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603A - Blower - Google Patents

Bl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603A
KR20220098603A KR1020210000472A KR20210000472A KR20220098603A KR 20220098603 A KR20220098603 A KR 20220098603A KR 1020210000472 A KR1020210000472 A KR 1020210000472A KR 20210000472 A KR20210000472 A KR 20210000472A KR 20220098603 A KR20220098603 A KR 20220098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time
temperature
temperature sens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겸
박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0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8603A/en
Publication of KR20220098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6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H3/041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portable or mob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The blower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n inlet sucking air and an outlet discharging the air; a heater heating by being arranged in the housing; a fan arranged in the upper part of the heater and causing the flow of the air to the heater;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a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er and supplying or blocking power to the heater; and a control unit blocking power supply to the heater for a first time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setting temperature, and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witch in a first cycle supplying the power to the heater for a second time. The control unit blocks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for a third time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n the first cycl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ting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also changes the first cycle to a second cycle supplying the power to the heater for a fourth tim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 ratio of the first time to the second time is less than the ratio of the third time to the fourth time. The blower can effectively prevent overheating of the heater.

Description

블로어{BLOWER}blower {BLOWER}

본 발명은 블로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는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wer for preventing overheating of a heater through on-off control of a switch.

블로어란 팬의 회전 운동에 의해 기체를 압송하는 송풍기를 말한다. 히터는 블로어에 내장되어 팬에 의해 블로어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고, 블로어는 사용자 등에게 온풍을 제공할 수 있다.A blower refers to a blower that pressurizes gas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an. The heater may be built into the blower to heat the air sucked into the blower by the fan, and the blower may provide warm air to a user or the like.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93154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토출량을 제어하여 장비의 과열을 미연에 방지하는 열풍기를 개시한다. 그러나, 히터의 작동이 고온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히터 주변 구성의 열변형을 일으키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공기 흡입구가 장애물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풍량이 열풍기로 유입되지 못할 경우 히터가 과열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Korean Patent No. 10-1693154 discloses a hot air blower that prevents overheating of equipment by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air heated by a heater. However, since the operation of the heater is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asy to cause thermal deformation of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heater. In addition, when the air intake port is blocked by an external factor such as an obsta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ter is overheated when a sufficient amount of air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heater does not flow into the hot fan.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82781은 음식물의 조리를 위해 주기적으로 전기레인지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특정 음식물의 특정 용량에 대한 전원 온-오프 주기가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단일한 제어방법에 의해 여러 음식물을 조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음식물이 과열되더라도 기설정된 온-오프 주기가 진행되므로 과열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1982781 discloses a control method for periodically turning on/off the power of an electric range for cooking foo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several foods cannot be cooked by a single control method in that the power on-off cycle for a specific capacity of a specific food must be set in advance.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cope with overheating.

또한, 기존의 전원 오프 제어를 통해 과열을 방지하는 수단은 전원 오프 제어로 인해 히터의 온도가 성능 확보 최소온도 이하로 감소함으로써 블로어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ans for preventing overheating through the power-off control has a problem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blower is deteriorated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is reduced below the minimum temperature for ensuring performance due to the power-off control.

