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067A - 인공지능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067A
KR20220120067A KR1020210023722A KR20210023722A KR20220120067A KR 20220120067 A KR20220120067 A KR 20220120067A KR 1020210023722 A KR1020210023722 A KR 1020210023722A KR 20210023722 A KR20210023722 A KR 20210023722A KR 20220120067 A KR20220120067 A KR 20220120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creator
author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이철
선요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루스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루스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루스웍스
Priority to KR102021002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067A/ko
Publication of KR2022012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Abstract

인공지능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은, 특정한 콘텐츠를 공동으로 창작하고, 기여도에 따라 보상을 제공받는 창작자 단말,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창작 과정에서 투표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완성 과정에 참여하거나, 비용을 지불하고 공동창작된 콘텐츠를 이용하는 소비자 단말, 상기 창작자 단말과 상기 소비자 단말에 대해 통신하며, 상기 창작자 단말에 대해서는 콘텐츠의 공동창작을 위한 팀 구성원을 조직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 대해서는 콘텐츠의 공동창작 과정에서 기여하는 투표시스템을 제공하는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 및 상기 창작자 단말과, 상기 소비자 단말과, 상기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와 연동되며, 콘텐츠의 공동창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는 인공지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인공지능 기반의 뉴럴 네트워크를 통한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의 콘텐츠 창작 성향과 상기 소비자 단말의 콘텐츠 소비 성향을 학습하고 분석하여 콘텐츠 공동저작을 위한 팀 구성원을 조직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The contents co-authoring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blockchain technology}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수의 저작자들이 콘텐츠를 공동저작하고 소비하는 콘텐츠 유통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콘텐츠 소비자가 콘텐츠 창작자로 될 수 있는 콘텐츠 프로슈머(prosumer) 플랫폼이며, 구독자와의 실시간 소통을 통해 단독으로 단기간에 창작하기 어려운 콘텐츠를 팀 구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관리 대상이 되는 모든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분산처리기술을 의미한다. 거래 정보가 담긴 원장(原帳)을 거래 주체나 특정 기관에서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나누어 가지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분산원장기술(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또는 '공공거래장부'라고도 한다. 블록체인은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block)을 사슬처럼 연결(chain)한 것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거래 내용의 위변조와 같은 해킹을 막기 위한 기술이며,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블록체인은 금융기관에서 모든 거래를 담보하고 관리하는 기존의 금융 시스템에서 벗어나 P2P(Peer to Peer;개인 대 개인) 거래를 지향하는, 탈(脫)중앙화를 핵심 개념으로 한다. P2P란 서버나 클라이언트 없이 개인 컴퓨터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망을 말하며, 연결된 각각의 컴퓨터가 서버이자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다수의 노드가 같은 데이터를 공유하고 검증하는 방식을 통해 디지털 상에 신뢰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은 중개자 없이 P2P로 편리하게 계약을 체결하고 수정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현 가능하게 한다.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는 금융회사들이 중앙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해 온 반면, P2P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에서는 거래 정보를 블록에 담아 차례대로 연결하고 이를 모든 참여자가 공유한다.
가상화폐(Virtual Currency)는 전자화폐 또는 암호화폐라고도 하며, 지폐나 동전 등의 실물이 없고 온라인에서 거래되는 화폐를 말한다. 가상화폐는 각국 정부나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일반 화폐와 달리 처음 고안한 사람이 정한 규칙에 따라 가치가 매겨진다. 또한, 탈중앙화 특징에 의해 정부나 중앙은행에서 거래 내역을 관리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유통되기 때문에 정부 등 특정 기관이 가치나 지급을 보장하지 않는다.
