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144A -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144A
KR20220120144A KR1020210023875A KR20210023875A KR20220120144A KR 20220120144 A KR20220120144 A KR 20220120144A KR 1020210023875 A KR1020210023875 A KR 1020210023875A KR 20210023875 A KR20210023875 A KR 20210023875A KR 20220120144 A KR20220120144 A KR 20220120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processor
blockchain network
blockchain
distribute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10023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144A/ko
Publication of KR2022012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14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자산 거래를 위한 복수의 트랜잭션들을 처리하는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모리에 블록체인이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및 분산 저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자산 거래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계좌에 의하여 암호화 서명된 입금 트랜잭션 또는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상기 입금 요청 트랜잭션 또는 상기 출금확인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계좌에 의하여 암호화 서명되고, 상기 복수의 트랜잭션들 중 상기 입금 트랜잭션 및 상기 출금 확인 트랜잭션이 아닌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자산 거래 서비스를 통하여 수신하거나, 생성하고, 상기 수신되거나 생성된 거래 트랜잭션을 처리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분산 저장소는, 상기 수신되거나 생성된 거래 트랜잭션을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Technology to provide asset trading services based on blockchain}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거래 시스템(trading system)은 중앙화된 거래 시스템(centralized trading system)이다.
거래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거래들은 중앙 서버에 의하여 처리되고, 처리된 거래 내역들은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거래 시스템의 운영자만이 거래 내역에 대한 읽기, 쓰기 등의 억세스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이
에 따라 거래 내역이 사용자에게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고, 거래 내역에 대한 조작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즉,
중앙화된 거래 시스템은 거래 내역에 대한 투명성(transparency) 및 불변성(immutability)을 보장하지 않는다.
거래 내역의 불변성 및 투명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거래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컨트랙트 기술을 제공하는 블록체인(예: 이더리움)을 통하여 분산화된 거래 시스템(decentralized
trading system)이 구현될 수 있다. 모든 거래 내역은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블록체인은 블록체인에 기록
된 데이터에 대한 불변성 및 투명성을 보증할 수 있다. 누구나 모든 거래 내역을 감시할 수 있고(auditable),
거래 내역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해진다.
거래 내역에 대한 투명성 및 불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거래 서비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블록체인의 종류에 따라 거래가 수행될 때 많은 트랜잭션 수수료(transaction fee)가 부과될 수
있다.
트랜잭션 수수료를 부과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주문(예: 구매 주문(buy order), 판
매 주문(sell order))을 생성하는 트랜잭션, 주문을 취소하는 트랜잭션과 같이 거래가 아직 성사되기 전에 발생
하는 트랜잭션들에도 트랜잭션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처
리된다면, 거래 서비스의 제공자 또는 사용자는 과도한 트랜잭션 수수료를 부담해야 할 수 있다.
트랜잭션 수수료는 그 블록체인의 네이티브 통화(native currency)로 지불 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거래 시스템
을 이용하기 위하여 네이티브 통화를 직접 구매하고, 구매한 네이티브 통화를 통하여 트랜잭션 수수료를 지불해
야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줄 수 있다.
트랜잭션 처리 속도는 블록체인의 블록 생성 주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반적인 블록체인에서의 블록 생성
시간(예: 이더리움: 14초, 비트코인: 10분)은 중앙 서버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중앙화 거래소에 비해 매우 길
다. 이처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느린 경우, 그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시스템은 상용화되
기 어렵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거래 내역의 불변성 및 투명성을 제공하면서도,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자산 거래를 위한 복수의 트랜잭션들을 처리하는 자산 거래 서
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은 복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 및 적
어도 하나의 제1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모리에 블록체인이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서버, 및 분산 저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자산 거래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계좌에 의하여 암호화 서명된 입금 트랜잭션 또는 출금 확인 트랜잭션
을 수신하고, 상기 입금 요청 트랜잭션 또는 상기 출금확인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계좌에 의하여 암호화 서명되고, 상기 복수의 트랜잭션들
중 상기 입금 트랜잭션 및 상기 출금 확인 트랜잭션이 아닌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자산 거래 서비스를 통하여
수신하거나, 생성하고, 상기 수신되거나 생성된 거래 트랜잭션을 처리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분산 저장소는 상
기 수신되거나 생성된 거래 트랜잭션을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른 거래 시스템은 일부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밖에서 처리함으로써, 트랜잭션
수수료를 줄이고 트랜잭션의 처리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동시에 거래 시스템은 블록체인 밖에서 처리되는
트랜잭션의 데이터에 대하여 불변성 및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른 거래 시스템은 그 자체의 통화 토큰을 발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
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화, 달러 등의 각 나라의 화폐로서 통화 토큰을 구매하고 거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네이티브 통화를 구매할 필요가 없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소 서버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시스템이 설명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 시스템(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100), 거래 서버(200), 분산 저장소(distributed storage)(300)를 포함할 수 있다.
거래 시스템(10)은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7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예: PC, 스마트폰 등의 전자 장치)의 디앱(70)을 실행하고 자
산 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자산 거래 서비스란, 부동산, 미술 작품과 같은 자산에 대한 교환 거래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참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시스템(10)은 자산을 토큰화하고, 그 토큰을 발행하고 관리함으로써 자산에 대한 교환 거래 서
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거래 시스템(10)에 의하여 제공되는 거래 서비스는 서로 다른 종류의 토큰 간의 교환 거래
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하여 발행되는 서로 다른 토큰 간의 교환 거래
서비스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 시스템(10)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거래 시스템(10)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자산 외의 다른 재화에
대한 교환 서비스에도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시스템(10)은 서로 다른 암호화 통화 자체 사
이의 상호 교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토큰간의 교환 거래는 서로 다른 암호화 통화간의 교
환 거래에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거래 시스템(10)은 채권, 증권, 특허권, 상표권 등의 채권
적 권리를 토큰화하고, 그 토큰을 발행하고 관리함으로써 상기 권리들에 대한 교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
다.