1. 등록특허공보 10-1693154 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93154

2. 등록특허공보 10-1982781 2.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10-198278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히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로어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wer capable of preventing overheating of a he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블로어로 유입되는 풍량 또는 히터의 온도 변화량에 대응하여 히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로어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wer capable of preventing overheating of a heater in response to an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blower or a change in temperature of the he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면서도 히터의 최소 발열량을 확보하는 블로어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wer that prevents overheating of the heater and secures the minimum amount of heat of the heater.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발열 가능한 히터, 상기 히터를 통과하도록 공기를 압송하는 팬,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및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제1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2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주기로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주기 내에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1 주기에서 제3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4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주기로 상기 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시간에 대한 상기 제1 시간의 비는 상기 제4 시간에 대한 상기 제3 시간의 비보다 작다.A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housing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heater capable of generating heat, air to pass through the heater If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fan, the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housing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a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er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heater,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 in a first cycle of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for a first time and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for a second time period,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temperature sensor within the first cycle If the measur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temperatur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in a second cycle of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for a third time in the first cycle and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for a fourth time, , the ratio of the first time to the second time is less than the ratio of the third time to the fourth ti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주기 내에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온도가 최소온도 이하이면, 제5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6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3 주기로 상기 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3 시간에 대한 상기 제4 시간의 비는 상기 제6 시간에 대한 상기 제5 시간의 비보다 작을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if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ithin the second perio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temperature, the controller supplies power to the heater for a fifth time, and supplies power to the heater for a sixth time The driving of the switch may be controlled in a third period of cutting off the supply, and a ratio of the fourth time to the third time may be smaller than a ratio of the fifth time to the sixth ti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센서는 시간에 대한 온도의 변화율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시간 대비 상기 제2 시간이 늘어나도록 상기 제1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ime,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rate of change of the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ime, and the control unit is the first period to increase the second time compared to the first time when the rate of chang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ate of change. can be chang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보다 크면, 상기 제2 시간 대비 상기 제1 시간이 늘어나도록 상기 제1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when the measured rate of change is greater than a reference rate of change,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first period to increase the first time compared to the second ti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의 하류에는 상기 팬에 의해 상기 히터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풍량계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유량이 기준유량보다 작으면, 상기 제2 시간 대비 상기 제1 시간이 늘어나도록 상기 히터의 제1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air flow mete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o the heater by the fan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suction port,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econd flow rate when the measured flow rat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flow rate. The first period of the heater may be changed to increase the first time compared to the ti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는 구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정음 릴레이로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witch may be provided as a silent relay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in the driving proces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히터의 표면 중 상기 토출구에 인접한 영역에 접촉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object,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in contact with an area adjacent to the outlet among the surfaces of the heat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의 하류에는 흡기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기온도센서에 측정된 온도가 표준온도보다 작으면,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an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intake port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port,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temperatur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may be controlled to increas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기온도센서에 측정된 온도가 표준온도보다 크면,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temperatur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to decreas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 제어방법은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히터를 발열시키는 단계, 온도센서로 상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제1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2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주기로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주기 내에 상기 온도센서로 상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기 내에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상기 히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제3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4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주기로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에 대한 상기 제1 시간의 비는 상기 제4 시간에 대한 상기 제3 시간의 비보다 작다.The bl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the steps of supplying power to a heater to heat the heate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with a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in a first cycle of cutting off power supply to the heater for a first time period and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for a second time period whe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temperature, within the first cycle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with a temperature sensor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ithin the first period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for a third time and for a fourth time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in a second period of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wherein the ratio of the first time to the second time is greater than the ratio of the third time to the fourth time. small.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주기 내에 상기 온도센서로 상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기 내에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상기 히터의 온도가 최소온도 이하이면, 제5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6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3 주기로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간에 대한 상기 제4 시간의 비는 상기 제6 시간에 대한 상기 제5 시간의 비보다 작을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with the temperature sensor within the second period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ithin the second perio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temperature, a fifth time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in a third period of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during a period of time and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for a sixth time, and the ratio of the fourth time to the third time. may be less than a ratio of the fifth time to the sixth ti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센서는 시간에 대한 상기 히터의 온도 변화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시간 대비 상기 제2 시간이 늘어나도록 상기 제1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rate of change of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with respect to time and if the rate of chang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less than the reference rate of change, the second tim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first time It may include changing the first period so as to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보다 크면, 상기 제2 시간 대비 상기 제1 시간이 늘어나도록 상기 제1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when the rate of chang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ate of change, the first period may be changed to increase the first time compared to the second ti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유량이 기준유량보다 작으면, 상기 제2 시간 대비 상기 제1 시간이 늘어나도록 상기 제1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tep of measuring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and if the measured flow ra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flow rate, change the first period to increase the first time compared to the second time ca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히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표준온도보다 작으면,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task,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heater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heater is lower than the standard temperature, increas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ca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표준온도보다 크면,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er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temperature, the method may include reduc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는, 스위치를 통해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주기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히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The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overheating of the heater by periodically sh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through a switch.

또한, 풍량과 히터의 온도 변화율을 토대로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 주기를 재설정함으로써 히터의 과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overheating of the heater by resetting the cutoff period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based on the air volume and the rate of change in temperature of the heater.

또한, 히터의 온도를 최소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히터로의 전원 차단 주기를 재설정함으로써, 블로어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esetting the power-off cycle to the heat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is maintained at or above the minimum temperature,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blower can be prevented.

또한, 히터의 표면 중 가장 고온인 영역에 온도센서를 접촉시킴으로써 히터의 국부적 과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local overheating of the heater by contacting the temperature sensor to the hottest area among the surfaces of the heat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로어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상단면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온도센서에 측정되는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온도센서에 측정되는 온도를 나타낸 실험자료이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low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ight sectional view of the blower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view of a hea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block diagrams of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8 is experimental data show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 및 "유닛"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unit" and "uni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only,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또한, 본 명세서에 발명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발명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발명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발명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invented in this specifica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inv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invent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may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을 참고하면, 블로어(1)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5)를 구비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고 발열 가능한 히터(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blower 1 includes a housing 10 having an inlet 11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n outlet 15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a heater 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and capable of generating heat. ) may be included.

