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872A -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872A
KR20220102872A KR1020210005341A KR20210005341A KR20220102872A KR 20220102872 A KR20220102872 A KR 20220102872A KR 1020210005341 A KR1020210005341 A KR 1020210005341A KR 20210005341 A KR20210005341 A KR 20210005341A KR 20220102872 A KR20220102872 A KR 20220102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sch
serving cell
dci
dai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하
김현정
명세호
여정호
정의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872A/ko
Priority to PCT/KR2022/000762 priority patent/WO2022154591A2/ko
Publication of KR2022010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또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기지국으로부터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A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data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이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서 PDCCH를 이용해 PDSCH를 스케줄링하는 경우, 상기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포함되는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제1 셀을 통해 전송되는 PDCCH를 통해 제2 셀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경우 (cross carrier scheduling), 상기 DAI 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기지국으로부터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결정된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기지국으로부터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결정된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PDCCH를 통해 적절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피드백 정보 (예를 들어,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ACK (acknowledge))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DAI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함으로써, 적절한 HARQ (hybrid automatic request codebook (또는, HARQ-ACK codebook이라 칭할 수 있다)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과 기지국이 원활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DAI를 결정하는 경우,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예를 들어, SCell(Secondary Cell)에서 PCell(Primary Cell) 혹은 PSCell(Primary Secondary Cell)에 PDSCH를 스케줄링)에서 HARQ-ACK codebook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carrier aggregation: C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제어영역(control resource set, CORESET)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라 한 개의 PDCCH를 통해 한 개의 셀에 대한 PDSCH를 스케줄링하는 경우에 DAI 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라 PDCCH를 통해 다른 셀에 대한 PDSCH를 스케줄링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unter DAI 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unter DAI 값을 결정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개시는 4G (4th generation)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을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방송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통신 커버리지(coverage)에 관련된 용어, 상태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예: 이벤트(event)),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이 일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하 NR 또는 5g)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NR gNB 또는 NR 기지국)(110)과 차세대 무선 코어 네트워크(new radio core network, NR CN)(105)로 구성될 수 있다. 차세대 무선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NR UE 또는 단말)(115)은 NR gNB(110) 및 NR CN (1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에서 NR gNB(11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 (evolved node B)에 대응될 수 있다. NR gNB는 NR UE(1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될 수 있다. 따라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gNB(110)가 담당할 수 있다. 하나의 NR gNB는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현재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현재의 최대 대역폭 이상의 대역폭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d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NR CN (1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및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R CN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NR CN이 MME (1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MME는 기존 기지국인 eNB (13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NR 기지국에서 각각 NR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201, 245), NR PDCP(205, 240), NR RLC(210, 235), NR MAC(215, 230), NR PHY(220, 225)으로 이루어진다.
NR SDAP(201, 24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기능(transfer of user plane data)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의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a QoS flow and a DRB for both DL and UL)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 ID를 마킹 기능(marking QoS flow ID in both DL and UL packets)
- 상향 링크 SDAP PDU들에 대해서 reflective QoS flow를 데이터 베어러에 맵핑시키는 기능 (reflective QoS flow to DRB mapping for the UL SDAP PDUs).
SDAP 계층 장치에 대해 단말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로 각 PDCP 계층 장치 별로 또는 베어러 별로 또는 로지컬 채널 별로 SDAP 계층 장치의 헤더를 사용할 지 여부 또는 SDAP 계층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지 여부를 설정 받을 수 있다. SDAP 헤더가 설정된 경우, 단말은 SDAP 헤더의 비접속 계층(non-access stratum, NAS) QoS(quality of service)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NAS reflective QoS)와, 접속 계층 (access stratum, 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AS reflective QoS)로, 단말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QoS 플로우(flow)와 데이터 베어러에 대한 맵핑 정보를 갱신 또는 재설정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SDAP 헤더는 QoS를 나타내는 QoS flow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QoS 정보는 원활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우선 순위, 스케줄링 정보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NR PDCP (205, 240)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 (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상술한 내용에서,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한 PDCP PDU들을 PDCP SN(sequence number)을 기반으로 순서대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재정렬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바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PDCP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210, 23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상술한 내용에서,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수신한 RLC PDU들을 RLC SN(sequence number) 또는 PDCP SN(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 (210, 235)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유실된 RLC SDU가 있을 경우, 유실된 RLC SDU 이전까지의 RLC SDU들만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 (210, 235) 장치는, 일련번호(Sequence number)의 순서와 상관없이(Out of sequence delivery) RLC PDU들을 수신하는 순서대로 처리하여 NR PDCP(205, 240)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NR RLC(210, 235) 장치가 세그먼트(segment)를 수신할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거나 추후에 수신될 세그먼트들을 수신하여, 온전한 하나의 RLC PDU로 재구성한 후, 이를 NR PDCP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NR RLC 계층은 접합(Concatenation)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NR MAC 계층에서 기능을 수행하거나 NR MAC 계층의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서,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 of 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와 상관없이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 of sequence delivery)은,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 of sequence delivery)은, 수신한 RLC PDU들의 RLC SN 또는 PDCP SN을 저장하고 순서를 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해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MAC(215, 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NR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NR MAC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 스케줄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NR PHY 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carrier aggregation: C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CA가 설정되는 경우 (300), PCell (primary cell)과 SCell (secondary cell)이 단말에 설정될 수 있다.
PCell은 PCC (primary component carrier)에 포함되며, RRC 연결 수립/재수립, 측정, 이동성 절차, 랜덤 액세스 절차 및 selection, 시스템 정보 취득, initial random access, security key 변경과 non-access stratum (NAS)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은 PCell을 통해 시스템 정보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PCell은 비활성화되지 않으며, UL에서 PCC는 제어 정보 (control information) 전송을 위해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운반된다. 또한, 단말과 상기 PCell 사이에 하나의 RRC만 연결이 가능하며, PDCCH/PDSCH/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CCH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secondary cell group에서는 PSCell (spcell of a secondary cell group)이 상기 PCell로 설정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하 기술되는 PCell에 대한 동작은 PSCell서도 수행할 수 있다.
SCell은 최대 총 31개까지 추가가 가능하며, 추가적인 무선 자원 제공이 필요한 경우에 RRC message 메시지 (예: dedicated signaling)을 통해 SCell이 설정될 수 있다. RRC 메시지에는 각 cell에 대한 물리적 cell ID가 포함될 수 있으며, DL carrier frequency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ARFCN)가 포함될 수 있다. SCell을 통해 PDCCH/PDSCH/PUSCH 전송이 가능하다. MAC 계층을 통해 UE의 배터리 보존을 위하여 SCell의 동적 활성, 비활성 절차를 지원한다.
