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124A -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124A
KR20220118124A KR1020210021875A KR20210021875A KR20220118124A KR 20220118124 A KR20220118124 A KR 20220118124A KR 1020210021875 A KR1020210021875 A KR 1020210021875A KR 20210021875 A KR20210021875 A KR 20210021875A KR 20220118124 A KR20220118124 A KR 20220118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arging
charging cable
gear stage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8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진근
안재환
김기범
김현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8124A/en
Publication of KR2022011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54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by controlling transmissions or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8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etermining whether a charging cable is connected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or not a charging por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able based on a signal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pin among a plurality of pins of the charging cable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a shifting apparatus is controlled to prevent driving of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port, the shifting apparatus is controlled so that driving of the vehicle is permitted.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mission device; the charging port;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전 케이블에 마련된 커넥터와의 연결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or recognizing a connection state with a connector provided in a charging cab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차량은 휘발유, 경유와 같은 석유연료를 연소시켜 기계적인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내연기관 차량(일반 엔진 차량)과, 연비 및 유해 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주행하는 친환경 차량을 포함한다.Vehicles generate mechanical power by burning petroleum fuels such as gasoline and diesel, and use this mechanical power to dri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general engine vehicles), and electricity to reduce fuel economy and harmful gas emissions. Including eco-friendly vehicles that drive.

여기서 친환경 차량은 충전 가능한 전원부인 배터리와 모터를 포함하고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키고 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차륜을 구동시키는 전기 차량과, 엔진, 배터리 및 모터를 포함하고 엔진의 기계적인 동력과 모터의 전기적인 동력을 제어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포함한다.Here, an eco-friendly vehicle includes a battery and a motor, which are rechargeable power supplies, rotates the motor with electricity accumulated in the battery, and drives the wheels us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includes an engine, a battery, and a motor, and includes an engine, a battery and a motor. It includes a hybrid vehicle that drives by controlling power and electric power of a motor.

여기서 하이브리드 차량은 외부의 전기와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가 마련되고 외부의 전기와 연결 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차량을 포함한다. Here, the hybrid vehicle includes a plug-in hybrid vehicle in which a plug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external electricity is provided and a battery can be charged when connected to external electricity.

이와 같은 친환경 차량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상용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Such an eco-friendly vehicle receives external commercial power through a charging cable and charges a battery using the supplied power.

즉, 상용 전원의 콘센트로부터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가 연결되고, 차량의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가 연결되면, 차량은 충전 케이블을 통해 상용 전원을 공급받는다.That is, when the plug of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from the outlet of the commercial power and the connector of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vehicle, the vehicle receives commercial power through the charging cable.

일 측면은 충전 완료 후 충전 케이블이 차량에서 분리되었는지 판단하고 충전 케이블이 차량에 연결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충전 케이블이 차량에서 분리되었다고 판단되었을 때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is a vehic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vehicle after charging is complete, making driving impossib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vehicle, and enabling driv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vehicle control method is provided.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변속 장치; 충전 케이블에 마련된 복수 개의 핀들이 연결되는 충전구; 및 복수 개의 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구와 충전 케이블과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주행을 방지하도록 변속 장치를 제어하고, 충전구에서 충전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주행을 허용하도록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transmission device; a charging port to which a plurality of pins provided on the charging cable are connect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harging port and the charging cable are connected based on a signal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ins, and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to prevent driv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to allow driving is included.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변속 장치는, 복수 개의 기어 단으로 위치를 변경하는 변속 레버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주행을 방지하도록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에 고정되도록 변속 레버를 제어한다.The transmiss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shift lever for changing a position to a plurality of gear stages, and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is set to the parking gear to prevent driving. Control the shift lever so that it is fixed to the stage.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충전 케이블이 충전구에서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주행을 허용하도록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 전진 기어 단, 후진 기어 단 및 중립 기어 단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도록 변속 레버를 제어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may shift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to change to any one of a parking gear stage, a forward gear stage, a reverse gear stage, and a neutral gear stage to allow driving. control the lever.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시동을 제한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limits the start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륜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엔진 및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엔지 및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한한다.The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ngine and a motor for applying a driving force to the wheel, and the controller restricts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engine and the mot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복수 개의 핀들 중 근접 감지 핀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근접 감지 핀의 신호에 기초하여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라고 판단되면 복수 개의 핀들 중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a proximity detection pin among a plurality of pins, determines whether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in an open stat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and determines that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in an open state If i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among the plurality of pins.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 아니면,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면 충전구에서 충전 케이블이 분리되었다고 판단한다.When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is not a preset voltage value,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determines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and responds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If the voltage value is a preset voltag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미리 설정된 전압값은, 대략 0V의 전압값이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preset voltage value of the vehicle is a voltage value of approximately 0V.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충전을 유지시키고,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이고,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면 배터리의 충전을 중단시킨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not in an open state,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maintains the charge of the battery,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in an open state, and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is preset value to stop charging the battery.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주기적으로 충전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periodically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충전구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의 복수 개의 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구와 충전 케이블과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주행을 방지하도록 변속 장치를 제어하고, 충전구에서 충전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주행을 허용하도록 변속 장치를 제어한다.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determines whether a charging port and a charging cable are connected based on a signal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pin among a plurality of pins of a charging cable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and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is is connected, the transmission is controlled to prevent the vehicle from running,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the transmission is controlled to allow the vehicle to travel.

차량의 주행을 방지하도록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 전진 기어 단, 후진 기어 단 및 중립 기어 단 중 어느 하나로 변경이 제한되도록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을 주차 기어 단에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Controlling the shifting devic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running is to set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to the parking gear stage so that the change of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is limited to any one of a parking gear stage, a forward gear stage, a reverse gear stage, and a neutral gear stage. including fixing to

차량의 주행을 허용하도록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 전진 기어 단, 후진 기어 단 및 중립 기어 단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도록 변속 레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Controlling the shift device to allow the vehicle to travel includes controlling the shift lever to change a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to any one of a parking gear stage, a forward gear stage, a reverse gear stage, and a neutral gear stage.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엔지 및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의 제한 및 시동 제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The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urther includes controlling at least one of limit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an engine and a motor and limiting a star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충전구와 충전 케이블과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복수 개의 핀들 중 근접 감지 핀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근접 감지 핀의 신호에 기초하여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라고 판단되면 복수 개의 핀들 중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과 미리 설정된 전압값을 비교하고,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과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 아니면,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면 충전구에서 충전 케이블이 분리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To determine whether the charging port and the charging cable are connected,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a proximity detection pin among a plurality of pin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in an open stat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and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If the open state is determined,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among the plurality of pins is compared with a preset voltage value, and if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is not the preset voltage value, and determining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and determining that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when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is a preset voltage value.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충전을 유지시키고,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이고,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면 배터리의 충전을 중단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In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not in an open state, the battery is maintained,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in an open state, and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is preset The voltage value further includes stopping charging of the battery.

본 발명은 충전 케이블의 근접 감지핀의 신호와 컨트롤 파일롯 핀의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케이블과 차량과의 연결 및 분리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충전 케이블과 차량과의 연결 및 분리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of determining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between the charging cable and the vehicle by determining the state of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between the charging cable and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of the charging cable and the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have.

