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615A - 폐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615A
KR20220119615A KR1020227020959A KR20227020959A KR20220119615A KR 20220119615 A KR20220119615 A KR 20220119615A KR 1020227020959 A KR1020227020959 A KR 1020227020959A KR 20227020959 A KR20227020959 A KR 20227020959A KR 20220119615 A KR20220119615 A KR 20220119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idewall
slit
via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쉘 알랭 장 마리 카디오
어니스트 그렘 하비
저스틴 데이비드 아담스
비자이 탐비아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1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6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collecting or disposing of us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67Modular design or construction, i.e. subunits are assembled separately before being joined together or the device comprises interchangeable or detachable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305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devices or blood samp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8Strips for collecting blood, e.g. absorb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3006Nested ca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abet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원은 진단용 바이오센서와 같이 대체로 편평한 스트립-형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용된 또는 오염된 물품을 저장할 수 있게 하는 폐기 용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기 용기는 공급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폐기 용기의 벽에는 삽입부가 제공된다. 삽입부는 좁은 슬릿을 통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의 장착을 안내하도록 외부에 구성된 윤곽을 갖고, 상기 윤곽은 추가로, 물품의 자유로운 탈착을 야기할 슬릿과의 우발적인 정렬 방향으로부터, 폐기 용기의 내부 공간에 있는 느슨한 물품이 편향되게 내부가 구성된다. 폐기 용기는 결합 부분을 통해 저부-캡 구성 또는 병렬 구성으로 원형 또는 비-원형 바이알과 같은 공급 용기와 결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 시스템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19년 12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번호 62/953258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그 개시 내용은 전체가 참조로 본원에 포함되어 있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특정한 폐기 시스템(disposal system), 즉 작고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용 용기, 특히 작고 편평한 스트립-형태의 물품을 수용하게 구성된 바이알(vial)에 장착 가능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보조 용기, 특별하게는 대체로 편평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용되었거나 오염된 바이오센서용 폐기 용기에 관한 것이며, 용기는 미사용 바이오센서를 포함하는 바이알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그러한 바이오센서의 용이한 보관 및 보관 후 폐기 용기의 내부로부터의 바이오센서의 제한된 제거를 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용기 내에 사용되었거나 오염된 바이오센서를 수용하고 저장하기 위한 특정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은 기재로서, 본 발명은 바이알과 같은 별개의 용기에 장착하기에 적절한 크기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특정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혈액 또는 간질액과 같은 체액을 트리글리세리드, 케톤 또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와 같은 여러 특성을 분석하는 사람은, 바이오센서와 같은 사용한 검사 기구를 폐기해야 한다. 사용한 란셋(예: 체액 샘플을 채취하기 위해 사람의 피부를 찌르는 데 사용됨) 및/또는 사용한 바이오센서를 모두 보관할 수 있는 폐기 기구가 개발되어 있다. 란셋 또는 바이오센서는 체액에 노출된 후에는, "사용되었음"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폐기 기구는 란셋과 바이오센서의 폐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을 수용하게 구성된 개구부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바이오센서와 같은 작고 편평한 형태의 물품을 수용하고 보유해야 하는 독특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구성된 용기를 갖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자신의 혈당 수치를 검사하는 환자는 사용한 바이오센서를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폐기해야 하는 상황에 종종 직면한다. 공공 장소에서, 이러한 환자들은 사용한 바이오센서가 위생적인 방식으로 폐기되는 폐기 기구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종종 이러한 환자들은 사용한 바이오센서를 환자가 위생적으로 폐기할 수 있을 때까지 휴대하고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집과 같은 개인 환경에서 환자는 집에서 사용한 바이오센서를 위생적으로 폐기하고 수용할 수 있는 적절한 폐기 기구를 찾기 위한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해야만 한다. 이러한 장애에 직면한 환자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시간 간격으로 이행되는 혈당 수치 검사를 건너뛰기 때문에, 부적절한 혈당 수치, 심지어 사망 가능성이 있는 높은 위험에 처할 수 있다. 또는 이들은 사용한 바이오센서가 조리대, 가구, 바닥, 테스트 키트 팩, 또는 서랍이나 신발장과 같은 다른 물품의 주변에 어지롭게 놓여지는 부적절한 방식으로 기구를 폐기 한다. 실제로, 많은 환자들은 사용된 바이오센서가 불치의 만성질환을 상기시키는 '어디서나' 발견되는 경우, 불만을 드러낸다.
바이오센서 폐기 용기가 갖고 있는 또 다른 잠재적인 문제는, 일반적으로 혈당계와 같은 시험 기구 및 사용자가 이미 필요로 하는 바이오센서 바이알과 같은 공급 용기와 별도로 추가적으로 용기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추가 항목은 많은 당뇨병 환자가 선호하는 질병에 대한 재량권을 손상시키며, 개인이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해서 별도의 기구 및 용기를 검색하여 모든 항목을 추적해야 한다.
바이오센서와 관련된 흔히 있는 또 다른 문제는 사용한 바이오센서를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폐기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바이오센서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의료 종사자는 오염된 바이오센서로 타인 또는 자신을 우발적으로 만져서 잠재적으로 타인이나 자신을 질병에 노출시키기를 원하지 않을 것입니다.
