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792A - 사운드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사운드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792A
KR20220099792A KR1020210002103A KR20210002103A KR20220099792A KR 20220099792 A KR20220099792 A KR 20220099792A KR 1020210002103 A KR1020210002103 A KR 1020210002103A KR 20210002103 A KR20210002103 A KR 20210002103A KR 20220099792 A KR20220099792 A KR 20220099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rocessor
headset
speak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203B1 (ko
Inventor
강동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2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1Hearing devices using active noise cance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oy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운드가 사운드 출력 기기 자체에서 출력되거나 헤드셋에서 출력되도록 사운드 출력 위치를 선택 가능한 동시에 사운드 출력 위치가 변경될 때 오디오 신호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한 사운드 재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 또는 헤드셋으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마이크로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에서 소정의 음향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스피커에서 사운드의 출력을 개시할 때 소정 시간 동안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운드 재생 장치{A sound reproducing device}
본 개시는 사운드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운드 플레이 게임의 인기가 많아지면서, 스피커 및 헤드셋 등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요즘에는 단순히 게임에서 제공하는 사운드만 들으면서 플레이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른 사용자들과 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받으면서 플레이하는 사용자들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받으며 플레이할 때, 사용자의 목소리가 메아리처럼 사용자의 스피커에서 출력되거나, 잡음 등이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문제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스피커 또는 헤드셋에 대한 선호도는 사용자마다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건 및 상황 등에 따라 스피커와 헤드셋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잇는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사운드 출력 기기 자체에서 사운드가 출력되거나 헤드셋에서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사운드 출력 위치를 선택하는데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사운드 재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사운드 출력 위치가 변경될 때 오디오 신호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사운드 재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사운드가 헤드셋에서 출력되다가 사운드 재생 장치에서 출력될 때 일시적인 오디오 신호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사운드 재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는 스피커 또는 헤드셋으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마이크로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에서 소정의 음향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스피커에서 사운드의 출력을 개시할 때 소정 시간 동안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운드의 출력 모드를 헤드셋 모드에서 스피커 모드로 전환할 때 소정 시간 동안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소정 시간 동안 신호 처리를 위한 계수를 탐색할 수 있다.
프로세서 소정 시간 동안 볼륨의 크기를 기설정된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볼륨의 크기를 기설정된 중간 크기로 조절한 후 사용자 설정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볼륨의 크기를 이전 스피커 모드에서 설정된 볼륨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AEC(Acoustic Echo Cancellation)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운드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스피커 모드 또는 사운드가 헤드셋에서 출력되는 헤드셋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스피커 모드 및 헤드셋 모드 각각에서 신호 처리를 위한 경로를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스피커 모드에서 마이크를 통해 오디오를 입력받고, 헤드셋 모드에서는 헤드셋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오디오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운드를 사운드 재생 장치를 통해 출력할지 혹은 헤드셋을 통해 출력할지를 보다 편리하게 선택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운드 재생 장치 자체에서 사운드 출력을 개시할 때 스피커의 볼륨 크기가 일시적으로 작게 조절되므로, 오디오 신호의 품질 저하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호 처리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계 S20이 구체화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단계 S30이 구체화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단계 S30이 구체화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단계 S30이 구체화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개시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301)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본체(310)를 포함하며, 스피커(301)은 외부를 향해 사운드를 출력 가능하도록 본체(3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310)에는 입력부가 형성될 수 있고, 입력부는 사운드 재생 장치(300)를 제어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311)(313)(315)일 수 있다. 