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893A -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패드를 포함하는 관절용 테이핑 보호대 - Google Patents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패드를 포함하는 관절용 테이핑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893A
KR20220111893A KR1020210015263A KR20210015263A KR20220111893A KR 20220111893 A KR20220111893 A KR 20220111893A KR 1020210015263 A KR1020210015263 A KR 1020210015263A KR 20210015263 A KR20210015263 A KR 20210015263A KR 20220111893 A KR20220111893 A KR 20220111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and
band portion
micro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232B1 (ko
Inventor
김시균
황인태
Original Assignee
김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균 filed Critical 김시균
Priority to KR102021001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2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61F13/062Openable re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4Specially adapted for promoting tissue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8Specially adapted for promoting wound h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9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physical therapy, e.g. cold or magne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패드를 포함하는 관절용 테이핑 보호대가 제공된다.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관절용 테이핑 보호대는 관절의 상부를 감싸 서로 체결되는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 및 관절의 하부를 감싸 서로 체결되는 제3 밴드부와 제4 밴드부를 포함하는 관절 보호대 바디; 및 상기 관절 보호대 바디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미세 전류 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패드를 포함하는 관절용 테이핑 보호대{JOINT TAPING PROTECTOR INCLUDING CURRENT PAD GENERATING MICRO-CURRENT}
본 발명은 관절용 테이핑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패드를 포함하는 관절용 테이핑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팔꿈치 내지는 무릎 등의 관절에 염증이나 염좌, 연골 마모 등으로 인한 통증이 있는 경우 관절 부위에 관절 보호대를 착용할 수 있다. 관절 보호대는 착용된 관절을 압박하면서 의도된 정도로 관절 움직임에 제약을 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증을 완화시키고 추가 부상이나 질환이 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보호대는 염좌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 외에도 관절에 적당한 압박감을 주어 동작의 안정성을 높이고 운동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관절 보호대와 같은 목적으로 점착성 테이프를 이용해 관절을 조여 감싸기도 하나, 이는 운동을 할 때마다 새로이 테이핑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다양한 관절 보호대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는 각각 대략 영문자 'X'자 내지는 'H'자 형상의 관절 보호대를 개시한다. 이들은 모두 4개의 밴드부를 포함하여, 어느 두개의 밴드부는 관절, 예컨대 무릎 슬개골의 상부를 감싸 체결되고, 다른 두개의 밴드부는 슬개골의 하부를 감싸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75091호, 2007.07.18., 무릎통증 완화용 결착패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3935호., 2004.06.22., 무릎 관절 보호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관절 보호대는 관절을 압박해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관절 보호대는 통증 경감을 순전히 압박감에 의존하고 있어 통증 완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관절 보호대는 신축성을 갖는 보호대의 밴드부를 이용해 압박하고, 이를 통해 착용한 순간에만 통증을 완화해주는데 그치는 실정이다. 즉, 관절 보호대의 통증 완화 효과는 일시적인 것일 뿐이고, 통증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거나 적어도 개선할 수 없다.
한편, 인체의 세포 간 물질 전달 과정에서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암페어(㎂) 수준의 미세한 생체 전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나트륨(Na), 칼륨(K), 칼슘(Ca) 등의 양이온과 염소(Cl) 등의 음이온이 세포막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전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생체 전류는 세포 간 신호 전달 기능을 강화하고 조직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생체 전류는 인체 내부에 침투한 세균 및/또는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 사멸에도 기여하고 골조직 재생, 혈액 순환, 통증 완화 및/또는 관절염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체내에서 자연스레 발생하는 미세한 생체 전류가 갖는 효능에 착안하여 인위적으로 1,000㎂ 이하 수준의 미세 전류, 예컨대 100㎂ 내지 400㎂ 수준의 미세 전류를 외부에서 인체에 통전시켜 손상된 세포 또는 조직 등의 치유를 촉진시키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관절 보호대 착용시의 압박감은 물론, 발생되는 미세 전류를 이용해 근육 조직이나 골 조직의 치유를 촉진시키고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좌측 관절과 우측 관절의 구분 없이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관절 보호대 내지는 관절 보호대 바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어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는, 관절의 상부를 감싸 서로 체결되는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 및 관절의 하부를 감싸 서로 체결되는 제3 밴드부와 제4 밴드부를 포함하는 관절 보호대 바디; 및 상기 관절 보호대 바디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미세 전류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미세 전류 패드는 일면 상에 돌출 배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상기 제1 전극과 맞닿는 제1 금속성 페이스트, 및 상기 제2 전극과 맞닿고 상기 제1 금속성 페이스트와 이격된 제2 금속성 페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미세 전류 패드는 전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는 상부가 확장된 원통 형상의 제1 전극으로서, 바닥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을 갖는 원통 형상의 절연 하우징,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금속성 물질, 유전성 물질 및 제2 금속성 물질, 및 상기 제2 금속성 물질과 맞닿아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금속성 