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181A -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에 대한 코딩 개념 - Google Patents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에 대한 코딩 개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181A
KR20220103181A KR1020227021958A KR20227021958A KR20220103181A KR 20220103181 A KR20220103181 A KR 20220103181A KR 1020227021958 A KR1020227021958 A KR 1020227021958A KR 20227021958 A KR20227021958 A KR 20227021958A KR 20220103181 A KR20220103181 A KR 20220103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
coefficient
predetermined
block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자민 브로스
산티아고 데 룩산 에르난데즈
헤이코 슈바르츠
데틀레브 마르페
토마스 비에그란트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22010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7Position within a video image, e.g. region of interest [RO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샘플 블록(84)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20)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계수 위치 정보(100)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계수 위치 정보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를 나타낸다. 디코더는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107) 구성되다. 디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서 전송된 변환 정보(108)를 사용하여,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 중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 또는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 중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 내에 있는지 확인하도록(111) 구성된다.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디코더는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변환 계수의 상기 값을 디코딩(109)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112)가 0이라고 추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며,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로부터 상기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의 값을 디코딩(113)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116)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가 0이라고 추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변환 계수 블록과 함께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은 상기 변환된 표현을 정의하고, 상기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상기 변환 계수 사이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변환 계수를 스캔하지 않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한 2개의 변환 계수(120) 사이에서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되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118)가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한다.

Description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에 대한 코딩 개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을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 해당 방법,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데이터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AVC 및 HEVC와 같은 하이브리드 비디오 압축 방식은 예측 잔차의 변환, 변환 계수의 양자화 및 양자화 지수의 엔트로피 코딩이 뒤따르는 블록 기반 예측에 의존한다. 후자는 또한 변환 계수 코딩 또는 잔차 코딩으로 지칭된다. 다음 설명에서는 실제 하이브리드 비디오 압축 방식에서 구현되는 변환의 정수 근사에 대해서도 변환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전통적으로, 고정된 변환은 각각의 잠재적 블록 크기 N×N에 대한 비디오 코딩 표준에 지정된다. 예를 들어, HEVC 표준은 DST VI가 사용되는 인트라 픽처 예측 4x4 블록을 제외하고 DCT II의 사용을 지정한다. 미리 정의된 여러 변환 유형 중에서 선택하여 압축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다목적 비디오 코딩(VVC)에 대한 현재 초안은 5가지 다른 수평 및 수직 변환 유형 조합 세트를 지정한다(DCT II, DST-VII 및 DCT-VIII 포함). 비트스트림은 인코더에 의해 선택된 변환 유형이 디코더에 시그널링되는 신택스를 포함한다. 변환 계수 레벨의 코딩은 선택된 변환 유형에 대해 독립적이고 그 전에 시그널링된다. 복잡성 때문에, DCT-II가 아닌 변환 유형은 16개 이하의 0이 아닌 계수를 포함하는 행과 열에만 적용된다. 이 경우, 변환할 블록(변환 블록)은 16보다 큰 너비와 높이를 가질 수 있지만 왼쪽 상단 16x16 영역 외부의 모든 계수는 0이어야 한다. 또한, 변환은 16x16보다 큰 완전한 변환 블록에 적용되어 나머지 샘플의 결과 블록도 16x16보다 크다. 변환의 구현 논리를 줄이는 이러한 방식을 제로 아웃(zero-out)이라고도 한다.
뿐만 아니라, 현재 VVC 초안은 추가적인 저주파 비분리 변환(LFNST)을 지정하고, 이것은 인코더에서 변환 후에 적용할 수 있고 역변환 전에 디코더에서 그 역변환이 적용될 수 있다. 이 LFNST의 경우 인코더에서 다중 변환 커널을 선택하고 LFNST 인덱스를 사용하여 디코더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복잡성 때문에 LFNST는 현재 VVC 초안에서 DCT-II와만 결합될 수 있다.
VVC 개발을 포함하는, 최신 비디오 코딩 기술은 미리 정의된 여러 변환 유형 중 하나를 신호하는 수단을 지정한다. 변환 계수 레벨은 선택된 변환을 나타내는 구문, 즉 다중 변환 선택(MTS) 인덱스 이전에 코딩된다.
변환 계수 레벨은 서브블록 또는 계수 그룹으로 코딩된다. 하나의 스캔 패턴으로 서브블록을 처리하고 서브블록 내부의 계수도 스캔 패턴으로 처리한다. 현재 VVC 드래프트 7에서와 같이 두 스캔 패턴 모두 역방향/역대각선 스캔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스캔 패턴 및 방향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64개의 4x4 서브블록(117)으로 세분화되는 32x32 변환 블록(104)의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서브블록(117)은 역대각 스캔(115), 즉 우측 하단(103)에서 좌측 상단 코너(101)로 처리된다. 도 1은 32x32 변환 블록(104) 내부의 4x4 서브블록(117)의 역방향/역대각선 스캐닝을 나타낸다. DCT 기반 변환은 에너지를 좌측 상단 모서리(101)에 집중시키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양자화된 계수 값은 양자화 후에 블록, 즉 변환 블록(104)의 우측 하단 모서리(103)에서 0이 되는 경향이 있다. 스캔 순서(115)에서 0이 아닌 제 1 계수(102) 이전 0의 시퀀스의 코딩 및 디코딩을 방지하기 위해, (역) 스캔 순서(115)에서 제 1(마지막) 0이 아닌 또는 유효 계수(102)의 위치는 서브블록을 처리하기 전에 시그널링된다. 이를 알게되면, 이 제 1 유효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블록(117), 즉 제 1 0이 아닌 계수(102) 및 스캔 순서(115)의 모든 후속 서브블록(117)만이 도 1의 오른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된다.
더 긴 변환, 예를 들어, 한 방향으로 32개의 계수가 있으면 구현에 더 많은 논리와 메모리가 필요한다. 이전에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것은 현재 VVC 초안에서 제로 아웃 설계에 동기를 부여했다. 이 디자인에서, 모든 변환 유형은 각 방향에서 32개의 계수에 적용될 수 있지만, DCT-II 유형이 아닌 경우 각 방향의 마지막 16개 계수는 0과 같아야 한다. 도 2는 32x32 블록, 예를 들어, 복원된 잔차 샘플들의 샘플 블록(84)이 32x32 변환 블록(104)에서 변환을 적용함으로써 생성되는 이 과정을 설명하며, 이 때 처음 16x16 계수들만이 0이 아닐 수 있다. 도 2는 역변환 40/54 이전의 32x32 변환 블록(104)의 변환 계수 레벨 제로 아웃을 도시한다.
어떤 변환이 선택되는지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MTS 인덱스는 변환 계수 이후에 시그널링된다. 결과적으로, 제 1 또는 마지막 유효 계수(102)의 위치가 알려진다. 이 계수가 16x16 0이 아닌 영역, 즉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있는 경우, 이 경우에 허용되는 유일한 변환이 DCT-II이기 때문에 변환 선택을 시그널링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 현재 설계에서는 16x16 영역 외부의 모든 계수가 0과 같다고 보장할 수 없다. 이것은 도 3의 오른쪽에 있는 예에서 볼 수 있으며, 이 때, 마지막 위치, 즉 제 1 또는 마지막 코딩된 계수 위치(102)는 16x16 0이 아닌 영역 내부에 있지만 스캔 패턴(110)의 후속 서브블록은 이 영역 밖에 있다. 이러한 0이 아닌 계수가 존재하는 경우, 인코더 제약 조건은 예를 들어, 항상 0과 같은 MTS 인덱스를 시그널링함으로써, 시그널링된 변환이 DCT-II임을 보장해야 한다. 이것은 DCT-II는 항상 0이어야 할 필요가 있지만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기 때문에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생성한다. 이하 0이 아닌 요건이란 모든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0이 아닌 영역, 즉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0이 아닌 영역 외부의 모든 변환 계수는 0이어야 한다. 다음 두 가지 접근 방식은 이 측면을 해결하기 위해 설명된다. 도 3은 좌측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로 아웃을 위한 서브블록의 수정된 대각 스캐닝(110)을 도시한다.
다중 변환 선택이 전술한 LFNST와 같은 추가 변환과 결합되는 경우, 구현 논리를 줄이기 위해 조합을 제한할 수도 있다. 현재 VVC 초안에서, 예를 들어 LFSNT는 LFNST가 적용되는지 여부와 적용되는 경우 어느 커널이 MTS 인덱스 전에 시그널링되는지를 나타내는, DCT-II 및 LFNST 인덱스와만 결합될 수 있다. LFNST 인덱스가 LFNST 커널의 사용을 나타낼 때, MTS 인덱스는 시그널링되지 않고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된다. 즉, DCT-II이다. 단순화된 구문 다이어그램은 도 13의 왼쪽에 나와 있다.
