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872A - Pneumatic tire to prevent mounting and demounting damage - Google Patents

Pneumatic tire to prevent mounting and demounting da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872A
KR20220098872A KR1020210000708A KR20210000708A KR20220098872A KR 20220098872 A KR20220098872 A KR 20220098872A KR 1020210000708 A KR1020210000708 A KR 1020210000708A KR 20210000708 A KR20210000708 A KR 20210000708A KR 20220098872 A KR20220098872 A KR 20220098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protrusion
tire
bead portion
millime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3577B1 (en
Inventor
이정근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577B1/en
Publication of KR2022009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8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5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2Seating or securing beads on rims
    • B60C15/024Bead contour, e.g. lips,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2Seating or securing beads on rims
    • B60C15/024Bead contour, e.g. lips, grooves, or ribs
    • B60C2015/0245Bead lips at the bead toe portion, i.e. the axially and radially inner end of the b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2015/0614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chafer or clinch portion, i.e. the part of the bead contacting the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4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oad vehicles, e.g. passenge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for preventing cracks occurring on a bead unit by protecting the bead unit from an impact applied to the bead unit during mounting and demounting of a tire with respect to a rim. A heavy load pneumatic tire for preventing a damage during mounting and demou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ump strip coupled to an outward part of the bead unit, which is one part of the tire in an outer direction, and an inward part of the bead unit, which is the other part of the tire in an inner direction, to prevent friction and impact between the bead unit and the rim where the tire is installed; protrusion units coupled to the inward part of the bead unit, having a curved outer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tire, and preventing cracks of the bead unit; and a T-bar formed in a bar shape between one protrusion unit and the other protrusion unit amo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 units to supplement stiffness of the protrusion units.

Description

장탈착 손상을 방지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PNEUMATIC TIRE TO PREVENT MOUNTING AND DEMOUNTING DAMAGE}Heavy-duty pneumatic tire that prevents mounting and detachment damage {PNEUMATIC TIRE TO PREVENT MOUNTING AND DEMOUNTING DAMAGE}

본 발명은 장탈착 손상을 방지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림에 대한 타이어의 장탈착 시, 비드부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비드부를 보호하여, 비드부에 생성되는 크랙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duty pneumatic tire that prevents mounting and detachment da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ck generated in the bead by protecting the bead from the impact applied to the bead when the tire is mounted and detached from the rim. technology to prevent it.

타이어는 타이어 외부 방향의 비드부 일 부위에 고경도의 고무로 구성된 험프스트립(Hump Strip)을 채용하여, 타이어의 주요 골격인 카카스(Carcass), 채퍼(Chafer) 등과 같은 부재물이 타이어와 결합하는 림과의 마찰 및 충격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The tire adopts a hump strip composed of high-hardness rubber on a part of the bea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tire, so that parts such as carcass and chafer, which are the main skeleton of the tire, are combined with the tire. It is designed not to be damaged by friction or impact with the rim.

상기와 같이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험프스트립은 림과의 접촉 부위뿐만 아니라, 림에 대한 타이어 장탈착 시 사용되는 레버와 같은 도구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높이로 타이어 내부 방향의 비드부 타 부위까지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ump strip, which performs the protectiv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only in contact with the rim, but also in the bead part in the direction inside the tire at a certain height to prevent damage by tools such as levers used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the tire to the rim. It can be formed to wrap up to.

