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354A - 당구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당구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354A
KR20220106354A KR1020210009188A KR20210009188A KR20220106354A KR 20220106354 A KR20220106354 A KR 20220106354A KR 1020210009188 A KR1020210009188 A KR 1020210009188A KR 20210009188 A KR20210009188 A KR 20210009188A KR 20220106354 A KR20220106354 A KR 20220106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illiard
billiard table
upper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110B1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클라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라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9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1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6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rolling bodies, e.g. spheres, cylinders, mercury dropl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01C15/008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combined with inclination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rolling bodies, e.g. spheres, cylinders, mercury droplets
    • G01C2009/107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rolling bodies, e.g. spheres, cylinders, mercury droplets spheres

Abstract

본 발명은 당구대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구공이 경사로를 따라 전방을 향해 활주하는 상부판; 중심부에 공을 정지시키는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며, 당구대 수평의 기울임과 천의 특성과 마모의 정도 및 쿠션의 탄성정도를 검사하는 당구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구대 검사장치{Billiard Table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당구대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구공이 경사로를 따라 전방을 향해 활주하는 상부판; 중심부에 공을 정지시키는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며, 당구대 수평의 기울임과 천의 특성과 마모의 정도 및 쿠션의 탄성정도를 검사하는 당구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는 수평이 유지되고 바닥면에 부드러운 천을 깐 사각 당구대 안에 경기의 종류에 따라 공을 배치하고 인원수를 정해 경기에 참여한 사람의 순서대로 큐를 이용하여 당구공을 타격해서 원하는 공을 접촉하여 일정 점수가 달성되면 경기를 종료하는 스포츠 오락 경기의 한 종류이다.
당구 경기에 사용되는 당구대는 상판과, 상판을 하부에서 지지 및 고정하고 상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상판 상에 석판을 올려 놓고, 석판 위에 당구공의 구름 운동을 부드럽게 하고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커버천이 밀착 설치되며, 상판의 테두리의 내측면을 따라 쿠션이 쿠션지지부재에 지지된 채 설치되고, 쿠션지지부재를 따라 복수 개의 포인트가 형성되어 당구대를 구성한다.
당구대는 설치시에 당구대가 수평한지, 당구지(천)의 당김과 당구지의 상태가 올바른지, 쿠션의 탄성이 적당한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게임을 반복하여 진행함에 따라 당구대 자체의 수평이 조금씩 어긋날 수 있다. 당구대의 상판은 수평상태를 유지하여야만 그 바닥면(상판의 위)에서 당구공이 임의적으로 구르지 않아 공정하고 원활한 게임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당구대의 수평유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점검해야 한다.
당구대 바닥면의 당구지가 여러 가루로 인해 오염되고, 또한 코팅이 저하되면 공의 진로에 방해를 받고 구름이 저하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당구대의 동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기에 예상하지 못한 궤적으로 공이 구르며 당구대의 품질을 신뢰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당구대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최적의 성능을 내기 위해 지속적인 이물질 제거와 코팅제 분사 및 주기적인 천갈이를 해주어야 한다.
또한 당구대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쿠션은 천연고무 성분과 다양한 화학물질이 혼합되어 만들어진다. 공이 쿠션에 부딪히면서 탄성에 의해 입사각과 반대방향으로 굴러가게 되는데, 당구대의 노후화로 인해 쿠션지지부재와 쿠션의 연결부위가 벌어지면 공이 쿠션에 부딪힐 시에 쿠션이 뒤로 밀리게 되고 공에 정확한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해 원활하게 굴러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공이 쿠션에 부딪히면서 쿠션지지부재와 당구대의 프레임이 충격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므로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당구대 바닥면에 밀착 설치되는 천의 품질을 최적으로 관리하고, 공의 궤적을 올바르게 유지하기 위해 당구대의 수평을 유지하며 및 공의 반사각과 속도에 영향을 끼치는 쿠션의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당구대의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등록번호 10-1747663에서는 당구대의 품질을 테스트하기 위해 당구공을 굴려서 공구름의 정도와 반사각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당구대의 쿠션에 접촉된 채 놓여지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형성되되 활주로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내리막을 이루면서 만곡지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활주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굴림판; 및 상기 굴림판의 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연장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해당 특허의 발명은 사람의 손으로 공을 활주로에 안착시키게 되어 의도치 않은 외력이 작용할 수 있고, 본 테스트 기구가 좌우로 흔들리거나 각도가 틀어져 공의 굴림으로 인해 정확한 수평 및 쿠션의 탄성력 측정이 어렵다. 또한 공이 활주로를 따라 활주할 시에 구름저항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또한 흡수되지 못하고 본 테스트 기구에 영향을 끼친다. 관리자에 의해 초기 설정한 위치에 테스트 기구를 고정하지 못하고 움직이게 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려울 뿐 아니라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번거로움도 발생한다.