그러므로, 픽처의 블록에 대한 다수의 미리 정의된 변환 유형들 사이의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 픽처 코딩 및/또는 비디오 코딩을 보다 효율적으로 렌더링하기 위한 개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비트 스트림 및 이에 따른 신호화 비용, 예를 들어, 신호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출원의 독립항의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본 출원의 종속항의 주제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픽처의 블록에 대한 변환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려고 할 때 직면하는 한 가지 문제는, 일부 변환, 예를 들어, DCT-II가 아닌 변환과 같은 제 2 변환 세트 내 변환에 대해, 변환 계수 블록의 0이 아닌 계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에만 허용/배치되어야 한다는 사실로 인한다는 것을 알았다.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부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 즉 0이 아닌 제 1 계수의 위치에 따라,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0 계수는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디코딩/인코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변환 계수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캐닝 위치, 예를 들어 왼쪽 상단 모서리의 계수, 즉 DC 계수까지 또는 변환 계수 블록의 좌측 상단 코너에 있는 계수부터 후자의 경우에 마지막 코딩된 계수 위치로 이해될 수 있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까지 계수 스캔 순서에 따라, 계속 스캔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제로 계수를 디코딩/인코딩하는 어려움은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 내의 변환과 연관된 변환 계수 블록에 대해서 보다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 내의 변환과 연관된 변환 계수 블록에 대해 상이한 스캐닝 순서를 사용함으로써 극복된다. 변환 계수 블록이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 내의 변환과 연관되는 경우 변환 계수 블록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0이 아닌 계수를 포함하고, 변환 계수 블록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 내의 변환과 연관되는 경우 변환 계수 블록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부에만 0이 아닌 계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각각의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에 의존하는 상이한 계수 스캔 순서를 사용하는 것이 코딩 효율을 개선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변환이 모든 0이 아닌 계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 기반하고, 이로써 스캔 순서는 0이 아닌 변환 계수만이 선택된 스캔 순서를 따라 디코딩/인코딩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 내에 있는 경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에서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까지 위치하는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있는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 값이 디코딩/인코딩되고 디코더는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가 0이라고 추론한다.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 내에 있는 경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고 제 2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 값은 디코딩/인코딩되고 디코더는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가 0이라고 추론한다. 따라서 스캔에 더 적은 변환 계수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코딩 효율을 개선하는 0 계수를 디코딩/인코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인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인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계수 위치 정보를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계수 위치 정보는 변환 계수 블록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를 표시한다.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는 계수 스캔 순서에서 제 1 0이 아닌 변환 계수의 위치 또는 역 계수 스캔 순서에서 마지막 0이 아닌 변환 계수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은 변환 계수 블록의 하위 영역을 정의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서 하위 영역 변환 계수는 0이 아닐 수 있고 하위 영역 외부에서는 모든 변환 계수가 특정 변환에 대해 0이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환 계수 블록은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 내에 있는 경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 내에 있는 경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변환 계수는 0이다.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은 16x16 변환 계수로 구성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은 변환 계수 블록의 왼쪽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 또는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 내에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디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전송된 변환 정보를 사용하여 이 확인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 내에 있는 경우, 디코더/인코더는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로부터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의 값을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되며, 이 때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는 0이다.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 내에 있는 경우, 디코더는,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가 0임을 추론하도록 구성된다.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 내에 있는 경우, 디코더/인코더는 미리 결정된 서브영역 내에 위치되고 제 2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로부터 마지막 스캔된 위치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 값을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되며, 이 때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 및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는 0이다.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 내에 있는 경우, 디코더는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들 및 미리 결정된 서브영역 외부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들이 0임을 추론하도록 구성된다. 변환 계수 블록과 함께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은 변환된 표현을 정의한다. 제 2 계수 스캔 순서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의 변환 계수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변환 계수를 스캔하지 않고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의 변환 계수를 스캔하고, 제 1 계수 스캔 순서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부에 위치한 2개의 변환 계수 사이에서 제 1 계수 스캔 순서에 의해 스캔되는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있도록 변환 계수를 스캔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디코더/인코더는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를 제거함으로써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를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로 감소시키고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로부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디코더/인코더는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에서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 값을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되며, 이 때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는 0이다. 디코더는,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가 0임을 추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디코더가 변환 계수 블록의 기본이 되는 변환을 추론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코더가 변환 계수 블록과 관련된 변환 정보를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 비트스트림이 감소될 수 있고 높은 코딩 효율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인코더는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 예를 들어 특정 컨텍스트에 대해 업데이트된 특정, 예를 들어 LPS(최소 확률 심볼) 이진 값에 대한 추정된 확률을 사용하여,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인코딩, 예를 들어, 상황 적응형 이진 산술 코딩을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에서/로 변환 정보를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 내에 위치하는 위치에 따라,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컨텍스트를 결정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할 때,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마지막 스캔 위치와 일치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1 확률 모델, 예를 들어, 제 1 컨텍스트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져 있는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2 확률 모델, 예를 들어, 제 2 컨텍스트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 이상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3 확률 모델, 예를 들어, 제3 컨텍스트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는 마지막 스캔 위치 및 마지막 스캔 위치 업스트림의 미리 결정된 수의 변환 계수가 일치한다. 다시 말해, 그 미리 결정된 수까지, 두 스캔은 동일하거나, 다시 말해서 두 스캔 모두 마지막 스캔 위치에서 종료되고 마지막 스캔 위치 상류의 미리 결정된 수의 계수가 동일한다. 즉, 미리 결정된 수까지의 마지막 스캔 위치 업스트림에서 두 스캔은 동일한다. 변환 계수 블록이 단지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포함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은 제 1 확률 모델로 설정될 수 있다. 이 0이 아닌 단일 변환 계수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할 때,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수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지거나 마지막 스캔된 위치와 동일한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1 확률 모델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 이상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2 확률 모델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는 마지막 스캔 위치 및 마지막 스캔 위치 업스트림의 미리 결정된 수의 변환 계수가 일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해당하고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는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가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가용 변환의 제 2 세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의 세트를 포함한다. 디코더/인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2차 변환 표시자를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되며, 이 때 2차 변환 표시자는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다단계 변환인지, 즉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 내인지, 그리고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중 어느 것인지, 또는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일차 전용 변환인지를 나타낸다. 2차 변환 표시자가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 경우, 디코더/인코더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로부터 일차 전용 변환을 식별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변환 표시자, 예를 들어, 일차 변환 표시자를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변환 계수 블록의 기반이 되는 변환이 다단계 변환인 경우 보조 변환 표시자만이 데이터 스트림에서/데이터 스트림으로 디코딩/인코딩되어야 하는데, 이는 2차 변환 표시자는 이미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변환 계수 블록의 일차 변환이 다단계 변환이 아닌 경우 추가 변환 표시자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코딩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의 일차 변환 및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세트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에 포함된다. 또한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는 하나 이상의 가용 변환의 제 1 세트가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가용 변환의 제 2 세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로 구성된다. 디코더/인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2차 변환 표시자를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2차 변환 표시자는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다단계 변환인지, 그렇다면 다단계 변환의 2차 변환인지를 나타내거나, 변환 계수 블록의 기본이 되는 변환이 일차 전용 변환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2차 변환 표시자는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다단계 변환인지 또는 일차 전용 변환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디코더/인코더는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 2차 변환 표시자의 경우, 일차 전용 변환 세트 중 일차 전용 변환을 및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다단계 변환임을 나타내는 2차 변환 표시자의 경우, 및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의 세트가 상호 상이한 일차 변환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경우. 다단계 변환의 일차 변환을 식별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일차 변환 표시자를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히 다단계 변환의 관점에서 변환 계수 블록의 기본이 되는 변환 선택의 높은 가변성과 유연성이 달성될 수 있으므로, 높은 코딩 효율성이 결과된다. 모든 다단계 변환이 동일한 일차 변환과 연관된 경우, 즉 다단계 변환이 서로 다른 일차 변환을 갖지 않는 경우, 일차 변환 표시자를 디코딩/인코딩할 필요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는 다단계 변환,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다단계 변환 세트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에 포함된다.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는 모든 다단계 변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가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모두에 대한 일차 변환이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 예를 들어 DCT-II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에 포함된 DCT-II가 아닌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를 포함한다. 디코더/인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일차 변환 표시자를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되며, 이 때 일차 변환 표시자는 세트 중 제 1 변환, 예를 들어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를 나타낸다. 제 1 변환이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경우,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로부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식별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2차 변환 표시자를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에서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은, 제 1 변환이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인 경우에, 하나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이다. 즉, 일차 변환 표시자가 제 1 변환이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임을 나타내는 경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은 표시된 제 2 일차 전용 변환이고, 일차 변환 표시자가 제 1 변환이 제 1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 경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은 2차 변환 표시자에 따라, 제 1 일차 전용 변환 또는 제 1 일차 전용 변환 또는 2차 변환의 연결에 해당하는 다단계 변환이다. 후자의 경우, 2차 변환 표시자는 변환 계수 블록의 기본이 되는 변환을 직접 표시/가리킬 수 있다. 따라서,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은 데이터 스트림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선택되고 표시될 수 있어 높은 코딩 효율이 결과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는 다단계 변환 세트를 포함하며, 각각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해당하고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제 2 세트에 포함된다. 또한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가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로 구성된다. 디코더/인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일차 변환 표시자를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일차 변환 표시자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1개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 예를 들어 일차 전용 변환 세트 중 제 1 변환을 표시한다. 제 1 변환이 다단계 변환 중 하나 이상의 일차 변환과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경우,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일차 변환이 제 1 일차 전용 변환과 동일한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에서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식별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2차 변환 표시자를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특별한 일차 변환 지시자와 2차 변환 지시자는 무엇보다도,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의 선택을 위해 상이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상이한 일차 변환을 갖는 상이한 다단계 변환 사이의 탁월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높은 코딩 효율을 가져온다. 이러한 선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높은 압축 효율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인코더는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인코딩을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일차 변환 표시자의 디코딩/인코딩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할 때,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마지막 스캔 위치와 일치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1 확률 모델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2 확률 모델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 이상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3 확률 모델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는 마지막 스캔 위치 및 마지막 스캔 위치 업스트림의 미리 결정된 수의 변환 계수가 일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할 때,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지거나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와 일치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1 확률 모델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 이상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2 확률 모델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는 마지막 스캔 위치 및 마지막 스캔 위치 업스트림의 미리 결정된 수의 변환 계수가 일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차 변환은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모두에 대해 동일하고 또한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와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직 하나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변환 계수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샘플 블록을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에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샘플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역전하는 역변환을 변환 계수 블록에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샘플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역전하는 역변환을 변환 계수 블록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루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의 예측 잔차를 유도하고 예측 잔차를 나타내기 위해 양자화를 포함하여, 샘플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를 정정하기 위해 샘플 블록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를 정정하기 위해 샘플 블록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루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픽처의 블록에 대한 변환 선택을 활성화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한 가지 문제는, DCT-II가 아닌 변환과 같은 일부 변환의 경우, 변환 계수 블록의 0이 아닌 계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에서만 허용된다는 사실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알았다. 현재, 위에서 설명된 0이 아닌 요구 사항을 갖는 변환이 선택될 수 있을 때 변환 계수 블록의 기본이 되는 변환을 나타내기 위해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생성된다. 본 출원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이 어려움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에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0인지 확인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자들은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서 미리 결정된 스캔 순서를 따라 위치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기 때문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변환 계수 블록의 기본이 되는 변환이 위에서 설명한 0이 아닌 요구 사항을 가진 변환인지 여부를 확인이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 기반한다. 따라서, 각 변환 계수 블록에 대해 모든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로부터 각각의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선택할 필요는 없다. 대신 이 기능을 사용하면 사용 가능한 모든 변환 세트를 관련 변환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므로 높은 코딩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0이 아닌 요구 사항을 갖는 변환 중 하나인지 또는 0이 아닌 요구 사항이 없는 변환 중 하나인지를 추가 구문 요소에 의해 표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높은 압축률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인코딩하기 위한 디코더/인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계수 위치 정보를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계수 위치 정보는 변환 계수 블록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를 표시한다.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는 계수 스캔 순서에서 제 1 0이 아닌 변환 계수의 위치 또는 역 계수 스캔 순서에서 마지막 0이 아닌 변환 계수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디코더/인코더는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 값을 디코딩/인코딩하고,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가 0이라고 추론하도록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는 값이 0이 아닌 변환 계수만을 또는 값이 0인 변환 계수과 값이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인코더는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0인지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은 변환 계수 블록의 하위 영역을 정의할 수 있으며, 내부에서 하위 영역 변환 계수는 0이 아닐 수 있고 하위 영역 외부에서는 모든 변환 계수가 특정 변환에 대해 0이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환 계수 블록은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 내에 있는 경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 내에 있는 경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변환 계수는 0이다.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은 16x16 변환 계수로 구성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은 변환 계수 블록의 왼쪽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면, 디코더/인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에서/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 정보를 디코딩/인코딩하고 변환 정보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에서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로부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 아니면, 디코더/인코더는 사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를 제거함으로써 사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를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로 줄이고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로부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변환 계수 블록과 함께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은 변환된 표현을 정의한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부에 위치한 두 개의 변환 계수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에 의해 스캔되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가 있도록 변환 계수를 스캔하는 방식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서브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위치하고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하는 모든 변환 계수가 0인지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후자의 확인은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제 1 부호화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밖에 위치하는 경우, 디코더/인코더는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0이 아니라는 것을 추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측면에 따른 디코더/인코더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및/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인코더는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인코딩을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로의 변환 정보의 디코딩/인코딩을 수행하고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변환 계수 블록 내에서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할 때,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마지막 스캔 위치와 일치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1 확률 모델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2 확률 모델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떨어진 미리 결정된 수 이상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3 확률 모델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인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할 때,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수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져 있거나 마지막 스캔된 위치와 일치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1 확률 모델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가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 이상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2 확률 모델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는 다단계 변환, 예를 들어 다단계 변환 세트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에 포함된다. 다시 말해서,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는 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가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모두에 대한 일차 변환이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로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면, 디코더/인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2차 변환 표시자를 디코딩/인코딩하고, - 2차 변환 표시자는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다단계 변환인지, 및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중 어느 것인지를, 또는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일차 전용 변환인지, 즉, 이것이 일차 전용 변환 세트에 속하는지 또는 다단계 변환 세트에 속하는지를 나타냄 - 2차 변환 표시자가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지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2차 변환 표시자가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 경우, 디코더/인코더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로부터 일차 전용 변환을 식별하는 변환 표시자, 예를 들어, 일차 변환 표시자를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 아니면, 변환 계수 블록의 기반이 되는 변환은 제 1 일차 전용 변환이다. 이 실시예로, 변환 계수 블록이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포함하는 경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제 1 일차 전용 변환이라고 추론하는 것이 가능한다. 따라서, 그러한 변환 계수 블록의 경우, 데이터 스트림은 변환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없고, 이에 의해 높은 압축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2차 변환 표시자를 사용하여 변환 계수 블록의 일차 변환으로서 다단계 변환을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2차 변환 표시자에 추가로 일차 변환 표시자를 사용함으로써,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으로서 일차 전용 변환을 모호하지 않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특별한 변환 선택으로,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부의 모든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갖는 블록에 대한 변환 계수 블록의 일차 변환으로서 제 1 일차 전용 변환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로써 높은 압축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변환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는 다단계 변환, 예를 들어 다단계 변환 세트를 포함하며, 각각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해당하고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에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가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모두에 대한 일차 변환이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를 포함한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면, 디코더/인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일차 변환 표시자를 디코딩/인코딩하고 - 일차 변환 표시자는 제 1 변환이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경우, 세트, 예를 들어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 중에서 제 1 변환을 나타냄 - ,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로부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식별하는 2차 변환 표시자를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디코딩/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제 1 변환이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인 경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은 하나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이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 아니면, 변환 계수 블록의 기반이 되는 변환은 제 1 일차 전용 변환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차 변환은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모두에 대해 동일하고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와도 동일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직 하나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변환 계수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샘플 블록을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에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샘플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역전하는 역변환을 변환 계수 블록에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샘플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역전하는 역변환을 변환 계수 블록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루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의 예측 잔차를 유도하고 예측 잔차를 나타내기 위해, 예를 들어 양자화를 포함하는 샘플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인코더는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를 정정하기 위해 샘플 블록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를 정정하기 위해 샘플 블록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루프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계수 위치 정보를 디코딩/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 때 상기 계수 위치 정보는 변환 계수 블록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를 나타낸다. 방법은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서브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방법은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 또는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코딩 방법은 데이터 스트림에서 전송되는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로부터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까지 위치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의 값을 디코딩/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는 0이다. 디코딩을 위한 방법은,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가 0이라는 것을 추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방법은 미리 결정된 서브영역 내에 위치하고 제 2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로부터 마지막 스캔된 위치까지 계속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 값을 디코딩/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때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는 0이다. 디코딩 방법은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 및 미리 결정된 서브영역 외부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가 0임을 추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변환 계수 블록과 함께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은 변환된 표현을 정의한다. 제 2 계수 스캔 순서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의 변환 계수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변환 계수를 스캔하지 않고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의 변환 계수를 스캔하고, 제 1 계수 스캔 순서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부에 위치한 2개의 변환 계수 사이에서 제 1 계수 스캔 순서에 의해 스캔되는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있도록 변환 계수를 스캔한다.
