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403A -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403A
KR20220099403A KR1020210001594A KR20210001594A KR20220099403A KR 20220099403 A KR20220099403 A KR 20220099403A KR 1020210001594 A KR1020210001594 A KR 1020210001594A KR 20210001594 A KR20210001594 A KR 20210001594A KR 20220099403 A KR20220099403 A KR 20220099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ot
payment
payment service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재
장경수
황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스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스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스테이
Priority to KR102021000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9403A/ko
Publication of KR20220099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50Finance; Insurance

Abstract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QR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를 수행하여 결제 이벤트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된 결제 이벤트를 수신하고, 결제 이벤트 내 포함된 결제금액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부착된 QR 코드를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스캔한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고유식별코드를 추출하여 IoT 장비를 식별하는 식별부, 고유식별코드를 가지는 IoT 장치의 구동을 허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BASED PAYMENT SERVICE USING QUICK RESPONSE CODE}
본 발명은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QR 코드로 결제가 완료되면 IoT 장치로 결제 이벤트를 전송하여 IoT 장치가 연결된 기기를 구동시키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사물인터넷(Interent of Things) 기술은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점차 일상 깊숙이 기술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 IoT 플랫폼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사물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사물의 연결과 데이터의 관리뿐만 아니라,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지능화된 서비스의 기반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기술은 최근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과의 연계를 통해 지능화된 사물과 서비스의 등장으로 기술 발전이 진행되고 있으며, 스마트시티를 비롯하여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홈 등 타 산업과의 접목으로 효율성과 편의성을 제공한다. IITP의 ICT 중장기 기술로드맵에 따르면 IoT 기술은 연결형·지능형 IoT 시대에서 자율지능 IoT 시대로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측한다. 이는 사물의 상태를 단순하게 클라우드에 전달하고 데이터를 보관하는 연결형 사물인터넷에서의 제한된 기능에서, 사물이 주변의 다른 IoT 기기들과 상호 소통하면서 상황인지와 자율형 대응까지 수행하는 방향으로 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세차장에서 각 기기들과 사용자 단말을 서버를 중심으로 연결하면서 사물인터넷과 같이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95771호(2018년08월28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5-0056716호(2015년05월27일 공개)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셀프장비의 사용을 위한 결제가 수행되면, 사용자 단말기로 인식 가능한 QR 코드를 전송하며, 셀프장비가 구비된 매장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되면, 코드를 수신한 사용자의 대기순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구성과, 고객 단말에서 세차관리서버에 접속 및 세차결제를 하면, 작업 스케줄을 생성하여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 세차가 완료되면 고객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세차의 전과정을 고객에세 실시간으로 통보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서버와 연결이 가능한 IoT 기기가 구비되어야 하는 인프라 구축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나 범위의 경제를 이루지 못한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의 세차장에서는 추가로 투자를 하기가 부담스럽다. 이미 셀프세차장을 오픈하면서 셀프세차기기를 구매를 했기 때문에 IoT 기반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이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상황에 맞닥뜨리게 되고, 비용도 초기 투자비용 보다 더 들기 때문에 사물인터넷만을 위해 시설투자를 하는 점주는 드물다. 또, 고객들은 셀프세차기기에 지폐나 동전을 투입하면서 기기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셀프세차장의 특성상 직원이 상주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지폐인식기가 작동하지 않거나 동전교환기에 동전이 없는 경우 등 결제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세차를 하러왔다가 시간만 낭비하고 집에 돌아가기 일쑤다. 동전교환기가 자신의 세차구역과 멀리 떨어진 경우, 차량은 이미 세차중이어서 이용할 수 없으므로 고객이 직접 한참을 걸어가서 동전을 교환해 와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기 설치된 기기를 교체하지 않으면서도 고객의 편의를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셀프세차기기와 같이 지폐인식기나 동전인식기가 존재하는 기기에 IoT 장치를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결제를 인식하여 결제 히스토리를 수신하거나, QR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단(End)에서 결제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IoT 장치로 피드백줌으로써 기기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IoT 기기가 아닐지라도 IoT 장치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IoT 기기와 같이 작동하면서 원격에서 구동, 결제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초기 투자된 시설이나 기계를 변경하거나 바꾸지 않더라도 원격에서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직원을 상주시키지 않아도 되며, 고객이 동전교환기까지 왕복하지 않고 QR 코드로 간편결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의 감성품질이 증대될 수 있고, 각 기기의 고장상황이나 물품이 소진된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어 원격에서 다수의 매장의 관리가 가능한,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를 수행하여 결제 