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810A - 네트워크-온-칩에서의 스위치 모듈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온-칩에서의 스위치 모듈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810A
KR20220114810A KR1020210018289A KR20210018289A KR20220114810A KR 20220114810 A KR20220114810 A KR 20220114810A KR 1020210018289 A KR1020210018289 A KR 1020210018289A KR 20210018289 A KR20210018289 A KR 20210018289A KR 20220114810 A KR20220114810 A KR 20220114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dule
input port
network
chip
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필
배영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18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810A/ko
Publication of KR2022011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9Integrated on microchip, e.g. switch-on-c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5Interconnection of switching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네트워크-온-칩(Network-on-Chip, NoC) 편집기에서 스위치 모듈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스위치 모듈에 대한 분할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분할 명령으로부터 상기 스위치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 포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포트에 기반하여 상기 스위치 모듈을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온-칩에서의 스위치 모듈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WITCH MODULE ON NETWORK-ON-CHIP}
본 개시는 네트워크-온-칩(Network-on-Chip, NoC)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네트워크-온-칩 편집기에서 토폴로지(topology)를 구성하는 스위치 모듈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반도체란 데이터 연산 및 제어 등 정보 처리 역할을 수행하는 반도체를 의미하며, 다양한 기계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명령없이 최적의 운영 조건을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가 각광받고 있다. 시스템 반도체 설계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멀티 코어 기반의 다양한 IP(Intellectual Property)들을 연결한 복잡한 시스템 반도체 설계가 일반화되고 있다. 시스템 반도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IP들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네트워크-온-칩(Network-on-Chip, NoC) 설계 기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온-칩은 블록 다이어그램 형식의 편집기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및 스위치 모듈들을 배치하고, 이를 연결하여 토폴로지(topology)를 생성하고, 생성된 토폴로지로부터 설계 정보를 추출하여 네트워크-온-칩의 설계를 자동화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스위치 모듈을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연결 형태에 따라 시스템의 성능을 좌우하므로, 고성능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최적의 연결 형태가 도출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네트워크-온-칩(Network-on-Chip, NoC) 편집기에서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스위치 모듈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온-칩(Network-on-Chip, NoC) 편집기에서 스위치 모듈의 제어 방법은 상기 스위치 모듈에 대한 분할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분할 명령으로부터 상기 스위치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 포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포트에 기반하여 상기 스위치 모듈을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특정 스위치 포트를 기준으로 스위치 모듈을 자동으로 분할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신속한 토폴로지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된 스위치 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된 네트워크-온-칩(Network-on-Chip, NoC) 편집기의 토폴로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및/또는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해당 용어로 지칭되는 구성요소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으며, 제 2 구성요소 또한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잇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전문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된 스위치 모듈(100)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1a는 분할 동작이 수행되기 이전의 스위치 모듈(100)을 개시하며, 도 1b 및 도 1c는 분할 동작이 수행된 이후의 제 1 스위치 모듈(100_1) 및 제 2 스위치 모듈(100_2)을 개시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네트워크-온-칩(Network-on-Chip, NoC) 편집기의 토폴로지(topology)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서, 스위치 모듈(100)은 4개의 입력 포트들(In_1, In_2, In_3, In_4) 및 4개의 출력 포트들(Out_1, Out_2, Out_3, Out4)을 포함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실시 예일 뿐, 스위치 모듈(100)은 복수의 입력 포트들 및 복수의 출력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100)은 입력 포트들(In_1, In_2, In_3, In_4)을 통하여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다양한 IP(Intellectual Property)들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스위치 모듈(100)은 수신된 신호에 대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 후, 출력 포트들(Out_1, Out_2, Out_3, Out4)을 통하여 토폴로지를 구성하는 다양한 IP(Intellectual Property)들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로서, 스위치 모듈(100)은 제 1 입력 포트(In_1)를 통하여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스위칭 동작을 통하여 제 2 출력 포트(Out_2)를 통하여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최적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온-칩 편집기의 토폴로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스위치 