하우징(10)에는 흡입구(11)와 토출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서 내기가 흡입될 수 있고, 흡입된 내기는 토출구(15)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하우징(10) 하부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면을 둘러 싸는 형태로 흡입구(11)가 형성됨으로써 전방 또는 후방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수평방향 전체에서 내기를 흡입할 수 있다. 토출구(15)는 길게 연장된 슬릿(Slit)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토출구(15)를 통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흡입된 내기를 토출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have an inlet 11 and an outlet 15 formed therein. The bet may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 , and the suctioned bet may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15 . The inlet 11 may be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 It is not limited to the front or rear by the suction port 11 is formed in the form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it is possible to suck the bet in the entir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charge port 1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longated slit.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bet sucked in a larger area through the discharge port 15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히터(20)는 상기 흡입구(11)로 흡입되는 내기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20)에 전원을 공급하면 히터(20)가 고온으로 발열하게 되고, 히터(20)는 흡입된 내기와 열교환함으로써 흡입된 내기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20)는 시즈 히터(Sheath Heater)로 구비될 수 있다.The heater 20 may heat the bet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1 .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20, the heater 20 generates heat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heater 20 heats the sucked bet by heat exchange with the sucked bet. The heater 20 may be provided as a sheath heater.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블로어(1)는 흡입구(11)의 하류에 설치되어 흡입구(11)로 유입되는 공기(a)의 온도를 측정하는 흡기온도센서(12), 히터(20)를 통과하도록 공기(a)를 압송하는 팬(30), 팬(30)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1), 히터(20)를 하우징(10)에 고정하는 고정부(24), 흡입구(11)의 하류에 설치되고 팬(30)에 의해 히터(20)로 유동하는 공기(a)의 유량을 측정하는 풍량계(25)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blower (1)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inlet 11, the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12)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a) flowing into the inlet (11), a heater (20) A fan 30 for pressurizing air (a) to pass through, a motor 31 connected to the fan 30 to transmit driving force, a fixing part 24 for fixing the heater 20 to the housing 10, a suction port ( 11) installed downstream and may include an air flow meter 25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air (a) flowing to the heater 20 by the fan 30 .

흡기온도센서(12)는 흡입구(11)를 통해 블로어(1)로 흡입되는 공기(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계절의 변화 또는 블로어(1) 외부의 공기조화 수단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블로어(1)로 유입되는 공기(a)의 온도가 변할 수 있다. 흡기온도센서(12)에 측정된 온도 정보를 토대로 히터(20)의 발열량을 제어하면, 흡입되는 공기(a)의 온도에 대응하여 토출되는 공기(a)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12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air (a) sucked into the blower 1 through the suction port 11 . The temperature of the air (a) flowing into the blower (1) may change due to an external factor such as a change of season or an air conditioning means outside the blower (1). If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20 is controlled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12 ,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a) can be constantly maintained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of the intake air (a).

고정부(24)는 히터(20)를 하우징(10)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히터(20)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24)는 제1 브라켓(24a)과 제2 브라켓(24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24a)과 제2 브라켓(24b) 각각은 하우징(10)과 히터(20)를 연결함으로써 히터(20)를 하우징(10)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24a) 또는 제2 브라켓(24b)을 통해 히터(20)에 연결되는 회로가 통과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24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eater 20 to fix the heater 20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 The fixing part 24 may include a first bracket 24a and a second bracket 24b. Each of the first bracket 24a and the second bracket 24b may fix the heater 20 in the housing 10 by connecting the housing 10 and the heater 20 . In addition, a circuit connected to the heater 20 through the first bracket 24a or the second bracket 24b may pass.

풍량계(25)는 히터(20)로 유동하는 공기(a)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장애물 등에 의해 흡입구(11)가 차폐되면, 블로어(1)로 흡입되는 공기(a)의 유량이 기준 유량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때, 유량의 감소로 인해 히터(20)와 흡입된 공기(a)의 열교환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히터(20)가 과열될 수 있고, 토출되는 공기(a)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풍량계(25)에 측정된 유량 정보를 토대로 히터(20)의 발열량을 제어하면, 히터(2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토출되는 공기(a)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air volume meter 25 may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air (a) flowing to the heater 20 . When the suction port 11 is blocked by an obstacle or the like, the flow rate of the air (a) sucked into the blower 1 may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flow rate. At this time, since the amount of heat exchange between the heater 20 and the sucked air (a) is reduc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flow rate, the heater 20 may be overhea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a) may rise. Therefore, if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heater 20 is controlled based on the flow rat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ir flow meter 25, overheating of the heater 20 can be preven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d air a can be maintained constant. .

팬(30)은 원심팬, 사류팬, 축류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팬(30)은 모터(31)와 연결되고, 모터(31)는 팬(30)으로 구동력을 전달하고 팬(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팬(30)과 모터(31)는 하우징(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31)가 작동하면 팬(30)이 회전하게 되고, 팬(30)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11)로 공기(a)가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a)는 팬(30)에 의해 압송되어 히터(20)로 유동하고 토출구(15)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히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히터(20)를 발열시킴으로써 토출구(15)를 통해 따뜻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The fan 30 may be provided as a centrifugal fan, a four-flow fan, an axial fan, or the like. The fan 30 is connected to the motor 31 , and the motor 31 may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fan 30 and control the driving of the fan 30 . The fan 30 and the motor 31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0 . When the motor 31 operates, the fan 30 rotates, and the air (a)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1 by the rotation of the fan 30 . The sucked air (a) is pressurized by the fan 30 , flows to the heater 20 , and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outlet 15 . By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20 to heat the heater 20 , warm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5 .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블로어(1)는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히터(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40), 히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터(2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50), 온도센서(40)에 측정된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온도 정보를 토대로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주기적으로 차단하도록 스위치(5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blower 1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4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and the heater 20 to supply power to the heater 20 .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witch 50 that supplies or cuts off the temperature sensor 40 and controls the switch 50 to periodically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 based on the received temperature information. (not shown) may be included.