물질은 상기 절연 하우징의 바닥부 및 상기 제1 전극의 돌출부와 맞닿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미세 전류 패드는 전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부가 확장된 반원통 형상의 제1 전극,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부가 확장된 반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1 전극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전극,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둘러싸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하우징 캡,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상기 하우징 캡이 둘러싸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제1 금속성 물질, 유전성 물질 및 제2 금속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금속성 물질과 상기 제2 금속성 물질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금속성 물질은 상기 제1 전극과 맞닿되 제2 전극과 맞닿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보호대 바디는 상기 제1 밴드부 내지 제4 밴드부를 연결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로부터 서로 반대 측으로 연장된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의 연장 길이는 상이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서로 동일 측으로 연장된 제1 밴드부와 제3 밴드부의 연장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부로부터 서로 반대 측으로 연장된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의 폭은 상이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서로 동일 측으로 연장된 제1 밴드부와 제3 밴드부의 폭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밴드부의 연장 길이 및 폭은 상기 제2 밴드부 및 상기 제3 밴드부의 그것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미세 전류 패드는 제1 미세 전류 패드 및 제2 미세 전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미세 전류 패드와 상기 제2 미세 전류 패드는 각각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4 밴드부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밴드부와 상기 제3 밴드부의 일면 상에는 미세 전류 패드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밴드부의 상기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일면의 체결부는 상기 미세 전류 패드와 체결되고, 상기 타면의 체결부는 상기 제2 밴드부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어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는 본체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제1 밴드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밴드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밴드부 보다 작은 연장 길이를 갖는 제2 밴드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밴드부 보다 작은 연장 길이를 갖는 제3 밴드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밴드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4 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4 밴드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3 밴드부의 연장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또, 상기 어느 밴드부의 일면과 타면 모두에는 각각 벨크로 결합을 위한 구성이 존재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관절 보호대 바디의 내측에 배치된 미세 전류 패드에서 미세한 크기의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액 순환을 향상시키고 보다 적극적으로 통증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관절 통증이 있는 부위에 통증 완화를 목적으로 관절 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근육이나 골조직의 재생 내지는 치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일상 생활 중에도 질병의 경감 내지는 완화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관절 보호대 바디는 제1 밴드부 내지 제4 밴드부를 포함하되, 각 밴드부의 형상, 예컨대 폭이나 연장 길이를 특정한 형태로 구현하여 좌측 관절 보호대와 우측 관절 보호대의 구별 없이 관절에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관절 보호대가 관절의 회동 과정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밴드부의 길이를 조절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 좌측과 우측의 관절, 예컨대 좌측 무릎용 보호대와 우측 무릎용 보호대를 별개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실수로 좌측용과 우측용을 혼용할 경우 관절 압박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에 따른 관절 보호대 바디는 좌측 관절과 우측 관절에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절 보호대의 일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관절 보호대의 타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관절 보호대가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1의 미세 전류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미세 전류 패드의 전극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미세 전류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를 착용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패드의 전극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미세 전류 패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거나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교차하거나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평면'은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절 보호대(1)의 일면(10a)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관절 보호대(1)의 타면(10b)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관절 보호대(1)가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1의 미세 전류 패드(2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미세 전류 패드(20)의 전극부(23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미세 전류 패드(20)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1)를 착용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1)는 관절 보호대 바디(10) 및 하나 이상의 미세 전류 패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절 보호대 바디(10)(또는 관절 보호대, 관절 보호대 본체, 관절 보호 테이핑 부재)는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본체부(150) 및 본체부(150)로부터 연장된 제1 밴드부(110), 제2 밴드부(120), 제3 밴드부(130) 및 제4 밴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50)와 그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밴드부들(110, 120, 130, 140)(또는 연장부들)을 포함하는 관절 보호대 바디(10)는 합성 수지 내지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절 보호대 바디(10)를 이루는 재질은 소정의 신축성과 강한 인장 강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50)는 제1 밴드부(110) 내지 제4 밴드부(140)를 서로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본체부(150)의 적어도 일부는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개구를 가질 수도 있다. 