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926A -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926A
KR20220109926A KR1020210013529A KR20210013529A KR20220109926A KR 20220109926 A KR20220109926 A KR 20220109926A KR 1020210013529 A KR1020210013529 A KR 1020210013529A KR 20210013529 A KR20210013529 A KR 20210013529A KR 20220109926 A KR20220109926 A KR 20220109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housing
vehicle body
moved
row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계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3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926A/ko
Priority to US17/379,584 priority patent/US20220242278A1/en
Priority to CN202110907819.6A priority patent/CN114801905A/zh
Publication of KR20220109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14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aking a position opposite to the original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6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or in or below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Arrangement of seats relative to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n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 시트 상태로부터 대면 시트 상태로 변경시키는 기능이 개시되면, 1열시트와 콘솔의 하우징이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단계; 2열시트와 마주하도록 상기 1열시트를 스위블링시키는 단계;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VEHILCE WITH MOVING CONSOL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콘솔에 관한 기술이다.
콘솔은 내부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상태로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이러한 콘솔이 차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미래형 차량에서는 시트가 차체에 대해 고정적으로 설치된 것이 아니라, 전후 좌우로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스위블링(swiveling)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시트 베리에이션(Seat Variation)이 가능해질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콘솔이 차체에 대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시트의 위치나 자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콘솔이 차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도, 차량의 공조장치로부터 송풍되는 온풍 또는 냉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하면, B필러가 없어서 공조 벤트를 설치하기 어려운 차량 등에서도, 차량 실내의 온도 조절 및 공기 조화 성능이 우수하게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20-0063280 A KR 1987006 B1 KR 1987030 B1
본 발명은 차체에 대하여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기준상태로부터 이동된 상태에서도 차량 공조장치로부터 송풍되는 온풍 또는 냉풍을 실내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 무빙 콘솔을 탑재한 차량에서, 시트와 콘솔의 배치를 적절히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들의 보다 편리한 차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빙 콘솔 탑재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은,
기본 시트 상태로부터 대면 시트 상태로 변경시키는 기능이 개시되면,
[A1]: 1열시트와 콘솔의 하우징이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단계;
[A2]: 2열시트와 마주하도록 상기 1열시트를 스위블링시키는 단계;
[A3]: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1]단계는,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A3]단계는, [A1]단계에서 상기 하우징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A1]단계에서 상기 1열시트가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1열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A1]단계는,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A3]단계는, [A1]단계에서 상기 하우징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A1]단계는,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A3]단계는, [A1]단계에서 상기 1열시트가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1열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A1]단계 수행 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의 고정덕트를 폐쇄시키고;
상기 [A3]단계 완료 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의 고정덕트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A1]단계 수행 시, 상기 하우징을 기준상태로부터, 상대적으로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A3]단계 수행 시, 상기 하우징을 상기 기준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은,
기본 시트 상태로부터 승하차 지원 기능이 개시되면,
[B1]: 1열시트와 콘솔의 하우징이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단계;
[B2]: 1열시트 중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시트가 차체 외측을 향하도록 스위블링시키는 단계;
[B3]: 승하차가 완료되면,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1]단계는,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B3]단계는, [B1]단계에서 상기 하우징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B1]단계에서 상기 1열시트가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1열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B1]단계는,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B3]단계는, [B1]단계에서 상기 하우징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B1]단계는,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B3]단계는, [B1]단계에서 상기 1열시트가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1열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B1]단계 수행 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의 고정덕트를 폐쇄시키고;