바이오센서 폐기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분야는 별도의 자급식 및 일회용(즉, 1회 사용용) 폐기 용기가 쓰레기 또는 매립지 수집을 위해 폐기되는 물품의 양을 늘어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일회용 폐기 용기에 사용된 바이오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추가 용량을 갖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용기 전체가 폐기되며, 용기 자체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수용된 바이오센서의 총 용량보다 더 큰 용량을 형성하는 외부 프로파일을 갖고 있다. 사용하는 동안 바이오센서를 보유하지만 추가 사용을 하기 위해 비워질 수 있는 용기를 갖는 다는 것은, 용기 자체로부터의 폐기물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채워졌을 때 항상 폐기되는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자원도 줄여준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확인된 추가적인 문제는: (i) 당뇨병 환자가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위험 물질로 간주될 사용된 검사 스트립을 저장하는 추가 용기 또는 백을 가지고 다니는 것; (ⅱ) 일부 환자는 사용한 검사 스트립을 일반 쓰레기통에 간단히 버리고 나중에 적절하게 폐기할 수 있을 때까지 주머니, 지갑 또는 기타 편리한 장소에 보관하는 것; (ⅲ) 현재의 폐기 시스템은 휴대하기가 번거롭거나 사용하지 않은 테스트 요소를 공기, 빛 또는 습기에 대한 과도한 노출로 인한 오염 또는 손상 위험에 노출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 (ⅳ) 현재의 폐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재사용할 수 없으며, 살균 소독하기가 쉽지 않은 것; (v) 개인 물품 안팎에서 사용한 검사 스트립을 지속적으로 상기시킨다는 것은 당뇨병 환자의 심리적 건강에 추가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이 분야에서는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요약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다른 목적은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달성되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해결책 중에는, (i) 사용한 테스트 요소를 폐기할 때 사용하지 않은 테스트 요소의 오염 또는 손상(예: 생물학적 유체, 산화, 습도 등)의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해 분리 가능한 격리된 구획 및 개구부; (ⅱ) 사용한 검사 스트립을 사용하지 않은 검사 스트립과 분리하여, 우발적인 스트립의 재사용 위험의 최소화; (ⅲ) 생물학적 위험 혈당 검사 스트립에 대한 적절한 폐기를 지원하고, 쉽게 비우고, 소독하고, 재사용할 수 있는 설계; (ⅳ) 사용한 검사 스트립을 보이지 않게 쉽고 적절하게 폐기하여, 당뇨병 환자의 심리적 건강을 도와줌; (v) 오염된(사용된) 혈당 검사 스트립(바이오센서)을 폐기할 때까지 보관 용기 밖으로 떨어지는 스트립을 걱정하지 않고, 용기에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하는, 편리한 보관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V" 슬롯 설계로 이루어진 스냅-온 바이알 스트립 폐기 용기; 및 (ⅵ) 사용한 혈당 검사 스트립이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적절한 시간에 폐기될 수 있게 보장하는 손쉬운 "스냅-온, 스냅-오프" 산업 디자인,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공급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폐기 용기를 포함하고, 좁은 슬릿을 통해 바이오센서의 부착을 안내하게 구성된 외부 윤곽과, 바이오센서의 자유로운 탈착을 야기할 슬릿과의 우발적인 정렬 방향으로부터 느슨한 바이오센서가 편향하게 구성된 내부 윤곽을 갖는 용기의 벽에 제공된, 사용된 바이오센서 삽입부를 구비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되었거나 오염된 복수의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예를 들어, 혈당 바이오센서)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서, 용기는 주변부를 갖는 대체로 평면인 베이스 및, 베이스의 주변부로부터 상부 개구부까지 상향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및 측벽은 리셉터클 부분 및 결합 부분을 갖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리셉터클 부분은 베이스에 대해 근위에 위치하고, 혈당 바이오센서와 같은 복수의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을 수용 및 보유하게 구성된다. 결합 부분은 베이스에 대해 원위에 위치하며, 상부 개구부 근방에서의 피팅 결합(fitted engagement)을 통해 바이알의 하부 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수용 및 보유하게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결합 부분은 펜 및 펜 캡과 유사한 방식으로, 저부 캡 구성으로 바이오센서 공급 바이알의 저부와 결합한다. 용기의 측벽은 단일의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을 리셉터클 부분 내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삽입부를 갖는다. 이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슬릿은 베이스에 수직 배향된다. 삽입부는 부가로 측벽의 외부로부터 슬릿으로 내측으로 점감된 대체로 평면이며 경성으로 형성된 1쌍의 대향 표면을 포함하고, 슬릿은 일반적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이 수렴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슬릿의 공간 배치가 측벽에서 삽입하게 있다. 점감된 대향 표면은 일반적으로 슬릿을 통해 리셉터클 부분으로 삽입하기 위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의 정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측벽은 내부 표면을 더 포함하고, 결합 부분의 내부 표면은 내부에 수용되는 바이알의 외부 표면에 대응하는 윤곽이 형성된다. 내부 표면은 상부 개구부로부터 하향하여 이격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으로 연장된 렛지(ledge)를 더 포함한다. 렛지는 결합 부분에서 리셉터클 부분으로의 과도부를 나타내도록 제공되고, 결합 부분에 수용된 공급 바이알 부분이 리셉터클 부분으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 정지부를 포함한다. 삽입부의 내부 표면은 내측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에 따라 윤곽이 이루어져서, 리셉터클 부분 내에 포함된 느슨한 편평한 스트립-형태의 물품을, 상기 물품의 자유로운 탈착을 야기할 수 있는 슬릿과의 우발적인 정렬 방향으로부터 편향되게 구성된 내부 디플렉터(interior deflector)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부 개구부에 근접한 피팅 결합은 결합 부분에서 측벽의 내부 표면에 제공된 스냅-피팅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스냅-피팅 시스템은 결합 부분에서 측벽의 내부 표면에 위치한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탭을 포함하고, 탭은 렛지에서 또는 렛지 약간 위에서 상부 개구부로부터 하향하여 이격 분리되고 그리고 결합 부분에 삽입된 바이알의 하부에 제공된 대응 융기부와 마찰 결합하게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대안적인 양태에서는, 피팅 결합이 스냅-피팅 시스템이 아닌, 마찰 유지 구성을 포함하며, 결합 부분의 내부 표면 및 상부 개구부는 내부에 삽입될 바이알 하부 부분의 외부 치수에 따라 성형된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슬릿은 대략 수직 배향을 갖고, 삽입부는 베이스로부터 상향하여 이격된 위치에서 측벽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슬릿은 이를 통해 삽입되도록 의도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의 길이 및 폭 만을 수용하도록 치수화된 길이 및 폭을 갖는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슬릿의 길이 및 폭의 치수는 이를 통해 삽입되도록 의도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의 단면 길이 및 폭보다 5% 내지 50% 이하로 커서, 이에 의해 리셉터클 부분 내에서 느슨한 물품의 우발적인 정렬이 최소화 된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베이스는 비-원형 형상을 갖는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베이스는 대략적인 타원형의 형상을 포함하며, 베이스와 인접한 측벽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둥근 짧은 단부를 갖는 대략적인 타원형의 실린더를 포함하고, 삽입부는 제1 및 제2 짧은 단부 중 하나에서 측벽에 위치하게 된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베이스와 제1 짧은 단부에서의 측벽과의 사이의 내각이 90도 미만의 0도와 30도 사이에 있고 그리고 베이스와 제2 짧은 단부에서의 측벽과의 사이의 내각이 제1 짧은 단부에서의 내각에 대해 90도를 초과하는 대응 각도가 되도록, 측벽은 비수직적으로 베이스로부터 상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결합 부분으로부터 리셉터클 부분을 완전히 분할하기 위해 렛지가 내부 공간 내에서 완전하게 연장되지 않는 이 실시예의 양태에서는, 용기가 대응하는 형상의 바이알과 결합할 수 있고, 바이알은 디바이더를 제공하고, 측벽의 삽입부에 있는 슬릿에 의해 제공되는 것 이외에는 환경으로부터 리셉터클 부분을 폐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는 사용자가 리셉터클 부분에 포함된 임의의 물품을 폐기하고자 하는 경우, 바이알과의 결합으로부터 이탈하여, 리셉터클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고, 여기서 임의의 물품은 상부 개구를 통해 적절하게 폐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공급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폐기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좁은 슬릿을 통한 바이오센서의 장착을 안내하도록 외부적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바이오센서의 자유로운 탈착을 야기할 슬릿과의 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정렬 방향으로부터 느슨한 바이오센서를 편향시키도록 내부적으로 구성되는 윤곽을 가진 용기의 벽에 제공된 사용된 바이오센서 삽입부를 구비한다. 삽입부는 부가로 측벽의 외부로부터 슬릿으로 내향하여 점감된 대략적으로 평면인 1쌍의 경성 대향 표면을 포함하고, 슬릿은 일반적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이 수렴하는 영역에서 정의되어, 슬릿의 공간 구조가 측벽에서 삽입되게 있다. 점감된 대향 표면은 일반적으로 슬릿을 통해 리셉터클 부분으로 삽입하기 위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벽은 내부 표면을 더 포함한다. 삽입부의 내부 표면은 내측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에 따라 윤곽이 형성되어, 리셉터클 부분 내에 포함된 느슨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을, 상기 리셉터클의 자유로운 탈착을 야기할 수 있는 슬릿과의 우발적인 정렬방향으로부터 편향시키게 구성된 내부 디플렉터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벽은 바이알과 결합하게 구성된 외부 표면 부분을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 예에서, 외부 표면 부분은 대응하는 바이알의 측벽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측면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바이알은 직립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폐기 용기의 외부 표면 부분은 바이알 원주의 약 10도 내지 약 180도에서 원통형 측벽의 일부를 수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폐기 용기의 외부 표면 부분은 바이알과 편향 가능한 마찰 결합을 하게 구성된 적어도 1쌍의 클립 아암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폐기 용기는 폐기 용기가 장착되는 바이알 또는 다른 공급 용기를 지지하기 위해 폐기 용기의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바닥 플랫폼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폐기 용기는 해치를 폐기 용기에 고정시키는 리빙 힌지를 갖는 해치를 포함하고, 좁은 슬릿을 통해 내부에 장착된 폐기 용기의 내용물은 해치를 개방하여 폐기 용기로부터 비워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된 바이오센서와 같은 많은 물품을 수용하는 데 더 사용하기 위해 좁은 슬릿을 통하지 않고, 해치는 환경으로부터 폐기 용기의 리셉터클 부분을 폐쇄하기 위해 폐쇄 위치로 돌아온다.
