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690A -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 Google Patents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690A
KR20220118690A KR1020210022420A KR20210022420A KR20220118690A KR 20220118690 A KR20220118690 A KR 20220118690A KR 1020210022420 A KR1020210022420 A KR 1020210022420A KR 20210022420 A KR20210022420 A KR 20210022420A KR 20220118690 A KR20220118690 A KR 20220118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pattern plate
intraoral scanner
calibration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4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7403B1 (en
Inventor
김형진
김은중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2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403B1/en
Priority to US18/277,677 priority patent/US20240122462A1/en
Priority to JP2023550021A priority patent/JP7535197B2/en
Priority to PCT/KR2021/020211 priority patent/WO2022177140A1/en
Priority to EP21926938.8A priority patent/EP4295745A4/en
Priority to CN202180094039.2A priority patent/CN116887741A/en
Publication of KR20220118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6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4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5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means for testing or calib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23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ibration device for an oral scanner, which comprises: a casing which has an open upper part coupled to an oral scanner body; a rotation unit which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casing; a reflector unit which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an optical device of the oral scanner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ors; and a pattern plate unit which faces the optical device through the reflector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the pattern plate unit rotates in place and the reflector unit rectilinearly reciprocates with respect to the oral scanner body.

Description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본 발명은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스캐너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패턴플레이트 등을 활용하여 구강 스캐너를 캘리브레이션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ibration device for an intraoral scan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calibrating an intraoral scanner using a pattern plate, etc.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intraoral scanner.

치과 보철제작 과정에서 인상채득은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함에 있어 중요한 과정으로서, 종래에는 인상재를 사용하여 인상을 채득하고, 그 후 제작된 석고 모형을 바탕으로 보철물을 제작해왔으나, 인상재의 변형 및 석고 사용에 따른 오차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Impression taking in the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process is an important process in manufacturing an accurate prosthesis. Conventionally, impressions were taken using an impression material, and then the prosthesis was manufactured based on the produced plaster model. However, deformation of the impression material and the use of plaster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re was an error according to it.

이에, 광학 3차원 스캐너를 사용하여 광학 3차원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나 잇몸과 같은 구강 구조를 측정하고, CAD/CAM 시스템을 이용해 치과용 보철물이 제작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두 대 이상의 카메라에서 얻어진 이미지를 이용하는 스테레오 비전(Stereo vision) 방식이 구강 스캐너에 적용되고 있다.Accordingly, an optical 3D scanner is used to measure oral structures such as teeth or gums using an optical 3D camera, and dental prostheses are being manufactured using a CAD/CAM system. In particular, recently, images obtained from two or more cameras A stereo vision method using

스테레오 비전 방식에서는 구강의 일 지점을 동일한 초점으로 하는 2 개의 이미지 데이터에 근거하여 3차원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바, 정확한 3차원 모델 데이터 획득을 위해서는 구강 스캐너에 캘리브레이션이 수시로 요구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3차원 구강 스캐너에는 별도의 액세서리(accessory)로 캘리브레이션 툴(tool)이 크래들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stereo vision method, three-dimensional distance information is obtained based on two image data having a single point in the oral cavity as the same focus. In order to obtain accurate three-dimensional model data, calibration is often required for the oral scanner. For this reason, it is common for a three-dimensional intraoral scanner to provide a calibration tool as a separate accessory in the form of a cradle.