따라서 당구대의 품질을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바닥면의 천의 품질과 수평상태 및 쿠션의 탄성력을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외력에 의해 흔들리거나 초기 설정한 위치에 이탈하지 않아 정확한 측정을 도울 수 있는 테스트 기구의 개발이 대두된다.
KR 10-1747663 (B1) 2017.06.14.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당구대 수평의 기울임과 천의 특성과 마모의 정도 및 쿠션의 탄성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당구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사시에 활주하는 당구공에 의해 발생하는 구름저항과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을 방지하고 초기 설정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 오차의 발생을 줄일 수 있어 검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당구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높이에서 외력의 부가없이 당구공을 굴릴 수 있어 검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당구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구공이 당구대의 바닥면에서 굴러가는 궤적을 표시선과 대조하면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당구대의 수평 기울임의 측정을 직관적이고 정확하게 검사가 가능하여 검사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당구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이 아래로 오목한 활주레일판(111)이 형성되고, 상기 활주레일판(111) 중심부에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돌기홈(114)이 활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지지다리(112)가 일측 하단부에 형성되어 전방을 향해 하향 기울어진 판 형상의 상부판(110); 상기 상부판(110)의 저면과 면접촉하며, 당구공을 상기 활주레일판(111) 위에 정지시키는 다수 개의 돌기(121)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121)는 상기 돌기홈(114)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다리(112)가 관통하는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110)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124)가 구비되는 하부판(120);을 포함하며, 외력에 의하여 하강된 상기 손잡이부(124)에 의하여 상기 돌기(121)가 상기 돌기홈(114)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할 시에 상기 당구공이 활주를 시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판(110)에는 당구공이 활주레일판(111)을 따라 활주시에 상기 상부판(110)이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판 형상의 균형판(117)이 활주레일판(111)의 양측에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다리(112)는 암수로 결합되는 상부지지대(112a)와 하부지지대(112b)로 이루어지고, 상부지지대(112a)와 하부지지대(112b)가 결합되는 결합부에서 지지대의 직경보다 큰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120) 하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부(124)의 하강시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113)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판(110)의 저면에는 높이가 다른 다수 개의 걸림나사(1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110)의 저면과 상기 걸림나사(115)의 헤드면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이격된 거리내에서 상기 하부판(120)이 상하로 움직인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걸림나사(115)의 외면에는 상기 하부판(120) 저면과 상기 걸림나사(115) 헤드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판(120)의 하강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스프링(116)이 복수 개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판(120)과 상부판(110)의 저면 끝단은 당구대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판(120)은 저면 끝단을 중심으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하강하고, 상기 하부판(120)의 저면 끝단보다 상부판(110)의 저면 끝단이 전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판(110)에는 레이저광을 발생시켜 당구대의 바닥면에 구분선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140)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140)를 상부판(110)에서 일정 거리 상향 이격하여 거치하는 거치대(141)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개로 형성된 구멍에 상기 지지다리(112)를 삽입시켜 상기 상부판(110)을 지지하며, 당구대의 바닥면과 면접촉하는 판으로 이루어지되, 모서리가 상기 당구대 내측면의 절곡면에 접촉시에 상기 하부판(120)의 손잡이부(124)가 당구대의 쿠션(11)에서 이격되는 받침판(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는 당구대 수평의 기울임과 천의 특성과 마모의 정도 및 쿠션의 탄성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시에 활주하는 당구공에 의해 발생하는 구름저항과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을 방지하고 초기 설정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 오차의 발생을 줄이고 정확하고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어 측정값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높이에서 외력의 부가없이 당구공을 굴릴 수 있어 검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구공이 당구대의 바닥면에서 굴러가는 궤적을 표시선과 대조하면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당구대의 수평 기울임의 측정을 직관적이고 정확하게 검사가 가능하여 검사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가 저면이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의 하부판의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의 지지다리와 걸림나사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당구대 검사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공이 활주레일판을 활주하는 모습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당구대 검사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공이 활주레일판을 벗어난 모습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당구대 검사장치에 따른 일실시예의 모습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당구대는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세팅된 상판, 상기 상판을 지면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고 받치고 지지하는 받침부재, 상기 상판에서 당구공에 적당한 마찰을 제공하며 구름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밀착 설치되는 커버천, 당구공이 부딪힐 시에 입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반발력을 제공하는 쿠션 및 쿠션을 고정하고 초크 등 여러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당구공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포인터가 표시된 쿠션지지부재로 이루어진다.