온도센서(40)는 히터(20)의 온도와 시간에 대한 히터(20)의 온도 변화율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온도센서(40)를 통해 히터(20)의 온도를 두 번 측정하고, 측정된 두 온도의 차이를 상기 일정 시간 간격으로 나눈 값을 시간에 대한 히터(20)의 온도 변화율로 산정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4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heater 20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and time of the heater 20 .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is measured twice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4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asured temperatures by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divided by the time interval of the heater 20 It can be calculated as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of

스위치(50)는 히터(20)와 연결되는 전원 공급 회로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50)가 구동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개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히터(20)로의 전원이 차단 및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치(50)는 릴레이(Relay)로 구비될 수 있다. 릴레이란, 입력이 특정 값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하여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장치를 말한다. 특히, 스위치(50)는 정음 릴레이로 구비될 수 있다. 정음 릴레이를 장착함으로써 구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switch 50 may be disposed in a power supply circuit connected to the heater 20 . When the switch 50 is driven, the power supply circui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power to the heater 20 can be cut off and supplied through this. Meanwhile, the switch 50 may be provided as a relay. A relay is a device that operates when an input reaches a certain value to open and close other circuits. In particular, the switch 50 may be provided as a silent relay. By installing a silent relay, noise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process can be reduced.

제어부(미도시)는 온도센서(40)로부터 히터(20)의 온도 및 시간에 대한 히터(20)의 온도 변화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흡기온도센서(12)로부터 블로어(1)로 흡입되는 공기(a)의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풍량계(25)로부터 히터(20)로 유동하는 공기(a)의 유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수신된 정보를 통해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 주기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주기 또는 기입력된 주기로 스위치(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not shown)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heater 20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and time of the heater 20 from the temperature sensor 40 .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receiv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air (a) sucked into the blower 1 from the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12 .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receiv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air (a) flowing from the wind meter 25 to the heater 20 .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set a cut-off period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 through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itch 50 at a set period or a write-in period.

도 3 및 4를 참고하면, 온도센서(40)는 히터(20)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온도센서(40)는 히터(2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40)는 히터(20)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히터(20)와 이격된 경우보다 히터(20)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3 and 4 , the temperature sensor 40 may contact the surface of the heater 20 . Alternatively, the temperature sensor 4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heater 20 . The temperature sensor 40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more accurately than the case where it is spaced apart from the heater 20 by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heater 20 .

한편, 히터(20)는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발열되고 차가운 공기(a)와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된다. 그러나, 차가운 공기(a)가 히터(20)의 외측 중 일부인 일측으로부터 히터(20)를 향하여 유동하므로 히터(20)의 표면은 전영역에 걸쳐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갖는다고 볼 수 없다. 즉, 히터(20)의 표면은 차가운 공기(a)와 최초로 열교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온으로 형성되는 저온면(21)과, 저온면(21)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형성되는 고온면(22)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고온면(22)은 토출구(15)에 인접한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히터(20)로 유동하는 차가운 공기(a)와 가장 나중에 열교환하는 초고온면(22a)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er 20 is heated by receiving power and is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cold air (a). However, since the cold air (a) flows toward the heater 20 from one side, which is a part of the outside of the heater 20 , the surface of the heater 20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a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entire area. That is, the surface of the heater 20 is formed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by exchanging heat with the low-temperature surface 21, which is form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by first exchanging heat with the cold air (a), and the air that has undergone heat exchange with the low-temperature surface 21. It may include a hot surface 22 . In particular, the high-temperature surface 22 may include an ultra-high temperature surface 22a that lastly exchanges heat with the cold air (a) flowing to the heater 20 by being locat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15 .

온도센서(40)가 저온면(21)에 접촉하면, 온도센서(40)는 저온면(2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저온면(21)의 온도는 허용되는 히터(20)의 최대온도보다 낮고 고온면(22)의 온도는 허용되는 히터(20)의 최대온도보다 높게 형성될 경우, 고온면(22)이 과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40)는 고온면(22)에 접촉시킴으로써 고온면(22)에서의 국부적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고온면(22)에서 가장 고온으로 형성되는 초고온면(22a)에 접촉시킴으로써 초고온면(22a)에서의 국부적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국부적 과열을 방지함으로써 히터(20) 주위 구성의 열변형이나 기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sensor 40 contacts the low temperature surface 21 , the temperature sensor 4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low temperature surface 21 .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low temperature surface 21 is lower than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allowable heater 20 and the temperature of the high temperature surface 22 is higher than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allowable heater 20, the high temperature surface 22 is Overheating may be a problem. Therefore, the temperature sensor 40 can prevent local overheating on the high-temperature surface 22 by contacting the high-temperature surface 22, in particular, in contact with the ultra-high temperature surface 22a formed at the highest temperature in the high-temperature surface 22.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local overheating in the ultra-high temperature surface 22a. By preventing local overhea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rmal deformation of the configuration around the heater 20 or malfunction of the mechanism.

