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718A - Ai-based ersonalized prediction service that links physical and patent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i-based ersonalized prediction service that links physical and patent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718A
KR20220105718A KR1020210008344A KR20210008344A KR20220105718A KR 20220105718 A KR20220105718 A KR 20220105718A KR 1020210008344 A KR1020210008344 A KR 1020210008344A KR 20210008344 A KR20210008344 A KR 20210008344A KR 20220105718 A KR20220105718 A KR 2022010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exercise
health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지원
채정호
김경덕
Original Assignee
(주)핏다이내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핏다이내믹스 filed Critical (주)핏다이내믹스
Priority to KR102021000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5718A/en
Publication of KR2022010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7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including: a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user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use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and user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actually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a user exerc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receive user exercise information obtained by measuring the user's exercise amount; an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collects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outside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the user's exercise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to predict a disease likely to occur to the user; and a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unit that presents a healthcare role model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dicted disease of the user and guides alleviation of the disease of the user by providing the eating and exercise habits of the role model.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the alleviation of possible diseases and improvement in user's physical functions.

Description

신체정보 및 특허정보를 연계한 AI기반 개인 맞춤예측서비스{AI-BASED ERSONALIZED PREDICTION SERVICE THAT LINKS PHYSICAL AND PATENT INFORMATION}AI-based personalized prediction service linking body information and patent information {AI-BASED ERSONALIZED PREDICTION SERVICE THAT LINKS PHYSICAL AND PAT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생활 운동량을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기능 및 발병 가능한 질환의 개선 관련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ystem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improvement of a user's physical function and possible diseases based on the user's daily exercise amount. It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최근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건강기능 보조식품을 섭취하거나 스포츠센터에서 운동을 한다. 스포츠센터를 찾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스포츠센터 관련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인공지능(AI:Artificial Intelligence), 빅데이터(Big Data), 클라우드 컴퓨팅(Cloud) 그리고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4차 산업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헬스케어 시장과 제품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Recently, as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health, they consume health functional supplements or exercise at a sports center. As more and more people visit sports centers, the sports center-related market is growing rapidl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big data, cloud computing,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are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technology is causing many changes in the healthcare market and products.

한편, 암을 비롯한 심장병이나 만성 폐 질환, 신장 질환, 당뇨병, 고혈압, 관절염 등은 한순간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에 걸쳐서 만성 퇴행성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만성질환이라고 한다. 만성질환은 생활습관이 잘못되어서 생기는 질병으로, 질병의 발생과 진행에 식습관, 운동습관, 휴양, 흡연, 음주 등의 생활 습관이 미치는 영향을 받는 질환군을 말한다. 이에, 최근에는 인공지능적 요소를 도입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는 헬스케어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heart disease, chronic lung disease, kidney disease, diabetes, high blood pressure, arthritis, etc., including cancer, are called chronic diseases because they do not occur instantly but are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Chronic diseases are diseases caused by improper lifestyle and refer to a group of diseases that are affected by lifestyle habits such as eating habits, exercise habits, recreation, smoking, and drinking on the onset and progression of diseases. Accordingly, recently, health care technologies capable of predicting and managing a user's health state by introduc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lement have been developed.

한국등록특허 제10-1927669호(2018.12.04)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계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알고리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상자의 생활습관을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대상자 평가 단계, 상기 대상자에게 상기 대상자 분류 단계 및 상기 대상자 평가 단계를 통해 결정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단계 및 상기 맞춤형 콘텐츠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제공하고 난 후 상기 대상자의 생활습관을 재평가하거나 국민건 강보험공단 서버로부터 수집된 신규 건강검진 데이터와 비교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81520호(2014.03.28)는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강관리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무선통신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AP)로 전송하되 통신장애로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가 통신장애 해소 시 재전송하기 위한 생체정보 측정 수단, 및 상기 생체정보 측정 수단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공중전화망(PSTN)을 통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서버시스템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AP)를 포함함으로써,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자의 생체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댁내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전달하게 하고, 서버에서는 이를 누적관리 및 분석처리하여 웹상에서 사용자들에게 개인별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공하게 하고, 아울러 의료기관이나 헬스클럽 등과의 연계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27669 (2018.12.04)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customized health care service algorithm linked to a mobile terminal, the subject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the subject's lifesty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the subject Content provision step of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determined through the target classification step and the target evaluation step, and after providing the customized contents for a preset period, reevaluate the target person's lifestyle or new data collect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erver It includes a monitoring step that compares it with the health checkup data.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81520 (2014.03.28) relates to a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n in-hous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measure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who is a health care target and uses an access point (AP)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 but when a transmission error occurs due to a communication failure, a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means for storing th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and retransmitting it when the communication failure is resolved, and a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means receiving the By including the access point (AP) for delivery to the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 server system through the telephone network (PST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a chronically ill patient requiring continuous management is periodically measured and delivered to the server through the home network, The server collects and analyzes it, provides it to users through individual homepages on the web, and also connects with medical institutions or health clubs, so that users' health can be managed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생활 운동량을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기능 및 발병 가능한 질환의 개선 관련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improvement of a user's physical function and disease that may occur based on the user's daily exercise amou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문진사항이나 운동량, 각종 생체 및 외부 환경 관련 센싱정보에 관해 분석하여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user's questionnaire, exercise amount, various living body and external environment-related sensing information.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건강 관리 롤모델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롤모델을 따라 식습관 및 운동습관을 개선하고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We aim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allows users to improve their eating and exercise habits and manage their health by following the role model by presenting the most suitable health care role model for us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롤모델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건강 코칭을 서비스하며 인공지능(AI)에 기반한 건강분석 및 상담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rovides customized health coaching services to users through role models and can provide health analysis and counseling servic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실시예들 중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와 실측된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건강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건강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여 획득된 사용자 운동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운동정보 관리부,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사용자 외부의 환경 유해정보를 수집하는 외부 환경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와 상기 사용자 운동정보 및 상기 환경 유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질환을 예측하는 정보 분석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발병 예측된 질환에 따라, 사용자에게 헬스케어 롤모델을 제시하고 상기 롤모델의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질환 개선을 가이드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receive user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use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and user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the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e A user exerc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user exercise information obtained by measuring the user's exercise amount, a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collects harmful environmental information outside the user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e user health information and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and the An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to predict a disease likely to develop in the user, and a health care role model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predicted disease It includes a health care service provider to guide the improvement of the user's disease by providing.

