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322A - Cap for container - Google Patents

Cap for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322A
KR20220102322A KR1020210004550A KR20210004550A KR20220102322A KR 20220102322 A KR20220102322 A KR 20220102322A KR 1020210004550 A KR1020210004550 A KR 1020210004550A KR 20210004550 A KR20210004550 A KR 20210004550A KR 20220102322 A KR20220102322 A KR 20220102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wall
opening
sp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모
이수진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빙그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빙그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빙그레
Priority to KR102021000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322A/en
Publication of KR2022010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3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3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3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lug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turning a cylindrical or conical plug without axial passageways
    • B65D47/30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lug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turning a cylindrical or conical plug without axial passageways provided with a spout, e.g. "escargot"-typ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lid for a container which is for use by being coupled to a container body, wherein the lid for a container comprises: a lid body unit having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and a stopper unit coupled to the lid body unit and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art provided to seal the discharge port at one end and a pressing part at the other end. As the stopper unit moves the pressing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pens the discharge port.

Description

용기 뚜껑{Cap for container}Container lid {Cap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 뚜껑 및 용기 뚜껑을 구비하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lid and a beverage container having the container lid.

종래 음료와 같은 액체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출구가 마련되어 상기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토출시키기 위한 다양한 뚜껑 구조가 개발되었다.As for use in a container for storing liquid contents such as a conventional beverage, a discharge port is provided to drink or discharge the contents, and various lid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사용자가 용기 뚜껑에 입을 대고 음용하는 경우, 용이한 음용을 위해 용기 뚜껑에 토출되는 내용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주둥이나, 합성 수지재로 제조되는 빨대가 결합된 뚜껑들이 개발되었다. 다만, 이러한 용기 뚜껑은 밀폐력이 떨어지며, 토출량을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a user drinks with his mouth on the container lid, a spout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of contents discharged to the container lid for easy drinking, or a lid combined with a straw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s been developed. However, such a container lid has a problem in that the sealing force is low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뚜껑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lid including a stopp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er li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내용물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lid having excellent sealing performance while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ontent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방식의 개폐가 가능한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lid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one-touch man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은,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갖는 뚜껑 본체부, 및 상기 뚜껑 본체부에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토출구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와 타단에 누름부를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누름부를 상기 개구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the lid body portion having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and coupled to the lid body portion, the discharge port at one end It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provided to seal and a stopper including a pressing portion at the other end, wherein the sto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pens the discharge port as the pressing portion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용기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용기 뚜껑의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 외벽, 및 상기 뚜껑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뚜껑 내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사이의 공간에 상기 용기 입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ainer body includes a container inlet extending along a periphery of the opening, and the lid body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lid outer wall and the lid outer wall defining the exterior of the container lid, and corresponds to the opening and a lid inner wall having a shape of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입구는, 상기 뚜껑측 결합부에 대응하는 용기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 결합부 및 상기 용기측 결합부는 래치 또는 나사산일 수 있다.Specifically, at least one of the lid outer wall and the lid inner wall includes a lid-side engaging portion, and the container inlet includes a container-side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id-side engaging portion, the lid-side engaging portion and the container-side engaging portion. The coupling may be a latch or thread.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뚜껑 본체부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pp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d body.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부는, 상기 개폐부와 상기 누름부 사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pper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provid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the pressing part, and the lid body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누름부와 상기 뚜껑 외벽에 결합되는 변조 방지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용기의 최초 개봉시에 상기 변조 방지 밴드가 제거됨에 따라 이동 가능해지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d body part may further include a tamper-resistant band coupled to the pressing part and the lid outer wall, and the pressing part may be movable as the tamper-resistant band is removed when the container is first opened. .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개구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누름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d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ecess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as the pressing portion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은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갖는 뚜껑 본체부, 및 상기 뚜껑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구에 결합되는 밀봉부와 상기 용기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주둥이부를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내부에 토출로를 가지며, 상기 밀봉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토출로와 상기 토출구가 연통하는 경우에만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the lid body portion having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and coupled to the lid body portion, the discharge port It includes a sealing part coupled to and a stopper including a spout par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wherein the spout part has a discharge path therein, and is hinged to the sealing part to communicate the discharge path and the discharge 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s are discharged only in case.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용기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용기 뚜껑의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 외벽, 및 상기 뚜껑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뚜껑 내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사이의 공간에 상기 용기 입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it includes a container inlet exten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he lid body portion, the lid outer wall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ontainer lid, and spaced apart from the lid outer wall, the li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It further includes an inner wall, wherein the container lid may be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in such a way that the container inlet is fitted in a space between the lid outer wall and the lid inner wall.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입구는, 상기 뚜껑측 결합부에 대응하는 용기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 결합부 및 상기 용기측 결합부는 래치 또는 나사산일 수 있다.Specifically, at least one of the lid outer wall and the lid inner wall includes a lid-side engaging portion, and the container inlet includes a container-side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id-side engaging portion, the lid-side engaging portion and the container-side engaging portion. The coupling may be a latch or a thread.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외벽은, 상기 주둥이부를 상기 뚜껑 본체부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토출구를 밀폐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outer wall of the lid may form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spout inside the lid body portion, and the spout may seal the discharge port whe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주둥이부에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뚜껑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pper may further include a hinge part connected to the spout, and a handle part connected to the hinge part and protruding from the lid body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힌지 이동시 상기 주둥이부와 접촉하여 상기 주둥이부를 힌지 이동시키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andl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for hinged movement of the spout in contact with the spout when the hinge of the handle moves.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뚜껑 외벽에 결합되는 변조 방지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용기의 최초 개봉시에 상기 변조 방지 밴드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힌지 이동 가능해지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d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tamper-resistant band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outer wall of the lid, and the handle portion is hinged as the tamper-resistant band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portion when the container is first opened. it may be possible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주둥이부의 외부 표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상기 돌출부를 회전 중심으로 상기 밀봉부에 대해 회전 힌지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pper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out, the lid body further includes a coupl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and the spout seals the protrusion as a rotation center. It may be a rotary hinge movement relative to the part.

구체적으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뚜껑 본체부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ppe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d body.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어느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tainer including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은 내용물 누수를 방지하는 밀폐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one touch while having a sealing structure to prevent leakage of contents.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은 분리 가능한 마개를 이용하여 용기 뚜껑의 토출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내용물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contents by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tainer lid using a detachable stopp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구비하는 용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면도(a, b)와 평면도(c)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마개부의 결합 전후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폐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토출구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마개부 제거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개폐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토출로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측면도(a, b)와 평면도(c)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마개부의 결합 전후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a, b)와 용기의 개폐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c, d)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토출로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마개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마개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토출로의 개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변조 방지 밴드를 구비하는 경우 토출로의 개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tainer having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a, b) and a plan view (c)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before and after the coupling of the stopper in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port is opened in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ving a stopper from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path is opened in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a, b) and a plan view (c)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ceptual diagram (a, b)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coupling a stopper in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ceptual diagram (c, d) showing an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container.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path is opened in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opper is separated from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opper of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ning a discharge path from a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ning process of a discharge path when the container includes a tamper-resistant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 및 도면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와 도면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these examples and drawing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 용기는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내용물은 액체 상태의 음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tainer is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may be a liquid bever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구비하는 용기(1)의 개념도이다.1 to 7 are conceptual views of a container 1 having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용기(1)는 용기 본체(100) 및 용기 뚜껑(110)을 포함하며, 용기 뚜껑(110)은 뚜껑 본체부(120) 및 마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container 1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100 and a container lid 110 , and the container lid 110 may include a lid body 120 and a stopper 130 . have.

