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020A - 간접조명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간접조명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020A
KR20220120020A KR1020210023627A KR20210023627A KR20220120020A KR 20220120020 A KR20220120020 A KR 20220120020A KR 1020210023627 A KR1020210023627 A KR 1020210023627A KR 20210023627 A KR20210023627 A KR 20210023627A KR 20220120020 A KR20220120020 A KR 20220120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finishing
fixing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진
Original Assignee
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진 filed Critical 정성진
Priority to KR102021002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020A/ko
Publication of KR2022012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1)이나 벽에 형성된 코너부위에 결합되며 천장(1)이나 벽을 따라 연장된 고정판(11)과, 이 고정판(11)의 폭방향 일단에서 직각 돌출된 외측판(12)과, 상기 고정판(11)의 폭방향 일단에서 외측판(12)과 이격되도록 직각 돌출된 내측판(13)이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판(13)과 외측판(12) 사이에 끼움홈(14)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0); 및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판(13)과 외측판(12) 사이의 끼움홈(14)에 끼워지는 끼움판(21)과, 이 끼움판(21)의 폭방향 일단에서 직각 절곡되어 고정프레임(10)의 고정판(11) 및 내측판(13)과의 사이에 램프(40)의 설치공간(30)을 형성하는 마감판(23)이 일체로 이루어진 마감프레임(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조명용 프레임이다.

