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85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858A
KR20220101858A KR1020210003861A KR20210003861A KR20220101858A KR 20220101858 A KR20220101858 A KR 20220101858A KR 1020210003861 A KR1020210003861 A KR 1020210003861A KR 20210003861 A KR20210003861 A KR 20210003861A KR 20220101858 A KR20220101858 A KR 20220101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round
cooling
pip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3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1858A/ko
Publication of KR20220101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01K1/143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for measuring surface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0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온의 저장 공간 및 압축기와 응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각각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며, 하방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통과시키어 상기 저장 공간을 냉각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 온도를 감지하는 제상 센서; 및 상기 제상 센서를 상기 증발기에 부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관; 상기 냉각관의 외주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냉각핀; 및 상기 냉각관이 관통되며, 관통된 상기 냉각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상 센서를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 구비되는 냉각관에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조에서, 저장 공간의 냉각을 위한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등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계실이 저장 공간과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 공간의 후방에 상기 저장 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가 배치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 응축기를 거쳐 증발기에 도달하여 증발기에서 증발된다. 이 때, 증발 작용에 따른 기화열의 흡수에 의하여 저장 공간 내부를 순환하는 순환 냉기의 열이 흡수되고, 이에 따라 차가워진 순환 냉기가 저장 공간을 냉각한다. 한편, 상기 저장 공간을 순환하는 동안에 더워진 순환 냉기는 다시 증발기를 거침으로서 열을 빼앗기는, 열교환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냉각능률이 향상되기 위하여는, 상기 증발기 내부를 지나는 저온의 냉매와, 저장 공간을 순환한 고온의 순환 냉기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증발기와 순환냉기의 열교환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장고의 증발기에는, 냉매관에 다수개의 냉각핀들이 삽입되어 있는 형태의 핀-관형 열교환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에는 제상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제상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상센서가 구비된 증발기로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87581 (2004.10.14 공개)
위와 같은 선행문헌에 의하면, 핀-관형 열교환기로 제공되는 증발기에 있어서, 냉각핀(102)에 설치되는 제상센서(105)를 포함하는 핀-관형 열교환기로 제공되는 증발기(10)가 개시된다.
하지만, 선행문헌과 같이 냉각핀(102)에 제상센서(105)를 설치할 경우, 상기 냉각핀(102)이 휘거나 파손되는 경우, 제상센서(105)가 상기 증발기(10)로부터 탈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증발기에 부착되는 제상 센서를 냉각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냉각관에 상기 제상 센서를 고정하여, 상기 고정 센서가 상기 증발기로부터 탈거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별도의 형상 변형 없이도 상기 제상 센서를 상기 냉각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온의 저장 공간 및 압축기와 응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각각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며, 하방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통과시키어 상기 저장 공간을 냉각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 온도를 감지하는 제상 센서; 및 상기 제상 센서를 상기 증발기에 부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관; 상기 냉각관의 외주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냉각핀; 및 상기 냉각관이 관통되며, 관통된 상기 냉각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상 센서를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 구비되는 냉각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관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 개의 단을 형성하는 수평배관부; 및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수평배관부를 서로 연결하는 벤딩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인접하는 벤딩배관부를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상 센서를 수용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냉각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상 센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제 1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바디부; 및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2 바디부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 3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3 바디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바디부는,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3 바디부가 상기 제 1 바디부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제 1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제 2 바디부로부터 상기 제 3 바디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바디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3 바디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 1 걸림부가 고정되도록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바디부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냉장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냉각관이 관통되는 관통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라운드부; 상기 제 1 라운드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2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바디부, 상기 제 1 라운드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제 2 라운드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로 연결되는 수평배관부와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로 연결되는 수평배관부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라운드부 측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에는,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로 연결되는 수평배관부가 관통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 2 라운드부 측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에는,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로 연결되는 수평배관부가 관통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라운드부는, 상기 관통홀이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바디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라운드부는, 상기 제 2 라운드부로부터 상기 제 1 바디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디부는, 상기 제 3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제 4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결합부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4 결합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 2 걸림부가 고정되도록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바디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제 2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연장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제 2 함몰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증발기에 부착되는 제상 센서를 냉각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냉각관에 상기 제상 센서를 고정하여, 상기 고정 센서가 상기 증발기로부터 탈거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별도의 형상 변형 없이도 상기 제상 센서를 상기 냉각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의 냉각관에 제상 센서가 고정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 및 제상 센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수용공간 및 관통홀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7-7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8-8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 및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은 상하 또는 좌우로 구획되어 다수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온도로 냉각되어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저장 공간은 상하로 구획되는 제 1 저장실(11) 및 제 2 저장실(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1)은 냉동실이고, 상기 제 2 저장실(12)은 냉장실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1) 및 제 2 저장실(12)은 격벽(13)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다수의 저장 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20)는 상기 제 1 저장실(11)을 개폐하는 제 1 도어(21) 및 상기 제 2 저장실(12)을 개폐하는 제 2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저장 공간을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에는, 하나의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압축기(30), 응축기(미도시) 및 증발기(100)가 포함된다.