다만, 상기와 같이 비드부에 험프스트립을 결합시키더라도 레버 등을 이용하여 림에 대한 타이어의 장탈착 시, 작업 도구의 오사용이나 잘못된 작업 장식에 의해, 비드부의 내부 손상(찢김, 뜯김)이 발생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이와 같은 비드부의 손상에 의해 해당 부위를 기점으로 수분 또는 공기가 침투하여 크랙(Crack) 및 분리(Seperation)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비드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However, even if the hump strip is coupled to the bea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ire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rim using a lever, internal damage (tear, tear) of the bead may occur due to misuse of work tools or incorrect work decoration. Problems that occur still exist, and moisture or air permeates from the corresponding site due to the damage to the bead portion, and cracks and separation may occur.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event such damage to the bead portion is continuing.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0944호(발명의 명칭: 비드부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에서는, 트레드와 트레드 양측의 사이드월과 양 사이월 단부의 비드부로 구성되고, 휠과 접하여지는 비드부의 접면부 바닥은 비드 힐과 비드 솔 및 비드 토우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비드 토우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부를 개량하여서 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가 개시되어 있다.In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0-0060944 (Title of the Invention: Tire for heavy-duty vehicle made by improving the bead part), the bead is composed of the tread and the sidewalls on both sides of the tread and the bead part at the ends of both walls, and is in contact with the wheel. A tire for a heavy-duty vehicle made by improving the bead part is disclosed, wherein the bottom of the contact part of the part includes a bead heel, a bead sole and a bead toe,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ead to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6094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6094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림에 대한 타이어의 장탈착 시, 비드부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비드부를 보호하여, 비드부에 생성되는 크랙을 방지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event cracks generated in the bead by protecting the bead from the impact applied to the bead when the tire is mounted and detached from the ri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비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에서 상기 타이어의 외부 방향 일 부위인 외향부위와 상기 타이어의 내부 방향 타 부위인 내향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타이어가 설치되는 림과 상기 비드부 간 마찰 및 충격을 방지하는 험프스트립; 상기 비드부의 내향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타이어의 내부를 향하는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드부의 크랙을 방지하는 돌출부; 및 복수 개의 돌출부 중 하나의 돌출부와 다른 돌출부 사이에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강성을 보완하는 티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가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형성하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tire including a bead portion, the bead portion is coupled to an outward portion that is one portion of the tire in an outward direction and an inward portion that is the other portion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tire. , a hump strip for preventing friction and impact between the rim on which the tire is installed and the bead portion; a protrusion coupled to the inward portion of the bead porti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tire being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preventing cracking of the bead portion; and a tee bar formed in a bar shape between one protrusion and the other protrusion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o supplement the rigidity of the protrusion,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to form a gap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characteriz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의 단면에서, 상기 티바의 중심점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의 최대 두께 부위의 중심점의 높이(H)와 동일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ross-section of the bead portion, the height of the central point of the tee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H) of the central point of the maximum thickness portion of the protrus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티바의 폭(h)은, 5 내지 1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h) of the tee bar may be 5 to 15 millimeters (m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험프스트립은, 상기 비드부의 하부를 감싸면서 턴업되어 상기 비드부의 상기 내향부위에 결합되는 턴업부위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p strip may include a turn-up portion that is turned up while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ead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inward portion of the bead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비드부의 상기 내향부위의 표면과 상기 턴업부위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a surface of the inward portion of the bead portion and a surface of the turn-up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의 단면에서, 상기 턴업부위 말단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의 최대 두께 부위의 중심점의 높이(H)와 동일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ross-section of the bead portion,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turn-up portion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H) of the center point of the maximum thickness portion of the protrus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의 단면에서, 상기 돌출부의 최대 두께 부위의 중심점의 높이(H)는, 20 내지 2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ross-section of the bead portion, the height (H) of the center point of the maximum thickness portion of the protrusion may be 20 to 25 millimeters (m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최대 두께(T)는, 3 내지 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thickness T of the protrusion may be 3 to 5 millimeters (m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W)은, 10 내지 1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W of the protrusion may be 10 to 15 millimeters (m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 중 하나의 돌출부의 중심점과 다른 돌출부의 중심점 사이의 간격(G)은, 5 내지 3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tance G between the center point of one protrusion amo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center point of the other protrusion may be 5 to 30 millimeters (mm).