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179A - Providing system of braille content - Google Patents

Providing system of braille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179A
KR20220114179A KR1020210017383A KR20210017383A KR20220114179A KR 20220114179 A KR20220114179 A KR 20220114179A KR 1020210017383 A KR1020210017383 A KR 1020210017383A KR 20210017383 A KR20210017383 A KR 20210017383A KR 20220114179 A KR20220114179 A KR 20220114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braille content
content
tex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인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7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179A/en
Publication of KR2022011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1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content providing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raille content generat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text and metadata according to the text from a braill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translate the text to generate braille data, and map the metadata according to the text on the braille data to generate braille content; and a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that receives and outputs the braille content generated by the braille content generating module.

Description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PROVIDING SYSTEM OF BRAILLE CONTENT}Braille content providing system {PROVIDING SYSTEM OF BRAILLE CONTENT}

본 발명은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텍스트 정보와 함께 출력 속도 및 감도 등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점자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하는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braille con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oviding braille content that generates and outputs braille content including metadata such as output speed and sensitivity along with text information.

점자(Braille)는 사람의 촉각을 통해 읽고 쓸 수 있도록 다양한 점형(Dot patterns)에 의미를 부여해 놓은 문자 상징체계이다.Braille is a character symbol system that gives meaning to various dot patterns so that people can read and write through the sense of touch.

일반적으로 이러한 점자는 3*2나 4*2 등의 점자가 통용되며, 점자의 개수와 배열을 달리하여 문자체계를 형성한다.Generally, braille such as 3*2 or 4*2 is commonly used,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Braille are different to form a character system.

한편, 근래에는 정보통신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PC, 모바일 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정보통신기기의 사용이 일상화되어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the use of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Cs and mobile devices has become commonplace.

이러한 정보통신기기는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정보통신기기의 활용에 있어서 시각장애인이 소외되고 있으며, 이는 정보격차에 의한 경제 사회적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Because the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have very low acces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visually impaired are marginalized in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which further aggravates the economic and social imbalance caused by the information gap.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2508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 상기 본체(10)와 연결되고 외부기기(20)와 통신 가능한 통신수단(11), 상기 본체(10) 내에 마련되고 점자출력용지를 공급하는 용지공급수단(12), 상기 점자출력용지에 점자를 형성하는 점자형성수단(13) 및 상기 통신수단(11)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점자형성수단(13)이 상기 점자출력용지에 점자를 형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14)을 포함하는 휴대용 점자출력기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032508, as shown in FIG. 1 , a main body 10, a communication means 11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20 , the external device ( 20), a portable braille printer including a control means 14 for controlling the braille forming means 13 to form and output braille on the braille output paper is disclosed.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점자출력기는 외부기기(20)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점자출력용지에 출력함에 따라 휴대전화, 개인용 컴퓨터, 넷북 등의 정보통신기기에 대한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uch a conventional portable braille output device receives content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20 and outputs it on braille output paper, thereby improving accessi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ersonal computers, and netbooks. .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점자출력기는 점자 콘텐트를 단순히 점자출력용지에 형성하여 출력하는데 그쳐 이를 사용하는 시각장애인 등의 사용자는 점자가 형성된 용지를 손으로 마찰시켜 음절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인식한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ortable braille output machine simply forms and outputs braille content on a braille output paper, and a user such as a visually impaired who uses the same recognizes the syllables one by one by rubbing the braille-formed paper with their hands.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점자출력기는 콘텐츠의 양이 많은 경우 점자출력용지 역시 많아져 실질적으로 휴대하여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Accordingly, when the amount of content is large, such a conventional portable braille printer also increases the amount of braille output paper, so it is difficult to actually carry it and use it.

또한, 근래에 텍스트를 포함하는 콘텐츠는 단순히 문자의 나열이 아니라 콘텐츠 제작자가 강조하고 싶은 문장이나 단어 등에 색상을 달리하거나 크기, 명도 등을 달리하는 콘텐츠 등이 다량 제작 및 공급되고 있는 바 종래의 휴대용 점자출력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컨텐츠를 이용하는 시각장애인 등의 콘텐츠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content including text is not simply an arrangement of characters, but content that has different colors, sizes, brightness, etc., in sentences or words that content creators want to emphasize, etc. are produced and supplied in large quantities.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braille printer cannot effectively deliver the above content to content consumers such as the visually impaired.