제1 버튼(311)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버튼이고, 제2 버튼(313)은 볼륨을 조절하는 버튼으로, 다이얼(dial)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버튼(315)은 헤드셋 모드를 온/오프 시키는 버튼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체(3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30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스피커(301)을 통해 사운드를 출력 가능한 동시에 마이크(303)를 통해 녹음이 가능한 음향 기기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체(310)에는 헤드셋(미도시)이 연결되는 헤드셋 연결 단자(30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운드 재생 장치(300)에는 인터페이스 단자(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단자(미도시)는 본체(3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고, USB 단자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인터페이스 단자(미도시)는 외부 기기(미도시)와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외부 기기(미도시)와 연결된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외부 기기(미도시)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미도시)는 PC(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노트북, TV(Televis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사운드 재생 장치의 형상 및 구조는 설명을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도 1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이크(303), 버튼(311)(313)(315) 등의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후술하는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3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구성들만을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마이크(303), 오디오 출력부(321), 인터페이스(323), 헤드셋 접속부(325), 전원 공급부(327) 및 프로세서(329)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303)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 소리를 흡음하여 전기적인 신호(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303)는 사운드 재생 장치(300)에 3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마이크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마이크(303)는 사운드 재생 장치(300)에 내장될 수 있고, 이는 후술하는 헤드셋 마이크(403)와 구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321)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따른 사운드를 스피커(301) 또는 헤드셋(400)으로 출력시킬 수 있고, 헤드셋(400)은 헤드셋 연결 단자(305)를 통해 사운드 재생 장치(300)와 연결된 헤드셋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323)는 외부 기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외부 기기(미도시)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23)는 외부 기기(미도시)와 연결되는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단자(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헤드셋 접속부(325)는 헤드셋(400)과 연결될 수 있고, 헤드셋(400)과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셋 접속부(325)는 헤드폰(401)에서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며, 헤드셋 마이크(403)를 통해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헤드셋 접속부(325)는 사운드 재생 장치(300)가 헤드셋 온 모드로 동작할 경우 헤드셋(400)과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헤드셋 접속부(325)는 헤드셋(400)과 연결되기 위한 헤드셋 연결 단자(3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27)는 사운드 재생 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사운드 재생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마이크(303), 오디오 출력부(321), 인터페이스(323), 헤드셋 접속부(325), 전원 공급부(327)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9)는 외부 기기(미도시)와 송수신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9)는 마이크(303)로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에서 소정의 음향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9)는 마이크(303)로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에 대해 AEC(Acoustic Echo Cancell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329)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개의 구성으로 구분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신호 처리부(33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호 처리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신호 처리부(330)는 AEC(Acoustic Echo Cancellation) 모듈(33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330)는 RES(Residual Echo Suppression) 모듈(335), NR(Noise Reduction) 모듈(337)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EC 모듈(331)은 음향 공간을 통과하는 신호에서 에코, 잔향 및 원치 않는 추가 사운드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EC 모듈(331)은 스피커(301)에서 출력된 사운드 중 일부가 다시 마이크(303)로 입력된 사운드를 제거할 수 있다.