이벤트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된 결제 이벤트를 수신하고, 결제 이벤트 내 포함된 결제금액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부착된 QR 코드를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스캔한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고유식별코드를 추출하여 IoT 장비를 식별하는 식별부, 고유식별코드를 가지는 IoT 장치의 구동을 허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셀프세차기기와 같이 지폐인식기나 동전인식기가 존재하는 기기에 IoT 장치를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결제를 인식하여 결제 히스토리를 수신하거나, QR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단(End)에서 결제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IoT 장치로 피드백줌으로써 기기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IoT 기기가 아닐지라도 IoT 장치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IoT 기기와 같이 작동하면서 원격에서 구동, 결제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초기 투자된 시설이나 기계를 변경하거나 바꾸지 않더라도 원격에서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직원을 상주시키지 않아도 되며, 고객이 동전교환기까지 왕복하지 않고 QR 코드로 간편결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의 감성품질이 증대될 수 있고, 각 기기의 고장상황이나 물품이 소진된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어 원격에서 다수의 매장의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 및 관리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 및 관리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리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IoT 장치(400),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정보제공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스캔한 후,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QR 코드는 예를 들어, 동전인식기 또는 지폐인식기를 구비한 기기, 예를 들어, 자판기, 코인빨래방의 세탁기나 건조기, 셀프주차장의 진공청소기, 매트세척기 등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부착된 2차원 코드일 수 있다. QR 코드는 바코드와 같은 1 차원의 코드로 대체될 수도 있고, NFC 태그나 RFID 태그와 같이 패시브 소자로 대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전인식기 또는 지폐인식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연결된 IoT 장치(400)를 고유식별코드를 기준으로 등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부착된 QR 코드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연결된 IoT 장치(400)의 고유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oT 장치(400)가 설치된 지역이나 지점이 다수인 경우, 각 지점의 상호, 연락처, 위치, 주소 등을 함께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스캔된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고유식별코드를 추출하여 기기를 식별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 인터페이스로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결제금액을 IoT 장치(400)로 전송함으로써 IoT 장치(4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는,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IoT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내장되어 출시될 수도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연결되도록 부착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IoT 장치(400)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결제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 결제금액만큼 구동이 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식별부(320), 제어부(330), 업데이트부(340) 및 원격구동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로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은,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에 부착된 QR 코드를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를 배정할 수 있는데, 각각의 IoT 장치(400)의 고유식별코드를 하나의 관리자 단말(500)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각 관리자별로 관할과 같이 관리 구역을 설정하고 이를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관리자 단말(500)과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를 일대다(一對多)로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500)은,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결제 이벤트 및 구동 이벤트를 로그로 수집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IoT 장치(400)는 코인인식기 및 지폐인식기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부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와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간을 유무선으로 연결해주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400)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존재할 수 있는데, 도 3b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와 일체형으로 생산되는 IoT 장치(400)와, 도 3c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부가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IoT 장치(400)가 있다. 양자 간 어느 것이든지 간에 구동은 동일하지만 그 내부 연결 구조나 PCB가 서로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저장부(310)는, 대규모로 데이터가 발생하는 상황을 대비하여 HDFS(Hadoop Distribute File System)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Small File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Lambda 구조를 적용하여 IoT 센서 데이터 수집 환경을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저장소를 나누어 저장하고 Batch Process의 실행 빈도를 최소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Hadoop은 Apache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한 대표적인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으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HDFS는 하둡의 코어 프로젝트로 블록 기반 대용량 데이터 저장소이다. HDFS는 최소 64MB 크기의 파일로 데이터를 저장해, 데이터가 64MB가 되지 않아도 64MB로 저장되는 Small File 문제가 발생한다.