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비드부를 보호하는 험프스트립의 말단과 비드부의 경계 부위에 돌출부 및 티바를 형성시킴으로써, 타이어의 장탈착 작업 시 비드부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이 돌출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비드부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hat by forming the protrusion and the tee ba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end of the hump strip that protects the bead and the bead, cracks that may occur in the bead during the installation and detachment of the tire are formed in the protrusio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bead portion in advanc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드부와 림의 분리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일 부위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일 부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와 티바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기술의 비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드부의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the separation of the bead portion and the rim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rtion of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a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trusion and a te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ad portion of the prior art.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a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드부(10)와 림(30)의 분리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험프스트립(20)에 의해 비드부(10)가 보호되고 있는 경우라도, 레버(40) 등을 이용하여 림(30)으로부터 비드부(10)를 탈착시키는 작업 수행 중 비드부(10)에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하고, 이와 같은 크랙이 카카스 등의 주요 부재물까지 확대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일 수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the separation of the bead portion 10 and the rim 3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 even when the bead part 10 is protected by the hump strip 20 , the operation of detaching the bead part 10 from the rim 30 using the lever 40 or the like is being performed. Damage such as cracks may occur in the bead portion 10, and there may still be a problem in that such cracks extend to main members such as carcas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일 부위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일 부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드부(200)의 단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art of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d portion 200 according to the.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11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110)와 티바(120)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돌출부(110)와 티바(120)의 단면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확대도의 대상이 되는 돌출부(110)와 티바(120)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trusio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rusion 110 and the tee ba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is an enlarged view of the cross-section of the protrusion 110 and the tee bar 120, Figure 6 (b) is the protrusion 110 and the tee bar which is the target of the enlarged view of Fig. 6 (a) (120) is a perspective view.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드부(2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타이어는, 비드부(200)에서 타이어의 외부 방향 일 부위인 외향부위와 타이어의 내부 방향 타 부위인 내향부위에 결합되고, 타이어가 설치되는 림(30)과 비드부(200) 간 마찰 및 충격을 방지하는 험프스트립(300)(Humo Strip); 비드부의 내향부위(220)에 결합되고, 타이어의 내부를 향하는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비드부(200)의 크랙(c)을 방지하는 돌출부(110); 및 복수 개의 돌출부(110) 중 하나의 돌출부(110)와 다른 돌출부(110) 사이에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부(110)의 강성을 보완하는 티바(120)(Tie Bar);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to 6 , in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bead portion 200, the bead portion 200 has an outward portion which is one portion of the tire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an inward portion that is the other portion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tire. A hump strip 300 (Humo Strip) that is coupled and prevents friction and impact between the rim 30 and the bead part 200 on which the tire is installed; a protrusion 110 coupled to the inward portion 220 of the bead porti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tire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and preventing cracks c of the bead portion 200; and a tee bar 120 formed in a bar shape between on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and the other protrusion 110 to supplement the rigidity of the protrusion 110 .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드부의 외향부위(210)는 도 4에서 비드부(200)의 좌측 부위를 의미하고, 비드부의 내향부위(220)는 도 4에서 비드부(200)의 우측 부위를 의미하며, 비드부의 하부(230)는 비드 힐(bead hill), 비드 솔(bead sole) 및 비드 토우(bead toe)를 포함하는 부위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outward portion 210 of the bead portion means the left portion of the bead portion 200 in FIG. 4 , and the inward portion 220 of the bead portion is the right portion of the bead portion 200 in FIG. 4 . In other words, the lower portion 230 of the bead portion may be a portion including a bead hill, a bead sole, and a bead toe.

