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415A - All-in-one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 Google Patents

All-in-one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415A
KR20220106415A KR1020210009299A KR20210009299A KR20220106415A KR 20220106415 A KR20220106415 A KR 20220106415A KR 1020210009299 A KR1020210009299 A KR 1020210009299A KR 20210009299 A KR20210009299 A KR 20210009299A KR 20220106415 A KR20220106415 A KR 20220106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ower
microbubbles
exchange resin
sof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8831B1 (en
Inventor
신장식
Original Assignee
(주)신넥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넥앤테크 filed Critical (주)신넥앤테크
Priority to KR102021000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831B1/en
Publication of KR2022010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4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8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Abstract

Provided is an all-in-one shower spraying a soft water containing a microbubble, comprising: a shower head wherein a plurality of spray holes are formed; a shower body wherein an adsorption unit including an ion exchange resin is located therein and which provides the soft water from which a particulate harmful substance and an ionic harmful substance are removed; and a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coupled between the shower body and the shower head and generating the microbubble. The microbubble of the soft water sprayed from the shower head disappear into the nanobubble, and a negative ion is released.

Description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All-in-one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All-in-one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샤워 시 수돗물 내의 경도성 물질과 중금속 물질을 흡착하고 수돗물을 연수화하여 피부의 보습과 습윤에 도움을 주며, 모공보다 작은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하여 세정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음이온 발생으로 항균,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in-one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When showering, it absorbs hard substances and heavy metal substances in tap water and softens tap water to help moisturize and moisten the skin, and microbubbles smaller than pores It relates to an all-in-one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which not only improves cleaning power by containing it, but also can expect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effects by generating negative ions.

요즘은 샤워 또는 세안 시 더 나은 양질의 물을 이용하기 위해 입자성 오염물질(녹물,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세그멘트 필터를 장착한 샤워기 또는 수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세그멘트 필터는 일정 크기의 공극을 갖고 있어 이온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Nowadays, showers or faucets equipped with a segment filter that removes particulate pollutants (rust, foreign substances, etc.) are being used to use better quality water when showering or washing face. However, since the segment filter has pores of a certain size, there is a limit to removing ionic contaminants.

그래서 연수기를 사용하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연수기는 수돗물의 경도성 물질을 제거하고 연수로 제공하기 위해 경도성 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양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고 있다. 충분한 경도 제거율을 위해서는 그에 필요한 양이온교환수지의 크기가 있으며, 가정용 연수기 또한 소형화에 제한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연수기의 경우 부피가 크기 때문에 1인 가구와 같은 소형 가정에서는 좁은 욕실에 설치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양이온교환수지를 교체해주어야 지속적으로 연수를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number of households using a water softener is increasing. A commonly used water softener uses a cation exchange resin capable of adsorbing a hard material in order to remove the hard material from tap water and provide it as soft water. For a sufficient hardness removal rate, there is a size of a cation exchange resin required for it, and there is a limit to the miniaturization of household water softeners. That is, in the case of a water softener generally used for home use, since the volume is large, there may be a limit to installing it in a narrow bathroom in a small household such as a single-person household. Furthermore, the soft water can be continuously used by replacing the cation exchange resin at regular intervals.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 10-2016-0057161호, '콤팩트 연수기'가 개시된 바 있으나, 소형 욕실에 있어서 그 또한 설치 공간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057161, 'compact water softener' has been disclosed, but in a small bathroom, there may also be a limit to the installation space.

또한,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하는 물을 이용하여 목욕 또는 세안하는 경우, 마이크로버블로 인한 용존산소가 피부에 닿아 노폐물과 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 사용이 증가될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In addition, when bathing or washing face using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it is predicted that the use will increase in the future because dissolved oxygen due to microbubbles can effectively remove wastes and sebum by contacting the skin.

일반적으로 마이크로버블의 생성은 초음파를 이용하거나, 오리피스와 같은 감압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를 물에 인위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모터와 같은 별도의 장치들이 필요하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수분이 있는 환경에서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기 쉬우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샤워기 내부에 물이 가득차게 되므로 별도의 드레인 밸브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In general, microbubbles are generated by using ultrasonic waves or a method using a pressure reducing device such as an orifice. In these methods, separate devices such as a motor are required to artificially supply air to water for generating microbubbles, and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motor is also required. Therefore, since power is supplied in an environment with moisture, the user is easily exposed to the risk of electric shock,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inside of the shower becomes full of water, 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eparate drain valve must be additionally installed.

