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278A - 유입 유체 유동 전환기 포트 - Google Patents

유입 유체 유동 전환기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278A
KR20220116278A KR1020227024986A KR20227024986A KR20220116278A KR 20220116278 A KR20220116278 A KR 20220116278A KR 1020227024986 A KR1020227024986 A KR 1020227024986A KR 20227024986 A KR20227024986 A KR 20227024986A KR 20220116278 A KR20220116278 A KR 20220116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reactor
biocontainer
flow diverter
nylon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셉 시안치올로
Original Assignee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1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8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disposable or single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18Flow directing inserts
    • C12M27/20Baffles; Ribs; Ribbons; Auger v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Abstract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형태는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유동 전환기를 포함하고, 이러한 유동 전환기는 제1 표면 및 제1 표면에 대향되는 제2 표면을 가지는 견부, 견부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도관, 도관의 제1 단부에 위치되는 유입구로서, 제1 단부가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입구, 도관의 제1 단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유입구와 유체 연통되게 견부의 제2 표면 내에 형성된 배출구, 및 배출구에 인접한 후드로서, 유체 전환기는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의 측벽 아래로 유체를 지향시켜, 튀는 조건 또는 발포 조건을 완화할 수 있는, 후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입 유체 유동 전환기 포트
본원은 2020년 1월 22일자의 미국 가출원 62/964,486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고, 그 전체는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러한 개시 내용은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내에서 생물학적 유체를 전달, 혼합 및/또는 생물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생물 컨테이너 및 생물 반응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체 유동 전환기가 개시된다.
생물 프로세싱 산업에서 생물학적 유체들이 용액 내에서 프로세스된다.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생물학적 유체 및 관련 요법을 식물 및 동물-기반 세포에서 사용하기 위한, 희망 제품, 예를 들어 세포, 바이러스, 캡시드, 모노클로날 항체, 항체 약물 접합체, 및 불활성화된 바이러스의 세포 배양 및 생산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중에, 화학물질, 시약, 버퍼 용액, 보조제, 가공 보조제 등이 생물학적 용액에 첨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유체 레벨을 초과하여 전달되고, 그에 따라 튀는 효과를 생성한다. 튀는 것은 생물학적 유체의 바람직하지 못한 발포 및/또는 폭기(aeration)를 생성하여, 소포제의 전달 필요성을 초래할 수 있다.
생물 반응기에 유체를 전달하려는 과거의 시도는 유체 연통되는 펌프와 함께, 하단부에 인접하여, 즉 유체 레벨 아래에 위치된 포트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그러나, 생물학적 유체와 접촉되는 모든 구성요소를 살균할 필요가 있다. 각각의 사용 후에 펌프를 살균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이고 실패 모드가 많다. 또한, 펌프는 1번 사용하고 폐기되기에는 너무 고가이다. 그리고, 유동 전환기가 잠김형 유입구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데드" 스팟("dead" spot)이 생물 반응기 내에서, 즉 액체가 혼합으로부터 너무 격리되고 그에 따라 용해되지 않고 침전되는 임의의 성분이 용해되지 않고 유지되는 경향이 있는 지역 내에서 생성된다. 또한, 유입구 포트는 도관에 부착된 배출구 포트에 인접하는 경향이 있고, 도관은 배출구 포트와 생물 반응기 외부의 밸브 사이에 배치된다. 용해되지 않은 성분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도관 내에 수집되어, 시약 낭비 및 생물학적 용액의 농도 변동성을 초래할 수 있다. 2개의 유체가 생물 반응기의 하단부에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에, 2개의 유동 전환기뿐만 아니라 하단부 부근에 배치된 배플(들)을 필요로 할 수 있고, 이는 정체 지역을 생성할 수 있다.
