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965A - Footwear capable of easy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lace - Google Patents

Footwear capable of easy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l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965A
KR20220117965A KR1020210021319A KR20210021319A KR20220117965A KR 20220117965 A KR20220117965 A KR 20220117965A KR 1020210021319 A KR1020210021319 A KR 1020210021319A KR 20210021319 A KR20210021319 A KR 20210021319A KR 20220117965 A KR20220117965 A KR 20220117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ire
roller
shoelace
hole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3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2479B1 (en
Inventor
서우승
Original Assignee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원에프알에스 filed Critical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to KR102021002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479B1/en
Publication of KR2022011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9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4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3/00Hooks for laces; Guards for hooks
    • A43C3/02Lacing-hooks with guid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5/00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e article adapted to include an upper comprises: an accommodating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a core wire which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an inlet of the accommodating groove and which forms a through hole allowing a shoelace to be passed therethrough along with the accommodating groove; a plurality of bead rollers disposed along the core wire; and a shoelace that is provided with a wider width than the combined width of at least two bead rollers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in a folded state.

Description

신발끈을 쉽게 조이고 풀게 해주는 신발물품 {FOOTWEAR CAPABLE OF EASY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LACE}Footwear that makes it easy to tighten and loosen shoelaces {FOOTWEAR CAPABLE OF EASY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LACE}

본 발명은 신발끈(shoelac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신발끈의 형상에 상관없이 신발끈을 용이하게 조이고 풀 수 있는 신발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article in which the shoelace can be easily tightened and unfasten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shoelace.

등록특허 제10-0144593호는 '끈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과 같은 피장착체에 부착되어 도르래와 같은 지지부와 롤러를 이용하여 원형의 끈을 이동시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도르래와 같은 형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끈의 형상이 원형에 가까운 끈만 걸 수가 있다. Patent Registration No. 10-0144593 relates to a 'string hanger', and it is attached to an object such as a shoe and discloses a movement of a circular string using a support part such as a pulley and a roller. Because it uses the same shape as a pulley, only the string whose shape is close to a circle can be hung.

등록실용신안 제20-0273549호는 '롤러가 부착된 신발끈 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역시 도르래와 같은 롤러를 신발끈 고리에 고정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며, 도르래의 축이 갑피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높이 돌출되는 경향이 있다.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3549 relates to 'a shoelace ring with a roller', which also discloses fixing a roller such as a pulley to the shoelace ring, and the axis of the pulley is perpendicular to the upper. formed and tends to protrude high upwards.

이와 같이, 종래의 끈걸이구 또는 신발끈 고리는 도르래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기 때문에 해당 장치가 갑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밖에 없으며, 과도한 돌출로 외형적으로 보기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As such, since the conventional string hook or shoelace ring uses a structure such as a pulley, the device inevitably protrudes from the upper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ernal appearance is not good due to excessive protrusion.