한국공개특허 제 10-2016-0057161호(공개일: 2016. 05. 23.)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57161 (published on: May 23, 2016) 한국등록특허 제 10-0938899호(등록일: 2010. 01. 19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38899 (Registration Date: 2010.01.1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흡착성능을 향상시킨 양이온교환수지를 샤워기에 구비함으로써 입자성 오염물질뿐만 아니라 이온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진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pray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with a compact structure that can remove not only particulate contaminants but also ionic contaminants by providing a shower with a cation exchange resin with improved adsorption performan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l-in-one shower.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연수된 수돗물을 마이크로버블화 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버블의 소멸과 함께 음이온이 방출되는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shower that can microbubble softened tap water, and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in which negative ions are emitted along with the disappearance of microbubbles. hav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된 샤워기 헤드;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흡착모듈이 내부에 위치하여 입자성 유해물질 및 이온성 유해물질을 제거한 연수를 제공하는 샤워기 몸체; 및 상기 샤워기 몸체와 샤워기 헤드 사이에 결합되며,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샤워기 헤드로부터 분사된 연수의 마이크로버블은 나노버블로 소멸하며 음이온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wer head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 shower body having an adsorption module including an ion exchange resin located therein to provide soft water from which particulate and ionic harmful substances are removed; and a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coupled between the shower body and the shower head to generate microbubbles, wherein the microbubbles of the soft water sprayed from the shower head disappear into nanobubbles and negative ions are emit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grated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은, 원통형의 몸체와, 물이 유입되되 상기 몸체의 중심을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는 물유입부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되 상기 물유입부와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하는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유입부의 내측 단부와 상기 상기 물유입부의 내측 단부가 위치하여 유입된 공기와 물이 서로 혼합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로부터 공기가 혼합된 물이 지나가는 물이동부와, 메시필터가 위치하여 상기 물이동부를 지난 물이 상기 메시필터와 충돌 또는 메시필터를 관통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includes a cylindrical body, a water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d a diameter narrowing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and a diameter narrowing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erpendicular to the water inlet. An air inlet positioned in the in-direction, a mixing part where the inner end of the air inlet and the inner end of the water inlet are located so that the introduced air and water are mixed with each other, and the water in which the air is mixed from the mixing part It may include a water moving part passing through, and a diffusion part through which the mesh filter is located so that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moving part collides with the mesh filter or passes through the mesh filter.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은, 상기 물유입부의 외측단부의 지름과 상기 물유입부의 내측단부의 지름과 상기 혼합부의 지름은 2:(0.6~0.7):1의 비율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the diameter of the outer end of the water inlet,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water inlet, and the diameter of the mixing part may have a ratio of 2: (0.6 to 0.7): 1.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은, 상기 물유입부의 외측단부의 단면은 십자형이고 내측단부의 단면은 원형인 것일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may have a cross-section of the outer end of the water inlet and a circular cross-section of the inner end.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은, 상기 원통형의 몸체가 삽입되는 어댑터를 구비하여, 상기 샤워기 몸체와 샤워기 헤드 사이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may include an adapter into which the cylindrical body is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shower body and the shower head.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표면이 개질된 양이온 교환수지일 수 있다.The ion exchange resin may be a surface-modified cation exchange res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는 흡착성능을 향상시킨 양이온교환수지를 샤워기에 구비함으로써 입자성 오염물질뿐만 아니라 이온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수된 수돗물을 마이크로버블화 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버블의 소멸과 함께 음이온이 방출되는 효과가 있다.The integrated shower unit for spraying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pact structure capable of removing ionic contaminants as well as particulate contaminants by providing the shower with a cation exchange resin with improved adsorption performance. has the advantage of having In addition, the softened tap water can be made into microbubbles, and there is an effect that anions are released along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microbubb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의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6은 도 4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의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7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에 의해 발생한 마이크로버블의 입도를 분석한 그래프,
도 11a는 상용의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등온흡착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등온흡착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grated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grated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grated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of an integrated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FIG. 4;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of an integrated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FIG. 7;
10 is a graph analyzing the particle size of microbubbles generated by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isothermal adsorption using a commercial ion exchange resin;
11B is a graph showing isothermal adsorption results using an ion exchange re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length, thickness, etc.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의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6은 도 4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의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7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에 의해 발생한 마이크로버블의 입도를 분석한 그래프, 도 11a는 상용의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등온흡착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등온흡착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grated shower for spraying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grated shower for spraying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grated shower for spraying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ntegrated shower for spraying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FIGS.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FIG. 4,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of an integrated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FIG. 10 is a graph analyzing the particle size of microbubbles generated by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a is an isothermal adsorption result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ion exchange resin. 11B is a graph showing the isothermal adsorption result using the ion exchange re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1)는 복수의 분사홀(12)이 형성된 샤워기 헤드(10);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흡착모듈(32)이 내부에 위치하여 입자성 유해물질 및 이온성 유해물질을 제거한 연수를 제공하는 샤워기 몸체(30); 및 상기 샤워기 몸체(30)와 샤워기 헤드(10) 사이에 결합되며,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100, 200);을 포함하고, 상기 샤워기 헤드(10)로부터 분사된 연수의 마이크로버블은 나노버블로 소멸하며 음이온이 방출되는 것일 수 있다.1 to 11b, the integrated shower 1 for spraying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ower head 10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2; a shower body 30 having an adsorption module 32 including an ion exchange resin located therein to provide soft water from which particulate harmful substances and ionic harmful substances are removed; and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s 100 and 200 that are coupled between the shower body 30 and the shower head 10 and generate microbubbles, and include, microbubbles of soft water sprayed from the shower head 10 . Silver may disappear into nanobubbles and anions may be released.

상세히 설명하면, 복수의 분사홀(12)이 형성된 샤워기 헤드(10)는 마이크로버블이 함유된 연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샤워기 헤드는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100, 200)을 통해 발생한 마이크로 버블이 연수 내에서 잘 혼합될 수 있는 영역을 마련해줄 수 있다. 이 경우, 분사홀(12)은 일방향 분사가 가능하도록 원기둥 형태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shower head 10 in which the plurality of spray holes 12 are formed can spray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The shower head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provide an area in which microbubbles generated through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s 100 and 200 can be well mixed in the soft water. In this case, the injection hole 12 may be formed in pluralit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pe to enable one-way injection.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흡착모듈(32)이 내부에 위치하여 입자성 유해물질 및 이온성 유해물질을 제거한 연수를 제공하는 샤워기 몸체(30)는 사용자에게 손잡이 역할을 하거나 거치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shower body 30, in which the adsorption module 32 including the ion exchange resin is located, provides soft water from which particulate and ionic harmful substances are removed, may serve as a handle to the user or be fixed by a cradle. .

흡착모듈(32)에 포함된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표면이 개질된 양이온 교환수지일 수 있으며, 예로써, 상기 표면이 개질된 양이온 교환수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on exchange resin included in the adsorption module 32 may be a surface-modified cation exchange resin, for example, the surface-modified cation exchange resin may be formed by the following method.

상기 양이온 교환수지 표면개질 방법은 음이온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용액에 양이온 교환 수지를 침지하는 제 2단계; 및 산 수용액 및 디알데하이드 수용액을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용액에 적하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tion exchange resin surface modification method includes a first step of preparing an anionic polymer solution; a second step of immersing a cation exchange resin in the anionic polymer solution; and a third step of dropping an aqueous acid solution and an aqueous dialdehyde solution to the anionic polymer sol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이온 교환수지 표면개질 방법에서 상기 양이온 교환수지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양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이온 교환수지는 주쇄로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 및 디비닐벤젠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쇄 상에 양이온 교환을 위한 작용기를 포함하여 양이온 교환성을 갖는 고분자를 이용할 수 있다. 좋게는 상기 양이온교환 수지의 주쇄는 폴리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을 함께 포함하여 기계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e cation exchange resin surface mod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ion exchange resin may use a commonly used cation exchange resin. Specifically, the cation exchange resin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polystyrene, polyacryl and divinylbenzene as a main chain, and a polymer having cation exchange property including a functional group for cation exchange on the main chain may be used. have. Preferably, the main chain of the cation exchange resin may include polystyrene and divinylbenzene together to ensure mechanical strength and durability.

