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432A - Pow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of power system - Google Patents

Pow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of pow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432A
KR20220117432A KR1020210020810A KR20210020810A KR20220117432A KR 20220117432 A KR20220117432 A KR 20220117432A KR 1020210020810 A KR1020210020810 A KR 1020210020810A KR 20210020810 A KR20210020810 A KR 20210020810A KR 20220117432 A KR20220117432 A KR 20220117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ystem
open line
line
curr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8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7185B1 (en
Inventor
이재형
장길수
김우성
윤민한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185B1/en
Publication of KR2022011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4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1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10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systems management focussing at grid-level, e.g. load flow analysis, node profile computation, meshed network optimisation, active network management or spinning reserv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lustering a power system. The method for clustering a power system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of: selecting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from among a plurality of target lines in a power system; opening the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system is compartment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the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if the power system is not compartmentalized, acquiring a flow amount for the rest of the plurality of target lines excluding the at least one open line; selecting at least one second open line from among the rest of the plurality of target lines based on the flow amount; opening the at least one second open lin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system is compartment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the at least one second open lin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omoting a cost and time reduction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a clustering procedure.

Description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POW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OF POWER SYSTEM}POW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OF POWER SYSTEM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apparatus.

기술 및 산업의 발달에 따라서 각각의 산업체나 가정 등의 수요자는 대량의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다. 전력 계통은 이와 같은 전력 수요에 응하여 전력을 경제적으로 생산하고 이를 적절하고 안정적으로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로부터 수요자까지 연결된 전력 설비들, 이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이나 방법 등을 의미한다. 전력 계통 내에는 발전 설비, 송전선로, 송배전설비 및 수전설비 등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들의 개수가 매우 많아 적절한 관리 및 운영이 쉽지 않으며 많은 비용 및 인력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환경 문제 등의 인하여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또는 조력 발전 등과 같이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발전원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재생에너지 기반의 발전원의 발전량은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아 그 변동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특히 미래의 전력 시스템은 전력 흐름의 변화가 더욱 다양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변동성은 전력 계통의 관리 및 유지의 어려움을 더욱 더 증가시키고 있었다.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dustry, consumers of each industry or home consume a large amount of electric energy. The power system refers to power facilities connected from power plants to consumers, and systems or methods for operating them, etc. In the power system, there ar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ransmission lines, transmission/distribution facilities, and power reception facilities, and the number of them is very large, making proper management and operation difficult, and requires a lot of cost and manpower. In particular, recently,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power generation sources using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power generation, wind power generation, or tidal power generation, are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these renewable energy-based power sources is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has a large variability.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power system will have more diverse changes in power flow. Such variability was further increasing the difficulty of managing and maintaining the power system.

구획(클러스터, cluster) 간의 대량의 전력 흐름을 갖는 전송 선로를 기반으로 전력 계통을 발전단 및 부하단으로 분할할 수 있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과, 상술한 클러스터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capable of dividing a power system into a power generation stage and a load stage based on a transmission line having a large amount of power flow between compartments (cluster), and a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lustering method The task to be solved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한국전력공사의 'DC 전력기기 기반 송전망 최적 활용 및 그리드 서비스 (Grid Service) 연구' 과제(과제번호: R17XA05-4, 과제수행기관: 연세대학교, 연구기간: 2020.05.01 ~ 2021.04.30)의 연구 결과물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ptimal utilization of DC power equipment-based transmission network and grid service research' project of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task number: R17XA05-4, project performing institution: Yonsei University, research period: 2020.05.01 ~ 2021.04. .30).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 및 전력 계통이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 power system clustering apparatus, and a power system may be provided as follows.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은 전력 계통 내의 복수의 대상 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개방 선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방 선로가 개방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방 선로의 개방에 따라 전력 계통의 구획화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만약 상기 전력 계통이 구획화되지 않았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선로 이외의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에 대한 조류량이 획득되는 단계, 상기 조류량을 기반으로 상기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개방 선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발 선로가 개방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발 선로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력 계통의 구획화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from among a plurality of target lines in a power system, opening the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system is partitioned, if the power system is not partitioned, obtaining a current flow for a plurality of remaining target lines other than the at least one open line, the other plurality of based on the current flow Selecting at least one second open line from among the remaining target lines of It may include the step of becoming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는, 전력 계통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전력 계통 내의 복수의 대상 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개방 선로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방 선로의 개방에 따라 전력 계통의 구획화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상기 전력 계통이 구획화되지 않았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선로 이외의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에 대한 조류량을 획득하고, 상기 조류량을 기반으로 상기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개방 선로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발 선로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력 계통의 구획화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selects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from among a plurality of target lines in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power system and the power system, and powers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ystem is partitioned, and if the power system is not partitioned, acquires a current flow for a plurality of remaining target lines other than the at least one open line, and based on the current flow, the other plurality of residual The processor may include a processor that selects at least one second open line from among target lines and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system is partitione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at least one second development line.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다수의 구획화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한 다수의 구획화 결과에 대한 결합 확률이 획득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확률을 이용하여 구획 확률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한 확률론적 구획화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in one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different partitioning for at least one power system, obtaining a coupling probability for a plurality of partitioning results for the power system, and the coupling probability It may include the step of performing probabilistic partitioning on the power system based on the partition probability using

상술한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클러스터 간의 대량의 전력 흐름을 갖는 전송 선로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을 발전단 및 부하단으로 적절하게 분할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apparatu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at least one power system can be appropriately divided into a power generation stage and a load stage based on a transmission line having a large amount of power flow between the clusters.

상술한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단순한 반복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전력 계통을 적절하게 구획할 수 있게 되어 클러스터링 과정의 단순화와 이에 따른 비용 및 시간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apparatu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perly partition the power system without performing a simple iterative simulation, thereby simplifying the clustering process and reducing cost and time.

상술한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신재생 에너지원의 변동성나 불확실성 등을 반영하여 계통을 분할 및 구획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apparatu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in that the system can be divided and partitioned by reflecting the variability or uncertainty of the renewable energy source.

상술한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전력 계통의 적절한 구획화에 따라서 전력 계통의 관리 및 유지를 위해 보다 효율적이고 우수한 전략 및 운영을 구축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구획화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 이점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apparatu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build a more efficient and superior strategy and operation for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power system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compartmentalization of the power system, and also to implement the automation of the compartmentalization, so that it is economical You can also get benefits.

상술한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전력 계통을 확률론적인 관점에서 발전단과 부하단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되어, 선로 이용률 분배를 위한 신규 송전선로 건설에 있어서 최적의 후보지를 선정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apparatu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power system into a power generation stage and a load stage from a probabilistic point of view, so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 an optimal candidate site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transmission line for distribution of the line utilization rate can be obtained

상술한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전력 시스템의 지역적인 계통 특성을 발전단 또는 부하단으로 구분하기 때문에 신규 분산 전원 투입이 적절한지 여부를 보다 면밀하게 검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apparatus described above, since regional system characteristics of a power system are divided into a power generation stage or a load stage, it is possible to more closely examine whether new distributed power input is appropriat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2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3은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4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3 도이다.
도 5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흐름도이다.
도 6은 확률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확률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링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다.
도 8은 확률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링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9는 90% 확률 기반으로 수행된 클러스터링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70% 확률 기반으로 수행된 클러스터링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50% 확률 기반으로 수행된 클러스터링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1 is a first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2 is an overall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power grid clustering method.
3 is a second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4 is a third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6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lustering based on probability.
7 is a first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lustering process based on probability.
8 is a second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lustering process based on probability.
9 shows an embodiment of a clustering result performed based on a 90% probability.
10 shows an embodiment of a clustering result performed based on a 70% probability.
11 shows an example of a clustering result performed based on a 50% probability.
1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ower system clustering apparatus.

