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946A -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946A
KR20220098946A KR1020210000861A KR20210000861A KR20220098946A KR 20220098946 A KR20220098946 A KR 20220098946A KR 1020210000861 A KR1020210000861 A KR 1020210000861A KR 20210000861 A KR20210000861 A KR 20210000861A KR 20220098946 A KR20220098946 A KR 20220098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cultivation
electrolyzed water
sprouts
corn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창수
Original Assignee
삼기흑찰옥수수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기흑찰옥수수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삼기흑찰옥수수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21000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8946A/ko
Publication of KR2022009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substances of unknown or undetermined composition, e.g. substances characterised only by the mode of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otan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Ecology (AREA)
  • Vir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수수 새싹의 당도를 높여 재배할 수 있어 맛이 좋고, 천연 감미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재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옥수수 새싹 생산방법에 있어서, 옥수수 종자를 전해수에 3~4시간 동안 침지시켜 팽창시키는 제1 침지단계와; 제1 침지단계에서 침지된 옥수수 종자를 탈수한 후 영양제에 20~30분 동안 침지시키는 제2 침지단계와; 제2 침지단계에서 침지된 옥수수 종자를 탈수한 후 40~60ppm의 염소 농도를 갖는 전해수를 살수하며 새싹이 나도록 재배하는 재배단계; 및 재배단계 후 70~80ppm의 염소 농도를 갖는 전해수로 살균하고 포장하는 포장 단계; 를 포함하는 옥수수 새싹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GROWTH METHOD OF CORN SPROUT}
본 발명은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수수 새싹의 당도를 높여 재배할 수 있어 맛이 좋고, 천연 감미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재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종 곡물류의 종자를 물에 침지시켜 불리고, 배양통에 넣어 발아시킨 다음 몇 일간 물을 뿌려주어 새싹을 발아되면 이를 재배하여 식품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새싹 재배방법은 지하수, 수도수 등을 사용하여 침지 및 재배하므로 재배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종자나 새싹이 부패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8-0084113호 "새싹 재배 방법" 등에서는 무균 상태의 물을 사용하여 새싹을 재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새싹 재배방법"은 무균 상태의 물을 사용하기 위해 암반에서 뽑아 올린 암반수를 옥돌 및 백반석으로 세정 처리하고 자석으로 순화시킨 후 오존수로 살균 처리하고 필터로 세균을 제거하는 등 과정이 복잡하고 생산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었으며, 새싹의 당도가 낮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수수 새싹의 당도를 높여 재배할 수 있어 맛이 좋고, 천연 감미료로 활용할 수 있는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옥수수 새싹 생산방법에 있어서, 옥수수 종자를 전해수에 3~4시간 동안 침지시켜 팽창시키는 제1 침지단계와; 제1 침지단계에서 침지된 옥수수 종자를 탈수한 후 영양제에 20~30분 동안 침지시키는 제2 침지단계와; 제2 침지단계에서 침지된 옥수수 종자를 탈수한 후 40~60ppm의 염소 농도를 갖는 전해수를 살수하며 새싹이 나도록 재배하는 재배단계; 및 재배단계 후 70~80ppm의 염소 농도를 갖는 전해수로 살균하고 포장하는 포장단계; 를 포함하는 옥수수 새싹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포장단계 전에, 재배단계에서 새싹이 난 옥수수 종자를 동결건조, 진공건조, 저온건조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건조시켜 200메시(mesh)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단계가 더 포함되고, 영양제는, 조제분유와 멸치액젓, 까나리액젓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젓갈을 1:1의 비율로 섞어 혼합한 혼합물을 270~330배로 희석하여 사용하며, 전해수는, 온도 18~25℃, pH 5~6.5, 산화환원전위(ORP) 700~800mV 이고, 재배단계는, 2~5일의 재배일, 3~8cm의 새싹 크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옥수수 종자의 재배를 완료하도록 구성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에 의하면, 옥수수 새싹의 당도를 높여 재배할 수 있어 맛이 좋고, 천연 감미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옥수수 새싹을 재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옥수수 새싹을 재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옥수수 새싹을 재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은 크게 제1 침지단계(S100)와 제2 침지단계(S200), 재배단계(S300) 및 포장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침지단계(S100)는 새싹으로 재배하고자 하는 옥수수 종자를 물속, 즉 전해수에 3~4시간 동안 침지시켜 팽창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1 침지단계(S100)를 거치면서 옥수수 종자의 종피를 연화시켜 배가 쉽게 종피를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이때, 전해수 속에 산소를 공급하여 옥수수 종자가 더 잘 발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해수는 이온수 또는 전해기능수, 기능수라고도 하며, 첨가물(소금 등)을 약간 넣은 물에 양극과 음극의 백금도금을 한 티탄을 넣어 직류의 전기를 통하여 생산한다.