나아가 상기 양이온 교환수지는 작용기로 술포네이트(SO3-) 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양이온 교환기로 술포네이트기를 포함하는 양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함으로써 표면개질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이온 교환수지는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시판 양이온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cation exchange resin may include a sulfonate (SO 3 - ) group as a functional group, and the effect of surface modification may be further improved by using a cation exchange resin including a sulfonate group as a cation exchanger. In addition, as the cation exchange resin, a commercially available cation resin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may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이온 교환수지 표면개질 방법에서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스티렌술폰산 및 폴리아믹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좋게는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메타크릴산일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를 이용함으로써 표면개질 효율을 높이고 표면개질에 의한 양이온 교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용액은 좋게는 수용액 상태일 수 있으며, 음이온성 고분자 용액의 농도는 0.1 내지 1 중량%, 좋게는 0.2 내지 0.8 중량%, 더욱 좋게는 0.25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음이온성 고분자 용액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균일한 표면개질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음이온성 고분자 용액의 농도가 낮을 경우 표면개질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tion exchange resin surface mod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onic polymer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polyacrylic acid, polymethacrylic acid, polystyrenesulfonic acid and polyamic acid, preferably the anion The sex polymer may be polyacrylic acid or polymethacrylic acid. By using such a polym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urface modific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cation exchange effect by the surface modification can be improved. The anionic polymer solution may be preferably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anionic polymer solution may be 0.1 to 1 wt%, preferably 0.2 to 0.8 wt%, and more preferably 0.25 to 0.5 w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anionic polymer solution is too high,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uniform surface modification,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anionic polymer solution is l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urface modification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이온 교환수지 표면개질 방법은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용액에 양이온 교환수지를 침지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양이온 교환수지는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용액 1 L 당 100 내지 500 g, 좋게는 200 내지 400 g 침지할 수 있으며, 양이온 교환수지를 소량 침지하는 경우 표면개질의 효율이 지나치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양이온 교환수지를 다량 침지하는 경우 표면개질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단계는 양이온 교환수지 표면을 고르게 개질할 수 있도록 30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3단계의 처리 전 양이온 교환수지와 음이온성 고분자를 고르게 분산시켜 균일한 표면개질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ation exchange resin surface mod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step of immersing the cation exchange resin in the anionic polymer solution. At this time, the cation exchange resin may be immersed in 100 to 500 g, preferably 200 to 400 g per 1 L of the anionic polymer solution, and when a small amount of the cation exchange resin is immersed, the efficiency of surface modification may be excessively lowered, When a large amount of the cation exchange resin is immerse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surface modification is not sufficiently performed. In addition, the second step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tirring for 30 minutes to 2 hours to evenly modify the surface of the cation exchange resin, and accordingly, the cation exchange resin and the anionic polymer before the treatment of the third step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evenly dispersed to form a uniform surface modification layer.

본 발명에 의한 양이온 교환수지 표면개질 방법은 산 수용액 및 디알데하이드 수용액을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용액에 적하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3단계를 거쳐 가교반응이 일어남으로써 양이온 교환수지의 세척 등을 수행하더라도 음이온성 고분자가 표면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modifying the surface of a cation exchange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step of dropping an aqueous acid solution and an aqueous dialdehyde solution to the anionic polymer solution, and the crosslinking reaction occurs through the third step to wash the cation exchange resi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anionic polymer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even if it is carried out.

상기 산 수용액은 좋게는 무기산을 용해한 수용액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및 과염소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물에 용해하여 제조된 수용액일 수 있다. 이때 산 수용액의 농도는 0.3 내지 1 중량%, 좋게는 0.4 내지 0.8 중량%, 더욱 좋게는 0.45 내지 0.6 중량%일 수 있으며, 산 수용액의 농도가 낮은 경우 가교 효율이 낮아질 수 있고, 산 수용액의 농도가 높은 경우 급격한 가교반응에 의하여 균일한 가교층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aqueous acid solution may be preferably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an inorganic acid is dissolved, and more preferably an aqueous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and perchloric acid in water. 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acid solution may be 0.3 to 1% by weight, preferably 0.4 to 0.8% by weight, more preferably 0.45 to 0.6% by weight,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acid solution is low, the crosslinking efficiency may be low,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acid aqueous solution If is high,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uniform cross-linked layer due to the rapid cross-linking reaction.

상기 디알데하이드 수용액에 포함된 디 알데하이드는 양단에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좋게는 상기 디알데하이드는 글루타르알데하이드(Glutaraldehyde), 숙신디알데하이드(Succindialdehyde) 및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고, 더욱 좋게는 글루타르 알데하이드 및 숙신디알데하이드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알데하이드를 이용함으로써 가교 속도를 높이면서도 세척후에도 불필요하게 디알데하이드가 잔류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디알데하이드 수용액의 농도는 0.3 내지 1.2 중량%, 좋게는 0.4 내지 1 중량%, 더욱 좋게는 0.5 내지 0.7 중량%일 수 있으며, 디알데하이드 수용액의 농도가 낮은 경우 가교 속도가 지나치게 늦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디알데하이드 수용액의 농도가 높은 경우 불필요하게 생산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The dialdehyde contained in the dialdehyde aqueous solution may be a compound containing aldehyde functional groups at both ends, and preferably, the dialdehyde is glutaraldehyde, succindialdehyde, and malondialdehyde. One or two or more may be selected, and more preferably, one or more selected from glutaraldehyde and succindialdehyde may be used. By using such an aldehyd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rosslinking rate and prevent the problem of unnecessarily remaining dialdehyde even after wash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ialdehyde aqueous solution may be 0.3 to 1.2 wt%, preferably 0.4 to 1 wt%, and more preferably 0.5 to 0.7 wt%, and if the concentration of the dialdehyde aqueous solution is low, the crosslinking rate is excessively slow. Also, if the concentration of the dialdehyde aqueous solution is high, the production cost may increase unnecessarily.

상기 제 3단계에서 적하하는 산 수용액은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용액 1 L 당 50 내지 100 ㎖, 좋게는 70 내지 90 ㎖일 수 있으며, 산 수용액의 적하량이 적은 경우 가교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산 수용액의 적하량이 많은 경우 세척단계를 추가로 더 필요로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 3단계에서 적하하는 디알데하이드 수용액은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용액 1L 당 20 내지 50 ㎖, 좋게는 25 내지 40 ㎖일 수 있다. 디알데하이드 수용액의 적하량이 적은 경우 가교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디알데하이드 수용액의 적하량이 많은 경우 불필요하게 생산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The aqueous acid solution dropped in the third step may be 50 to 100 ml, preferably 70 to 90 ml per 1 L of the anionic polymer solution, and if the amount of the acid aqueous solution is small, crosslinking may not occur, and the acid aqueous solution If the amount of dripping is larg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an additional washing step is required. The dialdehyde aqueous solution dropped in the third step may be 20 to 50 ml, preferably 25 to 40 ml per 1 L of the anionic polymer solution. When the amount of dialdehyde aqueous solution is small, crosslinking may not be sufficiently achieved, and when the amount of dialdehyde aqueous solution is large, the production cost may increase unnecessari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이온 교환수지 표면개질 방법으로 표면개질된 양이온 교환수지는, 표면 개질 전 양이온 교환수지 대비 최대 흡착량이 5배 이상, 구체적으로 5 내지 7 배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의한 양이온 교환수지 표면개질 방법은 간단한 방법으로 시판 양이온 교환수지를 표면개질 함으로써, 양이온 교환수지의 최대 흡착량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량의 양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하여도 우수한 흡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ation exchange resin surface-modified by the method for surface modification of the cation exchange re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ximum adsorption amount of 5 times or more, specifically 5 to 7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ation exchange resin before surface modifi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surface modification of a cation exchange res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maximum adsorption amount of a cation exchange resin by surface-modifying a commercially available cation exchange resin in a simple way, and thus using a small amount of cation exchange resin. However, it has the advantage of exhibiting excellent adsorption pow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이온 교환수지 표면개질 방법은 상기 제 1단계 전 상기 양이온 교환수지를 세척하는 세척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양이온 교환수지에 포함된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하고, 표면개질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단계는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 등을 이용하여 1~5차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필요 시 약산성의 용액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The cation exchange resin surface mod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shing step of washing the cation exchange resin before the first step. By including such a washing step, unnecessary components included in the cation exchange resin can be removed, and the surface modifica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The washing step may be repeated 1 to 5 times using distilled water or deionized water, and if necessary, washing may be performed using a weakly acidic solu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이온 교환수지 표면개질 방법은 상기 제 3단계 후 양이온 교환수지를 분리한 뒤, 세척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척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이온교환 시 불필요한 물질이 교환대상이 되는 용액에 혼입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세척은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2 ~ 5 차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cation exchange resin surface mod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step of washing after separating the cation exchange resin after the third step. By including such a washing ste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unnecessary substances are mixed into the solution to be exchanged during ion exchange. In this case, the washing may be performed using distilled water or deionized water, and may be repeated 2 to 5 times.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examples below are only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below.