상기 [B3]단계 완료 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의 고정덕트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B1]단계 수행 시, 상기 하우징을 기준상태로부터, 상대적으로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B3]단계 수행 시, 상기 하우징을 상기 기준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B1]단계 수행 시, 상기 1열시트 중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시트만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을 기준상태로부터, 상대적으로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B3]단계 수행 시, 상기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을 상기 기준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B2]단계에서, 상기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시트는 차체 전방으로부터 예각의 범위 내에서 차체 외측을 향하도록 스위블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무빙 콘솔 시스템과 시트를 조절하여, 1열 시트와 2열시트의 탑승자들이 모두 차량의 전방을 보는 기본 시트 상태로부터, 1열 시트와 2열시트의 탑승자가 서로 마주 보는 대면 시트 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와 같은 시트 배열의 변경 전 후 모두의 상태에서, 차량 공조장치로부터 송풍되는 온풍 또는 냉풍을 실내로 안정적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온도 조절 및 공기 조화 성능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탑승자의 차량 승하차가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빙 콘솔 시스템의 하우징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을 제거한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관측한 도면,
도 4는 도 2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도 1의 하우징이 상측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더와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무빙 콘솔 시스템에 사용되는 록킹레버의 상세도,
도 10은 도 1의 무빙 콘솔 시스템에 사용되는 록킹레버의 구속암과 로어플레이트의 구속홀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무빙 콘솔 시스템이 구현할 수 있는 3가지 상태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의 무빙 콘솔 시스템의 이동덕트의 이동에 따른 록킹레버의 거동을 비교하여 설명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이 적용될 차량의 기본 시트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무빙 콘솔 시스템은, 차체에 대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에 내장되어 함께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덕트(3); 상기 이동덕트(3)와 상대적인 직선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차체에 고정된 고정덕트(5)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상기 이동덕트(3)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연결덕트(7); 상기 연결덕트(7)의 입구가 상기 고정덕트(5)와 연통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덕트(7)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록킹장치(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은, 차체에 대해 콘솔의 하우징(1)이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콘솔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어서, 차량의 시트 위치 및 스위블링 상태 등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어서, 시트 베리에이션의 다양성 확보에 유리하고, 상기와 같이 콘솔의 하우징(1)이 이동되면서도 상기 이동덕트(3)가 상기 연결덕트(7)를 통해 고정덕트(5)로부터 공급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실내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차량의 온도 조절 및 공기 조화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은 B필러가 삭제되어 B필러를 통해 냉풍이나 온풍을 공급하는 것이 불가능한 미래형 차량 등에서, 용이하게 차량의 온도 조절 및 공기 조화 성능을 확보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에는 상기 이동덕트(3)를 통해 공급된 냉풍이나 온풍을 토출시키는 벤트(11)가 구비되어 있고, 상측의 뚜겅을 개방하면, 그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13)이 구비된다.
참고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에서 상기 하우징(1)은 차체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전제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직선 슬라이딩의 방향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덕트(5)는 차체의 플로어에 고정되고, 차량 전방에 위치한 도시되지 않은 에어컨이나 히터 등과 같은 공조장치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받아서 상기 연결덕트(7)의 입구를 향해 공급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동덕트(3)는 상기 연결덕트(7)의 외측에 삽입된 상태로 중첩될 수 있는 직선 구간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덕트(3)가 상기 연결덕트(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된 상태에서도 상기 연결덕트(7)와 연통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덕트(3)가 상기 연결덕트(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은 차체의 후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1에는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이 구현할 수 있는 3가지 상태를 A, B, C로 비교하여 도시하고 있고, B상태를 기준상태로 할 때, A상태는 상기 이동덕트(3)가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고, C상태는 상기 이동덕트(3)가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록킹장치(9)는 차체에 대해 고정된 스토퍼(15)와; 상기 연결덕트(7)에 대해 고정된 회전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스토퍼(15)에 록킹되는 상태가 가변되는 록킹레버(17); 상기 록킹레버(17)가 상기 스토퍼(15)에 록킹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된 