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755A - Connection box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lectric wiring work - Google Patents

Connection box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lectric wiring 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755A
KR20220116755A KR1020210019992A KR20210019992A KR20220116755A KR 20220116755 A KR20220116755 A KR 20220116755A KR 1020210019992 A KR1020210019992 A KR 1020210019992A KR 20210019992 A KR20210019992 A KR 20210019992A KR 20220116755 A KR20220116755 A KR 20220116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x
wiring
cable
hous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9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9538B1 (en
Inventor
김태민
Original Assignee
김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민 filed Critical 김태민
Priority to KR102021001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538B1/en
Publication of KR2022011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7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5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23Building characterised by incorporated canalis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Abstract

A wiring box is used for a connection work of a wiring buried in concrete during building frame construction. The wiring box comprises: a housing box disposed in a mold formed through reinforcing bars and mold panels installed during building frame construction and disposed to contact the mold panels adjacent to a lamp or switch installation location, wherein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on a sidewall of the housing box; and a cable connector having a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cable connector has a hollow formed therein, a wiring cable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one end of the cable connector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openings of the housing box. The wiring cabl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box through the hollow of the cable connector.

Description

전기 배선 공사용 결선 박스 및 공사 방법 {Connection box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lectric wiring work}Connection box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lectric wiring work

본 발명은 전기 배선 공사용 결선 박스 및 공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 골조 공사시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배선의 연결 작업에 사용되는 전기 배선 공사용 결선 박스 및 공사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box for electrical wiring construc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box for electrical wiring construction and a construction method used for connection of wiring buried in concrete during building frame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건물을 축조하고 그 건물에서 전기, 통신, 소방설비 등의 시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배관공사를 통한 설비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기, 통신, 소방설비 등의 시설 사용이 필요한 건물의 슬라브 및 벽체 등에 결선 박스 등을 통해 배선작업을 수행하여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general, in order to construct a building and use facilities such as electricity, communication, and firefighting equipment in the building, facility construction through plumbing is performed. Specifically, power supply is performed by performing wiring work through a wiring box, etc. on slabs and walls of buildings that require the use of facilities such as electricity, communication, and firefighting equipment.

예를 들어, 건물의 골조 공사시 조명 및 스위치가 배치될 위치에 결선 박스를 배치한 후, 조명 결선 박스와 스위치 결선 박스를 배선 케이블로 연결함으로써, 조명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조명 결선 박스와 스위치 결선 박스가 배선 케이블로 연결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속에 배관이 매설될 수 있다. For example, after arranging a wiring box at a position where lights and switches are to be arranged during structural construction of a building, by connecting the lighting connection box and the switch connection box with a wiring cable, power supply can be made to the lighting. On the other hand, after the lighting connection box and the switch connection box are connected with a wiring cable, the pipe can be buried in the concrete by pouring the concrete.