한편, 캘리브레이션시 패턴 플레이트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획득하는 것이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도움이 되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9383호에서 개시된 캘리브레이션 크래들에서는 패턴 플레이트가 원주방향으로 90도씩 8단계에 걸쳐 회전되며, 이에 연동하여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어, 정해진 각도 및 깊이 이외에서는 패턴 플레이트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during calibration, acquiring the image of the pattern plate from various angles help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alibration, but in the calibration cradl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2129383, the pattern plate is rotated in eight steps by 9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rotates over and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in a straight line in conjunction with it, 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possible to acquire an image of the pattern plate oth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and depth.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9383호(2020년07월02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29383 (published on July 02, 202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다양한 각도 및 깊이에서 패턴플레이트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ibration device for an intraoral scanner that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acquire an image of a pattern plate at various angles and depth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개방된 상부에 구강 스캐너 본체가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부; 상기 구강 스캐너 본체의 광학장치의 중심축상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반사경을 포함하는 반사경부; 및 상기 반사경을 통해 상기 광학장치와 대면하는 패턴플레이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패턴플레이트부는 제자리 회전하고 상기 반사경부는 구강 스캐너 본체에 대해 직선왕복이동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ing in which the oral scanner body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part; a rotating part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asing; It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optical device of the intraoral scanner body, a reflec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reflectors; and a pattern plate unit facing the optical device through the reflector. Including,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the pattern plate portion rotates in place and the reflector provides a calibration device for the oral scanner that moves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oral scanner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패턴플레이트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회전샤프트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반사경부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ng part, a rotating shaf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coupl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ry shaft and coupled to the pattern plate part; and a second coupl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coupled to the reflecting mirror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 일단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rotary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provid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플레이트부는, 패턴플레이트; 및 상기 패턴플레이트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부와 맞물리는 회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attern plate portion, a pattern plate; and a rotating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pattern plate and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Including, the rotat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coupling par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부는, 복수개의 반사경; 및 상기 반사경을 지지하며, 상기 제 2 결합부와 맞물리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직선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flective mirror unit, a plurality of reflective mirrors; and a support part that supports the reflector and engages the second coupling part; Including,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광학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의 방향을 180도 반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fl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reflect the direction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optical device 180 degre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제 1 반사경 및 제 2 반사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반사경은 상기 광학장치의 중심축상에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반사경은 상기 패턴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축상에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반사경 및 상기 제 2 반사경은 거울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flecting mirror is composed of a first reflecting mirror and a second reflecting mirror, the first reflecting mirror is disposed to form an angle of 45 degrees on the central axis of the optical device, the second reflecting mirror is the length of the pattern plate portion It is arranged to form an angle of 45 degrees on the direction axis, and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arranged to form mirror symmetr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부는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레일과 결합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flector portion is a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rail formed in the ca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가 회전될 때, 상기 반사경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직선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second coupling part is rotated, the reflecting mirror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linearly reciprocates along the rai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일단 및 타단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반사경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epped portion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reflector is form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패턴플레이트가 회전되고, 반사경이 구강 스캐너 본체에 대하여 직선왕복이동되는 바, 패턴플레이트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 및 깊이에서 획득할 수 있고, 이에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plate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and the reflector is linearly reciprocated with respect to the oral scanner body, the image of the pattern plate can be obtained at various angles and depths, and thus, calibration accurac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내부공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libration device for an intraoral sc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space of the calibration device for the intraoral scanne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intraoral scanner cal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or steps, but the elements or step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ordinal number. . Terms containing an ordinal number should only be constru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or step from other elements or step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내부공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libration device for an intraoral sc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space of the calibration device for the intraoral scanne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intraoral scanner cal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1000)는 구강 스캐너의 광학장치를 캘리브레이션 하는 장치로서, 케이싱(100), 회전부(200), 패턴플레이트부(300), 반사경부(4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calibration device 1000 for an intraoral sc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alibrating the optical device of the intraoral scanner, the casing 100, the rotating unit 200, the pattern It includes a plate part 300 and a reflector part 400 .

케이싱(100)은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1000)의 외주표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10), 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구강 스캐너 본체(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부(120) 및 몸체(110)의 양측을 덮도록 이루어진 제 1, 2 커버(130, 14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구강 스캐너는, 광학장치 및 이미징 보드가 배치되는 구강 스캐너 본체(1)와 내부에 반사거울이 배치된 프로브 팁으로 이루어지며, 광학장치는 구강 스캐너 본체(1)의 개구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광을 이미징 보드에 집광시키는 한 쌍의 촬상장치로 이루어진다. The casing 100 is to for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libration device 1000 for the intraoral scanner, the body 110 forming an inner space, is formed on one upper side of the body 110, and the oral scanner body 1 is inserted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covers 130 and 140 configured to cover both sides of the supported insertion portion 120 and the body 110 . In general, the intraoral scanner consists of an intraoral scanner body (1) on which an optical device and an imaging board are disposed and a probe tip having a reflective mirror disposed therein, and the optical device irradiates light toward the opening of the intraoral scanner body (1) It consists of a light source and a pair of imaging devices for condensing the light entering through the opening onto the imaging board.

이 때, 프로브 팁은 피검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환자의 구강 스캐닝이 진행되는 바, 반사부재에 환자의 구강 습기가 찰 수 있고, 이에 프로브 팁을 장착한 채로 캘리브레이션 수행하는 경우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재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케이싱(100)에는 프로브 팁이 제거된 구강 스캐너 본체(1)만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obe tip is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and scanning of the patient's oral cavity is performed, and the reflective member may be filled with moisture in the patient's oral cavity. have.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 of the reflective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intraoral scanner body 1 from which the probe tip is removed is inserted into the casing 100 .

