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164A -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measurement mode and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 - Google Patents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measurement mode and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164A
KR20220097164A KR1020210110741A KR20210110741A KR20220097164A KR 20220097164 A KR20220097164 A KR 20220097164A KR 1020210110741 A KR1020210110741 A KR 1020210110741A KR 20210110741 A KR20210110741 A KR 20210110741A KR 20220097164 A KR20220097164 A KR 20220097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ub
measurement
mode
st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7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8180B1 (en
Inventor
이기원
김태남
Original Assignee
(주)와이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브레인 filed Critical (주)와이브레인
Publication of KR20220097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1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1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1Arrangements of electrodes with cords, cables or leads, e.g. single leads or patient cord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29Electrodes for brain stimulation
    • A61N1/0534Electrodes for deep brain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lectively providing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via an electrode, which enables a mode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to be activated according to a submodule connected to a main device, to activate the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ubmodule connected to the main device.

Description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measurement mode and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measurement mode and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

본 발명은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에 연결된 서브 모듈의 종류에 따라 활성화할 모드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측정,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through an electrode, and more specifically, determines a mode to be activ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a sub-module connected to the device, and provides measurement and stimulation to the user.

최근 들어,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 측정 장치, 사용자의 상태를 개선시키거나 치료를 도울 수 있는 전기 자극 장치에 대한 기술력과 관심도가 상승하면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s technology and interest in an electrical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 user's condition and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user's condition or assisting treatment have increased,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하지만, 공개된 대부분의 기술, 제품들은 한정된 채널의 개수로 인하여 측정, 자극의 해상도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most of the disclosed technologies and products have a problem in that the resolution of measurement and stimulation is insufficient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channels.

이에, 사용자의 상황 또는 니즈에 따라서 측정 해상도 또는 자극 해상도를 높일 수 있고, 측정과 자극을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상황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measurement resolution or stimulation resolution according to a user's situation or needs, and activating measurement and stimulation at the same time.

하지만, 현재까지 공개된 기술은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technology disclosed so far does not support such a func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4638호, (2020.12.1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94638, (2020.12.17)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된 서브 모듈에 따라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하여 장치에 연결되는 서브 모듈의 종류에 따라 모드를 활성화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activate the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ub-module connected to the device by activating a mode providing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according to a sub-module connected to an interface module. do.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측정 장치에 측정형 서브 모듈이 연결되면, 측정형 서브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제1 모드를 활성화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activate the first mode of increasing the measurement resolution by using the measurement type sub-module when the measurement type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measur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자극 장치에 자극형 서브 모듈이 연결되면, 자극형 서브 모듈을 이용하여 자극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제2 모드를 활성화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activate the second mode of increasing the stimulation resolution by using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when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통신부가 동작되지 않거나 통신상태가 불량한 경우, 장치 및 서브 모듈의 측정 결과 데이터 및 자극 수행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store measurement result data and stimulus performance data of the device and sub-module in a memory when the communication unit does not operate or the communication state is po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는, 측정 모드를 제공하는 측정형 서브 모듈 및 자극 모드를 제공하는 자극형 서브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모듈과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상기 서브 모듈이 연결될 경우 상기 서브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 자극 모드 및 측정 모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된 서브 모듈에 따라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through an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measurement-type sub-module providing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type sub-module providing a stimulation mode an interface module connectable to at least one sub-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attery for applying power to the sub-module when the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related to the stimulation mode and the measurement mode to a related external device;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 mode providing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to be activated according to a sub-modu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또한, 상기 장치는 전기 자극 모드 또는 전기 측정 모드를 디폴트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vice provides an electrical stimulation mode or an electrical measurement mode as a defaul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모듈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서브 모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자극 모드 및 측정 모드 중에서 활성화할 모드를 결정한다.Also,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type of at least one sub-modu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and determines a mode to be activated from among the stimulation mode and the measurement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the sub-module.

