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925A - Pow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w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925A
KR20220120925A KR1020210024713A KR20210024713A KR20220120925A KR 20220120925 A KR20220120925 A KR 20220120925A KR 1020210024713 A KR1020210024713 A KR 1020210024713A KR 20210024713 A KR20210024713 A KR 20210024713A KR 20220120925 A KR20220120925 A KR 20220120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utput
resistor
switch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7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숭근
정한수
조석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925A/en
Publication of KR2022012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9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1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DC-D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for d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apparatus includes: an input circuit including a driver integrated circuit (IC) performing switching; a transformer having a primary coil connected with the input circuit and a secondary coil interconnected with the primary coil; an output circuit connected with the secondary coil, and outputting DC power to an output terminal; and a control part controlling an output cutoff of the output circuit. The output circuit includes a sensing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output terminal, a power cutoff switch circuit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ary coil, and a control circuit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of the power cutoff switch circuit. The control part includes an input port receiving a signal for overload sensing from the sensing circuit, and an output port outputting a signal for overload protection to open the power cutoff switch when an overload is sensed based on the signal for overload sensing. The output port is connected with the control circui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costs for circuit composition.

Description

전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ow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Pow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전원 회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전원 회로에서 출력단의 과전류를 감지하고, 출력단을 차단할 수 있는 제어 회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power circui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 to a control circuit and a control method capable of detecting an overcurrent of an output terminal in a power circuit and blocking the output terminal.

가전 장치와 같은 전기기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해당 전자 기기의 동작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전원 공급을 하는 모듈형의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를 구비하고 있다.BACKGROUND ART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home appliance includes a modular power supply that supplies power by convert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be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이와 같은 전원공급장치는 크게 리니어 파워 서플라이(linear power supply)와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생산과 제어의 편의성을 위해 SMPS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Such a power supply is largely divided into a linear power supply and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and in recent years, the use of the SMPS is increasing for the convenience of production and control.

일반적인 제어 장치는 전원 공급 시작 시점에 외부전원을 직접 내부 회로의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SMPS의 제어장치는 동작 시작 시점에 공급된 외부 전압을 그대로 동작 전압으로 이용하게 되며, 공급된 외부 전압을 칩 내부에서 감압하여 내부 회로가 동작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하게 되며, 이와 같은 변환에 따라 출력 회로에서 원하는 출력 값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전원 공급을 하는 경우, 출력단에서 과전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이상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과전류 차단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A general control device uses an external power source as a power source for the operation of an internal circuit directly at the time of power supply start. Accordingly, the control device of the SMPS uses the external voltage supplied at the start of the operation as the operating voltage as it is, and converts the supplied external voltage to a voltage capable of operating the internal circuit by reducing the supplied external voltage inside the chip. Depending on the conversion, the output circuit can provide the desired output value. However, when power is supplied in this way, an overcurrent may occur at the output terminal, and an overcurrent blocking structure for blocking an abnormal current is required.

선행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83024호 Prior literatur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583024

선행 문헌은 SMPS 회로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며, SMPS 회로는 입력 전원을 기반으로 직류 출력을 제공하게 되고, 이는 전원이 입력 되는 1차단 회로와 1차단 회로와 변압기를 통해 연결되는 2차단회로를 구비하며, 2차단회로는 직류 출력을 제공하게 된다. 직류 출력을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서 1차 회로의 SMPS 제어부에서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회로의 경우 2차단 회로의 출력에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없게 되며, 과전류를 감지하는 경우에도 1차단 회로의 제어를 통해서 SMPS 전체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로 전체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The prior literature discloses an SMPS circuit, and the SMPS circuit provides a DC output based on input power, which includes a first-circuit circuit to which power is input, a first-circuit circuit, and a second-block circuit connected through a transformer, , the second breaker circuit provides a DC output. In order to smoothly provide the DC output, the SMPS control unit of the primary circuit performs switching control. In such a circuit, it is impossible to effectively detect an overcurrent in the output of the secondary circuit, and even if the overcurrent is detected, the switching control is performed. The power supply of the entire SMPS is cut off through the control of the circuit,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supply of the entire circuit is cut off.

따라서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경우 출력 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회로 구조가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ircuit structure that effectively detects the overcurrent and effectively blocks the output current when detected.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원 공급 회로에서 출력단 과전류를 확인하고, 해당 출력단을 차단할 수 있는 제어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이상동작과 연관된 출력단 회로만 차단할 수 있는 SMPS 회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by having a control circuit capable of checking the output terminal overcurrent in the power supply circuit and blocking the corresponding output terminal, an SMPS circuit capable of blocking only the output terminal circuit associated with an abnormal opera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는 전원 회로에서 출력단의 과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회로 및 감지회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출력단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차단회로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ims to provide a structure of various detection circuits capable of detecting an overcurrent of an output terminal in a power circuit and various blocking circuits capable of blocking an output terminal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circuit.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전원 장치는 스위칭을 수행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IC)를 포함하는 입력 회로; 상기 입력 회로와 일차측 코일이 연결되고, 상기 일차측 코일과 연동되는 이차측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 상기 이차측 코일과 연결되며, 출력단에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 회로; 및 상기 출력 회로의 출력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회로는 상기 출력 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감지회로, 상기 출력단과 상기 이차측 코일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력 차단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전력 차단 스위치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회로로부터 과부하 감지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포트 및 상기 과부하 감지를 위한 신호를 기반으로 과부하가 감지되면, 상기 전력 차단 스위치를 open하기 위한 과부하 보호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포트는 상기 제어 회로와 연결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n input circuit including a driver integrated circuit (IC) for performing switching; a transformer connected to the input circuit and a primary side coil and including a secondary side coil interlocked with the primary side coil; an output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coil and outputting DC power to an output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utput cutoff of the output circuit, wherein the output circuit includes a sensing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 a power cutoff switch circuit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ary side coil, and the power and a control circuit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ut-off switch circuit,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an overload based on an input port for receiving a signal for overload detection from the detection circuit and a signal for overload detection , an output port for outputting a signal for overload protection for opening the power cut-off switch, wherein the output por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입력 회로, 상기 입력 회로와 일차측 코일이 연결되고, 상기 일차측 코일과 연동되는 이차측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 상기 이차측 코일과 연결되며, 출력단에 직류 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 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감지회로, 상기 출력단과 상기 이차측 코일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력 차단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전력 차단 스위치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감지 회로로부터 과부하 감지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차단 스위치를 open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 input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transformer including a secondary side coil connected to the input circuit and the primary side coil and interlocked with the primary side coil,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coil, and supplied with a DC power supply to an output terminal a sensing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 a power cut-off switch circuit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ary-side coil, and a control circu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wer cut-off switch circuit A control method of a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an output circuit comprising: receiving a signal for overload detection from the detection circuit;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 power cut-off switch in response to the signal reception.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 회로에서 출력단의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따라 출력단을 차단함으로써 이상 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과전류가 흐르는 출력단만 차단함으로써 복수개의 출력단이 하나의 1차단 회로와 연결된 경우에도 하나의 출력단의 과전류로 인해 전체 출력단 회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abnormal opera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by effectively detecting an overcurrent of the output terminal in the power circuit and blocking the output terminal accordingly. In addition, by blocking only the output terminal through which the overcurrent flow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tire output circuit from being blocked due to the overcurrent of one output terminal even when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are connected to one first blocking circuit.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과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비교기 등의 복잡한 회로의 필요 없이 단순한 회로 구조를 통해 과전류를 감지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서 회로 구성을 위한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overcurrent can be detected and effectively blocked through a simple circuit structure without the need for a complicated circuit such as a comparator for detecting the overcurrent, thereby reducing the cost for circuit configuration.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또 다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 is another conceptual diagram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circuit diagram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each figure,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will be understood that each block of the flowchart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the flowchart diagram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odi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the instruc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not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It creates a means to perform fun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flowchart block(s)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implementation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the block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are actually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at the blocks are sometime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erm '~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software or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PGA or ASIC, and '~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denot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1,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pecification is shown.