일 실시예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의 계수 위치 정보를 디코딩/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 때 상기 계수 위치 정보는 변환 계수 블록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를 나타낸다. 방법은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 값을 디코딩/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는 0이다. 디코딩 방법은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된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가 0이라고 추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방법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0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면, 방법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으로의 변환 정보를 디코딩/인코딩하는 단계 및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로부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코딩 방법은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 아니면, 방법은 이용가능한 변환의 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를 제거함으로써 이용가능한 변환의 세트를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로 감소시키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로부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변환 계수 블록과 함께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은 변환된 표현을 정의한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부에 위치한 두 개의 변환 계수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에 의해 스캔되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가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변환 계수를 스캔한다.
상술한 방법들은 상술한 인코더/디코더와 동일한 고려사항을 기반으로 한다. 그런데 방법은 인코더/디코더와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특징 및 기능으로 완료될 수 있다.
실시예는 인코딩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내에 인코딩된 픽처 또는 비디오를 갖는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에 맞춰진 것은 아니며, 대신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다음 설명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64개의 4x4 서브블록으로 세분화된 32x32 변환 블록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처음 16x16 계수만이 0이 아닐 수 있는, 32x32 블록의 복원을 보여준다;
도 3은 현재 설계에 따른 변환 블록의 수정되지 않은 스캔 및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블록의 수정된 스캔을 도시한다;
도 4는 픽처 또는 비디오를 예측 인코딩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픽처 또는 비디오를 예측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복원된 신호와 예측 잔차 신호와 예측 신호의 조합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순서를 변경할 수 있는 디코더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미리 결정된 서브영역 외부에 위치되는 경우에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의 선택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정보의 CABAC 코딩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개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갖는 변환 계수 블록을 도시한다;
도 11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를 도시한다;
도 11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변환 계수가 0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디코더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 1 단순화된 신택스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및
도 14는 제 2의 단순화된 신택스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동일하거나 동등한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능을 갖는 요소는 상이한 도면에서 발생하더라도 동일하거나 동등한 참조 번호로 이하의 설명에서 표시된다.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세부사항이 제시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에는, 잘 알려진 구조 및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하지 않고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또한, 이후에 설명되는 상이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0이 아닌 변환 계수는 0이 아닌 값을 갖는 변환 계수를 정의하고 0 변환 계수는 0 값을 갖는 변환 계수를 정의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 계수 레벨 코딩 제로아웃을 위한 변환 유형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압축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예가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고 하이브리드 비디오 압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인코딩/디코딩 로직을 단순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변환 유형의 선택에 따라 블록 내에서 0이 아닐 수 있는 코딩된 변환 계수의 영역을 제한하는 시그널링 개념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하기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을 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실시예가 내장될 수 있는 코딩 프레임워크에 대한 예를 형성하기 위해서, 비디오의 픽처를 코딩하기 위한 블록 기반 예측 코덱의 비디오 인코더 및 비디오 디코더에 대한 설명의 프레젠테이션으로 설명하기 시작한다. 비디오 인코더 및 비디오 디코더는 도 4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도 4 및 도 5의 비디오 인코더 및 비디오 디코더의 기초가 되는 코딩 프레임워크에 따라 동작하지 않는 비디오 인코더 및 비디오 디코더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각각 도 4 및 도 5의 비디오 인코더 및 디코더에 용이하게 구축될 수 있다.
도 4는 픽처(12) 또는 픽처(12)의 시퀀스로 구성된 비디오를 데이터 스트림(14)으로 예측 코딩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블록 단위 예측 코딩이 사용된다. 또한, 예시적으로 변환 기반의 레지듀얼 코딩이 사용된다. 장치 또는 인코더는 참조 부호 10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도 5는 대응 디코더(20), 즉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픽처(12') 및 픽처 블럭의 픽처(12')로 이루어진 비디오를 여기에서 예시적으로 변환 기반 잔여 디코딩을 사용하여 예측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장치(20)를 도시하며, 이 때 아포스트로피는 디코더(20)에 의해 복원된 픽처(12')가 예측 잔차 신호의 양자화에 의해 도입된 코딩 손실의 관점에서 장치(10)에 의해 원래 인코딩된 픽처(12)로부터 벗어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도 4 및 도 5는 변환 기반 예측 잔차 코딩을 예시적으로 사용하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러한 종류의 예측 잔차 코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른 세부사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인코더(10)는 예측 잔차 신호를 공간-스펙트럼 변환에 적용하고 이렇게 획득된 예측 잔차 신호를 데이터 스트림(14)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디코더(20)는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예측 잔차 신호를 디코딩하고 이렇게 획득된 예측 잔차 신호를 스펙트럼-공간 변환에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내부에서, 인코더(10)는 원래 신호, 즉 비디오 또는 현재 픽처(12)로부터 예측 신호(26)의 편차를 측정하기 위해 예측 잔차(24)를 생성하는 예측 잔차 신호 형성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잔차 신호 형성기(22)는 예를 들어 원래 신호, 즉 현재 픽처(12)에서 예측 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일 수 있다. 다음에 인코더(10)는 예측 잔차 신호(24)를 공간 스펙트럼 변환에 적용하여 스펙트럼 영역 예측 잔차 신호(24')를 획득하는 변환기(28)를 더 포함하고, 이는 다음에 인코더(10)에 의해 포함된 양자화기(32)에 의해 양자화된다. 이와 같이 양자화된 예측 잔차 신호(24")는 비트스트림(14)으로 코딩된다. 이를 위해, 인코더(10)는 데이터 스트림(14)으로 변환 및 양자화된 예측 잔차 신호를 엔트로피 코딩하는 엔트로피 코더(34)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측 신호(26)는 데이터 스트림(14)으로 디코딩되고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디코딩 가능한 예측 잔차 신호(24")에 기초하여 인코더(10)의 예측 스테이지(36)에 의해 생성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 스테이지(36)는 내부에 양자화 손실을 제외하고 신호(24')에 해당하는, 스펙트럼 영역 예측 잔차 신호(24")를 얻기 위해 예측 잔차 신호(24")를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기(38), 및 양자화 손실을 제외하고 원래의 예측 잔차 신호(24)에 대응하는 예측 잔차 신호(24"")를 얻기 위해 후자의 예측 잔여 신호(24'")를 역변환, 즉 스펙트럼에서 공간으로 변환하는 역변환기(40)를 포함한다. 그 다음 예측 스테이지(36)의 결합기(42)는 복원된 신호(46), 즉 원래 신호(12)의 복원을 획득하기 위해서, 예측 신호(26) 및 예측 잔차 신호(24"")를 가산과 같은 방식으로 재결합한다. 복원된 신호(46)는 신호(12')에 대응할 수 있다.
그 다음, 예측 스테이지(36)의 예측 모듈(44)은 예를 들어 공간 예측, 즉 인트라 예측 및/또는 시간 예측, 즉 인터 예측을 사용하여 신호(46)에 기초하여 예측 신호(26)를 생성한다. 이와 관련된 세부 사항은 다음에서 설명한다.
유사하게, 디코더(20)는 예측 스테이지(36)에 대응하는 컴포넌트들로 내부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예측 스테이지(36)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호접속될 수 있다. 특히, 디코더(20)의 엔트로피 디코더(50)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양자화된 스펙트럼 영역 예측 잔차 신호(24"')를 엔트로피 디코딩할 수 있고, 여기서 예측 단계(36)의 모듈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고 협력하는, 역양자화기(52), 역 변환기(54), 결합기(56) 및 예측 모듈(58)은 예측 잔차 신호 24''에 기초하여 복원된 신호를 복구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기(56)의 출력은 복원된 신호, 즉 비디오 또는 그 현재 픽처(12')을 초래한다.
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인코더(10)가 예를 들어, 일부 레이트 및 왜곡 관련 기준, 즉 코딩 비용을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및/또는 일부 레이트 제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일부 최적화 방식에 따라, 예를 들어 예측 모드, 모션 매개변수 등을 포함하는 일부 코딩 매개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은 쉽게 명백하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인코더(10) 및 디코더(20) 및 대응하는 모듈(44, 58)은 각각 픽처 블록의 예측이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바에 기초하여 프리미티브 예측 모드의 일종의 세트 또는 풀을 형성하는 인트라 코딩 모드 및 인터 코딩 모드와 같은 서로 다른 예측 모드를 지원한다. 인코더와 디코더가 이러한 예측 구성 사이에서 전환하는 입도는 각각 픽처(12 및 12')를 블록으로 세분화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 중 일부는 단독으로 인트라 코딩되는 블록일 수 있고 일부 블록은 단독으로 인터 코딩되는 블록일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더 많은 블록이 인트라 코딩 및 인터 코딩 모두를 사용하여 획득된 블록일 수 있지만 세부 사항은 이후에 설명된다. 인트라 코딩 모드에 따르면, 블록에 대한 예측 신호는 각 블록의 공간적, 이미 코딩/디코딩된 이웃에 기초하여 획득된다. 몇몇 인트라 코딩 서브 모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quasi는 일종의 인트라 예측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각각의 방향성 인트라 코딩 서브 모드에 대해 특정한 특정 방향을 따라 이웃의 샘플 값을 각각의 블록의 외삽함으로써 각각의 블록에 대한 예측 신호가 채워지는 방향성 또는 각도 인트라 코딩 서브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인트라 코딩 서브 모드는 예를 들어 각각의 블록에 대한 예측 신호가 각 블록 내의 모든 샘플에 DC 값을 할당하는 DC 코딩 모드 및/또는 각 블록의 예측 신호가 인접 샘플을 기반으로 2차원 선형 함수에 의해 정의된 평면의 기울기 및 오프셋을 유도하는 각 블록의 샘플 위치에 대한 2차원 선형 함수로 설명되는 샘플 값의 공간적 분포로 근사되거나 결정되는 평면 인트라 코딩 모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 서브 모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인터 예측 모드에 따르면, 예를 들어 블록 내부를 시간적으로 예측함으로써 블록에 대한 예측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인터 예측 모드의 매개변수화를 위해 모션 벡터는 데이터 스트림 내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고, 모션 벡터는 각각의 블록에 대한 예측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이전에 코딩된/디코딩된 픽처가 샘플링되는 비디오의 이전에 코딩된 픽처 부분의 공간적 변위를 나타낸다. 이것은 양자화된 스펙트럼 영역 예측 잔차 신호(24'')를 나타내는 엔트로피 코딩된 변환 계수 레벨과 같은 데이터 스트림(14)으로 이루어진 잔차 신호 코딩에 추가하여, 데이터 스트림(14)이 내부에 블록 예측 모드에 할당하기 위한 예측 관련 파라미터, 인터 예측 모드에 대한 모션 매개변수와 같은 할당된 예측 모드에 대한 예측 파라미터, 및 선택적으로, 이하 더 자세히 설명되는 할당된 예측 모드 및 예측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블록에 대한 최종 예측 신호의 구성을 제어하는 추가 파라미터가 인코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스트림은 픽처(12 및 12')의 블록으로의 세분화를 각각 제어하고 시그널링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20)는 이들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인코더와 동일한 방식으로 픽처를 세분화하고, 블록에 동일한 예측 모드 및 파라미터를 할당하고, 동일한 예측을 수행하여 동일한 예측 신호를 생성한다.