상기 압축기(30) 및 상기 응축기는 상기 캐비닛(10)의 후면 하단에 형성되는 기계실(15)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5)은 상기 저장 공간의 냉각을 위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들을 포함하여 다수의 전장 부품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 공간과 구획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5)은 외부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기계실(15) 내부의 구성들이 냉각 또는 열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00)는 상기 저장 공간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증발기(100)는 상기 제 1 저장실(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증발기(100)는 상기 제 2 저장실(12)의 후방에 배치되거나, 복수 개의 상기 증발기(100)가 상기 제 1 저장실(11) 및 상기 제 2 저장실(12)의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00)는 상기 저장 공간의 후방에 배치되어, 하방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통과시키어 상기 저장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100)가 설치된 상기 제 1 저장실(11)의 후방 영역에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쉬라우드 부재(5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 부재(51)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 부재(51)의 전방에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제 1 그릴 부재(52)가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실(12)의 후방 영역에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제 2 그릴 부재(53)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13)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1) 내의 공기가 복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복귀유로(13a) 및 상기 제 2 저장실(12) 내의 공기가 복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복귀유로(13b)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복귀유로(13a) 및 상기 제 2 복귀유로(13b)는 상기 제 1 저장실(11) 및 상기 제 2 저장실(12)과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13)의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00)의 일 측에는 증발기 송풍팬(54)이 설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증발기 송풍팬(54)은 상기 캐비닛(10)와 상기 쉬라우드 부재(51)의 사이에 상기 증발기(100)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송풍팬(54)의 구동에 따라 상기 증발기(1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 1 저장실(11) 또는 상기 제 2 저장실(12)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증발기 송풍팬(54)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저장실(11) 또는 상기 제 2 저장실(12)의 내부의 공기는 각각 제 1,2 복귀유로(13a,13b)를 통하여 상기 증발기(100)의 하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0))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방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증발기(10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는 다시 상기 제 1 저장실(11) 또는 상기 제 2 저장실(12)의 내부로 제공된다.
상기 캐비닛(10)의 후방 하부 영역에는 기계실(15)이 형성된다. 상기 기계실(15)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100)로부터 전달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30), 응축기 등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100) 및 상기 증발기(100)에 고정되는 제상 센서(200)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의 냉각관에 제상 센서가 고정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증발기(100)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관(110), 상기 냉각관(110)에 설치되는 냉각핀(120) 및 상기 냉각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30)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관(110)의 내부에서 냉매가 순환하며, 냉매는 상기 냉각관(110)을 통하여 외부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관(110)은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수 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관(110)은 다수회 반복적으로 절곡되어 다수 개의 열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각 열은 반복적으로 벤딩되어 복수의 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각관(110)은, 반복적으로 벤딩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단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관(110)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개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각관(110)은 두개의 열을 이루도록 증발기(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냉각관(110a)과 제 2 냉각관(1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냉각관(110)이 단일 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냉각관(110)은 다수 개의 수평배관부(111) 및 상기 수평배관부(111)를 연결하는 벤딩배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수평배관부(111)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 개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배관부(111)는 두개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상기 수평배관부(111)는, 다수 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 개의 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벤딩배관부(112)는 상측에 구비되는 수평배관부(111)의 단부와 하측에 구비되는 수평배관부(111)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배관부(111)가 다수 개 구비됨에 따라, 다수 개의 벤딩배관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관(110)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관(110)의 상기 수평배관부(111) 및 상기 벤딩배관부(112)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각관(110)은 직선 형태의 냉각관(110)을 다수 회 벤딩시켜 다수 개의 상기 수평배관부(111) 및 다수 개의 상기 벤딩배관부(112)를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관(110)은, 상기 냉각핀(120)이 설치된 후, 다수 회 벤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각관(110)은, 직선 형태의 냉각관(110)에 상기 냉각핀(120)을 설치시킨 후, 다수 회 벤딩하여 다수 개의 상기 수평배관부(111) 및 다수 개의 상기 벤딩배관부(112)를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세히, 직선 형태의 냉각관(110)에 다수 개의 상기 냉각핀(120)을 관통시켜, 상기 직선 형태의 냉각관(110)에 상기 냉각핀(12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직선 형태의 냉각관(110)에 상기 냉각핀(120)이 설치된 후에는, 상기 직선 형태의 냉각관(110)을 확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직선 형태의 냉각관(110)의 외주에 상기 냉각핀(120)이 밀착되어, 상기 냉각핀(120)이 상기 냉각관(110)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냉각관(11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관(110)은 증발기(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대(130)를 관통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냉각관(110)이 관통되도록 관통홀(13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각관(110)은 상기 관통홀(131)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13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벤딩배관부(112)는 상기 지지대(130)의 외측에서 상측에 구비되는 수평배관부(111)의 단부와 하측에 구비되는 수평배관부(111)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관통홀(131)에는, 상측에 구비되는 수평배관부(111) 및 상기 하측에 구비되는 수평배관부(111)가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벤딩배관부(112)는 상기 관통홀(131)의 외측에서 상기 상측에 구비되는 수평배관부(111) 및 상기 하측에 구비되는 수평배관부(111)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130)는 상기 