[실시예 1][Example 1]

디비닐벤젠 및 폴리스티렌을 주쇄로 포함하며, 작용기가 술포네이트기인 상용 양이온 교환수지(Amberlite IRC-108H)를 증류수로 3회 세척한다. 폴리아크릴산을 물에 용해하여 0.3 중량%의 농도를 갖는 폴리아크릴산 수용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폴리아크릴산 수용액 1L에 세척된 양이온 교환수지 300 g을 침지한 뒤 한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폴리아크릴산 수용액 1L에 0.5 중량%가 되도록 0.5mL 염산 및 0.6 중량%가 되도록 0.6mL 글루타르 알데하이드를 한방울씩 적하하여 가교반응을 유도하였다. 이후, 양이온 교환수지를 분리하고 증류수로 5차례 세척하여 표면개질된 양이온 교환수지를 제조하였다. A commercial cation exchange resin (Amberlite IRC-108H) containing divinylbenzene and polystyrene as main chains and having a functional group of a sulfonate group is washed three times with distilled water. Polyacrylic acid was dissolved in water to prepare an aqueous polyacrylic acid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0.3 wt%, and 300 g of the washed cation exchange resin was immersed in 1 L of the prepared polyacrylic acid aqueous solution, followed by stirring for one hour. Thereafter, 0.5 mL hydrochloric acid and 0.6 mL glutaraldehyde were added dropwise to 1 L of polyacrylic acid aqueous solution to 0.5 wt % and 0.6 wt % to induce a crosslinking reaction. Thereafter, the cation exchange resin was separated and washed 5 times with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surface-modified cation exchange resin.

표면개질된 양이온 교환수지의 흡착특성 평가Evaluation of adsorption properties of surface-modified cation exchange resins

500 ppm 농도의 메틸렌 블루(MB) 30 mL와 앞서 제조된 표면개질된 이온교환 수지 및 아무런 처리도 되지 않은 양이온 교환수지 0.9 g을 각각 첨가한 뒤, 24시간 동안 Shaking Incubator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분리하여 메틸렌 블루의 최대 흡수파장에서 흡광도를 분석하여 메틸렌 블루의 최종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1a 및 도11b로 나타내었다. After adding 30 mL of 500 ppm methylene blue (MB) and 0.9 g of the previously prepared surface-modified ion exchange resin and untreated cation exchange resin, respectively, the mixture was stirred in a shaking incubator for 24 hours. Thereafter, the supernatant was separated and absorbance was analyzed at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methylene blue to analyze the final concentration of methylene blu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1A and 11B .

도 11a 및 도11b를 참고하면, 아무런 처리도 되지않은 양이온 교환수지(도 11a)는 최대 흡착량(qmax)이 30.8 mg/g 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표면개질된 양이온 교환수지(도 11b)는 최대 흡착량(qmax)이 166.9 mg/g으로, 표면개질에 의해 약 5.4배의 최대 흡착량 상승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11a and 11b, the cation exchange resin without any treatment (Fig. 11a) has a maximum adsorption amount (q max ) of 30.8 mg/g, and a cation exchange resin surface-modif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b), it can be seen that the maximum adsorption amount (q max ) is 166.9 mg/g, which shows an increase in the maximum adsorption amount of about 5.4 times by surface modification.

상기 샤워기 몸체(30)와 샤워기 헤드(10) 사이에 결합되며,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100, 200)은 도 4 내지 도 9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110, 210)와, 물이 유입되되 상기 몸체의 중심을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는 물유입부(112, 212)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되 상기 물유입부(112, 212)와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하는 공기유입부(115, 215)와, 상기 공기유입부(115, 215)의 내측 단부와 상기 물유입부(112, 212)의 내측 단부가 위치하여 유입된 공기와 물이 서로 혼합되는 혼합부(114, 214)와, 상기 혼합부(114, 214)로부터 공기가 혼합된 물이 지나가는 물이동부(116, 216)와, 상기 메시필터(230)가 위치하여 상기 물이동부(116, 216)를 지난 물이 상기 메시필터(230)와 충돌 또는 메시필터를 관통하는 확산부(118, 2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확산부(118, 218)의 일단부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마개(120, 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개(120, 220)와 상기 바디(110, 210)의 결합부에 메시필터(230)가 개재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s 100 and 200 coupled between the shower body 30 and the shower head 10 and generating microbubbles are, as shown in FIGS. 4 to 9, cylindrical bodies 110 and 210 and, The water inlet (112, 212), the diameter of which is narrowed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and the water inlet (112, 212) and the water inlet (112, 212)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ameter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is narrowed inward The air inlets 115 and 215 positioned at Mixing units 114 and 214, water moving parts 116 and 216 through which water mixed with air from the mixing units 114 and 214 pass, and the mesh filter 230 are positioned to move the water moving unit 116 , 216) may include diffusion parts 118 and 218 through which water collides with the mesh filter 230 or passes through the mesh filter. In addition, one end of the diffusion units 118 and 218 may be provided with stoppers 120 and 220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erein, and a mesh filter is provided at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toppers 120 and 220 and the body 110 and 210 . 230 may be interposed.