IoT 장치(400)는 디바이스 특성상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생성하여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Batch Process를 사용해 전송받은 데이터를 IoT 센서 데이터 수집 환경의 HDFS에 저장할 수 있다. 전송받은 데이터의 크기가 64MB가 되지 않고 Batch가 실행되면 Small File 문제가 발생한다. HDFS의 네임노드는 Small File로 인해 과부하가 발생해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된다. HDFS는 데이터를 파일 형식으로 블록에 저장하기 때문에 Import된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와 삭제가 불가능하다. Apache Kudu는 데이터를 컬럼 기반으로 저장하여 하둡에 Import 되는 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와 삭제가 가능하다. Apache Impala가 쿠두의 질의 처리기로 일반적으로 함께 사용된다.
Lambda 구조는 오래된 데이터를 보관하는 배치 테이블과 실시간 데이터를 가진 실시간 테이블을 JOIN하여 결과를 얻는 구조이다. Apache Kudu는 하둡 기반의 프레임워크 대부분과 호환되며 하둡의 범용 하드웨어 사용성, 확장성, 데이터 가용성 보증의 특성을 지원한다. 쿠두는 NoSQL OLAP DB로 HDFS에서 불가능한 Update와 Delete 쿼리를 지원한다. 쿠두는 단순한 CRUD만 제공하기 때문에 복잡한 질의를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질의 처리기가 필요하다. Apache Impala는 분산 병렬 질의 처리엔진으로 쿠두가 제공하지 않는 연산을 실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Lambda 구조를 적용하여 IoT 센서 데이터 수집 환경을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저장소를 나누어 저장하고 Batch Process의 실행 빈도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HDFS에서 발생하는 Small File 문제를 해결하고, Kudu와 Impala를 활용해 데이터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Lamda 구조 설계는 HDFS에서 생성되는 배치 뷰와 쿠두와 임팔라를 통해 생성되는 실시간 뷰에 접근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하둡 기반의 환경에서 발생하는 Small File 문제를 해결해 네임노드의 과부하 문제가 없다.
식별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스캔한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고유식별코드를 추출하여 IoT 장치(400)를 식별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TCP/IP 또는 UDP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와이파이 AP(Access Point)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QR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를 수행하여 결제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된 결제 이벤트를 수신하고, 결제 이벤트 내 포함된 결제금액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가 IoT 기능이 가능하도록, 2.4GHz Wi-Fi 통신으로 인해 Wi-Fi AP(Access Point)와 연결되어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전원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수집된 데이터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고객(사용자)이 사용중인 기기를 확인하고 시간대별 요일별 기간별 사용시간과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400)는 ESP8266칩을 사용하여 IEEE 802.11 b/g/h 표준 2.4GHz 19.5dBm 출력의 Wi-Fi 대역이 사용가능하고 TCP/IP로 검출한 데이터를 바로 전송하지 않고 DRAM에 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GPIO, SDIO, I2C, SPI를 지원할 수도 있다. IoT 장치(400)는, 계측 또는 수집한 데이터를 받아 콘솔로 데이터를 뿌려주는 기능을 기반으로 콘솔 데이터를 연산하여 대시보드에 표현하도록 할 수 있다. 대시보드에 전원 ON/OFF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고 상태를 그래프로 기록하여 시간대별, 요일별, 월별, 연도별로 표현하여 기간별 사용 현황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IoT 기반의 시스템에서 최소의 메모리 및 프로세서 자원을 사용하는 4계층의 TCP/IP를 이용할 수 있다. IoT의 통신은 데스크 탑 컴퓨터나 서버 컴퓨터의 통신 서브시스템과는 달리 매우 제한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 자원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최소의 메모리 및 프로세서 자원을 사용하는 통신 서브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데, 통신 서브시스템은 기본적인 통신 기능만을 제공하며 구현이 편리한 TCP/IP 4 계층 모델을 참조하여 데이터를 할당하는 L4(Application) 계층과 다수의 IoT 시스템에서 활용이 가능한 L3(Transport) 및 L2(Internet) 계층을 대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TCP/IP 4 계층의 기본 동작은 각 계층에서 헤더와 데이터를 캡슐화하여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으로 주로 동적 메모리 할당 및 해제와 메모리 복사로 이뤄진다. 동적 메모리 할당 및 해제와 메모리 복사는 각각 메모리 자원과 프로세서 자원을 사용하며, 이를 최소화하여 메모리 및 프로세서 자원을 최소로 사용한다. 일반적인 동적 메모리 할당 및 해제는 수행 시간이 고정 시간에 완료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안정적인 동작과 응답성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인 동적 메모리 할당 및 해제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수행 시간이 고정 시간에 완료될 수 있는 메모리 풀 방식의 동적 메모리 할당 및 해제를 사용할 수 있다. 