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344A - 모션 센싱 장치 - Google Patents

모션 센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344A
KR20220112344A KR1020210015693A KR20210015693A KR20220112344A KR 20220112344 A KR20220112344 A KR 20220112344A KR 1020210015693 A KR1020210015693 A KR 1020210015693A KR 20210015693 A KR20210015693 A KR 20210015693A KR 20220112344 A KR20220112344 A KR 20220112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ousing
sensing
housing part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윤재
Original Assignee
성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윤재 filed Critical 성윤재
Priority to KR102021001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2344A/ko
Publication of KR2022011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양손에 잡을 수 있는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 및 상기 안착부에 탈부착가능하며, 사용자의 양손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부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모바일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가 상기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션 센싱 장치{APPARATUS FOR SENSING MOTION}
본 발명은 모션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및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악화로 인하여 개인의 건강 악화나 가족구성원의 고통과 함께 의료비 부담 증가, 노인 빈곤 및 소외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팬데믹이 발생할 경우 실내 및 실외 체육시설의 이용 제한은 홈트레이닝 혹은 개인 PT로 전환되는데, 소아 및 노인들이나 저소득층에게 적용가능한 홈트레이닝 및 건강 프로그램은 전무하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운동량 부족으로 인한 비만 증가, 건강 악화 및 휴대폰, 미디어 제품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자세 불균형 등이 초래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20-0037626 (공개일자 2020년04월09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는 사용자가 편하게 실내외에서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안착부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양손에 잡을 수 있는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 및 상기 안착부에 탈부착가능하며, 사용자의 양손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부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모바일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가 상기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부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제1 모션 센서 및 제2 모션 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신체 상태 센서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중 하나에 탈부착가능하며, 상기 사용자의 운동상태, 심박수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션 센서, 상기 제2 모션 센서, 상기 신체 상태 센서 및 상기 표시 모듈의 부착을 위한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구비가능한 스트랩(strap)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부에는 상기 센싱부가 탈부착가능한 스트랩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부가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구비될 경우, 상기 스트랩 안착부에는 상기 제1 모션 센서 및 제2 모션 센서 중 하나의 모션 센서와 상기 신체 상태 센서가 안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하나의 모션 센서에 의하여 생성된 센싱 데이터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중 하나에 탈부착가능하며 상기 사용자의 운동상태 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서로 다른 신체 부위에 구비가능한 복수의 스트랩(strap)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트랩부 각각에는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탈착된 상기 센싱부의 모션 센서가 안착되며,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사용자의 서로 다른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을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안착된 센싱부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부는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부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로 전달된 전원에 의하여 상기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안착된 센싱부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가 결합된 결합체는 배트 ,라켓(racket), 또는 골프채의 손잡이를 구현하며, 상기 결합체가 배트, 라켓 또는 골프채에 체결되어 상기 사용자가 배트 ,라켓 또는 골프채를 휘두를 경우,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센싱부가 전송한 상기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가 배트, 라켓 또는 골프채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는 하우징부와 센싱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실내외에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와 모바일 컴퓨팅 장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 도 7 및 도 8은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은 스트랩부의 사용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의 사용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와 모바일 컴퓨팅 장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에서는 신체 상태 센서(550)가 제2 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있으나 제1 모션 센서(510) 대신에 제1 하우징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는 제1 하우징부(100), 제2 하우징부(300), 및 센싱부(50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는 안착부(200)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양손에 잡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는 센싱부(500)가 삽입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는 센싱부(500)가 안착부(200)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구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200)의 밑면에는 센싱부(500)의 고정을 위한 마그넷(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구조는 일례일뿐 본 발명이 상기 고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부(500)는 안착부(200)에 탈부착가능하며, 사용자의 양손 동작에 따른 제1 및 제2 하우징부(3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센싱부(500)는 안착부(200)에 탈부착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센싱부(500)를 교체할 수 있다. 센싱부(500)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양손의 이동량이나 이동 궤적이 도출될 수 있다.
센싱부(50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 형태의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C, 센싱부(500)의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센싱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센싱부(5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500)는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모바일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여 모바일 컴퓨팅 장치가 센싱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모바일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운동상태는 사용자가 수행하는 운동의 종류, 사용자의 운동자세, 사용자의 목표운동량, 및 사용자의 운동자세에 대한 자세 교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는 센싱부(500)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처리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운동 분석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운동 분석 서버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운동 분석 서버는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모바일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고, 모바일 컴퓨팅 장치는 전송받은 운동상태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나 운동 분석 서버는 센싱 데이터에 대한 기게학습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운동별 운동자세 및 운동량에 대한 패턴을 도출하고, 상기 패턴을 미리 저장된 기준 패턴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모바일 컴퓨팅 장치나 표시 모듈(57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가능한 모바일 컴퓨팅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운동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용 