일 실시 예에서, 거래 시스템(10)은 자산에 대응되는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부동산, 미술 작품과 같은 자산은
토큰화 되어 거래 시스템(10)에 의하여 거래될 수 있다. 이하, 토큰화된 자산은 자산 지분 토큰(asset share
token)으로 참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팔고자 하는 자산을 등록하고, 상기 자산에 대응되는 자산 지
분 토큰들을 받을 수 있다.
거래 시스템(10)은 거래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통화에 대응되는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토큰은 통화
토큰(currency token)으로 참조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거래 시스템(10)에 원화를 입금하고, 입금된 원화 양에 대
응되는 통화 토큰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 토큰을 이용하여 자산 지분 토큰을 구매할 수 있다.
거래 시스템(10)은 자산 교환 거래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통화 토큰을 이용하여 자산 지분 토
큰을 구매함으로써, 자산 지분 토큰에 대응되는 자산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산 지분
토큰을 이용하여 통화 토큰을 구매함으로써, 소유한 자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판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래 시스템(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계좌 자체를 거래 시스템(10)의 사용자 계좌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거래 시스템(10)의 사용자 계좌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거래서 서버(200)의 간섭
(intervention) 없이 독립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기존의 중앙화된 거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가입하고 로그
인 (sign-up/ sign-in)하고, 중앙화된 데이터베이스에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계좌를 포함
한 관련 정보는 중앙화된 서버에 의하여 제어 및 관리되게 된다. 그러나 분산화된 거래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계
좌는 사용자에 의하여 완전히 제어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시스템(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거래 서비스가 구현
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컨트랙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는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고, 구현된 스마트컨트랙트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배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시스템(10)은 공유 자산을 생성하는 자산 지분 스마트컨트랙트(1), 통화 토큰을 관리하는 통화
토큰 스마트컨트랙트(2), 및 자산 거래를 위한 거래소 스마트컨트랙트(3)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시스템(10)이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현된 경우, 스마트컨트랙트는 ERC 20 토큰 및 ERC 223 토큰에 호
환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자산 지분 스마트컨트랙트(1)는 자산 지분 스마트컨트랙트(1)의 자산 지분 토큰 계정의 잔액 장부, 자산 지분토큰의 이동(예: 자산 지분 토큰 입금 및 거래소 스마트컨트랙트(3)로의 출금), 초기의 자산 지분 토큰 발행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 토큰 스마트컨트랙트(2)는 통화 토큰 스마트컨트랙트(2)의 통화 토큰 계정의 잔액 장부, 통화 토큰의 이동
(예: 통화 토큰의 입금 및 거래소 스마트컨트랙트(3)로의 출금), 통화 토큰의 발행 및 교환(redeeming)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통화 토큰 스마트컨트랙트(2)에 의하여 발행되는 통화 토큰은 거래 시스템(10)이 운영되는
나라의 화폐에 대응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발행되는 원화에 대응되는 dKRW 토큰은 한국에
서 운영되는 은행의 은행 계좌의 잔고에 비례하여 발행될 수 있다. 별도의 서버(예: 도 1d의 dKRW 서버)는 은행
과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사이에서 중개 동작, 예를 들면 은행으로부터 원화 입금 여부 확인, 은행 계좌의 잔
고 확인, 통화 토튼 스마트컨트랙트(2)로의 입금 트랜잭션 전달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거래소 스마트컨트랙트(3)는 거래를 위하여 자산 지분 스마트컨트랙트(1)로부터 자산 지분 토큰을 이전
(transfer) 받을 수 있고, 통화 토큰 스마트컨트랙트(2)로부터 통화 토큰을 이전(transfer) 받을 수 있다. 또한
거래소 스마트컨트랙트(3)는 자산 지분 토큰 및 통화 토큰의 출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자산 거래 서비스의 사용자는 자산 지분 토큰 또는 통화 토큰을 입금(deposit)하고, 입금
된 토큰의 한도 내에서 자산 교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자산 지분 토큰과 통화 토큰은 거래소 스마트컨트랙
트(3)로 입금될 수 있고, 입금 내역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기록된다. 거래소 스마트컨트랙트(3)에 대한
입금 내역은 거래소 서버(2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소 스마트컨트랙트(3)는 입금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체인(55)에 기록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기록된 로그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이로서, 거래소 스마트컨트랙트(3) 상의 토큰의 잔액과 거래소 서버(200) 상의 거래소 계좌 사이의 동기
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거래소 계좌에 입금된 토큰들의 잔고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거래 관
련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출금 요청이 발생되면, 출금 요청이 발생된 양의 토큰을 거래소
계좌에서 출금할 수 있다. 출금 과정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도 2를 통화여 후술된다.