최대온도는 장시간 지속될 경우 히터(20) 주위 구성에 열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온도로, 히터(20)가 과열된 상태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20) 온도가 최대온도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히터(20)로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The maximum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that can cause thermal deformation in the surrounding configuration of the heater 20 when it continues for a long time, and may mean a temperature in a state in which the heater 20 is overhe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power supply and cut-off to the heater 2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is maintained below the maximum temperature.

도 5 및 7을 참고하면, 온도센서(40)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30), 온도센서(40)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제1 시간(t1)동안 히터(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2 시간(t2)동안 히터(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주기(P1)로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S50), 제1 주기(P1) 내에 온도센서(40)로 히터(20)의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센서(40)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50), 제1 주기(P1) 내에 온도센서(40)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제3 시간(t3)동안 히터(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4 시간(t4)동안 히터(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주기(P2)로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시간(t2)에 대한 제1 시간(t1)의 비는 제4 시간(t4)에 대한 제3 시간(t3)의 비보다 작을 수 있다. 5 and 7,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temperature (S30), if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temperature, during the first time (t1) Blocking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20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 in a first cycle P1 of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20 for a second time t2 (S50), Step (S50)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with the temperature sensor 40 within the first period (P1)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temperature (S50), the first period (P1)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in the insid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20 is cut off for the third time t3,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20 for the fourth time t4. It may include a step (S60) of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 in two cycles (P2), wherein the ratio of the first time (t1) to the second time (t2) is the fourth time (t4) It may be smaller than the ratio of the third time t3 to .

사용자가 온풍 신호를 입력하면, 히터(20)로 전원이 공급되어 히터(20)가 발열하고(S10), 히터(20)가 발열하는 동안 온도센서(40)는 히터(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S20). 제어부(미도시)는 온도센서(40)에 측정된 온도와 설정온도의 대소비교를 통해, 온도센서(40)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30). When the user inputs a hot air signal,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20 so that the heater 20 generates heat (S10), and the temperature sensor 4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while the heater 20 generates heat (S10). It can be done (S20).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and the set temperature (S30).

설정온도는 팬(30)의 RPM, 히터(20)로 유동하는 공기(a)의 온도, 히터(20)로 유동하는 유량 등에 대응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 값일 수 있다. The set temperature may be a value experimentally 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RPM of the fan 30 , the temperature of the air a flowing to the heater 20 , the flow rate flowing to the heater 20 , and the like.

특히, 설정온도는 최대온도 미만의 온도일 수 있다. 히터(20)의 잔류 열과 온도센서(40)의 둔감한 온도 센싱으로 인해 히터(20)의 발열 과정에서 히터(2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그러나, 설정온도가 최대온도 미만일 경우 히터(20)의 잔열과 온도센서의 둔감한 온도 센싱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온도 상승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t temperature may be a temperature less than the maximum temperature. Due to the residual heat of the heater 20 and the insensitive temperature sensing of the temperature sensor 40 ,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may rise above the set temperature during the heating process of the heater 20 . However, when the set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maximum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temperature rise that may occur from residual heat of the heater 20 and insensitive temperature sensing of the temperature sensor.

이때 온도센서(40)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우선적으로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히터(20)는 히터(20)로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함으로써 냉각될 수 있다. 이후 온풍이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히터(20)로 전원을 공급하여 히터(20)를 다시 발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주기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히터(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measured above the set temperature,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 may be preferentially cut off.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 is cut off, the heater 20 may be cooled by exchanging heat with air flowing to the heater 20 . Thereafter,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heater 20 so that the warm air is smoothly discharged to re-heat the heater 20 . As described above, by periodically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er 20 from being overheated.

즉, 온도센서(40)에 설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측정되면, 제1 시간(t1)동안 히터(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2 시간(t2)동안 히터(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주기(P1)로 히터(20)에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함으로써 히터(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40).That is, when a temperature above the set temperature i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the first time (t1)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20) and to supply power to the heater (20) for a second time (t2) By cutting off and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20 in one cycle P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er 20 from being overheated (S40).

그러나, 제1 주기(P1)의 진행 중에도 설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측정되면(S50), 제1 주기(P1)를 변경하여 히터(20)로의 전원 차단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제1 주기(P1)내에 설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측정되면 히터(20)로의 전원 공급 시간 대비 전원 차단 시간을 늘릴 수 있다.However, if a temperat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temperature is measured even during the first period P1 ( S50 ), the time for shutting off power to the heater 20 may be increased by changing the first period P1 . Accordingly, when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is measured within the first period P1 , the power cut-off time may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power supply time to the heater 20 .

즉, 제1 주기(P1)와 비교하여 히터(20)로의 전원 공급 시간 대비 전원 차단 시간이 더 늘어난 제2 주기(P2)로 히터(20)로 전원을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주기(P1)에서 제2 주기(P2)로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히터(20)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S60).That is,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 may be controlled in the second cycle P2 in which the power cut-off time compared to the power supply time to the heater 20 is longer than that of the first cycle P1 . By changing the cycle from the first cycle P1 to the second cycle P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er 20 from being overheated above the set temperature (S60).