본체부(150)는 사용자의 관절, 예컨대 무릎 슬개골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밴드부(110)는 본체부(150)로부터 제1 방향(X) 일측, 예컨대 좌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제2 밴드부(120)는 본체부(150)로부터 제1 방향(X) 타측, 예컨대 우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밴드부(130)는 본체부(150)로부터 제1 방향(X)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4 밴드부(140)는 본체부(150)로부터 제1 방향(X)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밴드부(110)와 제2 밴드부(120)는 제1 방향(X)으로 중첩 및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3 밴드부(130)와 제4 밴드부(140)는 제1 방향(X)으로 중첩 및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 제1 밴드부(110)와 제3 밴드부(130)는 제2 방향(Y)으로 중첩 및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2 밴드부(120)와 제4 밴드부(140)는 제2 방향(Y)으로 중첩 및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밴드부(110)와 제2 밴드부(120)는 서로 체결되어 관절의 상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제3 밴드부(130)와 제4 밴드부(140)는 서로 체결되어 관절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밴드부(110) 내지 제4 밴드부(140) 중 적어도 일부는 폭 및/또는 연장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밴드부(110)의 연장 길이(L110)에 비해 제2 밴드부(120)의 연장 길이(L120)는 더 작을 수 있다. 도 3 등은 제1 밴드부(110)와 제3 밴드부(130) 또는 제2 밴드부(120)와 제4 밴드부(140)가 분기되는 지점으로부터 각 밴드부의 말단까지의 수직 최단 거리를 연장 길이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관절 보호대 바디(10)의 정 중앙으로부터 각 밴드부의 말단까지의 수직 최단 거리를 연장 길이로 정의할 수도 있다.
또, 제1 밴드부(110)의 연장 길이(L110)에 비해 제3 밴드부(130)의 연장 길이(L130)는 더 작을 수 있다. 제3 밴드부(130)의 연장 길이(L130)는 제2 밴드부(120)의 연장 길이(L120)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3 밴드부(130)의 연장 길이(L130)에 비해 제4 밴드부(140)의 연장 길이(L140)는 더 클 수 있다. 제4 밴드부(140)의 연장 길이(L140)는 제1 밴드부(110)의 연장 길이(L110)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밴드부(110)의 폭(W110)에 비해 제2 밴드부(120)의 폭(W120)은 더 작을 수 있다. 도 2 등은 각 밴드부의 연장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의 너비를 폭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1 밴드부(110)의 폭(W110)에 비해 제3 밴드부(130)의 폭(W130)은 더 작을 수 있다. 제3 밴드부(130)의 폭(W130)은 제2 밴드부(120)의 폭(W120)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3 밴드부(130)의 폭(W130)에 비해 제4 밴드부(140)의 폭(W140)은 더 클 수 있다. 제4 밴드부(140)의 폭(W140)은 제1 밴드부(110)의 폭(W110)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 바디(10)는 4개의 밴드부를 포함하되, 이들이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비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과 달리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비대칭적으로 구성된 관절 보호대를 상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절의 상부를 감싸는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의 폭과 연장 길이가 대략 동일하고, 관절의 하부를 감싸는 제3 밴드부와 제4 밴드부의 폭과 연장 길이가 대략 동일하되, 제1 밴드부와 제3 밴드부, 또는 제2 밴드부와 제4 밴드부의 폭과 연장 길이가 상이한 관절 보호대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밴드부들 간의 결합이 단단하지 못해 움직임에 따라 밴드부가 풀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좌우 방향 일측에서 관절을 감싸는 제1 밴드부와 제3 밴드부의 폭과 연장 길이가 대략 동일하고, 좌우 방향 타측에서 관절을 감싸는 제2 밴드부와 제4 밴드부의 폭과 연장 길이가 대략 동일하되,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 또는 제3 밴드부와 제4 밴드부의 폭과 연장 길이가 상이한 관절 보호대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와 같은 형상의 관절 보호대는 우측 관절용과 좌측 관절용이 구별되어야 하며, 이들은 서로 대칭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우측 관절용으로 준비된 관절 보호대를 좌측 관절에 착용할 경우 관절을 단단하게 조이지 못하고, 좌측 관절용으로 준비된 관절 보호대를 우측 관절에 착용할 경우 관절을 단단하게 조이지 못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 보호대 바디(10)는 제1 밴드부(110)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밴드부(120) 및 제3 밴드부(130)를 제1 밴드부(110)와 상이한 폭 및 연장 길이로 형성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밴드부(110)와 제2 밴드부(120)는 서로 체결되어 관절의 상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제3 밴드부(130)와 제4 밴드부(140)는 서로 체결되어 관절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밴드부(110) 내지 제4 밴드부(140)는 서로 간의 체결을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관절 보호대 바디(10)는 제1 체결부(181), 제2 체결부(182), 제3 체결부(183) 및 제4 체결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81)는 제1 밴드부(110)의 타면(10b)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81)는 후술할 제2 체결부(18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81)와 제2 체결부(182)는 가역적으로 결착과 탈착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암-벨크로와 수-수벨크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한 쌍의 단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체결부(182)는 제2 밴드부(120)의 일면(10a)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체결부(182)는 제1 체결부(18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밴드부(110)의 타면(10b)을 제2 밴드부(120)의 일면(10a)이 감싸며 체결될 수 있다.
