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848A -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848A
KR20220100848A KR1020220084383A KR20220084383A KR20220100848A KR 20220100848 A KR20220100848 A KR 20220100848A KR 1020220084383 A KR1020220084383 A KR 1020220084383A KR 20220084383 A KR20220084383 A KR 20220084383A KR 20220100848 A KR20220100848 A KR 20220100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est
breast
information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봉근
Original Assignee
연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봉근 filed Critical 연봉근
Priority to KR102022008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0848A/ko
Publication of KR20220100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경화된 가슴팩의 촬영 면을 결정하고, 각각의 촬영 면에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화면상에 2차원 도형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경화된 가슴팩의 3차원 스캔을 가이드 한다. 또한 3차원 스캔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가슴 크기 및 유형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가슴에 적합한 속옷 제품을 추천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METHOD AND PROGRAM FOR PROVINDING BUST INFORMATION BASED ON AUGU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과 3차원 스캐닝을 이용한 사용자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스캐닝(3-Dimension Scanning)은 하드웨어 장비를 이용하여, 물체의 3차원 형상 좌표를 획득하여 물체의 형태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3차원 스캐닝 기술은 문화재 복원, 의료기구 제작, 물체의 정밀 계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람의 신체를 스캐닝 하여, 신체의 치수를 측정하고, 신체에 적합한 의류 및 속옷을 추천하는 서비스에도 3차원 스캐닝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캔 과정에서 제3자가 개입할 경우, 사용자는 신체 노출 및 자신의 신체 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감을 갖는다. 특히 여성의 민감한 신체 부위인 가슴의 경우 사용자가 느끼는 불안감은 더욱 크다.
또한, 여성의 가슴의 크기 및 형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X-RAY촬영과 같이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야 가능하며, 전문 장비나 전문 인력의 도움 없이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가슴의 형태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공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4864호, 2019.12.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전문 장비 또는 전문 인력의 도움 없이도 자신의 가슴 크기 및 유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 사용자의 가슴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가슴을 본떠 사전에 경화된 가슴팩을 보드상에 위치시키고 3차원 스캐닝을 위한 촬영 방향을 선택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스캐닝을 위한 상기 경화된 가슴팩의 촬영 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촬영면이 결정되면, 상기 3차원 스캐닝을 가이드 하는 2차원 도형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도형과 상기 보드상의 마커가 오버랩 되는 촬영조건을 만족하도록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단계, 상기 촬영 조건을 만족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하는 단계, 상기 촬영이 완료되면, 3차원 스캐닝을 위한 상기 경화된 가슴팩의 이미지 수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의 수집이 완료되면, 상기 촬영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촬영 조건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거리를 만족할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경화된 가슴팩 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원 도형은 상기 설정된 소정의 거리에서 보여지는 마커의 크기 배율로 형상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조건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각도를 만족할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는 상기 카메라의 상기 경화된 가슴팩에 관한 촬영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원 도형은 상기 설정된 소정의 거리에서 보여지는 마커의 크기 배율 및 상기 설정된 소정의 각도에서 보여지는 마커의 모양 형태로 형상화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조건은 상기 2차원 도형과 상기 마커가 오버랩 되어 일치하는 정도를 수치화하고, 그 결과가 사전에 설정된 값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조건을 만족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치화한 값을 상기 화면상에 출력하여, 상기 촬영조건을 만족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원 도형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경화된 가슴팩의 촬영 면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촬영 면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더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슴의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가슴 유형, 가슴 원주, 전체 가슴 크기, 상부 및 하부 가슴 크기 또는 컵 사이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슴의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착용하는 속옷의 브랜드 정보, 상기 속옷의 사이즈, 상기 사용자의 밑 가슴 둘레, 상기 사용자의 가슴의 모양, 상기 속옷 착용시 어깨 끈의 상태, 상기 속옷 착용시 후크의 위치, 상기 속옷과 상기 사용자의 가슴 사이 공간 상태, 상기 속옷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슴의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결정된 가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가슴 정보를 3차원 이미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가슴 정보를 3차원 이미지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사용자의 가슴 정보와 관련한 가슴의 모임 정도 및 가슴의 처짐 정도에 관한 보정 값을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보정 값에 따라 상기 3차원 이미지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가슴 크기 및 유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슴 정보를 2차원 그래프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체형 및 패드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정보와 상기 결정된 가슴 크기 및 유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속옷을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슴의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의 크기 및 유형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 저장된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가슴 크기 및 유형의 변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술한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인,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전문 장비나 별도의 비용 지불 없이도, 자신의 가슴에 관한 3차원 스캐닝이 가능하다. 3차원 스캐닝을 통해 사용자는 스스로 가슴의 크기 및 형태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한 가슴 크기 및 형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체형에 적합한 속옷을 추천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가슴 크기 및 형태에 관한 정보를 3차원 이미지로 제공받음으로써, 자신의 가슴에 관한 직관적인 관찰이 가능하다.