한편, 네트워크 내의 NR 단말들이 증가하면서 NR 단말들에 대한 스케줄링 용량(scheduling capacity) 부족에 대한 이슈가 제기되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SCell의 PDCCH를 통해 PCell 혹은 PScell에 대한 PDSCH 혹은 PUSCH를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cross carrier scheduling (이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CC (component carrier)에 대한 모든 L1 제어채널 또는 L2 제어채널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PDCCH)를 하나의 CC에 할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CC의 PDCCH를 통해 다른 CC의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CIF(carrier indicator field)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CC의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통해 상기 CC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PDSCH, PUSCH) 혹은 다른 CC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PDSCH, PUSCH)을 할당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의 적용으로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에 3bit CIF가 추가되었으며, bit의 크기는 항상 고정되며, 위치에 상관없이 DCI 포맷 사이즈 또한 고정될 수 있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410을 참고하면, 한 CC의 PDCCH (401)를 통해 두 개의 CC에 대한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420을 참고하면, 총 4개의 CC가 설정되는 경우, 두 CC의 PDCCH (421, 423)를 이용하여 각 CC의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각 CC는 CIF 적용을 위해 CI (carrier indicator)값으로 매핑될 수 있으며, 이는 UE specific 설정으로 dedicated RRC 신호를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각 PDSCH/PUSCH CC는 하나의 DL CC로부터 스케줄링 될 수 있다. 따라서, UE는 각 PDSCH/PUSCH CC에 대해 상기 DL CC에서만 PDCCH을 모니터링 하면 된다. 단말은 상기 DL CC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여, 링크된 UL carrier에서의 PUSCH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DL CC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여, 링크된 DL carrier에서의 PDSCH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는 LTE와 NR이 같은 캐리어에서 공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통신사업자가 기존 LTE 통신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NR 통신 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있는 DSS (dynamic spectrum sharing)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NR 통신 시스템을 단독 (standalone)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제어영역(control resource set, CORESET)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는 주파수 축으로 단말의 대역폭 부분(510), 시간 축으로 하나의 슬롯(520) 내에 2개의 제어영역(제어영역 #1(CORESET #1)(501), 제어영역 #2(CORESET #2)(502))이 설정되어 있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영역(501, 502)은 주파수 축으로 전체 단말 대역폭 부분(510) 내에서 특정 주파수 자원(503)에 설정될 수 있다. 제어영역(501, 502)은 시간 축으로는 하나 혹은 다수 개의 OFDM 심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제어영역 길이(control resource set duration, 504)로 정의될 수 있다. 도 5의 일 예에서 제어영역 #1(501)은 2개의 심볼의 제어영역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제어영역 #2(502)는 1개의 심볼의 제어영역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5G에서의 제어영역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MIB(master information block),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단말에게 제어영역을 설정한다는 것은, 단말에게 제어영역 식별자(identity), 제어영역의 주파수 위치, 제어영역의 심볼 길이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표 1의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제어영역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NR에서는 단말의 효율적인 제어 정보 수신을 위해 아래 표 2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DCI format을 제공할 수 있다.
DCI format Usage
0_0 Scheduling of PUSCH in one cell
0_1 Scheduling of PUSCH in one cell
0_2 Scheduling of PUSCH in one cell
1_0 Scheduling of PDSCH in one cell
1_1 Scheduling of PDSCH in one cell
1_2 Scheduling of PDSCH in one cell
2_0 Notifying a group of UEs of the slot format
2_1 Notifying a group of UEs of the PRB(s) and OFDM symbol(s) where UE may assume no transmission is intended for the UE
2_2 Transmission of TPC commands for PUCCH and PUSCH
2_3 Transmission of a group of TPC commands for SRS transmissions by one or more UEs
예를 들어, 기지국은 하나의 셀(cell)에 대한 PDSCH를 단말에 할당(scheduling)하기 위하여 DCI format 1_0, DCI format 1_1 혹은 DCI format 1_2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복수 개의 셀에 대한 PDSCH를 단말에 할당하기 위하여 DCI format 1_0, DCI format 1_1 혹은 DCI format 1_2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복수 개의 셀에 대한 PDSCH를 단말에 할당하기 위해 다른 format의 DCI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는 DCI format 1_1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DCI format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기의 정보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셀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하나의 셀(cell)에 대한 PUSCH를 단말에 할당(scheduling)하기 위하여 DCI format 0_0, DCI format 0_1 혹은 DCI format 0_2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복수 개의 셀에 대한 PUSCH를 단말에 할당하기 위하여 DCI format 0_0, DCI format 0_1 혹은 DCI format 0_2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복수 개의 셀에 대한 PUSCH를 단말에 할당하기 위해 다른 format의 DCI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는 DCI format 0_1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DCI format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기의 정보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셀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DCI format 1_0은,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혹은 CS-RNTI(configured scheduling RNTI) 혹은 new-RNTI에 의하여 스크램블링 된 CRC와 함께 전송되는 경우,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 Identifier for DCI formats(1 bits): DCI format 지시자로 항상 1로 설정
- 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NRBG bits 혹은
Figure pat00002
bits): 주파수 축 자원 할당을 지시하며, DCI format 1_0이 UE specific search space에서 모니터 되는 경우
Figure pat00003
는 active DL BWP의 크기이며, 이외의 경우
Figure pat00004
는 initial DL BWP의 크기이다. NRBG 는 resource block group의 숫자이다. 상세 방법은 상기 주파수 축 자원 할당을 참조한다.
- 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0~4 bits): PDSCH의 시간 축 자원 할당을 지시한다.
- VRB-to-PRB mapping(1 bit): 0인 경우 Non-interleaved, 1인 경우 interleaved VRP-to-PRB mapping을 지시한다.
- Modulation and coding scheme(5 bits): PDSCH 전송에 사용되는 modulation order 및 coding rate를 지시한다.
- New data indicator(1 bit): Toggle 여부에 따라 PDSCH가 초기 전송인지, 재전송 인지를 지시한다.
- Redundancy version(2 bits): PDSCH 전송에 사용된 redundancy version을 지시한다.
- HARQ process number(4 bits): PDSCH 전송에 사용된 HARQ process number를 지시한다.
- Downlink assignment index(2 bits): DAI 지시자
- TPC command for scheduled PUCCH(2 bits): PUCCH power control 지시자
- PUCCH resource indicator(3 bits): PUCCH 자원 지시자로, 상위레이어로 설정된 8가지 자원 중 하나를 지시한다.
- PDSCH-to-HARQ_feedback timing indicator(3 bits): HARQ feedback timing 지시자로, 상위레이어로 설정된 8가지 feedback timing offset 중 하나를 지시한다.