이러한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삽입부가 폐기 용기의 상부 벽에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폐기 용기의 상부 벽에 제공된 삽입부는 폐기 용기를 공급 용기(예를 들어, 플립-탑 바이알)에 제공된 뚜껑의 힌지와 정렬하기 위한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용기는 일반적으로 폐기 용기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한, 폐기 용기의 상부 벽의 삽입부분에 인접한 브래킷 사이에 플립-탑 바이알의 힌지를 정렬시켜서, 바이알 뚜껑이 삽입부의 사용을 방해하고, 바이알의 뚜껑이 열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삽입부가 바이알에 제공된 미사용 바이오센서로부터 격리되는 이점을 갖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폐기 용기는 리셉터클 부분의 내부를 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직립 벽 또는 상향 연장되는 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리셉터클 부분의 내부 공간의 시각화를 가능하게 하는 투명 창 또는 반투명 창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벽 또는 측벽은 적어도 리셉터클 부분 주위에 투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서, 필요에 따라 리셉터클 부분의 내부 공간에서, 전체가 아닐지라도, 대부분이 상기 재질을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다. 창의 이러한 양태 또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사용으로, 사용자는 리셉터클 부분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용기의 리셉터클 부분이 추가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비워져야 할 용량에 도달했을 때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삽입부의 좁은 슬릿에 있는 내부 표면은 삽입부에서 내부 표면의 윤곽에 의해 형성된 내부 디플렉터와 협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슬릿을 통해 용기로부터 바이오센서가 우발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폐기 용기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에 의한 그립 기능이 향상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서, 외부 표면은 사용자의 손가락 끝으로 조작될 때 촉각 그립을 제공하는 표면 특징 또는 윤곽을 제공하는 부분과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끄럼 방지 고무와 같은 별개의 재료가 사용자에게 자연적인 촉각 그립을 제공하는 복수의 융기된 '점(dots)' 또는 유사한 표면 특징과 같은 것이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향상된 그립 기능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공급 바이알에 폐기 용기를 부착하거나 그로부터 탈착할 때, 폐기 용기의 더 나은 취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 및 예를 통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은 도면과 함께 보았을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원에서 유사한 구조는 유사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었다.
도 1은 비-원형 바이알에 저부 캡으로 장착된 사용 상태에 있는 폐기 용기의 실시예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의 실시예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도 2의 용기의 실시예의 평면도 이다.
도 4는 도 2의 용기의 실시예의 단면 사시도 이다.
도 5는 도 2의 용기의 실시예의 단면도 이다.
도 6은 사용 상태 및 사용 상태와는 별도로 나란히 도시한 도 1의 용기에 대한 사시도 이다.
도 7은 원형 플립-탑 바이알의 측면에 장착된 사용 상태로 있는 폐기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이다.
도 8은 도 7의 용기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이며, 용기는 폐쇄 위치에 있는 저부 해치를 포함한다.
도 9는 저부 해치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8의 용기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저부 해치가 분리되어 용기와 결합된 리셉터클 부분 및 원형 플립-탑 바이알을 도시한, 도 8 및 도 9의 용기에 대한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 이다.
도 11은 용기의 바닥이 저부 해치 없이 고정된 도 8의 용기에 대한 다른 대안 실시예의 사시도 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용기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 이다.
도 13은 용기의 결합 부분에 의해 수용될 원형 플립-탑 바이알에 인접하여 위치된 도 12의 용기를 나란히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4는 원형 플립-탑 바이알에 저부 캡 스타일로 장착된 사용 상태에 있는 폐기 용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 입면도 이다.
도 15는 도 14의 폐기 용기의 실시예의 평면도 이다.