또한, 누적 저장된 가슴 정보를 통해선, 가슴 크기 및 형태 변화를 인지하여, 사전에 가슴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체형 관리의 효과도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사용자 가슴 정보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화면 상에 2차원 도형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촬영 거리 조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촬영 거리 조건에 따라 형상화되는 2차원 도형의 예시이다.
도 5는 촬영 거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사용자의 카메라 이동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촬영 각도 조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각도 조건에 따라 형상화되는 2차원 도형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거리 및 촬영 각도 조건에 따라 형상화되는 2차원 도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보드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촬영 방향을 지시하는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카메라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촬영 방향을 지시하는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 정보를 3차원 이미지로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 형태 중 가슴 모임 정도를 보정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 형태 중 가슴 처짐 정도를 보정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속옷을 추천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속옷을 추천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의 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경화된 가슴팩’은 사용자의 에스테틱 과정 또는 가슴 크기 및 형태 측정을 목적으로, 사용자의 가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성형된 후 자연스럽게 경화되어 응고된 석고팩, 고무팩 등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경화된 가슴팩’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3D 스캐닝(3-Dimension Scanning)의 대상이다. 즉, ‘경화된 가슴팩’은 가슴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본 명세서에 ‘보드’는 경화된 가슴팩이 놓이는 공간을 제공한다. 3차원 스캐닝은 상기 보드 상에 경화된 가슴팩이 놓여 있는 상태에서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2차원 도형’은 사용자 컴퓨터의 화면상에 출력되는 콘텐츠이다. 상기 ‘2차원 도형’은 사용자의 경화된 가슴팩의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경화된 가슴팩의 2차원 이미지 수집을 가이드(Guide)한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연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로, 데스크탑 PC, 노트북(Note Book)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사용자 가슴 정보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며, 컴퓨터는 디스플레이부, 카메라부, 데이터베이스부,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증강현실 기반 사용자의 가슴 정보 제공 방법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컴퓨터를 주체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가슴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가슴을 본떠 사전에 경화된 가슴팩(10)을 보드(20)상에 위치시키고 3차원 스캐닝을 위한 촬영 방향을 선택하도록 지시하는 단계(S100), 상기 3차원 스캐닝을 위한 상기 경화된 가슴팩(10)의 촬영 면을 결정하는 단계(S110), 상기 촬영면이 결정되면, 상기 3차원 스캐닝을 가이드 하는 2차원 도형(40)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S120), 상기 2차원 도형과 상기 보드(20)상의 마커(30)가 오버랩 되는 촬영조건을 만족하도록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단계(S130), 상기 촬영 조건을 만족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단계(S140), 상기 촬영이 완료되면, 3차원 스캐닝을 위한 상기 경화된 가슴팩(10)의 이미지 수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50) 및 상기 이미지의 수집이 완료되면, 상기 촬영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사전에 경화된 가슴팩(10)을 보드(20)상에 위치시키고 3차원 스캔을 위한 촬영 방향을 선택하도록 지시하는 단계(S100)에서는, 3차원 스캔의 대상인 경화된 가슴팩(10)을 보드 상에 위치시키도록 하고, 3차원 스캔 데이터(Scan Data)의 수집을 위한 경화된 가슴팩(10)의 촬영 방향을 선택하도록 지시한다.