또, 제3 체결부(183)는 제3 밴드부(130)의 일면(10a)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체결부(183)는 후술할 제4 체결부(184)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체결부(183)와 제4 체결부(184)는 가역적으로 결착과 탈착이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암-벨크로와 수-벨크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한 쌍의 단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체결부(184)는 제4 밴드부(140)의 타면(10b)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체결부(184)는 제3 체결부(183)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 밴드부(140)의 타면(10b)을 제3 밴드부(130)의 일면(10a)이 감싸며 체결될 수 있다.
관절 보호대 바디(10)의 일면(10a)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 즉 내측면일 수 있고, 타면(10b)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지 않는 면, 즉 외측면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1)를 착용하는 경우, 관절 보호대 바디(10)의 타면(10b)이 외부로 시인되도록 착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등은 관절 보호대 바디(10)의 타면(10b) 중 일부 영역에 제1 체결부(181)와 제4 체결부(184)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관절 보호대 바디(10)의 타면(10b)은 실질적으로 전체가 벨크로 소재,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거칠기가 작은 걸림 고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절 보호대 바디(10)는 제5 체결부(195) 및 제6 체결부(1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체결부(195) 및 제6 체결부(196)는 각각 관절 보호대 바디(10)의 일면(10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5 체결부(195)는 제1 밴드부(110)의 일면(10a) 상에 위치하고, 제6 체결부(196)는 제4 밴드부(140)의 일면(10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체결부(195) 및/또는 제6 체결부(196) 상에는 미세 전류 패드(20)가 배치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밴드부(110) 및 제4 밴드부(140)는 제2 밴드부(120) 및 제3 밴드부(130)에 비해 사용자에게 먼저 접촉하는 부분이고, 특히 제1 밴드부(110)의 제5 체결부(195)와 제4 밴드부(140)의 제6 체결부(196)는 사용자를 향하는 일면(10a)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를 위해 제5 체결부(195) 및 제6 체결부(196)는 각각 암-벨크로, 즉 상대적으로 거칠기가 작은 걸림 고리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절 보호대 바디(10)의 복수의 밴드부 중 적어도 일부, 구체적으로 제1 밴드부(110)와 제2 밴드부(120)는 각각 일면(10a)과 타면(10b) 모두에 체결을 위한 구성요소, 예컨대 벨크로 소재가 배치될 수 있다.