통상, 전해수는 (+)극과 (-)극 사이를 이온이 통과할 수 있는 격막으로 분리한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와, (+)극과 (-)극 사이에 격막을 두지 않는 것이 무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를 통해 생산이 가능하며, (+)극 쪽에 물에 녹아 있는 음이온이 모여 산성이온수가 되고, (-)극 쪽에 양이온이 모여 알칼리이온수가 생성된다.
산성이온수의 경우 수렴작용이 있어 피부를 수축시킨다. 따라서 약산성인 피부를 보호하여 미용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알칼리이온수의 경우 몸에 이로운 미네랄(무기염류)이 일반적인 물보다 많다. 또 물 분자를 작게 만들기 때문에 미네랄 등의 흡수력이 높아져 설사, 변비의 개선, 위의 작용을 도와준다.
이러한 전해수는 살균·소독제, 세정제, 세제, 왁스, 농약 등의 화학물질 대용으로도 사용된다. 이 밖에도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되기 때문에 각종 오염물질을 감소시켜 수질오염과 대기오염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보건환경적인 면에서 해로운 요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무격막 전해수 생성장치의 경우 내부 구조의 변형이나 산성, 알칼리성 물질의 투입 등으로 중성수, 약산성수, 약알칼리수를 생산할 수 있다.
무격막 전해수 생성 장치에는 통수량을 높여 1번 전기 분해하여 일정 농도의 염소 농도(100ppm 이하)를 갖는 전해수를 생산하는 방법과, 통수량을 줄여 고농도의(200~10,000ppm)의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생산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전기분해 방법으로 일반 원수와 희석하여 필요로 하는 일정 농도를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를 이용하며, 1차로 고농도의 전기분해에 의하여 생성된 전해수를 원수와 희석하여 원하는 농도로 맞추고, 2차로 전기분해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전해수에 전기에너지와 활성을 높여 생산된 전해수를 사용한다.
제2 침지단계(S200)는 제1 침지단계(S100)에서 침지되어 충분히 불어 팽창된 옥수수 종자를 꺼내어 자연적으로 탈수시킨 후 영양제에 20~30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이다. 제2 침지단계(S200)에서 사용되는 영양제는 우유 속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농축하여 가루로 만든 분유와 젓갈을 섞어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보통의 분유에 비타민류ㆍ철분ㆍ칼슘 따위를 첨가하여 모유에 가까운 성분으로 만든 조제분유와, 젓갈 중에서 멸치액젓, 까나리액젓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젓갈을 사용한다. 즉, 이러한 조제분유와 젓갈을 1:1의 비율로 섞어 혼합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270~330배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침지단계(S100)에서 침지되어 팽창된 옥수수 종자를 300배로 희석된 영양제에 30분 동안 침지시켜 옥수수 종자 내에 존재하는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와 생육을 빠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옥수수 종자를 영양제에 20분 미만으로 침지시키는 경우 영양제의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30분을 초과하여 침지시키는 경우 옥수수 종자의 생육이 저해받게 된다. 또한, 영양제를 270배 미만으로 희석하는 경우 옥수수 종자의 생육이 좋지 않아 영양제를 투입한 효과를 얻기 어렵고, 330배를 초과하여 희석하는 경우 유해 미생물의 억제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재배단계(S300)는 제2 침지단계(S200)에서 침지된 옥수수 종자를 꺼내어 자연적으로 탈수시킨 후 배양통에 넣어 40~60ppm의 염소 농도를 갖는 전해수를 주기적으로 살수하며 새싹이 나도록 재배하는 단계이다. 이처럼 재배단계(S300)에서는 옥수수 종자가 발아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해수는 염소 농도가 40ppm 미만일 경우 새싹의 생육 중에 뿌리 부분에서 유해 미생물의 오염이 나타날 우려가 있으며, 60ppm을 초과할 경우 옥수수 종자의 생육을 저해하게 된다. 이러한 재배단계(S300)는 옥수수 종자를 2~5일간 재배하거나, 옥수수 종자의 새싹이 3~8cm의 크기가 되거나, 2~5일간의 재배일과 3~8cm의 새싹 크기 모두를 만족하는 경우 재배를 완료하게 된다.