동적 메모리 할당 및 해제를 주로 수행하는 TCP/IP 4 계층은 메모리 누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메모리 누수 문제는 주로 프로그래머가 동적 메모리 할당 및 해제를 수행하는 장소와 시간을 잘못 선정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동적 메모리 할당 및 해제를 수행하는 장소와 시간에 대한 규칙을 정하여 메모리 누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고유식별코드를 가지는 IoT 장치(400)의 구동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가 자판기이고 사용자가 QR 코드로 결제한 금액이 천 원이라면, 천 원에 대응하는 상품을 고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가 코인빨래방의 건조기이고, 사용자가 QR 코드로 결제한 금액이 2 천원이며, 500 원 당 5 분의 구동 시간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20 분이 설정되어 건조기가 20 분 동안 구동될 수 있다. 또,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가 셀프세차장의 진공청소기이고, 사용자가 QR 코드로 결제한 금액이 천 원이고, 천 원 당 10 분의 구동 시간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진공청소기는 10 분 동안 구동될 수 있다.
이렇게 구동되는 경우 원격에서 관리자가 각 기기의 전력사용량, 고장 여부, 회전률, 사용량, 물품의 매진 여부, 소품의 소진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까지 모이게 되므로 사용자가 자주 가는 세차장을 파악할 수도 있고, 언제 세차를 해야하는지에 따라 세차 쿠폰을 보내주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또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게 되고, 무엇보다 신용카드의 사용률이 90%가 넘어가는 한국 고객의 입장에서는 동전이 없거나 지폐가 없는 경우가 많은데 QR 코드 결제로 간편하게 동전교환기까지 가지 않아도, 동전교환기가 고장난 경우에도 기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는, 코인인식기 및 지폐인식기로부터 인식된 결제금액 데이터를 수신하고, 코인인식기 또는 지폐인식기로부터 인식된 결제금액을 결제 이벤트로 출력하고, 결제 이벤트의 히스토리 로그를 실시간으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동작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 스캔 & 결제 ->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 ->IoT 장치(400)]의 흐름이었다면, [코인인식기 또는 지폐인식기에서 결제금액 인식 -> IoT 장치(400) ->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흐름인 것인데, 현금으로 결제를 하더라도 원격지에서 관리자 단말(500)의 화면으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IoT 기반의 기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서로의 정보를 서로 뿐만 아니라, 누구나 다 엑세스 가능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B 경쟁업체에서 A 셀프세차장의 결제금액이나 구동횟수, 매출 등을 해킹하고자 하는 경우, B 경쟁업체 뿐만 아니라, 누구나 엑세스가 가능하여 해킹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증키를 이용하는데, 이는 인증을 위해 사용하는 공개키 또는 비공개키와 연관된다. 일반적으로 암호화 알고리즘은 크게 대칭키 기반 및 비대칭키 기반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대칭키 기반은, 암호화할 때의 키와 복호화할 때의 키가 동일한 경우이고, 비대칭키 기반은, 암호화할 때와 복호화할 때의 키가 서로 다른 경우이다. 전자는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암호화, 후자는 RSA(Rivest-Shamir-Adleman) 암호화가 대표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비대칭키 기반, 즉 공개키 암호화를 이용하지만 대칭키 기반의 암호화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공개키 암호화에서 공개키는 모두에게 공개를 하되, 데이터를 잠글 수 있는 암호화만 가능하도록 하고, 개인키는 데이터를 열 수 있는 복호화만 가능하도록 하여, 공개키는 모두 공개가 되어도 되지만 개인키는 서버의 보안관리가 요구되는 키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인증키로 암호화된 비밀번호나 인증서에 대하여, 개인키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국제 표준 공개키 암호알고리즘 RSA, ECC(타원곡선 암호)는 각각 소인수분해문제와 이산대수문제의 어려움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것은, 위 두 수학적 난제가 풀리면 암호알고리즘도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RSA의 공개키는 2048비트의 합성수인데, 이 합성수는 현재의 계산능력으로는 인수분해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인수분해를 풀어주는 가장 효율적인 알고리즘은 준지수시간 알고리즘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충분히 큰 스케일의 양자컴퓨터가 개발되면 현 국제표준 공개키 암호는 모두 안전하지 않게 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자내성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QC(Post-Quantum Public-Key Cryptography)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해쉬 함수 기반, 격자 기반, 부호 기반, 다변수 이차식 기반 암호를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중 다변수 이차식 기반 암호(Multivariate quadratic equation cryptography)는, 다변수 이차식으로 구성된 시스템의 해를 구하는 문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문제는 MQ-문제라고 부르며, NP-hard, NP-complete임이 증명되어 있다. 다변수 이차식 기반 암호의 공개키가 유한체에서 정의되는 다변수 이차식으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정의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큰 키 길이가 단점이지만, F31, F28과 같은 작은 크기의 유한체를 사용함으로써 속도가 빨라 정품인증에 적합하다. 