용기 본체(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0)는 음료나 화장품 용기일 수 있다. 용기 본체(100)에는 내용물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는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 뚜껑(110)이 개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00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the contents therein. For example, the container body 100 may be a beverage or cosmetic container. One or more openings may be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00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contents. For example, the opening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 and the container lid 110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opening.

용기 본체(100)는 그 형상이나 크기 또는 소재가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액체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통상적인 용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본체(100)는 하부가 상광하협이고, 상부가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용기 본체(100) 상부의 측면 기울기가 하부의 측면 기울기보다 더 크게 마련되어, 용기 본체(100)의 하부에서의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00 is not limited in shape, size, or material, and may be a conventional container for storing liquid contents. Preferably, the container body 100 may have a shape of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n this case, the lateral inclina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is provided to be greater than the lateral inclination of the lower portion, thereby increasing stabilit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

도 3을 참조하면, 용기 본체(100)는 상부에 개구(101)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101)의 형상이나 크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3 , the container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10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shape or size of the opening 101 is not limited.

용기 본체(100)는 개구(10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용기 입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100)에서 개구(101)가 용기 본체(100)의 상부를 향해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 입구(102) 또한 용기 본체(10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00 may include a container inlet 102 extending along the perimeter of the opening 101 . For example, the opening 101 in the container body 100 may be form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the container inlet 102 may also be formed extending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

용기 본체(100)는 용기 입구(102)를 통해 용기 뚜껑(110)과 결합할 수 있다. 용기 뚜껑(110)에 용기 입구(102)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용기 뚜껑(110)과 용기 본체(100)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결합 방식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container body 100 may be coupled to the container lid 110 through the container inlet 102 . The container lid 110 and the container body 100 may be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container inlet 102 is fitted to the container lid 110 . A more specific coupling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용기 뚜껑(110)은 용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개구(101)와 연통하는 토출구(126)를 갖는 뚜껑 본체부(120)와 뚜껑 본체부(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단에 토출구(126)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132)와 타단에 누름부(133)를 포함하는 마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뚜껑(110)은 합성 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ntainer lid 1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body 120 and the lid body 120 having a discharge port 126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101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00, and has a discharge port ( It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unit 132 provided to seal the 126 and a stopper unit 130 including a pressing unit 133 at the other end. Preferably, the container lid 1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뚜껑 본체부(120)는 용기 본체(100)의 개구(101)를 덮도록 마련되되, 토출구(126)를 구비하여 용기 본체(10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토출구(126)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은 사용자의 입이나 다른 용기로 전달될 수 있으며, 토출구(126)는 개구(101)보다 크기가 작은 것일 수 있다. 즉, 뚜껑 본체부(120)는 개구(101)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으며, 토출구(126)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The lid body 120 is provided to cover the opening 101 of the container body 100 , and has a discharge port 126 to discharge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100 .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6 may be delivered to the user's mouth or other container, and the discharge port 126 may be smaller in size than the opening 101 . That is, the lid body 120 may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101 , and may discharge the contents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6 .

뚜껑 본체부(120)는 용기 뚜껑(1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 외벽(122)과 뚜껑 외벽(122)으로부터 이격되고, 개구(10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뚜껑 내벽(1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d body portion 120 may include a lid outer wall 122 forming the exterior of the container lid 110 and a lid inner wall 124 spaced apart from the lid outer wall 122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01 . can

뚜껑 외벽(122)은 용기 뚜껑(110)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뚜껑 외벽(122)은 용기 입구(102)의 상부면과 측면을 모두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 외벽(122)은 용기 입구(102)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용기 입구(102)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lid outer wall 122 may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ontainer lid 110 . The lid outer wall 122 may be provided to cover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inlet 102 . For example, the lid outer wall 122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inlet 102 , and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inlet 102 .

뚜껑 외벽(122)이 용기 입구(102)의 상부면을 덮는 경우, 뚜껑 외벽(122)은 개구(10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뚜껑 외벽(122)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오목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25)는 후술할 누름부(133)가 개구(10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오목부(125)는 누름부(133)가 개구(101)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였을 때, 강제 끼움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lid outer wall 122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inlet 102 , the lid outer wall 122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opening 101 . In this case, a concave portion 125 having a relatively low height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lid outer wall 122 . The concave portion 125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1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101 . Alternatively, the concave portion 125 may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forcibly fitting when the pressing portion 133 is moved to the maximum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101 .

뚜껑 외벽(122)이 용기 입구(102)의 측면을 덮는 경우, 뚜껑 외벽(122)은 용기 입구(102)의 길이를 넘어 용기(1) 상부로 추가로 연장될 수 있다. 뚜껑 외벽(122)에는 토출되는 내용물을 원하는 위치로 흘려보내기 위한 주둥이(121)가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lid outer wall 122 covers the side of the container inlet 102 , the lid outer wall 122 may further extend beyond the length of the container inlet 102 and above the container 1 . The lid outer wall 122 may be formed with a spout 121 for flowing the discharged contents to a desired location.

뚜껑 내벽(124)은 뚜껑 외벽(122)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뚜껑 내벽(124)은 뚜껑 외벽(122)의 어느 한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id inner wall 124 may be provided to extend from the lid outer wall 122 . The lid inner wall 124 may extend from any one surface of the lid outer wall 122 and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뚜껑 내벽(124)은 개구(10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 내벽(124)은 용기 입구(10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용기 입구(102)와 밀착하여 뚜껑 내벽(124)과 용기 입구(102) 사이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id inner wall 124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01 . For example, the lid inner wall 124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inlet 102 , and at least a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inlet 102 so that the contents flow out between the lid inner wall 124 and the container inlet 102 .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용기 본체(100)의 용기 입구(102)가 용기 뚜껑(11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된다는 것은, 뚜껑 외벽(122)과 뚜껑 내벽(124) 사이의 공간에 상기 용기 입구(10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견고한 결합 및 고정을 위해, 뚜껑 외벽(122)과 뚜껑 내벽(124)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측 결합부(123)를 포함하고, 용기 입구(102)는 뚜껑측 결합부(123)에 대응하는 용기측 결합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측 결합부(123)와 용기측 결합부(103)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용기 본체(100)와 용기 뚜껑(110)이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측 결합부(123) 및 용기측 결합부(103)는 스냅(snap)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는 래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측 결합부(123) 및 용기측 결합부(103)는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일 수 있다.The fact that the container inlet 102 of the container body 100 is coupled in such a way as to fit into the container lid 110 means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inlet 102 is in the space between the lid outer wall 122 and the lid inner wall 124 . is inserted and fixed. For more robust coupling and fixing, at least one of the lid outer wall 122 and the lid inner wall 124 includes a lid side engaging portion 123 , and the container inlet 102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lid side engaging portion 123 . It may include a container side coupling portion (103). The lid-side coupling portion 123 and the container-side coupling portion 103 may have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container lid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lid side coupling portion 123 and the container side coupling portion 103 may be latches coupled to each other in a snap manner. For example, the lid side coupling portion 123 and the container side coupling portion 103 may be thread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뚜껑(110)의 뚜껑 본체부(120)에는 뚜껑 외벽(122) 및 뚜껑 내벽(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뚜껑 외벽(122)과 뚜껑 내벽(124) 사이 공간으로 용기 입구(102)가 끼워질 수 있다. 뚜껑 외벽(122)의 내주면과 용기 입구(102)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래치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a lid outer wall 122 and a lid inner wall 124 may be formed on the lid body portion 120 of the container lid 110 , and between the lid outer wall 122 and the lid inner wall 124 . The container inlet 102 may be fitted into the space. Latch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outer wall 12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inlet 102 .