한국 등록특허 10-1936758 (공고일자 2019년 1월 11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문 콘텐츠 창작자 및 아마추어 콘텐츠 창작자들이 창작하는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다수의 창작자들 간에 해당 파일의 작업을 조율가능한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콘텐츠 공동저작에 있어서 실시간 응답이 가능하도록 하여 빠른 수행 속도에 중점을 두며, 데이터 무결성, 분산, 비선형 워크플로우를 지원하는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콘텐츠 창작자들의 협업지원 기술로 오픈 콘텐츠 창작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협업하여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지원하는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은, 특정한 콘텐츠를 공동으로 창작하고, 기여도에 따라 보상을 제공받는 창작자 단말,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창작 과정에서 투표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완성 과정에 참여하거나, 비용을 지불하고 공동창작된 콘텐츠를 이용하는 소비자 단말, 상기 창작자 단말과 상기 소비자 단말에 대해 통신하며, 상기 창작자 단말에 대해서는 콘텐츠의 공동창작을 위한 팀 구성원을 조직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 대해서는 콘텐츠의 공동창작 과정에서 기여하는 투표시스템을 제공하는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 및 상기 창작자 단말과, 상기 소비자 단말과, 상기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와 연동되며, 콘텐츠의 공동창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는 인공지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인공지능 기반의 뉴럴 네트워크를 통한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의 콘텐츠 창작 성향과 상기 소비자 단말의 콘텐츠 소비 성향을 학습하고 분석하여 콘텐츠 공동저작을 위한 팀 구성원을 조직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공동창작 과정에서의 의사결정은, 미리 선정된 전문 창작자로 등록된 창작자 단말에서 단독으로 모든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공동창작 과정에서의 의사결정은, 미리 선정된 복수의 창작자 단말에서 선택지를 결정한 후 결정된 선택지에 대한 복수의 소비자 단말에서의 투표에 의해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공동창작 과정에서의 의사결정은, 미리 선정된 복수의 창작자 단말이 위원회를 구성하고, 상기 위원회의 구성원 단말들의 의견에 따라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소비시대에서 콘텐츠 제작시대로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전문가, 아마추어 콘텐츠 창작자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세계 다양한 문화권의 전문가, 아마추어 콘텐츠 제작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협업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을 통해 단시간에 완성도 높은 창작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마추어 콘텐츠 제작자들은 다른 전문 창작자들과 협업을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 스토리 라인을 완성도 높은 창작물로 제작함으로써 온/오프라인 유통사와 방송, 영화사 등에게 콘텐츠 라이센스를 판매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국내 웹콘텐츠를 해외 정서나 문화에 적합하게 해외 콘텐츠 제작사와 공동 협업을 통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제작 콘텐츠를 해외로 수출함으로써 한류 문화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블록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공동창작 과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은, 개방형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적용하여 콘텐츠 창작자들이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을 트랜잭션으로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다수의 창작자들에게 기여도에 따라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공정하고 개방된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 중 인공신경망 기술 기반의 딥러닝 방식을 적용하여 콘텐츠 종류 및 유형에 따라 저작자들의 능력과 저작 경험치, 소비자 품평 등을 학습하여 콘텐츠 공동저작을 위한 팀 구성시 자동으로 추천하고, 사용자에게는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플랫폼으로서 차별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에 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노드들(110-170)로 이루어진 분산형 네트워크(distributed network) 시스템이다. 상기 분산형 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노드들(110-170)은 컴퓨터, 이동 단말기, 전용 전자 장치 등 연산 능력이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형 네트워크(100)는 블록체인이라 불리는 블록(block)의 연결 묶음 내에 모든 참여 노드에 공통으로 알려진 정보를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노드들(110-170)은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며 블록체인을 저장, 관리 및 전파를 담당하는 완전 노드(full node)와 단순하게 트랜잭션에만 참여할 수 있는 간이 노드(light node)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다른 설명 없이 노드에 대하여 언급되는 경우, 이는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며 블록체인을 생성, 저장 또는 검증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완전 노드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블록체인에 연결되어 있는 각 블록들은 일정 기간 내의 거래 내역, 즉 트랜잭션(transaction)들을 포함한다. 상기 노드들은 각각 역할에 따라 블록체인을 생성, 저장 또는 검증함으로써 트랜잭션들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은 다양한 형태의 거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가상화폐의 소유 상태 및 그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금융 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물건의 소유 상태 및 그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실물 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정보의 기록, 저장 및 이송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 공유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분산형 네트워크(100)에서 거래를 수행하는 노드들은 각각의 암호학적 연관관계가 있는 개인키(private key) 및 공개키(public key) 쌍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블록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200)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블록들(210, 220, 230)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일종이다. 