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181A - 업링크 신호에 대한 공간적 관계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업링크 신호에 대한 공간적 관계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181A
KR20220098181A KR1020227018964A KR20227018964A KR20220098181A KR 20220098181 A KR20220098181 A KR 20220098181A KR 1020227018964 A KR1020227018964 A KR 1020227018964A KR 20227018964 A KR20227018964 A KR 20227018964A KR 20220098181 A KR20220098181 A KR 20220098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signal
index
coreset
component carrier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 가오
자오후아 루
유 녹 리
케 야오
수주안 장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9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04B7/0696Determining beam pairs
    • H04B7/06962Simultaneous selection of transmit [Tx] and receive [Rx] beams at both sides of a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04B7/06968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using quasi-colocation [QCL] betwee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업링크 신호에 대한 공간적 관계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방법은,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제1 업링크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 및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결정된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링크 신호에 대한 공간적 관계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이 문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링크 신호에 대한 공간적 관계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역 또는 초광역 스펙트럼 리소스의 비용으로서, 극도로 높은 주파수에 의해 야기되는 상당한 전파 손실이 눈에 띄는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노드에 대한, 예를 들면, 최대 1024 개까지의 안테나 엘리먼트인 대규모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을 사용하는 안테나 어레이 및 빔포밍(beam-forming; BF) 트레이닝 기술이 채택되어, 빔 정렬을 달성하고 충분히 높은 안테나 이득을 획득하였다. 또한,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여전히 이익을 얻으면서 낮은 구현 비용을 유지하기 위해, 아날로그 위상 시프터는 mmWave 빔포밍을 구현하는 데 매우 매력적으로 되고 있다. 아날로그 위상 시프터를 채택할 때, 제어 가능한 위상의 개수가 유한하게 되고 이들 안테나 엘리먼트에 대해 일정한 모듈러스 제약이 가해진다. 사전 명시된 빔 패턴이 주어지면, 가변 위상 시프트 기반의 BF 트레이닝은 일반적으로 후속하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최상의 패턴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 1은 하나의 송수신 지점(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및 하나의 유저 기기(user equipment; UE)를 갖는 경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완전히 검은색에 의해 커버되는 빔은 업링크/다운링크 송신에 기초한 송신을 위해 선택된다.
5G 뉴 라디오(new radio; NR)에서는, 고주파 통신의 강건성(robustness)을 보장하기 위해 이동 통신에 아날로그 빔포밍이 먼저 도입된다. 대응하는 아날로그 빔포밍 지시(indication)(빔 지시로서 또한 지칭됨)는 다운링크(downlink; DL) 및 업링크(uplink; UL) 송신 둘 모두를 수반한다. UL 송신을 위해, UL 제어 채널, 즉,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및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에 대한 빔 지시를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상위 계층(higher layer) 파라미터 spatialRelationInfo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적 관계 정보가 도입되었다. 게다가, UL 데이터 채널, 즉,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 대한 빔 지시는, NR 기지국(즉, gNB)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하나 이상의 SRS 리소스와 UL 데이터 채널의 안테나 포트 사이의 매핑을 통해 달성된다. 즉, UL 데이터 채널에 대한 빔 구성은, 그에 따라, SRS 리소스와 안테나 포트 사이의 공간적 관계 정보 연관화(association)/매핑 정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빔 지시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상위 계층 파라미터를 도입하는 것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의 오버헤드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 문서는 업링크 신호에 대한 공간적 관계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방법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제1 업링크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 및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결정된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는 것.
다양한 실시형태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피쳐를 구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구성 지시자(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상태가 복수의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인덱스를 갖는 경우, 제1 업링크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공간 파라미터의 준 공동 위치(Quasi co-location; QCL) 타입과 연관되는 RS 인덱스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경로 손실 RS를 포함하고,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포함하고, 무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엘리먼트(control element; CE)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간적 관계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사운딩 기준 신호(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또는 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는 공간 도메인 필터, 송신 구성 지시자(TCI) 상태 또는 준 공동 위치(QCL) 가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제1 업링크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 및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는 동일한 CORESET 풀(pool) 인덱스 또는 동일한 CORESET 그룹과 연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경우, 제1 업링크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가 구성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제1 업링크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CORESET 또는 PDCCH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CORESET 또는 PDCCH는 제1 업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목표 전력, 폐루프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목표 전력은 목표 전력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폐루프 인덱스는, 폐루프 인덱스의 범위 내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폐루프 인덱스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적용되는 TCI 상태 또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해 적용되는 TCI 상태의 RS 또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한 QCL 가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의 RS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SRS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SRS의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scaling factor), 전력 제어 조정 상태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SRS의 목표 전력 또는 스케일링 계수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파라미터에 의해 구성되는 SRS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SRS의 전력 제어 조정 상태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송신의 전력 제어 조정 상태와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SRS의 경로 손실 RS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해 적용되는 TCI 상태의 RS 또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한 QCL 가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SRS의 경로 손실 RS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의 RS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 폐루프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목표 전력은, SRS 리소스 지시자(SRS resource indicator; SRI)와 PUSCH 전력 제어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세트 또는 목표 전력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스케일링 계수는, SRI와 PUSCH 전력 제어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세트 또는 스케일링 계수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폐루프 인덱스는, 폐루프 인덱스의 범위 내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경로 손실 RS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와 연관되는 SRS와 연관되는 경로 손실 RS에 따라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는 경로 손실 RS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공간적 관계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SRS, PUSCH 또는 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경로 손실 RS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와 연관되는 SRS의 경로 손실 RS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비코드북 송신(non-codebook transmission) 또는 코드북 송신(codebook transmission)을 위한 SRS는 경로 손실 RS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단말은 TCI 상태를 활성화하기 위한 MAC-CE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하거나 또는 TCI 상태에 대한 구성 커맨드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활성화하기 위한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MAC CE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구성 커맨드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 또는 폐루프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업링크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CCH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공간적 관계는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1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제1 업링크 신호의 공간적 관계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업링크 신호의 공간적 관계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1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제1 업링크 신호는 업링크 송신에 대해 우선된다(prioritized).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1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제2 업링크 신호는 업링크 송신이 억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는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보다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고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고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및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컴포넌트 캐리어 그룹 또는 대역폭 부분 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는 다운링크 신호의 송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운링크 신호는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에 따라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운링크 신호는,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보다 더 늦지 않은 가장 마지막 슬롯 내의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은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첫 번째 슬롯 또는 제1 업링크 신호와 완전히 중첩하는 첫 번째 슬롯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은 제1 업링크 신호의 슬롯과 중첩하는 마지막 슬롯 또는 제1 업링크 신호의 슬롯과 완전히 중첩하는 마지막 슬롯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슬롯 n에서 송신되고, 다운링크 신호는 슬롯 m에서 송신되고, m은
Figure pct00001
보다 더 작거나 또는 동일한데, μDL은 다운링크 신호 또는 다운링크 슬롯의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μUL은 업링크 신호 또는 업링크 슬롯의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슬롯 n에서 송신되고, 다운링크 신호는 슬롯
Figure pct00002
