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186A -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및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 - Google Patents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및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186A
KR20220118186A KR1020210022021A KR20210022021A KR20220118186A KR 20220118186 A KR20220118186 A KR 20220118186A KR 1020210022021 A KR1020210022021 A KR 1020210022021A KR 20210022021 A KR20210022021 A KR 20210022021A KR 20220118186 A KR20220118186 A KR 20220118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djustment
interface
fi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822B1 (ko
Inventor
최규옥
조상형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822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5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7Visualisation of planned trajectories or target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obo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및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매니퓰레이터 상에 픽스쳐의 시스템, 스펙 등의 픽스쳐 라이브러리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자동계측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및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 {Method for adjusting fixture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implant surgery plan}
본 발명은 치과영상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픽스쳐 미세조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과정은 소프트웨어 상에서 임플란트 구조물(크라운, 픽스쳐, 어버트먼트 등)을 결정할 때,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물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이러한 과정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CT 영상, MRI 영상, 파노라믹 영상 등을 로딩할 수 있는 의료영상 소프트웨어일 수 있으며, 크라운을 포함한 보철물을 디자인하는 치과 및 의료용 CAD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부터 보철물 디자인, 가이드 형상 디자인까지 가능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각 소프트웨어에서 디자인하는 임플란트 구조물은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학습 데이터 기반의 AI 결과물을 이용한 자동화 방식으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임플란트 구조물을 조정하면서 크기, 위치, 스펙 등을 결정하는 수동 방식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자동 방식과 수동 방식 모두 초기 결정된 임플란트 구조물에 대한 미세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시 픽스쳐의 미세조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직관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및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은, 치과 영상에 가상의 픽스쳐를 식립하는 단계와, 식립된 픽스쳐의 미세조정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픽스쳐 라이브러리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픽스쳐 조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이하, 'GUI'라 칭함)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통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픽스쳐를 미세 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별도의 픽스쳐 라이브러리 화면으로의 전환 없이,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의 픽스쳐 조정 GUI 상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시스템 조정을 위한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 선택된 픽스쳐의 길이 조정을 위한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 및 선택된 픽스쳐의 직경 조정을 위한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의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시스템 정보와 변경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길이 정보와 현재 길이에서 전후로 조정 가능한 픽스쳐의 길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직경 정보와 현재 직경에서 전후로 조정 가능한 픽스쳐의 직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픽스쳐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최대길이 또는 최소길이를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대길이가 선택되면 이후 길이 증가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길이 증가 버튼을 비활성화 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소길이가 선택되면 이후 길이 감소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길이 감소 버튼을 비활성화 할 수 있고, 픽스쳐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최대직경 또는 최소직경을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대직경이 선택되면 이후 직경 증가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직경 증가 버튼을 비활성화 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소직경이 선택되면 이후 직경 감소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직경 감소 버튼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상기 픽스쳐를 미세 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의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이 변경되면,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 변경된 픽스쳐 형상이 표시되고, 픽스쳐의 길이와 직경을 포함한 스펙 정보는 변경되지 않되, 변경된 픽스쳐 시스템에서 변경 전의 길이 및 직경 스펙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근접한 스펙의 픽스쳐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은, 픽스쳐 기준 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수치만큼 위치이동이 가능한 위치이동 인터페이스와, 픽스쳐 기준 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수치만큼 방향회전이 가능한 방향회전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은, 치과 영상에 가상의 픽스쳐를 식립하는 단계와, 식립된 픽스쳐의 미세조정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픽스쳐와 인접한 해부학적 구조물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자동계측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 