한국공개특허 10-2017-003250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32508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콘텐츠의 양과 상관없이 휴대가 용이하며, 시각장애인 등의 점자 콘텐츠 소비자에게 콘텐츠 제작자가 강조하고자 하는 문장 또는 단어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braille content that is easy to carry regardless of the amount of content, and can effectively deliver sentences or words that content creators want to emphasize to braille content consumers such as the visually impaired. to provide a system.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은 점자 콘텐츠 제작단말로부터 각각 텍스트와 상기 텍스트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를 점역하여 점역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점역데이터에 상기 텍스트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매핑함으로써 점자 콘텐츠를 생성하는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 및 상기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상기 점자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ystem for providing braille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ext and metadata according to the text from a braill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transliterates the text to generate transliteration data, and adds the transliteration data to the text. and a braille content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braille content by mapping the corresponding metadata, and a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braille content generated from the braille content generating module.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텍스트의 출력 속도정보와 출력 감도정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tadata includes output speed information and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text.

한편, 상기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은 점자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 또는 되도록 상하 이동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점자 콘텐츠에 대응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각각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raille string,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s or includes a protrusion that moves up and down as much as possible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actuators and the braille content.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each of the actuators.

이때,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돌기를 회전시키거나 진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 속도정보에 따라 상기 돌기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고, 출력 감도정보에 따라 상기 돌기의 이동 거리, 돌기의 회전, 돌기의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tuator is formed to rotate or vibrate the protrusion,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ovement speed of the protrusion according to the output spe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raille content, and moves the protrusion according to the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perform at least any one or more of distance, rotation of the protrusion, and vibration of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은 상기 돌기의 이동 속도와 상기 돌기의 이동 거리, 회전,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switch capable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moving speed of the protrusion, a moving distance, rotation, and vibration of the protrus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은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을 쥐고 있으면 연속적으로 점자가 출력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점자 콘텐츠 제작자가 강조하고자 하는 문장 또는 단어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함에 따라 점자 콘텐츠 소비자의 점자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 향상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raill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outputs braille when holding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making it easy to carry, and as the braille content creator effectively delivers the sentences or words to be emphasized, the braille content consumer It can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braille content.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점자출력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점역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액추에이터와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braille printer.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braill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ransliteration unit of a system for providing braill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ctuator and a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of a system for providing braill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that an arbitrary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or "top (or below)"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Furthermore,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ring to “A and/or B”, it means A, B or A and B,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when referring to “C to D”, i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eans that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C and less than or equal to 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ystem for providing braille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ystem for providing braill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액추에이터와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ctuator and a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of a system for providing braill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은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100)과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200)을 포함한다.2 and 3 , the braill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ille content generating module 100 and a braille content outputting module 20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100)은 점자 콘텐츠 제작단말(T)로부터 각각 텍스트와 이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텍스트 입력부(110)와 메타데이터 입력부(12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braille content generating module 100 includes a text input unit 110 and a metadata input unit 120 for receiving text and corresponding metadata from the braill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T,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점자 콘텐츠 제작단말(T)은 점자 콘텐츠를 제작자의 모바일폰이나 넷북, PC 등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braill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T may be a mobile phone, a netbook, a PC, or the like of the braille content creator.

또한, 상기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100)은 상기 점자 콘텐츠 제작단말(T)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상기 점자 콘텐츠 제작단말(T)과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서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ille content generation module 100 may be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braill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T or a server connected to the braill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T by wire or wireless.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텍스트의 출력 속도정보와 출력 감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metadata may include output speed information and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text.

상기 출력 속도정보는 상기 텍스트 전체의 출력 속도정보 또는 상기 텍스트 중 특정 단어나 특정 문장 등에 한정되는 출력 속도정보일 수도 있다.The output speed information may be output speed information of the entire text or output speed information limited to a specific word or a specific sentence in the text.

또한, 상기 출력 감도정보는 후술할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상기 텍스트 전체의 출력 감도정보 또는 상기 텍스트 중 특정 단어나 특정 문장 등에 한정되는 출력 감도정보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is implemented by an actuator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entire text or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limited to a specific word or a specific sentence among the text.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 속도정보와 상기 출력 감도정보는 각각 숫자나 문자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output speed information and the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by numbers or characters, respectively.

