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16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165A
KR20220114165A KR1020210017343A KR20210017343A KR20220114165A KR 20220114165 A KR20220114165 A KR 20220114165A KR 1020210017343 A KR1020210017343 A KR 1020210017343A KR 20210017343 A KR20210017343 A KR 20210017343A KR 20220114165 A KR20220114165 A KR 2022011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ear cover
cover
hol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한
진동현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7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165A/ko
Priority to AU2022217093A priority patent/AU2022217093A1/en
Priority to PCT/KR2022/001804 priority patent/WO2022169318A1/en
Priority to TW111104436A priority patent/TW202237934A/zh
Priority to EP22155584.0A priority patent/EP4039869A1/en
Priority to CN202210118382.2A priority patent/CN114908520A/zh
Priority to US17/667,003 priority patent/US20220251763A1/en
Publication of KR2022011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원통형상의 드럼바디 및 상기 드럼바디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후방커버를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후방커버 관통홀,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을 폐쇄하는 축브라켓, 상기 후방커버에 위치하여 상기 축브라켓 및 상기 회전축이 상기 의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Clothes treatment apparatus}
본 개시(disclosure)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드럼 바닥면의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및 세탁소에서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며,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를 말한다.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되는 것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모두 갖는 세탁/건조기, 그리고, 의류를 리프레시(refresh)하는 의류관리기,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건조기는 배기식 건조기 또는 순환식 건조기로 구분되는데, 공통적으로 히터를 통해 고온의 열풍을 생산하고 상기 열풍을 의류에 노출시킴으로 의류 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즉, 드럼(또는 터브)으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 등과 같은 처리 대상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처리 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게 된다. 이때, 수분을 머금고 고온다습화 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응축식과 배기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통상적인 건조기는 의류 내부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구성을 생략하고 캐비닛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터브도 생략하여 건조행정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건조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열풍을 직접 공급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었다.
특히, 통상적인 건조기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의 회전을 위해, 드럼의 외주면을 감싸는 벨트를 이용하여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였다. 건조기는 세탁기와 달리 드럼의 회전수를 높게 유지할 필요성이나 회전방향을 변경할 필요성이 낮기 때문에, 벨트를 이용하여 회전시켜도 무방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건조기에 구비되는 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면, 건조기 역시 건조시간을 단축하거나 건조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65931호에는 드럼의 후방에서 모터가 드럼과 연결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건조기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드럼의 회전축(샤프트)이 드럼의 바닥면을 관통한 후, 드럼의 바닥면 및 커플러를 스터드(Stud)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일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복잡한 조립구조가 사용자의 육안에 보여 미감상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드럼의 바닥면 및 스터드의 결합부재, 드럼의 바닥면 중 회전축이 위치하는 곳의 복잡한 형상 및 스터드의 볼록튀어나온 형상 등은 드럼에 의해 회전하는 옷감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의류에 부착된 지퍼(zipper)등에 의해 드럼의 바닥면, 스터드 및 커플러등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스크래치가 발생된 상태에서는 수분에 의해 해당 부품들에 녹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첫째, 본 개시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둘째, 본 개시는 드럼의 회전시 의류에 의한 드럼의 바닥면 및 상기 드럼의 바닥면과 상기 드럼회전축의 결합을 위한 여러 조립부재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셋째, 본 개시는 손상된 조립부재가 젖은 의류에 의해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셋째, 본 개시는 드럼 및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의 조립형상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드럼과 드럼회전축이 결합하는 부위를 드럼의 내부에서 보호할 수 있는 돔(dome)형태의 보호커버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커버에 의해 드럼회전축 및 부싱(또는 축브라켓)등이 의류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통형상의 드럼바디 및 상기 드럼바디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후방커버를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후방커버 관통홀;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을 폐쇄하는 축브라켓; 및 상기 후방커버에 위치하여 상기 축브라켓 및 상기 회전축이 상기 의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와 보호커버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보호커버의 중심에서 상기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커버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양단 중 상기 드럼의 내부로 삽입되는 일단에서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체결홀에 대응되어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위치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 체결부재는 상기 커버체결홀을 통해 상기 커버위치홀과 나사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후방커버를 향하는 보호커버후면; 및 상기 보호커버후면에서 상기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과 후크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보호커버후면에서 상기 커버후크를 방사방향으로 감싸도록 위치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지지하는 커버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커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축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축체결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축브라켓과 결합하고 상기 드럼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의 외경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축브라켓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의 외경의 절반은 상기 후방커버의 중심에서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까지의 거리 중 최대거리보다 커서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 및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의 일부는 상기 후방커버와 결합시,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을 통해 상기 드럼의 내부로 삽입되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축브라켓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축체결홀을 포함하는 링형태의 축결합부; 상기 축결합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는 축브라켓 플랜지; 및 상기 축결합부와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축브라켓 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가 상기 후방커버에 결합시,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을 통해 상기 드럼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 경사부는 상기 축결합부에서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축체결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이 넓어지도록 상기 축결합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부; 및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를 연결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축체결홀에서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가 만나는 위치까지의 거리는 상기 축체결홀에서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까지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는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축브라켓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축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과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이 서로 연통된 후 브라켓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의 외경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중 일부가 상기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축 플랜지; 상기 회전축의 양단 중 상기 축체결홀에 삽입되는 일단과 상기 회전축 플랜지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회전축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전축 삽입부; 및 상기 회전축 나사산과 상기 회전축 플랜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축브라켓과 결합되는 축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 삽입부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축브라켓 및 상기 후방커버와 결합시, 상기 축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드럼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축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너트는 상기 보호커버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가 구비된 모터; 및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모터의 사이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로터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로터축, 일단이 상기 축브라켓에 결합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로터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기어유닛이 구비된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축브라켓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의 외경의 절반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후방커버의 중심에서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까지의 거리중 최소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축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과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이 서로 연통된 후 브라켓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은 상기 후방커버의 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가 상기 후방커버에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첫째, 본 개시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개시는 드럼의 회전시 의류에 의한 드럼의 바닥면 및 상기 드럼의 바닥면과 상기 드럼회전축의 결합을 위한 여러 조립부재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개시는 