도 16은 도 14의 용기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 이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사용자에 의한 용기에 대한 향상된 그립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일체로 형성되거나 표면 코팅된 표면 특징부를 포함하는 용기의 실시예(a)-(d)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원의 기재는,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하에 기재하는 상세한 설명 및 예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제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고 특정 기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기술 한다. 그러나, 그 기재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기재된 실시예에서의 임의의 변경 및 추가 수정, 그리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리의 임의적인 추가 적용은 본 발명이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어려움 없이 이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매우 상세하게 도시되었더라도, 본 발명과 관련이 없는 일부 특징들은 명료한 도시를 위해 도시되지 않았을 수 있음을,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분명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혈당 검사 스트립과 같은 생물학적 유체 샘플 바이오센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편평한 스트립 형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용되었거나 오염된 물품(12)을 위한 폐기 용기(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용기는 바이알(14) 또는 미사용 물품을 공급하는 다른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그리고 특정하게 설계된 삽입부(16)을 구비하여 용기의 리셉터클 부분(18)으로 물품을 삽입하기 용이하고 그리고 리셉터클 부분으로부터 물품을 제거 또는 인출(우발적 또는 의도적인 경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원칙으로서, 본 발명의 폐기 용기는 특허 청구된 특정 실시예 또는 양태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서로 다른 다양한 바이알과 함께 사용하는 외부 프로파일 구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공급 용기(1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폐기 용기(10)를 포함하며, 외적으로 좁은 슬릿(22)을 통해 바이오센서(12)의 장착을 안내하게 구성되고 그리고 내적으로 바이오센서의 자유로운 탈착을 야기할 슬릿과의 우발적인 정렬을 느슨한 바이오센서(12')가 피하게 구성된 윤곽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벽(20)에 제공된 사용-바이오센서 삽입부(16)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삽입부(16)는 일반적으로 슬릿(22) 및 용기(10)의 벽(20)의 윤곽 부분(24)을 포함한다. 삽입부(16)는 외적으로 점감된 면(26)의 수렴(28)에 의해 형성되는 슬릿(22)을 향한 방향으로 'V'-형 구조로 내측으로 경사진 1쌍의 대체로 평면인 대향 면(26)을 정의 한다. 점감된 면(26)은 일반적으로 슬릿을 통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12)이 슬릿(22)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퍼넬(funnel)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내적으로, 삽입부(16)에 용기의 벽(20)은 디플렉터(30)를 형성하며, 디플렉터는 슬릿(22)으로부터 느슨한 물품(12')을 편향시키는 역할을 하여, 일반적으로 물품이 슬릿을 통해 역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폐기 용기(10)에서 삽입부(16)의 위치는 용기 전체의 구성 및 폐기 용기가 장착될 수 있는 바이알(14) 또는 다른 공급 용기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 위치는 느슨한 물품이 슬릿을 통해 용기 밖으로 역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식으로 느슨한 물품(12')이 슬릿(22)과 완전하게 정렬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플렉터(30) 기능의 효율성이 최적화하게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부(16)는 폐기 용기의 측벽(32) 상에 위치하고, 용기의 저부(34)에 직교하는 배향으로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삽입부(16)는 폐기 용기(10)의 측벽(32)에 위치하고, 용기의 저부(34)로부터 상향하여 간격을 두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삽입부(16)는 용기(10)의 상부 벽(36)에 제공되며, 물품(12')은 일반적으로 용기의 바닥에 놓여지고, 슬릿(22)을 통한 추출을 하기 위해서 느슨한 물품(12')을 정렬시키기 위해 용기를 흔들거나 또는 거꾸로 뒤집어야 할 필요가 있지만, 디플렉터(30)는 슬릿으로부터 물품을 효과적으로 편향시키는 것이다. 용기(10)에서 삽입부(16)의 위치에 대한 다른 유용한 선택은 본 명세서의 설명을 고려하면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분명히 선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 용기(10)는 비-원형 바이알(14')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용기(10)가 바이알(14')의 저부(40)에 스냅-피팅 또는 마찰-피팅 될 수 있는 저부 캡 구성(38)으로 바이알에 장착 된다. 용기의 외부 구성은 장식 목적으로 바이알의 외부 구성과 일치시켜, 용기가 단지 바이알에 대한 확장부로 나타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ACCU-CHEK 가이드 검사 스트립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바이알과 같은 타원형 바이알이 측면 프로파일 관점에서 보았을 때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있는 경우(여기서 바이알의 전방 벽은 바이알의 베이스와 둔각을 형성하고, 반면에 바이알의 후방 벽은 바이알의 베이스와 예각을 형성함),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의 폐기 용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보적인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고, 저부(34)와 전방 벽(66)의 각도(α)는 일반적으로 둔각이고 반면에, 저부(34)와 후방 벽(67) 사이의 각도(β)는 일반적으로 예각이다. 일 양태에서, 각도(α)는 90도 보다 크고 120도 보다 작고, 각도(β)는 90도 미만 이고 60도 초과이다. 다른 양태에서, 각도(α 및 β)는 일반적으로 동등하게,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전방(66) 및 후방(67) 벽을 구성하도록 각각 90도 보다 크거나 작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는 주변부(44)를 가진 대체로 평면인 베이스(42) 및 주변부로부터 상부 개구(46)까지 상향 연장되는 측벽(32)을 포함한다. 베이스(42) 및 측벽(32)은 내부 공간(48) 및 결합 부분(50)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리셉터클 부분(18)을 포함하고, 느슨한 물품(12')은 용기 내로 삽입된 후 유지되고, 상기 결합 부분은 대응하는 바이알의 외부의 일부를 보유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결합 부분(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원형 바이알(14')의 저부 단부(4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부분(18)은 베이스(42)의 근위에 위치되고 그리고 바이오센서와 같은 복수의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12), 심지어는 혈당 검사 스트립 등과 같은 것을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한 크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결합 부분(50)은 베이스(42)의 원위에 위치되고 그리고 바이알의 일부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고 보유하게 구성된다. 결합은 일반적으로 바이알의 일부가 상부 개구부(46)를 통해 수용되는 피팅 결합이다. 일 양태에서, 피팅 결합은 스냅 피팅 결합을 포함하며, 그 구조적 양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다른 양태에서, 피팅 결합은 펜 캡과 펜의 필기 단부 또는 하단 끝단과의 결합과 같은 마찰 결합을 포함한다.
외부 환경으로부터 리셉터클 부분(18)의 내부 공간(48)으로 통과하기 위한 단일의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12)을 수용하게 구성된 슬릿(22) 또는 다른 좁은 개구를 포함하는 삽입부(16)는, 리셉터클 부분(18)에 인접한 측벽(32)에 선택적으로 배치 된다. 삽입부(16)는 일반적으로 측벽(32)의 외부(52)로부터 슬릿(22)까지 내측으로 점감된 대체로 평면인 1쌍의 대향 표면(26)을 포함한다. 슬릿(22)은 일반적으로 대향 표면(26)의 수렴부(28)에 형성 된다. 일 양태에서, 대향 표면(26)은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12)이 리셉터클 부분(18)으로 슬릿(22)을 통해 지나가게 퍼넬 및 배향하게 하는 'V' 형태의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대향 표면(26)의 구성은 슬릿(22)과 물품(14)의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내부 공간(48) 내에서, 측벽(32)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요소를 갖는 내부 표면(54)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표면(54)은 윤곽이 형성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부 개구부(46)로부터 하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렛지(56)를 포함하며, 이는 결합 부분(50)에서 리셉터클 부분(18)으로의 과도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2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부(58)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렛지(56)가 결합 부분(50)이 리셉터클 부분(18)과 접하는 곳에 설치되어, 상부 개구부(46)를 통해 수용된 바이알(14)이 견부(58)에 도달하여 결합 부분(50)과 결합하게 진행하도록 할 수 있고, 이는 바이알 바닥이 견부에 도달할 때 정지 요소로서 기능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렛지(56)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리브(rib) 또는 탭(60)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리브 또는 탭(60)은 바이알의 바닥 주변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공된 대응하는 특징을 갖는 바이알(14)과의 스냅-피팅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스냅-피팅 시스템이 가진 하나의 특징을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구조의 공동 내에 수용되는 하나의 구조를 결합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결합되는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는 대향하는 리브 또는 탭을 포함하는, 이러한 스냅-피팅 결합 시스템의 전형적인 특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삽입부(16)에서 측벽의 내부 표면(54)은 내측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26)에 의해 정의된 윤곽을 따르며, 그 결과로 슬릿(22)으로부터 멀어지는 느슨한 물품을 편향시키는 내부 디플렉터(30)를 형성한다. 즉, 디플렉터는 본질적으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이 슬릿(22)을 통해 리셉터클 부분(18) 내에 장착하게 제공되었을 때 내측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26)으로부터 발생하는 퍼넬 작용과는 반대로 작용하며, 리셉터클 부분으로부터 물품의 자유로운 탈착 또는 제거를 허용할 수 있는 슬릿과의 느슨한 물품(12')의 우발적인 정렬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도 5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6)는 베이스(42)로부터 상측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 측벽(32)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리셉터클 부분(18) 내에 물품(12')의 보다 안전한 보유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22)은 베이스(42)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다. 이 배향으로, 슬릿(22)과의 완벽한 정렬을 하는 데 요구되는 수직 위치로 재배향되어, 대체로 수평한 배향으로 리셉터클 부분(18)에 놓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편평한 스트립-형태 바이오센서와 같은 느슨한 물품(12')에 대해서도 훨씬 더 어렵게 되거나 가능성이 낮아진다.
