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979A -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979A
KR20220110979A KR1020210014047A KR20210014047A KR20220110979A KR 20220110979 A KR20220110979 A KR 20220110979A KR 1020210014047 A KR1020210014047 A KR 1020210014047A KR 20210014047 A KR20210014047 A KR 20210014047A KR 20220110979 A KR20220110979 A KR 20220110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pulse
frequency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만
Original Assignee
조승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만 filed Critical 조승만
Priority to KR1020210014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0979A/ko
Publication of KR2022011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A61F11/045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using mechanical stimulation of ner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10L21/16Transforming into a non-visible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7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hearing-impaired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eur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는 저주파펄스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저주파펄스를 생성하는 저주파펄스생성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어 상기 저주파펄스를 전달하는 단자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입력부,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WEARABLE LOW-FREQUENCY HUB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구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저주파펄스를 전달하여, 일반적인 소통이 어려운 장애인들의 의사소통을 지원할 수 있고, 그 외의 외부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체에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기타 특수한 사정으로 인하여 소통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청각장애인들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일반인들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선천적인 경우 부모님에게, 후천적인 경우 전문가에게 배우게 된다.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방법으로는 수화, 구화 및 필담이 있다.
수화는 정해진 손동작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고, 구화는 상대의 말을 그 입술의 움직임과 얼굴 표정을 보고 이해하는 독화와 청각을 통하여 습득한 음성언어로 말하는 발화를 의미한다. 여기서 독화는 '말 읽기'라고 표현하는데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입모양을 보고 무슨 말인지 알아채는 방법이고, 발화는 발성을 내는 것으로써, 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발음을 내는데에는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시각장애인도 음성에 의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긴 하나, 길거리에서 안내표지판이나, 위험지역에 대한 인지가 어려워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604897호는 언어소통 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선행기술은 대용 단말기 형태로 구현되는 언어소통 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시스템에 있어서, 주어, 목적어, 서술어를 포함하는 문장요소와, 상기 문장요소가 결합된 문장 및 상기 문장에 대한 음성데이터가 저장되는 문장저장부, 상기 문장저장부의 문장요소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문장요소를 선택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선택된 문장요소의 결합에 따른 문장 및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상기 문장저장부에서 검색하는 제1검색부,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제1검색부와, 음성출력부를 제어하되, 상기 제1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문장과 음성데이터를 각각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소통 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04897호(2016.03.18. 공고)
개시된 실시 예는 저주파 자극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과 일반인 또는 청각장애인이 촉각을 통해 외부정보를 받아들이거나, 상호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는 상호 구분되는 저주파 펄스를 통하여 모르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는 인공지능을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의사전달을 보조하는 것이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는 시각장애인이 위험지역이나 안내가 필요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저주파 펄스를 통하여 제공받는 것이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는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하여, 음성 및 메시지를 저주파 펄스로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음성 및 메시지로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는 저주파펄스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저주파펄스를 생성하는 저주파펄스생성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어 상기 저주파펄스를 전달하는 단자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입력부,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의 프로그램은 거리정보, 소리정보, 알람 정보 획득 등을 목적으로, 외부 장치 또는 application 들이 보내는 신호(code)들과 matching 되는, 기 설정된 세기/시간 등이 다른 출력저주파펄스를 갖는 구조로, 상기 제어부는 외부입력신호(code)들에 맞추어 상기 단자부를 통하여 일시적 또는 연속적으로 상기 출력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특히,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할 경우, 상기 저주파펄스는 모르스(Morse)신호의 dit에 상응하는 제1 저주파펄스와 dah에 상응하는 제2 저주파펄스의 조합이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입력신호를 외부모르스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외부모르스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저주파펄스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 조합의 출력저주파펄스를 생성하도록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출력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저주파펄스에 상응하는 제1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 버튼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에 상응하는 제2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신호 및 상기 제2 입력신호의 조합으로 상기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력부는 마이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를 내부모르스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내부모르스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저주파펄스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 조합의 검토저주파펄스를 생성하도록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검토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 또는 상기 외부입력신호를 입력으로 패턴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내부모르스신호 또는 상기 외부모르스신호를 출력하는 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하는 인공지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부는, 상대적으로 전력을 덜 사용하도록 상기 외부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의 변형을 통해 신호의 사이즈를 감소시키되, 상기 신호의 변형은 RLE(Run-length encoding), 경량(lightweight) 해시함수(hash function)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밴드부는 전도성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 또는 상기 단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저주파 자극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과 일반인 또는 청각장애인이 촉각을 통해 외부정보를 받아들이거나, 상호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상호 구분되는 저주파 펄스를 통하여 모르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인공지능을 통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의사전달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이 위험지역이나 안내가 필요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저주파 펄스를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하여, 음성 및 메시지를 저주파 펄스로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음성 및 메시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와 외부장치들, application 들과의 프로그램 연동 구조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르스 신호를 기반으로 저주파펄스를 생성하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점자를 기반으로 저주파펄스를 생성하는 예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저주파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공지능모듈을 기반으로 모르스 신호를 생성하는 예시도.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는 저주파펄스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양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밴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신호에 따른 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거나,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저주파펄스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저주파펄스는 세기 또는 패턴을 설정할 수 있어서, 상기 세기 및 상기 패턴의 조합으로 상호 구분되는 2개 이상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촉각을 통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시각 및 청각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도 정보 전달이 가능해져, 의사소통을 보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는 다수의 다양한 외부장치 및 application과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외부정보들을 전달하고 사용자와 외부간의 의사소통의 중심적 역할을 한다는 의미에서 허브(hub)라고 볼 수 있다.