조작에 의한 소정의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을 통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픽스쳐와 인접한 픽스쳐와의 거리정보를 계측하여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서 거리정보를 제공하는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와, 선택된 픽스쳐를 기준으로 식립된 다른 픽스쳐들과의 식립 각도정보를 각각 계측하여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서 각도정보를 제공하는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소정의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을 통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선택된 픽스쳐와 치아번호가 연속된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연속된 치아번호의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경우, 선택된 픽스쳐와 상기 연속된 치아번호의 픽스쳐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계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소정의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을 통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 시에 3차원적으로 생성된 악궁라인의 평면 상에 픽스쳐를 프로젝션 하여 픽스쳐의 최상단점을 악궁라인의 단면 상에 일치시키는 단계와, 픽스쳐 최상단점에서 최하단점까지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식립 각도정보를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픽스쳐 주변의 골 이식 정보를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서 제공하는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소정의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을 통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골 이식 영역을 분할된 영역으로 별도 표시하며, 실제 계측된 볼륨량과 골 이식이 되는 골 이식 볼륨량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소정의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을 통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선택된 픽스쳐와 인접한 본 레벨(Bone Level)을 연결하는 CEJ 라인을 기준으로 골 손실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골 손실 영역에서 픽스쳐 식립 영역의 볼륨을 제외한 나머지 볼륨을 골 이식 볼륨량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는, 치과 영상에 식립된 픽스쳐의 미세조정 화면을 제공하고,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픽스쳐 라이브러리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자동계측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출력부와,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통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와, 픽스쳐 미세조정을 위한 화면 정보를 구성하여 출력부에 제공하고,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통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픽스쳐 미세조정 또는 자동계측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및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에 의해,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소프트웨어에서 사용자 조정이 필요한 임플란트 구조물 중 픽스쳐 매니퓰레이터의 사용 편의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 중, 픽스쳐를 식립하거나 자동화 알고리즘 또는 AI 방식을 이용하여 픽스쳐가 식립된 상태에서 픽스쳐의 위치, 크기 및 픽스쳐 스펙 등을 조정하는 매니퓰레이터를 별도의 화면 전환 및 팝업 화면을 활성화하지 않고도 매니퓰레이터 상에서 전체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픽스쳐와 인접한 해부학적 구조물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거리 자동계측, 식립 각도 자동계측, 골 이식 자동계측 등을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 미세조정 매니퓰레이터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이동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회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이동량 조정 인터페이스 및 방향 회전량 조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 라이브러리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에 따른 인접 픽스쳐 거리 자동계측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에 따른 골 이식 계측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 이식 계측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이하, '장치'라 칭함)(1)는 소프트웨어를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전자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 휴대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 소프트웨어는 CT 영상, MRI 영상, 파노라믹 영상 등을 로딩할 수 있는 의료영상 소프트웨어일 수 있으며, 크라운을 포함한 보철물을 디자인하는 치과 및 의료용 CAD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부터 보철물 디자인, 가이드 형상 디자인까지 가능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자동 또는 수동 방식 모두 초기 결정된 임플란트 구조물 식립 및 위치/크기 결정 결과에 대하여 사용자가 확인 후, 미세조정이 필요한 경우 픽스쳐 조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이하, 'GUI'라 칭함)를 이용하여 미세조정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픽스쳐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의 기초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기초 영상 데이터는 X-ray 데이터, CT 데이터, 구강 모델 데이터 등이 있다. 데이터 획득부(10)는 기초 영상 데이터를 소프트웨어에서 실행하거나 웹 페이지 및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서 CT 데이터, 구강 모델 데이터 등이 기초 데이터로 필요할 수 있다.
구강 모델 데이터는 환자의 구강을 본떠 생성한 석고 모형을 3D 스캐너(3D Scanner)로 스캐닝 하여 획득하거나, 구강 내 3D 스캐너(3D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 하여 획득될 수 있다. CT 데이터는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를 사용하여 환자의 두부 단층 영상들을 생성하고, 각각의 단층 영상에서 치아 부분의 경계를 분할(Segmentation)한 후 하나로 취합함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획득된 구강 모델 데이터 및 CT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2)에는 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제어부(14)의 요청 시 정보를 제공한다. 저장부(12)에는 다양한 픽스쳐의 시스템, 스펙 정보 등을 가지는 픽스쳐 라이브러리가 저장되어 제어부(14) 요청 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2)에는 가이드 디자인 작업 시 작업 단계 별로 생성 또는 변경되는 가이드 객체의 데이터를 포함한 작업 내용이 저장된다.