보다 더 늦지 않은 가장 마지막 슬롯에서 송신되는데, μDL은 다운링크 신호 또는 다운링크 슬롯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μUL은 업링크 신호 또는 업링크 슬롯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본 개시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방법은, 무선 단말로부터, 제1 업링크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피쳐를 구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구성 지시자(TCI) 상태가 복수의 기준 신호(RS) 인덱스를 갖는 경우, 제1 업링크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공간 파라미터의 준 공동 위치(QCL) 타입과 연관되는 RS 인덱스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경로 손실 RS를 포함하고,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포함하고,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엘리먼트(CE)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간적 관계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사운딩 기준 신호(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또는 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는 공간 도메인 필터, 송신 구성 지시자(TCI) 상태 또는 준 공동 위치(QCL) 가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제1 업링크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 및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는 동일한 CORESET 풀 인덱스 또는 동일한 CORESET 그룹과 연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경우, 제1 업링크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가 구성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제1 업링크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CORESET 또는 PDCCH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CORESET 또는 PDCCH는 제1 업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목표 전력, 폐루프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목표 전력은 목표 전력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폐루프 인덱스는, 폐루프 인덱스의 범위 내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폐루프 인덱스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적용되는 TCI 상태 또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해 적용되는 TCI 상태의 RS 또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한 QCL 가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의 RS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SRS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SRS의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 전력 제어 조정 상태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SRS의 목표 전력 또는 스케일링 계수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파라미터에 의해 구성되는 SRS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SRS의 전력 제어 조정 상태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송신의 전력 제어 조정 상태와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SRS의 경로 손실 RS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해 적용되는 TCI 상태의 RS 또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한 QCL 가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SRS의 경로 손실 RS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의 RS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 폐루프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목표 전력은, SRS 리소스 지시자(SRS resource indicator; SRI)와 PUSCH 전력 제어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세트 또는 목표 전력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스케일링 계수는, SRI와 PUSCH 전력 제어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세트 또는 스케일링 계수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폐루프 인덱스는, 폐루프 인덱스의 범위 내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경로 손실 RS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와 연관되는 SRS와 연관되는 경로 손실 RS에 따라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는 경로 손실 RS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공간적 관계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SRS, PUSCH 또는 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경로 손실 RS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와 연관되는 SRS의 경로 손실 RS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고, 비코드북 송신 또는 코드북 송신을 위한 SRS는 경로 손실 RS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TCI 상태를 활성화하기 위한 MAC-CE 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하거나 또는 TCI 상태에 대한 구성 커맨드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활성화하기 위한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MAC CE 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구성 커맨드를 송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 또는 폐루프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업링크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을, 무선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CCH를 포함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공간적 관계는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1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제1 업링크 신호의 공간적 관계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업링크 신호의 공간적 관계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1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제1 업링크 신호는 업링크 송신에 대해 우선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1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제2 업링크 신호는 업링크 송신이 억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는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보다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고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고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컴포넌트 캐리어 및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컴포넌트 캐리어 그룹 또는 대역폭 부분 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는 다운링크 신호의 송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운링크 신호는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에 따라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운링크 신호는,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보다 더 늦지 않은 가장 마지막 슬롯 내의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은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첫 번째 슬롯 또는 제1 업링크 신호와 완전히 중첩하는 첫 번째 슬롯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은 제1 업링크 신호의 슬롯과 중첩하는 마지막 슬롯 또는 제1 업링크 신호의 슬롯과 완전히 중첩하는 마지막 슬롯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슬롯 n에서 송신되고, 다운링크 신호는 슬롯 m에서 송신되고, m은
Figure pct00003
보다 더 작거나 또는 동일한데, μDL은 다운링크 신호 또는 다운링크 슬롯의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μUL은 업링크 신호 또는 업링크 슬롯의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업링크 신호는 슬롯 n에서 송신되고, 다운링크 신호는 슬롯
Figure pct00004
보다 더 늦지 않은 가장 마지막 슬롯에서 송신되는데, μDL은 다운링크 신호 또는 다운링크 슬롯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μUL은 업링크 신호 또는 업링크 슬롯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본 개시는 무선 단말에 관한 것이다. 무선 단말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제1 업링크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결정된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다양한 실시형태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피쳐를 구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는 또한 전술한 무선 통신 방법의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무선 단말로부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제1 업링크 신호 - 제1 업링크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업링크 신호와 연관됨 - 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다양한 실시형태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피쳐를 구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전술한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는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으로,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전술한 무선 통신 방법을 구현하게 한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첨부의 도면과 연계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여 쉽게 명백해질 피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예시적인 시스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본원에서 개시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형태는 제한이 아닌 예로서 제시되는 것이다는 것이 이해되며, 개시된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남아 있는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본 개시를 판독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원에서 설명되고 예시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 및 애플리케이션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가적으로, 본원에서 개시되는 방법에서의 단계의 특정한 순서 및/또는 계층 구조(hierarchy)는 예시적인 접근법에 불과하다. 설계 선호도에 기초하여, 개시된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단계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남아 있는 동안 재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방법 및 기술이 샘플 순서의 다양한 단계 또는 행위를 제시한다는 것, 및 본 개시는,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제시되는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및 다른 양태 및 그들의 구현은 도면,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하나의 PRP와 하나의 UE의 경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의 개략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개략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컴포넌트 캐리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컴포넌트 캐리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컴포넌트 캐리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20)의 개략도에 관한 것이다. 무선 단말(20)은 유저 기기(user equipment; UE), 이동 전화, 랩탑, 태블릿 컴퓨터, 전자 책 또는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일 수도 있으며, 본원에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무선 단말(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와 같은 프로세서(200), 스토리지 유닛(210) 및 통신 유닛(2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토리지 유닛(210)은 프로세서(200)에 의해 액세스되고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212)를 저장하는 임의의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스토리지 유닛(212)의 실시형태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RAM), 하드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통신 유닛(220)는 트랜스시버일 수도 있고, 프로세서(200)의 프로세싱 결과에 따라 신호(예를 들면, 메시지 또는 패킷)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통신 유닛(220)은 도 2에서 도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22)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스토리지 유닛(210) 및 프로그램 코드(212)는 생략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200)는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스토리지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0)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 코드(212)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무선 단말(20) 상에서 예시화된 실시형태의 단계 중 임의의 하나의 단계를 구현할 수도 있다.