AEC 모듈(331)은 적응형 필터(332)를 포함할 수 있다. AEC 모듈(331)은 적응형 필터(332)의 매개 변수를 조정하면서 음향 경로를 모델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응형 필터(332)는 매개 변수를 계속해서 변경하면서 마이크(303)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서 스피커(301)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최대로 제거하는 계수를 획득함으로써 수렴(convergence)할 수 있다. AEC 모듈(331)은 수렴된 적응형 필터(332)를 이용하여 마이크(303)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서 에코 등 선형 부분이 제거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AEC 모듈(331)은 비선형 음향 인공물을 포함하는 잔류 신호를 계산하여 RES 모듈(335)로 전송할 수 있다. RES 모듈(335)이 잔류 신호를 제거하고, NR 모듈(337)이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신호 처리부(330)는 AEC 모듈(331), RES 모듈(335) 및 NR 모듈(337) 중 적어도 일부를 통과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신호 처리부(330)에서 출력된 신호를 인터페이스(323)를 통해 상대방(far end)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헤드셋 모드와 스피커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헤드셋 모드는 사운드 재생 장치(300)에 연결된 헤드셋(400)을 통해 사운드를 출력하는 동작 모드이고, 스피커 모드는 사운드 재생 장치(300) 자체에서 사운드를 출력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에서는 헤드셋(400)에 구비된 헤드셋 마이크(403)를 통해 오디오를 입력받고, 스피커 모드에서는 마이크(303)를 통해 오디오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헤드셋 모드가 온/오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도 1의 제3 버튼(315)이 입력될 때마다 헤드셋 모드가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제3 버튼(315)는 토글키일 수 있다.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헤드셋 모드가 온일 때 헤드셋 모드로 동작하고, 헤드셋 모드가 오프일 때 스피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가 온일 경우, 인터페이스(323)를 통해 외부 기기(미도시)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 따른 사운드가 헤드폰(401)에서 출력시키고, 외부 기기(미도시)로 전송하는 업스트림 신호를 헤드셋 마이크(403)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가 오프일 경우, 인터페이스(323)를 통해 외부 기기(미도시)에서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 따른 사운드가 스피커(301)에서 출력시키고, 외부 기기(미도시)로 전송되는 업스트림 신호를 마이크(303)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헤드셋 모드를 온 또는 오프 시킴으로써, 사운드 출력 기기를 스피커(301) 또는 헤드폰(401)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가 온인 경우, 헤드셋 마이크(403)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 AEC 모듈(331)을 통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헤드셋 마이크(403)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는 에코, 잔향 또는 원치 않는 추가 사운드가 섞여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AEC 처리를 생략함으로써, 오디오 신호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가 오프인 경우, 마이크(303)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 AEC 모듈(331)을 통한 신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는 경우, AEC을 재-시작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를 온에서 오프로 전환할 경우, 현재 조건에 맞는 음향 경로의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를 온에서 오프로 전환할 때, 적응형 필터(332)의 계수를 재산출해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운드 재생 장치(300)가 헤드셋 모드를 온에서 오프로 전환한 직후 소정 시간 동안은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하는 중에 있기 때문에, 오디오 신호의 품질이 최대 성능에 도달하지 못했을 수 있다. 특히, 스피커(301)의 볼륨 크기가 높게 설정되어 있을수록 상대방에게 송신되는 오디오 신호의 품질은 보다 심하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 재생 장치(300)가 헤드셋 모드를 온에서 오프로 전환한 직후 오디오 신호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오디오 신호의 품질 저하 문제는 헤드셋 모드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는 경우에 국한되지 않고, 스피커 모드(헤드셋 모드 오프)로 전원이 오프에서 온되는 등의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는 바, 스피커(301)에서 출력을 개시할 때 오디오 신호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스피커(301)에서 사운드의 출력을 개시할 때 소정 시간 동안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함으로써, 오디오 신호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스피커(301)에서 사운드의 출력을 개시할 때는 헤드셋 모드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될 때, 헤드셋 모드가 오프인 상태에서 전원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될 때를 포함할 수 있다. 정리하면, 프로세서(329)는 사운드의 출력 모드를 헤드셋 모드(헤드셋 모드 온 상태)에서 스피커 모드(헤드셋 모드 오프 상태)로 전환할 때 소정 시간 동안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하거나, 헤드셋 모드가 오프인 상태로 전원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될 때 소정 시간 동안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소정 시간 동안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의 단계 S309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의 온 명령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의 온 명령을 수신하면 헤드셋 모드 온으로 동작하고(S20), 헤드셋 모드의 온 명령을 수신하지 않으면 헤드셋 모드 오프로 동작할 수 있다(S30).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가 헤드셋 모드 온으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단계 S20이 구체화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가 온으로 전환되면, 이전에 헤드셋 모드가 온일 때의 볼륨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S201).
여기서, 볼륨 정보는 볼륨 크기, 음장 효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를 온에서 오프 혹은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할 때 전환하기 전에 설정되었던 볼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를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할 경우, 이전에 헤드셋 모드가 온일 때 설정되었던 볼륨 크기, 음장 효과 등의 볼륨 정보를 읽을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스피커(301)의 출력을 오프할 수 있다(S203).