상기 블록체인(200)은 블록체인 시스템 내 사용자의 거래 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200)에 연결한다. 도 2에는 제한된 수의 블록들(210, 220, 230)이 도시되어 있으나 블록체인에 포함될 수 있는 블록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블록체인(200)에 포함된 각 블록은 블록 헤더(211)와 블록 바디(2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 헤더(211)는 각 블록들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전 블록(220)의 해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200)이 유효한지 검증하는 과정에서 상기 블록 헤더(211) 내의 연결 관계가 사용된다. 상기 블록 바디(213)는 상기 블록(210)에 저장되고 관리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트랜잭션 리스트 또는 트랜잭션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 헤더(211)는 이전 블록의 해시(2112), 현재 블록의 해시(2113), 넌스(Nonce)(2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헤더(211)는 블록 내의 트랜잭션 리스트의 헤더를 나타내는 루트(2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체인(200)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은 상기 블록 헤더(211) 내의 해시 값에 기초하여 연결된다. 상기 블록 헤더(211)에 포함된 이전 블록의 해시 값(2112)은 직전 블록(220)에 대한 해시 값으로서 직전 블록(220)에 포함된 현재 해시(2213)와 동일한 값이다.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은 각 블록 헤더 내의 이전 블록의 해시 값에 의하여 연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에 포함된 이전 블록의 해시 값에 기반하여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므로 악의적인 단일 노드가 이미 생성된 블록의 내용을 위조 또는 변조하는 행위가 불가능하다.
상기 블록 바디(213)는 트랜잭션 리스트(2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의 목록이다. 예를 들면,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시스템에서 이루어진 금융 거래에 대한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트리(tree)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전송한 금액을 목록 형태로 기록하며, 블록 내의 저장 길이는 현재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의 수에 기초하여 증감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210)은 블록 헤더(211)와 블록 바디(213)에 포함된 정보 이외의 기타 정보(2116)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동일한 블록체인을 가지며, 블록에는 동일한 트랜잭션이 저장된다. 트랜잭션 목록이 포함된 블록이 네트워크에 공유되므로 모든 참여자가 검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공동창작 과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300)은 콘텐츠의 공동저작, 투자, 유통 및 배급 등의 전 과정을 시스템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 노드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콘텐츠에 대한 투자금이 안전하게 유용될 수 있도록 하며, 콘텐츠로 인해 발생한 수익이 정당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와 협력하여 콘텐츠의 공동저작, 투자, 유통 및 배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는 웹소설, 웹툰, 영화 시나리오, 연극 시나리오, 디자인, 음악, 문학, 사진, 만화, 애니메이션, 컴퓨터 게임 등 인간의 창작 활동에 따라 창출되는 다양한 창작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300)은,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310), 창작자 단말(320), 소비자 단말(330),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310), 창작자 단말(320), 소비자 단말(33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310)는 창작자 단말(320) 및 소비자 단말(330)에 대해 통신하며, 다수의 창작자 단말(320)에 대해 오픈 콘텐츠 분산버전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거나, 다수의 소비자 단말(330)에 대해 오픈 커뮤니티를 통한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310)는 인터페이스로서 콘텐츠 창작자들의 협업을 지원하는 저작도구, UX/UI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3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창작자 단말(320)은 콘텐츠를 공동으로 창작하는 창작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창작자는 전문 창작자 또는 아마추어 창작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창작자 단말(320)을 통하여 콘텐츠를 공동으로 저작하면 그에 따른 보상을 전자화폐 또는 암호화폐로 받게 된다.
소비자 단말(330)은 콘텐츠의 소비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소비자는 완성된 콘텐츠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고 콘텐츠를 이용할 권리를 갖는 자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330)을 통해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310)로부터 자신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다양한 형태로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창작자 단말(320)과 소비자 단말(330)이 명백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고, 소비자 단말(330)이 창작자 단말(320)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즉, 콘텐츠 공동저작 과정에서 공동저작된 다수의 스토리 라인 또는 시나리오 등에 대해 소비자 단말(330)은 투표시스템을 통한 투표로 콘텐츠 완성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330)이 공동저작 콘텐츠의 창작에 투표로서 참여하는 경우에도 해당 소비자 단말(330)은 전자화폐 또는 암호화폐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330)은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300)에서 다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작사, 콘텐츠 유통사, 미디어 매체가 소비자 단말(330)의 사용 주체가 될 수 있으며, 콘텐츠 소비, 콘텐츠 유통 및 배급, 라이선스 매입 등을 수행하면서 전자화폐 또는 암호화폐로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즉, 소비자 단말(330)의 사용 주체들은 목적에 따라 자발적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여, 서로가 서로를 도울 수 있는 선순환의 생태계를 꾸려나갈 수 있다.