통신 유닛(220)는 트랜스시버일 수도 있다. 통신 유닛(220)은,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기지국)로 그리고 그로부터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송신 유닛 및 수신 유닛을 결합하고 있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노드(30)의 개략도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30)는 기지국(base station; BS), 네트워크 엔티티,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게이트웨이(Gateway)(P-GW), 또는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adio Network Controller; RNC)일 수도 있으며, 본원에서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ASIC과 같은 프로세서(300), 스토리지 유닛(310) 및 통신 유닛(3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토리지 유닛(310)은 프로세서(300)에 의해 액세스되고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312)를 저장하는 임의의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스토리지 유닛(312)의 예는 SIM, ROM, 플래시 메모리, RAM, 하드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통신 유닛(320)는 트랜스시버일 수도 있고, 프로세서(300)의 프로세싱 결과에 따라 신호(예를 들면, 메시지 또는 패킷)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 예에서, 통신 유닛(320)은 도 3에서 도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322)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스토리지 유닛(310) 및 프로그램 코드(312)는 생략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00)는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스토리지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00)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 코드(312)의 실행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노드(30) 상에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단계를 구현할 수도 있다.
통신 유닛(320)는 트랜스시버일 수도 있다. 통신 유닛(320)은,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무선 단말(예를 들면, 유저 기기)로 그리고 그로부터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송신 유닛 및 수신 유닛을 결합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빔"의 정의는 준 공동 위치(QCL) 상태, 송신 구성 지시자(TCI) 상태, 공간적 관계 상태(공간적 관계 정보 상태로서 또한 칭해짐), 기준 신호(RS), 공간 필터 또는 사전 코딩과 동등하다는 것을 유의한다. 구체적으로:
a) "Tx 빔"의 정의는 QCL 상태, TCI 상태, 공간적 관계 상태, DL/UL 기준 신호(예컨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이것은 SS/PBCH로서 또한 칭해짐),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Tx 공간 필터 또는 Tx 프리코딩과 동등하고;
b) "Rx 빔"의 정의는 QCL 상태, TCI 상태, 공간적 관계 상태, 공간 필터, Rx 공간 필터 또는 Rx 프리코딩과 동등하고;
c) "빔 ID"의 정의는 QCL 상태 인덱스, TCI 상태 인덱스, 공간적 관계 상태 인덱스, 기준 신호 인덱스, 공간 필터 인덱스 또는 프리코딩 인덱스와 동등하다.
구체적으로, "공간 필터"는 UE 측 또는 gNB 측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공간 필터는 공간 도메인 필터로서 또한 칭해진다.
본 개시에서, "공간적 관계 정보"는 하나 이상의 기준 RS로 구성되는데, 이것은 목표로 된 "RS 또는 채널"과 하나 이상의 기준 RS 사이의 동일한 또는 공동 위치의(quasi-co) "공간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유의한다.
본 개시에서, "공간적 관계"는 빔, 공간 파라미터, 또는 공간 도메인 필터를 의미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본 개시에서, "QCL 상태"는 하나 이상의 기준 RS 및 그들의 대응하는 QCL 타입 파라미터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QCL 타입 파라미터는 다음의 양태 또는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1) 도플러 확산, (2) 도플러 시프트, (3) 지연 확산, (4) 평균 지연, (5) 평균 이득 또는 (6) 공간 파라미터.
본 개시에서, "TCI 상태"는 "QCL 상태"와 동등하다.
본 개시에서, QCL 타입 D는 공간 파라미터 또는 공간 Rx 파라미터와 동등하다.
본 개시에서, UL 신호는 PUCCH, PUSCH, 또는 SRS일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본 개시에서, 시간 단위는 서브심볼, 심볼, 슬롯, 서브프레임, 프레임 또는 송신 기회일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본 개시에서, UL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목표 전력(P0로서 또한 칭해짐), 경로 손실 RS, 경로 손실에 대한 스케일링 계수(알파로서 또한 칭해짐), 또는 폐루프 인덱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본 개시에서, 경로 손실은 커플 손실일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본 개시에서, 모니터링된 DL 슬롯은 모니터링 CORESET를 갖는 슬롯, 또는 PDCCH 수신을 갖는 슬롯과 동등하다는 것을 유의한다.
본 개시에서, 컴포넌트 캐리어는 셀과 동등하다는 것을 유의한다.
본 개시에서, "~와 충돌한다(collide with)"는 "~와 중첩한다(overlap with)" 또는 "~와 연관된다(associated with)"와 동등하다는 것을 유의한다.
본 개시에서, 상위 계층 파라미터는 L1 레벨(예를 들면, 물리적 계층)보다 더 높은 레벨을 갖는 파라미터, 예를 들면, L2 레벨 파라미터, L3 레벨 파라미터,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파라미터,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엘리먼트(CE) 파라미터, 등등이다는 것을 유의한다.