종래와 같은 도르래 방식은 이용할 수 있는 끈의 형상도 원형 단면을 가진 것에만 한정되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납작한 밴드 형상의 신발끈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The pulley method as in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be applied to the most commonly used flat band-shaped shoelaces because the shape of the available laces is limited only to thos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본 발명은 밴드 형상의 납작한 신발끈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신발끈의 원활하게 조이고 풀 수 있는 신발물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lat shoelace in the shape of a band, and provides a shoe article in which the shoelace can be smoothly tightened and loosened.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두께가 얇아 외형적으로 튀지 않고 패션 감각도 유지할 수 있는 신발물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twear article that can maintain a sense of fashion without appearing outwardly due to a thin thickness occupying the whol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은 갑피의 일 단부에 형성된 수용홈, 수용홈의 입구를 통과하여 수용홈과 함께 신발끈이 통과하는 통과홀을 형성하는 코어 와이어, 코어 와이어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비즈 롤러,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비즈 롤러보다 넓은 폭으로 제공되어 통과홀을 접힌 상태로 통과하는 신발끈을 포함하고, 비즈 롤러는 갑피와 같은 층에 위치하며, 갑피와 나란한 코어 와이어를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footwear article including an upper passes through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and an entrance of the receiving groove to form a shoelace together with the receiving groove. A core wire forming a through-hole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bead rollers disposed along the core wire, and a shoelace that is provided with a width wider than at least two or more bead rollers to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in a folded state, The roller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layer as the upper, and may rotate the core wire parallel to the upper by a rotation axi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은 갑피의 일 단부에 형성된 통과홀, 갑피의 일 단부에 인접한 통과홀의 일측을 통과하는 코어 와이어, 코어 와이어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비즈 롤러,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비즈 롤러보다 넓은 폭으로 제공되어 통과홀을 접힌 상태로 통과하는 신발끈을 포함하고, 비즈 롤러는 갑피와 같은 층에 위치하며, 갑피와 나란한 코어 와이어를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s, a footwear article including an upper includes a core passing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and one side of a through hole adjacent to one end of the upper. A wire, a plurality of bead rollers disposed along the core wire, and a shoelace provided with a width wider than at least two or more bead roller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in a folded state, wherein the bead roller is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upper, ,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core wire parallel to the upper about the axis of rota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은 갑피의 일 단부에 양단이 고정되어 갑피의 일 단부와 함께 신발끈이 통과하는 통과홀을 형성하는 코어 와이어, 코어 와이어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비즈 롤러,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비즈 롤러보다 넓은 폭으로 제공되어 통과홀을 접힌 상태로 통과하는 신발끈을 포함하고, 비즈 롤러는 갑피와 같은 층에 위치하며, 갑피와 나란한 코어 와이어를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the upper has both ends fixed to one end of the upper so that the shoelace passes together with one end of the upper. A core wire forming a hole, a plurality of bead rollers disposed along the core wire, and a shoelace provided with a width wider than at least two or more bead roller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in a folded state, wherein the bead roller comprises an upper and a bead roller It is located on the same floor, and the core wire parallel to the upper can be rotated on the axis of rotation.

종래의 도르래 방식의 롤러는 갑피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향되기 때문에, 최소한 롤러의 두께 이상으로 갑피로부터 돌출되어야 하며, 얇고 넓은 밴드 형상의 신발끈에는 적용될 수가 없다. 하지만, 위 실시예들의 비즈 롤러는 갑피에 수직하지 않은 같은 평면에 속하거나 나란한 회전축을 따라 복수개가 제공되기 때문에 차지하는 두께가 작으며 외부로 돌출되지도 않고, 밴드 형상의 신발끈에도 적용될 수가 있다. Since the conventional pulley-type roller has a rotation axis orie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upper, it must protrude from the upper by at least the thickness of the roller, and cannot be applied to a thin and wide band-shaped shoelace. However, since the bead rollers of the above embodiments belong to the same plane that is not perpendicular to the upper or are provided along a parallel axis of rotation, they occupy a small thickness and do not protrude to the outside, and can be applied to a band-shaped shoelace.

비즈 롤러가 갑피와 같은 층에 위치한다는 것은 코어 와이어가 직선 또는 곡선일 수도 있지만, 비즈 롤러가 코어 와이어를 따라 갑피와 같은 평면에 위치하거나 갑피에 인접한 나란하게 납작하게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Positioning the bead rollers on the same layer as the upper may mean that the core wire may be straight or curved, but may mean that the bead rollers are flush with the upper along the core wire or are arranged flat side-by-side adjacent to the upper.

코어 와이어는 되도록 탄성이 적은 소재가 좋으며, 수치적으로 코어 와이어는 연신율이 0~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와이어를 위한 소재로는 코어 와이어는 금속, 나일론, 플로오르카본, 합사(P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단선 또는 복선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re wire is preferably a material with as little elasticity as possible, and numer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elongation of the core wire is 0 to 30%. As a material for the core wire, the core wire may be formed using metal, nylon, fluorocarbon, braided yarn (P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may be provided in single or double wire.