한편, 상기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100)은 상기 텍스트(111)를 점역하여 점역데이터를 생성하는 점역부(130)와 상기 점역데이터에 상기 메타데이터를 매핑(mapping)하여 점자 콘텐츠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매핑부(140)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braille content generation module 100 is a transliteration unit 130 that transliterates the text 111 to generate transliteration data, and metadata for generating braille contents by mapping the metadata to the transliteration data. It further includes a mapping unit 14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역부(130)는 상기 텍스트를 모음과 자음을 각각 분리하고 이들 모음과 자음에 각각 기 부여된 맵에 따라 점역을 수행한다.More specifically, the transliteration unit 130 separates the text into vowels and consonants, and transliterates the vowels and consonants according to a map previously assigned to them.

이에 따라, 상기 점역부(130)는 상기 텍스트를 모음과 자음으로 분리하는 텍스트 분리부(131)와 모음과 자음에 각각 부여된 코드 등이 저장되는 점역코드 데이터베이스(132) 및 상기 텍스트 분리부(131)에 의하여 분리된 자음과 모음에 각각 상기 점역코드 테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코드를 매칭시켜 점역 테이터를 생성하는 점역코드 매칭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ransliteration unit 130 includes a text separation unit 131 that separates the text into vowels and consonants, a transliteration code database 132 that stores codes assigned to vowels and consonants, respectively, and the text separation unit ( 131) may include a transliteration code matching unit 133 for generating transliteration data by matching the codes stored in the transliteration code database 132 to the consonants and vowels separated by the method.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 매핑부(140)는 상기 점역 테이터에 상기 텍스트의 출력 속도정보와 출력 감도정보를 추가한다.Also, the metadata mapping unit 140 adds output speed information and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text to the transliteration data.

이에 따라, 상기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100)에 의하여 생성된 점자 콘텐츠는 숫자 또는 문자 등으로 구성되는 텍스트이다.Accordingly, the braille content generated by the braille content generating module 100 is text composed of numbers or characters.

한편, 상기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200)은 상기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100)에 의하여 생성된 점자 콘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210)와 상기 통신부(210)에 의하여 수신한 상기 점자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22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that receives the braille content generated by the braille content generation module 100 and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braille content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10 . (22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100)과 유무선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100)로부터 상기 점자 콘텐츠를 수신한 모바일폰이나 PC 등의 점자 콘텐츠 이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등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braille content generating module 100 by wire or wireless or receiving the braille content from the braille content generating module 100 with a braille content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PC and Bluetooth. may be connected to

또한, 상기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200)은 점자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23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하 이동하는 돌기(231)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230)와 상기 점자 콘텐츠에 대응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230)를 각각 구동하는 제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200 corresponds to an actuator 230 including a protrusion 231 that moves up and down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32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raille string and the braille content.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240 for driving the actuators 23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액추에이터(230)는 상기 돌기(231)를 상, 하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 또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uator 230 can rotate or vibrate while moving the protrusion 231 up and down.

또한,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200)은 휴대가 용이하도록 모바일폰과 비슷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32)은 모두 사용자의 손바닥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200 may be formed in a size and shape similar to that of a mobile phone for easy portability, and the through-holes 232 are preferably form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palm of the user's palm.

또한, 상기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200)은 상기 관통홀(232)이 형성되는 면 또는 이와 직교하는 면에 상기 점자 콘텐츠의 출력 속도 및 출력 감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어 스위치(24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200 has at least one control switch 241 capable of controlling the output speed and output sensitivity of the braille content on the surface on which the through hole 232 is formed or on a surface orthogonal thereto. )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상기 제어 스위치(241)는 표면에 해당 제어 스위치(241)의 기능을 인식할 수 있는 점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switch 24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raille for recognizing the function of the control switch 241.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제어 스위치(24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점자 콘텐츠의 출력 속도 및 출력 감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40 may change the output speed and output sensitivity of the braille cont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witch 241 .