창작자 단말(320) 또는 소비자 단말(33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창작자 단말(320) 또는 소비자 단말(3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300)과 연동되며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300)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블록체인 구조의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는 P2P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30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구조(예: DAG 구조 등)의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는 P2P 네트워크 시스템과 협력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컴퓨팅 장치(이하, '노드')들을 포함하는 P2P 네트워크로 이해될 수 있고, 각각의 노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300)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된 블록체인 계좌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블록체인 계좌 정보는 비밀 키(private key)와 공개 키(public key)를 포함할 수 있다. 비밀 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트랜잭션(예: 제1 사용자 계좌로부터 제2 사용자 계좌로 '디지털 지급수단'이 이체되도록 하는 트랜잭션,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상에 배포하는 트랜잭션,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시키는 트랙잭션 등)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의 디지털 서명으로 기능할 수 있다. 공개 키는 사용자의 계좌 주소(account address, 이하, '계좌')로 기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계좌는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human-readable) 문자열 또는 숫자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 기재된 '디지털 지급수단'은 암호화폐(crypto currency)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내에서 분산형 시스템 방식으로 기록되는 지급수단이며, 디지털 토큰(digital token, 이하 '토큰')을 포함하는 개념의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명에서 토큰은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한 디지털 교환수단으로서 소정의 용도 또는 가치를 지닐 수 있다. 토큰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참여하는 노드가 자발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내에서 분산형 시스템 방식으로 토큰의 발행, 이체, 사용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를 이용하는 노드(예: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310), 창작자 단말(320), 소비자 단말(33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트랜잭션은 콘텐츠 공동저작에 따른 보상, 창작자 정보, 콘텐츠 업로드 시간, 콘텐츠 저작 투표에 따른 보상, 콘텐츠 거래 및 가격 정보, 콘텐츠 거래 시간, 사용자 정보, 구매정보, 콘텐츠 제작사의 투자 정보, 콘텐츠 유통사의 유통 및 배급 정보, 라이선스 매입 정보 등과 관련된 정보, 또는 암호화폐/토큰의 이체에 관한 정보, 스마트 컨트랙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는 트랜잭션의 처리 결과를 블록체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상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들은 상기 트랜잭션들을 생성한 주체의 블록체인 계좌의 비밀 키에 의해 암호화 서명되므로,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상에 위변조가 불가능한 암호학적 증명 데이터로서 기록될 수 있다.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의 노드들은 발생한 트랜잭션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구현된 합의 알고리즘(예: POW, POS, DPOS 등)에 기초해 기 생성된 블록에 이어질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며, 새로이 생성된 블록은 다른 노드들에게 전파되면서 트랜잭션이 실행될 수 있다. 블록은 복수의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에 대한 정보는 노드들이 공유하는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는 복수 개의 노드들이 같은 정보를 공유하는 공공 원장(public ledger)으로 이해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다양한 노드들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 및 실행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디지털 명령어로 기재된 규약으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규약의 조건을 따르는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정해진 규약에 따라 특정 트랜잭션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컨트랙트 계좌(contract account)를 보유할 수 있다. 컨트랙트 계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포함된 노드 또는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동작시키기 위해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는 주소로 이해될 수 있다. 컨트랙트 계좌는 트랜잭션 메시지를 받은 경우, 내부 규약으로 정해진 디지털 명령어에 따라 다음 동작(예: 특정 트랜잭션을 생성, 메시지를 읽거나 다른 계좌로 메시지 전송,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310)는 인공지능 모듈(315)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듈(315)은 다수의 창작자 단말(320) 및 다수의 소비자 단말(330)의 창작 성향, 소비 성향 등을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공동저작을 위한 창작자 팀을 구성할 수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처리 기술로서,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기술과 달리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똑똑해지는 기술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기존 Rule 기반 스마트 시스템은 점차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학습(딥러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될 수 있다.