비즈 롤러는 구슬 또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슬 역시 원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기둥 형상도 단순 원통, 오발(oval) 형상, 모래시계(hourglass) 형상, 물결 형상 등 다양한 외면을 가질 수 있다.The bead roller may be formed in a bead or column shape, and the beads may also be formed in a circular or oval shape, and the column shape may also have various external surfaces such as a simple cylinder, an oval shape, an hourglass shape, and a wave shape. can hav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은 갑피의 일 단부에 형성된 통과홀, 일 단부에 인접한 통과홀의 일측을 통과하는 코어 와이어, 코어 와이어를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및 롤러와 접하며 통과홀을 통과하는 신발끈을 포함하고, 롤러는 회전축 방향의 길이 대비 평균 직경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고, 롤러는 갑피와 같은 층에 위치하며, 갑피와 나란한 코어 와이어를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s, a footwear article including an upper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a core wire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adjacent to one end, at least one roller disposed along the core wire, and a shoelace passing through a through hole in contact with the roller, wherein the roller has an average diameter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the length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nd the roller is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upper and the core wire parallel to the upper can be rotated on the axis of rotation.

통과홀은 수용홈과 코어 와이어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갑피에 형성된 구멍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고, 갑피로부터 돌출된 코어 와이어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코어 와이어에는 기둥 형상의 롤러가 단수 또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롤러가 단수로 제공되더라도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by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core wire, may be formed by a hole formed in the upper, or may be formed by the core wire protruding from the upper. The core wire may be provided with a single or a plurality of pillar-shaped rollers, and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ong even if the rollers are provided in a single number.

수치적으로 롤러는 회전축 방향의 길이 방향 길이(L) 대비 평균 직경(D)이 0 초과 67% 이하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는 상대적으로 길수록 안정적일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롤러의 양단이 갑피에 수용되어, 통과홀에서 롤러의 양단이 갑피에 의해 가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Numerically, the roller may be formed with a length of more than 0 and 67% or less of the average diameter (D) compared to the length (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The longer the roller, the more stable it may be. In some cases, both ends of the roll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upper, and both ends of the roller may be covered by the upper in the passage hole.

이 경우, 롤러는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통과홀을 관통하도록 하나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원활한 회전을 위해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직렬로 제공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one roller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ranged in parallel, but may be provided in series by being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smooth rotation.

롤러는 통과홀에서 원통 또는 모래시계(hourglass) 형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발끈이 자동으로 중심을 갖도록 할 수가 있다.The roller is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 cylindrical or hourglass shape in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shoelace can be automatically centered.

본 발명의 신발물품에서 비즈 롤러는 작은 치수로 제공되어 상당히 작은 두께를 차지하며, 밴드 형상의 얇은 끈에도 원활한 움직임을 적용할 수 있다.In the footwear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d roller is provided in small dimensions and occupies a fairly small thickness, and smooth movement can be applied even to a thin string in the shape of a band.

여기서 신발끈은 신발물품의 좌우에서 잡아당기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잡아당겨 조여지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shoelace may be formed to be pulled from the left and right of the shoe article, but one end may be fixed and the other end may be tightened by pulling the other e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물품의 비즈 롤러 및 신발끈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bead roller and the shoelace of the footwear article of FIG. 1 .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otwear art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sam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ontent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under the above rules may be cited and described, and contents determined to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신발물품의 비즈 롤러 및 신발끈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otwear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bead roller and shoelace of the footwear article of Figure 1, Figure 3 is sever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은 갑피(110) 및 미드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발끈(160)이 갑피(110) 상부의 벌어진 간극 사이를 통과하면서 갑피(110)를 조일 수 있다.1 to 3 , the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e upper 110 and the midsole, and the shoelace 160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110 and the upper ( 110) can be tightened.

서로 마주하는 갑피(110)의 단부를 따라 좌우로 복수의 수용홈(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수용홈(120)의 입구를 코어 와이어(140)가 통과하면서 신발끈(160)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130)을 형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accommodating grooves 120 may be formed left and right along the ends of the upper 110 facing each other, and the shoelaces 160 pass while the core wire 140 passes through the entrances of each accommodating groove 120 . It is possible to form a through hole 130 that can do this.

본 실시예에서 코어 와이어(140)는 갑피(110)의 단부를 따라 내장되면서, 갑피(110)의 접합 또는 재봉 과정에서 일체로 고정될 수가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e wire 140 is embedded along the end of the upper 110 and may be integrally fixed during the bonding or sewing process of the upper 110 .