상기 사용자 운동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된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운동기구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횟수, 운동종목, 걸음수나 소모 칼로리 추정량을 포함하는 운동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운동정보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분석 처리부는 관련성 있는 사용자 건강정보와 사용자 운동정보 및 환경 유해정보를 연관시켜서 발병 가능성이 있는 질환을 선택하고 상기 질환의 발병 예측 지수를 하기 수학식에 의해 산출하고 상기 발병 예측 지수 산출시 상기 질환과 연관된 주요 정보에 대해 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할 수 있다.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is measured through a sensor worn on the user or mounted on the exercise equipment used by the user, one or more of the exercise amount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times of exercise of the user, the exercise item, the number of steps or an estimated amount of calories consumed It can be included as exercis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selects a disease likely to develop by associating relevant user health information with user exercise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calculates an onset prediction index of the disease by the following equation, and calculates the onset prediction index by the following equation It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weight for the m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ease.

[수학식][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P는 발병 예측 지수, U는 사용자 건강정보, U0는 사용자 건강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치, C는 사용자 운동정보, C0는 사용자 운동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치, E는 환경 유해정보, E0는 환경 유해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치, T는 노출시간을 나타낸다.Here, P is an outbreak prediction index, U is user health information, U0 is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user health information, C is user exercise information, C0 is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user exercise information, E is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and E0 is The preset reference value for environmental hazardous information, T, represents the exposure time.

상기 정보 분석 처리부는 국민건강통계 자료를 기초로 사용자 건강정보와 사용자 운동정보를 기계학습을 통해 모델링하여 질환 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질환 예측 모델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건강정보 및 상기 사용자 운동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질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generates a disease prediction model by modeling user health information and user exercise informa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based on national health statistical data, and generates the user health information and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based on the disease prediction model. By analyzing it,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disease of the corresponding user.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잠재적 건강위험에 대해 맞춤형 건강 코칭 및 인공지능(AI)에 기반한 건강 분석 상담을 서비스하는 롤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may provide a role model for providing customized health coach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health analysis counseling for the user's potential health risks.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는 스마트 미러나 홀로그램 가상공간에 상기 롤모델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롤모델을 통해 사용자 건강을 위한 운동 및 식단관리를 코칭할 수 있다.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may display the role model on a smart mirror or a hologram virtual space and coach exercise and diet management for user health through the role model.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질환 발병 위험률을 수준에 따라 색상으로 구분한 막대 이미지와 함께 백분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위험 수준에 있는 질환에 대해 식단을 추천하여 질환 개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er provides the user terminal with a percentile along with a color-coded bar imag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user's disease risk rate, and recommends a diet for the disease at the risk level to provide a disease improvement service. have.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질환별 롤모델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롤모델이 설정되면 상기 롤모델의 일상생활의 식단을 알림 메시지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롤모델의 식단을 따라 식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unit provides a role model for each disease to the user terminal, and when a role model is set by the user, the role model's daily life menu is provided as a notification message to induce the user to eat according to the role model's diet. can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는 사용자의 생활 운동량을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기능 및 발병 가능한 질환의 개선 관련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information and services related to improvement of a user's physical function and possible diseases based on the user's daily exercise amou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는 사용자의 문진사항이나 운동량, 각종 생체 및 외부 환경 관련 센싱정보에 관해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건강 관리 롤모델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롤모델을 따라 식습관 및 운동습관을 개선하고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user's questionnaire, exercise amount, and various biological and external environment-related sensing information and presents the most suitable health care role model for the user, allowing the user to become a role model. By following this, you can improve your eating and exercise habits and manage your heal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는 사이버 모델이나 스포츠센터의 트레이너를 모델로 하여 사용자의 잠재적 건강위험군에 맞춤형 건강 코칭 및 분석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ustomized health coaching and analysis counseling service to a potential health risk group of a user by using a cyber model or a trainer of a sports center as a mod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프로세서의 기능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사용자의 질환 발병 예측 분석 보고서를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발병 가능 질환별 롤모델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healthcare service in FIG. 1 .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functional elements of the processor in FIG. 2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s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user's disease onset prediction analysis report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of FIG. 1 .
FIG.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role model selection screen for each possible disease that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of FIG. 1 .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 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dentifiers (eg, a, b, c, etc.) in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디스크 저장 장치 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hard disk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웨어러블 기기(130), 사용자 단말(140) 및 스마트 미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ncludes a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 at least one sensor 120 , a wearable device 130 , a user terminal 140 , and a smart mirror. (150).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웨어러블 기기(130), 사용자 단말(140) 및 스마트 미러(15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corresponds to a computing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sensor 120 , the wearable device 130 , the user terminal 140 , and the smart mirror 150 through a network.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는 IoT을 기반으로 하여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는 각각이 특정 센싱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생체 관련 정보를 측정하거나 감지하여 그 측정값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120a), 사용자의 외부 환경 또는 유해 물질에 관해 센싱하여 유해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센서(120b) 및 사용자의 운동 관련 정보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생성하는 제3 센서(12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센서(120a)는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되거나 사용자가 머무르는 공간에 설정될 수 있다. 제2 센서(120b)는 하나 이상의 넓은 영역에 걸쳐 특정 단위 영역마다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센서(120c)는 사용자의 인체에 착용되거나 사용자가 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At least one senso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through a network based on IoT. In an embodiment, the at least one sensor 120 is at least one first sensor 120a that measures or senses the user's bio-related information within a specific sensing area to generate the measured value, and the user's external environment.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a second sensor 120b for generating harmful environment information by sensing harmful substances, and a third sensor 120c for generating a measurement value by measuring user's exercise-related information. Here, the first sensor 120a may be worn on the user's body or set in a space where the user stays. The second sensor 120b may be repeatedly disposed for each specific unit area over one or more wide areas. The third sensor 120c may be worn on the user's body or mounted on at least one exercise device that the user exercises.

예를 들어, 제1 센서(120a)는 혈압계, 혈당계, 사용자의 신장/체중/체질량 등을 측정하는 체성분 측정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센서(120b)는 해당 센싱 영역 내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 환경 호르몬 물질이나 발암 물질 등 유해 물질의 양을 센싱하는 유해 물질 센서 및 대기 중의 환경오염 기체, 미세/초미세먼지 등 의 미세 입자의 양을 센싱하는 대기 환경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3 센서(120c)는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외부 출력할 수 있고 러닝머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운동기구인 경우에는 사용자 식별을 통해 타 사용자의 운동량 측정과 구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안면 인식이나 지문 인식 등 사용자 생체 관련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별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ensor 120a may be implemented as a blood pressure monitor, a blood glucose meter, or a body composition meter for measuring the height/weight/body mass of the user. The second sensor 120b is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sensing area, a harmful substance sensor that senses the amount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environmental hormone substances or carcinogens, and fine particle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e air, fine/ultra-fine dust, etc. It may be implemented as an atmospheric environment sensor that senses the amount of particles. The third sensor 120c may output the user's exercise data to the outsid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treadmill or the like. Here, in the case of an exercise equipment us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it may be implemented to distinguish it from measurement of an exercise amount of other users through user identification. For example, user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facial recognition or fingerprint recognition may be used to identify a user and measure an exercise amount for each user.

