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875A -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875A
KR20220102875A KR1020210005346A KR20210005346A KR20220102875A KR 20220102875 A KR20220102875 A KR 20220102875A KR 1020210005346 A KR1020210005346 A KR 1020210005346A KR 20210005346 A KR20210005346 A KR 20210005346A KR 20220102875 A KR20220102875 A KR 20220102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abric layer
hybrid
poly
cooling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288B1 (ko
Inventor
이헌
손수민
채동우
임한규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2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8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applied in powder or granular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4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2 or 12 of the Periodic Table; Zincates; Cadm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25Resistance to light or sun, i.e. protection of the textile itself as well as UV shielding materials or treatment compositions therefor; Anti-yellowing trea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의 창(atmospheric window, AW) 구간에서 복사 냉각을 구현하는 복사 냉각 물질을 이용하여 섬유형태로 제작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머와 산화물 반도체 입자로 이루어진 복사 냉각 직물을 제작하여 대기의 창(atmospheric window, AW) 구간에 대한 선택적 방사를 통해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하부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은 적어도 둘의 폴리머가 다공성(porous)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적어도 둘의 폴리머 간의 굴절률 차이 및 상기 적어도 둘의 폴리머와 상기 다공성(porous) 구조에 기반한 구멍(pore) 간의 굴절률 차이 중 적어도 하나의 굴절률 차이에 기반하여 태양광을 반사하는 다공성 반사 직물층 및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져서, 대기의 창(sky window)에 해당하는 파장 범위에서 적외선을 흡수 및 방사하는 적외선 방사 직물층을 포함하는 복사 냉각 직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HYBRID RADIATIVE COOLING FABRIC}
본 발명은 대기의 창(atmospheric window, AW) 구간에서 복사 냉각을 구현하는 복사 냉각 물질을 이용하여 섬유형태로 제작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머와 산화물 반도체 입자로 이루어진 복사 냉각 직물을 제작하여 대기의 창(atmospheric window, AW) 구간에 대한 선택적 방사를 통해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하부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냉각을 위해서는 에너지의 소모가 필수적이고, 냉장고, 에어콘 등 범용 냉각기기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냉매를 압축시킨 뒤 압축된 냉매를 팽창시킬 때 발생하는 열의 흡수를 이용하여 냉각을 수행한다.
이와는 다르게 복사 냉각은 에너지의 소모없이 냉각을 시킬 수 있는 신기술로 볼 수 있다.
복사 냉각을 위해서는 각 파장대에서 빛의 흡수, 반사 및 복사를 독립적으로 잘 제어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열원은 입사하는 태양광으로, 태양광의 열은 그 파장대가 UV-가시광선-근적외선대에 분포하는데 이 파장대의 태양광을 반사시킬 경우 태양광을 통한 열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양광이 내리쬐는 대낮에 빛을 잘 흡수하는 검은색 자동차의 내부 온도는 쉽게 상승하지만 상대적으로 태양광을 흡수하지 않고 잘 반사시키는 흰색 자동차의 경우 온도가 상대적으로 덜 상승하게 된다.
만약 자동차의 표면이 UV-가시광선-근적외선의 파장대의 태양광을 모두 반사시킨다면 태양광에 의한 열에너지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파장대가 UV-가시광선-근적외선인 입사하는 태양광 (태양으로부터 방사되는)을 모두 반사시키고 대기의 창(sky window)구간인 8㎛ 내지 13㎛의 중적외선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잘 방사시킬 수 있다면 열유입을 차단하고 열방출을 극대화시켜 에너지소모없이 소재를 냉각시킬 수 있는데 이것이 복사 냉각의 핵심내용이다.
즉, 복사 냉각에 의하여 뜨거운 태양빛 아래에서 에너지소모없이 소재를 냉각시킬 수 있다.
입사하는 태양광의 반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은(Ag)같은 금속소재의 박막을 사용하면 되고 대기의 창(sky window)구간인 8㎛ 내지 13㎛의 중적외선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잘 방사하기 위해서는 가시광선 등 입사태양광에 투명하며 8㎛ 내지 13㎛의 파장대에서 흡수도가 높은 소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모든 파장의 빛을 다 반사시키는 것이 복사 냉각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 복사 냉각에서 사용한 은과 알루미늄 박막은 직물 형태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복사 냉각을 위해선 대기의 창 구간인 8㎛ 내지 13㎛ 파장 영역에서 높은 방사/흡수를 하도록 설계하여 우주와의 열교환을 통해서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8㎛ 내지 13㎛ 영역의 파장이 넓은 범위인 만큼 모든 영역에서 높은 흡광 계수(extinction coefficient)값을 가지는 물질을 찾기는 어렵다.