손상된 조립부재가 젖은 의류에 의해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개시는 드럼 및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의 조립형상이 노출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의류와 접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의류처치장치의 일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동력전달부의 일례는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동력전달부를 분해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동력전달부의 일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드럼 및 보호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보호커버를 제외하여 축브라켓 및 체결너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드럼의 후방커버를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8(b)는 보호커버, 드럼회전축, 축브라켓 및 후방커버가 조립된 일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c)는 보호커버, 드럼회전축, 축브라켓 및 후방커버가 조립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드럼의 후방커버 부분을 분해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10(a)와 도 10(b)는 각각 축 바라켓을 전방 및 후방에서 바라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는 후방커버를 전방에서 바라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b)는 후방커버를 후방에서 바라본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보호커버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특정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예시된 실시예의 한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일」 및 「동일하다」 등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수직하게」, 「중심으로」, 「동심」 혹은 「동축」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같은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낸다.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 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제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구성요소 없이 제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럼(2)으로 고온의 건조공기(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실내 공기의 건조도보다 높은 건조도의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 및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17)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는 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도어(113)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5)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15)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드럼(2)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바디(21), 상기 드럼바디(21)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바디(21)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2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방커버(22)에는 상기 드럼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221)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외기를 상기 드럼바디(21)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233, 도 3참조)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21)에는 리프터(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24, 도 7참조)는 상기 전방커버(22)에서 후방커버(23)를 향해 연장된 판(board)이, 상기 드럼바디(21)에서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드럼의 원주면에서 드럼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2)에는 상기 드럼 내부를 드럼의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바디(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드럼(2)은 바디 제1지지부(12)와 바디 제2지지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23)는 모터(5, 도 3참조)를 통해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전방커버(22)는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패널(1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은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패널(11)의 후방면(지지패널을 향하는 면)은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은 지지패널 관통홀(122),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결하는 드럼 연결바디(123, 도 2 참고),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투입구(111)를 연결하는 패널 연결바디(1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은 상기 지지패널(1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통시키는 수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드럼 투입구를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전방커버(22)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드럼 투입구(221)에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형성하는 전방커버(22)의 자유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이 상기 전방커버(22)의 자유단에 접촉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는 링 형상의 연결 댐퍼(1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댐퍼(124)는 상기 드럼(2)이 회전하거나 진동할 때 상기 드럼 투입구(221)가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에서 분리되는 위험(드럼 내부의 공기가 캐비닛으로 누출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전방패널을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의 타단은 상기 투입구(1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111)로 공급되는 의류는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 지지패널 관통홀(122), 드럼 연결바디(123), 및 드럼 투입구(221)를 통해 상기 드럼바디(2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에는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를 관통하는 배기구(126)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126)에는 필터(127)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7)는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배기구(126)로 이동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에는 상기 드럼(2)의 처짐을 방지하는 드럼 지지부(1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지지부는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128) 및 제2롤러(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제1롤러(128)가 드럼바디(21)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상기 롤러들은 상기 전방커버(22)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는 상기 후방커버(23)와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 고정패널(15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후방면(캐비닛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모터(5)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모터 장착홈(1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착홈(152)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드럼의 후방커버(23)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축(회전축)이 관통하는 고정패널 관통홀(153)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은 상기 모터 장착홈(15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이 드럼바디(21),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후방커버(23)로 구비되면, 상기 드럼바디(21)의 개방된 전방면과 후방면이 상기 지지패널(121)과 고정패널(15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에 비해 드럼의 강성이 높아진다. 드럼의 강성이 높아지면, 드럼의 회전 시 드럼바디(21)의 변형을 최소화 가능하며, 이는 드럼바디(21)의 변형 시 드럼 바디와 지지패널 사이의 공간, 드럼 바디와 고정패널 사이의 공간에 의류가 끼이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모터의 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3)는 상기 배기구(126)에 연결된 배기유로(31),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바디(21)로 안내하는 공급유로(32), 및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3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31)는 상기 배기구(126)에 연결된 제1덕트(311), 상기 공급유로(32)에 연결된 제2덕트(312), 상기 제1덕트(311)와 제2덕트(312)를 연결하는 제3덕트(3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13)는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유로(3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열교환부(34)가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유로(31)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341),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3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343), 및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를 순차적으로 거친 뒤 상기 공급유로(32)로 이동하게 하는 팬(349)을 포함한다.
상기 흡열부(341)와 상기 발열부(343)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3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냉매는 상기 배기유로(31)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345)에 의해 상기 냉매관(3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348)에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347)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 구비된 공기유입구(233)는 다수의 홀들이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유로(32)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구비되어 상기 제2덕트(3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공급덕트(321), 상기 공급덕트(321)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유입구(233)로 안내하는 제1유로형성부(323) 및 제2유로형성부(32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21)는 상기 고정패널(151)이 상기 후방커버(2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유로(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덕트(321)는 상기 모터 장착홈(152)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덕트(312)는 상기 공급덕트(321)의 원주면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는 상기 공기유입구(233)들이 형성하는 링(ring)의 외측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324)는 상기 공기유입구(233)들이 형성하는 링의 내측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와 제2유로형성부(324)는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공급덕트(321)에 고정될 수도 있는데, 도 3는 상기 유로형성부들(323, 324)이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경우,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의 자유단은 상기 공급덕트(321)가 형성하는 유로(링 형상의 유로)의 외측 원주면을 감싸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324)의 자유단은 상기 공급덕트(321)가 형성하는 유로의 내측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와 제2유로형성부(324)는 고무나 펠트(felt)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모터(5)는 상기 모터 장착홈(152)에 