또한, 상기 장치는 전기 측정 장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측정형 서브 모듈이 연결되면, 상기 측정형 서브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제1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장치에서 측정되는 제1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측정형 서브 모듈에서 측정되는 제2 측정 데이터의 타이밍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is an electrical measurement device, and the processor activates a first mode for increasing measurement resolution using the measurement sub-module when the measurement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and performs measurement in the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ing of the first measurement data and the second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measurement type sub-module are synchronized.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측정형 서브 모듈이 연결되면, 상기 전기 측정 장치 및 상기 측정형 서브 모듈을 이용하여 채널별 애노드(Anode) 및 캐소드(Cathode)를 독립 제어하여 측정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measurement-type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the processor independently controls the anode and the cathode for each channel using the electrical measuring device and the measurement-type sub-module to increase the measurement resolution characterized by doing.

또한, 상기 장치는 전기 자극 장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자극형 서브 모듈이 연결되면, 상기 자극형 서브 모듈을 이용하여 자극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제2 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장치 및 상기 자극형 서브 모듈의 전기 자극 신호의 기준 전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is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nd when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the processor performs a second mode of increasing stimulation resolution using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the device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erence potential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is set.

또한, 상기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치 및 상기 서브 모듈의 측정 결과 데이터 및 자극 수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 memory, and when the communication unit is not operated, the processor stores at least one of measurement result data and stimulation performance data of the device and the sub-module in the memory.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측정 또는 자극을 위한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과 연결되는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모듈은 서브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모듈은 상기 서브 케이블 단자를 통해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서브 케이블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erface module includes a cable terminal connected to a cable extending from an electrode for measurement or stimulation, the sub-module includes a sub-cable terminal, and the sub-module includes the cable or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sub-cable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또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장치에 연결된 서브 모듈의 종류를 출력하고, 외부 서버 또는 의료진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상기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장치에 연결된 서브 모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가 허용된 제어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outputs a type of sub-module connected to the apparatus,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or a medical staff terminal to the apparatus, and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sub-module connected to the apparatu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an allowe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type of module, and the devic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상기 장치에 연결된 서브 모듈의 종류에 허용되지 않은 제어 신호인 경우, 상기 장치의 제어를 보류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부합하는 서브 모듈의 종류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whe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s a control signal that is not permitted for a type of a sub-module connected to the apparatus, the processor suspends control of the apparatus, and a type of a sub-modul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is outputted to the external device.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장치에 연결된 서브 모듈에 따라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하여 메인 장치에 연결되는 서브 모듈의 종류에 따라 모드를 활성화함으로써, 다양한 모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mode providing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is activated according to a sub-module connected to the main device, and by activating the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ub-module connected to the main device, various modes has the effect of provi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측정 장치에 측정형 서브 모듈이 연결되면, 측정형 서브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asurement type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measuring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easurement resolution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measurement type sub-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자극 장치에 자극형 서브 모듈이 연결되면, 자극형 서브 모듈을 이용하여 자극 해상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imulation resolution can be increased by using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부가 동작되지 않거나 통신상태가 불량한 경우, 장치 및 서브 모듈의 측정 결과 데이터 및 자극 수행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munication unit does not operate or the communication state is poo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easurement result data and stimulus performance data of the device and sub-modul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모듈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장치와 서브 모듈의 분리, 장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머리 착용 장치에 연결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가 서브 모듈이 연결된 상태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viding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through an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ight side view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b-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view of a sub-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ight side view of a sub-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of a sub-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ar view of a sub-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5 are views illustrating separation and mounting of the device and the sub-module.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head worn device.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processor performs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the sub-module is connec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기 측정은 뇌파 측정(EEG: electroencephalogram)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lectroencephalogram (EEG) may be applied to the electrical measuremen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기 자극은 경두개 전류 자극(tcs: Transcranial Current Stimulation), 심부 전기 자극(deep electrical stimulation), 경두개 자기 자극(TMS: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경두개 전기 자극(TES: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경두개 직류 자극(tDC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및 경두개 랜덤 노이즈 자극(tRNS: transcranial random noise stimulation) 등이 적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stimulation is transcranial current stimulation (tcs), deep electrical stimulation,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and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TES). Electrical stimulatio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and transcranial random noise stimulation (tRNS) may be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100)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100 that selectively provides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through an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배면도이다.3 is a rear view of a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우측면도이다.4 is a right side view of a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a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배면도이다.6 is a rear view of a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모듈(200)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b-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모듈(200)의 배면도이다.8 is a rear view of the sub-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모듈(200)의 우측면도이다.9 is a right side view of the sub-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모듈(200)의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of a sub-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모듈(200)의 배면도이다.11 is a rear view of the sub-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5는 장치(100)와 서브 모듈(200)의 분리, 장착을 예시한 도면이다.12 to 15 are views illustrating separation and mounting of the device 100 and the sub-module 200 .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의 선택적 제공 시스템(1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1 to 15 , a system 10 for selectively providing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through an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로, 장치(10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 배터리(130), 통신부(150), 프로세서(110), 메모리(170), 전원 버튼(160), 메모리 슬롯(180)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device 100 includes an interface module 120 , a battery 130 , a communication unit 150 , a processor 110 , a memory 170 , a power button 160 , and a memory slot 180 . .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서버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However, in some embodiments, the server may include fewer or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