본 발명은 충전 케이블과 차량이 연결된 상태일 때 차량의 주행을 불가능하도록 변속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및 사용자의 사고를 줄일 수 있고, 차량 및 충전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afety of the vehicle by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so that the vehicle cannot be driven when the charging cable and the vehicle are connected. That is, by making it impossible to drive the vehicle, accidents of the vehicle and the user can be reduced, and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cabl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은 친환경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merchantability of an eco-friendly vehicle, further increase user satisfaction, and secure product competitivenes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에 마련된 충전부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충전 케이블의 연결 및 분리 인식을 위한 컨트롤 파일롯 핀과 근접 감지핀의 신호 그래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the exterio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 charging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illustrated in FIG. 1 .
3 is an exemplary view of a charging cable connected to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vehicle contro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ing cable connected to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control flowchar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signal graph of a control pilot pin and a proximity detection pin for recognizing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of a vehicle and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부재, 모듈,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부재, 모듈,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부재, 모듈,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r content that overlaps among the embodiments is omitted. The term 'part, member, module, device'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part, member, module,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or one It is also possible that a 'part, member, module, device' of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connec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 part "includes" a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the specific order is clearly stated in the context. hav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에 마련된 충전부의 예시도이며,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의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the exterio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 charging unit provided in the vehicle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an exemplary view of a charging cable connected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은, 배터리와 모터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친환경 차량으로, 전기 차량 또는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n eco-friendly vehicle that runs using a battery and a motor, and may include an electric vehicle or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 100)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The vehicle 1 includes a body 100 having an interior and an exterior, and a chassis in which mechanical devices necessary for driving are installed as the remaining parts except for the vehicle body.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0)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전후좌우의 도어(115), 전후좌우의 도어(115)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6)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 the exterior 110 of the vehicle body 100 includes a front panel 111 , a bonnet 112 , a roof panel 113 , a rear panel 114 ,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doors 115 ,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sides. It includes a window glass 116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door 115 of the.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전후좌우 도어(115)의 윈도우 글래스(116)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와, 전방시야를 주시하면서 주변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외장 램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pillar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window glasses 116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oors 115, a side mirror that provides the driver with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1, and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s while observing the front view. It includes external lamps that make it easy to see and serve the function of signaling and communication to other vehicles and pedestrians.

차량의 차대는 차체를 지지하는 틀로, 차대에는 전후좌우에 각 배치된 차륜과, 전후좌우의 차륜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동력 장치, 조향 장치, 전후좌우의 차륜에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및 변속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The chassis of the vehicle is a frame that supports the vehicle body, and the chassis includes wheels arrang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 power unit for applying driving force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wheels, a steering system, a braking system for applying braking force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wheels; A suspension device and a transmission device may be provided.

동력 장치는 동력 발생 장치와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unit may include a power generating unit and a power transmitting unit.

전기 차량의 경우, 동력 발생 장치는 배터리 및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the power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 battery and a motor.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동력 발생 장치는 배터리, 모터, 엔진, 연료장치, 냉각 및 급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hybrid vehicle, the power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 battery, a motor, an engine, a fuel device, and a cooling and refueling device.

배터리는 고압의 전류를 생성하여 차량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일 수 있다. The battery may be a main battery that generates a high-voltage current to supply driving power to the vehicle.

모터는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차량에 마련된 각종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역학적 에너지로 전환한다.The motor converts the electrical energy of the battery into mechanical energy for operating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차량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모터를 동작시키고 모터의 동작을 통해 엔진을 구동시킨다. 아울러 하이브리드 차량은 외부의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일 수 있다. In the case of a hybrid vehicle, when the start button is turned on, the vehicle operates the motor and drives the engin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otor. In addition, the hybrid vehicle may be a plug-in hybrid vehicle that charges the battery using external power.

전기 차량인 경우, 차량은 시동 버튼(또는 부팅 버튼)이 온 되면 모터에 최대 전류를 공급하여 최대 토크가 발생되도록 한다. In the case of an electric vehicle, when the start button (or boot button) is turned on, the vehicle supplies the maximum current to the motor to generate the maximum torque.

동력 전달 장치는 클러치, 변속기, 종감속 장치, 차동 장치, 차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lutch, a transmission, a final reduction device, a differential device, and an axle.

차량은 차체의 외장에 마련되고,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수신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provid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body, to which a charging cable is connected, and receiv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충전부는 배터리를 급속으로 충전하기 위한 급속 충전부(117)와, 배터리를 급속 충전 속도보다 느린 속도인 완속으로 충전하기 위한 완속 충전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may include a fast charging unit 117 for rapidly charging the battery, and a slow charging unit 118 for charging the battery at a slow rate that is slower than the fast charging rate.

이러한 급속 충전부(117)에는 급속 충전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고, 완속 충전부(118)에는 완속 충전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A cable for fast charging may be connected to the fast charging unit 117 , and a cable for slow charging may be connected to the slow charging unit 118 .

아울러 급속 충전을 위한 급속 충전부와, 급속 충전보다 충전 속도가 느린 완속 충전을 위한 완속 충전부가 차량의 외장의 동일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차량은 차량의 외장에 통합적으로 마련된 하나의 충전부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하나의 충전부에는 급속 충전구와 완속 충전구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ast charging unit for fast charging and the slow charging unit for slow charging, which has a slower charging speed than the fast charging, are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That is, the vehicle may include only one charging unit integrally provid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In this case, one charg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fast charging port and a slow charging port.

본 실시 예는 배터리를 완속으로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118)를 가진 차량에 대해 설명한다.This embodiment describes a vehicle having the charging unit 118 for charging the battery slowly.

차량은 충전부(118)의 충전캡(118a)을 더 포함한다.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charging cap 118a of the charging unit 118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118)는 수용 공간을 갖고, 충전 캡(118a)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부(118b)와, 수용부(118b)에 배치되고 충전 케이블(2)의 커넥터가 삽입 연결되는 충전구(charging inlet, 118c)를 포함한다. 아울러 충전구는 콘센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harging unit 118 has an accommodating space, the receiving unit 118b opened and closed by the charging cap 118a , and the connector of the charging cable 2 disposed in the receiving unit 118b It includes a charging inlet (118c)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In addition, the charging por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outlet.

충전구(118c)는, 5핀의 커넥터가 삽입 연결되는 콘센트일 수도 있고, 7핀의 커넥터가 삽입 연결되는 콘센트일 수도 있다.The charging port 118c may be an outlet into which a 5-pin connector is inserted and connected, or an outlet into which a 7-pin connector is inserted and connected.

본 실시 예는 5핀의 커넥터가 삽입 연결되는 충전구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a charging port to which a 5-pin connector is inserted and connect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케이블(2)은 단상 AC의 전력을 전송하는 케이블로, 라이브 핀(L1), 뉴트럴 핀(L2/N), 접지 핀(GND), 근접 감지핀(Proximity Detection, PD), 제어 확인 핀인 컨트롤 파일롯 핀(Control Pilot, CP)이 배치된 커넥터(210)와, AC 상용 전원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2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 the charging cable 2 is a cable that transmits single-phase AC power, and a live pin (L1), a neutral pin (L2/N), a ground pin (GND), and a proximity detection pin (Proximity Detection) , PD), a connector 210 in which a control pilot pin (Control Pilot, CP), which is a control confirmation pin, is disposed, and a plug 220 connected to an outlet of an AC commercial power source.