록킹스프링(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록킹장치(9)는 상기 록킹레버(17)가 상기 록킹스프링(19)의 탄성력으로 상기 스토퍼(15)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덕트(7)가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스토퍼(15)에 록킹되어, 도 11의 B와 같은 기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준상태로부터 상기 이동덕트(3)와 수납함(13) 등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C상태로 변화할 때, 상기 록킹장치(9)는 상기 연결덕트(7)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스토퍼(15)에 의해 안정된 고정상태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덕트(5)와 연통된 연결덕트(7)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덕트(5)를 통해 공급되는 온풍이나 냉풍은 도 11의 C와 같은 상태에서도 상기 연결덕트(7)와 이동덕트(3)를 통해 상기 벤트(11)로 안정되게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록킹장치(9)는 상기 이동덕트(3)가 상기 연결덕트(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함에 의해, 상기 록킹레버(17)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덕트(3)에 고정된 록킹해제부(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덕트(3)가 도 11의 B 상태로부터 A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록킹해제부(21)가 상기 록킹레버(17)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상기 이동덕트(3)가 도 11의 C 상태로부터 B 상태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록킹해제부(21)가 상기 록킹레버(17)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이동덕트(3)가 도 11의 C 상태로부터 B 상태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오히려 상기 록킹레버(17)는 상기 스토퍼(15)에 견고한 록킹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고, 이와는 달리, 상기 이동덕트(3)가 B상태로부터 A상태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덕트(3)가 연결덕트(7)와 함께 이동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상기 록킹레버(17)의 록킹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연결덕트(7)가 상기 스토퍼(15)로부터 분리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에서, 상기 스토퍼(15)는 상기 연결덕트(7)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해제부(21)는 상기 스토퍼(15)의 상단과 상기 연결덕트(7) 사이의 공간으로 직선 슬라이딩하여 진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록킹레버(17)는 상기 록킹해제부(21)의 직선 슬라이딩 궤적 보다 하측에 회전축이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덕트(7)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록킹레버(17)는 상기 록킹스프링(1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15)에 록킹되는 후크암(23)과; 상기 록킹해제부(21)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후크암(23)을 스토퍼(15)로부터 해제시키도록, 상기 후크암(23)과 일체로 형성된 해제암(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은 상기 기준상태에서의 록킹레버(17)와 스토퍼(15) 및 록킹해제부(21)를 나타내고 있는 바, 상기 록킹해제부(21)가 상기 록킹레버(17)의 해제암(25)과 접촉하여 만나는 위치가 상기 록킹레버(17)의 회전축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록킹해제부(21)가 도면상 좌측 즉 차체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록킹레버(17)의 해제암(25)이 도면 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후크암(23)이 상기 스토퍼(15)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록킹장치(9)가 해제되면, 상기 연결덕트(7)는 상기 스토퍼(15)로부터 분리되어 차체 전방 쪽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결덕트(7)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덕트(7)는 상기 고정덕트(5)와 분리되게 된다. 도 11의 A상태 참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덕트(7)와 이동덕트(3)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하는 구속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덕트(3)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기준상태로 복귀되도록 할 때, 상기 연결덕트(7)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상기 구속장치는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겠지만, 상기 록킹장치(9)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면,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어서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에서는, 상기 록킹장치(9)에 상기 구속장치가 함께 구현되도록 하여,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록킹레버(17)에는 상기 록킹레버(17)의 후크암(23)이 상기 스토퍼(15)로부터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스프링(1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덕트(7)와 이동덕트(3)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하는 구속암(27)이 더 구비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록킹해제부(21)는 상기 이동덕트(3)의 하측에 고정되는 로어플레이트(29)에 구비되고; 상기 로어플레이트(29)에는 상기 록킹레버(17)의 구속암(27)이 삽입되어, 상기 이동덕트(3)를 상기 연결덕트(7)에 대해 구속시키는 구속홀(31)이 형성된 구성이다.
따라서, 도 11의 A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레버(17)의 구속암(27)이 상기 록킹스프링(1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어플레이트(29)의 구속홀(31)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덕트(3)와 연결덕트(7)가 서로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덕트(3)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연결덕트(7)가 함께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15)에는 상기 구속암(27)이 상기 구속홀(3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록킹레버(17)가 접근함에 따라, 상기 후크암(23)이 가이드되면서 회전되어, 상기 구속암(27)이 상기 구속홀(31)에서 빠져나온 후, 상기 후크암(23)이 상기 스토퍼(15)에 록킹되도록 하는 가이드부(33)가 일체로 구비된다.