당구대의 처음 설치시 및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생되는 변화인 당구대의 수평상태, 천 상태와 쿠션의 탄성정도를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이에 따라 당구대의 수평을 다시 세팅하는 작업, 천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새로 교환하는 작업 및 탄성력을 복원하기 위해 수명이 다한 쿠션을 교체하는 작업 등 유지보수 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간단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되고 매회 측정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당구대 검사장치(100)를 제공한다.
도 1a 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가 저면이 보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의 하부판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100)는 중앙이 아래로 오목하여 당구공이 활주하는 활주레일판(111)이 형성되고, 상기 활주레일판(111) 중심부에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돌기홈(114)이 활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지지다리(112)가 일측 하단부에 결합되어 전방을 향해 하향 기울어진 판 형상의 상부판(110);
당구공을 상기 활주레일판(111) 위에 정지시키는 다수 개의 돌기(121)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121)는 상기 돌기홈(114)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다리(112)가 관통하는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상부판(110)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124)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판(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판(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전방은 상부판(110)이 당구대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방향이고, 후방은 지지다리(112)가 구비된 방향을 의미하며, 당구대 검사시 전방으로 당구공이 이동하여 당구대 검사장치의 반대편 쿠션과 접촉한 후 다시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활주레일판(111)은 당구공이 일정 경로에 벗어나지 않고 일직선으로 굴러갈 수 있게 중앙이 아래로 파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파인 형상의 단면은 직각으로 절곡된 '凹'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비스듬한 경사를 가진 'V'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활주레일판(111)의 파인 바닥면의 폭이 지나치게 넓게 되면 당구공이 활주레일판과 세 점으로 외접하지 못하고 활주레일판(111)의 바닥면과 한 점에서 접하게 되어 당구공이 활주하면서 레일판에서 지그재그 경로를 그리면서 굴러가게 된다. 지그재그 경로를 그리게 되면 활주레일판(111)에서 벗어난 당구공이 당구대의 바닥면에서 수직 경로로 굴러가지 못하고 일측으로 치우쳐 당구공이 진행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평검사를 진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당구공이 활주레일판(111)의 세 점에서 외접하도록 하여 활주레일판(111)을 따라 활주시에 일직선의 경로를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폭을 당구공의 지름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활주레일판(111)은 그 두께가 매우 얇아야 한다.
활주레일판(111)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일직선의 경사를 따라 당구공이 굴러가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같은 활주길이에 대비해 빠른 속도로 당구공을 굴려 더 많은 거리를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만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활주레일판(111)위에 놓여진 당구공은 놓여진 위치에 따라 다른 위치에너지를 가진다. 당구공이 활주를 시작함에 따라 경사를 따라 굴러가게 되고 당구공의 위치에너지는 운동에너지로 변환된다. 운동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당구공은 굴러가는 속도와 거리가 달라지고, 활주레일판(111)을 벗어난 당구공은 당구대 바닥면의 마찰에 의해 운동에너지가 소실되면 정지한다. 당구공의 정지 위치는 활주레일판(111)의 놓여지는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활주레일판(111)의 경사와 공이 놓여지는 위치는 당구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측정자가 당구공이 정지하는 위치를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활주레일판(111)의 경사와 당구공이 놓여지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당구공이 정지하는 위치는 도 7에 도시된 당구대의 쿠션지지부재(12)에 일정 간격으로 표시되어 있는 포인터(13)에 일치하는 것이 검사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아래쪽 돌기(121)에 놓여진 당구공은 전방으로 구른 후 반대변 쿠션(11)까지 가고, 두 번째 돌기(121)에 놓여진 당구공은 반대편 쿠션(11)과 부딪친 후 첫 번째 포인터(13)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세 번째 돌기(121)에 놓여진 당구공은 반대편 쿠션(11)과 부딪친 후 두 번째 포인터(13)의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설정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당구대 검사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공이 활주레일판을 활주하는 모습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당구대 검사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공이 활주레일판을 벗어난 모습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레일판(111)의 경사가 끝나는 끝단의 저면은 당구대의 바닥면에 접촉된다. 일정 경사를 따라 당구공이 활주하면서 위치에너지가 감소하고 운동에너지로 변환되는데, 위치에너지가 0이 되는 시점에 당구공은 당구대의 바닥면에서 수평 직선으로 움직인다. 이때, 당구공이 지면과의 충격으로 바닥면으로부터 튀거나, 방향이 틀어지면 당구공은 당구대 바닥면에서 직선 경로로 이동하기 어렵다. 검사의 정확도를 높여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상부판(110)에 형성된 활주레일판(111)의 끝단 저면은 당구대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위치하고, 당구공이 바닥면과의 충격에 방향이 비틀리는 것을 막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레일판(111)의 중심부에는 다수 개의 돌기홈(114)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홈(114)으로 하부판(120)의 중심부에 형성된 돌기(121)가 돌출되고, 손잡이부(124)에 외력을 가해 하부판(120)이 하강하면 하부판(120)에 형성된 돌기(121)도 돌기홈(114)의 아래로 내려간다.
