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826A -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 - Google Patents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826A
KR20220107826A KR1020210010979A KR20210010979A KR20220107826A KR 20220107826 A KR20220107826 A KR 20220107826A KR 1020210010979 A KR1020210010979 A KR 1020210010979A KR 20210010979 A KR20210010979 A KR 20210010979A KR 20220107826 A KR20220107826 A KR 20220107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discharge pipe
seedling
supply pip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금재
이권도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이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이권도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0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7826A/ko
Publication of KR2022010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2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provided with auxiliary arrangements, e.g. pumps, agitators,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8Tanks, chassis or related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에 있어서, 육묘가 재배되는 복수 개의 육묘상자; 상기 육묘상자에 양액을 공급 및 회수하는 양액순환탱크; 상기 양액순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양액을 상기 육묘상자에 공급하는 양액공급배관부; 상기 육묘상자에 공급된 양액을 상기 양액순환탱크로 배출하는 양액배출배관부; 및 상기 양액공급배관부 및 상기 양액배출배관부에 연결되어 상기 양액순환탱크 내의 양액을 지속적으로 공급 및 회수하는 양액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양액공급배관부를 이용하여 육묘상자에 양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양액배출배관부를 통해 육묘상자로부터 사용한 양액을 회수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양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Raising seeding apparatus with nutrient solution circulation}
본 발명은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액공급배관부를 이용하여 육묘상자에 양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양액배출배관부를 통해 육묘상자로부터 사용한 양액을 회수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양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묘는 논이나 밭에 이식할 것을 전제로 한 작물의 어린 식물인 모나 모종을 비교적 고밀도로 집약 육성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작물의 어린 식물은 기상상태, 잡초 또는 각종 병충해와 같은 환경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모나 모종을 논이나 밭에 직접 파종하는 대신 안전한 장소에서 일정기간 동안 육묘하여 재배하는 것이 생산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최근 시설원예 면적증가로 모나 모종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품질이 우수하고 균일한 모종을 선호함에 따라 모종 생산이 가능한 농가 개인이 육묘하던 방식에서 시설과 기술을 갖춘 전문화된 육묘장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육묘방식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모나 모종은 논이나 밭에 다른 작물이 재배되고 있을 때부터 육묘를 시작하여 그 작물의 수확 후에 육묘된 어린 작물을 곧바로 이식함으로써 토지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보온이나 가온 방법에 의하여 일찍부터 육묘를 시작하여 논이나 밭에서 생육할 수 있는 기온이 되는 즉시 이식하게 되면 조기 수확 또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육묘는 모종의 관리와 운반 뿐 아니라 이앙기를 이용한 모내기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부분이 육묘상자를 모판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육묘상자에 육묘하는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224110호 딸기 육묘용 장치'와 같이, 저면 급수가 가능하도록 포트 하부에 급수구(62)가 형성된 자묘포트(61), 물을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된 물을 직접 냉각하기 위한 냉각 유체 순환관(20)을 구비하며, 상기 자묘포트(61)를 물이 직접 공급되도록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재배용기(30); 및 묘주포트(41)를 상기 재배용기(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포함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을 포함한 일반적인 육묘 기술은 육묘상자의 하부에 다양한 영양성분이 포함된 양액을 공급하는 수경재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수경재배의 경우 양액을 지속적으로 육묘상자에 공급하는 데, 양액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양액을 과도하게 사용하고 그로 인해 모나 모종의 생산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2241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액공급배관부를 이용하여 육묘상자에 양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양액배출배관부를 통해 육묘상자로부터 사용한 양액을 회수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양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육묘가 재배되는 복수 개의 육묘상자; 상기 육묘상자에 양액을 공급 및 회수하는 양액순환탱크; 상기 양액순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양액을 상기 육묘상자에 공급하는 양액공급배관부; 상기 육묘상자에 공급된 양액을 상기 양액순환탱크로 배출하는 양액배출배관부; 및 상기 양액공급배관부 및 상기 양액배출배관부에 연결되어 상기 양액순환탱크 내의 양액을 지속적으로 공급 및 회수하는 양액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양액공급배관부는, 상기 양액순환탱크와 연결된 탱크공급배관과,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공급배관으로부터 양액을 공급받는 복수 개의 지면공급배관과, 상기 탱크공급배관과 상기 지면공급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공급배관과, 상기 지면공급배관 