우선, 장치(100)의 동작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에 장치(100)와 서브 모듈(200)의 외부 형상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external shapes of the device 100 and the sub-module 200 will be described.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모듈(200)과 연결 가능하며, 케이블 단자(123) 및 제1 커넥터(127)를 포함한다.The interface module 120 is connectable to at least one sub-module 200 , and includes a cable terminal 123 and a first connector 127 .

케이블 단자(123)는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제공하거나 전기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착용/부착된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50)과 연결되는 단자이다.The cable terminal 123 is a terminal connected to the cable 50 extending from the worn/attached electrode to provide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user or to perform electrical measur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극은 머리 착용 장치에 부착된 전극, 마스크팩에 부착되어 있는 전극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특정 부위에 전기 자극, 측정을 위해 부착된 전극이라면 무엇이든 적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may be any electrode attached to a specific part of the user's body for electrical stimulation or measurement, such as an electrode attached to a head wearing device or an electrode attached to a mask pack.

도 3의 배면도를 참조하면 케이블 단자(123)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케이블 단자(123)에 케이블(50)이 연결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rear view of FIG. 3 , the cable terminal 123 is shown, and referring to the perspective view of FIG. 1 , it is shown that the cable 50 is connected to the cable terminal 123 .

배터리(130)는 장치(100) 내부에 마련되며, 장치(100)의 구성들에 전원을 인가하며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면 서브 모듈(2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장치(100)가 서브 모듈(200)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The battery 130 is provided inside the device 100 , and a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of the device 100 . When the sub-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120 , it applies power to the sub-module 200 . The device 100 may use the sub-module 200 .

또한, 도면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장치(100)는 배터리(13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배터리(130)를 무선 충전으로 충전할 수도 있으며, 일회용 배터리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evice 100 may have a power input terminal (not shown) to which an external power is input so that the battery 130 can be charged, and the battery 130 is charged by wireless charging. It can also be used by adopting a disposable battery.

통신부(150)는 자극 모드 및 측정 모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transmits data related to the stimulation mode and the measurement mode to a related external device.

구체적으로, 외부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하며, 통신부(150)는 블루투스, Wifi와 같은 근거리 통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스마트폰)과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단말이 관련된 외부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xternal device means a user's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configured wit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Wifi, and is connected to the user's terminal (smartphone) to transmit data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d the user of the terminal may transmit data to a related external server.

또한, 통신부(150)는 외부 서버 또는 의료진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외부 서버 또는 의료진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장치(100)를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an external server or medical staff terminal, and the processor 110 may drive the device 10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or medical staff terminal.

예를 들어, 통신부(150)를 통해 의료진이 지시하는 측정 모드, 자극 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프로세서(110)가 이에 따라 장치(100)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원격 진료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upon receiving a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the measurement mode and stimulation mode instructed by the medical staff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 the processor 110 drives the device 100 accordingly to give the user an instruction from the medical staff. Telemedicine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연결된 서브 모듈(200)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으며, 연결된 서브 모듈(200)의 종류에 따라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The processor 110 may recognize the type of the sub-module 200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120, so that a mode providing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nected sub-module 200 control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모듈(200)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서브 모듈(200)의 종류에 따라 자극 모드 및 측정 모드 중에서 활성화할 모드를 결정한다.Accordingly,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the type of at least one sub-module 200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120 , and determines a mode to be activated among the stimulation mode and the measurement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the sub-module 200 . do.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브 모듈(200)은 측정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측정형 서브 모듈(200) 및 자극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자극형 서브 모듈(20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module 200 includes a measurement-type sub-module 200 having a built-in measurement function and a stimulation-type sub-module 200 having a built-in stimulation function.