DCI format 1_1은,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혹은 CS-RNTI(configured scheduling RNTI) 혹은 new-RNTI에 의하여 스크램블링 된 CRC와 함께 전송되는 경우,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포함한다:
- Identifier for DCI formats(1 bit): DCI format 지시자로 항상 1로 설정
- Carrier indicator(0 또는 3 bits): 해당 DCI가 할당하는 PDSCH가 전송되는 CC(혹은 cell)을 지시한다.
- Bandwidth part indicator(0 또는 1 또는 2 bits): 해당 DCI가 할당하는 PDSCH가 전송되는 BWP을 지시한다.
- 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상기 주파수 축 자원 할당에 따라 payload 결정): 주파수 축 자원 할당을 지시하며,
Figure pat00005
는 active DL BWP의 크기이다. 상세 방법은 상기 주파수 축 자원 할당을 참조한다.
- 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0 ~ 4 bits): 상기 설명에 따라 시간 축 자원 할당을 지시한다.
- VRB-to-PRB mapping(0 or 1 bit): 0인 경우 Non-interleaved, 1인 경우 interleaved VRP-to-PRB mapping을 지시한다. 주파수 축 자원 할당이 resource type 0으로 설정된 경우 0 bit이다.
- PRB bundling size indicator(0 or 1 bit): 상위 레이어 파라미터 prb-BundlingType이 설정되지 않거나 혹은 'static'으로 설정된 경우 0 bit이며, 'dynamic'으로 설정된 경우 1 bit 이다.
- Rate matching indicator(0 or 1 or 2 bits): rate matching pattern을 지시한다.
- ZP CSI-RS trigger(0 or 1 or 2 bits): aperiodic ZP CSI-RS를 트리거하는 지시자.
- For transport block 1:
- Modulation and coding scheme(5 bits): PDSCH 전송에 사용되는 modulation order 및 coding rate를 지시한다.
- New data indicator(1 bit): Toggle 여부에 따라 PDSCH가 초기 전송인지, 재전송 인지를 지시한다.
- Redundancy version(2 bits): PDSCH 전송에 사용된 redundancy version을 지시한다.
- For transport block 2:
- Modulation and coding scheme(5 bits): PDSCH 전송에 사용되는 modulation order 및 coding rate를 지시한다.
- New data indicator(1 bit): Toggle 여부에 따라 PDSCH가 초기 전송인지, 재전송 인지를 지시한다.
- Redundancy version(2 bits): PDSCH 전송에 사용된 redundancy version을 지시한다.
- HARQ process number(4 bits): PDSCH 전송에 사용된 HARQ process number를 지시한다.
- Downlink assignment index(0 or 2 or 4 bits): DAI 지시자
- TPC command for scheduled PUCCH(2 bits): PUCCH power control 지시자
- PUCCH resource indicator(3 bits): PUCCH 자원 지시자로, 상위 레이어로 설정된 8가지 자원 중 하나를 지시한다.
- PDSCH-to-HARQ_feedback timing indicator(3 bits): HARQ feedback timing 지시자로, 상위레이어로 설정된 8가지 feedback timing offset 중 하나를 지시한다.
- Antenna port(4 or 5 or 6 bits): DMRS port 및 CDM group without data를 지시한다.
-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0 or 3 bits): TCI 지시자.
- SRS request(2 or 3 bits): SRS 전송 요청 지시자
- CBG transmission information(0 or 2 or 4 or 6 or 8 bits): 할당된 PDSCH 내 code block group들에 대한 전송 여부를 알려주는 지시자. 0은 해당 CBG가 전송되지 않음을 의미하고, 1은 전송됨을 의미한다.
- CBG flushing out information(0 or 1 bit): 이전 CBG들의 오염 여부를 알려주는 지시자로, 0이면 오염되었을 수 있음을 의미하고, 1이면 재전송 수신 시 사용할 수 있음(combinable)을 의미한다.
- DMRS sequence initialization(0 or 1 bit): DMRS scrambling ID 선택 지시자
단말이 해당 cell에서 slot 당 수신 가능한 서로 다른 크기의 DCI 수는 최대 4이다. 단말이 해당 셀에서 slot 당 수신 가능한 C-RNTI로 스크램블링 된 서로 다른 크기의 DCI 수는 최대 3이다.
한편, 상기 DCI format 1_0 또는 1_1에 포함되는 정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일부의 정보가 생략되거나 다른 정보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DCI format 1_0 또는 1_1 외에 다른 DCI format에 상기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DAI를 하향링크 할당 인덱스, DAI 값, DAI 필드, DAI 필드 값 등의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라 한 개의 PDCCH를 통해 한 개의 셀에 대한 PDSCH를 스케줄링하는 경우에 DAI 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 혹은 DCI format에는 DAI가 포함될 수 있다. DAI에는 counter DAI (610)와 total DAI (620) 두 가지 존재할 수 있으며, 각 DAI의 값은 다음을 의미한다.
counter DAI (610) 필드의 값은 현재 서빙셀, 그리고 현재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까지의 PDSCH(s) 혹은 SPS PDSCH release가 연계된 DCI formats가 존재하는 {서빙셀,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페어(들)의 누적 개수를 의미한다. 이 때, 먼저 서빙셀 인덱스 순서로 먼저 카운트하고, 그 뒤에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 인덱스 순서로 카운트할 수 있다 (A value of the counter downlink assignment indicator (DAI) field in DCI formats denotes the accumulative number of {serving cell, PDCCH monitoring occasion}-pair(s) in which PDSCH reception(s) or SPS PDSCH release associated with the DCI formats is present up to the current serving cell and current PDCCH monitoring occasion, first in ascending order of serving cell index and then in ascending order of PDCCH monitoring occasion index m, where
Figure pat00006
).
total DAI (620) 필드의 값은 현재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까지의 PDSCH(s) 혹은 SPS PDSCH release가 연계된 DCI formats가 존재하는 {서빙셀,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pair(들)의 전체 개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total DAI 필드의 값은 매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에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The value of the total DAI, when present, in a DCI format denotes the total number of {serving cell, PDCCH monitoring occasion}-pair(s) in which PDSCH reception(s) or SPS PDSCH release associated with DCI formats is present, up to the current PDCCH monitoring occasion m and is updated from PDCCH monitoring occasion to PDCCH monitoring occasion).