돌기홈(114)의 상부로 돌기(121)가 돌출되면 활주레일판(111)에 안착된 당구공이 돌기(121)에 걸려 정지하고, 손잡이부(124)에 외력을 가해 하부판(120)을 하강시키면 하부판(120)에 형성된 돌기(121) 돌기홈(114)의 아래로 내려가며 당구공을 정지상태로 붙잡는 돌기(121)가 제거되면서 당구공이 활주레일판(111)에서 활주하기 시작한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의 지지다리와 걸림나사의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110)의 일측 하부에는 경사도를 결정하는 지지다리(112)가 결합되어 있다. 지지다리(112)가 결합된 상부판(110)의 일측부분(후방)은 지지다리(112)의 높이만큼 지면과 이격되고 상부판(110)의 타측부(전방)는 당구대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상부판(110)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게 된다. 지지다리(112)의 높이에 따라 경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지지다리(112)의 높이를 길게 하면 상기 상부판(110)의 경사도가 가파르게 되고 높이를 낮추면 상기 상부판(110)의 경사도가 완만해진다. 당구대를 점검하는 관리자는 지지다리(11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부판(110)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당구공이 굴러가는 거리를 원하는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지지다리(112)는 상부판(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부판(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다. 일단부는 상기 상부판(11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당구대의 바닥면에 접촉하며 지지한다.
상부판(110) 일측 저면에 결합되는 지지다리(112)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활주레일판(111)을 따라 당구공이 활주하면서 구름마찰에 의해 상부판(1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다리(112)는 다수 열로 배치된 여러 쌍의 지지다리(112)로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110)의 하부에는 하부판(120)이 배치된다. 하부판(120)은 중앙부에 활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어 당구공이 활주레일판(111)의 다른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돌기(121)는 활주레일판(111)에 형성된 돌기홈(114)에서 상향 돌출되며 손잡이부(124)를 손으로 눌러 하부판(120)을 하강시키게 되면 돌기(121)는 활주레일판(111)의 돌기홈(114)에서 내려가 당구공을 정지상태로 붙잡고 있던 돌기(121)가 제거되며 당구공은 상부면의 경사면을 따라 활주한다.
상기 돌기(121)는 하부판(120)의 중심부에 활주방향으로 구비되되 다수 개로 형성되고 각각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당구공은 활주레일판(111)위에 놓이게 되는데, 놓여지는 높이에 따라 다른 속도와 굴러가는 거리를 가진다. 당구대의 상태를 측정하는 관리자는 당구대에 표시된 여러 포인터(13) 중에서 설정한 포인터(13)까지 당구공이 굴러가게 하기 위해 다수 개 형성된 돌기(121)에서 관리자가 설정한 포인터(13)까지 굴러가는 위치에 당구공을 놓을 수 있다. 돌기(121)를 다수 개 구비함으로써 각 돌기(121)마다 굴러가는 거리를 다르게 설정이 가능하고, 단일로 정해진 거리가 아닌 다양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되어 검사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하부판(120)의 후방에는 상기 지지다리(112)가 관통하는 지지다리구멍(12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11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다리(112)는 하부판(120)에 형성된 지지다리구멍(122)을 관통하여 당구대의 바닥면에 접촉한다. 하부판(120)에 형성되는 지지다리구멍(122)은 상부판(110)의 저면에 결합된 지지다리(112)가 구비된 갯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하부판(120)의 전방에는 걸림나사구멍(123)이 형성된다. 후술할 걸림나사(115)가 상부판(110)의 저면에 더 구비되므로, 걸림나사(115)가 하부판(120)을 관통할 수 있는 걸림나사구멍(123)이 형성되는 것이다. 걸림나사구멍(123)은 걸림나사(115) 헤드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단턱부가 형성되어, 단턱부는 걸림나사(115)의 헤드와 접촉하며 걸리게 된다. 즉 하부판(120)에 형성되고 걸림나사(115)가 관통하는 걸림나사구멍(123)은 도 5와 같이, 형성된 단턱부에 걸림나사 헤드가 걸려 하강하는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도 3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120)의 후단부는 상기 상부판(110)의 후단부보다 더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부판(110)의 전단부는 하부판(120)보다 더 연장되어 돌출된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은 손잡이부(124)를 형성하여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하부판(120)이 하강하게 되면 하부판(120)의 중심부에 활주방향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돌기(121)가 상부판(110)의 돌기홈(114) 아래로 내려가 당구공을 정지시키는 돌기(121)가 제거된다.