S100 단계에서 사용자가 경화된 가슴팩(10)을 보드(20)상에 위치시키면, 컴퓨터는 카메라를 통해 보드 상의 마커(Marker)와 상기 경화된 가슴팩(10)을 인식하고, 마커(30)의 크기 및 패턴정보와 마커 데이터베이스(Marker Database)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매칭(Matching)하여 기준 좌표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좌표계를 바탕으로, S110 단계에서의 촬영 면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보드 상의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는 마커의 추적(Detection)과 인식(Recognition)의 이미지 프로세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마커(30)는 스퀘어 마커(Square Marker)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준 좌표계의 안정성을 위하여 복수의 마커가 시스템을 이룬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3차원 스캐닝을 위한 경화된 가슴팩(10)의 촬영 면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S100 단계에서 선택된 촬영 방향을 기초로, 3차원 스캔 데이터 생성을 위한, 경화된 가슴팩(10)의 촬영 면을 결정한다. 상기 촬영 면은 경화된 가슴팩(10)의 모든 면에 대한 2차원 촬영 이미지 수집이 가능하도록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촬영 면은 경화된 가슴팩(10)의 3차원 스캔 데이터 생성을 위해 필요한 상기 가슴팩(10)의 2차원 이미지의 개수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면은 정확한 3차원 스캔 데이터 생성을 위하여 각각의 촬영 면의 일정 부분이 서로 중복되어 결정될 수도 있다.
S100 단계에서 정해진 촬영 면에 따라, S130 단계에서의 촬영 조건은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촬영 면이 경화된 가슴팩(10)의 상부 면으로 결정되면, 카메라와 경화된 가슴팩(10)의 거리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경화된 가슴팩(10)의 측면이 촬영 면으로 결정되면, 거리 조건과 함께 카메라의 경화된 가슴팩(10)에 대한 촬영 각도 조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S100 단계에서는 촬영 면과 동시에 그에 상응하는 촬영 각도 조건을 함께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컴퓨터 화면 상에 2차원 도형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S110 단계에서 촬영 면이 결정되면, 상기 3차원 스캐닝을 가이드 하는 2차원 도형(40)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S120)에서는, 상기 결정된 촬영면에 관한 촬영 조건을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2차원 도형(40)을 출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경화된 가슴팩(10)의 상부 면이 촬영 면으로 결정되면, 상부 면의 3차원 스캔을 가이드 하는 정사각형의 2차원 도형(40)이 화면상에 출력한다. 이때, 2차원 도형(40)의 형태는 S110 단계에서 결정된 촬영 면 및/또는 각각의 촬영 면에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서 특정 형태를 갖는다. 이에 대해서는 S130 단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2차원 도형(40)과 상기 보드(20)상의 마커(30)가 오버랩 되는 촬영조건을 만족하도록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단계(S140)에서는 화면 상에 출력된 2차원 도형(40)과 보드 상의 마커가 오버랩(Overlap)되도록 사용자에게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지시한다. 예를 들어, 2차원 도형(40)과 보드(20) 상의 마커(30)가 오버랩 되도록 카메라의 이동 방향 및 각도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지시할 수 있으며, 2차원 도형(40)과 보드(20) 상의 마커(30)가 오버랩 되어 촬영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촬영을 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촬영조건인 2차원 도형(40)과 마커(30)의 오버랩은, 화면 상에 출력된 2차원 도형(40)과 마커(30)가 상당 부분 일치하는 경우에도 만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차원 도형(40)과 마커(30)의 오버랩 되어 일치하는 정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수치화하고, 그 값이 사전에 설정된 값 이상일 때에는 촬영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전술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상기 수치화한 값을 화면상에 출력하여, 상기 마커(30)와 2차원 도형(40)이 오버랩 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오버랩 정도를 인지함으로써, 신속하게 카메라의 방향 및/또는 각도를 조정하여 촬영 조건을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촬영 조건은 촬영 거리 및/또는 촬영 각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 거리 및/또는 촬영 각도에 따라서, 화면 상에 출력되는 2차원 도형(40)의 형태도 달라질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다음 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도 3은 촬영 거리 조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촬영 거리 조건에 따라 형상화되는 2차원 도형의 예시이다.