관절 보호대 바디(10)의 일면(10a) 상에는 하나 이상의 미세 전류 패드(2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 전류 패드(20)는 제5 체결부(195) 및 제6 체결부(196)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 전류 패드(20)의 배면 상에는 제5 체결부(195) 또는 제6 체결부(196)와 가역적으로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는 패드 체결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패드 체결부(290)는 제5 체결부(195) 및 제6 체결부(196)와 체결될 수 있도록 수-벨크로, 즉 상대적으로 거칠기가 큰 갈고리로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특히 하나의 관절 보호대 바디(10)가 관절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4개의 밴드부들(110, 120, 130, 140)을 포함하여 구성된 실시예에서, 미세 전류 패드(20)는 오직 2개만 구비될 수 있다. 두개의 미세 전류 패드(20) 중 하나는 관절의 상부와 접촉하여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고, 다른 하나는 관절의 하부와 접촉하여 미세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 전류 패드(20)는 상대적으로 큰 폭과 연장 길이를 갖는 제1 밴드부(110)의 일면(10a) 및 제4 밴드부(140)의 일면(10a) 상에 배치되되, 상대적으로 작은 폭과 연장 길이를 갖는 제2 밴드부(120) 및 제3 밴드부(130) 상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미세 전류 패드(20)는 상대적으로 큰 폭과 연장 길이를 갖는 제1 밴드부(110) 및 제4 밴드부(140) 상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 미세 전류 패드(20)를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시키기 위해 제1 밴드부(110)를 먼저 벤딩한 후, 제1 밴드부(110)의 타면(10b) 상에 제2 밴드부(120)의 일면(10a)을 체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밴드부(140)를 먼저 벤딩한 후, 제4 밴드부(140)의 타면(10b) 상에 제3 밴드부(130)의 일면(10a)을 체결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큰 연장 길이와 폭을 갖는 제1 밴드부(110)와 제4 밴드부(140)를 이용해 미세 전류 패드(2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세 전류 패드(20)의 위치를 넓은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와 달리, 상대적으로 작은 폭과 연장 길이를 갖는 제2 밴드부(120)와 제3 밴드부(130)를 이용해 미세 전류 패드를 체결할 경우, 미세 전류 패드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밴드부(110)의 타면(10b) 상에 제2 밴드부(120)를 결합시키고, 제4 밴드부(140)의 타면(10b) 상에 제3 밴드부(130)를 결합시켜 이들의 결합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1 밴드부(110)와 제4 밴드부(140)를 먼저 벤딩한 후, 그 위에 각각 제2 밴드부(120)와 제3 밴드부(130)를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밴드부(110)와 제4 밴드부(140)가 큰 폭과 연장 길이를 가지고 넓은 범위를 확보하기 때문에, 제2 밴드부(120)와 제3 밴드부(130)를 사용자 편의 내지는 사용자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넓은 범위 중 원하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대적으로 작은 폭과 연장 길이를 갖는 제2 밴드부(120) 및 제3 밴드부(130)를 먼저 벤딩하고, 그 타면(10b) 상에 제1 밴드부(110)와 제4 밴드부(140)를 체결할 경우, 정해진 위치에만 체결이 가능하고, 해당 위치를 벗어날 경우 체결 강도가 매우 약해질 수 있다.
미세 전류 패드(20)는 패드 바디부(210) 및 전극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바디부(210)는 미세 전류 패드(20)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패드 바디부(210)는 관절 보호대 바디(10)와 마찬가지로 섬유 내지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 바디부(210)의 재질은 관절 보호대 바디(10)의 적어도 어느 부분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 바디부(210)의 일부, 예컨대 정중앙에는 홈(groove)가 형성되고, 상기 홈 내에 전극부(230)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패드 바디부(210)와 전극부(230)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부(230)는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부(230)는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땀 내지는 물이나 수분이 전해질로 작용할 수 있다.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 사이에서 발생한 미세 전류를 발생시켜 세포나 조직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나아가 손상을 입었거나 정상적인 상태가 아닌 조직의 자가 치유를 촉진할 수 있다. 전극부(230)는 패드 바디부(210)의 일면에 비해 돌출되어 사용자 피부에 접촉하기 용이한 형상일 수 있다. 또,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의 가장자리나 상면 등은 대략 둥글거나, 곡면을 형성하여 사용자 피부에 가하는 자극이 최소화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 사이에 발생하는 미세 전류는 산화 환원 반응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즉, 별도의 전원 인가 없이도 미세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은 각각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전성 고무 내지는 도전성 실리콘 등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은 서로 맞닿지 않고 제3 방향(Z)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 전극부(230)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전극부(230)는 제1 전극(231), 제1 전극(231) 내에 배치되는 절연 하우징(235) 및 절연 하우징(235) 내에 배치되는 제2 전극(232)을 포함하고, 제1 금속성 물질(241), 유전성 물질(243) 및 제2 금속성 물질(2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31)은 내부가 비어있는 대략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원통 형상의 제1 전극(231)은 상부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231)의 상단부는 방사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제1 전극(231)의 상부 확장부는 사용자와 제1 전극(231)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 제1 전극(231)의 바닥부는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제1 전극 돌출부(231p)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231) 내부 공간에는 절연 하우징(235)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 하우징(235)은 내부가 비어있는 대략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원통 형상의 절연 하우징(235)은 상부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또, 절연 하우징(235)의 바닥부는 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홀을 통해 제1 전극(231)의 제1 전극 돌출부(231p)가 삽입될 수 있다.