본 발명의 당구대 검사장치(100)는 측정 결과값에 신뢰성을 주기 위해 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외력의 개입을 차단한다. 사람의 손으로 당구공이 이동하게 되면 외력이 추가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외력과 중력을 받아 활주하는 당구공의 속도는 중력만을 받아 활주하는 공의 속도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결과값이란 당구공이 움직이다가 정지되기까지 움직인 거리와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당구대 검사장치(100)는 공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당구공이 정지하도록 돌기(121)를 형성한다. 당구공은 돌기(121)에 의해 정지되고, 이후 손으로 밀어 당구공이 활주하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부(124)를 통해 하부판(120)을 하강시키고 하부판(120) 중심부에 형성된 돌기(121)를 하강시켜 당구공에 가해지는 외력을 최소화하고 중력에 의해서만 활주하여 당구공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하부판(120)의 일단부에서 더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124)를 통해 하부판(120)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돌기(121)를 하강시켜, 외력의 부가없이 당구공의 구름을 시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110)은 당구공의 활주시에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활주레일판(111)의 양측에 균형판(117)을 포함할 수 있다. 균형판(117)은 중량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활주레일판(111)의 양측면에 부착된다.
균형판(117)은 활주방향을 중심으로 좌우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판(110)의 회전모멘트를 증가시킨다. 상부판(110)의 활주레일판(111)을 따라 당구공이 활주하면서 당구공의 질량과 구름마찰에 의해서도 상부판(110)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지지다리(112)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지지다리(112)는 암수로 결합되는 상부지지대(112a)와 하부지지대(112b)로 이루어진다. 상부지지대(112a)의 상단부는 상부판(110)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암나사 가공되어 형성된다.
하부지지대(112b)의 상단부는 수나사 가공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지대(112a) 하단부의 암나사와 결합된다. 하부지지대(112b)의 하단부는 당구대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지지한다. 또는 하부지지대(112b)의 하단부에 암나사 가공하여, 추가적으로 다른 하부지지대(112b)와 결합하여 지지다리(1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다리(112)를 상부지지대(112a)와 하부지지대(112b)로 구성하고, 하부지지대(112b)를 추가적으로 장착하거나 탈착함으로써 길이조절을 할 수 있다. 길이조절을 통해 당구공이 활주하는 상부판(110)의 경사도를 설정한다.
또한 상부지지대(112a)와 하부지지대(112b)가 결합되는 결합부에서 지지대의 직경보다 큰 걸림부(118)가 형성된다. 하부판(120)의 저면과 걸림부 사이 지지다리(112)의 외측에 복귀스프링(113)이 배치된다. 손잡이 부에 외력을 가하여 하부판(120)의 하강시에 복귀스프링(113)은 압축되어 탄성력을 저장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이 방출되어 하부판(120)이 상승하는 복귀력을 제공한다. 또한 하부판(120)의 하강시에 걸림부(118)와 부딪히면서 충격이 발생하여 상부판(110)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복귀스프링(113)은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걸림부는 상부지지대(112a)와 하부지지대(112b) 사이에 끼워진 와셔로 구비될 수 있어, 복귀스프링(113)의 탄성력에 의해서 하강하지 않는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110)의 저면에는 높이가 다른 다수 개의 걸림나사(115)가 구비된다. 상부판(110) 저면에 형성된 걸림나사(115)는 하부판(120)에 형성된 걸림나사구멍(123)을 관통한다. 걸림나사(115)의 헤드면은 상부판(110)의 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며, 이격된 거리는 하부판(120)의이동범위가 된다. 걸림나사(115)의 헤드가 상부판(110)의 저면에서 이격되되, 당구대의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판(120)은 걸림나사(115)와, 하부판(120) 후방의 걸림부(118)에 의하여 이동거리가 제한되나, 걸림부(118)는 복귀스프링(113)에 의하여 이동범위보다 약간 길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하부판(120)의 하강 이동범위는 걸림나사(115)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걸림나사(115)의 나사부는 상부판(110)에 고정되어 걸림나사는 유동되지 않는다. 하부판(120)에 형성된 걸림나사구멍(123)의 직경은 걸림나사(115)의 헤드의 직경보다 작아 걸림나사(115) 헤드에 하부판(120)이 걸려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단턱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5와 같이 하부판(120) 내에서 걸림나사구멍(123)을 단턱지게 하여 하부판의 저면에서 걸림나사 헤드가 통과하고, 중간 단계에서 좁아진 걸림나사구멍(123)의 단턱부에 의하여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손잡이부(124)에 외력을 가하여 하부판(120)을 하강시킬 때에 걸림나사(115)는 당구대의 바닥면까지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부판(120)의 상하이동범위를 제한한다. 하부판(120)은 손잡이부(124)에 외력을 가하기 전에 상부판(110)의 저면과 면접촉한 상태에 있다가 손잡이부(124)에 외력을 가하여 하부판(120)이 하강되면 걸림나사(115) 헤드면과 걸림나사구멍(123)의 단턱부가 접촉될 때까지 하강한다.