상위 계층 파라미터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본 개시는 무선 단말/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그리고 공간적 관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상위 계층 파라미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컴포넌트 상에서의 업링크(UL)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송신 구성 지시자(TCI) 상태가 복수의 기준 신호(RS) 인덱스 또는 복수의 준 공동 위치(QCL) 타입을 갖는 경우, UL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공간 파라미터의 QCL 타입(즉, QCL 타입 D)과 연관되는 RS 인덱스가 사용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무선 단말이, UL 신호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경로 손실 RS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엘리먼트(CE)를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적어도 경로 손실 RS를 포함한다. 즉, 무선 단말이 UL 신호에서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MAC CE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 단말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에 의해 구성되지 않고 UL 신호의 경로 손실 RS를 결정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상위 계층 파라미터에 의해 구성되지 않고 결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위 계층 파라미터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DL 신호와 UL 신호 사이의 빔 거동을 정렬하기 위해,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동일한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DL) 신호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UL 신호는, 사운딩 기준 신호(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또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는, DL 신호(예를 들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의 공간 도메인 필터, TCI 상태 또는 준 공동 위치(QCL) 가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컴포넌트 캐리어가, 예를 들면, DL 신호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예를 들면, 식별 정보(ID))를 갖는 CORESET의 QCL 가정 또는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한 예에서,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가장 최근의 모니터링된 DL 슬롯의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QCL 가정 또는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데, 여기서 가장 최근의 모니터링된 DL 슬롯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갖는 DL 슬롯이고 UL 신호가 구성되는 슬롯보다 더 늦지 않다. 가장 최근의 모니터링된 DL 슬롯을 결정하는 세부 사항은 후속하는 단락에서 예시될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 및 UL 신호는 동일한 CORESET 풀 인덱스 또는 동일한 CORESET 그룹과 연관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CORESET는 UL 신호와 동일한 CORESET 풀 인덱스 또는 동일한 CORESET 그룹을 갖는 하나 이상의 CORESET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컴포넌트 캐리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에서, 컴포넌트 캐리어는 슬롯 n, n+1 및 n+2 각각에 대한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된다. 또한, 슬롯 n의 CORESETS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는 인덱스 0(즉, CORESET #0) 및 TCI 상태(TCI_1)를 갖는 CORESET이고, 슬롯 n+1의 CORESETS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는 인덱스 1(즉, CORESET #1) 및 TCI 상태(TCI_2)를 갖는 CORESET이고, 슬롯 n+2의 CORESETS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는 인덱스 0 및 TCI 상태(TCI_1)를 갖는 CORESET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가장 최근의 모니터링된 DL 슬롯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슬롯 n+1의 SRS(SRS_A)(즉,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가장 최근의 모니터링된 DL 슬롯 내지 SRS(SRS_A)의 슬롯 n+1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인 CORESET #1의 TCT 상태(TCI_2)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유사하게, 슬롯 n+2에서 PUCCH(PUCCH_A)(즉,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가장 최근의 모니터링된 DL 슬롯 내지 PUCCH(PUCCH_A)의 슬롯 n+2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인 CORESET #0의 TCT 상태(TCI_1)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컴포넌트 캐리어가 CORESET 없이 구성되는 경우(즉,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음),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DL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한 예에서, DL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가 구성되지 않거나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CORESET 또는 PDCCH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데, 여기서 CORESET 또는 PDCCH는 UL 신호를 스케줄링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DL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가 구성되지 않거나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CORESET 또는 PDCCH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데, 여기서 CORESET 또는 PDCCH는 제1 업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컴포넌트 캐리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에서,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 없이 구성되고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PDSCH(즉, DL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는 TCI 상태(TCI_1)이다. 컴포넌트 캐리어가 CORESET을 가지고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PDSCH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인 TCI 상태(TCI_1)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즉, 슬롯 n+1의 SRS(SRS_B)와 슬롯 n+2의 PUCCH(PUCCH_B)의 공간 정보는 TCI 상태(TCI_1)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상위 계층 파라미터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UL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예를 들면, PUSCH, PUCCH, 또는 SRS)는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되지 않고 결정된다.
UL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PUCCH를 포함하는 경우,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목표 전력(예를 들면, P0으로 명명될 수도 있음), 폐루프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목표 전력은 목표 전력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예를 들면, 0),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폐루프 인덱스는, 폐루프 인덱스의 범위 내의 특정한 인덱스(예를 들면, 0),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폐루프 인덱스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적용되는 TCI 상태 또는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DL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UL 신호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해 적용되는 TCI 상태의 RS 또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한 QCL 가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는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DL 신호(예를 들면, PDSCH)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의 RS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UL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SRS를 포함하는 경우,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SRS의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예를 들면, 알파로 명명될 수도 있음), 전력 제어 조정 상태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의 목표 전력은, 예를 들면, 상위 계층 파라미터(들)에 의해 구성되는 SRS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의 스케일링 계수는 또한 상위 계층 파라미터(들)에 의해 구성되는 SRS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SRS의 목표 전력 또는 스케일링 계수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파라미터에 의해 구성되는 SRS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의 전력 제어 조정 상태는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PUSCH 송신의 전력 제어 조정 상태와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SRS의 경로 손실 RS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해 적용되는 TCI 상태의 RS 또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한 QCL 가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SRS의 경로 손실 RS는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DL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의 RS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UL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는 경우,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 폐루프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목표 전력은, SRS 리소스 지시자(SRI) PUSCH 전력 제어 세트 또는 목표 전력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예를 들면, 0),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스케일링 계수는, 예를 들면, 상위 계층 파라미터(들)에 의해 구성되는 SRI-PUSCH 전력 제어 세트 또는 스케일링 계수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폐루프 인덱스는, 폐루프 인덱스의 범위 내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경로 손실 RS는, 적어도 하나의 PUSCH와 연관되는 SRS와 연관되는 경로 손실 RS에 따라 결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USCH는 경로 손실 RS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USCH와 연관되는 SRS는 코드북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SRS 또는 비코드북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SRS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SRS 리소스 세트에서 구성되는 하나보다 더 많은 SRS 리소스가 존재하는 경우, SRS와 적어도 하나의 PUSCH 사이의 연관화는 DCI의 SRS 리소스 지시자(SRI) 필드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한 실시형태에서, 경로 손실 RS(즉,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중 하나)가, 예를 들면, 상위 계층 파라미터에 의해, UL 신호에 대해 구성되는 경우, UL 신호의 경로 손실 RS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UL 신호의 경로 손실 RS를 결정하는 것의 결과에 의해 덮어쓰기될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TCI 상태가 복수의 RS 인덱스(예를 들면, 2 개의 RS 인덱스) 또는 복수의 QCL 타입(예를 들면, 2 개의 QCL 타입)을 갖는 경우, 공간 파라미터에 대해 구성되는 QCL 타입(예를 들면, QCL 타입 D)과 연관되는 RS 인덱스는 UL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UL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다음의 실시형태 (1) 내지 (5)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위 계층 파라미터(들)에 의해 구성되지 않고 결정될 수도 있다:
실시형태 (1): UL 신호는 공간적 관계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2): UL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2)의 한 예에서, UL 신호의 SRS, PUSCH 또는 PUCCH 중 적어도 하나는 경로 손실 RS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형태 (2)의 한 예에서, UL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PUSCH와 연관되는 SRS의 경로 손실 RS는 무선 단말에게 구성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2)의 한 예에서, UL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할 수도 있고, 비코드북 송신 또는 코드북 송신을 위한 SRS는 경로 손실 RS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3): 무선 단말은 TCI 상태를 활성화하기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엘리먼트(CE)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하거나 또는 TCI 상태에 대한 구성 커맨드를 수신한다.
실시형태 (4): 무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활성화하기 위한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MAC CE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구성 커맨드를 수신한다.