컨트롤 파일롯 핀(CP)에 걸리는 전압은, 충전 케이블의 연결 상태 및 통신 상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컨트롤 파일롯 핀(CP)에 걸리는 전압은, 차량과의 연결 상태, 충전 모드 및 통신 모드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pilot pin CP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harging cable and the communication state.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pilot pin CP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a connection state with the vehicle, a charging mode, and a communication mode.

예를 들어, 컨트롤 파일롯 핀(CP)에 걸리는 전압은, 통신 가능 상태에 대한 확인 신호 및 통신 시작 신호가 수신될 때 제1전압인 대략 9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업데이트 모드로의 변경 명령 신호가 수신될 때 제2전압인 대략 1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가능 상태 또는 연결 상태에 대한 확인 신호가 수신될 때의 제1전압과, 업데이트 모드로의 변경 명령 신호가 수신될 때의 제2전압은, 미리 설정된 값이다.For example,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pilot pin CP may be a first voltage of approximately 9V when a confirmation signal for a communicable state and a communication start signal are received, and a change command to the update mode may be applied. When the signal is received, a voltage of approximately 1V, which is a second voltage, may be applied. Here, the first voltage when a confirmation signal for the communicable state or the connection state is received and the second voltage when the change command signal to the update mode is received are preset values.

또한 통신 중일 때에는 컨트롤 파일롯 핀(CP)에 대략 제3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전압은 충전 케이블(2)과 통신 장치(3) 사이에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압으로, 미리 설정된 전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전압은 대략 9V의 전압일 수 있다.Also, during communication, approximately a third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control pilot pin CP. Here, the third voltage is a voltage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charging cable 2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3 , and may be a preset voltage. For example, the third voltage may be approximately 9V.

충전 케이블(2)은 차량(1)과 상용 전원 사이에서 충전이 수행되도록 하는 컨트롤 박스(In Cable Control Box: ICCB, 230)와, 커넥터(210), 플러그(220) 및 컨트롤 박스(230)를 연결하는 케이블 부재(240)를 포함한다.The charging cable 2 includes a control box (In Cable Control Box: ICCB, 230) that allows charging to be performed between the vehicle 1 and commercial power, a connector 210, a plug 220, and a control box 230. and a connecting cable member 240 .

컨트롤 박스(230)는 컨트롤 박스(2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31)와, 충전 준비, 중전 실패, 충전 중, 충전 완료 등의 충전 정보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box 230 may include a case 231 forming the exterior of the control box 230, and a second display unit 232 displaying charging information such as charging preparation, power failure, charging, and charging completion. have.

컨트롤 박스(230)의 케이스(231) 내부에는 차량의 충전, 차량과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기판이 마련될 수 있다.A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vehicle charging and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231 of the control box 230 .

컨트롤 박스(230)의 케이스(231)는 밀폐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case 231 of the control box 230 may be formed in a sealed state, and may be provided integrally.

컨트롤 박스(230)는 충전 시작, 충전 정지 등의 충전 명령을 입력받는 제2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2입력부는 커넥터(210)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2입력부는 터치 패널로, 제2표시부(222)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ntrol box 2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put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charging commands such as charging start and charging stop. Such a second input unit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or 210 . Here, the second input unit is a touch panel and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display unit 222 .

케이블 부재(240)는 커넥터(210)와 컨트롤 박스(230)를 연결하는 제1케이블 부재(241)와, 플러그(220)와 컨트롤 박스(230)를 연결하는 제2케이블 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le member 240 includes a first cable member 241 connecting the connector 210 and the control box 230 and a second cable member 242 connecting the plug 220 and the control box 230 . can do.

충전 케이블(2)은 홈에서의 충전을 위한 케이블일 수 있다.The charging cable 2 may be a cable for charging in the home.

아울러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에 7핀이 마련된 경우, 이 커넥터는 3상 AC의 커넥터로, L2, L3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7 pins are provided in the connector of the charging cable, this connector is a three-phase AC connector and may further include L2 and L3 pins.

차량(1)과 충전 케이블(2) 간의 상호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The interaction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charging cable 2 is briefly described.

충전 케이블(2)은 상용전원 및 차량(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용 전원의 전력을 차량(1)에 전송할 수 있다.The charging cable 2 may be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source and the vehicle 1 , and in this case, the power of the commercial power source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1 .

충전 케이블(2)의 컨트롤 박스(230)는 근접 감지핀(PD)의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는지 판단한다. The control box 230 of the charging cable 2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차량 역시 충전 케이블의 근접 감지핀(PD)의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는지 판단하고,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1)의 주행이 불가하도록 차량(1)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1)은 충전 케이블(2)의 컨트롤 박스(230)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vehicle also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of the charging cable, and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 118c), the vehicle 1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vehicle 1 cannot be driven. In addition, the vehicle 1 may receive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box 230 of the charging cable 2 .

충전 케이블(2)은 커넥터(210)의 라이브 핀(L1), 뉴트럴 핀(L2/N), 접지 핀(GND)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을 차량(1)에 전달한다.The charging cable 2 transmits power received through the live pin L1 , the neutral pin L2/N, and the ground pin GND of the connector 210 to the vehicle 1 .

차량(1)은 수신된 220V의 교류 전원을 DC로 변환하고 변환된 DC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한다.The vehicle 1 converts the received AC power of 220V into DC and charges the battery with the converted DC power.

충전 케이블의 컨트롤 박스(230)는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을 하는 통신 모드를 수행한다. 즉 충전 케이블의 컨트롤 박스(230)는 충전 중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수신한다.The control box 230 of the charging cable performs a communication mode in which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of the vehicle 1 is monitored based on the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That is, the control box 230 of the charging cable receives charg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s battery during charging.

차량(1) 역시 충전 케이블(2)의 컨트롤 박스(23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충전 케이블(2)의 컨트롤 박스에 전송하고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차량 내부에 마련된 제1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vehicle 1 also transmits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s battery to the control box of the charging cable 2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box 230 of the charging cable 2, and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s battery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60 .

아울러 충전 케이블(2)이 차량(1)과 충전소 등의 충전기 사이에 연결된 경우, 차량(1)과 충전기 사이에서 상호 모니터링을 하는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cable 2 is connected between the vehicle 1 and a charger such as a charging station,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communication mode for mutual monitoring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charger.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의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vehicle contro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차량은 충전 모니터링부(118), 배터리(120), 배터리 관리부(130), 제1 제어부(140), 모터(150), 제1표시부(160) 및 변속 장치(170)를 포함한다. The vehicle includes a charge monitoring unit 118 , a battery 120 , a battery management unit 130 , a first control unit 140 , a motor 150 , a first display unit 160 , and a transmission unit 170 .

충전 케이블(2)의 구성 요소와 동일 이름을 가진 차량(1)의 구성 요소에 '제1'을 기재하도록 하고 충전 케이블(2)의 구성 요소에 '제2'를 기재하도록 한다.'First' is written on the component of the vehicle 1 having the same name as the component of the charging cable 2 and 'second' is written on the component of the charging cable 2 .