대부분의 물질은 이루고 있는 분자간의 결합에 의한 공진에 의해서 흡수하는 파장 범위가 달라지게 된다.
산화물 반도체 입자의 경우에는 Al2O3의 경우에는 약 10㎛ 부터 이 값이 증가하고, SiO2는 8㎛ 내지 10㎛ 등 모든 파장의 범위에서 만족하기는 어렵다.
또한, 폴리머 역시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화학 결합(chemical bond)이 다르게 때문에 8㎛ 내지 10㎛ 파장을 포함하는 모든 영역에서의 흡수/방사를 가지는 물질을 가지기는 어렵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7245호, "인체 냉각 및 가열을 위한 적외선-투명 다공성 폴리머 직물" 유럽공개특허 제3744517호, "COMPOSITE RADIATIVE COOLING FILM, COMPOSITE RADIATIVE COOLING FILM ASSEMBLY AND APPLICATION THEREOF" 미국등록특허 제10502505호, "RADIATIVE COOLING STRUCTURES AND SYSTEMS" 한국등록특허 제10-2036071호, "다층 복사 냉각 구조"
본 발명은 폴리머 및 산화물 반도체 입자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이용하여 중동과 같이 바람이 없고 태양이 매우 강한 장소에서 사용자의 체온 조절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쉬 구조와 다공성 섬유 구조에서의 구멍 크기 조절에 기반하여 친수성 또는 소수성 성질의 특징을 증가시켜, 대류의 영향을 증가시키면서도 오염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낮은 태양광 흡수에 의해서도 높은 발광을 가지는 복사 냉각 직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우수한 복사 냉각 성능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직물의 외부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 기반의 색상을 구현하고, 직물의 내부에서 백색을 구현함에 따라 백색에 기반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기반의 색상의 구현력이 증가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을 반사하고, 적외선을 흡수 및 방사하는 복사 냉각과 다공성에 기반한 열의 대류와 사용자의 피부 상의 기화 현상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은 적어도 둘의 폴리머가 다공성(porous)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적어도 둘의 폴리머 간의 굴절률 차이 및 상기 적어도 둘의 폴리머와 상기 다공성(porous) 구조에 기반한 구멍(pore) 간의 굴절률 차이 중 적어도 하나의 굴절률 차이에 기반하여 태양광을 반사하는 다공성 반사 직물층 및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져서, 대기의 창(sky window)에 해당하는 파장 범위에서 적외선을 흡수 및 방사하는 적외선 방사 직물층을 포함하는 복사 냉각 직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은 메쉬(mesh) 구조 및 그물(net)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복사 냉각 직물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코팅(coating) 또는 다잉(dyeing)된 직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물은 친수성 직물 및 소수성 직물 중 어느 하나의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은 상기 다공성 반사 직물층과 상기 적외선 방사 직물층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입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전체 코어쉘(Metal-Dielectric Core-Shell) 입자로 이루어져서, 상기 태양광에 대한 반사율과 상기 적외선에 대한 방사율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에 기반하여 색상을 구현하는 기능성 직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는 은(Ag), 알루미늄(Al), 금(Au), 구리(cu), 타이타늄(Ti), 크롬(Cr), 망간(Mn), 철(Fe) 및 백금(Pt)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입자이거나 적어도 둘이 결합된 합금 입자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전체 코어쉘(Metal-Dielectric Core-Shell) 입자는 Ag@C3N4, Ag@ZnO, Ag@Cu2O, Ag@SiO2 및 Ag@TiO2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전체 코어쉘(Metal-Dielectric Core-Shell)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직물층은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에 기반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기반한 색상을 구현하고, 내부에 해당하는 측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광을 스캐터링하여 백색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직물층은 자이언트 코어쉘(giant coreshell), 양자점(quantum dot) 및 페로브스카이트 나노크리스탈(perovskite nanocryst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장 발광형 입자가 혼입되어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둘의 폴리머는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UA(Poly urethane acrylate),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C (polyvinyl chloride), PDMS(Polydimethylsiloxan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BMA(Poly butyl methacrylate), PFPE(Perfluoropolyether),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Nylon, PNA(peptide nucleic acid), PG(propylene glycol), PLA(poly