실시형태 (4)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 또는 폐루프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5): 무선 단말은 UL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실시형태 (5)에서, 시그널링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일 수도 있다. 더구나, 상위 계층 파라미터는 "enableDefaultBeamForUL" 또는 "enableDefaultPowerControlForUL" 중 하나일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무선 단말이 주어진 시간에 하나의 활성 DL 또는 UL 빔만을 지원하는 경우, UL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PUSCH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SRS에 대한 경로 손실 RS는, 무선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PUSCH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SRS에 대한 경로 손실 RS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MAC CE를 수신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무선 단말이 UL 신호에서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MAC CE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 단말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를 결정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공간적 관계는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의 한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UL 신호의 시간 단위는 서로 충돌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CC_A) 상의 UL 신호(U1)의 시간 단위는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CC_B) 상의 다른 UL 신호(U2)의 시간 단위와 충돌할 수도 있다. 그러한 조건 하에서, UL 신호(U1 및 U2)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UL 신호(U1 및 U2) 중 다른 하나로 변경할 것을 요구받을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컴포넌트 캐리어(CC_A) 상의 UL 신호(U1)의 시간 단위가 컴포넌트 캐리어(CC_B) 상의 UL 신호(U2)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UL 신호(U1 및 U2) 중 하나는 UL 송신에 대해 우선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컴포넌트 캐리어(CC_A) 상의 UL 신호(U1)의 시간 단위가 컴포넌트 캐리어(CC_B) 상의 UL 신호(U2)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UL 신호(U1 및 U2) 중 하나는 UL 송신이 억제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UL 신호는 더 작은(예를 들면, 더 낮은) 인덱스를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할 때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CC_A)의 인덱스가 컴포넌트 캐리어(CC_B)의 인덱스보다 더 작은 경우, UL 신호(U1)는 UL 송신에 대해 우선되고(예를 들면, UL 신호(U2)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짐),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UL 신호는 더 큰(예를 들면, 더 높은) 인덱스를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할 때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CC_A)의 인덱스가 컴포넌트 캐리어(CC_B)의 인덱스보다 더 큰 경우, UL 신호(U1)는 UL 송신에 대해 우선되고(예를 들면, UL 신호(U2)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짐),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컴포넌트 캐리어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CC_A)(즉, UL 신호(U1))는, 컴포넌트 캐리어(CC_A)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을 가지고 구성되고 컴포넌트 캐리어(CC_B)가 CORESET을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경우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한 실시형태에서,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CC_A)(즉, UL 신호(U1))는, 컴포넌트 캐리어(CC_B)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을 가지고 구성되고 컴포넌트 캐리어(CC_A)가 CORESET을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경우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한 실시형태에서,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UL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UL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CC_A) 상의 UL 신호(U1)의 시간 단위가 컴포넌트 캐리어(CC_B) 상의 UL 신호(U2)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그리고 컴포넌트 캐리어(CC_B)의 인덱스가 컴포넌트 캐리어(CC_A)의 것보다 더 작기 때문에 UL 신호(U2)가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경우, UL 신호(U1)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신호(U2)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예를 들면, 그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로서 설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는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UL 신호의 공간적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CC_A) 상의 UL 신호(U1)의 시간 단위가 컴포넌트 캐리어(CC_B) 상의 UL 신호(U2)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그리고, 컴포넌트 캐리어(CC_B)의 인덱스가 컴포넌트 캐리어(CC_A)의 것보다 더 크기 때문에 UL 신호(U2)가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경우, UL 신호(U1)의 공간적 관계는 UL 신호(U2)의 공간적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예를 들면, 그 공간적 관계로서 설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UL 신호는 UL 송신에 대해 우선된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CC_A) 상의 UL 신호(U1)의 시간 단위가 컴포넌트 캐리어(CC_B) 상의 UL 신호(U2)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그리고, 컴포넌트 캐리어(CC_A)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고 컴포넌트 캐리어(CC_B)가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UL 신호(U1)가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경우, UL 신호(U1)는 UL 송신에 대해 우선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UL 신호는 UL 송신이 억제된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CC_A) 상의 UL 신호(U1)의 시간 단위가 컴포넌트 캐리어(CC_B) 상의 UL 신호(U2)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그리고, 컴포넌트 캐리어(CC_A)가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고 컴포넌트 캐리어(CC_B)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기 때문에 UL 신호(U2)가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경우, UL 신호(U2)는 UL 송신이 억제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충돌되는 송신이 구성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예를 들면, 컴포넌트 캐리어(CC_A 및 CC_B))는 동일한 컴포넌트 캐리어 그룹에 및/또는 동일한 대역폭 부분에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컴포넌트 캐리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인덱스 1을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즉, CC#1)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고 인덱스 2를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CC#2)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다. 컴포넌트 캐리어(CC#2)의 경우, 활성화된 TCI 상태의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제1 엔트리는 TCI 상태(TCI_1)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UL 신호는 더 작은 인덱스를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할 때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롯 n+1에서 두 개의 SRS(즉, UL 신호)(SRS_C 및 SRS_D)가 스케줄링된다. 컴포넌트 캐리어(CC#1)가 더 작은 인덱스를 가지기 때문에, SRS(SRS_D)의 공간적 관계는 SRS(SRS_C)(즉, TCI 상태(TCI_2))의 것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더구나, SRS(SRS_D)의 경로 손실 RS는 SRS(SRS_C)의 것(예를 들면, CORSET#1의 QCL 타입 D RS)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또한, 슬롯 n+2에서 두 개의 PUSCH(즉, UL 신호)(PUSCH_C와 PUSCH_D)는 서로 충돌한다. SRI를 반송하는 PUSCH보다 앞서는 SRS 리소스의 가장 최근의 송신은 PUSCH의 송신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유의한다. 따라서, SRS(SRS_C 및 SRS_D)는, 각각, PUSCH(PUSCH_C 및 PUSCH_D)의 송신(예를 들면, 빔)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SRS(SRS_D)의 공간적 관계가 SRS(SRS_C)의 것에 기초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PUSCH(PUSCH_C 및 PUSCH_D)는 동일한 공간적 관계, 예를 들면, UL 빔을 가지며, 따라서, PUSCH(PUSCH_C 및 PUSCH_D) 둘 모두는 동시에 송신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UL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DL 신호의 송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DL 신호는 UL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UL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은 UL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보다 더 늦지 않은 가장 마지막 슬롯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RS(SRS_A)는 슬롯 n+1과 중첩하는데, 이것은 또한 SRS(SRS_A)와 중첩하는 슬롯보다 더 늦지 않은 DL 송신을 위한 가장 마지막 슬롯이다. 따라서, SRS(SRS_A)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는 슬롯 n+1의 CORESET#1(즉, DL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UL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은 다수의 DL 신호(예를 들면, 다수의 CORESET)를 가질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UL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DL 신호는, UL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의 DL 신호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예를 들면, 0)를 갖는 DL 신호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UL 송신 및 DL 송신은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한 조건 하에서, UL 신호(예를 들면, UL 신호의 슬롯)는 DL 신호의 다수의 슬롯과 중첩될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 UL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DL 신호는, UL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 내의 첫 번째 슬롯 또는 가장 마지막 슬롯으로부터 선택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UL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DL 신호는, UL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 내의 첫 번째 슬롯 또는 마지막 슬롯(예를 들면, UL 신호의 슬롯)으로부터 선택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UL 및 DL 송신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에서, DL 송신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UL 송신의 것의 두 배이며 하나의 UL 슬롯은 두 개의 DL 슬롯과 중첩한다. 예를 들면, DL 송신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120 kHz일 수도 있고 UL 송신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60 kHz일 수도 있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SRS(SRS_E)와 중첩하는 UL 송신의 슬롯 n은 DL 송신의 슬롯 2n 및 2n+1과 중첩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SRS(SRS_E)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는, SRS(SRS_E)의 슬롯과 중첩하는 첫 번째 슬롯인 슬롯 2n의 TCI 상태(TCI_1) 및/또는 CORESET#0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한 실시형태에서, SRS(SRS_E)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는 SRS(SRS_E)의 슬롯과 중첩하는 마지막 슬롯인 슬롯 2n+1의 TCI 상태(TCI_2) 및/또는 CORESET#1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슬롯 2n+1은 또한 SRS(SRS_E)의 슬롯 n보다 더 늦지 않은 가장 마지막 슬롯이다는 것을 유의한다.
