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404A -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404A
KR20220103404A KR1020210005965A KR20210005965A KR20220103404A KR 20220103404 A KR20220103404 A KR 20220103404A KR 1020210005965 A KR1020210005965 A KR 1020210005965A KR 20210005965 A KR20210005965 A KR 20210005965A KR 20220103404 A KR20220103404 A KR 20220103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guide
case
air purifi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이진호
(주)사람과사람들
아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호, (주)사람과사람들, 아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진호
Priority to KR1020210005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3404A/ko
Publication of KR2022010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작용이 가능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되는 팬과, 팬을 회전 구동하는 팬 모터로 이루어지는 송풍 모듈과, 상기 송풍 모듈이 가동됨으로써 유동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게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로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지는 살균 모듈과, 상기 공기의 유로에 설치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공기의 유로 상에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게 구성됨으로써, 급속도로 공기를 흡입하고 분사하는 공기청정기 내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충분한 시간을 두고 살균될 수 있어야 한다는 모순된 요청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고, 또한 살균 공기청정의 효과가 신속하게 실내공간의 광범위한 공간에 걸쳐 수행될 수 있는 살균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Wall top sterilizing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걸이용이며 살균 기능이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가 심해지면서 관공서와 각 사업소뿐만 아니라 각 가정에도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는 것이 추세이다.
그런데 2020년 초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공기청정기가 실내 공기 정화를 넘어서서 코로나 바이러스를 실내에 확산시키는 요인 중 하나가 되고 있어, 공기청정기에는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를 살균시키는 살균 필터가 구비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필터에 의존하는 살균 방식에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로는 필터에만 의존하는 경우 일부 바이러스는 완전히 박멸시키기 힘들 수 있다. 일부 바이러스는 그 크기가 초미세먼지보다 더 작을 수 있어 필터를 통과할 수 있으며, 필터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살균시키므로 모든 종류의 바이러스에 적용 가능한 살균 필터가 제작되기 힘들기 때문이다.
둘째로는 종래의 공기청정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문제로서, 설사 살균이 철저하게 일어날 수 있다 하더라도, 공기청정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가 정화시킨 공기가 실내 공간 전체로 순환되기 전에 다시 공기청정기로 흡입됨으로써 공기청정기가 정화시키는 구역이 협소하게 되며, 따라서 공기청정기로 실내 전체의 공기가 정화되는 속도가 느릴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46603호(공고일자: 2014. 01. 03)
이에 본 발명은 급속도로 공기를 흡입하고 분사하는 공기청정기 내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충분한 시간을 두고 살균될 수 있어야 한다는 모순된 요청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고, 또한 살균 공기청정의 효과가 신속하게 실내공간의 광범위한 공간에 걸쳐 수행될 수 있는 살균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되는 팬과, 팬을 회전 구동하는 팬 모터로 이루어지는 송풍 모듈과, 상기 송풍 모듈이 가동됨으로써 유동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게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로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지는 살균 모듈과, 상기 공기의 유로에 설치되는 필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공기의 유로 상에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공기의 유로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서 공기의 와류 소용돌이가 형성되는 와류 섹터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류 섹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의 소정 부위가 평판 형태로 연장되는 제1연장판과, 상기 소정 부위로부터 일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부위가 평판 형태로 연장되는 제2연장판이 서로 만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코너 공간이다.
이때 상기 팬과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자외선 램프는 바람직하게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와류 섹터에 설치되는 자외선 램프는 서로 마주보는 장변 중 한 변은 상기 제1연장판에 접촉되고, 상기 장변 중 나머지 한 변은 제2연장판에 접촉되며, 상기 자외선 램프가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향은 상기 팬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는 각각 공기의 유입 방향과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유동 안내 패널이 마련되되, 상기 유입구에는 바람직하게는 유입구에서 이격된 지점에 상기 자외선 램프가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에 대해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자외선 램프를 고정시키는 램프 고정 암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에 마련되는 유동 안내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유동 안내 패널에 밀착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유선형 형태의 곡면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배출구에 마련되는 유동 안내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배출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유동 안내 패널과 배출구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유동 안내 패널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유동 안내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 유동 안내 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 유동 안내 패널의 양 면에 각각 상기 유선형 형태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는 급속도로 공기를 흡입하고 분사하는 공기청정기 내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충분한 시간을 두고 살균될 수 있어야 한다는 모순된 요청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고, 또한 살균 공기청정의 효과가 신속하게 실내공간의 광범위한 공간에 걸쳐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공기청정기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공기청정기의 개념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다른 각도에서 표현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공기청정기가 다른 각도에서 표현된 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측면 투시도,
도 6과 도 7은 도 5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작용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공기청정기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송풍 모듈(40)과, 살균 모듈(30)과, 필터 모듈(20)로 구성된다.