즉, 도 11의 A 및 도 12의 A와 같은 상태로부터, 상기 이동덕트(3)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11의 B와 같은 상태 직전에 도 12의 B와 같은 상태를 거쳐, 도 12의 C와 같은 상태로 상기 록킹레버(17)의 후크암(23)이 상기 스토퍼(15)에 록킹되는데, 도 12의 B 상태로부터 C 상태로 변화하는 것은, 상기 후크암(23)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토퍼(15)의 가이드부(33)에 접촉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후크암(2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록킹스프링(19)의 탄성력은 상기 록킹레버(17)에 계속 작용하고 있으므로, 결국 상기 후크암(23)이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 12의 C와 같은 상태로 록킹상태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 12의 C와 같은 상태는 도 11의 C 상태와 같이 상기 이동덕트(3)가 상기 기준상태보다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에서, 상기 하우징(1) 내에는 상기 연결덕트(7)와 중첩될 수 있는 이동덕트(3)의 직선 구간 상측에 수납함(13)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덕트(3)는 상기 수납함(13)에 대해 고정되며; 상기 록킹레버(17)는 상기 연결덕트(7)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무빙블록로어(35)에 그 회전축이 고정되고; 상기 록킹해제부(21)는 상기 이동덕트(3)의 하측에 고정되는 로어플레이트(29)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덕트(7)의 상측에는 상기 수납함(13)과의 상대적인 직선 슬라이딩이 가이드되도록 하는 직선가이드(3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덕트(7)의 상측에는 상기 무빙블록로어(35)의 상측에 결합되는 무빙블록어퍼(39)가 구비되고; 상기 직선가이드(37)는 상기 무빙블록어퍼(39)와 수납함(13)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덕트(7)는 상측의 무빙블록어퍼(39)와 하측의 무빙블록로어(35)에 의해 감싸인 상태로 일체화되고, 상기 무빙블록로어(35)의 하측에는 상기 록킹레버(17)의 회전축 및 상기 록킹스프링(19)을 설치하고, 상기 무빙블록어퍼(39)와 상기 수납함(13) 사이에는 상기 직선가이드(37)를 설치하여, 상기 수납함(13)이 이동덕트(3)와 함께 상기 연결덕트(7)에 대해 상대 운동할 때, 그 운동을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은 상기 로어플레이트(29)의 하측에 고정되는 슬라이더(41); 차체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41)의 직선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도록 차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3); 상기 가이드레일(43)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41)를 이동시켜서, 상기 로어플레이트(29)와, 이동덕트(3) 및 하우징(1)을 직선 슬라이딩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 구동모터(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은 별도의 조작스위치 등으로 상기 구동모터(45)를 구동하면, 상기 슬라이더(41)가 상기 가이드레일(43)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함에 의해 상기 하우징(1) 및 이동덕트(3)가 이동되면서, 결과적으로 콘솔의 위치를 차체에 대해서 가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구동모터(45)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더(41)를 직선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은 리드스크류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직선 구동 장치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무빙 콘솔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에서 시트(S)들이 기본 시트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즉, 차체(V)의 전방을 향하여 1열시트(S1)와 2열시트(S2)가 앞뒤로 차례로 배치되어 있고, 콘솔의 하우징(1)이 두 1열시트(S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서, 종래 일반적인 승용차량의 시트 및 콘솔의 배치 상태와 거의 동일한 상태이다.
또한, 상기 기본 시트 상태에서 상기 콘솔의 하우징(1)은 상기 기준상태를 형성하고 있어서, 도 11의 B와 같이 상기 연결덕트(7)가 스토퍼(15)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이동덕트(3)는 직선 구간이 상기 연결덕트(7)와 최대로 중첩되어 있는 상태이어서, 상기 고정덕트(5)를 통해 공급되는 냉풍 또는 온풍은 상기 연결덕트(7)와 이동덕트(3)를 통해 2열시트(S2)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는 상태이다.
