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847A -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및 이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및 이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847A
KR20220108847A KR1020210011301A KR20210011301A KR20220108847A KR 20220108847 A KR20220108847 A KR 20220108847A KR 1020210011301 A KR1020210011301 A KR 1020210011301A KR 20210011301 A KR20210011301 A KR 20210011301A KR 20220108847 A KR20220108847 A KR 20220108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let
mask
sheet
droplet blocking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301B1 (ko
Inventor
장용호
Original Assignee
장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호 filed Critical 장용호
Priority to KR102021001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3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substances of unknown or undetermined composition, e.g. substances characterised only by the mode of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8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applied in powder or granula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07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comprising particulate additives, e.g.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14Surface modifiers, e.g. comprising ion exchange groups
    • B01D2239/0428Rendering the filter material 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22Melt-bl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41Particle diamete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및 이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비말차단패드는 천연재료들을 분쇄한 조성물 또는 분말이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분사도포된 마스크 내부의 비말을 흡수하는 비말차단시트, 상기 비말차단시트 한 측면에 설치되고 스티커식으로 마스크본체 내측에 부착되는 접착부, 상기 비말차단패드 표면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을 원활히 돕는 공기구멍을 포함하는 것으로 마스크 외부에 추가적인 거추장스러운 외장을 부착하지 않으면서도 마스크 내부에 분비물과 냄새를 제거하고 마스크 내부의 환경을 청결하고 뽀송뽀송하게 유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및 이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
본 발명은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및 이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비말차단패드는 천연재료들을 분쇄한 조성물 또는 분말이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분사도포된 마스크 내부의 비말을 흡수하는 비말차단시트, 상기 비말차단시트 한 측면에 설치되고 스티커식으로 마스크 본체 내측에 부착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COVID-19로 인하여 바이러스 차단 및 예방에 관한 관심이 부쩍 늘어났다.
특히, 이 현상은 대중들이 마스크에 관한 관심을 가지게 되고, 2020년 1월부터 3월 중반까지 전국적으로 마스크 품귀 현상이 벌어졌으며 국내에서는 마스크 일일 생산량도 500만 장에서 1400~1500만장 수준까지 늘리는 등으로 이어졌다.
그런데 겨울이 되면서 마스크 내부와 마스크 외부의 온도차이 때문에 마스크 내부에 물방울이 맺히고, 안경착용자의 경우 안경에 김이 서려 시야를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서 사용자들을 힘들게 하고 있다.
마스크 안쪽에는 10분만 지나도 비말에 의해 흥건히 젖어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안에서 뿜어내는 비말로 인해 사용자들은 피부염과 악취로 인한 불편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219075호가 제시되었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마스크의 전면에는 원웨이밸브(210)가 장착된 제1개폐부(200)가 형성되며 양측 면에는 필터유닛(310)이 장착된 제2개폐부(300)가 형성되어 김서림을 방지하되, 상기 원웨이밸브(210)를 포함한 제1개폐부(200) 전체가 개폐가 가능한 것이며, 상기 제2개폐부(300)의 필터유닛 전체가 교체가 가능한 것이며, 상기 제2개폐부(300)의 필터유닛에는 테라피향이 카트리지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내장된 것으로 입김 및 코김이 좌우측으로 흐르게 되어 고글 및 안경 표면에 김서림이 방지되며 또한 원웨이밸브(210)를 포함한 제1개폐부(200) 전체가 개폐가 가능하여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고, 마스크 안쪽에 브릿지가 형성되어, 결로현상으로 생기는 습기가 자연스럽게 양측 면 배출구로 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마스크 외부에 추가적인 외장을 부착·형성하는 방식으로 거추장스러워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었고 이에 거추장스러운 외장을 추가하지 않고 간단하게 마스크 내부에 부착하여 마스크 내부 분미물과 냄새를 제거하여 청결한 상태를 일정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는 마스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19075호(2012. 12. 31.)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세균 및 바이러스 뿐만아니라 비말을 차단하기 위한 비말차단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미세먼지 및 황사 등을 차단하는 효과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은 마스크 외부에 추가적인 거추장스러운 외장을 부착하지 않으면서도 마스크 내부에 분비물과 냄새를 제거하고 마스크 내부의 환경을 청결하고 뽀송뽀송하게 유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피부염 발생 가능성을 최대한 억제하고, 향균효과를 제공하여 마스크 착용자로 하여금 오랫동안 착용하는데 생기는 불편을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말차단패드를 마스크 구조에 자체로 내장하여 상기 비말차단패드를 부착하지 않고도 상기 비말차단패드가 내장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비말차단패드의 효과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에 있어서, 상기 비말차단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비말차단패드를 부착하되, 상기 비말차단패드는 천연재료를 함유하여 마스크 내부의 비말을 흡수하는 비말차단시트, 상기 비말차단시트 한 측면에 설치되고 스티커식으로 마스크본체 내측에 부착되는 접착부, 상기 비말차단패드 표면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을 원활히 돕는 공기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면시트와 상기 비말차단시트 사이에 천연비타민C향균필터를 추가로 삽입하여 마스크 내에서 번식하는 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는 벨크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말차단시트에 사용되는 천연재료는 옥수수, 커피가루, 화산석 및 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를 제공한다.