케이스(10)는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실내 공간의 천정과 벽의 모서리를 따라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어 통상의 벽걸이 에어컨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에는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와 여과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된다.
케이스(10)는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측면에는 후술하게 될 송풍 모듈(40)이 설치되고, 나머지 측면에는 측면 커버(14)가 설치된다.
송풍 모듈(40)은 케이스(10)에 내장되는 팬(42)과, 팬(42)을 회전 구동하는 팬 모터(41)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팬 모터(41)가 한 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나, 팬 모터(41)는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므로 팬 모터(41)의 설치 위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살균 모듈(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31,32,33)로 구성된다. 특히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31,32,33)는 송풍 모듈(40)이 가동됨으로써 유동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게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로에 설치되되,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31,32,33)가 상기 공기의 유로 어느 한 지점에 함께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의 유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자외선은 파장이 가시광선 보다 큰 영역인 대략 400nm부터 10nm까지의 전자기파를 의미한다. 자외선은 에너지에 따라 크게 3가지 종류로 나뉘며, 가장 약한 400nm~315nm까지인 UV-A와 중간 세기인 315nm~280nm까지인 UV-B 그리고 가장 강한 자외선인 280nm~10nm까지인 UV-C로 구분된다.
UV-A는 태양의 햇살을 통해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생활 자외선으로 멜라닌 색소를 만들어내는 세포를 자극해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검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 영역의 자외선은 몇몇 동식물들의 짝짓기 또는 먹이활동 등에 이용되기도 한다.
UV-B는 비타민 D를 합성하는 데 필요한 자외선임과 동시에 UV-B가 피부에 과도하게 도달하게 되면 화상을 일으키는 주범이다. 하지만 UV-B는 대부분의 경우 대기층에 흡수되며 흡수되지 않은 나머지 마저도 유리를 투과하지 못해 걸러진다.
UV-C는 바로 자외선 살균기에 이용되는 자외선이다. UV-C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DNA를 파괴하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이런 강력함으로 사람에게는 염색체 변이를 일으키기도 하고 단세포 유기물을 죽이며 눈의 각막을 해치는 등 생명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외선이 DNA에 조사되면 DNA의 염기 중 티민의 분자구조가 집중적으로 파괴된다. 자외선을 흡수한 티민은 이웃한 티민이나 시토신과 눌러붙게 된다. 이와 같이 티민이 중합되면 DNA의 복제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생명체로서의 기능이 정지된다.
세균들마다 자외선에 대한 민감성이 차이가 나는 것은 DNA속에 포함된 티민의 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자외선은 세포막을 이루는 인지질과 단백질을 산화시켜 세균들의 생명활동이 연장되지 못하도록 하여 강력한 살균 작용을 발휘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경로를 따라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31,32,33)가 단계적으로 설치될 경우 어느 한 장소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바이러스도 다음 장소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파괴될 수 있다. 또한 단계적으로 설치되는 자외선 램프(31,32,33) 중 첫 단계와 두 번째 단계에는 UV-C 자외선 램프(31,32)가 설치되어 강력한 살균작용을 행하고, 세 번째 단계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있을 경우 마지막 단계에서는 UV-C와 함께 UV-A 자외선 램프(33)도 설치되어, UV-C 자외선 램프(31,32)로 파괴되지 않는 바이러스가 최종적으로 모두 파괴될 수 있다.
필터 모듈(20)은 도 1b 및 도 2와 같이 유입구(12)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유입구(12)에만 설치될 필요는 없으므로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유입되는 모든 공기가 반드시 필터 모듈(20)을 거치게 만들기 위해 유입구(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필터 모듈(20)은 헤파 필터일 수 있으며, 반드시 헤파 필터가 아니더라도 헤파 필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살균과 여과 효과가 발휘되는 공지의 재질이라면 어떤 것도 채택 가능하다.
