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982A -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982A
KR20220111982A KR1020210015424A KR20210015424A KR20220111982A KR 20220111982 A KR20220111982 A KR 20220111982A KR 1020210015424 A KR1020210015424 A KR 1020210015424A KR 20210015424 A KR20210015424 A KR 20210015424A KR 20220111982 A KR20220111982 A KR 20220111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management
rfid
laundry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관
정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드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드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드고
Priority to KR1020210015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1982A/ko
Publication of KR2022011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물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탁물 관리 방법은,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탁물 정보를 RFID 태그가 부착된 세탁물과 매칭시키는 단계; (b) 상기 RFID 태그가 부착된 세탁물의 상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세탁물 정보 및 상기 상태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세탁물 관리 모델을 통해 오염 상태를 분류하고, 기설정된 세탁물 관리 절차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세탁물 관리 절차에 따라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세탁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세탁물 관리 모델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LAUNDRY MANAGEMENT USING RFID}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RFID 태그를 세탁물에 부착하여 세탁과정을 관리하고, 세탁 관리 모델을 통해 적절한 세탁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의류에 묻은 때와 먼지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한 세탁은 일반적으로 물과 세제를 써서 오염물을 제거하는 물세탁과 유기용제를 써서 오염물을 제거하는 드라이클리닝 두 가지로 크게 나뉜다. 물세탁은 물을 주로 사용하므로 가정에서 쉽게 할 수 있으나, 드라이클리닝은 특수한 설비와 기술이 필요하므로 주소 세탁소에서 전문적으로 행해지는데, 물과 세제에 의한 손상, 또는 소재의 형태가 변할 우려가 있는 의복에 효과적이다. 현재 세탁소에서는 드라이클리닝과 같은 세탁뿐 아니라 물세탁이나 의복 수선도 행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세탁 소는 널리 보편화 됨과 동시에 점자 대형화, 전문화, 기계화되고 있다.
다만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객이 세탁소를 방문하여 세탁물을 맡기고 세탁 일정을 확인하거나, 업주가 고객의 집을 직접 방문하여 세탁물을 수거하더라도 세탁물의 오염상태 및 제공할 서비스는 업주가 일일히 판단하여 분류해야 하므로, 세탁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은 미흡한 실정이다. 대량의 세탁물을 관리하기 위해 세탁물의 오염상태나 제공할 서비스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RFID 태그를 활용하여 세탁 서비스 제공 절차를 자동화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인식이라고도 하며, 반도체 칩이 내장된 태그(Tag), 라벨(Label), 카드(Card) 등의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인식 시스템이다. RFID 태그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능동형(Active 형)과 리더기의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형(Passive 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RFID와 관련한 RFID 시스템은 태그, 안테나, 리더기 등으로 구성되고, 태그와 안테나는 정보를 무선으로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보내며, 리더기는 이 신호를 받아 상품 정보를 해독한 후 컴퓨터로 보낸다. 컴퓨터는 리더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이에 의해 상품의 상황을 파악한다. 따라서, 태그가 달린 모든 상품은 언제 어디서나 자동으로 확인 또는 추적이 가능하며, 태그는 메모리를 내장하여 정보의 갱신 및 수정이 가능하다. RFID 시스템을 활용하여 세탁 서비스 제공 시 세탁물을 더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물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세탁물 관리 방법은,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탁물 정보를 RFID 태그가 부착된 세탁물과 매칭시키는 단계; (b) 상기 RFID 태그가 부착된 세탁물의 상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세탁물 정보 및 상기 상태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세탁물 관리 모델을 통해 오염 상태를 분류하고, 기설정된 세탁물 관리 절차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세탁물 관리 절차에 따라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세탁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세탁물 관리 모델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하여 매칭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세탁물 관리 절차 및 상기 촬영한 결과 이미지를 포함한 세탁 관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세탁 관리 결과 데이터를 시각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관리 모델은 세탁물 정보 및 상기 상태 이미지에 따라 세탁물의 오염 상태를 분류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탁물 관리 모델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세탁물 정보 및 상기 상태 이미지를 학습하는 것이며, 세탁물 정보 및 상태 이미지에 따라 세탁물의 오염 상태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정보는 제조 업체, 의류의 종류, 특성, 재질, 치수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대량의 세탁물에 대해 효과적으로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RFID 태그를 세탁물에 부착하여 세탁 서비스 단계를 관리하므로 세탁물을 분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세탁물의 서비스 단계나 상태를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의 동작 진행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장치로 구축되는 세탁 플랫폼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은 서버(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시될 수 있다.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에서 세탁물 정보 수집 및 이미지 촬영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집된 세탁물 정보 분석은 서버(1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는 각각 자신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입력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접속된 사용자 단말(210) 및 연동된 서버(100)와 각각 데이터를 통신한다. 통신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탁물 정보를 RFID 태그가 부착된 세탁물과 매칭시키고, RFID 태그가 부착된 세탁물의 상태 이미지를 촬영하고, 세탁물 정보 및 상태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세탁물 관리 모델을 통해 오염 상태를 분류하고, 기설정된 세탁물 관리 절차를 선택하고, 선택된 세탁물 관리 절차에 따라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세탁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 이미지를 촬영하고 세탁물 관리 모델에 업데이트한다.
