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393A - Window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ndow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393A
KR20220117393A KR1020210020263A KR20210020263A KR20220117393A KR 20220117393 A KR20220117393 A KR 20220117393A KR 1020210020263 A KR1020210020263 A KR 1020210020263A KR 20210020263 A KR20210020263 A KR 20210020263A KR 20220117393 A KR20220117393 A KR 20220117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temperature
adhesive
window memb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대근
구본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0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393A/en
Priority to CN202111610197.7A priority patent/CN114944107A/en
Publication of KR20220117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3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2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32B38/1833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01L51/5237
    • H01L51/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9/00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 B32B2379/08Polyim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 window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a preliminary window including a window member, a first protection member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in a first state,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window member and the first protection member to attach the first protection member to the window member;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window member and the first protection member; and a bonding step of attaching a second protection member on the separated window member in a second state. The adhesion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is removed at the first temperature, and the first separation step includes a step of heating the preliminary window to the first temperature. If a protection member is erroneously attached to a window member, the protection member can be removed and reattached.

Description

윈도우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WINDOW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SAME}Window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 보호 필름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윈도우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capable of reducing defects of a window protection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휴대폰과 같은 표시 장치는 윈도우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윈도우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이고, 외부 충격에 취약하다. 최근 폴더블(foldable) 제품 출시에 따라 윈도우의 두께는 얇아진다. 이런 얇은 윈도우는 외부 충격에 극도로 취약하기 때문에 보호 필름과 같은 보호 부재로 표면을 커버하여야 한다. 이런 필요성 때문에 표시 장치의 제작 과정에서는 윈도우 상에 보호 필름을 부착시킨다.A display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includes a window and a display panel. The window is made of glass or plastic and is vulnerable to external impact. With the recent launch of foldable products, the thickness of the window becomes thinner. Since such a thin window is extremely vulnerable to external impact, the surface must be covered with a protective member such as a protective film. Due to this necessity, a protective film is attached to the window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윈도우 부재 상에 보호 부재를 잘못 부착시킨 경우 제거하고 다시 부착시킬 수 있는 윈도우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that can be removed and reattached when a protection member is incorrectly attached to a window memb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들 중에서, 윈도우 제조 방법은 윈도우 부재, 상기 윈도우 부재 상에 제1 상태로 부착된 제1 보호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제1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호 부재를 상기 윈도우 부재에 부착시키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예비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제1 보호 부재를 분리시키는 제1 분리 단계 및 분리된 상기 윈도우 부재 상에 제2 보호 부재를 제2 상태로 부착시키는 합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재는 제1 온도에서 점착력이 제거되고, 상기 제1 분리 단계는 상기 예비 윈도우를 상기 제1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includes a window member, a first protective member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in a first state, and a first protect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window member and the first protective member to secure the first protective member to the window. providing a preliminary window including an adhesive member attached to the member;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window member and the first protection member; and attaching a second protection member on the separated window member in a second state and a bonding step to remove the adhesive force from the adhesive member at a first temperature, and the first separating step includes heating the preliminary window to the first temperature.

상기 윈도우 부재는 박막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member may include thin glass.

상기 윈도우 부재는 폴리 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member may include polyimide (PI).

상기 제1 온도는 4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may be 40 degrees to 60 degrees.

상기 예비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분리 단계 사이에, 상기 제1 보호 부재가 부착된 상기 윈도우 부재의 일면의 반대면 상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는 제2 온도에서 점착력이 제거되는 열반응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Between the step of providing the preliminary window and the first separation step,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ttaching an adhesive tape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window member to which the first protection member is attached, wherein the adhesive tape is 2 It may include a thermally reactive tape in which the adhesive force is removed at a temperature.

상기 제2 온도는 75도 이상일 수 있다.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75 degrees or more.

제1 분리 단계와 상기 합착 단계 사이에 상기 윈도우 부재로부터 상기 점착 테이프를 분리시키는 제2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dhesive tape from the window member between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the bonding step.

상기 제2 분리 단계는 상기 점착 테이프를 상기 제2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eparating may include heating the adhesive tape to the second temperature.

상기 제2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윈도우 부재를 세척하는 세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washing step of washing the window member after the second separation step.

상기 합착 단계는 상기 제1 온도에서 점착력을 상실하는 점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보호 부재를 상기 윈도우 부재 상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nding step may include attaching the second protection member on the window member through an adhesive member that loses adhesive force at the first temperature.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제2 온도보다 작을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may be less than the second temperature.

상기 제1 상태는 서로 다른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상태들과 상기 제2 상태는 다를 수 있다.A plurality of different first state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first states and the second stat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실시예들 중에서,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윈도우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 상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를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 부재, 상기 윈도우 부재 상에 제1 상태로 부착된 제1 보호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제1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호 부재를 상기 윈도우 부재에 부착시키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예비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제1 보호 부재를 분리시키는 제1 분리 단계 및 분리된 상기 윈도우 부재 상에 제2 보호 부재를 제2 상태로 부착시키는 합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재는 제1 온도에서 점착력이 제거되고, 상기 제1 분리 단계는 상기 예비 윈도우를 상기 제1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example embodiment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may include providing a display panel, providing a window including a window member and a prot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window member on the display panel, and providing the window to the display panel. attaching, wherein providing the window comprises forming the window, wherein forming the window comprises: the window member, a first protection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in a first state providing a preliminary window comprising a member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window member and the first protection member to attach the first protection member to the window member, the window member and the first protection member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and a bonding step of attaching a second protection member on the separated window member in a second state, wherein the adhesive force is removed from the adhesive member at a first temperature, and the first separation step includes: and heating the preliminary window to the first temperature.

상기 윈도우 부재는 박막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member may include thin glass.

상기 제1 온도는 4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may be 40 degrees to 60 degrees.