절연 하우징(235)은 그 내부에 제1 금속성 물질(241)과 제2 금속성 물질(242) 등을 보호하고,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을 절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절연 하우징(235) 내에는 제1 금속성 물질(241), 유전성 물질(243) 및 제2 금속성 물질(242)이 순차적으로 적층 내지는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금속성 물질(241)은 절연 하우징(235)의 바닥부 및 제1 전극 돌출부(231p)와 맞닿을 수 있다. 제1 금속성 물질(241)은 후술할 제2 금속성 물질(242)과 산화 환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금속성 물질(241)은 소정의 금속 물질의 페이스트 내지는 금속 물질이 분산된 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속성 물질(241)에 포함되는 금속의 예로는, 구리(Cu), 산화구리(CuO2), 리튬코발트산화물(LiCoO2), 은(Ag), 금(Au), 백금(Pt) 또는 이들의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을 예시할 수 있다.
제2 금속성 물질(242)은 제2 전극(232)의 하면 및 절연 하우징(235)의 측벽과 맞닿을 수 있다. 제2 금속성 물질(242)은 전술한 제1 금속성 물질(241)과 산화 환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금속성 물질(242)은 소정의 금속 물질의 페이스트 내지는 금속 물질이 분산된 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금속성 물질(242)에 포함되는 금속의 예로는, 알루미늄(Al), 아연(Zn), 산화 코발트(CoO), 마그네슘(Mg), 철(Ge) 또는 이들의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을 예시할 수 있다.
제1 금속성 물질(241)과 제2 금속성 물질(242)은 서로 맞닿지 않고 제3 방향(Z)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금속성 물질(241)과 제2 금속성 물질(242) 사이에는 유전성 물질(243)이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금속성 물질(241) 및 이와 맞닿는 제1 전극 돌출부(231p)를 포함하는 제1 전극(231)은 환원 전극 또는 양전극(anode)를 형성하고, 제2 금속성 물질(242) 및 이와 맞닿는 제2 전극(232)은 산화 전극 또는 음전극(cathode)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극(232)은 제2 금속성 물질(24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제2 전극(232)은 절연 하우징(235)의 내부, 그리고 절연 하우징(235)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232)의 상면은 제1 전극(231)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유사한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또,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의 상면 레벨은 절연 하우징(235)의 상단부 레벨 보다 높을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전극부(230)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 간에 세포 자극을 야기할 수 있는 1,000㎂ 미만, 또는 100㎂ 내지 400㎂ 또는 100 ㎂ 내지 200㎂ 수준의 미세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통해 전극부(230)는 평면 시점에서, 제1 전극(231)이 제2 전극(232)을 둘러싸는 형상일 수 있다. 또 단면 시점에서, 양전극으로 기능하는 제1 금속성 물질(241)이 음전극으로 기능하는 제2 금속성 물질(242)에 비해 하측 내지는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금속성 물질(241)은 제2 금속성 물질(242)에 비해 인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는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금속성 물질(241)을 하측 또는 내측에 배치하여 전극부(230)의 손상으로 인한 내부 물질의 유출, 그리고 이로 인한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대적으로 용이한 방법 및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우수한 효율의 미세 전류 발생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231)을 외부 하우징과 같이 이용하여 제1 전극(231)과 제2 전극(232), 그리고 미세 전류 발생에 주요한 기능을 하는 제1 금속성 물질(241) 및 제2 금속성 물질(242) 등을 모듈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패드 바디부(210)와 결합함으로써 손쉽게 미세 전류 패드(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를 발생하는 관절 보호대 및 미세 전류 패드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패드(30)의 전극부(33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미세 전류 패드(30)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를 발생 관절 보호대는 관절 보호대 바디(미도시) 및 미세 전류 패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패드(30)는 패드 바디부(310) 및 전극부(330)를 포함하되, 전극부(330)의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이 제3 방향(Z)이 아닌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 방향으로 중첩하는 점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전류 패드(20)와 상이한 점이다.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은 각각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전성 고무 또는 도전성 실리콘 등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은 제1 방향(X) 또는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부(330)는 외부 하우징(335), 외부 하우징(335) 내에 배치되는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을 포함하고, 제1 금속성 물질(341), 유전성 물질(343), 제2 금속성 물질(342) 및 하우징 캡(3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335)은 내부가 비어있는 대략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원통 형상의 외부 하우징(335)은 상부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하우징(335)은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하우징(335)의 내부 공간에는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은 각각 대략 반원통 형상일 수 있다. 