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809A -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 Google Patents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809A
KR20220099809A KR1020210002135A KR20210002135A KR20220099809A KR 20220099809 A KR20220099809 A KR 20220099809A KR 1020210002135 A KR1020210002135 A KR 1020210002135A KR 20210002135 A KR20210002135 A KR 20210002135A KR 20220099809 A KR20220099809 A KR 20220099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golf club
motor
rotating bod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홍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앤텍
Priority to KR102021000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9809A/en
Publication of KR2022009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8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211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1Contacting or non-contacting mechanical means for guiding the swing
    • A63B69/36211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 A63B69/36213Mechanical guides guiding the club head end during the complete swing, e.g. rails with arm or rod fixed on the club and rotating around a fixed supporting p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that makes it possible not only to control the golf club's angle and the twisting motion of a golf club (80) while responding to a club path position of the golf club (80), but also to guide a golf swing posture more accurately by detecting movements of the golf club (80) through a sensor. Furthermore, the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circular guide rail (10) is detachably installed, and thus makes it easy to move and store.

Description

스윙자세 훈련시스템{SWING POSTURE TRAINING SYSTEM}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본 발명은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골프클럽의 궤도상 위치에 대응하여 골프클럽의 각도 및 비틀림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센서를 통해 골프클럽의 이동을 감지하여 스윙자세를 더욱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으며, 각 구성을 분리 가능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which can control the angle and torsional motion of a golf club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n the track of the golf club, and detect the movement of the golf club through a sensor to guide the swing posture more accurately. It relates to a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that is easy to move and store because each component is separable.

근래 한국 선수들의 국제대회 우승으로 골프의 인기가 높아지고 필드 및 스크린 골프장의 확산으로 점차 대중화됨에 따라 골프 인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Recently, as the popularity of golf has increased due to the victory of Korean players in international competitions, and the spread of field and screen golf courses has become more popular, the golf populat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다른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골프 실력향상을 위해서는 정확한 자세를 익혀 꾸준히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As in other sports, it is important to learn the correct posture and practice consistently to improve golf skills.

골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동작은 골프클럽을 사용하여 정지 상태의 골프공을 원하는 지점에 보내는 스윙 동작으로, 칩핑샷(chipping shot), 벙커샷(bunker shot) 등 세부적인 종류가 있으나 역시 풀스윙(full swing)이 기본이라 할 수 있다.The most basic motion in golf is a swing motion that uses a golf club to send a golf ball in a stationary state to a desired point. full swing) is the default.

도 1은 골프 스윙동작의 세부 구분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골프 스윙은 일부 다른 명칭을 사용하기도 하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자세를 의미하며, 움직임의 순서에 따라 통상적으로 셋업(set-up), 테이크백(take back), 코킹(cocking), 백스윙(back swing), 다운스윙(down swing), 임팩트(impact), 팔로우스루(follow through), 코킹(cocking) 및 피니쉬(finish)의 구분 동작으로 설명된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detailed classification of golf swing motions. Although some different names are used, the golf swing means substantially the same posture, and is usually set-up, take-back (take) according to the order of movement. back), cocking, back swing, down swing, impact, follow through, cocking, and finish are described as distinct motions.

이러한 구분동작은 양팔의 힘을 조절하고 몸의 회전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부드럽게 이어가며, 반복적인 연습에 의해서 정확한 스윙 동작을 터득할 수 있다.These divisional movements control the strength of both arms and use the rotation and centrifugal force of the body to continue smoothly, and through repeated practice, accurate swing movements can be learned.

정확한 스윙 동작을 연습하기 위해, 대부분의 인도어 골프 연습장을 이용하고, 프로골퍼의 지도를 받아 진행하나 근래에는 유도레일을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들도 출시되어 혼자서도 비교적 정확한 자세의 스윙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In order to practice accurate swing movements, most indoor golf driving ranges are used and are conducted under the guidance of professional golfers. are helping

하지만, 종래의 골프 스윙연습 장치는 일반적으로 경사진 원형 궤도를 따라 골프클럽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초보 연습자는 2차적인 원형 궤도를 그리지 못하고 궤도면에서 이탈되는 스윙을 하게 되고, 원형 궤도에서의 스윙 템포, 각도 등은 개인이 연습하여야 함에 따라 자세에 대해 정확한 연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However, the conventional golf swing practice apparatus is generally made to move the golf club along an inclined circular track, but the beginner practicer does not draw a secondary circular track and swings away from the track surface, Swing tempo, angle, etc. must be practiced by an individual, so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ractice posture.

또한, 종래의 골프 스윙연습 장치는 원형 궤도를 따라 백스윙할 때 클럽이 궤도에 묶여 있으면 몸이 궤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정확한 자세를 가이드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olf swing practice apparatus has a limitation in that when the club is tied to the track during the backswing along the circular track, the body moves in the orbit direction, so that the correct posture cannot be guided.