증발기(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은 상하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관통된 냉각관(1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관(110)의 외주에는, 열교환 효율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수 개의 냉각핀(1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핀(120)을 통해 열교환 면적이 넓게 확대되어 냉매의 열교환이 급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냉각핀(120)은, 열교환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냉각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각핀(120)에는 설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 홀에 상기 냉각관(110)이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상기 냉각핀(120)은, 상기 냉각관(110)에 상기 냉각관(1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관(110)의 내부를 지나는 냉매는, 상기 냉각관(110)의 표면 및 다수의 상기 냉각핀(120)의 표면을 통하여, 상기 증발기(100)를 통과하는 공기와 보다 효율적으로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상기 냉각핀(120)은, 상기 수평배관부(111)에 상기 수평배관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에는, 제상 센서(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상 센서(200)는, 상기 증발기(1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상 센서(200)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선(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210)은 상기 제상 센서(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상 센서(20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설정된 시간 또는 조건에 맞추어 성에의 제거를 위한 제상운전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상 센서(200)에서 감지하는 온도에 따라, 제상운전의 종료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상 센서(200)는, 상기 냉각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상 센서(200)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상기 냉각관(110) 중 어느 한 단과 인접하는 다른 한 단을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상 센서(200)는,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상기 수평배관부(111) 중 어느 한 단과 인접하는 다른 한 단을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상 센서(200)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상기 수평배관부(111) 중 어느 한 단과 인접하는 다른 한 단을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상 센서(200)는, 상측에 구비되는 수평배관부(111)와 하측에 구비되는 수평배관부(111)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상 센서(200)는, 인접하는 벤딩배관부(112)를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상 센서(200)는 상하로 인접하는 벤딩배관부(112)를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상 센서(200)는,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와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상 센서(200)는, 상기 지지대(13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상 센서(200)는 상기 지지대(130)를 관통하여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냉각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상 센서(200)는, 상기 관통홀(131)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130)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냉각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상 센서(200)를 상기 냉각관(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고정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300)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 및 제상 센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수용공간 및 관통홀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7-7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8-8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부재(300)는, 상기 제상 센서(200)를 상기 증발기(100)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제상 센서(200)를 상기 냉각관(110)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제상 센서(200)를 수용하는 바디부(310) 및 상기 바디부(310)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냉각관(110)에 고정되는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310)는 상기 제상 센서(20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310)는 상기 제상 센서(200)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상 센서(2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310)는, 수용공간(311)을 형성하여 상기 제상 센서(20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310)는 상기 제상 센서(200)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상 센서(20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310)는 제 1 바디부(312), 상기 제 1 바디부(312)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1 바디부(31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2 바디부(313)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311)을 형성하는 제 3 바디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는, 상기 제 1 바디부(312)의 일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는, 상기 제 1 바디부(312)의 일 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는,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는,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는,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311)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는,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31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공간(311)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311)에 상기 제상 센서(200)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는 상기 제 1 바디부(312)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311)에 상기 제상 센서(200)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바디부(312)는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가 상기 제 1 바디부(312)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제 1 함몰부(31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315)는 상기 제 1 바디부(312)에서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함몰부(315)는 상기 제 1 바디부(312)의 일 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315)를 통해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는 보다 용이하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함몰부(315)는,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는 보다 용이하게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의 연장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부(313)는 제 1 결합부(313A)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바디부(314)는 상기 제 1 결합부(313A)와 결합되도록 제 2 결합부(314A)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결합부(313A)는 상기 제 2 바디부(313)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314A)는 상기 제 1 결합부(313A)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3 바디부(314)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결합부(313A)는 상기 제 2 바디부(313)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3 