거래 시스템(10)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거래들은 거래 당사자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계정(예: 이더리움
계정)의 개인 키(private key)에 의하여 암호화 서명될 수 있다(cryptographically signed). 암호화 서명을 통
해,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계좌의 소유자에 의하여 발생된 거래들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
인 네트워크(100)의 계정은 이미 공개된 암호화 알고리즘(예: secp256k 타원 곡선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하여
생성된 공개키 및 일반 키로 참조될 수 있다. 이하, 특정 계좌에 의하여 서명된 트랜잭션들은 상기 특정 계좌에
맵핑된 트랜잭션들로 참조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거래를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의 개인 키에 의하여 암호되고 상기 요청된 거래에 대응되는 트랜
잭션이 발생될 수 있다. 거래 시스템(10)은 상기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래 시스템(10)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들의 일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블록체
인 상(on blockchain)에서 처리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거래소 서버(200)를 통하여 블록체인 밖(off block
chain)에서 처리될 수 있다. 모든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상에서 처리되면 과도한 트랜잭션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고, 처리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거래 시스템(10)은 일부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밖에서 처리함으로써 수수료를 감소시키고, 빠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컴퓨팅 장치들(50)(피
어 또는 노드)을 포함하는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로 참조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컴퓨팅 장치들(50)은 하나
의 공공 원장(public ledger)을 가질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는 하나의 공공 원장(public ledger)이
복수 개의 컴퓨팅 장치들(50) 각각에 의하여 생성되는 점에서 분산 네트워크로 참조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공
공 원장은 블록체인(55)으로 참조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는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블록체인(55)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는 자산 지분 스마트컨트랙트(1), 통화 토큰 스마트컨트랙
트(2), 및 교환(exchange) 스마트컨트랙트(3)에서 정의된 트랜잭션들을 처리하고 블록체인(55)에 기록할 수 있
다.
도 1d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소 서버(2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통신 인터페이스
(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거래소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
0)는 트랜잭션 처리 모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명령어들
을 실행하여 트랜잭션 처리 모듈(215)을 구동시킬 수 있다. 트랜잭션 처리 모듈(215)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하
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및 분산 저장소(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의 프로세서(210)
는 발생된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상기 트랜잭션 또는 상기 트랜잭션의 처리 결과를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
하여 분산 저장소(300)로 송신할 수 있다. 분산 저장소(300)는 수신한 트랜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의하여 처리된 트랜잭션은 블록체인(55)에 저장될 수 있고, 거래
소 서버(200)에 의하여 처리된 트랜잭션은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또는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된 트랜잭션들은 불변성과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분산 저장소(300)는 저장된 데이터들에 대한 불변성 및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분산 저장소(300)는 예를 들
어,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으로 참조될 수 있다. IPFS에 게재된(published) 데이터에 대한 불변성
은 merkle directed acyclic graph (DAG) 구조에 의하여 보장될 수 있다. 누구나 저장된 데이터들의 주소 값
(예: 해시 주소 값)을 통하여 상기 저장된 데이터들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된
모든 거래 내역을 확인하고 감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거래 시스템(10)은 분산 저장소(300)에 모든 거래 내역을 저장함으로써, 거래소 서버(200)에 의하여 처리되는
트랜잭션들에 대하여도 투명성과 불변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거래 트랜잭션의 시퀀스의 일 예시와, 출금 요청 발생에
따라 수행되는 정산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시스템(10)은 다양한 트랜잭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잭션들은 구매 주
문(buy order), 판매 주문(sell order), 교환 구매(trade buy), 교환 판매(trade sell), 구매 주문 취소
(cancel buy order), 판매 주문 취소(cancel sell order), 입금(deposit), 출금 요청(withdrawal request), 출
금 요청 취소(cancel withdrawal request), 출금 확인(withdrawal confirm)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된
트랜잭션들은 예시적이며, 상기 트랜잭션들의 일부는 통합되어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트랜잭
션이 여러 트랜잭션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모든 트랜잭션들은 순차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순차적으로 발생된 모든 트랜잭션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또는 거래소 서버(200)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고, 블록체인(55) 및/또는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의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자산 지분 토큰 입금 트랜잭션, 사용자 B의 통화 토큰의 입금 트
랜잭션, 사용자 B의 구매 주문 트랜잭션, 사용자 A의 판매 주문 트랜잭션, 사용자 A와 사용자 B의 교환 트랜잭
션, 사용자 C의 취소 요청 트랜잭션, 사용자 A의 출금 요청 트랜잭션, 사용자 A의 출금 확인 트랜잭션이 순차적
으로 발생되었다. 거래 시스템(10)은 상기 트랜잭션들을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구매 주문 및 판매 주문 트랜잭션
일 실시 예에서, 구매 주문 및 판매 주문은 사용자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암호화 서명된 구매 주문 트랜
잭션 및 판매 주문 트랜잭션은 거래소 서버(200)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고, 분산 저장소(300)에 게재될 수 있다
(published).
거래 트랜잭션
일 실시 예에서, 거래소 서버(200)는 사용자들의 구매 주문 및 판매 주문을 수집하고 매칭할 수 있다. 매칭된
구매 주문 및 판매 주문은 유효한 거래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거래 트랜잭션에 암
호화 서명하고, 분산 저장소(3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1)에서, 거래소 서버(200)는 사용자 A의 판매 주문 트랜잭션과 사용자 B의 구매 주문 트랜잭
션을 매칭하여 자산 지분 토큰과 통화 토큰을 이동하도록 하는 거래(Trade)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거래
소 서버(200)는 거래 트랜잭션 데이터를 거래소 서버(200)의 개인 키로 암호화 서명하여 분산 저장소(300)에 거
래 트랜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거래는 블록체인 밖에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A와 사용자 B 모두 블록
체인 트랜잭션 수수료를 부담할 필요가 없다.