또한, 장치(100)는 전기 자극 모드 또는 전기 측정 모드를 디폴트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vice 100 provides an electrical stimulation mode or an electrical measurement mode as a default.

구체적으로, 장치(100)는 자극형 장치(100) 또는 측정형 장치(1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떠한 장치(100)에 어떠한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느냐에 따라서 프로세서(110)가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as a stimulus-type device 100 or a measurement-type device 100, and the processor 110 operates in a mode depending on which sub-module 200 is connected to which device 100. can be activated.

장치(100)는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디폴트 기능을 기반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operate based on a default function even when the sub-module 200 is not connected.

예를 들어, 자극형 장치(100)는 케이블(50)과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고, 측정형 장치(100)는 케이블(50)과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전기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imulation-type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able 50 to provide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user, and the measurement-type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able 50 to perform an electrical measurement to the user. have.

아래에서는, 장치(100)에 연결되는 서브 모듈(200)의 종류에 따라 확장 또는 강화되는 기능들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functions expanded or enhanc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ub-module 200 connected to the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① 측정형 장치(100) + 측정형 서브 모듈(200)① Measurement type device (100) + Measurement type sub-module (200)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측정형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면, 측정형 서브 모듈(200)을 이용하여 측정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제1 모드를 활성화한다.When the measurement type sub-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120 , the processor 110 activates the first mode for increasing the measurement resolution using the measurement type sub-module 200 .

예를 들어, 측정형 장치(100)가 32채널에 대한 측정이 가능한 경우, 32채널의 측정형 서브 모듈(200)을 연결하면 총 64채널에 대한 고해상도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measurement type device 100 can measure 32 channels, if the measurement type sub-module 200 of 32 channels is connected, high-resolution measurement for a total of 64 channels is possible.

이때, 서브 모듈(200)의 이용을 위해서 단자로부터 연장된 케이블(50)과 케이블 단자(123)가 64채널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서브 모듈(200)에 형성된 서브 케이블 단자(223)에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서브 케이블(70)이 연결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for the use of the sub-module 200 , the cable 50 and the cable terminal 123 extended from the terminal may support 64 channels, and extend from the electrode to the sub-cable terminal 223 formed in the sub-module 200 . A sub-cable 70 may be connected.

상술한 구성들을 통해서, 측정형 장치(100)에 측정형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면 더 많은 위치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고, 고해상도의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when the measurement type sub-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type device 100 , it is possible to measure more positions and perform high-resolution measurement.

이때, 프로세서(110)는 장치(100)에서 측정되는 제1 측정 데이터 및 측정형 서브 모듈(200)에서 측정되는 제2 측정 데이터의 타이밍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10 synchronizes the timing of the first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device 100 and the second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ub-module 200 .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 측정형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면, 동일 면적당 측정 전극 수를 늘리도록 제어함으로써 측정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10 increases the measurement resolution by controlling the interface module 120 to increase the number of measurement electrodes per same area when the measurement sub-module 200 is connected.

② 자극형 장치(100) + 자극형 서브 모듈(200)② Stimulation-type device (100) + Stimulation-type sub-module (200)

프로세서(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자극형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면, 자극형 서브 모듈(200)을 이용하여 자극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제2 모드를 활성화한다.When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120 , the processor 110 activates the second mode for increasing the stimulation resolution using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200 .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자극형 장치(100)에 자극형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면, 동일 면적당 자극 전극 수를 늘리도록 제어함으로써, 자극 해상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As an embodiment, when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stimulation-type device 100 , the processor may increase the stimulation resolution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stimulation electrodes per same area to increase.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자극형 장치(100)에 자극형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면, 더 많은 위치에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stimulation-type device 100 , the processor may provide stimulation to more locations.

상술한 구성들을 통해서, 자극형 장치(100)에 자극형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면, 더 많은 위치에 자극을 제공하고, 고해상도의 자극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when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stimulation-type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stimulation to more locations and provide high-resolution stimulation.