바디부(314)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313A)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걸림부(313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결합부(313A)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314A)는 상기 제 1 결합부(313A)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3 바디부(314)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314A)의 내면에는, 상기 제 1 결합부(313A)와의 결합을 위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31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314B)에 의해 상기 제 1 걸림부(313B)가 고정되어 상기 제 1 결합부(313A) 및 상기 제 2 결합부(314A)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부(313A) 및 상기 제 2 결합부(314A)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공간(311)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311)에 상기 제상 센서(200)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 1 결합부(313A) 및 상기 제 2 결합부(314A)가 결합에 의해 상기 제상 센서(200)의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310)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315)는,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315)는, 상기 제 2 바디부(313) 및 상기 제 3 바디부(31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15)는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315)를 통해 상기 제상 센서(200)가 상기 고정부재(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20)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냉각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20)는, 일측이 상기 바디부(310)로부터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바디부(310)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20)는 상기 냉각관(110)이 관통되는 관통홀(32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21)에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상기 냉각관(110) 중 어느 한 단과 인접하는 다른 한 단이 관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관통홀(321)에는,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로 연결되는 수평배관부(111)와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로 연결되는 수평배관부(111)가 관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 및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를 통해 상기 고정부(320)가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320)는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 및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를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320)는, 상기 바디부(310)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라운드부(322), 상기 제 1 라운드부(322)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23) 및 상기 연장부(323)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라운드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310), 상기 제 1 라운드부(322), 상기 연장부(323) 및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를 통해 상기 관통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라운드부(322)는 상기 바디부(3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라운드부(322)는 상기 바디부(310)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라운드부(322)는 상기 바디부(310)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라운드부(322)에 의해 상기 관통홀(321)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라운드부(322) 측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321)에는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와 연결되는 수평배관부(111)가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라운드부(322)는,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3)는 상기 제 1 라운드부(32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3)는 상기 제 1 라운드부(322)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3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3)는 상기 제 1 라운드부(32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3)에 의해 상기 관통홀(321)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는 상기 연장부(323)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는 상기 연장부(323)로부터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는 상기 바디부(310)의 타 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라운드부(324)에 의해 상기 관통홀(321)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라운드부(324) 측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321)에는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와 연결되는 수평배관부(111)가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는,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320)는 상기 바디부(310)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는 상기 바디부(310)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는 상기 바디부(310)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321)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는 상기 제 1 바디부(312)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는 상기 제 1 바디부(312)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321)을 개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제 2 라운드부(324) 및 상기 제 1 바디부(312)를 통해 상기 관통홀(321)이 개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라운드부(324) 및 상기 제 1 바디부(312)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상기 관통홀(321)이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상기 관통홀(321)을 통해,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로 연결되는 수평배관부(111)와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로 연결되는 수평배관부(111)를 상기 고정부(320)가 감싸도록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라운드부(324) 및 상기 제 1 바디부(312)를 결합시키어 상기 고정부(320)는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 및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를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는 제 3 결합부(324A)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디부(312)는 상기 제 3 결합부(324A)와 결합되도록 제 4 결합부(312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 결합부(324A)는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 결합부(312B)는 상기 제 3 결합부(324A)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바디부(312)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결합부(324A)는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바디부(312)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결합부(324A)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걸림부(324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결합부(324A)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 결합부(312B)는 상기 제 3 결합부(324A)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바디부(312)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결합부(312B)의 내면에는, 상기 제 3 결합부(324A)와의 결합을 위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31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부(312C)에 의해 