구매 주문 취소 및 판매 주문 취소 트랜잭션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구매 주문 취소 및 판매 주문 취소를 통하여 오픈된 구매 주문 및 판매 주문을 취소
할 수 있다. 암호화 서명된 구매 주문 취소 트랜잭션 또는 판매 주문 취소 트랜잭션은 거래소 서버(200)에 의하
여 처리되고, 분산 저장소(300)에 게재될 수 있다.
입금 트랜잭션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통화 토큰 또는 자산 지분 토큰을 자산 거래를 위하여 입금할 수 있다. 예
를 들어, 사용자가 디앱(70)을 통하여 통화 토큰 또는 자산 지분 토큰의 입금을 요청하면, 거래 시스템(10)은
입금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산 지분 스마트컨트랙트(1)를 통하여 발행된 자산 지분 토큰을 거래소 스마트컨트랙트
(3)로 입금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통화 토큰 스마트컨트랙트(2)를 통하여 발행된 통화 토큰을 거래소 스마
트컨트랙트(3)로 입금할 수 있다. 토큰이 이전될 때마다, 거래소 스마트컨트랙트(3)는 입금 이벤트 로그를 생성
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모든 입금 트랜잭션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입금 트랜잭션은 스마트컨트랙트
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입금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수행되고, 블록체인(55)
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트랜잭션 수수료가 발생된다. 입금 트랜잭션과 관련된 내용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거래소 서버(200)는 트랜잭션 수수료를 위한 네이티브 통화를 보유할 수 있다. 거래소 서
버(200)는 보유한 네이티브 통화로 트랜잭션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사용자가 가진 통화
토큰으로부터 지불한 수수료를 보상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네이티브 통화를 소유하
지 않더라도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를 통해 이루어지는 입금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다.
출금 요청 트랜잭션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거래소 계좌의 통화 토큰 또는 자산 지분 토큰에 대한 출금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앱(70)을 통하여 통화 토큰 또는 자산 지분 토큰의 출금을 요청하면, 거래 시스템(100)은 출
금 요청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출금 요청이 수신되면, 거래소 계좌는 잠길 수 있다
(locked).
예를 들어, 사용자는 거래소 스마트컨트랙트(3)상의 토큰들에 대하여 출금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 토
큰의 양, 또는 자산 지분 토큰의 양, 그리고 출금을 위하여 필요한 트랜잭션 수수료를 명시하고, 출금을 요청할
수 있다.
출금 요청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계좌 잔고 정산 절차(account balance settlement procedure)가 실행될 수 있
다. 출금 요청 트랜잭션은 암호화 서명되고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의 (1)을 참조하면 사용자
A의 출금 요청 트랜잭션이 발생되었을 때, 사용자 A와 거래소 서버(200)사이의 계좌 잔액 정산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출금 확인 트랜잭션
계좌 잔고 정산 절차는 사용자의 거래소 계좌의 현재 토큰 잔고에 대한 동의와 확인을 위하여 거래소 서버(20
0)와 사용자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정산을 수행하고, 정산 결과 계산된 현재 잔액에 대
하여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금 확인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래소 서버(200)는 정산 절차를 수행하고 정산 데이터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정산
데이터 파일은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분산 저장소(300) 상의 정산 데이터 파
일의 주소 값을 블록체인(55)에 기록할 수 있다.
도 2의 (2)를 참조하면, 출금 요청 트랜잭션(25)이 발생하면, 거래소 서버(200)는 정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금 요청 트랜잭션(25)에 따라 생성되는 정산 데이터 파일(33)은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 저장소(300)의 정산 데이터 파일(31)은 출금 요청 트랜잭션(21)의 발생에 응답하여 생성된 것
으로 참조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이전의 정산 데이터 파일(31), 출금 요청 트랜잭션(21) 이후에 발생
된 트랜잭션들, 출금 확인 트랜잭션(23)의 발생시의 거래소 계좌의 잔액 등을 참조하여, 정산 데이터 파일(33)
을 생성하고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할 수 있다. 정산 데이터 파일(33)이 저장된 주소 값은 블록체인(55)에 기
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산 데이터 파일(31, 33)은 출금이 요청된 토큰 타입과 개수, 트랜잭션 수수료, 출금 요청 아이디
를 포함하는 출금 요청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산 데이터 파일(31, 33)은 현재 거래소 계좌의 통화
토큰 또는 자산 지분 토큰의 잔고, 사용자의 현재 오픈된 구매/판매 주문, 최근의 계좌 잔고 정산 절차 이후의 모든 트랜잭션들, 최근의 계좌 잔고 정산시의 잔고, 최근의 계좌 잔고 정산 데이터의 분산 저장소(300) 내의 어
드레스, 거래소 서버(200)의 암호화 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래소 서버(200)는 계좌 잔고 정산 절차를 수행하고, 최종 계좌 잔고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확인 및 동의를 요구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정산 결과 거래소 계좌의 잔액을 디앱(70)을 통하여 표시
하고, 상기 표시에 응답하여 사용자로부터 확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암호화 서명된 출금 확인 트랜잭
션이 발생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는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블록체인(55)에 기록할 수 있
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직접 블록체인 네트워크(100) 및 분산 저장소(300)를 참조하여 정신 결과를 인증
할 수도 있다(validate). 또는, 정산 데이터를 확인하는 절차는 제3 자(3
rd
party)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거래소 서버(200)는 보유한 네이티브 통화로 출금 확인 트랜잭션에 대한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사용자가 가진 통화 토큰으로부터 지불한 수수료를 보상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네이티브 통화를 소유하지 않더라도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를 통해 이루어지는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다.