필터 모듈(20)도 살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 모듈(20)은 따라서 여과와 살균 두 가지 작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자외선 램프(31,32,33)가 광학적 작용으로 인해 바이러스를 물리적으로 퇴치한다면 필터 모듈(20)은 화학적 작용으로 바이러스를 파괴시키는 살균 작용을 수행한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필터 모듈(20)을 먼저 통과하면서 상당수가 제거되므로 이후에 자외선 램프(31,32,33)를 거치면서 효과적으로 박멸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램프(31,32,33)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계로 설치된다면 필터 모듈(20)과 함께 총 4단계의 살균 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를 신속하게 정화시키려면 빠른 속도로 공기를 유입시켜 빠르게 배출시켜야 한다. 왜냐하면 정화 작용의 신속성을 위해서도 공기는 빨라야 하지만 또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되는 구역을 보다 확장시켜 실내 전체가 빠르게 정화되려면 공기 유속을 빠르게 만들어야만 배출되는 공기가 멀리 날라가서 먼 장소까지 공기 정화가 일어나며, 반대로 유속이 느리면 정화된 공기를 다시 빨아들이게 되어 공기청정기로부터 먼 지점은 좀처럼 정화 작용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서 발생되는 문제가 바로 살균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공기의 빠른 유속으로 인하여 충분한 살균 작용이 일어나기 전에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공기의 배출 속도는 여전히 빠르게 유지되면서도 공기가 공기청정기 내부에서 충분히 살균되도록 일정 시간동안 머물러야 한다는 서로 모순된 요청이 동시에 충족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공기청정기에서는 이러한 서로 모순된 요청이 동시에 해결될 수 있기 위해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의 유로에서 자외선 램프(31,32,33)가 설치되는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서는 공기의 와류 소용돌이가 형성되는 와류 섹터(13)가 마련된다.
와류 섹터(13)는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소정 부위가 평판 형태로 연장되는 제1연장판(131)과, 상기 소정 부위로부터 일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부위가 평판 형태로 연장되는 제2연장판(132)이 서로 만남으로써 형성되는 케이스(10) 내부의 코너 공간이 될 수 있다.
제1연장판(131)은 도 5를 기준으로 볼 때 유입구(12)로부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는 판이고, 제2연장판(132)은 도 5를 기준으로 볼 때 팬(42)의 왼쪽 벽이 수직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판이다. 다만 제1과 제2라는 명칭은 임의적인 것이므로 서로 반대로 불려도 무방하다. 제1연장판(131)과 제2연장판(132)이 서로 만나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장판(131)과 제2연장판(132) 및 팬(42)으로 둘러싸이는 지점에서 바로 와류 섹터(13)가 형성된다.
도 6에는 와류 섹터(13)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6을 살펴보면, 만약 케이스(10)가 팬(42) 주위를 팬(4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팬(42)을 감싸도록 형성된다면 공기는 흡입되는 즉시 신속하게 바로 배출될 것이다. 하지만 공기의 유로가 도 6과 같이 일종의 깊은 코너가 형성된 것처럼 제1연장판(131)과 제2연장판(132)으로 인해 와류 섹터(13)가 형성되면, 유입구(12)로 유입되는 공기는 직선으로 운동하다가 도 6처럼 몇 개의 와류를 일으키면서 일종의 정체 구간을 형성하며, 정체 구간의 공기는 일정 시간동안 와류 섹터(13)에 머물다가 배출구(11)를 향해 흐른다.
따라서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케이스(10) 내부에서 일정한 시간 머물면서도 배출될 때는 운동에너지를 잃지 않고 직진성을 가지며 배출되므로 멀리 떨어진 지점까지 살균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실내 전체의 공기 청정 및 살균 작용이 신속하게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31,32,33) 중 하나가 바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램프(32)의 서로 마주보는 장변 중 한 변은 제1연장판(131)에 접촉되고, 나머지 한 변은 제2연장판(132)에 접촉되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향은 팬(42)을 향하도록 배치되면 와류 섹터(13)로 진입한 공기는 전량 자외선 램프(32)에 노출되어 와류 섹터(13)에서 대부분의 바이러스가 효과적으로 파괴될 수 있다.