충전 모니터링부(118)는 교류(AC) 전력을 배터리의 직류(DC)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충전 모니터링부(118)는 차량(1)에 수신된 220V의 교류 전원을 전력 변환부를 이용하여 DC로 변환하고 변환된 DC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20)를 충전하도록 한다.The charging monitoring unit 118 may include a power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into direct current (DC) power of the battery. That is, the charging monitoring unit 118 converts the 220V AC power received by the vehicle 1 into DC using the power converter and charges the battery 120 using the converted DC power.

충전 모니터링부(118)는 충전 케이블(2)의 커넥터(210)에 마련된 근접 감지핀(PD)의 신호 및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근접 감지핀(PD)의 신호 및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를 제1 제어부(14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harging monitoring unit 118 receives the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and the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provided in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2), and receives the signal of the received proximity detection pin (PD) and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to the first controller 140 .

배터리(120)는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하는 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120)는 충전된 전력을 모터(150)에 인가한다. 이러한 배터리(120)는 차량의 회생 제동 모드 시 발전 기능을 수행하는 모터(150)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ttery 120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that performs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y 120 applies the charged power to the motor 150 . The battery 120 may be charged using power applied from the motor 150 that performs a power generation function 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of the vehicle.

여기서 모터(150)는 차량의 가속 주행 또는 정속 주행 시 차륜에 구동력을 인가하고, 차량의 감속 주행 또는 정지 주행 시 발전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motor 150 applies a driving force to the wheels during acceleration or constant speed driving of the vehicle, and performs a power generation function during deceleration or stationary driving of the vehicle.

회생 제동 모드 및 모터(150)가 발전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모터(150)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에 의한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In the regenerative braking mode and the motor 150 performing the power generation function, charging is performed using a current generated by the back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150 .

배터리 관리부(130)는 배터리(120)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를 모니터링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을 관리하면서 배터리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battery manager 130 monitors a state of charge (SoC) of the battery 120 to prevent overcharging and overdischarging of the battery while manag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배터리 관리부(130)는 모니터링된 배터리(120)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제1제어부(140)에 전송한다. 여기서 배터리(120)의 충전 상태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manager 130 transmits the state of charg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onitored battery 120 to the first controller 140 . Here, the charge state information of the battery 12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배터리 관리부(130)는 배터리(120)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충전 상태 검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30 may include a charging state detection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120 .

좀 더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부(130)는 충전 상태 검출부(미도시)를 이용하여 배터리(120)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판단하고 판단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120)가 충방전되도록 배터리(120)를 관리한다. More specifically, the battery manager 130 detect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current, voltage,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120 using a charge state detection unit (not shown), and detect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current, voltage,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It determines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battery based on the information on , and manages the battery 120 so that the battery 120 is charged and discharged based on the determined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여기서 충전 상태 검출부(미도시)는 배터리(120)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포함하고, 배터리(120)의 출력단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및 배터리(120)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ate of charge detection unit (not shown) includes a curren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current of the battery 120 , and a voltag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voltage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120 and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120 . Optionally, it may further include.

배터리 관리부(130)는 검출된 배터리(120)의 전류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배터리 관리부(130)는 검출된 배터리(120)의 전류와 전압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터리 관리부(130)는 배터리(120)의 각 셀들의 전류, 전압, 온도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attery manager 130 monitors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based on the detected current of the battery 120 . The battery manager 130 may monitor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based on the detected current and voltage of the battery 120 . The battery manager 130 may monitor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battery based on the current, voltage, and temperature of each cell of the battery 120 .

제1제어부(140)는 배터리 관리부(130)로부터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차량 내부에 마련된 제1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1표시부(16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controller 140 receives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s battery from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30 and displays the first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s battery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60 provided inside the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제1제어부(140)는 충전 모드 수행 시 수신된 배터리(120)의 충전 정보를 충전 케이블(2)의 컨트롤 박스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충전 중인 배터리(120)의 충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표시부(16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control unit 140 may transmit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battery 120 received when performing the charging mode to the control box of the charging cable 2 , and display the charging information of the battery 120 being charg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unit 160 .

제1제어부(140)는 충전 케이블(2)의 커넥터(210)에 마련된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를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케이블(2)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provided in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2), an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the charging cable (2)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connector 210 of th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제1제어부(140)는 충전 케이블(2)의 커넥터(210)에 마련된 근접 감지핀(PD)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근접 감지핀(PD)의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40 receives a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provided in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2), an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40)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됨에 의해 충전을 수행하면서,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서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 unit 140 performs charging by connecting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while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 to determine whether it is separated from

제1 제어부(140)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됨에 의해 충전을 수행하면서, 차량의 제1입력부(미도시)나 배터리 관리부(130)로부터 수신된 충전 완료 명령에 기초하여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서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control unit 140 performs charging by connecting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received from the first input unit (not shown) or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30 of the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or 210 of the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ompletion command.

제1 제어부(140)는 수신된 근접 감지핀(PD)의 신호가 오픈 상태의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근접 감지핀(PD)의 신호가 오픈(OPEN) 상태의 신호라고 판단되면 근접 감지핀(PD)이 단선 상태라고 판단하고, 근접 감지핀(PD)이 단선 상태라고 판단되면 수신한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전압값에 대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The first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is an open state sig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is a signal of an OPEN state, proximity dete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in PD is disconnected, and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is determined to be disconn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corresponds to a preset voltage value.

제1제어부(140)는 근접 감지핀(PD)이 단선 상태라고 판단될 때, 충전이 완료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1 제어부(140)는 근접 감지핀(PD)이 단선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차량의 배터리가 충전 중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sensing pin PD is in a disconnected state, the first controller 140 may determine that the charging is complete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is not in a disconnected state, the first controller 140 may determine that the battery of the vehicle is in a charging state.

제1제어부(140)는 근접 감지핀(PD)이 단선 상태인 상태에서 수신한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전압값에 대한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다고 판단하고, 수신한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가 미리 설정된 전압값에 대한 신호라고 판단되면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미연결되었다고 판단한다.When the first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received while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is in a disconnected state is not a signal for a preset voltage value,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judged to be connected.

미리 설정된 전압값은 대략 0V일 수 있다.The preset voltage value may be approximately 0V.

제1제어부(140)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고, 충전 케이블의 연결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표시부(16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the first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not be driven, and display the first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able.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unit 160 .

제1 제어부(140)는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때, 변속 레버(171)에 의한 기어 단의 조작 변경을 제한 제어할 수 있고, 변속 레버(171)의 조작 불가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1표시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controlling the vehicle so that driving of the vehicle is impossible, the first control unit 140 may limit and control the operation change of the gear stage by the shift lever 171 , and display the information that the operation impossible of the shift lever 171 is displayed. The first display unit 160 may be controlled.

제1 제어부(140)는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에 고정되도록 변속 레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140)는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에 고정되도록 변속 레버의 잠김을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shift lever so that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is fixed to the parking gear stage. That is, the first controller 140 may control locking of the shift lever so that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is fixed to the parking gear stage.

제1 제어부(140)는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때, 변속 레버(171)에 의한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P)에 위치하도록 변속 장치(170)를 제어하고, 변속 레버(171)에 의한 기어 단이 전진 기어 단(D ), 후진 기어 단(R ) 및 중립 기어 단(N)으로의 변경이 제한되도록 변속 장치(170)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controller 140 controls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not be driven, the first controller 140 controls the transmission 170 so that the gear stage by the shift lever 171 is located at the parking gear stage P, and the shift lever ( 171) may control the shifting device 170 to limit the change of the gear stage to the forward gear stage (D), the reverse gear stage (R), and the neutral gear stage (N).

