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026A -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026A
KR20220113026A KR1020210016703A KR20210016703A KR20220113026A KR 20220113026 A KR20220113026 A KR 20220113026A KR 1020210016703 A KR1020210016703 A KR 1020210016703A KR 20210016703 A KR20210016703 A KR 20210016703A KR 20220113026 A KR20220113026 A KR 20220113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uencer
product
information
marketing
campa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비글로벌
Priority to KR102021001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3026A/ko
Publication of KR20220113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실시에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조사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품 개발 정보를 기초로, 제품 카테고리, 제품 단가 및 주고객층을 분석하는 단계; SNS 서버로부터 수집된 인플루언서 정보를 기초로, 인플루언서를 통한 마케팅 성과 예측치를 제품 카테고리 별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품 개발 정보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인플루언서 정보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인플루언서와 협업 시 마케팅 기대치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제품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제품에 대한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상기 제조사 단말 및 인플루언서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COMMERCE PLATFORM SERVICE}
본 발명은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패션, 뷰티, 리빙, 가전, 잡화, 식품 온라인 판매 채널을 하나로 통합하여 커머스 서비스의 질을 높이면서, 다양한 벤더사들의 업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플랫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의 기술 발달로 인한 PC 유형은 다변화되었고, 스마트폰 등과 같은 수단의 사용을 통해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 등에 대한 실시간 접근성은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다양한 정보와 수단을 통해 쇼핑 활동이 가능하게 되었고, 전자상거래 e-commerce 분야 산업도 경제사회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호스팅 업체를 통한 온라인 쇼핑몰 쉽게 만들 수 있게 되어, 우리나라에 현재 2천만개 이상의 호스팅 업체를 통한 온라인 쇼핑몰이 영업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호스팅 업체를 통한 온라인 쇼핑몰 운영은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몰리거나, 많은 다양한 상품을 처리하는 로직으로 인한 큰 트래픽이 발생하면 운영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호스팅 업체를 통한 온라인 쇼핑몰이 아닌 자체 서버를 구축하여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방법을 대안으로 영업 중인 사업자들이 나오게 되었고, 이들 또한 자체 서버 운영 비용이라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거대 IT 기업에서 자체 서버에서 남는 자원을 네트워크를 통해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술이 생겨났고, 이러한 클라우드 기반의 다양한 IT 서비스가 나왔다.
한편, 통신 기술의 발달로 개인들은 PC를 통해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장소와 시간적 제약을 동시에 해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개인이 자신의 인터넷상의 가상 공간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 즉,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대두되었는데, 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라 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대표적인 종류는 네이버, 다음 등이 제공하는 블로그, 카페 등이었고, 최근에는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인스타그램 등 그 형태도 새롭게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용자 사이의 관계 설정과 관계 유지의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불과하며,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마케팅에 있어서도 종래의 소셜 마케팅은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의 SNS 계정을 만들고, 만들어진 SNS 계정에 마케팅을 위한 메시지를 남기거나 해당 계정에서 이벤트를 하는 등의 정도에 그치고 있다.