상기와 같이 비드부(200)의 크랙(c)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부(110)의 강도는 비드부(200)를 구성하는 고무의 강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rack c of the bead portion 200 as described above, the strength of the protrusion 110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rubber constituting the bead portion 200 .

험프스트립(300)은, 비드부의 하부(230)를 감싸면서 턴업되어 비드부의 내향부위(220)에 결합되는 턴업부위(310)를 구비할 수 있다. 험프스트립(300)은 비드부의 외향부위(210), 비드부의 하부(230) 및 비드부의 내향부위(22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험프스트립(300)이 비드부의 외향부위(210)를 감싸는 면적은, 험프스트립(300)이 비드부의 내향부위(220)를 감싸는 면적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hump strip 300 may include a turn-up portion 310 that is turned up while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230 of the bead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inward portion 220 of the bead portion. The hump strip 300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ward portion 210 of the bead portion, the lower portion 230 of the bead portion, and the inward portion 220 of the bead portion, and the hump strip 300 is the outward portion 210 of the bead portion. The area surrounding the hump strip 300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rea surrounding the inward portion 220 of the bead portion.

이에 따라, 비드부(200)와 험프스트립(300)의 단면에서 험프스트립(300)은 갈고리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비드부의 내향부위(220)와 결합되는 험프스트립(300)의 타 부위 말단, 즉, 갈고리 형상의 비드부(200) 내향부위 측 말단이 턴업부위(310)의 말단일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ross-section of the bead part 200 and the hump strip 300, the hump strip 300 may have a hook shape, and the other end of the hump strip 300 is coupled to the inward part 220 of the bead part. , that is, the end of the hook-shaped bead part 200 inwardly side may be the end of the turn-up part 310 .

비드부(200)의 외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비드부(200)의 단면에서 타이어의 내부를 향하는 윤곽선은 부드러운 곡선(A)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드부(20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면으로써 비드부의 내향부위(220)와 턴업부위(310)에 결합되는 면인 비드부(200)의 내측면은, 비드부의 내향부위(220) 표면과 험프스트립(300)의 턴업부위(310)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bead part 20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the contour line toward the inside of the tire in the cross-section of the bead part 200 may be formed as a smooth curve (A). And, as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ead portion 200, the inner surface of the bead portion 200, which is a surface coupled to the inward portion 220 and the turn-up portion 310 of the bead portion, is the inward portion 220 surface of the bead portion.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turn-up portion 310 of the hump strip 300 .

상기와 같이 비드부(200)의 외측면의 형상이 형성되므로, 비드부(200)의 굴신에 의해 형성된 응력이 돌출부(110)의 내부에서 분산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드부(200)에 대한 충격 발생으로 돌출부(110)에 크랙(c)이 발생하는 경우, 돌출부(110)에 의해 비드부(200)에 대한 충격이 소멸됨으로써, 비드부(200)에 크랙(c) 등의 손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Since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ead part 20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tress formed by the flexural extension of the bead part 200 may be easily dispersed in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part 110 . Accordingly, when a crack (c) occurs in the protrusion 110 due to the impact on the bead part 200 , the impact on the bead part 200 is dissipated by the protrusion part 110 , so that the bead part 200 . The occurrence of damage such as cracks (c) can be prevented.

비드부의 내향부위(220)와 험프스트립(300)의 턴업부위(310)는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결합되고, 험프스트립(300)의 강도가 비드부(200)의 강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비드부(200)에 충격이 발생하면, 비드부(200)의 파손은 턴업부위(310)의 말단에 인접한 비드부(200)의 부위에서 다른 부위보다 높은 확률로 발생될 수 있다.The inward portion 220 of the bead portion and the turn-up portion 310 of the hump strip 300 are respectively coupled in separate configurations, and the strength of the hump strip 300 is formed to be relatively greater than the strength of the bead portion 200, When an impact occurs on the bead part 200 , the breakage of the bead part 200 may occur with a higher probability than other parts in the part of the bead part 200 adjacent to the end of the turn-up part 310 .

그러므로,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출부(110)는, 비드부의 내향부위(220)의 표면과 턴업부위(310)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비드부(200)의 단면에서, 턴업부위(310) 말단의 높이는 돌출부(110)의 최대 두께 부위의 중심점의 높이(H)와 동일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protrusion 110 may be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inward portion 220 of the bead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turn-up portion 310 . In addition, in the cross-section of the bead portion 200 ,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turn-up portion 310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H of the center point of the maximum thickness portion of the protrusion 110 .

또한, 비드부(200)의 단면에서, 돌출부(110)의 최대 두께 부위의 중심점의 높이(H)는, 20 내지 2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여기서, 높이는 지면과 평행하고 비드부의 하부(230) 말단을 지나는 면으로부터의 수직 거리일 수 있다. 이하, 동일하다. In addition, in the cross-section of the bead part 200 , the height H of the center point of the maximum thickness portion of the protrusion part 110 may be 20 to 25 millimeters (mm). Here, the height may be a vertical distance from the surface that is parallel to the ground and passes through the end of the lower portion 230 of the bead. Hereinafter, it is the same.