모듈(100) 간의 미리 설정된 연결 관계와 상이한 연결 관계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스위치 모듈(100) 간의 연결 관계가 재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스위치 모듈(100) 간의 연결 관계를 재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기존에 설정된 스위치 모듈(100)을 삭제하고, 새로운 스위치 모듈을 생성하여 최적의 연결 관계를 구현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스위치 모듈(100)의 수가 작은 단순한 시스템을 구현함에는 문제가 없으나, 스위치 모듈(100)을 여러 단계로 거쳐서 연결되는 다단계의 복잡한 시스템의 경우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스위치 모듈(100)의 특정 포트들을 기준으로 스위치 모듈(100)을 분리하여, 신속하게 최적의 토폴로지를 재구성함으로써 복잡한 시스템에서도 토폴로지 재구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스위치 모듈(100)의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도 1a에 개시된 스위치 모듈(100)은 외부의 구성 요소로부터 분할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분할 명령은 입력 포트들(In_1, In_2, In_3, In_4)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입력 포트들(In_1, In_2, In_3, In_4)과 구별되는 명령 입력 포트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분할 명령은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토폴로지 상의 연결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100)은 수신한 분할 명령으로부터 일부 입출력 포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로서, 스위치 모듈(100)은 제 1 입력 포트(In_1), 제 2 입력 포트(In_2), 제 1 출력 포트(Out_1) 및 제 2 출력 포트(Out_2)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 모듈(100)은 도 1b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분할 명령에 따라 제 1 스위치 모듈(100_1) 및 제 2 스위치 모듈(100_2)로 분할될 수 있다. 제 1 스위치 모듈(100_1)은 선택된 제 1 입력 포트(In_1), 제 2 입력 포트(In_2), 제 1 출력 포트(Out_1) 및 제 2 출력 포트(Out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 모듈(100_2)은 선택되지 않은 제 3 입력 포트(In_3), 제 4 입력 포트(In_4), 제 3 출력 포트(Out_3) 및 제 4 출력 포트(Out_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개시된 스위치 모듈(100)이 도 1b에 개시된 제 1 스위치 모듈(100_1) 및 제 2 스위치 모듈(100_2)로 분할되는 경우에도, 기존의 스위치 모듈(100)과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 정보는 입출력 포트들(In_1, In_2, In_3, In_4, Out_1, Out_2, Out_3, Out4)과 일체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개시된 제 1 스위치 모듈(100_1) 및 제 2 스위치 모듈(100_2)은 도 1a에 개시된 하나의 스위치 모듈(100)로부터 분리되었으므로, 서로 연결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 1 스위치 모듈(100_1)은 제 2 스위치 모듈(100_2)과 통신하기 위한 제 5 입력 포트(In_a) 및 제 5 출력 포트(Out_a)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스위치 모듈(100_2)은 제 1 스위치 모듈(100_1)과 통신하기 위한 제 6 입력 포트(In_b) 및 제 6 입력 포트(Out_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 모듈(100_1)은 제 2 스위치 모듈(100_2)로부터 제 6 출력 포트(Out_b) 및 제 5 입력 포트(In_a)를 통하여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 2 스위치 모듈(100_2)은 제 1 스위치 모듈(100_1)로부터 제 5 출력 포트(Out_a) 및 제 6 입력 포트(In_b)를 통하여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1b에서, 분할된 제 1 스위치 모듈(100_1) 및 제 2 스위치 모듈(100_2)은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현 되었으나, 필요에 의하여 제 1 스위치 모듈(100_1) 및 제 2 스위치 모듈(100_2) 간의 연결을 삭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스위치 모듈(100)은 제 1 입력 포트(In_1), 제 2 입력 포트(In_2) 및 제 1 출력 포트(Out_1)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 모듈(100)은 도 1c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분할 명령에 따라 제 1 스위치 모듈(100_1) 및 제 2 스위치 모듈(100_2)로 분할될 수 있다. 제 1 스위치 모듈(100_1)은 선택된 제 1 입력 포트(In_1), 제 2 입력 포트(In_2) 및 제 1 출력 포트(Out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 모듈(100_2)은 선택되지 않은 제 3 입력 포트(In_3), 제 4 입력 포트(In_4), 제 2 출력 포트(Out_2), 제 3 출력 포트(Out_3) 및 제 4 출력 포트(Out_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c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 모듈(100_1)은 제 2 스위치 모듈(100_2)과 통신하기 위한 제 5 입력 포트(In_a) 및 제 5 출력 포트(Out_a)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스위치 모듈(100_2)은 제 1 스위치 모듈(100_1)과 통신하기 위한 제 6 입력 포트(In_b) 및 제 6 입력 포트(Out_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필요에 의하여 제 1 스위치 모듈(100_1) 및 제 2 스위치 모듈(100_2) 간의 연결을 삭제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개시된 실시 예에서, 분할 명령에 의하여 인접한 포트들이 선택되는 것으로 개시되었으나, 이는 일부 실시 예들일 뿐, 분할 명령에 의하여 선택되는 포트들은 인접할 필요가 없다. 즉, 시스템 구현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포트들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스위치 모듈(100)의 제어 방법은 분할 명령으로부터 선택된 포트들로만 구성된 제 1 스위치 모듈(100_1) 및 선택되지 않은 포트들로만 구성된 제 2 스위치 모듈(100_2)로 스위치 모듈(100)을 자동으로 분할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토폴로지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에 따른 제어 방법이 적용된 네트워크-온-칩(Network-on-Chip, NoC) 편집기의 토폴로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네트워크-온-칩 편집기의 토폴로지는 제 1 내지 제 6 마스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MNI_1, MNI_2, …, MNI_6), 제 1 내지 제 3 스위치 모듈(100_1, 100_2, 100_3) 및 제 1 내지 제 4 슬레이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SNI_1, SNI_2, SNI_3, SNI_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개시된 토폴로지의 경우, 제 1 및 제 2 스위치 모듈(100_1, 100_2)은 병렬 구조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 3 스위치 모듈(100_3)은 제 1 및 제 2 스위치 모듈(100_1, 100_2)과 직렬로 배치되어 2단계의 스위치 모듈 구성을 가진다.