도 6은 복원된 신호, 즉 복원된 픽처(12')과, 데이터 스트림에서 시그널링된 바와 같은 예측 잔차 신호(24"")와 예측 신호(26)의 조합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조합은 추가일 수 있다. 예측 신호(26)는 도 6에 다양한 크기의 블록(80)으로의 픽처 영역의 세분으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일 뿐이다. 세분화는 블록의 행과 열로의 픽처 영역의 규칙적인 세분화, 또는 쿼드트리 세분화 등과 같은 다양한 크기의 리프 블록으로의 픽처(12)의 다중 트리 세분화와 같은 임의의 세분화일 수 있으며, 그 혼합을 도 6에 도시하며 여기에서는 픽처 영역이 먼저 트리 루트 블록의 행과 열로 세분화된 다음에 재귀적 다중 트리 세분화에 따라 더욱 세분화되어 결과적으로 블록(80)이 생성된다.
도 6의 예측 잔차 신호(24"")는 또한 블록(84)으로의 픽처 영역의 세분으로서 예시된다. 이러한 블록은 코딩 블록(80)과 동일하게 구별하기 위해 변환 블록 또는 변환 계수 블록으로 불릴 수 있다. 사실상, 도 6은 인코더(10) 및 디코더(20)가 픽처(12) 및 픽처(12')를 각각 서로 다른 블럭으로, 즉 하나는 코딩 블록(80)으로 다른 하는 블록(84)으로 세분화하는 것을 예시한다. 두 세분화는 동일할 수 있으며, 즉, 각 블록(80)은 동시에 변환 블록(84)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반대가 될 수도 있지만, 도 6은 예를 들어 변환 블록(84)으로의 세분화가 블록(80)으로의 세분화 확장을 형성하므로, 두 블록(80) 사이의 임의의 경계가 두 블록(84) 사이의 경계를 오버레이하거나, 대안적으로 말하면 각 블록(80)이 변환 블록(84) 중 하나와 일치하거나 변환 블록(84)의 클러스터와 일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그러나, 세분화는 또한 변환 블록(84)이 블록(80) 사이의 블록 경계를 대안적으로 교차할 수 있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결정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변환 블록(84)으로의 세분화에 관한 한, 블록(80)으로의 세분화와 관련하여 제기된 것과 유사한 진술이 사실인데, 즉, 블록(84)은 행과 열로 배열된 블록으로 픽처 영역을 규칙적으로 세분화한 결과, 픽처 영역을 재귀적으로 다중 트리 세분화한 결과,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세분화의 결과일 수 있다. 블록(80 및 84)은 2차, 직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현재 픽처(12)를 예측 신호가 형성되는 블록(80)으로 세분하고, 현재 픽처(12)를 예측 잔차가 코딩되는 블록(84)으로 세분하는 것이 코딩/디코딩에 사용되는 유일한 세분은 아닐 수 있다. 이들 세분화는 예측 신호 결정 및 레지듀얼 코딩이 수행되는 입도를 형성하지만, 첫째, 잔여 코딩은 대안적으로 세분화 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제 2로, 이들 세분 이외의 다른 입도에서, 인코더 및 디코더는 예측 파라미터, 예측 신호 합성 제어 신호 등과 같은 전술한 파라미터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는 특정 코딩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예측 신호(26)와 예측 잔차 신호(24"")의 조합이 직접적으로 복원된 신호(12')를 초래하는 것을 예시한다. 하지만, 하나 이상의 예측 신호(26)는 예를 들어, 별도의 DPB를 갖는 별도의 예측 루프에서 코딩/디코딩되는 다른 뷰 또는 다른 코딩 계층으로부터 획득된 예측 신호와 같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예측 잔차 신호(24"")와 결합되어 픽처(12')가 생성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6에서, 변환 블록(84)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변환기(28) 및 역 변환기(54)는 이러한 변환 블록(84) 단위로 변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많은 코덱은 모든 변환 블록(84)에 대해 일종의 DST 또는 DCT를 사용한다. 일부 코덱은 변환 블록(84) 중 일부에 대해 예측 잔여 신호가 공간 도메인에서 직접 코딩되도록 변환을 건너뛸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10) 및 디코더(20)는 다음 도면 도 7 내지 12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여러 변환, 즉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하, 변환 유형 시그널링을 위한 코딩 효율이 개선될 수 있고/있거나 다중 변환 유형 사이의 선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압축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는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대부분 디코더의 관점에서 특징 및 기능을 설명할 것이다. 하지만,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및 기능이 인코더에 의해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예를 들어 디코더에 의해 수행되는 디코딩은 인코더에 의한 인코딩에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인코더는 예를 들어 예측 스테이지(36)에서 피드백 루프의 디코더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샘플 블록(84)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20)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더는 변환 계수 블록(104)을 획득하기 위해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샘플 블록(84)에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과 함께 변환 계수 블록(104)은 변환된 표현을 정의한다.
도 7에 도시된 디코더(20)는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계수 위치 정보(100)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계수 위치 정보(100)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를 나타낸다.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는 스캔 순서로, 예를 들어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 또는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로, 제 1 0이 아닌 변환 계수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역 스캔 순서의 경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는 역/역 스캔 순서를 따른 0이 아닌 마지막 변환 계수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0이 아닌 변환 계수는 본 명세서에서 0이 아닌 값을 갖는 변환 계수를 정의하고 제로 변환 계수는 0인 값을 갖는 변환 계수를 정의한다.
디코더(20)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서브영역(106)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107)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데이터 스트림(14)에서 전송된 변환 정보(108)를 사용하여,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디코더(20)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의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 또는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의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111)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는 변환 계수(118)와 같이 미리 결정된 서브영역 외부의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갖는 변환 계수 블록(104)에 대한 변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는 미리 결정된 서브영역(106) 외부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없는 변환 계수 블록(104)에 대한 변환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 중 하나 이상의 변환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모든 변환 계수가 0인 값을 갖고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만 위치한다는 요건, 즉 0이 아닌 요건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로부터의 변환은 이 0이 아닌 요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 내에 있으면, 디코더(20)는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로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의 값을 디코딩(109)하고,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된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112)가 0임을 추론하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 1 조건에 대해, 디코더(20)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음영 영역의 모든 변환 계수(112)가 0이라고 추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된 2개의 변환 계수(120) 사이에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되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118)가 있도록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를 스캔한다. 도 7의 실시예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변환 계수(1181-1183)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한 두 개의 변환 계수(1201 및 1202) 사이의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되고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변환 계수(1184)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한 2개의 변환 계수(1203, 1204) 사이의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된다.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 내에 있으면, 디코더(20)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되고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로부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되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의 값을 디코딩(113)하고,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116) 및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118)가 0인 것을 추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변환 계수(120) 사이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변환 계수(118)를 스캔하지 않고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변환 계수(120)를 스캔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107)하게 되면,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위치하지 않는 경우(210)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는 경우(200)는 이미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도 8에서는 3개의 점으로 표시된다.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디코더(20)는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를 제거함으로써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를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로 감소(220)하고,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로부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결정은 데이터 스트림(14)에서 전송된 변환 정보(108)를 사용하여, 또는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가 단 하나의 변환으로 구성되는 경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하나의 변환임을 추론하여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코더(20)는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로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의 값을 디코딩(109)하고,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된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112)가 0인 것을 추론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코더(20)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음영 영역의 모든 변환 계수(112)가 0이라고 추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및/또는 기능은 도 7의 디코더(20)에 대해 선택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디코더(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230), 예를 들어 컨텍스트 적응 이진 산술 코딩을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변환 정보(108)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디코더(20)는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 예를 들어 특정 컨텍스트에 대해 업데이트된 특정 이진 값에 대한 추정된 확률을 사용할 수 있다. 디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변환 계수 블록(104) 내에 위치하는 위치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234)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설명과 함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다.
실시예,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0)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에서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234)할 때,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1 확률 모델(2361)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2 확률 모델(2362)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3 확률 모델(2363)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대한 미리 결정된 수(240)는 10개의 변환 계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정해진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진 마지막 가능한 변환 계수는 참조 부호(240)로 표시된다. 그러나, 변환 계수의 다른 미리 결정된 수(240)도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대안적인 실시예,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0)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에서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234)할 때,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최종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떨어져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지거나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1 확률 모델(2381)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102)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2 확률 모델(2382)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대한 미리 결정된 수(240)는 8개의 변환 계수로 설정될 수 있고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정해진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진 마지막 가능한 변환 계수가 참조 부호(240)로 표시된다. 그러나, 이미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변환 계수의 다른 미리 결정된 수(240)도 선택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위에서 설명된 두 실시예에 대해,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110, 114)는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및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업스트림의 미리 결정된 수의 변환 계수(240)가 일치한다. 도 7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차수(110, 114)를 중첩하는 경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에 대한 디코딩(109) 참조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에 대한 디코딩(113) 참조), 두 스캔이 마지막 스캔 위치(101) 업스트림에서 동일한 변환 계수가 존재한다. 도 7에 도시된 변환 계수 블록(104)의 경우, 두 스캔이 마지막 스캔 위치(101) 업스트림에서 동일한 10개의 변환 계수가 존재한다. 변환 계수의 미리 결정된 수(240)는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110 및 114)가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업스트림에서 일치하는 변환 계수의 최대 수까지 3개의 변환 계수 범위의 수로 설정될 수 있다. 변환 계수의 미리 결정된 수(240)는 8개의 변환 계수와 같이 3 내지 10개의 변환 계수 또는 3 내지 9개의 변환 계수 범위의 숫자로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제 1 확률 모델(2361) 및 제 2 확률 모델(2362)은 전술한 제 2 실시예의 제 1 확률 모델(2381) 및 제 2 확률 모델(2382)과 다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0은 변환 계수 블록 계수(104)를 좌측에 도시하며 이 변환 계수 블록(104)에 대해 미리 결정된 수(240)가 8개의 변환 계수로 설정되고 어떤 변환 계수 블록(104)에 대해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102)가 8개의 변환 계수와 동일하다. 추가적으로, 도 10은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102)가 전술한 마지막 스캔 위치(101)와 동일한 변환 계수 블록(104)을 우측에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136a) 및 2차 변환(136b)의 연결에 대응하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일차 변환(136a)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을 포함한다. 즉, 예를 들어 인코더에 의해 수행되는, 순방향 변환에서, 일차 변환(136a)은 처리된 계수 블록(84')을 결정하기 위해 전체 샘플 블록(84), 즉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 및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적용되고, 2차 변환은 도 11a의 상단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 계수 블록(104)을 결정하기 위해 처리된 계수 블록(84')의 미리 결정된 서브영역(106)에만 적용된다. 예를 들어 디코더에 의해 수행되는 역변환에서, 2차 변환(136b)의 역이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에 적용되어 처리된 계수 블록(84')을 결정하고, 일차 변환(136a)의 역이 전체 처리된 계수 블록(84')에 적용되어 샘플 블록(84)을 결정한다. 또는, 도 11a의 좌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변환 단계에서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여기서 2차 변환(136b)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서만 적용되고 일차 변환(136a)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적용된다.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은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에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하나 이상의 가용 변환의 제 1 세트(132)가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가용 변환의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를 포함한다. 도 11a는 하나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0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를 도시하고, 도 11b는 N1개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1 내지 TN1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를 도시한다. 도 11a의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은 T1…TN1에 의해 참조되고 도 11b의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은 TN1+1…TN2에 의해 참조된다.