물유입부(112, 212)로 유입된 물로 인해 형성된 내부의 부압으로 별도의 장치 없이 공기유입부(115, 215)로부터 혼합부(114, 214)로 공기가 유입되며, 혼합부(114, 214)를 통과함으로써 공기를 포함하게 되는 물입자는 메시필터(130, 230)로부터 더욱 분산되고, 상기 마개(120, 220)의 물 유출구(122, 222)로 이동함으로써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하는 물이 공급될 수 있다.Air flows into the mixing units 114 and 214 from the air inlets 115 and 215 without a separate device due to the internal negative pressure formed by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lets 112 and 212, and the mixing units 114 and 214 ), the water particles containing air are further dispersed from the mesh filters 130 and 230, and the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is supplied by moving to the water outlets 122 and 222 of the plugs 120 and 220. can be

상기 혼합부(114, 214)의 지름(D14, D214)은 상기 물이동부(116, 216)의 지름(D16, D216)보다 작으며, 상기 혼합부(114, 214)와 상기 물이동부(116, 216)의 지름의 비율(D14:D16 또는 D214:D216)은 1:3 내지 1:3.5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부(114, 214)와 상기 물이동부(116, 216)의 지름의 비율(D14:D16 또는 D214:D216)이 1:3 미만이면 물유입부(112, 212)로 인해 증가된 물의 이동속도가 물이동부(116, 216)까지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공기유입부(115, 215)로 공기 유입을 유도하는 혼합부(114, 214)의 부압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부(114, 214)와 상기 물이동부(116, 216)의 지름의 비율(D14:D16 또는 D214:D216)이 1:3.5를 초과하면 물이동부(116, 216)에 비해 혼합부(114, 214)의 공기의 혼합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마이크로버블 발생량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부(114, 214)와 물이동부(116, 216)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직사각형 단면의 원통형으로 구비된 물이동부(116, 216)로 인해, 유입된 공기와 물이 물이동부(116, 216)에서 정체될 수 있는 구간을 제공함으로써, 유입된 공기와 물의 혼합이 더욱 잘 이루어지고, 물 이동부에서 공기와 물이 혼합되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The diameters D14 and D214 of the mixing parts 114 and 214 are smaller than the diameters D16 and D216 of the water moving parts 116 and 216, and the mixing parts 114 and 214 and the water moving part ( 116, 216) may have a diameter ratio (D14:D16 or D214:D216) of 1:3 to 1:3.5. When the ratio (D14:D16 or D214:D216) of the diameters of the mixing parts 114 and 214 and the water moving parts 116 and 216 is less than 1:3, the amount of water increased due to the water inlets 112 and 212 is less than 1:3.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the moving speed up to the water moving parts 116 and 216 , and it may be difficult to form a negative pressure of the mixing units 114 and 214 , which induces air inflow into the air inlets 115 and 215 . In addition, when the ratio (D14:D16 or D214:D216) of the diameters of the mixing parts 114 and 214 and the water moving parts 116 and 216 exceeds 1:3.5, compared to the water moving parts 116 and 216, Since the mixing amount of air in the mixing units 114 and 214 is relatively small, the amount of microbubbles generated can be reduced, so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above range. The mixing units 114 and 214 and the water moving units 116 and 216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Due to the water moving parts 116 and 216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t provides a section in which the introduced air and water can stagnate in the water moving parts 116 and 216, so that the mixing of the introduced air and water is further improved. Well done, the time for mixing air and water in the water moving part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100)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유입부(115)로부터 외부의 공기 유입을 유도하기 위한 효과적인 혼합부(114)의 부압형성과, 혼합부(114)로 유입되는 물의 효과적인 흐름과 수압형성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상기 물유입부(112)의 외측단부의 지름(D12a)과 상기 물유입부(112)의 내측단부의 지름(D12b)과 상기 혼합부(114)의 지름(D14)은 2:(0.6~0.7):1의 비율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4 to 6,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10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forms a negative pressure of the mixing unit 114 for induc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from the air inlet 115, In order to optimize the effective flow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mixing part 114 and the formation of hydraulic pressure, the diameter D12a of the outer end of the water inlet 112 and the diameter D12b of the inner end of the water inlet 112 are) and the diameter D14 of the mixing part 114 may have a ratio of 2: (0.6 to 0.7): 1.

또한, 상기 물유입부(112)의 외측단부의 단면은 십자형이고 내측단부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물유입부(112)가 몸체 내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므로 물의 속도가 빨라지고 압력은 낮아질 수 있는데, 십자형 단면 구간(112a)에서 물유입부의 내주면과 물이 마찰되는 형태는 원뿔형의 내주면인 경우와 달리 물과 물유입부의 마찰로 미세한 난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원형 단면 구간(112b)으로 물이 유입될 때 십자형 단면구간(112a)과의 압력차가 높아지게 되고, 혼합부(114)로 유입되어 물이동부(116)로 향하는 물의 속도와 혼합부(114)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서, 혼합부(114)로 유입되어 물이동부(116)로 향하는 물의 속도와 압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물유입부(112)는 십자형 단면 구간(112a)과 원형 단면 구간(112b)의 길이의 비(L12a:L12b)가 (10.8~11.2):3인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a cross-section of the outer end of the water inlet 112 may be cross-shaped and the cross-section of the inner end of the water inlet 112 may be circular. Since the water inlet 112 becomes narrower in diameter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the speed of water can be increased and the pressure can be lowered. Friction between water and water inlet may cause minute turbulence. Therefore, when water flows into the circular cross-section section 112b,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cross-section section 112a increases, and the speed of water flowing into the mixing section 114 and toward the water moving section 116 and the mixing section 114. pressure can be created effectively. Furthermore,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form the speed and pressure of water flowing into the mixing unit 114 and directed toward the water moving unit 116, the water inlet 112 has a cross section section 112a and a circular section section 112b. The length ratio (L12a:L12b) may be (10.8 to 11.2):3.

또한, 물유입부(112)는 십자형 단면 구간(112a)과 원형 단면 구간(112b)의 경사각에 차이를 둠으로써 물과 물유입부의 마찰로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난류의 형성을 더욱 유도하여 혼합부(114)에서 물과 공기의 혼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물유입부(112)는 십자형 단면 구간(112a)의 외주면 경사(θ1)는 상기 원형 단면 구간(112b)의 외주면 경사(θ2)보다 2.5 내지 2.7배의 크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inlet 112 further induces the formation of fine turbulence that may occur due to friction between water and the water inlet by differentiating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cross-sectional section 112a and the circular cross-sectional section 112b. In 114), the water inlet 112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inclination θ1 of the cross-shaped cross-sectional section 112a so that the mixing of water and air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in 114). to 2.7 times the size.