출금 요청 취소 트랜잭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계좌 잔고 정산 절차의 실행이 완료되기 전에 출금 요청을 취소할 수 있다. 출금
요청이 취소되면, 거래소 서버(200)는 출금 취소 요청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할 수 있
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분산 저장소에 저장되는 거래 내역에 대한 불변성과 투명성을 보장하는 거래 내역 저
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거래 시스템(10)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들은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될 수 있고, 분산 저장
소(300)에 저장된 여러 트랜잭션들은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그룹화되어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
룹 파일(301, 303)은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복수의 트랜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 파일(301, 303)은 각각
의 그룹 파일(301, 303)에 포함된 복수의 트랜잭션들의 주소 값 리스트(예: 해시 값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되는 그룹 파일(301, 303)은 일정한 해시 알고리즘(예: SHA-1)에 의해 산출되는 고유의
해시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룹 파일(301, 303)의 해시 값은 그룹 파일(301, 303)에 포함되는 데이터들에 대응되
는 고유한 값으로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파일(301, 303)에 포함되는 데이터들의 일부가 변조되면, 그룹
파일(301, 303)에 대한 해시 값도 상이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된 거래 내역의 불변성은, 각 그룹 파일(301, 303)의 해시 값을 이용
하여 각 그룹 파일(301, 303)을 체인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그룹 파일들(301, 303)이 저장된 분산 저장소(300)내의 주소는 해시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룹 파일들(301, 303)은 각각 선행하는 그룹 파일의 해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룹 파일들(301,
303)은 해시 링크를 통하여 체인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파일(303)는 그룹 파일(301)의 해시 값을 가짐
으로써 그룹 파일(301)을 가리키게 되고, 그룹 파일(301)과 체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산 저장소
(200)의 그룹 파일들(301, 303)은 블록체인(55)의 블록들과 유사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만약 특정 그룹 파일이 위, 변조되어 다른 해시 값을 가지게 되면, 위, 변조된 특정 그룹 파일의 후속 그룹 파
일이 가지는 해시 값은 더 이상 유효한 주소 값을 나타낼 수 없다. 따라서 위, 변조된 그룹 파일과 그 후속 그
룹 파일은 더 이상 체인을 구성할 수 없게 된다.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된 그룹 파일들(301, 303)이 체인을
구성하지 않게 되면, 사용자는 분산 저장소(300)의 데이터에 위조, 변조가 일어났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된 거래 내역의 불변성은, 그룹 파일(301, 303)의 해시 값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블록체인(55)에 저장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파일(301, 303)의 해시 값은 블록체인(55)에 저장될 수 있다. 그룹 파일(301, 303)의 해시 값
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저장되면, 누구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접근하고, 해시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블록체인(55)에 저장된 해시 값과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된 그룹 파일(301, 303)의
해시 값을 비교함으로써, 그룹 파일(301, 303)의 조작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만약 그룹 파일(301, 303)에 포
함된 데이터가 조작된 경우라면, 블록체인(55)에 저장된 해시 값은 더 이상 유효한 주소 값을 나타낼 수 없다.
분산 저장소(300)는 블록체인(55)에 기록된 해시 값을 통하여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된 데이터들의 불변성을
보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또는 제3 자는 블록체인(55)에 기록된 해시 값이 나타내는 분산 저장소(300)의 특
정 주소에 액세스함으로써, 분산 거래 시스템(10)에서 발생하는 모든 트랜잭션들의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된 거래 내역들에 대하여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나 제3 자는 블록체인(55)에 기록된 해시 값을 이용하여 분산 저장소(300)에 액세스
하고, 기 발생된 모든 트랜잭션들의 히스토리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소 서버(200)가 해킹에 의하
여 손상되더라도 거래 내역 전부가 재구성될 수 있어 거래 시스템(10)은 기존의 중앙화된 거래 시스템에 비하여
높은 안전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시스템으로의 입금 방법의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자
산 거래 방법의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시스템으로부터의 출금 방법의
시퀀스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거래 시스템(10)에서 수행되는 입금 절차, 거래 절차, 및 출금
절차를 시퀀스 도로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75)(예: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앱(70)을 설치하고, 상기 자산 거래 서비스를 통해 자산 교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입금 절차
도 4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75)은 자산 지분 토큰 입금 요청이 발생하면(401), 사용자의 개인 키에 의하
여 암호화 서명된 자산 지분 토큰 입금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자산 지분 스마트컨트랙트(1)에
송신할 수 있다(403).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앱(70)을 통하여 자산 지분 토큰 입금을 요청할 수 있다. 자산 지
분 토큰은 사용자의 자산 등록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자산 지분 스마트컨트랙트(1)에 의하여 발행될
수 있다. 자산 지분 스마트컨트랙트(1)는 자산 지분 토큰 입금 트랙잭션에 응답하여 자산 지분 토큰을 거래 스
마트컨트랙트(3)로 이동시킬 수 있다(405). 거래 스마트컨트랙트(3)는 입금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55)에 저장할 수 있다(407).