이러한 메모리(120)에는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 체제나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되,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르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프로세서(130)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또는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메모리(140)와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포함되거나, 또는 메모리(140)의 일부 영역에 구축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의 동작 진행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탁물 정보를 RFID 태그가 부착된 세탁물과 매칭시킨다(S110).
RFID 태그는 세탁물 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부착되며, 이때 부착되는 RFID 태그는 세탁물 마다 부여된 고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를 RFID 리더기를 통해 리딩함으로써 세탁물에 부여된 고유 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RFID 리더기는 세탁물 관리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과 구별되는 별도의 모바일 단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200) 및 세탁물 관리 장치(100)와 일체화되어 탑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세탁물 관리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에도 RFID 리더기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경우에 따라 또는 구현 방식에 따라 별도의 단말로서 구현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사용자가 세탁물을 제공하면 제공된 세탁물별로 RFID 태그를 배정하여 데이터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세탁물의 제조 업체, 의류의 종류, 특성, 재질, 치수 또는 색상 등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해당 정보를 배정된 RFID 태그와 매칭시킨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매칭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RFID 태그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작업은 세탁물 분류를 위한 테이블, 디스플레이, RFID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RFID 태그가 부착된 세탁물에 대하여 촬영된 상태 이미지를 획득한다(S120). 세탁물의 상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과 같은 사용자 단말(200)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일 수 있고,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시스템에서 세탁물 촬영을 위해 제공된 별도의 카메라 모듈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세탁물 정보 및 상기 상태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세탁물 관리 모델을 통해 오염 상태를 분류하고, 기설정된 세탁물 관리 절차를 선택한다(S130). 세탁물 정보를 수집하면서 기설정된 오염상태로 분류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오염상태를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탁물 관리 모델은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세탁물 정보 및 상기 상태 이미지를 입력으로 학습되어 세탁물의 오염 상태를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기계학습 모델은 CNN(컨볼루션 신경망)과 같은 이미지 처리에 특화된 인공신경망이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선택된 세탁물 관리 절차에 따라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세탁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세탁물 관리 모델에 업데이트한다(S140).
프로세서(130)는 상기 세탁물 관리 절차 및 상기 결과 이미지를 포함하는 세탁 관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세탁 관리 결과 데이터를 시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도 4는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장치로 구축되는 세탁 플랫폼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탁물 관리 장치(100)는, 배송 업체, 세탁 공장, 호텔이나 병원 등과 연계하여 B2B 형태의 세탁물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텔이나 병원 등과 같이 세탁물 관리 서비스가 필요한 수요지에는 미리 RFID 태그가 부착된 세탁물이 제공되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세탁물 관리 장치(100)는, 수요지의 관리 서버에 세탁물이 제공된 시점과 제공 수량 등을 미리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세탁물 관리 장치(100)는, 수요지에 세탁물이 제공된 시점(이하 세탁물 제공 시점), 수요지에서 세탁물을 배출한 배출 시점과 배출 수량 등을 미리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세탁물 관리 장치(100)는, 수집된 세탁물 제공 시점, 배출 시점, 배출 수량에 기초하여 세탁 요구 시점과 세탁 요구 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세탁물 관리 장치(100)는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세탁 요구 시점과 세탁 요구 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세탁물 관리 장치(100)는 예측된 세탁 요구 시점에 세탁 요구 수량에 따른 세탁 오더를 생성하여 수요지의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수용지의 관리 서버는 세탁 오더를 제공받고 이를 승인할 수 있다. 또한, 수요지에서는 RFID 리더기가 미리 비치되어 있고,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세탁 오더에 따라 세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세탁물들을 대상으로 RFID 코드를 식별한 후, 이를 세탁물 관리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요지에서는 카메라를 비롯한 영상 촬영 장치가 비치되어 있고, 이를 통해 세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세탁물들에 대한 현재 상태를 촬영하여 세탁물 관리 장치(100)에 제공된다.
세탁물 관리 장치(100)는 승인된 세탁 오더에 기초하여 배송 업체에 세탁물 수거 요청을 전송하고, 배송 업체를 통해 세탁 공장으로 세탁물을 배송할 수 있다.
세탁물이 세탁 공장에 도착하면, 세탁 공장에 비치된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도착된 세탁물들을 식별하고, 별도의 카메라를 비롯한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현재 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된 세탁물의 RFID 고유 코드 및 현재 상태는 세탁물 관리 장치(100)로 제공된다.