실시 예의 SMPS회로는 스위칭 회로(110)와 트랜스(transformer)(T)로 연동된 제1출력 회로(120) 및 제2출력회로(12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트랜스(T)의 권선 비는 각 출력 회로의 출력 값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출력회로들은 정류를 위한 다이오드 및 병렬로 연결된 RC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스위칭 회로(11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SMPS 드라이버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를 포함할 수 있다. SMPS 드라이버 IC는 스위칭을 통해 트랜스(T)에 입력 전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출력회로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받고 이를 기반으로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The SMPS circuit of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switching circuit 110 and a first output circuit 120 and a second output circuit 125 interlocked with a transformer (T). In an embodiment, the winding ratio of the transformer 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n output value of each output circuit. Also, in an embodiment, the output circuits may include a diode for rectification and an RC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In an embodiment, the switching circu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switch, and may include an SMPS driver integrated circuit (IC). The SMPS driver IC may provide input power to the transformer T through switching,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output circuits, and generate an output based thereon.

스위칭 회로(110)는 입력 전압(Vi)에 대해서 스위치(Q)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트랜스(T)로 연동된 출력회로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출력 회로들 중 적어도 일부의 피드백 동작에 따라 스위치(Q)의 동작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출력 회로 중 적어도 일부의 출력 전류 및 출력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스위칭 회로(110)로 피드백하여 회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출력 회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가 문턱 값을 넘어서는 경우 회로 보호를 위한 피드백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른 피드백 동작이 스위치(Q)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switching circuit 110 ma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output circuits linked to the transformer T through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Q with respect to the input voltage Vi. In an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switch Q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feedback operation of at least some of the output circuits, and accordingly, a change in at least one of an output current and an output voltage of at least some of the output circuits is changed in the switching circuit 110 . can be fed back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Also, in the embodiment, when the current of at least one of the output circuits exceeds the threshold value, a feedback operation for circuit protection may be performed, and the feedback oper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may be performed on the switch Q.

제1출력 회로(120)의 출력 전압은 Vo1이고 제2출력 회로(125)의 출력 전압은 Vo2이다. 실시 예에서 Vo1 및 Vo2의 값은 스위칭 회로 측의 트랜스 권선 비와 각 출력 회로의 권선 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output circuit 120 is Vo1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output circuit 125 is Vo2. In an embodiment, the values of Vo1 and Vo2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ransformer winding ratio on the switching circuit side and the winding ratio of each output circuit.

제1출력 회로(120) 및 제2출력 회로(125) 중 적어도 하나의 회로에서 스위칭 회로(110)에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에 따라 스위치(Q)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circuit 120 and the second output circuit 125 may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to the switching circuit 110 , and the operation of the switch Q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eedback information .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하나의 스위칭 회로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두개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출력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스위칭 회로에 피드백 하여 회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rough this operation, two different outputs may be provided based on one switching circuit, and the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output circuits may be fed back to the switching circuit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ircuit.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또 다른 개념도이다. 2 is another conceptual diagram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2,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shown.

SMPS 드라이버 회로(210)는 주전원과 연결되어 스위칭을 통해 트랜스(220)로 전달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출력 회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The SMPS driver circuit 210 may be connected to a main power supply and control power delivered to the transformer 220 through switching. In addition, it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output circuits to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to control switching.

트랜스(22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은 1차측 코일 및 1차측 코일과 상호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2차측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1차측 코일은 SMPS 드라이버 회로(2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2차측 코일은 제1출력 회로(230) 및 제2출력 회로(240)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2차측 코일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코일 각각은 1차측 코일과 상호 작용으로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2차측 코일은 제1출력회로(230)과 연결되는 제1서브 코일 및 제2출력회로(240)과 연결되는 제2서브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서브코일과 제2서브 코일에 포함되는 서브 코일의 권선비는 각 출력회로의 출력 전압을 기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권선비를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SMPS 드라이버 회로와 연결된 복수의 출력 회로가 각기 다른 출력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transformer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coil, and the at least one coil may include a primary side coil and at least one secondary side coil interacting with the primary side coil. The primary side coil may be connected to the SMPS driver circuit 210 , and the secondary side coil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circuit 230 and the second output circuit 240 . The secondary side coil may include at least one sub-coil, and each of the at least one sub-coil may receive power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primary side coil. In an embodiment, the secondary side coil may include a first sub-coil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circuit 230 and a second sub-coil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circuit 240 . The turns ratio of the sub-coils included in the first sub-coil and the second sub-coil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f each output circuit. By adjusting the turns ratio in this way,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connected to one SMPS driver circuit may provide different output voltages.

제1출력회로(230) 및 제2출력회로(240)는 각각 트랜스(220)를 통해 SMPS 드라이버 회로(210)와 연동될 수 있으며, 각기 부하와 연결되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출력회로(230) 및 제2출력회로(240)는 각기 부하에 설정된 범위 내의 출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출력회로에 흐르는 전류 값이 높아질 경우 상대적으로 출력 전압은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출력회로(230) 및 제2출력회로(240)는 각각 출력단에 연결된 차단회로(232, 242) 및 감지회로(234, 244)와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SMPS 회로 전체와 연결된 마이컴의 일부일 수도 있으며, 별도의 차단 동작을 위한 프로세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감지회로(234, 244)는 각 출력회로(230, 240)의 출력단 과부하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과부하 감지시 차단회로(232, 242)를 동작시켜 각 출력회로(230, 240)의 출력단을 각각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 회로를 가짐으로써 과부하가 감지된 출력회로(230, 240) 각각의 출력단을 차단함으로써 과부하가 발생한 출력회로만 차단하고 다른 회로의 동작을 유지시킴으로써 하나의 SMPS 드라이버 회로(210)와 연결된 복수개의 출력단 중 과부하가 발행하지 않은 출력회로는 정상동작을 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제어부(270)는 과부하 감지 신호가 감지된 회로에 대응하는 차단 회로에 출력을 제공하여, 대응되는 출력회로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The first output circuit 230 and the second output circuit 24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SMPS driver circuit 210 through the transformer 220, respectively, and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load to supply power. Each of the first output circuit 230 and the second output circuit 240 may provide an output within a range set for the load, and whe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each output circuit increases, the output voltage may relatively decrease. Meanwhile, the first output circuit 230 and the second output circuit 240 may include blocking circuits 232 and 242 and sensing circuits 234 and 244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respectively, and a control unit 270 for controlling them. . The control unit 270 may be a part of a microcomputer connected to the entire SMPS circuit, and may include a process for a separate blocking operation. The detection circuits 234 and 244 may detect an output terminal overload of each of the output circuits 230 and 240 ,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is to the control unit 270 . The control unit may block the output terminals of each of the output circuits 230 and 240 by operating the blocking circuits 232 and 242 when the overload is detected. By having such a blocking circuit, by blocking the output terminals of each of the output circuits 230 and 240 in which the overload is detected, only the output circuit in which the overload has occurred and the operation of the other circuits are maintained, thereby plural connected to one SMPS driver circuit 210 Among the output terminals, the output circuit that is not overloaded can operate normally. Meanwhile,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70 may provide an output to a blocking circuit corresponding to the circuit in which the overload detection signal is sensed, thereby blocking the output of the corresponding output circuit.