이 때, 밴드부(130)는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고 착용될 수 있는 어떠한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밴드부(130)는 전도성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115) 또는 상기 단자부(1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밴드부(130)는 전도성 실리콘과 연결된 전극이 상기 단자부(117)의 전극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목 또는 신체부위로 상기 저주파펄스를 전달하는 전도성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어, 저주파 자극을 손목 또는 신체부위의 특정 일면뿐만 아니라, 전체 둘레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통신부(111), 입력부(113), 저주파펄스생성부(115), 단자부(117) 및 제어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111)는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3자가 착용한 제3자저주파허브장치(300)이거나, 또는 스마트단말(400) 또는 비콘(500, beacon) 등 외부정보를 digital 화 할 수 있는 모든 기기 및 application 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1)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1)는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1)는 통신표준 기술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1)는 전력을 아끼기 위하여 BLE(Bluetooth Low Energy)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BLE는 저전력으로 작은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의 한 종류이다.
이 때, 통신부(111)는 상대적으로 전력을 덜 사용하도록 상기 외부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의 변형을 통해 신호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의 변형은 RLE(Run-length encoding), 경량(lightweight) 해시함수(hash function)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RLE는 반복된 유형의 데이터가 누적되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빈도 등을 정보에 반영하여 정보의 무결정성을 보장하면서도 정보의 전송 사이즈를 줄이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경량 해시함수 또한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정보의 변형을 하면서 동시에 너무 많은 컴퓨팅 파워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요구되지 않도록 구현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구현방식 중 하나이다.
이 때, 입력부(113)는 사용자의 입력신호(211)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13)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 때, 저주파펄스생성부(115)는 저주파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저주파펄스는 세기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변형시켜 2개 이상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단자부(117)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어 상기 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부(117)는 본체부(110)의 일외측면에 노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기 위하여 전도성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어부(119)는 상기 통신부(111), 상기 입력부(113),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9)와 외부장치들, application 들과의 프로그램 연동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는 소리정보를 digital 화 할 수 있는 소음측정기(sound meter), 거리정보를 digital 화 할 수 있는 초음파 거리측정기, 기상 알람 정보를 digital 화 할 수 있는 알람시계 application 등과 연동되어 생성된 외부발생 정보(digital)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9)는 연동되는 외부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code)와 대응되도록 세기, 지속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제어하여 저주파펄스생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저주파펄스신호에 상응하는 저주파펄스를 기설정된 출력시간동안 생성하도록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이때, 제어부(119)의 프로그램은 연동되는 스마트단말(400)등 외부장치 또는 application 들이 보내는 신호(code)들과 matching 되는, 세기/시간/종류 등이 다른 출력저주파펄스를 갖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외부장치 또는 application 이 보내는 신호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일시적이거나 연속적일 수 있다(상기 기설정된 출력시간에 대응).
예를 들면 기상 알람 정보의 경우, 스마트단말(400)에서 기상 알람에 해당하는 시간에 일시적으로 신호(code)가 송신되고, 제어부(119)는 해당신호에 matching 되는 기 설정된 출력저주파펄스를 생성하도록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115)를 제어하고, 상기 단자부(117)를 통하여 상기 출력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기상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 거리측정 장치의 경우, 초음파 거리측정 장치에서 각 거리단위별로 부여된 신호(code)가 연속적으로 송신되고, 제어부(119)는 해당신호
에 matching 되는 출력저주파펄스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도록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
(115)를 제어하고, 상기 단자부(117)를 통하여 상기 출력저주파펄스를 시각장애인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제어하여 시각장애인이 거리단위별로 위치한 장애물의 유/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연속적인 정보전달시에는 특정 거리(cm), 소리(Db) 등에 펄스의 종류, 세기 등을 달리 함으로써 사용자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이 정보의 기준점을 잡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 또는 application 이외에도, 무선 초인종, 무선 청진기, 디지털피아노, 피아노 앱, 작곡 앱, 시계 앱, 미세먼지 알람 앱, 전화 앱 등 정보의 digital화가 가능한 모든 외부장치 또는 application 등과 연동되어 외부발생 정보를 사용자가 촉각신호를 통해 해당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장치가 자체적으로 생성한 정보도 저주파 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르스 신호를 기반으로 저주파펄스를 생성하는 예시도이다.