위치하여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1),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52)의 회전운동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동력전달부(6)를 통해 상기 드럼(2)으로 전달되며,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고정패널(151)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터(51)가 상기 동력전달부(6)에 고정되면, 상기 동력전달부(6)에 구비된 로터축(64)과 회전축(65)의 동축도(coaxiality) 유지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드럼의 회전 시 의류처리장치의 진동을 최소화 가능하고, 동력전달부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모터 장착홈(512)에 구비된 모터(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외부 환경에 모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터의 내구성 향상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모터(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패널(1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 패널(19)은 상기 공급덕트(321)도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형상(공급덕트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21)의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상기 공급덕트(321)에 신체가 접촉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 및 상기 회전력을 드럼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의 로터축(64)이 드럼과 바로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동력전달부(6)에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6)에서는 다시 별도의 회전축(65)에 의해 드럼과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모터(5)의 회전속도를 동력전달부(6)를 통해 낮추고 토크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구동부(10)는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1),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가 구비된 모터(5), 상기 후방커버(23)와 상기 모터(5)의 사이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로터(52)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52)와 함께 회전하는 로터축(64), 일단이 상기 축브라켓(27)에 결합하여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회전축(65), 및 상기 로터축(64)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축(65)에 전달하는 기어유닛(G)이 구비된 동력전달부(6)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동력전달부(6)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부(6)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하우징(H, 도 5참조), 상기 하우징(H)의 바닥면(로터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로터축(64), 상기 하우징(H)의 상부면(고정패널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65),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축(64)의 회전운동을 상기 회전축(65)으로 전달하는 기어유닛(G, 도 5참조)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축(64)은 일단은 상기 로터(5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65)은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H)의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H)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2)이 위치된 공간(캐비닛 내부 공간)과 분리된 공간(캐비닛 외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내부의 열(드럼이나 건조부에서 방출되는 열)이 상기 하우징(H)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부(6)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로터축(64)은 도 3에 도시된 축 체결부(54)를 통해 상기 로터(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 체결부(54)는 디스크 형상의 체결바디, 및 상기 체결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터축(64)의 일단이 결합하는 축 결합홀(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5)은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에 삽입되어 상기 드럼(2)에 연결되는데,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상기 회전축(65)이 고정되는 축브라켓(27, 도 3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5)의 회전 시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H)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부 장착홈(152)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H)은 전달부 브라켓(61)과 하우징 체결부(612)를 통해 통해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부 브라켓(61)에는 상기 회전축(65)이 관통하는 브라켓 관통홀(61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체결부(612)는 상기 하우징(H)과 상기 전달부 브라켓(61)을 연결하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 브라켓(61)은 상기 고정패널(151)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고정패널(151)의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가진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는 상기 전달부 브라켓(61)이 상기 고정패널(151) 중 상기 후방커버(23)를 향하는 면에 고정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전달부 브라켓(61)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커버 패널(19)을 향하는 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고정패널(151)을 향하는 면에 개방홀이 구비된 하우징 바디(62), 및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홀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6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62)는 상기 기어유닛(G)이 장착되는 수용공간(622)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수용공간(622)은 상기 개방홀을 통해 외부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622)은 상기 로터축(64)이 고정되는 하우징 베이스(621a),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621a)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하우징 커버(63)를 향해 연장되는 하우징 원주면(621b)을 통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바디(62)에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621a)에서 상기 로터(52)를 향해 연장되는 로터축 지지부(625)가 구비되는데, 상기 로터축 지지부(625)는 상기 하우징 바디(62)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로터축 관통홀(626)을 감싸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로터축 관통홀(626)은 상기 로터축 지지부(625)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622)에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축 관통홀(626)에 삽입된 상기 로터축(64)은 로터축 베어링(628, 629)을 통해 상기 로터축 지지부(62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로터축 베어링)은 로터축 제1베어링(628), 및 상기 로터축 제1베어링(628)과 상기 로터(5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터축 관통홀(626) 내부에 고정된 로터축 제2베어링(62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축 지지부(625)의 자유단은 상기 축 체결부(54)에 구비된 체결바디 절곡부(542)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로터축 베어링들(628, 629)을 고정하려면 상기 로터축 지지부(625)의 길이가 길어질 수 밖에 없는데, 상기 로터축 지지부(625)의 자유단이 상기 체결바디 절곡부(542)에 삽입되면, 상기 모터(5)와 동력전달부(6)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구비된 개방홀을 개폐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은 상기 하우징 커버(63)가 디스크 형상의 커버 바디(63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하우징 원주면(621b)에 구비된 커버 고정판(623)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커버 바디(631)에서 상기 고정패널(151)을 향해 연장된 회전축 지지부(635), 상기 회전축 지지부(6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65)이 삽입되는 회전축 관통홀(632), 및 상기 회전축 지지부(635)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65)을 상기 회전축 관통홀(63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 베어링(638, 639)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커버 바디(631)에 구비되어 상기 스테이터(51)가 고정되는 장착부(637)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637)는 스테이터 체결부(볼트 등)가 결합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은 상기 장착부(637)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착부(637)는 상기 커버 바디(631)의 원주면을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터 브라켓(515)은 상기 장착부(637)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637)가 상기 커버 바디(631)에서 상기 로터(52)를 향해 돌출된 원통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커버 고정판(623)에는 상기 장착부(637)가 삽입되는 고정판 관통홀(62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고정판(623)의 외경을 최소화 하기 위함(하우징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 커버(63)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커버 바디(631)에는 상기 회전축 관통홀(632)이 포함된 영역이 상기 고정패널(151)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절곡부(6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베어링은 상기 회전축 지지부(635)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 관통홀(632)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 제1베어링(638) 및 회전축 제2베어링(639)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외기가 상기 회전축 베어링(638, 639)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커버(63)에는 상기 회전축 지지부(635)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 관통홀(632)을 폐쇄하는 실러(633)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H)은 하우징 체결부(612)를 통해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체결부 관통홀(516)에 삽입된 스테이터 체결부가 상기 장착부(637)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되며, 상기 로터(52)는 로터축(64)을 통해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된다. 즉, 상기 스테이터(51) 및 로터(52)는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되므로(스테이터 및 로터는 하우징과 함께 진동하므로), 상기 로터축(64)과 회전축(65)의 동축도(coaxiality)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기어유닛(G)은 상기 하우징 원주면(621b)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622)에 위치하는 링 기어(66), 상기 로터축(64)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622)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69), 상기 수용공간(622)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65)의 타단이 고정된 케이지(67), 상기 케이지(6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주동기어(69)와 상기 링 기어(66)를 연결하는 종동기어(9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축(64)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로터축 베어링(628, 629)이나 로터축 지지부(625)에서 이탈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댐퍼(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9)는 상기 로터축 제1베어링(628)과 상기 로터축 제2베어링(629)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터축 관통홀(626)에 구비되며, 상기 로터축 제1베어링(628)의 진동이 상기 로터축 제2베어링(629)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쇠하는 수단이다.