피드백회로(250)는 제1출력회로(230)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SMPS 드라이버 회로(21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출력회로(230)의 동작에 따른 정보는 피드백 회로(250)를 통해 SMPS 드라이버 회로(2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드백회로(250)는 SMPS 드라이버 회로(210)과 각 출력 회로(230)의 전기적 연결을 제한하고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포토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커플러를 통해 제1출력회로(230)의 동작에 따라 SMPS 드라이버 회로에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여 트랜스(2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출력회로(23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일정 값 이상일 경우 회로 보호를 위해 피드백회로(250)를 통해 SMPS 드라이버 회로(210)에 피드백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피드백 정보에 따라 SMPS 드라이버 회로(210)는 회로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eedback circuit 250 may transm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output circuit 230 to the SMPS driver circuit 210 . For examp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output circuit 230 may be transmitted to the SMPS driver circuit 210 through the feedback circuit 250 . Such a feedback circuit 250 may include a photo coupler to limi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MPS driver circuit 210 and each output circuit 230 and eff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Power supplied through the transformer 220 may be controlled by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to the SMPS driver circu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output circuit 230 through the photocoupler. Also, when the current output from the first output circuit 23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feedback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MPS driver circuit 210 through the feedback circuit 250 for circuit protection, and the SMPS driver circuit according to the feedback information. 210 may perform a circuit protection operation.

연동회로(260)는 제2출력회로(240)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제1출력회로(23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출력회로(240)의 출력 전류가 설정 전류 이상인 경우가 감지되면, 연동회로(260)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제1출력회로(2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동회로(260)를 통해 정보를 전달받은 제1출력회로(230)는 피드백회로(250)를 통해 SMPS 드라이버회로(210)로 피드백 정보를 전달하여 회로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terlocking circuit 260 may transm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utput circuit 240 to the first output circuit 230 . More specificall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utput current of the second output circuit 24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current, the sens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output circuit 230 through the interlocking circuit 260 .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utput circuit 230 that has received th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locking circuit 260 may transmit the feedback information to the SMPS driver circuit 210 through the feedback circuit 250 to perform a circuit protection operation.

이와 같은 실시 예의 회로 구성에 따라 하나의 출력회로와 연결된 피드백 회로만 구비하는 경우에도 SMPS 드라이버 회로에 회로 보호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개의 출력 회로 각각에서 이상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피드백 회로를 통해 SMPS 드리이버 회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even when only a feedback circuit connected to one output circuit is provided, feedback information for initiating a circuit protection oper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MPS driver circuit, and accordingly, abnormal operatio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Even when this occurs, the operation of the SMPS driver circuit can be controlled through one feedback circuit.

한편 실시 예에서 피드백회로(250) 및 연동회로(26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eedback circuit 250 and the interlocking circuit 260 may be selectively provided.

도 3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3를 참조하면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정류회로(310), SMPS 드라이버 회로(320), 트랜스(330), 출력회로(340, 350), 제2출력회로(360, 370) 및 연동회로(380)를 포함하는 SMPS 회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3 , the rectifier circuit 310 , the SMPS driver circuit 320 , the transformer 330 , the output circuits 340 and 350 , the second output circuits 360 and 370 and the interlocking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specification ( 380) is shown.

정류회로(310)는 브릿지 다이오드(BD1)와 콘덴서(C1)를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할 수 있다. 정류회로(310)에서 정류된 전원은 트랜스(330)의 1차측 코일에 인가되고, 트랜스(330)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의 상호작용에 의해, 2차측 코일에 전압을 유기할 수 있다. 또한 SMPS 드라이버 회로(320)는 트랜스(330)의 1차측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함으로써, 트랜스(330)의 2차측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정류회로(320)의 접지부와 SMPS 드라이버 회로(320)의 접지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330)에 의해 출력회로(340, 350)에 인가된 전원은 정류 평활 회로(340)를 통해 정류 및 평활 되어, V1의 직류 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트랜스(330)과 연동된 복수개의 출력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rectifier circuit 310 includes a bridge diode BD1 and a capacitor C1, and may rectify AC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The power rectified in the rectifier circuit 310 is applied to the primary coil of the transformer 330, and the transformer 330 may induce a voltage in the secondary coil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 Also, the SMPS driver circuit 320 may control the voltage induced in the secondary coil of the transformer 330 by intermitting power appli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330 . Meanwhile, in an embodiment, the ground portion of the rectifier circuit 320 and the ground portion of the SMPS driver circuit 3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power applied to the output circuits 340 and 350 by the transformer 330 is rectified and smoothed through the rectification and smoothing circuit 340 , so that a DC voltage of V1 may be output.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330 may be provided.

SMPS 드라이버 회로(320)의 PWM IC는 증폭기, 비교기, 발진기, PWM 비교기 및 트랜지스터가 하나의 모듈로 집적화된 IC일 수 있으며, 트랜스(330)의 1차측 코일의 일단에 접속되며, 온/오프(ON/OFF) 스위칭에 의해 트랜스(330)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함으로써, 2차측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의 온,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The PWM IC of the SMPS driver circuit 320 may be an IC in which an amplifier, a comparator, an oscillator, a PWM comparator, and a transistor are integrated into one module,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imary side coil of the transformer 330, on/off ( ON/OFF) By intermitting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former 330 by switching, the ON/OFF of the voltage induced in the secondary coil can be controlled.