lactic acid), PP(polyprop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rylate 직물(fiber), 아세테이트(acetate), PAN(Polyacrylonitrile), PLA(Poly(D,L-lactide), PLGA(Poly(latic-co-glycolic acid) 및 폴리이미드(Polyamide) 중 적어도 둘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는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UA(Poly urethane acrylate),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C (polyvinyl chloride), PDMS(Polydimethylsiloxan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BMA(Poly butyl methacrylate), PFPE(Perfluoropolyether),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Nylon, PNA(peptide nucleic acid), PG(propylene glycol), PLA(poly lactic acid), PP(polyprop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rylate 직물(fiber), 아세테이트(acetate), PAN(Polyacrylonitrile), PLA(Poly(D,L-lactide), PLGA(Poly(latic-co-glycolic acid) 및 폴리이미드(Polyamide) 중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는 Al2O3, SiO2, BaSO4, CaSO4, ZnO, TiO2, ZrO2, Si3N4 및 CaCO3 중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는 굴절률이 1.6 이상이고, 밴드 갭(band gap)의 크기가 3.5eV 이상이며, 크기는 100㎚ 내지 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사 냉각 직물층은 적외선 방사(radiation), 기화(vaporization) 및 대류(convection)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피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머 및 산화물 반도체 입자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이용하여 중동과 같이 바람이 없고 태양이 매우 강한 장소에서 사용자의 체온 조절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쉬 구조와 다공성 섬유 구조에서의 구멍 크기 조절에 기반하여 친수성 또는 소수성 성질의 특징을 증가시켜, 대류의 영향을 증가시키면서도 오염 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낮은 태양광 흡수에 의해서도 높은 발광을 가지는 복사 냉각 직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우수한 복사 냉각 성능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물의 외부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 기반의 색상을 구현하고, 직물의 내부에서 백색을 구현함에 따라 백색에 기반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기반의 색상의 구현력이 증가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을 반사하고, 적외선을 흡수 및 방사하는 복사 냉각과 다공성에 기반한 열의 대류와 사용자의 피부 상의 기화 현상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의 입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의 구조 및 특성을 예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은 태양광을 받으면 UV-가시광선-근적외선대에 분포하는데 파장 범위의 태양광을 반사 및 산란하면서, 대기의 창(sky window)구간인 8㎛ 내지 13㎛의 중적외선을 흡수 및 방사함에 따라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의 하부 영역에 대하여 복사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의 하부의 온도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은 다공성 반사 직물층, 적외선 방사 직물층 및 기능성 직물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은 다공성 반사 직물층, 적외선 방사 직물층 및 기능성 직물층을 형성하기 위한 복사 냉각 물질이 용매에 분산된 후, 일반 직물의 일부분 또는 전체 영역에 코팅 또는 다잉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반사 직물층은 적어도 둘의 폴리머가 다공성(porous)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적어도 둘의 폴리머 간의 굴절률 차이 및 상기 적어도 둘의 폴리머와 상기 다공성(porous) 구조에 기반한 구멍(pore) 간의 굴절률 차이 중 적어도 하나의 굴절률 차이에 기반하여 태양광을 반사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방사 직물층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져서, 대기의 창(sky window)에 해당하는 파장 범위에서 적외선을 흡수 및 방사할 수 있다.
한편, 기능성 직물층은 다공성 반사 직물층과 적외선 방사 직물층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입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전체 코어쉘(Metal-Dielectric Core-Shell) 입자로 이루어져서, 태양광에 대한 반사율과 적외선에 대한 방사율을 증가시키면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에 기반하여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은 다공성 반사 직물층과 적외선 방사 직물층을 포함하고, 다공성 반사 직물층에 기반하여 태양광을 반사하면서, 적외선 방사 직물층에 기반하여 적외선을 흡수 및 방사할 수 있다.
다공성 반사 직물층, 방사 직물층 및 기능성 직물층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은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보충 설명한다.