웨어러블 기기(130)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서, 일 실시예에서, 액세서리 타입, 직물/의류 일체 타입, 신체부착 타입이나 생체이식 타입과 같은 사용자 착용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를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포터블 디바이스(portable device)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제어 하에 바이오 데이터를 측정할 수 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기기(130)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거나 특정 신체에 침투되어 수면시간, 맥박, 활동량, 고혈압 및 당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각각 에 관해 센싱하는 센서 모듈들이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30 is a computing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through a network. In one embodiment, the wearable device 130 is an accessory type, a fabric/clothing integrated type, a body attached type, or a bioimplantation type. It is implemented as a wearable device of a type to measure the user's bio data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implemented as a portable device to measure bio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here is also In an embodiment, the wearable device 13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ody or penetrate a specific body to generate bio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sleep time, pulse, activity amount,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and sensing for each. It can be implemented by including sensor modules.

사용자 단말(140)은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40 corresponds to a computing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through a network, and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desktop,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or a smart phon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웨어러블 기기(130) 및 사용자 단말(140)은 상호 독립적인 컴퓨팅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sensor 120 , the wearable device 130 , and the user terminal 14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in another embodiment, at least some of them are one computing device. It can be implemented integrally in the device.

스마트 미러(150)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하고, 평소에는 거울이지만 사용자가 접근을 하면 사용자에게 맞춤형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해주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The smart mirror 150 corresponds to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through a network, and is usually a mirror, but when the user approaches, it can be implemented as a display that provides customized healthcare information to the user. have.

도 2는 도 1에 있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healthcare service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10 may include a processor 210 , a memory 220 , a user input/output unit 230 ,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40 .

프로세서(210)는 도 4에 있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2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20), 사용자 입출력부(23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procedure shown in FIG. 4 , and manage the memory 220 read or written in this process, and between the volatile memory and the non-volatile memory in the memory 220 . Synchronization time can be scheduled.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20 , the user input/output unit 230 ,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40 to control the data flow between them. can be controlled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10 .

메모리(22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0055]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3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The memory 22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isk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overall data required for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 and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0055] The user input/output unit 23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a mouse, a trackball, a touch pad, a graphic tablet, a scanner, a touch screen, It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keyboard or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In an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3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access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네트워크 입출력부(24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웨어러블 기기(130) 및 사용자 단말(14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4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sensor 120 , the wearable device 130 , and the user terminal 140 , and, for example, performs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ay include an adapter for

도 3은 도 2에 있는 프로세서의 기능 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functional elements of the processor in FIG. 2 ;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10)는 사용자 건강정보 관리부(310), 사용자 운동정보 관리부(320), 외부 환경정보 관리부(330), 정보 분석 처리부(340) 및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processor 210 includes a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 a user exerc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 an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 an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 and a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unit 350 . may include.

사용자 건강정보 관리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실측된 사용자 건강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건강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사용자 정보와 측정도구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may receive and manage user health information input or measured from the user. The user health information may include user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and user stat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a measurement tool.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 작성한 회원 가입 정보(연령, 성별, 지역, 결혼, 출산, 지역 등), 문진자료, 섭취한 식품, 평소 식단, 병력, 가족력, 치료이력, 수술이력, 알러지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헬스케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회원으로 가입하면서 기입하는 정보일 수도 있고, 회원 가입 이후에 수시로 추가 및 보충한 정보일 수도 있다.User information is one of membership registration information (age, gender, region, marriage, childbirth, region, etc.) created by the user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medical questionnaire, food intake, usual diet, medical history, family history, treatment history, surgery history, and allergies. It may include the above information. Such us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the user fills in while signing up as a member to use the health care service, or may be information added and supplemented from time to time after membership registration.

이 밖에도, 사용자 정보는 건강보험공단에서 해당 사용자에 대해 보유하고 있는 의료 및 건강 관련 기록 자료일 수 있다. 또는 건강검진 결과 자료, 해당 사용자에 대한 각종 처방 및 투약 자료, 노인장기요양 자료 등도 사용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formation may be medical and health-related records hel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for the user. Alternatively,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health checkup result data, various prescription and medication data for the user, and long-term care data for the elderly.

또한 회원 가입 시 또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운영 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는 사용자에게 건강과 관련된 문진표를 제공하여 작성하게 한 후, 해당 문진표의 답변 내용을 사용자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or operating a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may provide and fill out a health-related questionnaire to the user, and then use the answers of the questionnaire as user information.

기타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작성 및 입력한 건강과 관련된 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에는 신장, 체중, 체지방 등 비교적 간단한 기본적인 정보에서부터, 지난 병력, 가족력, 알러지, 식성, 생활습관, 운동습관 등 보다 자세한 사항들까지 모두 포함될 수 있다.Other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health-related information personally created and entered by the user.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everything from relatively simple basic information such as height, weight, and body fat to more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past medical history, family history, allergies, diet, lifestyle, and exercise habits.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건강정보 관리부(310)는 사용자 별로 개인건강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건강정보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질병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에 반영할 수 있다. 사용자 건강정보 관리부(310)는 해당 사용자의 승인 하에 의료기관서버(미도시됨)와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갱신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may manage personal health records for each user. The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may receive specific disease data designated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140 and reflect it in the user's personal health record. The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may update the user's personal health record by interworking with a medical institution server (not shown) under the approval of the user.

사용자 건강정보 관리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또는 웨어러블 기기(13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may receive and manage user state information obtained by measuring the user's physical state through at least one sensor 120 or the wearable device 130 .

사용자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체지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심박수, 호흡량, 수면시간(취침시간 및 기상시간을 포함할 수 있음), 체온 등 사용자의 신체기능 및 만성질환 예측과 연관되어 측정 가능한 신체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 정보의 측정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ser status information may be biometric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user's blood sugar, blood pressure, cholesterol, and body fa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s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nd sleep time (which may include bedtime and wake-up time) , body temperature, etc. may include all measurable body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physical function and chronic disease prediction. Measurement of user status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manually.

센서(120)에 의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측정된 경우, 생체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메모리(220) 또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 내 사용자 건강정보 관리부(310)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외부 센서에 의해 측정되고 외부 서버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네트워크 입출력부(240)를 통해 해당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s measured by the sensor 120 ,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manager 310 in the memory 220 or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through a network. If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an external sensor and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is used,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10 may receive the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40 .