즉,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가 온인 동안 스피커(301)의 출력을 뮤트(mute)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29)는 사운드가 헤드셋(400)에서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부(32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단계 S201에서 로드한 볼륨 정보에 따라 헤드폰(401)에서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부(32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AEC 경로를 유지할 수 있다(S205).
여기서, AEC 경로는 AEC 모듈(331)을 통해 모델링되는 음향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가 온인 경우에도 AEC 모듈(331)의 동작을 중단시키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음향 경로를 계속해서 모델링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9)는 AEC 신호 처리를 위한 경로를 유지하며, AEC 모듈(331)이 알고리즘에 따른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스탠바이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업스트림 신호를 내장 마이크(303)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서 헤드셋 마이크(403)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S207).
업스트림 신호는 상대방의 사운드 재생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외부 기기(미도시)에 전송될 오디오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단계 S205와 달리 헤드셋 모드가 온일 때 AEC 모듈(331)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도 있다. 다만, 사운드 재생 장치는 헤드셋 모드가 온일 때에도 AEC 모듈(331)의 동작을 중단시키지 않음으로써, 헤드셋 모드가 오프로 전환될 때 AEC의 재-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 재생 장치가 헤드셋 모드 오프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단계 S30이 구체화된 순서도이다.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가 오프로 전환되면, 이전에 헤드셋 모드가 오프일 때의 볼륨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S301).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볼륨 정보는 볼륨 크기, 음장 효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를 온에서 오프로 전환할 경우, 이전에 헤드셋 모드가 오프일 때 설정되었던 볼륨 크기, 음장 효과 등의 볼륨 정보를 읽을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AEC 경로를 유지할 수 있다(S303).
AEC 경로는 도 5의 단계 S20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즉,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가 오프일 때, AEC 신호 처리를 위한 경로를 유지하며, 적응형 필터(332)가 오디오 신호의 품질을 최대로 하는 계수를 획득하여 수렴하도록, AEC 모듈(331)이 음향 경로를 계속해서 모델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29)는 기준 시간 동안 업스트림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S305).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29)는 헤드셋 모드를 오프로 전환한 후 기준 시간 동안 업스트림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헤드셋 모드의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예를 들어, 기계음)로 인한 신호 품질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시간은 0.5초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라, 단계 S305는 생략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29)는 업스트림 신호를 헤드셋 마이크(403)에서 입력되는 신호에서 내장 마이크(303)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S307).
프로세서(329)는 소정 시간 동안 스피커(301)의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S309).
소정 시간은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하는 동안 업스트림 신호에 에코, 잔향 또는 원치 않는 추가 사운드가 실리는 문제를 최소화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소정 시간은 고정된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시간은 3초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크기는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9)는 소정 시간 동안 볼륨 크기가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크기는 40dBSPL이고, 제2 크기는 55dBSPL이며, 프로세서(329)는 0.1초마다 0.5dBSPL씩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 또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크기는 고정된 크기일 수 있고, 이 경우 프로세서(329)는 소정 시간 동안 볼륨 크기를 고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고정된 크기는 40dBSPL일 수 있으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프로세서(329)는 스피커(301)의 볼륨이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되는 소정 시간 동안 AEC 신호 처리를 위한 계수를 탐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9)는 소정 시간 동안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하는 계수를 탐색할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소정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311).
프로세서(329)는 소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계속해서 기설정된 크기로 스피커(301)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소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 스피커(301)의 볼륨 크기를 이전에 헤드셋 모드가 오프일 때의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S313).
즉, 프로세서(329)는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스피커(301)의 볼륨을 단계 S301에서 로드한 볼륨 정보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329)는 볼륨 크기를 제2 크기부터 이전에 헤드셋 모드가 오프일 때의 크기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 예의 경우, 소정 시간의 경과 여부와 관계없이, 프로세서(329)는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되는 계수를 획득할 때까지 계속해서 계수를 탐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헤드셋 모드를 오프로 전환한 후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스피커(301)의 볼륨 크기를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함으로써, 소정 시간 동안의 오디오 신호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단계 S30이 구체화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단계 S301 내지 S30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7의 단계 S409부터 설명한다.