이하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부'가 부가된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부'가 하나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부'가 하나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부품들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분과 다른 부분에 따라서 물리적 연결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 이외의 또 다른 부분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또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이나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한 기재가 없는 이상 이들이 순차적인 표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erm to which 'unit' is added used below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one 'unit' may be implemented as one physical or logical part, or a plurality of 'uni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t is also possible to be implemented with physical or logical parts, or one 'unit'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physical or logical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may mean a physical connection or an electrically connected part depending on the part and the other part. In addi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nother part, it does not exclude another part other than the other par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it means that another part may be further included according to the designer's choice. d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part from another,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y do not mean sequential expressions. Also,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및 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구역으로 구획된 전력 계통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a power system partitioned into at least one zo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

도 1은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고, 도 2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3 및 4도이다.FIG. 1 is a first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FIG. 2 is an overall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3 and 4 are diagrams 3 and 4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클러스터링(구역화, 구획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z1)은 적어도 하나의 발전원(G1 내지 G10, 화력발전소나 원자력발전소 등)과, 적어도 하나의 모선(1 내지 38, 버스(bus) 또는 노드(node) 등으로 지칭 가능함)를 포함하되, 발전원(G10 내지 G10) 중 적어도 하나와 모선(1 내지 38)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 송전선로를 통해 전력 송신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및/또는 모선(1 내지 38) 중 적어도 둘 역시 상호 송전선로를 통해 전력 송신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은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z1)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차상위 전력 계통(z11, z12)으로 분리하고, 실시예에 따라서 둘 이상의 차상위 하 전력 계통(z12)을 더 세분화하여 차차상위 전력 계통(z12-1 내지 z12-3)으로 구획화하는 것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z1)을 복수의 세부 전력 계통(z11, z12-1 내지 z12-3)으로 구획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세부 전력 계통(z11, z12-1 내지 z12-3)은 발전단(generation side) 및 부하단(load side) 중 어느 하나에 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z1)은 발전단 및 부하단으로 구분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power system z1 for clustering (zoning, compartmentalization) includes at least one power source (G1 to G10, thermal power plant or nuclear power plant, etc.), and at least one busbar 1 to 38,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bus or node, etc.), but at least one of the power generation sources G10 to G10 and at least one of the busbars 1 to 38 transmit power through a mutual transmission line. Possibly connected and/or at least two of the busbars 1 to 38 may also be connected to enable power transmission through a mutual transmission line.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shown in FIG. 2 divides at least one power system z1 as shown in FIGS. 3 and 4 into two or more second-order power systems z11 and z12 as shown in FIG.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further subdividing the two or more next-level lower power systems (z12) and repeating the division into the next-order higher power systems (z12-1 to z12-3), finally at least one power system (z1) is plural It can be partitioned into detailed power systems (z11, z12-1 to z12-3) of Here, the plurality of detailed power systems z11, z12-1 to z12-3 may belong to any one of a generation side and a load side. Accordingly, at least one power system z1 may be divided into a power generation stage and a load stag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z1)에 대한 구획화는 사용자나 설계자 등의 의해 미리 정의된 구획 목표 개수(Nc)에 따라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전력 계통(z1)에 대한 구획화가 수행되고(200), 만약 전체적인 전력 계통(z1)에 대한 구획화의 결과에 따라 획득된 구획의 개수(즉, 차상위 전력 계통(z11, z12) 등의 각각의 하위의 전력 계통)의 개수가 미리 정의된 구획 목표 개수(Nc)보다 작으면(300의 아니오), 차상위 전력 계통(z11, z1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구획화가 더 수행된다(400). 이어서, 차상위 전력 계통(z11, z12)에 대한 구획화 결과에 따른 모든 구획(하위 전력 계통, 일례로 추가로 구획된 차차상위 전력 계통(z12-1 내지 z12-3))의 개수가 미리 정의된 구획 목표 개수(Nc)보다 작거나 또는 추가로 구획된 차차상위 전력 계통(z12-1 내지 z12-3)의 개수 및 추가적으로 구획되지 않은 차상위 전력 계통(z11)의 개수의 합이 미리 정의된 구획 목표 개수(Nc)보다 작은지 여부가 판단되고(300), 판단 결과에 따라서 구획되지 않은 차상위 전력 계통(z11)이나 더 구획된 차차상위 전력 계통(z12-1 내지 z12-3)에 대한 구획화가 더 수행될 수도 있다(400). 반대로 전체적인 전력 계통(z1)에 대한 구획화의 결과에 따라 획득된 각각의 차상위 전력 계통(z11, z12)의 개수(또는 추가로 구획된 차차상위 전력 계통(z12-1 내지 z12-3)의 개수가 미리 정의된 구획 목표 개수(Nc)이나, 추가로 구획된 차차상위 전력 계통(z12-1 내지 z12-3)의 개수 및 추가적으로 구획되지 않은 차상위 전력 계통(z11)의 개수의 합 등)가 미리 정의된 구획 목표 개수(Nc)와 동일하거나 크면(300)의 예), 구획화는 종료된다(500). 예를 들어, 구획 목표 개수(Nc)가 사용자 등에 의해 4로 설정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전력 계통(z1)이 네 개의 차상위 전력 계통(z11, z12-1 내지 z13-3)으로 구획되면, 구획화가 종료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vision of the at least one power system z1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target number of divisions Nc predefined by a user or a designer. For example, first, as shown in FIG. 2, partitioning is performed for the entire power system z1 (200), and if the number of partitions obta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partitioning for the entire power system z1 (i.e., If the number of each lower power system such as the next higher power system (z11, z12) is smaller than the predefined division target number Nc (No of 300), at least one of the next higher power systems (z11, z12) For further partitioning is performed (400). Subsequently, the number of all divisions (lower power systems, for example, additionally partitioned next-level power systems (z12-1 to z12-3)) according to the division result for the next-level power systems (z11, z12) is a section in which the number is predefined. The target number of divisions in which the sum of the number of next-order higher-order power systems z12-1 to z12-3 partitioned less than or additionally than the target number Nc and the number of the next-order higher-order power systems z11 that are not additionally partitioned is predef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smaller than (Nc) (300),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further partitioning is performed on the undivided next higher power system (z11) or the further subdivided next higher power system (z12-1 to z12-3) may be (400). Conversely, the number of each next higher power system (z11, z12) obta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gmentation for the entire power system (z1) (or the number of additionally partitioned next higher power systems (z12-1 to z12-3) is The predefined target number of divisions (Nc) or the sum of the number of additionally partitioned next-level power systems (z12-1 to z12-3) and the number of additionally partitioned second-order power systems (z11) are predefined. If 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arget number of partitions Nc (Yes in 300), partitioning is terminated (500). For example, the target number of divisions Nc is set to 4 by the user or the like, and as shown in FIG. 4 , the overall power system z1 is divided into four second-order power systems z11, z12-1 to z13-3. Once partitioned, partitioning may end.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z1), 차상위 전력 계통(z11, z12), 차차상위 전력 계통(z12-1 내지 z12-3) 또는 차차상위 전력 계통(z12-1 내지 z12-3)에 대한 추가 구획에 따른 하위 전력 계통(들) 등의 구획화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전력 계통(z1, z11, z12, z12-1 내지 z12-3) 내에서 전력 조류(power flow)가 최대로 흐르는 최대 조류 선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전체적인 전력 계통(z1) 내에서 최대 조류 선로(흐르는 조류의 양이 가장 큰 선로)가 개방(open)되면, 최대 조류 선로를 통해 전달되던 조류는 우회선로를 따라 흐르게 되며(즉, 조류의 흐름이 변화하게 되고), 우회선로 중에서 우회하여 흐르는 조류가 가장 많이 흐르는 다음 최대 조류 선로를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하게 다음 최대 조류 선로가 개방되면, 순차적으로 그 다음의 최대 조류 선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적당한 회수로 반복하면, 다수의 최대 조류 선로들을 획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최대 조류 선로(들)을 순차적으로 첫번째 내지 세번째 경계로 결정하면 전력 계통(z1)을 발전단 및 부하단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다수의 하위 전력 계통(들)로 구획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addition to at least one power system (z1), the next higher power system (z11, z12), the next higher power system (z12-1 to z12-3), or the next higher power system (z12-1 to z12-3) The compartmentalization of the lower power system(s) according to the division, in one embodiment, is that the power flow within each power system (z1, z11, z12, z12-1 to z12-3) is maximized. It may also be performed based on a flowing maximum current line.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maximum current line (the line with the largest amount of flow) in the overall power system z1 is opened, the current transmitted through the maximum current line flows along the bypass line ( That is, the flow of the current changes), and the next maximum current line through which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etour flows the most among the detour lines may be determined. Similarly, when the next maximum current line is opened, the next maximum current line may be sequentially determined. If this is repeated an appropriate number of times, a plurality of maximum current lines can be obtained, and when each maximum current line(s) is sequentially determined as the first to third boundary, the power system z1 is set to any one of the power generation stage and the load stage. It can be divided into multiple sub-power system(s) belonging to

도 5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세부 흐름도이다.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하위의) 전력 계통에 대한 구획화(200, 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divisions 200 and 400 for the (lower) power system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5 .