그리고 여기서 센서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내에 포함되는 센서가 아닌, 외부의 서버와 연결된 외부 센서일 수도 있다. 다만 외부의 서버와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가 연결 가능하고,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다면 외부의 서버와 연결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생체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And here, the sensor may be an external sensor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rather than a sensor included in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However, if the external server and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be connected and data can be shared, data measured by a sensor connected to the external server can also be utilized as user biometr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가 사용자 생체를 측정하면 사용자 생체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When the sensor measur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through the network.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건강정보 관리부(310)는 사용자가 운동하기 전후 또는 운동하는 과정에서 혹은 특정 시간 구간 동안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상태 정보를 생성 및 갱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may generate and update user status information by collect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before, during, or after the user exercises or during a specific time period.

사용자 운동정보 관리부(320)는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여 사용자 운동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 사용자 운동정보는 사용자에게 착용된 웨어러블 기기(130) 또는 사용자의 사용하는 운동기구에 위치한 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정보로서, 운동횟수, 운동종목, 걸음수나 소모 칼로리 추정량과 같은 운동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measures the exercise amount of the user to obtain and manage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is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arable device 130 worn by the user or the sensor 120 located in the exercise equipment used by the user, and includes exercise amount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times of exercise, the type of exercise, the number of steps or an estimate of consumed calories. can do.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운동정보 관리부(320)는 웨어러블 기기(130)로부터 사용자의 바이오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수면량과 활동량을 구분하고 활동량을 기초로 걸음수 및 소모 칼로리를 구하여 사용자의 생활 운동량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receives the user's bio-data from the wearable device 130, classifies the user's sleep amount and activity amount,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steps and calories consumed based on the amount of activity as the user's daily exercise amount. can manage

외부 환경정보 관리부(330)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사용자 외부의 환경 유해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한다.Th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collects and manages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outside the user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환경 유해정보 역시 센서(12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환경 유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와는 달리 사용자 외부 환경 요인에 대한 수치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해당 센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섭취하는 음식의 염도 및 미세먼지 등의 수치를 센싱하여 그 결과를 환경 유해정보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외부 환경정보 관리부(330)는 센서(120)를 통해 온습도,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오존, 포름알데히드나 비스페놀과 같은 발암물질이나 환경호르몬 물질, 라돈 등의 수치를 센싱하여 환경 유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Environmental hazardous information may also be measured by the sensor 120 . In this case, the sensor for measuring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numerical value of the user'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unlike the sensor for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he numerical value can be sensed and the result can be provided to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as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As another example, th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through the sensor 120, temperature and humidity, carbon monoxide (CO), carbon dioxide (CO2), ozone, carcinogens such as formaldehyde or bisphenol or environmental hormone substances, radon, etc. It is possible to obtain environmental hazard information by sensing.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경 유해정보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와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나 유무선통신망에 의해 연결 가능한 하나 이상의 센서(12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may be measured by one or more sensors 120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but connectable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환경 유해정보는 해당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환경적인 유해 요인을 나타내므로 사용자에게 장착된 기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는 센서를 넓은 지역에 걸쳐 고루 분포시킨 후 현재 사용자의 위치와 가장 인접한 센서(120) 또는 측정소의 측정치를 사용자 인근의 환경 유해정보로 활용할 수도 있다.Since the environmental hazard information indicates the environmental hazard factors of the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it can be measured by the device installed on the user. Alternatively, after the sensors are evenly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or 120 or measuring station closest to the current user's location may be used as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near the user.

따라서 외부 환경정보 관리부(330)에 저장되는 환경 유해정보는 사용자가 위치한 곳의 온습도 정보, 일교차 정보, 대기질 정보, 오염물질 정보, 유해물질 정보, 자외선 지수, 방사능 수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염도 수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전염병이나 식중독의 발생 위험 지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environmental hazard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may include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daily temperature information, air quality information, pollutant information, hazardous material information, UV index, and radioactivity values of the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user may include the salinity level of the food eaten by

그리고 외부 환경정보 관리부(330)는 상술한 환경 유해정보를 유해 정도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다. 즉, 외부 환경정보 관리부(330)는 환경 유해정보를 그 위험도나 심각도, 오염도 등에 따라 특정 수치 범위, 예컨대 0에서10 또는 -10에서 10, 0에서 100 범위 내의 환경 유해지수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may subdivide the above-described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harmfulness. That is, th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may display the environmental hazardous information as an environmental hazard index within a specific numerical range, for example, 0 to 10 or -10 to 10, 0 to 100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sk, severity, pollution, etc.

여기서 온습도 정보, 대기질 정보, 오염물질 정보, 유해물질 정보, 자외선 지수, 방사능 수치 등은 병합되어 종합적인 하나 이상의 수치로 정량화되거나 각각의 인자가 별개의 환경 유해정보 및 환경 유해지수로 산출될 수도있다.Here,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ir quality information, pollutant information, hazardous material information, UV index, radiation level, etc. may be merged and quantified as one or more comprehensive numerical values, or each factor may be calculated as separate environmental hazardous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hazardous index. have.

일 실시예에서, 외부 환경정보 관리부(330)는 제1 센서(120a)로부터 사용자가 섭취하는 음식의 염도 측정값을 수신하고 제2 센서(120b)로부터 미세먼지 측정값을 수신하여 환경 유해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환경 유해정보는 염도 및 미세먼지 측정값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로 기재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만성질환의 발병 요인에 해당하는 유해물질로 분류될 수 있는 그 밖의 다양한 물질 또는 대기환경 오염 측정대상으로 분류될 수 있는 그 밖의 다양한 기체나 입자들에 관한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receives the salinity measurement value of the food consumed by the user from the first sensor 120a and receives the fine dust measurement value from the second sensor 120b to provide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can be included In the above, the environmental hazardous informa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including salinity and fine dust measurement valu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other substances or atmospheric environment that can be classified as hazardous substances corresponding to the onset factors of chronic diseases. It may include measurement values for various other gases or particles that can be classified as contamination measurement targets.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운동정보 및 환경 유해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 기능 및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질환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운동정보를 특정 측면에서 사용자별 중요도와 외부 환경 즉 환경 유해정보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연관시킬 수있다. 예컨대, 대기 오염에 관한 환경 유해정보와 호흡량 또는 운동량이 연관되어 폐 질환 발병 지수 도출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온습도와 수면시간, 운동량 등이 심장빌환의 발병 지수 도출에 연관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may analyze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exercise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to predict the user's physical function and disease likely to occur. In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may relate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each user in a specific aspect and the relevanc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ie,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For example, it can be used to derive the lung disease incidence index in association with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about air pollution and the amount of respiration or exercise. Alternatively, temperature and humidity, sleep time, exercise amount, etc.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deriving the onset index of heart disease.

여기에서,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사용자 건강정보 및 사용자 운동정보를 사례학습을 통해 모델링하여 질환 예측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국민건강통계로부터 학습 데이터로써 질환별건강정보와 운동정보를 획득하고 학습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질환(예: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 등) 발병 가능성을 기계학습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기계학습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정보 및 운동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질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may generate a disease prediction model by modeling user health information and user exercise information through case learning. For example,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obtains health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for each disease as learning data from national health statistics, and calculates the possibility of the user's disease (eg,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obesity, etc.) on the basis of the learning data. You can learn through learning.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may analyze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exercise information based on the machine learning result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the user's disease onset.