Description

간접조명용 프레임{Frame for indirect lighting}
본 발명은 간접조명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이나 벽면의 코너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을 간접조명하는 램프가 설치되는 간접조명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축물 천장이 우물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일명 우물천장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우물천장에는 간접조명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간접조명은 단면 U자형상의 프레임을 우물천장의 내측면에 고정시키고 프레임의 내부에 램프를 장착함으로써, 램프의 빛이 천장에 조사되는 형태로 실내공간을 간접적으로 조명한다. 도 1은 종래 간접조명의 일례를 도시한 것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프레임(3)의 일측벽을 우물천장(1)의 내벽(2)에 못이나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5)으로 고정시키고, 내부에 램프(4)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간접조명은 U자형 프레임(3)을 우물천장(1)의 내벽(2)에 고정수단(5)으로 고정시키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도 1과 같이, U자형 프레임(3)의 상단이 천장(1)과 근접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못이나 나사의 고정수단(5)을 U자형 프레임(3)과 천장(1) 사이의 좁은 틈새를 통해 우물천장(1)의 내벽(2)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쉽지 않고 번거로우며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간접조명은 램프(4)의 유지보수 또는 교체를 위해서는 U자형 프레임(3)을 우물천장(1)에서 분리시켜야 하므로, 램프(4)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램프(4)의 유지보수 및 교체 후 U자형 프레임(3)을 다시 우물천장(1)에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더욱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836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천장에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며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편의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램프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여 비용이 더욱 절감되는 간접조명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천장(1)이나 벽에 형성된 코너부위에 결합되며 천장(1)이나 벽을 따라 연장된 고정판(11)과, 이 고정판(11)의 폭방향 일단에서 직각 돌출된 끼움판(13)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10); 및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고정판(11)과 마주보는 마감판(21)과, 이 마감판(21)의 일단에서 고정프레임(10)의 끼움판(13)이 끼워지는 끼움홈(24)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내측판(22) 및 외측판(23)을 포함하며, 고정프레임(10)의 고정판(11)과 마감판(21) 및 내측판(22)에 의해 램프(4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30)이 형성되는 마감프레임(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조명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끼움판(13)의 적어도 일면에는 걸림홈, 걸림돌기 및 걸림턱(14) 중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마감프레임(20)의 내측판(22) 또는 외측판(23)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걸림홈, 걸림돌기 및 걸림턱(14)에 걸려지는 걸림돌기(25), 걸림홈 및 걸림턱 중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조명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감프레임(20)이 복수개 연결 설치되며, 각 마감프레임(20)의 마감판(21) 및 외측판(23)을 따라 연속적으로 부착되는 띠형상의 장식판(50,51)이 더 구비되고, 상기 마감프레임(20)의 마감판(21) 및 외측판(23)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장식판(50,51)을 정렬시키는 위치정렬돌기(2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조명용 프레임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략 니은자 형상의 고정프레임(10)의 수직부 고정판(11)을 천장(1)의 코너 또는 내벽(2)이나 벽의 코너에 고정시키는데, 정면이 개방된 형태이므로 작업자가 고정프레임(10)의 고정판(11)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0)의 수평부인 끼움판(13)이 끼워지는 끼움홈(24)이 형성되며 램프(40)를 은폐시키는 마감판(21)으로 이루어진 마감프레임(20)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간접조명용 프레임의 설치작업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와 같이, 간접조명용 프레임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비용이 절감되며 작업효율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마감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램프(40)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
한편, 고정프레임(10)의 끼움판(13)에 걸림턱(14),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마감프레임(20)의 내측판(22)이나 외측판(23)에 걸림돌기(25), 걸림홈 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마감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한편, 천장(1)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적어도 복수개의 마감프레임(20)을 연결 설치하게 되는데, 각 마감프레임(20)의 마감판(21) 및 외측판(23)을 일체로 연결하는 띠형상의 장식판(50,51)이 더 구비되어, 마감프레임(20)간의 연결부위가 외부로부터 은폐되므로 미려하며 빛이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마감프레임(20)의 마감판(21)과 외측판(23)의 연결부위에 장식판(50,51)을 정렬시키는 위치정렬돌기(26)가 구비되어, 장식판(50,51)이 삐뚤어지지 않고 정렬되므로 더욱 미려하고 장식판(50,51)의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간접조명용 프레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용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고정프레임의 설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마감프레임을 고정프레임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복수개의 마감프레임을 연결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용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용 프레임은 고정프레임(10) 및 마감프레임(2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간접조명용 프레임은 천장(1)이나 벽에 형성된 코너부위에 설치되는데, 도 3과 같이 일명 우물천장의 코너부위에 설치된 형태를 예시하였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고정판(11) 및 끼움판(13)이 일체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고정판(11)은 띠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천장(1)이나 벽에 형성된 코너부위에 결합되는데, 우물형태의 천장(1)의 코너부위에 고정수단(60)에 의해 고정된다. 끼움판(13)은 고정판(11)의 폭방향 단부에서 직각 돌출되며 고정판(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프레임(20)은 마감판(21), 내측판(22) 및 외측판(23)이 일체로 이루어진다. 마감판(21)은 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내측판(22) 및 외측판(23)은 마감판(21)의 폭방향 일단에서 직각 돌출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돌출된다. 이에 따라, 내측판(22)과 외측판(23) 사이에 폭방향 일단 및 길이방향 양단이 개방된 형태의 끼움홈(24)이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상기와 같은 마감프레임(20)의 끼움홈(24)에 고정프레임(10)의 끼움판(13)이 삽입되도록 마감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 착탈된다. 고정프레임(10)의 고정판(11)과, 마감프레임(20)의 마감판(21) 및 내측판(22)에 의해 램프(40)의 설치공간(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용 프레임은 도 3과 같이 고정프레임(10)의 고정판(11)을 천장(1)의 내벽(2)에 못이나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60)으로 고정시킨다. 고정프레임(10)의 고정판(11)이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고정판(11)을 천장(1)의 내벽(2)에 고정수단(60)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고정프레임(10)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다.
그리고 마감프레임(20)의 끼움홈(24)에 고정프레임(10)의 끼움판(13)이 끼워지도록 마감프레임(20)을 고정프레임(10)에 결합시킨다. 이때, 마감프레임(20)을 결합하기 전에 마감프레임(20)의 내측판(22)에 램프(40)를 설치할 수 있고, 고정프레임(10)의 폭방향 일단이 막혀있지 않고 개방된 상태이므로 도시안된 천장(1)으로부터 돌출되는 전선과 램프(40)의 전선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배선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마감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 결합되면, 램프(40)가 외부로부터 은폐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용 프레임은 고정프레임(10)의 끼움판(13)의 적어도 일면에 걸림홈, 걸림돌기 및 걸림턱(14) 중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감프레임(20)의 내측판(22) 또는 외측판(23)에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걸림홈, 걸림돌기 및 걸림턱(14)에 걸려지는 걸림돌기(25), 걸림홈 및 걸림턱 중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마감프레임(20)은 내측판(22)과 외측판(23)이 고정프레임(10)의 끼움판(13)이 삽입될 때 서로 이격되도록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끼움판(13)에 걸림턱(14)이 형성되고, 마감프레임(20)의 내측판(22)에 걸림돌기(25)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고정프레임(10)의 끼움판(13)이 마감프레임(20)의 끼움홈(24)에 끼워지면, 마감프레임(20)의 걸림돌기(25)가 고정프레임(10)의 걸림턱(14)에 걸려지므로, 마감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용 프레임은 고정프레임(10)의 끼움판(13)이 도 2 및 도 4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상기 걸림턱(22)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용 프레임은 도 5와 같이 복수개의 마감프레임(20)을 연결설치할 때, 각 마감프레임(20)의 마감판(21) 및 외측판(23)을 연속적으로 커버하도록 띠형상으로 이루어진 장식판(50,5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장식판(50,51)은 아크릴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마감프레임(20)의 마감판(21)과 외측판(23)의 연결부위에는 장식판(50,51)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위치정렬돌기(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마감프레임(20)을 연결설치할 때, 마감프레임(20)의 날카롭거나 마감처리가 미흡한 단부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감프레임(20)의 연결부위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고 이 틈새로 빛이 새어나갈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장식판(50,51)에 의해 이와 같은 문제가 해결된다. 더욱이, 장식판(50,51)이 마감프레임(20)의 위치정렬돌기(26)에 의해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이 더욱 향상되고 더욱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천장 10 : 고정프레임
11 : 고정판 13 : 끼움판
14 : 걸림턱 20 : 마감프레임
21 : 마감판 21 : 마감판
22 : 내측판 23 : 외측판
24 : 끼움홈 25 : 걸림돌기
30 : 설치공간 40 : 램프
50,51 : 장식판