제1 제어부(140)는 변속 레버(171)에 의해 기어 단이 전진 기어 단(D ), 후진 기어 단(R ) 및 중립 기어 단(N)으로 변경되어도, 전진 명령, 후진 명령 또는 중립 명령을 제한 또는 보류하도록 기어부(172)를 제어할 수 있다.Even when the gear stage is changed to the forward gear stage (D), the reverse gear stage (R), and the neutral gear stage (N) by the shift lever 171, the first control unit 140 transmits a forward command, a reverse command, or a neutral comm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gear unit 172 to limit or hold.

제1 제어부(140)는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때, 시동을 제한 제어할 수 있다.When controlling the vehicle so that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impossible, the first control unit 140 may limit the start-up control.

제1 제어부(140)는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엔지 및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한 제어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the first control unit 140 may restrict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engine and the motor.

제1 제어부(140)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서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이 주행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수 있고, 충전 케이블(2)의 분리 정보를 제1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1표시부(16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the first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vehicle to drive the vehicle, and display the separ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able 2 on the first display unit.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rough 160 .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로부터 분리된 상태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미연결되었다고 판단된 상태일 수 있다.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may be a state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not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제1제어부(140)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차량의 이동(즉 주행)이 가능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때,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변속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변속 레버의 조작 가능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1표시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 move (ie, travel)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is changed. To enable this, the shift device may be controlled, and the first display unit 160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operable information of the shift lever.

제1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 변속 레버(171)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P), 전진 기어 단(D ), 후진 기어 단(R ) 및 중립 기어 단(N)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변경되도록 변속 장치(170)를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171 is a parking gear stage (P), a forward gear stage (D), a reverse gear stage (R), and a neutral gear stage (N) according to the user's will. The shifting device 170 may be controlled to change to one position.

제1 제어부(140)는 자율 주행 모드에 대응하여 변속 레버(171)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P), 전진 기어 단(D ), 후진 기어 단(R ) 및 중립 기어 단(N)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first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171 is a parking gear stage (P), a forward gear stage (D), a reverse gear stage (R), and a neutral gear stage (N). It can be changed to any one position.

제1 제어부(140)는 근접 감지핀(PD)이 단선 상태라고 판단될 때, 주기적으로 충전 케이블의 분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is in a disconnected state, the first controller 140 may periodically determine whether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제1 제어부(140)는 차량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차량을 제어할 때, 시동을 허용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40)는 충전구에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엔지 및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When controlling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 be driven, the first control unit 140 may allow the vehicle to star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the first control unit 140 may allow operation control of at least one of the engine and the motor.

제1 제어부(140)는 충전 케이블(2)의 컨트롤 박스(230)로부터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때 충전 케이블의 연결 정보를 제1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하도록 표시부(16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first control unit 140 to receive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box 230 of the charging cable 2 , an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able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60 .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제1 제어부(140)는 차량 내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4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sing a memory (not shown) that stores data for an algorithm or a program that reproduces the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in the vehicle, an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not shown). In this case,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제1 제어부(140)는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일 수 있고, 마이컴, CPU,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140 may be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vehicle, and may be any one of a microcomputer, a CPU, and a processor.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의 제어 구성도이다.5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ing cable connected to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충전 케이블(2)은 제2표시부(232), 제2제어부(233), 인터페이스부(234), 구동부(235), 단자부(236) 및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cable 2 may include a second display unit 232 , a second control unit 233 , an interface unit 234 , a driving unit 235 , a terminal unit 236 , and a storage unit 250 .

제2표시부(232), 제2제어부(233), 인터페이스부(234), 구동부(235), 단자부(236) 및 저장부(250)는 컨트롤 박스(230) 내에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232 , the second control unit 233 , the interface unit 234 , the driving unit 235 , the terminal unit 236 , and the storage unit 250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box 230 .

제2표시부(232)는 제2제어부(233)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차량의 충전 상태 정보, 차량, 충전 케이블의 연결 정보 및 소프트웨어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232 may display charg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charging cable, software information, and the like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of the second control unit 233 .

제2제어부(233)는 수신된 근접 감지핀(PD)의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는지 판단한다.The second controller 233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제2제어부(233)는 차량(1)과 충전 케이블(2)의 연결 정보를 차량(1)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제어부(233)는 컨트롤 파일롯 핀(CP)을 통해 충전 케이블(2)의 연결 정보를 차량(1)에 송신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233 may also transmit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charging cable 2 to the vehicle 1 . In this case, the first controller 233 may transmit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able 2 to the vehicle 1 through the control pilot pin CP.

제2제어부(233)는 컨트롤 파일롯 핀(CP)을 통해 차량(1)과 통신을 수행하고, 이때 컨트롤 파일롯 핀(CP)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을 하는 통신 모드를 수행한다. The second control unit 233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1 through the control pilot pin CP, and at this time,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ntrol pilot pin CP,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of the vehicle 1 is monitored. Communication mode for monitoring is performed.

즉 제2제어부(233)는 차량의 충전 중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충전 상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control unit 233 may receive the charge state information of the battery of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being charged and control the display of the received state of charge information.

제2제어부(233)는 차량(1)의 충전 시 라이브 핀(L1), 뉴트럴 핀(L2/N), 접지 핀(GND)을 통해 외부의 전력이 차량(1)에 전달되도록 스위치(미도시)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control unit 233 is a switch (not shown) so that external power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1 through the live pin (L1), the neutral pin (L2/N), and the ground pin (GND) when the vehicle 1 is charged. ),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on and off.

제2제어부(233)는 차량(1)의 충전 시, 차량(1)과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1)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제2제어부(233)는 차량(1)의 충전과 관련된 각종 동작의 고장을 진단하고 진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1 is being charged, the second control unit 233 may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1 to diagnose a failure of the vehicle 1 . The second controller 233 may diagnose failures of various operations related to charging of the vehicle 1 and store diagnostic information.

제2제어부(233)는 차량(1)의 충전 시, 누설 전류를 검출하여 충전 중의 전력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고, 접지 상태를 모니터링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233 may detect a leakage current during charging of the vehicle 1 to cut off power during charging, and monitor a ground state.

제2제어부(233)는 컨트롤 파일롯 핀(Control Pilot, CP) 및 접지 핀의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3)와 통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ler 233 may determine whether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3 based on signals of a control pilot pin (CP) and a ground pin.

제2제어부(233)는 통신 장치(3)와 통신 시, 차량의 진단 정보를 통신 장치(3)에 전송할 수 있다.When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3 , the second controller 233 may transmit vehicle diagnostic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 .

제2제어부(233)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표시되도록 제2표시부(232)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cond control unit 233 may control the second display unit 232 to check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and display the confirmed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여기서 충전 상태는 충전 진입 상태, 충전 진행 상태, 충전 완료 상태, 충전 실패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harging state may include a charging entry state, a charging progress state, a charging completion state, and a charging failure state.