일 실시예에서,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사용자 운동정보에 있는 걸음수를 기준 걸음수(예를 들어, 5000) 또는 특정 시간 구간 동안(예를 들어, 최근 3개월 간)의 사용자 평균 걸음수와 비교 분석하여 비교 값의 차이를 기초로 사용자 체력의 상대적 크기를 나타내는 체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체력 데이터를 체력 등급에 해당하고 특정 범위의 자연수로 산출되는 등급상수로 표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determines the number of steps in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as the reference number of steps (eg, 5000) or the average number of user steps during a specific time period (eg, during the last 3 months). It is possible to generate physical fitness data indicating the relative size of the user's physical strength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arison valu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 Here,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may express the physical fitness data as a grade constant that corresponds to a fitness grade and is calculated as a natural number within a specific range.

일 실시예에서,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개인건강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질병 데이터를 검출하여 질병 데이터와 연관된 건강안전인자를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사용자 건강정보 관리부(310)에서 관리하는 해당 사용자와 연관된 개인건강기록을 독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질병 데이터의 유무를 검출하고, 특정 질병 데이터(예를 들어, [경증의 당뇨])가 검출되면 해당 질병 데이터와 연관된 건강안전인자(예를 들어, 당뇨)를 사용자 의존형 건강안전인자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질병 데이터와의 건강안전인자 간의 연관성은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고 변경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may analyze the personal health record to detect the user's disease data and generate a health safety factor related to the disease data as a user-dependent health safety factor. For example,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reads the personal health record associated with the user managed by the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10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ease data of the user, and specific disease data (eg, [mild] of diabetes]) is detected, a health safety factor (eg, diabetes) associated with the disease data may be generated as a user-dependent health safety factor. Her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isease data and the health and safety factors may be preset and changed by a designer or a user.

일 실시예에서,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사용자 건강정보와 사용자 운동정보 및 환경 유해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신체 기능 및 생활 습관(예: 식습관, 운동습관 등)과 관련된 질환에 대한 발병 위험률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활 습관 관련 질환은 고혈압,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위암, 대장암의 6대 만성질환이 포함될 수 있고, 환경 유해정보에 따라 환경에 영향을 받는 질환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is based on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the user's exercise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the user's body function and lifestyle (eg, eating habits, exercise habits, etc.) related to the disease risk rate can be calculated. Here, the lifestyle-related diseases may include six chronic diseases of hypertension, diabetes, obesity, hyperlipidemia, stomach cancer, and colorectal cancer,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diseases affected by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관련성 있는 사용자 건강정보와 사용자 운동정보 그리고 환경 유해정보를 연관시켜서 발병 가능성이 있는 질환의 선택 및 발병 예측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고혈압에 대한 발병 예측은, 나이나 체중 또는 가족력, 식습관, 흡연 여부, 혈압 등의 사용자 건강 정보와 사용자의 운동량 등의 사용자 운동 정보를 연관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may calculate a selection and onset prediction index of a disease that is likely to develop by associating relevant user health information, user exercise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rediction of the onset of hypertension may be calculated by correlating user health information, such as age, weight, family history, eating habits, smoking status, blood pressure, and the like, with user exercise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exercise of the user.

먼저 발병 예측 지수(P)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First, the onset prediction index (P) may be calculated by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P는 발병 예측 지수, U는 사용자 건강 정보, U0는 사용자 건강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치, C는 사용자 운동 정보, C0는 사용자 운동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치, E는 환경 유해정보, E0는 환경 유해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치, 그리고 T는 노출시간(hour)이다.P is an outbreak prediction index, U is user health information, U0 is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user health information, C is user exercise information, C0 is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user exercise information, E is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E0 is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information, and T is the exposure time (hour).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사용자의 질병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중요성을 가지는 사용자 건강 정보를 고정적으로 주요인자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예전 병력이나 가족력과 연관된 사용자 건강 정보 또는 환경 유해정보가 주요인자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대장암에 대한 이전 병력이나 가족력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음식을 섭취하는 총 칼로리 수치 또는 운동량 등이 주요인자로 설정될 수 있다. 주요인자로 설정된 정보에 대해서는 질환 발병 예측 지수를 산출할 때 가중치(w)를 두어 계산할 수도 있다. 만일 해당 사용자에 있어서 운동량에 있는 걸음수가 주요인자로 설정된 경우, 걸음수에 가중치 w를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may set user health information having relatively high importance to the user as a fixed main factor by reflecting the user's disease information. For example, user health information or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related to a previous medical history or family history may be set as a major factor. That is, in the case of a user with a previous or family history of colorectal cancer, the total calorie intake or amount of exercise may be set as a major factor. Information set as the main factor may be calculated by adding a weight (w) when calculating the disease onset prediction index. If the number of steps in the exercise amount for the user is set as the main factor, it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steps by the weight w. This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정보 분석 처리부(340)는 질환의 발병 예측 지수를 발병 가능성의 증가에 따라 제1 단계에서 제10 단계로 세분화하여 발병 예측 단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발병 예측 지수 1~10은 1단계, 11~20은 2단계, 21~30은 3단계 등,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발병 예측 지수의 산출값에 따라 발병 예측 단계 정보를 발병 예측의 대상이 되는 질환의 병명 및/또는 해당 질환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may calculate the onset prediction stage by subdividing the disease onset prediction index from the first stage to the tenth stage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he onset probability. That is, the onset prediction index of 1 to 10 is the first stage, 11 to 20 is the second stage, 21 to 30 is the third stage, etc., and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generates the onset prediction st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value of the onset prediction index. It can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disease name and/or information on the disease to be predicted.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예측된 질환 및 해당 질환의 발병 예측 지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권장하는 건강 개선을 위한 헬스케어 정보를 도출하여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사용자의 발병 가능한 질환을 기초로 사용자의 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습관 개선 가이드 정보는 사용자로 하여금 롤모델을 설정하도록 하고 설정된 롤모델의 생활습관을 알려주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사용자의 발병 예측된 질환에 따라 사용자에게 헬스케어 롤모델을 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롤모델이 설정되면 롤모델의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롤모델을 따라 식사하고 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350 derives and provides healthcare information for health improvement recommend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dicted disease and the predictive index of the disease. In an embodiment,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350 may provide guide information for improving a habit of a user based on a possible disease of the user. Here, the user habit improvement guide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allows the user to set a role model and informs the lifestyle of the set role model. For example,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350 presents a healthcare role model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onset predicted disease, and when the role model is set by the user, provides the role model's eating habits and exercise habits so that the user eats according to the role model and may be encouraged to exercise.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롤모델을 통해 사용자의 발병 가능한 질환별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롤모델(Roll model)은 사용자 맞춤형 셀프 케어를 위한 표본을 의미하며, 사이버 모델 또는 스포츠센터의 트레이너 등을 모델로 정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건강한 이미지의 유명인이나 사용자의 셀프 케어를 감성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인물을 모델로 할 수 있다.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unit 350 may provide a customized health care service for each disease that can be developed by the user through a role model. Here, the role model refers to a sample for user-customized self-care, and a cyber model or a trainer at a sports center can be set as a mod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lf-care of a celebrity or user with a healthy image is stimulated You can model various people who can do it.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롤모델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건강 코칭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스마트 미러(150)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운동을 제공하고 운동습관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스마트 미러(150)에 롤모델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스마트 미러(150)에 디스플레이된 롤모델을 따라 운동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미러(Smart Mirror)는 스포츠센터의 유리 거울, 가정의 욕실 거울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350 may provide a user-customized health coaching service through a role model. In an embodiment,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350 may provide a user-customized exercise through the smart mirror 150 and induce the user to manage health through exercise habits. Here,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350 displays the role model on the smart mirror 150 so that the user can exercise along the role model displayed on the smart mirror 150 . For example, the smart mirror may be implemented using a glass mirror of a sports center, a bathroom mirror of a home, or the like.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클라우드(Clould)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스포츠센터나 가정에 있는 거울을 통해 맞춤형 건강 코칭 롤모델을 제공받을 수 있게 서비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스마트 미러(150)에 사용자 접근이 감지되면 스마트 미러(150)에 롤모델을 디스플레이하고 롤모델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웨어러블기기(130) 및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통해 인증을 거친 사용자에게 맞춤형 운동이나 식단관리를 포함한 건강 코칭을 음성 및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하여 롤모델을 통해 사용자와 인터랙티브(interactive)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건강상담을 서비스할 수 있다.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350 may provide a service so that a user can receive a customized health coaching role model through a mirror in a sports center or home based on the cloud. In one embodiment,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350 displays a role model on the smart mirror 150 when a user approach is detected on the smart mirror 150, and at least one sensor 120 and a wearable device 130 through the role model. ) an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40 may provide voice and video health coaching including customized exercise or diet management to users who have been authenticated. Here,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er 350 may provide a customized health consultation service to the user by interactively performing with the user through a role mode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사이버 공간 상에 롤모델의 맞춤형 건강코칭 및 건강상담 활동을 서비스할 수도 있다.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350 may provide customized health coaching and health counseling activities for role models in cyberspace using holograms.