이러한 시공 과정에서, 조명 결선 박스와 스위치 결선 박스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철근에 결박되어 고정된다. 하지만, 결선 박스와 철근 사이의 위치적 제약 또는 장애물로 인하여, 결선 박스로부터 인출된 배선 케이블을 철근에 결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this construction process, the wiring cable connecting between the lighting connection box and the switch connection box is generally fixed by being bound to the reinforcing bar.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bind the wiring cable drawn out from the connection box to the reinforcing bar due to a positional restriction or obstacle between the connection box and the reinforcing ba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결선 박스로부터 인출된 배선 케이블의 방향 제어가 용이한 전기 배선 공사용 결선 박스 및 공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ing box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easy electrical wiring work in which direction control of a wiring cable drawn out from the wiring box is eas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결선 박스로부터 인출된 배선 케이블을 철근에 용이하게 결박할 수 있는 전기 배선 공사용 결선 박스 및 공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ing box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electrical wiring that can easily bind a wiring cable drawn out from the wiring box to a reinforcing ba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선 케이블과 결선 박스 사이의 결합 안정성이 향상된 전기 배선 공사용 결선 박스 및 공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ing box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electrical wiring with improved bonding stability between the wiring cable and the wiring box.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선 박스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ing box.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물 골조 공사시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배선의 연결 작업에 사용되는 결선 박스에 있어서, 상기 결선 박스는, 상기 건물 골조 공사시 설치되는 철근과 거푸집 패널을 통해 형성된 거푸집 내에 배치되되, 조명 또는 스위치 설치 위치와 인접한 상기 거푸집 패널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측벽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박스, 및 배선 케이블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 박스의 상기 개구에 삽입 결합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배선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박스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connection box used for the connection work of the wiring buried in the concrete during the building framing construction, the connection box is disposed in the formwork formed through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formwork panel installed during the building framing construction, It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ormwork panel adjacent to a lighting or switch installation position, and has a housing box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on its side wall, and a hollow cylindrical shape into which a wiring cable is inserted, an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housing box. A cable connector coupled thereto, wherein the wiring cable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ox through the hollow of the cable connect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고,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U'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커넥터 바디, 일단이 상기 하우징 박스의 상기 개구에 나사산 결합을 통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 바디와 결합되는 커넥터 헤드,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커넥터 헤드 및 상기 탄성부재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커넥터 헤드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링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 헤드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넥터 헤드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직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 박스의 상기 개구와의 나사산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ble connector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 connector body having a 'U'-shaped opening in the direction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housing box through thread coupling, A connector head having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nnector body, an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and a ring disposed between the connector head and the elastic member so as to increase a contact area between the connector head and the elastic member; , the connector head is rotated from a first direction that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head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nnector body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is threaded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housing box It may include rotating in a clockwise direction or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first direction by the axi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박스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 박스의 하부가 상기 거푸집 패널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선 박스는 상기 하우징 박스의 상부를 덮는 하우징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box has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ox is disposed to face the formwork panel, and the connection box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x. hav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는, 건물 골조 공사시 설치되는 철근과 거푸집 패널을 통해 형성된 거푸집 내에 배치되되, 조명 또는 스위치 설치 위치와 인접한 상기 거푸집 패널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측벽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박스, 및 배선 케이블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 박스의 상기 개구에 삽입 결합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배선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박스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The wir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formwork formed through the reinforcing bars and formwork panels installed during building framing, and arrang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ormwork panel adjacent to the lighting or switch installation position, and a plurality of openings in the sidewall and a cable connector having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housing box is formed and a hollow in which a wiring cable is inserted, and one e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housing box, wherein the wiring cable is passed through the hollow of the cable connector.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ox.

또한,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연장 방향인 제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직각 방향이 제2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선 박스와 상기 철근 사이의 위치적 제약 또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통해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결선 박스로부터 인출된 상기 배선 케이블이 상기 철근에 용이하게 결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ble connector may be rotat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from a first direction that i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cable connector, and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bout the first direction. have. Accordingly, even when there is a positional restriction or obstacle between the connection box and the reinforcing bar,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direction through the cable connector, so that the wiring cable drawn out from the connection box is attached to the reinforcing bar. can be easily ti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가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가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가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일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의 설치 이후 배선 공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ble connector included in a conn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rotation of a cable connector included in a conn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cable connector included in a conn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illustrating a wiring construction process after installation of a wir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s.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Also,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a complementary embodiment thereof.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or'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In the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el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r configuration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가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가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가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의 일 변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n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ble connector including, FIG. 4 is a view showing rotation of a cable connector included in a conn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able connector included in a conn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는 건물 골조 공사시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배선의 연결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10)과 거푸집 패널(20)을 통해 형성된 거푸집 내에 상기 결선 박스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선 박스는, 조명 설치 위치와 인접한 상기 거푸집 패널(20) 및 스위치 설치 위치와 인접한 상기 거푸집 패널(20)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설치 위치 및 상기 스위치 설치 위치에 상기 결선 박스가 배치된 후, 배선 케이블(30)이 연결됨으로써 조명과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결선 박스가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Referring to FIG. 1 , the wir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connection of wiring buried in concrete during structural construction of a building.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 the connection box may be disposed in the formwork formed through the reinforcing bar 10 and the formwork panel 2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nection box may be arranged to contact the formwork panel 20 adjacent to the lighting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formwork panel 20 adjacent to the switch installation position. After the wiring box is disposed at the lighting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switch installation position, the wiring cable 30 is connected so that the lighting and the switch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Hereinafter, the connection box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결선 박스는 하우징 박스(100), 케이블 커넥터(200), 및 하우징 덮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박스(10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박스(100)는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거푸집 패널(20)과 접촉되도록 상기 거푸집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박스(10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거푸집 패널(20)과 접촉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거푸집 패널(20)과 접촉되지 않은 상기 하우징 박스(10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 덮개(30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박스(100)의 하부가 상기 거푸집 패널(20)과 접촉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하우징 박스(100)의 상부는 상기 하우징 덮개(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 박스(1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상기 하우징 박스(100) 내부는 콘크리트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connection box may include a housing box 100 , a cable connector 200 , and a housing cover 3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using box 100 may have a box shap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therein. The housing box 100 may be disposed in the formwork so that either an upper or a lower part is in contact with the formwork panel 20 . When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box 100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ormwork panel 20 ,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box 100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formwork panel 20 .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cover 300 . For example,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ox 100 is disposed to contact the formwork panel 20 ,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x 100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cover 300 . Accordingly, even when concrete is poured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box 100 is disposed, the inside of the housing box 100 may be protected from concret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박스(100)의 측벽에는 복수의 개구(100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박스(100)는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 각각 하나의 개구(10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100a)에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가 상기 하우징 박스(10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 내로 상기 배선 케이블(30)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선 케이블(30)은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를 통해 상기 하우징 박스(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lurality of openings 100a may be formed in a sidewall of the housing box 10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in the housing box 100 , one opening 100a may be formed on sidewalls facing each other. The cable connector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100a. In a state in which the cable connector 20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housing box 100 , the wiring cable 30 may be inserted into the cable connector 200 . Accordingly, the wiring cable 30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ox 100 through the cable connector 200 . Hereinafter, the cable connector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는, 커넥터 바디(210), 커넥터 헤드(220), 링(230), 및 탄성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cable connector 200 may include a connector body 210 , a connector head 220 , a ring 230 , and an elastic member 240 .