상기 예비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분리 단계 사이에, 상기 제1 보호 부재가 부착된 상기 윈도우 부재의 일면의 반대면 상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는 제2 온도에서 점착력이 제거되는 열반응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Between the step of providing the preliminary window and the first separation step,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ttaching an adhesive tape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window member to which the first protection member is attached, wherein the adhesive tape is 2 It may include a thermally reactive tape in which the adhesive force is removed at a temperature.

상기 제2 온도는 75도 이상일 수 있다.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75 degrees or more.

제1 분리 단계와 상기 합착 단계 사이에 상기 윈도우 부재로부터 상기 점착 테이프를 분리시키는 제2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dhesive tape from the window member between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the bonding step.

상기 제2 분리 단계는 상기 점착 테이프를 상기 제2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eparating may include heating the adhesive tape to the second temperature.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제2 온도보다 작을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may be less than the second temper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표시 패널에 제공하기 전에 윈도우 제조 단계에서 윈도우 부재 상에 잘못 부착된 보호 부재를 제거하고 다시 부착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member incorrectly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may be removed and reattached in the window manufacturing step before being provided to the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1 폴딩축에 따라 인-폴딩(In-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1 폴딩축에 따라 아웃-폴딩(Out-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아웃-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온도에 따른 점착 부재 및 점착 테이프 각각의 점착력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FIG. 1 is in-folded along a first folding axis.
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FIG. 1 is out-folded along a first folding axis.
FIG.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FIG. 1 is in-folded along a second folding axis;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FIG. 1 is out-folded along a second folding axis.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A to 5E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A and 7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adhesive strength of an adhesive member and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temperature.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or region, layer, part, etc.) is referred to as “on”,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disposed/on the 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be connected/coupled or a third component can be placed between them.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icknesses, ratios, and dimensions of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at the associated elements may defin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below”, “bottom”, “above”, and “upper side” a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above terms are relative concepts, and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irec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 or step.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unless they ar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they are explicitly defined herein do.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단변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표시 장치(DD)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표시 장치(DD)가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isplay device DD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short side in a first direction DR1 and a long side in a second direction DR2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R1 . However, the shape of the display device DD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apes of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provided.

표시 장치(DD)는 폴더블 전자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폴딩축(FX1, FX2)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하, 폴딩되지 않고 플랫한 상태를 제1 상태(즉, 비폴딩 상태)로 정의하고, 폴딩축(FX1, FX2)을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를 제2 상태(즉, 폴딩 상태)로 정의한다. 폴딩축(FX1, FX2)은 표시 장치(DD)가 폴딩될 때 발생하는 회전축으로써 표시 장치(DD)의 기구 구조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DD may be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lded based on the folding axes FX1 and FX2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Hereinafter, a flat state without being folded is defined as a first state (ie, a non-folding state), and a folded state based on the folding axes FX1 and FX2 is defined as a second state (ie, a folding state). The folding axes FX1 and FX2 are rotation axes generated when the display device DD is folded, and may be formed by a mechanical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DD.

폴딩축(FX1, FX2)은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폴딩축을 제1 폴딩축(FX1)으로 정의하고,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폴딩축을 제2 폴딩축(FX2)으로 정의한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및 제2 폴딩축(FX1, FX2) 중 어느 하나의 폴딩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는 제1 및 제2 폴딩축(FX1, FX2) 중 어느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The folding axes FX1 and FX2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axi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is defined as the first folding axis FX1 , and the folding axi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defined as the second folding axis FX2 . do. The display device DD may includ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axes FX1 and FX2. That is,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folded bas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axes FX1 and FX2.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표시 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중소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arge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r a monitor, or a small or medium display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tablet, a car navigation system, and a game machine. Of course, these are presented only as examples, and may be employed in other electronic devic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은 표시 장치(DD)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 the display device DD displays the image IM in the third direction DR3 on the display surface IS parallel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R1 and DR2 . can be displayed The display surface IS on which the image IM is displayed may correspon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DD.

표시 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표시면(IS)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될 수 있다.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display device DD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표시 영역(D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 영역(D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한다. 표시 영역(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D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비표시 영역(ND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일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play area DA may be an area in which the image IM is displayed, and the user recognizes the image IM through the display area DA. The display area DA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non-display area NDA may surround the display area DA.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display area DA may be substantially defined by the non-display area NDA. However, this is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and the non-display area ND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ly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DA, or may be omitted. Th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embodiments,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영역으로, 영상(IM)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에 의해 표시 장치(DD)의 베젤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The non-display area NDA is an area adjacent to the display area DA and is an area in which the image IM is not displayed. A bezel area of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defined by the non-display area NDA.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TC)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TC)은 전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손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TC)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표시 장치(DD)는 표시 장치(DD)의 구조에 따라 표시 장치(DD)의 측면이나 배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nse the user's input TC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user's input TC includes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s, such as a part of the user's body, light, heat, or pressure. In this embodiment, the user's input TC is shown as the user's hand applied to the front. However, this is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and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input TC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DD. ) may sense the user's input TC applied to the side or back sid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표시 장치(DD)는 표시면(IS)을 활성화시켜 영상(IM)을 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하는 영역은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하는 영역은 비표시 영역(NDA)에 제공되거나, 표시면(IS)의 모든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DD may activate the display surface IS to display the image IM and sense the user's input TC.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area for sensing the user's input TC is provided in the display area DA where the image IM is displayed. However, this is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and the area sensing the user's input TC may be provid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or all areas of the display surface IS.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DD)가 제1 폴딩축(FX1)에 따라 인-폴딩(In-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DD)가 제1 폴딩축(FX1)에 따라 아웃-폴딩(Out-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DD shown in FIG. 1 is in-folded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X1, and FIG. 2B is a view showing the display device DD shown in FIG. 1 . DD)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folding state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X1.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폴딩축(예를 들어, 제1 폴딩축(FX1) 또는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1 and 2A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a foldable display device. It may be folded based on a folding axis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eg, the first folding axis FX1 or the second folding axis FX2).