또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질환별 맞춤형 식단을 추천하고 식습관을 통해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er 350 may recommend a customized diet for each disease and manage health through eating habits.

예컨대,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비만 예방을 위해 추천 칼로리(1,600kcal)에 맞춤 권장 식단을 아래[표 1]의 예시와 같은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er 350 may provide a recommended diet tailored to the recommended calorie (1,600 kcal) for obesity prevention as shown in the example of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정보 분석 처리부(340)에 의해 의심 또는 우려되는 질병이 선택된 경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해당 질병에 상응하는 추천 식품, 해당 추천 식품의 구입처, 그리고 해당 추천 식품을 이용한 추천 식단 또는 해당 질병에 대해 추천하는 의료센터 등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추가 정보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정보를 도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병 예측 지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경우, 행동 지침이나 추천 식단, 추천 식품, 운동방법 등의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하고, 발병 예측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온 경우에는 의료센터나 병원 진료 예약 페이지, 구입 가능한 약품과 구입처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발병 예측 지수의 크기에 따라 차등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발병 예측 지수의 대소에 대해서는 미리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당뇨병 발병 위험 수준에 있는 경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사용자의 혈당 조절을 위한 권장운동정보, 권장식사정보 및 권장활동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혈당 수치가 미리 설정된 수치 미만의 저혈당 수준에 있는 경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350)는 사용자 단말(140)의 위치를 기반으로 인근에 위치한 의료기관에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When a disease suspected or concerned is select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40,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350 provides a recommended food corresponding to the disease, a place to purchase the recommended food, and a recommended diet or corresponding recommended food using the recommended food. It is possible to derive user-customized healthcare information, which is additional information optimized for users, such as a medical center recommended for a disease, and provide it to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onset prediction index is relatively low, customized healthcare information such as behavioral guidelines, recommended diet, recommended food, and exercise method is provided. , it is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vailable drugs and places of purchase, and differenti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break prediction index. A reference value may be set in advance for the magnitude of the incidence prediction index.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at a risk level for developing diabetes,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er 350 transmits health car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recommended exercise information, recommended meal information, and recommended activity information for the user's blood sugar control to the user terminal ( 140) can be provided. For example, when the user's blood glucose level is at a hypoglycemic level less than a preset level,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350 provides a service for requesting emergency rescue to a nearby medical institu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40 . may b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s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의 생체를 측정하여 획득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사용자 건강정보로 수신한다(단계 S410).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회원 가입 정보(연령, 성별, 신장, 체중 등), 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정보, 사용자가 기재한 사용자 건강 관련 문진 및 설문 정보(음주, 흡연, 생활습관, 질환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 또는 웨어러블 기기(130) 등의 측정도구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측정되는 사용자 생체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 정보에는 인바디(BMI) 정보, 혈압, 혈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센서(120) 또는 웨어러블 기기(130)와 유무선을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상태 정보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밖에 있는 외부의 센서 등에 의해 측정되고, 해당 센서에 연결된 외부 서버에 사용자 상태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해당 외부 서버와 연결을 시도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First,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use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140 and user status information obtained by measuring the user's biometric as user health information (step S410 ). ). The user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input by a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140 . User information includes user membership registration information (age, gender, height, weight, etc.), health checkup information from the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user health questionnaire and questionnaire information (drinking, smoking, lifestyle, disease, etc.) can The user state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user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automatically or manually through at least one sensor 120 or a measurement tool such as the wearable device 130 . The user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In-Body (BMI) information, blood pressure, blood sugar, and the like.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120 or the wearable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through wired or wireless. The user state information is measured by an external sensor outside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nd when the user state information is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connected to the sensor,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server.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user status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by attempting a connection.

그리고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여 획득된 사용자 운동정보를 수신한다(단계S420). 사용자 운동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운동기구에 설치된 IoT 기반의 각종 센서(120) 또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130)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시 측정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운동 정보에는 운동횟수, 운동종목, 운동량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운동량은 걸음수 칼로리 소모 측정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And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receives the user's exercise information obtained by measuring the user's exercise amount (step S420).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measured during the user's exercise through various IoT-based sensors 120 installed in the exercise equipment used by the user or the user's wearable device 130 .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exercise times, exercise items, exercise quantity, and the like, and the exercise quantity may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steps and calorie consumption.