세탁물 관리 장치(100)는, 수신된 현재 상태와 앞서 수요지로부터 제공받은 현재 상태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RFID 고유 코드가 앞서 수요지로부터 수신된 RFID 고유 코드와 모두 일치하는 것이 확인되면 세탁 공장에 비치된 관리 서버에 세탁 서비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세탁물 관리 장치(100)는, 세탁물의 현재 상태를 기초로 세탁 공정의 종류와 시간 등을 세밀하게 조절하고, 조절된 세탁 공정을 세탁 공장의 관리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탁 공장에서는 세탁물의 현재 상태에 가장 적합한 세탁 공정을 자동화하여 진행할 수 있다.
세탁 공장의 관리 서버는 세탁 공정이 완료된 세탁물들에 대하여 다시 RFID 코드를 식별하고, 현재 상태를 촬영하여 세탁물 관리 장치(100)로 제공하고, 세탁물 관리 장치(100)를 촬영된 현재 상태와 미리 저장된 세탁 공정 전 상태를 비교하여 세탁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세탁물 관리 장치(100)는, 세탁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배송 업체의 관리 서버에 세탁 완료에 따른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배송 요청은 배송될 세탁물들을 지시하는 RFID 코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인 신규 세탁물(또는 추가 구매 세탁물)을 지시하는 RFID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세탁물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으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세탁물 정보를 RFID 태그가 부착된 세탁물과 매칭시키는 단계;
    (b) 상기 RFID 태그가 부착된 세탁물의 상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세탁물 정보 및 상기 상태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세탁물 관리 모델을 통해 오염 상태를 분류하고, 기설정된 세탁물 관리 절차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세탁물 관리 절차에 따라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세탁 서비스를 제공한 결과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세탁물 관리 모델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하여 매칭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세탁물 관리 절차 및 상기 촬영한 결과 이미지를 포함한 세탁 관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세탁 관리 결과 데이터를 시각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관리 방법.
  3. 청구항 2에서,
    상기 세탁물 관리 모델은 세탁물 정보 및 상기 상태 이미지에 따라 세탁물의 오염 상태를 분류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탁물 관리 모델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세탁물 정보 및 상기 상태 이미지를 학습하는 것이며, 세탁물 정보 및 상태 이미지에 따라 세탁물의 오염 상태를 분류하는, 세탁물 관리 방법.
  4. 청구항 3에서,
    상기 세탁물 정보는 제조 업체, 의류의 종류, 특성, 재질, 치수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세탁물 관리 방법.
KR1020210015424A 2021-02-03 2021-02-03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20111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24A KR20220111982A (ko) 2021-02-03 2021-02-03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24A KR20220111982A (ko) 2021-02-03 2021-02-03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982A true KR20220111982A (ko) 2022-08-10

Family

ID=8284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424A KR20220111982A (ko) 2021-02-03 2021-02-03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19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27635A (zh) * 2023-02-10 2023-06-06 艾米丁(杭州)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洗护工厂的智能预约调度管理系统
WO2024071816A1 (ko) * 2022-09-29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라벨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816A1 (ko) * 2022-09-29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라벨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기록매체
CN116227635A (zh) * 2023-02-10 2023-06-06 艾米丁(杭州)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洗护工厂的智能预约调度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286B2 (en) Process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data recorded in a radio frequency identifier
US104101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ventory management
CN100356398C (zh) 附有rfid标签的对象物和处理它的装置和方法
US20160156738A1 (en) Data collection system having eir terminal interface node
US8925812B2 (en) Medical device tracking system and apparatus
KR20220111982A (ko)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및 장치
CN1771505B (zh) 图像拾取装置
US8939372B2 (en) Mobile terminal and decoding method thereof
US9888451B2 (en) Method of dynamically associating an accessory ID with a portable memory device and displaying confirmation of the association
CN101611431A (zh) 电子货架标签系统和显示方法
KR102201382B1 (ko) Rfid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및 서버
CN108460346A (zh) 指纹识别方法及装置
CN110780965A (zh) 基于视觉的流程自动化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70092317A (ko) 건설현장 출입통제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 마더보드
KR20110012052A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171587B (zh) 数据处理方法和设备以及使用该数据处理方法的移动终端
US78302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rinsic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3337995B (zh) 一种用于洗衣机的衣物信息识别方法及洗衣机
CN105590118A (zh) 远程读取ic卡信息的读卡方法以及读卡系统
CN113421084B (zh) 公交卡处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536881A (zh) 缺货检测方法、货架排面缺货检测的边缘计算设备及系统
CN111859370A (zh) 识别服务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343266A1 (en) Terminal device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20090001974A (ko) 모바일 알에프아이디 기반의 통계분석을 통한 상품 판매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634031B1 (ko) 운송사 식별이 가능한 범용 송장 인식기와 이를 활용한 화물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