상기 커넥터 바디(210)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210)의 중공을 통해, 상기 배선 케이블(30)이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바디(210)의 일 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210)의 일 단에서 타 단 방향으로 형성되되, 'U'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부는 서로 이격된 측벽 사이에 밸리(valley)가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밸리를 통하여 상기 커넥터 바디(210)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The connector body 210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wiring cable 3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hollow of the connector body 2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opening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or body 210 . For example, the opening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connector body 210 to the other end, and may have a 'U' shape. That is, the opening may have a shape in which a valley is formed between side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inside of the connector body 2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alley.

상기 커넥터 헤드(220)는 상기 커넥터 바디(210) 및 상기 하우징 박스(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헤드(220)의 일단은 상기 커넥터 바디(210)과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헤드(220)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 박스(100)와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or head 22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or body 210 and the housing box 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end of the connector head 2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body 210 ,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head 220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box 100 .

상기 커넥터 헤드(220) 또한, 상기 커넥터 바디(210)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 헤드(220)와 상기 커넥터 바디(210)가 결합된 경우, 상기 커넥터 바디(210)로 삽입된 상기 배선 케이블(30)은 상기 커넥터 헤드(220)를 관통한 후 상기 하우징 박스(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The connector head 220 may also have a hollow formed therein like the connector body 210 . Accordingly, when the connector head 220 and the connector body 210 are coupled, the wiring cable 30 inserted into the connector body 210 passes through the connector head 22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housing box. (1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헤드(220)의 일 단은 상기 커넥터 바디(210)의 상기 개구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 헤드(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로부터 분기되는 형상을 갖고, 분기된 부분이 상기 개구부의 측벽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의 측벽이 상기 커넥터 헤드(220)의 분기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 헤드(220)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커넥터 헤드(220)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은 도 3의 X축 방향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의 직각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방향은 도 3의 Y축 방향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end of the connector head 220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connector body 210 .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or head 220 has a branched shape from a branch as shown in FIG. 3 , and the branched portion may be coupled to a sidewall of the opening. For example, the sidewall of the opening may be coupled to surround the diverging portion of the connector head 220 . In this case, the connector head 220 may be rotated from the first direction to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the opening.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head 220 .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may be the X-axis direction of FIG. 3 . Alternatively,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direction may be the Y-axis direction of FIG. 3 .

상기 링(230) 및 상기 탄성부재(240)는 상기 커넥터 바디(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 헤드(220) 및 상기 탄성부재(240) 사이에 상기 링(23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재(240)는 스프링일 수 있다.The ring 230 and the elastic member 2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nnector body 210 . More specifically, the ring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or head 220 and the elastic member 240 .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240 may be a spring.

상기 커넥터 헤드(220)가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헤드(220)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240)에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 헤드(220)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240)가 눌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40)는 수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커넥터 헤드(220)가 회전되지 않은 경우, 상기 탄성부재(240)는 상기 커넥터 헤드(2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 헤드(22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or head 220 is rotated from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to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elastic member 240 by the connector head 220 . have. That is, the elastic member 240 may be pressed by the connector head 220 . Accordingly, the elastic member 240 may be contracted. Alternatively, when the connector head 220 is not rotated, the elastic member 240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connector head 220 . Accordingly, the connector head 220 may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without being rotated.

