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454A -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454A
KR20220108454A KR1020210011474A KR20210011474A KR20220108454A KR 20220108454 A KR20220108454 A KR 20220108454A KR 1020210011474 A KR1020210011474 A KR 1020210011474A KR 20210011474 A KR20210011474 A KR 20210011474A KR 20220108454 A KR20220108454 A KR 20220108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ctv
crime prevention
vo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주
Original Assignee
이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주 filed Critical 이성주
Priority to KR102021001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8454A/ko
Publication of KR20220108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3Recognition of patterns in medical or anatomical images
    • G06V2201/033Recognition of patterns in medical or anatomical images of skeletal patter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분석부 및 음성분석부에 의해 인식된 영상 특징 및 음성 인식에 따른 명령 실행할 수 있고, 자택에 허가 받지 않은 사람이 침입할 경우 조명을 제어하거나 경광등 제어하여 침입을 방지 할 수 있고 , 사용자의 상태정보 조합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MART SECURITY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CCTV}
본 발명은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분석부 및 음성분석부에 의해 인식된 영상 특징 및 음성 인식에 따른 명령 실행할 수 있고, 자택에 허가 받지 않은 사람이 침입할 경우 조명을 제어하거나 경광등 제어하여 침입을 방지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상태정보 조합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 시스템은 가정이나 관공서 및 은행 등에 설치되어 각종 범죄나 재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난, 화재, 가스 누출 등을 감지하는 센서 및 CCTV가 특정위치에 설치되고, 이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경비업체나 관리소 등의 중앙 관제센터에 전송하며, 이와 함께 소방서나 경찰서 등에 연결되어 위급상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CCTV 카메라는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 정보 전달용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CCTV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은 시스템 관리자가 관찰자가 직접 주기적으로 화면을 관찰해야만 했고, 만약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 적절한 시기 내에 조치를 취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영상을 녹화하는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가 아닌, 영상 및 음성 인식을 통해 상황을 자동적으로 인지하고 이에 대처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48550호 한국등록특허 제10-0493078호 한국공개특허 제1999-00585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범뿐만 아니라 생활 여러 분야에 사용하는 CCTV로 1인 가구나 독거노인 등의 주거지에 댁내방범단말(1)을 설치하여 효율적인 방범시스템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CCTV(7a)에서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및 마이크(7b)를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주변 배경음을 통해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의 상태를 스스로 파악하고, 스피커(7c)를 통해 관제센터의 관리자 및 지정된 연락처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에게 의사를 전달하여 사용자의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범시스템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CCTV(7a)에서 촬영된 영상을 관제서버(4)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여 댁내에서 발생하는 범죄 또는 응급상황과 같은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범시스템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CCTV(7a)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판단된 현재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적외선센서(7d)를 이용하여 조명 또는 경광등(7g)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범시스템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어부(11), 영상분석부(12), 음성분석부(13), 저장부(14), I/F모듈(15), 및 통신모듈(16)을 포함하는 댁내방범단말(1); 착용한 사용자의 맥박, 걸음 수, 체온, 움직임 또는 현재 위치 등을 포함하는 측정 가능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댁내방범단말(1) 또는 관제서버(4)에 정보를 전송하며, 각각에 ID가 부여되어 상기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장치(2); 상기 댁내방범단말(1)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장치(2)의 등록, 사용자 정의 이벤트의 생성, 또는 기 설정된 이벤트 중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지정하거나 제어하고, 상기 관제서버(4)에 접속하여 상기 댁내방범단말(1)이 전송한 사용자 정보, 상기 사용자장치(2)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이벤트 중 생성된 이벤트 목록 등을 관리 및 제어하는 사용자단말(3); 및 복수의 상기 댁내방범단말(1)과 접속하여 기 정의된 비상 상황(이벤트) 발생시 상황에 따라 선택되는 연락처로 상황을 전파하는 관제서버(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댁내방범단말(1)은, CCTV(7a), 마이크(7b), 적외선센서(7d), 조도센서(7f), 영상분석부(12), 음성분석부, 상기 사용자장치,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상기 관제서버(4)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저장부(14)에 