각각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양측의 상기 육묘상자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공급배관과, 상기 수직공급배관으로부터 상기 육묘상자의 상면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상기 육묘상자 각각에 양액을 공급하는 'T' 형상의 상자공급배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액배출배관부는, 상기 양액순환탱크와 연결된 탱크배출배관과,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배출배관으로 양액을 배출하는 복수 개의 지면배출배관과, 상기 탱크배출배관과 상기 지면배출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출배관과, 상기 지면배출배관 각각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상기 육묘상자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배출배관과, 상기 수직배출배관으로부터 상기 육묘상자의 하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육묘상자 내의 양액을 배출하도록 개폐조절되는 하면배출배관과, 상기 수직배출배관으로부터 상기 육묘상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지 육묘상자 내의 오버플로우되는 양액을 배출하는 측면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액공급배관부를 이용하여 육묘상자에 양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양액배출배관부를 통해 육묘상자로부터 사용한 양액을 회수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양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의 양액공급배관부를 포함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의 양액배출배관부를 포함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상자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양액공급배관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양액공급배관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의 양액공급배관부를 포함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의 양액배출배관부를 포함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상자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양액공급배관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양액공급배관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묘상자(100), 상자지지부(200), 양액순환탱크(300), 양액공급배관부(400), 양액배출배관부(500) 및 양액순환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육묘상자(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양액을 저장하고 저장된 양액을 통해 육묘가 재배되는 상자로, 다양한 종류의 육묘가 양액을 통해 수경재배되도록 심어져 있다. 이러한 육묘상자(100)는 육묘의 대량 수경재배가 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상자지지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육묘상자(100)를 지지하는 선반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육묘상자(100)를 4단 6열 또는 4단 8열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육묘상자(100)는 상자지지부(200) 중 한 층에 길이방향을 따라 6개 또는 8개의 육묘상자(100)가 배치되고 6개 또는 8개의 육묘상자(100)가 4층으로 적층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러한 4단 6열 또는 4단 8열이 하나의 유니트로 이루어진 상자지지부(200)가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자지지부(200)에는 육묘상자(100)의 하부가 지지되는 영역에 LED 램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ED 램프는 백색광을 육묘에 비추어 빛이 들어오지 않는 환경에서도 육묘가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UV램프(미도시)도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UV 램프는 양액 내의 세균 또는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육묘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시들어 죽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양액순환탱크(300)는, 육묘상자(100)에 양액을 공급 및 회수하는 구성으로, 육묘를 키우기 위해 육묘상자(100) 내에 공급하기 위한 양액을 저장하는 탱크에 해당한다. 이러한 양액순환탱크(30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육묘상자(100)에 공급하기 충분한 영양분을 가지는 양액을 양액순환탱크(300)에 저장해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육묘상자(100)에 양액을 공급하고, 육묘 성장에 사용된 양액은 양액순환탱크(300)로 다시 회수된다. 이때 회수되는 양액은 육묘 성장에 영양분이 사용되어 남은 영양분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양액순환탱크(300)에 연결된 영양분공급부(미도시)를 통해 영양분의 농도를 높이고, 영양분의 농도가 증가한 양액은 다시 육묘상자(100)에 공급되어 육묘 성장에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서 양액순환탱크(300)에는 추가적으로 양액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pH센서, EC(electrical conductivity)센서, 염분센서, 온도센서 등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확인된 양액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종래에는 양액이 재사용되지 않고 한번 사용된 양액은 버려지게 되었으며, 이 경우 양액에 사용되는 많은 양의 물을 재사용할 수 없어 물 낭비가 심할 뿐 아니라 영양분이 일부 포함된 양액이 그대로 강이나 바다에 배수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양액이 그대로 강이나 바다에 배수되면 강이나 바다에 존재하는 플랑크톤이 이를 섭취하여 녹조 또는 적조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과 같이 양액순환탱크(300)를 이용하여 양액을 공급 및 회수하여 재사용할 경우 물과 영양분 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환경에 유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양액공급배관부(400)는, 양액순환탱크(300)로부터 공급되는 양액을 육묘상자(100)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양액순환탱크(300)와 연결되고 상자지지부(200)를 따라 형성되며, 이는 육묘상자(100)까지 연결되어 육묘상자(100)에 양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양액공급배관부(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공급배관(410), 지면공급배관(420), 연결공급배관(430), 수직공급배관(440) 및 상자공급배관(450)을 포함한다.