제2제어부(233)는 통신 장치(3)로부터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 수행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When updat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3 , the second control unit 233 updates stored software based on the received update information and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performing the update.

제2제어부(233)는 인터페이스부(234)를 통해 통신 장치나 차량(1)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control unit 233 may transmit/receive data to an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vehicle 1 through the interface unit 234 .

인터페이스부(234)는 제2제어부(233)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1) 및 통신 장치(3)와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통신장치(3)에 송신하거나, 통신 장치(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통신 장치(3)로부터 통신 가능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 및 업데이트 모드로의 변경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234 monitors a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vehicle 1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3 based on a control command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233 , and transmits data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 , or the communication device 3 . ), and may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ble state and a change command signal to the update mod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3 .

통신장치(3)에 송신하는 데이터는, 차량(1)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일 수도 있고, 차량(1)의 진단 정보일 수도 있으며, 충전 케이블(2)의 식별 정보일 수도 있다.The data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charging of the vehicle 1 , diagnostic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cable 2 .

통신 장치(3)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차량 충전과 관련된 데이터와, 업데이트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3 may include data related to vehicle charging and data related to update information.

인터페이스부(234)는 커넥터(210)의 컨트롤 파일롯 핀(CP)을 이용하여 차량(1)과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및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234 may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1 using the control pilot pin CP of the connector 210 at least one of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and a 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구동부(235)는 커넥터(210)의 컨트롤 파일롯 핀(CP)에 인가되는 전압을 통신 장치(3)로 출력하고, 또한 통신 장치(3)에 의해 조정된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이때 모니터링되는 전압은 인터페이스부(234)를 거쳐 제2제어부(233)로 입력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35 outputs a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pilot pin CP of the connector 210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 , and also monitors the voltage of the control pilot pin CP adjust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3 . do. At this time, the monitored voltage may be input to the second control unit 233 through the interface unit 234 .

단자부(236)는 커넥터(210)에 마련된 라이브 핀(L1), 뉴트럴 핀(L2/N), 접지 핀(GND), 근접 감지핀(Proximity Detection, PD), 컨트롤 파일롯 핀(Control Pilot, CP)에 연결되고 라이브 핀(L1), 뉴트럴 핀(L2/N), 접지 핀(GND), 근접 감지핀(Proximity Detection, PD), 컨트롤 파일롯 핀(Control Pilot, CP)과 연결될 수 있다.The terminal unit 236 includes a live pin (L1), a neutral pin (L2/N), a ground pin (GND), a proximity detection pin (PD), and a control pilot pin (CP) provided in the connector 210 . It can be connected to the live pin (L1), neutral pin (L2/N), ground pin (GND), proximity detection pin (PD), and control pilot pin (Control Pilot, CP).

단자부(236)는 차량(1)의 충전 및 차량(1)과 통신 시 라이브 핀(L1), 뉴트럴 핀(L2/N), 접지 핀(GND), 근접 감지핀(Proximity Detection, PD), 컨트롤 파일롯 핀(Control Pilot, CP)을 통해 차량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2제어부(233)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각 핀을 통해 차량(1)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unit 236 includes a live pin (L1), a neutral pin (L2/N), a ground pin (GND), a proximity detection pin (PD), and a control when charging the vehicle 1 and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1 .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may be received through a pilot pin (Control Pilot, CP), and a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1 through each pin based on a control command of the second controller 233 .

단자부(236)는 통신 장치(3)와 통신 시, 접지 핀(GND) 및 컨트롤 파일롯 핀(Control Pilot, CP)을 통해 통신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접지 핀(GND) 및 컨트롤 파일롯 핀(Control Pilot, CP)을 통해 통신 장치(3)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unit 236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ground pin (GND) and a control pilot pin (CP) when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3 , and a ground pin (GND) and a control pilot pin A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 through (Control Pilot, CP).

제2제어부(233)는 차량의 충전을 제어하고 차량의 충전을 모니터링하며, 차량(1) 및 통신 장치(3)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충전 케이블(2) 내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233 is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of the vehicle, monitoring the charging of the vehicl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in the charging cable 2 to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1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3 .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as a memory (not shown) that stores data for a program that reproduces software, and a processor (not shown) that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In this case,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충전 케이블(2)은 저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cable 2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250 .

저장부(250)는 차량(1)의 식별 정보 및 통신 장치(3)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50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3 .

저장부(250)는 미리 설정된 전압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orage unit 25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preset voltage value.

저장부(250)는 제2제어부(233)와 관련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250 may be a memory implemented as a chip separate from the processor associated with the second control unit 233 , 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with the processor.

저장부(250)는 차량의 충전을 제어하고 차량의 충전을 모니터링하며, 차량 및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orage unit 250 controls the charging of the vehicle, monitors the charging of the vehicle, and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softwar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저장부(25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torage unit 250 is a nonvolatile memory device or RAM such as a cache, read only memory (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nd flash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충전 케이블(2)은 차량(1) 외에도, 통신 장치(3)와 통신을 수행하고 통신장치(3)로부터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vehicle 1 , the charging cable 2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3 and receive information for updating softwar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3 .

충전 케이블(2)은 커넥터(210)를 통해 통신 장치(3)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커넥터(210) 내의 컨트롤 파일롯(CP) 핀과, 접지 핀(GND)이 통신 장치(3)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harging cable 2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 through the connector 210 , wherein a control pilot (CP) pin and a ground pin (GND) in the connecto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 . have.

통신 장치(3)는 충전 케이블(2)과의 통신 정보, 단말기와의 통신 정보, 업데이트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3 may display communication information with the charging cable 2 , communication information with a terminal, update information, and the like.

통신 장치(3)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에 마련된 컨트롤 파일롯 핀(CP)과 접지 핀(GND)에 연결되고 충전 케이블(2)의 컨트롤 파일롯 핀(CP)과 접지 핀(GND)의 신호를 수신하고, 충전 케이블(2)의 컨트롤 파일롯 핀(CP)과 접지 핀(GND)으로 신호를 송신한다.The communication device 3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ilot pin (CP) and the ground pin (GND) provided in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and the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and the ground pin (GND) of the charging cable (2)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pilot pin (CP) and the ground pin (GND) of the charging cable (2).

도 6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6 is a control flowchar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충전 케이블의 연결 및 분리 인식을 위한 컨트롤 파일롯 핀과 근접 감지핀의 신호 그래프이다.7 is a signal graph of a control pilot pin and a proximity detection pin for recognizing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of a vehicle and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차량(1)은 충전 케이블(2)의 근접 감지핀(PD)의 신호가 인식되면 인식된 충전 케이블(2)의 근접 감지핀(PD)의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of the charging cable 2 is recognized, the vehicle 1 has a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based on the recognized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of the charging cable 2 is the vehicl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또한 차량(1)은 충전 케이블(2)의 컨트롤 파일롯 핀(CP)가 인식되면 인식된 컨트롤 파일롯 핀의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Also, when the control pilot pin CP of the charging cable 2 is recognized, the vehicle 1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ognized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an judge

좀 더 구체적으로, 충전 케이블(2)은 플러그(220)를 통해 외부의 상용 전원에 연결되면 플러그(220)를 통해 외부의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 전력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충전케이블(2)의 컨트롤 파일롯 핀(CP)에 인가되는 전압은 대략 12V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charging cable 2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through the plug 220 , it may receive external commercial power through the plug 220 and use it as driving power. At this time,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pilot pin CP of the charging cable 2 may be approximately 12V.

