 서로 다른 간단한 동작을 취할 수 있으며 모션인식모듈(313)로 이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서로 다른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가 팔다리 등을 크게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도 전송된 감지신호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모션인식모듈(313)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의료진은 둘 이상의 동작을 사전에 입원환자에게 알려주거나 임의의 서로 다른 동작을 입원환자와 합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환자가 불필요하게 큰 동작을 취하는 경우 등에는 문제가 생긴 것일 수 있으므로 모션인식모듈(313)로부터 그러한 동작을 감지하도록 감지범위를 설정하고,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입원환자의 호출행위를 인식할 수 있는 멀티감지부(310)를 이용하여 입원환자의 호출의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sensing unit 310 may generate different detection signals by detecting the motion of the inpatient with the camera 313a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313 . For example, the patient may take different simple actions such as nodding their head or blinking their eyes, and different detection signals may be generated by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them with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313 . Therefore, medical staff can take necessary measures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detection signal even when the patient does not move his limbs significantly. Even in the case of using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313, the medical staff may inform the inpatient of two or more motions in advance or determine arbitrary different motions by agreeing with the inpatient. In addition, since a problem may have occurred when the patient takes an unnecessarily large motion, etc., the detection range is set to detect such a motion from the motion recognition module 313, and when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 necessary action can be taken. . As such, by using the multi-sensing unit 310 capable of recognizing the call action of the inpatient in various different ways,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identify and respond to the call intention of the inpatient.

도 6은 도 2의 병실관리장치의 근거리통신센서부를 포함한 의료베드 측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medical bed side including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of FIG. 2 .

한편,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의료베드(c) 및 병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의료진이 가진 근거리통신태그(도 4의 500참조)에 반응하여 위치 및 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전술한 제1통신부(220) 및 제2통신부(3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어모듈(100)로 전송하는 근거리통신센서부(410)가 배치된다. 근거리통신센서부(410)는 전술한 제어모듈(100)의 진료추적모듈(130)로 정보를 전송하여 의료베드나 병실 등을 순차적으로 방문하며 진료하는 의료진의 동선 등을 파악하게 해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통신센서부(410)가 의료베드(c)마다 각각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필요에 따라 근거리통신센서부(410)는 병실마다 배치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근거리통신태그(500)를 부착하여 의료진의 동선 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근거리통신센서부(410)와 근거리통신태그(500)는 서로 근거리통신방식으로 통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정 범위 내 근거리통신태그(500)가 진입하면 근거리통신센서부(410)에서 자신의 위치와 현재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모듈(100)로 전송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통신태그(50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안테나와 식별신호 송출이 가능한 칩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통신센서부(410)는 일정범위 내에서 근거리통신태그(500)와 연결되어 신호를 판독하고 그에 따라 위치 및 시간정보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판독기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근거리통신방식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를 인식하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근거리통신태그(500)와 근거리통신센서부(410)를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1, 2 and 6 , at least one of the medical bed (c) and the hospital room responds to a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refer to 500 in FIG. 4 ) possessed by the medical staff to generate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and tactic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for transmitting to the control module 1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20 is disposed.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of the aforementioned control module 100 to sequentially visit a medical bed or a hospital room, etc. In this embodiment,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is described based on a state in which each medical bed (c) is arranged, but if necessary,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may be arranged for each ward.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ag 500 to an appropriate position to grasp the movement of medical staff.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and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ag 50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Information including its own location and current time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 For exampl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ag 500 may be formed to include an antenna that communicates in a manner such as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the like and a chip capable of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signal,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may be formed including a reader that is connected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500 within a certain range to read a signal and generate and transmit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accordingly.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as such, and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ag 500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that can generate information by recognizing one another within a certain range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can