먼저 전체적인 전력 계통(z1) 내의 다수의 대상 선로 중에서 개방될 선로(이하 개방 선로)가 결정될 수 있다(211). 개방 선로의 결정은 측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계통(z1) 내의 대상 선로 및 개방될 선로에 대해서 각각 하기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은 집합이 정의될 수 있다.First, a line to be opened (hereinafter, an open line) among a plurality of target lines in the overall power system z1 may be determined ( 211 ). Determination of an open line can be performed through measurement. In this case, sets such as Equations 1 and 2 below may be defined for a target line and a line to be opened in the power system z1 , respectively.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M은 대상 선로의 집합이고, M_1 내지 M_n은 각각 제1 내지 n 대상 선로를 의미한다. O는 대상 선로 중에서 개방 선로의 집합(이하 개방 선로 집합)이고 O_1 내지 O_n은 각각 제1 내지 n 개방 선로를 의미한다. 최초의 시점에서는 M은 전력 계통(z1) 내의 모든 또는 일부의 대상 선로(M_1 내지 M_n)를 포함하는 집합으로 설정되고, O는 공집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획화(200, 400)이 개시되면, 전력 계통(z1) 내의 모든 대상 선로(M_1 내지 M_n)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선로(M_k)가 개방 선로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최초로 개방 선로(제1 개방 선로)로 결정될 적어도 하나의 선로(M_k)는 조류량이 최대인 어느 하나의 대상 선로(이하 제m 최대 대상 선로(m은 1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m 최대 대상 선로는 개방 선로 집합 O에 기록 및 갱신된다. 따라서, O는 {O_1}로 갱신되게 된다(O_1=M_k). 아울러 대상 선로 집합 M에는 개방 선로 집합 O에 포함된 제m 최대 대상 선로는 제거된다. 따라서, 대상 선로 집합 M은 {M_1, M_2, …, M_(k-1), M_(k+1), …, M_n}이 된다. 가장 넓은 범위의 전력 계통(z1)에 대한 구획화가 최초로 수행될 때, 전력 계통(z1) 내의 모든 대상 선로(M_1 내지 M_n) 중에서 제1 최대 조류 선로(M_max1)가 결정되고, 제1 최대 조류 선로(M_max1)는 개방 선로 집합 O에 추가되고 대상 선로 집합 M에서는 제거된다.Here, M is a set of target lines, and M_1 to M_n mean first to n target lines, respectively. O is a set of open lines (hereinafter, an open line set) among target lines, and O_1 to O_n mean first to n open lines, respectively. At the initial time point, M may be set to a set including all or some of the target lines M_1 to M_n in the power system z1, and O may be set to an empty set. When the divisions 200 and 400 are started, at least one line M_k may be determined as an open line for all the target lines M_1 to M_n in the power system z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t least one line M_k to be initially determined as the open line (the first open line) is any one target line having the maximum current amount (hereinafter, the mth maximum target line (m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1)). may include The mth maximum target line is recorded and updated in the open line set O. Accordingly, O is updated to {O_1} (O_1 = M_k). In addition, in the target line set M, the mth maximum target line included in the open line set O is removed. Therefore, the target line set M is {M_1, M_2, ... , M_(k-1), M_(k+1), ... , M_n}. When segmentation for the widest range of power system z1 is first performed, a first maximum current line M_max1 is determined among all target lines M_1 to M_n in the power system z1, and the first maximum current line (M_max1) is added to the open line set O and removed from the target line set M.

이어서 제1 최대 조류 선로(M_max1, O_1)가 실제로 또는 가상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212). 제1 최대 조류 선로(M_max1, O_1)가 개방되면, 전력 계통(z1)이 분할되어 적어도 하나의 하위 전력 계통, 일례로 차상위 전력 계통(z11, z12)에 고립이 형성되어 구획화가 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213). Then, the first maximum current line (M_max1, O_1) may be opened actually or virtually (212). When the first maximum current line (M_max1, O_1) is opened, the power system (z1) is divided and at least one lower power system, for example, an isolation is formed in the next higher power system (z11, z12),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partitioned can be (213).

만약 적어도 하나의 하위 전력 계통이 적절하게 구획화된 것이 아니라면(213의 아니오), 나머지 대상 선로(즉, 제1 최대 조류 선로(M_max1)를 제외한 나머지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n)에 대한 조류량이 연산될 수 있다(214). 나머지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n)에 대한 조류량의 연산은 하기의 수학식 3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If at least one sub-power grid is not properly partitioned (No in 213), the remaining target lines (M_1, M_2, ..., M_(k-) 1), M_(k+1), ..., M_n) may be calculated ( 214 ). ..., M_n) may be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3 below.

[수학식 3] [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F^(1)_M은 나머지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n)에 대한 개방 후의 조류량이고, F^(0)_M은 나머지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n)에 대한 개방 전의 조류량이며, F^(0)_O은 개방 전의 개방 선로(M_k, 일례로 제m 최대 조류 선로)의 조류량이다. λ_MO는 단선 분산 요소(LODF: line outage distribution factor)의 집합으로, 예를 들어, 하기의 수학식 4에 의해 연산된 것일 수 있다.Here, F^(1)_M is the amount of current after opening for the remaining target lines (M_1, M_2, …, M_(k-1), M_(k+1), …, M_n), and F^(0) _M is the amount of current before opening for the remaining target lines (M_1, M_2, …, M_(k-1), M_(k+1), …, M_n), and F^(0)_O is the amount of current before opening ( M_k, for example, is the tidal flow rate of the m-th maximum current line). λ_MO is a set of line outage distribution factors (LODFs), and may be calculated by, for example, Equation 4 below.

[수학식 4][Equation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학식 4에서 E는 단위 행렬이고, Φ_M,O 및 Φ_O,O는 각각 Φ_M_i,O_j 및 Φ_O_i,O_j의 집합으로 하기의 수학식 5 및 수학식 6과 같이 매트릭스로 주어진 것일 수 있다.In Equation 4, E is an identity matrix, and Φ_M,O and Φ_O,O are sets of Φ_M_i,O_j and Φ_O_i,O_j, respectively, and may be given as a matrix as shown in Equations 5 and 6 below.

[수학식 5][Equation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수학식 6][Equation 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수학식 5에서 Φ_M_iO_j는 어느 하나의 제j 개방 선로 O_j가 개방되었을 때 다른 선로 M_i의 조류 변화량을 의미하고, Φ_O_iO_j는 어느 하나의 제j 개방 선로 O_j가 개방되었을 때 다른 개방 선로 O_i의 조류 변화량을 의미한다. Φ_M_iO_j 및 Φ_O_iO_j 각각은 하기의 수학식 7 및 수학식 8을 이용하여 연산 및 획득된 것일 수 있다.In Equation 5, Φ_M_iO_j denote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urrent of the other line M_i when any one of the j-th open lines O_j is opened, and Φ_O_iO_j denote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urrent of the other open lines O_i when any one of the j-th open lines O_j is opened. it means. Each of Φ_M_iO_j and Φ_O_iO_j may be calculated and obtained using Equations 7 and 8 below.

[수학식 7] [Equation 7]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수학식 8][Equation 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수학식 7에서 M_i,s는 i번째 대상 선로(M_i)의 송전단을, M_i,r은 i번째 대상 선로(M_i)의 수신단을 의미한다. 동일하게 수학식 8에서 O_i,s는 i번째 개방 선로(O_i)의 송전단을 나타내고, O_i,s는 i번째 개방 선로(O_i)의 수신단을 나타낸다. π_M_i,s^O_j, π_M_i,r^O_j, π_O_i,s^O_j 및 π_O_i,r^O_j 각각은, 순차적으로 제j 개방 선로 O_j 개방 시에서의 i번째 대상 선로(M_i)의 송전단의 조류량, i번째 대상 선로(M_i)의 수신단의 조류량, i번째 개방 선로(O_i)의 송전단의 조류량 및 i번째 개방 선로(O_i)의 수신단의 조류량을 의미한다.In Equation 7, M_i,s denotes a transmitting end of the i-th target line M_i, and M_i,r denotes a receiving end of the i-th target line M_i. Similarly, in Equation 8, O_i,s denotes the transmitting end of the i-th open line O_i, and O_i,s denotes the receiving end of the i-th open line O_i. π_M_i, s^O_j, π_M_i, r^O_j, π_O_i, s^O_j, and π_O_i, r^O_j, respectively, sequentially indicate the amount of current at the power transmission end of the i-th target line M_i when the j-th open line O_j is opened. , means the current flow at the receiving end of the i-th target line M_i, the current flow at the transmitting end of the i-th open line O_i, and the current flow at the receiving end of the i-th open line O_i.