상기 걸림나사(115)의 외면에는 완충스프링(116)을 더 포함한다. 상부판(110)의 저면에 다수 개로 형성된 걸림나사(115)의 일부에 완충스프링(116)을 구비하거나 또는 모든 걸림나사(115)의 외면에 완충스프링(116)을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부(124)에 외력을 가해 하부판(120)이 하강하면 하부판(120)의 저면과 걸림나사(115)의 헤드면이 부딪힌다. 강하게 부딪힐 시, 충격에 의해 하부판(120)과 상부판(110)이 흔들리게 되고, 이는 활주레일판(111)에서 활주하는 당구공이 일직선으로 굴러가지 못하고 외력을 받아 정확한 경로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완충스프링(116)이 하부판(120)의 저면과 걸림나사(115) 헤드면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하부판(120)과 상부판(110)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당구공에 외력이 작용하여 잘못된 경로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다.
또한 완충스프링(116)은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손잡이부(124)에 외력이 제거되면 하부판(120)의 상면이 상부판(110)의 저면과 접촉하고, 하부판(120)의 돌기(121)가 상부판(110)의 돌기홈(114)으로 돌출되도록 복귀시킨다.
한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의 전방 끝단(저면 끝단)은 당구대의 바닥면과 선접촉된다. 하부판(120)의 후방이 하강하더라도 전방 끝단은 여전히 바닥면과 선접촉한다. 하부판(120)과 상부판(110)은 접착 필름 등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하부판(120)의 손잡이부(124)에 외력을 가하면 하부판(120)이 하강하고 외력을 제거하면 완충스프링(116)과 복귀스프링(113)의 복귀력에 의해 상승하는 상하운동이 일어나는데, 이때 하부판(120)의 상하운동과 관계없이 하부판(120) 전방 저면 끝단은 당구대의 바닥면과 선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하부판(120)은 저면 끝단을 중심으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하강한다.
하부판(120) 전방 저면 끝단은 당구대 바닥면과 접촉하여 있기 때문에, 상하이동하는 하부판(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당구공이 활주레일판(111)을 따라 안정적으로 활주할 수 있다.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의 전방 저면 끝단은 당구대 바닥면과 접촉하고 상부판(110)은 하부판(120)보다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판(110) 전방 끝단은 하부판(120)의 전방 끝단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110)의 상면에는 레이저 조사부(1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140)는 당구대의 바닥면에 수직선을 표시한다. 활주레일판(111)을 활주하며 상부판(110)을 벗어난 당구공은 당구대의 바닥면 위를 움직이면서 레이저 조사부(140)를 통해 표시된 수직선 상 경로로 움직이면서 당구공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당구공이 표시된 수직선 상위로 움직이지 않고 일측으로 치우쳐 움직이면, 당구대의 수평상태에 문제가 있는 것이므로 관리자는 치우친 방향을 확인하고 수평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당구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140)는 상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자석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된 거치대(141)의 일단부는 상부판(110)에 고정되고, 거치대(141)에 상기 레이저 조사부(140)가 거치된다.
상기 레이저 조사부(140)의 상단에는 수평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이저 조사부(140)를 통해 당구대 바닥면에 수직선을 표시하는 경우, 수평계를 통해 레이저 조사부(140)의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당구대 바닥면에 치우침 없는 정확한 수직선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구대 검사장치(100)는 당구대의 바닥면에 면접촉하는 판 형상의 받침판(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130)에 형성된 다수 개의 구멍에 지지다리(112)를 삽입시켜 상부판(1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10)이 지지다리(112)를 통해 당구대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적에 비해, 상기 받침판(130)이 바닥면과 면접촉하는 면적이 넓어 상기 지지다리(112)를 받침판(13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된다.
당구공이 활주레일판(111)에서 활주시에 발생하는 움직임을 상기 받침판(130)이 흡수함으로써 흔들림 없이 정확한 당구대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130)의 구멍에 지지다리(112)를 끼운 후 당구대의 바닥면과 면접촉된 받침판(130)은 후방의 모서리가 당구대의 내측면 절곡면과 선접촉될 수 있다. 상부판(110)의 지지다리(112)가 삽입되고 내측면 절곡면과 선접촉된 받침판(130)은 하부판(120)의 손잡이부(124)가 당구대의 쿠션(11)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손잡이부(124)가 당구대의 쿠션(11)에서 이격되면, 손잡이부(124)이 승하강시에 쿠션에 걸림이 없어 안정적으로 하부판을 조정할 수 있다.