이때, 다변수 이차식 기반 암호는, 블록암호 설계에 주로 이용이 되는 ASA(Affine- Substitute(Quadratic)-Affine) 구조를 공개키 암호에 적용함으로써, 공개키 암호와 대칭키 암호의 속도 차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업데이트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결제 이벤트의 히스토리 로그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매출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원격구동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전원을 온오프(on/off) 제어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는, 코인인식기 및 지폐인식기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코인인식기 및 지폐인식기의 신호선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지폐인식기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 간의 신호선에 병렬로 IoT 장치(400)를 연결하는 경우, 배선이 간편해지기 때문에 추가로 IoT 장치(400)를 설치하는데에도 시간 및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 코인인식기 또는 지폐인식기가 인식한 동전이나 지폐에 대응하는 신호를 IoT 장치(400)에서 감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결제 상태를 원격에서 감시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서버 단(End)에서 파악이 가능해진다.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작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모니터링용 선이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링용 선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신호출력포트 또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에 연결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신호출력포트 또는 LED(Light-Emitting Diode)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모니터링용 선은 신호출력포트 또는 FND에서 출력되는 신호나, 신호출력포트 또는 LED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판별 로직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작동 여부를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DC 전원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다. 전원선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IoT 장치(400)의 그 일단이 연결되고, DC 전원에 IoT 장치(400)의 그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전원선을 이와 같이 연결하는 경우, IoT 장치(400)가 DC 전원을 릴레이(Relay)로 제어하여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명령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를 인식하고 결제하는 경우, 이 신호를 받아 해당 기기가 작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결제를 받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회원가입을 하지 않았다고 할지라도 최소한 사용자 단말(100)의 결제 위치(GPS)나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가 위치한 가맹점의 위치,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구동시간 및 요일 등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가 누적되는 경우 마케팅이나 타겟팅이 가능한 정보로 가공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이용할 수 있다.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은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추천 시스템 기법이다. 이 기법은 사용자와 동일한 관심사 및 같은 경험을 가진 그룹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할 정보를 추천하는 방식이다.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은 사용자 기반(User-based) 알고리즘과 아이템 기반(Item-based) 알고리즘으로 나눌 수 있다. 사용자 기반 알고리즘은 목표 사용자와 유사한 선호도를 가진 근접 이웃들의 의견을 기반으로 상품을 추천하거나 예측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사용자 간에 공통으로 평가한 아이템이 적을 경우 희소성 문제와 사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할 경우 확장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아이템 기반 알고리즘은 사용자 기반 알고리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아이템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목표 사용자가 선택했던 아이템과 가장 유사한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아이템 기반 협업 필터링 추천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아이템들의 유사도가 사용자들의 유사도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어서 아이템 기반 추천의 실시간 성능이 사용자 기반 추천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아이템 기반 알고리즘은 총 3 단계를 거쳐 예측 값을 생성한다. 제 1 단계에서는 사용자, 아이템, 평가 값 데이터로 한 사용자-아이템 매트릭스를 생성한다. 제 2 단계에서는 평가 값을 사용하여 아이템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고 근접 이웃을 선택한다. 유사도 계산에는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피어슨 상관(Pearson’ Correlation), 보완 코사인 유사도(Adjusted Cosine Similarity)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수학식 1은 피어슨 상관식으로 ru,i는 사용자 u의 아이템 i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고, (bar)ri는 i 번째 아이템의 평가 점수 평균이다.