바람직하게는, 구강 스캐너 본체(1)가 삽입부(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부(120)는 구강 스캐너 본체(1)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강 스캐너 본체(1)의 단부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 형성되며, 삽입부(120) 내주면 둘레에는 상기 홈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강 스캐너 본체(1)가 삽입부(120)에 삽입될 때, 상기 홈과 상기 돌기가 결합하여 구강 스캐너 본체(1)가 삽입부(12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Preferably, so that the intraoral scanner body (1) can be fixed to the insertion unit 120, the insertion unit 1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d shape of the intraoral scanner body (1). More preferably, a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traoral scanner body 1, and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may be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unit 120. In this case, when the intraoral scanner body 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120 ,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are coupled to the intraoral scanner body 1 to be firmly fixed to the insertion unit 120 .

몸체(11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사다리꼴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강 스캐너 본체(1)의 광원에서 발광된 광은 후술할 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반사경부(400)로 조사된다.The body 110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as shown in FIG. 2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apes may be appli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of the oral scanner body 1 is irradiated to the reflector 400 disposed inside the body 11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플레이트부(300)는 그 길이방향축이 구강 스캐너 본체(1)의 중심축과 평행하는 축상에 위치되도록 몸체(110)의 내부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패턴플레이트부(300)는 후술할 반사경부(400)를 통해 구강 스캐너 본체(1) 내부의 광학장치와 대면하고, 이는 패턴플레이트(310), 안착부(32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attern plate portion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10 so that its longitudinal axis is located on an axis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oral scanner body (1). Accordingly, the pattern plate unit 300 faces the optical device inside the intraoral scanner body 1 through a reflector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ncludes a pattern plate 310 and a seating unit 320 .

상세하게는, 패턴플레이트(310)는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은 격자 무늬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인접한 격자와 격자 사이의 명암이 선명하게 구분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In detail, the pattern plate 310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various patterns may be formed. For example, the patter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ontrast between the grid and the grid adjacent to the top and bottom and left and right in the grid pattern are clearly distinguished.

패턴플레이트(310)는 안착부(320) 상에 안착된다. 이 때, 패턴플레이트(310)의 경사 각도는 반사경을 통해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기준으로 40도 이상 50도 미만이 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패턴플레이트(310)가 입사광을 기준으로 직교가 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패턴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각 패턴들이 동일한 면에 대한 동일한 깊이 정보(또는 높이 정보)를 가지는 단점이 있는 바, 패턴플레이트(310)를 입사광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 배치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를 위해, 패턴플레이트(310)가 안착되는 안착부(320)의 상면을 그 길이 방향에 대해 40도 이상 50도 미만의 경사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The pattern plate 310 is seated on the mounting portion 320 .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attern plate 310 is preferably set to be 4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50 degrees based on the incident light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or. When the pattern plate 310 is disposed to be orthogonal to the incident light, each pattern formed on the pattern plate 310 has a disadvantage in having the same depth information (or height information) on the same surface, the pattern plate 310 It is designed to increase the calibration effect by arranging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incident light. To this e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320 on which the pattern plate 310 is seated is preferably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4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안착부(320)는, 전술한 경사면과 함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부(321)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321)는 후술할 회전부(200)의 거치부(24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커버(140) 내측면에는 상기 안착부(320)를 지지하는 지지대(141)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41)에 상기 안착부(320)가 지지될 수 있다.The seating part 320 includes an extension part 321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inclined surface, and the extension part 321 is rotatable on the mounting part 240 of the rotating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supported to do More preferably, a support 141 supporting the seating part 320 is exten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40 so that the seating part 32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141 .