받침판(130)이 구비된 본 발명의 당구대 검사장치(100)는 받침판(130)을 당구대 내측면과 선접촉시킴으로써 검사를 여러 횟수 진행시에도 당구대 바닥면에서 일정한 위치에 놓일 수 있으며, 또한 하부판(120)의 손잡이부(124)가 쿠션(11)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하부판(120)의 상하운동에도 걸림이 없어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당구대 검사장치에 따른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대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지지다리(112)는 받침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한 후, 후방 모서리를 쿠션(11)의 내측면 절곡면에 선접촉되도록 배치한다. 받침대로 인해 당구대 검사장치(100)는 당구대의 특정 위치에 일정하게 배치될 수 있다.
활주레일판(111)에 당구공을 놓려놓은 후, 돌기(121)를 돌기홈(114)으로 돌출시켜 당구공을 정지시킨다. 하부판(120)의 손잡이부(124)에 외력을 가하여 하부판(120)을 내려 돌기(121)는 돌기홈(114) 아래로 하강시킨다. 하부판(120)의 저면은 걸림나사(115)의 헤드에 접촉시까지 하강할 수 있다. 돌기(121)로 인해 정지해있던 당구공은 중력을 받아 활주레일판(111)을 따라 경사를 활주한다.
활주레일판(111) 양측으로 구비된 균형판(117)과 걸림나사(115)의 외면에 형성된 완충스프링(116)이 구비됨으로, 당구공의 활주시 구름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부판(110)의 흔들림을 막는다.
활주레일판(111)을 벗어난 당구공이 당구대의 바닥면을 굴러가면서 전방의 쿠션(11)과 충돌한다. 쿠션(11)의 반발력을 받은 당구공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고, 바닥면 천의 마찰에 의해 정지한다. 당구공이 정지되는 위치가 설정된 쿠션지지부재(12)에 표시되어 있는 포인터(13)에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레이저 상의 수직선 경로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수직선 상 경로로 진행하지 않는 당구공은 당구대의 수평이 맞지 않는 상태이므로 관리자는 당구대에 수평 기울기가 문제 있음을 확인하여 적절한 대처를 취할 수 있다.
바닥면을 구르는 당구공은 바닥면 천의 마모정도에 따라 다른 마찰력을 받고, 쿠션(11)의 탄성정도에 따라 다른 반발력을 받는다. 따라서 당구공이 쿠션(11)과 충돌한 후 정지하는 위치로 검사하는 당구대의 쿠션(11) 탄성정도와 천의 마모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당구대 검사장치는 당구대 수평의 기울임과 천의 특성과 마모의 정도 및 쿠션의 탄성정도를 측정하여 당구대의 품질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시에 활주하는 당구공에 의해 발생하는 구름저항과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을 방지하고 초기 설정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 오차의 발생을 줄일 수 있어 검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높이에서 외력의 부가없이 당구공을 굴릴 수 있어 검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구공이 당구대의 바닥면에서 굴러가는 궤적을 표시선과 대조하면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당구대의 수평 기울임의 측정을 직관적이고 정확하게 검사가 가능하여 검사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당구대 검사장치
110:상부판
111:활주레일판 112:지지다리 112a:상부지지대
112b:하부지지대 113:복귀스프링 114:돌기홈
115:걸림나사 116:완충스프링 117:균형판 118:걸림부
120:하부판
121:돌기 122:지지다리구멍 123:걸림나사구멍
124:손잡이부
130:받침판
140:레이저 조사부
141:거치대

Claims (8)

  1. 중앙이 아래로 오목한 활주레일판(111)이 형성되고, 상기 활주레일판(111) 중심부에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돌기홈(114)이 활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지지다리(112)가 일측 하단부에 형성되어 전방을 향해 하향 기울어진 판 형상의 상부판(110);
    상기 상부판(110)의 저면과 면접촉하며, 당구공을 상기 활주레일판(111) 위에 정지시키는 다수 개의 돌기(121)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121)는 상기 돌기홈(114)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다리(112)가 관통하는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판(110)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124)가 구비되는 하부판(120);을 포함하며,
    외력에 의하여 하강된 상기 손잡이부(124)에 의하여 상기 돌기(121)가 상기 돌기홈(114)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할 시에 상기 당구공이 활주를 시작하는 당구대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10)에는 당구공이 활주레일판(111)을 따라 활주시에 상기 상부판(110)이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판 형상의 균형판(117)이 활주레일판(111)의 양측에 구비되는 당구대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112)는 암수로 결합되는 상부지지대(112a)와 하부지지대(112b)로 이루어지고, 상부지지대(112a)와 하부지지대(112b)가 결합되는 결합부에서 지지대의 직경보다 큰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120) 하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부(124)의 하강시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113)이 구비되는 당구대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10)의 저면에는 높이가 다른 다수 개의 걸림나사(1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110)의 저면과 상기 걸림나사(115)의 헤드면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이격된 거리내에서 상기 하부판(120)이 상하로 움직이는 당구대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나사(115)의 외면에는 상기 하부판(120) 저면과 상기 걸림나사(115) 헤드 사이에 배치되어 하부판(120)의 하강시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스프링(116)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당구대 검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20)과 상부판(110)의 저면 끝단은 당구대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판(120)은 저면 끝단을 중심으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며 하강하고,
    상기 하부판(120)의 저면 끝단보다 상부판(110)의 저면 끝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당구대 검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110)에는 레이저광을 발생시켜 당구대의 바닥면에 구분선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140) 및 상기 레이저 조사부(140)를 상부판(110)에서 일정 거리 상향 이격하여 거치하는 거치대(141)를 더 포함하는 당구대 검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다수 개로 형성된 구멍에 상기 지지다리(112)를 삽입시켜 상기 상부판(110)을 지지하며, 당구대의 바닥면과 면접촉하는 판으로 이루어지되, 모서리가 상기 당구대 내측면의 절곡면에 접촉시에 상기 하부판(120)의 손잡이부(124)가 당구대의 쿠션(11)에서 이격되는 받침판(130)을 포함하는 당구대 검사장치.