제어부(14)는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다. 제어부(14)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치과 영상에 가상의 픽스쳐를 식립한다. 이때, 식립된 픽스쳐를 대상으로 입력부(16)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픽스쳐 미세조정 기능을 제공하고, 픽스쳐 조정에 따라 생성되는 화면 정보를 구성하여 이를 출력부(18)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픽스쳐 미세조정을 위해 자동계측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동계측 기능은 거리 자동계측, 식립 각도 자동계측, 골 이식 자동계측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18)는 제어부(14)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들로 구성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18)는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제공한다.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치과영상(예를 들어, CT 영상, MRI 영상, 파노라믹 영상 등)의 픽스쳐 주변에 픽스쳐 조정 GUI를 배치한다. 픽스쳐 조정 GUI는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라고 칭할 수도 있으며, 이하, 매니퓰레이터 용어를 사용한다.
매니퓰레이터는 픽스쳐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곽선 형태의 가이드 인터페이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외곽선은 원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리 설정된 거리는 픽스쳐를 중심으로 좌/우/상/하가 서로 동일한 값일 필요는 없고, 픽스쳐를 기준으로 픽스쳐 주변에 배치되는 것이면 그 거리는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미리 설정된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픽스쳐 조정 매니퓰레이터는 픽스쳐에 대한 사용자의 미세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매니퓰레이터는 좌우 위치이동 인터페이스(31), 상하 위치이동 인터페이스(32), 위치 이동량 조정 인터페이스(33), 방향 회전량 표시 인터페이스(34), 방향회전 인터페이스(35),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36),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37),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38),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39), 식립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40),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41) 등을 포함한다.
좌우 위치이동 인터페이스(31)는 픽스쳐를 좌우로 미세이동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고, 상하 위치이동 인터페이스(32)는 픽스쳐를 상하로 미세이동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이때, 픽스쳐 기준 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수치만큼 미세조정이 가능하다. 미리 설정된 수치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위치 이동량 조정 인터페이스(33)는 사용자가 직접 수치를 입력하여 픽스쳐의 위치 이동량을 조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방향 회전량 표시 인터페이스(34)는 사용자가 직접 수치를 입력하여 픽스쳐의 방향 회전량을 조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방향회전 인터페이스(35)는 픽스쳐의 방향을 미세하게 회전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36)는 픽스쳐의 시스템(종류)을 조정하기 위해 화면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37)는 픽스쳐의 길이(Length)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38)는 픽스쳐의 직경(Diameter)을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36),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37),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38)는 픽스쳐 라이브러리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픽스쳐의 시스템 정보, 스펙 정보(길이, 직경 등)는 픽스쳐 라이브러리 화면에서 확인 및 선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별도의 픽스쳐 라이브러리 화면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매니퓰레이터 상의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36),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37),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38)를 이용하여 조정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18)는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길이 정보와 현재 길이에서 전후로 조정 가능한 픽스쳐의 길이 정보를 표시한다. 다른 예로,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직경 정보와 현재 직경에서 전후로 조정 가능한 픽스쳐의 직경 정보를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18)는 픽스쳐 위치 조정, 회전방향 조정 및 시스템 조정, 스펙 조정 이외에도 인접한 픽스쳐와의 관계 및 골 이식량 확인을 위하여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예를 들어,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39)는 사용자 선택 시에 인접한 픽스쳐와의 거리정보를 자동으로 계측하여 제공한다. 식립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40)는 사용자 선택 시에 주변 픽스쳐와의 식립각도 정보를 자동으로 계측하여 제공한다.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41)는 사용자 선택 시에 골 이식 정보를 자동으로 계측하여 제공한다.
입력부(16)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6)는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매니퓰레이터를 통해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치(1)는 치과 영상에 가상의 픽스쳐를 식립한다(S210). 소프트웨어의 알고리즘을 이용하거나 학습 데이터 기반의 AI 결과물을 이용한 자동화 방식으로 픽스쳐를 식립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픽스쳐를 식립할 수 있다.
이어서, 장치(1)는 식립된 픽스쳐의 미세조정 화면을 제공한다(S220). 이때, 사용자의 픽스쳐 선택을 통해 미세조정 화면에 진입할 수 있다.
이어서, 장치(1)는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매니퓰레이터를 표시한다(S230).