한 실시형태에서, UL 신호는 슬롯 n에서 송신되고, 다운링크 신호는 슬롯 m에서 송신되고, m은
Figure pct00005
보다 더 작거나 또는 동일한데, μDL은 DL 신호 또는 DL 슬롯의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μUL은 UL 신호 또는 UL 슬롯의 서브캐리어 간격이며,
Figure pct00006
는 바닥 함수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UL 신호는 슬롯 n에서 송신되고, 다운링크 신호는 슬롯
Figure pct00007
보다 더 늦지 않은 가장 마지막 슬롯에서 송신되는데, μDL은 DL 신호 또는 DL 슬롯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μUL은 UL 신호 또는 UL 슬롯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Figure pct00008
는 바닥 함수이다.
한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중첩은 완전한 중첩 및/또는 부분적 중첩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상기에서 설명되었지만, 그들은 단지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제한으로서 제시된 것이 아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다이어그램은 예시적인 아키텍쳐 또는 구성을 묘사할 수도 있는데, 이들은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예시적인 피쳐 및 기능을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그러한 사람은, 본 개시가 예시된 예시적인 아키텍쳐 또는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대안적인 아키텍쳐 및 구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피쳐는 본원에 설명되는 다른 실시형태의 하나 이상의 피쳐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폭 및 범위는, 상기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형태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제1", "제2", 및 등등과 같은 명칭을 사용한 본원의 엘리먼트에 대한 임의의 언급은, 그들 엘리먼트의 양 또는 순서를 일반적으로 제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오히려, 이들 명칭은, 본원에서, 두 개 이상의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인스턴스 사이를 구별하는 편리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엘리먼트에 대한 언급이, 단지 두 개의 엘리먼트만이 활용될 수 있다는 것, 또는 제1 엘리먼트가 어떤 방식으로 제2 엘리먼트보다 반드시 선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추가적으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가 여러 가지 상이한 기술 및 기법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에서 언급될 수도 있는, 예를 들면, 데이터, 명령어,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및 기호는,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장 또는 입자, 광학장(optical field) 또는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숙련된 자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양태와 연관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 유닛, 프로세서, 수단, 회로, 방법 및 기능 중 임의의 것이, 전자 하드웨어(예를 들면, 디지털 구현예, 아날로그 구현예, 또는 둘의 조합), 펌웨어, 명령어를 통합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이것은 본원에서, 편의상,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유닛"으로 지칭될 수 있음), 또는 이들 기법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교환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 블록, 유닛, 회로, 및 단계가, 상기에서,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이들 기법의 조합으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에 의존한다. 숙련된 기술자는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나 그러한 구현 결정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의 일탈을 야기하지는 않는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디바이스, 컴포넌트, 회로, 구조체, 머신, 유닛, 등등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시된 동작 또는 기능과 연관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하도록 구성되는" 또는 "하기 위해 구성되는"은, 명시된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래밍되는 및/또는 배열되는 프로세서, 디바이스, 컴포넌트, 회로, 구조체, 머신, 유닛, 등등에 연관된다.
더구나, 숙련된 자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 유닛, 디바이스, 컴포넌트, 및 회로가, 범용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논리적 블록, 유닛, 및 회로는, 네트워크 내의 또는 디바이스 내의 다양한 컴포넌트와 통신하기 위해 안테나 및/또는 트랜스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그러나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서 하나 이상의 명령어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개시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코드를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옮기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 또는 소망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헌에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유닛"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본원에서 설명되는 연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들 엘리먼트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추가적으로, 논의의 목적을 위해, 다양한 유닛은 이산 유닛으로서 설명되지만; 그러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관 기능을 수행하는 단일의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유닛이 결합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메모리 또는 다른 스토리지뿐만 아니라, 통신 컴포넌트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 활용될 수도 있다. 명확성 목적을 위해, 상기의 설명은 상이한 기능 유닛 및 프로세서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기능 유닛, 프로세싱 로직 엘리먼트 또는 도메인 사이의 기능성의 임의의 적절한 분배가 본 개시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별개의 프로세싱 로직 엘리먼트,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도록 예시되는 기능성은 동일한 프로세싱 로직 엘리먼트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특정한 기능적 유닛에 대한 언급은, 엄격한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조 또는 편제(organization)를 나타내기 보다는, 설명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에 대한 언급에 불과하다.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구현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서 정의되는 일반적인 원리는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현예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원에서 나타내어지는 구현예로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원에서 개시되는 신규의 피쳐 및 원리와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를 부여받아야 한다.