프로세서(329)는 소정 시간 동안 스피커(301)의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S409).
여기서, 소정 시간은 도 6과 유사하게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하는 동안 업스트림 신호에 에코, 잔향 또는 원치 않는 추가 사운드가 실리는 문제를 최소화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이나, 제2 실시 예의 경우 고정된 시간이 아닌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소정 시간은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상황,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바, 유동적일 수 있다.
즉,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9)는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될 때까지 스피커(301)의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프로세서(329)는 볼륨 크기를 제1 크기(예를 들어, 40dBSPL)로 조절한 후,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할 때까지 소정 주기(예를 들어, 0.1초)마다 소정 크기(0.5dBSPL)씩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29)는 볼륨 크기를 제1 크기(예를 들어, 40dBSPL)로 조절한 후,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할 때까지 제1 크기를 유지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29)는 어뎁티브 필터(332)의 컨버전스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11).
즉, 프로세서(329)는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했다는 것은, 마이크(303)로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서 스피커(301)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최대로 제거하는 계수를 산출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어뎁티브 필터(332)의 컨버전스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스피커(301)의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329)는 어뎁티브 필터(332)의 컨버전스가 완료되면, 스피커(301)의 볼륨 크기를 이전에 헤드셋 모드가 오프일 때의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S413).
즉, 프로세서(329)는 어뎁티브 필터(332)의 컨버전스가 완료되면, 스피커(301)의 볼륨을 단계 S301에서 로드한 볼륨 정보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329)는 볼륨 크기를 이전에 헤드셋 모드가 오프일 때의 크기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단계 S30이 구체화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단계 S301 내지 S30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8의 단계 S509 및 S511은 도 6에 도시된 단계 S309 내지 및 S311과 동일하며, 이 또한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프로세서(329)는 단계 S511에서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스피커(301)의 볼륨 크기를 중간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S513).
즉, 프로세서(329)는 소정 시간 동안 스피커(301)의 볼륨 크기를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킨 후,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스피커(301)의 볼륨 크기를 중간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29)는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볼륨의 크기를 기설정된 중간 크기로 조절한 후 사용자 설정 크기(즉, 이전 헤드셋 모드가 오프일 때의 볼륨 크기 또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볼륨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2 크기는 제1 크기 보다 크며, 중간 크기는 제2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중간 크기는 스피커(301)가 출력 가능한 최대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간 크기는 스피커(301)가 출력 가능한 최소 크기와 최대 크기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크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중간 크기는 제2 크기와 단계 S301에서 로드한 이전에 헤드셋 모드가 오프일 때 설정된 볼륨 크기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크기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중간 크기는 제2 크기와 스피커(301)가 출력 가능한 최대 크기 사이의 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329)가 소정 시간을 경과한 후 스피커(301)의 볼륨 크기를 중간 크기로 조절할 경우, 적응형 필터(332)가 수렴되기 이전에 스피커(301)의 볼륨 크기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노이즈가 증가하는 경우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프로세서(329)는 스피커(301)의 볼륨 크기를 중간 크기로 조절한 후, 어뎁티브 필터의 컨버전스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S515), 스피커(301)의 볼륨 크기를 이전에 헤드셋 모드가 오프일 때의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S517).