충전 케이블(2)이 차량(1)에 연결되면, 차량(1)의 내부에 마련된 저항에 의해 컨트롤 파일롯 핀(CP)에 인가는 전압은 대략 9V의 직류 전압으로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charging cable 2 is connected to the vehicle 1 ,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pilot pin CP may be changed to a DC voltage of approximately 9V by a resistor provided inside the vehicle 1 .

충전 케이블(2)은 9V 변경된 전압을 인식하여 충전 케이블(2)이 차량(1)에 연결되었음을 판단하고, 컨트롤 파일롯 핀(CP)에 인가된 전압의 펄스 폭 변조를 수행함으로써 컨트롤 파일롯 핀(CP)을 통해 -12V 에서 9V 사이의 전압이 출력되도록 한다. The charging cable 2 recognizes the 9V changed voltage, determines that the charging cable 2 is connected to the vehicle 1, and performs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pilot pin CP, thereby controlling the control pilot pin CP. ) to output a voltage between -12V and 9V.

이때 차량(1)은 충전 케이블(2)을 통해 수신되는 -12V 에서 9V 사이의 직류 전압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충전 케이블(2)이 차량(1)에 연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hicle 1 recognizes a DC voltage between -12V and 9V received through the charging cable 2 , and through thi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2 is connected to the vehicle 1 .

차량(1)은 충전 케이블이 연결됨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펄스 폭 변조를 통해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전압을 낮춰서 -12V에서 +3V 사이의 직류 전압이 출력되도록 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charging is possible by connecting the charging cable, the vehicle 1 lowers the voltage of the control pilot pin CP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so that a DC voltage between -12V and +3V is output.

차량(1)은 컨트롤 파일롯 핀(CP)을 통해 인식되는 직류 전압을 통해 충전 케이블(2)의 커넥터와의 연결 여부를 판단(183)할 수 있다.The vehicle 1 may determine ( 183 ) whether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charging cable 2 through the DC voltage recognized through the control pilot pin CP.

그리고 충전 케이블(2)은 차량에서 변경된 -12V 에서 3V 사이의 전압이 인식되면 차량(2)의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릴레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cable 2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lay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vehicle 2 when a voltage between -12V and 3V changed in the vehicle is recognized.

차량(1)은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1)의 주행이 불가하도록 차량(1)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차량(1)은 변속 레버의 조작을 제한 제어할 수 있고, 이를 제1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the vehicle 1 may control the vehicle 1 so that the vehicle 1 cannot travel. In this case, the vehicle 1 may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and display i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차량(1)은 충전 케이블(2)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184)할 수 있다. The vehicle 1 may perform 184 charging of the battery using power supplied through the charging cable 2 .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충전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 완료 정보를 충전 케이블 및 충전기에 전송할 수 있다.The vehicle may monitor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to determine whether charging is complet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the vehicle may transmit charg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charging cable and the charger.

차량(1)은 배터리의 충전 수행 중 근접 감지핀의 신호 인식 여부에 기초하여 근접 감지핀의 단선 여부를 판단(185)하고, 근접 감지핀의 단선으로 판단되면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차량(1)은 배터리 충전을 위한 동작을 중단(186)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차량은 근접 감지핀의 단선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배터리의 충전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disconnected based on whether the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recognized during charging of the battery ( 185 ),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disconnected, it may be determined that charging is complete. At this time, the vehicle 1 may be controlled to stop ( 186 ) the operation for charging the battery.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not disconnected, the vehicle may continue to charge the battery.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 수행 중에 수신된 근접 감지핀(PD)의 신호가 오픈 상태의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근접 감지핀(PD)의 신호가 오픈(OPEN) 상태의 신호라고 판단되면 근접 감지핀(PD)이 단선 상태라고 판단한다.As shown in FIG. 7 ,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received while charging the battery is an open signal, and the received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is OP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is in the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is disconnected.

차량(1)은 근접 감지핀(PD)이 단선 상태라고 판단된 시점에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를 확인한다. 이때 차량은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에 대한 전압값을 확인(187)할 수 있다.The vehicle 1 checks the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detection pin PD is disconnected. At this time, the vehicle may check (187) a voltage value for the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차량(1)은 확인한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에 대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인지를 판단(188)하고, 확인한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에 대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전압값은 대략 0V일 수 있다.The vehicle 1 determines whether the checked voltage value for the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is a preset voltage value ( 188 ), and the checked voltage value for the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is the preset voltage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no,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Here, the preset voltage value may be approximately 0V.

차량(1)은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주행 불가능 제어를 수행(189)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the vehicle 1 may perform a driving disabling control so that driving is impossible ( 189 ).

여기서 주행 불가능 제어는, 변속 레버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변속 장치의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변속 레버는 주차 기어 단(P)에만 위치할 수 있다. Here, the driving disabling control may includ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device that disables the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In this case, the shift lever may be located only in the parking gear stage (P).

주행 불가능 제어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나, 사이드 브레이크의 동작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impossible control may includ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or the side brake to be impossible.

아울러 변속 레버가 주차 기어 단(P)에만 위치할 수 있도록, 즉 변속 레버의 위치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변속 레버가 잠기도록 하는 잠김 상태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shift lever to be positioned only in the parking gear stage P, that is, to be in a locked state in which the shift lever is locked so that the position change of the shift lever is impossible.

사용자에 의해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이 전진 기어단(D), 후진 기어단(R ) 및 중립 기어 단(N)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변경되어도, 차량은 주차 기어 단의 신호만을 제1제어부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Even when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is changed to at least one of the forward gear stage (D), the reverse gear stage (R), and the neutral gear stage (N) by the user, the vehicle only sends the parking gear stage signal to the first control unit. can be sent

주행 불가능 제어는, 복수 개의 차륜의 구동을 제한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disable control may include limiting control of driving of a plurality of wheels.

차량은 충전 케이블이 차량에 연결된 상태임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제1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주행 불가 정보 및 변속 레버의 조작 불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vehicle may display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60 , and display at least one of the driving impossibility information and the shift lever operation impossibility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60 . can do.

차량은 충전 케이블이 차량에 연결된 상태일 때, 주기적으로,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에 대한 전압값을 확인함으로써 충전 케이블이 차량에 계속적으로 연결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vehicle, the vehicle may determine whether the charging cable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vehicle by periodically checking the voltage value for the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이와 같이, 충전 케이블과 차량이 연결된 상태일 때 차량의 주행을 불가능하도록 변속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차량의 주행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및 사용자의 사고를 줄일 수 있고, 차량 및 충전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harging cable and the vehicle are connected, the safety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so that the vehicle cannot be driven. That is, by making it impossible to drive the vehicle, accidents of the vehicle and the user can be reduced, and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cable can be prevented.

차량은 확인한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신호에 대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라고 판단되면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서 분리되었다고 판단한다.The vehicle determines that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oltage value for the checked signal of the control pilot pin CP is a preset voltage valu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충전 케이블(2)이 차랑에서 분리되면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전압을 인식할 수 없다. 즉 차량(1)은 충전 케이블이 분리되면 컨트롤 파일롯 핀(CP)의 전압으로 0V의 전압을 인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the vehicle 1 cannot recognize the voltage of the control pilot pin CP when the charging cable 2 is disconnected from the vehicle. That is, when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the vehicle 1 may recognize a voltage of 0V as the voltage of the control pilot pin CP.