그리고 각 수용홈(120)의 코어 와이어(140)에는 구형 구슬 형태의 비즈 롤러(150)가 직렬로 결속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160)을 잡아당기면 비즈 롤러들(150)이 회전하면서 신발끈(160)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개선할 수가 있다.And a bead roller 150 in the form of a spherical ball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core wire 140 of each receiving groove 120 . Therefore, as shown in FIG. 2 , when the shoelace 160 is pulled, the movement of the shoelace 160 can be smoothly improved while the bead rollers 150 rotate.

사용자는 신발끈(160)을 잡아당겨 적은 힘으로 신발끈(160)을 조일 수 있으며, 신발끈(160)의 양단을 서로 결속시키거나 신발물품의 일측에 고정시켜 조여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신발끈(160)을 결속시키거나 고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종래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The user may tighten the shoelace 160 by pulling the shoelace 160 with little force, and may fix the tightened state by binding both ends of the shoelace 160 to each other or by fixing it to one side of the shoe article. In this case, various conventional methods may be applied as a method of binding or fixing the shoelace 160 .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신발끈의 양단을 잡아당기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신발끈의 일단을 신발물품에 고정시키고 다른 타단만 잡아당겨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lthough both ends of the shoelace are pulled in this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fix one end of the shoelace to the footwear article and pull only the other end to fix the shoelace in some cases.

통과홀(130)에 형성된 비즈 롤러(150)는 신발끈(160)을 잡아당겨 조이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효과적이지만, 사용자가 신발끈(160)을 해제시키고 갑피(110)를 벌릴 때에도 쉽게 벌어지도록 할 수가 있다.The bead roller 150 formed in the through hole 130 is effective when the shoelace 160 is pulled and mov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but is easily opened even when the user releases the shoelace 160 and opens the upper 110 . can do

본 실시예에서 신발끈(160)은 납작한 단면의 밴드 형상으로 제공되며, 4개의 비즈 롤러(150)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신발끈(160)은 갑피(110)를 동일 층에서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비즈 롤러(150)를 기준으로 상하로 접히도록 통과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hoelace 160 is provided in a band shape of a flat cross-section, and is formed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four bead rollers 150 . In this way, the shoelace 160 may pass through the upper 110 to be folded up and down based on the bead roller 150 , rather than passing through the upper 110 in the same layer.

여기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비즈 롤러(150)가 신발끈(160)과 접하도록, 신발끈(160)은 넓은 폭으로 제공되고 통과홀(130)을 접힌 상태로 통과할 수가 있다. Here, so that at least two or more bead rollers 150 come into contact with the shoelace 160, the shoelace 160 is provided with a wide width and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30 in a folded state.

구조적으로도 비즈 롤러(150)는 갑피(110)와 같은 층에 위치하며, 코어 와이어(140)도 갑피(110)와 나란한 층에 위치하고, 비즈 롤러(150)는 코어 와이어(140)를 회전축으로 갑피(110)와 같은 층에서 회전하고, 신발끈(160)은 비즈 롤러(150)를 통과하면서 부분적으로 상하가 겹치도록 통과할 수 있다. Structurally, the bead roller 150 is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upper 110 , the core wire 140 is also located on a layer parallel to the upper 110 , and the bead roller 150 uses the core wire 140 as a rotation axis. Rotating on the same layer as the upper 110 , the shoelace 160 may pass through the bead roller 150 while partially overlapping up and down.

종래의 도르래 방식의 롤러는 갑피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향되는 것에 대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비즈 롤러(150)는 회전축이 갑피(110)에 수직하지 않고, 오히려 같은 평면에 속하거나 나란한 회전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작은 비즈 롤러(150)가 직렬로 배치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비즈 롤러(150)에 의해서 차지하는 두께가 작으며 외부로 돌출되지도 않고, 위화감 없이 밴드 형상의 신발끈(160)에도 적용될 수가 있다.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pulley type roller in which the axis of rotation is orie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upper, in the bead roll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xis of rotation is not perpendicular to the upper 110, but rather belongs to the same plane. Alternatively, it can rotate along a parallel axis of rotation. In addition, since the small bead roller 150 is arranged in series and rotates, the thickness occupied by the bead roller 150 is small and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and it can be applied to the band-shaped shoelace 160 without a sense of incongruity.