클라이언트 단말(75)은 통화 토큰 입금 요청이 발생하면(409), 사용자의 개인 키에 의하여 암호화 서명된 통화
토큰 입금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통화 토큰 스마트컨트랙트(2)에 송신할 수 있다(411). 예를 들
어 사용자가 디앱(70)을 통하여 통화 토큰 입금을 요청할 수 있다. 통화 토큰은 사용자의 원화 입금에 따라 통
화 토큰 스마트컨트랙트(2)에 의하여 발행될 수 있다. 통화 토큰 스마트컨트랙트(2)는 통화 토큰 입금 트랜잭션
에 응답하여 통화 토큰을 거래 스마트컨트랙트(3)로 이동시킬 수 있다(413). 거래 스마트컨트랙트(3)는 입금 이
벤트 로그를 생성하고, 블록체인(55)에 저장할 수 있다(415).
거래 스마트컨트랙트(3)에 입금된 통화 토큰의 잔고 정보 및 자산 지분 토큰의 잔고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100)와 거래소 서버(200) 사이에서 동기화될 수 있다(417). 예를 들어, 거래소 서버(200)는 미리 정해진 주기
마다, 또는 입금 트랜잭션이 발생될 때마다 블록체인(55)에 기록된 입금 이벤트 로그를 참조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거래소 계좌의 잔고를 입금 이벤트 로그에 따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잔고를 기준으로 트랜잭
션들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소 서버(200)는 거래소 계좌의 잔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소 계
좌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입금 이벤트 로그에 따라서 상기 거래소 계좌 데이터를 갱신
할 수 있다.
거래 절차
도 5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75)은 사용자의 개인 키에 의하여 암호화 서명된 거래 요청을 거래소 서버
(200) 및 분산 저장소(300)로 송신할 수 있다(501, 503). 예를 들어 거래 요청은 구매 주문 트랜잭션, 판매 주
문 트랜잭션, 출금 요청 트랜잭션, 또는 출금 요청 취소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메시지로 참조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거래 요청에 대응되는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506). 분산 저장소(300)는 거래 요청에 대응되는
암호화 서명된 트랜잭션을 저장할 수 있다(507).
거래소 서버(200)는 사용자의 구매 주문 및 판매 주문이 매칭됨에 따라 거래(trade)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
다. 이 과정은 도 2를 통하여 전술되었다. 이때 거래소 서버(200)는 발생된 거래 트랜잭션을 거래소 서버(200)
의 개인 키로 암호화 서명하고 분산 저장소(300)로 송신할 수 있다. 분산 저장소(300)는 수신된 거래 트랜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분산 저장소(300)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복수의 트랜잭션들을 포함하는 그룹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509). 분
산 저장소(300)는 그룹 파일의 주소 값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로 송신할 수 있다(511). 블록체인 네트워크
(100)는 블록체인(55)에 수신된 그룹 파일의 주소 값을 기록할 수 있다(517). 또는 분산 저장소(300)는 그룹 파
일의 주소 값을 거래소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513). 거래소 서버(200)는 수신된 그룹 파일의 주소 값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로 송신할 수 있다(517). 동작 511과 동작 513 내지 동작 515는 택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동작(501) 내지 동작(511)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반복되어 수행되는 동작(501) 내지 동작(511)에
따라 거래 시스템(10)에서 자산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출금 절차
도 6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단말(75)은 통화 토큰 또는 자산 지분 토큰에 대한 출금 요청이 발생하면, 개인
키에 의하여 암호화 서명된 출금 요청을 거래소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601). 거래소 서버(200)는 상기 개
인 키에 대응되는 특정 사용자의 출금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거래소 서버(200)는 출금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정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603 내지 613)
거래소 서버(200)는 분산 저장소(300)로부터 상기 특정 사용자의 트랜잭션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603). 예를
들어, 상기 트랜잭션 내역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출금 요청 이후에 발생한 트랜잭션들의 목록으로 참조될 수 있
다. 도 2의 (2)를 통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거래소 서버(200)는 분산 저장소(300)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이전의
정산 데이터 파일, 이전 출금 요청 트랜잭션 이후에 발생된 트랜잭션들에 대한 데이터 등을 획득하고, 정산 데
이터 파일(예: 도 2의 정산 데이터 파일(31, 33))을 생성할 수 있다(605). 거래소 서버(200)는 생성된 정산 데
이터 파일을 분산 저장소(300)로 송신할 수 있고(607), 분산 저장소(300)는 정산 데이터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609).
정산 절차가 완료되면, 거래소 서버(200)는 정산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75)로 송신할 수 있다(611). 정산 결
과는 정산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75)은 수신된 정산 결과에 대한 확인
을 거래소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613). 거래소 서버(200)는 정산 결과에 대한 확인을 수신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로 상기 특정 사용자의 개인 키로 암호화 서명된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송신할 수 있다(615). 블
록체인 네트워크(100)는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블록체인(55)에 기록할 수 있다(617).
거래 시스템(10)에서, 입금 요청 트랜잭션 및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제외한 나머지 트랜잭션들을 거래소 서버
(200)에 의하여 처리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지불하는 수수료를 줄일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에 의
하여 처리되는 트랜잭션들은 분산 저장소(300)에 저장되고, 트랜잭션들이 저장된 분산 저장소(300)내의 주소 값
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거래 내역은 블록체인(55) 및 분산 저장소(300)를
통하여 재구성 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감시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서 초기에 자산 지분 토큰을 분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초기에 거래 시스템(10)은 자산 지분 토큰들은 지분 가입 요청 메시지(share subscription
request message)를 보낸 사용자들에게 분배할 수 있다. 지분 가입 요청 메시는 사용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자산
지분 토큰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초기 제공을 위한 통화 토큰의 양을 에스크로잉(escrowing)할
수 있다. 만약에 사용자의 거래소 계좌에 충분한 통화 토큰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사용자는 거래 스마트컨트랙
트(3)로 적절한 통화 토큰을 입금할 필요가 있다(703).