포장단계(S400)는 재배단계(S300) 후 70~80ppm의 염소 농도를 갖는 전해수로 살균하고 포장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포장단계(S400)에서는 옥수수 종자만 포장할 수도 있으나, 옥수수 종자 외에 다른 새싹 또는 다른 야채와 혼합하여 포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제1 침지단계(S100), 재배단계(S300) 그리고 포장단계(S400)에서 사용되는 전해수는 온도 18~25℃, pH 5~6.5, 산화환원전위(ORP) 700~800mV의 전해수를 사용하여 옥수수 종자가 용이하게 발아할 수 있으면서도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종자가 썩거나 새싹이 썩는 등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옥수수 새싹의 당도가 옥수수 자체의 당도보다 4~5배 가량 높이도록 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옥수수 새싹을 재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나 포장단계(S400) 전에, 분쇄단계(S350)가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분쇄단계(S350)는 재배단계(S300)에서 새싹이 난 옥수수 종자를 동결건조, 진공건조, 저온건조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건조시켜 200메시(mesh)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게 된다.
이처럼 200메시(mesh)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한 옥수수 종자는 천연 감미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비빔밥이나 샐러드, 샌드위치 등에 넣어 먹거나 면, 국 등의 음식에 고명으로 얹어 먹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재배시 온도를 실온인 20~24℃에 맞추었고, 암조건으로 하였다.
옥수수 종자 1kg을 온도 18~22℃, pH 5.5, 산화환원전위(ORP) 700mV의 전해수 3ℓ에 약 4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꺼내어 탈수시켰다(제1 침지단계, S100).
다음, 조제분유와 젓갈(멸치액젓, 까나리액젓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젓갈)을 1:1의 비율로 섞어 혼합한 혼합물을 300배로 희석한 영양제에 30분 동안 침지시킨 후 탈수시켰다(제2 침지단계, S200).
이후, 배양통 바닥에 부직포를 깔고 옥수수 종자를 4~10겹이 되도록 넣은 다음, 제1 침지단계(S100)에서 사용된 전해수(온도 18~22℃, pH 5.5, 산화환원전위 700mV의 전해수)를 약 60분 간격으로 살수하며 5일 동안 재배하였다(재배단계, S300).
실시예 1의 날짜별 새싹 길이 및 당도
실시예1 1일 2일 3일 4일 5일 비고
새싹 길이 (cm) 2 4.1 5.5 5.7 6.5
새싹 당도 2 3.71 4.27 3.83 2.3 종자의 당도 대비
실시예 1의 경우 재배한 지 3일 경과시 옥수수 새싹의 크기는 평균 5.5cm였으며, 새싹의 당도는 옥수수 종자 자체의 당도보다 평균 4.27배 정도 높았다.
그리고, 5일 경과시 옥수수 종자에 잔뿌리가 생성되면서 새싹의 잎의 경도가 높아지고, 당도가 급격히 하강하였다.
옥수수 종자 1kg을 온도 18~22℃ pH 5, 산화환원전위 750mV의 전해수 3ℓ에 약 4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꺼내어 탈수시켰다(제1 침지단계, S100).
다음, 조제분유와 젓갈(멸치액젓, 까나리액젓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젓갈)을 1:1의 비율로 섞어 혼합한 혼합물을 300배로 희석한 영양제에 30분 동안 침지시킨 후 탈수시켰다(제2 침지단계, S200).