즉, 단계 S515 및 S517은 도 7에서 설명한 단계 S414 및 S413과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다양한 입력 샘플레이트에 ASRC(Asynchronous Sample Rate Converter)를 적용하여, 마이크(303)의 입력 샘플레이트와 신호 처리부(330)의 샘플레이트를 동일하게 변경함으로써 AEC 성능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입력 샘플레이트에 따라 마이크(303)의 입력 샘플레이트와 신호 처리부(330)의 샘플레이트에 차이가 발생할 경우, AEC의 성능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게임 A를 플레이할 때에는 내 목소리가 상대방에게 잘 들리는데, 게임 B를 플레이할 때에는 스피커 음량이 비슷한데도 내 목소리와 스피커로 출력되는 게임소리가 좀더 크게 섞여서 상대방이 말을 잘 못듣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사운드 재생 장치(300)는 다양한 입력 샘플레이로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ASRC(Asynchronous Sample Rate Converter)를 적용하여 마이크(303)의 입력 샘플레이트와 신호 처리부(330)의 샘플레이트를 동일한 값(예를 들어, 48kHz)으로 변경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사운드 재생 장치(300)의 프로세서(329)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스피커 또는 헤드셋으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에서 소정의 음향을 제거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상기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에서 상기 사운드의 출력을 개시할 때 소정 시간 동안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하는
    사운드 재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운드의 출력 모드를 헤드셋 모드에서 스피커 모드로 전환할 때 소정 시간 동안 볼륨을 기설정된 크기로 조절하는
    사운드 재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신호 처리를 위한 계수를 탐색하는
    사운드 재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상기 소정 시간 동안 볼륨의 크기를 기설정된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까지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사운드 재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볼륨의 크기를 기설정된 중간 크기로 조절한 후 사용자 설정 크기로 조절하는
    사운드 재생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볼륨의 크기를 이전 스피커 모드에서 설정된 볼륨 크기로 조절하는
    사운드 재생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AEC(Acoustic Echo Cancellation)인
    사운드 재생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운드가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스피커 모드 또는 상기 사운드가 상기 헤드셋에서 출력되는 헤드셋 모드로 동작하는
    사운드 재생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 모드 및 헤드셋 모드 각각에서 상기 신호 처리를 위한 경로를 유지하는
    사운드 재생 장치.
  10. 청구항 8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 모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오디오를 입력받고, 상기 헤드셋 모드에서는 상기 헤드셋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오디오를 입력받는
    사운드 재생 장치.

KR1020210002103A 2021-01-07 2021-01-07 사운드 재생 장치 KR10242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103A KR102424203B1 (ko) 2021-01-07 2021-01-07 사운드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103A KR102424203B1 (ko) 2021-01-07 2021-01-07 사운드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792A true KR20220099792A (ko) 2022-07-14
KR102424203B1 KR102424203B1 (ko) 2022-07-25

Family

ID=8240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103A KR102424203B1 (ko) 2021-01-07 2021-01-07 사운드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2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842B1 (ko) * 2006-05-17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헤드셋
KR20070110588A (ko) * 2006-05-15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50073655A (ko) * 2013-12-23 2015-07-01 반재금 다기능 스피커
KR20170035504A (ko) * 2015-09-23 2017-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0588A (ko) * 2006-05-15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775842B1 (ko) * 2006-05-17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헤드셋
KR20150073655A (ko) * 2013-12-23 2015-07-01 반재금 다기능 스피커
KR20170035504A (ko) * 2015-09-23 2017-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203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3153B2 (ja) ノイズ低減のためのオーディオ信号処理
US10080092B2 (en) On/off head detection of personal acoustic device using an earpiece microphone
US94798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audio transducer based on detection of transducer status
WO2020034544A1 (zh) 检测耳机佩戴状态的方法、装置及耳机
US83154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oustic management control of multiple microphones
US9264823B2 (en) Audio headset with automatic equalization
US20110144779A1 (en) Data processing for a wearable apparatus
US7889872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grating sound effect processing and active noise control
AU2008214166B2 (en) Radio with dual sided audio
CN111770404A (zh) 录音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EP2508007B1 (en) Arrangement in a device and method for use with a service involving play out of media
EP2791754B1 (en) Pad-type device case providing enhanced audio functionality and output
US200701602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ise canceling headphones
EP4165883A1 (en) Synchronized mode transition
KR102424203B1 (ko) 사운드 재생 장치
US20230058427A1 (en) Wireless headset with hearable functions
WO2017156880A1 (zh) 一种终端音频参数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17241175A (zh) 音频处理方法、装置、目标设备和存储介质
Rice Reviews Of Acoustical Patents
TW201629749A (zh) 攜帶式電子裝置之音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