더불어, 종래의 골프 스윙연습 장치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이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golf swing practice device has a large volume, it is difficult to store and transport i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3640호(2013.05.06.)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63640 (2013.05.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윙 연습 시 클럽이 원형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여 자세를 가이드 할 수 있고, 백스윙 시 클럽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의 신체가 궤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자세를 가이드할 수 있는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uide the posture by moving the club along a circular trajectory during swing practice, and to enable the axial movement of the club during the backswing. It is to provide a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that can guide the correct posture by preventing the body from moving in the orbital dire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습자가 올바른 스윙으로 연습하고 있는지 클럽의 이동을 감지하여 연습 정확도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that can improve the practice accuracy and efficiency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club whether the practitioner is practicing with the correct swing.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윙연습장치가 비교적 큰 부피로 이루어져 이동 및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구성을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in which each component is separabl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wing practice device has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is difficult to move and stor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에 의하면, 소정 직경의 원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골프클럽의 스윙궤적을 가이드하고, 방사방향의 일면과 타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유도레일; 상기 유도레일을 지지하고 상기 유도레일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유도레일 후면에 장착되는 지지부; 상면에 상기 지지부가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올라가서 골프 스윙을 수행하도록 평탄한 상면이 형성되는 스윙 플레이트; 상기 유도레일의 각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개의 롤러와,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회전체; 내부로 골프클럽이 장착되고 상기 골프클럽의 축을 따라 비틀림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2회전체; 상기 이동체에 장착되어 상기 유도레일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감지체를 감지하여 이동체의 이동방향,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에 의해 이동체의 이동방향,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방향 및 위치에서의 골프클럽의 각도와 비틀림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circl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to guide the swing trajectory of the golf club, and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n the radial direction an induction rail in which a guide groove is formed; a support part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duction rail to support the induction rail and to adjust the angle and height of the induction rail; a swing plate on which the support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and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a flat upper surface is formed so that a user can climb up and perform a golf swing; a movable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rollers moving along each guide groove of the induction rail, and a bracket to which the rollers are rotatably connected; a first rotating body rotatably installed on the bracket of the moving body and driven by a first motor; a second rotating body having a golf club mounted therein and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to generate torsion along the axis of the golf club and driven by a second motor; a position sensor mounted on the movable body and configured to sense a moving direction, position, and speed of the movable body by detecting a sensing body moun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duction rail; and a control unit that senses the moving direction, position, and speed of the moving body by the position sensor and drives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odies to control the angle and torsion of the golf club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position. .

그리고 상기 이동체에는, 상기 롤러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3모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a third motor for selectively driving the roll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movable body.

또한, 상기 제2회전체에는, 상기 골프클럽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4모터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ourth motor is mounted on the second rotating body to move the golf club in the axial direction.

아울러, 상기 유도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골프클럽의 위치에 따른 각도, 비틀림 및 속도에 관한 복수개의 스윙패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각 모터, 메모리 및 제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윙패턴 데이터에 따라 각 모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memory storing a plurality of swing pattern data related to angle, twist and spe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golf club moving along the induction rail, and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each motor, the memory and the control unit are further provided, Preferably, the control unit controls each motor according to the swing pattern data selected by the user.

더불어, 상기 유도레일 및 지지부는 상기 스윙 플레이트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유도레일은 복수개의 레일유닛(10a, 10b, …, 10n)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윙 플레이트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지지부와 유도레일이 분해되어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uction rail and the support part are separable from the swing plate, and the induction rail is detachably coupled to a plurality of rail units 10a, 10b, ..., 10n, an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swing plate, the support part and the guide rail can be disassembled and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에 의하면, 골프클럽이 롤러를 이용하여 유도레일의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하여 원형의 궤도면에서 이탈되지 않고, 원형의 궤도를 따라 백스윙할 시 클럽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의 신체가 궤도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스윙 자세를 가이드할 수 있는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olf club rotates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induction rail using a roller and does not deviate from the circular track surface, but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lub when backswinging along the circular track It is made possible to provide a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that can guide the correct swing posture by preventing the user's body from moving in the orbit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 스윙 연습시 골프클럽의 정확한 궤적과 함께 각 구분동작구간에서의 골프클럽의 비틀림 및 각도의 미세한 조절을 정확하게 습득할 수 있어 훈련의 효율성 및 실력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learn the precise trajectory of the golf club during golf swing practice and fine adjustment of the twist and angle of the golf club in each segmented operation section, so that training efficiency and skill can be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클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스윙패턴을 대비하여 일치시키기 위해 모터를 제어 가능하여 저장된 스윙패턴과 동일한 스윙 움직임으로 훈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tor to match the swing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us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golf club, so that it is possible to train with the same swing movement as the stored swing patter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도레일과 지지부이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원형의 유도레일이 복수의 레일유닛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을 통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스윙 플레이트 내에 수용 가능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rail and the support part are coupled to be detachable and the circular induction rail is made to be separable into a plurality of rail units. one effect.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의 선택적인 구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스윙패턴으로 이동체가 스윙궤도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여 초보 연습자의 스윙자세를 가이드할 수도 있고, 수동모드로 설정하면 클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템포를 확인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스윙자세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drive the motor so that the moving body automatically moves along the swing trajectory in the swing pattern selected by the user to guide the swing posture of the beginner trainee, and when set to the manual mode, the movement of the club Sinc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empo by detecting