다음 실시예가 도 11b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트(130)에 대해서도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의 도입된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11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2차 변환 표시자(124)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2차 변환 표시자(124)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다단계 변환, 즉 세트(136) 내의 변환인지, 그리고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 중 어느 것인지, 또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 즉 세트(138)의 변환인지를 나타낸다. 2차 변환 표시자(124)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 경우, 디코더는 변환 표시자(126), 예를 들어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로부터 일차 전용 변환을 식별하는 일차 변환 표시자를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도 11b에 도시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2차 변환 표시자(124)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고, 2차 변환 표시자(124)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다단계 변환(136)인지, 만약 그렇다면, 다단 변환의 2차 변환(136b), 즉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의 T(s)인지, 또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 즉 세트(138) 내의 변환인지를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디코더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 2차 변환 표시자(124)의 경우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즉 세트 138 중 하나에서 일차 전용 변환을,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다단계 변환, 즉 세트(136)의 변환임을 나타내는 2차 변환 표시자(124)의 경우에 및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의 세트(136)가 서로 다른 일차 변환(136a)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경우 다단계 변환의 일차 변환(136)을 식별하는, 일차 변환 표시자(126)를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일차 변환 표시자(126)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중 일차 전용 변환을 나타내거나, 2차 변환 표시자(124)가 나타내는 것에 의존하는 다단계 변환에 대한 일차 변환(136a)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도 11b에 도시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일차 변환 표시자(126)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일차 변환 표시자(126)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1…TN1, 즉 변환의 제 1 세트(132)의 일차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TN1+1…TN2, 즉 변환의 제 2 세트(134)의 일차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중 제 1 변환을 나타낸다. 제 1 변환이 제 1 일차 전용 변환 T1…TN1 중 하나인 경우, 디코더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1…TN1을 포함하는 세트에서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 및 다단계 변환(136),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TN1+1…TN2가 없는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 중 하나를 식별하는 2차 변환 표시자(124)를 데이터 스트림에서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제 1 변환이 제 1 일차 전용 변환 T1…TN1 중 하나인 경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1…TN1 및 다단계 변환(136)의 하나 이상의 일차 변환 T1 (p) 내지
Figure pct00001
을 포함하는 세트 중에서 식별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 변환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은 제 1 변환이 다단계 변환 중 하나의 일차 변환인 경우 하나의 다단계 변환이다. 제 1 변환이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TN1+1…TN2 중 하나인 경우, 하나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은 일차 변환 표시자(126)에 의해 표시된다. 따라서, 제 1 변환이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1…TN1 중 하나인 경우, 2차 변환 표시자(124)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을 나타내고, 제 1 변환이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TN1+1…TN2 중 하나인 경우, 일차 변환 표시자(126)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을 표시한다.
도 11b에 도시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일차 변환 표시자(126)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일차 변환 표시자(126)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1…TN1 및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TN1+1…TN2를 포함하는 세트 중 제 1 변환을 표시한다. 제 1 변환이 다단계 변환(136) 중 하나 이상의 일차 변환 T1 (p) 내지
Figure pct00002
와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 T1…TN1인 경우, 디코더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제 1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에서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 및 일차 변환이 제 1 일차 전용 변환, 예를 들어 일차 변환 표시자(126)에 의해 표시되는 제 1 일차 전용 변환과 동일한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을 식별하는 2차 변환 표시자(124)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0)는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을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일차 변환 표시자(126)의 디코딩을 수행하고,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변환 계수 블록(104)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0)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할 때,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마지막 스캔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1 확률 모델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의 변환 계수(120) 이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2 확률 모델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3 확률 모델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110 및 114)는 마지막 스캔 위치(101) 및 마지막 스캔 위치(101) 업스트림의 미리 결정된 수(240)의 변환 계수(120)가 일치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0)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할 때,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최종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확률 모델을 제 1 확률 모델로 설정하고,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102)가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2 확률 모델로 설정하고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110 및 114)는 마지막 스캔 위치(101)와 마지막 스캔 위치(101) 업스트림의 미리 결정된 수(240)의 변환 계수가 일치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의 변환 정보(108)의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230)을 위한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의 설정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일차 변환 표시자(126)의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을 위한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의 전술한 설정은 특징 및/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차 변환 표시자(126)의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을 위한 제 1, 제 2 및 선택적 제 3 확률 모델은 변환 정보(108)의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을 위한 제 1, 제 2 및 선택적 제 3 확률 모델과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차 변환은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 모두에 대해 동일하고 또한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0 또는 T1 - TN1 중 하나와 동일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직 하나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0만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0)는 변환 계수 블록(104)에 역변환, 예를 들어, 샘플 블록(84)을 획득하기 위해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을 역전하는 역변환을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0)는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를 정정하기 위해 샘플 블록(84)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샘플 블록(84)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20)를 도시한다. 디코더(20)는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계수 위치 정보(150)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계수 위치 정보(150)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를 나타낸다. 계수 위치 정보(150)는 도 7에 도시된 디코더의 계수 위치 정보(100)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특징 및/또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디코더(20)는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로부터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120)의 값을 디코딩하고,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된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들(112)이 0이라고 추론하도록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 계수 블록(104)의 음영 영역의 변환 계수(112)는 0인 것으로 추론된다.
디코더는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에서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되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118), 즉 도 12에서 x로 표시된 변환 계수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인지 확인(152)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확인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유의성 플래그에 기초하여 계수가 개별적으로 0에 대해 확인되는 방식으로 후속하는 설명된 실시예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대안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 확인(152)는 하위 블록 단위로 수행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은 가장 낮은 스펙트럼 성분의 일부 하위 블록을 제외한 모든 하위 블록, 예를 들어 DC 계수를 포함하는 DC 서브블록을 포함하는 블록(104)의 왼쪽 상단 모서리에 있는 nxm 서브블록과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101)를 포함하는 서브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은 m과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n은 4이고 m은 4일 수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변환 계수 블록은 예를 들어 4x4 변환 계수가 큰 각 서브블록을 갖는 서브블록으로 세분될 수 있으므로, 상부 좌측 서브블록은 가장 낮은 스펙트럼 성분의 서브블록이 된다. 예를 들어, 각 하위 블록은 인덱스 또는 변환 계수 블록(104)에서 각각의 서브블록의 위치를 정의하는 좌표, 예를 들어, xS 및 yS로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인덱싱이 각각 0에서 시작할 때각 서브블록에서 xS는 서브블록 열을 나타내고 yS는 서브블록 행을 나타내고, 즉, 서브블록 (xS,yS) = (0,0)은 DC 서브블록이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는 블록(104)의 계수를 서브블록 단위로 순회할 수 있고, 즉, 하위 블록 내의 모든 계수는 다음 하위 블록으로 진행하기 전에 순회된다. 서브블록은 각 서브블록 내 스캔과 유사한 방식, 즉 대각선으로 횡단될 수 있다. 가장 낮은 스펙트럼 성분의 서브블록과 마지막 스캔 위치(101)를 포함하는 서브블록을 제외한 각 서브블록에 대해, 서브블록 플래그가 데이터 스트림에서 전송되며, 즉,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되고 인코더에 의해 인코딩되고, 서브블록은 임의의 중요한 계수가 각각의 서브블록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각각의 서브블록에 대해 나타낸다. 디코더는 이러한 서브블록 플래그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영역 외부의 임의의 서브블록에, 즉 nxn개의 가장 낮은 스펙트럼 성분 서브블록과 마지막 코딩된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블록 사이의 임의의 서브블록 내에 중요한 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측정에 의해,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118)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즉 nxn 서브블록과 마지막 코딩된 계수를 포함하는 서브블록 사이의 서브블록에 대한 모든 코딩된 서브블록 플래그가 0인 경우 0인지 테스트되다. 예를 들어, 소정 영역이 16x16 변환 계수가 큰 경우, 즉 너비가 4 서브블록이고 높이가 4 서브블록인 경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하위 블록, 예를 들어 좌표 xS>3 또는 yS>3으로 표시된 서브블록이 하나 이상의 중요한 변환 계수를 포함하는지가 체크된다(152). 이하 다시 설명한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118)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면, 디코더(20)는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변환 정보(154)를 디코딩(153)하고 변환 정보(154)를 사용하여, 이용가능한 변환들의 세트(130) 중에서 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 중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 중에서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을 식별(155)하도록 구성된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118)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 아니면, 디코더는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를 제거함으로써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를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로 줄이고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로부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또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서브블록이 미리 결정된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예: 왼쪽 상단 16x16 계수), 그리고 예를 들어 각 서브블록이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 제한된 변환 세트만을 따르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의 변환만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세트(132)가 단 하나의 변환, 예를 들어 DCT-II만을 포함하는 경우, mts_idx의 값은 0으로 추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예를 들어 도 11a 또는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에 포함되고,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TN1+1…TN2,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1…TN1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0 및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T1…TN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12에서 x로 표시된,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118)가 0이 아닌 제 2 경우에, 디코더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으로서 하나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0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2에서 x로 표시된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118)가 0인 다른 경우, 디코더는 블록(104)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에서 전송되는, 즉, 디코더에 의해 데이터 스트림에서 디코딩되고 이 다른 경우에는 인코더에 의해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되는 인덱스를 통해 세트(130)에서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을 결정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5개의 상이한 옵션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변환 T0은 DCTII-DCTII 변환일 수 있다. 후자의 예는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영역 외부의 영점을 서브블록 단위로 확인하는 전술한 예와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예에서,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2차 변환과 함께 방금 윤곽이 표시된 것으로 결정된 일차 변환의 조합인 것에 따라 블록(104)에 대한 코딩 옵션이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지막으로 코딩된 변환 계수의 위치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추가 인덱스는 2차 변환 세트에서 2차 변환을 선택한다. 이 세트는 하나의 옵션으로 2차 변환, 즉, 일차 변환을 일차 전용 변환으로 효과적으로 남겨두는 ID 변환으르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2차 변환도 사용되지 않는다.