또한, 의료베드(c)에는 근거리통신센서부(410) 외에도 입원환자의 위험상황 등을 감지하는 다양한 감지모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모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원환자의 대소변유무를 감지하는 대소변감지모듈(420), 그와 연결되어 비상호출신호를 전송하는 제3통신부(450), 의료베드(c)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430), 및 입원환자의 두부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의료베드(c)에 배치되는 이러한 감지모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 전술한 근거리통신센서부(410)를 이용한 의료진의 진료행위 추적 등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in the medical bed (c), in addition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various detection modules for detecting a dangerous situation of an inpatient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6 , the detection module includes a urine detection module 42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urine and urine in an inpatient, a third communication unit 450 connected thereto to transmit an emergency call signal, and the movement of the medical bed (c). It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430 for detecting, and a load sensor 440 for detecting the head load of an inpatient. Hereinafter, 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sensing modules disposed on the medical bed (c), the contents of the medical treatment activity tracking of the medical staff using the above-described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대소변감지모듈(420)은 의료베드(c)에 장착되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하여 입원환자의 대소변유무를 감지한다. 대소변감지모듈(420)은 필요에 따라 다른 센서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대소변감지모듈(420)은 예를 들어, 거동이 불편한 중증환자의 베드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입원환자의 배설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3통신부(450)는 이러한 대소변감지모듈(420)과 연동되어 대소변감지시 제어모듈(100)로 비상호출신호를 자동으로 전송한다. 제3통신부(450) 역시 전술한 근거리통신방식으로 제어모듈(100)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형성될 것일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센서의 신호를 모니터하여 일정조건에서 비상호출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미도시)이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대소변여부를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바로 취할 수 있다. 또한, 의료베드(c)에는 의료베드(c)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430)를 배치하고, 베개(c1)에는 입원환자의 두부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440)를 배치하여, 제3통신부(450)를 이들과 연결하여 연동하여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즉 제3통신부(450)는 가속도센서(430) 및 하중센서(440)와 연동되어 가속도센서(430)의 감지값이 기준범위를 초과하여 변동되거나 하중센서(440)의 감지값이 기준시간 이상 나타나지 않으면 비상호출신호를 자동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은 거동이 불편한 중중환자 등이 예측되지 않은 큰 움직임을 보이거나 장시간 베드에서 이탈되어 있는 등의 상황을 바로 파악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즉시 대처할 수 있다.1 and 6, the urine detection module 420 is mounted on the medical bed (c)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urine in the hospitalized patient,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The urine detection module 420 may further include other sensors as needed, and one or more may be disposed. The urine detection module 420 may, for example,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bed of a seriously ill patient with inconvenient movement, and may generate a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whether the inpatient is excreting.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50 is interlocked with the urine detection module 420 to automatically transmit an emergency call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100 when urine detection is detected.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50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a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control module 100 in the above-described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and a signal generating module ( not shown) may be included. Through this, the medical staff can determine whether a patient with reduced mobility is urinating and take necessary measures immediately. In addition, by disposing an acceleration sensor 43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edical bed (c) on the medical bed (c), and placing a load sensor 440 for detecting the head load of the hospitalized patient on the pillow (c1), 3 The communication unit 450 may be connected to these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at is,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50 is interlocked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430 and the load sensor 440 so that the value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430 is fluctuated beyond the reference range, or the value detected by the load sensor 440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If it does not appear, an emergency call signal can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herefore, the medical staff can immediately identify situations such as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limited mobility showing unexpected large movements or being away from the bed for a long time.

예를 들어, 제3통신부(450)의 신호생성모듈은 가속도센서(430)에 대해 의료베드의 진동이나 환자의 뒤척임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감지값의 범위가 기준범위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이를 초과하는 감지값이 감지되면 비상호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하중센서(440)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감지값이 나타나지 않는 허용 가능한 시간이 기준시간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이를 초과하는 시간 동안 감지값이 나타나지 않으면 비상호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거동이 매우 불편하거나 의식불명 등인 중환자 등의 위급상황을 비대면 상태에서도 즉각적으로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응급상황 등은 아니더라도 입원환자의 대소변 등이 발생하면 적절한 처리를 하여 환자들의 위생에도 만전을 기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ignal generating module of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450 , the range of detection values that may occur due to vibration of the medical bed or toss and downs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acceleration sensor 430 may be set as a reference range and exceed it. When the detected value is detected, an emergency call signal can be generated. For the load sensor 440 , an allowable time for which a preset detection value does not appear may be set as a reference time, and if the detection value does not appear for a time exceeding this, an emergency call signal may be generated. Therefore, for example,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critically ill patient who is very uncomfortable or unconscious can be immediately identified and dealt with even in a non-face-to-face state. In addition, even if it is not an emergency, if an inpatient's feces and urine occur, appropriate treatment can be performed to ensure the hygiene of the patients.