또한, 비말차단패드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먼저 비말차단패드에 사용할 1 ~ 4겹의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부직포에 옥수수분말, 커피가루, 녹차잎분말, 화산석분말 및 숯분말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천연재료를 도포하거나 혼합하여 형성된 비말차단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비말차단시트에 냄새를 중화하고 향균효과를 제공하는 과일향, 허브향, 정향을 한 면 또는 양면에 분사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비말차단시트에 흡착된 비말 유출을 방지하고 2차 오염을 방지하는 방수필름을 비말차단시트 외측에 부착하는 단계;
(e) 상기 비말차단시트 및 방수필름를 접착하여 비말차단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비말차단패드 좌우 양쪽에 착용끈을 고정시켜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비말차단 마스크를 착용할 때 콧등에 마스크가 밀착될 수 있도록 마스크 중앙 상단에 와이어를 수평으로 내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패드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말차단 마스크는 세균, 바이러스, 황사 및 초미세먼지를 포함한 미세먼지를 차단하여 보건 위생용에 적합한 비말차단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비물과 악취를 포함한 냄새를 제거하고 마스크 내부의 환경을 청결하고 뽀송뽀송하게 유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비말차단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 내부에서 비말을 흡수하게 만드는 것으로 외부로 유출되는 비말을 억제하여 안경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피부염 발생 가능성을 최대한 억제하고, 향균효과를 제공하여 마스크 착용자로 하여금 오랫동안 착용하는데 생기는 불편을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말차단패드를 마스크 구조에 자체로 내장하여 상기 비말차단패드를 부착하지 않고도 상기 비말차단패드가 내장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비말차단패드의 효과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부착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부착도의 다른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마스크 내장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하며,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시트'는 부직포, 면시트, 목화솜, 섬유 등으로 제작된 것으로 시트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재질과 형태는 상이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부착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부착도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말차단 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비말차단 마스크는 마스크용 부직포에 비말차단패드(20)를 부착하거나 비말차단패드(20)를 자체적으로 이용해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비말차단패드(20)는 1~4겹의 부직포를 사용한다. 상기 비말차단패드(20)에 사용되는 부직포에 옥수수분말, 커피가루, 녹차잎분말, 황토분말, 화산석분말 및 숯분말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천연재료를 도포하거나 혼합한 비말차단시트(22)를 제작한다.
이 때, 상기 천연재료 분말은 입자 크기를 1 내지 200메시 크기로 분쇄한 분말을 사용한다.
상기 비말차단시트(22)는 단독으로 비말차단패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비말차단시트(22)에 천연향시트(23) 또는 면시트(21) 및 방수필름(24)을 각각 또는 함께 추가하여 비말차단패드(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말차단패드(20)의 양쪽에 착용끈을 부착해서 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그 자체로 비말차단 마스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말차단시트(22)는 천연재료 또는/및 천연향을 혼합 또는 도포하여 제작되며, 상기 비말차단시트로 제작된 비말차단패드를 마스크용 부직포에 부착시켜 비말차단 마스크를 제작한다.