③ 측정형 장치(100) + 2개 이상의 자극형 서브 모듈(200)③ Measurement type device (100) + two or more stimulus type sub-modules (200)

프로세서(110)는 전기 측정 장치(100)에 2개 이상의 자극형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면, 2개 이상의 자극형 서브 모듈(200)을 이용하여 자극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측정형 장치(100)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When two or more stimulation-type sub-modules 200 ar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measuring device 100, the processor 110 increases the stimulation resolution using the two or more stimulation-type sub-modules 200, 100) can be used for measurement.

또한, 도면 상에는 장치(100)의 제1 커넥터(127)에 서브 모듈(200)의 제2 커넥터(227)가 장착되어 장치(100)와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rawing shows that the second connector 227 of the sub-module 200 is mounted to the first connector 127 of the device 100 so that the device 100 and the sub-module 200 are connected.

하지만, 2개 이상의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기 위해서 확장 슬롯(미도시)이 형성되어, 제1 서브 모듈(200)은 제1 커넥터(127)와 제2 커넥터(227)를 통해서 연결되고, 제2 서브 모듈(200)은 확장 케이블(50)을 통해 장치(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However, an expansion slot (not shown) is formed to connect two or more sub-modules 200, and the first sub-module 200 is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nnector 127 and the second connector 227, The second sub-modul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100 through the extension cable 50 .

일 실시예로, 서브 모듈(200)은 제2 커넥터(227)가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에 제3 커넥터(미도시)가 형성되어 또 다른 서브 모듈(200)의 제2 커넥터(227)가 장착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b-module 200 has a third connector (not shown)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nnector 227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connector 227 of another sub-module 200 is mounted. may be connected.

이와 같이, 장치(100)에 2개 이상의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 가능하니 발명의 실시자가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한다.In this way, since various methods are applicable to the connection of two or more sub-modules 200 to the device 100, the presenter can easily select it.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50)의 통신상태를 체킹할 수 있으며, 통신부(150)가 동작되지 않거나 통신상태가 불량한 경우 장치(100) 및 서브 모듈(200)의 측정 결과 데이터 및 자극 수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may check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unit 150, and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50 does not operate or the communication state is poor, among the measurement result data and the stimulation performance data of the device 100 and the sub-module 200 At least on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

또한, 메모리(170)는 내장 메모리(170) 또는 외장 메모리(170)가 적용될 수 있으며, 장치(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메모리 슬롯(180)에 메모리(170)(예: SD Card, Mirco SD Card 등)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memory 170 , the internal memory 170 or the external memory 170 may be applied, and the memory 170 (eg, SD Card, Mirco) is inserted into the memory slot 180 formed on the side of the device 100 . SD Card, etc.) can be installed and used.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장치(100)에 부적합한 서브 모듈(200)이 연결된 경우, 연결 실패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when an inappropriate sub-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device 100 , the processor 110 may generate and output a connection failure signal.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치료 모드 또는 측정 모드에 해당하지 않는 서브 모듈(200)이 연결된 경우, 잘못된 서브 모듈(200)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연결 실패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연결 실패 신호를 장치(100)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ub-module 200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treatment mode or measurement mode to be provided to the user is connected, the processor 110 may determine that the wrong sub-module 200 is connected and generate a connection failure signal. In addition, a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by outputting a connection failure signal to the apparatus 100 or an external device.

외부 디바이스는 장치에 연결된 서브 모듈의 종류를 출력하고, 외부 서버 또는 의료진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장치로 전달한다.The external device outputs the type of sub-module connected to the device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or medical staff terminal to the device.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장치(100)에 연결된 서브 모듈(200)의 종류에 따라 제어 신호가 허용된 제어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연결된 서브 모듈(200)의 종류가 해당 제어 신호에 허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신호에 다라서 장치(100)를 제어한다.Then,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e processor 110 determines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an allowe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ub-module 200 connected to the apparatus 1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an allowed control signal, and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ype of control signal is permitted, the device 1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 모듈(200)의 종류에 허용되지 않는 제어 신호인 경우, 장치(100)의 제어를 보류하고 해당 제어 신호에 부합하는 서브 모듈(200)의 종류를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s a control signal that is not allowed for the type of the sub-module 200 connected to the device, the processor suspends the control of the device 100 and matches the control signal The type of the sub-module 200 to be used may be output to an external device.