도 1은 골프 스윙동작의 세부 구분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레일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모터의 구동에 따른 이동체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플레이트의 개폐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 움직임 제어 메커니즘을 나타낸 제1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 움직임 제어 메커니즘을 나타낸 제2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 움직임 제어 메커니즘을 나타낸 제3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division of golf swing mo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according to the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n induction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body according to the driving of each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w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irst conceptual view showing a golf club movement control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ond conceptual view showing a golf club movement control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hird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golf club movement control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골프 스윙동작의 세부 구분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레일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모터의 구동에 따른 이동체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플레이트의 개폐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 움직임 제어 메커니즘을 나타낸 제1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 움직임 제어 메커니즘을 나타낸 제2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 움직임 제어 메커니즘을 나타낸 제3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division of golf swing mo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shape according to the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n induction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this view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body according to the driving of each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w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golf club movement control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ceptual diagram, FIG. 7 is a second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golf club movement control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third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golf club movement control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윙궤도의 레일을 따라 골프클럽이 이동하되 모터에 의해 골프클럽의 회전을 제어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골프클럽의 움직임를 감지하여 올바른 스윙 움직임과 대비할 수 있으며, 스윙 시 궤도 이탈 및 궤도를 향한 신체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골프 스윙자세를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을 제시한다.2 to 8,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olf club moves along the rail of the swing track, but the rotation of the golf club is controlled by a motor, and the movement of the golf club is sensed using a sensor to ensure correct swing movement and We present a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that can accurately guide golf swing postures by preventing deviations from the orbit and movement of the body toward the track during the swing.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유도레일(10), 지지부(20), 스윙플레이트, 이동체(40), 제1회전체(50), 제2회전체(60), 위치센서(70),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n induction rail 10, a support part 20, a swing plate, a movable body 40, a first rotation body 50, a second rotation body 60, a position A sensor 70 and a control unit are included.

상기 유도레일(10)은, 소정 직경의 원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골프클럽(80)의 스윙궤적을 가이드하고, 방사방향의 일면과 타면에 가이드홈(11)이 형성된다.The guide rail 10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circl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to guide the swing trajectory of the golf club 80, and guide grooves 11 are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n the radial direction.

이때, 상기 유도레일(10)은 원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유도레일(10)의 전면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감지체(13)가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홈(11)이 원주방향을 따라 더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duction rail 10 is made of a circular body, as shown in FIG. 2 ,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frame, and a sensing body 13 made of a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duction rail 10 . The guide groove 11 may be further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disposed.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유도레일(10)을 지지하고 상기 유도레일(10)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유도레일(10)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20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rail 10 to support the guide rail 10 and adjust the angle and height of the guide rail 10 .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유도레일(10)의 후면에 결합되되 중앙부가 관통형성된 도넛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2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21)의 후방에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대(22)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2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duction rail 10 and a donut-shaped support plate 21 in which a central portion is formed through, and the support plate 21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support plate 21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It may be composed of a support (22).

여기서 지지대(2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상부지지대(22a)와, 상부에 상부지지대(22a)가 삽입되는 하부지지대(22b)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22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22a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a lower support 22b into which the upper support 22a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지지부(20)는 사용자의 신장이나 체격에 맞추어 상기 유도레일(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전동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지지대(22a)를 상기 하부지지대(22b)로부터 승강시킬 수 있으나, 상기 지지대(22)의 높이조절에 대한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And the support part 20 uses an electric motor (not show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nduction rail 10 according to the height or physique of the user to elevate the upper support 22a from the lower support 22b. However, the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22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와 같이, 상기 유도레일(10)은 상기 지지부(20)로부터 각도 및 높이를 조절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 가능하므로 더욱 정확한 스윙 자세로 연습을 가이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duction rail 10 can be adjusted in angle and height from the support 20, so that it can be set to fit the user's body, so that practice can be guided with a more accurate swing posture.

그리고 상기 지지부(20)의 하측에는 스윙 플레이트(30)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유도레일(10) 및 지지부(20)는 상기 스윙 플레이트(3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And a swing plate 3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art 20 , and the guide rail 10 and the support part 20 may be coupled to be detachably from the swing plate 30 .

상기 스윙 플레이트(30)는, 상면에 상기 지지부(20)가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올라가서 골프 스윙을 수행하도록 평탄한 상면이 형성된다.The swing plate 30 has a flat upper surface with the support part 2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a user climbing up to perform a golf swing.

상기 스윙 플레이트(30)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지지부(20)와 유도레일(10)이 분해되어 삽입될 수 있다.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swing plate 30 , the support part 20 and the guide rail 10 may be disassembled and inserted.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스윙 플레이트(30)는 내부에 분해된 지지부(20) 및 유도레일(10)이 수용되는 저장부(31)와, 상기 저장부(31)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저장부(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부(32)와, 상기 저장부(31) 또는 도어부(32)에 장착되어 이동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3)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wing plate 30 includes a storage part 31 in which the disassembled support part 20 and the induction rail 10 are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storage part 31 is hinged to the storage part 31 . ) may be composed of a door unit 32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nd a handle 33 mounted on the storage unit 31 or the door unit 32 and easily gripped by the user when moving.

이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21)는 복수의 지지유닛(21a, 21b, …, 21n)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1)와 지지대(22) 또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지지부(20) 구성의 조립 및 분리 가능하여 이동 및 보관시 작은 부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2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units 21a, 21b, ..., 21n, and the support plate 21 and the support 22 are also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support 20 is made to be able to be assembled and separated so that it can be changed to a small volume during movement and storage.

그리고 상기 유도레일(10)은 복수개의 레일유닛(10a, 10b, …, 10n)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및 보관 시에는 분리하여 작은 부피로 변경할 수 있다.And the induction rail 10 is detachably coupled to a plurality of rail units (10a, 10b, ..., 10n) and can be separated and changed to a small volume during movement and storage.