패턴플레이트부(300)는 후술할 회전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안착부(320) 하단에 형성된 연장부(32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회동부(330)를 더 포함한다. 회동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기어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attern plate part 300 further includes a rotation part 330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sion part 32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art 320 so as to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rotating part 33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 spur gear as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gears may be applied, of cours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패턴플레이트(310)는 구강 스캐너 본체(1)의 중심축과 평행하는 축상에 위치되는 바, 광학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이 패턴플레이트(310)에 입사되기 위해서는 반사경을 통해 180도 반사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pattern plate 310 is positioned on an axis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oral scanner body 1, in order for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optical device to be incident on the pattern plate 310 through a reflector. It should reflect 180 degree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경부(400)는 구강 스캐너 본체(1)의 광학장치에서 조사된 빛을 전술한 패턴플레이트(310) 측으로 반사시키는 복수개의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을 구강 스캐너 본체(1)에 대해 경사지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20)로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reflecto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ors and the reflectors for reflect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optical device of the oral scanner body 1 to the above-described pattern plate 310 side, and the reflector is an intraoral scanner. It consists of a support part 420 that support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

상세하게는, 제 1 반사경(410)은 구강 스캐너 본체(1)의 중심축상에 45도의 각도로 배치되고, 제 2 반사경(420)은 패턴플레이트부(300)의 길이방향축상에 45도 각도로 배치된다. 즉, 제 1 반사경(410) 및 제 2 반사경(420)은 구강 스캐너 본체(1)의 중심축과, 패턴플레이트부(300)의 길이방향축의 중심에 위치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거울대칭된다. 이 경우, 광학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은 제 1 반사경(410) 및 제 2 반사경(420)을 통해 180도 반사되어, 제 2 반사경(420) 상측에 마련되는 패턴플레이트(310)에 입사된다. 반사경은 직사각형 형상의 거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의 거울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Specifically, the first reflector 410 is disposed at an angle of 45 degrees on the central axis of the intraoral scanner body 1, and the second reflector 420 is at an angle of 45 degrees o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attern plate unit 300. are placed That is, the first reflecting mirror 410 and the second reflecting mirror 420 are mirror-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plan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entral axis of the oral scanner body 1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attern plate part 300 . In this cas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optical device is reflected 180 degrees through the first reflecting mirror 410 and the second reflecting mirror 420 , and is incident on the pattern plate 310 provided above the second reflecting mirror 420 . The reflector may be formed of a mirror having a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irrors of various shapes may be applied.

지지부(420)는 직육면체의 형상의 본체와 상기 제 1 및 2 반사경(410, 420)을 각도지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The support part 420 include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dy and a fixing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to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410 and 420 at an angle.

아울러, 반사경부(400)는 후술할 회전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직선왕복이동하도록, 가이드부(422)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후술할 바와 같이, 회전부(200)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에 의하여 반사경부(400)가 구강 스캐너 본체(1)를 기준으로 직선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제 2 커버(140)의 내측면에는 구강 스캐너 본체(1)의 중심축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142)이 형성되고, 가이드부(422)는 전술한 레일(142)을 감싸도록, 지지부(420)의 일측 하단에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eflector unit 400 further includes a guide unit 422 to linearly reciprocat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40 so that the reflector 400 can move linearly and reciprocally with respect to the oral scanner body 1 by the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200. A rail 142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intraoral scanner body 1 is formed, and the guide part 422 is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420 so as to surround the rail 142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in a C-shape.

바람직하게는, 레일(142)의 일단 및 타단 중 하나 이상에는 반사경부(400)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ail 142 may be formed with a stepped portion limit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reflective mirror portion 400 .

이와 같이, 가이드부(422)가 레일(142)에 결합되는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회전부(200)의 회전시 반사경부(400)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가이드부(422)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guide part 422 is coupled to the rail 142 ,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rotation part 200 rotates, the reflector part 400 is prevented from rotating as well as the guide part 422 . You can guide the direction of movement.

바람직하게는, 지지부(420)에는 후술할 회전부(200)가 결합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관통구 내주면에는 나사산(421)이 형성된다.Preferably, a through hole to which the rotating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i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420 , and a thread 421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 비전 방식의 구강 스캐너에서는 구강의 일 지점을 동일한 초점으로 하는 2 개의 이미지 데이터에 근거하여 3차원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바, 정확한 3차원 모델 데이터 획득을 위해서는 구강 스캐너에 캘리브레이션이 수시로 요구된다. 이 때, 패턴플레이트(310)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 및 깊이에서 획득하면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intraoral scanner of the stereo vision method, three-dimensional distance information is obtained based on two image data having one point of the mouth as the same focus. This is often required. At this time, if the image of the pattern plate 310 is acquired at various angles and depths, the accuracy of calibration may be improv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1000)는 상술한 패턴플레이트부(300) 및 반사경부(400)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부(200)를 더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alibration apparatus 1000 for an intraoral sc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otating unit 200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pattern plate unit 300 and the reflector unit 400 .