PWM IC의 피드백 단자(322)의 포토커플러 스위치는(323) 출력회로(340, 350)의 포토커플러 발광 다이오드(354)와 연동되어 제어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354)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포토커플러 스위치는(324)가 제어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354) 동작시 피드백단자(322)의 전류가 포토커플러 스위치는(324)를 통해 흐름으로써 C3 커패시터(326)에 충전된 전압이 낮아 질 수 있다. C3 커패시터(326)에 충전된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될 경우 PWM IC의 회로 보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토커플러 스위치(324)와 발광 다이오드(354)의 연동에 따라 출력회로(340, 350)의 출력 전류 및 전압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PWM IC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WM IC의 피드백 단자(322)는 출력 전류를 제공하며, 포토커플러 스위치(324)가 동작하는 경우, 포토커플러 스위치(324)를 통해 전류가 흘러 C3 커패시터(326)에 걸리는 전압이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제한되는 전압을 기반으로 PWM IC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출력회로의 동작에 대한 피드백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포토커플러 스위치(324)가 개방될 경우 C3 커패시터(326)에 전압이 인가되고, 피드백단자(322)의 기준 전압 이상이 될 경우 회로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hotocoupler switch of the feedback terminal 322 of the PWM IC 323 may be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the photocoupler light emitting diode 354 of the output circuits 340 and 350, and according to the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354 The photocoupler switch 324 may be controlled, and when the light emitting diode 354 is operated, the current of the feedback terminal 322 flows through the photocoupler switch 324, so that the voltage charged in the C3 capacitor 326 is low. can get When the voltage charged in the C3 capacitor 326 exceeds a certain level, a circuit protection operation of the PWM IC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of the photocoupler switch 324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354 , the operation of the PWM IC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output current and voltage of the output circuits 340 and 350 . More specifically, the feedback terminal 322 of the PWM IC provides an output current, and when the photocoupler switch 324 operates, current flows through the photocoupler switch 324 to limit the voltage applied to the C3 capacitor 326 . A feedback oper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output circuit can be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WM IC based on the limited voltage, and when the photocoupler switch 324 is opened, the voltage on the C3 capacitor 326 is is applied, and when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feedback terminal 32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oltage, a circuit protec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출력회로(340, 350)는 트랜스(330)의 1차측 코일과 각각의 2차측 코일과의 권선비에 따라 출력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피드백 동작은 출력회로(340, 350)와 SMPS 드라이버 회로(320) 사이의 연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동은 포토커플러(354, 324)에 의해 수행된다. The output circuits 340 and 350 may output an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 turns ratio between the primary side coil and each secondary side coil of the transformer 330 . The feedback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interworking between the output circuits 340 and 350 and the SMPS driver circuit 320 , and such interlocking is performed by the photocouplers 354 and 324 .

출력 제어 회로(350)는 비교 스위치 소자(352), 포토커플러 다이오드(354)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소자(352)는 저항(R3)에 걸리는 전압을 기반으로 개방 또는 단락의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서 저항(R3)에 걸리는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일 경우 단락, 그 미만일 경우 개방의 특성을 가지게 된다. 한편 실시 예에서 설정된 V1 값에 따라 저항들(R2, R3)의 저항비가 결정될 수 있으며, 해당 저항비는 스위치 소자(352)의 기준 전압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e output control circuit 350 may include a comparison switch element 352 and a photocoupler diode 354 . The switch element 352 may have an open or short-circuit characteristic based on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istor R3, and in an embodiment, a short circuit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istor R3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oltage, and an open characteristic when less than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istor R3 will have Meanwhile, according to the value of V1 set in the embodiment, the resistance ratio of the resistors R2 and R3 may be determined, and the corresponding resistance ratio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switch element 352 .

스위치 소자(352)가 단락일 경우 포토커플러 다이오드(354)와 포토커플러 스위치(324)의 연동에 따라 피드백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스위치 소자(352)가 개방일 경우, 포토커플러 다이오드(354)가 동작하지 않게 됨에 따라 포토커플러 스위치(324)가 개방되어, SMPS 드라이버 회로(320)에서 회로 보호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switch element 352 is a short circuit, a feedback oper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of the photocoupler diode 354 and the photocoupler switch 324 , and when the switch element 352 is open, the photocoupler diode 354 . is not operated, the photocoupler switch 324 is opened, so that a circuit protec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SMPS driver circuit 320 .

또한 출력회로(340, 350)의 출력단에 감지회로(360), 차단회로(370) 및 제어부(3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nsing circuit 360 , a blocking circuit 370 , and a control unit 380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s of the output circuits 340 and 350 .

한편 실시 예에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결정하는 제어 입력은 전압 값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 값에 따라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칭이 결정되는 기준 값은 스위칭 소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input for determining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element may be provided as a voltage value,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elemen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oltage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at which the switching is determined i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witching element can be

또한 PWM IC의 피드백 단자에서 회로 보호를 위한 동작이 수행되는 기준 전압 값 역시 스위칭 소자의 기준 값과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회로의 구성에 따라 같은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reference voltage value at which the operation for circuit protection is performed at the feedback terminal of the PWM IC may also be set to a value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value of the switching element, but may be set to the same value according to the circuit configuration.

또한 실시 예에서 출력 제어회로(350)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감지회로(360), 차단회로(370) 및 제어부(380)의 동작에 따라 과부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제어회로(350)의 일부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피드백 동작 중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output control circuit 350 may be omitted, and even in this case, overload control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s of the sensing circuit 360 , the blocking circuit 370 , and the control unit 380 . . On the other hand, even in this case, a part of the feedback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providing a configuration of a part of the control circuit 350 .

도 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4 ,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실시 예 전반에서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설명하기 위해 트랜스(402)와 연동된 1차단의 회로 구조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In order to describe the output circuit of the SMPS circuit throughout the embodiment, the illustration of the circuit structure of the first stage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402 is omitted.

트랜스(4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에는 복수개의 출력 회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출력회로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평활회로(404)와 연결된 감지회로(410) 및 차단회로(42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402 , and in the embodiment, one output circuit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and the sensing circuit 410 and the blocking circuit 420 connected to the smoothing circuit 404 . )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트랜스(4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는 평활 회로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된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출력단(406)은 12V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402 may provide a rectified and smoothed output through a smoothing circuit. The output terminal 406 is described based on 12V, but is not limited thereto.

출력단(406)에 감지회로(410)가 연결될 수 있다. 감지회로(410)는 출력단(406)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과부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sensing circuit 41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406 . The detection circuit 410 may perform overload detec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utput terminal 406 .

출력단(406)에 많은 전류가 흐를 경우 상대적으로 과부하 감지 신호 입력에 낮은 전압이 입력되게 되고 이와 같은 전압의 drop을 감지하여서 과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 When a large amount of current flows in the output terminal 406 , a relatively low voltage is input to the overload detection signal input, and the overload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such a drop in voltage.

과부하 감지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4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4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 회로(440)의 스위치의 open을 위한 입력을 제공하는 트리거 회로(430)는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 신호 출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트리거 회로의 동작과 관련해서 보조 전원(408)이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보조 전원(408)은 5V로 기재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조 전원은 1차단 회로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다.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440 is opened according to the overload detection,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4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The trigger circuit 430 that provides an input for opening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44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Meanwhile,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source 408 may be connect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trigger circuit, and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source 408 is described as 5V, but is not limited thereto. can

이하의 실시 예에서 감지회로(410) 및 트리거 회로(430)에 포함되는 회로의 대안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of circuits included in the sensing circuit 410 and the trigger circuit 430 in the following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예에서 감지회로(410)는 출력단(406)과 병렬로 연결된 두개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고, 두개의 저항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며, 두 저항 사이에 제어부의 과부하 감지 신호 입력포트를 연결하여서 출력단(406)의 과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circuit 410 may include two re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output terminal 406, the two resistors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the overload detection signal input port of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resistors. Thus, it is possible to detect an overload of the output terminal 406 .

또한 과부하 감지에 따라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신호 출력은 low에서 high로 변경되고, 이에 따라 트리거 회로(430)의 스위치가 close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4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4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verload detection, the output of the overload protec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is changed from low to high,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trigger circuit 430 may be close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440 is opened,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4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을 통해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저항 및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비하는 감지회로(410) 및 트리거 회로(430)를 사용하여 과부하 차단을 수행하여 회로 구성을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By performing the control operation through the circuit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st for the circuit configuration can be reduced by performing overload blocking using the sensing circuit 410 and the trigger circuit 430 having a resistor and a transistor switch.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5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5 ,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트랜스(5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에는 복수개의 출력 회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회로 중 하나의 출력회로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평활회로(504)와 연결된 감지회로(510) 및 차단회로(52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502 , and in the embodiment, one output circuit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and the sensing circuit 510 connected to the smoothing circuit 504 . )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locking circuit 520 will be described.