매니퓰레이터 표시 단계(S230)에서, 장치(1)는 픽스쳐 라이브러리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픽스쳐 라이브러리 정보는 시스템 정보, 길이 정보, 직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니퓰레이터 표시 단계(S230)에서, 장치(1)는 별도의 픽스쳐 라이브러리 화면으로의 전환 없이,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의 픽스쳐 조정 GUI 상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시스템 조정을 위한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 선택된 픽스쳐의 길이 조정을 위한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 및 선택된 픽스쳐의 직경 조정을 위한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의 경우, 장치(1)는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시스템 정보와 변경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의 경우, 장치(1)는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길이 정보와 현재 길이에서 전후로 조정 가능한 픽스쳐의 길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의 경우, 장치(1)는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직경 정보와 현재 직경에서 전후로 조정 가능한 픽스쳐의 직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의 경우, 장치(1)는 픽스쳐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최대길이를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대길이가 선택되면 이후 길이 증가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길이 증가 버튼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치(1)는 픽스쳐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최소길이를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소길이가 선택되면 이후 길이 감소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길이 감소 버튼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직경 증가 인터페이스의 경우, 장치(1)는 픽스쳐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최대직경을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대직경이 선택되면 이후 직경 증가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직경 증가 버튼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치(1)는 픽스쳐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최소직경을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소직경이 선택되면 이후 직경 감소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직경 감소 버튼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매니퓰레이터 표시 단계(S230)에서, 장치(1)는 위치이동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픽스쳐 기준 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수치만큼 위치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치(1)는 방향회전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픽스쳐 기준 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수치만큼 방향회전할 수 있다.
매니퓰레이터 표시 단계(S230)에서, 장치(1)는 자동계측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자동계측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픽스쳐와 인접한 해부학적 구조물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선택된 픽스쳐와 인접한 픽스쳐와의 거리정보를 계측하여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서 거리정보를 제공하는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선택된 픽스쳐를 기준으로 식립된 다른 픽스쳐들과의 식립 각도정보를 각각 계측하여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서 각도정보를 제공하는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선택된 픽스쳐 주변의 골 이식 정보를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서 제공하는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해부학적 구조물은 인접한 픽스쳐를 포함한 임플란트 구조물뿐만 아니라, 인접한 치아, 뼈, 상악의 경우 상악동, 하악의 경우 하치조 신경 등일 수 있다.
이어서, 매니퓰레이터를 통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픽스쳐 미세 조정 기능 또는 자동계측 기능을 제공한다(S240).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이 변경되면, 장치(1)는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 변경된 픽스쳐 형상이 표시되고, 이때 픽스쳐의 길이와 직경을 포함한 스펙 정보는 변경되지 않는다. 다만, 변경된 픽스쳐 시스템에서 변경 전의 길이 및 직경 스펙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근접한 스펙의 픽스쳐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선택한 경우, 장치(1)는 선택된 픽스쳐와 치아번호가 연속된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연속된 치아번호의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경우, 선택된 픽스쳐와 상기 연속된 치아번호의 픽스쳐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계측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선택한 경우, 장치(1)는 3차원적으로 생성된 악궁라인의 평면 상에 픽스쳐를 프로젝션 하여 픽스쳐의 최상단점을 악궁라인의 단면 상에 일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픽스쳐 최상단점에서 최하단점까지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식립 각도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선택한 경우, 장치(1)는 골 이식 영역을 분할된 영역으로 별도 표시하며, 실제 계측된 볼륨량과 골 이식이 되는 골 이식 볼륨량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골 이식 계측 방법을 예로 들면, 장치(1)는 선택된 픽스쳐와 인접한 본 레벨(Bone Level)을 연결하는 CEJ 라인을 기준으로 골 손실 영역을 검출한 후, 검출된 골 손실 영역에서 픽스쳐 식립 영역의 볼륨을 제외한 나머지 볼륨을 골 이식 볼륨량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 미세조정 매니퓰레이터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픽스쳐 매니퓰레이터는 2D 영상 및 3D 영상에서 선택된 픽스쳐를 기준으로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도록 활성화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퓰레이터는 원형의 가이드 인터페이스와, 가이드 인터페이스 주변에 배치되는 픽스쳐 미세조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원형일 수 있으나, 꼭 원형일 필요는 없고, 사각형 또는 그 외의 다각형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스펙 조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가능한 스펙을 숫자로 표현하고, 선택 시 선택된 숫자의 스펙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길이 정보와 현재 길이에서 전후로 조정 가능한 픽스쳐의 길이 정보를 표시하며,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직경 정보와 현재 직경에서 전후로 조정 가능한 픽스쳐의 직경 정보를 표시하며,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36) 상에 현재 시스템 정보와 현재 시스템에서 전후로 조정 가능한 시스템 정보를 표시한다.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42) 또는 ▲/▼/▶/◀ 등의 화살표(43)로 표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이동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치이동 인터페이스(31, 32)를 이용하여 선택된 픽스쳐의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치이동 인터페이스(31, 32)의 버튼을 클릭하면, 미세조정 화면에서 픽스쳐 기준 축(50) 방향으로 좌/우/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픽스쳐의 회전으로 인해 픽스쳐 기준 축(50)이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픽스쳐 기준 축(50)의 화면에서 좌/우/상/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적용된다.  한 번 클릭에 대한 위치 이동량은 기본적으로 'mm' 단위를 적용할 수 있다.