그리고 이를 위해, 상기 각 레일유닛(10a, 10b, …, 10n)의 양단에는 각 레일유닛(10a, 10b, …, 10n)을 결합하여 원형의 몸체를 갖는 유도레일(10)로 이루어지도록 결합부재(12)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재(12)는 가이드홈(11)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for this, each rail unit (10a, 10b, ..., 10n) is coupled to both ends of each rail unit (10a, 10b, ..., 10n) to form an induction rail 10 having a circular body. 12 may be mounted, and the coupling member 12 is preferably mounted in the guide groove 11 .

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를 의미하며, 복수개의 레일유닛(10a, 10b, …, 10n)과 복수의 지지유닛(21a, 21b, …, 21n)은 이동 및 보관 시 분해 가능하도록 다양한 개수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Here, n mean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1, and the plurality of rail units (10a, 10b, …, 10n)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units (21a, 21b, …, 21n) are separated into various numbers so that they can be disassembled during movement and storage. Since it can be configured, the number is not limited.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플레이트(30) 내에는 분해된 지지부(20) 및 유도레일(10)이 수용되어, 비교적 작은 부피로 이루어진 스윙 플레이트(30)만 들고 이동하면 되기 때문에 보관성 및 휴대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5 , the disassembled support 20 and the guide rail 10 are accommodated in the swing plate 30 , and only the swing plate 30 having a relatively small volume needs to be moved and moved. It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storage and portability.

그리고 상기 이동체(40)는 상기 유도레일(10)을 따라 이동하여 사용자의 스윙 자세를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유도레일(10)의 각 가이드홈(11)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개의 롤러(41)와, 상기 롤러(4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42)을 포함한다.And the movable body 40 is configured to guide the user's swing posture by moving along the induction rail 10, and a plurality of rollers 41 moving along each guide groove 11 of the induction rail 10. and a bracket 42 to which the roller 41 is rotatably connected.

그리고 상기 제1회전체(50)는, 상기 이동체(40)의 브라켓(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모터(M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회전체(50)는 제1모터(M1)에 의해 골프클럽(8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otating body 5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racket 42 of the moving body 40 and driven by the first motor M1. That is, the first rotating body 50 may control the rotation of the golf club 80 by the first motor M1.

상기 제2회전체(60)는, 내부로 골프클럽(80)이 장착되고 상기 골프클럽(80)의 축을 따라 비틀림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회전체(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모터(M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회전체(60)는 상기 제2모터(M2)에 의해 상기 골프클럽(80)의 비틀림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rotating body 6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50 so that a golf club 80 is mounted therein and torsion occurs along the axis of the golf club 80, and a second motor It can be driven by (M2). That is, the second rotating body 60 may control the torsion of the golf club 80 by the second motor M2.

이때, 상기 제2회전체(60)에는, 상기 골프클럽(80)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4모터(M4)가 더 장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a fourth motor M4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second rotating body 60 to move the golf club 80 in the axial direction.

즉, 상기 제2회전체(60)는 상기 골프클럽(80)의 중단에 장착되되 상기 골프클럽(80)의 축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여 사용자의 신장 및 신체조건의 반영을 비롯하여 스윙동작에서 골프클럽(80)이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second rotating body 60 is mounted on the middle of the golf club 80 and allows the axial movement of the golf club 80 to reflect the user's height and physical condition, as well as the golf club in swing operation. (80) is made to enable axial movement.

이를 통해, 백스윙 시 골프클럽(80)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신체가 궤도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user's body moves along the orbital direction while the golf club 80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during the backswing.

아울러, 상기 이동체(40)에는, 상기 유도레일(10)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감지체(13)를 감지하여 이동체(40)의 이동방향,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하는 위치센서(70)가 더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body 40 has a position sensor 70 for detecting the moving direction, position and speed of the moving body 40 by detecting the sensing body 13 moun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duction rail 10 . More can be installed.

여기서 상기 감지체(13)는 상기 유도레일(10)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 상에 형성된 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nsing body 13 is preferably a protrusion formed on the guide groove 1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rail 10 .

그리고 상기 위치센서(70)는 복수 개로 구성할 수 있고, 각 센서가 감지체(13)를 감지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이동방향, 위치 및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70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nd the movement direction, position, and speed may be confirmed by using a time difference in which each sensor detects the sensing body 13 .

즉, 상기 위치센서(70)는 상기 이동체(40)의 이동을 감지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골프클럽(80)의 비틀림과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position sensor 70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40 and control the twist and rotation of the golf club 80 based on the result.

상기 위치센서(70)는 상기 이동체(40)의 일단에 장착된 제1센서(71)와 상기 이동체(40)의 타단에 장착된 제2센서(72)로 구성될 수 있으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osition sensor 70 may be composed of a first sensor 71 mounted on one end of the movable body 40 and a second sensor 72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body 40, but the number and arrangement may var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이동체(40)에는, 상기 롤러(41)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3모터(M3)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ovable body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third motor M3 for selectively driving the roller 41 .

상기 롤러(41)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체(4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42)의 각 코너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er 41 be provided in each corner portion of the bracket 42 in order to stably move the movable body 40 as made up of a plurality of rollers 41 .