상기 차량에는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 및 시트(S)들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CLR)가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CLR)는 사용자의 입력 스위치 조작, 음성 명령, 제스처 명령 등과 같은 각종 HMI(Human Machine Interface)수단에 의해, 후술하는 대면 시트 상태로 변경시키는 기능의 개시 명령 또는 승하차 지원 기능의 개시 명령 등을 수령하여, 해당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는, 상기 기본 시트 상태로부터 대면 시트 상태로 변경시키는 기능이 개시되면,
[A1]: 1열시트(S1)와 콘솔의 하우징(1)이 차체(V)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단계;
[A2]: 2열시트(S2)와 마주하도록 상기 1열시트(S1)를 스위블링시키는 단계;
[A3]: 상기 1열시트(S1)를 차체(V)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상기 하우징(1)을 차체(V)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도 14에서 상기 기본 시트 상태는 A0로 표현되어 있으며, 각 제어 단계에서 수행되는 시트와 하우징의 움직임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즉, 차량의 시트 상태를 1열과 2열이 모두 탑승자가 차량의 전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된 상기 기본 시트 상태로부터, 1열 탑승자가 후방을 바라보게 하여, 결과적으로 1열 탑승자와 2열 탑승자가 서로 마주 보도록 하는 대면 시트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상기 [A1], [A2], 및 [A3]단계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본 시트 상태로부터 대면 시트 상태로 변경시키는 기능이 개시되는 것은, 사용자의 별도의 스위치 조작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스위치 조작 등이 있는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CLR)가 상기 대면 시트 상태로의 변경이 개시되는 것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1]단계는, 상기 하우징(1)을 차체(V)의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1열시트(S1)를 차체(V)의 후방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콘솔의 하우징(1)은 상기 기준상태로부터 차체(V)의 전방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1열시트(S1)는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1)과 1열시트(S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1열시트(S1)의 스위블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적 여유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A2]단계의 수행에 의해 상기 1열시트(S1)가 2열시트(S2)와 마주하도록 스위블링이 이루어진 후, 상기 [A3]단계는, [A1]단계에서 상기 하우징(1)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A1]단계에서 상기 1열시트(S1)가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1열시트(S1)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1열시트(S1)는 2열시트(S2)와 충분한 전후 방향 간격을 확보하여 탑승자들이 편하게 마주 앉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며, 상기 하우징(1)은 상기 준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고정덕트(5)를 통해 공급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상기 1열시트(S1)와 2열시트(S2)의 탑승자들이 마주하는 공간으로 토출시켜서, 실내 온도 조절 및 공기 조화 성능을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하우징(1)은 도 11의 C와 같이 후방으로 더 이동시켜서, 보다 차체(V) 후방측에서 냉풍 또는 온풍이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A1]단계는, 상기 하우징(1)을 차체(V)의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수행하고, 그에 따라 상기 [A3]단계는, [A1]단계에서 상기 하우징(1)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1)을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상기 하우징(1)의 전방 이동 가능 거리, 시트의 스위블링 시 차지하는 공간 등과 같은 차량의 구체적인 사양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1)만 차체(V)의 전방으로 이동하여도 1열시트(S1)의 스위블링이 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상기 콘솔의 하우징(1)만을 전방으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기준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의 취지로, 상기 [A1]단계는, 상기 1열시트(S1)를 차체(V)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A3]단계는, [A1]단계에서 상기 1열시트(S1)가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1열시트(S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1열시트(S1)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스위블링될 때, 상기 콘솔의 하우징(1) 및 2열시트(S2)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 [A1]단계 수행 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의 고정덕트(5)를 폐쇄시키고; 상기 [A3]단계 완료 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의 고정덕트(5)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A1]단계의 수행에 의해, 상기 하우징(1)이 기준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되어 도 11의 B상태로부터 A상태로 변화되면, 상기 고정덕트(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7)와 이동덕트(3)로 공급될 수 없으므로, 이 때에는 상기 고정덕트(5)에 별도로 구비된 밸브(미도시) 등을 상기 컨트롤러(CLR)가 제어하여, 일시적으로 상기 고정덕트(5)가 폐쇄되도록 하고, 상기 [A3]단계의 수행에 의해, 상기 하우징(1)이 상기 기준상태로 복귀되면,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고정덕트(5)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연결덕트(7)와 이동덕트(3)를 통해 상기 하우징(1)의 벤트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는, 상기 기본 시트 상태로부터 승하차 지원 기능이 개시되면,