한편, 블로어(1) 제어방법은 히터(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유량이 기준유량보다 작으면 제2 시간(t2) 대비 제1 시간(t1)이 늘어나도록 제1 주기(P1)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유량이 기준유량보다 크면 제1 시간(t1) 대비 제2 시간(t2)이 늘어나도록 제1 주기(P1)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lower (1) control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20, and when the measured flow ra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flow rate, the first time (t1)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second time (t2). Changing the first period (P1), when the measured flow rat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flow rate, changing the first period (P1) to increase the second time (t2) compared to the first time (t1) have.

기준유량은 팬(30)의 RPM, 히터(20)의 온도, 블로어(1)로 흡입되는 공기(a)의 온도 등에 대응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되어 기설정된 임의의 값일 수 있다.The reference flow rate may be an arbitrary value determined experimentally in response to the RPM of the fan 30 ,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 the temperature of the air a sucked into the blower 1 , and the like.

상기 측정된 유량이 기준유량보다 작으면 히터(20)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량이 감소하여 히터(20)가 과열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20)로의 전원 공급 시간 대비 전원 차단 시간을 늘려 히터(2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유량이 기준유량보다 크면 히터(20)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량이 증가하여 히터(20)의 온도가 최소온도 이하로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20)로의 전원 차단 시간 대비 전원 공급 시간을 늘려 블로어(1)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measured flow rat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flow rate, the amount of heat exchange between the heater 20 and air is reduced, and thus the heater 20 may be overhe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heater 20 by increasing the power cut-off time compared to the power supply time to the heater 20 . In addition, when the measured flow rat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flow rate, the amount of heat exchange between the heater 20 and the air increases,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may decrease below the minimum temperatur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blower 1 by increasing the power supply time compared to the power cut-off time to the heater 20 .

한편, 블로어(1) 제어방법은 히터(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히터(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표준온도보다 작으면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단계, 히터(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표준온도보다 크면,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ower (1) control method is a step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heater (20), if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heater (20) is less than the standard temperatur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 The step of increasing, if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er 20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temperature, it may include the step of reduc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

표준온도는 팬(30)의 RPM, 히터(20)의 온도, 히터(20)로 유동하는 공기(a)의 유량 등에 대응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 값일 수 있다.The standard temperature may be an experimentally determin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RPM of the fan 30 ,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 the flow rate of the air a flowing to the heater 20 , and the like.

표준온도 미만의 공기가 히터(20)로 유입되면 히터(20)에 의해 가열되더라도 따뜻한 공기가 토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을 증가시켜 블로어(1)로부터 따뜻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준온도 이상의 공기가 히터(20)로 유입되면 히터(20)에 의해 과열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으므로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을 감소시켜 블로어(1)로부터 온풍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When air below the standard temperature is introduced into the heater 20, warm air may not be discharged even if it is heated by the heater 20, so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 is increased to discharge warm air from the blower 1 can make it happen In addition, when air having a standard temperature or higher flows into the heater 20, the air overheated by the heater 20 may be discharged. can

도 6 및 7을 참고하면, 제2 주기(P2) 내에 온도센서(40)는 히터(20)의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센서(40)에 측정된 온도가 최소온도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S70). 제어부(미도시)는 온도센서(40)에 측정된 온도와 최소온도의 대소비교를 통해, 온도센서(40)에 측정된 온도가 최소온도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S70). 6 and 7 , the temperature sensor 4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within the second period P2 and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temperature (S70). ).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minimum temperature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and the minimum temperature (S70).

최소온도는 블로어(1)의 온풍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히터(20)의 온도를 말한다. 최소온도는 팬(30)의 RPM, 히터(20)의 온도, 히터(20)로의 유량 등의 인자를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 임의의 값일 수 있다.The minimum temperature refers to the minimum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required to secure the warm air performance of the blower 1 . The minimum temperature may be any value experimental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factors such as the RPM of the fan 30 ,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 and the flow rate to the heater 20 .

온도센서(40)에 측정된 온도가 최소온도 이하이면, 제5 시간(t5)동안 히터(2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6 시간(t6)동안 히터(2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3 주기(P3)로 히터(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4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temperature,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20 for a fifth time t5, and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20 is cut off for a sixth time t6. It may include a step (S80) of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20 in three cycles (P3).