인공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다양한 분야는 다음과 같다. 언어적 이해는 인간의 언어/문자를 인식하고 응용/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 처리, 기계 번역, 대화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합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이해는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여 처리하는 기술로서, 객체 식별, 객체 추적, 영상 검색, 사람 인식, 장면 이해, 공간 이해, 영상 개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정보를 지식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지식 구축(데이터 생성/분류), 지식 관리(데이터 활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제어는 차량의 자율 주행,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움직임 제어(항법, 충돌, 주행), 조작 제어(행동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을 통해 다수의 창작자 단말(320) 및 다수의 소비자 단말(330)의 활동에 관한 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창작 성향 또는 소비 성향을 분석하여 기 정해진 규칙에 따라 콘텐츠 공동저작 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315)은 콘텐츠 공동저작 팀을 구성하기 위해 유사한 성향을 갖는 팀원을 그룹으로 만들기 위해 유클리디안 거리 점수 방식과 피어슨 상관점수 방식을 활용하여 유사 창작자들에 관한 창작자 단말(320)들을 찾고, 다수의 소비자 단말(330)에서의 의견수렴 및 관심사들을 자동으로 예측하기 위해서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협업 필터링 기법이란, 많은 유저들로부터 수집한 취향 정보들을 기반으로 하여 스스로 예측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협업 필터링은 어떤 특정한 인물 A가 한가지 이슈에 관해서 인물 B와 같은 의견을 갖는다면 다른 이슈에 대해서도 비슷한 의견을 가질 확률이 높을 것이라는 사실에 기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300)에서 콘텐츠 공동저작 팀이 구성된 다수의 창작자 단말(320)에 대해 콘텐츠 공동저작을 위한 의사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이 3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첫째, 제1 방식은 전문 창작자로 등록된 창작자 단말(320)에서 단독으로 모든 중요한 요소의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콘텐츠를 창작하는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방식이다.
둘째, 제2 방식은 소수의 전문 창작자로 등록된 창작자 단말(320)과 아마추어 창작자들로 등록된 창작자 단말(320)들이 안건과 선택지에 관해 우선적으로 결정한 후, 결정된 대상에 대해 다수의 소비자 단말(330)을 포함하는 구성원의 투표로 해당 콘텐츠를 창작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방식이다.
셋째, 제3 방식은 팀 리더가 되는 전문 창작자로 등록된 창작자 단말(320)과 미리 결정된 소수의 창작자 단말(320)들이 하나의 위원회를 구성하고, 투표 방식이 아닌 위원회를 구성하는 구성원들의 의견에 따라 콘텐츠를 창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300)에서 인공지능 모듈(315)에 따라 콘텐츠 공동저작 팀이 구성되면, 팀의 리더에 해당하는 창작자 단말(320)에서 상술한 3가지 방식 중 콘텐츠 공동저작 프로젝트가 진행될 방식을 사전에 결정하게 되고, 이러한 정보도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등록됨으로써 프로젝트 팀에 참여하는 창작자 단말(320) 및 소비자 단말(330)은 콘텐츠 공동저작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방식을 예측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에 관해서도 후속적으로 임의로 변경할 수 없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컴퓨팅 장치(1000)는 프로세서(1100)와 메모리(120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0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및 그래픽 처리부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4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의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노드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업로드/다운로드에 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블록에 기록하고, 상기 블록에 기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대해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프로세서(1100)는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및 롬(ROM: Read-Only Memory)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0)에는 프로세서(1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시스템의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분산형 네트워크
110~170: 노드들
200: 블록체인
210, 220, 230: 블록
300: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310: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
320: 창작자 단말
330: 소비자 단말
400: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4)

  1. 특정한 콘텐츠를 공동으로 창작하고, 기여도에 따라 보상을 제공받는 창작자 단말;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창작 과정에서 투표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완성 과정에 참여하거나, 비용을 지불하고 공동창작된 콘텐츠를 이용하는 소비자 단말;
    상기 창작자 단말과 상기 소비자 단말에 대해 통신하며, 상기 창작자 단말에 대해서는 콘텐츠의 공동창작을 위한 팀 구성원을 조직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 대해서는 콘텐츠의 공동창작 과정에서 기여하는 투표시스템을 제공하는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 및