하나의 픽스쳐 기준 축 방향이 아닌 자유롭게 픽스쳐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픽스쳐의 형상을 클릭하여 드래그 드롭 하는 방식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기준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 방향의 버튼을 클릭하여 드래그 드롭 하는 방식으로 좌/우/상/하 기준 축 방향 자유 이동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향회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방향회전 인터페이스(35)를 이용하여 선택된 픽스쳐의 방향회전이 가능하다. 방향회전 인터페이스(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버튼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방향회전 인터페이스(35)를 클릭 시, 픽스쳐는 해당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회전 수치만큼 각도가 조정된다. 미리 설정된 회전 수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사용자가 미세조정 화면에서 방향회전 인터페이스(35)를 선택하면, 픽스쳐 기준 축(50)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다. 픽스쳐 기준 축(50)은 예를 들어, 픽스쳐 최상단 중심점과 최하단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일 수 있다. 픽스쳐 위치 이동으로 인해 픽스쳐의 최상단 중심점 및 최하단 중심점이 동시에 변경되기 때문에 픽스쳐 기준 축(50)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픽스쳐 기준 축(50)의 화면에서 방향회전이 가능하도록 적용된다. 방향회전 인터페이스(35)의 한 번 선택에 대한 방향 회전량은 기본적으로 '° (degree)' 단위를 적용할 수 있다.
설정된 수치만큼이 아닌 자유회전을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의 방향회전 인터페이스(25)를 클릭하여 드래그 드롭 하는 방식으로 좌/우 기준 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이동량 조정 인터페이스 및 방향 회전량 조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 이동량 조정 인터페이스(33)를 통해 직접 수치를 입력하여 픽스쳐의 위치 이동량을 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방향 회전량 조정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직접 수치를 입력하여 픽스쳐의 방향 회전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매니퓰레이터 상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시스템(종류) 및 선택된 시스템 픽스쳐의 길이와 직경 정보 변경 기능을 제공한다.