다시 말해서, 제1 최대 조류 선로(M_max1) 개방 후의 나머지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n)에 대한 조류량(F^(1)_M)은, 제j 개방 선로 O_j가 개방되었을 때 각 대상 선로(M_i) 및 개방 선로(O_i)의 기반으로 획득된 단선 분산 요소(λ_MO)를 개방 전 개방 선로(F^(0)_O)의 조류량에 가중하여 개방 전의 조류량(F^(0)_M)에 합산함으로써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조류량(F^(1)_M) 연산 과정에서 수학식 4 내지 수학식 8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최대 조류 선로 개방 과정(212)이나 구획화 여부 판단 과정(213)에서 선행하거나, 후행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잔여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n)에 대한 조류량(F^(1)_M) 연산 과정(214)도, 도 5에 도시된 바와는 상이하게, 구획화 여부의 판단(213) 전에 또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other words, after the first maximum current line (M_max1) is opened, the current flow rate (F^(1) for the remaining target lines (M_1, M_2, ..., M_(k-1), M_(k+1), ..., M_n) )_M) is the open line before opening (F^(0)_O) of the disconnection distribution element (λ_MO) obtained as the basis of each target line (M_i) and the open line (O_i) when the jth open line O_j is opened. It may be obtained by weighting the tidal flow of , and adding it to the tidal flow before opening (F^(0)_M). At least one of Equations 4 to 8 in the above-described tidal flow (F^(1)_M) calculation process precedes, follows, or follows in the first maximum tidal current line opening process 212 or segmentation determination process 213 or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urrent flow (F^(1)_M) calculation process for the remaining target lines (M_1, M_2, ..., M_(k-1), M_(k+1), ..., M_n) (214)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5 ,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partitioning decision 213 before or simultaneously with the determination 213 .

잔여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n)에 대한 조류량(F^(1)_M)이 연산되면, 연산된 조류량(F^(1)_M)을 기반으로 잔여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n) 중에서 다음 개방 선로(M_l, 제2 개방 선로)가 결정될 수 있다(215, 216). 여기서, 제2 개방 선로(M_l)는, 실시예에 따라서, 잔여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n) 중에서 가장 큰 조류가 흐르는 최대 조류 선로(이하 제2 최대 조류 선로, M_max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방 선로(M_l, 일례로 제2 최대 조류 선로(M_max2))의 결정 과정(216)은 제1 개방 선로(M_k 일례로, 제1 최대 조류 선로(M_max1))의 결정 과정(211)과 동일하게 또는 일부 상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잔여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n) 중에서 측정을 통해 가장 조류량이 큰 제2 최대 조류 선로(M_max2)가 제2 개방 선로(M_l)로 결정되고, 결정된 제2 개방 선로(M_l)는 대상 선로 집합 M에서 제거되고, 개방 선로 집합 O에 추가된다. 이에 따라 대상 선로 집합 M은, 만약 l이 k보다 크다면, {M_1, M_2, …, M_(k-1), M_(k+1), …, M_(l-1), M_(l+1), …, M_n}로 갱신될 수 있고, 개방 선로 집합 O는 {O_1, O_2}로 갱신될 수 있다(O_2=M_l).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2 개방 선로(M_l)는 개방되고(212), 이어서 구획화 여부(즉, 고립 발생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213). 만약 전력 계통(z11, z12)이 구획화되었다고 판단되지 않는다면(213의 아니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개방 선로(M_l)의 추가 제거에 의해 갱신된 대상 선로 집합 M과, 제2 개방 선로(M_l)의 부가에 따라 갱신된 개방 선로 집합 O를 기반으로 단선 분산 요소(λ_MO)가 판단 또는 개방 이전에 또는 이후에 다시 연산되고, 다시 연산된 단선 분산 요소(λ_MO)를 이용하여, 제2 개방 선로(M_l)의 개방 이후의 잔여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l-1), M_(l+1), …, M_n)에 대한 조류량(F^(1)_M)이 연산될 수 있다(214). 이 경우, 수학식 3 내지 수학식 8이 이용될 수도 있다.When the current flow F^(1)_M for the remaining target lines M_1, M_2, ..., M_(k-1), M_(k+1), ..., M_n is calculated, the calculated current flow F Based on ^(1)_M), the next open line (M_l, second open line) among the remaining target lines (M_1, M_2, …, M_(k-1), M_(k+1), …, M_n) is may be determined (215, 216). Here, in the second open line M_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argest current flows among the remaining target lines M_1, M_2, ..., M_(k-1), M_(k+1), ..., M_n). It may include a maximum current 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maximum current line, M_max2). The determination process 216 of the second open line (M_l, for example, the second maximum current line (M_max2)) includes the determination process 211 of the first open line (M_k, for example, the first maximum current line (M_max1)) and It may be performed the same or some differently. That is, the second maximum current line (M_max2) with the largest current amount measured from among the remaining target lines (M_1, M_2, ..., M_(k-1), M_(k+1), ..., M_n) is opened as a second opening. The second open line M_l determined and determined as the line M_l is removed from the target line set M and added to the open line set O. Accordingly, the target line set M is, if l is greater than k, {M_1, M_2, ... , M_(k-1), M_(k+1), ... , M_(l-1), M_(l+1), ... , M_n}, and the open line set O may be updated as {O_1, O_2} (O_2=M_l).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open line M_l is opened (212), and the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open line M_l is partitioned (ie, whether isolation occurs) (213). If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power systems z11 and z12 are partitioned (NO in 213), the target line set M updated by the addition and removal of the second open line M_l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open line M_l ), the disconnection distribution element (λ_MO) is calculated again before or after determination or opening based on the updated open line set O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the second open line, using the calculated disconnection element (λ_MO) again Remaining target lines M_1, M_2, …, M_(k-1), M_(k+1), …, M_(l-1), M_(l+1), …, M_n after opening of (M_l) ) may be calculated ( 214 ) the amount of tidal current F^(1)_M. In this case, Equations 3 to 8 may be used.

이어서, 잔여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l-1), M_(l+1), …, M_n)에 대한 조류량(F^(1)_M)이 연산되면, 조류량(F^(1)_M)를 이용하여 잔여 대상 선로 잔여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l-1), M_(l+1), …, M_n) 중에서 다음으로 개방될 선로(M_m, 이하 제3 개방 선로)가 동일하게 또는 일부 변형된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215, 216). 여기서, 제3 개방 선로(M_m)도 잔여 대상 선로(M_1, M_2, …, M_(k-1), M_(k+1), …, M_(l-1), M_(l+1), …, M_n) 중에서 가장 큰 조류가 흐르는 최대 조류 선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개방 선로(M_k) 또는 제2 개방 선로(M_l)의 결정 과정(211)과 동일하게 또는 일부 상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대상 선로 집합 M과 개방 선로 집합 O는 각각 {M_1, M_2, …, M_(k-1), M_(k+1), …, M_(l-1), M_(l+1), …, M_(m-1), M_(m+1), …, M_n}과 {O_1, O_2, O_3}로 갱신될 수 있다(m은 l보다 크다고 가정함. O_3=M_m). 동일하게 제3 개방 선로(M_m)는 개방되고(212), 순차적으로 전력 계통(z1) 내의 고립 및 구획화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213). 만약 아직 고립 및 구획화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213의 아니오), 상술한 과정(214 내지 216, 212)은 계속해서 반복 수행될 수 있다.Then, the amount of current for the remaining target lines (M_1, M_2, …, M_(k-1), M_(k+1), …, M_(l-1), M_(l+1), …, M_n) When (F^(1)_M) is calculated, the remaining target line using the current amount F^(1)_M) The remaining target line (M_1, M_2, ..., M_(k-1), M_(k+1) ( 215, 216). Here, the third open line M_m is also the remaining target lines M_1, M_2, ..., M_(k-1), M_(k+1), ..., M_(l-1), M_(l+1), . can be In this process, the target line set M and the open line set O are {M_1, M_2, … , M_(k-1), M_(k+1), ... , M_(l-1), M_(l+1), ... , M_(m-1), M_(m+1), ... , M_n} and {O_1, O_2, O_3} (assuming m is greater than l. O_3 = M_m). Similarly, the third open line M_m is opened (212), and it may be sequentially determined whether isolation and partitioning within the power system z1 are (21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solation and compartmentalization have not yet been performed (No of 213),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214 to 216 and 212 may be repeatedly performed continuously.