회전부(200)는 몸체(110) 내주면 일측에 마련되며, 회전샤프트(210), 제 1 결합부(220) 및 제 2 결합부(230)로 이루어진다. 회전샤프트(210)는 구강 스캐너 본체(1)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일측에는 패턴플레이트부(300)와 맞물리는 제 1 결합부(220)가 마련된다.The rotating part 2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 and includes a rotating shaft 210 , a first coupling part 220 , and a second coupling part 230 . The rotating shaft 210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oral scanner body 1, and a first coupling part 220 engaged with the pattern plate part 300 is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상세하게는, 회전샤프트(210) 일측에는 평기어 형상의 제 1 결합부(220)가 배치되며, 이는 전술한 패턴플레이트부(300)의 회동부(330)와 맞물린다. 이에, 회전샤프트(210)가 회전되면 제1 결합부(220)에 맞물리는 회동부(330)가 회전되어, 패턴플레이트부(300)는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In detail, the first coupling part 220 having a spur gear shape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210 , which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part 330 of the pattern plate part 300 described above. 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shaft 210 is rotated, the rotating part 330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220 is rotated, and the pattern plate part 300 is rotated about the longitudinal axis.

바람직하게는, 회전샤프트(210)의 360도 회전시 패턴플레이트부(300)가 90도 회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Preferably, when the rotation shaft 210 rotates 360 degrees, the pattern plate part 300 may be rotated 90 degre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바람직하게는, 회전샤프트(210)의 타측은 몸체(110)를 관통하여 몸체(110)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 단부에는 사용자가 회전샤프트(2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211)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 등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을 것이다.Preferably,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210 may extend outside the body 110 through the body 110, and at the end thereof, a handle for allowing the user to easily rotate the rotating shaft 210 ( 211) may be form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being manually rotat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automatically rotated by a motor or the like.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샤프트(210)의 양측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거치부(240, 241)가 커버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고, 이 때, 패턴플레이트부(300) 측 거치부(240)는, 회전샤프트(210) 뿐만 아니라 패턴플레이트부(300)의 안착부(320)의 축을 함께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거치부(240, 241)의 중심부에는 회전샤프트(210) 및 패턴플레이트부(300)의 회전을 원활히 하는 베어링이 마련될 수 있다. Preferably, as shown in FIG. 3 , mounting portions 240 and 241 for rotatab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21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and at this time, the pattern plate portion 300 ) side mounting part 240, it is preferable to support the axis of the seating part 320 of the pattern plate part 300 as well as the rotation shaft 210 together. More preferably, a bearing for smooth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210 and the pattern plate unit 30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portions 240 and 241 .

회전샤프트(210) 타측에는 나사산의 형상의 제 2 결합부(230)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 2 결합부(230)는 전술한 반사경부(400)의 지지부(420)의 관통구에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관통구 내주면에는 제 2 결합부(230)에 대응되는 나사산(421)이 형성되어, 회전샤프트(210) 및 반사경부(400)는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A second coupling part 230 in the shape of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210 . 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art 230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part 420 of the above-described reflector part 400 . In detail, a thread 42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part 23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rotating shaft 210 and the reflecting mirror 400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이 때, 회전샤프트(210)가 그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나사산(42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샤프트(210)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반사경부(400)의 지지부(420)에 가해지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420)에 형성된 가이드부(422)가 케이싱(100)의 커버에 형성된 레일(142)에 결합되기 때문에 지지부(420)의 회전이 제한된다.At this time, when the rotary shaft 210 is rotated about its longitudinal axis,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rotary shaft 210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hreads 421 is applied to the support portion 420 of the reflector 400 or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guide portion 422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420 is coupled to the rail 142 formed on the cover of the casing 100 ,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ortion 420 is limited.

이에 따라, 지지부(420)는 레일(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이동하게되어, 상기 지지부(420) 및 상기 지지부(420)에 지지되는 반사경들은 구강 스캐너 본체(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upport 420 is linearly recipr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42, and the reflectors supported by the support 420 and the support 420 are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intraoral scanner body (1). will be round-trip.

