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674A - 응결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응결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674A
KR20220117674A KR1020210021316A KR20210021316A KR20220117674A KR 20220117674 A KR20220117674 A KR 20220117674A KR 1020210021316 A KR1020210021316 A KR 1020210021316A KR 20210021316 A KR20210021316 A KR 20210021316A KR 20220117674 A KR20220117674 A KR 20220117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suction means
drain pipe
pipeline
fill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학
Original Assignee
(주)아이브이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브이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이브이엔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2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674A/ko
Publication of KR20220117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관 아래에 충진 용기가 배치되고, 상기 배수관과 충진 용기 사이에는 온매가 유동하는 파이프 라인이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라인에는 흡입 수단이 구비됨으로서, 배수관에서 낙하하는 응결수가 흡입 수단 상에 낙하하고, 파이프 라인에서 전달된 온기를 전달받음으로서 응결수의 증발 효과가 향상되는 응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결수 처리 장치{Congelatio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응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관 아래에 충진 용기가 배치되고, 상기 배수관과 충진 용기 사이에는 온매가 유동하는 파이프 라인이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라인에는 흡입 수단이 구비됨으로서, 배수관에서 낙하하는 응결수가 흡입 수단 상에 낙하하고, 파이프 라인에서 전달된 온기를 전달받음으로서 응결수의 증발 효과가 향상되는 응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KTX 와 같은 열차 내에는, 에어컨, 난방기 등의 공조 시설, 및 자판기 등과 같은 각종 편의 시설이 설치된다. 이러한 편의 시설의 운영 중, 각종 응결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열차 내의 시설에서는 이러한 응결수를 처리하기 어려워서 단순히 소정의 탱크나 충진 용기 등에 저장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운행 도중 응결수가 지나치게 많이 고인 경우, 외부로 유출되어 승객의 편의 및 위생을 저해하거나, 운행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응결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1690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관 아래에 충진 용기가 배치되고, 상기 배수관과 충진 용기 사이에는 온매가 유동하는 파이프 라인이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라인에는 흡입 수단이 구비됨으로서, 배수관에서 낙하하는 응결수가 흡입 수단 상에 낙하하고, 파이프 라인에서 전달된 온기를 전달받음으로서 응결수의 증발 효과가 향상되는 응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응결수 처리 장치는, 응결수가 낙하하는 배수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관에서 낙하한 응결수가 충진되는 충진 용기;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배수관과 상기 충진 용기 사이에 위치하며 온매가 유동하는 파이프 라인; 및 상기 파이프 라인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며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충진 용기 내에 위치하는 흡입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수단은 상기 배수관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관에서 낙하한 응결수는 상기 흡입 수단에 흡입되고, 상기 흡입 수단에 흡입된 응결수는 상기 파이프 라인 내의 온매의 온도에 의해서 증발이 촉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 수단은, 물을 흡입하는 지류, 직물류, 섬유류, 합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 수단은, 물을 흡입하는 부직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이프 라인은, 상기 배수관 아래에 위치하며 일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권선되는 권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수단은, 상기 권선부의 둘레면을 둘러싸는 제1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권선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충진 용기 내에 위치하며, 상기 충진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 수단은, 상기 제1 부분의 하부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충진 용기의 바닥면에 맞닿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서로 밀착하는 제2-1 부분, 및 상기 제2-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충진 용기의 바닥면 상에 위치하는 제2-2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수관에서 낙하한 응결수가 흡입 수단에 흡입되며, 상기 흡입 수단에 흡입된 응결수는 온매가 유동하는 파이프 라인에서 온기를 전달받음으로서, 상기 응결수의 증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이프 라인은 권선부를 갖고, 상기 흡입 수단은 상기 권선부를 둘러싸는 제1 부분을 포함함으로서, 파이프 라인에서 제공되는 온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응결수의 증발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 수단은 상기 충진 용기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함으로서, 충진 용기 내에 고인 응결수의 증발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응결수 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는 및 도 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응결수 처리 장치의 구조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 및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응결수 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에서는, 충진 용기(100)의 일 부분이 생략되어 있다. 도 3 는 및 도 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응결수 처리 장치의 구조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응결수 처리 장치는, 응결수가 낙하하는 배수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관에서 낙하한 응결수가 충진되는 충진 용기(100); 온매가 유동하는 파이프 라인(200); 상기 파이프 라인(20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며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충진 용기(100) 내에 위치하는 흡입 수단(300); 및 응결수가 낙하하는 배수관(P); 을 포함할 수 있다.