튀는 것 또는 폭기 조건을 생성하지 않고 전술한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농축물(retentate), 시약, 버퍼 용액, 화학 물질 등을 유체 레벨 위에서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유동 전환기(들)가 당업계에서 진보를 나타낸다.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형태는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유동 전환기를 포함하고, 이러한 유동 전환기는 제1 표면 및 제1 표면에 대향되는 제2 표면을 가지는 견부, 견부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도관, 도관의 제1 단부에 위치되는 유입구로서, 제1 단부가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입구, 도관의 제1 단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유입구와 유체 연통되게 견부의 제2 표면 내에 형성된 배출구, 및 배출구에 인접한 후드로서, 유체 전환기가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의 측벽 아래로 유체를 지향시켜, 튀는 조건 또는 발포 조건을 완화시킬 수 있는, 후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형태는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유동 전환기를 포함하고, 이러한 유동 전환기는 제1 표면 및 제1 표면에 대향되는 제2 표면을 가지는 견부, 견부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도관, 도관의 제1 단부에 위치되는 유입구로서, 제1 단부가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입구, 도관의 제1 단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유입구와 유체 연통되게 견부의 제2 표면 내에 형성된 배출구, 및 배출구에 인접하게 본딩되는 편향 필름으로서, 유체 전환기가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의 측벽 아래로 유체를 지향시켜, 튀는 조건 또는 발포 조건을 완화시킬 수 있는, 편향 필름을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형태는, 선택적으로, 1회용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복수의 유동 전환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조항이 이하의 설명, 청구항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이점, 양태, 신규하고 혁신적인 특징뿐만 아니라, 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세 내용이 이하의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된 특징이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앞서서 요약된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 내용의 전형적인 실시형태들만을 도시한 것이고 그에 따라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설명된 실시형태는 다른 마찬가지로 유효한 유동 전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일 실시형태의 요소 및 특징이 추가적인 인용이 없이도 다른 실시형태에서 확인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가능한 경우에, 도면들에서 공통되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해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종종 사용되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에서 달리 명백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는 한, 단수 형태("a", "an", 및 "the")가 복수의 대상을 포함한다. 달리 규정되는 바가 없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가 이러한 실시형태에 속하는 업계의 당업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된 이하의 용어는, 문맥상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하의 정의를 따른다.
도 1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동 전환기의 전방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a의 유동 전환기의 우측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c는 도 1a의 유동 전환기의 후방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d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a의 유동 전환기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e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a의 유동 전환기의 하단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동 전환기의 제2 실시형태의 전방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2a의 유동 전환기의 제2 실시형태의 측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도 1a 또는 도 2a의 유동 전환기를 포함하는 생물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유동 전환기 및 가요성 필름 배플을 포함하는 생물 컨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동 전환기(100)의 전방 평면도를 도시한다. 유동 전환기(100)는 후드(102)를 포함하고, 이러한 후드는 견부(105)의 내부 표면(124)으로부터 연장된다. 미늘형 연결부(barb connector)의 단부에서 유입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후술되는,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도관의 내경(110)이 또한 은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전환기(100)는 원형이나, 실제로, 유동 전환기(100)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 즉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일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a의 유동 전환기(100)의 우측 평면도를 도시한다. 유동 전환기(100)는, 내부 표면(124)에 대향되는 외부 표면(122)으로부터 연장되는, 미늘형 연결부(104)를 도관(106)의 원위 단부에서 포함한다. 유동 전환기(100)는 유입구(108)와 유체 연통되는 배출구(112)를 더 포함한다.