상기 댐퍼(9)는 상기 로터축(64)의 원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축 제1베어링(628)과 상기 로터축 제2베어링(629)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고무 등)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9)는 상기 로터축(64)의 지름보다는 길고 상기 로터축 관통홀(626)의 지름보다 짧은 지름을 가진 댐핑 바디(91, 로터축 베어링의 외경보다 짧은 지름을 가진 댐핑 바디), 및 상기 댐핑 바디(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터축(64)이 삽입되는 댐핑 바디 관통홀(9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댐핑 바디(91)의 일면은 상기 로터축 제1베어링(628)에 접촉하고, 상기 댐핑 바디(91)의 다른 일면은 상기 로터축 제2베어링(629)에 접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로터축 지지부(625)에는 상기 로터축 관통홀(626)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로터축 제1베어링(628)과 로터축 제2베어링(629) 사이에 위치하는 스토퍼(627, 제1스토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627)는 상기 로터축 제1베어링(628)이 상기 로터축 제2베어링(629)을 향해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수단, 또는 상기 로터축 제2베어링(629)이 상기 로터축 제1베어링(628)을 향해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댐핑 바디(91)는 상기 로터축(64)이 원주면에 결합되기 때문에(댐핑 바디는 로터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댐핑 바디(91)의 반지름(댐퍼의 외측 반지름)은 상기 로터축 관통홀(626)의 중심에서 상기 제1스토퍼(627)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65)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 베어링(638, 639)이 하우징(H)에서 이탈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 지지부(635)에는 상기 회전축 제1베어링(638)과 상기 회전축 제2베어링(639)의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635c, 제2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H) 내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기 하우징(H)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에는 방열부(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부(8)는 상기 체결바디(541)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바디(62)와 상기 로터(52) 사이의 공기를 상기 로터(52)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방열부(81),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원주면(621a)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622) 내부의 열을 상기 수용공간(622)의 외부에 방출시키는 제2방열부(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열부(81)는 상기 체결바디(541)에서 상기 하우징 베이스(621a)를 향해 돌출된 블레이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52)의 회전 시 상기 체결바디(541) 및 상기 제1방열부(81)가 회전할 것이므로, 상기 로터(52)와 상기 하우징 바디(62) 사이의 공기는 상기 로터 관통홀(531) 등을 통해 로터(52)의 외부로 배출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H)의 온도는 낮아지게 될 것이다.
도 5는 상기 제1방열부(81)가 다수의 블레이드가 상기 축 결합홀(5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인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체결바디(541)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체결바디(541)에 체결바디 절곡부(542)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방열부(81)는 상기 체결바디 절곡부(542)에서 상기 체결바디(541)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블레이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블레이드의 높이(체결바디에서 하우징 바디를 향하는 방향에 대한 블레이드의 길이)를 높임으로써, 공기의 배출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부(82)는 상기 하우징 원주면(621b)에서 돌출된 하우징 돌출부(냉각핀 등) 또는 상기 하우징 원주면(621b)에서 상기 수용공간(622)를 향해 절곡된 하우징 절곡부(절곡홈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열부(82)는 상기 하우징 원주면(621b)의 표면적을 넓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바디(62)가 외기와 열교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a)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드럼(2)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드럼(2)은 원통형상의 드럼바디(21) 및 상기 드럼바디(21)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21)에는 리프터(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24)는 상기 전방커버(22)에서 후방커버(23)를 향해 연장된 판(board)이, 상기 드럼바디(21)에서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드럼의 원주면에서 드럼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21)의 내주면은 엠보싱(embossing)처리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바디(21)의 내주면은 의류와의 접촉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드럼바디의 외주면쪽으로 곡면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가 일정간격으로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는 상대적으로 좀더 큰 반지름을 갖는 제1형태와 상대적으로 작은 반지름을 갖는 제2형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형태의 사이사이에 상기 제2형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리프터(24)는 직선형태의 판일 수도 있으나,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24)는 물결모양으로 구부러진 곡면을 갖는 판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리프터(24)는 상기 드럼(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다가 변곡점을 지나 다시 볼록한 형태의 곡선을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후방커버(23)의 공기유입구(233)에서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의류가 잘 건조될 수 있도록, 의류를 전방보다 후방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리프터(24)는 상기 드럼바디(21)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 구비된 공기유입구(233)는 다수의 홀들이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유로(32)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구비되어 상기 제2덕트(3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공급덕트(321), 상기 공급덕트(321)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유입구(233)로 안내하는 제1유로형성부(323) 및 제2유로형성부(32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은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에서 축브라켓(27) 및 회전축(65)이 의류수용공간(211)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커버(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상기 보호커버(25)를 제거시 노출되는 축브라켓(27)의 일부, 회전축(65), 체결너트(26) 및 브라켓 체결부재(225)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원통형상의 드럼바디(21) 및 상기 드럼바디(21)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23)를 포함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10), 상기 후방커버(23)를 상기 회전축(65)의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후방커버 관통홀(231),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65)과 결합하여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폐쇄하는 축브라켓(27), 및 상기 후방커버(23)에 위치하여 상기 축브라켓(27) 및 상기 회전축(65)이 상기 의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커버(25)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25)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축브라켓(27) 및 상기 회전축(65)이 노출될 수 있다. 비록 상기 축브라켓(27) 및 상기 회전축(65)이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고 하더라도, 의류에 붙어 있는 장신구 또는 지퍼 등에 의해 스크래치등이 발생할 수 있고, 젖은 의류에 의해 녹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보호커버(25)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커버(25)의 재질은 플라스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브라켓(27) 및 상기 회전축(65)을 가리기 위해 돔(dome)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커버(25)는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커버(2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보호커버의 뒷면, 즉 보호커버후면(259)에는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덮을 수 있다. 보호커버(25)가 가리는 일정영역이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포함하여 상기 보호커버(25)가 상기 후방커버(23)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영역을 뜻한다.
도 7(a)는 상기 보호커버가 덮는 일정영역으로 상기 보호커버(25)가 상기 축브라켓(27)과 상기 후방커버(23)를 결합시키는 브라켓 체결부재(225)를 포함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달리,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25)는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225)를 노출시키고,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과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둘레 일부분만을 가릴 수 있다.