충진 용기(100)는 응결수가 담겨질 수 있는 소정의 용기이다. 충진 용기(100)는 소정의 깊이를 갖고 상부가 오픈된 용기일 수 있다.
충진 용기(100)에 담겨지는 응결수는, 냉유니트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결수일 수 있다. 단,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충진 용기(100)는, 응결수가 낙하하는 배수관(P)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관(P)에서 낙하하는 응결수는, 충진 용기(100)에 담겨질 수 있다. 상기 배수관(P)에서 낙하하는 응결수는, 에어컨, 난방기 등의 공조 시설, 및 자판기 등과 같은 각종 편의 시설에서 발생하는 응결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파이프 라인(200)은 온매가 유동하는 소정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라인(200)에서 유동하는 온매는, 예컨대 각종 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전달하는 매질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온매는 소정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온매는, 상온에 비해서 높은 온도인, 40~70 ℃ 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라인(200)은 외부로 온기를 발산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이프 라인(200)은, 일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권선되는 권선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선부(210)는 중심선을 중심으로 복수 회 권선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권선부(210)는, 상기 배수관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권선부(210)는 상기 배수관에서 낙하하는 응결수의 낙하 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관에서 낙하하는 응결수는 상기 권선부(210) 상에 낙하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권선부(210)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충진 용기(100) 내에 위치하며, 상기 충진 용기(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권선부(210)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충진 용기(100) 내에 위치함으로서, 상기 권선부(210)에서 전달된 온기가 상기 충진 용기(100) 내에 충진된 응결수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충진 용기(100) 내에 고인 응결수의 증발을 촉진할 수 있다.
흡입 수단(300)은 상기 파이프 라인(20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흡입 수단(300)은, 물을 흡입하고 물을 머금을 수 있기에 적합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흡입 수단(300)은, 물을 흡입하는 지류, 직물류, 섬유류, 합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 수단(300)은, 물을 흡입하는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을 흡입하는 흡입 수단(300)을, 비교적 적은 비용의 재질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수단(300)은, 상기 파이프 라인(200)의 권선부(210)의 둘레면을 둘러싸는 제1 부분(3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분(310)은, 상기 권선부(210)의 둘레면 외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원통형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부분(310)의 일 측 단부와 타 측 단부는 상기 권선부(210)의 일 위치에서 서로 맞닿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부분(310)이 권선부(210)의 둘레면 외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쌈에 따라서, 제1 부분(310)과 권선부(21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부분(310)은 권선부(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온매에서 전달되는 온기를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접촉 면적이 증가함으로서 온기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배수관에서 낙하한 응결수는 상기 제1 부분(310) 상에 낙하한다. 따라서, 상기 응결수는 흡입 수단(300)에 흡입될 수 있다. 흡입 수단(300)은 상기 응결수를 머금게 된다. 흡입 수단(300)에 머금어진 응결수는, 상기 파이프 라인(200) 내부를 유동하는 온매의 온기에 의해서 증발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 수단(300)은, 상기 제1 부분(310)의 하부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충진 용기(100)의 바닥면에 맞닿는 제2 부분(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부분(320)은, 상기 제1 부분(310)의 양 단부에서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밀착하고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 부분(322)과, 상기 제2-1 부분(322)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충진 용기(100)의 바닥면 상에 위치하는 제2-2 부분(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흡입 수단(300)이 상기 제1 부분(310)의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충진 용기(100)의 바닥면에 맞닿는 제2 부분(320)을 포함함으로서, 상기 제2 부분(320)은 상기 충진 용기(100) 내에 담겨진 응결수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320)에 의해서 흡입된 응결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유도되어, 상기 제1 부분(310), 또는 제1 부분(310)에 가까운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승한 응결수는 파이프 라인(200)의 권선부(210)에서 전달되는 온기를 효과적으로 전달받아서 증발될 수 있다. 즉, 응결수 처리 장치의 증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수관에서 낙하한 응결수가 흡입 수단(300)에 흡입되며, 상기 흡입 수단(300)에 흡입된 응결수는 온매가 유동하는 파이프 라인(200)에서 온기를 전달받음으로서, 상기 응결수의 증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응결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승객 및 관계자의 편의를 저해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이프 라인(200)은 권선부(210)를 갖고, 상기 흡입 수단(300)은 상기 권선부(210)를 둘러싸는 제1 부분(310)을 포함함으로서, 파이프 라인(200)에서 제공되는 온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응결수의 증발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 수단(300)은 상기 충진 용기(100)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는 제2 부분(320)을 더 포함함으로서, 충진 용기(100) 내에 고인 응결수의 증발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충진 용기