상기 공기유입부(115)는 상기 물이동부(116)와 상기 혼합부(114)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하여, 물유입부(112)로 유입된 물과 그로 인해 형성된 부압에 대해 최적화된 양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측단부의 지름(D15a)과 내측단부의 지름(D15b)과 길이(L15)의 비가 (1.6~1.7):1:(6.3~6.5)인 것일 수 있다. The air inlet 115 corresponds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water moving unit 116 and the mixing unit 114, and an amount optimized for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inlet 112 and the negative pressure formed thereby. The ratio of the diameter (D15a) of the outer end, the diameter (D15b) of the inner end, and the length (L15) of the air may be (1.6~1.7):1:(6.3~6.5).

또한, 물유입부(112)로부터 혼합부(114)까지 물의 압력과 속도를 최적화하고, 혼합부(114)에서 공기와 혼합된 물이 공기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확산부(118)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유입부(112)의 길이와 상기 혼합부(114)의 길이와 상기 물이동부(116)의 길이의 비(L12:L14:L16)는 (4.4~4.7):1:(4.7~4.9)인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수전으로부터 이동된 물의 압력은 1.5 내지 3.5bar의 압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and speed of water from the water inlet 112 to the mixing unit 114 are optimized, and the water mixed with the air in the mixing unit 114 can move to the diffusion unit 118 by minimizing the loss of air. The ratio (L12:L14:L16) of the length of the water inlet part 112 to the length of the mixing part 114 and the length of the water moving part 116 is (4.4 to 4.7): 1 : (4.7 to 4.9). ) may be In this case, the pressure of the water moved from the faucet may have a pressure of 1.5 to 3.5 bar.

상기 물이동부(116)의 지름(D16)은 상기 확산부(118)의 지름(D18)보다 작으며, 물과 확산부(118)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마이크로 버블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이동부(116)와 상기 확산부(118)의 지름의 비율(D16:D18)은 7:8.9 내지 7:9.5인 것일 수 있다. The diameter D16 of the water moving part 116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18 of the diffusion part 118, and in order to maintain microbubbles by minimizing friction between water and the diffusion part 118, the water moving part The ratio (D16:D18) of the diameter of 116 to the diffusion portion 118 may be 7:8.9 to 7:9.5.

확산부(118)의 중심에는 메시필터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119)이 내주면에 위치하여 마개(120)의 결합단부(123)에 메시필터가 위치하여 장착홈(119)에 결합단부(123)와 메시필터의 가장자리가 끼워짐으로써 메시필터가 상기 확산부(118)의 중심에 장착될 수 있다. At the center of the diffusion part 118 , a mounting groove 119 for mounting the mesh filter is loc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mesh filter is located at the coupling end 123 of the stopper 120 , and the coupling end 123 is disposed in the mounting groove 119 . ) and the edge of the mesh filter, the mesh filter can be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diffusion unit 118 .

상기 메시필터는 300 내지 350 메시의 공극률을 가지는 복층의 메시부재가 적층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로써 적층된 메시필터는 0.45 내지 0.55의 두께를 구비할 수 있다. 300 메시 미만의 메시부재가 적층되면 상대적으로 지름이 크거나 아주 작은 공극이 발생하여 마이크로버블이 일부 제거될 수 있으며, 350 메시를 초과하는 메시부재가 적층되면 부분적으로 공극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여 마이크로 버블이 상쇄될 수 있다. The mesh filter may be provided by stacking multi-layer mesh members having a porosity of 300 to 350 mesh, for example, the stacked mesh filter may have a thickness of 0.45 to 0.55. When mesh members of less than 300 mesh are stacked, pores with relatively large or very small diameters are generated, and some microbubbles can be removed. Bubbles can be offse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200)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물유입부(212)는 바디 내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므로 물의 속도가 빨라지고 그로 인해 혼합부(214)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으며, 혼합부(214)에는 부압이 형성되어 공기유입부(215)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물에 혼합될 수 있다. 공기유입부(215)로부터 외부의 공기 유입을 유도하기 위한 효과적인 혼합부(214)의 부압형성과, 혼합부(214)로 유입되는 물의 효과적인 흐름과 부압형성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상기 물유입부(212)의 외측단부의 지름(D212a)과 상기 물유입부(212)의 내측단부의 지름(D212b)과 상기 혼합부의 지름(D214)은 (1.4~1.5):(0.6~0.7):1의 비율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200 is shown in FIGS. 7 to 9 , the water inlet 212 has a smaller diameter as it goes inside the body, so the speed of water increases, and thus the mixing part 214 may be lowered, and a negative pressure may be formed in the mixing unit 214 to introduce air into the air inlet 215 and the introduced air may be mixed with water. In order to optimize the effective negative pressure formation of the mixing unit 214 for induc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from the air inlet 215 and the effective flow of water flowing into the mixing unit 214 and the formation of negative pressure, the water inlet 212 ), the diameter of the outer end (D212a), the inner end of the water inlet 212 (D212b), and the diameter (D214) of the mixing part are (1.4 to 1.5): (0.6 to 0.7): 1 ratio may be having

이때, 물유입부(212)와 물이동부(216)와 상기 혼합부(214)의 형태 및 크기에 대응하여, 물유입부(212)로부터 유입된 물과 그로 인해 형성된 부압에 대해 최적화된 양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부(215)는 외측단부의 지름과 내측단부의 지름과 길이의 비가 (2.3~2.4):1:(5.2~5.4)인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in response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water inlet 212, the water moving unit 216, and the mixing unit 214, an amount optimized for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inlet 212 and the negative pressure formed thereby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outer end to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inner end of the air inlet 215 may be (2.3 to 2.4): 1: (5.2 to 5.4) so that the air can be introduced.

또한, 물유입부(212)로부터 혼합부(214)까지 물의 압력과 속도를 최적화하고, 혼합부(214)에서 공기와 혼합된 물이 공기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확산부(218)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물유입부의 길이(L212)와 상기 혼합부의 길이(L214)와 상기 물이동부(L216)의 길이의 비는 1:1:(3.1~3.2)인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ure and speed of water from the water inlet 212 to the mixing unit 214 are optimized, and the water mixed with the air in the mixing unit 214 can move to the diffusion unit 218 by minimizing the loss of air. A ratio of the length L212 of the water inlet part to the length L214 of the mixing part and the length of the water moving part L216 may be 1:1: (3.1 to 3.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마개(220)는 물 유출구(222)의 내측(229)에 메시필터(230)가 안착되며, 바디의 확산부(218)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 유출구(222)는 중심에 원형의 홀(222a)과 그로부터 외주로 일정하게 구획된 복수개의 부채꼴의 형태로 홀(222b)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메시필터(230)로 인해 더욱 분산된 마이크로버블을 최대한 유지하여 유출에 방해를 받지 않으며 물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220 has a mesh filter 230 seated on the inner side 229 of the water outlet 222 , and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diffusion unit 218 of the body. The water outlet 222 may have a circular hole 222a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fan-shaped holes 222b that are uniformly partitioned from the outer periphery theret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water without disturbing the outflow by maintaining more dispersed microbubbles as much as possible due to the mesh filter 230 .