도 1c는 도 1a의 유동 전환기(100)의 후방 평면도를 도시한다. 미늘형 연결부(104)는 모따기된 표면을 가지고, 유입구(108)를 나타낸다. 도 1d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a의 유동 전환기(100)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후드(102)는 내부 표면(124)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그리고 후드(102) 아래에서 배출구(112)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후드는 배출구(118)를 통해서 공급되는 액체를 편향시킨다. 도 1e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1a의 유동 전환기(100)의 하단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02)는 내부 표면(124)으로부터 연장되고, 배출구(118)로부터 거리(D)에 위치된다. 배출구(118)가 도관(106)의 내경(110)과 유체 연통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유동 전환기(10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설폰, 및 바이오프로세싱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살균 가능 중합체로, 즉 당업자에게 알려진 스트리밍 또는 알코올 용액 살균 프로세스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감마선 살균 프로세스가 감마-안정적 중합체, 예를 들어 HDPE에서 사용할 수 있다. 유동 전환기(100)는, 예를 들어, 사출 몰딩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하나의 일체형 단편일 수 있고, 즉 한 번의 사출 몰딩 프로세스를 통해서 몰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동 전환기는 또한 다양한 재료로 적층 제조(3D 프린팅)를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동 전환기(100)는 하나의 스톡 단편(stock piece), 즉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금속으로부터 가공된다. 유동 전환기(100)는 또한, 접착제 또는 열-적층 프로세스에 의해서 결합되는, 하나 초과의 단편일 수 있다. 유입구(108)에서 유동 전환기(100)에 진입하는 유체가 배출구(112)에서 유동 전환기(100)를 빠져 나간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유체가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의 측벽에 평행하게 유동 및/또는 지향되도록 배출구(112)가 배향되며, 유체는 생물 컨테이너의 측벽 아래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는,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내의 유체 레벨 위에서, 배출구(112)를 빠져 나갈 때, 측면 표면(114)을 따라서 연장되고, 튀김 또는 발포가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유동 전환기(100)는, 예를 들어 접착제, 열-적층, 본딩, 또는 다른 결합 방법으로, 외부 표면(122)을 따라서 필름에 접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드(bond)는 필름 및 유동 전환기(100)를 둘러싸고, 즉 360°의 본드 지역을 둘러싼다.
도 2a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동 전환기(200)의 제2 실시형태의 전방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벽(210)을 포함하는, 생물 반응기의 내측, 예를 들어 필름의 내부 표면(220)으로부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유동 전환기(200)는 벽(210)에 통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다시 말해서 벽(210)은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2a는 유동 전환기(200)를 부분적으로 횡단면으로 도시한다. 본딩된 섹션(230)이 필름 대 필름 본드를 보여준다. 편향 필름(216)이 벽(210)의 필름에 본딩된다. 본딩된 섹션(216)은 연속적인 본드를 형성하지 않고, 즉 외주방향 또는 360° 본드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딩된 섹션(230)은 약 300°의 본딩 지역을 포함한다. 본딩되지 않은 섹션(240)에서, 도관을 통해서 그리고 배출구(212)의 외부로 이동하는 액체는 편향 필름(216)과 접촉되고 그 후에 방향(F)으로 유동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딩되지 않은 지역은 배출구(212)의 직경의 폭의 약 2배이다. 실제로, 본딩되지 않은 지역(240)은, 예를 들어, 배출구(212)의 직경과 동일한 폭일 수 있거나, 그 직경의 3배 또는 4배일 수 있다. 유체가 생물 컨테이너의 측벽 아래로 유동할 수 있도록, 본딩되지 않은 섹션(240)이 배출구(212) 아래에 위치된다.
벽(210)은 1회용 생물 컨테이너/생물 반응기의 벽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벽(210)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한다. 유동 전환기(200)는 또한 스테인리스-강 탱크에 영구적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스테인리스-강 탱크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고 1차례 이상의 사용 후에 폐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벽(210) 및 편향 필름(216)은 동일 재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생물 반응기는 다층 라미네이트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내부 표면(220)은 폴리에틸렌이고, 폴리에틸렌은 살아있는 세포에 무독성이며 화학적 추출물을 거의 또는 전혀 방출하지 않는다.