탱크공급배관(410)은 양액순환탱크(300)와 연결된 배관에 해당하며, 지면공급배관(420)은 지면에 설치되어 탱크공급배관(410)으로부터 양액을 공급받는 배관으로 복수 개의 상자지지부(200)와 동일하게 복수 개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공급배관(430)은 탱크공급배관(410)과 지면공급배관(420)을 연결하여 양액순환탱크(300)로부터 공급되는 양액을 탱크공급배관(410) 및 연결공급배관(430)을 거쳐 지면공급배관(420)으로 흐르게 하는 배관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탱크공급배관(410), 지면공급배관(420) 및 연결공급배관(430)은 모두 지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며, 이 중 지면공급배관(420)은 상자지지부(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수직공급배관(440)은, 복수 개의 지면공급배관(420) 각각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육묘상자(100) 사이에 배치되는 배관으로, 하나의 지면공급배관(420)에는 복수 개의 수직공급배관(440)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공급배관(440)은 상자지지부(200)의 중앙, 전면 또는 후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며, 두 개의 육묘상자(100)를 양측에 두고 그 사이에 형성되어 하나의 수직공급배관(440)을 통해 양측의 육묘상자(100)에 동시에 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육묘상자(100)가 6열로 형성될 경우 3개의 수직공급배관(440)이 구비되며, 육묘상자(100)가 8열로 형성될 경우 4개의 수직공급배관(440)이 구비된다.
상자공급배관(450)은, 수직공급배관(440)으로부터 육묘상자(100)의 상면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육묘상자(100) 각각에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배관이다. 즉, 수직공급배관(440)으로부터 양측 육묘상자(100)의 상면을 향해 연장되어 하나의 수직공급배관(440)으로부터 공급되는 양액을 양측의 육묘상자(100) 각각에 공급할 수 있도록 'T'자 형상으로 형성된 배관이다. 이와 같이 상자공급배관(450)의 형상에 의해 수직공급배관(440)의 개수를 감소시키면서도 모든 육묘상자(100)에 양액이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자공급배관(450)은 각 단에 구비된 육묘상자(100) 모두에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단에 맞춰 하나의 수직공급배관(440)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즉, 육묘상자(100)가 4단으로 구비될 경우 이에 맞춰 수직공급배관(440)에는 4개의 상자공급배관(450)이 설치된다.
양액배출배관부(500)는, 육묘상자(100)에 공급된 양액을 배출하여 양액배출배관부(500)를 지나 양액순환탱크(300)로 유입되도록 한다. 즉, 육묘상자(100)에서 사용된 양액이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양액배출배관부(500)를 통해 양액순환탱크(300)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양액은 영양분이 추가된 후 양액공급배관부(400)를 통해 다시 육묘상자(100)에 공급된다. 이러한 양액배출배관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배출배관(510), 지면배출배관(520), 연결배출배관(530), 수직배출배관(540), 하면배출배관(550) 및 측면배출배관(560)을 포함한다.
탱크배출배관(510)은 양액순환탱크(300)와 연결되어 육묘상자(100)에서 사용된 양액을 양액순환탱크(300) 내로 주입시키는 배관이며, 지면배출배관(520)은 지면에 설치되어 탱크배출배관(510)으로 양액을 배출하는 배관으로 복수 개의 상자지지부(200)와 동일하게 복수 개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배출배관(530)은 탱크배출배관(510)과 지면배출배관(520)을 연결하여 육묘상자(100)로부터 배출되는 양액을 지면배출배관(520) 및 연결배출배관(530)을 거쳐 탱크배출배관(510)으로 흐르게 하는 배관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탱크배출배관(510), 지면배출배관(520) 및 연결배출배관(530)은 모두 지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며, 이 중 지면배출배관(520)은 상자지지부(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수직배출배관(540)은, 복수 개의 지면배출배관(520) 각각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육묘상자(100) 사이에 배치되는 배관으로, 하나의 지면배출배관(520)에는 복수 개의 수직배출배관(540)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배출배관(540)은 상자지지부(200)의 중앙, 전면 또는 후면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며, 만약 수직공급배관(440)이 전면에 형성될 경우 수직배출배관(540)은 후면에 형성되고 반대로 수직공급배관(440)이 후면에 형성될 경우 수직배출배관(540)은 전면에 형성된다.