반대로 적어도 하나의 하위 전력 계통이 구획화되었다면(213의 예), 고립된 구역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계통(z11, z12, z12-1 내지 12-3)에 대한 구획화가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위의 전력 계통(z1) 또는 보다 하위의 전력 계통(z11, z12, z12-1 내지 z12-3) 등에 대한 구획화 과정(200, 240)을 종료할 수 있다(217).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구획화에 따른 구획된 전력 계통의 개수가 구획 목표 개수(Nc)보다 작다면 구획화된 전력 계통(일례로 차상위 전력 계통(z11, z12), 차차상위 전력 계통(z12-1 내지 z12-3) 및/또는 차차상위 전력 계통(z12-1 내지 z12-3)의 하위 전력 계통(들) 등)에 대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획화가 반복 수행될 수 있다(300, 400). 이에 따라 초기의 스냅샷(snapshot) 데이터만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력 계통(z1)에 대한 구획화가 수행될 수 있게 되어, 반복적인 선로 개방 및 조류 연산 과정 수행이 불필요하게 된다.Conversely, if at least one sub-power system is partitioned (Yes of 213), the isolated zone is partitioned for the power systems (z11, z12, z12-1 to 12-3) as shown in FIG. 2 or FIG. 3 .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d the partitioning process 200 and 240 for the upper power system z1 or the lower power system z11, z12, z12-1 to z12-3, etc. may be terminated (217).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if the number of partitioned power systems according to the partitioning is smaller than the target partitioning number Nc, the partitioned power systems (for example, the next higher power system (z11, z12), the next higher power system (z12-1) to z12-3) and/or the subordinate power system(s) of the next higher power system (z12-1 to z12-3), etc., the compartmentalization as shown in FIG. 5 may be repeatedly performed (300, 400). ). Accordingly, the division of the power system z1 as shown in FIGS. 3 and 4 can be performed only by using only the initial snapshot data, so that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open the line and perform the tidal current calculation process. becomes unnecessary.

도 6은 확률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확률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링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이고, 도 8은 확률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링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이다. 도 9는 90% 확률 기반으로 수행된 클러스터링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70% 확률 기반으로 수행된 클러스터링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50% 확률 기반으로 수행된 클러스터링 결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6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lustering based on probability. FIG. 7 is a first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robability-based clustering process, and FIG. 8 is a second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robability-based clustering process. 9 shows an example of a clustering result performed based on a 90% probability, and FIG. 10 shows an example of a clustering result performed based on a 70% probability. 11 shows an example of a clustering result performed based on a 50% probability.

상술한 구획화 결과는 시스템 시나리오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다수의 재생에너지원(RES: Renewable Energy Source)의 마련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이에 따른 불확실성은 증가하게 된다. 이의 해소를 위해 상술한 전력 계통(z1)의 구획화는 확률론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목표로 하는 구획 목표 개수(Nc)에 따라 반복적으로 전력 계통(z1)에 대한 구획화를 수행하되, 모선 간의 결집 확률(p_c)에 따라 이러한 구획화를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artitioning result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a system scenario. These changes are particularly greatly affected by the availability of a number of Renewable Energy Sources (RES), and uncertainty increases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bove-described partitioning of the power system z1 may be performed probabilist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division of the power system z1 is repeated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target number of divisions (Nc), but such division is stopped according to the clustering probability (p_c) between the busbars. can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먼저 랜덤 샘플링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z1)에 대해 서로 상이한 방법으로 다수의 구획화가 수행될 수 있다(610).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구획화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법(MCS: Monte-Carlo simulation)을 채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법은 반복적으로 무작위로 난수를 추출하고(랜덤 샘플링), 이를 기반으로 문제에 대한 대략적인 해답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러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법은, 전기 에너지의 생산이 가변적인 발전원(예를 들어, 풍력 발전소나 태양열 발전소 등)이나 그 이용이 가변적인 부하(예를 들어, 댁내 가전기기 등) 등과 같이 확률적으로 표현 가능한 요소(들)는 전력 계통(z1)에 적용될 수 있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법의 적용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력 계통 구획화 결과(z2 내지 zh)가 획득될 수 있다. 각각의 전력 계통 구획화 결과(z2 내지 zh)는 전부 또는 일부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 first, a plurality of partitioning may be performed with different methods for at least one power system z1 based on random sampling ( 6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partitioning may be performed by employing a Monte-Carlo simulation (MCS). The Monte Carlo simulation technique is a method for repeatedly extracting random numbers (random sampling) and obtaining approximate solutions to the problem based on this. This Monte Carlo simulation technique is expressed probabilistically, such as a power source (eg, a wind power plant or a solar power plant, etc.) in which the production of electrical energy is variable or a load (eg, home appliances, etc.) whose use is variable. The possible element(s) may be applied to the power grid z1.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Monte Carlo simulation technique, as shown in FIG. 7 , a plurality of power system partitioning results (z2 to zh) may be obtained. Each power system partitioning result (z2 to zh) may be entirely or parti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력 계통(z2 내지 zh) 구획화 결과에 대한 결합 확률(P)가 획득될 수 있다(620). 결합 확률(P)는 하기의 수학식 9과 같이 주어진 것일 수 있으며, 매트릭스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 , a combination probability P for a plurality of power systems (z2 to zh) partitioning results may be obtained ( 620 ). The coupling probability P may be given as in Equation 9 below, and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matrix.

[수학식 9][Equation 9]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여기서, p_jk는 주어진 계통(z2 내지 zh) 내에서 제j 모선 및 제k 모선이 서로 묶여 구획화될 확률(이하 결집 확률)을 의미한다. j와 k가 동일하다는 것은 동일한 어느 하나의 모선이 묶일 확률이므로 1로 정의된다.Here, p_jk means the probability that the j-th bus and the k-th bus bar are tied to each other and partitioned within a given line (z2 to z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ggregation probability). If j and k are the same, it is defined as 1 because it is the probability that any one of the same busbars is bound.

결합 확률(P)가 획득되면, 순차적으로 사전에 또는 사후에 사용자나 설계자 등의 의해 정의된 구획 확률(p_c)을 기준으로 결합 확률(P)을 이용하여 확률론적 구획화가 수행되며, 이에 따라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화된 전력 계통(zp-1 내지 zp-3)이 획득될 수 있다(630). 이 경우, 각각의 전력 계통(zp-1 내지 zp-3) 내에서 나눠진 각각의 구획(클러스터)(들)은 구획 확률(p_c)에 따라 그 형태나 크기가 상이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획 확률(p_c)이 크면 클수록 각각의 구획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획득되면서 그 구획의 특성(예를 들어, 발전단인지 또는 부하단인지 여부)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나고, 반대로 구획 확률(p_c)이 작으면 작을수록 각각의 구획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획득되고 그 구획의 특성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확률(p_c)이 90%로 결정되면, 전력 계통(zp-1)의 각각의 구획(들)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구획 확률(p_c)이 70%로 주어지면, 전력 계통(zp-2) 내의 각각의 구획(들)은 구획 확률(p_c) 90%의 구획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게 구획화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구획 확률(p_c)이 50%이면, 전력 계통(zp-3) 내의 각각의 구획(들)은 구획 확률(p_c) 90%의 구획이나 구획 확률(p_c) 70%의 구획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게 획득된다. 이 경우, 전력 계통(일례로 zp-1) 내의 일부의 모선(zp-11)은 어느 구획에도 속하지 않을 수도 있다.When the joint probability (P) is obtained, probabilistic partitioning is sequentially performed using the joint probability (P) based on the partition probability (p_c) defined by a user or a designer in advance or afterward, and,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9 to 11 , partitioned power systems zp-1 to zp-3 may be obtained ( 630 ). In this case, each partition (cluster)(s) divided within each power system zp-1 to zp-3 may be determined to have a different shape or size according to the partition probability p_c. For example, as the partition probability (p_c) increases, the size of each partition is obtained relatively small,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partition (eg, whether it is a power generation stage or a load stage) appears relatively strongly, and conversely, the partition probability As (p_c) is smaller, the size of each section is obtained relatively large,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section is relatively weak.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f the partition probability p_c is determined to be 90% as shown in FIG. 9 , the size of each partition(s) of the power system zp-1 is relatively small, and As shown, if the partition probability p_c is given as 70%, each partition(s) in the power system zp-2 is partition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partition with a partition probability p_c of 90%, FIG. 11 As shown in, if the partition probability (p_c) is 50%, each partition(s) in the power system zp-3 is a partition with a partition probability (p_c) of 90% or a partition with a partition probability (p_c) of 70% obtained relatively larger than In this case, some busbars zp-11 in the power system (eg zp-1) may not belong to any division.