    상기 창작자 단말과, 상기 소비자 단말과, 상기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와 연동되며, 콘텐츠의 공동창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공동저작 플랫폼 서버는 인공지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인공지능 기반의 뉴럴 네트워크를 통한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창작자 단말의 콘텐츠 창작 성향과 상기 소비자 단말의 콘텐츠 소비 성향을 학습하고 분석하여 콘텐츠 공동저작을 위한 팀 구성원을 조직하는,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공동창작 과정에서의 의사결정은, 미리 선정된 전문 창작자로 등록된 창작자 단말에서 단독으로 모든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공동창작 과정에서의 의사결정은, 미리 선정된 복수의 창작자 단말에서 선택지를 결정한 후 결정된 선택지에 대한 복수의 소비자 단말에서의 투표에 의해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공동창작 과정에서의 의사결정은, 미리 선정된 복수의 창작자 단말이 위원회를 구성하고, 상기 위원회의 구성원 단말들의 의견에 따라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KR1020210023722A 2021-02-22 2021-02-22 인공지능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KR20220120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722A KR20220120067A (ko) 2021-02-22 2021-02-22 인공지능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722A KR20220120067A (ko) 2021-02-22 2021-02-22 인공지능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067A true KR20220120067A (ko) 2022-08-30

Family

ID=8311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722A KR20220120067A (ko) 2021-02-22 2021-02-22 인공지능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00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758B1 (ko) 2018-06-08 2019-01-11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정보 조회 기록의 무결성을 위한 암호화 장치, 방법 및 블록체인에서 정보 조회 기록의 무결성을 위한 분산 원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758B1 (ko) 2018-06-08 2019-01-11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정보 조회 기록의 무결성을 위한 암호화 장치, 방법 및 블록체인에서 정보 조회 기록의 무결성을 위한 분산 원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4052B1 (ko) 코드 체인 기반 모델,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Zook et al. New spaces of disruption? The failures of Bitcoin and the rhetorical power of algorithmic governance
Chen et al.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banking to mobile internet finance: an organizational innovation perspective-a comparative study of Citibank and ICBC
Dapp et al. Fintech–The digital (r) evolution in the financial sector
Zarifis et al. Consumer trust in digital currency enabled transactions
Ganapathy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price emulator: a study on cryptocurrency
FinTech SupTech: What They Mean for Financial Supervision
Liu Commercial-state empire: A political economy perspective on social surveillance in contemporary China
Lacity et al. What type of metaverse will we create
Thomason et al. Advancements in the New World of Web 3: A Look Toward the Decentralized Future: A Look Toward the Decentralized Future
Aysan et al. Technological perspectives of Metaverse for financial service providers
KR20220120067A (ko) 인공지능 기술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콘텐츠 공동저작 시스템
Cheng Metaverse and investing
Kingsly Disruptive Technology: Blockchain: The Crystal Ball: Advancing Financial Trust, Inclusion, and Simplicity Through the Blockchain
Sandbukt Top-Up with Driver: Digital Money, Transactional Aspirations, and Peerhood in Yogyakarta, Indonesia
Perić et al. The role of digitalization in the financial sector, with reference to the banking sector
Burmaoglu et al. IdeaChain: a conceptual proposal for blockchain-based STI policy development
Reddy et al. IoT Based System for Rating Smart Contract to Evaluate Accuracy of Blockchain
Azeem et al. Blockchain based decentralized knowledge sharing system-Jigsaw
Khurana et al. Impact on economy with the emergence of block chain
Zakharkina et al. Digital opportunities to ensure the transparency of financial rela-tions in entrepreneurship
Dang Technology in fintech-how trends shape finance
Wörner The Impact of Cryptocurrencies on the Internet of Things-Insights from Prototypes
Roßbach Changing Purchasing Towards Procurement 4.0
Bendella et al. Harnessing the powers of Blockchain and its assistive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