그리고 상기 제3모터(M3)를 통해 상기 롤러(41)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체(40)를 제어하면, 백스윙, 다운스윙, 팔로스로 등 스윙 패턴 설정에 따라 템포로 상기 이동체(40)가 상기 가이드홈(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자세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And when the moving body 40 is controlled by driving the roller 41 through the third motor M3, the moving body 40 moves at a tempo according to the swing pattern setting such as backswing, downswing, and follow-through. While automatically mov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oove 11, the user's posture is guided so as to be easily acquired.

그리고 상기 제3모터(M3)를 구동하지 않는 수동모드 상태에서는, 롤러(41)가 사용자의 의지대로 자유롭게 구동되면서 템포에 대한 가이드 없이 사용자 스스로 스윙 가능한 수동연습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And in the manual mode state in which the third motor M3 is not driven, the roller 41 is freely driven at the user's will, and a manual practice mode in which the user can swing by himself without a guide to the tempo can be provided.

이와 같은 수동모드에서는, 상기 위치센서(70)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체(40)의 이동 패턴을 감지하여 바른 자세로 스윙이 이루어졌는지 확인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such a manual mode, the movement pattern of the movable body 40 may be detected using the position sensor 70 to confirm whether the swing is made in the correct posture.

즉, 상기 이동체(40)는 상기 제3모터(M3)에 의해 상기 롤러(41)를 선택적으로 구동함에 따라, 자동모드에서 스윙 템포를 가이드함을 물론이고 수동모드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윙 자세를 감지하여 확인할 수 있다.That is, as the movable body 40 selectively drives the roller 41 by the third motor M3, it guides the swing tempo in the automatic mode as well as the user's swing using the sensor in the manual mode. You can check your posture by detecting i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센서(70)에 의해 이동체(40)의 이동방향,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방향 및 위치에서의 골프클럽(80)의 각도와 비틀림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회전체(50) 및 제2회전체(60)를 구동시킬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moving direction, position and speed of the moving body 40 by the position sensor 70 to control the angle and torsion of the golf club 80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 50)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60 may be driven.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유도레일(10)을 따라 이동되는 골프클럽(80)의 위치에 따른 각도, 비틀림 및 속도에 관한 복수개의 스윙패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각 모터(M1, M2, M3, M4), 메모리 및 제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a memory in which a plurality of swing pattern data related to the angle, torsion and spe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golf club 80 moved along the induction rail 10 are stored, and each of the motors M1, M2, M3 , M4),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memory and the control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이때, 상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ttery has a rechargeable structur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윙패턴 데이터에 따라 각 모터(M1, M2, M3, M4)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each of the motors M1, M2, M3, and M4 according to the swing pattern data selected by the user.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센서(70)에서 감지된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스윙패턴을 대비하여 이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각 모터(M1, M2, M3, M4)를 제어하여 강제적으로 골프클럽(80)의 비틀림 및 각도변화, 템포 등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controls each motor (M1, M2, M3, M4) to match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70 and the swing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forcibly by controlling the golf club 80. I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twist, angle change, and tempo of

더불어, 이때, 상기 제1회전체(50) 및 제2회전체(60)는 외력에 따른 회동각도, 즉 상기 골프클럽(80)의 비틀림과 각도를 각각 감지하는 회동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ng body 50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6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ensor that detects a rotation angle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that is, the twist and angle of the golf club 80, respectively. .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전문가)의 모범 스윙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센서(70) 및 회동센서의 측정값을 저장할 수 있고 모범 스윙동작에 따른 구분동작 구간별 골프클럽(80)의 비틀림과 각도변화를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Here, the memory can store the measured values of the position sensor 70 and the rotation sensor in response to the exemplary swing motion of the user (expert), and the twist and angle change of the golf club 80 for each sec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swing motion. may also collect data.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역으로 동작구현이 가능하도록 각 모터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훈련시 수집, 설정된 이동체(40)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 모터(M1, M2, M3, M4)에 인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processes the data collected in the memory to generate control signals for each motor so that the reverse operation can be realized, and the respective motors M1, M2, M3 are collected and set in response to the set position of the moving body 40 during training. , M4) is applied.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윙자세 훈련시스템은 모델로 삼는 스윙패턴과 동일한 스윙 움직임 훈련이 가능하여 훈련의 효율성 및 실력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rough this, the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in the same swing movement as the swing pattern used as a model, so that training efficiency and ability are improv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각 모터의 구동에 따른 작동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each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drawings.

상기 제1모터(M1)가 구동하면, 도 4에 도시된 ①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제1회전체(50)가 상기 브라켓(42)으로부터 회전하게 된다.When the first motor M1 is driven, the first rotating body 50 rotates from the bracket 42 as shown in the arrow direction of ① shown in FIG. 4 .