일례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은 복사 냉각 성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직물로, 이러한 직물은 사람이 입는 옷감, 담요, 텐트의 천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사람이 입는 옷감으로 활용이 될 수 있는데, 사람의 피부가 열 손실에 의해서 시원하다고 느끼는 방법에는 크게 복사 냉각(Radiation) 기화(Vaporization) 및 대류(Convection)가 포함되고, 피부가 외부 온도로 열이 뺏기게 되면서 시원하다고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은 적외선 방사(radiation), 기화(vaporization) 및 대류(convection)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피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태양광을 반사하고, 적외선을 흡수 및 방사하는 복사 냉각과 다공성에 기반한 열의 대류와 사용자의 피부 상의 기화 현상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은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가지는 섬유를 이용하여 직물로서 제작하기 때문에 의류로 활용 될 때는 보다 냉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은 텐트와 같이 외부에서 사용할 때에는 오염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메쉬(mesh) 구조의 장점과 다공성(porous)한 섬유 자체의 장점을 살려 이러한 친수성 또는 소수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메쉬 구조와 다공성 섬유 구조에서의 구멍 크기 조절에 기반하여 친수성 또는 소수성 성질의 특징을 증가시켜, 대류의 영향을 증가시키면서도 오염 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은 하얀 색상을 가지는 복사 냉각 직물층과 검정색을 가지는 복사 냉각 직물층으로 구현되어, 복사 냉각에 의한 성질과 열의 대류에 따른 냉각으로 보다 효율적인 복사 냉각 직물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100)은 중동과 같이 바람이 없고 태양이 매우 강한 나라에서는 기존의 옷으로는 체온을 낮추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일하는 인부에게 매우 좋게 활용 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의 단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이 다공성 반사 직물층, 기능성 직물층 및 적외선 방사 직물층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200)은 다공성 반사 직물층(210), 기능성 직물층(220) 및 적외선 방사 직물층(230)을 포함한다.
일례로, 다공성 반사 직물층(210)은 적어도 둘의 폴리머가 다공성(porous) 구조로 이루어져서, 적어도 둘의 폴리머 간의 굴절률 차이 및 적어도 둘의 폴리머와 다공성(porous) 구조에 기반한 구멍(pore) 간의 굴절률 차이 중 적어도 하나의 굴절률 차이에 기반하여 태양광을 반사할 수 있다.
즉, 다공성 반사 직물층(210)은 적어도 둘의 폴리머 혼합물(211)이 구멍(212)을 복수로 포함하고 있는 다공성(porous) 구조로 이루어지고, 혼합물(211) 내 폴리머 사이의 굴절률 차이 및 적어도 둘의 폴리머와 다공성(porous) 구조에 기반한 구멍(212) 간의 굴절률 차이 중 적어도 하나의 굴절률 차이에 기반하여 태양광을 반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적어도 둘의 폴리머 혼합물(211) 내 적어도 둘의 폴리머 간의 굴절률 차이에 해당하는 제1 굴절률 차이와 적어도 둘의 폴리머 혼합물(211)과 구멍(212) 간의 굴절률 차이에 해당하는 제2 굴절률 차이에 기반하여 태양광을 반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둘의 폴리머는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UA(Poly urethane acrylate),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C (polyvinyl chloride), PDMS(Polydimethylsiloxan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BMA(Poly butyl methacrylate), PFPE(Perfluoropolyether),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Nylon, PNA(peptide nucleic acid), PG(propylene glycol), PLA(poly lactic acid), PP(polyprop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rylate 직물(fiber), 아세테이트(acetate), PAN(Polyacrylonitrile), PLA(Poly(D,L-lactide), PLGA(Poly(latic-co-glycolic acid) 및 폴리이미드(Polyamide) 중 적어도 둘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다공성 반사 직물층(210)은 태양광을 반사하기 위해 폴리머 자체가 다공성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직물층(220)은 다공성 반사 직물층(210)과 적외선 방사 직물층(230)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221)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222)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전체 코어쉘(Metal-Dielectric Core-Shell) 입자로 이루어져서, 태양광에 대한 반사율과 적외선에 대한 방사율을 증가시키면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에 기반하여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222)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전체 코어쉘(Metal-Dielectric Core-Shell) 입자로 대체 될 수 있고, 함께 이용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222)는 은(Ag), 알루미늄(Al), 금(Au), 구리(cu), 타이타늄(Ti), 크롬(Cr), 망간(Mn), 철(Fe), 니켈(Ni), 리튬(Li) 및 백금(Pt)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입자이거나 적어도 둘이 결합된 합금 입자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전체 코어쉘(Metal-Dielectric Core-Shell) 입자는 Ag@C3N4, Ag@ZnO, Ag@Cu2O, Ag@SiO2 및 Ag@TiO2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전체 코어쉘(Metal-Dielectric Core-Shell)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직물층(220)은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에 기반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기반한 색상을 구현하고, 내부에 해당하는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에 기반하여 태양광을 스캐터링하여 백색을 구현할 수 있다.