상기 비말차단시트(22)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 1~4겹으로 구성하며, 상기 부직포는 MB필터(멜트블로운 부직포)로 대체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MB필터는 비말 차단효과 뿐만 아니라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차단하는 효과가 뛰어나 보건용 마스크를 제작할 수 있으며, 보건용 마스크는 KF80, KF94, KF98 및 KF99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비말차단시트(22)에는 천연재료와 함께 천연향을 더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천연향으로는 과일향, 허브향 또는 소나무로부터 추출한 정향 및 아로마 등이 있다. 상기 천연향은 비말차단시트(22)에 혼합하여 제작하거나 별도의 q부직포에 천연향을 혼합하여 천연향시트(23)로 제작하고, 이를 비말차단시트에 겹쳐서 비말차단 패드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천연향시트(23)는 1~4겹의 부직포에 천연향을 분사 또는 혼합, 도포하여 제작하고, 상기 천연향시트를 상기 비말차단시트에 겹친 뒤 밀착시켜 비말차단패드를 형성하고 이를 마스크용 부직포에 부착하여 비말차단 마스크를 제작하거나 그 자체로 비말차단 마스크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유출입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상기 비말차단패드(20) 표면에 공기구멍(26)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비말차단시트(22)에 사용할 수 있는 천연재료로는 옥수수, 커피가루, 녹차잎, 화산석 및 숯 등의 분말을 사용한다. 상기 천연재료 분말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일 실시예로 화산석을 80 내지 90 메시로 분쇄한 10중량부의 화산석부산물과 80 내지 90 메시로 분쇄한 3중량부의 숯 분말을 혼합한 조성물을 비말차단시트에 혼합하거나 도포 또는 분사하여 비말차단패드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은 비말차단시트(22)로 제작된 비말차단패드를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부직포에 부착하거나 그 자체로 비말차단 마스크를 제작하는 경우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가 호흡할 때 입에서 배출되는 비말을 비말차단시트의 혼합 조성물에서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비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비말차단시트에 사용되는 천연재료는 인체에 유입된다 하더라도 전혀 해롭지 않으며, 오히려 피부트러블을 완화시켜 주고 청량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말차단시트(22)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는 시트에 상기 천연재료들을 분쇄한 조성물 또는 분말을 분사 또는 도포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시트를 이중으로 구비하여 주머니 형태로 형성한 뒤 상기 조성물을 주머니에 투입·봉합·고정시켜 비말차단시트(22)를 형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의 한 측면 또는 양측 면에 상기 천연재료들을 분쇄한 조성물 분사하거나, 분말을 혼합 또는 도포하는 방식으로 부착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마스크 본체를 100중량부로 기준하였을 때, 상기 조성물 또는 분말을 0.05 내지 5중량부를 분사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말차단시트(22)에서 사용되는 옥수수분말, 커피가루, 녹차잎분말, 화산석분말 및 숯분말은 공급되는 원재료의 양이 풍부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말차단패드(20)에 천연비타민 성분을 함께 사용하거나 별도로 천연비타민 향균필터를 추가로 삽입하여 쾌적한 착용감 및 영양적으로 우수한 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으며, 마스크 내에서 번식하는 세균, 바이러스 등 병균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향균기능이 없는 일반마스크의 단점을 보완하고, 착용자의 피부에 보습효과 및 피부트러블 완화효과를 제공하며, 건조한 피부 및 아토피 피부에 효능이 있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비말차단패드(20)에 면시트(21)를 더 포함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면시트를 추가함으로써 마스크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피부 아토피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면시트(21)는 부직포 또는 목화솜 등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사용하고, MB필터는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MB필터는 보건용 마스크 내피 제작에 사용되는 핵심 재료이다. 상기 MB필터는 필터 입자차단 성능에 따라 KF80, KF94, KF98 및 KF99 등으로 구분한다.
본 발명의 비말차단패드는 1~4겹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비말차단시트만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비말차단시트에 천연향시트, 면시트를 함께 또는 각각 덧대어 포개져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비말차단시트는 천연재료 조성물 또는 분말을 분사 및 도포하여 비말차단과 함께 항균효과 및 착용감, 청량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말차단패드의 천연향시트에 다양한 천연향을 포함하는 액체 또는 분말을 분사 도포하는 대신 향을 첨가하거나, 면시트에 천연향시트(23)를 겹쳐서 비말차단패드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천연향시트(23)에는 과일향, 허브향, 소나무 추출물로부터 얻은 정향 등 다양한 천연재료의 향을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비말차단시트에서 비말을 흡수하여 일부 제거되고 남은 냄새를 완전히 중화시킨다.