참고로 유입구(12) 측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를 입구측 자외선 램프(131)라 칭하고, 와류 섹터(13)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를 내측 자외선 램프(132)라 칭하며, 후술하게 될 배출구(11) 측에 설치되는 자외선 램프를 출구측 자외선 램프(133)라 칭하기로 한다.
입구측 자외선 램프(31)는 필터 모듈(20)의 살균 작용이 더욱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공기가 필터 모듈(20)로 진입되기 직전에 진입되는 공기의 전량에 대해 살균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입구측 자외선 램프(31)는 필터(42)로 진입되는 공기에 대해 효과적인 살균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유입구(12)와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자외선의 조사는 유입구(12)로 유입되는 공기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입구측 자외선 램프(31)가 유입되는 공기를 향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유입구(12)에서 필터 모듈(20)이 고정될 수 있게 필터 모듈(20)의 상부와 결합되는 상부 필터 고정판(121)과 필터 모듈(20)의 하부와 결합되는 하부 필터 고정판(122) 중에서 하부 필터 고정판(122)에서 절곡된 단차 형성판(123)에 연결되는 램프 고정 암(124)이 입구측 자외선 램프(3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입구측 자외선 램프(31)의 고정 형태는 반드시 램프 고정 암(124)의 형태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입구측 자외선 램프(31)는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인 상부 방향을 향한다. 다만 입구측 자외선 램프(31)는 상부 필터 고정판(121)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그 경우에는 자외선이 하부를 향해 조사될 수 있으므로 실내에 있는 사람에게도 피해가 갈 수 있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하부 필터 고정판(122) 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출구(11)에는 출구측 자외선 램프(33)가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서술된 바와 같이 출구측 자외선 램프(33)는 UV-C뿐만아니라 UV-A 자외선 램프도 함께 설치되어 마지막까지 잔존하는 바이러스까지 파괴시킬 수 있다.
한편 배출구(11)에는 공기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유동 안내 패널(111,112,113)이 마련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안내 패널(111,112,113)은 배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유동 안내 패널(111,112,113)에 밀착되도록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유선형 형태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구(11)에 마련되는 유동 안내 패널은 배출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유동 안내 패널과 배출구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유동 안내 패널과 상부 및 하부 유동 안내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 유동 안내 패널로 구성되며, 중간 유동 안내 패널의 양 면에 각각 유선형 형태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유선 형태의 곡면이 형성될 경우, 빠르게 배출되는 공기는 상부와 하부 및 중간 유동 안내 패널(111,112,113)에서 유선 형태의 곡면이 형성된 면에 밀착되어 흐르는 현상이 발생된다. 유동 안내 패널(111,112,113)에 밀착되는 흐름이 형성되면, 배출구(1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유동 안내 패널(111,112,113)을 완전히 벗어나기 전까지 경계층이 유지되어 직진성이 극대화되므로 최대한 먼 거리까지 분사가 가능하여 실내 공간이 크더라도 신속한 공기 살균 및 정화가 가능하다.