도 6을 참고하면, 단말에 4개의 서빙셀 (601, 602, 603, 604)이 설정되고 활성화될 수 있으며, 단말은 각 서빙셀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고, PDCCH를 통해 PDSCH를 스케줄링 받을 수 있다. PDCCH를 통해 전달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와 total DAI의 값은 도 6과 같을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한 숫자이며, 실제 각 DAI 필드의 크기는 상위 레이어 설정 등에 의해 정해질 수 있고, 실제 전송되는 DAI 값은 modulo 연산을 통해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위 레이어를 통해 전송되는 설정 정보에 특정 정보가 포함되거나 활성화 (또는 enable)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DAI 필드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정보는 예를 들어 total DAI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설정 정보에 DAI 필드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ounter DAI 값과 total DAI 값은 DAI field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total DAI 값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DAI field는 counter DAI 값과 동일할 수 있고, 상기 total DAI 값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DAI field의 특정 비트의 MSB와 특정 비트의 LSB가 counter DAI와 total DAI를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AI의 bit수를 NDAI, TD를 2NDAI, Y의 값을 PDSCH(들) 혹은 'SPS PDSCH release'와 연계된 PDCCH(들)이 존재하는 {serving cell, PDCCH monitoring occasion}-pair(들)의 개수라고 할 때, 실제 전송되는 DAI 필드의 값은 (Y-1) mod TD + 1의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의 PDCCH를 miss (또는 PDCCH detection failure 또는 PDCCH lost)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서빙셀 #2 (603)에서 PDCCH (630)를 miss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말은 서빙셀 #2에 대한 PDCCH를 miss하였지만, 다른 PDCCH를 통해 확인된 total DAI 값에 따라 HARQ-ACK codebook의 크기를 6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counter DAI 값 5가 포함된 PDCCH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상기 HARQ-ACK codebook의 5번째 값을 NACK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일부 PDCCH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정확한 HARQ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라 PDCCH를 통해 다른 셀에 대한 PDSCH를 스케줄링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단말에 3개의 서빙 셀 (PCell (710), SCell1 (720), SCell2 (730))이 설정되고, 활성화되어 있고, 서빙셀 인덱스 2를 가지는 SCell2 (730)에서 PCell (710)을 cross-carrier scheduling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counter DAI 필드의 값을 결정하는 방법에 따라 PDCCH #1 (721)을 통해 전송되는 DCI (또는 DCI format)에 포함된 counter DAI의 값은 1이 될 수 있고, PDCCH #2 (731)를 통해 전송되는 DCI (또는 DCI format)에 포함된 counter DAI의 값은 2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cross carrier scheduling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counter DAI 값이 결정되는 경우,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하는 데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의 표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표 3은 Dynamic HARQ-ACK 코드북(Type-2 HARQ-ACK 코드북)을 생성하는 방법의 pseudo code를 나타낸 것이다. 하기의 pseudo code를 참고하면 (while 문 안에서) 서빙셀 인덱스 c 값이 0인 서빙 셀(즉, PCell)부터 시작하여 서빙셀 인덱스 c값을 증가시키면서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서빙셀 인덱스 0인 PCell을 참고하면, PCell에는 PDSCH #2 (711)가 존재할 수 있다. PDSCH #2 (711)를 스케줄링한 PDCCH #2 (731)를 통해 전송된 DCI (또는 DCI format)에 포함된 counter DAI 값이 2이므로, VDL C-DAI,c,m값 (counter DAI의 값)은 Vtemp값 (기본값은 0으로 시작)보다 크다. 따라서 j를 1 증가시키는 코드가 수행되지 않고, 그 다음 코드에 따라 Vtemp값을 VDL C-DAI,c,m인 2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j 파라미터는 HARQ-ACK 코드북의 크기 및, HARQ-ACK 코드북를 구성하는 HARQ-ACK 정보들 각각이 HARQ-ACK 코드북 내의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해 연계된 파라미터이다.
이후의 코드를 수행 후, 서빙셀 인덱스 c의 값을 1 증가시키는 코드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서빙셀 인덱스 1을 가지는 SCell1을 참고하면, SCell1에는 PDSCH #1 (722)이 존재할 수 있다. PDSCH #1 (722)을 스케줄링한 PDCCH#1 (721)을 통해 전송된 DCI (또는, DCI format)에 포함된 counter DAI 값이 1이므로, 이는 VDL C-DAI,c,m값은 Vtemp값 2보다 작으며, VDL C-DAI,c,m값이 Vtemp값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j를 1 증가시키는 코드가 수행된다. 즉, 불필요하게 j 값이 증가되어 불필요하게 HARQ-ACK 코드북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VDL C-DAI의 값은 counter DAI의 bit들의 개수이고, TD의 값은
Figure pat00007
와 같이 정해진다.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의 첨자는 HARQ-ACK 코드북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j값이 1증가하게 되면, HARQ-ACK 코드북 내의 위치가 크게는 TD 혹은 2*TD 까지도 변하게 되어, 그 사이의 값들이 비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표 3] Dynamic HARQ-ACK 코드북 생성 pseudo code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다만, 본 개시는 cross carrier scheduling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ounter DAI 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나 본 개시의 방법이 cross carrier scheduling의 상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self-scheduling에 대해서도 본 개시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적절한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하기 위한 counter DAI 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 - counter DAI 필드 값을 결정하는 방법]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의 값은 상기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의 스케줄링된 PDSCH의 누적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누적 개수는 서빙셀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의 값은 상기 PDCCH를 통해 PDSCH가 스케줄링된 서빙셀 (서빙셀 인덱스 n)까지의 스케줄링된 PDSCH의 누적 개수(0 ~ n-1의 서빙셀 인덱스를 가지는 서빙셀에 스케줄링된 PDSCH의 누적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누적 개수는 서빙셀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의 값은 상기 PDCCH를 통해 PDSCH가 스케줄링된 서빙셀까지의 스케줄링된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의 누적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누적 개수는 서빙셀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의 값은 상기 PDCCH를 통해 PDSCH가 스케줄링된 서빙셀(서빙셀 인덱스 n)까지의 스케줄링된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의 누적 개수(0~ n-1의 서빙셀 인덱스를 가지는 서빙셀들 중 스케줄링된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의 누적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누적 개수는 서빙셀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의 값은 상기 PDCCH를 통해 PDSCH가 스케줄링된 서빙셀까지의 스케줄링된 PDSCH(들) 각각을 스케줄링한 DCI(들)이 존재하는 {서빙 셀, PDCCH 모니터링 시점}-pair의 누적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적 개수는 서빙셀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A value of the counter downlink assignment indicator (DAI) field in DCI formats denotes the accumulative number of {serving cell, PDCCH monitoring occasion}-pair(s) in which PDSCH reception(s) in the serving cell(s) have lower or equal serving cell index(es) than a current scheduled PDSCH serving cell index or SPS PDSCH release associated with DCI format is present, up to a current scheduled PDSCH serving cell and current PDCCH monitoring occasion, first in ascending order of scheduled PDSCH serving cell index and then in ascending order of PDCCH monitoring occasion index m, where
Figure pat00015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의 값은 상기 PDCCH를 통해 PDSCH가 스케줄링된 서빙셀 및 PDSCH까지 {서빙 셀, 스케줄링된 PDSCH}-pair의 누적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적 개수는 서빙셀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는 하기와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A value of the counter downlink assignment indicator (DAI) field in DCI formats denotes the accumulative number of {serving cell, PDSCH}-pair(s) in which PDSCH reception(s) or SPS PDSCH release associated with the DCI formats is present up to the current serving cell and current PDSCH monitoring occasion, first in ascending order of serving cell index and then in ascending order of PDSCH monitoring occasion index m, where