[B1]: 1열시트(S1)와 콘솔의 하우징(1)이 차체(V)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단계;
[B2]: 1열시트(S1) 중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시트(S11)가 차체(V) 외측을 향하도록 스위블링시키는 단계;
[B3]: 승하차가 완료되면, 상기 1열시트(S1)를 차체(V)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상기 하우징(1)을 차체(V)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도 15에서 상기 기본 시트 상태는 B0로 표현되어 있으며, 각 제어 단계에서 수행되는 시트와 하우징의 움직임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즉, 1열과 2열 탑승자가 모두 차량의 전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된 상기 기본 시트 상태로부터, 1열 탑승자가 하차하거나, 1열에 탑승자가 승차하려고 할 때 보다 편리한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하는 승하차 지원 기능의 구현 및 원상회복을 상기 [B1], [B2], 및 [B3]단계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기본 시트 상태로부터 승하차 지원 기능이 개시되는 것은, 사용자의 별도의 스위치 조작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승하차 하고자 하는 방향의 도어가 오픈되는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CLR)가 상기 승하차 지원 기능이 개시되어야 함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B1]단계는, 상기 하우징(1)을 차체(V)의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1열시트(S1)를 차체(V)의 후방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콘솔의 하우징(1)은 상기 기준상태로부터 차체(V)의 전방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1열시트(S1)는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1)과 1열시트(S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1열시트(S1)의 스위블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적 여유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B2]단계의 수행에 의해, 상기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시트가 차체(V) 외측을 향하도록 스위블링이 완료된 후, 상기 [B3]단계는, 상기 [B1]단계에서 상기 하우징(1)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B1]단계에서 상기 1열시트(S1)가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1열시트(S1)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B1]단계에서 하우징(1)은 전방으로 이동되고 1열시트(S1)는 후방으로 이동되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B2]단계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달리, 상기 [B1]단계는, 상기 하우징(1)을 차체(V)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B2]단계 수행 후, 상기 [B3]단계는, [B1]단계에서 상기 하우징(1)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시트의 스위블링을 위한 공간 확보가 상기 하우징(1)의 전방 이동만으로도 가능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B1]단계는, 상기 1열시트(S1)를 차체(V)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B2]단계 수행 후, 상기 [B3]단계는, [B1]단계에서 상기 1열시트(S1)가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1열시트(S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1열시트(S1)의 후방 이동만으로도 상기 하우징(1)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상기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1열시트(S1)의 스위블링이 가능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B1]단계 수행 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의 고정덕트(5)를 폐쇄시키고; 상기 [B3]단계 완료 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의 고정덕트(5)를 개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B1]단계의 수행에 의해, 상기 하우징(1)이 기준상태로부터 전방으로 이동되어 도 11의 B상태로부터 A상태로 변화되면, 상기 고정덕트(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7)와 이동덕트(3)로 공급될 수 없으므로, 이 때에는 상기 고정덕트(5)에 별도로 구비된 밸브(미도시) 등을 상기 컨트롤러(CLR)가 제어하여, 일시적으로 상기 고정덕트(5)가 폐쇄되도록 하고, 상기 [B3]단계의 수행에 의해, 상기 하우징(1)이 상기 기준상태로 복귀되면,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고정덕트(5)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연결덕트(7)와 이동덕트(3)를 통해 상기 하우징(1)의 벤트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B1]단계 수행 시, 상기 1열시트(S1) 전체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도 15에 구체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열시트(S1) 중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시트(S11)만 차체(V)의 후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1)을 기준상태로부터, 상대적으로 차체(V)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B3]단계 수행 시, 상기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한 시트(S11)를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1)을 상기 기준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B2]단계에서, 상기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시트(S11)는 차체(V) 전방으로부터 예각의 범위 내에서만 차체(V) 외측을 향하도록 스위블링시키도록 하여, 상기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시트(S11)의 스위블링에 필요한 공간을 줄임으로써, 상기 하우징(1) 또는 시트의 전후방 이동 거리를 줄이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하우징