표시 장치(DD)에는 동작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영역들은 폴딩 영역(FA) 및 적어도 하나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두 비폴딩 영역들(NFA1, NFA2) 사이에 정의된다.A plurality of regions may be defined in th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an operation type. The plurality of areas may be divided into a folding area FA and at least one non-folding area NFA1 and NFA2. The folding area FA is defined between the two non-folding areas NFA1 and NFA2.

폴딩 영역(FA)은 제1 폴딩축(FX1)에 기초하여 폴딩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제1 폴딩축(FX1)은 제2 방향(DR2), 즉 표시 장치(DD)의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제1 폴딩축(FX1)을 따라 폴딩되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영역으로 정의된다.The folding area FA is an area that is folded based on the first folding axis FX1 and substantially forms a curvature. Here, the first folding axis FX1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at is,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DD. The folding area FA is defined as an area that is folded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X1 and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본 발명의 일 예로,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제1 방향(DR1)에서 폴딩 영역(FA)의 일측과 인접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1 방향(DR1)에서 폴딩 영역(FA)의 타측과 인접한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folding areas NFA1 and NFA2 may include a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a second non-folding area NFA2.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is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olding area FA in the first direction DR1 ,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is the other side of the folding area FA in the first direction DR1 . adjacent to

표시 장치(DD)는 인-폴딩(In-Folding) 또는 아웃-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표시면들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인-폴딩이라 정의하고, 서로 다른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표시면들이 외부를 향하도록 폴딩되는 것을 아웃-폴딩이라 정의한다.The display device DD may be in-folded or out-folded. Folding the display surfaces of the different non-folding areas NFA1 and NFA2 to face each other is defined as in-folding, and folding the display surfaces of the different non-folding areas NFA1 and NFA2 to face the outside is out-folding. define it as

여기서, 인-폴딩은 표시면(IS)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지칭하고, 아웃-폴딩은 표시 장치(DD)의 후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되는 것을 지칭한다.Here, in-folding refers to folding of the display surfaces IS to face each other, and out-folding refers to folding of the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device DD to face each other.

도 2a에 도시된 표시 장치(DD)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IS)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IS)이 마주보도록 인-폴딩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제1 폴딩축(FX1)을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표시 장치(DD)가 인-폴딩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정렬되도록 표시 장치(DD)를 인-폴딩시키기 위해서, 제1 폴딩축(FX1)은 제1 방향(DR1)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중심에 정의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DD illustrated in FIG. 2A may be in-folded so that 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face each other. As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rotates clockwise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X1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in-folded. In order to in-fold the display device DD so that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are aligned, the first folding axis FX1 is the display device in the first direction DR1 . It can be defined at the center of (DD).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아웃-폴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될 때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된 폴딩 영역(FA)의 표시면도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는 펼쳐진 상태에서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은 서로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들을 각각 표시하거나,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들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out-folded based on the first folding axis FX1 . The display device DD may display the image IM when the display surface of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are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display surface of the folding area FA exposed to the outside may also display the image IM. 1 , the display device DD may display the image IM in an unfolded state.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and the folding area FA each display images that provide information independent of each other, or separate parts of one image that provide one piece of information. Each can be displayed.

표시 장치(DD)는 인-폴딩 상태 및 아웃-폴딩 상태를 모두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되거나 인-폴딩과 아웃-폴딩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DD may be manufactured to have both an in-folding state and an out-folding state, or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ny one of an in-folding state and an out-folding state.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DD)가 제2 폴딩축(FX2)에 따라 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DD)가 제2 폴딩축(FX2)에 따라 아웃-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DD shown in FIG. 1 is in-folded along the second folding axis FX2, and FIG. 3B is a view showing the display device DD shown in FIG.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folded state along the folding axis FX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될 수 있다. 제2 폴딩축(FX2)은 제1 방향(DR1), 즉 표시 장치(DD)의 단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3A and 3B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in-folded or out-folded based on the second folding axis FX2 . The second folding axis FX2 may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 that is, the short 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DD.

표시 장치(DD)에는 동작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영역들은 폴딩 영역(FA) 및 적어도 하나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두 비폴딩 영역들(NFA1, NFA2) 사이에 정의된다.A plurality of regions may be defined in th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an operation type. The plurality of areas may be divided into a folding area FA and at least one non-folding area NFA1 and NFA2. The folding area FA is defined between the two non-folding areas NFA1 and NFA2.

도 3a 및 도 3b에서, 폴딩 영역(FA)은 제2 폴딩축(FX2)에 기초하여 폴딩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영역이다. 폴딩 영역(FA)은 제2 폴딩축(FX2)을 따라 폴딩되고,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영역으로 정의된다.3A and 3B , the folding area FA is an area that is folded based on the second folding axis FX2 and substantially forms a curvature. The folding area FA is defined as an area that is folded along the second folding axis FX2 and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DR1 .

본 발명의 일 예로,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제2 방향(DR2)에서 폴딩 영역(FA)의 일측과 인접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2 방향(DR2)에서 폴딩 영역(FA)의 타측과 인접한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folding areas NFA1 and NFA2 may include a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a second non-folding area NFA2.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is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olding area FA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is the other side of the folding area FA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adjacent to

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DD)에 하나의 폴딩 영역(FA)이 정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DD)에는 복수의 폴딩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folding area FA is defined in the display device D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olding areas may be defined in the display device D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윈도우(100) 및 표시 모듈(DM)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display device DD includes a window 100 and a display module DM.