도 7은 도 2의 병실관리장치의 제어모듈을 통한 진료진행정보의 산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alculation of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module of the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of FIG. 2 .

도 2, 도 3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근거리통신센서부(410)와 연동된 진료추적모듈(13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근거리통신센서부(410)는 전술한 것처럼 각 병실의 의료베드마다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각 병실(R1~R7) 안에도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의료진은 예를 들어, 회진을 진행하는 의사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의료진의 동선은 예를 들어, 진료과목이나 담당환자 등에 따라 도시된 A의료진(A) 및 B의료진(B)와 같이 경로가 다를 수 있다. 각각의 의료진은 회진 시작 시 정보를 전술한 의료정보시스템(2) 등에 남길 수 있고 이는 제어모듈(100)의 진료추적모듈(130)에 전송되어 동선 산출이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병원의 평면도 등 각 병실의 상호위치가 나타난 자료를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2) 등으로부터 입력 받고, 각 병실에서 근거리통신센서부(410)가 전송한 위치 및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의료진의 이동동선을 그래프나 궤적 등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interlocked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3 and 7 togethe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may be disposed for each medical bed of each hospital room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a plurality of wards may exist at different positions even in each of the hospital rooms R1 to R7. The medical staff may include, for example, a doctor who conducts rounds, and the path of such medical personnel may differ,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subject or patient in charge, such as medical staff A (A) and medical staff B (B) shown. can Each medical staff may leave information on the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or the like at the start of the round, and this may be transmitted to the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of the control module 100 to start calculating the movement. For example, data indicating the mutual location of each ward, such as a floor plan of a hospital, is input from the hospital's medical information system 2, etc. The actual movement of medical staff can be calculated as a graph or trajectory.

의료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통신태그(도 4의 500참조)를 부착하고 움직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태그를 부착하는 경우 각각은 서로 구분되어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의료진이 한꺼번에 이동하더라도 경로를 구분하여 산출할 수 있다. 각각의 의료진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근거리통신센서부(410)와 인접하면 해당위치에서 발신된 위치 및 시간정보가 제어모듈(100)로 전송되어 진료추적모듈(130)에서 연산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센서부(4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환자정보표시패널[제1환자정보표시패널(201) 및 제2환자정보표시패널(202)]의 제1통신부(220) 및 다중호출단말(300)의 제2통신부(32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제어모듈(100)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연속한 근거리통신센서부(410) 사이의 시간간격 등을 이용하여 각 의료진의 평균진료시간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각 병실 내부의 동선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것처럼 각 의료베드마다 근거리통신센서부(410)가 배치된 경우에는 병실 내부에서 서로 다른 의료베드 사이를 움직이는 시간간격과 움직인 경로 등도 얼마든지 파악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료진의 동선과 평균진료시간을 포함하는 진료진행정보를 산출하여 개별 의료베드 또는 개별 병실 각각으로 전송하여 알려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dical staff can attach and move a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see 500 in FIG. 4 ), and when different tags are attached, each can be recognized separately. Therefore, even if different medical staff move at the same time, routes can be distinguished and calculated. When each medical staff is adjacent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at different locations, the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00 and calculated in the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include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20 and the multi-call terminal 300 of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the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1 and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as described above. ) can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s 320 to transmit information wirelessly to the control module 100, for example, using a time interval between consecutiv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s 410, etc. The average treatment time of each medical staff can be calculated. Although the movement line inside each ward is not shown in the drawing to help the overall understanding, wh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ensor unit 410 is disposed for each medical bed as described above, the time interval and movement between different medical beds inside the ward It is also possible to understand the human path, etc.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movement of medical staff and the average treatment time and transmit it to each individual medical bed or individual ward to inform them.