상기 제 2 걸림부(324B)가 고정되어 상기 제 3 결합부(324A) 및 상기 제 4 결합부(312B)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3 결합부(324A) 및 상기 제 4 결합부(312B)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320)는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 및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112)를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홀(321)이 개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라운드부(324)와 상기 연장부(232)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232)는 제 2 함몰부(32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 결합부(324A) 및 상기 제 4 결합부(312B)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함몰 형성되는 상기 제 2 함몰부(325)를 통해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는 상기 바디부(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관통홀(321)이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232)는, 상기 연장부(232)와 상기 제 1 라운드부(322)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 3 함몰부(326)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 결합부(324A) 및 상기 제 4 결합부(312B)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함몰 형성되는 상기 제 3 함몰부(326)를 통해 상기 제 2 라운드부(324)는 상기 바디부(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관통홀(321)이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1 : 냉장고
100 : 증발기
110 : 냉각관
130 : 지지대
200 : 제상 센서
300 : 고정부재
310 : 바디부
320 : 고정부

Claims (15)

  1. 저온의 저장 공간 및 압축기와 응축기가 배치되는 기계실을 각각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며, 하방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통과시키어 상기 저장 공간을 냉각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 온도를 감지하는 제상 센서; 및
    상기 제상 센서를 상기 증발기에 부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관;
    상기 냉각관의 외주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냉각핀; 및
    상기 냉각관이 관통되며, 관통된 상기 냉각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상 센서를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 구비되는 냉각관에 고정시키는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 개의 단을 형성하는 수평배관부; 및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수평배관부를 서로 연결하는 벤딩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인접하는 벤딩배관부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냉장고.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상 센서를 수용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냉각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상 센서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제 1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바디부; 및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2 바디부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 3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3 바디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냉장고.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부는,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3 바디부가 상기 제 1 바디부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제 1 함몰부를 형성하는 냉장고.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제 2 바디부로부터 상기 제 3 바디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바디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3 바디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 1 걸림부가 고정되도록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1 돌출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바디부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냉장고.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냉각관이 관통되는 관통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라운드부;
    상기 제 1 라운드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2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바디부, 상기 제 1 라운드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제 2 라운드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로 연결되는 수평배관부와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로 연결되는 수평배관부가 관통되는 냉장고.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운드부 측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에는, 하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로 연결되는 수평배관부가 관통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 2 라운드부 측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에는, 상측에 구비되는 벤딩배관부로 연결되는 수평배관부가 관통되어 지지되는 냉장고.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운드부는, 상기 관통홀이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바디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냉장고.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운드부는,
    상기 제 2 라운드부로부터 상기 제 1 바디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디부는,
    상기 제 3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제 4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결합부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4 결합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 2 걸림부가 고정되도록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2 돌출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2 라운드부와 상기 제 1 바디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제 2 함몰부를 형성하는 냉장고.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 1 라운드부와 상기 연장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제 2 함몰부를 더 형성하는 냉장고.
KR1020210003861A 2021-01-12 2021-01-12 냉장고 KR20220101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861A KR20220101858A (ko) 2021-01-12 2021-01-1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861A KR20220101858A (ko) 2021-01-12 2021-01-1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858A true KR20220101858A (ko) 2022-07-19

Family

ID=8260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861A KR20220101858A (ko) 2021-01-12 2021-01-1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18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5610B2 (en) Refrigerator
US10788255B2 (en) Refrigerator
US11333424B2 (en) Refrigerator
US11448454B2 (en) Refrigerator
US8033130B2 (en) Refrigerator
KR102412189B1 (ko) 냉장고
KR102261134B1 (ko) 냉장고
KR102409358B1 (ko) 냉장고
KR20220101858A (ko) 냉장고
KR102455077B1 (ko) 냉장고
JP3653426B2 (ja) 冷蔵庫
US20100115982A1 (en) Evaporator integrated duc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512383B1 (ko) 냉장고
US20220011037A1 (en) Refrigerator
KR20220040817A (ko) 냉장고
KR20220014618A (ko) 냉장고
KR200225867Y1 (ko) 냉장고용 증발기
JPH04236086A (ja) 冷凍冷蔵庫の冷却器の構造
KR20180035621A (ko) 냉장고
KR19990027036U (ko) 냉장고용 증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