또한, 광고 컨텐츠를 자신의 SNS 계정에 남기는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기술로서 SNS를 또 다른 광고 표출 수단으로 이용하는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서, 소셜 마케팅의 특징인 사람과 사람들 간의 관계망의 특성을 이용하고 있지 못하여 마케팅 효과가 높지 않고 진정한 SNS의 특성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SNS 상에 존재하는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로부터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의견이나 이용자들의 관계망을 통해 효과적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SNS 활성화로 인해 인플루언서가 증가하면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 시장도 성장함에 따라 다수의 관련 대행업체들이 등장하였으나 단순 팔로워수 등에 의존한 저가, 저품질 대행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팔로워 수 이외의 정보가 전무한 상태에서 진행된 캠페인은 브랜드 이미지 및 타겟, 캠페인의 효율성 및 효과성 등 의도하는 마케팅 활동 목적과 부적합한 경우들이 발생하여 마케팅 효과 및 실효성에 대해서 시장 내 부정적인 의견이 증가하고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트래픽 처리 문제, 자체 서버 운영 비용 문제 등을 해결하고 사용자들에게 통합된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커머스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다양한 벤더사들의 업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플랫폼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플루언서와의 협업을 통해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하여 자체 서버를 유지하는 것보다 운영 비용을 낮추고, 큰 트래픽에 대응할 수 있는 로직으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구성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 관리자는 전체 벤더, 브랜드, 카테고리, 상품 등 데이터를 관리하고, 벤더사 관리자는 본인이 등록한 브랜드, 카테고리, 상품 등의 데이터를 관리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접속하여 다양한 벤더, 브랜드, 제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고, 구매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조사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품 개발 정보를 기초로, 제품 카테고리, 제품 단가 및 주고객층을 분석하는 단계; SNS 서버로부터 수집된 인플루언서 정보를 기초로, 인플루언서를 통한 마케팅 성과 예측치를 제품 카테고리 별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품 개발 정보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인플루언서 정보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인플루언서와 협업 시 마케팅 기대치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제품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제품에 대한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상기 제조사 단말 및 인플루언서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벤더들의 운영 비용을 절감해주고, 많은 트래픽을 이상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경험하는 서비스의 질을 높이면서 벤더사의 업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벤더, 브랜드, 상품, 구매이력 등 정보를 활용한 커머스 트렌드 분석을 데이터 중심으로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플루언서 입장에서 단순한 팔로워수 이외에 다양한 가공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실질적인 영향력을 보유한 고품질의 인플루언서에게 더 많은 마케팅 참여기회를 부여하여, 인플루언서와의 협업 시 필요한 시장 가치를 설정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조사 입장에서 제품 개발 목적에 최적화된 인플루언서를 마케팅에 활용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용이하게 수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플루언서를 활용하여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제조사 단말(100), 복수의 인플루언서 단말(200) 및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과 서버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제조사 단말(100) 각각과 복수의 인플루언서 단말(200) 각각은 통신 기능을 갖춘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조사 단말(100)은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사들이 사용하는 단말로, 제1 제조사가 사용하는 제1 제조사 단말(110), 제2 제조사가 사용하는 제2 제조사 단말(12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인플루언서 단말(200)은 SNS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인플루언서들이 사용하는 단말로, 제1 인플루언서가 사용하는 제1 인플루언서 단말(210), 제2 인플루언서가 사용하는 제2 인플루언서 단말(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제조사 단말(110) 및 제1 인플루언서 단말(21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2 제조사 단말(120) 등의 다른 제조사 단말에서 제1 제조사 단말(1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하고, 제2 인플루언서 단말(220) 등의 다른 인플루언서 단말에서 제1 인플루언서 단말(2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복수의 제조사 단말(100) 각각과 복수의 인플루언서 단말(200) 각각은 장치(300)에서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장치(300)로 접속할 수 있다.
장치(300)는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을 제공하여, 인플루언서와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커머스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는 뷰티, 패션, 생활건강용품, 소형가전, 모바일 등과 같은 제품을 카테고리 별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는 인플루언서와 협업을 통해 제공하는 커머스 서비스로, 제품을 기획 단계부터 인플루언서와 협업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는 인플루언서를 통해 고객들을 유입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고객 유입에 따른 인센티브로 제품 러닝 게런티를 제공하거나, 인플루언서의 해외 팔로우 수를 늘려주는 효과가 있다.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는 B2B 사이트를 별도로 제공하여, B2B 전용으로 정돈된 제품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해외 판매사와 협업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에 참여하는 벤더사에는 제품 판매에 대한 인센티브를 지급할 수 있으며,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하는 업체에서 직접 제조한 제품도 별도로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플루언서를 활용하여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300)는 인플루언서 정보 수집부(310), 인플루언서 정보 분석부(320), 캠페인 정보 제공부(330), 캠페인 참여자 모집부(340), 캠페인 참여자 선정부(350), 캠페인 포스팅 정보 수신부(360), 캠페인 모니터링부(370), 캠페인 결과 제공부(380) 및 포스팅 리워드 제공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 정보 수집부(310)는 인플루언서의 단말들로부터 가입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가입 정보를 토대로 인플루언서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인플루언서 정보 수집부(310)는 인플루언서의 단말들뿐만 아니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단말들로부터 가입 정보도 입력받을 수 있다.