진료진행정보는 예를 들면, 병실 내 배치된 모니터 등을 이용하여 알려줄 수 있으며 가능한 경우 와이파이 등 근거리데이터통신 등을 통해 환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개별 단말로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텍스트로 알려주거나 음성인식/변환모듈 등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알려주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의료진의 동선을 파악하여 준비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진료추적모듈(130)은 전술한 것처럼 진료정보기록모듈(140)로부터 기 저장된 종전진료진행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현시점의 산출된 진료진행정보와 비교하여 개별 의료베드 또는 개별 병실 각각에 대한 의료진의 예상도착시간을 산출하여 알려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진을 진행하는 의사는 진료과목, 회진시작위치, 평균진료시간 등이 비교적 일정하여 회진을 시작하여 끝내는 시점까지의 동선과, 소요시간 등이 일정 오차범위 내로 파악될 수 있는바 이러한 내용이 나타난 종전진료진행정보와, 현시점의 진료진행정보를 비교하여 특정병실이나 의료베드에 도착하는 예상도착시간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종전진료진행정보는 서로 패턴이 과도하게 어긋나지 않는 과거 일정 시간범위 내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예를 들면 통계를 이용한 분석방식 등으로 분석하여 비교 가능한 패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적절한 범위의 데이터를 사용하면 오차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예상도착시간, 예상 동선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가능한 경우 머신 러닝방식을 이용한 딥러닝 등의 자료학습과정을 통해 오차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료진의 동선 등을 환자들에게도 알려줄 수 있으며 따라서 바이러스 확산 방지 등을 위해 비대면 규칙 등을 유지하면서도 의료진과 환자가 서로 정확하게 소통하며 의료행위가 진행될 수 있다.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may be informed using, for example, a monitor placed in a hospital room, and, if possible, may also be notified to an individual terminal such as a patient's smartphone through short-distance data communication such as Wi-Fi.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notify by text or by voice using a voice recognition/conversion module. Through this, patients can be prepared by understanding the movement of the medical staff. In addition, the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30 receives the pre-stored previous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from th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record module 140 as described above and compares it with the current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medical staff for each individual medical bed or individual ward.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and inform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For example, a doctor who conducts a round has relatively constant treatment subjects, round start position, and average treatment time, so that the movement and requir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round to the end of the round can be identified within a certain error range.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expected arrival time to arrive at a specific ward or medical bed by comparing the current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with the previous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In such a case, the previous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can be us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in the past where the patterns do not deviate excessively from each other, and a comparable pattern can be extracted by analyzing it, for example, by an analysis method using statistics. If data within an appropriate range is used, the margin of error can be reduced, and accordingly, the expected arrival time and expected movement line can be calculated more accurately. Alternatively, if possible, errors can be reduced through data learning processes such as deep learning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In this way, patients can also be informed of the medical staff's movement, and thus, medical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while maintaining non-face-to-face rules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etc., while maintaining accur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medical staff and the patien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병실관리장치 2: 의료정보시스템
100: 제어모듈 110: 중앙제어부
120: 데이터송수신부 130: 진료추적모듈
140: 진료정보기록모듈 201: 제1환자정보표시패널
202: 제2환자정보표시패널 210: 전자종이출력부
211: 화면 211a: 표시부
220: 제1통신부 300: 다중호출단말
310: 멀티감지부 311: 터치센서
312: 버튼부 313: 모션인식모듈
313a: 카메라 320: 제2통신부
410: 근거리통신센서부 420: 대소변감지모듈
430: 가속도센서 440: 하중센서
450: 제3통신부 500: 근거리통신태그
R1~RN: 병실 C: 의료베드
C1: 베개
E: 외부기기
1: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2: Medical information system
100: control module 110: central control unit
120: data transceiver 130: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140: medical information record module 201: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02: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210: electronic paper output unit
211: screen 211a: display unit
220: first communication unit 300: multi-call terminal
310: multi-sensing unit 311: touch sensor
312: button unit 313: motion recognition module
313a: camera 320: second communication unit
410: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 420: urine detection module
430: acceleration sensor 440: load sensor
450: third communication unit 500: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ag
R1-RN: Room C: Medical bed
C1: pillow
E: External device