일 양태에서, 슬릿(22)은 길고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12)의 좁은 단부(64)를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다. 이 치수는 슬릿을 통한 물품의 통과를 위한 물품의 매우 특정한 정렬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이것은 또한 외부 환경과 리셉터클 부분(18)의 내부 공간(48)과의 사이의 개구 면적을 최소로 하기도 한다. 다른 양태에서, 슬릿(22)의 치수는 리셉터클 부분(18)에의 장착을 목적으로 하는 물품 단부(64)의 길이 및 폭에 대응하는 길이 및 폭 이외에, 물품(12)이 충분히 통과하게 하기 위한 길이 및 폭 각각에 최소 백분율 초과분을 더한 치수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슬릿의 길이 및 폭의 치수는 물품의 각각의 길이 및 폭의 치수보다 5% 이상의 치수이고 50% 를 초과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6)은 폐기 용기(10)의 전방 벽(66)에 배치되며, 여기서 '전방'은 그 실시예에 대한 맥락의 목적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특정 바이알에 대한 표현이다. 본 개시를 가짐으로써, 삽입부는 또한 비-원형 용기(14')의 긴 측면(68), 또는 비-원형 용기(14')의 후방 벽(67)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바이알의 '전방' 배향은 이 실시예와 관련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실제로 비-원형 바이알(14)은 비-원형 바이알의 긴 측면에서 또는 짧은 측면상에서 힌지되는 뚜껑(70)을 가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한 폐기 용기(1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삽입부(16')가 폐기 용기의 상부 벽(36)에 배치되고, 용기는 원형 플립-탑 바이알(14")과 장착 가능한 결합을 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결합 부분에 의한 부착 방식은 설계 선호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7,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합 부분(50')과 리셉터클 부분(18')은 도 1의 실시예의 상하 관계와 대조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나란히 있는 관계에서, 결합부(50')는 수직으로 배향된 원형 플립-탑 바이알(1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그에 따라 원형 바이알(14")의 외부 윤곽(75)과 일치하는 오목부(74)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를 바이알(14")에 결합해제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부착 방식은, 바이알(14")의 원주부의 적어도 일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유 구조(76)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보유 구조(76)는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하는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클립 아암(78)을 포함하며, 여기서 바이알(14")은 클립 아암(78) 사이에서 바이알을 측방향으로 강제하거나 또는 클립 아암의 그립 내로 하측으로 바이알을 슬라이딩 함으로써 용기(10)와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보유 구조(76)는 바이알(14")이 그를 통해서 슬라이딩되는 링(8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CCU-CHEK Aviva 혈당 검사 스트립을 포함하는 데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전형적인 원형 플립-탑 바이알(14")에서, 바이알의 상부 개구부(84) 주위에 위치한 플랜지(82)는, 바이알(14")이 링(80)을 통해서 완전히 슬라이딩하지 않게 정지부로서 작용 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결합부(50')는 결합부(50')의 보유 구조(76)에 결합된 바이알을 지지하기 위해 리셉터클 부분(18')의 베이스(42')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플랫폼(81)을 포함한다. 클립 아암(78) 또는 링(80) 또는 지지 플랫폼(81)에 대한 일 양태에서는, 바이알이 결합부(50')와의 바이알의 견고하고 안정한 결합을 달성하게 마찰적으로 고정되도록, 반경은 보유 구조(76) 내에서 바이알(14")이 충분히 긴밀한 피팅으로 결합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개구부가 용기의 상부에 제공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도 7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그리고 도 13에 명료하게 도시된, 용기(10)의 벽(32')은 리셉터클 부분(18')의 내부 공간(48')이 측방향으로 개방되는 측면 개구(46')를 정의하여, 리셉터클 부분(18')이 결합 부분(50')과 바이알(14")이 결합될 때만 환경에 (삽입부(16')의 슬릿(22')을 통한 것 외에) 대해 폐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부분(18')은 바이알(14")을 결합해제하여 측면 개구(46')를 통해 내용물(12')을 분리하여 내용물을 비울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결합 부분(50')에서 용기(10)의 오목 부분(74)은, 사용되었거나 오염된 물품(12')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동안, 측면 개구부(46')를 폐쇄하기 위해 바이알의 외부 표면(75)과 일치하도록 밀접한 윤곽을 형성한다. 또한 이 양태에서, 보유 구조(76)의 아암(78)은 측면 개구부에 대해 바이알을 고정하도록 유사하게 구성된다.
도 7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용기의 벽(32')은 삽입부에 슬릿(22')이 배치되어 가능하게 된 접근부를 제외하고는 용기의 내부 공간(48')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이와 같이, 이런 양태의 용기는 일반적으로 그 내용물(12')을 비울 수 없고, 그 결과 가득 차거나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체 용기(10)를 폐기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대안적인 양태(도 8 내지 도 10 및 도 11)를 도시하며, 용기(10)의 결합 부분(50')의 보유 구조(76)는, 바이알(14")을 수용하고 그리고 마찰 결합하는 리셉터클 부분(18')에 인접하여 바이알을 분리가능하게 보유하는 컵 형상의 지지 플랫폼(81)을 포함 한다. 컵 형상의 지지 플랫폼(81)은 예를 들어 컵 바닥의 주변부로부터 상승하는 상향 연장 주변 벽(8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구조(76)는 용기(10)에 대한 정적 요소이고, 리셉터클 부분(18')에 인접하여 일체적으로 제조된다. 도 7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일 양태에서는 리셉터클 부분(18')이 용기(10)와 바이알(14")과의 결합으로 폐쇄되는 측면 개구(46')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셉터클 부분(18')의 내부 공간(48')이 용기가 바이알과 결합하지 않을 때 비워지게 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양태에서는 측면 개구부가 없고 그리고 용기(10)의 벽(20')은 삽입부(16')에 슬릿(22')을 배치하여 가능하게 된 접근부를 제외한 용기의 내부 공간(48')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측면 개구부(46')가 제공되는지의 여부는, 용기를 비울 수 있게 하려는(추가 사용을 위해) 또는 그렇지 않게 하려는(즉, 1회 사용성 일회용으로) 의도에 따른 설계 상의 선택이다.