Figure pat00016
).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unter DAI 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PCell (810)의 PDSCH #2 (811)을 스케줄링한 PDCCH #2 (831)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 값은, 위의 실시예의 설명에 따라 1로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서빙셀 인덱스 1을 가지는 서빙셀에 스케줄링된 PDSCH #1 (822)을 스케줄링한 PDCCH #1 (821)을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 값은, 위의 실시예의 설명에 따라 2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PDSCH, 서빙 셀, 또는 {서빙셀, PDSCH}-pair 중 적어도 하나의 누적 개수 (accumulative number)는 하기와 같은 방법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DCI에 포함된 counter DAI값을 결정하기 위해 '스케줄링된 PDSCH의 누적 개수, 스케줄링된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의 누적 개수, 또는 {서빙 셀, PDSCH}-pair의 누적 개수를 결정하는 방법은 한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에서 먼저 PDSCH가 스케줄링된 서빙셀 인덱스 (또는, 스케줄링된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 인덱스)의 오름차순(ascending order)으로 먼저 수행하고, 그 뒤에는 시간 축 상 더 뒤에 위치하는 다음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에서 상기 누적과정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PDSCH, 서빙 셀, 또는 {서빙 셀, PDSCH}-pair 중 적어도 하나의 누적 개수 (accumulative number)의 결정은 PDSCH가 스케줄링된 서빙셀 인덱스 (또는, 스케줄링된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먼저 수행하고, 그 이후 PDCCH 모니터링 시점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DCI에 포함된 counter DAI값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 먼저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 n에서 존재하는 PDCCH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들에 대한 누적 과정을 수행하고, 그 뒤에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 n+1에서 존재하는 PDCCH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들에 대한 누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들에 대한 누적 과정은 PDCCH monitoring occasion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PDCCH 모니터링 시점에서 복수의 PDSCH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PDSCH가 스케줄링된 서빙셀의 인덱스 또는 상기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의 인덱스의 오름 차순으로 누적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DCI에 포함된 counter DAI값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 먼저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 n에서 존재하는 PDCCH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들이 존재하는 서빙셀들에 대한 누적 과정을 수행하고, 그 뒤에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 n+1에서 존재하는 PDCCH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들이 존재하는 서빙셀들에 대한 누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PDSCH들이 존재하는 서빙셀들에 대한 누적 과정은 PDCCH monitoring occasion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PDCCH 모니터링 시점에서 PDSCH들이 존재하는 복수의 서빙셀이 존재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빙셀 인덱스 또는 상기 {서빙셀, PDSCH}-pair의 인덱스의 오름 차순으로 누적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unter DAI 값을 결정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PCell (910)의 PDSCH #2 (911)를 스케줄링한 PDCCH #2 (931)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 값은, 위의 실시예의 설명에 따라 1로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서빙셀 인덱스 1을 가지는 서빙셀에 스케줄링된 PDSCH #1 (922)을 스케줄링한 PDCCH #1 (921)을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 값은, 위의 실시예의 설명에 따라 2로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먼저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 n에서의 counter DAI 값을 결정하고, 이후에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 n+1에서의 counter DAI 값이 위의 실시예의 설명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즉,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 n+1에는 PCell의 PDSCH가 없으므로 건너뛰고(skip), 서빙셀 인덱스 1을 가지는 서빙셀에 스케줄링된 PDSCH #3 (924)을 스케줄링한 PDCCH #3 (923)을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 값은 3으로 정해지고, 서빙셀 인덱스 2를 가지는 서빙셀에 스케줄링된 PDSCH #4 (933)를 스케줄링한 PDCCH #4 (932)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 값은 4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ounter DAI를 포함한 DCI가 스케줄링하는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들을 상기 couter DAI 값의 오름차순으로 적용하여 HARQ-ACK 코드북 결정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또는 기지국은 PDCSH가 존재하는 서빙셀을 counter DAI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서빙셀들에 인덱스를 부여하고, 상기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HARQ-ACK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표 3의
Figure pat00017
조건의 while문 내부의 pseudo code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표 4의 마킹 부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렬과정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정렬 과정 없이 counter DAI 값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에 인덱스가 할당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덱스는 임시 셀 인덱스 (temporary cell index), 보조 셀 인덱스, 또는 제2 서빙셀 인덱스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보조 셀 인덱스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PDSCH가 존재하지 않는 서빙셀들은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들이 정렬된 뒤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정렬과정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에 대해 보조 셀 인덱스가 할당된 뒤에 PDSCH가 존재하지 않는 서빙셀에 대한 보조 셀 인덱스가 할당될 수 있으며, PDSCH가 존재하지 않는 서빙셀에 대해서는 서빙셀 인덱스의 오름차순에 따라 보조 셀 인덱스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ounter DAI를 포함한 DCI가 스케줄링하는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들을 상기 counter DAI 값의 오름차순으로 적용하여 HARQ-ACK 코드북 결정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서빙셀에 대한 별도의 인덱스를 할당하지 않고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하기 위한 서빙셀의 순서를 counter DAI 값의 오름차순에 따라 결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단말 또는 기지국은 PDCSH가 존재하는 서빙셀을 counter DAI 값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순서대로 오름차순으로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표 3의
Figure pat00018
조건의 while문 내부의 pseudo code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표 4의 마킹 부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렬과정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정렬과정 없이 counter DAI 값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HARQ-ACK 코드북의 결정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HARQ-ACK 코드북 결정 과정에 있어서 PDSCH가 존재하지 않는 서빙셀들에 대한 처리는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들에 대한 처리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예로 들면, PDSCH #1 (722)을 스케줄링한 PDCCH에 포함된 DCI의 counter DAI 필드의 값이 1이고, PDSCH #2 (711)를 스케줄링한 PDCCH에 포함된 DCI의 counter DAI 필드의 값이 2이므로, 이에 따라 서빙셀들에 상응하는 counter DAI 필드 값의 오름차순으로 HARQ-ACK 코드북 결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빙 셀들을 counter DAI 필드 값의 오름차순으로 아래와 같이 정렬시킬 수 있다. 다만, 정렬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counter DAI 필드 값의 오름차순으로, 즉 서빙셀1, 서빙셀 0, 서빙셀 2의 순서로, HARQ-ACK 코드북 결정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서빙셀 1에 대해서 표 4의 마킹 부분의 코드가 실행되고, 그 뒤에는 서빙셀 0에 대해서 표 4의 마킹 부분의 코드가 실행되고, 그 뒤에는 서빙셀 2에 대해서 표 4의 마킹 부분의 코드가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PDSCH가 존재하지 않는 서빙셀 2에 대해서는 표 4의 마킹 부분의 코드의 실행이 skip될 수 있다.