모르스 신호 또는 모르스 부호(Morse code)는 짧은 발신 전류(E, dit)와 긴 발신 전류(-, dah)을 적절히 조합하여, 알파벳과 숫자를 표기한 것으로 기본적인 형태는 국제적으로 비슷하다. 미국의 발명가 새뮤얼 핀리 브리즈 모스가 고안하였으며, 1844년 최초로 미국의 볼티모어와 워싱턴 D.C. 사이 전신 연락에 사용되었다. 또한, 알파벳과 숫자뿐만 아니라 한글과 일본어 등도 모르스 부호가 정해져 있어, 이를 통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저주파펄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기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변형시켜 2개 이상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주파펄스생성부(115)는 상기 세기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구별되는 제1 저주파펄스(201) 및 제2 저주파펄스(203)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저주파펄스는 상기 제1 저주파펄스(201)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203)의 조합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는 상기 제1 저주파펄스(201)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203)를 기반으로 모르스(Morse)신호를 구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저주파펄스는, 모르스(Morse)신호의 dit에 상응하는 상기 제1 저주파펄스(201)와 dah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저주파펄스(203)의 조합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는 청각 또는 시각 장애인과 일반인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각 장애인과 보호자가 각자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호자가 본인이 착용한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의 입력부(113)를 통하여 모르스 신호에 상응하는 제1 신호를 입력하면, 청각 장애인이 착용한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모르스 신호로 변환한 뒤, 이에 상응하는 저주파펄스는 청각 장애인의 신체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 장애인은 자신에게 전달된 저주파펄스를 해석하여 보호자의 의사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시는 청각 장애인과 시각 장애인 사이에서도 적용될 수 있어,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보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점자를 기반으로 저주파펄스를 생성하는 예시도이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는 상호 구분되는 상기 제1 저주파펄스(201)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203)를 기반으로 모르스신호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모르스신호는 다소 대중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는 공공시설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점자를 상기 제1 저주파펄스(201)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203)를 기반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점자(點字)는 시각장애가 있는 사람을 위해 개발된 문자 체계이다. 점자는 점들의 위치를 사용해서 문자를 나타낸다. 또한 점자는 1821년, 루이 브라유(Louis Braille)가 최초로 고안했으며, 영어권에서는 그의 이름을 따서 브라유라고 부른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나의 점자는 여섯 개의 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점들은 가로 2열, 세로 3행의 직사각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점은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는가 그렇지 않는가로 구별하며, 여섯 개의 점에 각각 두 가지 경우가 가능하므로 26 = 64가지 점자가 가능하다.
여섯 개의 점에는 왼쪽 위부터 아래까지 1, 2, 3, 오른쪽 위부터 아래까지 4, 5, 6이라는 번호가 붙어 있으며, 특정한 점자는 튀어나온 점들의 번호를 사용해서 부른다. 예를 들어 한글 ㅟ는 오른쪽 가운데, 왼쪽 위/가운데/아래에 해당하는 점(6점 점자 (1-2-3-5))이 튀어나왔기 때문에 1-2-3-5 점자라고 부른다.
이 때, 6점 점자에 맨 아래 점 두 개를 더 추가해서 8점으로 만든 8점 점자도 있으며, 여기서 추가된 두 개의 점에는 7(왼쪽 맨 아래)과 8(오른쪽 맨 아래)이라는 번호가 붙는다. 8점 점자는 ASCII 문자 집합에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문자를 하나의 점자로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유니코드 표준에서도 8점 점자를 U+2800부터 U+28FF까지 배당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저주파펄스는 점자의 튀어나오지 않은 점에 상응하는 상기 제1 저주파펄스(201)와 튀어나온 점에 상응하는 상기 제2 저주파펄스(203)의 조합일 수 있다.