차량은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210)가 차량의 충전구(118c)에서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주행 가능 제어(190)를 수행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or 210 of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118c of the vehicle, the vehicle may perform the drivability control 190 to enable the vehicle to travel.

여기서 주행 가능 제어는, 변속 레버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변속 장치의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은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P), 전진 기어단(D), 후진 기어단(R ) 및 중립 기어 단(N)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변경되도록 변속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drivable control may include control of a transmission device that enables operation of a shift lever. At this time, the vehicle may control the transmission to change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to at least one of the parking gear stage (P), the forward gear stage (D), the reverse gear stage (R ), and the neutral gear stage (N). have.

주행 가능 제어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나, 사이드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enable control may includ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arking brake or the side brake.

주행 가능 제어는, 복수 개의 차륜의 구동을 허용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enable control may include permitting control of driving of a plurality of wheels.

차량은 충전 케이블이 차량에 분리된 상태임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제1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주행 가능 정보 및 변속 레버의 조작 가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표시부(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vehicle may display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60 , and display at least one of drivable information and operable information of the shift lever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60 . can be displayed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generate program modules to perform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ny type of recording medium in which instructions readable by the computer are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different forms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차량 2: 충전 케이블
3: 통신 장치
1: Vehicle 2: Charging cable
3: communication device

Claims (16)

변속 장치;
충전 케이블에 마련된 복수 개의 핀들이 연결되는 충전구; 및
상기 복수 개의 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구와 상기 충전 케이블과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충전구에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주행을 방지하도록 상기 변속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충전구에서 상기 충전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주행을 허용하도록 상기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gearbox;
a charging port to which a plurality of pins provided on the charging cable are connec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rging port and the charging cable are connected based on a signal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ins,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the shifting is performed to prevent driving. A vehicl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evice and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device to allow driv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장치는, 복수 개의 기어 단으로 위치를 변경하는 변속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구에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주행을 방지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변속 레버를 제어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shift device includes a shift lever for changing a position to a plurality of gear stag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hift lever so that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is fixed to the parking gear stage to prevent driv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케이블이 상기 충전구에서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주행을 허용하도록 상기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 전진 기어 단, 후진 기어 단 및 중립 기어 단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도록 상기 변속 레버를 제어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a vehicle controlling the shift lever to change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to any one of a parking gear stage, a forward gear stage, a reverse gear stage, and a neutral gear stage to allow driving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구에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시동을 제한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restricts start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차륜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엔진 및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구에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엔지 및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한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engine and a motor for applying a driving force to the whee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the control unit limits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engine and the mo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핀들 중 근접 감지 핀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근접 감지 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 개의 핀들 중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구에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a proximity sensing pin among the plurality of pin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oximity sensing pin is in an open stat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of the proximity sensing pi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sensing pin is in an open state, one of the plurality of pins A vehicle that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a control pilot pi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 아니면, 상기 충전구에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면 상기 충전구에서 상기 충전 케이블이 분리되었다고 판단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If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is not a preset voltag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and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is set in advance. If it is a set voltage value, the vehicle determines that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전압값은,
대략 0V의 전압값인 차량.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reset voltage value,
A vehicle with a voltage value of approximately 0V.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유지시키고, 상기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이고, 상기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중단시키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not in the open state, the battery is maintained, and i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in the open state and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is a preset voltage value, Vehicles that stop charg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구에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주기적으로 상기 충전 케이블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the vehicle periodically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충전구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의 복수 개의 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구와 상기 충전 케이블과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충전구에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주행을 방지하도록 변속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충전구에서 상기 충전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주행을 허용하도록 상기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Based on a signal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pin of a plurality of pins of the charging cable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harging port and the charging cable are connec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the transmission is controlled to prevent the vehicle from runn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s the transmission to allow the vehicle to trave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을 방지하도록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 전진 기어 단, 후진 기어 단 및 중립 기어 단 중 어느 하나로 변경이 제한되도록 상기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을 주차 기어 단에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to prevent the vehicle from running comprises: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fixing a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to a parking gear stage such that a change of the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is limited to any one of a parking gear stage, a forward gear stage, a reverse gear stage, and a neutral gear stag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을 허용하도록 상기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변속 레버의 기어 단이 주차 기어 단, 전진 기어 단, 후진 기어 단 및 중립 기어 단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도록 상기 변속 레버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to allow driving of the vehicle comprises: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controlling the shift lever so that a gear stage of the shift lever is changed to any one of a parking gear stage, a forward gear stage, a reverse gear stage, and a neutral gear stag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구에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엔지 및 모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의 제한 및 시동 제한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at least one of limit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an engine and a motor and limiting a sta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구와 상기 충전 케이블과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복수 개의 핀들 중 근접 감지 핀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근접 감지 핀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복수 개의 핀들 중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과 미리 설정된 전압값을 비교하고,
상기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과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 아니면, 상기 충전구에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면 상기 충전구에서 상기 충전 케이블이 분리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he charging port and the charging cab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omprises: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roximity detection pin among the plurality of pin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in an open stat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in an open state,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a control pilot pin among the plurality of pins is compared with a preset voltage value,
If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is not a preset voltag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abl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and determining that the charging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port when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is a preset voltage valu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유지시키고, 상기 근접 감지핀이 오픈 상태이고, 상기 컨트롤 파일롯 핀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전압값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중단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not in the open state, the battery is maintained, and if the proximity detection pin is in the open state and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pilot pin is a preset voltage value, The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stopping charging.

KR1020210021875A 2021-02-18 2021-02-18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201181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875A KR20220118124A (en) 2021-02-18 2021-02-18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875A KR20220118124A (en) 2021-02-18 2021-02-18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24A true KR20220118124A (en) 2022-08-25

Family

ID=8311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875A KR20220118124A (en) 2021-02-18 2021-02-18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812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6961B (en) Charging cable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charging cable
US10093190B2 (en) Charging control device
US91147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voltage DC charging of battery-electric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JP4769779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us display device
CN102177046B (en) Control device and charge control method
CN102106055B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02738537B (en) Method and system for heating a vehicle battery
KR20180003789A (en) Plug-i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CN103182947B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40132226A1 (en) Power source system, vehicle including power sour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ource system
CN104553847A (en) Plug-in vehicle with secondary DC-DC converter
CN104553846A (en) Control pilot latch-out mechanism to reduce off-board energy consumption
US90615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rging cord reminder and fault override for plug-in electric vehicles
CN102439815A (en) Charging control device
WO2011067655A2 (en) Power supply device, vehicle, and charging system
US201701975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eep discharging of auxiliary battery in association with reprogramming of ecu
KR20190068785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90084506A1 (en) Power receptacle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CN1038477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imultaneous charging and fueling of vehicle
CN105383483A (en) Auxiliary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263597B1 (en) Light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107297B2 (en) In-vehicle power storage charging control device
US20170008393A1 (en) Management system for refueling and charging of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CN105121216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rror detection during charging of an energy storage system
KR20220118124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