Claims (7)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과 연동되며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의료정보를 전자종이를 통해 출력하는 전자종이출력부를 포함하고, 병실입구 및 의료베드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입원환자의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환자정보표시패널;
상기 제어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입원환자의 호출행위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행위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른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멀티감지부를 포함하고,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여 입원환자의 호출의도를 구분하여 알려주는 다중호출단말;
의료베드 및 병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의료진이 가진 근거리통신태그에 반응하여 위치 및 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근거리통신센서부; 및
상기 제어모듈에 탑재되며, 복수의 의료베드 또는 복수의 병실에 배치된 각각의 상기 근거리통신센서부에서 전송된 위치 및 시간정보를 입력받고, 병원 내 의료진의 동선과 평균진료시간을 포함하는 진료진행정보를 산출하여 개별 의료베드 또는 개별 병실 각각으로 전송하여 알려주는 진료추적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환자정보표시패널은, 상기 병실입구에 배치되는 제1환자정보표시패널과, 상기 의료베드에 배치되는 제2환자정보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환자정보표시패널은 의료진 방문 시에 의료진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병실관리장치.
a control module interoperable with the hospital's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data;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n electronic paper output unit for outputting medic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rough electronic paper, and is disposed at the entrance to the hospital room and the medical bed. a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that automatically displays information about inpatient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 multi-sensing unit for recognizing an inpatient's calling behavior into two or more different behaviors and generating different detection signals accordingly, a multi-call terminal that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distinguish and inform the call intention of the inpatient;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disposed in at least one of a medical bed and a hospital room, gener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ag possessed by a medical staff, and transmitting it to a control modul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wealth; and
It is mounted on the control module and receives the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ensor units disposed in a plurality of medical beds or a plurality of wards, and a treatment process including the movement lines and average treatment time of medical staff in the hospital Includes a treatment tracking module that calculates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each individual medical bed or individual ward,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includes a first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disposed at the entrance to the hospital room, and a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disposed on the medical bed, wherein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is provided to the medical staff when visiting the medical staff. A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used by the pati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감지부는, 터치센서, 및 카메라가 포함된 모션인식모듈을 포함하여 터치방식 및 모션인식방식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호출행위를 구분하여 인식하는 병실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sensing unit includes a motion recognition module including a touch sensor and a camera, and distinguishes and recognizes the calling action in two or more different ways including a touch method and a motion recogni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베드에 장착되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하여 입원환자의 대소변유무를 감지하는 대소변감지모듈 및 상기 대소변감지모듈과 연동되어 대소변감지시 상기 제어모듈로 비상호출신호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제3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병실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urine detection module mounted on the medical bed and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urine and urine of inpatients and a third that automatically transmits an emergency call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when the urine is detected by interlocking with the urine detection module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베드에 배치되어 상기 의료베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및 베개에 배치되어 입원환자의 두부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통신부는, 상기 가속도센서 및 상기 하중센서와 연동되어 상기 가속도센서의 감지값이 기준범위를 초과하여 변동되거나 상기 하중센서의 감지값이 기준시간 이상 나타나지 않으면 상기 비상호출신호를 자동 전송하는 병실관리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n acceleration sensor disposed on the medical bed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medical bed, and a load sensor disposed on the pillow to detect a head load of an inpatient,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oad sensor A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that automatically transmits the emergency call signal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is changed beyond a reference range by interworking with the accelerometer or the detection value of the load sensor does not appear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환자정보표시패널은, 상기 제1통신부가 상기 의료진 측에 부착된 근거리통신태그를 감지하여 동작이 자동으로 변경되는 병실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cond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detects a short-range communication tag attached to the side of the medical staff, and the operation is automatically ch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진행정보를 기록하는 진료정보기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료추적모듈은, 상기 진료정보기록모듈에 기 저장된 종전진료진행정보와 산출된 상기 진료진행정보를 비교하여 개별 의료베드 또는 개별 병실 각각에 대한 의료진의 예상도착시간을 산출하여 알려주는 병실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edical information recording module for recording the medical progress information,
The medical treatment tracking module is a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that calculates and informs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medical staff for each individual medical bed or individual ward by comparing the previous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record module with the calculated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표시패널은,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되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가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된 병실관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tient information display panel is a hospital room management device that is driven by a battery and has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n at least one side.
KR1020210025082A 2021-02-24 2021-02-24 Apparatus for managing sickroom KR1025235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82A KR102523530B1 (en) 2021-02-24 2021-02-24 Apparatus for managing sick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82A KR102523530B1 (en) 2021-02-24 2021-02-24 Apparatus for managing sickro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084A true KR20220121084A (en) 2022-08-31
KR102523530B1 KR102523530B1 (en) 2023-04-18