3; 이동덕트
5; 고정덕트
7; 연결덕트
9; 록킹장치
11; 벤트
13; 수납함
15; 스토퍼
17; 록킹레버
19; 록킹스프링
21; 록킹해제부
23; 후크암
25; 해제암
27; 구속암
29; 로어플레이트
31; 구속홀
33; 가이드부
35; 무빙블록로어
37; 직선가이드
39; 무빙블록어퍼
41; 슬라이더
43; 가이드레일
45; 구동모터
S; 시트
S1; 1열시트
S2; 2열시트
V; 차체
CLR; 컨트롤러

Claims (16)

  1. 기본 시트 상태로부터 대면 시트 상태로 변경시키는 기능이 개시되면,
    [A1]: 1열시트와 콘솔의 하우징이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단계;
    [A2]: 2열시트와 마주하도록 상기 1열시트를 스위블링시키는 단계;
    [A3]: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1]단계는,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A3]단계는, [A1]단계에서 상기 하우징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A1]단계에서 상기 1열시트가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1열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1]단계는,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A3]단계는, [A1]단계에서 상기 하우징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1]단계는,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A3]단계는, [A1]단계에서 상기 1열시트가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1열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1]단계 수행 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의 고정덕트를 폐쇄시키고;
    상기 [A3]단계 완료 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의 고정덕트를 개방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1]단계 수행 시, 상기 하우징을 기준상태로부터, 상대적으로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A3]단계 수행 시, 상기 하우징을 상기 기준상태로 복귀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8. 기본 시트 상태로부터 승하차 지원 기능이 개시되면,
    [B1]: 1열시트와 콘솔의 하우징이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단계;
    [B2]: 1열시트 중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시트가 차체 외측을 향하도록 스위블링시키는 단계;
    [B3]: 승하차가 완료되면,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1]단계는,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B3]단계는, [B1]단계에서 상기 하우징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B1]단계에서 상기 1열시트가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1열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1]단계는, 상기 하우징을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B3]단계는, [B1]단계에서 상기 하우징이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1]단계는, 상기 1열시트를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B3]단계는, [B1]단계에서 상기 1열시트가 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상기 1열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1]단계 수행 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의 고정덕트를 폐쇄시키고;
    상기 [B3]단계 완료 시, 상기 무빙 콘솔 시스템의 고정덕트를 개방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1]단계 수행 시, 상기 하우징을 기준상태로부터, 상대적으로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B3]단계 수행 시, 상기 하우징을 상기 기준상태로 복귀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1]단계 수행 시, 상기 1열시트 중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시트만 차체의 후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을 기준상태로부터, 상대적으로 차체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B3]단계 수행 시, 상기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한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을 상기 기준상태로 복귀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2]단계에서, 상기 승하차 지원 기능을 수행할 시트는 차체 전방으로부터 예각의 범위 내에서 차체 외측을 향하도록 스위블링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KR1020210013529A 2021-01-29 2021-01-29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KR20220109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529A KR20220109926A (ko) 2021-01-29 2021-01-29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US17/379,584 US20220242278A1 (en) 2021-01-29 2021-07-19 Control method for vehicle with moving console system
CN202110907819.6A CN114801905A (zh) 2021-01-29 2021-08-09 用于具有移动控制台系统的车辆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529A KR20220109926A (ko) 2021-01-29 2021-01-29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926A true KR20220109926A (ko) 2022-08-05