또한, 상기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200)은 상기 통신부(210)와 상기 액추에이터(230) 및 상기 제어부(24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충전단자 및 상기 점자 콘텐츠가 저장된 저장매체가 탈착되는 단자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200 includes a battery and a charging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actuator 230, and the controller 240,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the braille content is detachable terminal, etc. may further includ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하기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braill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일례로, 상기 텍스트 입력부(110)에 ‘안녕’이란 텍스트가 입력되고, 상기 메타데이터 입력부(120)에 출력 속도정보와 출력 감도정보가 각각 입력된다.For example, the text “hello” is input to the text input unit 110 , and output speed information and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are respectively input to the metadata input unit 120 .

이후, ‘안녕’이란 텍스트는 상기 텍스트 분리부(131)에 의하여 ‘ㅇ’, ‘ㅏ’, ‘ㄴ’, ㄴ’, ‘ㅕ’, ‘ㅇ’으로 분리된다.Thereafter, the text ‘hello’ is divided into ‘o’, ‘a’, ‘b’, b’, ‘ㅕ’, and ‘o’ by the text separator 131 .

이때, 상기 점역코드 데이터베이스(132)에 기 저장된 코드는 ‘ㅇ’은 ‘01’이고, ‘ㅏ’는 ‘10’이며, ‘ㄴ’은 ‘02’이고, ‘ㅕ’은 ‘20’이다.At this time, the codes pre-stored in the transliteration code database 132 are 'o' is '01', 'a' is '10', 'b' is '02', and 'ㅕ' is '20'.

이러한 경우 상기 점역코드 매칭부(132)에서 생성된 점역 데이터는 ‘011002, 022001’이 된다.In this case, the point area data generated by the point area code matching unit 132 becomes '011002, 022001'.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 매핑부(140)는 상기 점역 데이터에 1초에 한 음절씩 출력하기 위한 출력 속도정보와 ‘안’이란 음절에 해당하는 상기 돌기(231)들의 일반적인 돌출량보다 1.5배 돌출을 위한 출력 감도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adata mapping unit 140 provides output speed information for outputting one syllable per second to the point region data and 1.5 times the general protrusion amount of the protrusions 231 corresponding to the syllable 'in'.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may be added for

이에 따라, 상기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100)에 의하여 생성된 점자 콘텐츠는 ‘011002, 022001, 1, 1.5’인 텍스트 형태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braille content generated by the braille content generating module 100 may be in the form of text '011002, 022001, 1, 1.5'.

이때, 상기 출력 감도정보가 ‘녕’이란 음절에 해당하는 상기 돌기(231)들에 대하여 상기 관통홀(232)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 후, 회전 또는 진동이 수행되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for performing rotation or vibration after protruding out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232 with respect to the projections 231 corresponding to the syllable 'nyeong'. .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텍스트로 구성되는 점자 콘텐츠를 수신한 상기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200)은 상기 제어부(240)에 의하여 구동되는 복수 개의 상기 액추에이터(230)를 통하여 출력된다.Meanwhile,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200 that has received the braille content composed of text as described above is output through the plurality of actuators 230 driven by the controller 240 .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200)에 손바닥을 올려놓은 상태로 상기 돌기(231)들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 회전, 진동 등에 의하여 상기 점자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recognize the braille content by pressure, rotation, vibration, etc. applied by the protrusions 231 with the user's palm placed on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200 .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에 의하여 생성 및 출력되는 점자 콘텐츠는 단순한 의미 전달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작자가 강조하고 싶은 문장이나 단어 들에 대하여 상기 돌기(231)들에 의하여 사용자 손바닥에 느껴지는 압력 등을 달리하여 표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raille content generated and output by the braill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rely convey meaning, but is placed in the palm of the user's palm by the protrusions 231 for sentences or words that the producer wants to emphasize. It can be expressed by varying the pressure fel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에서 상기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200)의 사용자는 점자 익숙도, 인지 능력 등에 따라 스스로 상기 제어 스위치(241)를 통하여 출력 속도나 출력 감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system for providing braille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200 may control the output speed or output sensitivity through the control switch 241 by themselves according to braille familiarity, cognitive ability, and the lik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T. 점자 콘텐츠 제작단말기
100.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
110. 텍스트 입력부
120. 메타데이터 입력부
130. 점역부
131. 텍스트 분리부
132. 점역코드 데이터베이스
133. 점역코드 매칭부
140. 메타데이터 매핑부
200.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액추에이터
231. 돌기
232. 관통홀
240. 제어부
241. 제어 스위치
T. Braill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0. Braille content creation module
110. Text input section
120. Metadata input
130. clerk
131. Text Separator
132. Transliteration Code Database
133. Interpretation code matching unit
140. Metadata mapping unit
200.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210. Ministry of Communications
220. Reservoir
230. Actuator
231. Turning
232. Through hole
240. Controls
241. Control switch