마개부(130)는 뚜껑 본체부(120)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부(130)는 뚜껑 본체부(12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마개부(130)는 마개 본체부(1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개 본체부(131)는 개구(101)를 덮는 뚜껑 외벽(12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개 본체부(131)는 일단에 토출구(126)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132), 타단에 마련되는 누름부(133), 변조 방지 밴드(134) 및 돌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130 may be coupled to the lid body 120 . For example, the stopper 1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body 120 . The stopper 130 may include a stopper body 131 , and the stopper body 131 may b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id outer wall 122 covering the opening 101 . The cap body 131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unit 132 provided at one end to seal the discharge port 126 , a pressing unit 133 provided at the other end, an anti-tamper band 134 , and a protrusion 135 .

개폐부(132)는 토출구(12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132)는 토출구(126)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32)는 적어도 일부가 토출구(126) 내부로 삽입되어 토출구(126)를 밀폐할 수 있다. 개폐부(132)는 후술할 마개부(130)의 동작에 따라 토출구(126)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132)는 토출구(126)와 밀착하여 뚜껑 본체부(120)와 마개부(130) 사이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part 13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126 . For example, the opening/closing part 132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126 . At least a part of the opening/closing part 132 may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126 to seal the discharge port 126 . The opening/closing unit 132 may open/close the discharge port 126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stopper 130 to be described later. The opening/closing part 13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126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between the lid body part 120 and the stopper part 130 .

누름부(133)는 개폐부(132)의 개폐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손이나 다른 도구로 누를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누름부(133)는 마개 본체부(131) 상에서 개폐부(132)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부(130)를 측면에서 볼 때, 누름부(133)는 용기(1)의 높이 방향으로의 두께가 용기 뚜껑(11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으며, 뚜껑 본체부(120)와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누름부(133)는 두께가 일정하되,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마련되어 용기 뚜껑(110)의 가장자리에서 뚜껑 본체부(120)와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133 provides a surface that a user can press with a hand or other tool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2 . The pressing part 133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opening/closing part 132 on the cap body part 131 . As shown in FIG. 3, when the stopper 130 is viewed from the side, the thickness of the pressing portion 133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1 may decrease toward the edge of the container lid 110, It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d body part 120 .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pressing part 133 has a constant thickness, but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d body part 120 at the edge of the container lid 110 .

변조 방지 밴드(134)는 뚜껑 본체부(120)의 적어도 일부와 마개부(130)의 적어도 일부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134)는 마개부(130)가 뚜껑 본체부(12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조 방지 밴드(134)의 결합 여부를 확인하여 내용물의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tamper-evident band 134 may be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lid body 12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pper 130 , respectively. The tamper-evident band 134 may prevent the stopper 1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id body 120 and separated.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contents are tampered with by checking whether the tamper prevention band 134 is coupled.

변조 방지 밴드(134)는 뚜껑 본체부(120)의 뚜껑 외벽(122)과 마개부(130)의 마개 본체부(131)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조 방지 밴드(134)는 뚜껑 외벽(122)의 일 측면과 누름부(133)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134)는 합성 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 방지 밴드(134)는 마개 본체부(131)와 일체로 사출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적어도 일부를 용융 또는 접착시켜 뚜껑 본체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변조 방지 밴드(134)는 뚜껑 본체부(120)와 일체로 제조되고, 적어도 일부가 용융 또는 접착되어 마개 본체부(131)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변조 방지 밴드(134)의 일단에 외력을 가하여 뚜껑 외벽(122) 및 누름부(13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 tamper-resistant band 134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id outer wall 122 of the lid body 120 and the stopper body 131 of the stopper 130 . More specifically, the tamper-resistant band 134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id outer wall 122 and the pressing portion 133 , respectively. The anti-tamper band 134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ore specifically, a thermoplastic plastic material. As shown in FIG. 4 , the tamper-resistant band 134 may be manufactured in a manner that is integrally injected with the cap body 131 ,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cap body 120 by melting or bonding at least a portion.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tamper-resistant band 134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lid body 120 , and at least a portion may be melted or adhered to be coupled to the cap body 131 . A user may apply an external force to one end of the tamper-resistant band 134 to separate it from the lid outer wall 122 and the pressing part 133 .

변조 방지 밴드(134)가 결합된 경우, 즉, 용기(1)의 최초 개봉 이전에는 마개부(130)가 뚜껑 본체부(120)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마개부(130)의 개폐부(132)는 적어도 일부가 토출구(126)에 삽입되어 토출구(126)를 밀폐하며, 누름부(133)는 변조 방지 밴드(134)에 의해 고정된다.When the tamper-resistant band 134 is coupled, that is, before the first opening of the container 1 , the stopper 130 is fixed to the lid body 120 . At least a part of the opening/closing part 132 of the stopper 130 is inserted into the outlet 126 to seal the outlet 126 , and the pressing part 133 is fixed by the tamper-resistant band 134 .

돌출부(135)는 마개 본체부(131)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개폐부(132)와 누름부(13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35)는 마개 본체부(131)의 일 측면에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뚜껑 본체부(120)는 뚜껑 외벽(122)에 형성되는 결합 홈(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130)의 돌출부(135)와 뚜껑 본체부(120)의 결합 홈(127)은 서로 대응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돌출부(135)가 결합 홈(127)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마개부(130)는 돌출부를 통해 뚜껑 본체부(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마개부(130)는 뚜껑 본체부(12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135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ap body 131 , and may be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2 and the pressing part 133 . The protrusion 135 may be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ap body 131 . The lid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groove 127 formed in the lid outer wall 122 . The protrusion 135 of the stopper 130 and the coupling groove 127 of the lid body 12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such a way that the protrusion 135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127 . can be combined The stopper 130 may be coupled to the lid body 120 through the protrusion, and the stopper 1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d body 120 .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에서 토출구(126)의 개폐 과정을 부연 설명한다.4 to 7,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discharge port 126 in the contai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용기(1)는 최초 개봉 이전에 도 4의 (b)와 같이 준비될 수 있다. 마개부(130)는 변조 방지 밴드(134)를 통해 뚜껑 본체부(120)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으며, 토출구(126)는 완전히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The container 1 may be prepared as shown in (b) of FIG. 4 before the first opening. The stopper 130 may be in a state coupled to the lid body 120 through the tamper-evident band 134 , and the discharge port 126 may be in a completely closed state.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용기(1)의 최초 개봉시에 변조 방지 밴드(134)의 일단을 잡고 외력을 가해 뚜껑 외벽(122) 및 누름부(133)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변조 방지 밴드(134)를 제거한 직후 누름부(133)는 뚜껑 본체부(12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둔 상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누름부(133) 자체의 형상이 뚜껑 본체부(120)의 뚜껑 외벽(12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되거나, 뚜껑 외벽(122)에 오목부(125)가 형성되거나 두 가지 모두를 이용하여 확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 when the container 1 is initially opened, the user may hold one end of the tamper-resistant band 134 and apply an external force to remove it from the lid outer wall 122 and the pressing part 133 . Referring to (b) of FIG. 5 , immediately after removing the tamper-proof band 134 , the pressing part 13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id body part 1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provid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pressing part 133 itself is spaced apart from the lid outer wall 122 of the lid main body 120, or a recess 125 is formed in the lid outer wall 122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obtained using both.