Claims (111)

  1.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제1 업링크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결정된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송신 구성 지시자(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상태가 복수의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 인덱스를 갖는 경우,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상기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공간 파라미터의 준 공동 위치(Quasi co-location; QCL) 타입과 연관되는 RS 인덱스가 사용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경로 손실 RS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엘리먼트(control element; CE)를 수신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또는 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는 공간 도메인 필터, 송신 구성 지시자(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상태 또는 준 공동 위치(QCL) 가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 및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상기 CORESET는 동일한 CORESET 풀(pool) 인덱스 또는 동일한 CORESET 그룹과 연관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가 구성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상기 공간적 관계는 CORESET 또는 PDCCH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그리고
    상기 CORESET 또는 상기 PDCCH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목표 전력, 폐루프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상기 목표 전력은 목표 전력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상기 폐루프 인덱스는, 상기 폐루프 인덱스의 범위 내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인,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상기 폐루프 인덱스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적용되는 TCI 상태 또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상기 경로 손실 RS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해 적용되는 TCI 상태의 RS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상기 CORESET에 대한 QCL 가정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상기 경로 손실 RS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의 RS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SRS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의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scaling factor), 전력 제어 조정 상태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의 상기 목표 전력 또는 상기 스케일링 계수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파라미터에 의해 구성되는 SRS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의 상기 전력 제어 조정 상태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송신의 전력 제어 조정 상태와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의 상기 경로 손실 RS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해 적용되는 TCI 상태의 RS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상기 CORESET에 대한 QCL 가정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의 상기 경로 손실 RS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의 RS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2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 폐루프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상기 목표 전력은, SRS 리소스 지시자(SRS resource indicator; SRI)와 PUSCH 전력 제어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세트 또는 목표 전력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상기 스케일링 계수는, SRI와 PUSCH 전력 제어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세트 또는 스케일링 계수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상기 폐루프 인덱스는, 상기 폐루프 인덱스의 범위 내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인,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28. 제24항 내지 제27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상기 경로 손실 RS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와 연관되는 SRS와 연관되는 경로 손실 RS에 따라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는 상기 경로 손실 RS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30. 제11항 내지 제29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상기 공간적 관계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31. 제11항 내지 제30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SRS, PUSCH 또는 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경로 손실 RS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와 연관되는 SRS의 경로 손실 RS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고, 그리고
    비코드북 송신(non-codebook transmission) 또는 코드북 송신(codebook transmission)을 위한 상기 SRS는 경로 손실 RS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35. 제11항 내지 제34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TCI 상태를 활성화하기 위한 MAC-CE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하거나 또는 TCI 상태에 대한 구성 커맨드를 수신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36. 제11항 내지 제35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활성화하기 위한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MAC CE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구성 커맨드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 또는 폐루프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CCH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공간적 관계는 구성되지 않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상기 공간적 관계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업링크 신호의 상기 공간적 관계 또는 상기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40.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업링크 송신에 대해 우선되는(prioritized),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41.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상기 제2 업링크 신호는 업링크 송신이 억제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는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보다 더 작은,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43.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는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보다 더 높은,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44. 제39항 내지 제43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고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45. 제39항 내지 제43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고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46. 제39항 내지 제45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및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컴포넌트 캐리어 그룹 또는 대역폭 부분 내에 있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47.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다운링크 신호의 송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에 따라 결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보다 더 늦지 않은 가장 마지막 슬롯 내의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인,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은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첫 번째 슬롯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완전히 중첩하는 첫 번째 슬롯인,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51.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은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슬롯과 중첩하는 마지막 슬롯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슬롯과 완전히 중첩하는 마지막 슬롯인,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5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슬롯 n에서 송신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슬롯 m에서 송신되고, m은
    Figure pct00009
    보다 더 작거나 또는 동일하되, μDL은 다운링크 신호 또는 다운링크 슬롯의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μUL은 업링크 신호 또는 업링크 슬롯의 서브캐리어 간격인,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53.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슬롯 n에서 송신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슬롯
    Figure pct00010
    보다 더 늦지 않은 가장 마지막 슬롯에서 송신되되, μDL은 다운링크 신호 또는 다운링크 슬롯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μUL은 업링크 신호 또는 업링크 슬롯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인, 무선 단말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54.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무선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송신 구성 지시자(TCI) 상태가 복수의 기준 신호(RS) 인덱스를 갖는 경우,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상기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해, 공간 파라미터의 준 공동 위치(QCL) 타입과 연관되는 RS 인덱스가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56.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경로 손실 RS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경로 손실 RS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엘리먼트(CE)를 송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57. 제54항 내지 제56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사운딩 기준 신호(SRS),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또는 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59. 제57항 또는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는 공간 도메인 필터, 송신 구성 지시자(TCI) 상태 또는 준 공동 위치(QCL) 가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60. 제57항 내지 제59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 및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상기 CORESET는 동일한 CORESET 풀(pool) 인덱스 또는 동일한 CORESET 그룹과 연관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62. 제57항 내지 제61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상기 공간적 관계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가 구성 또는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상기 공간적 관계는 CORESET 또는 PDCCH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CORESET 또는 상기 PDCCH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스케줄링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64. 제54항 내지 제63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목표 전력, 폐루프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상기 목표 전력은 목표 전력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66. 제64항 또는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상기 폐루프 인덱스는, 상기 폐루프 인덱스의 범위 내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인,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67. 제64항 내지 제66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상기 폐루프 인덱스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적용되는 TCI 상태 또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68. 제64항 내지 제67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상기 경로 손실 RS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해 적용되는 TCI 상태의 RS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상기 CORESET에 대한 QCL 가정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69. 제64항 내지 제68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상기 경로 손실 RS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의 RS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71. 제54항 내지 제63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SRS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의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scaling factor), 전력 제어 조정 상태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의 상기 목표 전력 또는 상기 스케일링 계수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파라미터에 의해 구성되는 SRS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73. 