그리고, 돌출부(110)의 최대 두께 부위의 중심점의 높이(H)에 대응되어 턴업부위(310)의 말단의 높이도 20 내지 2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Also, the height of the distal end of the turn-up portion 310 may be 20 to 25 millimeters (mm) corresponding to the height H of the central point of the maximum thickness portion of the protrusion 110 .

이에 따라, 비드부(200)에서 가장 파손이 빈번한 부위가 돌출부(110)의 최대 두께 부위에 의해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돌출부(110)의 보호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돌출부(110)가 형성됨으로써, 장탈착을 위한 레버 등의 도구가 림(30)과 비드부(200) 사이에 불필요하게 깊숙히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와 같은 레버의 진입 후 돌출부(110)가 레버와 접촉됨으로써 레버와 험프스트립(300)의 접촉 각도를 감소시켜 비드부(200)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tection function of the protrusion 110 can be maximized by protecting the most frequently damaged portion of the bead 200 by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protrusion 110 . In addition, by forming the protrusion 110 as described above, a tool such as a lever for mounting and detachment blocks unnecessary deep entry between the rim 30 and the bead part 200, and after the entry of the lever as described above As the protrusion 1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ever, the contact angle between the lever and the hump strip 300 is reduced,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bead portion 200 .

그리고, 돌출부(110)의 최대 두께 부위의 중심점의 높이(H)와 턴업부위(310)의 말단의 높이가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됨으로써, 험프스트립(300)과 돌출부(110)에 의해 비드부(200)의 주요 손상 부위과 보호됨과 동시에, 험프스트립(300)과 돌출부(110)의 중량이 제한됨으로써 타이어의 중량을 감소시켜, 타이어의 주행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And, the height (H) of the central point of the maximum thickness portion of the protrusion 110 and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turn-up portion 310 are numerically limit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hump strip 300 and the protrusion 110 make the bead portion ( 200), and at the same time, the weight of the hump strip 300 and the protrusion 110 is limited,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tire, thereby increasing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tire.

돌출부(110)의 최대 두께(T)는, 3 내지 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돌출부(110)의 최대 두께(T)가 3 밀리미터(mm) 미만인 경우, 본 발명의 타이어의 장탈착 시 최초 크랙(c)이 돌출부(110)를 통과하여 비드부(200)로 전달됨으로써, 비드부(200)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10)의 최대 두께(T)가 5 밀리미터(mm) 초과인 경우, 돌출부(110)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져 본 발명의 타이어 장탈착 시 돌출부(110)의 변형이 증대됨으로써 장탈착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maximum thickness T of the protrusion 110 may be 3 to 5 millimeters (mm). When the maximum thickness T of the protrusion 110 is less than 3 millimeters (mm), the initial crack c passes through the protrusion 110 and is transferred to the bead 200 during mounting and detachment of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Damage to the unit 200 may occur. In addition, when the maximum thickness T of the protrusion 110 is more than 5 millimeters (mm),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110 is excessively thick and the deformation of the protrusion 110 is increased when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detached. The workability of desorption may be deteriorated.

그리고, 돌출부(110)의 전체 높이는 본 발명의 타이어의 반경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나, 돌출부(110)의 폭(W)은, 10 내지 1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돌출부(110)의 폭(W)이 10 밀리미터(mm) 미만인 경우, 돌출부(110)의 전체 높이와 비교하여 돌출부(110)의 폭(W)이 과소하게 되어 돌출부(110)의 의한 크랙(c) 방지 효과가 감소될 뿐 아니라, 둘출부에 의해 레버 등의 진입 각도가 감소되는 상기와 같은 효과의 구현이 용이하지 않아 장탈착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overall height of the protrusion 110 may be desig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adius of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width W of the protrusion 110 may be 10 to 15 millimeters (mm). When the width W of the protrusion 110 is less than 10 millimeters (mm), the width W of the protrusion 110 becomes too small compared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protrusion 110, so that the crack c due to the protrusion 110 ) Not only the prevention effect is reduced, but also it is not easy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effect in which the angle of entry of the lever, etc. is reduced by the protrusion, so that the workability of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may be reduced.