도 8에 명확하게 도시된 대안적인 양태에서, 보유 구조(76)는 리셉터클 부분(18')의 내부 공간(48')을 폐쇄하거나 그 내용물을 비울 수 있게 리셉터클 부분의 일부를 개방하도록 작동 가능한 해치(88)를 더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해치(88)는 림(92)을 갖는 평면 폐쇄 표면(90)을 포함하고, 여기서 폐쇄 표면(90) 및 림(92)은 해치(88)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리셉터클 부분(18')의 하단부(98)에서 측벽(32')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46")의 주변부(96)와 마찰적으로 결합하는 캡(94)으로 협력한다. 다른 양태에서, 해치(88)는 또한 보유 구조(76)를 위한 컵 형상의 지지 플랫폼(81)도 포함하고, 여기서 보유 구조는 해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환형 링(100)과 결합하는 폐쇄 표면(90)과 림(92) 및 바이알(14")의 하부 부분(4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환형 링(100)을 더 포함한다. 해치(88)는 환형 링(100)에 힌지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해치는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재위치하게 리빙 힌지(102)에서 피벗 된다.
도 7 내지 도 9 및 도 11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벽(36) 상에 삽입부(16')을 갖는 용기(10)의 실시예에서, 용기(10)는 뚜껑(70)의 힌지와 용기를 정렬시키기 위해 삽입부(16') 측면에 브래킷(104)을 구비하여, 바이알 뚜껑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삽입부를 차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104) 사이에 힌지를 배치하여 용기(10)에 대해 대체로 고정된 위치에서 바이알(14")을 유지한다. 또한, 브래킷 사이에 바이알(14")의 힌지를 정렬 배치함으로써, 삽입부(16')의 사용을 방해하여서, 삽입부는 뚜껑(70)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바이알에 제공된 미사용 바이오센서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진다.
본원의 명세서에서 도 7 내지 도 13의 실시예는 대안적으로 타원형 바이알과 같은 비-원형 바이알의 측방향(병렬) 결합이 이루어지게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의 타원형 바이알은 예를 들어 ACCU-CHEK 가이드 혈당 검사 스트립을 포함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폐기 용기가 원형 또는 비-원형 바이알과 결합하게 구성되는지의 여부는 본질적으로, 용기를 쌍으로 사용하기 위한 바이알 구성에 대한 설계 선택이다. 그 외에, 구조적 요소가 사소하고 단순한 방향이나 윤곽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일지라도 대체로 동일하게 유지해야 한다.
본 발명의 폐기 용기의 실시예는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익한 이점을 달성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일부 양태에서, 용기는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과 같은 반(semi)-유연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개시된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용기는 고밀도 가요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는 반-유연한 살생물성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살생물성 재료로 제조되며, 그것은 리셉터클 부분에 착탈된 사용된 또는 오염된 바이오센서와 관련된 위험을 완화시켜서 리셉터클에 혈액과 같은 체액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잠재적으로 생물학적 위험이 있는 바이오센서가 채워지는 위생 우려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다.
용기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실시예의 이러한 양태에 대해, 용기를 성형하는 방법은 블로우 성형, 사출 성형 등과 같은 플라스틱과 관련된 임의의 적합한 성형 방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용기에 대한 적절한 제조 방법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용기에 충분히 내구성이 있는 재료를 제공하여 내구성, 견고성 및 탄성 용기를 보장할 수 있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고무로 제조될 수 있는 용기에 대한 실시예에 적합할 수 있는 다른 제조 방법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 명세서의 개시 내용을 고려하면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는 대안적으로 플립-탑 바이알과 같은 원형 바이알(14")의 하부 캡 결합을 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대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사한 요소는 14", 16", 18" 등과 같은 단일 프라임(') 또는 이중 프라임(")을 사용한 참조 번호를 부여했다. 예시적인 원형 플립-탑 바이알은 예를 들어 ACCU-CHEK Aviva 혈당 검사 스트립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폐기 용기(10)가 원형(14") 또는 비-원형(14') 바이알과 결합하게 구성되는지의 여부는 본질적으로, 용기가 사용하기 위해 쌍을 이루도록 의도된 바이알 구성에 대한 설계상의 선택이다. 다르게, 구조적 요소는 사소하고 단순한 방향이나 윤곽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일지라도 대체로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미끄럼 방지 또는 다른 그립 강화 코팅 또는 표면 특징부는 필요에 따라 측벽(32)의 외부(52) 또는 그 일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a) 내지 (d)를 도시하며, 여기서 외부 표면(52, 52')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취급될 때 촉각 그립을 제공하는 표면 특징부 또는 윤곽(200)을 갖는 영역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미끄럼 방지 고무와 같은 별도의 재료(210)로 하나 이상의 영역에 코팅될 수 있다. 특징/윤곽(200) 및 재료(210)는 융기된 점, 함몰된 딤플, 융기 또는 함몰된 웨이브, 융기 또는 함몰된 스케일, 교차 해칭, 또는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촉각 그립을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이오센서 폐기 방법에 대한 개선 영역으로 상술된 본 발명의 한 가지 이점은 개시된 용기의 재사용 가능한 특성이 별도의 자급식 및 일회용(즉, 1회 사용) 폐기 용기가 쓰레기 또는 매립지 수거를 위해 폐기 물품의 용량에 추가되는 것을 회피한 것이며, 여기서는 사용 중에는 바이오센서를 보유하지만, 추가 사용을 위해 비울 수 있는 용기를 갖는 다는 것은, 용기 자체로부터의 폐기물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채워졌을 때 항상 폐기되는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는 데 소요되는 자원도 줄여 진다. 그러나, 이전 실시예는 사용자가 사용한 검사 스트립을 폐기하고 그리고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경계 벽은 완전 폐쇄된 리셉터클 부분을 제공하도록 용기의 결합 부분으로부터 리셉터클 부분을 분할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결합 부분은 여전히 바이알을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지만, 리셉터클 부분이 사용된 바이오센서로 채워지면, 용기는 폐기된다. 그러나 유사한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서, 여기에는 사용 프로토콜이 제공되어, 용기가 사용자에 의해 의료 폐기물 관리 및/또는 재활용 센터로 보내질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리셉터클 부분은 사용한 바이오센서를 삽입할 수 있는 슬릿을 제외하고 모든 측면에서 완전히 폐쇄 된다. 대안적으로, 경계 벽은 리셉터클을 사용된 바이오센서로 채우는 1회 이상 채운 후에 리셉터클 부분을 폐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오염된"(또는 사용된) 바이오센서의 의료 폐기물 관리 및/또는 재활용 센터로의 운송은, 예를 들어 판매자가 사용된 스트립의 운송을 메일 캐리어 시스템을 통해 하기 위해서 특별히 디테일 메일 파우치를 공급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개시된 특징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그리고 상호 간의 임의의 조합에 모두 중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반적으로" 및 "통상적으로"와 같은 용어는 본원에서,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또는 특정 특징이 청구된 발명의 구조 또는 기능에 중요하거나, 필수적이거나, 심지어 주요하다는 것을 암시하는 데에는 사용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러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이용되거나 이용되지 않을 수 있는 대안적 또는 추가적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 발명을 설명하고 정의하기 위해,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정량적 비교, 값, 측정 또는 기타 표현에 기인할 수 있는 고유한 불확실성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음에 주의 한다.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문제가 되는 주제의 기본 기능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정량적 표현이 명시된 참조와 다를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은 다른 양태들 중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상응하게 (a) 도 1 내지 도 6; (b) 도 7, 도 12 및 도 13; (c) 도 8 내지 도 10; (d) 도 11; (e) 도 14 내지 도 16; 및 (f) 도 17 에 도시된 비장식 구조 요소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I. 용기는 주변부를 갖는 대체로 평면인 베이스를 포함하며; 베이스의 주변부로부터 상부 개구부까지 상향 연장되는 측벽으로, 상기 베이스 및 측벽은 리셉터클 부분 및 결합 부분을 갖는 내부 공간을 정의하고, 베이스 근위에 배치되는 상기 리셉터클 부분은 복수의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을 수용 및 보유하게 구성되고, 부분 베이스 원위에 배치되는 상기 결합 부분은 상부 개구부 근방에 피팅 결합을 통해 바이알의 하부 부분을 분리가능하게 수용 및 유지하게 구성되고; 상기 측벽은 단일의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을 리셉터클 부분 내로 수용하게 구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부가로 측벽의 외부로부터 슬릿까지 내측으로 점감된 일반적으로 평면이고 경성인 1쌍의 대향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일반적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이 수렴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점감된 대향 표면은 슬릿을 통해 리셉터클 부분으로 삽입하기 위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벽은 내부 표면을 더 포함하고, 결합 부분의 내부 표면은 상부 개구부로부터 하향하여 이격되고 결합 부분으로부터 리셉터클 부분으로의 과도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렛지를 형성하는 윤곽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렛지는 결합 부분에 수용된 바이알 부분이 리셉터클 부분으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 정지부를 포함하며; 삽입부의 내부 표면은 내측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에 따른 윤곽으로, 물품의 자유로운 탈착을 야기할 슬릿과의 우발적인 정렬 방향으로부터 리셉터클 부분 내에 수용된 임의의 느슨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이 편향지게 구성된 내부 디플렉터를 형성된다.