도 2a에서, 제 1 스위치 모듈(100_1)은 제 1 마스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MNI_1)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는 제 1 입력 포트(In_11), 제 2 마스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MNI_2)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는 제 2 입력 포트(In_12) 및 제 3 스위치 모듈(100_3)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 포트(Out_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 모듈(100_1)은 제 1 입력 포트(In_11) 및 제 2 입력 포트(In_12)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대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 후, 제 1 출력 포트(Out_11)를 통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 모듈(100_2)은 제 3 마스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MNI_3)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는 제 1 입력 포트(In_21), 제 4 마스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MNI_4)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는 제 2 입력 포트(In_22) 및 제 3 스위치 모듈(100_3)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 포트(Out_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 모듈(100_2)은 제 1 입력 포트(In_21) 및 제 2 입력 포트(In_22)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대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 후, 제 1 출력 포트(Out_21)를 통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3 스위치 모듈(100_3)은 제 1 스위치 모듈(100_1)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는 제 1 입력 포트(In_31), 제 2 스위치 모듈(100_2)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는 제 2 입력 포트(In_32), 제 5 마스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MNI_5)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는 제 3 입력 포트(In_33) 및 제 6 마스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MNI_6)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는 제 4 입력 포트(In_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스위치 모듈(100_3)은 제 1 슬레이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SNI_1)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1 출력 포트(Out_31), 제 2 슬레이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SNI_2)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출력 포트(Out_32), 제 3 슬레이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SNI_3)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3 출력 포트(Out_33) 및 제 4 슬레이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SNI_4)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4 출력 포트(Out_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스위치 모듈(100_3)은 제 1 내지 제 4 입력 포트(In_31, In_32, In_33, In_34)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대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 후, 제 1 내지 제 4 입력 포트(Out_31, Out_32, Out_33, Out_34)를 통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라, 도 2a에 개시된 토폴로지에 포함되는 임의의 스위치 모듈은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분할될 수 있다. 예로서, 제 3 스위치 모듈(100_3)은 외부의 구성 요소로부터 분할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분할 명령은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토폴로지 상의 연결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 3 스위치 모듈(100_3)은 수신한 분할 명령으로부터 일부 입출력 포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예로서, 제 3 스위치 모듈(100_3)은 제 1 입력 포트(In_31), 제 2 입력 포트(In_32) 및 제 1 출력 포트(Out_31)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스위치 모듈(100_3)은 도 2b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분할 명령에 따라 제 4 스위치 모듈(100_3a) 및 제 5 스위치 모듈(100_3b)로 분할될 수 있다. 제 4 스위치 모듈(100_3a)은 선택된 제 1 입력 포트(In_31), 제 2 입력 포트(In_32) 및 제 1 출력 포트(Out_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5 스위치 모듈(100_3b)은 선택되지 않은 제 3 입력 포트(In_33), 제 4 입력 포트(In_34), 제 2 출력 포트(Out_32), 제 3 출력 포트(Out_33) 및 제 4 출력 포트(Out_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 4 스위치 모듈(100_3a)은 제 5 스위치 모듈(100_3b)과 통신하기 위한 제 5 입력 포트(In_a) 및 제 5 출력 포트(Out_a)를 포함할 수 있고, 제 5 스위치 모듈(100_3b)은 제 4 스위치 모듈(100_3a)과 통신하기 위한 제 6 입력 포트(In_b) 및 제 6 입력 포트(Out_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개시된 스위치 모듈의 분할 동작은 제 3 스위치 모듈(100_3)에 대하여만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서, 본 개시에 따르면, 네트워크-온-칩의 토폴로지가 다단계의 스위치 모듈들을 포함하는 경우, 시스템 성능의 최적화를 위하여 둘 이상의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분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S110 