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446A -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446A
KR20220117446A KR1020210020833A KR20210020833A KR20220117446A KR 20220117446 A KR20220117446 A KR 20220117446A KR 1020210020833 A KR1020210020833 A KR 1020210020833A KR 20210020833 A KR20210020833 A KR 20210020833A KR 20220117446 A KR20220117446 A KR 20220117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movement limiting
bracket
fastening
suspe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446A/ko
Publication of KR20220117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60G2202/112Leaf spring longitudin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6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는,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는 판 스프링, 판 스프링의 센터부에 장착된 액슬 빔, 및 판 스프링 또는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고 판 스프링의 파손 시 액슬 빔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SUSPENSION SYSTEM LEAF SPRING ASSEMBLY OF FOR LARGE TYPE TRUCK}
본 발명은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대형 트럭용 전륜 판 스프링은 차량의 경량화, 도로 조건 양호, 과적 불가 등의 이유로 단판(판 매수: 1) 판 스프링이 대형 트럭에 적용되고 있다.
단판 판 스프링의 경우, 파손 발생시 액슬 빔이 샤클의 힌지 포인트를 중심으로 움직임이 가능해 단판 스프링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각각 설정 길이 이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의 주행 시 갑작스런 단판 판 스프링의 파손 시 액슬 빔의 틀어짐이 발생되어 차량의 전복이나 차량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좌측(LH) 판 스프링이 파손되며, 또한 우측(RH) 판 스프링이 미파손된 경우에 좌측 액슬 빔의 전/후 이동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종래의 단판 판 스프링은 경량화 등을 위하여 재질의 고강도화 및 도로 조건의 개선 등으로 적용되고 있지만, 판 스프링의 파손 시 별도로 판 스프링의 현가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차량의 전복이나 차량 사고 발생 등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대형 트럭용 단판 판 스프링의 파손 시 액슬 빔의 이동이나 틀어짐으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현가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대형 트럭용 단판 판 스프링의 파손 시 액슬 빔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여 액슬 빔의 이동이나 틀어짐으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는, 대형 트럭용 단판 스프링의 파손 시 액슬 빔의 이동이나 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는 판 스프링, 판 스프링의 센터부에 장착된 액슬 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가 장치는, 판 스프링 또는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고 판 스프링의 파손 시 액슬 빔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제한부는, 판 스프링과 결합되고 판 스프링의 파손 시 액슬 빔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 제한 브라켓, 및 판 스프링과 이동 제한 브라켓을 체결하고 상기 판 스프링의 파손 시 상기 이동 제한 브라켓의 좌우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제한부는, 판 스프링의 센터부와 이동 제한 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제한 브라켓의 일단부에는 판 스프링 아이부를 감싸도록 둥글게 말린 구조를 가지는 브라켓 하우징이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 하우징의 일단부에는 클램프와 체결을 위한 체결판이 연장될 수 있다.
체결부는, 판 스프링의 센터부와 이동 제한 브라켓의 체결을 위한 센터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판 스프링과 이동 제한 브라켓의 사이에는 판 스프링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판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 제한부는, 사이드 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범퍼 스토퍼, 액슬 빔의 상단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범퍼 스토퍼의 하부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스토퍼 브라켓, 범퍼 스토퍼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설정된 크기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 및 스토퍼 브라켓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걸림홈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과 걸림돌기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홈과 걸림돌기는 그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차량의 경량화, 도로 노면의 개선, 과적 단속 강화 등으로 대형 트럭에 사용되는 단판 스프링의 파손 발생 시, 액슬 빔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여 액슬 빔의 이동이나 틀어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차량 전복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일부 상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일부 상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일부 상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일부 상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일부 상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는,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10)에 지지되는 판 스프링(20), 판 스프링(20)의 길이 방향(도 1의 X 방향) 센터부(21)에 장착된 액슬 빔(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가 장치는, 판 스프링(20)에 설치되고,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액슬 빔(30)의 이동이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액슬 빔(30)의 전후(도 1의 X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0)에는 판 스프링(20)의 일단부와 결합되고, 판 스프링(20)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브라켓(11)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20)의 타단부에는 판 스프링(20)을 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기 위한 새클(13)이 설치되며, 새클(13)은 사이드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새클 브라켓(15)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0)에는 쇽업소버(40)가 장착되며, 쇽업소버(40)는 스테빌라이저(50)와 결합되며, 스테빌라이저(50)는 스테빌라이저 바(51)에 의하여 사이드 프레임(10)에 장착된 스테빌라이저 브라켓(53)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 제한부(100)는, 이동 제한 브라켓(110), 클램프(120), 체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제한 브라켓(110)은 판 스프링(20)과 결합되고,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액슬 빔(30)의 전후(도 1의 X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120)는 판 스프링(20)과 이동 제한 브라켓(110)을 체결하고,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이동 제한 브라켓(110)의 좌우 방향(도 3의 Y 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부(130)는 판 스프링(20)의 길이 방향(도 3의 X 방향) 센터부(21)와 이동 제한 브라켓(110)을 체결하고,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판 스프링(20)의 길이 방향 센터부(21)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제한 브라켓(110)은 판 스프링(20)의 하부에 배치되고, 판 스프링(20)의 일단부에 구비된 원통형상의 판 스프링(20) 아이부(23)로부터 판 스프링(20)의 길이 방향 센터부(21)까지의 길이 보다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제한 브라켓(110)의 일단부에는 판 스프링(20) 아이부(23)를 감싸도록 둥글게 말린 구조를 가지며,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이동 제한 브라켓(110)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브라켓 하우징(111)이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 하우징(111)이 판 스프링(20) 아이부(23)를 감싸도록 둥글게 말린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동 제한 브라켓(110)의 전후 이동이 아이부(23)와 브라켓 하우징(111)의 간격(C)만큼 제한되므로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액슬 빔(30)의 틀어짐이 최소화 될 수 있다(도 5 참고).