Claims (3)

  1. 천장(1)이나 벽에 형성된 코너부위에 결합되며 천장(1)이나 벽을 따라 연장된 고정판(11)과, 이 고정판(11)의 폭방향 일단에서 직각 돌출된 끼움판(13)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10); 및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고정판(11)과 마주보는 마감판(21)과, 이 마감판(21)의 일단에서 고정프레임(10)의 끼움판(13)이 끼워지는 끼움홈(24)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내측판(22) 및 외측판(23)을 포함하며, 고정프레임(10)의 고정판(11)과 마감판(21) 및 내측판(22)에 의해 램프(4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30)이 형성되는 마감프레임(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조명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끼움판(13)의 적어도 일면에는 걸림홈, 걸림돌기 및 걸림턱(14) 중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마감프레임(20)의 내측판(22) 또는 외측판(23)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걸림홈, 걸림돌기 및 걸림턱(14)에 걸려지는 걸림돌기(25), 걸림홈 및 걸림턱 중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조명용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프레임(20)이 복수개 연결 설치되며, 각 마감프레임(20)의 마감판(21) 및 외측판(23)을 따라 연속적으로 부착되는 띠형상의 장식판(50,51)이 더 구비되고, 상기 마감프레임(20)의 마감판(21) 및 외측판(23)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장식판(50,51)을 정렬시키는 위치정렬돌기(2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조명용 프레임.
KR1020210023627A 2021-02-22 2021-02-22 간접조명용 프레임 KR20220120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627A KR20220120020A (ko) 2021-02-22 2021-02-22 간접조명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627A KR20220120020A (ko) 2021-02-22 2021-02-22 간접조명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020A true KR20220120020A (ko) 2022-08-30

Family

ID=8311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627A KR20220120020A (ko) 2021-02-22 2021-02-22 간접조명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00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834B1 (ko) * 2022-10-28 2023-12-01 주식회사 엘엔피 이음부가 없는 외벽부재를 구비하는 우물천장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362U (ko) 2010-02-22 2011-08-30 김두환 천장 간접조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362U (ko) 2010-02-22 2011-08-30 김두환 천장 간접조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834B1 (ko) * 2022-10-28 2023-12-01 주식회사 엘엔피 이음부가 없는 외벽부재를 구비하는 우물천장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969B2 (en) Ligh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 surface structure
US8109659B2 (en) Lighting fixture for an architectural surface structure
KR101920027B1 (ko) 건축용 마감패널 조립체
CA2655346A1 (en) Lighting device and lens assembly
KR101724546B1 (ko) 평판조명
KR102276897B1 (ko) 천장 직부형 평판조명기구의 설치구조
KR101669955B1 (ko) 간접조명용 프로파일
KR20220120020A (ko) 간접조명용 프레임
KR20100084863A (ko) 스크린 루바 및 스크린 루바의 결합 구조
KR102094122B1 (ko) 일체형 엘이디 조명등
KR100933525B1 (ko) 스크린 루바
KR101376822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천장마감재
KR200376109Y1 (ko) 간접조명용 프레임구조
JP2007297831A (ja) ふかし枠、及び、建具
KR20160123170A (ko) 마감패널 결합구 및 이를 구비한 천장 및 벽면 마감장치
KR101883399B1 (ko) 단 꺾임 천장 실내 조명박스 설치장치
KR101407195B1 (ko) 스크린 루바
KR20180003249U (ko) 평면등용 프레임 설치장치
US6944995B2 (en) Prefabricated frame for ceiling fan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KR102113490B1 (ko) 천장 히든점검구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KR100978199B1 (ko) 천장등 케이스와 커버의 결합장치
KR100769486B1 (ko) 천정 매입형 등기구 갓
KR20180077687A (ko) 간편 체결 조립 및 마감 구조를 갖는 조명등 프레임
KR200382095Y1 (ko) 간접조명용 프레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