도 2b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2a의 유동 전환기(200)의 제2 실시형태의 측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유동 전환기(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 전환기(200)는, 견부(252)에서 종료되는, 내경(110)을 가지는, 도관(106)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미늘형 연결부(104) 및 유입구(108), 그리고 생물 반응기 또는 생물 컨테이너의 필름(214)에 본딩되는 외부 표면(25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도 1a 또는 도 2a의 유동 전환기(100, 200)를 포함하는 생물 컨테이너(300)의 외부도를 도시한다. 생물 컨테이너(300)는 상부 유입구(302) 및 배출구(304)를 포함한다. 생물 컨테이너(300)는 또한, 미늘형 연결부(104) 및 유입구(108)를 통해서,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은 유체, 예를 들어 생물학적 유체, 생물학적 프로세싱 보조제, 버퍼 용액, 보조 용액, 또는 생물 프로세싱에서 사용되는 다른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서, 유체 레벨(314) 위에 배치되는, 유동 전환기(100, 200)를 측벽(310) 상에서 포함한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유동 전환기(100, 200) 및 가요성 필름 배플(324)을 포함하는 생물 컨테이너(400)를 도시한다. 본원에서 개시된 가요성 필름 배플은, 그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US 2016/0040113A1에 설명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하단 표면(318), 상단 표면(316), 및 측벽(310)을 가지는 컨테이너(400), 예를 들어 1회 사용 또는 1회용 컨테이너가 설명되고, 이러한 컨테이너는 내부 체적(330)을 갖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입구(302) 및 하나 이상의 유동 전환기(100, 200), 하나 이상의 배출구(304), 그리고 혼합기를 가지며, 이러한 혼합기는 컨테이너와 연관된 구동부(334) 및 교반기(332)를 포함하여 컨테이너 내에 포함된 또는 첨가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고 분산시킨다. 구동부(334)는 무샤프트 구동부(shaftless drive)일 수 있고, 교반기는 자석(미도시) 및 블레이드(33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컨테이너(400)는, 혼합을 개선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고 컨테이너(400) 내에 배치되는 가요성 배플(324)을 포함한다. 배플(324)이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어, 혼합기에 의해서 형성된 소용돌이를 교란시키거나 소용돌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플(324)은 생물 컨테이너(400)의 내부 체적(330) 내에 포함된 유체의 외부로 돌출한다. 소용돌이의 형성은 부적절한 혼합이 일어나는 정체 구역을 유발할 수 있고, 종종 단일 교반기와 연관된다. 제1 대각선 부재(322) 및 제1 대각선 부재에 대향되는 제2 대각선 부재(320)를 가지는 가요성 배플(324)이 소용돌이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부가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대각선 부재(320)는 제1 대각선 부재(322)의 전방에 배치된다. 실제로, 제1 대각선 부재(322) 및 제2 대각선 부재(320)가 하나의 단편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대각선 부재(322) 및 제2 대각선 부재(320) 모두가 내부 체적(330)의 중심점을 통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대각선 부재(322) 및 제2 대각선 부재(320)가 중심점을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혼합기의 위치에 의해서, 소용돌이가 형성될 수 있는 곳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기 자체가 측벽(310)에 근접하는 경우에, 소용돌이는 측벽(310)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단 표면(318)으로부터 상단 표면(316)까지 연장되는 대각선 부재(320, 322)를 가지는 배플(324)을 제공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임의의 유체 레벨(314)과 관계 없이 임의의 소용돌이 형성을 교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물 컨테이너(400)는 또한,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은 유체, 예를 들어 생물학적 유체, 생물학적 프로세싱 보조제, 버퍼 용액, 보조 용액, 또는 생물 프로세싱에서 사용되는 다른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서, 유체 레벨(314) 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동 전환기(100, 200)를 측벽(310) 상에서 포함하고, 유동 전환기(100, 200)는 포트에 진입하는 임의의 유체가 측벽(310) 아래로 유동할 수 있게 하여, 임의의 잠재적인 튀김 또는 발포 조건을 완화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생물 컨테이너(400)는 복수의 유동 전환기(100, 200)를 포함한다. 생물 컨테이너(300)가 또한 복수의 유동 전환기(100, 200)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유동 전환기(100, 200)를 제공하는 것은 복수의 액체가 생물 컨테이너(400)의 내부 체적(330)에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일부 관류 또는 접선 방향 유동 여과 프로세스는 여과 단계 후의 농축물 유체의 재-순환을 포함하고, 농축물은 생물 컨테이너(400)로부터 인출되고 후속하여 여과 단계 후에 유동 전환기(100, 200) 중 하나를 통해서 생물 컨테이너(400)에 전달된다. 유사하게, 버퍼 용액 또는 보조 용액이 유동 전환기(100, 200)의 하나 이상을 통해서 생물 컨테이너(400)에 전달될 수 있다.