콘솔 박스(console box)가 없더라도 사용자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와 연동함으로써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500)는 제1 및 제2 하우징부(300)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제1 모션 센서(510) 및 제2 모션 센서(530)와, 사용자의 심박수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신체 상태 센서(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션 센서(510) 및 제2 모션 센서(530) 각각은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상태 센서(550)는 심박수 및 혈압 이외에 체온이나 심전도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 중 하나에 탈부착가능하며, 사용자의 운동상태, 심박수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5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570)은 LCD 또는 O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모듈(570)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나 운동 분석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운동상태, 심박수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표시 모듈(570)은 센싱부(500)로부터 전송받은 센싱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상태, 심박수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 모듈(570)은 표시 모듈(5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표시 모듈(57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듈(570)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 운동 분석 서버 또는 센싱부(5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표시 모듈(570)은 사용자의 운동상태나 신체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모션 센서(510), 제2 모션 센서(530), 신체 상태 센서(550) 및 표시 모듈(570)의 부착을 위한 안착부(200)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구비가능한 스트랩(strap)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랩부(700)에는 센싱부(500)가 탈부착가능한 스트랩 안착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싱 장치는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에 부착가능한 스트랩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 모듈(570)을 제1 하우징부(100)로부터 탈착시켜 스트랩부(700)에 부착시킨 후 팔목이나 팔의 상완 등에 착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 모듈(570)이 탈착된 제1 하우징부(100)와 더불어 제2 하우징부(300)를 양손으로 잡고 동작함으로써 운동상태나 신체상태를 손목이나 상완에 착용된 표시 모듈(57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하나의 스트랩부(700)가 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스트랩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표시 모듈(570)이 스트랩부(700)에 부착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센싱부(500)가 스트랩부(70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스트랩부(700)의 형상은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스트랩부(7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가능하도록 탄성이 있고 피부 자극이 적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트랩부(700)가 사용자의 손목에 구비될 경우, 스트랩 안착부(200)에는 제1 모션 센서(510) 및 제2 모션 센서(530) 중 하나의 모션 센서와 신체 상태 센서(550)가 안착될 수 있다. 표시 모듈(570)은 하나의 모션 센서에 의하여 생성된 센싱 데이터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트랩부(700)는 2개의 스트랩 안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상태 센서(550)는 사용자의 맥박 및 혈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팔목의 동맥과 인접하도록 팔등의 맞은편 팔목 부위에 접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신체 상태 센서(550)는 하측 스트랩 안착부(200)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듈(570)은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측 스트랩 안착부(200)에 안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양쪽 팔목마다 하나의 스트랩부(700)를 착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팔의 운동상태와 이에 따른 신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팔의 회전속도와 회전량에 따른 심박 및 혈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 중 하나에 탈부착가능하며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570)과, 사용자의 서로 다른 신체 부위에 부착가능한 복수의 스트랩(strap)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트랩부(700) 각각에는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탈착된 센싱부(500)의 모션 센서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듈(570) 및 모바일 컴퓨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서로 다른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는데, 도 5에 대한 설명은 앞서 이루어졌으므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에 4개의 모션 센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4개의 모션 센서는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로부터 탈착되어 4개의 스트랩부(700)에 장착될 수 있다.
4개의 스트랩부(700)는 사용자의 양쪽 팔목과 양쪽 발목에 각각 착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4개의 모션 센서는 센싱 데이터를 도출하며, 상기 센싱 데이터는 사용자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나 표시 모듈(570)로 전송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나 표시 모듈(570) 또는 운동 분석 서버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가 배트를 휘두를때 사용자의 양쪽 팔목과 양쪽 발목의 이동량과 이동궤적을 도출할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가 배트를 휘두르는 스윙 모션과 기준 스윙 모션을 비교할 수 있는 그래픽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윙 모션에 대한 교정 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는 전원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는 외부전원을 센싱부(500) 및 표시모듈에 공급할 수 있으며, 과전류 차단과, AC-DC 컨버팅 및 DC-DC 컨버팅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부(10)는 배터리를 내장할 수 있으며, 배터리는 외부전원으로 충전된 후 표시 모듈(570) 및 센싱부(5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의 안착부(200)에는 전원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을 통하여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에 안착된 센싱부(500)가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부(100)의 하측면에 전원을 제2 하우징부(300)로 전달하기 위한 단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부(300)의 전원부(10)는 제2 모션 센서(530) 및 신체 상태 센서(55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하우징부(100)와 제2 하우징부(300)의 결합은 제1 및 제2 하우징부(300)에 구비된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하우징부(100)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를 구비하고, 제2 하우징부(300)는 무선 전력 수신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00)와 제2 하우징부(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무선 전력 송신부(110)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부(310)로 전달된 전원에 의하여 제2 하우징부(300)에 안착된 센싱부(500)가 충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제1 하우징부(100)의 하측면에 구비된 단자가 없더라도 전원의 전달이 가능하다.
한편,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가 결합된 결합체는 배트 ,라켓(racket), 또는 골프채의 손잡이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라켓은 테니스 라켓, 배드미턴 라켓, 탁구 라켓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부(100)와 제2 하우징부(300)의 결합체는 야구 배트의 손잡이의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상기 결합체가 배트, 라켓 또는 골프채에 체결되어 사용자가 배트 ,라켓 또는 골프채를 휘두를 경우, 제1 하우징부(100) 및 제2 하우징부(300)의 센싱부(500)가 전송한 센싱 데이터에 따라 모바일 컴퓨팅 장치가 배트, 라켓 또는 골프채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는 체결을 위하여 체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40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트와 결합체(400)는 나사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부(400)의 구조는 일례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동기구와 연결되어 운동기수의 움직임에 대한 분석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전원부(10)
제1 하우징부(100)
무선 전력 송신부(110)
안착부(200)
제2 하우징부(300)
무선 전력 수신부(310)
체결부(400)
센싱부(500)
제1 모션 센서(510)
제2 모션 센서(530)
신체 상태 센서(550)
표시 모듈(570)
스트랩부(700)