Ⅱ. 원형 바이알과 장착 가능하게 결합하게 구성된 용기는 리셉터클 부분 및 결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부분은 베이스를 갖는 대체로 직립한 실린더, 직립 벽, 및 리셉터클 부분 내로 단일의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을 수용하게 구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삽입부를 갖는 상부 벽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 부분은 부가로 측벽의 외부로부터 슬릿까지 내측으로 점감된 대체로 평면이고 경성인 1쌍의 대향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일반적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이 수렴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점감된 대향 표면은 슬릿을 통해 리셉터클 부분으로 삽입하기 위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삽입부의 내부 표면은 내측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에 따른 윤곽으로, 상기 물품의 자유로운 탈착을 야기할 슬릿과의 우발적인 정렬 방향으로부터 리셉터클 부분 내에서 유지되는 느슨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이 편향하게 구성된 내부 디플렉터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 부분은 수직으로 배향된 원형 바이알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부분의 한 측면에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원형 바이알의 외부 윤곽과 일치하는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부분은 부가로 측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원형 바이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대향하는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1쌍의 클립 암을 갖는 보유 구조, 그리고 상기 보유 구조에 결합된 바이알을 지지하게 구성된 리셉터클 부분의 베이스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플랫폼을 포함한다.
III. 원형 바이알과 장착 가능하게 결합하게 구성된 용기는 리셉터클 부분 및 결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부분은 베이스를 갖는 대체로 직립한 실린더, 직립 벽, 및 리셉터클 부분 내로 단일의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을 수용하게 구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삽입부를 갖는 상부 벽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부가로 측벽의 외부로부터 슬릿까지 내측으로 점감된 대체로 평면이고 경성인 1쌍의 대향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일반적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이 수렴하는 영역에서 형성되고, 상기 점감된 대향 표면은 슬릿을 통해 리셉터클 부분으로 삽입하기 위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게 구성되고, 삽입부의 내부 표면은 내측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에 따른 윤곽으로, 상기 물품의 자유로운 탈착을 야기할 슬릿과의 우발적인 정렬 방향으로부터 리셉터클 부분 내에 수용된 느슨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을 편향하게 구성된 내부 디플렉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분은 수직으로 배향된 원형 바이알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부분의 한 측면에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원형 바이알의 외부 윤곽과 일치하는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분은 부가로 상기 보유 구조에 결합된 바이알을 지지 및 유지하게 구성된 리셉터클 부분의 베이스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컵 모양의 지지 플랫폼을 구비하는 보유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및 컵 모양 지지 플랫폼은 베이스의 리셉터클 부분을 개폐하고,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바이알을 지지하기 위한 컵 바닥을 제공하도록 작동하는 베이스의 주변의 일측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해치를 구비한다.
IV. 원형 바이알과 장착 가능하게 결합하게 구성된 용기는 리셉터클 부분 및 결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부분은 베이스를 갖는 대체로 직립한 실린더, 직립 벽, 및 리셉터클 부분 내로 단일의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을 수용하게 구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삽입부를 갖는 상부 벽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부가로 측벽의 외부로부터 슬릿까지 내측으로 점감된 대체로 평면이고 경성인 1쌍의 대향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일반적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이 수렴하는 영역에 형성되며, 점감된 대향 표면은 슬릿을 통해 리셉터클 부분으로 삽입하기 위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삽입부의 내부 표면은 내측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에 따른 윤곽으로, 상기 물품의 자유로운 탈착을 야기할 슬릿과의 우발적인 정렬 방향으로부터 리셉터클 부분 내에 수용된 느슨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을 편향하도록 구성된 내부 디플렉터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 부분은 수직으로 배향된 원형 바이알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부분의 한 측면에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원형 바이알의 외부 윤곽과 일치하는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분은 부가로 보유 구조에 결합된 바이알을 지지 및 유지하게 구성된 리셉터클 부분의 베이스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컵 모양의 지지 플랫폼을 구비한 보유 구조를 포함한다.
V. I에 기재된 용기에서, 상기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원형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이알, 또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원형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이알에 장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이다.
VI. I 내지 V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기에서, 측벽의 외부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에게 촉각 그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미끄럼 방지 표면 특징부를 포함한다. 표면 특징부는 외부 측벽에 일체로 형성된 표면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측벽의 외부에 적용된 표면 재질로 형성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VII. I 내지 VI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기에서, 직립 벽 또는 상향 연장 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리셉터클 부분의 내부 공간의 시각화를 가능하게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창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리셉터클 부분 주위의 용기는 리셉터클 부분의 내부 공간의 전체는 아니지만 대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보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용기의 사용자는 추가 사용을 위해 리셉터클 부분을 비울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바이오센서로 리셉터클 부분의 충전 수준을 시각적으로 검사하고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부 양태가 본 명세서에서 바람직하거나 특히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본 발명의 이러한 바람직한 양태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이다.