트랜스(5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는 평활 회로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된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출력단(506)은 12V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502 may provide a rectified and smoothed output through a smoothing circuit. The output terminal 506 is described based on 12V, but is not limited thereto.

출력단(506)에 감지회로(510)가 연결될 수 있다. 감지회로(510)는 출력단(506)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과부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A sensing circuit 51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506 . The detection circuit 510 may perform overload detec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06 .

과부하 감지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5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5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 회로(540)의 스위치의 open을 위한 입력을 제공하는 트리거 회로(530)는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 신호 출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트리거 회로의 동작과 관련해서 보조 전원(508)이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보조 전원(508)은 5V로 기재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조 전원은 1차단 회로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다.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540 is opened according to the overload detection,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5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The trigger circuit 530 that provides an input for opening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540 may operate according to an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Meanwhile,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508 may be connect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trigger circuit, and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508 is described as 5V,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uxiliary power receives power from the primary circuit. can

본 실시 예에서 감지회로(510)는 출력단(506)과 각각 병렬로 연결된 두개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두개의 회로는 직렬로 연결된 두개의 저항 회로 및 저항과 감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circuit 510 may include two circuit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 506, respectively, and the two circuits may include two resistor circuits connected in series and a resistor and a sensing switch. .

상기 직렬로 연결된 두개의 저항 사이에 감지 스위치(512)의 제어 입력이 연결되고, 출력단(506)의 과부하에 의해서 제어 입력에 감지되는 전압이 떨어질 경우 스위치는 접지와 연결됨에 따라 제어부의 과부하 감지 신호 입력 포트에 접지에 대응하는 low 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의 제공에 따라 제어부는 과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input of the detection switch 512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resistors connected in series, and when the voltage sensed at the control input falls due to the overload of the output terminal 506, the switch is connected to the ground, so the overload detec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A low input corresponding to ground may be provided to the input port.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such an input, the control unit may detect an overload.

제어부가 과부하를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신호 출력은 low에서 high로 변경되고, 이에 따라 트리거 회로(530)의 스위치가 close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5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5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As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overload, the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is changed from low to high,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trigger circuit 530 may be close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540 is opened,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5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을 통해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저항 및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비하는 감지회로(510) 및 트리거 회로(530)를 사용하여 과부하 차단을 수행하여 회로 구성을 위한 비용이 비교적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감지회로(510)가 과부하를 감지하면 제어부의 과부하 감지 신호 입력 포트에 제공되는 입력 값의 변화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과부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By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through such a circuit configuration, overload blocking is performed using the sensing circuit 510 and the trigger circuit 530 having a resistor and a transistor switch, thereby reducing the cost for the circuit configur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detection circuit 510 detects an overload, the change in the input value provided to the overload detection signal input port of the control unit increases,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overload occurs.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6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6 ,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트랜스(6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에는 복수개의 출력 회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회로 중 하나의 출력회로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평활회로(604)와 연결된 감지회로(610) 및 차단회로(62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602 , and in the embodiment, one output circuit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and the sensing circuit 610 connected to the smoothing circuit 604 . )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locking circuit 620 will be described.

트랜스(6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는 평활 회로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된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출력단(606)은 12V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602 may provide a rectified and smoothed output through a smoothing circuit. The output terminal 606 is described based on 12V, but is not limited thereto.

출력단(606)에 감지회로(610)가 연결될 수 있다. 감지회로(610)는 출력단(606)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과부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sensing circuit 61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606 . The detection circuit 610 may perform overload detec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utput terminal 606 .

과부하 감지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6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6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 회로(640)의 스위치의 open을 위한 입력을 제공하는 트리거 회로(630)는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 신호 출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트리거 회로의 동작과 관련해서 보조 전원(608)이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보조 전원(608)은 5V로 기재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조 전원은 1차단 회로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다.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640 is opened according to the overload detection,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6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The trigger circuit 630 providing an input for opening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640 may operate according to an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Meanwhile,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608 may be connect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trigger circuit, and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608 is described as 5V, but is not limited thereto. can

본 실시 예에서 감지회로(610)는 출력단(606)과 병렬로 연결된 저항 및 제너 다이오드(612)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circuit 610 may include a resistor and a Zener diode 612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output terminal 606 .

직렬로 연결된 저항 및 제너 다이오드(612) 사이에 제어부의 과부하 감지 신호 입력 포트가 연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출력단(606)의 전압이 유지될 경우, 제어부의 과부하 감지 신호 입력 포트에는 제너 다이오드(612)에 걸리는 0.6 내지 1V의 값이 입력된다. 출력단(606) 전압이 브레이크다운 전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 제너 다이오드(612)가 차단됨으로써 제어부의 과부하 감지 신호 입력 포트에 high에 대응하는 입력이 제공되게 된다. 실시 예에서 제너 다이오드(612)의 브레이크다운 전압 및 연결된 저항의 크기를 조절하여 과부하 감지를 위한 출력단(610)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의 제공에 따라 제어부는 과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 An overload detection signal input port of the controller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eries-connected resistor and the Zener diode 612 . In general, when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606 is maintained, a value of 0.6 to 1V applied to the Zener diode 612 is input to the overload detection signal input port of the controller. When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606 falls below the breakdown voltage, the Zener diode 612 is cut off so that an input corresponding to high is provided to the overload detection signal input port of the control unit. In an embodiment,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610 for overload detection may be set by adjusting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Zener diode 612 and the magnitude of the connected resistor.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such an input, the control unit may detect an overload.

제어부가 과부하를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신호 출력은 low에서 high로 변경되고, 이에 따라 트리거 회로(630)의 스위치가 close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6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6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As the control unit detects an overload, the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is changed from low to high,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trigger circuit 630 may be close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640 is opened,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6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을 통해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저항 및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비하는 감지회로(610) 및 트리거 회로(630)를 사용하여 과부하 차단을 수행하여 회로 구성을 위한 비용이 비교적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감지회로의 저항 및 제너 다이오드(612)의 특성을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과부하를 감지하고, 제어부가 과부하 감지를 할 때 노이즈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다. By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through such a circuit configuration, overload blocking is performed using the sensing circuit 610 and the trigger circuit 630 having a resistor and a transistor switch, so that the cost for the circuit configuration can be relatively reduced.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resistance of the sensing circui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Zener diode 612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verload can be effectively sensed, and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overload, it can be less affected by noise.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7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7 ,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트랜스(7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에는 복수개의 출력 회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회로 중 하나의 출력회로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평활회로(704)와 연결된 감지회로(710) 및 차단회로(72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702 . In the embodiment, one output circuit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and the sensing circuit 710 connected to the smoothing circuit 704 . )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locking circuit 720 will be described.

트랜스(7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는 평활 회로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된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출력단(706)은 12V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702 may provide a rectified and smoothed output through a smoothing circuit. The output terminal 706 is described based on 12V, but is not limited thereto.

출력단(706)에 감지회로(710)가 연결될 수 있다. 감지회로(710)는 출력단(706)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과부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sensing circuit 71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706 . The detection circuit 710 may perform overload detec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utput terminal 706 .