상술한 바와 같이 획득된 각각의 구획(들)에 대하여 각각의 구획의 특성이 더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구획이 확률론적으로 발전단에 속하는지, 부하단에 속하는지 또는 발전단 및 부하단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지에 대한 검토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구획의 특성들은 각 구획 내부의 평균 발전량 및 부하량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하기의 수학식 10을 연산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A characteristic of each partition may be further determined for each partition(s) obtain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review may be further performed as to whether each section stochastically belongs to a power generation stage, to a load stage, or not to either the generation stage or the load stage. In this cas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rtmen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verage amount of power generation and load inside each compartment. This may be obtained, for example, by calculating the following Equation (10).

[수학식 10] [Equation 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수학식 10에서 P_gen,cluster는 구획 내의 평균 발전량을 의미하고, P_Load,cluster는 구획 내의 평균 부하량을 의미한다. 수학식 10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구획 내의 평균 발전량(P_gen,cluster)이 해당 구획 내의 평균 부하량(P_Load,cluster)보다 크면, 해당 구획은 발전단으로 결정되고,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획 내의 평균 발전량(P_gen,cluster)이 해당 구획 내의 평균 부하량(P_Load,cluster)보다 작으면, 해당 구획은 부하단으로 결정된다. 어느 구획 내의 평균 발전량(P_gen,cluster) 및 평균 부하량(P_Load,cluster)이 동일한 경우에는, 설계자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해당 구획은 발전단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부하단으로 결정될 수도 있으며,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확률론적 특성에 기인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정 구획은 상황이나 그 전력 계통(z1)의 조건 등에 따라 발전단에 속하기도 하고 부하단에 속하기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특정 구획은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In Equation 10, P_gen,cluster denotes the average amount of power generation in the compartment, and P_Load,cluster denotes the average load in the compartment. According to Equation 10, if the average power generation amount (P_gen,cluster) in any one section is greater than the average load amount (P_Load,cluster) in the section, the section is determined as a power generation stage, and on the contrary, the average power generation amount ( If P_gen,cluster) is less than the average load (P_Load,cluster)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the corresponding section is determined as a load end. If the average generation amount (P_gen,cluster) and the average load amount (P_Load,cluster) in a section are the same, the sec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power generation stage or the load stage, depending on the designer or user's selection, and does not belong anywhere. It may be decided not to. Due to the probabilistic characteristic, at least one specific section may belong to either the power generation stage or the load stage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the condition of the power system z1. These specific compartments may be managed separately.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은,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기계어 코드나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의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능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프로세서나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거나 또는 기록될 수도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롬,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은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콤팩트 디스크나 디브이디 등과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 등과 같은 자기-광 기록 매체 및 자기 테이프 등 컴퓨터 등의 호출에 따라 실행되는 특정 프로그램을 저장 가능한 적어도 한 종류의 물리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that can be driven by a computer device. Here, the progra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and data structures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may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using machine code or high-level language code. The program may be specially designed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functions or definitions that ar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In addition, the computer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rocessor or memory for realizing a function of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is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r may be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for example, a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such as a solid state drive (SSD), a ROM, a RAM or a flash memory, a magnetic disk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or a floppy disk, a compact disk or a DVD, etc.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physical device capable of storing a specific program executed in response to a call from a computer, such as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

도 12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ower system clustering apparatus.

도 1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부(101), 출력부(102), 저장부(105) 및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1), 출력부(102), 저장부(105) 및 프로세서(110) 중 적어도 둘은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상호 간에 또는 일방으로 데이터나 명령/지시 등을 전송할 수 있게 마련된다.12 , the power system cluster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101 , an output unit 102 , a storage unit 105 , and a processor 1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two of the input unit 101 , the output unit 102 , the storage unit 105 , and the processor 110 are provided to transmit data, commands/instructions, etc. to each other or to one side based on an electrical signal.

입력부(101)는, 전력 계통(z1, z11, z12, z12-1 내지 z12-3) 내의 각각의 선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의 선로에 흐르는 조류량에 대한 측정 결과나 각각의 선로의 개방 여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조류량에 대한 측정 결과나 개방 여부는 각각의 선로에 설치된 센서 등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1)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나 설계자의 조작에 의해 또는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미도시)로부터 명령/지시,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앱이나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표현 가능함) 등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입력부(101)의 수신 결과는 프로세서(110)나 저장부(105)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부(101)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100)와 일체형으로 마련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입력부(101)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태블릿,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트랙볼, 트랙패드, 스캐너 장치, 영상 촬영 모듈, 동작 감지 센서, 감압 센서, 근접 센서, 마이크로 폰,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일례로 휴대용 메모리 장치 등)로부터 데이터 등의 수신이 가능한 데이터 입출력 단자 및/또는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서버 장치 등)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통신 모듈(일례로 랜카드,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input unit 101 may receive information on each line in the power system z1, z11, z12, z12-1 to z12-3, and, for example,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each lin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result or whether each line is open or not.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urrent amount or whether it is open may be data acquired by a sensor installed on each track. In addition, the input unit 101 receives commands/instructions, data and/or programs (which can be expressed as apps, applications, etc.), etc., by manipulation of a user or a designer or from another external electronic device (not shown) as needed. may be The reception result of the input unit 101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10 or the storage unit 105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put unit 101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100 or may be provided to be physically separable. The input unit 101 may be, for example, a keyboard, a mouse, a tablet, a touch screen, a touch pad, a trackball, a trackpad, a scanner device, an image capturing module, a motion detection sensor, a pressure sensor, a proximity sensor, a microphone, and another external device. A data input/output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data from an electronic device (eg, a portable memory device, etc.) and/or 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another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server device, etc.)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As an example, it may include a LAN car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출력부(102)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된 하나 이상의 전력 계통(z1)에 대한 구획화 결과 등과 같이 사용자나 설계자가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외부로 출력하거나 및/또는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로 이와 같은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전력 계통(z1)에 대한 구획화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z1)의 발전원(G1 내지 G10 등)이나 모선(1 내지 38) 등을 제어나 관리에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102)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100)와 일체형으로 마련된 것일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출력부(102)는,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모니터 장치나 디지털 텔레비전 등), 프린터 장치, 스피커 장치, 영상 출력 단자, 데이터 입출력 단자 및/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utput unit 102, for example, outputs information required by a user or a designer, such as a segmentation result for one or more power systems z1 processed by the processor 110 to the outside, visually or audibly, and / Alternatively, such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other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receives the segmentation result for one or more power systems z1, and receives the results from the power generation sources (G1 to G10, etc.) or busbars (1 to 38) of at least one power system z1. ) can also be used for control or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utput unit 102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100 or may be provided to be physically separable. The output unit 102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device or a digital television), a printer device, a speaker device, an image output terminal, a data input/output terminal, and/or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저장부(105)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체적인 전력 계통(z1)에 관한 정보, 전력 계통(z1) 내의 적어도 하나의 발전원(G1 내지 G10)에 관한 정보, 전력 계통(z1) 내의 적어도 하나의 모선(1 내지 38)에 관한 정보, 전력 계통(z1) 내의 각각의 선로에 관한 정보, 각각의 선로에 흐르는 조류량에 대한 측정 결과, 각각의 선로의 개방 여부, 구획 계수(Nc), 프로세서(110)에 의한 구획화 과정에서 계산된 각종 연산 결과, 구획화된 전력 계통(z1, z11, z12, z12-1 내지 z12-3, z2 내지 코 등) 및/또는 결합 확률(P) 등을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5)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설계자에 의해 직접 작성 또는 수정된 것일 수도 있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전자 소프트웨어 유통망을 통하여 획득 또는 갱신된 것일 수도 있다. 저장부(105)는 프로세서(110)의 호출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10)에 제공하고, 프로세서(110)로부터 연산 결과(예를 들어, 구획화 결과 등)을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5)는, 예를 들어, 주기억장치 및 보조기억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05 may temporarily or non-temporarily store data or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ower system clustering apparatus 100 . Here, the data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overall power system z1,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power generation source G1 to G10 in the power system z1, and at least one busbar 1 in the power system z1. to 38), information about each line in the power system z1, the measurement result for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 each line, whether each line is open, the division coefficient Nc, and the processor 110 Temporarily or non-temporarily store various calculation results calculated in the partitioning process by can 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5 may be directly written or modified by a designer, or acquired or updated through an electronic software distribution network accessibl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torage unit 105 may provide necessary data or a program to the processor 110 according to a call of the processor 110 , and may receive and store an operation result (eg, a partitioning result, etc.) from the processor 110 . The storage unit 105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main memory device and an auxiliary memory device.