 픽스쳐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는 픽스쳐 시스템, 즉 종류를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TS 시스템의 픽스쳐가 기본 TS III로 설정되는 경우, 좌/우 버튼을 클릭하여 SS III 시스템 또는 TS IV 시스템의 픽스쳐로 변경할 수 있다. 시스템이 변경되면, 화면에서도 변경된 픽스쳐 형상으로 변경되며, 이때 길이와 직경을 포함한 스펙 정보는 변경되지 않는다. 다만, 변경된 픽스쳐 시스템에서 변경 전의 길이 및 직경 스펙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근접한 스펙의 픽스쳐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픽스쳐 시스템 정보는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픽스쳐 라이브러리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픽스쳐 라이브러리를 별도의 화면으로 활성화할 수 있지만, 사용자 편의성을 위하여 매니퓰레이터 상에서 픽스쳐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36)를 제공함에 따라, 픽스쳐 라이브러리 화면을 활성화하지 않고도 변경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픽스쳐 라이브러리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픽스쳐 라이브러리 화면(90)을 통해 시스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픽스쳐 라이브러리 화면(90)을 활성화하여 픽스쳐 시스템을 조정할 수도 있다. 픽스쳐 라이브러리는 픽스쳐의 시스템(System), 코드(Code), 직경(Diameter), 길이(Length), A/H(Abutment height), G/H(Gingival Height), 각도(Angle)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37)를 이용하여 픽스쳐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픽스쳐 길이는 픽스쳐 라이브러리 상에서 선택된 픽스쳐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길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예를 들어, 픽스쳐 라이브러리 상에서 픽스쳐 길이를 1.5mm 단위로 제공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선택된 픽스쳐 길이정보가 10.0mm이면, 현재 픽스쳐 길이정보(10.0mm)보다 한 단계 짧은 픽스쳐 길이정보(8.5mm)와 한 단계 긴 픽스쳐 길이정보(11.5mm)를 버튼 형식으로 함께 표시하고, 버튼 선택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최대길이를 확인하고, 예를 들어, 최대길이를 13.0mm까지 제공하고 있다면, 13.0mm 픽스쳐 선택 시 이후 길이 증가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길이 증가 버튼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픽스쳐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최소길이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최소 길이의 픽스쳐 선택 시에는 이후 길이 감소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길이 감소 버튼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38)를 이용하여 픽스쳐의 직경을 조정할 수 있다. 픽스쳐 직경은 픽스쳐 라이브러리 상의 선택된 픽스쳐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직경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예를 들어, 픽스쳐 라이브러리 상에서 픽스쳐 직경을 0.5mm 단위로 제공하고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선택된 픽스쳐가 4.0mm인 경우에 현재 픽스쳐 직경정보(4.0mm)보다 한 단계 얇은 픽스쳐 직경정보(3.5mm)와 한 단계 두꺼운 픽스쳐 직경정보(4.5mm)를 버튼 형식으로 함께 표시하고, 버튼 선택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픽스쳐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최대직경을 확인하고, 예를 들어, 최대직경을 5.0mm까지 제공하고 있다면, 5.0mm 픽스쳐 선택 시 이후 직경 증가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픽스쳐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최소직경을 확인하고, 사용자가 픽스쳐 최소직경 선택 시 이후 직경 감소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에 따른 인접 픽스쳐 거리 자동계측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39)를 이용하여 인접한 픽스쳐와의 거리정보를 포함한 인접 픽스쳐와의 관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자동계측 버튼을 클릭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한 픽스쳐와의 거리정보를 자동으로 계측한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서 거리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39)가 원 형태의 가이드 인터페이스 외곽에 위치하고 있으나, 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이드 인터페이스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거리정보 계측을 위해, 소프트웨어는 선택된 픽스쳐와 치아번호가 연속된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연속된 치아번호의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경우, 선택된 픽스쳐와 연속된 치아번호의 픽스쳐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계측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15번, 16번, 17번 치아번호에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고 16번 치아번호의 픽스쳐가 선택된 상태에서 자동 거리계측을 활성화하면, 15번과 16번, 16번과 17번 치아번호 픽스쳐와의 거리정보를 계산한다. 만약 14번, 16번, 17번 치아번호에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다면 16번과 17번 치아번호의 픽스쳐 거리정보만을 계산한다. 픽스쳐 거리정보는 픽스쳐의 최상단 중심점 간 거리, 픽스쳐의 최하방 중심점 간 거리, 픽스쳐와 픽스쳐 간 가장 인접한 영역의 거리 등을 소프트웨어에서 계산하여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는 선택된 픽스쳐(140) 및 인접한 픽스쳐(142) 간의 최상단 중심점 간 거리 8.57mm와, 선택된 픽스쳐(140) 및 인접한 픽스쳐(142) 간의 가장 인접한 영역 간 거리 3.89mm가 각각 표시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40)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픽스쳐(150)를 기준으로 식립된 다른 픽스쳐들과의 각도를 각각 자동으로 계측하여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서 각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각도정보는 선택된 픽스쳐(150)와 식립된 다른 픽스쳐와의 각도를 전체 표현하며, 이때 선택된 픽스쳐(150)를 기준으로 각 다른 픽스쳐와의 식립 각도를 표현할 수 있다. 