Figure pat00019
즉, 단말 및 기지국은 표 4의 마킹 부분의 코드에서 c=c+1;의 코드는 다음 서빙셀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고 동작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서빙셀 1의 다음은 서빙셀 0, 서빙셀 0의 다음은 서빙셀 2가 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동작할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셀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기와 같이 counter DAI 필드 값의 오름 차순에 따라 보조 셀 인덱스가 할당될 수 있으며, counter DAI 필드 값의 오름차순에 따라 서빙셀 1의 보조 셀 인덱스는 0, 서빙셀 0의 보조 셀 인덱스는 1, 서빙셀 2의 보조 셀 인덱스는 2로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22
그리고, 상기 표 4의 HARQ-ACK 코드북 결정 과정에서 서빙셀 인덱스 c는 보조 셀 인덱스 c'가 적용되어 HARQ-ACK 코드북이 결정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Cell을 cross-carrier scheduling할 수 있는 SCell은 오직 서빙셀 인덱스 1을 가지는 서빙셀로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7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도 7과 같은 상황 (또는 스케줄링)이란, 적어도 두 개의 PDCCH를 통해 각각의 PDSCH가 스케줄링되는 경우, 더 작은 인덱스를 갖는 서빙셀의 PDSCH가 더 큰 인덱스를 갖는 서빙셀의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혹은 본 개시에서 도 7과 같은 상황 (또는 스케줄링)이란, 같은 PDCCH 모니터링 시점에서 서빙셀 인덱스 (C1,1)를 가지는 서빙셀에서 전송된 PDCCH가 서빙셀 인덱스 (C1,2)에 PDSCH를 스케줄링하고, 서빙셀 인덱스 (C2,1, C2,1 < C1,1)를 가지는 서빙셀에서 전송된 PDCCH가 서빙셀 인덱스 (C2,2, C2,2 > C1,2)를 가지도록 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Cell을 cross-carrier scheduling할 수 있는 SCell은 PCell의 서빙셀 인덱스보다 1 큰 서빙셀 인덱스를 가지는 서빙셀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SCell을 cross-carrier scheduling할 수 있는 SCell은 PSCell의 서빙셀 인덱스보다 1 큰 서빙셀 인덱스를 가지는 서빙셀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셀을 cross carrier scheduling할 수 있는 셀은 상기 임의의 셀의 서빙셀 인덱스보다 1 큰 서빙셀 인덱스를 가지는 서빙셀로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임의의 셀은 PCell, PScell, special cell 뿐만 아니라 SCell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SCell3의 PDCCH가 SCell1의 PDSCH를 스케줄링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도 7과 같은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절한 HARQ-ACK 코드북을 생성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 3에서 j값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HARQ-ACK 코드북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응하는 HARQ-ACK 코드북 정보가 없는 HARQ-ACK 코드북 정보의 bit들은 기정의된 값으로 채워 넣을 수 있다. 상기 기정의된 값은 예를 들면 NACK에 상응하는 값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ACK에 상응하는 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cross carrier scheduling에 의해 더 작은 인덱스를 갖는 서빙셀의 PDSCH가 더 큰 인덱스를 갖는 서빙셀의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경우 (예를 들어, PDCCH #2 (731)가 스케줄링하는 PDSCH #2 (711)의 서빙셀 인덱스 (710)가 PDCCH #1 (721)이 스케줄링하는 PDSCH #1 (722)의 서빙셀 인덱스 (720)보다 작고, PDCCH #2 (731)의 서빙셀 인덱스 (730)이 PDCCH #1 (721)의 서빙셀 인덱스 (720)보다 큰 경우), 불필요하게 j의 값이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의해 j값이 증가하게 되는 경우 (1010), 상기 j값의 증가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영역 (1020)이 증가되며, HARQ-ACK 코드북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HARQ-ACK 코드북 중에서 영역 (1020)에는 HARQ-ACK 정보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역 (1020)에는 기정의된 값으로 채워 넣어서(1030) HARQ-ACK 코드북을 생성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도 7과 같은 스케줄링이 발생하는 것을 기대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도 7과 같은 스케줄링이란, 적어도 두 개의 PDCCH를 통해 각각의 PDSCH가 스케줄링되는 경우, 더 작은 인덱스를 갖는 서빙셀의 PDSCH가 더 큰 인덱스를 갖는 서빙셀의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혹은 본 개시에서 도 7과 같은 스케줄링이란, 같은 PDCCH 모니터링 시점에서 서빙셀 인덱스 (C1,1)를 가지는 서빙셀에서 전송된 PDCCH가 서빙셀 인덱스 (C1,2)에 PDSCH를 스케줄링하고, 서빙셀 인덱스 (C2,1, C2,1 < C1,1)를 가지는 서빙셀에서 전송된 PDCCH가 서빙셀 인덱스 (C2,2, C2,2 > C1,2)를 가지도록 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도 7과 같은 스케줄링이 발생하는 경우 두 개의 PDSCH 중 적어도 한 개의 PDSCH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 #2 (711)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하거나 PDSCH #1 (722)이 스케줄링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도 7과 같은 스케줄링이 발생하는 경우 SCell (예를 들어, PCell을 cross-carrier scheduling할 수 있도록 설정된 SCell)에서 스케줄링한 PDSCH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PDSCH에 대한 HARQ-ACK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HARQ-ACK 코드북 구성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은 경우 PDSCH #2를 처리하지 않고, PDSCH #2에 대한 HARQ-ACK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HARQ-ACK 코드북 구성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도 7과 같은 스케줄링이 발생하는 경우 SCell (예를 들어, PCell을 cross-carrier scheduling할 수 있도록 설정된 SCell)의 서빙셀 인덱스보다 작은 서빙셀 인덱스를 가지는 SCell에서 스케줄링한 PDSCH들이 스케줄링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PDSCH들에 대한 HARQ-ACK 정보들를 생성하지 않고, HARQ-ACK 코드북 구성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은 경우 PDSCH #1을 처리하지 않고, PDSCH #1에 대한 HARQ-ACK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HARQ-ACK 코드북 구성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도 7과 같은 스케줄링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모니터링 시점에서 스케줄링된 모든 PDSCH들을 스케줄링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상기 PDSCH들에 대한 HARQ-ACK 정보들를 생성하지 않고, HARQ-ACK 코드북 구성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은 경우 PDSCH #1 및 PDSCH #2를 처리하지 않고, PDSCH #1 및 PDSCH #2에 대한 HARQ-ACK 정보들을 생성하지 않고, HARQ-ACK 코드북 구성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6 실시예]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Cell (PCell을 cross-carrier scheduling할 수 있도록 설정된 SCell)에 common search space가 설정되고, 단말은 상기 설정된 SCell의 common search space에서 PDSCH를 스케줄링하는 counter DAI 필드의 값이 1인 DCI format 1_0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MA,C 개의 후보 PDSCH 수신 지점(occasions)들 내에서 상기 PDSCH에 대한 HARQ-ACK 정보만을(only) PUCCH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상기 PDSCH에 대해서만 HARQ-ACK 정보를 생성하고, 이로써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하고,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상기 HARQ-ACK 코드북은 Type-1 HARQ-ACK 코드북(Semi-static HARQ-ACK 코드북)일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단말은 S1110 단계에서 제어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영역에 대한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단말은 S1120 단계에서 상기 제어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제1 셀의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 DCI를 제1 셀의 PDCCH를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제2 셀의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 DCI를 제1 셀의 PDCCH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DCI에는 상술한 DAI 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DAI 필드는 total DAI 값 및 counter DAI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DAI 필드는 total DAI 또는 counter DAI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된 설정 정보에 total DAI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disabled), 상기 DAI 필드는 counter DAI 값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DAI 필드의 비트 길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된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ounter DAI 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의 값은 상기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PDSCH에 상응하는 서빙셀까지의 PDSCH 누적 개수, 또는 상기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PDSCH에 상응하는 서빙셀까지의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의 누적 개수, 또는 상기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PDSCH까지 {서빙 셀, 스케줄링된 PDSCH}-pair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counter DAI 값은 서빙셀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누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PDCCH 모니터링 시점에 대해서, 상기 counter DAI 값은 먼저 서빙셀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누적되고, 이후 PDCCH 모니터링 시점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누적될 수 있다. 