지분 가입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계좌에 의하여 암호화 서명될 수 있다. 암호화 서
명된 지분 가입 요청 메시지는 분산 저장소(300) 및 거래소 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다(703).
초기의 지분 가입 기간이 끝나면, 거래소 서버(200)는 자산 지분 스마트컨트랙트(1)상에서 최종적으로 초기 분
배를 요청 및 기록하기 위한 트랜잭션들을 수행할 수 있다(709). 상기 트랜잭션들은 사용자의 서명과 분산 거래
소(300)에 저장된 통화 토큰의 현재 잔고를 증명하는 데이터(proof data)포함할 수 있다. 누적된 통화 토큰은
자산 목록 계좌에 의하여 출금이 가능하다. 사용자들은 초기 분배에 참여하기 위한 트랜잭션 수수료를 부담할
필요가 없다.
초과 가입(oversubscription)의 경우에는, 공정하고 투명하게 자산 지분 토큰이 임의 분배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로부터 시드 난수를 가져올 수 있다(fetch)(705). 예를 들어 시드 난수는 가입 종료 시점의 블록체인(55)의 블록 해시 값으로 참조될 수 있다. 시드 난수는 우승한 계정(winning
account)과 할당된 지분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난수의 시퀀스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거래소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들 사이의 할당된 지분을 결정한 최종 결과를 생성하고 분산 거래소(300)에 저
장할 수 있다(707). 분산 거래소(300)상의 최종 결과와 연관된 데이터의 주소 값(해시 값)은 자산 지분 스마트
컨트랙트(1)에 기록될 수 있다(709). 초기 분배는 외부의 제3 자에 의하여 확인가능하고 감시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서 자산 인수(acquisition) 및 지분홀더(shareholder)의 투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거래 시스템(10)에 등록된 특정 자산은 전부 구매될 수 있고, 그 후에 거래 시스템(10)에
서 등록 해제(delisted)될 수 있다. 특정 자산에 대한 구매를 원하는 구매자는 자산 지분 스마트컨트랙트(1)에
에스크로(escrow)로서 통화 토큰을 입금시키고 그 특정 자산에 대한 인수를 제안할 수 있다(801). 제안된 가격
(호가, bid price)은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자산의 현재 시가 총액보다 커야 한다. 거래소 서버(200)가 유효한
인수 제안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으로부터 인지하면(perceive), 상기 인수 제안은 모든 지분홀더들에게 공표
될 수 있다. 모든 지분홀더 계좌는 수락(accept) 또는 거절(reject)하기 위한 투표를 할 수 있다. 각각의 지분
홀더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00)의 계좌로 암호화 서명하여 투표 메시지를 거래소 서버(200) 및 분산 저장소
(300)에 송신할 수 있다(803).
투표 기간이 끝나기 전에 잠재적인 다른 구매자는 현재 제안된 가격을 초과하는 가격으로 인수를 제안할 수 있
다. 추가 인수 제안이 발생하면, 이전의 투표는 취소되고 새로운 투표 기간이 시작될 수 있다. 최종 투표 기간
이 끝나면, 거래소 서버(200)는 투표 결과를 집계하고(tallies up) 투표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를 분산 저장소
(300)에 저장할 수 있다(805). 분산 저장소(300)상의 주소 값은 자산 지분 컨트랙트(1)에 저장될 수 있다(807).
제안된 인수가 수락되면 모든 토큰홀더들은 제안된 가격 중 자신의 지분에 해당하는 자산 지분 토큰을 자산 지
분 컨트랙트(1)로부터 인출할 수 있고(809), 판매된 자산은 거래 시스템(100)의 목록에서 등록 해제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
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
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
"A 및/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
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 "제2,
" "첫째,
"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
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
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
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
~하도록 설정된(adapted to or 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
프트웨어적으로 "
~에 적합한,
" "
~하는 능력을 가지는,
" "
~하도록 변경된,
" "
~하도록 만들어진,
" "
~를 할 수 있
는,
" 또는 "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또는 구성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
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
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구성된 유닛(unit)을 포함하
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
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
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개체
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
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자산 거래를 위한 복수의 트랜잭션들을 처리하는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
    여 상기 복수의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모리와 동작 가
    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모리에 블록체인이 저장됨;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를 포함
    하는 서버; 및
    분산 저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자산 거래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계좌에 의하여 암호화 서명된 입금 트랜잭션
    또는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상기 입금 요청 트랜잭션 또는 상기 출금확인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계좌에 의하여 암호화 서명되고, 상기 복수의 트랜잭션들 중 상기 입금 트랜잭션 및 상기 출금 확인 트랜
    잭션이 아닌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자산 거래 서비스를 통하여 수신하거나 생성하고, 상기 수신되거나 생성된
    거래 트랜잭션을 처리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분산 저장소는,
    상기 수신되거나 생성된 거래 트랜잭션을 저장하도록 설정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배포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하여, 상기 자산 거래 서비스에서 거래
    가능한 자산 지분 토큰 및 통화 토큰을 발행하도록 설정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거래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상기 자산 지분 토큰 및 상기 통화 토큰 사이의 교환 트랜잭션을 생성
    하고,
    상기 계좌를 이용하여 상기 교환 트랜잭션에 암호화 서명하도록 설정된,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입금 트랜잭션 및 상기 출금 트랜잭션의 처리에 따른 트랜잭션 수수료를 상기 서버에서 보유하는 네이티브
    통화로서 지불하고,상기 지불된 네이티브 통화에 대응되는 상기 통화 토큰을 획득하도록 설정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분산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거래 트랜잭션들이 저장된 주소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주소 값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시스템.