식립 각도 표현을 위해, 소프트웨어는 3차원적으로 생성된 악궁라인의 평면 상에 픽스쳐를 프로젝션 하여 픽스쳐의 최상단점을 악궁라인의 단면 상에 일치시킨 이후, 픽스쳐 최상단점에서 최하단점까지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각도를 표현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40)가 원 형태의 가이드 인터페이스 외곽에 위치하고 있으나, 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이드 인터페이스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41)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픽스쳐 주변의 골 이식 정보를 자동으로 계측하여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 표현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41)가 원 형태의 가이드 인터페이스 외곽에 위치하고 있으나, 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이드 인터페이스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에 따른 골 이식 계측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골 이식 정보는 골 이식 영역을 분할된 영역으로 별도 표현하며, 실제 계측된 볼륨량(171)과 골 이식이 제안되는 골 이식 볼륨량(172)을 별도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분할된 영역(171)의 볼륨이 0.5cc라면, 골 이식 볼륨량(172)은 이에 120%인 0.6cc로 표현한다. 볼륨량의 단위는 'cc' 또는 'mm3'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 이식 계측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세부적으로, (a)는 CEJ(Cementoenamel junction) 라인을 기준으로 골 손실 영역을 검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픽스쳐 식립 영역의 볼륨을 제외한 골 이식 볼륨량을 계측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픽스쳐와 인접한 본 레벨(Bone Level)을 연결하는 CEJ 라인을 기준으로 골 손실 영역(181)을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골 손실 영역(181)에서 픽스쳐 식립 영역의 볼륨을 제외한 나머지 볼륨을 골 이식 볼륨량(182)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에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가
    치과 영상에 가상의 픽스쳐를 식립하는 단계;
    식립된 픽스쳐의 미세조정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픽스쳐 라이브러리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픽스쳐 조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이하, 'GUI'라 칭함)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통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픽스쳐를 미세 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별도의 픽스쳐 라이브러리 화면으로의 전환 없이,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의 픽스쳐 조정 GUI 상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시스템 조정을 위한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 선택된 픽스쳐의 길이 조정을 위한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 및 선택된 픽스쳐의 직경 조정을 위한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의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시스템 정보와 변경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길이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길이 정보와 현재 길이에서 전후로 조정 가능한 픽스쳐의 길이 정보를 표시하며,
    직경 조정 인터페이스 상에 픽스쳐의 현재 직경 정보와 현재 직경에서 전후로 조정 가능한 픽스쳐의 직경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픽스쳐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최대길이 또는 최소길이를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대길이가 선택되면 이후 길이 증가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길이 증가 버튼을 비활성화 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소길이가 선택되면 이후 길이 감소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길이 감소 버튼을 비활성화 하며,
    픽스쳐 라이브러리에서 선택된 픽스쳐의 최대직경 또는 최소직경을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대직경이 선택되면 이후 직경 증가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직경 증가 버튼을 비활성화 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소직경이 선택되면 이후 직경 감소 버튼을 선택할 수 없도록 직경 감소 버튼을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를 미세 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의 시스템 조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이 변경되면,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 변경된 픽스쳐 형상이 표시되고, 픽스쳐의 길이와 직경을 포함한 스펙 정보는 변경되지 않되, 변경된 픽스쳐 시스템에서 변경 전의 길이 및 직경 스펙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근접한 스펙의 픽스쳐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은
    픽스쳐 기준 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수치만큼 위치이동이 가능한 위치이동 인터페이스와, 픽스쳐 기준 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수치만큼 방향회전이 가능한 방향회전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8.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를 이용한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에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가
    치과 영상에 가상의 픽스쳐를 식립하는 단계;
    식립된 픽스쳐의 미세조정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픽스쳐와 인접한 해부학적 구조물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자동계측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한 소정의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을 통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선택된 픽스쳐와 인접한 픽스쳐와의 거리정보를 계측하여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서 거리정보를 제공하는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와, 선택된 픽스쳐를 기준으로 식립된 다른 픽스쳐들과의 식립 각도정보를 각각 계측하여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서 각도정보를 제공하는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거리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을 통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선택된 픽스쳐와 치아번호가 연속된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연속된 치아번호의 픽스쳐가 식립되어 있는 경우, 선택된 픽스쳐와 상기 연속된 치아번호의 픽스쳐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계측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을 통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각도 자동계측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 시에 3차원적으로 생성된 악궁라인의 평면 상에 픽스쳐를 프로젝션 하여 픽스쳐의 최상단점을 악궁라인의 단면 상에 일치시키는 단계; 및