도 5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누름부(133)를 손으로 눌러 누름부(133)를 개구(10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폐부(132)가 토출구(126)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돌출부(135)를 받침대로 하여 개폐부(132)와 누름부(133)가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마개부 본체(131)는 돌출부(135)를 받침점으로 하는 1종 지레의 형상일 수 있으며, 누름부(133)는 힘점, 개폐부(132)는 작용점이 될 수 있다. 돌출부(135)는 마개부(130)가 뚜껑 본체부(120)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수단이 됨과 동시에 마개부 본체(131)에 대한 받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5 , the user may move the pressing part 133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101 by pressing the pressing part 133 by hand. At least part of it may be open. The opening/closing part 132 and the pressing part 133 may perform a seesaw motion by using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135 as a pedestal. That is, the stopper body 131 may be in the form of a first-class lever having the protrusion 135 as a fulcrum, the pressing portion 133 may be a force point, and the opening/closing portion 132 may be an action point. The protrusion 135 serves as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stopper 130 to the lid body 120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fulcrum for the stopper body 131 .

도 6을 참조하면, 누름부(133)를 개구(101) 방향으로 끝까지 이동함에 따라 개폐부(132)가 최대로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누름부(133)를 끝까지 눌러 전술한 오목부(125)에 강제로 끼워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토출구(126)를 개방한 상태로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부을 수 있게 된다. 주둥이(121)는 토출구(126)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내용물의 토출을 유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s the pressing part 133 is moved to th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101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32 may be maximally opened. The user can press the pressing part 133 all the way down to forcibly fit into the aforementioned recess 125 and fix it, and thus can drink or pour the contents with the discharge port 126 open. The spout 121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126 to induce discharge of the contents.

토출구(126)의 폐쇄는 전술한 과정과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개폐부(132)의 상부면을 눌러 개폐부(132)를 토출구(126)에 끼워 밀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누름부(133)가 오목부(125)로부터 분리되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초 개봉 이후에는 개폐부(132)와 누름부(133)를 각각 눌러 토출구(126)를 폐쇄하거나 재개봉할 수 있다.Closing of the discharge port 126 may be performed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user may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closing unit 132 to seal the opening/closing unit 132 into the discharge port 126 . In this process, the pressing portion 133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cave portion 125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first opening, the user may close or reopen the discharge port 126 by pressing the opening/closing unit 132 and the pressing unit 133, respectively.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마개부(130)를 뚜껑 본체부(12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토출구(126)를 전부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개 본체부(131)의 어느 일단을 잡은 상태로 마개부(130)를 들어 올려 돌출부(135)를 결합 홈(127)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부(135)를 다시 결합 홈(127)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마개부(130)를 재결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user may completely open the discharge port 126 by completely separating the stopper 130 from the lid body 120 . The user may separate the protrusion 135 from the coupling groove 127 by lifting the stopper 130 while holding one end of the stopper body 131 . The user may re-engage the stopper 130 by coupling the protrusion 135 to the coupling groove 127 agai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은 용기에 대한 밀봉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토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마개부를 구비하여 내용물의 누수 없이 음용 또는 토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ling structure for the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has a stopper capable of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discharge port, if necessary, so that the contents can be drunk or discharged without leakage.

도 8 내지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을 구비하는 용기(2)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8 to 17 are conceptual views of a container 2 having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in terms of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an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tent will be omitted.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용기(2)는 용기 본체(200) 및 용기 뚜껑(210)을 포함하며, 용기 뚜껑(210)은 뚜껑 본체부(220) 및 마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8 to 10 , the container 2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200 and a container lid 210 , and the container lid 210 may include a lid body 220 and a stopper 230 . have.

용기 본체(200)의 상부에 내용물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 뚜껑(210)이 개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One or more openings for inflow and discharge of contents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200 , and the container lid 210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opening.

도 11을 참조하면, 용기 본체(200)는 상부에 개구(201)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201)의 형상이나 크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1 , the container body 2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20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shape or size of the opening 201 is not limited.

용기 본체(200)는 상부에 개구(20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용기 입구(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기 본체(200)는 용기 입구(202)를 통해 용기 뚜껑(210)과 결합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200 may include a container inlet 202 extending along the perimeter of the opening 201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container body 200 may engage the container lid 210 through the container inlet 202 . can

용기 뚜껑(210)은 용기 본체(200)에 형성되는 개구(201)와 연통하는 토출구(226)를 갖는 뚜껑 본체부(220)와 뚜껑 본체부(220)의 상부에 결합되며, 토출구(226)에 결합되는 밀봉부(237)와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주둥이부(234)를 포함하는 마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뚜껑(210)은 합성 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ntainer lid 2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body 220 and the lid body 220 having a discharge port 226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201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200, the discharge port 226 It may include a sealing portion 237 coupled to the stopper 230 including a spout 234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Preferably, the container lid 2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뚜껑 본체부(220)는 용기 본체(200)의 개구(201)를 덮도록 마련되되, 토출구(226)를 구비하여 용기 본체(20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토출구(226)에는 후술할 밀봉부(237)가 배치될 수 있으며, 밀봉부(237)는 토출구(226)로부터 전달되는 내용물을 주둥이부(234)로 토출시킬 수 있다. 토출구(226)는 개구(201)보다 크기가 작은 것일 수 있으며, 두껑 본체부(220)는 개구(101)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The lid body 220 is provided to cover the opening 201 of the container body 200 , and has a discharge port 226 to discharge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body 200 . A sealing part 237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the discharge port 226 , and the sealing unit 237 may discharge the contents delivered from the discharge port 226 to the spout unit 234 . The discharge port 226 may be smaller in size than the opening 201 , and the lid body 220 may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101 .