그리고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사용자 외부의 환경 유해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단계 S430). 여기서 사용자 외부의 환경 유해정보는 센서(120) 또는 사용자 웨어러블 기기(13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환경 유해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곳의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여야 유의미하므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40)의 위치 기반 서비스에 근거하여 측정 위치를 실시간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10 may collect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outside the user according to the current user's location (step S430). Here, the harmful environmental information outside the user may be measured by the sensor 120 or the user wearable device 130 . Since the harmful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only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10 may reset the measurement location in real time based on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the user terminal 140 . .

환경 유해정보 역시, 센서(120) 또는 사용자 웨어러블 기기(130)에 의해 측정된 후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센서(120) 또는 웨어러블 기기(130)와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may also be measured by the sensor 120 or the user wearable device 13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 To this end,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10 may use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sensor 120 or the wearable device 130 .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사용자 건강정보와 사용자 운동 정보 및 환경 유해정보를 분석한다(단계S440). 그리고 분석 결과, 사용자에게 발병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질환과 해당 질환의 발병 위험률을 산출한다(단계 S450).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analyzes user health information, user exercise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step S440).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disease determined to be likely to develop in the user and a risk rate of the disease are calculated (step S450).

특정 질환이 사용자에게 발병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자의 병력, 가족력, 식습관, 생활습관 등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기입한 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혈압, 맥박, 호흡량 등의 사용자 생체 정보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 그리고 환경적 요인으로서 환경 유해정보를 이용하여,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사용자에게 발병 가능한 질환을 도출해낼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질환에 걸릴 위험성이 얼마나 되는지를 수치화된 자료, 즉 발병 위험률을 백분위(%)로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140)로 제공한다.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특정 질환의 발병에 있어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용자의 기본 체질이나 병력, 특성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현재 생체 정보, 그리고 해당 질환의 발병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이를 수치화하여 발병 위험률을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앞서 설명한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basis for determining that a specific disease is likely to develop in the user,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140 such as the user's medical history, family history, eating habits, and lifestyle, and the user's current blood pressure, pulse rate, respiration rate, etc.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exercise of the information user and the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as an environmental factor,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10 may derive a disease that may occur in the user. In addition, quantified data, that is, the incidence risk rate is calculated as a percentile (%) of how high the risk of contracting the disease is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40 .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user's basic constitution, medical history, and characteristics that may affect the onset of a specific disease, the user's current biometric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onset of the disease Considering these factor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isk of disease by quantifying it. In particular, in this process, Equation 1 or Equation 2 described above may be used.

그리고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발병 위험률의 산출 결과에 따라, 발병 위험률이 있는 질환에 대해 맞춤형 헬스 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롤모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S460). 롤모델 서비스는, 사용자의 잠재적 건강위험에 대한 경고와 함께, 맞춤형 건강 코칭 및 건강 상담을 서비스하는 롤모델을 거울이나 홀로그램 사이버공간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맞춤형 건강 코칭에는 운동, 식단관리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 상담에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롤모델과 사용자 간의 인터랙티브를 수행하여 분석 상담을 서비스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10 may perform a role model service that provides customized health care information for a disease having an onset risk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onset risk rate (S460). The role model service means to provide a role model that provides customized health coaching and health counseling service through a mirror or hologram cyberspace, along with a warning about the user's potential health risks. Customized health coaching may include information on exercise, diet management, and the like. For health counsel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teractive counseling between role models and users can be performed to provide analytical counseling services.

도 5는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사용자의 질환 발병 예측 분석 보고서를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user's disease onset prediction analysis report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of FIG. 1 .

도 5에서, 사용자 단말(140)은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에이전트를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와 연동하여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로부터 질환의 발병 예측을 분석한 분석 보고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분석 보고서에는 사용자의 질환 발병 위험률을 막대 이미지와 함께 백분위(%)로 환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막대 이미지는 질환 발병률의 위험 수준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질환 발병률을 정상, 주의, 경고, 위험의 네가지 수준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수준에 따라 파랑,노랑, 주황, 적색 등으로 색상을 구분하여 막대 이미지 및 위험률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분석 보고서에는 또한, 위험 수준에 있는 질환에 대해 식단을 추천하여 질환 개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FIG. 5 , the user terminal 140 interworks with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through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gent installed by the user to analyze the onset prediction of the disease from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 can be provided. In the user's analysis report, the user's disease risk rate may be converted into a percentile (%) and displayed together with a bar image. In this case, the bar image may be displayed with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risk level of the disease incidence. For example, the disease incidence rate may be divided into four levels of normal, caution, warning, and risk, and a bar image and a risk rate value may be displayed by classifying the color into blue, yellow, orange, and red according to each level. The user's analysis report may also provide a disease improvement service by recommending a diet for a disease at a risk level.

도 6은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발병 가능 질환별 롤모델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FIG.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role model selection screen for each possible disease that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of FIG. 1 .

도 6에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110)는 질환별 롤모델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해당 질환에 대한 롤모델을 설정하면 사용자 단말(140)에 해당 롤모델의 식단을 알려주어 사용자가 롤모델의 식단을 매일 따라 할 수있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설정한 롤모델이 아침 7시에서 9시 사이에 나또 두부 샐러드와 우유로 저염식 식단의 식사를 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저염식 식사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FIG. 6 ,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10 may provide a role model for each disease, and when the user sets a role model for the disease, the user terminal 140 informs the user of the role model's diet, so that the user can choose the role model's diet. Make sure you follow it every da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to eat a low-sodium meal by notifying the user that the role model set by the user ate a low-sodium meal with natto tofu salad and milk between 7 and 9 a.m. in the morning.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
120 : 적어도 하나의 센서 130 : 웨어러블 기기
140 : 사용자 단말 150 : 스마트 미러
210 : 프로세서
310 : 사용자 건강정보 관리부 320 : 사용자 운동정보 관리부
330 : 외부 환경정보 관리부 140 : 정보 분석 처리부
350 :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
100: AI-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110: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120: at least one sensor 130: wearable device
140: user terminal 150: smart mirror
210: processor
310: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user exerc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40: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350: health care service provider