  6.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분산 저장소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하여 발행되는 토큰 간의 교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
    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교환 거래 서비스를 통하여 복수의 거래 트랜잭션들의 시퀀스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거래 트랜잭션들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고;
    상기 복수의 트랜잭션들이 저장된 상기 분산 저장소의 어드레스 값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분산 저장소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어드레스 값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송신하도록 설정된, 서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교환 거래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제1 계좌에 맵핑된 출금 요청 트랜잭션이 수
    신되면,
    상기 출금 요청 트랜잭션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분산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제1 계좌에 맵핑된 상기 복수의
    트랜잭션들을 기초로 정산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산 데이터 파일을 상기 분산 저장소에 송신
    하도록 설정된, 서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정산 데이터 파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교환 거래 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제1 계좌에 대응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확인 응답을 수신하면,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송신하도
    록 설정된, 서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상기 제1 계좌에 맵핑되도록 생성하도록 설정된, 서버.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상기 분산 저장소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 동안 저장된 상기 복수의 트랜잭션들을
    포함하는 그룹 파일의 상기 어드레스 값을 수신하도록 설정된, 서버.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하여 발행된 제1 토큰 및 제2 토큰 사이의 교환 거래를 위한 상기 복수의 거래 트
    랜잭션들을,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된 상기 제1 토큰 및 상기 제2 토큰의 입금 내역 데이터를 기초로 처리하도록
    설정된, 서버.
  12.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분산 저장소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하여 발행되는 제1 토큰 및 제2 토큰 사이의 교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
    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제1 계좌에 맵핑된 출금 요청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상기 출금 요청 트랜잭션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분산 저장소에 상기 제1 계좌에 맵핑되어 저장되고 상기 교환
    거래 서비스를 통하여 발생된 거래 트랜잭션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래 트랜잭션들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제1 토큰 개수 정보 또는 상기 제2 토큰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서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한 거래 트랜잭션들을 기초로 정산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정산 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1 계좌
    에 대응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틀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확인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송신
    하도록 설정된, 서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상기 제1 계좌에 맵핑되도록 생성하도록 설정된, 서버.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정산 데이터 파일을 상기 제1 계좌와 맵핑되도록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정산 데이터 파일을 상기 분산 저장소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서버.
  16. 교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
    여 상기 복수의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교환 거래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컨트랙트를 제공함;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
    도록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모리에 블록체인이 저장됨;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를 포함
    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마트컨트랙트에 의하여 발행된 토큰에 대한
    입금 요청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상기 입금 요청 트랜잭션에 응답하여, 입금 로그 기록을 생성하고, 상기 입금 로그 기록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도
    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블록체인에 액세스하고 상기 입금 로그 기록을 획득하도록
    설정된,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입금 로그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교환 거래 서비스 상의 거래소 계좌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설정된,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상기 서버와 통신하도록 설정된 분산 저장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교환 거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거래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상기 갱신된 거래소 계좌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적
    어도 하나의 거래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 트랜잭션을 상기 분산 저장소에 저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 트랜잭션이 저장된 상기 분산 저장소 상의 주소 값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도록 설
    정된,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는,
    상기 교환 거래 서비스를 통하여 수신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된 계좌에 맵핑된, 상기 토큰에 대한
    출금 요청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상기 분산 저장소에 저장되고 상기 계좌에 맵핑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래 트랜잭션에 기초하여, 출금될 상기
    토큰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상기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출금 확인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하
    도록 설정되는, 시스템.
KR1020210023875A 2021-02-23 2021-02-23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KR20220120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875A KR20220120144A (ko) 2021-02-23 2021-02-23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875A KR20220120144A (ko) 2021-02-23 2021-02-23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144A true KR20220120144A (ko) 2022-08-30

Family

ID=8311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875A KR20220120144A (ko) 2021-02-23 2021-02-23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01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81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27401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stable value digital assets
US11720887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depositing and withdrawing stable value digital assets in exchange for fiat
US11562333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stable value digital assets
US1179035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 reward processing
RU2145439C1 (ru) Доверенные агенты для открытог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электронных денег
US202000995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gateway for high security blockchain systems
US109975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otive inventory management and recordkeeping using multi-tiered distributed network transactional database
US201003060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circulating a currency
US11475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ue peer-to-peer automatic teller machine transactions using mobile device payment systems
US202002505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gateways for high security blockchain systems
US11763297B2 (en) Systems and method for conducting and managing cryptocurrency transactions
CN110400146A (zh) 经由区块链防止欺诈的方法和系统
US202001603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product genuineness
WO20200145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storage of digital assets to facilitate electronic transactions
EP37144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currency guaranteed by an investment vehicle
WO2018192931A1 (en) Delivery versus payment mechanism
WO20201131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gateway for high security blockchain systems
WO2020102782A1 (en) Multi-tiered distributed network transactional database
KR20220120144A (ko)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자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US202300130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ue peer-to-peer automatic teller machine transactions using mobile device payment systems
US20230052723A1 (en) Cryptocurrency transactional systems and methods
KR102389922B1 (ko) 암호화폐 결제 게이트웨이 및 그 결제방법
US20220261789A1 (en) Personal identifiable information verification for decentralized network services
US20230334446A1 (en) Method and system of transaction settlement and smart contract access using guarantee tok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