변환 계수 블록(104)과 함께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은 변환된 표현을 정의하고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는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118), 즉 x로 표시된 변환 계수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한 두 개의 변환 계수(120)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된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변환 계수(120)을 스캔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위치하고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모든 변환 계수(118)가 0인지 확인(152)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확인(152)는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수행된다. 이것은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변환 계수가 0이 아니어야 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0)는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을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변환 정보(154)의 디코딩(153)을 수행하고,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변환 계수 블록(104)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의 변환 정보(154)의 컨텍스트 적응적 엔트로피 디코딩을 위한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변환 정보(108)의 컨텍스트 적응적 엔트로피 디코딩(230)을 위한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변환 정보(154)의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을 위한 제 1, 제 2 및 선택적 제 3 확률 모델은 변환 정보(108)의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을 위한 제 1, 제 2 및 선택적 제 3 확률 모델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계 변환(136)을 포함하며, 각각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
Figure pct00003
및 2차 변환
Figure pct00004
의 연결에 대응하고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일차 변환
Figure pct00005
로 구성된다. 다단계 변환(136)은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에 포함된다.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는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가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 모두에 대한 일차 변환
Figure pct00006
는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 T0,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T1-TN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되고 도 11a에 도시된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가 사용된다. 디코더(20)는,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118)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면,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2차 변환 표시자(156)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고, 2차 변환 표시자(156)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다단 변환(136)인지 및 하나 이상의 다단 변환(136) 중 어느 것인지, 또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138)인지를 표시한다. 다시 말해, 2차 변환 표시자(156)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다단계 변환(136)에 속하는지 또는 일차 전용 변환(138)에 속하는지 여부를 표시하고, 변환(131)이 다단계 변환(136)에 속하는 경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은 2차 변환 표시자(156)에 의해 직접 표시된다. 또한, 이 제 1 경우(157) 2차 변환 표시자(156)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138)임을 나타내는지 여부가 확인되고, 2차 변환 표시자(156)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138)임을 나타내는 경우, 디코더(20)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로부터 일차 전용 변환을 식별하는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변환 표시자(160), 예를 들어, 일차 변환 표시자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경우(159)에,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로부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118)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 아니면,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은 제 1 일차 전용 변환 T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되고 도 11a에 도시된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가 사용된다. 디코더(20)는,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118)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면,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일차 변환 표시자(160)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일차 변환 표시자(160)는 제 1 일차 전용 변환 T0 및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T1-TN1을 포함하는 세트 중 제 1 변환을 표시하다. 제 1 변환이 제 1 일차 전용 변환 T0인 경우, 디코더(20)는 제 1 일차 전용 변환 T0 및 다단계 변환(136)을 포함하는 세트로부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을 식별하는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2차 변환 표시자(156)를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변환이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T1-TN1 중 하나인 경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은 하나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즉 일차 변환 표시자(160)에 의해 표시되는 제 2 일차 전용 변환이다.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118)가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 아니면,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은 제 1 일차 전용 변환 T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차 변환
Figure pct00007
은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_ 모두에 대해 동일하고 또한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와 동일하며, 예를 들어 도 11a의 T0과 동일하거나 도 11b의 T1-TN1 중 하나와 동일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직 하나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T0만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0)는 샘플 블록(84)을 획득하기 위해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을 역전하는 역변환을 변환 계수 블록(104)에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0)는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를 정정하기 위해 샘플 블록(84)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 내지 도 12 중 하나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디코더 중 하나로서 병렬 특징 및/또는 기능을 갖는 인코더는 변환 계수 블록(104)을 획득하기 위해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을 샘플 블록(84)에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 내지 도 12 중 하나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디코더 중 하나로서 병렬 특징 및/또는 기능을 갖는 인코더는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의 예측 잔차를 유도하고 예측 잔차를 나타내기 위해 예를 들어 양자화를 포함하는 샘플 블록(84)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음 설명은 변환 유형 시그널링에 대한 코딩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두 가지 방법을 다시 설명한다.
1. 서브블록의 계수 레벨 이후에 신호 변환 유형 유지
현재 변환 블록(104)에서 제 1(마지막) 중요 계수 위치(102)가 허용된 변환의 특정 서브세트에 대해 모든 계수가 0과 같아야 하는 영역 내부에 위치할 때, 즉, 제 1(마지막) 중요 계수 위치(102)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예: 위에서 설명한 DCT-II가 아닌 변환의 경우 16x16 영역 외부) 위치할 때, 0이 아닌 요건을 갖지 않는 허용된 변환의 하위 세트,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변환의 세트(130)의 이용가능한 변환들의 제 1 세트(132)의 변환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하위 세트에 하나의 변환만 포함된 경우 신호가 필요하지 않고 변환이 추론된다(예: MTS 인덱스는 시그널링되지 않고 대신 도 13의 두 단순화된 구문 다이어그램에 설명되어 있는 0으로 추론됨)
도 13은 mts_idx를 사용한 변환 선택에 따라 수정되지 않은 서브블록(SB) 스캐닝을 사용하는 단순화된 구문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현재 변환 블록(104)에서 제 1(마지막) 중요 계수 위치(102)가 허용된 변환의 특정 서브세트에 대해 모든 계수가 0과 같아야 하는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즉, 제 1(마지막) 중요 계수 위치(102)가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예: 위에서 설명한 DCT-II가 아닌 변환의 경우 16x16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후속적으로 스캔된 계수의 위치가 확인(152)된다. 적어도 하나의 계수(118)가 0이 아닌 영역, 즉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0이 아닌 요건을 갖지 않는 허용된 변환의 하위 세트, 이용가능한 변환들의 세트(130)의 이용가능한 변환들의 제 1 세트(132)의 변환만이 신호될 수 있다. 하위 세트에 하나의 변환만 포함된 경우, 시그널링은가 필요하지 않고 변환이 추론된다(예: MTS 인덱스는 신호를 받지 않고 대신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됨). 이 조건은 도 13의 오른쪽에 있는 단순화된 구문 다이어그램에 설명되어 있다 (AllLumaCoeffOutside16x16AreZero의 조건 참조).
LFNST와 같은 추가 변환이 적용되고, 그 선택이 변환 유형 전에 시그널링(156)되고, 이것은 추가 변환이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추가 변환과 결합하여 허용되는 변환의 하위 세트만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분분세트가 하나의 변환만 포함하는 경우, 시그널링은 필요하지 않고 변환이 추론된다(예를 들어, LFNST가 적용되었다는 것을 시그널링하는, LFNST 인덱스가 0보다 크면, MTS 인덱스는 시그널링되지 않고 대신 0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되며, 이는 도 13의 두 단순화된 구문 다이어그램에 예시된 DCT-II에 해당한다).
추가 변환이 적용되고(예: LFNST), 그 선택이 변환 유형 이후에 시그널링되고(156) 변환 유형이 추가 변환과 결합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변환을 나타내는 경우, 추가 변환의 선택은 신호를 받지 않지만 비활성화된 것으로 추론된다(예를 들어 DCT-II가 아닌 변환이 적용되었다는 것을 시그널링하는, MTS 인덱스가 0보다 큰 경우, LFNST 인덱스는 신호를 받지 않고 대신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되며, 이는 LFNST 비활성화에 해당한다).
2. 제 1(마지막) 중요 계수 위치 이후 및 서브블록의 계수 레벨 이전 신호 변환 유형
현재 변환 블록(104)의 제 1(마지막) 중요 계수 위치(102)가 시그널링된 후(100), 허용된 변환의 특정 하위 세트에 대해 모든 계수가 0과 같아야 하는 영역 내부에 위치하며, 즉, 제 1(마지막) 중요 계수 위치(102)는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예를 들어, 상술된 DCT-II가 아닌 변환의 경우 16x16 영역 외부)에 위치된 후에, 0이 아닌 요건을 갖지 않는 허용된 변환의 하위 세트,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의 변환만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부분세트가 하나의 변환만 포함하는 경우, 시그널링은 필요하지 않고 변환이 추론된다(예: MTS 인덱스가 시그널링되지 않고 대신 0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됨). 이 조건은 도 14의 두 단순화된 구문 다이어그램에 모두 나와 있다(16x16의 LastCoeffPosY에 대한 조건 참조).
도 14는 mts_idx를 사용한 변환 선택에 따라 수정된 서브블록(SB) 스캐닝이 있는 단순화된 구문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특정 영역, 즉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모든 계수가 0과 같아야 한다는 변환이 시그널링되면, 이 영역, 즉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의 서브블록 및 계수만이 도 3의 좌측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 경로(114)에 있는 방식으로 스캔 순서가 변경된다. 이 조건은 도 14의 두 단순화된 구문 다이어그램에도 나와 있다(mts_idx > 0에 대한 조건 참조).
LFNST와 같은 추가 변환이 적용될 수 있고, 그 선택(124)이 변환 유형이후에 시그널링되고, 변환 유형이 추가 변환, 예를 들어, 제 2 일차 전용 변환의 변환과 결합할 수 없는 변환을 표시하는 경우, 추가 변환의 선택은 시그널링되지 않고 비활성화되게 추론된다(예를 들어, DCT-II가 아닌 변환이 적용되었다는 것을 시그널링하는, MTS 인덱스가 0보다 큰 경우, LFNST 인덱스는 신호를 받지 않고 대신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되며, 이는 도 14의 왼쪽에 있는 단순화된 구문 다이어그램에 표시된 LFNST 비활성화에 해당한다).
이전 경우 외에도, 변환 유형의 시그널링은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코딩(230), 도 9와 같이 상황 적응형 이진 산술 코딩(CABAC)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텍스트 선택은 추가 변환(예: LFNST)을 적용할 수 있는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것은 제 1(마지막) 중요 계수 위치(102)로부터 추론된 현재 블록, 즉 현재 변환 계수 블록(104)의 0이 아닌 계수의 수(240)일 수 있다. DC 계수, 즉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101), 즉 왼쪽 상단(0,0) 제로 주파수 위치에 추가 변환을 적용하여, 동일한 DC 계수가 생성되면, 현재 변환 블록에 하나의 DC 계수만 존재하는 경우, 즉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그러한 추가 변환을 적용하고 신호를 보내는 것이 맞지 않는다. 따라서 마지막(제 1) 중요한 위치가 스캔 순서의 처음이자 마지막 위치이기도 한 DC 위치를 가리키면, 추가 변환은 신호를 받을 필요가 없으며 특정 컨텍스트 A, 예를 들어, 제 1 확률 모델이 MTS 지수에 대해 선택된다.
이 경우는 도 10의 오른쪽에 나와 있다. 또한, 곱셈의 수의 측면에서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계수의 특정 최대 수(240)(예: 8)만이 스캔 순서(110)의 추가 변환을 위해 제 1(마지막) 중요 위치(102)에서 DC, 즉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허용될 수 있다. 이 경우는 도 10의 왼쪽에 설명되어 있다. 추가 변환이 적용될 수 있고/있거나 표시가 시그널링되는 다른 모든 경우, 다른 컨텍스트 B, 예를 들어 제 2 확률 모델이 선택된다. 요약하면 이전 예를 기반으로 한 컨텍스트 선택 조건은 다음과 같다.
* 현재 변환 블록(104)이 DC보다 0이 아닌 계수가 더 많고 마지막 유효 위치에서 DC까지 스캔 순서(110)에서 계수가 8개 이하인 경우, 컨텍스트 A, 예를 들어 제 2 확률 모델(2362)을 선택한다.
* 그렇지 않으면 컨텍스트 B를 선택한다.
다른 예는 조건에 따라 2개 이상의 컨텍스트를 가질 수 있다.
* 현재 변환 블록(104)에 DC보다 0이 아닌 계수가 더 없는 경우, 컨텍스트 A, 즉 제 1 확률 모델(2361)을 선택한다.
* 그렇지 않고, 마지막 유효 위치에서 DC까지 스캔 순서에 8개 이하의 계수가 있는 경우, 컨텍스트 B, 즉 제 2 확률 모델(2362)을 선택한다.
* 그렇지 않으면, 컨텍스트 C, 즉 제 3 확률 모델(2363)을 선택한다.
조건은 여러 변환 블록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루마 변환 블록이 다중(예: 4) 변환 블록으로 분할된 경우, 루마 및 2개의 크로마 블럭에 또는 1개 이상의 루마 블록에 대해 DC보다 더 많은 계수가 있어야 한다.
도 10은 4개의 4x4 서브블록을 갖는 8x8 블록으로 스캔 순서로 최대 8개의 0이 아닌 계수(왼쪽) 또는 DC 위치에서 하나의 0이 아닌 계수(오른쪽)를 도시한다.