Claims (5)

점자 콘텐츠 제작단말로부터 각각 텍스트와 상기 텍스트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를 점역하여 점역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점역데이터에 상기 텍스트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매핑함으로써 점자 콘텐츠를 생성하는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 및
상기 점자 콘텐츠 생성모듈로부터 생성된 상기 점자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
a braille content generation module for receiving text and metadata according to the text from a braill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translating the text to generate transliteration data, and mapping the metadata according to the text to the transliteration data to generate braille contents; and
Braille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ing a;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braille content generated by the braille content generation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텍스트의 출력 속도정보와 출력 감도정보를 포함하는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adata is a braille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ing output speed information and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tex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은
점자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 또는 되도록 상하 이동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액추에이터;
상기 점자 콘텐츠에 대응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각각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is
a plurality of actuators dispos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raille string and including protrusion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s or moving up and down as much as possible;
Braille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respectively driving the actuator to correspond to the braille conten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돌기를 회전시키거나 진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 속도정보에 따라 상기 돌기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고, 출력 감도정보에 따라 상기 돌기의 이동 거리, 돌기의 회전, 돌기의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ctuator is formed to rotate or vibrate the protrus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ing speed of the protrusion according to the output spee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raille content, and controls to perform at least any one or more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protrusion, the rota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vibration of the protrusion according to the output sensitivity information Braille content providing syste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콘텐츠 출력모듈은
상기 돌기의 이동 속도와 상기 돌기의 이동 거리, 회전,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점자 콘텐츠 제공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raille content output module is
Braille content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switch capable of controlling at least any one or more of the moving speed of the protrusion, the moving distance, rotation, and vibration of the protrusion.
KR1020210017383A 2021-02-08 2021-02-08 Providing system of braille content KR202201141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383A KR20220114179A (en) 2021-02-08 2021-02-08 Providing system of braille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383A KR20220114179A (en) 2021-02-08 2021-02-08 Providing system of braille con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179A true KR20220114179A (en) 2022-08-17

Family

ID=8311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383A KR20220114179A (en) 2021-02-08 2021-02-08 Providing system of braille con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17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508A (en) 2015-09-14 2017-03-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ortable apparatus of braille outpu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508A (en) 2015-09-14 2017-03-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ortable apparatus of braille outp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0374A1 (en)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expressive content
CN101243384A (en) Navigational interface providing auxiliary character support for mobile and wearable computers
KR20100029219A (en) Multi-modal smartpen computing system
KR20010093812A (en) Touch-typable devices based on ambiguous codes and methods to design such devices
CN104471639A (en) Voice and gesture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KR20180015515A (en) Method and system for learning languages using a smart pen
CN107798322A (en) A kind of smart pen
JP3856774B2 (en) Audio output device, information input device, file selection device, telephone, program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WO2003098599A1 (en) Voice command and voice recognition for hand-held devices
KR20220114179A (en) Providing system of braille content
KR100579814B1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Hurlburt Emoji: Lingua Franca or Passing Fancy?
KR20230028071A (en) System of generating hangul font with handwriting scrip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rato et al. Java-powered braille slate talker
KR20220118818A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977594B1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hangul for leaming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
CN100549917C (en) Visually handicapped rapid position fixing method and device
US20230400933A1 (en) Adaptive chord typing system
JP7318678B2 (en) Information equipment, processing systems, and programs
WO2018217482A1 (en) One-handed typing system for eyes-free operation using a numerical key unit
Barathkumar et al. Braille Based Mobile Communication for Deaf and Blind People
US11922009B2 (en) Using a stylus to input typed text into text boxes
Shoeb et al. Implemen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Sustainable Smart Voice Assistance
Ashri et al. AI Is the New UI
US20220319497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