또한, 상기 접착부(25)는 기본적으로는 스티커나 벨크로 방식으로 접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다른 형식의 부착부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마스크의 유형에 상관없이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비말차단패드(20)를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부직포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압착식 또는 재봉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말차단패드(20)는 사람의 피부 및 입에 접촉하는 면시트(21), 상기 면시트(21)에 접촉하고, 천연재료를 함유하여 바이러스 차단 및 마스크 내부의 비말을 흡수하는 비말차단시트(22), 상기 비말차단시트(22)에 접촉하고, 천연향을 첨가하여 냄새를 중화하는 천연향시트(23), 상기 비말차단시트(22)에서 흡수된 비말 유출을 방지하고 2차 오염을 방지하는 방수필름(2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비말차단패드를 구성할 때 이들 중 비말차단시트 만으로 비말차단패드를 형성하거나, 비말차단시트 외에 면시트, 천연향시트 및 방수필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비말차단패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수필름(24)에는 접착부(25)를 형성시켜 비말차단패드를 마스크 본체 안쪽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비말차단패드 자체로 제작된 비말차단 마스크에 관한 도면으로 비말차단 마스크를 형성하는 비말차단패드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 3의 비말차단패드는 앞에 설명한 방식으로 비말차단패드를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비말차단패드 자체를 이용하여 비말차단 마스크를 제작하는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말차단 마스크를 형성하는 비말차단패드는 착용자의 입 및 코를 감싸는 면시트(21), 상기 면시트(21)에 접촉하고, 천연재료를 함유하여 비말을 흡착하는 비말차단시트(22), 상기 비말차단시트(22)에 접촉하고 천연향이 포함된 천연향시트(23), 상기 비말차단시트(22)에서 흡수된 비말 유출을 방지하고 2차 오염을 방지하는 방수필름(24)로 구성된 단면도이다. 상기 도 3의 비말차단 마스크를 형성하는 비말차단패드는 비말차단시트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비말차단시트를 필수로 구성하고, 비말차단시트에 면시트, 천연향시트 및 방수필름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비말차단패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말차단패드 표면에는 미세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비말을 차단하면서도 마스크를 착용한 착용자의 호흡이 원활할 수 잇도록 공기의 유출입을 원활히 돕는 공기구멍(2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좌우 양쪽에는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귀에 걸 수 있도록 착용끈(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마스크가 얼굴에 잘 밀착될 수 있도록 콧 등 부위에 위치되는 마스크 중앙 상단에 와이어(120)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구성된다.
비말차단패드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a) 먼저 비말차단패드에 사용할 1 ~ 4겹의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부직포에 옥수수분말, 커피가루, 녹차잎분말, 화산석분말 및 숯분말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천연재료를 도포하거나 혼합하여 형성된 비말차단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비말차단시트에 냄새를 중화하고 향균효과를 제공하는 과일향, 허브향, 정향을 한 면 또는 양면에 분사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비말차단시트에 흡착된 비말 유출을 방지하고 2차 오염을 방지하는 방수필름을 비말차단시트 외측에 부착하는 단계;
(e) 상기 비말차단시트 및 방수필름를 접착하여 비말차단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비말차단패드 좌우 양쪽에 착용끈을 고정시켜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비말차단 마스크를 착용할 때 콧등에 마스크가 밀착될 수 있도록 마스크 중앙 상단에 와이어를 수평으로 내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내용에서 본 발명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부분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부분을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다.
10 : 마스크본체 20 : 비말차단패드
21 : 면시트 22 : 비말차단시트
23 : 천연향시트 24 : 방수필름
25 : 접착부 26 : 공기구멍
110 : 착용끈 120 : 와이어

Claims (5)

  1. 비말차단패드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비말차단패드는 1~4겹의 부직포 또는 MB필터로 구성되는 비말차단시트; 및
    상기 비말차단시트의 부직포 또는 MB필터에 옥수수분말, 커피가루, 녹차잎분말, 화산석분말 및 숯분말로 구성되는 천연재료를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천연재료 분말의 입자 크기는 1 내지 200메시 크기로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며,
    상기 비말차단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말차단패드의 한 측면에는 마스크 본체에 비말차단패드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접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패드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말차단패드를 형성하는 비말차단시트에는 과일향, 허브향 또는 정향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비말차단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분사 또는 혼합되어 청량감과 함께 향균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패드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말차단패드는 비말차단시트가 필수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비말차단시트에 면시트, 천연향시트 및 방수필터가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패드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말차단패드의 비말차단시트에 천연비타민 성분을 함께 사용하거나 비말차단시트에 접착되는 별도의 부직포에 천연비타민을 포함시킨 항균효과를 갖는 천연향필터를 추가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패드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5. 