Figure pat00001
제 3 단계에서는 근접 이웃들의 평가 값을 사용하여 목표 사용자의 평가 예측 값을 산출한다. 이하 수학식 2는 사용자 u 의 아이템 i에 대한 예측 값을 구하는 식으로 Si는 아이템 i의 유사 아이템 집합이다.
Figure pat00002
그 다음은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설명한다.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온라인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텍스트를 포함해 대부분의 데이터들은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이다. 텍스트 마이닝은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정보 검색(Information Retrieval) 및 지식 관리(knowledge management) 기술을 사용하여 정보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려는 연구 분야로서 문서수집의 전처리, 중간 표현의 저장, 중간 표현을 분석하는 기술을 포함하며 결과를 시각화 할 수 있다. 텍스트 마이닝은 비정형 텍스트 문서들에서 관심이 있거나 가치가 있는 패턴 혹은 지식을 추출하는 과정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텍스트 마이닝은 텍스트 데이터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분석 기법을 적용한다. 온라인 구매 사이트에서 접할 수 있는 텍스트 데이터인 리뷰 데이터는 구매 고객이 남기는 또 다른 평점이라고 할 수 있다. 상품 리뷰에 숨겨진 정보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명확히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텍스트 마이닝의 분석 기법 중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은 리뷰와 같은 특정 주제에 대한 텍스트에서 감정이나 의견을 추출하는 프로세스이다.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이라고도 하며 문서 내 텍스트에서 사람들의 의견, 정서, 감정, 태도 등을 분석하여 감성 지수를 계산한다. 긍정(Positive) 지수, 부정(Negative) 지수로 구성된 감성 지수들을 사용하여 텍스트에 포함된 긍정, 부정 감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협업 필터링과 텍스트 마이닝을 모두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셀프세차장의 리뷰를 감성 분석한 후 아이템 기반의 협업 필터링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아이템(셀프세차장 이용 또는 코인빨래방 이용)에 대한 사용자의 리뷰 데이터를 텍스트 마이닝하고 분석하여 산출한 감성 점수를 아이템 기반 협업 필터링의 예측 값 계산 시 가중치로 사용할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ItemId, Reviews)와 수치데이터(ItemId, UserId, Rating)로 나누어 총 3 단계로 처리할 ㅅ수 있다.
리뷰 데이터 전처리 단계에서는, 아이템 별로 사용자가 남긴 각각의 리뷰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어휘와 구문 분석을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한다. 첫 번째는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 처리하는 과정으로 저장된 리뷰 텍스트에 남아있는 HTML 태그를 제거하고, 숫자, 기호 등을 공백으로 처리한다. 두 번째는 토큰화(Tokenization) 과정으로 문장(Sentence) 토큰화, 단어(Word) 토큰화로 진행된다. 토큰(Token)은 문서 분석을 위한 단위이며, 문장 토큰화는 문서에서 단락 구분 기호와 정규 표현식 등에 따라 문장을 구분한다. 단어 토큰화는 공백, 쉼표(,) 등의 기호와 정규 표현식에 따라 단어를 구분한다. 세 번째는 문서에서 자주 등장하지만 특성을 구분하는데 사용하기에는 별다른 의미가 없는 단어들을 제거하는 불용어(Stop Word) 제거 과정이다. 네 번째는 불용어까지 제거하고 남은 단어토큰에서 어근을 추출하여 그에 맞는 품사를 지정하는 품사 태깅(Pos Tagging) 과정이다.
두 번째 단계는, 감성 분석 및 점수 계산 단계이다. 전처리 단계를 거쳐 품사 태깅된 단어들을 기반으로 각각의 리뷰에 대한 감성 점수를 계산하기 위해 VADER 감성사전을 사용할 수 있다. VADER는 집단지성으로 구축된 감성사전으로 결과를 부정(Neg), 긍정(Pos), 중립(Neu), Compound 지수로 나타낸다. Compound 지수는 어휘사전에서 각 단어들의 긍정, 중립, 부정 지수의 균형 점수를 합산한 후 정규화 시켜 ‘매우 부정(-1)’에서 ‘매우 긍정(+1)’ 사이의 점수를 반환하며, 이 점수를 해당 문장의 감성 점수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NLTK 패키지를 사용하여 아이템의 각 리뷰별 Compound 점수를 구한 후 그 값들의 평균값을 해당 아이템의 감성 점수로 지정할 수 있다.