200: 파이프 라인
210: 권선부
300: 흡입 수단
310: 제1 부분
320: 제2 부분
322: 제2-1 부분
324: 제2-2 부분

Claims (6)

  1. 응결수가 낙하하는 배수관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관에서 낙하한 응결수가 충진되는 충진 용기;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배수관과 상기 충진 용기 사이에 위치하며 온매가 유동하는 파이프 라인;
    상기 파이프 라인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며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충진 용기 내에 위치하는 흡입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수단은 상기 배수관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관에서 낙하한 응결수는 상기 흡입 수단에 흡입되고,
    상기 흡입 수단에 흡입된 응결수는 상기 파이프 라인 내의 온매의 온도에 의해서 증발이 촉진되는 응결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수단은,
    물을 흡입하는 지류, 직물류, 섬유류, 합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응결수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수단은,
    물을 흡입하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응결수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라인은,
    상기 배수관 아래에 위치하며 일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권선되는 권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수단은,
    상기 권선부의 둘레면을 둘러싸는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응결수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충진 용기 내에 위치하며,
    상기 충진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는 응결수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수단은,
    상기 제1 부분의 하부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충진 용기의 바닥면에 맞닿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마주보는 부분이 서로 밀착하는 제2-1 부분, 및
    상기 제2-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충진 용기의 바닥면 상에 위치하는 제2-2 부분을 포함하는 응결수 처리 장치.
KR1020210021316A 2021-02-17 2021-02-17 응결수 처리 장치 KR20220117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316A KR20220117674A (ko) 2021-02-17 2021-02-17 응결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316A KR20220117674A (ko) 2021-02-17 2021-02-17 응결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674A true KR20220117674A (ko) 2022-08-24

Family

ID=83111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316A KR20220117674A (ko) 2021-02-17 2021-02-17 응결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76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901Y1 (ko) 2000-10-11 2001-03-15 두원중공업주식회사 증발기, 응축기 일체형 버스 에어컨의 응결수 배출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901Y1 (ko) 2000-10-11 2001-03-15 두원중공업주식회사 증발기, 응축기 일체형 버스 에어컨의 응결수 배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2048A (ko) 의류처리장치
US10694920B2 (en) Method of operating a dishwasher and a dishwasher
CN109008628B (zh) 饮水机及水源降温装置
KR20220117674A (ko) 응결수 처리 장치
RU2013129938A (ru)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с тепловым насосом
US20110203786A1 (en) Waste Water Heat Transfer System
US6199395B1 (en) Condensate handling assembly and method
CN109028417B (zh) 制冷装置及除冷凝水方法
CN110753767B (zh) 冷凝式干衣机
US8833740B2 (en) Natural evaporation type humidifier and air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CN105475154B (zh) 一种畜牧业用喂奶装置
KR101416951B1 (ko) 기능성 성분의 방향, 탈취 및 가습 수단을 갖는 침구용 온수보일러
CN110786266B (zh) 智能化可控式大雁养殖温控器
US2685132A (en) Portable milk cooler
CN207179967U (zh) 一种带有防溢出功能的风机盘管冷凝水盘
CN212930570U (zh) 一种电气柜冷气机的冷凝水处理装置
EP2848874A1 (en) Water heating apparatus
US2894380A (en) Evaporator control for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s
TW561209B (en)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synthetic fiber filament
CN110132699A (zh) 一种岩心洗油仪
US1999074A (en) Condenser
CN216869078U (zh) 一种纺织印染用烘干装置
US3409219A (en) Humidifier
CN207861935U (zh) 一种盐回收装置结构
GB2074706A (en) Float controlled draw off tube for hot water storage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