브라켓 하우징(111)의 일단부에는 클램프(120)와 체결을 위한 제1 체결구멍(114)을 갖는 체결판(113)이 설정된 길이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120)는 판 스프링(20), 이동 제한 브라켓(110), 및 체결판(113)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그 하단부가 개방된 역U 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클램프(120)의 상단부와 체결판(113)에는 클램프(120)와 체결판(113)의 체결을 위한 제1 체결 볼트(140)가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구멍(미도시)과 제2 결합구멍(113-1)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120)의 하단부에는 클램프(120)에 판 스프링(20), 이동 제한 브라켓(110), 및 체결판(113)을 삽입한 상태에서 클램프(120)의 양측면부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 볼트(121)와 제2 체결 너트(123)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30)는, 판 스프링(20)의 길이 방향 센터부(21)와 이동 제한 브라켓(110)에 제공되고, 판 스프링(20)과 이동 제한 브라켓(110)의 체결을 위한 센터 볼트(25)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제1 센터 체결구멍(미도시)과 제2 센터 체결구멍(100-1)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볼트(25)는 센터 너트(26)와 결합되어 판 스프링(20)과 이동 제한 브라켓(110)을 체결할 수 있다.
판 스프링(20)과 이동 제한 브라켓(110)의 사이에는 판 스프링(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판(27)이 설치될 수 있다.
판 스프링(20)의 길이 방향 센터부(21)의 상단부에는 판 스프링(20)와 이동 제한 브라켓(110)의 체결을 위한 센터 체결판(29)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판 스프링(20)에는,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액슬 빔(30)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액슬 빔(30)의 전후(도 1의 X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판 스프링(20)에는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액슬 빔(30)의 전후(도 1의 X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 제한 브라켓(1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20)과 이동 제한 브라켓(110)을 체결하고,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이동 제한 브라켓(110)의 좌우 방향(도 3의 Y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120)가 구비되어 있다.
판 스프링(20)의 길이 방향(도 3의 X 방향) 센터부(21)와 이동 제한 브라켓(110)을 체결하고,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판스프링(20)의 길이 방향 센터부(21)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13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동 제한 브라켓(110)은 판 스프링(20)의 하부에는, 판 스프링(20)의 일단부에 구비된 원통형상의 판 스프링(20) 아이부(23)로부터 판 스프링(20)의 길이 방향 센터부(21)까지의 길이 보다 길게 배치되어 있다.
이동 제한 브라켓(110)의 일단부에는 판 스프링(20) 아이부(23)를 감싸도록 둥글게 말린 구조를 가지며,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이동 제한 브라켓(110)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브라켓 하우징(111)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브라켓 하우징(111)이 판 스프링(20) 아이부(23)를 감싸도록 둥글게 말린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동 제한 브라켓(110)의 전후 이동이 아이부(23)와 브라켓 하우징(111)의 간격(C)만큼 제한되므로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액슬 빔(30)의 틀어짐이 최소화 될 수 있다(도 5 참고).