도 5는 촬영 거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사용자의 카메라 이동에 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촬영 조건은 경화된 가슴팩(10)과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슴팩(10)의 일면과 사용자의 카메라 간의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거리를 만족할 것을 촬영 조건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된 가슴팩(10)과 카메라까지의 거리는, 카메라의 초점 거리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2차원 도형(41)은 상기 설정된 거리를 만족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상기 설정된 거리에서 보여지는 마커(30)의 크기 배율로 형상화된다. 예를 들어, 사전에 촬영조건으로 설정된 소정의 거리가 D인 경우, 화면상에 출력되는 2차원 도형(41)은 거리 D에서 보여지는 마커(30)의 크기 배율로 형상화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 상에 출력되는 2차원 도형(41)을 마커(30)와 오버랩 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거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5를 참조하면, 촬영 거리 조건이 D1인 경우, 2차원 도형(41)은 D1에서 보여지는 마커(30)의 크기 배율로 형상화되어 화면상에 출력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카메라가 경화된 가슴팩(10)으로부터 D2의 거리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컴퓨터 화면상에 출력되는 2차원 도형(41)과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마커는 오버랩 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2차원 도형(41)과 마커(30)를 일치시키기 위해 카메라를 D2에서 D1으로 이동시켜야 하며, 그 과정에서 사전에 설정된 촬영 거리 조건은 만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촬영 조건은 경화된 가슴팩(10)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카메라의 경화된 가슴팩(10)에 대한 촬영 각도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각도를 만족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촬영 각도 조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촬영 각도 조건에 따라 형상화되는 2차원 도형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의 촬영 각도는 경화된 가슴팩(10)의 촬영 면에 대한 카메라의 1) 수평 방향으로의 각도(α) 및 2) 수직 방향으로의 각도(β)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각도 조건은 촬영 면에 따라 각각 설정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 조건인 촬영 각도를 만족할 것을 지시하기 위해 2차원 도형(42)은 특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각도에서 보여지는 마커(30)의 모양 형태로 형상화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된 촬영 각도를 만족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각도 조건이, 1)수평 방향으로의 각도 α°, 2)수직 방향으로의 각도 β°인 경우, 상기 촬영 각도 조건에서 보여지는 마커(30)의 모양 형태로 2차원 도형(42)은 형상화된다. 도 7을 참조하면, 1)α°, 2)β° 각도에서 보여지는 상기 스퀘어 마커(30)는 마름모 또는 연꼴 형태이다. 따라서 화면상에 출력되는 2차원 도형(42)도 이와 동일한 마름모 또는 연꼴 형태로 형상화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촬영 거리 및 촬영 각도 조건에 따라 형상화되는 2차원 도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촬영 조건으로 촬영 거리 및 촬영 각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된 가슴팩의 측면부가 촬영 면으로 결정된 경우, 촬영 면에 따라 촬영 거리(D) 조건 및 수평 방향으로의 각도(α) 와 수직 방향으로의 각도(β)의 촬영 각도 조건이 설정된다. 이때, 2차원 도형은 상기 촬영 거리 D에서 보여지는 마커(30)의 크기 배율 및 상기 촬영 각도인 α° 및 β°에서 보여지는 마커(30)의 모양 형태로 형상화될 것이다. 즉, 2차원 도형(43)은 축소된 연꼴의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2차원 도형을 형상화하고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2차원 도형과 마커(30)를 오버랩 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촬영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촬영 조건을 만족하면 촬영에 의해 3차원 스캐닝을 위한 2차원 이미지의 수집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전문적인 장비와 별도의 비용 지불 없이도 사용자가 경화된 가슴팩(10)의 3차원 스캐닝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보드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촬영 방향을 지시하는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카메라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촬영 방향을 지시하는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S120 단계에서는, S110 단계에서 결정된 촬영 면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더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촬영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는 S120 단계에서 결정된 촬영 면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신속하게 촬영 각도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상기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는 누락 없이 3차원 스캔데이터 생성을 위한 경화된 가슴팩(10)의 모든 2차원 이미지 수집이 가능할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는 카메라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촬영 방향을 지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촬영 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생성된 기준 좌표계를 기준으로 보드의 방향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촬영조건을 만족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단계(S150)에서는 사용자의 상기 촬영조건 충족 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경화된 가슴팩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기 촬영은 컴퓨터와 연결된 또는 컴퓨터에 포함되는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촬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촬영 명령 입력에 의한 수동 촬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촬영 조건을 만족하면 화면상에 표시된 촬영 명령을 입력 받는 이미지 객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촬영명령을 입력 받아 경화된 가슴팩을 수동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140 단계에서는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카메라의 촬영 거리 및/또는 촬영 각도와 같은 카메라의 매개 변수를 입력으로 각각 다른 시점에서 찍은 경화된 가슴팩(10)의 이미지를 수집한다.