이때 수직배출배관(540)은 두 개의 육묘상자(100)를 양측에 두고 그 사이에 형성되어 하나의 수직배출배관(540)을 통해 양측의 육묘상자(100) 내의 양액이 동시에 배출된다. 즉, 수직공급배관(440)과 마찬가지로 수직배출배관(540)은, 육묘상자(100)가 6열로 형성될 경우 3개의 수직배출배관(540)이 구비되며, 육묘상자(100)가 8열로 형성될 경우 4개의 수직배출배관(540)이 구비된다. 이때 수직배출배관(540)은 수직공급배관(440)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하면배출배관(550)은, 수직배출배관(540)으로부터 육묘상자(100)의 하면으로 연장되어 육묘상자(100) 내의 양액을 배출하도록 개폐조절되는 구성으로, 별도의 하면개폐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육묘상자(100) 내에는 육묘를 수경재배하기 위한 양액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며, 일정시간 양액이 사용된 뒤에는 양액을 배출시키고 새로운 양액을 유입시켜 육묘가 충분한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받도록 한다. 이때 육묘상자(100)의 하면과 연결된 하면배출배관(550)의 개폐를 하면개폐조절부를 통해 조절하여 육묘상자(100) 내의 양액이 일정한 양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하면배출배관(550)을 통해 배출되는 양액은 수직배출배관(540), 지면배출배관(520), 연결배출배관(530) 및 탱크배출배관(510)을 지나 양액순환탱크(300)로 유입되고, 추가로 영양분이 공급된 후 다시 탱크공급배관(410)으로 양액이 공급된다.
측면배출배관(560)은, 수직배출배관(540)으로부터 육묘상자(100)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육묘상자(100) 내의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양액을 배출하는 배관에 해당한다. 육묘상자(100) 내로 양액이 지속적으로 유입될 때 하면배출배관(550)을 통해 양액 조절을 하지 않게 되면 육묘가 양액에 잠겨 광합성을 하지 못하여 죽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육묘상자(100)의 일정 높이에 해당하는 측면에 측면배출배관(560)을 연결하여 별도의 개폐조절부 없이 양액이 넘쳐 흐르게 되면 스스로 측면배출배관(560)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배출배관(560)은 수직배출배관(540)과 연결되어 하면배출배관(550)과 마찬가지로 양액이 양액순환탱크(300) 내로 배출 및 재사용된다.
양액순환펌프는, 양액공급배관부 및 양액배출배관부에 연결되어 양액순화냉크 내의 양액을 지속적으로 공급 및 회수하는 역할을 하는 펌프에 해당한다. 이러한 양액순환펌프에 의해 양액이 순환시킬 수 있고, 이미 사용한 양액을 회수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10)는, 양액순환탱크(300) 및 양액순환펌프를 통해 양액공급배관부(400)를 향해 양액을 공급하고, 공급된 양액을 양액공급배관부(400)를 통해 육묘상자(100)로 공급된다. 육묘상자(100)로 공급된 양액을 이용하여 육묘를 성장시키고, 이후 사용된 양액은 양액배출배관부(500) 및 양액순환펌프를 통해 다시 양액순환탱크(300)로 배출되어 양액을 재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부족한 영양분을 양액에 공급한 다음 양액공급배관부(400)를 통해 육묘상자(100) 내로 다시 양액을 공급하기 때문에 한번 사용한 양액을 버리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양액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양액을 강이나 바다에 배출시킴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육묘장치
100: 육묘상자
200: 상자지지부
300: 양액순환탱크
400: 양액공급배관부
410: 탱크공급배관
420: 지면공급배관
430: 연결공급배관
440: 수직공급배관
450: 상자공급배관
500: 양액배출배관부
510: 탱크배출배관
520: 지면배출배관
530: 연결배출배관
540: 수직배출배관
550: 하면배출배관
560: 측면배출배관

Claims (3)

  1. 육묘가 재배되는 복수 개의 육묘상자;
    상기 육묘상자에 양액을 공급 및 회수하는 양액순환탱크;
    상기 양액순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양액을 상기 육묘상자에 공급하는 양액공급배관부;
    상기 육묘상자에 공급된 양액을 상기 양액순환탱크로 배출하는 양액배출배관부; 및
    상기 양액공급배관부 및 상기 양액배출배관부에 연결되어 상기 양액순환탱크 내의 양액을 지속적으로 공급 및 회수하는 양액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공급배관부는,
    상기 양액순환탱크와 연결된 탱크공급배관과,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공급배관으로부터 양액을 공급받는 복수 개의 지면공급배관과, 상기 탱크공급배관과 상기 지면공급배관을 연결하는 연결공급배관과, 상기 지면공급배관 각각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양측의 상기 육묘상자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공급배관과, 상기 수직공급배관으로부터 상기 육묘상자의 상면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상기 육묘상자 각각에 양액을 공급하는 'T' 형상의 상자공급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배출배관부는,