KR1020210009188A 2021-01-22 2021-01-22 당구대 검사장치 KR10243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88A KR102430110B1 (ko) 2021-01-22 2021-01-22 당구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88A KR102430110B1 (ko) 2021-01-22 2021-01-22 당구대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354A true KR20220106354A (ko) 2022-07-29
KR102430110B1 KR102430110B1 (ko) 2022-08-10

Family

ID=8260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188A KR102430110B1 (ko) 2021-01-22 2021-01-22 당구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7983A (zh) * 2023-08-09 2023-09-05 陕西建一建设有限公司 一种混凝土桥梁沉降检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626B1 (ko) * 1997-11-27 2000-04-01 양승훈 역학 실험세트
US6547680B1 (en) * 2001-06-01 2003-04-15 Tom A. Marchese, Jr. Greenspeed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CN101446513A (zh) * 2008-12-25 2009-06-03 北京星伟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溜球器
KR101747663B1 (ko) 2016-12-26 2017-06-22 조규호 당구대의 공구름 및 반사각 테스트 기구
KR20180008364A (ko) * 2017-12-21 2018-01-24 이가현 마찰력, 이동궤적, 가속도 실험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626B1 (ko) * 1997-11-27 2000-04-01 양승훈 역학 실험세트
US6547680B1 (en) * 2001-06-01 2003-04-15 Tom A. Marchese, Jr. Greenspeed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CN101446513A (zh) * 2008-12-25 2009-06-03 北京星伟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溜球器
KR101747663B1 (ko) 2016-12-26 2017-06-22 조규호 당구대의 공구름 및 반사각 테스트 기구
KR20180008364A (ko) * 2017-12-21 2018-01-24 이가현 마찰력, 이동궤적, 가속도 실험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7983A (zh) * 2023-08-09 2023-09-05 陕西建一建设有限公司 一种混凝土桥梁沉降检测装置
CN116697983B (zh) * 2023-08-09 2023-10-10 陕西建一建设有限公司 一种混凝土桥梁沉降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110B1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5663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green-speed
KR102430110B1 (ko) 당구대 검사장치
US6607448B2 (en) Elevated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US736938A (en) Game apparatus.
US2490288A (en) Projector for bowling balls
WO1982003274A1 (en) Measurement apparatus for tennis racket
US2110925A (en) Apparatus for practicing putting
US9861191B1 (en) Billiard table leveling device
US20200330844A1 (en) Kick training device to measure the strength and accuracy of a dominant and weak leg kick
US66121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friction
KR101747663B1 (ko) 당구대의 공구름 및 반사각 테스트 기구
US2503393A (en) Adjustable gravity ball projector
US2000123A (en) Game and game apparatus
US1071430A (en) Apparatus for testing the hardness of metals.
US2473087A (en) Bowling game ball projector
CN111442914B (zh) 一种台球杆性能检测方法及检测系统
KR101440216B1 (ko) 레이저 포인터를 갖춘 골프 퍼팅 연습기
KR20090024436A (ko) 중공형 부품의 내경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US2528250A (en) Marble runway game
KR20210001339A (ko) 로봇-인간 동적 충돌 안정성 평가 시험장치
JP5731103B2 (ja) 遊技球転動ステージ及び遊技機
US5431398A (en) Ball game device
JP2005091089A (ja) 耐スカッフ性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US3193289A (en) Pin spotter and pins game device
KR20180075462A (ko) 당구큐 팁에서의 타격충격성능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