추가 변환이 적용될 수 있고(예: LFNST), 그 선택이 변환 유형 이전에 신호를 보내고 추가 변환이 적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추가 변환과 결합하여 허용되는 변환의 하위 세트만 신호를 받을 수 있다. 하위 세트에 하나의 변환만 포함된 경우, 시그널링은 필요하지 않고 변환이 추론된다(예: LFNST가 적용된 것을 시그널링하는, LFNST 인덱스가 0보다 큰 경우, MTS 인덱스는 신호를 받지 않고 대신 0과 같은 것으로 추론되며, 이는 DCT-II에 해당하며 도 14의 오른쪽에 있는 단순화된 구문 다이어그램에 설명되어 있다).
3. 구현 사례
도 11a 및 11b에 표시된 일차 변환 Ti 및 Ti (p)은 다음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o DCT-II(또는 DCT-III), 여기서 DCT는 이산 코사인 변환을 나타냄.
o DST-IV, 여기서 DST는 이산 사인 변환을 나타냄.
o DCT-IV
o DST-VII
o ID 변환(IT)
일차 변환 Ti 및 Ti (p)는 분리 가능한 변환일 수 있다.
2차 변환 Ti (s)는 인코더에서 순방향으로 최종 변환 계수 블록(104)의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서 하위 영역(106) 내에서 일차 변환의 Ti (p) 계수에 적용되는 분리 불가능한 변환일 수 있으며, 여기서 디코더는 역변환 T-1을 변환 계수 블록(104)에 적용하여 샘플 블록(84)을 획득함으로써 결과적인 다단 변환 Ti (s)·Ti (p)를 역전시킨다.
다음에 유의해야 한다. 순서(114 및 110)는 (수평 및 수직) 최고 주파수 계수로부터 대각선 스캐닝의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DC 계수일 수 있는 마지막 스캔 위치(101)에 대해 블록(104)의 반대쪽 모서리에 위치함), 다른 서브블록에 선행하기 전에 먼저 서브블록 내의 모든 계수를 스캐닝하는 서브블록 단위 스캐닝 프로세스를 따라 계수를 스캐닝할 필요는 없다. 또한, 서브어레이(106)는 16x16 계수 크기로 제한되지 않으며 마지막 스캐닝 위치(101)로부터 블록(104) 내의 반대편 코너까지 연장되는 계수의 임의의 직사각형 서브어레이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1a는 단지 예시적이었다. 하나 이상의 일차 전용 변환이 세트 132에 포함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1b에 도시되어 있다. 다단계 변환(136)의 일차 변환
Figure pct00008
내지
Figure pct00009
은 다른 변환과 동일하지 않지만, 하나 이상이 세트(132)의 일차 전용 변환에 속하거나 속하지 않을 수 있는 세트(136)의 다른 구성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T1 (p) =…= TN2 (p) = T0인 성상도 때문에, 표시자(124)를 일차 전용 변환이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 선택된 다단계 변환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하거나, 일차 전용 변환이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 선택된 2차 변환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표시자(124)는 대안적으로 여전히 사용 가능한 경우 2차 변환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부 측면은 장치의 맥락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측면은 또한 해당 방법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며,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기능에 해당한다. 유사하게, 방법 단계의 맥락에서 설명된 측면은 또한 대응하는 블록 또는 대응하는 장치의 항목 또는 특징의 설명을 나타낸다. 방법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또는 이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 중 하나 이상이 이러한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비디오 신호와 같은 본 발명의 인코딩된 신호는 디지털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무선 전송 매체 또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 전송 매체와 같은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특정 구현 요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각각의 방법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하는(또는 협력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가 저장된 플로피 디스크, DVD, Blu-Ray, CD, ROM, PROM, EPROM, EEPROM 또는 FLASH 메모리와 같은 디지털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는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판독 가능한 제어 신호를 갖는 데이터 캐리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동작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예를 들어 기계 판독 가능한 캐리어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기계 판독 가능한 캐리어에 저장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추가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여기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캐리어(또는 디지털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이다. 데이터 매체, 디지털 저장 매체 또는 기록 매체는 일반적으로 유형 및/또는 비일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들의 시퀀스이다.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의 시퀀스는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통신 연결을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응된 처리 수단,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한다.
추가 실시예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신기에 (예를 들어, 전자적으로 또는 광학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수신기는 예를 들어 컴퓨터, 모바일 장치, 메모리 장치 등일 수 있다. 장치 또는 시스템은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신기에 전송하기 위한 파일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측면에서,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예: 현장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협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는 하드웨어 장치를 사용하여, 또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또는 하드웨어 장치와 컴퓨터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의 임의의 컴포넌트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은 하드웨어 장치를 사용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하드웨어 장치와 컴퓨터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또는 여기에 설명된 장치의 임의의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배열 및 세부사항의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설명 및 설명을 통해 제시된 특정 세부사항이 아니라 계류중인 특허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이 의도이다.

Claims (64)

  1.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샘플 블록(84)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20)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20)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계수 위치 정보(100)를 디코딩하고 - 상기 계수 위치 정보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를 나타냄 - ,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107),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서 전송된 변환 정보(108)를 사용하여,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 중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 또는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 중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 내에 있는지 확인하고(111),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변환 계수의 상기 값을 디코딩(109)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112)가 0이라고 추론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며,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로부터 상기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의 값을 디코딩(113)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116)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가 0이라고 추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과 함께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은 상기 변환된 표현을 정의하고,
    상기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상기 변환 계수 사이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변환 계수(118)를 스캔하지 않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한 2개의 변환 계수(120) 사이에서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되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118)가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는, 디코더(2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를 제거함으로써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를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로 줄이고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로부터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변환 계수의 상기 값을 디코딩(109)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변환 계수가 0임을 추론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230)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변환 정보(108)를 디코딩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할 때,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1 확률 모델(2361)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2 확률 모델(2362)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3 확률 모델(2363)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110, 114)는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및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업스트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의 변환 계수(122)가 일치하는, 디코더(2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할 때,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로부터 변환 계수의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 떨어져 있거나,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1 확률 모델(2381)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계수 떨어져 있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2 확률 모델(2382)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는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및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업스트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의 변환 계수가 일치하는, 디코더(20).
  6.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상기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가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20)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2차 변환 표시자(124)를 디코딩하고 -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24)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다단계 변환인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중 어느 것인지, 또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인지를 표시함 - ,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24)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중 상기 일차 전용 변환을 식별하는 변환 표시자(126)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7.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 및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상기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세트(136),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가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20)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2차 변환 표시자(124)를 디코딩하고 -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24)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다단계 변환인지, 그렇다면, 상기 다단계 변환의 상기 2차 변환을, 또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인지를 표시함 - ,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24)의 경우, 상기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중 상기 일차 전용 변환, 및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이 다단계 변환임을 나타내는 2차 변환 표시자(124)의 경우, 및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의 상기 세트(136)가 서로 다른 일차 변환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다단계 변환 중 상기 일차 변환을 식별하는, 일차 변환 표시자(126)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8.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각각이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상기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다단계 변환(136),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가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 모두에 대한 상기 일차 변환이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20)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일차 변환 표시자(126)를 디코딩하고 - 상기 일차 변환 표시자(126)는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138) 중 제 1 변환을 표시함 - ,
    상기 제 1 변환이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경우,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상기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로부터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식별하는 2차 변환 표시자(124)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은, 상기 제 1 변환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인 경우에, 상기 하나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인, 디코더(20).
  9.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각각이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상기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다단계 변환 세트(136), 및
    하나 이상의 가용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가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가용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20)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일차 변환 표시자(126)를 디코딩하고 - 상기 일차 변환 표시자(126)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138) 중 제 1 변환을 표시함 - ,
    상기 제 1 변환이 상기 다단계 변환 중 하나 이상 중 하나의 일차 변환과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경우,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일차 변환이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과 동일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 중에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식별하는 2차 변환 표시자(124)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일차 변환 표시자(126)의 상기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할 때,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1 확률 모델(2361)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져 있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2 확률 모델(2362)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3 확률 모델(2363)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110, 114)는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및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업스트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의 변환 계수(122)가 일치하는, 디코더(20).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할 때,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져 있거나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1 확률 모델(2381)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계수 떨어진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2 확률 모델(2382)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는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 및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 업스트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의 변환 계수가 일치하는, 디코더(20).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변환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모두에 대해 동일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와도 동일한, 디코더(20).
  14.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만 있는, 디코더(20).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역전하는 역변환을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에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를 정정하기 위해 상기 샘플 블록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17.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샘플 블록(84)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20)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계수 위치 정보(150)를 디코딩하고 - 상기 계수 위치 정보(150)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를 나타냄 - ,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의 값을 디코딩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112)가 0이라고 추론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인지 확인하고(152),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변환 정보(154)를 디코딩하고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하여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 138)로부터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을 식별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 아니면,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 138)를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로 감소하고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로부터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과 함께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은 상기 변환된 표현을 정의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한 2개의 변환 계수(120) 사이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되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118)가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는, 디코더(20).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고(152a),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모든 변환 계수(118)가 0인지 확인하도록(152b)
    구성되는, 디코더(20).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사용하는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디코딩(230)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변환 정보(154)의 상기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상기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할 때,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1 확률 모델(2361)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2 확률 모델(2362)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3 확률 모델(2363)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할 때,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지거나,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1 확률 모델(2381)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가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계수 떨어진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2 확률 모델(2382)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22.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각각이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상기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다단계 변환(136),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가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 모두에 대한 상기 일차 변환이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의 세트(138)
    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20)는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2차 변환 표시자(156)를 디코딩하고 -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56)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다단계 변환인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중 어느 것인지, 또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인지를 나타냄 -,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56)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고(158),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56)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중 상기 일차 전용 변환을 식별하는 변환 표시자(160)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 아니면,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은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디코더(20).
  23.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각각이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상기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다단계 변환(136),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가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 모두에 대한 상기 일차 변환이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더(20)는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일차 변환 표시자(160)를 디코딩하고 - 상기 일차 변환 표시자(160)는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138) 중 제 1 변환을 표시함 - ,
    상기 제 1 변환이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경우,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상기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 중에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식별하는 2차 변환 표시자(156)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디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은 상기 제 1 변환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인 경우, 상기 하나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 아니면,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은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디코더(20).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변환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모두에 대해 동일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와도 동일한, 디코더(20).
  25. 제 22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하나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만 있는, 디코더(20).
  26. 제 17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역전하는 역변환을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이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27.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를 정정하기 위해 상기 샘플 블록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디코더(20).
  28. 데이터 스트림(14)으로 샘플 블록(84)의 변환된 표현을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10)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10)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계수 위치 정보(100)를 인코딩하고 - 상기 계수 위치 정보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를 나타냄 - ,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107),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이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 중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 또는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 중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 내에 있는지 확인하고(111),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변환 계수의 상기 값을 인코딩(109)하고, -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112)가 0이라고 추론함 - ,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며,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로부터 상기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의 값을 인코딩(113)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116)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는 0이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과 함께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은 상기 변환된 표현을 정의하고,
    상기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상기 변환 계수 사이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의 변환 계수)를 스캔하지 않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의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한 2개의 변환 계수(120) 사이에서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되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118)가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는, 인코더(10).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를 제거함으로써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를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로 줄이고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로부터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변환 계수의 상기 값을 인코딩(109)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변환 계수는 0인, 인코더(10).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인코딩(230)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상기 변환 정보(108)를 인코딩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10).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할 때,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1 확률 모델(2361)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2 확률 모델(2362)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3 확률 모델(2363)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110, 114)는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및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업스트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의 변환 계수(122)가 일치하는, 인코더(10).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할 때,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져 있거나,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1 확률 모델(2381)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계수 떨어져 있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2 확률 모델(2382)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는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와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 업스트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의 변환 계수가 일치하는, 인코더(10).