뚜껑 본체부(220)는 용기 뚜껑(2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 외벽(221)과 뚜껑 외벽(221)으로부터 이격되고, 개구(20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뚜껑 내벽(2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d body 220 may include a lid outer wall 221 forming the exterior of the container lid 210 and a lid inner wall 223 spaced apart from the lid outer wall 221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201 . can

뚜껑 외벽(221)이 용기 입구(202)의 상부면을 덮는 경우, 뚜껑 외벽(221)은 개구(20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뚜껑 외벽(221)은 후술할 마개부(230)를 뚜껑 본체부(220)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224)는 마개부(230)의 형상, 구체적으로 주둥이부(23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한 공간을 제공하여, 용기(2)의 측면에서 볼 때 주둥이부(234)는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손잡이부(231)만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수납부(224)에는 공기 유입구(225)가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lid outer wall 221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inlet 202 , the lid outer wall 22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opening 201 . In this case, the lid outer wall 221 may include a accommodating part 224 for accommodating the lid part 2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lid body part 220 . The receiving portion 224 provides a concave spac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opper 230 , 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spout 234 , so that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2 , the spout 234 is external. It is possible to expose only the handle portion 231 to the outside without exposing to the outside. An air inlet 225 may b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24 .

뚜껑 외벽(221)의 상부에는 후수할 손잡이부(23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231)의 적어도 일단이 뚜껑 본체부(220)로부터 돌출되어 나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뚜껑 외벽(221)에서 손잡이부(231)의 상기 일단이 배치되는 부분에는 변조 방지 밴드(227)가 마련될 수 있다.A heavy-duty handle 23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outer wall 221 , and at least one end of the handle 231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lid body 220 . A tamper-resistant band 227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lid outer wall 221 at which the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231 is disposed.

뚜껑 내벽(223)은 뚜껑 외벽(221)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뚜껑 외벽(221)의 어느 한 표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id inner wall 223 may be provided to extend from the lid outer wall 221 , and may extend from any one surface of the lid outer wall 22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실시예에서도 용기 본체(200)는 용기 입구(202)가 용기 뚜껑(21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뚜껑 외벽(221)과 뚜껑 내벽(221) 사이의 공간에 상기 용기 입구(20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뚜껑 외벽(221)과 뚜껑 내벽(223)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측 결합부(222)를 포함하고, 용기 입구(202)는 뚜껑측 결합부(222)에 대응하는 용기측 결합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body 200 may be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container inlet 202 is fitted to the container lid 210 .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inlet 202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space between the lid outer wall 221 and the lid inner wall 221 . At least one of the lid outer wall 221 and the lid inner wall 223 includes a lid-side engaging portion 222 , and the container inlet 202 includes a container-side engaging portion 203 corresponding to the lid-side engaging portion 222 . may include

도 11 내지 15를 참조하면, 마개부(230)는 뚜껑 본체부(220)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부(230)는 뚜껑 본체부(220)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마개부(230)는 토출구(226)에 결합되는 밀봉부(237), 내부에 토출로(235)를 가지며 밀봉부(237)에 대해 힌지 결합하는 주둥이부(234) 및 주둥이부(234)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11 to 15 , the stopper 230 may be coupled to the lid body 220 . For example, the stopper 2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body 220 . The stopper 230 has a sealing portion 237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226 , a discharge passage 235 therein, and a spout 234 and a spout 234 hinged with respect to the sealing portion 237 . It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231 to be coupled.

밀봉부(237)는 토출구(22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부(237)는 토출구(226)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밀봉부(237)는 일단이 개방되어 토출구(226)의 적어도 일부와 연통하며, 타단에 토출공을 구비하여 후술할 토출로(235)와 연통하는 경우 내용물을 주둥이부(234)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토출구(226)와 토출로(235)가 연통하지 않는 경우 내용물은 밀봉부(237)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밀봉부(237)는 토출구(226)와 밀착하여 뚜껑 본체부(220)와 마개부(230) 사이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ling part 237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226 . For example, the sealing part 237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226 . Although not shown, the sealing part 237 has an open end and communicates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226, and has a discharge hole at the other end so as to communicate the contents with a discharge path 235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discharged with When the discharge port 226 and the discharge path 235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ontents do not flow out of the sealing part 237 . The sealing part 237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226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between the lid body part 220 and the stopper part 230 .

주둥이부(234)는 빨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일단에 입을 대고 음용하거나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내부에 주둥이부(234)의 양단을 연통시키는 토출로(235)를 가질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밀봉부(237)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토출로(235)와 토출구(226)가 연통하는 경우에만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The spout portion 234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traw, so that the user can drink with one end of the mouth or discharge the contents. The spout 234 may have a discharge path 235 for communicating both ends of the spout 234 therein. The spout 234 is hinged with respect to the sealing part 237 so that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only when the discharge path 235 and the discharge port 226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주둥이부(234)는 일단부의 양 측면이 밀봉부(237)에 대해 힌지 결합한 것일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힌지 결합된 양 측면을 기준으로 타단부가 들어올려지는 방식으로 힌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둥이부(234)는 후술할 돌출부(238)를 기준으로 밀봉부(237)에 대해 힌지 이동할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개구(201)에 대해 평행한 상태로 수납부(224)에 배치되어 있다가, 힌지 이동하여 뚜껑 본체부(220)로부터 돌출되어 나올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수납부(224)와 평행한 평면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힌지 이동할 수 있다. 주둥이부(234)가 최대한으로 이동하는 경우 수납부(224)와 평행한 평면을 기준으로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both sides of the spout 234 may be hinged with respect to the sealing part 237 . The spout 234 may move hingedly in such a way that the other end is lifted based on both sides of the spout. For example, the spout 234 may be hinged with respect to the sealing part 237 based on the protrusion 238 to be described later. The spout portion 234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224 in a state parallel to the opening 201 , and may protrude from the lid body 220 by hinge movement. The spout 234 may be hinged to form various angles based on a plane parallel to the receiving part 224 . When the spout 234 moves to the maximum, an obtuse angle may be formed based on a plane parallel to the receiving part 224 .

주둥이부(234)는 밀봉부(237)에 대해 힌지 결합하는 일단부에 곡면이 형성되어, 부드럽게 힌지 이동할 수 있다. 주둥이부(234)가 수납부(224)에 배치되는 경우 토출구(226)는 주둥이부(234)의 일단부의 외부 표면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주둥이부(234)는 밀봉부(237)의 토출공과 맞닿는 외부 표면에 밀봉링(239)을 구비할 수 있다. 밀봉링(239)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밀봉링(239)은 주둥이부(234)가 토출구(226)를 밀봉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주둥이부(234)와 밀봉부(237)의 사이에서 압착되어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The spout 234 has a curved surface formed at one end that is hinged with respect to the sealing portion 237 , and can be hinged smoothly. When the spout 234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unit 224 , the outlet 226 may be sealed by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spout 234 . The spout 234 may include a sealing ring 239 on the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hole of the sealing portion 237 . The sealing ring 239 may be made of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or silicone. The sealing ring 239 is compressed between the spout 234 and the sealing part 237 as the spout 234 moves to a position to seal the outlet 226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out.