상세하게는, 외부 디바이스는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단말(예: 스마트폰)을 의미한다.In detail, the external device refers to a terminal (eg, a smartphone) connected to the apparatus 100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따라서, 외부 디바이스는 외부 서버 또는 의료진 단말로부터 특정 치료 모드 또는 특정 측정 모드를 수행하라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제공하기 위한 서브 모듈(200)의 종류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해당하는 서브 모듈(200)을 장치(100)에 연결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external device receives a control signal to perform a specific treatment mode or a specific measurement mode from an external server or medical staff terminal, the external device outputs the type of the sub-module 200 for provid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sub-module 200 corresponding to the user. can be guided to connect to the device 100 .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머리 착용 장치에 연결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head worn device.

도 17은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가 서브 모듈이 연결된 상태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processor performs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the sub-module is connected.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장치(100)에 서브 모듈(200)을 연결하고, 제1 커넥터(127)를 케이블(50)을 이용하여 머리 착용 장치(300)와 연결하여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의 선택적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16 , the user connects the sub-module 200 to the device 100 , and connects the first connector 127 to the head wearing device 300 using the cable 50 to measure mode and stimulation mode. of the optional provision system 100 becomes available.

또한, 종래에는 측정 모드 또는 자극 모드, 혹은 해상도에 따라서 사용자가 머리 착용 장치(300)에 전극의 종류와 위치를 직접 확인하고 연결해야 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asurement mode, the stimulation mode, or the resolution, the user has to directly check the type and position of the electrode to the head wearing device 300 and connect it.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은 장치(100)와 서브 모듈(200)의 연결 상태, 그리고 제어 신호에 따라서 프로세서(110)가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어 신호에 적합한 서브 모듈(200)을 연결하는 것으로 준비가 끝나게 된다.However, in the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cessor 110 performs control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device 100 and the sub-module 200 and the control signal, the user can The preparation is completed by connecting the sub-module 200 .

그리고, 도 17과 같이 측정형 장치(100)에 자극형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의료진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측정 해상도 향상을 위한 제어 신호인 경우, 프로세서(110)는 제어를 보류하고 외부 디바이스(90)로 측정형 장치(100)와 측정형 서브 모듈(200)의 연결을 요청을 출력한다.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type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17, whe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edical staff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is a control signal for improving the measurement resolution, the processor ( 110 suspends control and outputs a request to connect the measurement type device 100 and the measurement type sub-module 200 to the external device 90 .

이와 다르게, 측정형 장치(100)에 자극형 서브 모듈(200)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의료진 디바이스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측정&자극을 위한 제어 신호인 경우, 프로세서(11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장치(100)를 제어하게 된다.Alternatively, when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measurement-type apparatus 100 and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edical staff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is a control signal for measurement & stimulation, the processor 110 The device 1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아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장치(100)의 외부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ternal shape of the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

장치(100)는 일측에 케이블 단자(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로부터 연장된 케이블(50)이 결합되어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have a cable terminal 123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cable 50 extending from the terminal may be coupled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장치(100)는 우측에 전원 버튼(160)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전원 버튼(160)의 클릭 또는 이동을 감지하여 장치(100)의 전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한다.The device 100 has a power button 160 formed on the right side, and the processor 110 turns on or off the power of the device 100 by detecting a click or movement of the power button 160 .

장치(100)는 전원 버튼(160) 옆에 메모리 슬롯(180)이 형성되어 있으며, 메모리 슬롯(180)에 외부 메모리(170)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e device 100 , a memory slot 180 is formed next to the power button 160 , and an external memory 170 may be mounted in the memory slot 180 to be used.

장치(100)는 하면에 제1 커넥터(1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브 모듈(200)의 제2 커넥터(227)가 제1 커넥터(127)와 연결되어 장치(100)와 서브 모듈(200)이 연결될 수 있다.The device 100 has a first connector 127 formed on its lower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or 227 of the sub-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27 to connect the device 100 and the sub-module 200. This can be connected.