설정된 제어정보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해당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제어부(11); CCTV(7a)로부터 수신한 영상에서 객체를 인식하여 대상을 판단하고, 객체의 형태를 인지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의 특징이 영상 명령을 포함하는 지를 판단하는 영상분석부(12); 마이크(7b)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인식하여 등록된 사용자 여부를 판별하고, 추출된 음성에 특정 단어 또는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지를 판단하는 음성분석부(13);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객체 특징 비교 결과 또는 상기 음성 명령에 따른 안내메시지가 스피커(7c)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각 상황에 맞는 안내메시지DB, 사용자 정보, 사용자장치로 부터 수신된 정보, 및 사용자 정의 이벤트가 저장되는 저장부(14); 상기 CCTV(7a), 상기 마이크(7b), 상기 스피커(7c), 상기 경광등(7g), 및 복수의 센서를 수용하는 I/F모듈(15); 상기 사용자 단말(3), 상기 사용자 장치(2), 및 상기 관제서버(4)간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모듈(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촬영된 영상에서 추출된 피사체의 자세가 영상 명령을 위한 자세인 경우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추출된 음성이 음성 명령을 위한 단어인 경우 중 적어도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16)을 통해 해당 상황을 상기 관제서버(4)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영상분석부(12)로 또는 상기 음성분석부(13)로부터 허가받지 않은 사람의 침입이라는 판단이 존재할 경우 해당 상황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관제서버(4)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조명제어모듈(7e)에 조명을 ON 시키는 신호 및 경광등 동작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상태정보, 영상분석부(12)의 분석결과, 음성분석부(13)의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정보 조합에 따라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적외선센서(7d)와 연동시켜 상기 적외선센서(7d)의 신호에 따라 생물체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된 영상 내의 객체의 특징 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촬영된 영상 내의 객체가 사람으로 인지된 피사체와 수평면의 각도 및 관절의 각도를 포함하는 몸의 구부림 정도로부터 피사체의 자세를 추출하여 특정한 자세가 될 경우 상기 마이크(7b)와 연동하여 상기 통신모듈(16)을 통해 해당 상황을 상기 관제서버(4)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시스템, 방범뿐만 아니라 생활 여러 분야에 사용하는 CCTV로 1인 가구나 독거노인 등의 주거지에 댁내방범단말(1)을 설치하여 효율적인 방범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일상 생활에서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CCTV(7a)에서 촬영되는 실시간 영상 및 마이크(7b)를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주변 배경음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신변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나 범죄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경우, 관제센터의 관리자 및 지정된 연락처와 관련된 다른 사용자에게 의사를 전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비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센서(7d)를 상시 구동하여 CCTV(7a)에서 촬영되는 영상과 연동시킴으로써 우수한 촬영 영상을 확보할 수 있고,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댁내방범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은 CCTV(7a), 마이크(7b), 스피커(7c), 적외선센서(7d), 조명제어모듈(7e), 조도센서(7f), 및 경광등(7g)이 댁내방범단말(1)내에 포함되는 I/F모듈(InterFace 모듈, 15)에 수용되어 연결되고, 댁내방범단말(1), 사용자장치(2), 사용자단말(3), 관제서버(4), 및 AP(Access Point,5)가 인터넷(6)을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AP(Access Point,5), 인터넷(6), CCTV(7a), 마이크(7b), 스피커(7c), 적외선센서(7d), 조명제어모듈(7e), 조도센서(7f), 및 경광등(7g)의 기능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려 알려진 사실이므로 각각의 설명의 생략하고,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내에서 구성요소 간에 동작하는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댁내방범단말(1)은 제어부(11), 영상분석부(12), 음성분석부(13), 저장부(14), I/F모듈(15), 및 통신모듈(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1)는 댁내방범단말(1)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댁내방범단말(1)에 구비되는 CCTV(7a), 마이크(7b), 적외선센서(7d), 조도센서(7f), 사용자장치(2), 사용자단말(3), 또는 관제서버(4) 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저장부(14)에 설정된 제어정보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해당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일을 수행한다.
영상분석부(12)는 CCTV(7a)로부터 수신한 영상에서 객체를 판단하고 객체의 형태를 인지하여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영상의 특징 값은 영상내에 존재하는 점, 경계선, 모서리, 질감, 색 등 다른 부분과 구분이 되어 두드러지는 성질을 의미한다.
즉, 영상분석부(12)는 촬영 영상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에 맞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객체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는 마스크를 이용한 경계선 검출 방법, 허프 변환을 이용한 직선 검출방법, 또는 해리스 코너 포인트 검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촬영된 영상 내의 객체가 사람인지 로봇청소기와 같은 물체인지 여부를 판단해야 하지만, 적외선센서(7d)와 함께 연동시켜 적외선센서(7d)의 신호에 따라 생물체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된 영상 내의 객체의 특징 값을 추출한다.