주둥이부(234)의 어느 한 표면에는 플러그(236)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둥이부(234)가 뚜껑 외벽(221)에 맞닿는 표면에 상기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러그(236)가 마련될 수 있다. 주둥이부(234)가 수납부(224)에 완전히 수납되는 경우, 플러그(236)는 적어도 일부가 공기 유입구(225)를 밀폐시킬 수 있다. 플러그(236)는 적어도 일부가 공기 유입구(225) 내부로 끼워질 수 있다. 주둥이부(234)가 뚜껑 본체부(220)쪽으로 완전히 힌지 이동하는 경우 또는 주둥이부(234)가 수납부(224)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는 경우에는 플러그(236)가 공기 유입구(225)에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토출구(226)는 주둥이부(234)에 의해 밀폐되며, 공기 유입구(225)는 플러그(236)에 의해 완전히 밀폐된다. 주둥이부(234)를 힌지 이동시키면 공기 유입구(225)는 개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주둥이부(234)의 일단부에 입을 대고 흡입하면 공기 유입구(225)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A plug 236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pout 234 . More specifically, a plug 236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spout portion 234 in contact with the lid outer wall 221 may be provided. When the spout portion 234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224 , the plug 236 may at least partially seal the air inlet 225 .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g 236 may be fitted into the air inlet 225 . When the spout 234 is completely hinged toward the lid body 220 or when the spout 234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224 , the plug 236 is fitted into the air inlet 225 . can be combined in this way. In this case, the outlet 226 is sealed by the spout 234 , and the air inlet 225 is completely sealed by the plug 236 . When the spout 234 is moved by the hinge, the air inlet 225 can be opened, and when the user puts his or her mouth on one end of the spout 234 and inhales, outside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225 to suck the contents. be able to

손잡이부(231)는 주둥이부(234)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231)를 잡고 주둥이부(234)를 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둥이부(234)의 어느 한 표면에는 힌지부(233)가 마련되며, 힌지부(233)를 통해 손잡이부(231)가 주둥이부(234)에 결합될 수 있다.The handle 231 is coupled to the spout 234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spout 234 by holding the handle 231 by a hinge. More specifically, a hinge portion 233 is provided on any one surface of the spout portion 234 , and the handle portion 231 may be coupled to the spout portion 234 through the hinge portion 233 .

손잡이부(231)는 용기(2)를 기준으로 주둥이부(23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용기(2)의 측면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뚜껑 본체부(220)의 상부 및 측면으로 돌출되어 나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231)는 일단부가 용기 뚜껑(210)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돌출된 부분을 잡고 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231)는 사용자가 잡게 되는 일단부의 타단부가 힌지부(233)에 연결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타단부에는 받침부(232)가 더 마련될 수 있다.The handle portion 23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out portion 234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2 ,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2 , at least a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the side of the lid body portion 220 . It can be arranged so as to be The handle portion 231 may be disposed so that one end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container lid 210 , and a user may move the hinge by holding the protruding portion. The handle portion 231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233 at one end held by the user, and a support portion 232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도 12를 참조하면, 받침부(232)는 손잡이부(231)의 힌지 이동시 주둥이부(234)의 표면과 접촉하여, 주둥이부(234)를 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잡이부(231)의 일단부를 잡고 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손잡이부(231)의 힌지 이동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힌지부(233)를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일 수 있으며 손잡이부(231)가 들어올려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받침부(232)가 주둥이부(234)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면서 손잡이부(231) 자체의 힌지 이동은 정지되지만, 손잡이부(231)에 외력이 계속 가해지면 받침부(232)를 통해 주둥이부(234)에 외력이 가해져 주둥이부(234)가 힌지 이동하게 된다. 주둥이부(234)가 완전히 이동한 경우, 받침부(232)는 뚜껑 본체부(220)에 형성되는 홈(229)에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support 232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pout 234 when the handle 231 is hinged to move the spout 234 by the hinge. Referring to (b) of FIG. 12 , the user may move the hinge by holding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231 . Referring to (c) of FIG. 12 , the hinge movement of the handle portion 231 may be a rotational movement about the hinge portion 233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the handle portion 231 may be lifted. . At this time, as the support portion 23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pout 234 , the hinge movement of the handle portion 231 itself is stopped, but when an external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231 , through the support portion 232 .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pout 234 so that the spout 234 is hinged. When the spout 234 is completely moved, the support 232 may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 229 formed in the lid body 220 .

변조 방지 밴드(227)는 뚜껑 본체부(220)의 적어도 일부와 마개부(230)의 적어도 일부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227)는 마개부(230)가 뚜껑 본체부(22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조 방지 밴드(227)의 결합 여부를 확인하여 내용물의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tamper-resistant band 227 may be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lid body 22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pper 230 , respectively. The tamper-resistant band 227 may prevent the stopper 2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id body 220 from being separated.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contents are tampered with by checking whether the tamper-resistant band 227 is coupled.

변조 방지 밴드(227)는 뚜껑 본체부(220)의 뚜껑 외벽(221)과 마개부(230)의 손잡이부(231)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조 방지 밴드(227)는 뚜껑 외벽(221)의 일 측면과 손잡이부(231)의 일단부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변조 방지 밴드(227)는 손잡이부(231)와 일체로 사출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적어도 일부를 용융 또는 접착시켜 뚜껑 본체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변조 방지 밴드(227)는 뚜껑 본체부(220)와 일체로 제조되고, 적어도 일부가 용융 또는 접착되어 손잡이부(231)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변조 방지 밴드(227)의 일단에 외력을 가하여 뚜껑 외벽(221) 및 손잡이부(23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는, 변조 방지 밴드(227)는 손잡이부(231)로부터만 분리될 수 있다.The anti-tamper band 227 may be coupled to the outer wall 221 of the lid of the lid body 220 and the handle 231 of the stopper 230 ,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tamper-resistant band 227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id outer wall 221 and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231 , respectively. The tamper-resistant band 227 may be manufactured in a manner integrally injected with the handle 231 , and may be coupled to the lid body 220 by melting or bonding at least a portion.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tamper-proof band 227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lid body 220 , and at least a portion may be melted or adhered to be coupled to the handle 231 . A user may apply an external force to one end of the tamper-resistant band 227 to separate it from the lid outer wall 221 and the handle portion 231 . Alternatively, the tamper-evident band 227 may be separated only from the handle portion 231 .

변조 방지 밴드(227)가 결합된 경우, 즉, 용기(2)의 최초 개봉 이전에는 마개부(230)가 뚜껑 본체부(220)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마개부(230)의 주둥이부(234)는 수납부(224)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토출구(226)는 밀봉부(237)와 주둥이부(234)에 의해 밀폐되어 있을 수 있으며, 공기 유입구(225)는 플러그(236)에 의해 밀폐되어 있을 수 있다. 손잡이부(231)는 변조 방지 밴드(227)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231)와 주둥이부(234)가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tamper-resistant band 227 is coupled, that is, before the container 2 is first opened, the stopper 230 is fixed to the lid body 220 . The spout 234 of the stopper 230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unit 224 , and the outlet 226 may be sealed by the sealing unit 237 and the spout 234 , and an air inlet. 225 may be sealed by a plug 236 . The handle 231 may be fixed by the tamper-resistant band 227 , and the handle 231 and the spout 234 may be fixed.