즉, 기능성 직물층(220)은 사람의 피부 측에 해당하는 내부에서 백색을 구현하고, 내부의 반대측면에 해당하는 외부에서 색상을 구현하는데, 백색에 기반하여 색상을 구현함에 따라 색상 구현력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기능성 직물층(220)은 자이언트 코어쉘(giant coreshell), 양자점(quantum dot) 및 페로브스카이트 나노크리스탈(perovskite nanocryst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장 발광형 입자가 혼입되어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데, 자체적으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파장 발광형 입자에 기반하여 색상 구현력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는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UA(Poly urethane acrylate),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C (polyvinyl chloride), PDMS(Polydimethylsiloxan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BMA(Poly butyl methacrylate), PFPE(Perfluoropolyether),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Nylon, PNA(peptide nucleic acid), PG(propylene glycol), PLA(poly lactic acid), PP(polyprop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rylate 직물(fiber), 아세테이트(acetate), PAN(Polyacrylonitrile), PLA(Poly(D,L-lactide), PLGA(Poly(latic-co-glycolic acid) 및 폴리이미드(Polyamide) 중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방사 직물층(230)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231)와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232)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져서, 대기의 창(sky window)에 해당하는 파장 범위에서 적외선을 흡수 및 방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231)는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UA(Poly urethane acrylate),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C (polyvinyl chloride), PDMS(Polydimethylsiloxan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BMA(Poly butyl methacrylate), PFPE(Perfluoropolyether),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Nylon, PNA(peptide nucleic acid), PG(propylene glycol), PLA(poly lactic acid), PP(polyprop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rylate 직물(fiber), 아세테이트(acetate), PAN(Polyacrylonitrile), PLA(Poly(D,L-lactide), PLGA(Poly(latic-co-glycolic acid) 및 폴리이미드(Polyamide) 중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232)는 Al2O3, SiO2, BaSO4, CaSO4, ZnO, TiO2, ZrO2, Si3N4 및 CaCO3 중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232)는 굴절률이 1.6 이상이고, 밴드 갭(band gap)의 크기가 3.5eV 이상이며, 크기는 100㎚ 내지 1㎛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232)는 굴절률이 1.6 이상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231)와의 굴절률 차이를 통해 태양광의 반사율도 증가시킬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 입자의 경우에는 Al2O3의 경우에는 약 10㎛부터 이 값이 증가하고, SiO2는 8-10㎛ 등 모든 파장의 범위에서 만족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폴리머 역시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화학 결합(chemical bond)이 다르기 때문에 8-13㎛ 파장을 포함하는 모든 영역에서의 흡수/방사를 가지는 물질을 가지기는 어렵다.
이를 상호 보완 하기 위해서 두가지 이상의 물질을 사용하여 8-13㎛ 영역에서 최대한 높은 방사율을 가지며, 동시에 구조 혹은 물질의 굴절률 차를 이용하여 태양광 반사를 극대화 하여 열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232)가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방사 직물층(230)은 다공성 반사 직물층(210)과 기능성 직물층(220)의 태양광 반사를 증진시키면서, 적외선 흡수 및 방사율도 산화물 반도체 입자(232)의 종류에 따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200)은 메쉬 구조로 이루어지고, 메쉬 구조를 이루는 구멍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친수성과 소수성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직물층(220) 및 적외선 방사 직물층(230)은 산화물 반도체 입자 또는 금속 입자가 같이 있는 경우에는 입자에 분산제 등을 용매에 먼저 분산을 한 후에, 폴리머를 함께 넣어 분산시킨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전체 코어쉘(Metal-Dielectric Core-Shell) 입자로 대체 될 수 있고, 함께 이용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압출기, 전기 방사(electro-spinning), 건식 방사(dry spinning)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약 250um부터 500um 지름의 두께로 섬유를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는 에탄올, 파라핀 오일, DI water, 클로로포름, 클로로 벤젠, 톨루엔, 디엠에프, 헥산, IPA(isopropanol), MIBK(Methyl isobutyl ket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200)은 다공성 반사 직물층(210), 기능성 직물층(220) 및 적외선 방사 직물층(230)이 3층 이상의 다층으로 제작되어 패브리-페로(Fabry-perot) 효과에 의해서 색상을 발현하면서도 복사 냉각 성능이 유지 또는 증가되는 섬유로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이 다공성 반사 직물층, 기능성 직물층 및 적외선 방사 직물층이 직물에 코팅되어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300)은 직물(310), 다공성 반사 직물층(320), 기능성 직물층(330) 및 적외선 방사 직물층(340)을 포함한다.