따라서, 판 스프링(20)의 파손 발생 시 액슬 빔(30)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여 액슬 빔(30)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차량 전복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의 일부 상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는 하기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사항 이외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에서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는, 사이드 프레임(1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범퍼 스토퍼(60), 및 액슬 빔(30)의 상단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범퍼 스토퍼(60)의 하부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스토퍼 브라켓(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범퍼 스토퍼(60)는 사이드 프레임(10)의 하단부에 지지되고 강성을 갖는 스토퍼 본체(61)와, 스토퍼 본체(6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러버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제한부(100)는, 범퍼 스토퍼(60)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범퍼 스토퍼(60)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설정된 크기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150), 및
스토퍼 브라켓(70)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액슬 빔(30)의 전후(도 6의 X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걸림홈(150)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150)과 걸림돌기(160)는 서로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원통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걸림홈(150)은 걸림돌기(160)의 용이한 삽입을 위하여 범퍼 스토퍼(60)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도 6의 Y 방향)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60)는 걸림홈(15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스토퍼 브러켓(70)의 상단부로부터 상부(도 6의 Y 방향)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홈(150)은 러버부(63)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배치되는 제1 걸림홈부(1미도시)와, 스토퍼 본체(61)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배치되는 제2 걸림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 브라켓(70)의 상단부에 테이퍼 형상으로 걸림돌기(160)가 돌출 형성되고, 범퍼 스토퍼(60)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테이퍼 형상으로 걸림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160)가 걸림홈(150)에 걸려 있으며, 범퍼 스토퍼(60)는 사이드 프레임(10)이 지지되어 있고, 범퍼 스토퍼(70)는 액슬 빔(30)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판 스프링(20)의 파손 시 액슬 빔(30)의 전후(도 6의 X 방향) 이동을 제한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사이드 프레임
20: 판 스프링
30: 액슬 빔
100: 이동 제한부
110: 이동 제한 브라켓
120: 클램프
130: 체결부
150: 걸림홈
160: 걸림돌기

Claims (10)

  1. 대형 트럭용 단판 스프링의 파손 시 액슬 빔의 이동이나 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로서,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에 지지되는 판 스프링,
    상기 판 스프링의 센터부에 장착된 액슬 빔, 및
    상기 판 스프링 또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판 스프링의 파손 시 상기 액슬 빔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
    를 포함하는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판 스프링과 결합되고, 상기 판 스프링의 파손 시 상기 액슬 빔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 제한 브라켓, 및
    상기 판 스프링과 상기 이동 제한 브라켓을 체결하고, 상기 판 스프링의 파손 시 상기 이동 제한 브라켓의 좌우 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하는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판 스프링의 센터부와 상기 이동 제한 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 브라켓의 일단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 아이부를 감싸도록 둥글게 말린 구조를 가지는 브라켓 하우징이 배치되는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하우징의 일단부에는 상기 클램프와 체결을 위한 체결판이 연장되는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판 스프링의 센터부와 상기 이동 제한 브라켓의 체결을 위한 센터 볼트를 포함하는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과 상기 이동 제한 브라켓의 사이에는 상기 판 스프링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판이 설치되는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범퍼 스토퍼,
    상기 액슬 빔의 상단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범퍼 스토퍼의 하부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스토퍼 브라켓,
    상기 범퍼 스토퍼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설정된 크기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스토퍼 브라켓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리기 위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과 상기 걸림돌기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과 상기 걸림돌기는 그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프 형상을 가지는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KR1020210020833A 2021-02-17 2021-02-17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KR20220117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33A KR20220117446A (ko) 2021-02-17 2021-02-17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33A KR20220117446A (ko) 2021-02-17 2021-02-17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446A true KR20220117446A (ko) 2022-08-24

Family

ID=8311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833A KR20220117446A (ko) 2021-02-17 2021-02-17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74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1514B2 (en) Alignment mechanism for vehicle suspensions
US5362095A (en) Resiliently mounted cantilever spring supported air spring suspension
US7513517B2 (en) Bar pin attachment for bush assembly
CA2512848A1 (en) Lightweight, low part-count, suspension system for wheeled vehicles
US4029335A (en) Fifth wheels for truck tractors
US3933367A (en) Dual leaf spring suspension
US4502707A (en) Tandem axle suspension system
US20070085293A1 (en) Traction device
US6328324B1 (en) Air ride suspension system
CN110366499B (zh) 车辆轮轴的悬架系统
KR20220117446A (ko) 대형 트럭용 판 스프링 어셈블리의 현가 장치
US3257123A (en) Spring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CN110719853A (zh) 车辆轮轴的悬架系统
US8286985B2 (en) Double hinged tow hitch
US20220105768A1 (en) Vehicle Overload Suspension System
US6851696B1 (en) Trailer hitch with separated functions
US3711079A (en) Stabilizing means for spring-mounted chassis of wheeled vehicles
US8075013B2 (en) Mounting apparatus
US20070102854A1 (en) Stabilizer for leaf spring suspension device
DE102017218682B4 (de) Längsblattfedervorrichtung mit Anschlagpuffer-Einheit
CN107140040B (zh) 一种半挂车鹅颈的牵引总成
US20240075781A1 (en) Easily Retrofittable Air Suspension Bracket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ing
US11752820B1 (en) Alignment clip for leaf spring suspension
CA1134409A (en) Third axle attachment for motor vehicles
US5535993A (en) Universal high dampening load leve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