그리고, 돌출부(110)의 폭(W)이 15 밀리미터(mm) 초과인 경우, 돌출부(110)의 부피 증가로 인해 비드부(200)가 형성된 타이어의 일 부위에서의 발열이 증가하고, 레버와 같은 작업 도구에 의한 최초 크랙(c)(Initial Crack)의 폭 및 크랙(c)의 성장폭이 증가될 수 있다.And, when the width W of the protrusion 110 is more than 15 millimeters (mm), heat generation at a portion of the tire in which the bead part 200 is formed in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protrusion 110 , and the lever and the The width of the initial crack (c) (Initial Crack) and the growth width of the crack (c) can be increased by the same work tool.

복수 개의 돌출부(110)가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형성하며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돌출부(110) 중 하나의 돌출부(110)의 중심점과 다른 돌출부(110)의 중심점 사이의 간격(G)인 돌출부(110) 간 갭(G)은, 5 내지 30 밀리미터(mm)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the gap G between the protrusions 110, which is the distance G between the center point of one protrusion 110 and the center point of the other protrusion 110 amo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is 5 to 30 millimeters (mm) can be

돌출부(110) 간 갭(G)이 5 밀리미터(mm) 미만인 경우, 돌출부(110)의 수가 과대하여 돌출부(110)의 전체 부피가 증가함으로써 타이어의 중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비드부(200)가 형성된 타이어의 일 부위에서의 발열이 증가하여 타이어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10) 간 갭(G)이 30 밀리미터(mm) 미만인 경우, 돌출부(110) 간 갭(G)이 과도하여 돌출부(110) 사이에서 크랙(c)이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gap G between the protrusions 110 is less than 5 millimeters (mm),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110 is excessive and the total volume of the protrusions 110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tire as well as the bead part 200 . Heat generation at a portion of the tire on which the is formed may increase, thereby reducing the durability of the tire. In addition, when the gap G between the protrusions 110 is less than 30 millimeters (mm), the gap G between the protrusions 110 is excessive and cracks c may occur between the protrusions 110 .

비드부(200)의 단면에서, 티바(120)의 중심점의 높이는 돌출부(110)의 최대 두께 부위의 중심점의 높이(H)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험프스트립(300)에 의해 크랙(c)을 방지하는 기능이 끝나는 턴업부위(310)의 말단과 비드부의 내향부위(220)의 경계 부위에 티바(120)가 형성됨으로써, 돌출부(110)의 수를 적정히 유지시키면서도 돌출부(110)로 보호되지 못하는 부위에 대한 크랙(c)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ross section of the bead part 200 , the height of the central point of the tee bar 120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H) of the central point of the maximum thickness portion of the protrusion 110 . Accordingly, the tee bar 120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end of the turn-up part 310 where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crack c by the hump strip 300 ends and the inward part 220 of the bead part, so that the protrusion 110 )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nu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racks (c) in areas that are not protected by the protrusion 110 .

티바(120)의 폭(h)은, 5 내지 1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티바(120)의 폭(h)이 5 밀리미터(m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비드부(200)에 대한 크랙(c) 발생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음과 동시에, 티바(120)의 폭(h)이 과소하여 티바(120) 형성의 제조 공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The width h of the tea bar 120 may be 5 to 15 millimeters (mm). When the width (h) of the tea bar 120 is less than 5 millimeters (mm), the crack (c) occurrence prevention function for the bead portion 200 as described above may be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 width of the tea bar 120 . (h) is too small,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orming the tea bar 120 may not be easy.

그리고, 티바(120)의 폭(h)이 15 밀리미터(mm) 초과인 경우에는, 티바(120)의 부피가 증가하여 비드부(200)가 형성된 타이어의 일 부위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해당 부위의 발열이 증가하고 장탈착 시 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dth h of the tee bar 120 is more than 15 millimeters (mm), the volume of the tee bar 120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volume of a portion of the tire in which the bead part 200 is formed, so that the volume of the corresponding part is increased. Heat may increase and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during installation and detachment.