또한, 장치(100)는 제1 커넥터(127)의 양 옆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서브 모듈(200)의 걸림턱(235)이 걸림으로써, 장치(100)에 연결된 서브 모듈(200)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evice 100 , locking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or 127 so that the locking jaws 235 of the sub-module 200 are caught, so that the device 100 is ) connected to the sub-module 200 may be fixed.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서브 모듈(200)의 외부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n external shape of the sub-modul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

서브 모듈(200)은 일측에 서브 케이블 단자(2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 또는 케이블(50)로부터 연장된 서브 케이블(70)이 결합되어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The sub-module 200 has a sub-cable terminal 223 formed on one side, and the sub-cable 70 extending from the terminal or cable 50 may be coupled to the terminal to be connected to the sub-module 200 .

서브 모듈(200)은 상면에 제2 커넥터(2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장치(100)의 제1 커넥터(127)와 연결되어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sub-module 200 may have a second connector 227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27 of the device 100 to be connected to the device 100 .

서브 모듈(200)은 제2 커넥터(227)의 양 옆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걸림턱(235)이 형성되어 장치(100)의 걸림홈(미도시)에 걸림으로써, 장치(100)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sub-module 200 , locking protrusions 235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or 227 and are caught in the locking grooves (not shown) of the device 100 , so that the device 100 is secured to the sub-module 200 . can be fixed.

또한, 서브 모듈(200)은 양측면에 분리 버튼(2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리 버튼(230)이 클릭되면 걸림턱(235)이 당겨져 걸림홈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장치(100)와 서브 모듈(200)의 결합을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module 200 has separation buttons 230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when the separation button 230 is clicked, the locking jaw 235 is pulled and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whereby the device 100 and the sub-module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can be separa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kn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의 선택적 제공 시스템
50: 케이블 70: 서브 케이블
90: 외부 디바이스
100: 장치
110: 프로세서 120: 인터페이스 모듈
123: 케이블 단자 127: 제1 커넥터
130: 배터리 150: 통신부
160: 전원 버튼 170: 메모리
180: 메모리 슬롯
200: 서브 모듈
223: 서브 케이블 단자 227: 제2 커넥터
230: 분리 버튼 235: 걸림턱
300: 머리 착용 장치
10: selective provision system of measurement mode and stimulation mode
50: cable 70: sub cable
90: external device
100: device
110: processor 120: interface module
123: cable terminal 127: first connector
130: battery 150: communication unit
160: power button 170: memory
180: memory slot
200: sub module
223: sub cable terminal 227: second connector
230: release button 235: catch
300: head worn device

Claims (10)