표시 모듈(DM)은 표시 장치(DD)의 일 부분을 구성하며, 특히 표시 모듈(DM)에 의해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DM constitutes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DD, and in particular, an image may be generated by the display module DM. The display module DM may include the display panel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quantum dot)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The display panel D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a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DP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e emission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The emission layer of the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may include quantum dots, quantum rods, and the like. Hereinafter, the display panel DP will be describ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은 전체적으로 말리거나 폴딩축(FX1, FX2)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폴딩축(FX2, 도 3a참조)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도 있다.The display panel DP may be a flexible display panel. Accordingly, the display panel DP may be completely rolled or folded or unfolded about the folding axes FX1 and FX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lded or unfolded about the second folding axis FX2 (see FIG. 3A ).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200) 상에 입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센서는 표시 패널(200)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그 외에 보호 패널, 커버 패널 등의 기능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module DM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sensor on the display panel 200 . The input sensor may be directly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200 . The display module DM may further include functional layers such as a protective panel and a cover panel.

본 발명의 일 예로, 기능층은 외광 반사를 차단하는 반사방지층(POL)일 수 있다. 반사방지층(POL)은 표시 장치(DD)의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외광에 의해 표시 모듈(DM)을 구성하는 소자들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POL)은 위상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λ/2 위상지연자 및/또는 λ/4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 및 편광자는 하나의 편광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layer may be an anti-reflection layer (POL) that blocks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The anti-reflection layer POL may prev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display module DM from being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by external light incident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DD. The anti-reflection layer POL may include a retarder and a polarizer. The phase retarder may be a film type or liquid crystal coating type, and may include a λ/2 phase delay and/or a λ/4 phase delay. The polarizer may also be a film type or a liquid crystal coating type. The film type may include a stretched synthetic resin film, and the liquid crystal coating type may include liquid crystal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The phase retarder and the polarizer may be implemented as one polarizing film.

표시 모듈(DM)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에는 표시 영역(DA, 도 1 참조)에 대응되는 액티브 영역 및 비표시 영역(NDA, 도 1 참조)에 대응되는 주변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은 표시 모듈(DM)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출사하는 영역일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DM may display an image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receive information about an external input. In the display module DM, an active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DA (refer to FIG. 1 ) and a peripheral area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area NDA (refer to FIG. 1 ) may be defined. The active area may be an area for emitting an image provided by the display module DM.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보호 부재(110) 및 윈도우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DD may include the window 100 disposed on the display module DM. The window 100 may include a protection member 110 and a window member 120 .

보호 부재(110)는 윈도우 부재(120) 상에 배치되어 윈도우 부재(12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필름에 해당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member 110 may correspond to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window member 120 to protect the window member 120 from external impact.

보호 부재(110)는 윈도우(100)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파손시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보호 부재(110)는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및 고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on member 110 may be a layer for improving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window 100 and preventing scattering when damaged. The protective member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urethane-based resin, an epoxy-based resin, a polyester-based resin, a polyether-based resin, an acrylate-based resin, an ABS res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and rubber. .

예를 들어, 보호 부재(110)는 페닐렌(phen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 이미드(polyimide, PI), 폴리 아마이드(polyamide, PA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ective member 110 may include phenylene,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polyimide (PI), polyamide (PAI), or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lycarbonate (PC).

윈도우 부재(120)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모듈(DM)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100)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The window member 120 may include an optically transparent insulating material. Accordingly, the image generated by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through the window 100 .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 부재(120)는 박막 글라스 또는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20)가 박막 글라스를 포함하는 경우, 윈도우 부재(120)의 두께는 100㎛ 이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일 수 있으나, 윈도우 부재(120)의 두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window member 120 may include a thin glass or synthetic resin film. When the window member 120 includes thin glass, the thickness of the window member 120 may be 100 μm or less, for example, 30 μm, but the thickness of the window member 120 is not limited thereto. .

윈도우 부재(120)가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윈도우 부재(120)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window member 120 includes a synthetic resin film, the window member 120 may include a polyimide (PI) film or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윈도우 부재(120)는 다층구조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120)는 점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거나, 점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2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 부재(120)는 폴딩축(FX1, FX2)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즉, 윈도우 부재(120)는 표시 모듈(DM)의 형상 변형시 함께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The window member 120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r a single-layer structure. For example, the window member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films bonded with an adhesive, or may include a glass substrate and a synthetic resin film bonded with an adhesive. The window member 12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ccordingly, the window member 120 may be folded or unfolded about the folding axes FX1 and FX2. That is, the shape of the window member 120 may be deformed together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DM is deformed.

이렇듯, 윈도우(100)는 표시 모듈(DM)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 표시 모듈(DM)이 파손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라 함은 압력, 스트레스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힘으로써 표시 모듈(DM)에 결함을 야기하는 힘을 의미한다.As such, the window 100 transmits an image from the display module DM and at the same time mitigates an external shock,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module DM from being damaged or malfunctioning due to an external shock. The external impact is a force from the outside that can be expressed as pressure, stress, or the like, and means a force that causes a defect in the display module DM.