그러나, 점자의 경우, 한 단어를 표현하고 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신호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계단'이라는 정보를 점자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ㄱ(제1 저주파펄스(201, 이하 '1'), 1, 1, 제2 저주파펄스(203, 이하 '2'), 1, 1), ㅖ(1, 1, 2, 2, 1, 1), ㄷ(1, 2, 1, 2, 1, 1), ㅏ(2, 2, 1, 1, 1, 2), ㄴ(1, 2, 1, 1, 2, 1)으로 전달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자원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는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모음 및 자음 등에 1 내지 64의 숫자를 할당하고, 해당 숫자들을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변환하고, 해당 숫자들을 전송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계단' 이라는 단어는 (1, 23, 3, 17, 42)로 변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속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정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는 외부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저주파 펄스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9)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입력신호(213)를 외부모르스신호(223)로 변환하고, 상기 외부모르스신호(223)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저주파펄스(201)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203) 조합의 출력저주파펄스를 생성하도록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115)를 제어하고, 상기 단자부(117)를 통하여 상기 출력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외부장치는 제3자가 착용한 제3자저주파허브장치(300)이거나,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단말(400) 또는 비콘(500, beacon)일 수 있다.
먼저, 상기 외부장치가 제3자저주파허브장치(300)인 경우, 각각 제어부(119)는 상호간에 외부입력신호(213)를 송수신하고 이를 저주파펄스로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상호간에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청각 장애인과 보호자가 각각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를 착용하고, 각자 외부입력신호(213)를 상대방 저주파 허브 장치(100)로 전달함으로써,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단말(400)인 경우, 제어부(119)는 스마트단말(400)에 수신되는 음성정보(통화 또는 음성메시지) 및 문자정보 등을 상기 외부모르스신호(223)로 변환하고, 상기 외부모르스신호(223)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저주파펄스(201)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203) 조합의 출력저주파펄스를 생성하도록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115)를 제어하고, 상기 단자부(117)를 통하여 상기 출력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도 스마트단말(400)로 수신되는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단말은 컴퓨터,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TV, 셋톱박스(set-top box),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에어컨, 전자 레인지, 오디오, DVD 플레이어 등 마이크(MIC)를 포함하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컴퓨터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가 비콘(500, Beacon)인 경우, 제어부(119)는 상기 비콘(500)으로부터 외부입력신호(213)를 외부모르스신호(223)로 변환하고, 상기 외부모르스신호(223)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저주파펄스(201)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203) 조합의 출력저주파펄스를 생성하도록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115)를 제어하고, 상기 단자부(117)를 통하여 상기 출력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비콘(500, Beacon)은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 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블루투스 비콘(Bluetooth Beacon)이라고도 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인 NFC가 10cm 이내의 근거리에서만 작동하는 반면, 비콘(500)은 최대 50m 거리에서 작동할 수 있다. 비콘(500) 기술을 이용하면 쇼핑센터, 음식점, 박물관, 미술관, 영화관, 야구장 등을 방문한 고객의 스마트폰에 할인 쿠폰이나 상세 설명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9)는 위험구역 또는 안내가 필요한 구역(계단, 난간 등)에 설치된 비콘(500)을 통해 경고신호 또는 안내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저주파 펄스로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거나, 안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신호(211)를 기반으로 저주파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예시도이다.
도 7(a) 를 참조하면, 입력부(113)는 상기 제1 저주파펄스(201)에 상응하는 제1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 버튼(113_1)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203)에 상응하는 제2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버튼(113_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신호 및 상기 제2 입력신호의 조합으로 상기 입력신호(211)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3)는 마이크모듈(113_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모듈(113_3)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신호(211)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9)는 통신부(111)를 통하여 상기 입력신호(211)를 상기 외부장치(제3자저주파허브장치(300), 스마트단말(400) 등)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키보드나 스마트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오타가 발생하여 본인이 다시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본 발명에서도 사용자가 본인이 생성한 입력신호(211)가 제대로 입력이 되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9)는 상기 입력신호(211)를 내부모르스신호(221)로 변환하고, 상기 내부모르스신호(221)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저주파펄스(201)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203) 조합의 검토저주파펄스를 생성하도록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9)는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단자부(117)를 통하여 상기 검토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공지능모듈(121)을 기반으로 모르스 신호를 생성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19)는 상기 입력신호(211) 또는 상기 외부입력신호(213)를 입력으로 패턴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내부모르스신호(221) 또는 상기 외부모르스신호(223)를 출력하는 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하는 인공지능모듈(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기계학습모델은 상기 입력신호(211) 또는 상기 외부입력신호(213)에 포함된 오타를 정정하여 상기 내부모르스신호(221) 또는 상기 외부모르스신호(223)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인공지능모듈(121)은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모듈(121)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 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 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Fully 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 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 모듈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110 : 본체부