단계에서, 스위치 모듈은 외부의 구성 요소로부터 분할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분할 명령은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토폴로지 상의 연결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위치 모듈들을 포함하는 토폴로지의 경우, 분할 명령은 2 이상의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토폴로지 상의 연결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분할 명령은 복수의 스위치 모듈들에 대한 분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스위치 모듈은 최적의 성능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수신한 분할 명령에 기반하여 특정 입출력 포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은 복수의 입력 포트들 및 복수의 출력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입력 포트들 및 복수의 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2 이상의 입력 포트들 또는 2 이상의 출력 포트들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특정 포트들은 서로 인접할 필요없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스위치 모듈은 선택된 입출력 포트들에 기반하여 기존의 스위치 모듈을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로 분할할 수 있다. 분할된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서로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연결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 간의 연결 구조는 해제될 수 있다. 분할 명령에 기반한 스위치 모듈의 분할이 완료되면, 절차는 종료된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스위치 모듈
In_1, In_2, In_3, In_4 : 제 1 내지 제 4 입력 포트
Out_1, Out_2, Out_3, Out_4 : 제 1 내지 제 4 출력 포트

Claims (1)

  1. 네트워크-온-칩(Network-on-Chip, NoC) 편집기에서의 스위치 모듈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듈에 대한 분할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분할 명령으로부터 상기 스위치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포트들 및 복수의 출력 포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에 기반하여 상기 스위치 모듈을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듈 제어 방법.
KR1020210018289A 2021-02-09 2021-02-09 네트워크-온-칩에서의 스위치 모듈 제어 방법 KR20220114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289A KR20220114810A (ko) 2021-02-09 2021-02-09 네트워크-온-칩에서의 스위치 모듈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289A KR20220114810A (ko) 2021-02-09 2021-02-09 네트워크-온-칩에서의 스위치 모듈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810A true KR20220114810A (ko) 2022-08-17

Family

ID=8311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289A KR20220114810A (ko) 2021-02-09 2021-02-09 네트워크-온-칩에서의 스위치 모듈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8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2350B2 (en) Expandable distributed core architectures having reserved interconnect bandwidths
US20090037865A1 (en) Router
US10361948B2 (en) Communication loop prevention in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JP6004079B2 (ja) スイッチ及びプログラム
US20190199622A1 (en) Data packet forwarding unit in a data transmission network
US9020347B2 (en) Reconfigurable optical interconnect network
US200501931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lexible extension of SAS expander ports
CN114465899A (zh) 复杂云计算环境下的网络加速方法、系统及装置
CN106155954A (zh) 一种模块识别和通信端口自动分配的系统及方法
Van et al. Demonstration of container-based microservices SDN control platform for open optical networks
KR20220114810A (ko) 네트워크-온-칩에서의 스위치 모듈 제어 방법
US865477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alizing a configurable multi-bridge
CN107566238B (zh) 一种用户态配置物理接口自动识别vlan帧和非vlan帧的方法
EP3761537A1 (en) Green regenerative energy efficient network
CN114650223B (zh) 一种Kubernetes集群的网络配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7359938B (zh) 数据中心传输系统、系统中控制的实现方法和装置
WO2015107344A1 (en) Reconfigurable computing system
CN101719856B (zh) 兼容10ge lan端口和wan端口的方法和装置
US6961792B1 (en) System for configuring expandable buses in a multi-device storage container and related method
US6021465A (en) Arrangement for the connecting peripheral storage devices
CN111030950A (zh) 一种堆叠交换机拓扑构造方法与装置
EP1335615B1 (en) A method of determining an active or a passive role assignment to a control means of a network element
US20220116692A1 (en) Degree Switching Configuration For Network Architecture
US20230066045A1 (en) Diagonal torus network
US7039045B1 (en) Passthrough switching control mechanism based upon the logical partitioning of a switch el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