반원통 형상의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은 상부 개구 및 측부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의 상단부는 방사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의 상부 확장부는 각각 사용자와 제1 전극(331) 및 제2 전극(332)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외부 하우징(335)의 내부 공간, 구체적으로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이 둘러싸는 공간에는 하우징 캡(337)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캡(337)은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캡(337)은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의 상면의 레벨은 외부 하우징(335)의 상단부 레벨 및 하우징 캡(337)의 상면 레벨 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전극(331)과 제2 전극(332) 및 하우징 캡(337)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는 제1 금속성 물질(341) 유전성 물질(343) 및 제2 금속성 물질(342)이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금속성 물질(341)은 제1 전극(331) 및 하우징 캡(337)과 맞닿을 수 있다. 반면 제1 금속성 물질(341)은 제2 전극(332)과 맞닿지 않을 수 있다. 또, 제2 금속성 물질(342)은 제2 전극(332) 및 하우징 캡(337)과 맞닿을 수 있다. 반면 제2 금속성 물질(342)은 제1 전극(331)과 맞닿지 않을 수 있다. 제1 금속성 물질(341)과 제2 금속성 물질(342)은 서로 맞닿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금속성 물질(341)과 제2 금속성 물질(342) 사이에는 유전성 물질(343)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금속성 물질(341) 및 이와 맞닿는 제1 전극(331)은 환원 전극 또는 양전극을 형성하고, 제2 금속성 물질(342) 및 이와 맞닿는 제2 전극(332)은 산화 전극 또는 양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금속성 물질(341) 및 제2 금속성 물질(342)의 예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
10: 관절 보호대 바디
20: 미세 전류 패드
110: 제1 밴드부
120: 제2 밴드부
130: 제3 밴드부
140: 제4 밴드부
210: 패드 바디부
230: 전극부

Claims (10)

  1. 관절의 상부를 감싸 서로 체결되는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 및 관절의 하부를 감싸 서로 체결되는 제3 밴드부와 제4 밴드부를 포함하는 관절 보호대 바디; 및
    상기 관절 보호대 바디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미세 전류 패드를 포함하는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전류 패드는
    일면 상에 돌출 배치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상기 제1 전극과 맞닿는 제1 금속성 페이스트, 및
    상기 제2 전극과 맞닿고 상기 제1 금속성 페이스트와 이격된 제2 금속성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전류 패드는 전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는
    상부가 확장된 원통 형상의 제1 전극으로서, 바닥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을 갖는 원통 형상의 절연 하우징,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금속성 물질, 유전성 물질 및 제2 금속성 물질, 및
    상기 제2 금속성 물질과 맞닿아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금속성 물질은 상기 절연 하우징의 바닥부 및 상기 제1 전극의 돌출부와 맞닿는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전류 패드는 전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부가 확장된 반원통 형상의 제1 전극,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부가 확장된 반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1 전극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전극,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이 둘러싸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하우징 캡,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상기 하우징 캡이 둘러싸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제1 금속성 물질, 유전성 물질 및 제2 금속성 물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금속성 물질과 상기 제2 금속성 물질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금속성 물질은 상기 제1 전극과 맞닿되 제2 전극과 맞닿지 않는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 바디는 상기 제1 밴드부 내지 제4 밴드부를 연결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서로 반대 측으로 연장된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의 연장 길이는 상이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서로 동일 측으로 연장된 제1 밴드부와 제3 밴드부의 연장 길이는 상이한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 바디는 상기 제1 밴드부 내지 제4 밴드부를 연결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서로 반대 측으로 연장된 제1 밴드부와 제2 밴드부의 폭은 상이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서로 동일 측으로 연장된 제1 밴드부와 제3 밴드부의 폭은 상이한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부의 연장 길이 및 폭은 상기 제2 밴드부 및 상기 제3 밴드부의 그것 보다 크고,
    상기 미세 전류 패드는 제1 미세 전류 패드 및 제2 미세 전류 패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미세 전류 패드와 상기 제2 미세 전류 패드는 각각 상기 제1 밴드부와 상기 제4 밴드부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밴드부와 상기 제3 밴드부의 일면 상에는 미세 전류 패드가 배치되지 않는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부의 연장 길이 및 폭은 상기 제2 밴드부 및 상기 제3 밴드부의 그것 보다 크고,
    상기 제1 밴드부의 상기 일면과 타면에는 각각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일면의 체결부는 상기 미세 전류 패드와 체결되고, 상기 타면의 체결부는 상기 제2 밴드부와 체결되는 미세 전류 발생 관절 보호대.