코어 와이어(140)는 되도록 탄성이 적은 소재가 좋으며, 수치적으로 코어 와이어(140)는 연신율이 약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와이어(140)를 위한 소재로는 금속, 나일론, 플로오르카본, 합사(P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소재의 와이어를 단선 또는 복선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re wire 14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ith as little elasticity as possible, and numerically, the core wire 140 preferably has an elongation of about 30% or less. As a material for the core wire 140, it may be formed using metal, nylon, fluorocarbon, plying (P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wire of these materials may be provided in single or double wire.

비즈 롤러(150)는 구형의 구슬 형상으로 제공되지만, 타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단순 원통, 오발(oval) 형상, 모래시계(hourglass) 형상, 물결 형상 등의 기둥 형상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The bead roller 15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pherical bead, but may be provided in an oval shape, and may also be provided in a column shape such as a simple cylinder, an oval shape, an hourglass shape, a wave shape, or the like.

도 3의 (b)를 참조하면, 갑피(210)에 통과홀(230)을 미리 형성하고, 통과홀(23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단부에 인접한 부분을 코어 와이어(240)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와이어(240)를 따라 복수의 비즈 롤러(250)를 직렬로 결속시켜, 신발끈의 통과와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3 , a through hole 230 is previously formed in the upper 210 , and the core wire 240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230 , preferably a portion adjacent to the end. can And by binding the plurality of bead rollers 250 in series along the core wire 240, it can be rotated with the passage of the shoelace.

도 3의 (c)를 참조하면, 갑피(310)에 통과홀(330)을 형성하고, 통과홀(330)의 내측을 코어 와이어(340)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와이어(340)를 따라 하나의 롤러(350)가 결속되어 신발끈의 통과와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C , a through hole 330 may be formed in the upper 310 , and the core wire 340 may pass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through hole 330 . And one roller 350 may be bound along the core wire 340 to rotate with the passage of the shoelace.

롤러(350)는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 방향의 길이 방향 길이(L) 대비 평균 직경(D)이 67%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67%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ller 350 may be formed to extend relatively long, and the average diameter (D) compared to the length (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may be formed to be 67% or less, and is preferably formed to a length of 20 to 67%. can be

본 실시예에서도 롤러(350)는 갑피(310)와 같은 층에 위치하며, 누운 상태로 갑피(310)와 나란히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과홀(330)이 갑피(310)의 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내측에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통과홀은 수용홈과 코어 와이어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갑피로부터 돌출된 코어 와이어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roller 350 is positioned on the same layer as the upper 310 , and may rotate side by side with the upper 310 in a lying state. In this embodiment, the through hole 330 is formed inside the upper 310 spaced apart from the end by a certain distance,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core wire, and as described below. Likewise, it may be formed by a core wire protruding from the upper.

또한, 본 실시예에서 롤러(350)는 동일한 직경의 원통 형성으로 형성되지만, 잘록한 허리를 갖는 모래시계(hourglass) 형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롤러는 회전축 방향의 길이 방향 길이(L) 대비 평균 직경(D)이 약 20~67%의 길이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roller 35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the same diameter, but may be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n hourglass shape having a narrow waist. The average diameter (D) compared to the length (L) may be formed to a length of about 20 to 67%.

도 3의 (d)를 참조하면, 갑피(410)에 수용홈이나 통과홀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신발끈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4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어 와이어(440)는 갑피(410)에 양단이 고정되어 돌출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코어 와이어(440)를 따라 복수의 비즈 롤러(450)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D , a through hole 430 through which a shoelace can pass may be formed without forming a receiving groove or a through hole in the upper 410 . To this end, both ends of the core wire 440 may be fixed to the upper 410 to form a protruding ring, and a plurality of bead rollers 450 may be rotatably disposed along the core wire 44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ticle of foot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를 참조하면, 롤러(550)를 길게 형성하여 그 양단이 통과홀(530)에서 갑피(510)에 수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어 와이어(540)는 갑피(510)의 일단부를 따라 통과하도록 내장될 수 있으며, 코어 와이어(540)는 길게 연장된 롤러(550)에 의해서 수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4 , the roller 550 may be formed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accommodated in the upper 510 in the through hole 530 . To this end, the core wire 540 may be embedded to pass along one end of the upper 510 , and the core wire 540 may be accommodated by the elongated roller 550 .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통과홀(530)에 하나의 롤러(550)가 제공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통과홀에 하나의 롤러가 관통하여 제공될 수 있고, 모든 통과홀을 하나의 롤러가 통과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one roller 550 is provided in one through-hole 530, but in some cases, one roller may be provided through two or more through-holes, and all through-holes are provided by a single roller.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롤러(550)는 원통으로 제공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통과홀(530)에서 노출되는 롤러(550)의 외면이 원통 또는 모래시계(hourglass) 형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The roller 55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in some cases,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550 exposed from the through hole 530 may be provided to have a cylindrical or hourglass shape.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650)는 빨대와 같이 얇게 형성되어 코어 와이어(640)를 수용하는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ure 4, the roller 650 is formed as thin as a straw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ccommodating the core wire (640).