프로세서(110)는, 주어진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z1 등)에 대한 구획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전력 계통(z1 등)에 대한 구획화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주어진 전력 계통, 일례로 가장 넓은 범위의 전력 계통(z1)에 대해 구획화를 수행하고, 획득된 구획들이 미리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 등에 의해 수동적으로 설정된 구획 목표 개수보다 크거나 동일한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각각의 상대적 하위 구획들(일례로 차상위 전력 계통)에 대한 구획화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더 수행하거나 또는 구획화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전력 계통의 구획화를 위해서 전력 계통(z1) 내의 대상 선로(M_1 내지 M_n)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1 개방 선로(M_k, 일례로 제1 최대 조류 선로)를 선택하고, 제1 개방 선로의 실제적 또는 가상적 개방에 따라 구획화(즉, 고립)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실제로 구획화가 발생된 경우에는 구획화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엔 잔여 대상 선로에 대한 조류량을 연산하고, 잔여 대상 선로 중에서 다음 개방 선로(M_l, 일례로 제2 개방 선로)를 결정 후, 다시 구획화 발생 여부를 반복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과정을 구획화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10)는, 잔여 대상 선로에 대한 조류량의 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선 분산 요소(λ_MO)를 이용하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수학식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선 분산 요소(λ_MO)가 가중된 개방 전 개방 선로(F^(0)_O)의 조류량을 개방 전의 조류량(F^(0)_M)과 합산하여 잔여 대상 선로에 대한 조류량의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법 등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z1)에 대해 서로 상이한 방법으로 다수의 구획화를 수행하고, 다수의 전력 계통(z2 내지 zh) 구획화 결과에 대한 결합 확률(P)을 획득한 후, 사용자나 설계자 등의 의해 정의된 구획 확률(p_c)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z1)에 대한 구획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프로세서(110)는 필요에 따라 각 구획에 대해 특성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의 구획을 발전단, 부하단 또는 기타로 분류할 수도 있다. 상술한 프로세서(110)는 저장부(10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이와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om, Micro Processo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ling Unit) 및/또는 각종 연산 처리 및 제어 신호의 생성이 가능한 다른 전자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장치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The processor 110 may perform partitioning on at least one given power system (z1, etc.), and may perform partitioning on a plurality of power systems (z1, etc.)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if necessary. For example, the processor 110 performs partitioning for a given power system, for example, the widest range of the power system z1, and the obtained partitions are larger than the target number of partitions set automatically or manually by a user in advance. or whether they are the same, and sequentially repeating compartmentalization for each relative subdivision (eg, the next higher power system)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may be further performed or segmentation may be terminated. 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selects one or more first open lines (M_k, for example, the first maximum current line) from among the target lines M_1 to M_n in the power system z1 for partitioning the power system, and the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compartmentalization (i.e., isolation) has occurred according to the actual or virtual opening of the open track, and if compartmentalization has actually occurred, the division is terminated. After determining the next open line (M_l, for example, the second open line) among the lines, it is also possible to repeatedly determine whether segmentation occurs. The processor 110 may repeat the above-described process until partition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10 may use the single line dispersion element λ_MO to perform the calculation of the current amount for the remaining target line. For example, the processor 110 calculates the current amount of the open line before opening F^(0)_O to which the disconnection distribution element λ_MO is weighted as described in Equation 3, the current amount before opening F^(0) )_M) to calculate the current amount for the remaining target line.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10 performs a plurality of partitioning methods in different ways for at least one power system z1 using a Monte Carlo simulation technique, etc., and partitions the plurality of power systems z2 to zh. After obtaining the combination probability P for the result, partitioning may be performed on at least one power system z1 based on the partition probability p_c defined by a user or designer.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processor 110 may determine a characteristic for each compartment as needed, for example, may classify each compartment into a power generation stage, a load stage, or the like. The above-described processor 110 may execute 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5 to perform such oper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10,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 micro controller unit (MCU, Micro Controller Unit), a microcomputer (Micom, Micro Processo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 Application Processor),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Electronic Controlling Unit), and/or other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processing various calculations and generating control signals. These devices may be implemented using, for example, one or two or more semiconductor chips.

상술한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서버용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스마트 시계,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휴대용 게임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텔레비전, 셋 톱 박스, 인공 지능 음향 재생 장치(인공 지능 스피커), 가전 기기(냉장고 또는 세탁기 등), 유인 이동체(승용차, 버스나 이륜차 등의 차량 등), 무인 이동체(로봇 청소기 등), 유인 비행체, 무인 비행체(드론 등), 가정용 또는 산업용 로봇 또는 산업용 기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계자나 사용자 등은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서 상술한 장치 이외에도 정보의 연산 처리 및 제어가 다양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상술한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100)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10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둘 이상의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둘 이상의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100)를 구현하는 경우, 각각의 전자 장치는 서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전자 장치는 동일한 전력 계통(z1)에 대해서 서로 상이하게 랜덤 샘플링 결과를 기반으로 구획화를 수행하여 서로 상이한 전력 계통 구획화 결과(z2 내지 zh)를 획득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100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server computer, a smart phone, a tablet PC, a smart watch,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a navigation device, a portable device Game consol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digital televisions, set-top boxes, artificial intelligence sound reproduction devices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home appliances (refrigerators or washing machines, etc.), manned vehicles (cars, buses, motorcycles, etc.) vehicle, etc.), an unmanned moving object (robot cleaner, etc.), a manned air vehicle, an unmanned air vehicle (drone, etc.), a household or industrial robot, or an industrial mach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designer, a user, or the like, may consider at least one of devices capable of processing and controlling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as the above-described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100 according to circumstances or conditions.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ower system clustering apparatus 100 may be physically implemented using one electronic device, or may be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physically separated electronic devices. When the power system clustering apparatus 100 is implemented using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each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 or different operations. For example, each electronic device may obtain different power system partitioning results z2 to zh by performing partitioning on the same power system z1 based on different random sampling results.

이상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는 오직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수정 및 변형하여 구현 가능한 다양한 전력 계통,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나 방법 역시 상술한 방법 및 장치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 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또는 치환되더라도 상술한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apparatu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apparatu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Various power systems and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s or method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y modifying and modifying based 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also be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and devices.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ven if it is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it may be an embodiment of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and apparatus described above.

100: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 101: 입력부
102: 출력부 105: 저장부
110: 프로세서
100: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101: input unit
102: output unit 105: storage unit
110: processor

Claims (15)