유동 전환기(100, 20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폴리에테르 설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 그리고 생물 프로세싱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살균 가능 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다. 유동 전환기(100, 200)는 예를 들어 사출 몰딩 프로세스, 가공 프로세스, 밀링 프로세스, 3D 프린팅, 및 기타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동 전환기(100, 200)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셀룰로오스, 페놀,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 및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임의의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가 선택적으로 복수의 유입구 그리고 그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수의 유동 전환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선택적으로, 유동 전환기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운송 전에 유동 전환기가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에 결합되는 곳에서, 유동 전환기가 생물 반응기 또는 생물 컨테이너를 천공하거나 마모시키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모든 모서리 등이 둥글게 처리되는 것에 또한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한 설계는 또한 운송 중에 또는 후에 생물 반응기/생물 컨테이너의 살균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동 전환기(100, 200) 및 기타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실시형태가 종래 기술보다 뛰어난 많은 장점을 갖는다는 것을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설명된 임의의 유동 전환기가 다른 크기로 변경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외부 크기, 도관의 내경, 상이한 크기의 연결부, 상이한 연결부 스타일 등이 변경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유체의 첨가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다양한 배관, 포트, 연결부를 수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인용된 제형에 대한 모든 범위는 그 사이의 범위를 포함하고 종점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범위는, 인용된 자릿수(order of magnitude) 또는 다음의 더 작은 자릿수에서, 그 사이의 정수 값(또는 하나의 원래의 종점을 포함)으로부터 시작하고, 예를 들어, 하부 범위의 값이 0.2인 경우에,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종점은 0.3, 0.4, . . . 1.1, 1.2 등, 뿐만 아니라 1, 2, 3 등일 수 있고; 상부 범위가 8인 경우에,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종점은 7, 6 등 뿐만 아니라 7.9, 7.8 등일 수 있다. 유사하게, 3 이상과 같은, 일-측 경계는, 인용된 자릿수 또는 그보다 하나 작은 자릿수에서의 정수 값에서 시작하는 일정한 경계(또는 범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3 이상은 4 또는 3.1 이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반을 통한 "일 실시형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 "일부 실시형태" 또는 "실시형태"라는 언급은,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개시 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 "특정 실시형태", "일 실시형태", "일부 실시형태", 또는 "실시형태"와 같은 문구의 출현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형태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원에서 설명된 임의의 특징이 본원에서 개시된 임의의 실시형태(들)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특허 출원의 공보, 특허 및 다른 비-특허 참조물의 제공은, 각각의 공보 또는 참조물이 전체적으로 기재된 것으로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본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특허출원은 또한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Claims (16)

  1.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유동 전환기이며: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되는 제2 표면을 가지는 견부;
    상기 견부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도관;
    상기 도관의 제1 단부에 위치되는 유입구로서, 상기 제1 단부가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입구;
    상기 도관의 제1 단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상기 유입구와 유체 연통되게 상기 견부의 제2 표면 내에 형성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에 인접한 후드로서, 유체 전환기가 상기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의 측벽 아래로 유체를 지향시켜, 튀는 조건 또는 발포 조건을 완화하는, 후드를 포함하는, 유동 전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환기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셀룰로오스, 페놀,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 및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설폰, 또는 폴리에테르 설폰 중 하나로 형성되는, 유동 전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환기가 상기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의 측벽에 본딩되는, 유동 전환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가 1회용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를 포함하는, 유동 전환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가 다층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유동 전환기.
  6.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유동 전환기이며: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되는 제2 표면을 가지는 견부;
    상기 견부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도관;
    상기 도관의 제1 단부에 위치되는 유입구로서, 상기 제1 단부가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입구;
    상기 도관의 제1 단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상기 유입구와 유체 연통되게 상기 견부의 제2 표면 내에 형성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게 본딩되는 편향 필름으로서, 유체 전환기가 상기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의 측벽 아래로 유체를 지향시켜, 튀는 조건 또는 발포 조건을 완화시킬 수 있는, 편향 필름을 포함하는, 유동 전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필름이 상기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의 측벽에 부분적으로 본딩되는, 유동 전환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환기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폴리설폰, 또는 폴리에테르 설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동 전환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환기의 견부가 상기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의 측벽에 본딩되는, 유동 전환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가 1회용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를 포함하는, 유동 전환기.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가 다층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유동 전환기.