인플루언서 정보 수집부(310)는 인플루언서의 단말들로부터 입력되는 이름, 성별, 나이, 주소, 관심사, 활동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종류 및 활동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주소(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가입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가입 정보를 토대로 해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 기간, 해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게시한 게시물 수 및 해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보유한 팔로워(follower)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플루언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 정보 분석부(320)는 수집된 인플루언서 정보를 토대로 인플루언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분석한다.
인플루언서 정보 분석부(320)는 수집된 인플루언서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인플루언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검증 조건에 따라 인플루언서를 검증하고, 기 구분된 등급 조건에 따라 인플루언서의 등급을 선정하고, 인플루언서의 성향 및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캠페인 정보 제공부(330)는 인플루언서의 단말들에 마케팅 대상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페인 정보를 포함하는 캠페인 정보 리스트를 제공한다.
캠페인 정보 제공부(330)는 마케팅 대상 제품 또는 서비스의 사진, 종류, 모집 기간, 모집 인원, 미션 활동(지정 SNS, 리뷰 미션, 필수 해시태그, 미션 업로드), 캠페인 활동 기간, 참여자 선정 기준 및 리워드 포인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캠페인 정보를 포함하는 캠페인 정보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캠페인 참여자 모집부(340)는 인플루언서의 단말들로부터 캠페인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캠페인 정보에 대응되는 캠페인에 대한 참여신청정보를 수신받아 캠페인에 참여하고자 하는 인플루언서들을 모집한다.
캠페인 참여자 선정부(350)는 수신된 참여신청정보와 기 설정된 캠페인 참여자 선정 기준을 토대로 캠페인에 참여할 인플루언서들을 선정한다.
캠페인 참여자 선정부(350)는 초고속 마케팅 및 최저 마케팅 비용으로 진행할 수 있는 선착순형, 직접 제조사가 인플루언서를 선택할 수 있는 선발형, 제조사가 원하는 인플루언서를 모집하고 최단기간 내에 매칭해주는 블라인드형으로 구분 설정되어 있는 참여자 선정 기준에 따라 캠페인에 참여할 인플루언서들을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캠페인 참여자 선정부(350)는 참여자 선정 기준이 인플루언서가 아닌 일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인 경우. 가입 정보를 입력받은 일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도 포함하여 캠페인에 참여할 캠페인 참여자를 선정할 수 있다.
캠페인 포스팅 정보 수신부(360)는 캠페인에 참여한 인플루언서의 단말들로부터 인플루언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캠페인 참여자로 선정되어 제공받은 마케팅 대상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포스팅 정보를 수신한다.
캠페인 모니터링부(370)는 캠페인에 참여한 인플루언서들의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마케팅 대상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포스팅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인플루언서들의 마케팅 참여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캠페인 결과 제공부(380)는 캠페인에 참여한 인플루언서들의 마케팅 참여 결과를 해당 캠페인의 진행을 요청한 제조사의 단말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캠페인 결과 제공부(380)는 캠페인에 참여한 인플루언서들의 마케팅 참여 상황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포스팅 등록현황, 해시태그 및 미션 체크, 포스팅 도달율 그리고 좋아요 수, 조회수 및 댓글수에 따른 인플루언서들의 평가 점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마케팅 참여 결과를 제조사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포스팅 리워드 제공부(390)는 캠페인에 참여한 인플루언서들에게 포스팅 리워드를 제공하고, 마케팅 참여 결과 중 인플루언서들의 평가 점수에 따라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인플루언서에게는 추가 포스팅 리워드와 이후 진행될 캠페인의 참여자 모집에 지원한 경우 캠페인 참여자 선정 시 우대 등에 대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300)는 복수의 제조사 단말(100) 각각으로부터 제품 개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품 개발 정보를 기초로, 제품 카테고리, 제품 단가 및 주고객층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장치(300)는 SNS 서버로부터 인플루언서 정보를 수집하여 획득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장치(300)는 인플루언서 계정의 구독자 수인 팔로워 수, 인플루언서 계정의 콘텐츠 수인 포스트 수, 인플루언서 컨텐츠의 카테고리, 구독자 국가별/성별 비율, 구독자 영향력 비율, 좋아요/댓글 참여율, 의심 구독자 비율, 좋아요 대비 댓글 비율, 유사 구독자 계정 평균값, 댓글 감정어 분석 및 속성별 브랜드 적합도 및 통합점수를 기초로, 인플루언서를 통한 마케팅 성과 예측치를 제품 카테고리 별로 산출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품 개발 정보의 분석 결과 및 인플루언서 정보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인플루언서와 협업 시 마케팅 기대치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제품을 선정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장치(300)는 제품 협업에 참여할 인플루언서를 선정하여, 선정된 인플루언서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307 