히터(20)로의 전원 공급 시간보다 전원 차단 시간이 더 긴 제2 주기(P2)가 진행됨에 따라, 히터(20)의 온도는 최소온도 이하로 낮아질 수 있다. 최소온도 이하로 히터(20)의 온도가 낮아질 경우 블로어(1)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제3 시간(t3)에 대한 제4 시간(t4)의 비는 제6 시간(t6)에 대한 제5 시간(t5)의 비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3 주기(P3)는 제2 주기(P2)와 비교하여, 히터(20)로의 전원 차단 시간 대비 전원 공급 시간이 더 늘어난 주기이다. 제2 주기(P2)에서 제3 주기(P3)로 전원 공급 및 차단 주기를 변경하여 히터(20)의 냉각보다 가열을 더 오래 함으로써 히터(20)의 온도가 최소온도 이하로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로어(1)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s the second cycle P2 in which the power cut-off time is longer than the power supply time to the heater 20 proceed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may be lowered to below the minimum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is lowered below the minimum temperature, the performance of the blower 1 may be deteriorated. In particular, the ratio of the fourth time t4 to the third time t3 may be smaller than the ratio of the fifth time t5 to the sixth time t6. That is, the third cycle P3 is a cycle in which the power supply time is longer than the power cut-off time to the heater 20 compared to the second cycle P2 . By changing the power supply and cut-off cycle from the second cycle (P2) to the third cycle (P3) to make heating longer than cooling the heater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from decreasing below the minimum temperature. ca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blower (1).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2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가 스위치(50)를 통해 히터(20)로의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였을 때, 온도센서(40)에 측정되는 히터(20)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8 is a temperature sensor 40 when the controller (not shown) cuts off and supplies power to the heater 20 through the switch 50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heater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20 measured in.

제1 곡선(a1)은 히터(20)로의 전원을 51초 동안 공급하고 9초 동안 차단하는 주기로 제어하였을 때의 곡선이고, 제2 곡선(a2)은 히터(20)로의 전원을 42초 동안 공급하고 18초 동안 차단하는 주기로 제어하였을 때의 곡선이고, 제3 곡선(a3)은 히터(20)로의 전원을 35초 동안 공급하고 25초 동안 차단하는 주기로 제어하였을 때의 곡선이고, 제4 곡선(a4)은 히터(20)로의 전원을 30초 동안 공급하고 30초 동안 차단하는 주기로 제어하였을 때의 곡선이다. 이를 통해 블로어(1) 제어방법에 의해 히터(20)의 과열이 방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The first curve (a1) is a curve when the power to the heater 20 is supplied for 51 seconds and the cycle is controlled to cut off for 9 seconds, and the second curve (a2) is when the power to the heater 20 is supplied for 42 seconds. And it is a curve when the control is performed in a period to cut off for 18 seconds, and the third curve (a3) is a curve when the power to the heater 20 is supplied for 35 seconds and controlled in a cycle to cut off for 25 seconds, and the fourth curve ( a4) is a curv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20 for 30 seconds and controlled in a cycle of shutting off for 30 seconds.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overheating of the heater 20 is prevented by the blower 1 control method.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Any or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Certain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their respective configurations or functions.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it means that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specific embodiment and/or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and/or drawings. That is, even if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mponents is not directly described, it means that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for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블로어
10 : 하우징
11 : 흡입구
15 : 토출구
20 : 히터
21, 22 : 저온면, 고온면
25 : 풍량계
30 : 팬
40 : 온도센서
50 : 스위치
1: blower
10: housing
11: intake
15: outlet
20: heater
21, 22: low temperature side, high temperature side
25: wind meter
30: fan
40: temperature sensor
50 : switch