    픽스쳐 최상단점에서 최하단점까지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식립 각도정보를 표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선택된 픽스쳐 주변의 골 이식 정보를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서 제공하는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을 통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골 이식 영역을 분할된 영역으로 별도 표시하며, 실제 계측된 볼륨량과 골 이식이 되는 골 이식 볼륨량을 별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골 이식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소정의 활성화 인터페이스 선택을 통해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선택된 픽스쳐와 인접한 본 레벨(Bone Level)을 연결하는 CEJ 라인을 기준으로 골 손실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골 손실 영역에서 픽스쳐 식립 영역의 볼륨을 제외한 나머지 볼륨을 골 이식 볼륨량으로 표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15. 치과 영상에 식립된 픽스쳐의 미세조정 화면을 제공하고, 픽스쳐 미세조정 화면에서 픽스쳐 라이브러리 정보를 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자동계측 정보 활성화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픽스쳐 조정 GUI를 표시하는 출력부;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통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픽스쳐 미세조정을 위한 화면 정보를 구성하여 출력부에 제공하고, 상기 픽스쳐 조정 GUI를 통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픽스쳐 미세조정 또는 자동계측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
KR1020210022021A 2021-02-18 2021-02-18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및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 KR102470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21A KR102470822B1 (ko) 2021-02-18 2021-02-18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및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021A KR102470822B1 (ko) 2021-02-18 2021-02-18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및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86A true KR20220118186A (ko) 2022-08-25
KR102470822B1 KR102470822B1 (ko) 2022-11-28

Family

ID=8311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021A KR102470822B1 (ko) 2021-02-18 2021-02-18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및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8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219A (ko) * 2019-07-11 2021-01-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219A (ko) * 2019-07-11 2021-01-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DiagnostiX, Instructions for Use(2020.02.25.) *
SICAT IMPLANT Instructions for use(2019) *
Simplant 18, Instructions for Use(201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822B1 (ko)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359B1 (ko) 파노라믹 영상을 이용한 치아번호 선택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KR102232294B1 (ko) 임플란트 시술 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그 영상 처리장치
KR20200109419A (ko) 최적화된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 수복 유형 설계를 위한 임플란트 식립 설계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77859A (ko) 객체조정 ui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314891B1 (ko)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 방법
KR102232293B1 (ko)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
KR102239358B1 (ko) 임플란트 중심선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20210037038A (ko) 보철물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198664B1 (ko) 위험 인자를 고려한 픽스쳐 자동 식립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계획 방법 및 그 장치
KR102615791B1 (ko) 파노라믹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470822B1 (ko) 픽스쳐 미세조정 방법 및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장치
KR102422534B1 (ko)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2269029B1 (ko)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EP4238534A1 (en) Method for determining object area from three-dimensional model, and three-dimensional model processing device
KR102197309B1 (ko) 상악동 리프팅을 위한 픽스쳐 침범영역 분할이 가능한 의료영상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2350098B1 (ko) 악궁라인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20210114223A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계획 수립방법 및 그 장치
KR102292874B1 (ko)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영역 미세조정 방법 및 그 가이드 디자인 장치
KR20210028328A (ko) 상악동 영역 분할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474298B1 (ko) 보철물 모델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6168B1 (ko) 상악동 거상술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EP4275608A2 (en) Computed tomography and positioning of a volume to be imaged
KR102473722B1 (ko) 치아 단면영상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456703B1 (ko) 신경관 라인 생성방법 및 치과 임플란트 수술계획 수립장치
KR20220009731A (ko) 크라운 커넥터 디자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물 디자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