다공성 반사 직물층(320)은 적어도 둘의 폴리머(321)를 이용하여 복수의 구멍(322)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성 직물층(330)은 폴리머(331)에 금속 입자(332)가 혼합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적외선 방사 직물층(340)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341)에 산화물 반도체 입자(342)가 혼입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반사 직물층(320), 기능성 직물층(330) 및 적외선 방사 직물층(340)은 복사 냉각 직물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직물(310)은 옷, 천막, 커튼과 같은 섬유 소재로 구현 가능한 물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직물(310)은 메쉬(mesh) 구조 및 그물(net)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를 가지고, 복사 냉각 직물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코팅(coating) 또는 다잉(dyeing)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300)은 직물(310) 상에 복사 냉각 직물층을 이루는 다공성 반사 직물층(320), 기능성 직물층(330) 및 적외선 방사 직물층(340)의 형성 물질이 코팅 또는 다잉되어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310)은 친수성 직물 및 소수성 직물 중 어느 하나의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310)은 일반적으로 구현된 옷, 텐트, 천막 및 커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낮은 태양광 흡수에 의해서도 높은 발광을 가지는 복사 냉각 직물의 특성을 이용하여 우수한 복사 냉각 성능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의 외부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 기반의 색상을 구현하고, 직물의 내부에서 백색을 구현함에 따라 백색에 기반한 적색, 녹색 및 청색 기반의 색상의 구현력이 증가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이 다공성 반사 직물층과 기능성 직물층이 결합된 결합 직물층 및 적외선 방사 직물층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400)은 다공성 반사 직물층과 기능성 직물층이 결합된 결합 직물층(410) 및 적외선 방사 직물층(4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직물층(410)은 다공성 반사 직물층과 기능성 직물층의 장점을 모두 포함하고, 적어도 둘이 상의 폴리머(411)가 구멍(412)을 복수로 포함하면서, 금속 입자(413)가 분산된 구조를 가진다.
일례로, 적외선 방사 직물층(420)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421)와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422)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져서, 대기의 창(sky window)에 해당하는 파장 범위에서 적외선을 흡수 및 방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박막 혹은 페인트 타입으로 이루어진 복사 냉각 소재는 건물의 외벽과 같은 곳에서 실내 온도를 낮추는 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400)은 직물 형태로 이루어져 있을 때는 의류 부분에서 보다 실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의 입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의 입체 구조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이 다공성 반사 직물층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500)은 적어도 둘 이상의 폴리머로 구현되되, 다공성 구조(520)를 포함한다. 또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500)은 메쉬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의 입체 구조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이 적외선 방사 직물층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600)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610)에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620)를 포함한다. 또한,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600)은 메쉬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의 입체 구조로 직물 상에 복사 냉각 직물층 구현 물질이 코팅되어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이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700)은 직물(710) 상에 복사 냉각 직물층(720)이 코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700)의 전체에 복사 냉각 직물층(720)이 코팅된 경우를 예시하나, 직물(710)의 일 부분에만 복사 냉각 직물층(720)이 선택적으로 코팅 또는 다잉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들이 순차적으로 직물(710) 상에 적층될 경우,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700)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머 및 산화물 반도체 입자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을 이용하여 중동과 같이 바람이 없고 태양이 매우 강한 장소에서 사용자의 체온 조절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쉬 구조와 다공성 섬유 구조에서의 구멍 크기 조절에 기반하여 친수성 또는 소수성 성질의 특징을 증가시켜, 대류의 영향을 증가시키면서도 오염 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예들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Claims (11)