도 8(a)는 후방커버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후방커버(23)는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에 상기 축브라켓(27) 및 상기 회전축(65)이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후방커버 관통홀(231, 도 9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은 상기 회전축(65)의 축방향으로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의 회전을 위해 상기 회전축(65)이 상기 드럼(2)과 연결되어야 하는데, 상기 회전축(65)은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에 구비되는 축브라켓(27)에 결합되고, 상기 축브라켓(27)은 후방커버(23)에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폐쇄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9를 참조하면, 보호커버(25)는 상기 회전축(6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25)는 상기 보호커버(25)의 중심을 상기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커버체결홀(2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체결홀(251)을 통해 상기 보호커버(25)와 상기 회전축(65)은 보호커버 체결부재(25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 체결부재(255)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체결홀(251)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보호커버 체결부재(255)의 머리부분의 크기에 대응되게 함몰되어 있어, 상기 보호커버 체결부재(255)의 머리부분, 즉 나사의 헤드가 상기 보호커버(25)에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돌출된 머리로 인해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 체결부재(255)의 나사산은 상기 드럼(2)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회전축(65)과 상기 보호커버(25)가 더욱더 결합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드럼(2)의 회전시, 상기 보호커버 체결부재(255)가 상기 회전축(65)으로부터 풀려, 상기 후방커버(23)와 상기 보호커버(25)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회전축(65)은 상기 축브라켓(27)을 통해 상기 후방커버(23)와 결합되고, 상기 보호커버(25)는 상기 회전축(65)에 결합되므로, 상기 회전축(65)의 회전시, 상기 후방커버(23) 및 상기 보호커버(25)는 같은 속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후방커버(23)와 상기 보호커버(25)사이에 속도차에 의한 슬립이나 마찰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후방커버(23)는 중심에 축브라켓(27)이 삽입되는 후방커버 결합홀(272), 상기 후방커버(23)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후방커버 결합홀(272)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 상기 후방커버(23)에서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 및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2)의 전방으로 융기되어 상기 보호커버(25)와 결합하는 영역인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는 공기유입구(233)가 위치한 지역보다 상기 드럼(2)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의 후방에 구동부(10)가 위치하는 경우, 구동부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기 위함이다. 즉, 상기 구동부(10)에서 특히 동력전달부의 회전축(65)이 앞으로 돌출되어 나오게 되는데, 이 부분이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의 함몰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축 수용공간(279) 에 수용될 것이다. 이후, 상기 회전축(65)과 축브라켓(27)은 후방커버의 후면인 결합후면(2352)에 형성되는 후면함몰부(2311), 도 11(b) 참조)에 수용되므로 상기 드럼(2)과 상기 구동부(10)의 결합시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23)는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에서 바퀴살(spoke)와 같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커버(23)의 둘레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후방커버 보강리브(2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 보강리브(237)는 상기 후방커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보강리브(237)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공기유입구(233)가 상기 후방커버(2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폐쇄하는 축브라켓(27)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65)을 상기 드럼(2)의 내부로 돌출시키기 위해 상기 축브라켓(27)을 관통하는 축체결홀(2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후방커버(23)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체결홀(271)은 상기 축브라켓(27)의 돌출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b)는 후방커버(23), 축브라켓(27), 회전축(65) 및 보호커버(25)가 결합된 일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65)은 상기 축체결홀(27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5)이 상기 축체결홀(271)에 결합시, 상기 회전축(65)은 상기 축체결홀(271)를 통해 삽입되는 길이가 소정 길이를 초과하면 상기 축체결홀(271)을 통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65)의 외주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축 플랜지(655, 도 9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65)이 상기 축브라켓(27)에 조립시 상기 회전축 플랜지(655)는 조립을 위한 가이드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27)이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축브라켓(27)이 상기 후방커버(23)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인 경우, 상기 축브라켓(27)이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될 때,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축체결홀(271)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에 삽입되어 드럼(2)의 내부에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65)이 상기 축브라켓(27)에 결합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축(65)의 일정부분도 상기 드럼(2)의 내부에 돌출될 것이다.
도 8(c)는 동력전달부(6)의 회전축(65)이 상기 축체결홀(271)에 삽입되어 돌출되고, 상기 축브라켓(27)도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에 삽입되어 돌출된 단면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보호커버(25)는 상기 보호커버(25)의 중심에서 상기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커버체결홀(25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65)은 상기 회전축(65)의 양단 중 상기 드럼(2)의 내부로 삽입되는 일단에서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체결홀(251)에 대응되어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위치홀(65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 체결부재(255)는 상기 커버체결홀(251)을 통해 상기 커버위치홀(653)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보호커버(25)를 상기 회전축(65)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25)가 상기 회전축(65)에 결합되어 같이 회전할 수 있으면 스크류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상기 보호커버(25)와 상기 회전축(65)이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보호커버(25)가 상기 회전축(65)에 결합하는 이유는 상기 드럼의 회전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기 위함이므로 상기 보호커버(25)는 상기 회전축(65)이 아닌 상기 후방커버(2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커버(25)의 외경(C1)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내경(C2)보다 클 것이다. 상기 보호커버(25)의 목적이 적어도 상기 축브라켓(27) 및 상기 회전축(65)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므로,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커버(23)는 상기 축브라켓(27)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이 짝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 중 서로 마주보는 축브라켓 결합홀 사이의 거리중 최대거리(D2)를 표시하였다.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배치되므로, 서로 마주보는 축브라켓 결합홀사이의 거리는 상기 축브라켓 결합홀(232)의 지름을 고려하여, 최소거리(D1), 또는 최대거리(D2)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축브라켓 결합홀(232)의 개수가 홀수 개인 경우라도, 상기 보호커버(25)의 외경(C1)의 절반은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에서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까지의 거리 중 최대거리(D2의 절반)보다 커서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 및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는 상기 후방커버(23)의 배면(도 8(b) 상으로는 최우측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제1거리(R1)만큼 상기 드럼(2)의 전방을 향해 함몰(recessed) 또는 융기(elevated)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브라켓(27)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인접한 둘레에 결합할 때,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후방커버(23)의 배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제2거리(R2)만큼 상기 드럼(2)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가 상기 제1거리만큼 융기된 것을 감안하면,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드럼(2)의 내부로 제2거리와 제1거리의 차이(R2-R1)만큼 돌출될 것이다.
즉,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축체결홀(271)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65)은 상기 축체결홀(271)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축브라켓(27)과 결합하고 상기 드럼(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커버(25)는 상기 후방커버(23)를 향하는 보호커버후면(259), 및 상기 보호커버후면(259)에서 상기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과 후크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후크(25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후크(2591)는 상기 보호커버(25)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커버(23)와 상기 커버후크(2591)사이를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가 상기 후방커버(23)와 상기 커버후크(2591)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25)는 상기 보호커버후면(259)에서 상기 커버후크(2591)를 방사방향으로 감싸도록 위치하여, 상기 보호커버(25)를 지지하는 커버보강리브(252)를 더 포함할 수 있따. 상기 보호커버(25)는 한쪽으로 함몰된 돔형태를 가지므로 강도가 취약할 수 있다. 이를 보강하기 위해 커버보강리브(252)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커버보강리브(25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보강리브(252)는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커버후면(259)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보강리브(252)는 상기 커버체결홀(251)을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후방커버에 조립되는 주요 구성요소를 분해해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보호커버(25)는 상기 보호커버(25)의 중심에서 상기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커버체결홀(2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5)은 상기 커버체결홀(251)에 대응되어 상기 회전축(65)의 양단 중 상기 드럼(2)의 내부로 삽입되는 일단에서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위치홀(65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 체결부재(255)는 상기 커버체결홀(251)을 통해 상기 커버위치홀(653)과 나사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축브라켓(27)의 일부는 상기 후방커버(23)와 결합시,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통해 상기 드럼(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65)은 상기 축체결홀(271)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축브라켓(27)과 결합하고 상기 드럼(2)의 내부로 돌출될수 있다.