추출되는 영상의 특징은 사람으로 인지된 피사체와 수평면의 각도 및 관절의 각도를 포함하는 몸의 구부림 정도이며, 이로부터 피사체의 자세를 추출하여 특정한 자세가 될 경우 마이크(7b)와 연동하여 통신모듈(16)을 통해 해당 상황을 관제서버(4)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관제서버(4) 요청이나 필요에 따라 사람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세밀한 영상의 특징 값을 추출할 수도 있다.
추출된 영상의 특징은 저장부(14)에 설정된 값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정보들과의 조합을 통해 제어부(11)가 적절한 명령을 이벤트 대상 장치로 송신하게 된다.
음성분석부(13)는 마이크(7b)로부터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분석부(13)는 마이크(7b)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인식하여, 저장부(14)에 저장된 음성과 비교하여 등록된 사용자 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마이크(7b)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이 기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음성을 텍스트화하여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이벤트 발생을 유발할 수 있는 단어인지 비교하여 매칭되는 단어가 있는 경우, 해당 단어에 따른 명령어 들을 제어부(11)로 전달하여 제어부(11)가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는 음성으로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특정 단어(예를 들어, 삼성 스마트폰에 내장된 빅스비의 경우는 ‘아리야’, 애플 스마트폰의 경우는 ‘시리’)를 말해야 음성명령을 수신할 준비를 하고 음성 명령의 입력을 대기한다.
그러나, 강도의 침입과 같은 비상상황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단어를 말할 경우 침입자가 인지할 수도 있으므로, 보안 명령을 별도로 두어 특정 단어(예를 들어, 예 예 선생님 등)가 입력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 CCTV(7a)와 연동하여 통신모듈(16)을 통해 해당 상황을 관제서버(4)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저장부(14)에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장치(2)로 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사용자 정의 이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원격지에 설치된 별도의 서버에 사용자 정보, 사용자장치(2)로 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사용자 정의 이벤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객체 특징 비교 결과 또는 음성 명령에 따른 안내메시지가 스피커(7c)에서 출력되도록, 각 상황에 맞는 안내메시지DB가 저장될 수 있다.
- 저장부(14)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로는 설정모드에서 사용자단말(3)을 통해 입력된 로그인 정보 및 지문등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 사용자장치(2)로 부터 수신된 정보는 사용자 장치의 ID, 체온, 맥박, 및 사용자 움직임 등 사용자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정보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정의 이벤트
- ⅰ) 기본 이벤트 : 화재, 방범, 또는 환자 이상 상태 등 비상 상황 발생에 따른 이벤트
- ⅱ) 사용자 정의 이벤트 :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체온, 맥박, 및 사용자 움직임 등 사용자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정보의 조합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 목록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이벤트 옵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이벤트
I/F모듈(15)은 댁내방범단말(1)에 수용되는 센서 및 독립적인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예를 들면,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를 수용하기 위해 모듈 형태로 구현되어 각각의 구성요소의 장애 발생시 유지보수의 편의를 제고하고, 판매시 장착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모듈(16)은 Wi-Fi, Bluetooth, ZigBee, 또는 PL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 사용자 장치, 또는 관제서버와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댁내방범단말(1)에는 사용자 등록 또는 사용자장치(2)의 등록을 가이드하거나, 현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도 있다.
사용자장치(2)는 일반적으로 스마트워치와 기능 또는 외관이 유사한 형태를 띌 수 있다.