이후, 배양통 바닥에 부직포를 깔고 옥수수 종자를 4~10겹이 되도록 넣은 다음, 제1 침지단계(S100)에서 사용된 전해수(온도 18~22℃ pH 5, 산화환원전위 750mV의 전해수)를 약 60분 간격으로 살수하며 5일 동안 재배하였다(재배단계, S300).
실시예 2의 날짜별 새싹 길이 및 당도
실시예2 1일 2일 3일 4일 5일 비고
새싹 길이(cm) 2 4.2 5 5.5 6.2
새싹 당도 1.8 2.6 3.7 3.1 2.5 종자의 당도 대비
실시예 2의 경우 재배한 지 3일 경과시 옥수수 새싹의 크기는 평균 5cm였으며, 새싹의 당도는 옥수수 종자 자체의 당도보다 평균 3.7배 정도 높았다.
그리고, 5일 경과시 옥수수 종자에 잔뿌리가 생성되면서 새싹의 잎의 경도가 높아지고, 당도가 급격히 하강하였다.
실시예 3에서는 온도 18~22℃ pH 6, 산화환원전위 800mV의 전해수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옥수수 종자를 재배하였다.
실시예 3의 날짜별 새싹 길이 및 당도
실시예3 1일 2일 3일 4일 5일 비고
새싹 길이 (cm) 2.1 3.8 5.3 5.7 6.1
새싹 당도 1.9 2.7 3.5 3.1 2.4 종자의 당도 대비
실시예 3의 경우 재배한 지 3일 경과시 옥수수 새싹의 크기는 평균 5.3cm였으며, 새싹의 당도는 옥수수 종자 자체의 당도보다 평균 3.5배 정도 높았다.
그리고, 5일 경과시 옥수수 종자에 잔뿌리가 생성되면서 새싹의 잎의 경도가 높아지고, 당도가 급격히 하강하였다.
실시예 4에서는 온도 18~22℃ pH 4.5, 산화환원전위 850mV의 전해수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조건으로 옥수수 종자를 재배하였다.
실시예 4의 날짜별 새싹 길이 및 당도
실시예4 1일 2일 3일 4일 5일 비고
새싹 길이 (cm) 1.8 2.7 5.5 6.3 8
새싹 당도 1.8 2.9 2.9 2.2 1.8 종자의 당도 대비
실시예 4의 경우 재배한 지 3일 경과시 옥수수 새싹의 크기는 평균 5.5cm였으며, 새싹의 당도는 옥수수 종자 자체의 당도보다 평균 2.9배 정도 높았다.
이때, 2일 경과시까지는 당도가 상승하였으나, 3일 경과시 옥수수 종자에 잔뿌리가 생성되면서 당도가 더 이상 높아지지 않았다.
실시예 5에서는 온도 18~22℃ pH 6.5, 산화환원전위 600mV의 전해수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한 조건으로 옥수수 종자를 재배하였다.
실시예 5의 날짜별 새싹 길이 및 당도
실시예5 1일 2일 3일 4일 5일 비고
새싹 길이 (cm) 2.1 2.6 5.7 7.7 8.2
새싹 당도 1.6 2.5 3.1 2.7 1.7 종자의 당도 대비
실시예 5의 경우 재배한 지 3일 경과시 옥수수 새싹의 크기는 평균 5.7cm였으며, 새싹의 당도는 옥수수 종자 자체의 당도보다 평균 3.1배 정도 높았다.
이때, 3일 경과시까지는 당도가 상승하였으나, 4일 경과시 옥수수 종자에 잔뿌리가 생성되면서 당도가 하강하였다.
이러한 실시예 1 내지 5 이외에도 다양한 조건으로 실험을 하였으나, 전해수 pH 5~6을 벗어나는 경우 실시예 4, 5와 유사하게 재배한 지 3~4일 경과시 옥수수 종자에 잔뿌리가 생성되면서 새싹의 잎의 경도가 높아지고, 새싹의 당도가 높아지지 않았다.