경화된 가슴팩(10)의 이미지 수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는 3차원 스캔 데이터 생성을 위한 경화된 가슴팩(10)의 2차원 이미지가 모두 수집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경화된 가슴팩(10)의 이미지 수집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3차원 스캐닝을 위한 경화된 가슴팩(10)의 촬영 면을 결정하는 단계(S110)로 회귀한다.
한편, 경화된 가슴팩(10)의 이미지 수집이 완료된 경우에는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S170)가 진행된다.
S170 단계에서는, 수집된 경화된 가슴팩(10)의 이미지 정보로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3차원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는 경화된 가슴팩(10)의 부피를 계산하고, 상기 3차원 스캔 데이터 및 계산된 부피 값을 매칭하여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가슴 크기는 CC(Cubic Centimeter) 단위로 결정될 수 있으며, 가슴 유형은 원추형, 반구형, 하수형 또는 납작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S180 단계에서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가슴 유형, 가슴 원주, 전체 가슴 크기, 상부 및 하부 가슴 크기 또는 컵 사이즈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슴 원주는 사용자의 가슴 또는 유방 부위의 종 방향 단면의 최대 둘레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경화된 가슴팩(10)은 BP(Bust Point) 위치와 상응하는 공백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화된 가슴팩(10)의 3차원 스캔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백 부분을 연장하여 BP 위치를 추정 결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결정된 BP 위치를 기준으로, 컴퓨터의 측정부는 사용자의 상부 가슴 크기 및/또는 하부 가슴의 크기(CC: Cubic Centimeter)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컵 사이즈에 관한 정보와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을 매칭하여 컵 사이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S180 단계에서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관한 정보는 1)사용자가 착용하는 속옷의 브랜드 정보, 2)상기 속옷의 사이즈, 3)상기 사용자의 밑 가슴 둘레, 4)상기 사용자의 가슴의 모양, 5)상기 속옷 착용시 어깨 끈의 상태, 6)상기 속옷 착용시 후크의 위치. 7)상기 속옷과 상기 사용자의 가슴 사이 공간 상태, 8)상기 속옷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각각의 정보는 사용자에게 보기를 제시하고 사용자가 제시된 보기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슴 모양의 경우, 정면 가슴 모양 및/또는 측면 가슴 모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정면 가슴 모양에 관한 정보 수집은 ⅰ)가슴이 명치 쪽으로 몰린 유형, ⅱ)유두와 하변 거리가 짧은 유형, ⅲ)둥글둥글 적당한 유형, ⅳ)명치에 손가락 2개 이상, ⅴ)새가슴으로 벌어진 유형의 보기를 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측면 가슴 모양의 정보 수집은 ⅰ)성장발달이 안된 유형, ⅱ)윗 가슴이 부족한 유형, ⅲ)둥글둥글 이상적인 유형, ⅳ)하변 선 아래로 유두가 떨어진 유형, ⅴ)가슴이 접혀 몸에 접힌 유형 등의 보기를 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정보 수집을 통해, S180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에 맞는 속옷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속옷 제조업자는 해당 속옷 제품에 관한 수집된 사용자들의 의견을 피드백 함으로써, 더욱 경쟁력 있는 제품을 개발할 수도 있다.