표시 장치(DD)는 복수 개의 점착 부재들(AD1, AD2)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 부재들(AD1, AD2)은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 부재들(AD1, AD2)은 열에 반응하여 점착력이 변화되는 열반응 점착 부재들일 수 있다. 점착 부재들(AD1, AD2) 각각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보호 부재(100)와 윈도우 부재(120)는 제1 점착 부재(AD1)에 의해서 점착될 수 있다. 윈도우(100)와 표시 모듈(DM)은 제2 점착 부재(AD2)에 의해 점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점착 부재들(AD1, AD2)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점착 부재와 관련하여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display device DD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AD1 and AD2. The adhesive members AD1 and AD2 may includ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an optical clear adhesive (OCA), or an optical clear resin (OCR). The adhesive members AD1 and AD2 may be heat-responsive adhesive members whose adhesive strength is changed in response to heat. Each of the adhesive members AD1 and AD2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The protection member 100 and the window member 120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 The window 100 and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adhesive member AD2 . In an embodiment, the adhesive members AD1 and AD2 may be omitt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dhesive member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5A to 5E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예비 윈도우(100-1)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예비 윈도우(100-1)는 제1 보호 부재(110-1) 및 윈도우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비 윈도우(100-1)는 복수의 이형 필름들(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형 필름들(10)은 예비 윈도우(100-1)의 상하면에 부착된다. 이형 필름들(10)은 제1 보호 부재(110-1) 상에 부착되고, 윈도우 부재(120) 상에 부착된다. 이형 필름들(10)은 예비 윈도우(100-1)의 이동 과정에서 예비 윈도우(100-1)를 보호할 수 있다.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preliminary window 100 - 1 . The preliminary window 100 - 1 may include a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and a window member 120 . The preliminary window 100 - 1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lease films 10 . The release films 10 are attach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reliminary window 100 - 1 . The release films 10 are attached on the first protective member 110 - 1 and attached on the window member 120 . The release films 10 may protect the preliminary window 100 - 1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reliminary window 100 - 1 .

일 실시예에서, 제1 보호 부재(110-1)는 윈도우 부재(120) 상에 제1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상태는 복수의 상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태는 복수의 불량 상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상태는 제1 보호 부재(110-1)가 윈도우 부재(120)에 정확하게 부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특정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 부착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may be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120 in a first state. Here, the first st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ates. For example, the first st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d states. That is, the first state may correspond to an attachment state that does not satisfy a specific criterion for determining that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is accurately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120 .

본 실시예에서, 예비 윈도우(100-1)는 불량 윈도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예비 윈도우(100-1)는 윈도우 부재(120)에 잘못 부착된 제1 보호 부재(110-1)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are window 100 - 1 may correspond to a bad window. That is, the preliminary window 100 - 1 may include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erroneously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120 .

예비 윈도우(100-1)는 윈도우 부재(120)와 제1 보호 부재(110-1) 사이에 제1 점착 부재(A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착 부재(AD1)는 제1 보호 부재(110-1)의 하면에 부착되어 제1 점착 부재(AD1)를 윈도우 부재(120)의 상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The preliminary window 100 - 1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member AD1 between the window member 120 and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to attach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member 120 .

일 실시예에서, 제1 점착 부재(AD1)는 열 반응 점착 부재로서 제1 온도에서 점착력을 상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는 약 40도 내지 약 60도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1 점착 부재(AD10는 40도 내지 60도에서 윈도우 부재(1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may lose adhesive strength at the first temperature as a heat-responsive adhesive member. For example, the first temperature may correspond to about 40 degrees to about 60 degrees. That is,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0 may be removed from the window member 120 at 40 degrees to 60 degrees.

예비 윈도우(100-1)는 제1 상태로 부착된 제1 보호 부재(110-1)외에 윈도우(100, 도 4 참조)와 동일한 윈도우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윈도우 부재(120)는 박막 글라스 또는 폴리 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liminary window 100 - 1 may include the same window member 120 as the window 100 (refer to FIG. 4 ) in addition to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attached in the first state. That is, the window member 120 may include thin glass or polyimide.

도 5b는 윈도우 부재(120)에 점착 테이프(AT)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점착 테이프(AT)는 제1 보호 부재(110-1)가 부착된 윈도우 부재(120)의 일면(상면)의 반대면인 타면(하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점착 테이프(AT)는 열 반응 점착 테이프일 수 있다. 즉, 점착 테이프(AT)는 제2 온도에 반응하여 점착력을 상실할 수 있다. 제2 온도는 제1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온도는 약 75도 이상일 수 있다. 점착 테이프(AT)는 75도 이상에서 점착력을 상실하여 윈도우 부재(120)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5B is a view illustrating a step of attaching the adhesive tape AT to the window member 120 . The adhesive tape AT may be attached on the other surface (lower surface) that is opposite to the on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member 120 to which the first protective member 110 - 1 is attached. 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tape AT may be a heat-responsive adhesive tape. That is, the adhesive tape AT may lose adhesive strength in response to the second temperature.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For example,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bout 75 degrees. The adhesive tape AT may lose its adhesive force at 75 degrees or more, and thus may be separated from the window member 120 .

점착 테이프(AT)는 윈도우 부재(120)에 부착되어 윈도우 부재(120)가 이후 제1 보호 부재(110-1)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윈도우 부재(120)를 고정한다. 또한, 점착 테이프(AT)는 제1 단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crack) 등의 손상으로부터 윈도우 부재(120)를 보호할 수 있다.The adhesive tape AT is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120 to fix the window member 120 while the window member 120 is then separated from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 In addition, the adhesive tape AT may protect the window member 120 from damage such as cracks that may occur during the first step.

도 5c는 윈도우 부재(120)로부터 제1 보호 부재(110-1)를 분리시키는 제1 분리 단계를 보여준다. 제1 보호 부재(110-1)는 제1 점착 부재(AD1)에 의해 윈도우 부재(120)와 점착된 상태이다. 예비 윈도우(100-1)를 제1 온도로 가열되면 제1 점착 부재(AD1)는 점착력을 상실하고 제1 보호 부재(110-1)는 윈도우 부재(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와 같이 제1 보호 부재(110-1)가 부착된 윈도우 부재(120)를 히팅 플레이트(heating plate)와 같은 히팅 스테이지(HS-1) 상에 배치하고 온도를 제1 온도에 해당하는, 예를 들어 40도 내지 60도로 설정하면, 제1 점착 부재(AD1)는 점착력을 상실하고 제1 보호 부재(110-1)는 윈도우 부재(120)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후, 제1 보호 부재(110-1)는 윈도우 부재(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온도로 가열하는 방법은 도 5c에 제한되지 않는다.FIG. 5C shows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from the window member 120 . The first protective member 110 - 1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adhered to the window member 120 by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 When the preliminary window 100 - 1 is heated to the first temperature,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may lose adhesive strength and the first protective member 110 - 1 may be separated from the window member 12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C , the window member 120 to which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1 is attached is disposed on a heating stage HS-1 such as a heating plate, and the temperature is set to the first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for example, when set to 40 to 60 degrees,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may lose adhesive force and the first protective member 110 - 1 may be separated from the window member 120 . Thereafter,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may be separated from the window member 120 . A method of heating to the first temperature is not limited to FIG. 5C .