그리고 상기 제2모터(M2)가 구동하면, 도 4에 도시된 ②의 화살표와 같은 방향과 같이 상기 제2회전체(60)가 상기 제1회전체(50)로부터 회전하여 골프클럽(80)의 축을 따라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And when the second motor M2 is driven, the second rotating body 60 rotates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5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ow of ② shown in FIG. 4 and the golf club 80 torsion occurs along the axis of

또한, 상기 제3모터(M3)는 상기 롤러(41)가 상기 유도레일(10)의 가이드홈(1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이동체(40)를 도 4에 도시된 ③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이동시켜 스윙 자세를 가이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motor M3 drives the roller 41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11 of the induction rail 10 to move the movable body 4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3 shown in FIG. 4 . You can guide your swing posture by moving it with

그리고 골프클럽(80)이 고정되어 궤도에 묶여 있으면 사용자의 머리 등 신체가 궤도방향으로 움직여 바람직한 스윙자세를 가이드하여 실력 향상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golf club 80 is fixed and tied to the track, the user's head, etc.,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track to guide the desired swing posture,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improvement in ability is deteriorat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4모터(M4)는 도 4에 도시된 ④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골프클럽(80)을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ourth motor M4 may drive the golf club 80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s shown in the arrow direction of ④ shown in FIG. 4 .

즉, 본 발명은 제1모터(M1), 제2모터(M2), 제3모터(M3), 제4모터(M4)를 통해 골프클럽(80)을 4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어함을 통해 2차원적인 스윙궤도에서 스윙의 템포와 골프클럽(80)의 각도 훈련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through the first motor (M1), the second motor (M2), the third motor (M3), the fourth motor (M4) by controlling the golf club 80 to be rotatable in four directions. In the two-dimensional swing trajector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swing tempo and angle training of the golf club 80 .

다음으로 상기 골프클럽(80)의 비틀림 및 회전을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Next, a structure for torsion and rotation of the golf club 80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80) 움직임 제어 메커니즘을 나타낸 제1개념도로서, 제2구동기어(110)를 통해 제2모터(M2)의 회전력을 제2회전체(60)로 전달하는 모습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6 is a first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control mechanism of the golf club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motor M2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ting body 60 through the second driving gear 110 . An example of the appearance is show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체(60)는 상기 제1회전체(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1회전체(50)에 장착된 고정브라켓(51)에 결합될 수 있고, 고정된 골프클럽(80)의 축 방향으로 비틀림을 제어하도록 제2구동기어(110), 제2모터(M2)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6 , the second rotating body 60 is to be coupled to a fixing bracket 51 mounted on the first rotating body 50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50 . The second driving gear 110 and the second motor M2 are installed to control the tors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golf club 80 .

상기 제2모터(M2)는 기본적으로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속도 및 각도로 정/역회전과 외력에 따른 자유회전 및 축고정이 가능하고, 상기 제2모터(M2)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제2회전체(60)를 회전시키며 골프클럽(80)의 비틀림을 발생시킨다.The second motor (M2) is basically capable of forward/reverse rotation at a speed and an angle set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free rotation and shaft fixa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and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motor (M2), the The second rotating body 60 is rotated to cause torsion of the golf club 80 .

이를 위해 상기 제2회전체(60)는 상기 제1회전체(50)에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하며 제2모터(M2)와 제2회전체(60)를 기어나 롤러, 벨트, 체인 등으로 연결하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될 수도 있다. 즉, 도 7은 제2회전체(60)의 축회전을 위한 예시로서 결합구성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o this end, the second rotating body 60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50 in an axially rotatable form, and the second motor M2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60 are connected to gears, rollers, belts, chains, etc.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rotation. That is, FIG. 7 is an example for axial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body 60, and the coupling configuration and posi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체(60)에는 골프클럽(80)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골프클럽(80)의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보조롤러(61)가 더 구비될 수도 있고, 이러한 보조롤러(61)는 제4모터(M4)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the second rotating body 60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roller 61 rotat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golf club 80 to move the golf club 80 in the axial direction. Also, the auxiliary roller 61 may be driven by the fourth motor M4.

이를 통해, 상기 제4모터(M4)에 의해 상기 골프클럽(80)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장이나 팔 길이에 맞추어 상기 유도레일(10)과 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몸의 중심이 흐트러짐 없이 자연스러운 골프 스윙이 가능하게 되어 정확한 스윙 자세로 가이드할 수 있다.Through this, sin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golf club 80 to move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fourth motor M4, the distance between the induction rail 10 and the ha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or arm length. This enables a natural golf swing without disturbing the center of the body and guides the correct swing postur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80) 움직임 제어 메커니즘을 나타낸 제2개념도로서, 골프클럽(80)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면서 임의의 비틀림은 허용하지 않는 구조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였다.7 is a second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movement control mechanism of the golf club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that does not allow any twist while allowing the axial movement of the golf club 80. As shown in FI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공지의 구조를 이용하여 골프클럽(80)의 중단을 감싸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골프클럽(80)의 비틀림 및 각도제어가 이루어짐에 따라 이러한 동작과 함께 골프클럽(80)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골프클럽(80) 외주면에 축 방향의 돌기부(82)를 갖는 밴드(81)를 먼저 두른 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체(60)가 상기 밴드(81) 및 돌기부(82)를 둘러 감싸 제2회전체(60) 내측에서 골프클럽(80)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면서도 임의의 비틀림은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it is possible to wrap and fix the middle part of the golf club 80 using various well-known structures. In a state in which a band 81 having a protrusion 82 in the axial direction is first wrapp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olf club 80 in order to allow the axial movement of the second rotating body 60, the band 81 And it can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protrusion 82 while allowing the axial movement of the golf club 80 inside the second rotating body 60 while not allowing any twisting.