롤러(650)의 양단에 환형 돌기(652)를 형성하는 경우, 갑피(610) 내부로 얇은 빨대 형상의 롤러(650)가 삽입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가이드를 할 수도 있다.When the annular protrusions 65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ller 650 , the thin straw-shaped roller 650 may be guided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61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 신발물품 110 : 갑피
120 : 수용홈 130 : 통과홀
140 : 코어 와이어 150 : 비즈 롤러
160 : 신발끈
100: footwear products 110: upper
120: receiving groove 130: passing hole
140: core wire 150: bead roller
160: shoelace

Claims (13)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일 단부에 형성된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홈과 함께 신발끈이 통과하는 통과홀을 형성하는 코어 와이어;
상기 코어 와이어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비즈 롤러;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비즈 롤러보다 넓은 폭으로 제공되어 상기 통과홀을 접힌 상태로 통과하는 신발끈;을 포함하고,
상기 비즈 롤러는 상기 갑피와 같은 층에 위치하며, 상기 갑피와 나란한 코어 와이어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신발물품.
In a footwear article including an upper,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a core wire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of the receiving groove to form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hoelace passes together with the receiving groove;
a plurality of bead rollers disposed along the core wire; and
A shoelace that is provided with a width wider tha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bead rollers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in a folded state; includes,
The bead roller is positioned on the same layer as the upper and rotates a core wire parallel to the upper by a rotation axis.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일 단부에 형성된 통과홀;
상기 갑피의 상기 일 단부에 인접한 상기 통과홀의 일측을 통과하는 코어 와이어;
상기 코어 와이어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비즈 롤러;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비즈 롤러보다 넓은 폭으로 제공되어 상기 통과홀을 접힌 상태로 통과하는 신발끈;을 포함하고,
상기 비즈 롤러는 상기 갑피와 같은 층에 위치하며, 상기 갑피와 나란한 코어 와이어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신발물품.
In a footwear article including an upper,
a through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a core wire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adjacent to the one end of the upper;
a plurality of bead rollers disposed along the core wire; and
A shoelace that is provided with a width wider tha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bead rollers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in a folded state; includes,
The bead roller is positioned on the same layer as the upper and rotates a core wire parallel to the upper by a rotation axis.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일 단부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갑피의 일 단부와 함께 신발끈이 통과하는 통과홀을 형성하는 코어 와이어;
상기 코어 와이어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비즈 롤러;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비즈 롤러보다 넓은 폭으로 제공되어 상기 통과홀을 접힌 상태로 통과하는 신발끈;을 포함하고,
상기 비즈 롤러는 상기 갑피와 같은 층에 위치하며, 상기 갑피와 나란한 코어 와이어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신발물품.
In a footwear article including an upper,
a core wire having both ends fixed to one end of the upper and form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shoelace passes together with one end of the upper;
a plurality of bead rollers disposed along the core wire; and
A shoelace that is provided with a width wider tha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bead rollers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in a folded state; includes,
The bead roller is positioned on the same layer as the upper and rotates a core wire parallel to the upper by a rotation axi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와이어는 연신율이 0~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re wire is an article of foot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ongation is 0 to 3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와이어는 금속, 나일론, 플로오르카본, 합사(P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re wire is a footwear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using metal, nylon, fluorocarbon, braided yarn (PE),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 롤러는 구슬 또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ead roller is a footwear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bead or column shape.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일 단부에 형성된 통과홀;
상기 일 단부에 인접한 상기 통과홀의 일측을 통과하는 코어 와이어;
상기 코어 와이어를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및
상기 롤러와 접하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신발끈;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회전축 방향의 길이 대비 평균 직경이 짧고,
상기 롤러는 상기 갑피와 같은 층에 위치하며, 상기 갑피와 나란한 코어 와이어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In a footwear article including an upper,
a through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a core wire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adjacent to the one end;
at least one roller disposed along the core wire; and
A shoel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roller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includes,
The roller has a short average diameter compared to the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wherein the roller is positioned on the same layer as the upper and rotates a core wire parallel to the upper by a rotation axi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길이 대비 상기 평균 직경이 0 초과 6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oller is an article of foot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diameter relative to the length is greater than 0 and 67% or les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원통 또는 모래시계(hourglass) 형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oller is an article of footwea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or column shape having an hourglass sha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통과홀에서 양단이 상기 갑피에 수용되도록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rticle of footw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is elongated so that both ends are accommodated in the upper in the through ho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통과홀을 관통하도록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oller is a footwear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one or two or more so as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the through-holes arranged side by si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코어 와이어를 수용하는 빨대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oller is a footwear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shape of a straw for accommodating the core wir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양단에 환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13. The method of claim 12,
Footwear, characterized in that annular projections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roller.
KR1020210021319A 2021-02-17 2021-02-17 Footwear capable of easy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lace KR1025024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319A KR102502479B1 (en) 2021-02-17 2021-02-17 Footwear capable of easy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l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319A KR102502479B1 (en) 2021-02-17 2021-02-17 Footwear capable of easy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l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965A true KR20220117965A (en) 2022-08-25
KR102502479B1 KR102502479B1 (en) 2023-02-24