과부하 감지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7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7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 회로(740)의 스위치의 open을 위한 입력을 제공하는 트리거 회로(730)는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 신호 출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트리거 회로의 동작과 관련해서 보조 전원(708)이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보조 전원(708)은 5V로 기재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조 전원은 1차단 회로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다.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740 is opened according to the overload detection,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7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The trigger circuit 730 that provides an input for opening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74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708 may be connect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trigger circuit, and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708 is described as 5V, but is not limited thereto. can

본 실시 예에서 감지회로(710)는 출력단(706)과 각각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712)와 저항 회로 및 저항과 스위칭 트랜지스터(714)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circuit 710 may include a Zener diode 712 and a resistor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 706 , and a resistor and a switching transistor 714 circuit.

직렬로 연결된 저항 및 제너 다이오드(712) 사이에 스위칭 트랜지스터(714)가 연결될 수 있으며, 통상적 상황에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714)가 close 상태를 유지하고, 과부하로 인해 출력단(706)의 전압이 떨어지게 되고, 제너 다이오드(712)의 브레이크다운 전압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714)가 open 되면서 제어부의 과부하 감지 신호 입력 포트에 high에 대응하는 입력이 제공되게 된다. 실시 예에서 제너 다이오드(712)의 브레이크다운 전압 및 연결된 저항의 크기를 조절하여 과부하 감지를 위한 출력단(710)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의 제공에 따라 제어부는 과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 A switching transistor 714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eries-connected resistor and the Zener diode 712, and in a normal situation, the switching transistor 714 maintains a close state, and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706 falls due to overload, When the voltage falls below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Zener diode 712 , the switching transistor 714 is opened and an input corresponding to high is provided to the overload detection signal input port of the control unit. In an embodiment,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710 for overload detection may be set by adjusting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Zener diode 712 and the magnitude of the connected resistor.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such an input, the control unit may detect an overload.

제어부가 과부하를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신호 출력은 low에서 high로 변경되고, 이에 따라 트리거 회로(730)의 스위치가 close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7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7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As the control unit detects an overload, the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is changed from low to high,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trigger circuit 730 may be close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740 is opened,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7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을 통해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저항 및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비하는 감지회로(710) 및 트리거 회로(730)를 사용하여 과부하 차단을 수행하여 회로 구성을 위한 비용이 비교적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감지회로의 저항 및 제너 다이오드(712)의 특성을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과부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스위칭 동작을 통해 안정적으로 제어부가 과부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By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through such a circuit configuration, overload blocking is performed using the sensing circuit 710 and the trigger circuit 730 having a resistor and a transistor switch, and thus the cost for the circuit configuration can be relatively reduced.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resistance of the sensing circui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Zener diode 712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verload can be effectively detected, and the control unit can perform overload detection stably through a switching operation.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8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8 ,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트랜스(8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에는 복수개의 출력 회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회로 중 하나의 출력회로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평활회로(804)와 연결된 감지회로(810) 및 차단회로(82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802 . In the embodiment, one output circuit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and the sensing circuit 810 connected to the smoothing circuit 804 . )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locking circuit 820 will be described.

트랜스(8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는 평활 회로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된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출력단(806)은 12V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802 may provide a rectified and smoothed output through a smoothing circuit. The output terminal 806 is described based on 12V, but is not limited thereto.

출력단(806)에 감지회로(810)가 연결될 수 있다. 감지회로(810)는 출력단(806)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과부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sensing circuit 81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806 . The detection circuit 810 may perform overload detec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utput terminal 806 .

과부하 감지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8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8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 회로(840)의 스위치의 open을 위한 입력을 제공하는 트리거 회로(830)는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 신호 출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트리거 회로의 동작과 관련해서 보조 전원(808)이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보조 전원(808)은 5V로 기재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조 전원은 1차단 회로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다.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840 is opened according to the overload detection,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8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The trigger circuit 830 that provides an input for opening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840 may operate according to an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808 may be connect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trigger circuit, and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808 is described as 5V, but is not limited thereto. can

본 실시 예에서 감지회로(810)는 출력단(806)과 각각 병렬로 연결된 저항회로, 스위치(812) 회로 및 트랜지스터 스위치(814)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circuit 810 may include a resistor circuit, a switch 812 circuit, and a transistor switch 814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output terminal 806, respectively.

출력단(806)에 통상적인 출력 전압이 유지될 경우, 트랜지스터 스위치(814)가 open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과부하가 감지될 경우 스위치(812)가 close 됨에 따라 트랜지스터 스위치(814)에 high 입력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의 과부하 감지 신호 입력에 low에 대응하는 입력이 제공되게 된다. When a normal output voltage is maintained at the output terminal 806, the transistor switch 814 can remain open, and when an overload is detected, the switch 812 closes, providing a high input to the transistor switch 814 Accordingly, an input corresponding to low is provided to the overload detection signal input of the control unit.

제어부가 과부하를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신호 출력은 low에서 high로 변경되고, 이에 따라 트리거 회로(830)의 스위치가 close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8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8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As the control unit detects an overload, the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is changed from low to high,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trigger circuit 830 may be close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840 is opened,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8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을 통해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저항 및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구비하는 감지회로(810) 및 트리거 회로(830)를 사용하여 과부하 차단을 수행하여 회로 구성을 위한 비용이 비교적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트랜지스터 스위치(814)가 노이즈에 따라 오동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By performing the control operation through the circuit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overload blocking is performed using the sensing circuit 810 and the trigger circuit 830 having a resistor and a transistor switch, thereby reducing the cost for the circuit configur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malfunction of the transistor switch 814 due to noise.

도 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9 ,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트랜스(9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에는 복수개의 출력 회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회로 중 하나의 출력회로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평활회로(904)와 연결된 감지회로(910) 및 차단회로(92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902 , and in the embodiment, one output circuit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and the sensing circuit 910 connected to the smoothing circuit 904 . )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locking circuit 920 will be described.

트랜스(9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는 평활 회로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된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출력단(906)은 12V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902 may provide a rectified and smoothed output through a smoothing circuit. The output terminal 906 is described based on 12V, but is not limited thereto.

출력단(906)에 감지회로(910)가 연결될 수 있다. 감지회로(910)는 출력단(906)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과부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A sensing circuit 91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906 . The detection circuit 910 may perform overload detec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utput terminal 906 .

과부하 감지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9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9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 회로(940)의 스위치의 open을 위한 입력을 제공하는 트리거 회로(930)는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 신호 출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트리거 회로의 동작과 관련해서 보조 전원(908)이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보조 전원(908)은 5V로 기재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조 전원은 1차단 회로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다.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940 is opened according to the overload detection,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9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The trigger circuit 930 that provides an input for opening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94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Meanwhile,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908 may be connect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trigger circuit, and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908 is described as 5V, but is not limited thereto. can

본 실시 예에서 도 4에서 설명한 감지회로와 대응되는 감지 회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어부가 과부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sensing circuit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circu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may be provided, through which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overload detection.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가 과부하를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신호 출력은 high에서 low로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과부하 보호신호 출력이 low로 변경됨에 따라 트리거 회로(930)의 제1스위치(922)가 open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스위치(922)가 close 될 수 있다. 이후 제어 스위치 회로(9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9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may be set to change from high to low as the control unit detects an overload, and as the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is changed to low, the first switch ( 922 may be opened, and thus the second switch 922 may be closed. Thereafter,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940 is opened,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9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을 통해 과부하 차단을 위한 회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rough such a circuit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ircuit for blocking overload.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출력회로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10 , an output circuit of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트랜스(10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에는 복수개의 출력 회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회로 중 하나의 출력회로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평활회로(1004)와 연결된 감지회로(1010) 및 차단회로(102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A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1002 . In the embodiment, one output circuit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circuits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and the sensing circuit 1010 connected to the smoothing circuit 1004 . )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locking circuit 1020 will be described.