Family

ID=8306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082A KR102523530B1 (en) 2021-02-24 2021-02-24 Apparatus for managing sick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53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4099A (en) * 2023-08-29 2023-10-10 济南鸿泰医疗管理集团有限公司 Medical equipment remote supervis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KR102602404B1 (en) * 2023-04-11 2023-11-15 (주)다인시스 Patient Information Dispaly System For Smart War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019A (en) * 2014-05-24 2015-12-02 (주)에스모바일텍 system for displaying and administrating a patient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JP2018142041A (en) * 2017-02-24 2018-09-13 富士通株式会社 Round visit scheduled time notification program, scheduled rounds time notification method, and notification device
KR20200040273A (en) * 2017-08-10 2020-04-17 파라솔 메디컬 엘엘씨 Patient movement and incontinence alert system
KR20200045138A (en) * 2018-10-22 2020-05-0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viding round-trip alarm service in medical institution
KR102117039B1 (en) 2018-04-30 2020-05-29 (주)도천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tient's room environment using hospital inform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019A (en) * 2014-05-24 2015-12-02 (주)에스모바일텍 system for displaying and administrating a patient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JP2018142041A (en) * 2017-02-24 2018-09-13 富士通株式会社 Round visit scheduled time notification program, scheduled rounds time notification method, and notification device
KR20200040273A (en) * 2017-08-10 2020-04-17 파라솔 메디컬 엘엘씨 Patient movement and incontinence alert system
KR102117039B1 (en) 2018-04-30 2020-05-29 (주)도천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tient's room environment using hospital information system
KR20200045138A (en) * 2018-10-22 2020-05-0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providing round-trip alarm service in medical institu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404B1 (en) * 2023-04-11 2023-11-15 (주)다인시스 Patient Information Dispaly System For Smart Ward
CN116864099A (en) * 2023-08-29 2023-10-10 济南鸿泰医疗管理集团有限公司 Medical equipment remote supervis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CN116864099B (en) * 2023-08-29 2023-11-28 济南鸿泰医疗管理集团有限公司 Medical equipment remote supervis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530B1 (en)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67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rientation to reduce pressure ulcer formation
US10383527B2 (en) Wireless patien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69541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monitoring activities in a tracking environment
AU20022577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ariances in a tracking environment
US7248933B2 (en) Article locating and tracking system
US973429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ly determining levels of healthcare interventions
CN103186712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 monitors to automatically identify patients
US1095964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ng patients in a facility
KR102523530B1 (en) Apparatus for managing sickroom
AU20022577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ariances in a tracking environment
CN105793851A (en) Patient monitor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
JP2016184196A (en) Hospital infection influence range viewing system and hospital infection influence range display method
KR20140107945A (en)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US20190006030A1 (en) Automated healthcare system
US9905105B1 (en) Method of increasing sensing device noticeability upon low battery level
KR20170121617A (e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monitoring system using IoT
EP1868123A1 (en) Patient monitor with subdued alarm in presence of caregivers
KR20180050942A (en) Target guiding system
KR101148424B1 (en) Health care system for using wire/wireless network in ubiquitous environment
WO20191566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ng patients in a facility
JP7016834B2 (en) Information gathering device
KR102485599B1 (en) Indoor Non-Contacting 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20215912A1 (en) Patient management system
AU2021105091A4 (en) A diseased person iden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based on block chain and IOT
KR20230030386A (en) Patient management system for inpatients using smart wristb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