Family

ID=8311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319A KR102502479B1 (en) 2021-02-17 2021-02-17 Footwear capable of easy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l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47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619Y1 (en) * 1985-10-16 1988-10-12 류원구 Easy fastening combat boots
JPH08196308A (en) * 1995-01-30 1996-08-06 Taiwan Kogu Kogyo Kofun Yugenkoshi String setting tool
US20150305443A1 (en) * 2014-04-25 2015-10-29 S.R.K.I.P., Llc Article of footwear for substantially reducing friction and related components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619Y1 (en) * 1985-10-16 1988-10-12 류원구 Easy fastening combat boots
JPH08196308A (en) * 1995-01-30 1996-08-06 Taiwan Kogu Kogyo Kofun Yugenkoshi String setting tool
US20150305443A1 (en) * 2014-04-25 2015-10-29 S.R.K.I.P., Llc Article of footwear for substantially reducing friction and related components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479B1 (en)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51343A1 (en) String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JP4874986B2 (en) Cable tightening mechanism and biasing method thereof
JP7162732B2 (en) Dynamic race system with feedback mechanism
US20020083621A1 (en) Lacing device
JPH06284906A (en) Shoes
KR20130103705A (en) Lace guide
US20210401121A1 (en) String adjustment device
US20220259003A1 (en) Wire winding adjusting device and wire reel
JPH0156302B2 (en)
US20070294868A1 (en) Lace and method of forming knots
KR20220117965A (en) Footwear capable of easy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lace
US7251868B2 (en) Adjustable shoelace
JPS63126989A (en) Spiral link belt having divided spirals
KR102143929B1 (en) Apparatus for tightening string
CN216471599U (en) Rotary self-locking buckle
TWI611774B (en) Shoelace
WO2003070042A1 (en) Shoe fastening shoelace in one-touch manner and method of the same
JP7420398B2 (en) Removable shoelace tightener using loops
JPH1042909A (en) Fastening element
KR20220128517A (en) Lace part capable of quick shoelace operation and footwear having the same
KR101982599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lace of shoes
TWI842094B (en) Shoelace
KR102254695B1 (en) Shoestring Fixing Apparatus, and Fixing Method of Shoestring using the same, and Shoes including the same
US20210145134A1 (en) Bungee Bead Apparatus
US11849813B1 (en) Shoe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