상기 회전축(65)은 상기 회전축(65)의 외주면중 일부가 상기 회전축(65)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축 플랜지(655), 상기 회전축(65)의 양단 중 상기 축체결홀(271)에 삽입되는 일단과 상기 회전축 플랜지(655)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65)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회전축 나사산(6511)을 포함하는 회전축 삽입부(651), 상기 회전축 나사산(6511)과 상기 회전축 플랜지(65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축브라켓(27)과 결합되는 축브라켓 결합부(657)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 삽입부(651)는 상기 회전축(65)이 상기 축브라켓(27) 및 상기 후방커버(23)와 결합시, 상기 축체결홀(271)에 삽입되어 상기 드럼(2)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가 상기 축체결홀(27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 플랜지(655)는 상기 축브라켓(27)이 후면에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축(65)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27)의 외경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내경보다 커서,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폐쇄하고, 상기 후방커버(23)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의 반경은 상기 회전축 플랜지(655)의 반경보다는 작고, 상기 회전축 삽입부(651)의 반경보다는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 삽입부(651)는 상기 축체결홀(271)을 자유롭게 통과하나, 상기 회전축 플랜지(655)는 통과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는 상기 축체결홀(27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축체결홀(271)의 내주면이 톱니형상을 가진다면,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의 외주면에도 이에 대응되는 톱니형상을 구비하여,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와 상기 축체결홀(271)이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65)의 회전력을 상기 축브라켓(27)에 전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로 미끄러짐없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와 상기 축체결홀(271)은 기어이빨형상이나 톱니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삽입부(65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 형상을 갖는 회전축 나사산(65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회전축 삽입부(651)가 상기 축체결홀(271)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드럼(2)의 내부로 돌출 시, 상기 축브라켓(27)과 상기 회전축(65)사이를 체결너트(26)로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너트(26)또한, 상기 보호커버(25)의 오목한 형태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25)의 내부에 수용되어 노출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25)는 상기 보호커버(25)의 중심에서 상기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커버체결홀(2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5)은 상기 회전축(65)의 양단 중 상기 드럼(2)의 내부로 삽입되는 일단에서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체결홀(251)에 대응되어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위치홀(6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체결홀(251) 및 상기 커버위치홀(653)을 통해 상기 보호커버(25)를 상기 회전축(65)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25)가 상기 회전축(65)에 결합되어 같이 회전할 수 있으면 스크류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상기 보호커버(25)와 상기 회전축(65)이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보호커버(25)가 상기 회전축(65)에 결합하는 이유는 상기 드럼의 회전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기 위함이므로 상기 보호커버(25)는 상기 회전축(65)이 아닌 상기 후방커버(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가 상기 축체결홀(271)에 결합시, 상기 회전축 플랜지(655)와 상기 축브라켓(27) 사이에는 회전축 워셔(2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워셔(28)는 회전축(65)에 삽입되어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가 상기 축체결홀(271)에 결합시, 상기 회전축 플랜지(655)와 상기 축브라켓(27) 사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회전축(65)가 상기 축브라켓(27)이 맞물려 같이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회전축 플랜지(655)와 상기 축브라켓(27) 사이에 마찰력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를 줄일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축브라켓(27)의 일례를 전면과 후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회전축(65)과 결합하는 상기 축체결홀(271)을 포함하여, 상기 축브라켓(27)의 중심부분을 형성하는 축결합부(278), 상기 축결합부(278)의 외측반경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는 축브라켓 플랜지(275), 및 상기 축결합부(278)와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275)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축브라켓 경사부(2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278)는 중심에 상기 축결합부(278)를 관통하는 축체결홀(271)을 포함하는 링형태의 평면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링형태의 평면(또는 링평면부)은 상기 축체결홀(271)에 회전축(65)이 삽입될때, 회전축 플랜지(655)가 걸릴 수 있는 즉, 스토퍼(stopper)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축체결홀(271)의 내주면은 톱니모양 또는 기어의 이빨모양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65)의 축브라켓 결합부(235)도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서로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상기 축체결홀(271)을 포함하는 축결합부(278)는 상기 축브라켓(27)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드럼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드럼(2)과 구동부(10)의 조립된 크기를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축브라켓(27)의 중심에는 상기 축체결홀(271)을 포함하는 축결합부(278)가 위치할 수 있다면, 상기 축체결홀(271)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구비되는 축브라켓 플랜지(275)는 상기 후방커버(23)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275)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27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후방커버(23)는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272)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커버(23)와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과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272)이 서로 연통된 후 브라켓 체결부재(22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 경사부(277)는 상기 축결합부(278)에서 방사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부(2771) 및 상기 제1경사부(2771)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275)와 연결되는 제2경사부(27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경사부(2771)는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커버(2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바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경사부(2771)는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에서 방사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경사부(2771)는 콘(cone) 형상의 외측면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경사부(2772)는 상기 제1경사부(2771)와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275)를 상기 제1경사부(2771)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2771)와 상기 제2경사부(2772)가 연결되는 위치는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275)를 기준으로 상기 후방커버(23)보다 상기 모터(5)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상기 축브라켓을 지면에 세운다면, 상기 축브라켓(27)에서 상기 제1경사부(2771)와 상기 제2경사부(2772)가 연결되는 위치가 지면에 닿게 될 것이다.