도 5d는 윈도우 부재(120)로부터 점착 테이프(AT)를 분리하는 제2 분리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점착 테이프(AT)는 제1 보호 부재(110-1)의 분리 이후에 분리될 수 있다.FIG. 5D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dhesive tape AT from the window member 120 . The adhesive tape AT may be separated after the first protective member 110 - 1 is separated.

점착 테이프(AT)는 제2 온도에서 열 반응에 의해서 점착력을 상실한다. 제2 온도는 제1 온도보다 높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AT)는 제1 보호 부재(110-1)를 분리하는 도 5c의 단계에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The adhesive tape AT loses adhesive force due to a thermal reaction at the second temperature. The second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Accordingly, the adhesive tape AT may maintain adhesive strength in the step of FIG. 5C in which the first protective member 110 - 1 is separated.

일 실시예에서, 점착 테이프(AT)가 부착된 윈도우 부재(120)의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약 75도 이상의 제2 온도로 설정된 히팅 스테이지(HS-2) 상에 배치하고 가열하면, 점착 테이프(AT)는 점착력을 상실하여 윈도우 부재(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가열 방법은 도 5d에 제한되지 않는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other surface, which is the opposite surface of one surface of the window member 120 to which the adhesive tape AT is attached, is placed on the heating stage HS-2 set to a second temperature of about 75 degrees or more and heated, the adhesive The tape AT may be separated from the window member 120 by losing adhesive force. The heating method is not limited to FIG. 5D.

도 5e는 제2 보호 부재(110)를 윈도우 부재에 부착하는 단계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5E shows the step of attaching the second protective member 110 to the window member.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제1 보호 부재(110-1)로부터 분리된 윈도우 부재(120)는 제2 보호 부재(110)와 부착된다. 즉, 불량 상태인 제1 상태로 부착되어 있던 제1 보호 부재(110-1)가 제거되면, 윈도우 부재(120)는 제2 보호 부재(110)와 정상 상태인 제2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 The window member 120 separated from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is attached to the second protection member 110 . That is, when the first protective member 110 - 1 attached to the first state, which is in a defective state, is removed, the window member 1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rotective member 110 in the second state, which is a normal state. .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 부재(120)는 제1 보호 부재(110-1)에서 분리되고 제2 보호 부재(110)와 부착되기 전에 세척될 수 있다. 세척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In an embodiment, the window member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and washed before being attached to the second protection member 110 . The wash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제2 보호 부재(110)는 제1 보호 부재(110-1)와 다른 새로운 보호 부재로 제공된다. 제2 보호 부재(110)는 일면에 이형 필름(10)이, 타면에 제1 점착 부재(AD1)가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2 보호 부재(110)는 제1 점착 부재(AD1)에 의해서 윈도우 부재(120)에 제2 상태로 부착된다. The second protection member 110 is provided as a new protection member different from the first protection member 110 - 1 . The second protective member 110 may be provided with a release film 10 attached to one surface and a first adhesive member AD1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The second protection member 110 is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120 by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in a second state.

일 실시예에서, 제2 보호 부재(110)와 윈도우 부재(120)가 부착된 후, 부착 상태가 제2 상태에 해당하는지 검사할 수 있다. 제2 보호 부재(110)와 윈도우 부재(120)의 부착 상태가 제2 상태로 결정되면, 윈도우(100, 도 4 참조)가 생성된다. 도 6에서, 윈도우(100, 도 4 참조)는 표시 패널(200, 도 4 참조)에 제공되어, 표시 패널(200, 도 4 참조)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보호 부재(110)와 윈도우 부재(120)의 부착 상태가 제2 상태가 아닌 제1 상태로 결정되면, 제2 보호 부재(110)는 윈도우 부재(120)로부터 분리되고 다른 보호 부재(미도시)를 재부착 시키기 위해 제1 분리 단계 내지 제2 분리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fter the second protection member 110 and the window member 120 are attached, it may be checked whether the attachment state corresponds to the second state. When the attachment state of the second protection member 110 and the window member 120 is determined to be the second state, the window 100 (refer to FIG. 4 ) is generated. In FIG. 6 , a window 100 (refer to FIG. 4 ) may be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200 (refer to FIG. 4 ) and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200 (refer to FIG. 4 ). However, when the attachment state of the second protective member 110 and the window member 120 is determined to be the first state instead of the second state, the second protective member 110 is separated from the window member 120 and another protective member (not shown) may be performed again in the first separation step to the second separation step in order to reattach.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7A and 7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7a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b는 윈도우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7A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FIG. 7B is a flowchart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도 7a에서,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제조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순차적으로 예비 윈도우 제공 단계(S100), 제1 보호 부재 제거 단계(S200), 제2 보호 부재 부착 단계(S300), 윈도우 획득 단계(S400) 및 표시 패널에 윈도우 부착 단계(S500)을 포함한다.7A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ow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sequentially providing a preliminary window ( S100 ), removing the first protection member ( S200 ), attaching the second protection member ( S300 ), acquiring a window ( S400 ), and attaching the window to the display panel ( S500 ). ) is included.