상기 메시필터(230)는 300 내지 350 메시의 공극률을 가지는 복층의 메시부재가 적층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로써 적층된 메시필터(230)는 0.36mm 내지 0.44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300 메시 미만이 메시부재가 적층되면 상대적으로 지름이 아주 크거나 아주 작은 공극이 발생하여 마이크로버블이 일부 제거될 수 있으며, 350 메시를 초과하는 메시부재가 적층되면 공극의 지름의 아주 작아져서 마이크로 버블이 상쇄될 수 있다. The mesh filter 230 may be provided by stacking multi-layer mesh members having a porosity of 300 to 350 mesh, for example, the stacked mesh filter 230 may have a thickness of 0.36 mm to 0.44 mm. When a mesh member with less than 300 mesh is stacked, pores with a relatively large or very small diameter are generated and some microbubbles can be removed. This can be offset.

다음의 [표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100, 200)을 장착한 경우의 절수 효과 및 마이크로버블 유지시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수압이 0.5 내지 3.1bar의 상태에서 각각의 유량에 대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고, 1분 경과 후 마이크로 버블의 상태를 확인하였으며, 그 후 마이크로버블의 유지시간을 체크하였다. 또한,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의 장착 전후의 절수율을 비교해 보았다. 가정용 수압이 1.5 내지 3.5bar임을 고려해볼 때, 해당 수압의 범위에서 5초간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의 유지시간은 220 내지 240초, 즉 4분 내외의 시간으로 세안이나 세정에 필요한만큼 충분한 유지시간을 나타내주었다. 또한, 절수율이 13 내지 22%를 나타내어 절수의 효과도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로 발생한 마이크로버블의 크기는 10 내지 100㎛, 1100㎛ 내외로 분포함을 알 수 있다.The following [Table 1] shows the change of the water saving effect and the microbubble holding time when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100,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t a water pressure of 0.5 to 3.1 bar, microbubbles were generated for each flow rate, and the state of the microbubbles was checked after 1 minute, and then the microbubble retention time was checked. In addition, the water saving rate before and after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was installed was compared. Considering that the household water pressure is 1.5 to 3.5 bar, the holding time of the microbubbles generated for 5 seconds in the range of the water pressure is 220 to 240 seconds, that is, about 4 minutes, indicating sufficient holding time for washing or washing. gav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effect of water saving as the water saving rate is 13 to 22%, and referring to FIG. 10, the size of the microbubbles generated by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 to 100㎛ It can be seen that the distribution is around 1100 μm.

수압
(bar)
water pressure
(bar)
장착 전
유량
(L/min)
before installation
flux
(L/min)
장착 후
유량
(L/min)
after installation
flux
(L/min)
마이크로버블 유지시간(초)Microbubble retention time (sec) 1분 후 사진picture after 1 minute 절수율
(%)
water saving rate
(%)
0.50.5 2.22.2 2.02.0 110110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1010 1.01.0 3.03.0 2.82.8 180180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77
1.51.5 3.93.9 3.53.5 200200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1111
2.12.1 4.74.7 4.14.1 220220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1313
2.52.5 5.75.7 4.54.5 230230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2222
3.13.1 4.84.8 4.24.2 240240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1313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100, 200)은, 그 자체로 어댑터로써 샤워기 몸체(30)와 샤워기 헤드(10)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원통형의 몸체(110, 210)가 삽입되는 어댑터(20)를 구비하여 상기 샤워기 몸체(30)와 샤워기 헤드(10) 사이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예로써, 체결부(111, 217)는 회전 나사형의 형태를 취하거나, 상부 외주면에 플렌지형으로 돌출된 형태를 취하여 어댑터(2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공기 유입홀(115, 215)이 어댑터(20)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어댑터(20)는 공기 유입홀(115)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어댑터홀(22)을 구비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100, 200 may be coupled between the shower body 30 and the shower head 10 as an adapter by itself, and the adapter 20 into which the cylindrical body 110, 210 is inserted. )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between the shower body 30 and the shower head 10 .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s 111 and 217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apter 20 by taking the form of a rotating screw or a flange-like protruding form from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is case, the adapter 20 may include an adapter hole 22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hole 115 so that the air inlet holes 115 and 215 are not blocked by the adapter 20 .

상기 샤워기 헤드(10)로부터 분사된 연수의 마이크로버블은 나노버블로 소멸하며 음이온이 방출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샤워기 몸체(30)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흡착모듈(32)을 수돗물이 통과하며 연수가 되고, 연수는 어댑터(20) 내부에 위치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100, 200)을 통과하며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하여 분사홀(12)을 통해 샤워기 헤드(10)로부터 분사될 수 있다. 분사 후 마이크로버블은 나노버블로 작아지며 사라지게 되는데, 나노버블이 소멸하며 음이온이 발생할 수 있다.The microbubbles of the soft water sprayed from the shower head 10 may disappear as nanobubbles, and negative ions may be emitted. That is, tap water passes through the adsorption module 32 containing the ion exchange resin inside the shower body 30 and becomes soft water, and the soft water passes through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s 100 and 200 located inside the adapter 20 . And it can be injected from the shower head 10 through the injection hole 12 containing microbubbles. After spraying, the microbubbles become smaller and disappear as nanobubbles. The nanobubbles disappear and negative ions may be generat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는 흡착성능을 향상시킨 양이온교환수지를 샤워기에 구비함으로써 입자성 오염물질뿐만 아니라 이온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100, 200)을 통하여 연수된 수돗물을 마이크로버블화 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버블의 소멸과 함께 음이온이 방출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all-in-one shower device for spraying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act that can remove not only particulate pollutants but also ionic pollutants by providing the shower with a cation exchange resin with improved adsorption performance.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single structure. In addition, the softened tap water can be made into microbubbles through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s 100 and 200, and there is an effect that anions are released along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microbubbl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 샤워기 헤드
12; 분사홀
20; 어댑터
22; 어댑터 홀
30; 샤워기 몸체
32; 흡착모듈
100, 200;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
110, 210; 바디
112, 212; 물유입부
114, 214; 혼합부
115, 215; 공기유입부
116, 216; 물이동부
118; 218; 확산부
120, 220; 마개
230; 메시필터
10; shower head
12; spray hole
20; adapter
22; adapter hole
30; shower body
32; adsorption module
100, 200;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110, 210; body
112, 212; water inlet
114, 214; mixing part
115, 215; air inlet
116, 216; water movement
118; 218; diffuser
120, 220; stopper
230; mesh filter