  12.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이며:
    상단 표면, 하단 표면, 및 상기 상단 표면과 하단 표면 사이에 배치된 측벽 -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내부 체적이 상단 표면과 하단 표면 사이에 형성됨 -;
    상기 측벽에 배치된 제1 유동 전환기;
    상기 측벽에 배치된 제2 유동 전환기; 및
    하나 이상의 유체 배출구를 포함하는,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 전환기 또는 제2 유동 전환기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46, 셀룰로오스, 페놀,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 및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설폰, 또는 폴리에테르 설폰 중 하나로 형성되는,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가 다층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 전환기 또는 제2 유동 전환기가 상기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내의 유체 레벨 위에 배치되는,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플을 더 포함하는, 생물 컨테이너 또는 생물 반응기.
KR1020227024986A 2020-01-22 2020-11-03 유입 유체 유동 전환기 포트 KR20220116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64486P 2020-01-22 2020-01-22
US62/964,486 2020-01-22
PCT/US2020/058620 WO2021150288A1 (en) 2020-01-22 2020-11-03 Inlet fluid flow diverter 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278A true KR20220116278A (ko) 2022-08-22

Family

ID=7359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986A KR20220116278A (ko) 2020-01-22 2020-11-03 유입 유체 유동 전환기 포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02711A1 (ko)
EP (1) EP4093843A1 (ko)
JP (1) JP7418588B2 (ko)
KR (1) KR20220116278A (ko)
CN (1) CN114761531A (ko)
WO (1) WO20211502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6588A1 (en) * 2002-02-13 2003-08-20 Sig Simonazzi S.P.A. Valve unit for filling machines
US9109193B2 (en) 2007-07-30 2015-08-18 Ge Healthcare Bio-Sciences Corp. Continuous perfusion bioreactor system
CN102066238A (zh) * 2008-05-30 2011-05-18 米利波尔公司 具有防涡器和流体导流器的容器
KR101948536B1 (ko) 2013-04-19 2019-04-22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일회용 바이오리액터 내의 신축성 필름 배플
WO2019121424A1 (en) 2017-12-21 2019-06-27 Ge Healthcare Bio-Sciences Corp. A fluid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50288A1 (en) 2021-07-29
CN114761531A (zh) 2022-07-15
JP2023510718A (ja) 2023-03-15
JP7418588B2 (ja) 2024-01-19
US20230002711A1 (en) 2023-01-05
EP4093843A1 (en)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162B1 (ko) 채널을 갖는 접을 수 있는 배플을 포함하는 단일 사용 용기
EP2294001B1 (en) Container having vortex breaker and a fluid diverter
RU2720197C2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вакуумная дегазация газового фильтра для системы обработ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EP2069059A1 (en) Mixing system including a flexible bag, specific flexible bag and locating system for the mixing system
WO2014119775A1 (ja) 気液溶解タンク及び微細気泡発生装置
US20180229192A1 (en) Container Having Magnetic Impeller Assembly With Hood
WO2010128915A1 (en) Vortex generator with vortex chamber
US20190367859A1 (en) Bioprocess vessels with integrated pump
KR20220116278A (ko) 유입 유체 유동 전환기 포트
CN113784747B (zh) 零死角阀
WO2010063845A1 (en) Liquid substance circulation device comprising a compartment for an impeller having a sloped upper portion
US20230358223A1 (en) Pump and combination pump/mixer device
CN108745021A (zh) 一种混合搅拌系统
WO2024073452A1 (en) Pump and combination pump/mixer device with lobed check valve fluid passages
CN213433902U (zh) 用于液体混合的微型射流混合管
JP6977532B2 (ja) 混合装置
JP6915523B2 (ja) 混合装置
WO2024086213A2 (en) Cell lysis and plasmid isolation system
JP2010536537A (ja) 1個以上のカセットを備える流体処理装置
JP2014226568A (ja) 気液混合装置
US20210024864A1 (en) Multiport plate for a bioprocess bag
JP2022513217A (ja) バイオプロセスシステムのための羽根車およびスパージャ組立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