구체적인 상기 counter DAI 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ounter DAI 값은 현재 서빙셀, 그리고 현재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까지의 PDSCH(s) 혹은 SPS PDSCH release가 연계된 DCI formats가 존재하는 {서빙셀,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pair(들)의 누적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130 단계에서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140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DAI 필드에 기반하여 HARQ-ACK codebook을 결정하고 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스케줄링된 PDSCH를 통해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수신 혹은 디코딩에 실패한 경우), 상기 HARQ-ACK codebook의 값을 NACK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DAI 필드에 포함된 total DAI 및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HARQ-ACK codebook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total DAI 값에 기반하여 HARQ-ACK codebook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현재 PDCCH 모니터링 시점까지 수신되지 않은 DCI가 있는 경우, 상기 HARQ-ACK codebook에서 상기 수신되지 않은 DCI의 상기 counter DAI 값에 상응하는 값을 NACK(negatively acknowledgement)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DSCH의 누적 개수, 서빙셀의 누적 개수, 또는 {서빙셀, PDSCH}-pair 중 적어도 하나의 누적 개수를 이용하여 counter DAI 값을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HARQ-ACK 코드북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으며, 적절한 HARQ-ACK 코드북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서빙셀,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pair에 기반하여 counter DAI 값을 결정하는 경우, 단말은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하기 위한 서빙셀의 순서를 counter DAI 값의 오름차순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하기 위한 표 3의 코드에 대해, counter DAI 값의 오름차순에 따라 상기 counter DAI 값에 상응하는 서빙셀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counter DAI 값의 오름차순에 따라 각 서빙셀 (또는 PDSCH)에 보조 셀 인덱스를 할당하고 상기 표 3의 c 값에 보조 셀 인덱스를 적용하여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ounter DAI 값에 따라 HARQ-ACK 코드북의 크기가 증가되는 경우, 상응하는 영역을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은 예를 들어 NACK에 상응하는 값일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셀을 cross carrier scheduling할 수 있는 셀은, 상기 임의의 셀의 서빙셀 인덱스보다 1 큰 서빙셀 인덱스를 가지는 서빙셀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DCI가 전송된 PDCCH가 포함된 셀의 인덱스가 상기 DCI가 스케줄링하는 PDSCH가 포함된 셀의 인덱스보다 1 크거나 동일한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PDCCH를 통해 각각의 PDSCH가 스케줄링되는 경우, 단말은 더 작은 인덱스를 갖는 서빙셀의 PDSCH가 더 큰 인덱스를 갖는 서빙셀의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을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케줄링이 발생된 경우, 단말은 스케줄링된 PDSCH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지 않고, HARQ-ACK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S1210 단계에서 제어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영역에 대한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S1220 단계에서 상기 제어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를 통해 DCI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1 셀의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 DCI를 제1 셀의 PD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제2 셀의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 DCI를 제1 셀의 PDC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DCI에는 상술한 DAI 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DAI 필드는 total DAI 값 및 counter DAI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DAI 필드는 total DAI 또는 counter DAI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 설정 정보에 total DAI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disabled), 상기 DAI 필드는 counter DAI 값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DAI 필드의 비트 길이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된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ounter DAI 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포함된 counter DAI의 값은 상기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PDSCH에 상응하는 서빙셀까지의 PDSCH 누적 개수, 또는 상기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PDSCH에 상응하는 서빙셀까지의 PDSCH가 존재하는 서빙셀의 누적 개수, 또는 상기 PDCCH를 통해 스케줄링된 PDSCH까지 {서빙 셀, 스케줄링된 PDSCH}-pair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counter DAI 값은 서빙셀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누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PDCCH 모니터링 시점에 대해서, 상기 counter DAI 값은 먼저 서빙셀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누적되고, 이후 PDCCH 모니터링 시점 인덱스의 오름차순으로 누적될 수 있다. 구체적인 상기 counter DAI 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ounter DAI 값은 현재 서빙셀, 그리고 현재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까지의 PDSCH(s) 혹은 SPS PDSCH release가 연계된 DCI formats가 존재하는 {서빙셀,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pair(들)의 누적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S1230 단계에서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S1240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DAI 필드에 기반하여 결정된 HARQ-ACK 코드북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케줄링된 PDSCH를 통해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HARQ-ACK codebook의 값은 NACK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DAI 필드에 포함된 total DAI 및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HARQ-ACK codebook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otal DAI 값에 기반하여 HARQ-ACK codebook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현재 PDCCH 모니터링 시점까지 수신되지 않은 DCI가 있는 경우, 상기 HARQ-ACK codebook에서 상기 수신되지 않은 DCI의 상기 counter DAI 값에 상응하는 값은 NACK(negatively acknowledgement)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DSCH의 누적 개수, 서빙셀의 누적 개수, 또는 {서빙셀, PDSCH}-pair 중 적어도 하나의 누적 개수를 이용하여 counter DAI 값을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HARQ-ACK 코드북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으며, 적절한 HARQ-ACK 코드북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서빙셀, PDCCH 모니터링 시점(occasion)}-pair에 기반하여 counter DAI 값을 결정하는 경우,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하기 위한 서빙셀의 순서는 counter DAI 값의 오름차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HARQ-ACK 코드북을 결정하기 위한 표 3의 코드에 대해, counter DAI 값의 오름차순에 따라 상기 counter DAI 값에 상응하는 서빙셀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counter DAI 값의 오름차순에 따라 각 서빙셀 (또는 PDSCH)에 보조 셀 인덱스가 할당될 수 있으며, 상기 표 3의 c 값에 보조 셀 인덱스가 적용되어 HARQ-ACK 코드북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은 상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ounter DAI 값에 따라 HARQ-ACK 코드북의 크기가 증가되는 경우, 상응하는 영역이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은 예를 들어 NACK에 상응하는 값일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셀을 cross carrier scheduling할 수 있는 셀은, 상기 임의의 셀의 서빙셀 인덱스보다 1 큰 서빙셀 인덱스를 가지는 서빙셀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상기 PDCCH의 셀 인덱스보다 1 작거나 동일한 셀 인덱스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PDCCH를 통해 각각의 PDSCH가 스케줄링되는 경우, 기지국은 더 작은 인덱스를 갖는 서빙셀의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를 더 큰 인덱스를 갖는 서빙셀의 PDCCH를 통해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 (1310), 제어부 (1320), 저장부 (1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3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 (1110)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 (1310)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 (1310)은 결정된 HARQ 코드북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 (132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3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320)는 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고, 상기 DCI에 포함된 DAI 필드 및 상기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통한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기반하여 HARQ 코드북을 결정하는 상기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단말의 동작은 제어부 (13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저장부 (1330)는 상기 송수신부 (13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1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 (1410), 제어부 (1420), 저장부 (14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4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 (1410)는 예를 들어, 단말에 제어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 (1410)는 