측정 모드를 제공하는 측정형 서브 모듈 및 자극 모드를 제공하는 자극형 서브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모듈과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상기 서브 모듈이 연결될 경우 상기 서브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
자극 모드 및 측정 모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관련된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된 서브 모듈에 따라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an interface module connectable to at least one sub-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type sub-module providing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type sub-module providing a stimulation mode;
a battery for applying power to the sub-module when the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related to the stimulation mode and the measurement mode to a related external device;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 mode providing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to be activated according to a sub-modu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A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기 자극 모드 또는 전기 측정 모드를 디폴트로 제공하는,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evice provides an electrical stimulation mode or an electrical measurement mode by default,
A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모듈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서브 모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자극 모드 및 측정 모드 중에서 활성화할 모드를 결정하는,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is
determining the type of at least one sub-module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determining a mode to be activated among the stimulation mode and the measurement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sub-module,
A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기 측정 장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측정형 서브 모듈이 연결되면,
상기 측정형 서브 모듈을 이용하여 측정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제1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장치에서 측정되는 제1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측정형 서브 모듈에서 측정되는 제2 측정 데이터의 타이밍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evice is an electrical measuring device,
The processor is
When the measurement type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Activate the first mode for increasing the measurement resolution using the measurement sub-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ing of the first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device and the second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ub-module are synchronized,
A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측정형 서브 모듈이 연결되면,
동일 면적당 측정 전극 수를 늘리도록 제어함으로써 측정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ocessor is
When the measurement type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ment resolution is increased by controll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measurement electrodes per same area,
A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기 자극 장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자극형 서브 모듈이 연결되면,
상기 자극형 서브 모듈을 이용하여 자극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제2 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장치 및 상기 자극형 서브 모듈의 전기 자극 신호의 기준 전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evice is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The processor is
When the stimulus-type sub-module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A second mode of increasing the stimulus resolution is performed using the stimulus-type sub-module,
Characterized in setting the reference potential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device and the stimulation-type sub-module,
A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치 및 상기 서브 모듈의 측정 결과 데이터 및 자극 수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evice further comprises a memory;
The processor stores at least one of measurement result data and stimulation performance data of the device and the sub-module in the memory when the communication unit is not operated,
A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측정 또는 자극을 위한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과 연결되는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모듈은 서브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모듈은 상기 서브 케이블 단자를 통해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서브 케이블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module includes a cable terminal connected to a cable extending from the electrode for measurement or stimulation,
The sub module includes a sub cable terminal,
The sub-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sub-cable extending from the cable or the electrode through the sub-cable terminal,
A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장치에 연결된 서브 모듈의 종류를 출력하고, 외부 서버 또는 의료진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상기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장치에 연결된 서브 모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가 허용된 제어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external device outputs the type of sub-module connected to the device,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or medical staff terminal to the device,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a permitte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type of a sub-module connected to the apparatus, and the apparatus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상기 장치에 연결된 서브 모듈의 종류에 허용되지 않은 제어 신호인 경우,
상기 장치의 제어를 보류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부합하는 서브 모듈의 종류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을 통한 측정 모드 및 자극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is
Whe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s a control signal that is not allowed for the type of sub-module connected to the apparatus,
suspending control of th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sub-module matching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external device,
A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a measurement mode and a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s.
KR1020210110741A 2020-12-31 2021-08-23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measurement mode and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 KR10258818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65 2020-12-31
KR20200188865 2020-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164A true KR20220097164A (en) 2022-07-07
KR102588180B1 KR102588180B1 (en) 2023-10-12

Family

ID=8239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741A KR102588180B1 (en) 2020-12-31 2021-08-23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measurement mode and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18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5016B1 (en) * 2004-06-16 2007-05-29 Pacesetter,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with nerve signal sensing
KR101566786B1 (en) * 2015-06-23 2015-11-06 (주)와이브레인 Eletrical stimulation and bio-potential measurement device
KR102194638B1 (en) 2020-06-29 2020-12-23 이종원 Electric stimulation device for percutaneous pain relie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5016B1 (en) * 2004-06-16 2007-05-29 Pacesetter,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with nerve signal sensing
KR101566786B1 (en) * 2015-06-23 2015-11-06 (주)와이브레인 Eletrical stimulation and bio-potential measurement device
KR102194638B1 (en) 2020-06-29 2020-12-23 이종원 Electric stimulation device for percutaneous pain relie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180B1 (en)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3864B2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and Methods of Use
WO2016111592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013111A1 (en) Wearabl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wearable device
US20090112099A1 (en) Ultrasonic probe, charger,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ultrasonic diagnostic system
US20140371814A1 (en)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576280B2 (en) Treatment device including wireless interface and user application
JP6733513B2 (en) Electrotherapy device and treatment system
KR20170094406A (en) Optical communication with optical sensors
US9986323B2 (en) Earphones with attachable expansion pack
CN109498993A (en) A kind of portable wireless nerve stimulator with stimulated current regulating switch
KR201500611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
KR20220097164A (en) Device that selectively provides measurement mode and stimulation mode via electrode
WO20240938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hysiological sound acquisition position, terminal device, and medium
CN111147973A (en) Control method of earphone assembly, earphone assembly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40126649A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Device Using Smart Device
US20190247647A1 (en) Electric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system
US9282909B2 (en) Measurement device with electroencephalography and electrocardiography functionalities
KR101328866B1 (en) Portable device having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ion
JP7484250B2 (en) Portable electrocardiogram device and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JPWO2014106873A1 (en) Portable electrocardiograph
US1121367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ENS function
US1144649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nerve stimulation
CN110916660A (en) Intelligent auricular point information acquisition and diagnosis system
WO2019055943A1 (en) Treatment device including wireless interface and user application
KR101931123B1 (en) An Electrical Stimulating Device Controlled by a Sma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