각 아이템에 대한 감성 점수를 구한 후 감성 가중치(ws)를 구한다. 감성 가중치는 감성 점수의 절대값과 임계값을 사용하며, 이하 수학식 3은 감성 가중치를 계산하는 식이다. cs는 Compound Score를 의미하고, abs(cs)는 cs의 절대값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3
세 번째 단계는, 아이템 예측 점수 계산 및 추천 단계이다.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아이템을 추천하기 위해 아이템 기반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수집된 데이터의 UserId, ItemId, Rating을 사용하여 User-Item Matrix를 생성한다. 생성된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아이템 간 유사도를 조정 코사인 유사도(Adjusted Cosine Similarity)를 사용하여 계산하며 상술한 수학식 1과 같다. 이때, ru,i, ru,j는 각각 사용자 u의 아이템 i와 j에 대한 평가 값을 나타낸 것이고, (bar)ru는 사용자 u의 평가 값 평균이다.
아이템 간 유사도 계산 후 유사도가 높은 상위 N개의 근접 이웃을 선정하고 근접 이웃의 평가 값을 기반으로 예측 값을 계산한다. 예측 값 계산에는 아이템에 대한 리뷰의 감성 점수 가중치를 사용한다. 이하 수학식 5는 예측 값을 계산하는 식으로 Pui는 사용자 u의 아이템 i에 대한 예측 값이고, S(u)는 목표 사용자 u의 상위 N 개의 이웃 집합이다. ??(bar)r'i는 아이템 i에 대한 가중치 평균이며, 수학식 4는 (bar)r'i를 구하는 식으로 ws는 감성 가중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예측 값을 계산한 후 최종적으로 예측 값이 큰 상위 N 개의 아이템을 목표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결제 프로세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를 진행 및 완료한 경우, 결제 이벤트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되고, QR 코드로 식별된 IoT 장치(400)가 내장(도 3b) 또는 연결(도 3c)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가 구동하도록 IoT 장치(400)에서 전원선에 전류를 인가시켜 전원이 작동 및 기기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때, (b)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인터넷 네트워크와 TCP/IP 또는 UDP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400)를 구동시키거나 IoT 장치(400)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c의 IoT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와 도 3d와 같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DC 전원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 내에 존재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외부에 표시하였다. 지폐인식기 또는 동전인식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선 사이에 병렬로 IoT 장치(400)가 연결되기 때문에 IoT 장치(400)는 지폐인식기에서 인식된 신호를 그대로 입력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현금으로 결제되더라도 결제 데이터가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실시간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DC 전원에 전원선 1 및 전원선 2 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QR 코드로 결제를 완료한 후,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IoT 장치(400)로 이를 전달하는 경우, IoT 장치(400)는, 도 3e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p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현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여, 현장에서 추가로 거품이 필요하거나 고압세차가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할 수 있도록 하고, 예약을 하거나 충전을 하지 않아도 QR 코드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충전을 하는 경우에도 QR 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기기에 적용시킴으로써 충전된 금액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예약을 한 후 셀프 또는 자동 세차를 이용하는 방법을 더 설명한다.
<셀프세차>
도 4c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하고, 도 4d와 같이 매장을 선택한 후, 도 4e와 같이 일자 및 방문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때 날씨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비가 오지 않는 날로 선택을 할 수 있다. 또, 도 4f와 같이 몇 시간 또는 몇 분 동안 세차를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고, 도 4g와 같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h와 같이 세차권을 확인하고, 예약 베이(Bay)를 확인하며 도 4i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지점의 해당 베이까지 네비게이션 안내를 받을 수 있으며, 해당 베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는 해당 시간 동안 활성화될 수 있다.
<자동세차>
대략적인 내용은 셀프세차와 비슷한데, 다른 점은 자동세차기계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착한 후 QR 코드를 스캔하는 과정이 더 존재한다는 것이 다르다. 도 4j와 같이 세차권을 구매하고, 도 4k와 같이 구매 및 결제를 한 후, 도 4l과 같이 세차권을 확인하여 대기현황을 볼 수 있다. 또, 도 4m과 같이 키오스크에 세차권 QR 코드를 스캔시키고, 세차장 진입 안내에 따라 세차를 할 수 있다.