  1. 적어도 둘의 폴리머가 다공성(porous) 구조로 이루어져서, 상기 적어도 둘의 폴리머 간의 굴절률 차이 및 상기 적어도 둘의 폴리머와 상기 다공성(porous) 구조에 기반한 구멍(pore) 간의 굴절률 차이 중 적어도 하나의 굴절률 차이에 기반하여 태양광을 반사하는 다공성 반사 직물층 및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져서, 대기의 창(sky window)에 해당하는 파장 범위에서 적외선을 흡수 및 방사하는 적외선 방사 직물층을 포함하는 복사 냉각 직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메쉬(mesh) 구조 및 그물(net)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를 가지고, 상기 복사 냉각 직물층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조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코팅(coating) 또는 다잉(dyeing)된 직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친수성 직물 및 소수성 직물 중 어느 하나의 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반사 직물층과 상기 적외선 방사 직물층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와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전체 코어쉘(Metal-Dielectric Core-Shell) 입자로 이루어져서, 상기 태양광에 대한 반사율과 상기 적외선에 대한 방사율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에 기반하여 색상을 구현하는 기능성 직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는 은(Ag), 알루미늄(Al), 금(Au), 구리(cu), 타이타늄(Ti), 크롬(Cr), 망간(Mn), 철(Fe), 니켈(Ni), 리튬(Li) 및 백금(Pt)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입자이거나 적어도 둘이 결합된 합금 입자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전체 코어쉘(Metal-Dielectric Core-Shell) 입자는 Ag@C3N4, Ag@ZnO, Ag@Cu2O, Ag@SiO2 및 Ag@TiO2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 유전체 코어쉘(Metal-Dielectric Core-Shell)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직물층은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에 기반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에 기반한 색상을 구현하고, 내부에 해당하는 측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입자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광을 스캐터링하여 백색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직물층은 자이언트 코어쉘(giant coreshell), 양자점(quantum dot) 및 페로브스카이트 나노크리스탈(perovskite nanocryst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파장 발광형 입자가 혼입되어 색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의 폴리머는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UA(Poly urethane acrylate),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C (polyvinyl chloride), PDMS(Polydimethylsiloxan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BMA(Poly butyl methacrylate), PFPE(Perfluoropolyether),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Nylon, PNA(peptide nucleic acid), PG(propylene glycol), PLA(poly lactic acid), PP(polyprop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rylate 직물(fiber), 아세테이트(acetate), PAN(Polyacrylonitrile), PLA(Poly(D,L-lactide), PLGA(Poly(latic-co-glycolic acid) 및 폴리이미드(Polyamide) 중 적어도 둘의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는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UA(Poly urethane acrylate),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C (polyvinyl chloride), PDMS(Polydimethylsiloxan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BMA(Poly butyl methacrylate), PFPE(Perfluoropolyether),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Nylon, PNA(peptide nucleic acid), PG(propylene glycol), PLA(poly lactic acid), PP(polyprop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Acrylate 직물(fiber), 아세테이트(acetate), PAN(Polyacrylonitrile), PLA(Poly(D,L-lactide), PLGA(Poly(latic-co-glycolic acid) 및 폴리이미드(Polyamide) 중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는 Al2O3, SiO2, BaSO4, CaSO4, ZnO, TiO2, ZrO2, Si3N4 및 CaCO3 중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 반도체 입자는 굴절률이 1.6 이상이고, 밴드 갭(band gap)의 크기가 3.5eV 이상이며, 크기는 100㎚ 내지 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냉각 직물층은 적외선 방사(radiation), 기화(vaporization) 및 대류(convection)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피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부 상의 온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KR1020210005346A 2021-01-14 2021-01-14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KR102442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346A KR102442288B1 (ko) 2021-01-14 2021-01-14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346A KR102442288B1 (ko) 2021-01-14 2021-01-14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875A true KR20220102875A (ko) 2022-07-21