그리고 실시예 1 내지 5와 같이 전해수 pH 5~6.5에서 재배된 옥수수 종자뿐만 아니라, pH 5~6.5를 벗어난 범위의 전해수를 이용하여 재배된 옥수수 종자도 새싹의 당도는 떨어졌으나 전해수 대신 지하수나 수도수 등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종자가 썩지 않았으며, 제1 침지단계(S100)에서 옥수수 종자를 침지시키는 시간도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0 : 제1 침지단계 S200 : 제2 침지단계
S300 : 재배단계 S350 : 분쇄단계
S400 : 포장단계

Claims (2)

  1. 옥수수 새싹 생산방법에 있어서,
    옥수수 종자를 전해수에 3~4시간 동안 침지시켜 팽창시키는 제1 침지단계와;
    상기 제1 침지단계에서 침지된 옥수수 종자를 탈수한 후 영양제에 20~30분 동안 침지시키는 제2 침지단계와;
    상기 제2 침지단계에서 침지된 옥수수 종자를 탈수한 후 40~60ppm의 염소 농도를 갖는 전해수를 살수하며 새싹이 나도록 재배하는 재배단계; 및
    상기 재배단계 후 70~80ppm의 염소 농도를 갖는 전해수로 살균하고 포장하는 포장단계;
    를 포함하는 옥수수 새싹 생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단계 전에,
    상기 재배단계에서 새싹이 난 옥수수 종자를 동결건조, 진공건조, 저온건조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건조시켜 200메시(mesh)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영양제는,
    조제분유와 멸치액젓, 까나리액젓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혼합젓갈을 1:1의 비율로 섞어 혼합한 혼합물을 270~330배로 희석하여 사용하며,
    상기 전해수는,
    온도 18~25℃, pH 5~6.5, 산화환원전위(ORP) 700~800mV 이고,
    상기 재배단계는,
    2~5일의 재배일, 3~8cm의 새싹 크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옥수수 종자의 재배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새싹 생산방법.
KR1020210000861A 2021-01-05 2021-01-05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 KR20220098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861A KR20220098946A (ko) 2021-01-05 2021-01-05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861A KR20220098946A (ko) 2021-01-05 2021-01-05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946A true KR20220098946A (ko) 2022-07-12

Family

ID=8242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861A KR20220098946A (ko) 2021-01-05 2021-01-05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89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901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한약재성분이 함유된 막걸리의제조방법
CN105462596B (zh) 一种盐碱地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827627A (zh) 一种草莓专用复合生物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660698A (zh) 植物免疫诱抗剂在防治黄瓜猝倒病和立枯病中的应用
KR102089588B1 (ko) 성장률 및 설포라판 함량이 증가된 브로콜리 새싹 및 이의 생산방법
CN104311334A (zh) 用于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复合改良剂及制备工艺
KR100673327B1 (ko)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막걸리제조방법
KR101789595B1 (ko) 식물성장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11202A (zh) 一种高转化率有机硒麦芽酵母的生产方法
KR100862906B1 (ko) 황토성분을 포함하는 배양제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KR20070001513A (ko) 미생물을 이용한 산화칼슘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사용방법
KR20150007094A (ko)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
KR20120068272A (ko)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김활성처리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65032B1 (ko) 가축 분뇨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유기질 비료 제조제
KR20220098946A (ko)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
KR101034372B1 (ko) 인삼의 연작재배가 가능한 복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삼의 연작재배방법
CN106576809A (zh) 一种减少蕹菜中重金属铅镉含量的方法
CN105850271A (zh) 富铬麦芽粉加工工艺
CN110326513A (zh) 一种基于污泥的抗病育苗基质生产方法
KR102013024B1 (ko) 가축분뇨액비를 배지로 이용한 클로렐라 배양여액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량요소복합비료 조성물
CN105210883B (zh) 一种薯类作物的培养基及其应用
KR100355618B1 (ko) 활성탄을 함유한 두채식물 재배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두채식물의 재배방법
KR20070104492A (ko) 옥수수 새싹 재배방법
CN102356771A (zh) 一种杀菌组合物及其应用
SU1574196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стимул тора роста и развити растени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