예비 윈도우는 보호 부재와 윈도우 부재의 결합에 불량이 있는 불량품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불량 결합한 보호 부재를 윈도우 부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1 보호 부재 제거 단계(S200)는 이 과정에서, 윈도우 부재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고 제1 온도로 가열하는 제1 분리 단계, 제2 온도로 가열하는 제2 분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에서 자세히 설명한다.The preliminary window may correspond to a defective product having a defective coupling between the protection member and the window memb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parate the poorly coupled protection member from the window member. In this process, the first protective member removing step S200 may include a first separating step of attaching an adhesive tape to the window member and heating to a first temperature, and a second separating step of heating to a second temperature.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B.

이후, 제2 보호 부재를 부착한다. 제2 보호 부재는 제1 보호 부재와 달리 정상적으로 윈도우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보호 부재가 정상 부착되면 윈도우를 획득할 수 있다. 윈도우는 표시 패널에 부착되어 표시 장치가 생성될 수 있다.Then, the second protective member is attached. Unlike the first protection member, the second protection member may be normally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When the second protective member is normally attached, the window can be obtained. The window may b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to create a display device.

도 7b에서, 예비 윈도우가 제공될 수 있다(단계S110). 예비 윈도우는 윈도우 부재, 일면에 부착된 제1 보호 부재 및 윈도우 부재와 제1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점착 부재를 포함하고, 점착 부재는 40 내지 60도의 제1 온도에서 점착력을 상실할 수 있다.In FIG. 7B , a preliminary window may be provided (step S110 ). The preliminary window includes a window member, a first protective member attached to one surface,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window member and the first protective member, and the adhesive member may lose adhesive force at a first temperature of 40 to 60 degrees.

예비 윈도우의 윈도우 부재의 일면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단계S210). 일 실시예에서, 점착 테이프는 제2 온도인 약75도 이상에서 점착력을 상실할 수 있다.An adhesive tape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window member of the preliminary window (step S210). 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tape may lose adhesive strength at a second temperature of about 75 degrees or more.

예비 윈도우를 제1 온도로 가열하여 제1 보호 부재를 분리시킬 수 있다(단계S310). 가열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first protective member may be separated by heating the preliminary window to a first temperature (step S310). The heat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후, 예비 윈도우를 제2 온도로 가열하여 점착 테이프를 분리시킬 수 있다(단계S410). 가열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reafter, the preliminary window may be heated to a second temperature to separate the adhesive tape (step S410). The heat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제1 보호 부재 및 점착 테이프가 제거된 윈도우 부재를 세척할 수 있다(단계S510).The window member from which the first protective member and the adhesive tape are removed may be washed (step S510).

윈도우 부재 세척 이후, 제2 보호 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단계S610). 제2 보호 부재는 제1 보호 부재와 달리 정상 상태인 제2 상태로 윈도우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보호 부재가 정상 상태로 부착되면 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After cleaning the window member, a second protection member may be attached (step S610). The second protection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in a second state, which is a normal state, unlike the first protection member. A window may be formed when the protective member is attached in a normal state.

도 8은 온도에 따른 점착 부재 및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8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adhesive strength of an adhesive member and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temperature.

도 8에서, x축은 가열 온도를, y축은 점착 부재 또는 점착 테이프의 점착력을 나타낸다. 점착력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In FIG. 8 , the x-axis represents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ve strength gradually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A는 제1 점착 부재(AD1, 도 5a 참조)의 온도에 따른 점착력의 변화를 보여주고, B는 점착 테이프(AT, 도 5b 참조)의 온도에 따른 점착력의 변화를 보여준다.A shows the change in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see FIG. 5A )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B shows the change i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tape (AT, see FIG. 5B )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도 8에서, 그래프 A를 참조하면 제1 점착 부재(AD1)의 점착력은 약 25도에서 276gf/in(이하, 단위 생략), 약 40도에서 213이고, 약 50도 에서 119이다. 제1 점착 부재(AD1)는 약 50도 에서 1차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점착 부재(AD1)는 약 50도의 온도에서 점착력 119를 가지고 충분히 윈도우 부재(120, 도 5c 참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FIG. 8 , referring to graph A,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is 276 gf/in (hereinafter, unit omitted) at about 25 degrees, 213 at about 40 degrees, and 119 at about 50 degrees.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may be first separated at about 50 degrees. That is,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may be su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window member 120 (refer to FIG. 5C ) with an adhesive force of 119 at a temperature of about 50 degrees.

그래프 B를 참조하면, 점착 테이프(AT)의 점착력은 약 25도 에서 1900이고, 약 40도에서 612, 약 50도에서 475에 해당한다. 즉, 제1 점착 부재(AD1)가 분리되는 약 50도의 1차 분리 단계에서 점착 테이프(AT)는 475의 점착력을 가지고 분리되지 않는다. 점착 테이프(AT)의 점착력은 이후 약 85도에서 점착력 50을 가진다. 점착 테이프(AT)는 약 70도 이상부터 점착력이 100 이하가 되고 윈도우 부재(120, 도 5d 참조)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도 8에서, 약 85도 온도에서 점착 테이프(AT)는 윈도우 부재(120)로부터 2차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graph B,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tape AT is 1900 at about 25 degrees, 612 at about 40 degrees, and 475 at about 50 degrees. That is, in the first separation step of about 50 degrees in which the first adhesive member AD1 is separated, the adhesive tape AT has an adhesive strength of 475 and is not separate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tape AT has an adhesive strength of 50 at about 85 degrees thereafter. The adhesive tape AT may have an adhesive force of 100 or less from about 70 degrees or more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window member 120 (refer to FIG. 5D ). In FIG. 8 , the adhesive tape AT may be secondarily separated from the window member 120 at a temperature of about 85°C.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DD: 표시 장치
100: 윈도우
100-1: 예비 윈도우
110-1: 제1 보호 부재
110: 제2 보호 부재
120: 윈도우 부재
AD1: 제1 점착 부재
AT: 점착 테이프
DD: display device
100: window
100-1: spare window
110-1: first protective member
110: second protection member
120: no window
AD1: first adhesive member
AT: adhesive tape