트랜스(1002)와 연동된 2차단 회로는 평활 회로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된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출력단(1006)은 12V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terlocked with the transformer 1002 may provide a rectified and smoothed output through a smoothing circuit. The output terminal 1006 is described based on 12V, but is not limited thereto.

출력단(1006)에 감지회로(1010)가 연결될 수 있다. 감지회로(1010)는 출력단(1006)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과부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sensing circuit 101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006 . The detection circuit 1010 may perform overload detec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utput terminal 1006 .

과부하 감지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10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10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 제어 스위치 회로(1040)의 스위치의 open을 위한 입력을 제공하는 트리거 회로(1030)는 제어부의 과부하 보호 신호 출력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트리거 회로 및 감지회로의 동작과 관련해서 하나 이상의 보조 전원(1008)이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보조 전원(1008)은 5V로 기재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조 전원은 1차단 회로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다.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1040 is opened according to the overload detection,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10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The trigger circuit 1030 that provides an input for opening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1040 may operate according to an overload protection signal output of the control unit.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ne or more auxiliary power sources 1008 may be connect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trigger circuit and the sensing circuit, and in the embodiment, the auxiliary power source 1008 is described as 5V,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uxiliary power is a first-block circuit You can get power supply from

본 실시 예에서 감지회로(1010)는 출력단(1006)과 병렬로 저항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항회로의 두개의 저항 사이에 비교기(1012)가 연결되어 출력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로 떨어지게 될 경우 제어부의 과부하 감지 신호 입력에 high 입력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는 과부하를 감지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circuit 1010 may include a resistor circuit in parallel with the output terminal 1006, and the comparator 1012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resistors of the resistor circuit so that the output voltage falls below the reference voltage. A high input is provided to the overload detection signal input of the control unit, an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overload.

high로 변경되고, 이에 따라 트리거 회로(1030)의 스위치가 close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스위치 회로(1040)의 스위치가 open 되고, 이에 따라 전력 스위치 회로(1050)의 스위치가 open 되면서 출력 전원이 차단될 수 있다.is changed to high,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trigger circuit 1030 may be close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control switch circuit 1040 is opened, and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power switch circuit 1050 is opened and the output power may be cut off.

이와 같은 회로 구성을 통해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과부하를 감지할 수 있으며, 비교기 관련 회로 소자들을 설정함에 따라 과부하 감지를 위한 전압 값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By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through such a circuit configuration, overload can be detected more precisely, and a voltage value for overload detection can be effectively adjusted by setting comparator-related circuit elements.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SMPS 회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SMPS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1를 참조하면, SMPS 회로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11 , a control method of an SMPS circuit is illustrated.

단계 1105에서 SMPS 회로가 동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MPS회로는 1차단회로와 적어도 하나의 2차단 회로가 트랜스를 통해 연동될 수 있으며, 2차단 회로 중 적어도 일부는 과부하 감지를 수행하기 위한 감지회로 및 과부하 발생에 따른 출력단 차단을 수행하기 위한 차단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In step 1105, the SMPS circuit may operate. 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n the SMPS circuit, the first breaking circuit and at least one second breaking circuit may be interlocked through a transform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breaking circuit is a detection circuit for performing overload detection and an output stage blocking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overload A blocking circuit is provided to perform the

단계 1110에서 제어부는 감지회로에 이상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감지 회로에 이상신호는 과부하 발생에 따른 감지 신호에 기 설정된 출력 값일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의 특정 입력 포트로 제공되어 과부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되지 않은 경우 계속적으로 과부하 감지를 수행하면서 SMPS 회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1110,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circuit. The abnormal signal in the detection circuit may be an output value preset in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overload, which may be provided to a specific input port of the control unit to detect whether overload occurs. If not detected, the SMPS circuit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ile continuously performing overload detection.

과부하가 감지되는 경우, 단계 1115에서 제어부는 회로 보호를 위한 신호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로 보호를 위한 신호는 차단 회로의 동작과 관련해서 high 값이나 low 값 중 기 설정된 값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회로 구성에 따라 특정 전압 또는 전류 값을 출력할 수도 있다. When an overload is detected, the controller may provide a signal output for circuit protection in step 1115 . A signal for circuit protection may be output as a preset value among a high value or a low value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circuit, and a specific voltage or current value may be output according to the circuit configuration.

단계 1120에서 회로 보호 신호 출력에 따라 차단 회로가 동작하게 되고, 과부하가 감지된 2차단 회로의 출력이 차단될 수 있다. In step 1120, the blocking circuit operates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circuit protection signal,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blocking circuit in which the overload is detected may be blocked.

한편 실시 예 전반에서 high, low 값에 대응하는 전위 값은 각각 다른 값일 수 있으며, 회로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high 및 low 각각에 대응하는 기준 값은 실시 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회로의 소자와 회로의 동작에 따라 상대적으로 high 및 low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otential values corresponding to the high and low values may be different values, and may vary according to circuit settings. Therefore, the reference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of high and low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which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relatively high and low values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the circuit and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이와 같이 복수개의 2차단 출력 각각의 과부하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과부하가 감지된 2차단 회로의 출력단을 차단함으로써 효과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erform effective control by monitoring the overloa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blocking outputs and blocking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blocking circuit in which the overload is detect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10 : 스위칭 회로
120 : 제1출력회로
130 : 제2출력회로
110: switching circuit
120: first output circuit
130: second output circuit

Claims (10)