더불어, 스윙동작에 있어 골프클럽(80)의 축 방향 이동 범위는 매우 한정될 뿐 아니라, 스윙 중 골프클럽(80)을 놓치는 등의 의도 하지 않은 사고와 골프클럽(80)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골프클럽(80)의 축 방향 이동 범위를 어느 정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xial movement range of the golf club 80 in the swing operation is very limited, as well as to prevent unintentional accidents such as missing the golf club 80 during the swing and damage to the golf club 80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axial movement range of the golf club 80 to some extent.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체(60)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골프클럽(80) 상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돌출구조체(84)를 구비하여, 골프클럽(80)의 축 방향 이동시 상기 제2회전체(60)와 돌출구조체(84)의 접촉을 통해 상하 축 방향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7 , a pair of protruding structures 84 protruding on the golf club 80 are provided with a pair of protruding structures 8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t distance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ng body 60 . Thus, when the golf club 80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the range of movement in the vertical axial direction may be limited through the contact between the second rotating body 60 and the protruding structure 84 .

마찬가지로 상기 돌출구조체(84)는 골프클럽(80) 외주면에 임시로 감아 설치하는 밴드(81)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최초 설치된 위치를 쉽게 인지하거나 힘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골프클럽(80)이 정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전체(60)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상측과 하측의 돌출구조체(84) 사이에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8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milarly, the protruding structure 84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and 81 that is temporarily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olf club 80, and the first installed position is easily recognized or the golf club 80 is not applied with forc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n elastic body 83 such as a spring that generates a tensile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rotruding structures 84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rotating body 60 so as to be properly position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클럽(80)의 움직임 제어 메커니즘을 나타낸 제3개념도에 관한 것으로, 제1회전체(50)의 회전구조에 대한 개념도이다.8 is a third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of the golf club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rotational structure of the first rotating body 50 .

첨부된 도 8과 같이, 골프클럽(80)의 각도제어를 위해 상기 제1회전체(50)를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회동축(90)을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제1모터(M1)와 제1구동기어(100)가 설치될 수 있다.8, the first motor M1 and the first drive for rotating the first rotating body 50 based on the rotating shaft 90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or angle control of the golf club 80, as shown in FIG. Gear 100 may be installed.

구체적으로 상기 제1모터(M1) 및 제1구동기어(100)가 결합한 상태의 제1회전체(50)를 횡방향 즉 스윙방향으로 각도 조절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제1모터(M1) 및 제1구동기어(100)가 결합한 상태의 제1회전체(5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축(90)을 형성한 후 이 회동축(90)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motor M1 and the first driving gear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adjust the angle of the first rotating body 50 in the lateral direction, that is, in the swing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 first motor M1 and the first After forming the rotation shaft 90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first rotation body 50 in the state in which the driving gear 100 is coupled, the angle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rotation shaft 90 .

첨부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42)의 배면으로 회동축(90)이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속도 및 각도로 정/역회전과 외력에 따른 자유회전 및 축고정 가능한 제1모터(M1)를 통해 회동축(9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회동축(90)과 제1모터(M1)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모습을 예시하였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 8 (b),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shaft 90 penetrates the rear surface of the bracket 42, forward/reverse rotation at a speed and an angle set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freedom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It shows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the rotation shaft 90 through the first motor M1 capable of rotating and fixing the shaft. Similarly, a state in which pow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rotation shaft 90 and the first motor M1 has been exemplified.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각 모터의 배치와 구동수단은 골프클럽(80)을 4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에 대한 예시이므로,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골프클럽(80)의 각도조절 및 비틀림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및 구조로 변경 가능함은 당연하다.The arrangement and driving means of each motor shown in FIGS. 6 to 8 are examples of a structure for rotating the golf club 80 in four directions, so the golf club 8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that can control the angle adjustment and torsion of the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that you can

10 : 유도레일 10a, 10b, …, 10n : 레일유닛
11 : 가이드홈 12 : 결합부재
13 : 감지체 20 : 지지부
21 : 지지 플레이트 21a, 21b, …, 21n : 지지유닛
22 : 지지대 22a : 상부지지대
22b : 하부지지대 30 : 스윙 플레이트
31 : 저장부 32 : 도어부
33: 손잡이 40 : 이동체
41 : 롤러 42 : 브라켓
50 : 제1회전체 51 : 고정브라켓
60 : 제2회전체 61 : 보조롤러
70 : 위치센서 71 : 제1센서
72 : 제2센서 80 : 골프클럽
81 : 밴드 82 : 돌기부
83 : 탄성체 84 : 돌출구조체
90 : 회동축 100 : 제1구동기어
110 : 제2구동기어 M1 : 제1모터
M2 : 제2모터 M3 : 제3모터
M4 : 제4모터
10: induction rail 10a, 10b, ... , 10n : rail unit
11: guide groove 12: coupling member
13: sensing body 20: support
21: support plates 21a, 21b, ... , 21n: support unit
22: support 22a: upper support
22b: lower support 30: swing plate
31: storage unit 32: door unit
33: handle 40: movable body
41: roller 42: bracket
50: first rotating body 51: fixing bracket
60: second rotating body 61: auxiliary roller
70: position sensor 71: first sensor
72: second sensor 80: golf club
81: band 82: protrusion
83: elastic body 84: protruding structure
90: rotation shaft 100: first drive gear
110: second drive gear M1: first motor
M2: second motor M3: third motor
M4: 4th motor

Claims (5)