바람직하게는, 회전샤프트(210)의 360도 회전시 반사경부(400)가 0.5mm 만큼 직선왕복이동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Preferably, when the rotating shaft 210 rotates 360 degrees, the reflector 400 may linearly reciprocate by 0.5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회전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패턴플레이트(310)가 회전되고, 구강 스캐너 본체(1)에 대한 반사경의 위치가 변경되는 바, 캘리브레이션 시 패턴플레이트(310)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 및 깊이에서 획득할 수 있고, 이에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this way,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200, the pattern plate 310 is rotated, the position of the reflector with respect to the intraoral scanner body 1 is changed, the image of the pattern plate 310 during calibration at various angles and depth,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calibr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10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intraoral scanner calibr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용자가, 케이싱(100)의 몸체(110) 외측에 마련된 손잡이(211)를 잡고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2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회전샤프트(210)가 회전된다. 상기 회전샤프트(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샤프트(210)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결합부(220)에 맞물리는 회동부(330)가 회전되면, 패턴플레이트부(300)가 그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회전샤프트(210)의 타측에 나사결합된 반사경부(400)에 회전력이 가해지나, 반사경부(400)의 가이드부(422)는 케이싱(100)의 커버에 형성된 레일(142)에 결합되어 회전이 제한되고, 이에 레일(142)을 따라 직선왕복이동하게 된다. 즉, 반사경부(400)는 구강 스캐너 본체(1)에 대해 직선왕복이동하게 된다.When a user holds and rotates the handle 211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110 of the casing 100 , the rotating shaft 210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211 is rotated. When the rotating part 330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2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21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210, the pattern plate unit 300 is rotated about its longitudinal axis. will rotate to At the same time,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reflector part 400 screw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210 , but the guide part 422 of the reflector part 400 is coupled to the rail 142 formed on the cover of the casing 100 . rotation is limited, and thus the rail 142 moves linearly and reciprocally. That is, the reflector 400 is moved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oral scanner body (1).

이와 같이, 회전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패턴플레이트(310)가 회전되고, 반사경은 구강 스캐너 본체(1)에 대하여 직선왕복이동되는 바, 패턴플레이트(310)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 및 깊이에서 획득할 수 있고, 이에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pattern plate 310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200, and the reflector is linearly reciprocated with respect to the oral scanner body 1, the image of the pattern plate 310 at various angles and depths. can be obtained, and thus the accuracy of calibration can be improv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구강 스캐너 본체
1000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100 케이싱
110 몸체
120 삽입부
130 제 1 커버
140 제 2 커버
141 지지대
142 레일
200 회전부
210 회전샤프트
211 손잡이
220 제 1 결합부
230 제 2 결합부
240, 241 거치부
300 패턴플레이트부
310 패턴플레이트
320 안착부
321 연장부
330 회동부
400 반사경부
410 제 1 반사경
411 제 2 반사경
420 지지부
421 나사산
422 가이드부
1 Intraoral scanner body
Calibration device for 1000 intraoral scanners
100 casing
110 body
120 insert
130 first cover
140 second cover
141 support
142 rail
200 turns
210 rotary shaft
211 handle
220 first coupling part
230 second coupling part
240, 241 mount
300 pattern plate
310 pattern plate
320 seat
321 extension
330 turn
400 reflector
410 first reflector
411 second reflector
420 support
421 thread
422 guide

Claims (10)