곡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가 박리가 억제되고 경계층이 유지되는 원리는 바로 도 9에 개념이 정리된 코안다 효과로 인하여 발생된다. 코안다 효과는 유동이 곡면을 따라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빠르게 직진하는 유체는 주위보다 압력이 낮아지므로 주위로부터 압력을 받는다. 이때 빠르게 직진하는 유체의 주위 중 어느 한쪽이 벽면이라면 반대편으로부터 압력을 받으므로 빠르게 직진하는 유체는 벽면에 밀착되는 흐름이 형성된다. 특히 그 벽면이 곡면일 경우에는 유속이 증가되므로 직진하는 유체는 그 벽면을 벗어날 때까지 벽면에 밀착되는 흐름이 유지된다. 고속으로 분사되는 유체에 공과 같은 물체를 놓을 경우 유체가 공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흐름이 형성되는 것이 관찰될 수 있으며, 이때의 흐름이 바로 코안다 효과로 인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공기청정기에서도 이런 코안다 효과가 발휘되어 배출구(11)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최대한 직진성이 강화되어 먼 거리까지 분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배출구
12 : 유입구 13 : 와류 섹터
14 : 측면 커버 20 : 필터 모듈
30 : 살균 모듈 31 : 입구측 자외선 램프
32 : 내측 자외선 램프 33 : 출구측 자외선 램프
40 : 송풍 모듈 41 : 팬 모터
42 : 팬 50 : 외부 하우징
111 : 상부 유동 안내 패널 112 : 하부 유동 안내 패널
113 : 중간 유동 안내 패널 121 : 상부 필터 고정판
122 : 하부 필터 고정판 123 : 단차 형성판
124 : 램프 고정 암 131 : 제1연장판
132 : 제2연장판

Claims (7)

  1.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되는 팬과, 팬을 회전 구동하는 팬 모터로 이루어지는 송풍 모듈과;
    상기 송풍 모듈이 가동됨으로써 유동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게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공기의 유로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지는 살균 모듈과;
    상기 공기의 유로에 설치되는 필터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자외선 램프는 상기 공기의 유로 상에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유로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서 공기의 와류 소용돌이가 형성되는 와류 섹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섹터는 상기 케이스의 소정 부위가 평판 형태로 연장되는 제1연장판과, 상기 소정 부위로부터 일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부위가 평판 형태로 연장되는 제2연장판이 서로 만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코너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과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자외선 램프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와류 섹터에 설치되는 자외선 램프는 서로 마주보는 장변 중 한 변은 상기 제1연장판에 접촉되고, 상기 장변 중 나머지 한 변은 제2연장판에 접촉되며, 상기 자외선 램프가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향은 상기 팬을 향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공기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유동 안내 패널이 마련되되,
    상기 유입구에는 유입구에서 이격된 지점에 상기 자외선 램프가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에 대해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자외선 램프를 고정시키는 램프 고정 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마련되는 유동 안내 패널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유동 안내 패널에 밀착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유선형 형태의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마련되는 유동 안내 패널은 배출구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유동 안내 패널과 배출구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유동 안내 패널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유동 안내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 유동 안내 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 유동 안내 패널의 양 면에 각각 상기 유선형 형태의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KR1020210005965A 2021-01-15 2021-01-15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KR20220103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965A KR20220103404A (ko) 2021-01-15 2021-01-15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965A KR20220103404A (ko) 2021-01-15 2021-01-15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404A true KR20220103404A (ko) 2022-07-22

Family

ID=8260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965A KR20220103404A (ko) 2021-01-15 2021-01-15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340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03B1 (ko) 2013-06-21 2014-01-03 럭스피아(주) Uv led를 적용한 살균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03B1 (ko) 2013-06-21 2014-01-03 럭스피아(주) Uv led를 적용한 살균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591B1 (ko) 자외선 반사판이 형성된 공기정화살균기
US5891399A (en) Cleaning arrangement including filters and ultraviolet radiation
CA2178461C (en) Air purifier device
KR101676817B1 (ko) 방사형 공간 살균기
US10328174B2 (en) Portable microorganism sanitation system
KR102171915B1 (ko) 자외선(uv-c) 공기정화기
CN104879851A (zh) 杀菌空气净化器
US20070107597A1 (en) Air Purifying Device
GB2515842A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KR102324138B1 (ko) IoT 청정, 살균 에어클린 샤워 장치
US11724001B2 (en)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unit
KR200495463Y1 (ko) 공기 살균 및 정화장치의 유로구조
KR102228610B1 (ko) 안티바이러스 게이트
WO2022087185A1 (en) Air treatment reactor modules and associ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20210322914A1 (en) Air purifier
KR20220103404A (ko) 벽걸이 살균 공기청정기
CN112675351A (zh) 超快激光光帘及空气净化系统
KR100565775B1 (ko) 광촉매 필터유닛 및 이를 채용한 공기조화장치
KR100635515B1 (ko) 송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시스템
KR20170003584U (ko) 공기살균 및 탈취기
WO2022233155A1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RU20141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стерильной воздушной завесы
US20050249630A1 (en) Ultraviolet air purifier
KR200358767Y1 (ko) 송풍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공기청정시스템
KR102573027B1 (ko) Led 조명을 활용한 실내 공기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