Claims (20)

윈도우 부재, 상기 윈도우 부재 상에 제1 상태로 부착된 제1 보호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제1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호 부재를 상기 윈도우 부재에 부착시키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예비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제1 보호 부재를 분리시키는 제1 분리 단계; 및
분리된 상기 윈도우 부재 상에 제2 보호 부재를 제2 상태로 부착시키는 합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재는 제1 온도에서 점착력이 제거되고,
상기 제1 분리 단계는 상기 예비 윈도우를 상기 제1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윈도우 제조 방법.
A window member, a first protection member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in a first state,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window member and the first protection member to attach the first protection member to the window member providing a preliminary window;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window member and the first protection member; and
a bonding step of attaching a second protection member on the separated window member in a second state,
The adhesive member is removed from the adhesive force at a first temperature,
The first separating step includes heating the preliminary window to the first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는 박막 글라스를 포함하는 윈도우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window member comprises thin gla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는 폴리 이미드(PI)를 포함하는 윈도우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window member comprises polyimide (PI).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40도 내지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is between 40 degrees and 60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분리 단계 사이에, 상기 제1 보호 부재가 부착된 상기 윈도우 부재의 일면의 반대면 상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는 제2 온도에서 점착력이 제거되는 열반응 테이프를 포함하는 윈도우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between the step of providing the preliminary window and the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attaching an adhesive tape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window member to which the first protection member is attached, ,
The adhesive tape is a window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thermally reactive tape in which the adhesive force is removed at a second tempera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는 75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제조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tempera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75 degrees. 제5항에 있어서, 제1 분리 단계와 상기 합착 단계 사이에 상기 윈도우 부재로부터 상기 점착 테이프를 분리시키는 제2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윈도우 제조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adhesive tape from the window member between the first separating step and the bonding ste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단계는 상기 점착 테이프를 상기 제2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윈도우 제조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separating step comprises heating the adhesive tape to the second tempera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단계 이후에 상기 윈도우 부재를 세척하는 세척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윈도우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cleaning step of cleaning the window member after the second separation ste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 단계는 상기 제1 온도에서 점착력을 상실하는 점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2 보호 부재를 상기 윈도우 부재 상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윈도우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bonding step includes attaching the second protective member on the window member through an adhesive member that loses adhesive force at the first tempera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제2 온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제조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second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각각이 서로 다른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상태들과 상기 제2 상태는 다른 윈도우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a plurality of the first states are provided, each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first states and the second stat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윈도우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 상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를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 부재, 상기 윈도우 부재 상에 제1 상태로 부착된 제1 보호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제1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호 부재를 상기 윈도우 부재에 부착시키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예비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제1 보호 부재를 분리시키는 제1 분리 단계; 및
분리된 상기 윈도우 부재 상에 제2 보호 부재를 제2 상태로 부착시키는 합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재는 제1 온도에서 점착력이 제거되고,
상기 제1 분리 단계는 상기 예비 윈도우를 상기 제1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providing a display panel;
providing a window including a window member and a prot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window member on the display panel; and
attaching the window to the display panel;
The step of providing the window includes forming the window, and the step of forming the window includes:
a first protective member attached to the window member in a first state on the window member;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window member and the first protective member to attach the first protective member to the window member. providing a preliminary window to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window member and the first protection member; and
a bonding step of attaching a second protection member on the separated window member in a second state,
The adhesive member is removed from the adhesive force at a first temperature,
The first separating may include heating the preliminary window to the first temperatur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는 박막 글라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 wherein the window member comprises thin glas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40도 내지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3 ,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is 40°C to 60°C.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윈도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분리 단계 사이에, 상기 제1 보호 부재가 부착된 상기 윈도우 부재의 일면의 반대면 상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는 제2 온도에서 점착력이 제거되는 열반응 테이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between the step of providing the preliminary window and the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the step of attaching an adhesive tape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window member to which the first protection member is attached, ,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adhesive tape includes a thermally reactive tape from which adhesive force is removed at a second temperatur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는 75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 wherein the second temperature is 75 degrees or more. 제16항에 있어서, 제1 분리 단계와 상기 합착 단계 사이에 상기 윈도우 부재로부터 상기 점착 테이프를 분리시키는 제2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adhesive tape from the window member between the first separating step and the bonding step.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단계는 상기 점착 테이프를 상기 제2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8 , wherein the second separating comprises heating the adhesive tape to the second temperatur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제2 온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cond temperature.
KR1020210020263A 2021-02-16 2021-02-16 Window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KR2022011739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263A KR20220117393A (en) 2021-02-16 2021-02-16 Window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CN202111610197.7A CN114944107A (en) 2021-02-16 2021-12-27 Method for manufacturing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263A KR20220117393A (en) 2021-02-16 2021-02-16 Window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393A true KR20220117393A (en) 2022-08-24

Family

ID=8290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263A KR20220117393A (en) 2021-02-16 2021-02-16 Window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17393A (en)
CN (1) CN114944107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44107A (en)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44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246292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230098102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applyed in the electronic apparatus
US20200163231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3764196B1 (en) Display device
US11930606B2 (en) Display device
KR20190084185A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20007752A (en) Display device
US11882649B2 (en) Display device
KR20210053402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US20220061177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240006265A1 (en) Display device
CN114078381A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3724579A (en)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117393A (en) Window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KR20210138831A (en) A cover window,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ver window,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20058990A1 (en) Release film and hol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30052364A (en) Display device
KR20220030338A (en) Display device and replacing method of the window modul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US2024017604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nd protective film assembly
KR2023016726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window
US20240147642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fingerprint detection sensor
KR20240080238A (en)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protect film assembly
KR20240020747A (en) Electronic device
KR20210104512A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