개방된 상부에 구강 스캐너 본체가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부;
상기 구강 스캐너 본체의 광학장치의 중심축상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반사경을 포함하는 반사경부; 및
상기 반사경을 통해 상기 광학장치와 대면하는 패턴플레이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패턴플레이트부는 제자리 회전하고 상기 반사경부는 구강 스캐너 본체에 대해 직선왕복이동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A casing in which the oral scanner body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part;
a rotating part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asing;
It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optical device of the intraoral scanner body, a reflec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reflectors; and
a pattern plate unit facing the optical device through the reflector; including,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the pattern plate portion rotates in place and the reflector unit linearly reciprocates with respect to the oral scanner body, a calibration device for an intraoral scan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패턴플레이트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회전샤프트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반사경부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part,
a rotary shaf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coupl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ry shaft and coupled to the pattern plate part; and
a second coupl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and coupled to the reflecting mirror par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calibration device for the intraoral scann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 일단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provided, the intraoral scanner calibration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플레이트부는,
패턴플레이트; 및
상기 패턴플레이트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부와 맞물리는 회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attern plate portion,
pattern plate; and
a rotating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pattern plate and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including,
The rot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coupling unit, a calibration device for an intraoral scanner.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부는,
복수개의 반사경; 및
상기 반사경을 지지하며, 상기 제 2 결합부와 맞물리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직선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reflector unit,
a plurality of reflectors; and
a support part that supports the reflector and engages the second coupling part; including,
The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 calibration device for an intraoral scann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광학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의 방향을 180도 반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fl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reflect the direction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optical device 180 degrees, the intraoral scanner calibration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제 1 반사경 및 제 2 반사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반사경은 상기 광학장치의 중심축상에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반사경은 상기 패턴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축상에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반사경 및 상기 제 2 반사경은 거울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reflector is composed of a first reflector and a second reflector,
The first reflector is disposed to form a 45 degree angle on the central axis of the optical device,
The second reflector is disposed to form an angle of 45 degrees o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attern plate portion,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ar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form a mirror symmetry, a calibration device for an intraoral scann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부는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레일과 결합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flector portion includes a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rail formed in the casing; A calibration device for an intraoral scan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가 회전될 때, 상기 반사경부는 상기 레일을 따라 직선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rotated, the reflecto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rail, an intraoral scanner calibration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일단 및 타단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반사경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t least one of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epped portion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reflector is formed, a calibration device for an intraoral scanner.
KR1020210022420A 2021-02-19 2021-02-19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KR102487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420A KR102487403B1 (en) 2021-02-19 2021-02-19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US18/277,677 US20240122462A1 (en) 2021-02-19 2021-12-29 Oral scanner system
JP2023550021A JP7535197B2 (en) 2021-02-19 2021-12-29 Oral Scanner System
PCT/KR2021/020211 WO2022177140A1 (en) 2021-02-19 2021-12-29 Oral scanner system
EP21926938.8A EP4295745A4 (en) 2021-02-19 2021-12-29 Oral scanner system
CN202180094039.2A CN116887741A (en) 2021-02-19 2021-12-29 Oral scann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420A KR102487403B1 (en) 2021-02-19 2021-02-19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90A true KR20220118690A (en) 2022-08-26
KR102487403B1 KR102487403B1 (en) 2023-01-12

Family

ID=8311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420A KR102487403B1 (en) 2021-02-19 2021-02-19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7403B1 (en)
CN (1) CN116887741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164A (en) *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바텍 Calibration Cradle For Intra-Oral Scanner And Intra-Oral Scanner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80126177A (en) *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바텍 Calibration Device For Intra-Oral Scanner And Intra-Oral Scanner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129383B1 (en) 2019-06-24 2020-07-02 주식회사 메디트 Calibration cradle for oral scan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164A (en) *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바텍 Calibration Cradle For Intra-Oral Scanner And Intra-Oral Scanner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80126177A (en) *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바텍 Calibration Device For Intra-Oral Scanner And Intra-Oral Scanner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129383B1 (en) 2019-06-24 2020-07-02 주식회사 메디트 Calibration cradle for oral scan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403B1 (en) 2023-01-12
CN116887741A (en)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9853B2 (en) Scanning device for scanning target tooth and method for scanning target tooth
US5440393A (en) Process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dimensions of a space, in particular a buccal cavity
KR101533756B1 (en) Oral cavity fixed type three dimensions oral cavity scanner
JP6396338B2 (en) Extraoral dental scanner
JP2018047299A (en) Adapter for intraoral scanner, intraoral scanning method, and intraoral scanner system
US20170224272A1 (en) Dental surface imaging apparatus using laser projection
AU2004212587A1 (en) Panoramic scanner
JP2001510357A (en) Equipment for confocal surface measurement
KR101533341B1 (en) Portable Scanner
KR20180126177A (en) Calibration Device For Intra-Oral Scanner And Intra-Oral Scanner System Comprising The Same
BR0211104B1 (en) method for the three-dimensional mapping and digitization of a plaster model or positive model, in particular for the production of a dental prosthesis.
KR102431945B1 (en)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JPH085095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the human body, in particular the oral cavity
KR102487403B1 (en)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KR20220118689A (en)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JP7535197B2 (en) Oral Scanner System
KR102551332B1 (en)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KR102423274B1 (en)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KR20160136558A (en) Scanner for oral cavity having liquid lens for auto focusing
US20240374128A1 (en) Intraoral scanner calibration device
KR102370018B1 (en) Data integration method of 3-dimensional scanner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2129915B1 (en) An oral impression body scanner using a micro-computed tomography device
KR20220094447A (en)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KR20220045668A (en) 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KR102620826B1 (en) System for oral sca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