사용자장치(2)는 착용한 사용자의 맥박, 걸음 수, 체온, 움직임 또는 현재 우치 등을 포함하는 측정 가능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댁내방범단말(1) 또는 관제서버(4)에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장치(2)는 각각의 ID가 부여되어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3)은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PC와 같은 인터넷(6)에 접속 가능한 단말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3)을 이용하여 인터넷(6)을 통해 댁내방범단말(1)에 접속하여, 사용자장치(2)의 등록, 사용자 정의 이벤트의 생성, 또는 기 설정된 이벤트 중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지정하거나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지에 설치된 관제서버(4)에 접속하여 댁내방범단말(1)이 전송한 사용자 정보, 사용자 장치로 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이벤트 중 생성된 이벤트 목록 등을 관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3)은 댁내방범단말(1) 또는 관제서버(4)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관제서버(4)는 통합관제센터 내에 설치되어 있다. 통합관제센터는 복수의 댁내방범단말(1)과 접속하여 기 정의된 비상 상황(이벤트) 발생시 상황에 따라 선택된 연락처로 상황을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단말(3)이 접속된 경우,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이벤트에 대하여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여 사용자에 의한 관리제어도 가능하며, 댁내방범단말(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사용자 장치로 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이벤트 중 생성된 이벤트 목록등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 간에 동작하는 방법에 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1) 영상 인식 및 음성 인식에 따른 명령 실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사용자가 자택에 머무는 동안 허가 받지 않은 사람(예를 들어, 강도 또는 도둑 등)이 침입할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등록된 사용자의 자택 거주 여부는 사용자장치(2)가 AP(Access Point,5)에 접속 되었는지 여부, 사용자장치(2)가 댁내방범단말(1)와 Blutooth신호를 서로 주고받고 있는지 여부, 사용자장치(2) 내부에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GPS 수신장치로부터 파악한 위치 정보, 또는 CCTV(7a)에 촬영되는 피사체의 얼굴 인식을 이용한다.
CCTV(7a) 및 마이크(7b)는 상시 동작하여 사용자의 음성과 영상을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댁내방범단말(1)로 송신하고, 댁내방범단말(1)은 영상분석부(12) 및 음성분석부(13)에서 실시간으로 영상 명령 또는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
추출된 피사체의 자세가 영상 명령을 위한 자세인 경우 또는 추출된 음성이 음성 명령을 위한 단어인 경우 중 적어도 판단되면, 통신모듈(16)을 통해 해당 상황을 관제서버(4)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댁내방범단말(1)로부터 해당 상황을 전파받은 관제서버(4)는 모니터 상에 현재 상황을 표시하고, 관리자의 입력 또는 시스템의 판단에 따라 해당 상황에 맞도록 경찰서, 소방서, 또는 병원 등으로 자동 통보한다.
지정된 연락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해당 상황과 함께 전송된 영상 및 음성을 이용하여 별도의 조치를 취할 수 도 있다.
2) 조명제어 및 경광등(7g) 제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자택에 사용자 부재시 허가 받지 않은 사람(예를 들어, 강도 또는 도둑 등)이 침입할 경우를 가정한다.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재택 여부를 판단한다.
적외선센서(7d)는 감시 가능한 지역에서 열을 포함하는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댁내방범단말(1)로 전송한다.
CCTV(7a) 및 마이크(7b)는 상시 동작하며, CCTV(7a) 및 마이크(7b)가 설치된 장소의 영상과 음성을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댁내방범단말(1)로 송신한다.
댁내방범단말(1)은 적외선센서(7d), 영상분석부(12) 및 음성분석부(13)로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부재시 허가받지 않은 사람(예를 들어, 강도 또는 도둑 등)이 침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자택에 사용자 부재시 허가 받지 않은 사람이 침입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댁내방범단말(1)은 해당 상황의 상태 정보를 관제서버(4)로 송신한다.
댁내방범단말(1)로부터 해당 상황 정보를 전파받은 관제서버(4)는 모니터 상에 현재 상황 정보을 표시하고, 관리자의 입력 또는 시스템의 판단에 따라 해당 상황에 맞도록 경찰서, 소방서, 또는 병원등으로 자동 통보한다.
지정된 연락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해당 상황과 함께 전송된 영상 및 음성을 이용하여 별도의 조치를 취할 수 도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조명제어모듈(7e)에 조명을 ON 시키는 신호 및 경광등(7g) 동작 신호를 전송하여 전등을 ON 시킴과 동시에 경광등(7g)을 동작시켜 허가받지 않은 사람이 자택에서 나가도록 유도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조도센서(7f)로부터 수신된 값을 이용하여 촬영하기에 부적절한 경우 조명을 ON 시키는 신호를 전송하여 CCTV(7a)가 촬영할 수 있는 정도로 조명을 제어 할 수도 있다.
이후, 허가받지 않은 사람이 나가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1)는 조명제어모듈(7e)에 조명을 OFF 명령 경광등(7g) OFF 신호를 전송하여 전등을 OFF 시킴과 동시에 경광등(7g)을 OFF시키고, 현재 상황을 관제서버(4)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파한다.