<현장결제>
도 4n과 같이 현장결제도 가능한데, QR 코드 바로결제를 클릭하고, 회원가입이 안되어 있다면 회원가입을 하거나 간편로그인을 하며, 도 4p와 같이 베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면, 기기가 특정되고 결제가 진행되면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특정된 기기를 결제된 금액만큼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부착된 QR 코드를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한다(S5100).
그리고,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QR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스캔한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고유식별코드를 추출하여 IoT 장비를 식별하고(S5200), 고유식별코드를 가지는 IoT 장치의 구동을 허용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QR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를 수행하여 결제 이벤트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된 결제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이벤트 내 포함된 결제금액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에 부착된 QR 코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스캔한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고유식별코드를 추출하여 IoT 장치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고유식별코드를 가지는 IoT 장치의 구동을 허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TCP/IP 또는 UDP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와 와이파이 AP(Access Point)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는 코인인식기 및 지폐인식기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부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와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 간을 유무선으로 연결해주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결제 이벤트 및 구동 이벤트를 로그로 수집하여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는, 코인인식기 및 지폐인식기로부터 인식된 결제금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코인인식기 또는 지폐인식기로부터 인식된 결제금액을 결제 이벤트로 출력하고, 상기 결제 이벤트의 히스토리 로그를 실시간으로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로부터 수신된 결제 이벤트의 히스토리 로그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매출을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전원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원격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는,
    코인인식기 및 지폐인식기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코인인식기 및 지폐인식기의 신호선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DC 전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전원선이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작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모니터링용 선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용 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신호출력포트 또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에 연결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신호출력포트 또는 LED(Light-Emitting Diode)에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링용 선은 상기 신호출력포트 또는 FND에서 출력되는 신호나, 상기 신호출력포트 또는 LED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판별 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작동 여부를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에 상기 IoT 장치의 그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DC 전원에 상기 IoT 장치의 그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IoT 장치가 상기 DC 전원을 릴레이(Relay)로 제어하여 상기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01594A 2021-01-06 2021-01-06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99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594A KR20220099403A (ko) 2021-01-06 2021-01-06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594A KR20220099403A (ko) 2021-01-06 2021-01-06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403A true KR20220099403A (ko) 2022-07-13

Family

ID=8240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594A KR20220099403A (ko) 2021-01-06 2021-01-06 IoT 기반 QR 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94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97477B (zh) 预测用户导航事件
Zorrilla et al. 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to provide data mining services for non-expert data miners
CN103136335B (zh) 一种基于数据平台的数据控制方法
US20190333128A1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Surfacing Recommendations
Kotler et al. Marketing strategy in the digital age: applying Kotler’s strategies to digital marketing
US9262493B1 (en) Data analytics lifecycle processes
Jain Big Data and Hadoop
CN101271558A (zh) 基于上下文信息的多策略商品推荐系统
EP2803214A2 (en) Platform for the delivery of content and services to networked connected computing devices
AU2012312564A1 (en) Customer journey prediction and resolution
CN102930025A (zh) 用于处理大数据的属性和区间的系统和方法
US10936687B1 (en) Codex search patterns virtual maestro
KR102295636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상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outherton Datafication
Al-Molhem et al. Social network analysis in Telecom data
WO2014049378A1 (en)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a data processing engine
Benou et al. Context management for m-commerce applications: determinants, methodology and the role of marketing
KR20200121391A (ko) 오픈마켓 빅데이터 기반 ai 키워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WO2017190557A1 (zh) 对象数据关联索引系统及该系统的构建与应用方法
Ballard et al. IBM Infosphere Streams harnessing data in motion
Loshin et al. Using information to develop a culture of customer centricity: customer centricity, analytics, and information utilization
KR20200139960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인플루언서 기반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Kuchkovskiy et al. Application of Online Marketing Methods and SEO Technologies for Web Resources Analysis within the Region.
Alghushairy et al. Data storage
JP2002109358A (ja) 個別顧客のための専用情報提供および情報収集システム並びに自動セールス実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