제71항 또는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의 상기 전력 제어 조정 상태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송신의 전력 제어 조정 상태와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74. 제71항 내지 제73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의 상기 경로 손실 RS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에 대해 적용되는 TCI 상태의 RS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상기 CORESET에 대한 QCL 가정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75. 제71항 내지 제74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RS의 상기 경로 손실 RS는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TCI 상태의 RS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77. 제54항 내지 제63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 폐루프 인덱스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상기 목표 전력은, SRS 리소스 지시자(SRI)와 PUSCH 전력 제어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세트 또는 목표 전력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79. 제77항 또는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상기 스케일링 계수는, SRI와 PUSCH 전력 제어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세트 또는 스케일링 계수 세트에서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를 갖는 엔트리에 의해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80. 제77항 내지 제79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상기 폐루프 인덱스는, 상기 폐루프 인덱스의 범위 내의 특정한 인덱스, 가장 높은 인덱스 또는 가장 낮은 인덱스 중 하나인,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81. 제77항 내지 제80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의 상기 경로 손실 RS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와 연관되는 SRS와 연관되는 경로 손실 RS에 따라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는 상기 경로 손실 RS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83. 제64항 내지 제82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상기 공간적 관계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84. 제64항 내지 제83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SRS, PUSCH 또는 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경로 손실 RS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86. 제84항 또는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SCH와 연관되는 SRS의 경로 손실 RS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87. 제84항 내지 제86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SCH를 포함하고, 그리고
    비코드북 송신 또는 코드북 송신을 위한 상기 SRS는 경로 손실 RS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88. 제64항 내지 제87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TCI 상태를 활성화하기 위한 MAC-CE 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하거나 또는 TCI 상태에 대한 구성 커맨드를 송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89. 제64항 내지 제88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활성화하기 위한 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한 MAC CE 활성화 커맨드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대한 구성 커맨드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목표 전력, 스케일링 계수 또는 폐루프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90. 제54항 내지 제89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그널링을,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9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UCCH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PUCCH의 공간적 관계는 구성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92. 제54항 내지 제91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상기 공간적 관계 또는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업링크 신호의 상기 공간적 관계 또는 상기 경로 손실 RS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93. 제54항 내지 제91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가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업링크 송신에 대해 우선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94. 제54항 내지 제91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가 제2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의 제2 업링크 신호의 시간 단위와 충돌하는 경우, 상기 제2 업링크 신호는 업링크 송신이 억제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95. 제92항 내지 제94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는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보다 더 작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96. 제92항 내지 제94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는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의 인덱스보다 더 높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97. 제92항 내지 제96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고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98. 제92항 내지 제96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는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지 않고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가지고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99. 제92항 내지 제98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및 상기 제2 컴포넌트 캐리어는 컴포넌트 캐리어 그룹 또는 대역폭 부분 내에 있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00. 제54항 내지 제99항 중 임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다운링크 신호의 송신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01.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에 따라 결정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02.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보다 더 늦지 않은 가장 마지막 슬롯 내의 적어도 하나의 CORESET 내에서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갖는 CORESET인,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03. 제101항 또는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은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첫 번째 슬롯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완전히 중첩하는 첫 번째 슬롯인,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04. 제101항 또는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중첩하는 슬롯은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슬롯과 중첩하는 마지막 슬롯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슬롯과 완전히 중첩하는 마지막 슬롯인,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05.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슬롯 n에서 송신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슬롯 m에서 송신되고, m은
    Figure pct00011
    보다 더 작거나 또는 동일하되, μDL은 다운링크 신호 또는 다운링크 슬롯의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μUL은 업링크 신호 또는 업링크 슬롯의 서브캐리어 간격인,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06. 제10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는 슬롯 n에서 송신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는 슬롯
    Figure pct00012
    보다 더 늦지 않은 가장 마지막 슬롯에서 송신되되, μDL은 다운링크 신호 또는 다운링크 슬롯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이고, μUL은 업링크 신호 또는 업링크 슬롯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인,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사용을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07. 무선 단말로서,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제1 업링크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결정된 공간적 관계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상기 제1 업링크 신호를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
  108.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2항 내지 제53항 중 임의의 항의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
  109.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서,
    무선 단말로부터, 제1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또는 공간적 관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업링크 신호와 연관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110. 제109항에 있어서,
    제55항 내지 제106항 중 임의의 항의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111.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06항 중 임의의 항에서 기재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27018964A 2019-11-07 2019-11-07 업링크 신호에 대한 공간적 관계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KR202200981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16385 WO2021087902A1 (en) 2019-11-07 2019-11-07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spatial relation and power control parameter for uplink sign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181A true KR20220098181A (ko) 2022-07-11

Family

ID=7584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964A KR20220098181A (ko) 2019-11-07 2019-11-07 업링크 신호에 대한 공간적 관계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28119A1 (ko)
EP (1) EP4055992A4 (ko)
JP (2) JP7451701B2 (ko)
KR (1) KR20220098181A (ko)
CN (3) CN118055479A (ko)
BR (1) BR112022008746A2 (ko)
TW (1) TW202114463A (ko)
WO (1) WO20210879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6136B2 (en) * 2019-12-18 2022-02-08 Dish Wireless L.L.C.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overlapping component carriers
WO2023115277A1 (en) * 2021-12-20 2023-06-29 Nec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1960A (ja) * 2016-03-30 2019-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方法
JP2018026817A (ja) * 2016-08-10 2018-02-15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ビーム動作に対するパスロス導出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4885410A (zh) * 2017-11-17 2022-08-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ue、基站、参数配置方法和控制方法
US11272576B2 (en) * 2018-02-15 2022-03-08 Apple Inc. Hierarchical beamforming structure and transmission of beam indication to improve device mobility and reduce network traffic overhead in new radio (NR)
WO2019197044A1 (en) * 2018-04-13 2019-10-17 Nokia Technologies Oy Channel state information reciprocity support for beam based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28119A1 (en) 2023-01-26
JP7451701B2 (ja) 2024-03-18
JP2024069316A (ja) 2024-05-21
CN118055479A (zh) 2024-05-17
CN114667801A (zh) 2022-06-24
WO2021087902A1 (en) 2021-05-14
BR112022008746A2 (pt) 2022-08-16
TW202114463A (zh) 2021-04-01
CN115696653A (zh) 2023-02-03
EP4055992A1 (en) 2022-09-14
EP4055992A4 (en) 2023-08-09
CN115696653B (zh) 2024-02-20
JP2023508829A (ja)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3199B (zh) 多输入多输出无线系统的探测参考信号功率控制
US20240155501A1 (en) Uplink Spatial Relation Indication and Power Control
WO2018202215A1 (zh) 配置上行信号的方法及装置、确定上行信号的方法及装置
WO2022016506A1 (en) Method for measuring and reporting associated with group information
US2023002811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spatial relation and power control parameter for uplink signals
WO2021253452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CN115039475A (zh) 一种用于改进的探测参考信号(srs)开销和灵活重用方案的方法和系统
CN111865542B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KR20230042199A (ko) 리소스 시그널링 설계 및 구성을 위한 방법
WO2022021152A1 (en) Method of beam state determination
JP7481454B2 (ja) 基準信号構成のための方法
WO2022021370A1 (en) Method for reference signal design and configuration
WO2022082695A1 (en) Methods for beam state updating for uplink transmission
KR20240020272A (ko) 다수의 송신-수신 포인트들을 사용하기 위한 통합 빔 표시 프레임워크
CA3238575A1 (en) Hybri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cheme for integrated sensing and communication
CN117917156A (zh) 用于非基于码本的传输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