  33.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상기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가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10)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2차 변환 표시자(124)를 인코딩하고 -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24)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다단계 변환인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중 어느 것인지, 또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인지를 표시함 - ,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24)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중 상기 일차 전용 변환을 식별하는 변환 표시자(126)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10).
  34.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 및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상기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세트(136),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가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10)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2차 변환 표시자(124)를 인코딩하고 -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24)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다단계 변환인지, 그렇다면, 상기 다단계 변환의 상기 2차 변환을, 또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이 일차 전용 변환인지를 표시함 - ,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24)의 경우, 상기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중 상기 일차 전용 변환, 및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이 다단계 변환임을 나타내는 2차 변환 표시자(124)의 경우, 및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의 상기 세트(136)가 서로 다른 일차 변환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다단계 변환 중 상기 일차 변환을 식별하는, 일차 변환 표시자(126)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10).
  35.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각각이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상기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다단계 변환(136),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가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 모두에 대한 상기 일차 변환이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10)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일차 변환 표시자(126)를 인코딩하고 - 상기 일차 변환 표시자(126)는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138) 중 제 1 변환을 표시함 - ,
    상기 제 1 변환이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경우,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상기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138)로부터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식별하는 2차 변환 표시자(124)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은, 상기 제 1 변환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인 경우에, 상기 하나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인, 인코더(10).
  36.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각각이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상기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다단계 변환 세트(136), 및
    하나 이상의 가용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가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가용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10)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일차 변환 표시자(126)를 인코딩하고 - 상기 일차 변환 표시자(126)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138) 중 제 1 변환을 표시함 - ,
    상기 제 1 변환이 상기 다단계 변환 중 하나 이상 중 하나의 일차 변환과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경우,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일차 변환이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과 동일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 중에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식별하는 2차 변환 표시자(124)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10).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인코딩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상기 일차 변환 표시자(126)의 상기 인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10).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할 때,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1 확률 모델(2361)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져 있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2 확률 모델(2362)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3 확률 모델(2363)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110, 114)는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및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 업스트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의 변환 계수(122)가 일치하는, 인코더(10).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결정할 때,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져 있거나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1 확률 모델(2381)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가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계수 떨어진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을 제 2 확률 모델(2382)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계수 스캔 순서는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 및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 업스트림의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의 변환 계수가 일치하는, 인코더(10).
  40. 제 33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변환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모두에 대해 동일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와도 동일한, 인코더(10).
  41. 제 33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만 있는, 인코더(10).
  42. 제 28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역전하는 역변환을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에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피드백 루프를 포함하는, 인코더(10).
  43. 제 28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상기 샘플 블록에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10).
  44. 제 28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를 정정하기 위해 상기 샘플 블록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피드백 루프를 포함하는, 인코더(10).
  45. 제 28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의 예측 잔차를 유도하고 상기 예측 잔차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샘플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10).
  46. 데이터 스트림(14)으로 샘플 블록(84)의 변환된 표현을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10)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14)으로 계수 위치 정보(150)를 인코딩하고 - 상기 계수 위치 정보(150)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를 나타냄 - ,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의 값을 인코딩하고 -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112)는 0임 - ,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인지 확인하고(152),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 정보(154)를 인코딩하고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하여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 138)로부터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131)을 식별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 아니면,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 138)를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로 감소하고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로부터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과 함께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은 상기 변환된 표현을 정의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한 2개의 변환 계수(120) 사이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되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118)가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는, 인코더(10).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고(152a),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모든 변환 계수(118)가 0인지 확인하도록(152b)
    구성되는, 인코더(10).
  48.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사용하는 컨텍스트 적응 엔트로피 인코딩(230)을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상기 변환 정보(152)의 상기 인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10).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상기 따라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할 때,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1 확률 모델(2361)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2 확률 모델(2362)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가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변환 계수 떨어진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3 확률 모델(2363)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10).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 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결정할 때,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수(240) 이하의 변환 계수 떨어지거나,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1 확률 모델(2381)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코딩된 변환 계수 위치가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수(240) 이상의 계수 떨어진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확률 모델(232)을 제 2 확률 모델(2382)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10).
  51.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각각이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상기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다단계 변환(136),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가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 모두에 대한 상기 일차 변환이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의 세트(138)
    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2차 변환 표시자(156)를 인코딩하고 -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56)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다단계 변환인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중 어느 것인지, 또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인지를 나타냄 -,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56)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지 확인(158)하고,
    상기 2차 변환 표시자(156)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이 일차 전용 변환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중 상기 일차 전용 변환을 식별하는 변환 표시자(160)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 아니면,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은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인코더(10).
  52. 선행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는,
    각각이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일차 변환과 2차 변환의 연결에 대응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상기 일차 변환으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되는, 다단계 변환(136),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가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136) 모두에 대한 상기 일차 변환이 동일한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일차 전용 변환 세트(138)
    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일차 변환 표시자(160)를 인코딩하고 - 상기 일차 변환 표시자(160)는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138) 중 제 1 변환을 표시함 - ,
    상기 제 1 변환이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경우,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 및 상기 다단계 변환을 포함하는 세트 중에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식별하는 2차 변환 표시자(156)를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은 상기 제 1 변환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인 경우, 상기 하나의 제 2 일차 전용 변환이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 아니면,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은 상기 제 1 일차 전용 변환인, 인코더(10).
  53. 제 51 항 또는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변환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다단계 변환 모두에 대해 동일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 중 하나와도 동일한, 인코더(10).
  54. 제 51 항 또는 제 53 항에 있어서, 하나의 제 1 일차 전용 변환만 있는, 인코더(10).
  55. 제 46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역전하는 역변환을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이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피드백 루프를 포함하는, 인코더(10).
  56. 제 46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131)을 상기 샘플 블록에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10).
  57. 제 46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를 정정하기 위해 상기 샘플 블록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피드백 루프를 포함하는, 인코더(10).
  58. 제 46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트라 픽처 또는 인터 픽처 예측에 의해 획득된 예측 신호의 예측 잔차를 유도하고 상기 예측 잔차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샘플 블록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10).
  59.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샘플 블록(84)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계수 위치 정보(100)를 디코딩하는 단계 - 상기 계수 위치 정보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를 나타냄 - ,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107),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서 전송된 변환 정보(108)를 사용하여,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 중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 또는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 중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111),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변환 계수의 상기 값을 디코딩하고(109),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112)가 0이라고 추론하는 단계,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며,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로부터 상기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의 값을 디코딩하고(113),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116)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가 0이라고 추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과 함께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은 상기 변환된 표현을 정의하고,
    상기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상기 변환 계수 사이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변환 계수를 스캔하지 않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한 2개의 변환 계수(120) 사이에서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되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118)가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는, 방법.
  60.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샘플 블록(84)의 변환된 표현을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14)으로부터 계수 위치 정보(150)를 디코딩하는 단계 - 상기 계수 위치 정보(150)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를 나타냄 - ,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의 값을 디코딩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112)가 0이라고 추론하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인지 확인하는 단계(152),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변환 정보(154)를 디코딩하고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하여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 138)로부터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 아니면,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 138)를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로 감소하고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로부터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과 함께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은 상기 변환된 표현을 정의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한 2개의 변환 계수(120) 사이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되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118)가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는, 방법.
  61. 데이터 스트림(14)으로 샘플 블록(84)의 변환된 표현을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계수 위치 정보(100)를 인코딩하는 단계 - 상기 계수 위치 정보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를 나타냄 - ,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107),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변환이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130) 중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 또는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 중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134) 내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111),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132)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101)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변환 계수의 상기 값을 인코딩하는 단계(109) -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112)는 0임 - ,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이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2 세트(134)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며,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로부터 상기 마지막으로 스캔된 위치(101)까지 위치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의 값을 인코딩하는 단계(113) -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116) 및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가 0임 -
    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과 함께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은 상기 변환된 표현을 정의하고,
    상기 제 2 계수 스캔 순서(114)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상기 변환 계수 사이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외부의 변환 계수를 스캔하지 않고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의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고,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한 2개의 변환 계수(120) 사이에서 상기 제 1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되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118)가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는, 방법.
  62. 데이터 스트림(14)으로 샘플 블록(84)의 변환된 표현을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스트림(14)으로 계수 위치 정보(150)를 인코딩하는 단계 - 상기 계수 위치 정보(150)는 변환 계수 블록(104) 내의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를 나타냄 - ,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104)의 변환 계수의 값을 인코딩하는 단계 -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102)의 업스트림에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변환 계수(112)는 0임 - ,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된 위치까지 위치한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인지 확인하는 단계(152),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0이면,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 정보(154)를 인코딩하고 상기 변환 정보를 사용하여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 138)로부터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변환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를 따라, 상기 제 1 코딩된 계수 위치부터 상기 마지막 스캔 위치까지 위치하는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모든 변환 계수가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0이 아니면,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의 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2 세트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이용 가능한 변환 세트(130; 138)를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제 1 세트(132)로 감소하고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변환의 상기 제 1 세트로부터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계수 블록과 함께 상기 변환 계수 블록의 기초가 되는 상기 변환은 상기 변환된 표현을 정의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내부에 위치한 2개의 변환 계수(120) 사이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계수 스캔 순서(110)에 의해 스캔되는 상기 미리 결정된 하위 영역(106) 외부에 하나 이상의 변환 계수(118)가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변환 계수를 스캔하는, 방법.
  63.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 59 항, 제 60 항, 제 61 항 및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64. 제 61 항 및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포함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비디오를 저장하는 데이터 스트림.
KR1020227021958A 2019-11-26 2020-11-25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에 대한 코딩 개념 KR202201031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1643 2019-11-26
EP19211643.2 2019-11-26
PCT/EP2020/083440 WO2021105255A1 (en) 2019-11-26 2020-11-25 Coding concepts for a transformed representation of a sample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181A true KR20220103181A (ko) 2022-07-21

Family

ID=6880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1958A KR20220103181A (ko) 2019-11-26 2020-11-25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에 대한 코딩 개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30007252A1 (ko)
EP (1) EP4066492A1 (ko)
JP (2) JP7436663B2 (ko)
KR (1) KR20220103181A (ko)
CN (1) CN114982234A (ko)
BR (1) BR112022010185A2 (ko)
CA (1) CA3162150A1 (ko)
IL (1) IL293333A (ko)
MX (1) MX2022006140A (ko)
TW (1) TWI789649B (ko)
WO (1) WO2021105255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1846B2 (en) 2010-10-22 2017-05-02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canning of transform coefficients for video coding
US9756360B2 (en) 2011-07-19 2017-09-05 Qualcomm Incorporated Coefficient scanning in video coding
KR102465119B1 (ko) 2018-04-01 202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축소된 2차 변환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93333A (en) 2022-07-01
TW202137761A (zh) 2021-10-01
EP4066492A1 (en) 2022-10-05
US20230007252A1 (en) 2023-01-05
WO2021105255A1 (en) 2021-06-03
BR112022010185A2 (pt) 2022-08-09
CA3162150A1 (en) 2021-06-03
MX2022006140A (es) 2022-08-22
JP7436663B2 (ja) 2024-02-21
JP2024050875A (ja) 2024-04-10
JP2023502749A (ja) 2023-01-25
CN114982234A (zh) 2022-08-30
TWI789649B (zh)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67105B (zh) 基於分區之框內寫碼技術
KR102450506B1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TWI779306B (zh) 包含用於框內子分區之寫碼之解碼器、編碼器及方法
KR20180061046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180121514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636388B1 (ko) 변환 계수 블록 코딩
US11949864B2 (en) Video coding method and device, video decoding method and device
US118437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a picture using picture boundary handling
US20230388496A1 (en) Encoding and decoding a picture
EP4085638A1 (en) Determining a parametrization for 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KR102435493B1 (ko) 영상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20103181A (ko) 샘플 블록의 변환된 표현에 대한 코딩 개념
KR20180096194A (ko) 변환 계수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