상기 링(230)은, 상기 커넥터 헤드(220) 및 상기 탄성부재(24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링(230)이 없이 상기 커넥터 헤드(220) 및 상기 탄성부재(240)가 직접 접촉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헤드(220) 및 상기 탄성부재(240) 사이에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 헤드(22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헤드(220)로부터 상기 탄성부재(240)에 압력이 인가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240)가 상기 커넥터 헤드(22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커넥터 헤드(220) 및 상기 탄성부재(340) 사이에 상기 링(330)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헤드(2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340)의 이탈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The ring 230 may serve to increase a contact area between the connector head 220 and the elastic member 240 . That is, when the connector head 220 and the elastic member 240 are in direct contact without the ring 230 ,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nector head 220 and the elastic member 240 may be relatively narrow. have. Accordingly, when the connector head 220 is rotated, the elastic member 24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head 220 while pressure is applied to the elastic member 240 from the connector head 220 . phenomenon may occur. However, by disposing the ring 330 between the connector head 220 and the elastic member 340, the separation phenomenon of the elastic member 340 in the process of the connector head 220 being rotated can be prevented. have.

일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링(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홈(GV)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넥터 헤드(220)는 상기 홈(GV)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 헤드(220)는 상기 링(230)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 헤드(220)가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modification, the ring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GV as shown in FIG. 5 . In this case, the connector head 220 may be coupled to the groove GV. Accordingly, the connector head 220 may be more stably coupled to the ring 230 , and a position may be more stably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head 220 does not rotate.

즉,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는 상기 하우징 박스(100)의 상기 개구(100a)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배선 케이블(30)이 상기 하우징 박스(100) 내부로 인입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헤드(220)가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 역시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헤드(220)는 상기 하우징 박스(100)와 나사산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 헤드(220)는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 역시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at is, the cable connector 20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pening 100a of the housing box 100 , and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wiring cable 30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ox 100 . In addition, the cable connector 200 is, as described above, as the connector head 220 is rotated from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to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cable connector ( 200) may also be rotated from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to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Also, the connector head 220 may be threadedly coupled to the housing box 100 . Accordingly, the connector head 220 may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bout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cable connector 200 may also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bout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결과적으로,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를 통해 상기 하우징 박스(100) 내로 인입된 상기 배선 케이블(30)은,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결선 박스와 상기 철근(10) 사이의 위치적 제약 또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를 통해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결선 박스로부터 인출된 상기 배선 케이블(30)이 상기 철근(10)에 용이하게 결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 커넥터(200)로 인하여, 상기 배선 케이블(30)과 상기 하우징 박스(100) 사이의 결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wiring cable 30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ox 100 through the cable connector 200 can be freely rotated by the cable connector 200 . Due to this, even when there is a positional restriction or obstacle between the connection box and the reinforcing bar 10,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direction through the cable connector 200, so that the The wiring cable 30 may be easily bound to the reinforcing bar 10 . In addition, due to the cable connector 200 , coupling stability between the wiring cable 30 and the housing box 100 may be improved.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선 박스의 설치 이후 배선 공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6 to 8 are views illustrating a wiring construction process after installation of a wir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결선 박스가 설치된 후, 상기 결선 박스로부터 인출된 상기 배선 케이블(3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10)에 결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 케이블(30)을 통해 상기 결선 박스 내부로 인입된 복수의 배선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박스(100) 내부에서 상호 접속되어 전기 회선을 구성할 수 있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 내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상기 거푸집 패널(20)을 제거함으로써 콘크리트 내 배선 매설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6 to 8 , after the connection box is installed, the wiring cable 30 drawn out from the connection box may be bound to the reinforcing bar 10 as shown in FIG. 6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a plurality of wires introduced into the wiring box through the wiring cable 30 may be interconnected within the housing box 100 to constitute an electric line. Thereafter, as shown in FIG. 8 , the concrete in the formwork is poured, and the wiring in the concrete is buried by removing the formwork panel 20 after curing the poured concret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철근 20: 거푸집 패널 30: 배선 케이블 100: 하우징 박스 100a: 개구 200: 케이블 커넥터 210: 커넥터 바디 220: 커넥터 헤드 230: 링 240: 연결부재 300: 하우징 덮개10: rebar 20: formwork panel 30: wiring cable 100: housing box 100a: opening 200: cable connector 210: connector body 220: connector head 230: ring 240: connection member 300: housing cover

Claims (3)