비말차단패드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먼저 비말차단패드에 사용할 1 ~ 4겹의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부직포에 옥수수분말, 커피가루, 녹차잎분말, 화산석분말 및 숯분말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천연재료를 도포하거나 혼합하여 형성된 비말차단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비말차단시트에 냄새를 중화하고 향균효과를 제공하는 과일향, 허브향, 정향을 한 면 또는 양면에 분사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비말차단시트에 흡착된 비말 유출을 방지하고 2차 오염을 방지하는 방수필름을 비말차단시트 외측에 부착하는 단계;
    (e) 상기 비말차단시트 및 방수필름를 접착하여 비말차단패드를 형성하는 단계;
    (f) 상기 비말차단패드 좌우 양쪽에 착용끈을 고정시켜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비말차단 마스크를 착용할 때 콧등에 마스크가 밀착될 수 있도록 마스크 중앙 상단에 와이어를 수평으로 내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차단패드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


KR1020210011301A 2021-01-27 2021-01-27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및 이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 KR102636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301A KR102636301B1 (ko) 2021-01-27 2021-01-27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및 이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301A KR102636301B1 (ko) 2021-01-27 2021-01-27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및 이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847A true KR20220108847A (ko) 2022-08-04
KR102636301B1 KR102636301B1 (ko) 2024-02-14

Family

ID=8283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301A KR102636301B1 (ko) 2021-01-27 2021-01-27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및 이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3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879Y1 (ko) * 2005-03-26 2005-06-16 권영아 방향제 항균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은 니트 마스크
KR20120007137U (ko) * 2011-04-08 2012-10-17 김숙현 여과기능을 갖는 한지부직포를 사용한 호흡기용 기능성 마스크
KR101219075B1 (ko) 2011-03-08 2013-01-11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김서림 방지 테라피 마스크
KR20160000569U (ko) * 2014-08-08 2016-02-17 김회율 일회용 방수 마스크
JP3213767U (ja) * 2017-09-19 2017-11-30 株式会社トキワ工業 衛生マスクおよび衛生マスク用フィルター
JP2018154953A (ja) * 2017-03-17 2018-10-0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マスク用シート及び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3767B2 (ja) * 1991-11-28 2001-10-02 東芝機械株式会社 バンク量の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879Y1 (ko) * 2005-03-26 2005-06-16 권영아 방향제 항균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은 니트 마스크
KR101219075B1 (ko) 2011-03-08 2013-01-11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김서림 방지 테라피 마스크
KR20120007137U (ko) * 2011-04-08 2012-10-17 김숙현 여과기능을 갖는 한지부직포를 사용한 호흡기용 기능성 마스크
KR20160000569U (ko) * 2014-08-08 2016-02-17 김회율 일회용 방수 마스크
JP2018154953A (ja) * 2017-03-17 2018-10-0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マスク用シート及びマスク
JP3213767U (ja) * 2017-09-19 2017-11-30 株式会社トキワ工業 衛生マスクおよび衛生マスク用フィル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301B1 (ko)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349Y1 (ko) 마스크
KR200316234Y1 (ko) 건강성유지를 이용한 마스크
KR101333598B1 (ko) 복합 기능 위생 마스크
US20080223371A1 (en) Nose guard mask
KR20130000983U (ko) 기능성 패션 마스크
KR102236062B1 (ko) 끈 없는 마스크
KR20160105025A (ko) 복합 기능 한지 필터가 구비된 호흡기용 다용도 위생 마스크
CN209185788U (zh) 可调节口罩
CN206586437U (zh) 新型无纺布口罩
CN208891751U (zh) 一种纳米负离子粉环保口罩
CN206577262U (zh) 一种防寒防雾霾口罩
CN108936890A (zh) 一种中药微滤滤片、制作方法及其中药防雾霾口罩
CN201332706Y (zh) 卫生口罩
KR102636301B1 (ko) 비말차단시트를 이용한 비말차단패드 및 이를 이용한 비말차단 마스크 제조방법
CN204733946U (zh) 一种可折叠pm2.5防护口罩及其组合套装
CN205337714U (zh) 一种改良口罩
JP7232384B2 (ja) 着脱可能な多機能マスク
CN206744644U (zh) 一种超薄边热压中缝新型口罩
CN206836301U (zh) 一种多功能盐疗口罩
US20220039482A1 (en) Garment apparatus and methodology that facilitates wearing of mask
KR102327702B1 (ko) 광물 미세분말을 도포한 교체형 필터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KR200407965Y1 (ko) 코싸개가 부착된 마스크
CN210841654U (zh) 可拆卸式多功能口罩
CN106820348A (zh) 一种多功能盐疗口罩
CN207444324U (zh) 一种含植物抗菌芯片的防尘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