단말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 (1410)은 결정된 HARQ 코드북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42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4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420)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PDCCH를 통해 DCI를 전송하고, 상기 DCI에 포함된 DAI 필드 및 상기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통한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기반하여 결정된 HARQ 코드북을 수신하는 상기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단말의 동작은 제어부 (14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저장부 (1430)는 상기 송수신부 (14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2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기지국으로부터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결정된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기지국으로부터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결정된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에서 설명의 순서가 반드시 실행의 순서와 대응되지는 않으며, 선후 관계가 변경되거나 병렬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되고 일부의 구성요소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 실시예에 포함된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가 조합되어 실행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기지국으로부터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unt DAI 값은 서빙셀 인덱스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이후 PDCCH 모니터링 시점 인덱스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ARQ 코드북을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되지 않은 DCI가 있는 경우, 상기 HARQ 코드북에서 상기 수신되지 않은 DCI의 counter DAI 값에 상응하는 값을 NACK (negatively acknowledgement)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AI 필드의 비트 길이는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DCI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에 대한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결정된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ount DAI 값은 서빙 셀 인덱스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이후 PDCCH 모니터링 시점 인덱스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DCCH 모니터링 시점까지 수신되지 않은 DCI가 있는 경우, 상기 HARQ 코드북에서 상기 수신되지 않은 DCI의 counter DAI 값에 상응하는 값이 NACK (negatively acknowledgement)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AI 필드의 비트 길이는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DCI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에 대한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기지국으로부터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ount DAI 값은 서빙셀 인덱스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이후 PDCCH 모니터링 시점 인덱스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되지 않은 DCI가 있는 경우, 상기 HARQ 코드북에서 상기 수신되지 않은 DCI의 counter DAI 값에 상응하는 값을 NACK (negatively acknowledgement)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AI 필드의 비트 길이는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DCI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에 대한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서빙 셀의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DAI (downlink assignment index) 필드를 포함하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DCI에 기반하여 스케줄링된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 결과 및 상기 DAI 필드에 기반하여 결정된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코드북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HARQ 코드북은 상기 DAI 필드에 포함된, 상기 PDSCH가 포함된 서빙셀까지 PDSCH의 누적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된 counter DAI 값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ount DAI 값은 서빙 셀 인덱스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이후 PDCCH 모니터링 시점 인덱스의 오름차순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DCCH 모니터링 시점까지 수신되지 않은 DCI가 있는 경우, 상기 HARQ 코드북에서 상기 수신되지 않은 DCI의 counter DAI 값에 상응하는 값이 NACK (negatively acknowledgement)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AI 필드의 비트 길이는 상기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DCI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에 대한 PD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210005341A 2021-01-14 2021-01-14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02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341A KR20220102872A (ko) 2021-01-14 2021-01-14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22/000762 WO2022154591A2 (ko) 2021-01-14 2022-01-14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341A KR20220102872A (ko) 2021-01-14 2021-01-14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872A true KR20220102872A (ko) 2022-07-21

Family

ID=8244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341A KR20220102872A (ko) 2021-01-14 2021-01-14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02872A (ko)
WO (1) WO20221545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5654A1 (zh) * 2022-09-30 2024-04-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反馈信息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0637B1 (en) * 2015-08-14 2023-11-08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Determining a harq-ack response codeboo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765922A (zh) * 2017-08-04 2023-03-07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发送或接收数据信道和控制信道的方法、装置和系统
US10750488B2 (en) * 2017-09-11 2020-08-18 Apple Inc.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based on codeblock groups in new radio systems
US20190158205A1 (en) * 2017-11-17 2019-05-2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EP3910859B1 (en) * 2019-02-15 2023-04-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4591A2 (ko) 2022-07-21
WO2022154591A3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6085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part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049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US118825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network coordinated communication
US118441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for network coordination
US202201588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ple data in wireless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US202002677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197520B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基站
EP41491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15863A (ko) Nr 시스템에서 mr-dc에 대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20674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20012897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15839A (ko) 무선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23008072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02872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94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위상 추정 기준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20144680A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팅 및 브로드캐스팅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20740A (ko) 네트워크 협력통신을 위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10095173A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무선 전송 기법에 대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1258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20099026A (ko)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4135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4132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arq process id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567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quasi-static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02956A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팅 및 브로드캐스팅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04544A (ko)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팅 및 브로드캐스팅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