전력 계통 내의 복수의 대상 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개방 선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방 선로가 개방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방 선로의 개방에 따라 전력 계통의 구획화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만약 상기 전력 계통이 구획화되지 않았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선로 이외의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에 대한 조류량이 획득되는 단계;
상기 조류량을 기반으로 상기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개방 선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발 선로가 개방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발 선로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력 계통의 구획화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selecting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among a plurality of target lines in the power system;
opening the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determining whether to partition the power system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if the power system is not partitioned, obtaining a current quantity for a plurality of remaining target lines other than the at least one open line;
selecting at least one second open lin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maining target lines based on the flow rate;
opening the at least one second development line;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o partition the power system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at least one second development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 선로는, 상기 복수의 대상 선로 중에서 전력 조류가 최대인 제1 최대 조류 선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개방 선로는, 상기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 중에서 전력 조류가 최대인 제2 최대 조류 선로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open line includes a first maximum current line having a maximum power flow among the plurality of target lines, or
The second open line includes a second maximum current line having a maximum power flow among the plurality of remaining target li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선로 이외의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에 대한 조류량이 획득되는 단계는,
상기 제1 개방 선로에 대한 상기 제1 개방 선로 개방 전의 조류량 및 상기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에 대한 제1 개방 선로 개방 전의 조류량의 합산을 연산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선로 이외의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에 대한 조류량이 획득되되, 상기 제1 개방 선로에 대한 상기 제1 개방 선로 개방 전의 조류량에는 단선 분산 요소가 가중된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cquiring a current quantity for a plurality of remaining target lines other than the at least one open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other than the at least one open lin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sum of the current amount before the first open line opening for the first open line and the current amount before the first open line opening for the other plurality of remaining target lines. 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comprising: obtaining a current flow rate for the remaining target line, and adding a disconnection distribution factor to the current flow amount before the first open line open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open l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 분산 요소는 상기 제1 개방 선로의 개방 시의 다른 잔여 대상 선로의 조류 변화량 및 상기 제1 개방 선로의 개방 시의 다른 개방 선로의 조류 변화량을 기반으로 연산된 것인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connection distribution element is a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that is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urrent of the other remaining target line when the first open line is opened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urrent of the other open line when the first open line is op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계통이 구획화된 경우, 구획의 개수와 구획 목표 개수가 상호 비교되는 단계; 및
구획의 개수가 구획 목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한 하위 전력 계통에 대한 구획화를 더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ower system is partitioned, comparing the number of partitions with the target number of partitions; and
When the number of partitions is smaller than the target number of partitions, the step of further partitioning the lower power system with respect to the power system;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해서 상이한 다수의 구획화가 더 수행되는 단계;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한 다수의 구획화 결과에 대한 결합 확률이 획득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구획 확률을 기준으로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한 확률론적 구획화가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perform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mpartmentalizations for the power grid;
obtaining a coupling probability for a plurality of partitioning results for the power system; and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the probabilistic partitioning of the power system based on the partition probability using the combination probability.
제6항에 있어서,
확률론적 구획화 결과에 따른 구획 각각의 특성이 판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ower system cluste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obabilistic partitioning result.
전력 계통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전력 계통 내의 복수의 대상 선로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개방 선로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방 선로의 개방에 따라 전력 계통의 구획화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상기 전력 계통이 구획화되지 않았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선로 이외의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에 대한 조류량을 획득하고, 상기 조류량을 기반으로 상기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개방 선로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개발 선로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력 계통의 구획화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power system; and
Selecting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among a plurality of target lines in the power system, determining whether to partition the power system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at least one first open line, and if the power system is not partitioned, obtaining a current quantity of a plurality of remaining target lines other than the at least one open line, selecting at least one second open line from among the other plurality of remaining target lines based on the current quantity, and the at least one A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comprising a; a proces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ower system is divided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second development line o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 선로는, 상기 복수의 대상 선로 중에서 전력 조류가 최대인 제1 최대 조류 선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개방 선로는, 상기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 중에서 전력 조류가 최대인 제2 최대 조류 선로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open line includes a first maximum current line having a maximum power flow among the plurality of target lines, or
The second open line, the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maximum current line having a maximum power flow among the plurality of remaining target lin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개방 선로에 대한 상기 제1 개방 선로 개방 전의 조류량 및 상기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에 대한 제1 개방 선로 개방 전의 조류량의 합산을 연산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 선로 이외의 다른 복수의 잔여 대상 선로에 대한 조류량을 획득하되, 상기 제1 개방 선로에 대한 상기 제1 개방 선로 개방 전의 조류량에는 단선 분산 요소가 가중된 것인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calculate a sum of the current amount before the first open line open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open line and the current amount before the first open line opening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other remaining target lines other than the at least one open line. A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in which a current flow rate for a plurality of remaining target lines of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개방 선로의 개방 시의 다른 잔여 대상 선로의 조류 변화량 및 상기 제1 개방 선로의 개방 시의 다른 개방 선로의 조류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단선 분산 요소를 연산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or is a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for calculating the disconnection distribution element based on a change amount of a current of another target line when the first open line is opened and a change amount of a current of another open line when the first open line is opened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만약 상기 전력 계통이 구획화되었다면, 구획의 개수와 구획 목표 개수를 상호 비교하고, 구획의 개수가 구획 목표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한 하위 전력 계통에 대한 구획화를 더 수행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if the power system is partitioned, compares the number of partitions with the target number of partitions, and when the number of partitions is smaller than the target number of partitions, further partitioning the lower power system for the power system Power grid cluster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해서 상이한 다수의 구획화를 더 수행하고,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한 다수의 구획화 결과에 대한 결합 확률을 획득하고, 상기 결합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구획 확률을 기준으로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한 확률론적 구획화를 수행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further performs a plurality of different partitioning for the power system, obtains a combination probability for a plurality of partitioning results for the power system, and uses the combination probability to the power system based on the partition probability. A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that performs stochastic compartmentalization fo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확률론적 구획화 결과에 따른 구획 각각의 특성을 판단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ocessor is a power system clustering device for determining a characteristic of each partition according to a probabilistic partitioning result.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계통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다수의 구획화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한 다수의 구획화 결과에 대한 결합 확률이 획득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확률을 이용하여 구획 확률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한 확률론적 구획화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계통 클러스터링 방법.
performi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mpartmentalizations for at least one power grid;
obtaining a coupling probability for a plurality of partitioning results for the power system; and
and performing probabilistic partitioning on the power grid based on partition probability using the combination probability.
KR1020210020810A 2021-02-17 2021-02-17 Pow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of power system KR102507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10A KR102507185B1 (en) 2021-02-17 2021-02-17 Pow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of pow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10A KR102507185B1 (en) 2021-02-17 2021-02-17 Pow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of pow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432A true KR20220117432A (en) 2022-08-24
KR102507185B1 KR102507185B1 (en) 2023-03-07

Family

ID=8311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810A KR102507185B1 (en) 2021-02-17 2021-02-17 Pow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of pow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18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954B1 (en) * 2011-11-23 2013-05-3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of outage
KR20140026119A (en) * 2012-08-24 2014-03-05 한국전력거래소 Apparatus and method for outage management in power system
KR20140086278A (en) * 2012-12-28 2014-07-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 method for controling distributed generators
KR20190137429A (en) * 2018-06-01 2019-12-11 한국전력공사 System and method for hierarchical visualization of powe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954B1 (en) * 2011-11-23 2013-05-3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of outage
KR20140026119A (en) * 2012-08-24 2014-03-05 한국전력거래소 Apparatus and method for outage management in power system
KR20140086278A (en) * 2012-12-28 2014-07-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 method for controling distributed generators
KR20190137429A (en) * 2018-06-01 2019-12-11 한국전력공사 System and method for hierarchical visualization of pow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185B1 (en)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8067A1 (en) Configuration and parameterization of energy control system
US116690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ystem settings for an industrial system
JP6881428B2 (en) Learning device, estimation device, learning method, estimation method, learning program, and estimation program
CN112633316B (en) Load predi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boundary estimation theory
Li et al. An intelligent transient stability assessment framework with continual learning ability
CN102624865B (en) Cluster load prediction method and distributed cluster management system
JP7161268B2 (en) Quantifying the combined impact of interdependent and uncertain resources within the power grid
Jiang et al. Short-term load forecasting based automatic distribution network reconfiguration
CN108830451B (en) Aggregation potential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er-side distributed energy storage
CN112329997A (en) Power demand load prediction method and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2801374B (en) Model training method, power load predic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WO2024060521A1 (en) Calculation method for schedulable potential of active load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Raju et al. IoT based demand side management using arduino and MATLAB
KR102507185B1 (en) Powe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lustering of power system
KR102542058B1 (en) Method and system of predicting and managing of probabilistic solar power generation
JP2016005347A (en) Facility scale estimation device, facility scale estimation method and facility scale estimation program
CN116523001A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equipment for constructing weak line identification model of power grid
CN113608434A (en) Heterogeneous energy flow linkage optimization platform of comprehensive energy system
CN112560325A (en) Prediction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battery swapping service
KR102602600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onotoring area for embedded hvdc
CN113408837B (en) Energy utilization control strategy generation method, system, device, energy distribution system and medium
CN114650190B (en) Energy-saving method, system,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data center network
WO2024096041A1 (en) A collaborative resilient grid response framework considering der uncertainties and dynamics
Akbari et al. A scenario-based robust distribution expansion planning under ellipsoidal uncertainty set using second-order cone programming
WO20230743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