도 8(c)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축체결홀(271)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콘 형태의 제1경사부(2771)는 후방에서 바라보면 회전축이 수용될 수 있는 회전축 수용공간(279)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동력전달부(6)의 외형에 대응되어 동력전달부(6)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회전축 수용공간(279)에는 상기 회전축(65)이 동력전달부(6)에 연결되어 하우징 커버(63) 및 단열부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2771)와 상기 제2경사부(2772)가 연결되는 위치는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275)를 기준으로 상기 후방커버(23)보다 상기 모터(5)에 더 가깝게 위치하므로, 상기 제1경사부(2771)와 상기 제2경사부(2772)는 축브라켓 함몰부(276)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축브라켓 함몰부(276)는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275) 사이에 함몰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후크(2591)에서 상기 축브라켓 함몰부(276)까지의 거리(B2)는 상기 커버후크(2591)에서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275)까지의 거리(B1)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 함몰부(276)는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에 커버후크(2591)가 결합시, 후크 부분이 차지하는 부분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내주면은 단순히 후방커버(23)를 원형으로 관통하기 위해 절개된 것으로 끝나지 않고,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내주면이 원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후, 상기 커버후크와 결합되는 곳에 대응되는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내주면의 일부는 상기 후방커버(23)의 후면방향으로 구부려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부러져 돌출된 부분에 커버후크(2591)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에 상기 커버후크(2591)가 결합시 이를 고려한 축브라켓의 설계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축브라켓(27)은 축브라켓 함몰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272)은 상기 축브라켓(27)의 후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과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272)이 서로 연통된 후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225)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225)의 헤드가 상기 축브라켓(27)에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돔형태로 구비되는 보호커버(25)가 상기 후방커버(23)에 결합될때,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225)는 상기 보호커버(25)의 중심부가 아닌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 때, 상기 보호커버(25)의 가장자리 부분의 높이는 상기 보호커버(25)의 중심부의 높이보다 낮으므로,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225)가 많이 돌출되는 경우, 상기 보호커버(25)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1(a)와 도 11(b)는 후방커버(23)를 전면 및 후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후방커버(23)는 중심에 축브라켓(27)이 삽입되는 후방커버 결합홀(272), 상기 후방커버(23)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후방커버 결합홀(272)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 상기 후방커버(23)에서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 및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2)의 전방으로 융기되어 상기 보호커버(25)와 결합하는 영역인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는 공기유입구(233)가 위치한 지역보다 상기 드럼(2)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의 후방에 구동부(10)가 위치하는 경우, 구동부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기 위함이다. 즉, 상기 구동부(10)에서 특히 동력전달부의 회전축(65)이 드럼(2)의 내부로 돌출될 것이다. 즉, 상기 구동부(10)에서 특히 동력전달부의 회전축(65)이 앞으로 돌출되어 나오게 되는데, 이 부분이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의 함몰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축 수용공간(279) 에 수용될 것이다. 이후, 상기 회전축(65)과 축브라켓(27)은 후방커버의 후면인 결합후면(2352)에 형성되는 후면함몰부(2311), 도 11(b) 참조)에 수용되므로 상기 드럼(2)과 상기 구동부(10)의 결합시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23)는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에서 바퀴살(spoke)와 같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커버(23)의 둘레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후방커버 보강리브(2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 보강리브(237)는 상기 후방커버(2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보강리브(237)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공기유입구(233)가 상기 후방커버(2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151)에 구비되어 상기 제2덕트(3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공급덕트(321)는 제1유로형성부(323) 및 제2유로형성부(324)를 통해 상기 공급덕트(321)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유입구(233)로 안내하게 될 것이다.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축브라켓(27)이 상기 후방커버(23)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인 경우, 상기 축브라켓(27)이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될 때,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축체결홀(271)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에 삽입되어 드럼(2)의 내부로 돌출될 것이다.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의 전면을 형성하는 결합전면(2351)에는 상기 보호커버(25)가 결합하게 될 것이다.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에는 커버후크(2591)가 결합할 수 있는데, 이 때, 커버후크(2591)의 결합을 위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내주면 중 상기 커버후크(2591)와 결합하는 부분은 상기 후방커버(23)의 후면방향으로 구부려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23)의 후면방향으로 구부러져 돌출된 부분에 커버후크(2591)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에 대응되어, 상기 결합후면(2352)에 결합하는 축브라켓(27)은 축브라켓 함몰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 체결부재(225)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과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272)과 결합시 상기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225)의 헤드가 상기 축브라켓(27)에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도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272)도 마찬가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보강리브(237)의 사이에는 후방커버(23)의 후면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후방커버 함몰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 함몰부(234)에 복수 개의 공기유입구(23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방커버 함몰부(234)가 없이 상기 공기유입구(233)가 상기 후방커버 보강리브(237)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다면, 드럼(2)의 회전시 의류가 상기 공기유입구(233)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가 공기유입구(233)를 통해 들어오는 열풍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라도, 상기 후방커버 보강리브(237)와 상기 공기유입구(233)가 동일한 평면에 있는 것보다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것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상기 축브라켓 결합부(235)의 후면을 형성하는 결합후면(2352)은 축브라켓(27)이 결합하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축브라켓 플랜지(275)가 결합후면(2352)에 결합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방커버(23)는 상기 후방커버의 측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후방커버(23)와 드럼바디(2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12는 후방커버(2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후방커버(23)는 축브라켓(27) 및 회전축(65)의 삽입을 위한 후방커버 관통홀(231) 및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축브라켓(27)은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275)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272)을 포함할 수 있따. 상기 축브라켓(27)과 상기 후방커버(23)는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272) 및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을 각각 연통시키도록 배치한 후, 브라켓 체결부재(225)로 서로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축브라켓(27)은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고,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폐쇄할 수 있다.
보호커버(25)는 상기 축브라켓(27) 및 상기 회전축(65)을 가리기 위해 돔(dome)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커버(25)는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커버(2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보호커버의 뒷면, 즉 보호커버후면(259)에는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를 중심으로 일정영역을 덮을 수 있다.