전원 장치에 있어서,
스위칭을 수행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IC)를 포함하는 입력 회로;
상기 입력 회로와 일차측 코일이 연결되고, 상기 일차측 코일과 연동되는 이차측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
상기 이차측 코일과 연결되며, 출력단에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출력 회로; 및
상기 출력 회로의 출력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회로는
상기 출력 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감지회로, 상기 출력단과 상기 이차측 코일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력 차단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전력 차단 스위치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회로로부터 과부하 감지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포트 및 상기 과부하 감지를 위한 신호를 기반으로 과부하가 감지되면, 상기 전력 차단 스위치를 open하기 위한 과부하 보호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포트는 상기 제어 회로와 연결되는 전원 장치.
A power supply device comprising:
an input circuit including a driver integrated circuit (IC) that performs switching;
a transformer connected to the input circuit and a primary side coil and including a secondary side coil interlocked with the primary side coil;
an output circuit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coil and outputting DC power to an output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cutoff of the output circuit,
The output circuit is
A sensing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 a power cut-off switch circuit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ary coil, and a control circu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wer cut-off switch circuit,
the control unit
An input port for receiving a signal for overload detection from the detection circuit and an output port for outputting a signal for overload protection for opening the power cut-off switch when an overload is detected based on the signal for overload detection ,
The output port is a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직류 전원과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 포트와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트리거 회로; 및
상기 직류 전원과 베이스가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전력 차단 스위치 회로와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어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circuit is
a trigger circui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DC power source and a first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utput port and a base; and
and a control switch circuit connected to the DC power source and the base and including a second transisto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power cutoff switch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는 제1저항 및 상기 제1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는 상기 제1저항 및 상기 제2저항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포트의 전위가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과부하 보호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circuit includes a first resistor and a second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resistor,
The input port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resistor and the second resistor,
the control unit
Pow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the signal for the overload protection when the potential of the input port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는
제3저항 및 상기 제3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4저항을 포함하는 제1서브 감지 회로;
상기 제1서브 감지회로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5저항 및 상기 제5저항과 직렬로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와 연결되는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2서브 감지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저항 및 상기 제4저항 사이에 상기 감지 스위치의 제어 입력이 연결되고,
상기 감지 스위치는 상기 제어 입력의 전위가 제1기준 값 이하일 경우, close 되고,
상기 입력 포트는 상기 제5저항 및 상기 감지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포트의 전위가 제2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과부하 보호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circuit is
a first sub sensing circuit including a third resistor and a fourth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hird resistor;
a second sub-sensing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b-sensing circuit and including a fifth resistor and a sensing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fth resis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round;
A control input of the sensing switch is connected between the third resistor and the fourth resistor,
The sensing switch is closed when the potential of the control inpu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input port is connected between the fifth resistor and the sensing switch,
the control unit
When the potential of the input port is less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value, the pow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signal for the overload prot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는 제6저항 및 상기 제6저항과 직렬로 역방향 전압이 걸리도록 연결되는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는 상기 제6저항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포트의 전위가 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과부하 보호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circuit includes a sixth resistor and a Zener diode connected to a reverse voltage in series with the sixth resistor,
The input port is connected between the sixth resistor and the Zener diode,
the control unit
Pow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the signal for the overload protection when the potential of the input port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는
역방향 전압이 걸리도록 연결되는 제너 다이오드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7저항을 포함하는 제3서브 감지 회로;
상기 제3서브 감지회로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8저항 및 상기 제8저항과 직렬로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접지와 연결되며, 베이스가 상기 제너다이오드와 상기 제7저항 사이에 연결되는 제3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4서브 감지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는 상기 제8저항 및 상기 제3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포트의 전위가 제3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과부하 보호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circuit is
a third sub sensing circuit including a Zener diode connected to apply a reverse voltage and a seventh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Zener diode;
a third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third sub sensing circuit, one end connected in series with an eighth resistor and the eighth resistor,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base connected between the Zener diode and the seventh resistor A fourth sub-sensing circuit including a transistor;
The input port is connected between the eighth resistor and the third transistor,
the control unit
When the potential of the input por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ird reference value, the pow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a signal for the overload prot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는
상기 출력단과 연결되는 제9저항을 포함하는 제5서브 감지회로;
제5서브 감지회로와 병렬로 연결되며, 감지 스위치 및 상기 감지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10저항을 포함하는 제6서브 감지회로; 및
제6서브 감지회로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11저항 및 상기 제11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며, 베이스가 상기 감지스위치와 상기 제10저항 사이에 연결되는 제4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7서브 감지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9저항과 상기 감지 스위치의 제어 입력이 연결되고,
상기 입력 포트는 상기 제11저항 및 상기 제4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포트의 전위가 제4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과부하 보호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circuit is
a fifth sub sensing circuit including a ninth resisto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a sixth sub sensing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ifth sub sensing circuit, the sixth sub sensing circuit including a sensing switch and a tenth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nsing switch; and
A seventh sub sensing circuit including a fourth tran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ixth sub sensing circuit, connected in series with an eleventh resistor and the eleventh resistor, and having a base connected between the sensing switch and the tenth resistor including;
The ninth resistor and the control input of the sensing switch are connected,
The input port is connected between the eleventh resistor and the fourth transistor,
the control unit
When the potential of the input port is less than or equal to a fourth reference value, the pow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the signal for the overload prot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제1직류 전원과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출력 포트와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5트랜지스터 및 제2직류 전원과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직류 전원과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6트렌지스터를 포함하는 트리거 회로; 및
상기 제2직류 전원과 베이스가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전력 차단 스위치 회로와 연결되는 제7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어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circuit is
A trigger circuit including a fifth tran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first DC power supply, a fifth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utput port and a base, and a sixth transistor connected to a second DC power source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DC power source and a base ; and
and a control switch circuit including a seventh transistor connected to the second DC power source and a base,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cutoff switch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는 제1저항, 상기 제1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저항 및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제2저항 사이에 일측 입력이 연결되고 출력이 상기 입력포트와 연결되는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포트의 전위가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과부하 보호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circuit includes a first resistor, a second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resistor, and a comparator with one input connected between the first resistor and the second resistor and an output connected with the input port,
the control unit
Pow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the signal for the overload protection when the potential of the input por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입력 회로, 상기 입력 회로와 일차측 코일이 연결되고, 상기 일차측 코일과 연동되는 이차측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 상기 이차측 코일과 연결되며, 출력단에 직류 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 단에 병렬로 연결되는 감지회로, 상기 출력단과 상기 이차측 코일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력 차단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전력 차단 스위치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로부터 과부하 감지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차단 스위치를 open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의 제어 방법.
an input circuit, a transformer to which the input circuit and the primary side coil are connected, and a transformer including a secondary side coil interlocked with the primary side coil,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coil, outputs a DC power to an output terminal, and is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 A power source comprising an output circuit having a sensing circuit connected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comprising:
receiving a signal for overload detection from the detection circuit; and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the power cut-off switch in response to the signal reception.
KR1020210024713A 2021-02-24 2021-02-24 Pow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209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713A KR20220120925A (en) 2021-02-24 2021-02-24 Pow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713A KR20220120925A (en) 2021-02-24 2021-02-24 Pow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925A true KR20220120925A (en) 2022-08-31

Family

ID=8306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713A KR20220120925A (en) 2021-02-24 2021-02-24 Pow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092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7574B2 (en) Power source controll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insulated direct-current power source device
US8084893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controlling switching power supply
US10199942B2 (en) Controller and power supply
US9124184B2 (en) DC/DC converter
US11496055B2 (en) Power converter, switch control circuit and short circuit detection method for current sensing resistor of the power converter
US20060209581A1 (en) Terminal for multiple functions in a power supply
JP6048462B2 (en) Protection circuit
US8693216B2 (en) Switch control device,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switch control method
US8358517B2 (en) Switching power conversion circuit and power supply using same
US7440295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active load detection function,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US7394675B2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ing method
WO2016007284A1 (en) Multi-function terminal
US20160226384A1 (en) Switching power supply
KR100291447B1 (en) Overload Protection of Switching Mode Power Supplies
JPH11149320A (en) Protection means for power circuit
KR20220120925A (en) Pow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958533B (en) Current sensing resistor short circuit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isolated power supply
KR101365278B1 (en) Universal input device for a tap changer
KR102085770B1 (en) breaker
US11563371B2 (en) Switching control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JP4360152B2 (en) Switching power supply
KR20220104593A (en) Pow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07069B2 (en) Power circuit
JP3763273B2 (en) Switching power supply
JPH0130845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