도 7은 종래기술의 비드부(10)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드부(200)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돌출부(110)가 결합되지 않은 비드부(10)의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해당 비드부의 하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8의 (a)는 돌출부(110)가 결합된 비드부(200)의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해당 비드부의 하부(230)를 확대한 확대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d portion 10 of the prior art.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d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a)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d portion 10 to which the protrusion 110 is not coupled, and (b) of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ead portion. And, (a) of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d part 200 to which the protrusion 110 is coupled, and (b) of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wer part 230 of the bead part.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출부(11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타이어의 장탈착 작업 시 비드부(10)에 크랙(c)이 발생하고, 이와 같은 크랙(c)은 비드부(10) 내부의 주요 부재물로 성장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7 , when the protrusion 110 is not formed, a crack c is generated in the bead 10 during the tire mounting and detachment operation, and the crack c is formed inside the bead 10 . It can also grow as a major member of

반면에,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출부(110)가 형성되는 경우, 타이어의 장탈착 작업 시 비드부(200)에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돌출부(110)에 크랙(c)이 발생하고 돌출부(110)가 이와 같은 크랙(c)의 성장도 억제시켜, 비드부(2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 when the protrusion 110 is formed, a crack c occurs in the protrusion 110 even if an impact occurs on the bead 200 during the tire mounting and detachment operation, and the protrusion 110 ) also suppresses the growth of such cracks (c), so that damage to the bead part 200 can be prevent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 : 크랙
10 : 비드부
20 : 험프스트립
30 : 림
40 : 레버
110 : 돌출부
120 : 티바
200 : 비드부
210 : 비드부의 외향부위
220 : 비드부의 내향부위
230 : 비드부의 하부
300 : 험프스트립
310 : 턴업부위
c: crack
10: bead part
20: hump strip
30: rim
40: lever
110: protrusion
120: Tiva
200: bead part
210: outward portion of the bead portion
220: inward portion of the bead portion
230: lower part of the bead part
300: hump strip
310: turn-up part

Claims (10)

비드부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에서 상기 타이어의 외부 방향 일 부위인 외향부위와 상기 타이어의 내부 방향 타 부위인 내향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타이어가 설치되는 림과 상기 비드부 간 마찰 및 충격을 방지하는 험프스트립;
상기 비드부의 내향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타이어의 내부를 향하는 외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드부의 크랙을 방지하는 돌출부; 및
복수 개의 돌출부 중 하나의 돌출부와 다른 돌출부 사이에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강성을 보완하는 티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가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형성하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 손상을 방지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In the tire comprising a bead portion,
a hump strip coupled to an outward portion of the bead portion, which is one portion of the tire in an outward direction, and an inward portion, which is the other portion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tire, to prevent friction and impact between a rim on which the tire is installed and the bead portion;
a protrusion coupled to the inward portion of the bead portion,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tire being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preventing cracking of the bead portion; and
Includes; a tee bar formed in a bar shape between on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other protrusion to complement the rigidity of the protrusion; and
Heavy-duty pneumatic tire for preventing mounting and detachment dam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의 단면에서, 상기 티바의 중심점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의 최대 두께 부위의 중심점의 높이(H)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 손상을 방지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ead, the height of the central point of the tee bar is the same as the height (H) of the central point of the maximum thickness portion of the protru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티바의 폭(h)은, 5 내지 15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 손상을 방지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h) of the tee bar is a heavy-duty pneumatic tire for preven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da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5 to 15 millimeters (m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험프스트립은, 상기 비드부의 하부를 감싸면서 턴업되어 상기 비드부의 상기 내향부위에 결합되는 턴업부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 손상을 방지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ump strip is a heavy-duty pneumatic tire for preven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da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urn-up portion that is turned up while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ead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inward portion of the bead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비드부의 상기 내향부위의 표면과 상기 턴업부위의 표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 손상을 방지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protrusion is a heavy-duty pneumatic tire for preven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da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inward portion of the bead portion and the surface of the turn-up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의 단면에서, 상기 턴업부위 말단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의 최대 두께 부위의 중심점의 높이(H)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 손상을 방지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ead portion,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turn-up portion is the same as the height (H) of the center point of the maximum thickness portion of the protrus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의 단면에서, 상기 돌출부의 최대 두께 부위의 중심점의 높이(H)는, 20 내지 25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 손상을 방지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ead, the height (H) of the center point of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protrusion is 20 to 25 millimeters (m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최대 두께(T)는, 3 내지 5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 손상을 방지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ximum thickness (T) of the protrusion is a heavy-duty pneumatic tire for preven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da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3 to 5 millimeters (m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W)은, 10 내지 15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 손상을 방지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W) of the protrusion is a heavy-duty pneumatic tire for preven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da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10 to 15 millimeters (m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 중 하나의 돌출부의 중심점과 다른 돌출부의 중심점 사이의 간격(G)은, 5 내지 30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탈착 손상을 방지하는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G) between the center point of on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center point of the other protrusion is 5 to 30 millimeters (mm).
KR1020210000708A 2021-01-05 2021-01-05 Pneumatic tire to prevent mounting and demounting damage KR1024635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708A KR102463577B1 (en) 2021-01-05 2021-01-05 Pneumatic tire to prevent mounting and demounting da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708A KR102463577B1 (en) 2021-01-05 2021-01-05 Pneumatic tire to prevent mounting and demounting da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872A true KR20220098872A (en) 2022-07-12
KR102463577B1 KR102463577B1 (en) 2022-11-07