보호커버(25)가 가리는 일정영역이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포함하여 상기 보호커버(25)가 상기 후방커버(23)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영역을 뜻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커버(25)가 가리는 일정영역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을 포함하는 원형태의 영역이다. 따라서, 도 7(a)는 축브라켓(27), 회전축(65) 및 브라켓 체결부재(225)가 모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달리, 도 12는 상기 보호커버(25)의 둘레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과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은 노출을 방지하되,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은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272)에 연통되어, 브라켓 체결부재(225)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은 브라켓 체결부재(225)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의류의 수분이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을 통해 구동부에 영향을 주기는 힘들것이다. 결국, 상기 보호커버(25)가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을 가리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회전축(65) 및 축브라켓(27)의 노출을 방지하는 상기 보호커버(25)의 주된 기능을 해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도 12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25)의 둘레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과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은 노출을 방지하되,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은 외부로 노출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보호커버(25)의 외경의 절반인 반지름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에서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까지의 거리중 최소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브라켓 체결부재(225)가 돌출되어 의류에 손상을 가하는 것은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225)가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272)을 결합시킬 때,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225)가 상기 후방커버(23)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225)가 나사인 경우, 나사의 머리부분이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의 각각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272)은 나사의 머리부분에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232)은 상기 후방커버(23)의 후면을 향해 함몰되어,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225)가 상기 후방커버(23)에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11: 투입구 113: 도어 115: 컨트롤패널
12: 바디 제1지지부 121: 지지패널 122: 지지패널 관통홀
123: 드럼 연결바디 124: 연결댐퍼 125: 패널 연결바디
126: 배기구 128: 제1롤러 151: 고정패널
152: 모터 장착홈 17: 베이스패널 2: 드럼
21: 드럼 바디 211: 의류수용공간 22: 전방커버
221: 드럼 투입구 23: 후방커버 231: 후방커버 관통홀
232: 축브라켓 결합홀 233: 공기 유입구 234: 후방커버 함몰부
235: 축브라켓 결합부 2351: 결합전면 2352: 결합후면
237: 후방커버 보강리브 239: 결합연장부 24: 리프터
25: 보호커버 251: 커버체결홀 252: 커버보강리브
255: 보호커버 체결부재 257: 보호커버 전면 259: 보호커버 후면
2591: 커버후크 2593: 커버보강리브 26: 체결너트
27: 축브라켓 271: 축체결홀 2711: 축체결홀 내주면
277: 축브라켓 경사부 2771: 제1경사부 2772: 제2경사부
278: 축결합부 279: 회전축 수용공간 28: 회전축 워셔
34: 열교환부 5: 모터 51: 스테이터
52: 로터 54: 축 체결부 541: 체결바디
6: 동력전달부 61: 전달부 브라켓 611: 브라켓 관통홀
612: 하우징 체결부 H: 하우징 62: 하우징 바디
621a: 하우징 베이스 621b: 하우징 원주면 621c: 링 기어 체결돌기
622: 수용공간 623: 커버 고정판 624: 고정판 관통홀
625: 로터축 지지부 626: 로터축 관통홀 627: 제1스토퍼
628: 로터축 제1베어링 629: 로터축 제2베어링 63: 하우징 커버
631: 커버 바디 632: 회전축 관통홀 633: 실러
634: 절곡부 635: 회전축 지지부 635c: 제2스토퍼
636: 커버 관통홀 637: 장착부 638: 회전축 제1베어링
639: 회전축 제2베어링 64: 로터축 65: 회전축
651: 회전축 삽입부 6511: 회전축 나사산 653: 커버위치홀
655: 회전축 플랜지 657: 축브라켓 결합부 G: 기어유닛

Claims (20)

  1. 원통형상의 드럼바디 및 상기 드럼바디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후방커버를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후방커버 관통홀;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을 폐쇄하는 축브라켓; 및
    상기 후방커버에 위치하여 상기 축브라켓 및 상기 회전축이 상기 의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보호커버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보호커버의 중심에서 상기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커버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양단 중 상기 드럼의 내부로 삽입되는 일단에서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체결홀에 대응되어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위치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 체결부재는
    상기 커버체결홀을 통해 상기 커버위치홀과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후방커버를 향하는 보호커버후면; 및
    상기 보호커버후면에서 상기 축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과 후크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보호커버후면에서 상기 커버후크를 방사방향으로 감싸도록 위치하여, 상기 보호커버를 지지하는 커버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커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브라켓은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축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축체결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축브라켓과 결합하고 상기 드럼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외경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축브라켓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의 외경의 절반은
    상기 후방커버의 중심에서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까지의 거리 중 최대거리보다 커서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 및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브라켓의 일부는
    상기 후방커버와 결합시,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을 통해 상기 드럼의 내부로 삽입되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축브라켓은
    상기 축체결홀을 포함하는 링형태의 축결합부;
    상기 축결합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후방커버에 고정되는 축브라켓 플랜지; 및
    상기 축결합부와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축브라켓 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가 상기 후방커버에 결합시,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을 통해 상기 드럼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브라켓 경사부는
    상기 축결합부에서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축체결홀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이 넓어지도록 상기 축결합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부; 및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를 연결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축체결홀에서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가 만나는 위치까지의 거리는 상기 축체결홀에서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축브라켓 플랜지는
    상기 축방향을 따라 상기 축브라켓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축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과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이 서로 연통된 후 브라켓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브라켓의 외경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중 일부가 상기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축 플랜지;
    상기 회전축의 양단 중 상기 축체결홀에 삽입되는 일단과 상기 회전축 플랜지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회전축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전축 삽입부; ??
    상기 회전축 나사산과 상기 회전축 플랜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축브라켓과 결합되는 축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 삽입부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축브라켓 및 상기 후방커버와 결합시, 상기 축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드럼의 내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축브라켓과 상기 회전축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커버는
    상기 축브라켓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의 외경의 절반은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후방커버의 중심에서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까지의 거리중 최소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축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커버와 상기 축브라켓은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과 상기 복수 개의 후방커버 결합홀이 서로 연통된 후 브라켓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축브라켓 결합홀은
    상기 후방커버의 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가 상기 후방커버에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17343A 2021-02-08 2021-02-08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343A KR20220114165A (ko) 2021-02-08 2021-02-08 의류처리장치
AU2022217093A AU2022217093A1 (en) 2021-02-08 2022-02-07 Laundry treatment appratus
PCT/KR2022/001804 WO2022169318A1 (en) 2021-02-08 2022-02-07 Laundry treatment appratus
TW111104436A TW202237934A (zh) 2021-02-08 2022-02-07 衣物處理裝置
EP22155584.0A EP4039869A1 (en) 2021-02-08 2022-02-08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2210118382.2A CN114908520A (zh) 2021-02-08 2022-02-08 衣物处理装置
US17/667,003 US20220251763A1 (en) 2021-02-08 2022-02-08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343A KR20220114165A (ko) 2021-02-08 2021-02-0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165A true KR20220114165A (ko) 2022-08-17

Family

ID=83110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343A KR20220114165A (ko) 2021-02-08 2021-02-0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1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8176B1 (en) Laundry dryer and drum supporting assembly thereof
CN114941233B (zh) 衣物处理装置
EP1548172B1 (en) Dryer, and motor mounting structure of the same
KR2022011416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0317A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27556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120318A (ko) 의류처리장치
CN114908520A (zh) 衣物处理装置
CN114941234B (zh) 衣物处理装置
CN114908519B (zh) 衣物处理装置
KR20230111120A (ko) 의류처리장치
US11920287B2 (en) Clothes dryer configured for motor cooling
KR2023006384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16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34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153A (ko) 의류처리장치
AU2022333934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U2022333752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2011415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24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15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7050A (ko) 의류 처리장치
KR2022012151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7049A (ko) 의류 처리장치
CN117529588A (zh)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