돌출부(238)는 주둥이부(234)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주둥이부(234)와 밀봉부(237)가 힌지 결합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38)는 주둥이부(234)의 외부 표면의 일부가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또는, 돌출부(238)는 주둥이부(234) 표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밀봉부(237)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가 돌출되어 나온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돌출부(238)가 주둥이부(234)의 회전 힌지 이동에 대한 회전 축일 수 있다. 뚜껑 본체부(220)는 뚜껑 외벽(221)에 형성되는 결합 홈(2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230)의 돌출부(238)와 뚜껑 본체부(220)의 결합 홈(228)은 서로 대응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돌출부(238)가 결합 홈(228)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마개부(230)는 돌출부를 통해 뚜껑 본체부(2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마개부(230)는 뚜껑 본체부(22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The protrusion 238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pout 234 , and preferably, the spout 234 and the sealing part 237 may be disposed at a hinged position. The protrusion 238 may be a protrusion from which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pout 234 protrudes. Alternatively, the protrusion 238 may b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sealing unit 237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spout 234 . In this case, the protrusion 238 may be a rotational axis for the rotational hinge movement of the spout 234 . The lid body 22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groove 228 formed in the lid outer wall 221 . The protrusion 238 of the stopper 230 and the coupling groove 228 of the lid body 22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such a way that the protrusion 238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228 . can be combined The stopper 230 may be coupled to the lid body 220 through the protrusion, and the stopper 2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d body 220 .

도 12 내지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2)에서 토출구(226)의 개폐 과정을 부연 설명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discharge port 226 in the containe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7 .

도 16을 참조하면, 용기(2)는 최초 개봉 이전에 도 16의 (a)와 같이 준비될 수 있다. 마개부(230)는 전술한 주둥이부(234)와 플러그(236)에 의해 용기(2)가 완전히 밀봉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잡이부(231)를 잡고 외력을 가해 손잡이부(231)를 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231)를 들어 올려 손잡이부(231)를 주둥이부(234)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으며, 받침부(232)가 주둥이부(234)에 접촉할 때까지 손잡이부(231)를 힌지 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the container 2 may be prepared as shown in (a) of FIG. 16 before opening for the first time. The stopper 23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2 is completely sealed by the spout 234 and the plug 236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b) of FIG. 16 , the user may hold the handle 231 and apply an external force to move the handle 231 by the hinge. The user may lift the handle 231 to separate the handle 231 from the spout 234 , and hinge the handle 231 until the support 23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pout 234 . can be moved

도 16의 (c)를 참조하면, 받침부(232)가 주둥이부(234)에 접촉한 후에도 계속해서 손잡이부(231)에 외력을 가하면 주둥이부(234)가 힌지 이동할 수 있다. 주둥이부(234)가 힌지 이동함에 따라 플러그(236)가 공기 유입구(225)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토출로(235)가 토출구(226)와 연통할 수 있게 된다. 받침부(232)가 홈(229)에 수용되면서 손잡이부(231)의 이동이 멈출 수 있으며, 손잡이부(231)는 뚜껑 본체부(220)의 측면을 넘어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둥이부(234)는 수납부(224)에 대해 둔각을 이루며, 토출구(226)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16 , when an external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handle part 231 even after the support part 23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pout part 234 , the spout part 234 may be hingedly moved. As the spout 234 is hinged, the plug 236 may be separated from the air inlet 225 , and the discharge path 235 may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ort 226 . As the support 232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229 , the movement of the handle 231 may be stopped, and the handle 231 may pass over the side surface of the lid body 220 . In this case, the spout portion 234 forms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ortion 224 , and the discharge port 226 may be completely opened.

토출구(226)의 폐쇄는 전술한 과정과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231)를 잡고 외력을 가해 손잡이부(231)를 원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는 손잡이부(231)가 주둥이부(234)에 접촉하면서 주둥이부(234)를 밀게 되어 주둥이부(234)를 수납부(224) 내부로 복귀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231)를 끝까지 눌러 플러그(236)를 공기 유입구(225)에 끼울 수 있다. 사용자는 최초 개봉 이후에는 손잡이부(231)를 힌지 이동시켜 토출구(226)를 폐쇄하거나 재개봉할 수 있다.Closing of the discharge port 226 may be performed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user may hold the handle 231 and apply an external force to return the handle 231 to its original position. At this time, the handle portion 231 is in contact with the spout portion 234 and pushes the spout portion 234 to return the spout portion 234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224 . The user may insert the plug 236 into the air inlet 225 by fully pressing the handle 231 . After the first opening, the user may hinge the handle 231 to close or reopen the discharge port 226 .

도 17을 참조하면, 마개부(230)는 변조 방지 밴드(237)를 통해 뚜겅 본체부(220)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으며, 토출구(226)는 완전히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2)의 최초 개봉시에 변조 방지 밴드(237)의 일단을 잡고 외력을 가해 손잡이부(231) 및 뚜껑 본체부(22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17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 방지 밴드(237)는 손잡이부(231)로부터만 제거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토출구(226)의 폐쇄시 손잡이부(231)가 원위치하게 되면 변조 방지 밴드(237)를 원위치하여 변조 방지 밴드(237)와 뚜껑 외벽(221) 사이에 손잡이부(231)의 말단을 끼워 부주의에 의한 손잡이부(231)의 원치않는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토출구(226)의 개폐 동작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17 , the stopper 230 may be coupled to the lid body 220 through the tamper-resistant band 237 , and the discharge port 226 may be completely closed. When the container 2 is initially opened, the user may hold one end of the tamper-resistant band 237 and apply an external force to remove it from the handle 231 and the lid body 220 . As shown in (b) to (d) of FIG. 17 , the tamper-resistant band 237 may be removed only from the handle portion 231 . In this case, when the handle portion 23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discharge port 226 is closed, the tamper-resistant band 237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o close the end of the handle portion 231 between the tamper-proof band 237 and the lid outer wall 221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wanted opening of the handle portion 231 due to careless fit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226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마개부(230)를 뚜껑 본체부(22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토출구(226)를 전부 개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231)의 어느 일단을 잡은 상태로 마개부(230)를 들어 올려 돌출부(238)를 결합 홈(228)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부(238)를 다시 결합 홈(228)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마개부(230)를 재결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user may completely open the discharge port 226 by completely separating the stopper 230 from the lid body 220 . The user can separate the protrusion 238 from the coupling groove 228 by lifting the stopper 230 while holding either end of the handle 231 . The user may re-engage the stopper 230 in such a way that the protrusion 238 is again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28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은 용기에 대한 밀봉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토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마개부를 구비하여 내용물의 누수 없이 음용 또는 토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개부에 마련되는 주둥이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으며, 주둥이부는 손잡이부의 원터치 조작을 통해 용기 뚜껑 내부 수납과 토출 위치로의 이동이 간편하게 마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ling structure for the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has a stopper capable of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discharge port, if necessary, so that the contents can be drunk or discharged without leakage. The user can easily drink by using the spout provided in the stopper, and the spout can be conveniently provided for storing and discharging the container lid through one-touch operation of the handle.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and a known technology may be included as another embodiment.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it is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 2: 용기 100, 200: 용기 본체
101, 201: 개구 102, 202: 용기 입구
103, 203: 용기측 결합부 110, 210: 용기 뚜껑
120: 뚜껑 본체부 121: 주둥이
122: 뚜껑 외벽 123: 뚜껑측 결합부
124: 뚜껑 내벽 125: 오목부
126: 토출구 127: 결합 홈
130: 마개부 131: 마개 본체부
132: 개폐부 133: 누름부
134: 변조 방지 밴드 135: 돌출부
220: 뚜껑 본체부 221: 뚜껑 외벽
222: 뚜껑측 결합부 223: 뚜껑 내벽
224: 수납부 225: 공기 유입구
226: 토출구 227: 변조 방지 밴드
228: 결합 홈 229: 홈
230: 마개부 231: 손잡이부
232: 받침부 233: 힌지부
234: 주둥이부 235: 토출로
236: 플러그 237: 밀봉부
238: 돌출부 239: 밀봉링
1, 2: Container 100, 200: Container body
101, 201: opening 102, 202: container inlet
103, 203: container side coupling part 110, 210: container lid
120: lid body portion 121: spout
122: lid outer wall 123: lid side engaging portion
124: inner wall of the lid 125: recessed portion
126: outlet 127: coupling groove
130: stopper 131: stopper body portion
132: opening and closing part 133: pressing part
134: tamper-proof band 135: protrusion
220: lid body portion 221: lid outer wall
222: lid side coupling portion 223: lid inner wall
224: receiving portion 225: air inlet
226: outlet 227: tamper-resistant band
228: coupling groove 229: groove
230: stopper 231: handle portion
232: support portion 233: hinge portion
234: spout 235: discharge path
236: plug 237: seal
238: protrusion 239: sealing ring