S160 단계 이후,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하고 유용한 가슴 정보 제공을 위하여 1)사용자의 가슴 정보를 3차원 이미지로 출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2)사용자에게 적합한 속옷 정보를 제공하거나 3)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의 변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 정보를 3차원 이미지로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 형태 중 가슴 모임 정도를 보정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 형태 중 가슴 처짐 정도를 보정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S160 단계 이후 결정된 가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가슴 정보를 3차원 이미지로 출력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하는 단계(S170)는 출력된 사용자의 가슴 정보와 관련하여 가슴의 모임 및 가슴의 처짐 정도에 관한 보정 값을 입력 받는 단계(S171) 및 입력된 보정 값에 따라 3차원 이미지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S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70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는 3차원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가슴 형태를 직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슴의 모임 및 가슴의 처짐 정도에 관한 보정 값을 입력하고(S171), 상기 보정 값에 따라서 3차원 이미지가 변경되는(S172), 3차원 이미지의 수정 작업을 통해 가슴 형태에 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가슴의 모임 정도를 1)명치 쪽 모임, 2)양 옆 벌어짐에 관한 막대 그래프를 조정하여 보정이 가능하다. 또한, 양쪽 가슴의 처짐 정도에 관한 그래프를 조정하여, 처짐 정도에 관한 보정이 가능하다. 가슴의 처짐 정도에 관한 그래프는 가슴 방향에 따라 독립적으로 보정이 가능할 수 있으며, 양 가슴을 동시에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보정 값이 입력됨과 동시에 즉각적인 3차원 이미지의 가슴 형태 변화가 변화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정확한 가슴 형태 정보를 제공받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속옷을 추천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적합한 속옷을 추천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14를 참조하면, S160 단계 이후 상기 결정된 가슴 크기 및 유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슴 정보를 2차원 그래프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체형 및 패드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61) 및 상기 수집된 정보와 상기 결정된 가슴 크기 및 유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속옷을 추천하는 단계(S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S160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 크기는 속옷 크기와 매칭하였을 때, B컵과 C컵의 중간에 위치한 사이즈일 수 있다. 따라서, 2차원 그래프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는 브래지어 컵 사이즈와 관련한 자신의 가슴 크기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 및 패드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 정보에 기초하여 적합한 속옷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가슴에 적합한 속옷 제품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의 변화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S160 단계 이후,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의 크기 및 유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90) 및 상기 누적 저장된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가슴 크기 및 유형의 변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또는 유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190), 이후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또는 유형과 비교하여 가슴의 크기 및/또는 유형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S191), 사용자가 가슴 크기 및 형태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가슴의 크기 및/또는 유형의 변화 정보는 3차원 이미지 리스트, 촬영으로 얻어진 이미지, 그래프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가슴 크기 및 형태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사전에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체형 변화를 인지하고 자발적으로 관리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3개의 방법은 별개로 수행될 수도 있고, 하나의 실시예로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보드 상에 인쇄된 QR코드 또는 URL주소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에 다운받을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경화된 가슴팩
20 : 보드
30 : 마커
40 : 2차원 도형
41 : 촬영 거리 조건에 따른 2차원 도형
42 : 촬영 각도 조건에 따른 2차원 도형
43 : 촬영 거리 및 촬영 각도 조건에 따른 2차원 도형

Claims (15)

  1.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가슴을 본떠 사전에 경화된 가슴 팩(이하, “가슴팩”)을 보드상에 위치시키고 3차원 스캐닝을 위한 촬영 방향을 선택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스캐닝을 위한 상기 경화된 가슴팩의 촬영 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촬영면이 결정되면, 상기 3차원 스캐닝을 가이드 하는 2차원 도형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도형과 상기 보드상의 마커가 오버랩 되는 촬영조건을 만족하도록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단계;
    상기 촬영 조건을 만족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이 완료되면, 3차원 스캐닝을 위한 상기 경화된 가슴팩의 이미지 수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의 수집이 완료되면, 상기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거리를 만족할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가슴팩 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도형은,
    상기 설정된 소정의 거리에서 보여지는 마커의 크기 배율로 형상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슴 정보 제공 가이드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조건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각도를 만족할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는 상기 카메라의 상기 가슴팩에 관한 촬영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도형은,