소정 직경의 원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골프클럽(80)의 스윙궤적을 가이드하고, 방사방향의 일면과 타면에 가이드홈(11)이 형성되는 유도레일(10);
상기 유도레일(10)을 지지하고 상기 유도레일(10)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유도레일(10) 후면에 장착되는 지지부(20);
상면에 상기 지지부(20)가 장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올라가서 골프 스윙을 수행하도록 평탄한 상면이 형성되는 스윙 플레이트(30);
상기 유도레일(10)의 각 가이드홈(11)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개의 롤러(41)와, 상기 롤러(41)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켓(42)을 포함하는 이동체(40);
상기 이동체(40)의 브라켓(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제1회전체(50);
내부로 골프클럽(80)이 장착되고 상기 골프클럽(80)의 축을 따라 비틀림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회전체(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모터(M2)에 의해 구동되는 제2회전체(60);
상기 이동체(40)에 장착되어 상기 유도레일(10)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감지체(13)를 감지하여 이동체(40)의 이동방향,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하는 위치센서(70); 및
상기 위치센서(70)에 의해 이동체(40)의 이동방향,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방향 및 위치에서의 골프클럽(80)의 각도와 비틀림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회전체(50) 및 제2회전체(60)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자세 훈련시스템.
an induction rail 10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circl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to guide the swing trajectory of the golf club 80, and having guide grooves 11 form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in the radial direction;
a support part 20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duction rail 10 to support the induction rail 10 and to adjust the angle and height of the induction rail 10;
a swing plate 30 on which the support 20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flat upper surface is formed so that a user can climb up and perform a golf swing;
a movable body 40 including a plurality of rollers 41 moving along each guide groove 11 of the guide rail 10 and a bracket 42 to which the rollers 41 are rotatably connected;
a first rotating body 50 rotatably installed on the bracket 42 of the moving body 40 and driven by a first motor M1;
The golf club 80 is mounted therein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50 so that torsion occurs along the axis of the golf club 80 and is driven by a second motor M2. all (60);
a position sensor 70 mounted on the movable body 40 and configured to sense the moving direction, position and speed of the movable body 40 by detecting the sensing body 13 moun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duction rail 10; and
The first rotating body 50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50 and the first rotating body 50 to control the angle and torsion of the golf club 80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position by sensing the moving direction, position, and speed of the moving body 40 by the position sensor 70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comprising a;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second rotating body (6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40)에는, 상기 롤러(41)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3모터(M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자세 훈련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body (40), a third motor (M3) for selectively driving the roller (41) is further provid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체(60)에는, 상기 골프클럽(80)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4모터(M4)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자세 훈련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otating body (60), a fourth motor (M4) is mounted to move the golf club (80) in the axial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레일(10)을 따라 이동되는 골프클럽(80)의 위치에 따른 각도, 비틀림 및 속도에 관한 복수개의 스윙패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각 모터, 메모리 및 제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윙패턴 데이터에 따라 각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자세 훈련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a memory in which a plurality of swing pattern data related to an angle, torsion and spe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golf club 80 moved along the induction rail 10 are stored;
Further comprising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each of the motor, memory and control unit,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each motor according to the swing pattern data selected by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레일(10) 및 지지부(20)는 상기 스윙 플레이트(30)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유도레일(10)은 복수개의 레일유닛(10a, 10b, …, 10n)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윙 플레이트(30)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지지부(20)와 유도레일(10)이 분해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자세 훈련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duction rail 10 and the support part 20 are detachable from the swing plate 30,
The induction rail 10 is a plurality of rail units (10a, 10b, ..., 10n) are detachably coupled,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guide rail (10) are disassembled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swing plate (30).
KR1020210002135A 2021-01-07 2021-01-07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KR202200998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135A KR20220099809A (en) 2021-01-07 2021-01-07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135A KR20220099809A (en) 2021-01-07 2021-01-07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809A true KR20220099809A (en) 2022-07-14

Family

ID=8240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135A KR20220099809A (en) 2021-01-07 2021-01-07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980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640B1 (en) 2013-01-31 2013-05-10 최태호 Machine for practicing swing of gol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640B1 (en) 2013-01-31 2013-05-10 최태호 Machine for practicing swing of gol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4316B2 (en) Putting/chipping trainer
US5895327A (en) Golf swing aid and method
US8267812B1 (en) Putting/chipping trainer
US5582407A (en) Golf swing trainer
US4805913A (en) Device for developing golf ball address stance
US5125844A (en) Putting and chipping golf stroke apparatus
JP2019507002A (en) Badminton exercis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51005B1 (en) Badminton exercise device
KR20220099809A (en)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US5458340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130244804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0996303B1 (en) Golf training apparatus
KR102332192B1 (en)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JP4587422B2 (en) Golf club swing trajectory practice tool and swing trajectory practice method
EP1007166A1 (en) Apparatus for demonstrating golf or the like
KR200221256Y1 (en) An apparatus for practising golf
KR20210023582A (en) Swing posture training system using golf club motion control
KR20110018686A (en) Badminton exercise device
KR102258643B1 (en) Golf training apparatus
KR20100038860A (en) Putting practice apparatus
KR102523288B1 (en) Golf Swing Trajectory and Posture Forming Device
KR101100289B1 (en) Flat down swing training device
WO2004064939A1 (en) Training device for golf swing and similar motions
WO2014022865A1 (en) Putting/chipping trainer
JP2008295911A (en) Golf practic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