Claims (15)

  1. 용기는:
    주변부를 가진 대체로 평면인 베이스와;
    베이스의 주변부로부터 상부 개구부까지 상향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및 측벽은 리셉터클 부분 및 결합 부분을 갖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리셉터클 부분은 베이스에 대해 근위에 위치하고 복수의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을 수용 및 보유하게 구성되고;
    상기 결합 부분은 베이스에 대해 원위에 위치하고 상부 개구부 근방의 피팅 결합을 통해 바이알의 하부 부분을 분리가능하게 수용 및 보유하게 구성되고;
    상기 측벽은 단일의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을 리셉터클 부분 내로 수용하게 구성된 슬릿을 가진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추가로 측벽의 외부로부터 슬릿까지 내측으로 점감된 대체로 평면이고 경성인 1쌍의 대향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일반적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이 수렴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점감된 대향 표면은 슬릿을 통해 리셉터클 부분으로 삽입하기 위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의 정렬이 용이하게 구성되며;
    상기 측벽은 내부 표면을 더 포함하고, 결합 부분의 내부 표면은 상부 개구부로부터 하향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결합 부분으로부터 리셉터클 부분으로의 과도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렛지를 형성하는 윤곽으로 되고, 적어도 하나의 렛지는 결합 부분에 수용된 바이알 부분이 리셉터클 부분으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정지부를 포함하며;
    삽입부의 내부 표면은 내측으로 점감된 대향 표면에 따른 윤곽으로, 리셉터클 부분 내에 수용된 느슨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이 상기 물품의 자유로운 탈착을 야기할 슬릿과의 우발적인 정렬 방향으로부터 편향되게 구성된 내부 디플렉터를 형성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개구부 근방의 피팅 결합은 결합 부분에서 측벽의 내부 표면에 제공된 스냅-피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스냅-피팅 시스템은 결합 부분에서 측벽의 내부 표면 상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탭을 포함하고, 상기 탭은 상부 개구부로부터 하향하여 이격 분리되고 결합 부분에 삽입된 바이알의 하부 부분에 제공된 대응 융기부와 마찰적으로 결합하게 구성되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피팅 결합은 마찰 유지 장치를 포함하고, 결합 부분의 내부 표면과 상부 개구부는 내부에 삽입될 바이알의 하부 부분의 외부 치수에 따라 성형되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슬릿은 대체로 수직 배향을 갖고, 삽입부는 베이스로부터 상향하여 이격된 위치에서 측벽에 배치되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슬릿은 그를 통해 삽입되도록 의도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의 길이 및 폭을 정확하게 수용하는 치수로 된 길이 및 폭을 갖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슬릿의 길이 및 폭의 치수는 이를 통해 삽입되도록 의도된 편평한 스트립-형태 물품의 길이 및 폭보다 50% 이하로 커서, 리셉터클 부분 내의 느슨한 물품의 우발적인 정렬 가능성을 최소화 하는,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비-원형 형상을 갖는,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대체로 타원형 형상을 포함하고 그리고 베이스와 인접한 측벽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짧은 단부를 갖는 대체로 타원형의 실린더를 포함하고, 삽입부는 제1 및 제2 짧은 단부 중 하나에서 측벽에 배치되는,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측벽은, 제1 짧은 단부에서 베이스와 측벽 사이의 내각(β)이 일반적으로 예각이고 그리고 제2 짧은 단부에서 베이스와 측벽 사이의 내각(α)이 일반적으로 둔각이도록, 비수직적으로 베이스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각(α)은 90도 초과 그리고 약 120도 미만이고, 그리고 상기 내각(β)은 약 60도 초과 그리고 90도 미만인,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렛지는 내부 공간 내에서 완전히 연장되고 그리고 리셉터클 부분으로의 유일한 접근이 슬릿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결합 부분으로부터 리셉터클 부분을 완전히 분할하는 대체로 평면인 표면을 포함하는,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측벽 외부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에게 촉각 그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미끄럼 방지 표면 특징부를 포함하는,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특징부는 측벽 외부에 일체로 형성된 윤곽 중 적어도 하나와, 측벽의 외부에 적용된 재질을 포함하는,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특징부는 융기된 점, 함몰된 딤플, 융기된 웨이브 라인, 함몰된 웨이브 라인, 융기된 스케일, 함몰된 스케일 및 교차-해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
KR1020227020959A 2019-12-24 2020-12-18 폐기 시스템 KR202201196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53258P 2019-12-24 2019-12-24
US62/953,258 2019-12-24
PCT/US2020/065800 WO2021133645A1 (en) 2019-12-24 2020-12-18 Disposa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615A true KR20220119615A (ko) 2022-08-30

Family

ID=7419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959A KR20220119615A (ko) 2019-12-24 2020-12-18 폐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04763A1 (ko)
EP (2) EP4081119B1 (ko)
JP (1) JP2023508092A (ko)
KR (1) KR20220119615A (ko)
CN (1) CN114786579A (ko)
CA (1) CA3162076A1 (ko)
WO (1) WO20211336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6847B2 (en) * 2005-06-14 2009-04-14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Biocidal blood glucose strip and lancet or sharps disposal device
US20070196242A1 (en) * 2006-02-23 2007-08-23 Agamatrix, Inc. Used test strip storage container
US20100206751A1 (en) * 2009-02-19 2010-08-19 Bayer Healthcare Llc Supply organizers and methods for health management
CN103917460A (zh) * 2011-11-09 2014-07-09 Csp技术公司 具有插入件的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62076A1 (en) 2021-07-01
EP4081119C0 (en) 2024-03-20
JP2023508092A (ja) 2023-02-28
WO2021133645A1 (en) 2021-07-01
CN114786579A (zh) 2022-07-22
US20220304763A1 (en) 2022-09-29
EP4081119A1 (en) 2022-11-02
EP4342377A1 (en) 2024-03-27
EP4081119B1 (en)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29886B2 (en) Medical implement dispensing and disposal system
US20070196242A1 (en) Used test strip storage container
US579788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apping syringe needles
US4848587A (en) Container for storing materials for use by diabetics
US6827212B2 (en) Surgical or medical instrument holder
US6095988A (en) Autoloader and skin testing system
US4936448A (en) Catheter bowl
US4913309A (en) Disposal container and transport case for infectious and hazardous waste material
US8950578B2 (en) Lancet dispenser
US20110094319A1 (en) Needle-free, safety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system
MXPA04011255A (es) Sistema de recipiente para articulos puntiagudos, de perfil bajo.
US7516844B2 (en) Sharps container for used pen needle assemblies
KR20220119615A (ko) 폐기 시스템
US3696916A (en) Thermometer set
WO2022164474A1 (en) Medical personnel syringe slot holder kit and tabletop system
CN106236480B (zh) 胰岛素笔存放治疗车
US20100037565A1 (en) Medical waste container lid
US4944730A (en) Organizer and dispenser for blood sample needle holders
CN208876762U (zh) 一种手术刀片收纳盒
US4094648A (en) Urine specimen container
US3471869A (en) Receptacle
CN211271958U (zh) 一种便于携带的普外科护理装置
JPH05146474A (ja) 医療用ワゴン
CN212234703U (zh) 一种便携式多变治疗盒
CN216090600U (zh) 一种微小组织块送检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