Claims (17)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용기 뚜껑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갖는 뚜껑 본체부; 및
상기 뚜껑 본체부에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토출구를 밀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와 타단에 누름부를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누름부를 상기 개구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상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As a container lid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 lid body portion having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and
It is coupled to the lid body,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provided to seal the discharge port at one end and a stopper including a pressing portion at the other end,
The stopper,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pens the discharge port as the pressing part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용기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용기 뚜껑의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 외벽; 및
상기 뚜껑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뚜껑 내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사이의 공간에 상기 용기 입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body,
a container inlet extending along the perimeter of the opening;
The lid body portion,
a lid outer wall defining an appearance of the container lid; and
and a lid inner wall spaced apart from the lid outer wall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The container lid is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in such a way that the container inlet is fitted in a space between the lid outer wall and the lid inner wal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입구는,
상기 뚜껑측 결합부에 대응하는 용기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 결합부 및 상기 용기측 결합부는 래치 또는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3. The method of claim 2,
At least one of the lid outer wall and the lid inner wall includes a lid side coupling portion,
The container inlet is
and a container-side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id-side coupling portion,
The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the lid-side engaging portion and the container-side engaging portion are latches or threa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뚜껑 본체부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pper,
A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d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개폐부와 상기 누름부 사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pper,
It further comprises a protrusion provid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the pressing part,
The lid body portion,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누름부와 상기 뚜껑 외벽에 결합되는 변조 방지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용기의 최초 개봉시에 상기 변조 방지 밴드가 제거됨에 따라 이동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lid body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tamper-resistant band coupled to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outer wall of the lid,
The pressing part,
The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ntainer is first opened, the tamper-evident band is removed and thus mov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개구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누름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The method of claim 1,
The lid body portion,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cave portion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as the pressing portion moves in the opening direction.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용기 뚜껑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와 연통하는 토출구를 갖는 뚜껑 본체부; 및
상기 뚜껑 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토출구에 결합되는 밀봉부와 상기 용기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주둥이부를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내부에 토출로를 가지며, 상기 밀봉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토출로와 상기 토출구가 연통하는 경우에만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As a container lid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 lid body portion having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an opening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and
It is coupled to the lid body portion and includes a sealing portion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and a stopper portion including a spout portion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The spout portion,
A container lid having a discharge path therein, and is hinged to the sealing part to discharge the contents only when the discharge path and the discharge po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용기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용기 뚜껑의 외관을 형성하는 뚜껑 외벽; 및
상기 뚜껑 외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뚜껑 내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 뚜껑은,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사이의 공간에 상기 용기 입구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9. The method of claim 8,
a container inlet extending along the perimeter of the opening;
The lid body portion,
a lid outer wall defining an appearance of the container lid; and
and a lid inner wall spaced apart from the lid outer wall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The container lid is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in such a way that the container inlet is fitted in a space between the lid outer wall and the lid inner wal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외벽과 상기 뚜껑 내벽 중 적어도 하나는 뚜껑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입구는,
상기 뚜껑측 결합부에 대응하는 용기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측 결합부 및 상기 용기측 결합부는 래치 또는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10. The method of claim 9,
At least one of the lid outer wall and the lid inner wall includes a lid side coupling portion,
The container inlet is
and a container-side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id-side coupling portion,
The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the lid-side engaging portion and the container-side engaging portion are latches or thread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외벽은,
상기 주둥이부를 상기 뚜껑 본체부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토출구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uter wall of the lid,
Forming a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spout part inside the lid body part,
The spout portion,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for sealing the discharge port when accommodated in the storage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주둥이부에 연결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뚜껑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opper,
a hinge part connected to the spout; and
The container lid, which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and further comprises a handle part protruding from the lid body par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힌지 이동시 상기 주둥이부와 접촉하여 상기 주둥이부를 힌지 이동시키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handle portion,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ortion for hinged movement of the spout in contact with the spout when the hinge moves the hand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뚜껑 외벽에 결합되는 변조 방지 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용기의 최초 개봉시에 상기 변조 방지 밴드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힌지 이동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lid body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tamper-resistant band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outer wall of the lid,
The handle portion,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movable as the tamper-resistant band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when the container is first open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주둥이부의 외부 표면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 본체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둥이부는,
상기 돌출부를 회전 중심으로 상기 밀봉부에 대해 회전 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opper,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out,
The lid body part,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The spout portion,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hing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sea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proj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뚜껑 본체부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opper,
A container li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id body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기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17. A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KR1020210004550A 2021-01-13 2021-01-13 Cap for container KR202201023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550A KR20220102322A (en) 2021-01-13 2021-01-13 Cap for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550A KR20220102322A (en) 2021-01-13 2021-01-13 Cap for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322A true KR20220102322A (en) 2022-07-20

Family

ID=8260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550A KR20220102322A (en) 2021-01-13 2021-01-13 Cap for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232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8228C (en) Dispensing closure for package containing a consumable beverage
US6460726B1 (en) Closure with articulated lid
US20080230543A1 (en) Dual overlapping flip top closure assembly
JP3387035B2 (en) Hinge cap
CN108945774B (en) Closed container
JPH0372656U (en)
US4736858A (en) Selectively closable container closure
JP4668810B2 (en) Composite hinge cap
KR20220102322A (en) Cap for container
JP3802113B2 (en) Hinge cap
KR101229152B1 (en) A lid of a drinking bottle
JP3074173B1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bottle container lid
US8286813B2 (en) Handle with a closure function, connectable to a bottle
JPS5845241Y2 (en) bottle lid
JP4294242B2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that can be fixed with the lid open
KR101876962B1 (en) Packing container for tamper-evident
JP3904788B2 (en) Beverage container
US6932249B1 (en) Toggle-action dispensing closure,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KR200217611Y1 (en) Cosmetic case
JP2576175Y2 (en) Plastic cap
JP3678030B2 (en) Cap with small lid
JP3849347B2 (en) Cap with small lid
JP3583235B2 (en) Inner stopper and cap in the contents container
CN218230104U (en) Packing hose and lid subassembly thereof
JP2584254Y2 (en) Plastic c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