Claims (16)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발열 가능한 히터;
상기 히터를 통과하도록 공기를 압송하는 팬;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및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제1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2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주기로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주기 내에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1 주기에서 제3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4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주기로 상기 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시간에 대한 상기 제1 시간의 비는 상기 제4 시간에 대한 상기 제3 시간의 비보다 작은 블로어.
a housing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heat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apable of generating heat;
a fan for pumping air through the heater;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housing to measure a temperature of the heater;
a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er to supply or cut off power to the heater; and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 in a first cycle of cutting off power supply to the heater for a first time and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for a second time, and ,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ithin the first perio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cuts off power supply to the heater for a third time in the first period, and supplies power to the heater for a fourth time perio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itch in a second cycle,
the ratio of the first time to the second time is less than the ratio of the third time to the fourth ti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주기 내에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온도가 최소온도 이하이면, 제5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6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3 주기로 상기 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3 시간에 대한 상기 제4 시간의 비는 상기 제6 시간에 대한 상기 제5 시간의 비보다 작은 블로어.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ithin the second perio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supplies power to the heater for a fifth time and cuts off power supply to the heater for a sixth perio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itch,
the ratio of the fourth time to the third time is less than the ratio of the fifth time to the sixth ti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시간에 대한 온도의 변화율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시간 대비 상기 제2 시간이 늘어나도록 상기 제1 주기를 변경하는 블로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ime,
When the rate of chang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rate of change,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first cycle to increase the second time compared to the first tim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보다 크면, 상기 제2 시간 대비 상기 제1 시간이 늘어나도록 상기 제1 주기를 변경하는 블로어.
4.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measured rate of chan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ate of change,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first cycle to increase the first time compared to the second ti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하류에는 상기 팬에 의해 상기 히터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풍량계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유량이 기준유량보다 작으면, 상기 제2 시간 대비 상기 제1 시간이 늘어나도록 상기 히터의 제1 주기를 변경하는 블로어.
The method of claim 1,
An air flow mete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o the heater by the fan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suction port,
When the measured flow ra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flow rate, the controller changes the first cycle of the heater to increase the first time compared to the second ti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구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정음 릴레이로 구비되는 블로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tch is a blower provided with a silent relay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in the driving proces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히터의 표면 중 상기 토출구에 인접한 영역에 접촉하는 블로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temperature sensor is a blower in contact with a region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surface of the hea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하류에는 흡기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기온도센서에 측정된 온도가 표준온도보다 작으면,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량이 증가하도록 제어하는 블로어.
The method of claim 1,
An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intake port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port,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the standard temperatur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to increas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기온도센서에 측정된 온도가 표준온도보다 크면,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블로어.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temperatur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to decrease.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히터를 발열시키는 단계;
온도센서로 상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제1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2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주기로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주기 내에 상기 온도센서로 상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기 내에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상기 히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제3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4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주기로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에 대한 상기 제1 시간의 비는 상기 제4 시간에 대한 상기 제3 시간의 비보다 작은 블로어 제어방법.
heating the heater by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with a temperature sensor;
If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temperature,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in a first cycle of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for a first time and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for a second time ;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with the temperature sensor within the first period;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ithin the first period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heater is cut off for a third time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for a fourth time. Includ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The ratio of the first time to the second time is smaller than the ratio of the third time to the fourth tim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기 내에 상기 온도센서로 상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기 내에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상기 히터의 온도가 최소온도 이하이면, 제5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6 시간동안 상기 히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3 주기로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시간에 대한 상기 제4 시간의 비는 상기 제6 시간에 대한 상기 제5 시간의 비보다 작은 블로어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with the temperature sensor within the second period;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ithin the second perio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temperature, the heater in a third period of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for a fifth time and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for a sixth time. Includ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The ratio of the fourth time to the third time is smaller than the ratio of the fifth time to the sixth tim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시간에 대한 상기 히터의 온도 변화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시간 대비 상기 제2 시간이 늘어나도록 상기 제1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로어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ing the temperature change rate of the heater with respect to time; and
When the rate of chang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less than the reference rate of change, the bl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hanging the first period to increase the second time compared to the first tim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보다 크면, 상기 제2 시간 대비 상기 제1 시간이 늘어나도록 상기 제1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로어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change rat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rate of change, the bl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hanging the first period to increase the first time compared to the second tim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유량이 기준유량보다 작으면, 상기 제2 시간 대비 상기 제1 시간이 늘어나도록 상기 제1 주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로어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measuring a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and
When the measured flow ra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flow rate, the bl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hanging the first period to increase the first time compared to the second tim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히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표준온도보다 작으면,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로어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measuring a temperat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heater;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er is lower than the standard temperature, the bl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increas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표준온도보다 크면,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로어 제어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eater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temperature, the blower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duc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KR1020210000472A 2021-01-04 2021-01-04 Blower KR202200986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472A KR20220098603A (en) 2021-01-04 2021-01-04 Bl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472A KR20220098603A (en) 2021-01-04 2021-01-04 Bl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603A true KR20220098603A (en) 2022-07-12

Family

ID=8242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472A KR20220098603A (en) 2021-01-04 2021-01-04 Bl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8603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154B1 (en) 2016-08-16 2017-01-04 주식회사 크레젠 A Thermo-Hygrostat Heater use for Variable output type
KR101982781B1 (en) 2019-03-05 2019-05-27 주식회사 히트인덕션 Output control device of 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heating cycle according to the cooking ti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154B1 (en) 2016-08-16 2017-01-04 주식회사 크레젠 A Thermo-Hygrostat Heater use for Variable output type
KR101982781B1 (en) 2019-03-05 2019-05-27 주식회사 히트인덕션 Output control device of electric range for controlling the heating cycle according to the cooking ti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849B1 (en) Air-conditioning seat
JP2014228252A (en) Heat exchange unit and human body private cleaning device
US20120079948A1 (en) Cooking appliance
KR20180130471A (en) Heating device and hot water supplying device
JP2010002078A (en) Hot water supply device, control device of hot water supply device, and control device of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electrically-driven elements
KR20220098603A (en) Blower
WO2018185938A1 (en) Heating medium circulation system
JP2007064567A (en) Heating apparatus
CN110879077A (en) Sensor unit for vehicle
US1154314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a climate control system
JP2021156469A (en) Bathroom heating dryer
JP7295474B1 (en) heating system
CN108350892B (en) Pump switching based on throughput determined by thermal flow meter
WO2018173218A1 (en) Heat medium circulation system
JP6780622B2 (en) Hot water floor heating system
KR20230166889A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375577Y1 (en) Hair Dryer
JP2017023526A (en) Futon dryer
JP2018169100A (en) Double chamber heating system
KR100382424B1 (en) Register of blower motor for heat exchanger
JP2009019845A (en) Hot water utilizing system
JP4549242B2 (en) Air conditioner
US20200088419A1 (en) Air conditioner unit and thermostat assembly
JP6748901B2 (en) Heating system
KR20050017307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