Claims (7)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와 실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건강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건강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된 또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운동기구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여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횟수, 운동종목, 걸음수나 소모 칼로리 추정량을 포함하는 운동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운동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운동정보 관리부;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사용자 외부의 환경 유해정보를 수집하는 외부 환경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 건강정보와 상기 사용자 운동정보 및 상기 환경 유해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질환을 예측하는 정보 분석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발병 예측된 질환에 따라, 사용자에게 헬스케어 롤모델을 제시하고 상기 롤모델의 식습관과 운동 습관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질환 개선을 가이드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되,상기 사용자 운동정보 관리부는 상기 운동기구를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할 경우 상기 생체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여 사용자별 운동량을 구분하여 측정하고,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는 스마트 미러나 홀로그램 가상공간에 상기 롤모델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롤모델을 통해 사용자 건강을 위한 운동 및 식단관리를 포함한 건강 코칭을 음성 및 영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a use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user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us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user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measured biometric information;
One or more of the exercise amount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times of exercise of the user, the exercise item, the number of steps or an estimated calorie consumption obtained by measuring the exercise quantity of the user through a sensor worn by the user or mounted on the exercise equipment used by the user a user exerc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receiving user exercise information including;
an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collects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outside the user according to the current user's location;
an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that analyzes the user health information,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to predict a disease that is likely to develop in the user; and
According to the disease predicted onset of the user, a health care role model is presented to the user, and a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unit for guiding the improvement of the user's disease by providing the role model's eating habits and exercise habits, wherein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When a plurality of users use the exercise equipment, the user is identified through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the amount of exercise for each user is divided and measured, and the healthcare service provider displays the role model in a smart mirror or a hologram virtual spac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voice and video health coaching including exercise and diet management for user heal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처리부는
관련성 있는 사용자 건강정보와 사용자 운동정보 및 환경 유해정보를 연관시켜서 발병 가능성이 있는 질환을 선택하고 상기 질환의 발병 예측 지수를 하기 수학식에 의해 산출하고 상기 발병 예측 지수 산출시 상기 질환과 연관된 주요 정보에 대해 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수학식]
Figure pat00005

여기서, P는 발병 예측 지수, U는 사용자 건강정보, U0는 사용자 건강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치, C는 사용자 운동정보, C0는 사용자 운동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치, E는 환경 유해정보, E0는 환경 유해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치, T는 노출시간을 나타낸다.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By associating relevant user health information with user exercise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a disease with a potential for onset is selected, the onset prediction index of the disease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and m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ease when the onset prediction index is calculat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by multiplying the weight.
[Equation]
Figure pat00005

Here, P is an outbreak prediction index, U is user health information, U0 is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user health information, C is user exercise information, C0 is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user exercise information, E is environmental harmful information, and E0 is The preset reference value for environmental hazardous information, T, represents the exposure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처리부는
국민건강통계 자료를 기초로 사용자 건강정보와 사용자 운동정보를 기계학습을 통해 모델링하여 질환 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질환 예측 모델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건강정보 및 상기 사용자 운동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질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analysis processing unit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statistical data, the user health information and user exercise information are modeled through machine learning to generate a disease prediction model, and based on the disease prediction model, the user health information and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are analyzed and the user'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edicts the possibility of disease on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잠재적 건강위험에 대해 맞춤형 건강 코칭 및 인공지능(AI)에 기반한 건강 분석 상담을 서비스 하는 롤모델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uni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role model for providing customized health coaching and AI-based health analysis counseling for the user's potential health risk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는
사이버 모델 또는 스포츠센터의 트레이너, 건강한 이미지의 유명인, 사용자의 셀프 케어를 감성 자극할 수 있는인물을 롤모델로 제시하고, 상기 롤모델을 통해 사용자와 인터랙티브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건강상담을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unit
A cyber model or a sports center trainer, a celebrity with a healthy image, or a person who can emotionally stimulate the user's self-care as a role model, and interactively with the user through the role model to provide a customized health consultation service to the user AI-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질환 발병 위험률을 수준에 따라 색상으로 구분한 막대 이미지와 함께 백분위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위험 수준에 있는 질환에 대해 식단을 추천하여 질환 개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uni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disease risk rat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s a percentile along with a color-coded bar image according to the level, and a diet is recommended for the disease at the risk level to provide a disease improvement service A device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질환별 롤모델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롤모델이 설정되면 상기 롤모델의 일상생활의 식단을 알림 메시지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롤모델의 식단을 따라 식사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health care service providing unit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in that by providing a role model for each disease to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role model is set by the user, the role model's daily life menu is provided as a notification message to induce the user to eat according to the role model's diet based healthcare service provider.
KR1020210008344A 2021-01-20 2021-01-20 Ai-based ersonalized prediction service that links physical and patent information KR202201057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44A KR20220105718A (en) 2021-01-20 2021-01-20 Ai-based ersonalized prediction service that links physical and paten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44A KR20220105718A (en) 2021-01-20 2021-01-20 Ai-based ersonalized prediction service that links physical and patent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18A true KR20220105718A (en) 2022-07-28

Family

ID=8260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344A KR20220105718A (en) 2021-01-20 2021-01-20 Ai-based ersonalized prediction service that links physical and patent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571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58B1 (en) 2022-12-26 2023-10-19 (주)바이오컴 Method for Providing Diet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Food Intolerance Test and Service Providing Server Used There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58B1 (en) 2022-12-26 2023-10-19 (주)바이오컴 Method for Providing Diet Recommendation Service Using Food Intolerance Test and Service Providing Server Used There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766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health care service
Saint-Maurice et al. Association of daily step count and step intensity with mortality among US adults
KR102052558B1 (en) User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based on disease prediction and method thereof
Boerma et al. Monitoring intervention coverage in the context of universal health coverage
US20210202104A1 (en) Identifying and measuring patient overdose risk
US2020030304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pharmacological tracking and representation of health attributes using digital twin
Wagstaff et al. Analyzing health equity using household survey data: a guide to techniques and their implementation
Simon et al. Assessment of children'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United States with a multidimensional index
KR101723382B1 (en) Smart healthca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of sustaainable healthcare
CN108024720A (en) Metabolizing parameters are determined using wearable device
Armstrong et al. Prescription of tamoxifen for breast cancer prevention by primary care physicians
WO2014160549A2 (en) Method to increase efficiency, coverage, and quality of direct primary care
KR102297367B1 (en) Server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gathering and online checkup
US20170345332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facilitating operation of a health maintenance device
KR102080534B1 (en) Customized health care service system
King et al. The geography of antidepressant, antipsychotic, and stimulant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Banerjee et al. Validating a commercial device for continuous activity measurement in the older adult population for dementia management
KR20200060865A (en) User cumtomize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3045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obesity management service
KR20180092905A (en) A System for Managing a Personal Nutrition Based on a Health Analysis Using a Application and a Method for the Same
Martini et al. Data-driven continuous assessment of frailty in older people
Kivimäki et al. Estimating dementia risk using Multifactorial prediction models
KR102342770B1 (en) A health management counseling system using the distribution of predicted disease values
KR20220105718A (en) Ai-based ersonalized prediction service that links physical and patent information
Opichka et al. Accuracy of self‐reported heights and weights in a predominately low‐income, diverse population living in the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