단계에서, 장치(300)는 인플루언서와 협업 시 마케팅 기대치가 가장 높을 것으로 선정된 제품에 대한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제조사 단말 및 인플루언서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300)에서 제공하는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 서비스는 제품 개발 계약에 대한 1단계, 제품 등록에 대한 2단계, 인플루언서 모집에 대한 3단계, 포스팅에 대한 4단계 및 결과 보고서 제공에 대한 5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제조사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품 개발 정보를 기초로, 제품 카테고리, 제품 단가 및 주고객층을 분석하는 단계; SNS 서버로부터 수집된 인플루언서 정보를 기초로, 인플루언서를 통한 마케팅 성과 예측치를 제품 카테고리 별로 분석하는 단계;상기 제품 개발 정보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인플루언서 정보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인플루언서와 협업 시 마케팅 기대치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제품을 선정하는 단계; 및상기 선정된 제품에 대한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상기 제조사 단말 및 인플루언서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016703A 2021-02-05 2021-02-05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13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703A KR20220113026A (ko) 2021-02-05 2021-02-05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703A KR20220113026A (ko) 2021-02-05 2021-02-05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026A true KR20220113026A (ko) 2022-08-12

Family

ID=8280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703A KR20220113026A (ko) 2021-02-05 2021-02-05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30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997B1 (ko) * 2023-02-27 2023-07-06 주식회사 턴키웍스 콘텐츠 시청 성향 분석 기반 광고 콘텐츠 기획 자동화 및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997B1 (ko) * 2023-02-27 2023-07-06 주식회사 턴키웍스 콘텐츠 시청 성향 분석 기반 광고 콘텐츠 기획 자동화 및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123B1 (ko)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10325325B2 (en) Social marketplace digital worth score
Rishika et al. The effect of customers' social media participation on customer visit frequency and profitability: an empirical investigation
US9129027B1 (en) Quantifying social audience activation through search and comparison of custom author groupings
JP7455252B2 (ja) セグメンテーション・アズ・ア・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20072151A (ko) 최적의 인플루언서 추천 및 매칭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60314501A1 (en) Scalable networked computing system for scoring user influence in an internet-based social network
US20150199770A1 (en) Social And Commercial Internet Platform for Correlating, Crowdsourcing, and Convening People and Products of Related Characteristics Into A Virtual Social Network
JP2018526741A (ja) 広告リフトの測定
US20220215423A1 (en) Social Media Influencer Marketplace
US20140214510A1 (en) Social rewards
US20150058103A1 (en) Social media incentive point management
US201502425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osed loop confirmation of user generated content
US20120209986A1 (en) Social Net Advocacy Process and Architecture
US201703649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a provisioning of advertisements to customers
US20130304541A1 (en) Consumer-initiated demand-driven interactive marketplace
US201403586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ertisements in responses
KR20220072150A (ko) 인공지능 기반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13026A (ko)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60012473A1 (en) Evaluation of advertisements
KR20210020360A (ko) 인플루언서 사이트와 연계하는 온라인 쇼핑몰 플랫폼
US20130238427A1 (en) Social Consumer Spheres
KR20230011213A (ko) 온라인 광고 대행 서버, 캠페인 정보에 포함된 운영 옵션 정보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온라인 광고 대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58379A (ko) 인플루언서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US10275792B1 (en) Real-time mobile communication content distribution manif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