Claims (6)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된 샤워기 헤드;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는 흡착모듈이 내부에 위치하여 입자성 유해물질 및 이온성 유해물질을 제거한 연수를 제공하는 샤워기 몸체; 및
상기 샤워기 몸체와 샤워기 헤드 사이에 결합되며,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샤워기 헤드로부터 분사된 연수의 마이크로버블은 나노버블로 소멸하며 음이온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
a shower head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 shower body having an adsorption module including an ion exchange resin located therein to provide soft water from which particulate and ionic harmful substances are removed; and
A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coupled between the shower body and the shower head to generate microbubbles;
An integrated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bubbles of the soft water sprayed from the shower head disappear into nanobubbles, and negative ions are emit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은, 원통형의 몸체와, 물이 유입되되 상기 몸체의 중심을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는 물유입부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되 상기 물유입부와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하는 공기유입부와, 상기 공기유입부의 내측 단부와 상기 상기 물유입부의 내측 단부가 위치하여 유입된 공기와 물이 서로 혼합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로부터 공기가 혼합된 물이 지나가는 물이동부와, 메시필터가 위치하여 상기 물이동부를 지난 물이 상기 메시필터와 충돌 또는 메시필터를 관통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includes a cylindrical body, a water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d a diameter narrowing toward the center of the body, and a diameter narrowing i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perpendicular to the water inlet. An air inlet positioned in the in-direction, a mixing part where the inner end of the air inlet and the inner end of the water inlet are located so that the introduced air and water are mixed with each other, and the water in which the air is mixed from the mixing part An integrated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assing water moving part, and a mesh filter positioned so that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moving part collides with the mesh filter or a diffusion part through the mesh fil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은, 상기 물유입부의 외측단부의 지름과 상기 물유입부의 내측단부의 지름과 상기 혼합부의 지름은 2:(0.6~0.7):1의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the diameter of the outer end of the water inlet, the diameter of the inner end of the water inlet, and the diameter of the mixing part are micro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atio of 2: (0.6 to 0.7): 1. An all-in-one shower that sprays the contained soft wa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은, 상기 물유입부의 외측단부의 단면은 십자형이고 내측단부의 단면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is an integrated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of the outer end of the water inlet is cross-shaped and the cross-section of the inner end is circula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모듈은, 상기 원통형의 몸체가 삽입되는 어댑터를 구비하여, 상기 샤워기 몸체와 샤워기 헤드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icrobubble generating module includes an adapter into which the cylindrical body is inserted, and is coupled between the shower body and the shower he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표면이 개질된 양이온 교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버블을 함유한 연수를 분사하는 일체형 샤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on exchange resin is an integrated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a modified cation exchange resin.

KR1020210009299A 2021-01-22 2021-01-22 All-in-one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KR1025588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299A KR102558831B1 (en) 2021-01-22 2021-01-22 All-in-one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299A KR102558831B1 (en) 2021-01-22 2021-01-22 All-in-one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415A true KR20220106415A (en) 2022-07-29
KR102558831B1 KR102558831B1 (en) 2023-07-24

Family

ID=8260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299A KR102558831B1 (en) 2021-01-22 2021-01-22 All-in-one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831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55U (en) * 1976-06-25 1978-01-11
KR0173996B1 (en) * 1993-01-22 1999-02-18 히사에다 카쭈시 Apparatus for dissolving a gas into and mixing the same with a liquid
KR100905915B1 (en) * 2008-10-27 2009-07-07 (주)조아스텍 Minuteness-bubble generator of bathtub
KR100938899B1 (en) 2009-08-14 2010-01-27 오엑스엔지니어링(주) Micro bubble nozzle
JP3169936U (en) * 2011-06-14 2011-08-25 森鉄工株式会社 Micro bubble generator
KR20160057161A (en) 2014-11-13 2016-05-23 코웨이 주식회사 A compact water sofetner
KR20170114473A (en) * 2016-04-05 2017-10-16 (주)이온폴리스 Vibrating Shower Device Having a Function Of LED Display
KR20210000575A (en) * 2019-06-25 2021-01-05 최순범 Shower to prevent compounds of calciu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936B2 (en) * 1999-04-26 2001-05-28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Lock device for doors located inside and behin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55U (en) * 1976-06-25 1978-01-11
KR0173996B1 (en) * 1993-01-22 1999-02-18 히사에다 카쭈시 Apparatus for dissolving a gas into and mixing the same with a liquid
KR100905915B1 (en) * 2008-10-27 2009-07-07 (주)조아스텍 Minuteness-bubble generator of bathtub
KR100938899B1 (en) 2009-08-14 2010-01-27 오엑스엔지니어링(주) Micro bubble nozzle
JP3169936U (en) * 2011-06-14 2011-08-25 森鉄工株式会社 Micro bubble generator
KR20160057161A (en) 2014-11-13 2016-05-23 코웨이 주식회사 A compact water sofetner
KR20170114473A (en) * 2016-04-05 2017-10-16 (주)이온폴리스 Vibrating Shower Device Having a Function Of LED Display
KR20210000575A (en) * 2019-06-25 2021-01-05 최순범 Shower to prevent compounds of calc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831B1 (en) 202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8018B2 (en) Intersecting water conducting filter
EP2527023B1 (en) Complex filter for water purification
KR20080037050A (en) Porous membranes containing exchange resin
US6599428B1 (en) Filter system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water and method thereof
US7442310B2 (en) Treating liquids with pH adjuster-based system
US201000443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rther purifying ultrapure water
JP2010172893A (en) Filter cartridge for gravity-fed water treatment device
KR101177304B1 (en) Dissolved airfloatation system and a water treatment equipment using the nozzle for generating micro and/or naco bubbles
JP4204777B2 (en) Water purifier
KR102558831B1 (en) All-in-one shower that sprays soft water containing microbubbles
KR20190032956A (en) Apparatus for protecting water resource
TW558450B (en) Filter cartridge with divided filter bed for gravity flow use
KR20100053989A (en) Water purifing filter element using iron oxide nanoparticles and method thereof
US7169297B2 (en) pH adjuster-based system for treating liquids
KR102200254B1 (en) A cosmetic water generator comprising a high-performance cosmetic filter unit
KR100982699B1 (en) water cleaning filter and filter cartridge
KR101510571B1 (en) structure of fitter for water purifier
KR102267248B1 (en) Compact type 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KR102376601B1 (en) Water processing shower apparatus
JP483770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cylindrical filter member for water purifier
JP3041980U (en) Functional water production equipment
KR101957496B1 (en) Faucet filter, filter assembly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same
RU818U1 (en) Filter for the purification of drinking tap water
KR200346264Y1 (en) Filter cartridge, filter cartridge assembly and water purifier system using the same
RU2772774C1 (en) Filter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