    상기 설정된 소정의 거리에서 보여지는 마커의 크기 배율 및 상기 설정된 소정의 각도에서 보여지는 마커의 모양 형태로 형상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상기 2차원 도형과 상기 마커가 오버랩 되어 일치하는 정도를 수치화하고, 그 결과가 사전에 설정된 값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을 만족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치화한 값을 상기 화면상에 출력하여, 상기 촬영조건을 만족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 정보 제공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도형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경화된 가슴팩의 촬영 면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결정된 촬영 면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더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의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가슴 유형, 가슴 원주, 전체 가슴 크기, 상부 및 하부 가슴 크기 또는 컵 사이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사용자의 가슴 정보 제공 가이드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의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착용하는 속옷의 브랜드 정보, 상기 속옷의 사이즈, 상기 사용자의 밑 가슴 둘레, 상기 사용자의 가슴의 모양, 상기 속옷 착용시 어깨 끈의 상태, 상기 속옷 착용시 후크의 위치, 상기 속옷과 상기 사용자의 가슴 사이 공간 상태, 상기 속옷에 대한 사용자의 의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의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결정된 가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가슴 정보를 3차원 이미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가슴 정보를 3차원 이미지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사용자의 가슴 정보와 관련한 가슴의 모임 정도 및 가슴의 처짐 정도에 관한 보정 값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보정 값에 따라 상기 3차원 이미지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의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결정된 가슴 크기 및 유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슴 정보를 2차원 그래프 이미지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의 체형 및 패드 사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정보와 상기 결정된 가슴 크기 및 유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속옷을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의 크기 및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가슴의 크기 및 유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 저장된 사용자의 가슴 크기 및 유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가슴 크기 및 유형의 변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84383A 2020-04-06 2022-07-08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100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383A KR20220100848A (ko) 2020-04-06 2022-07-08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295A KR102420455B1 (ko) 2020-04-06 2020-04-06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0084383A KR20220100848A (ko) 2020-04-06 2022-07-08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295A Division KR102420455B1 (ko) 2020-04-06 2020-04-06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848A true KR20220100848A (ko) 2022-07-18

Family

ID=781162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295A KR102420455B1 (ko) 2020-04-06 2020-04-06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0084383A KR20220100848A (ko) 2020-04-06 2022-07-08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295A KR102420455B1 (ko) 2020-04-06 2020-04-06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204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068B1 (ko) * 2022-11-25 2023-07-17 라이크낫 주식회사 착용감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속옷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864A (ko) 2018-04-27 2019-12-0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를 이용한 유방 보형물 제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79474B (en) * 2001-01-11 2004-03-11 Wacoal Corp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underwear having cup portion, and recording medium
KR101624608B1 (ko) * 2014-04-25 2016-06-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코 보형물 자동 디자인 방법
KR102005000B1 (ko) * 2017-10-26 2019-07-2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유방보형물 제조방법, 이를 수행하는 제조시스템,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맞춤형 유방보형물, 및 맞춤형 보정 브래지어
KR102006795B1 (ko) * 2017-12-26 2019-08-0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유방 형상 변형 방법 및 장치
KR102048208B1 (ko) * 2018-03-27 2019-11-25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x선 촬영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31009B1 (ko) * 2018-07-05 2023-05-16 십일번가 주식회사 가이드라인 기반 촬영 이미지를 이용한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864A (ko) 2018-04-27 2019-12-0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를 이용한 유방 보형물 제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455B1 (ko) 2022-07-13
KR20210123747A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83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positioning
US72927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US1143919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xtracting body measurements from 2D images
JP637302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219835A (zh) 三维打印的定制可穿戴物件的生成
CN111742350A (zh) 虚拟试穿系统、虚拟试穿方法、虚拟试穿程序、信息处理装置、以及学习数据
JP626210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9097122A1 (en) Simple techniques for three-dimensional modeling
JP6980097B2 (ja) サイズ測定システム
JP5109084B2 (ja) 下着のオーダーメイドシステム、サーバ、下着のオーダーメイドの方法、及び下着のオーダーメイドのプログラム
US10909275B2 (en) Breast shape and upper torso enhancement tool
CN105180802B (zh) 一种物体尺寸信息识别方法和装置
KR20220100848A (ko) 증강현실 기반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24862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의류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0180688A1 (en) Multiple physical conditions embodied in body part images to generate an orthotic
JP7132347B2 (ja) サイズ測定システム
KR20190010767A (ko) 발 모양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293899B1 (ko) 증강현실 기반의 3d 스캐닝 가이드를 이용한 사용자 가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EP34271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size selection of garments
US20210390727A1 (en) System and method of use of augmented reality in measuring body circumference for the use of apparel production
WO2023186318A1 (en) A method for generating compression garment fit information and an apparatus thereof
CN115171150A (zh) 人体成像设备交互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