KR102442288B1 KR102442288B1 (ko) 2022-09-13

Family

ID=8261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346A KR102442288B1 (ko) 2021-01-14 2021-01-14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2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4151A (zh) * 2022-08-15 2022-12-06 浙江理工大学 一种彩色被动辐射制冷涂层织物及其制备方法
CN115595796A (zh) * 2022-10-26 2023-01-13 王文玉(Cn) 一种辐射制冷纤维及其制备方法、织物
CN117529192A (zh) * 2024-01-03 2024-02-06 浙江省白马湖实验室有限公司 一种钙钛矿太阳能电池中吸光层的制作装置及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0041A (ja) * 2008-02-25 2009-09-03 Korea Inst Of Science & Technology 白色及びカラー光励起発光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07245A (ko) 2016-02-17 2018-10-01 더 보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리랜드 스탠포드 쥬니어 유니버시티 인체 냉각 및 가열을 위한 적외선-투명 다공성 폴리머 직물
KR20190047732A (ko) * 2016-09-26 2019-05-08 더 보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리랜드 스탠포드 쥬니어 유니버시티 인체 냉각을 위한 적외선-투과, 폴리머 섬유-기반 우븐 텍스타일
KR102036071B1 (ko) 2018-06-12 2019-10-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복사 냉각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0041A (ja) * 2008-02-25 2009-09-03 Korea Inst Of Science & Technology 白色及びカラー光励起発光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07245A (ko) 2016-02-17 2018-10-01 더 보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리랜드 스탠포드 쥬니어 유니버시티 인체 냉각 및 가열을 위한 적외선-투명 다공성 폴리머 직물
KR20190047732A (ko) * 2016-09-26 2019-05-08 더 보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리랜드 스탠포드 쥬니어 유니버시티 인체 냉각을 위한 적외선-투과, 폴리머 섬유-기반 우븐 텍스타일
KR102036071B1 (ko) 2018-06-12 2019-10-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복사 냉각 구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등록특허 제10502505호, "RADIATIVE COOLING STRUCTURES AND SYSTEMS"
유럽공개특허 제3744517호, "COMPOSITE RADIATIVE COOLING FILM, COMPOSITE RADIATIVE COOLING FILM ASSEMBLY AND APPLICATION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4151A (zh) * 2022-08-15 2022-12-06 浙江理工大学 一种彩色被动辐射制冷涂层织物及其制备方法
CN115595796A (zh) * 2022-10-26 2023-01-13 王文玉(Cn) 一种辐射制冷纤维及其制备方法、织物
CN115595796B (zh) * 2022-10-26 2024-02-27 王文玉 一种辐射制冷纤维及其制备方法、织物
CN117529192A (zh) * 2024-01-03 2024-02-06 浙江省白马湖实验室有限公司 一种钙钛矿太阳能电池中吸光层的制作装置及工艺
CN117529192B (zh) * 2024-01-03 2024-04-16 浙江省白马湖实验室有限公司 一种钙钛矿太阳能电池中吸光层的制作装置及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288B1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288B1 (ko) 하이브리드 복사 냉각 직물
TWI725533B (zh) 一種輻射降溫材料及其製備方法和應用
EP3954741B1 (en) Radiative cooling device
Li et al. A materials perspective on radiative cooling structures for buildings
JP4964888B2 (ja) 空気より軽量のビークル
US20220163271A1 (en) Radiative cooling device including paint coating layer composed of nano or micro particles
CN114074460A (zh) 多层结构的辐射冷却元件
KR102230348B1 (ko) 세라믹 나노입자 혼합물을 이용한 복사 냉각 소자
CN114211829B (zh) 一种双模式热调控超材料织物
AU2017202633A1 (en) Infrared transparent film
KR102225791B1 (ko) 백색 복사 냉각 소자
CN101377115B (zh) 百叶窗叶片的制作方法
Xie et al. Colored radiative cooling: progress and prospects
KR102225804B1 (ko) 기판의 광특성을 활용한 복사냉각소자
CN113068406B (zh) 辐射冷却元件及其制作方法
KR102425485B1 (ko) 입사 태양광에 대한 굴절률이 극대화된 페인트 도막층을 포함하는 복사 냉각 소자
Wang et al. Passive daytime radiative cooling materials toward real-world applications
JP2012051113A (ja) 熱制御性シート
CN114801403B (zh) 一种具有结构色的辐射制冷复合柔性膜
KR102507825B1 (ko) 복사 냉각 직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40400B1 (ko) 색상형 복사 냉각 소자
KR20230112470A (ko) 주간 복사냉각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콤포지트를 포함하는 복사 냉각 소자
KR20230074368A (ko) 복사냉각 다층 필름
KR102610673B1 (ko) 복사 냉각형 색상 구조
KR20220130443A (ko) 투명 복사 냉각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