Family

ID=8252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529A KR20220109926A (ko) 2021-01-29 2021-01-29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42278A1 (ko)
KR (1) KR20220109926A (ko)
CN (1) CN11480190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030B1 (ko) 2017-11-10 2019-06-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101987006B1 (ko) 2017-11-10 2019-06-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20200063280A (ko) 2018-11-16 2020-06-0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무빙 콘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3848B1 (en) * 1997-09-01 2003-04-08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Vehicular turning seat
US9073574B2 (en) * 2013-11-20 2015-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nomous vehicle with reconfigurable interior
US9242581B2 (en) * 2014-06-25 2016-0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atic presentable swiveling seat
DE102014224560B4 (de) * 2014-12-01 2022-12-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Kraftfahrzeug
US10023084B2 (en) * 2015-07-15 2018-07-17 Gentherm Inc. Vehicle seat with slidable air coupling
US10343488B2 (en) * 2015-09-14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xiliary utility duct for a vehicle
JP6675276B2 (ja) * 2016-06-23 2020-04-01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DE102016010469A1 (de) * 2016-08-31 2018-03-01 Grammer Ag Innenraum eines Fahrzeugs
CN108725268B (zh) * 2017-04-19 2022-03-29 佛吉亚汽车内部系统公司 具有向内旋转座椅的车辆
DE102018202288A1 (de) * 2018-02-15 2019-08-22 Robert Bosch Gmbh Sitz für ein Fahrzeug und Ausstiegs- und Einstiegseinrichtung
US10710473B2 (en) * 2018-10-16 2020-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including a storage and seating module providing enhanced versatility
US10857913B2 (en) * 2019-01-10 2020-12-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US10946802B2 (en) * 2019-03-02 2021-03-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liding center console
US11214178B2 (en) * 2019-06-26 2022-01-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ivoting seat assembly
US11577656B2 (en) * 2020-10-30 2023-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system
US11731535B2 (en) * 2020-11-09 2023-08-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care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030B1 (ko) 2017-11-10 2019-06-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101987006B1 (ko) 2017-11-10 2019-06-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20200063280A (ko) 2018-11-16 2020-06-0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무빙 콘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01905A (zh) 2022-07-29
US20220242278A1 (en)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7348B2 (en) Cable activated latch pawl for floor console armrest
US11007916B2 (en) Vehicle interior
US9663038B2 (en) Deployable center console
US8061776B2 (en) Walk-in and folding apparatus for seat
KR20220108552A (ko) 차량의 무빙 콘솔
CN108725268A (zh) 具有向内旋转座椅的车辆
KR102644578B1 (ko) 자동차용 멀티 무빙 콘솔
CN108215967B (zh) 用于车辆的中央控制台扶手
EP1527913A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rear seat arrangement
KR20150117004A (ko) 자동차용 스탠드업 시트 백폴딩 장치
US20030098600A1 (en) Vehicle seat portion
JP2003165367A (ja) 車両のシート格納構造
KR20220109926A (ko) 무빙 콘솔 시스템 탑재 차량 제어방법
US20210145676A1 (en) Boarding/deboarding controller
CN110857020B (zh) 车载装置及其控制方法、介质、座椅的表面温度调节方法
JP3898298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204076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377053B2 (en) Extended slide vehicle seat with low profile adjustment control
JP4364581B2 (ja) 乗用車の空気案内構造
US20230115952A1 (en) Moving Console for Vehicle
JP4010140B2 (ja) 車両のシート格納構造
JP2010030346A (ja) 車両用センターコンソール
KR101694041B1 (ko) 개별공조를 위한 후석 통합도어를 갖는 차량공조장치
JP2005280614A (ja) アームレスト
KR102673076B1 (ko) 자동차용 하프 무빙 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