3) 사용자의 상태정보 조합에 따른 이벤트 발생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댁내방범단말(1)은 사용자장치(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상태정보(예를 들면, 체온, 맥박, 움직임 또는 위치)등 사용자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정보의 조합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 목록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이벤트 옵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이벤트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사용자장치(2)는 일정 주기 또는 상시 사용자장치(2)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댁내방범단말(1) 또는 관제서버(4)로 전송한다.
댁내방범단말(1)은 사용자장치(2)가 AP(Access Point,5)에 접속 되었는지 여부, 사용자장치(2)가 댁내방범단말(1)와 Blutooth신호를 서로 주고받고 있는지 여부, 사용자장치(2) 내부에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GPS 수신장치로부터 파악한 위치 정보, 또는 CCTV(7a)에 촬영되는 피사체의 얼굴 인식을 이용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자택 거주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장치(2)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수신한 댁내방범단말(1) 또는 관제서버(4)로 전송하고, CCTV(7a) 및 마이크(7b)는 상시 동작하며, CCTV(7a) 및 마이크(7b)가 설치된 장소의 영상과 음성을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댁내방범단말(1)로 전송한다.
댁내방범단말(1) 또는 관제서버(4)는 수집된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및 사용자 상태정보 들의 조합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장치(2)가 댁내방범단말(1)과 동일한 AP(5)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움직임이 지속되던 중 일정시간 멈추고, 맥박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 또는 CCTV(7a)로부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사용자의 자세가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되는 경우 등의 조합을 통해 위급상황으로 판단하고 관제서버(4)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연락처로 상황을 전파하여 위급상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장치(2)로부터 위급상황을 수신한 관제서버(4)는 사용자 선호 병원, 119,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상황을 전파하여 위급상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가 AP(5)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장치(2)는 통신 기능을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전환하고, 사용자장치(32)가 모니터링한 사용자 상태 정보를 댁내방범단말(1) 또는 관제서버(4)로 전송한다.
여기서 비상 상황 발생시의 동작은 앞의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사용자 장치(2)의 현재 위치를 AP(5) 또는 GPS로 구분하여 고려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그 구성요소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댁내방범단말
2 … 사용자장치
3 … 사용자단말
4 … 관제서버
5 … AP(Access Point)
6 … 인터넷
7a … CCTV
7b … 마이크
7c … 스피커
7d … 적외선센서
7e … 조명제어모듈
7f … 조도센서
7g … 경광등
11 … 제어부
12 … 영상분석부
13 … 음성분석부
14 … 저장부
15 … I/F모듈(InterFace 모듈)
16 … 통신모듈

Claims (7)

  1. 제어부(11), 영상분석부(12), 음성분석부(13), 저장부(14), I/F모듈(15), 및 통신모듈(16)을 포함하는 댁내방범단말(1);
    착용한 사용자의 맥박, 걸음 수, 체온, 움직임 또는 현재 위치 등을 포함하는 측정 가능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댁내방범단말(1) 또는 관제서버(4)에 정보를 전송하며, 각각에 ID가 부여되어 상기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장치(2);
    상기 댁내방범단말(1)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장치(2)의 등록, 사용자 정의 이벤트의 생성, 또는 기 설정된 이벤트 중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지정하거나 제어하고, 상기 관제서버(4)에 접속하여 상기 댁내방범단말(1)이 전송한 사용자 정보, 상기 사용자장치(2)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이벤트 중 생성된 이벤트 목록 등을 관리 및 제어하는 사용자단말(3); 및
    복수의 상기 댁내방범단말(1)과 접속하여 기 정의된 비상 상황(이벤트) 발생시 상황에 따라 선택되는 연락처로 상황을 전파하는 관제서버(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댁내방범단말(1)은,
    CCTV(7a), 마이크(7b), 적외선센서(7d), 조도센서(7f), 영상분석부(12), 음성분석부, 상기 사용자장치,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상기 관제서버(4)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저장부(14)에 설정된 제어정보를 처리한 후 그 결과를 해당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제어부(11);
    CCTV(7a)로부터 수신한 영상에서 객체를 인식하여 대상을 판단하고, 객체의 형태를 인지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의 특징이 영상 명령을 포함하는 지를 판단하는 영상분석부(12);
    마이크(7b)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인식하여 등록된 사용자 여부를 판별하고, 추출된 음성에 특정 단어 또는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지를 판단하는 음성분석부(13);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객체 특징 비교 결과 또는 상기 음성 명령에 따른 안내메시지가 스피커(7c)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각 상황에 맞는 안내메시지DB, 사용자 정보, 사용자장치로 부터 수신된 정보, 및 사용자 정의 이벤트가 저장되는 저장부(14);
    상기 CCTV(7a), 상기 마이크(7b), 상기 스피커(7c), 상기 경광등(7g), 및 복수의 센서를 수용하는 I/F모듈(15);
    상기 사용자 단말(3), 상기 사용자 장치(2), 및 상기 관제서버(4)간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모듈(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는,