Claims (8)

  1. 안착부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양손에 잡을 수 있는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 및
    상기 안착부에 탈부착가능하며, 사용자의 양손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부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모바일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가 상기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부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제1 모션 센서 및 제2 모션 센서와,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신체 상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중 하나에 탈부착가능하며, 상기 사용자의 운동상태, 심박수 및 혈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션 센서, 상기 제2 모션 센서, 상기 신체 상태 센서 및 상기 표시 모듈의 부착을 위한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구비가능한 스트랩(strap)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부에는 상기 센싱부가 탈부착가능한 스트랩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모션 센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가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구비될 경우,
    상기 스트랩 안착부에는 상기 제1 모션 센서 및 제2 모션 센서 중 하나의 모션 센서와 상기 신체 상태 센서가 안착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하나의 모션 센서에 의하여 생성된 센싱 데이터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중 하나에 탈부착가능하며 상기 사용자의 운동상태 를 표시하는 표시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서로 다른 신체 부위에 구비가능한 복수의 스트랩(strap)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트랩부 각각에는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탈착된 상기 센싱부의 모션 센서가 안착되며,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사용자의 서로 다른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을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안착된 센싱부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는 무선 전력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부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로 전달된 전원에 의하여 상기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안착된 센싱부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가 결합된 결합체는 배트 ,라켓(racket), 또는 골프채의 손잡이를 구현하며,
    상기 결합체가 배트, 라켓 또는 골프채에 체결되어 상기 사용자가 배트 ,라켓 또는 골프채를 휘두를 경우, 상기 제1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센싱부가 전송한 상기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모바일 컴퓨팅 장치가 배트, 라켓 또는 골프채의 움직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센싱 장치.
KR1020210015693A 2021-02-03 2021-02-03 모션 센싱 장치 KR20220112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693A KR20220112344A (ko) 2021-02-03 2021-02-03 모션 센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693A KR20220112344A (ko) 2021-02-03 2021-02-03 모션 센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344A true KR20220112344A (ko) 2022-08-11

Family

ID=8280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693A KR20220112344A (ko) 2021-02-03 2021-02-03 모션 센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23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626A (ko) 2018-10-01 2020-04-09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626A (ko) 2018-10-01 2020-04-09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6706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moting usage of core muscles and other applications
US9135347B2 (en) Exercise tracking and analysi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3946446B2 (ja) 運動データのモニタ・ディスプレイ用装置
US9008973B2 (en) Wearable sensor system with gesture recognition for measuring physical performance
US6358187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exertion data
US8284070B2 (en) Assessment device
US201002804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a movement of a patient
US11027172B2 (en) Device and methods for improved resistance training
US2013018461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osture and body position correction and improvement through a computer-assisted biofeedback system
US20070190506A1 (en) Online interactive multimedia system and the transmission method thereof
US20200016452A1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resistance band extension, and transport mechanism
US11260270B1 (en) Interactive physical fitness system
JP2019155078A (ja) 姿勢及び深呼吸改善装置、システム、並びに方法
WO201304042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evaluating and providing feedback regarding movement of a subject
KR20220112344A (ko) 모션 센싱 장치
JP2019534062A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11857840B2 (en) Momentum measurement device, momentum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mentum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GB2586473A (en) Joint motion capture
Weghorn Applying mobile phone technology for making health and rehabilitation monitoring more affordable
KR101940032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116640B1 (ko) 사용자의 헬스정보에 기반하여 운동을 가이드하는 헬스케어용 골프 연습 시스템
WO2022042722A1 (en) Method and variousapplications of delivering object related messages by using wide-frequency sound signal
Teng et al. A Covid-19 Lockdown Indoor Electric Arm Training Machine’Design and Mechanism
TW201642935A (zh) 運動回饋裝置、具有運動回饋裝置之運動器材及其運作方法
PH12017000314A1 (en) Wearable device for identifying exercise form, and system for exercise tra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