    상기 양액순환탱크와 연결된 탱크배출배관과,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배출배관으로 양액을 배출하는 복수 개의 지면배출배관과, 상기 탱크배출배관과 상기 지면배출배관을 연결하는 연결배출배관과, 상기 지면배출배관 각각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상기 육묘상자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배출배관과, 상기 수직배출배관으로부터 상기 육묘상자의 하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육묘상자 내의 양액을 배출하도록 개폐조절되는 하면배출배관과, 상기 수직배출배관으로부터 상기 육묘상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지 육묘상자 내의 오버플로우되는 양액을 배출하는 측면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
KR1020210010979A 2021-01-26 2021-01-26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 KR20220107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979A KR20220107826A (ko) 2021-01-26 2021-01-26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979A KR20220107826A (ko) 2021-01-26 2021-01-26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826A true KR20220107826A (ko) 2022-08-02

Family

ID=8284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979A KR20220107826A (ko) 2021-01-26 2021-01-26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78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110B1 (ko) 2010-07-09 2013-01-24 대한민국 딸기 육묘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110B1 (ko) 2010-07-09 2013-01-24 대한민국 딸기 육묘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0436B2 (ja) 植物栽培方法及び施設
KR101333902B1 (ko) 친환경 농수산 융복합 생산 장치
JP2016082900A (ja) 多層のアクアポニック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40124801A (ko) 자동화된 원예 및 영농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6053088B1 (ja) メディアベッド、システム、栽培方法及び養殖方法
KR102559161B1 (ko) 담액식 수경재배용 양액 시스템
CN103053396B (zh) 一种马铃薯脱毒试管薯室内培养架育苗的方法
KR20140028212A (ko) 해조류 종묘생산용 트랙형 수평식 유수수조
CN110402805A (zh) 一种适合密植型植物的水培系统及水培方法
JP2007082414A (ja) 水耕栽培方法及び水耕栽培装置
KR20160101455A (ko) 다목적 수경 재배기
CN209824582U (zh) 一种耐盐碱植物育苗装置
KR20190033819A (ko) 정수 시스템이 결합 된 수경 재배 및 양어 장치
WO2021046656A1 (e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 lighting system
KR20220107826A (ko) 양액 순환이 가능한 육묘장치
KR100620307B1 (ko) 씨감자 묘 생산 재배장치
KR20160094523A (ko) 씨감자 생산용 순환식 담액수경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
RU194725U1 (ru) Многояру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CN102805026B (zh) 一种水稻免洗秧大苗无土育秧方法和装置
KR101948995B1 (ko)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갯지렁이 종묘생산 시스템
CN110615537A (zh) 一种农业面源污染废水立体阻控生态净化系统及构建方法
RU2290784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эксплуатации рыбоводных водоемов
RU21507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ы, раков, растений
CN217136339U (zh) 一种阻隔大气沉降的自动供氧水培蔬菜装置
KR20190085284A (ko) 보일러를 구비하는 아쿠아포닉스(Aquaponics)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