Family

ID=8241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708A KR102463577B1 (en) 2021-01-05 2021-01-05 Pneumatic tire to prevent mounting and demounting da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57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1937A (en) * 2003-03-28 2004-10-21 Toyo Tire & Rubber Co Ltd Pneumatic radial tire
KR20100060944A (en) 2008-11-28 2010-06-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Heavy duty vehicle tire improved bead surface
KR101102561B1 (en) * 2009-12-11 2012-01-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Truck and bus radial tire improved bead duration
JP2013107451A (en) * 2011-11-18 2013-06-06 Toyo Tire &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and tire molding di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1937A (en) * 2003-03-28 2004-10-21 Toyo Tire & Rubber Co Ltd Pneumatic radial tire
KR20100060944A (en) 2008-11-28 2010-06-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Heavy duty vehicle tire improved bead surface
KR101102561B1 (en) * 2009-12-11 2012-01-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Truck and bus radial tire improved bead duration
JP2013107451A (en) * 2011-11-18 2013-06-06 Toyo Tire &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and tire molding d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577B1 (en)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4355B2 (en) Run flat tire
US9884521B2 (en) Run flat tire
JP5263271B2 (en) Run flat tire
US8869852B2 (en) Run flat tire with side reinforcing layer, bead filler, and side filler
US10046606B2 (en) Run-flat tire
US8640754B2 (en) Run flat tire
US20100288409A1 (en) Pneumatic Tire
US7441576B2 (en) Pneumatic tire
JP6467949B2 (en) Pneumatic tire
KR102051856B1 (en) A pneumatic tire
US20100170601A1 (en) Pneumatic Tire
KR102463577B1 (en) Pneumatic tire to prevent mounting and demounting damage
KR20130075792A (en) Tyre of bead part with excellent durability
JPH1076822A (en) Pneumatic radial tire for heavy load
US20110277897A1 (en) Pneumatic tire
JPH01301404A (en) Radial tire
JP3977817B2 (en) Run flat tire
JP4710479B2 (en) Pneumatic tire
JP4908809B2 (en) Pneumatic tire
JP4946607B2 (en) Pneumatic tire
EP0167283B1 (en) Pneumatic tyres
JP2018001806A (en) Pneumatic tire
KR100792973B1 (en) Pneumatic vehicle tire
JP4587097B2 (en) Run flat tire
JP2823850B2 (en) Radial tires for heavy l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