    촬영된 영상에서 추출된 피사체의 자세가 영상 명령을 위한 자세인 경우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추출된 음성이 음성 명령을 위한 단어인 경우 중 적어도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16)을 통해 해당 상황을 상기 관제서버(4) 또는 지정된 연락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영상분석부(12)로 또는 상기 음성분석부(13)로부터 허가받지 않은 사람의 침입이라는 판단이 존재할 경우 해당 상황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관제서버(4)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는,
    조명제어모듈(7e)에 조명을 ON 시키는 신호 및 경광등 동작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상태정보, 영상분석부(12)의 분석결과, 음성분석부(13)의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정보 조합에 따라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적외선센서(7d)와 연동시켜 상기 적외선센서(7d)의 신호에 따라 생물체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된 영상 내의 객체의 특징 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는,
    촬영된 영상 내의 객체가 사람으로 인지된 피사체와 수평면의 각도 및 관절의 각도를 포함하는 몸의 구부림 정도로부터 피사체의 자세를 추출하여 특정한 자세가 될 경우 상기 마이크(7b)와 연동하여 상기 통신모듈(16)을 통해 해당 상황을 상기 관제서버(4)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KR1020210011474A 2021-01-27 2021-01-27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08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474A KR20220108454A (ko) 2021-01-27 2021-01-27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474A KR20220108454A (ko) 2021-01-27 2021-01-27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454A true KR20220108454A (ko) 2022-08-03

Family

ID=8284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474A KR20220108454A (ko) 2021-01-27 2021-01-27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845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509A (ko) 1997-12-30 1999-07-15 윤종용 폐쇄회로 텔레비젼 시스템의 원격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348550B1 (ko) 2000-07-24 2002-08-24 주식회사 호서텔넷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보안 시스템
KR100493078B1 (ko) 2001-11-22 2005-05-31 주식회사 텔로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509A (ko) 1997-12-30 1999-07-15 윤종용 폐쇄회로 텔레비젼 시스템의 원격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348550B1 (ko) 2000-07-24 2002-08-24 주식회사 호서텔넷 인터넷 전화기를 이용한 무선보안 시스템
KR100493078B1 (ko) 2001-11-22 2005-05-31 주식회사 텔로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1805B2 (en) Video monitoring and alarm verification technology
US10217335B2 (en) Dynamic linking of security systems
US10229585B1 (en) Handling duress input
EP3118826B1 (en) Home, office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using micro mobile drones and ip cameras
EP2492883A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monitoring and early fire alarming
KR101739724B1 (ko) 지능형 스마트 방범도어시스템
US20170132888A1 (en) Intruder detec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20120092163A1 (en) Intruder detection and interdic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EP3563359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privacy enabled surveillance in a building
US11765501B2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with audio analytics adapted to a particular environment to aid in identifying abnormal events in the particular environment
US20160232763A1 (en) Wireless camera, microphone, security, repeater, intercom, conferencing and/or remo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WO2019224658A1 (en) Scalable biometric alarm system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345479B1 (ko) 건물 출입 관리시스템
US9646482B1 (en) Learned and dynamic entry allowances
US984701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KR20200060094A (ko) 출입문 보안 관리시스템
KR102251931B1 (ko) 가정용 통신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08454A (ko) Cctv를 이용한 스마트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5363214B2 (ja) 警備システム及びセンサ端末
KR201601029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보안 시스템
CN112309099A (zh) 一种物联网智能家居无线控制器
KR20150102536A (ko) 융복합 솔루션을 통한 보안 시스템
US20240161590A1 (en) Light switch systems configured to respond to gunfire and methods of use
KR10259704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카메라 장치 및 카메라 시스템
KR102095154B1 (ko) 비상벨과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용 112 비상벨 호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