  9. 본체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제1 밴드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밴드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밴드부 보다 작은 연장 길이를 갖는 제2 밴드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밴드부 보다 작은 연장 길이를 갖는 제3 밴드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밴드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4 밴드부를 포함하는 관절 보호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밴드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3 밴드부의 연장 길이 보다 크고,
    상기 어느 밴드부의 일면과 타면 모두에는 각각 벨크로 결합을 위한 구성이 존재하는 관절 보호대.
KR1020210015263A 2021-02-03 2021-02-03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패드를 포함하는 관절용 테이핑 보호대 KR10248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263A KR102489232B1 (ko) 2021-02-03 2021-02-03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패드를 포함하는 관절용 테이핑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263A KR102489232B1 (ko) 2021-02-03 2021-02-03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패드를 포함하는 관절용 테이핑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893A true KR20220111893A (ko) 2022-08-10
KR102489232B1 KR102489232B1 (ko) 2023-01-17

Family

ID=8284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263A KR102489232B1 (ko) 2021-02-03 2021-02-03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패드를 포함하는 관절용 테이핑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2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935Y1 (ko) 2004-03-25 2004-06-22 김신교 무릎 관절 보호대
KR100547474B1 (ko) * 2003-09-26 2006-01-31 주식회사 대경솔라 미세전류에 의한 건강증진 기능이 부여된 장신구
KR20070054382A (ko) * 2005-11-23 2007-05-29 김권봉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KR20070075091A (ko) 2006-01-12 2007-07-18 이영록 무릎통증 완화용 결착패드
KR20130068036A (ko) * 2011-12-15 2013-06-25 정우협 미세전류을 이용한 보조기구
KR101697870B1 (ko) * 2015-08-10 2017-01-18 최석호 토르마린을 이용한 미세전류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영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474B1 (ko) * 2003-09-26 2006-01-31 주식회사 대경솔라 미세전류에 의한 건강증진 기능이 부여된 장신구
KR200353935Y1 (ko) 2004-03-25 2004-06-22 김신교 무릎 관절 보호대
KR20070054382A (ko) * 2005-11-23 2007-05-29 김권봉 관절 보호대용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관절 보호대
KR20070075091A (ko) 2006-01-12 2007-07-18 이영록 무릎통증 완화용 결착패드
KR20130068036A (ko) * 2011-12-15 2013-06-25 정우협 미세전류을 이용한 보조기구
KR101697870B1 (ko) * 2015-08-10 2017-01-18 최석호 토르마린을 이용한 미세전류 전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영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232B1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3761B2 (en)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compressible gasket
US7785741B2 (en) Flat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hod for manufacture
US20090054952A1 (en) System for transmitting electrical current to a bodily tissue
JPH105352A (ja) 能動埋込式装置
JP2008264088A (ja) 電極パッド
US11878179B2 (en) Minimally invasive leadless neurostimulation device
US4265253A (en) Skin conducting electrode and electrode assembly
KR20220111893A (ko)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 패드를 포함하는 관절용 테이핑 보호대
WO2007056474A3 (en) Protective glove with electrical signal interrupt feature
CN211934539U (zh) 一种杀菌止痒脚后跟保护套
CN216497038U (zh) 一种防吐手环
KR200272903Y1 (ko) 미소전류를 이용한 통증치료용 반창고
CN215135924U (zh) 理疗电极片固定带
KR200226580Y1 (ko) 저주파치료기
KR102406889B1 (ko) 10㎂ 내지 300㎂의 미세 전류를 발생시키는 패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 키트
CN203694407U (zh) 植入式生物能心脏复律除颤器
CN212067440U (zh) 一种医用脚趾束缚装置
CN108159562A (zh) 低频美容仪
CN216258746U (zh) 一种新型多功能除颤仪
CN215425956U (zh) 一种疼痛科用疼痛治疗装置
KR101138106B1 (ko) P형 반도체를 이용한 전해 자극기 및 그 통증완화방법
JP3145399U (ja) 沿面上に電界を形成するための発電素子
CN2259189Y (zh) 一种健脑护发梳
CN116325316A (zh) 包括适形电池包的传感器组合件
JP3145148U (ja) 電界効果による治療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