111 : 통신부 113 : 입력부
113_1 : 제1 버튼 113_2 : 제2 버튼
113_3 : 마이크모듈 115 : 저주파펄스생성부
117 : 단자부 119 : 제어부
121 : 인공지능모듈 130 : 밴드부
201 : 제1 저주파펄스 203 : 제2 저주파펄스
211 : 입력신호 213 : 외부입력신호
221 : 내부모르스신호 223 : 외부모르스신호
300 : 제3자저주파허브장치 400 : 스마트단말
500 : 비콘

Claims (9)

  1. 저주파펄스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밴드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저주파펄스를 생성하는 저주파펄스생성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어 상기 저주파펄스를 전달하는 단자부;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입력부,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동되는 외부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들이 보내는 신호(code)와 매칭(matching)되는 기 설정된 세기/시간/종류 등이 다른 출력저주파펄스를 갖는 프로그램 구조를 갖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일시적이거나 연속적으로 출력저주파펄스를 생성하도록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출력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되,
    연속적인 정보전달시 특정 거리(cm), 소리(Db) 등에 펄스의 종류, 세기 등을 달리 함으로써 사용자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이 정보의 기준점을 잡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펄스는,
    모르스(Morse)신호의 dit에 상응하는 제1 저주파펄스와 dah에 상응하는 제2 저주파펄스의 조합이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입력신호를 외부모르스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외부모르스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저주파펄스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 조합의 출력저주파펄스를 생성하도록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출력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저주파펄스에 상응하는 제1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 버튼;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에 상응하는 제2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신호 및 상기 제2 입력신호의 조합으로 상기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마이크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를 내부모르스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내부모르스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저주파펄스 및 상기 제2 저주파펄스 조합의 검토저주파펄스를 생성하도록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자부를 통하여 상기 검토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 또는 상기 외부입력신호를 입력으로 패턴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내부모르스신호 또는 상기 외부모르스신호를 출력하는 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하는 인공지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대적으로 전력을 덜 사용하도록 상기 외부장치와 송수신하는 신호의 변형을 통해 신호의 사이즈를 감소시키되,
    상기 신호의 변형은 RLE(Run-length encoding), 경량(lightweight) 해시함수(hash function)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전도성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주파펄스생성부 또는 상기 단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저주파펄스를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KR1020210014047A 2021-02-01 2021-02-01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KR20220110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047A KR20220110979A (ko) 2021-02-01 2021-02-01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047A KR20220110979A (ko) 2021-02-01 2021-02-01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979A true KR20220110979A (ko) 2022-08-09

Family

ID=8284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047A KR20220110979A (ko) 2021-02-01 2021-02-01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09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897B1 (ko) 2014-02-06 2016-03-1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언어소통 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897B1 (ko) 2014-02-06 2016-03-18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언어소통 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sapó et al. A survey of assistive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for blind users on mobile platforms: a review and foundation for research
Chang et al.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ge computing-based assistive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destrian safety at zebra crossings
Messaoudi et al. Review of navigation assistive tools and technolog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nana et al. Assistive technology solutions for aiding travel of pedestrians with visual impairment
KR100940299B1 (ko) 결합 정보를 출력하는 교육용 완구
KR20210010270A (ko) 로봇 및 그의 기동어 인식 방법
JP201900857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avanya et al. Passenger bus alert system for easy navigation of blind
Chatterjee et al. Classification of wearable computing: A survey of electronic assistive technology and future design
Shubankar et al. IoT device for disabled people
Dhanjal et al. Tools and techniques of assistive technology for hearing impaired people
CN107483069A (zh) 穿戴式设备的语音求救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Otoom et al. Novel navigation assistive device for deaf drivers
KR20220110979A (ko) 웨어러블 저주파 허브 장치
US20150254235A1 (en) Sign Language Translation
CN111611812B (zh) 翻译成盲文
US2019027952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Braille Transceiving
Gandhi et al. A CMUcam5 computer vision based arduino wearable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Merugu et al. A review of some assistive tools and their limitations for visually impaired
Kalaivani et al. An Artificial Eye for Blind People
KR20230053311A (ko) 시청각 장애인에게 시간 인식을 위한 촉각 정보 전달용 저주파 자극 손목 시계 시스템 및 시간 인식 방법
Lee et al. AI TTS smartphone app for communication of speech impaired people
Ramaiah et al. A Research Paper on Third Eye for Blind
Deepak et al. Assistive Morse Code System for Blind Individuals
Kubanek et al. System of acoustic assistance in spatial orientation for the bli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