건물 골조 공사시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배선의 연결 작업에 사용되는 결선 박스에 있어서, 상기 건물 골조 공사시 설치되는 철근과 거푸집 패널을 통해 형성된 거푸집 내에 배치되되, 조명 또는 스위치 설치 위치와 인접한 상기 거푸집 패널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측벽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박스; 및배선 케이블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 박스의 상기 개구에 삽입 결합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배선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박스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결선 박스. In the connection box used for connection work of wiring buried in concrete during building frame construction, it is disposed in the formwork formed through the reinforcing bar and formwork panel installed during the building frame construction, the formwork panel adjacent to the lighting or switch installation position; a housing box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and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on a sidewall thereof; and a cable connector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into which a wiring cable is inserted, and having one end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housing box, wherein the wiring cable enters the housing box through the hollow of the cable connector. Wiring box containing the incoming o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고,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U'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커넥터 바디; 일단이 상기 하우징 박스의 상기 개구에 나사산 결합을 통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커넥터 바디와 결합되는 커넥터 헤드;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상기 커넥터 헤드 및 상기 탄성부재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커넥터 헤드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링을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 헤드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넥터 헤드의 길이 방향인 제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직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 박스의 상기 개구와의 나사산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포함하는 결선 박스.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ble connector, The connector body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having a 'U'-shaped opening in the direction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 connector hea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housing box through thread coupling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nnector body; an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using; and a ring disposed between the connector head and the elastic member so as to increase a contact area between the connector head and the elastic member, wherein the connector head extends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nnector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head. Rotating from a first direction to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rotatin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bout the first direction by screw thread engagement with the opening of the housing box wiring box.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박스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 박스의 하부가 상기 거푸집 패널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박스의 상부를 덮는 하우징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결선 박스. The wiring box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box further includes a housing cover hav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ox facing the formwork panel, an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ox.
KR1020210019992A 2021-02-15 2021-02-15 Connection box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lectric wiring work KR1025295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992A KR102529538B1 (en) 2021-02-15 2021-02-15 Connection box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lectric wiring 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992A KR102529538B1 (en) 2021-02-15 2021-02-15 Connection box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lectric wiring 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755A true KR20220116755A (en) 2022-08-23
KR102529538B1 KR102529538B1 (en) 2023-05-04

Family

ID=8309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992A KR102529538B1 (en) 2021-02-15 2021-02-15 Connection box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lectric wiring 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53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951A (en) * 2010-06-30 201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nd-connector of select cable for manual transmission in vehicle
KR20180011659A (en) * 2016-07-25 2018-02-02 주식회사 엠피디 Board to board connector and receptacle
KR102079806B1 (en) * 2019-08-06 2020-02-20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Terminal box for guiding concrete height
KR102214567B1 (en) * 2020-04-09 2021-02-09 이동건 Method for building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951A (en) * 2010-06-30 201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End-connector of select cable for manual transmission in vehicle
KR20180011659A (en) * 2016-07-25 2018-02-02 주식회사 엠피디 Board to board connector and receptacle
KR102079806B1 (en) * 2019-08-06 2020-02-20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Terminal box for guiding concrete height
KR102214567B1 (en) * 2020-04-09 2021-02-09 이동건 Method for building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538B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412B1 (en) Two kinds of couplings for flexible conduitelectric wire inserting pipe connect
KR102034855B1 (en) Fixing device for outlet box of electrical construction
KR20220116755A (en) Connection box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lectric wiring work
KR100963843B1 (en) Outlet Box
KR20070112606A (en) Electrical wiring assembly box for a building
KR101315679B1 (en) Wiring method for lying cable in concrete without piping work using soil-filled box
FR2784406B1 (en) INSULATING PANEL FOR THE BUILDING FACILITATING THE PASSAGE OF ELECTRICAL CABLES
CN111355196B (en) Passing box and method for installing passing box on building top plate
KR19990030579A (en) Electrical piping box for ceiling slab
KR100745194B1 (en) Connecting Apparatus of Duct for Wiring
KR200257061Y1 (en) Telecommunication integrating electric power devide box
KR100744465B1 (en) Electrical cable protect member structure of slab for building
KR200318130Y1 (en) wiring terminal box
KR102163109B1 (en) Fixing braket for reclamation box
KR200381082Y1 (en) Terminal box fixing apparatus for interior wiring
KR100827605B1 (en) Electric cable duct structure of concrete bottom for building
KR102178100B1 (en) The wall installation type cable connection socket apparatus of the apartment house electricity
KR200353271Y1 (en) Terminal box fixing apparatus for interior wiring
KR200492152Y1 (en) Fixing system for outlet box on building wall
JP2001045629A (en) Protective cover for pipe-mounting frame
KR100356702B1 (en) wall outlet box
ITTO20110397A1 (en) CONTACTOR, IN PARTICULAR FOR THE REMOVAL OF BATTERIES IN ELECTRICAL SYSTEMS ON BOARD VEHICLES
KR20220002000A (en) Buried cable piping box plug
KR200169453Y1 (en) A duct for laying pipe of an electric wire
KR102082708B1 (en) Cover of electric system box for under floor wi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