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470A - Tele Metering System - Google Patents

Tele Mete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470A
KR20220096470A KR1020200188939A KR20200188939A KR20220096470A KR 20220096470 A KR20220096470 A KR 20220096470A KR 1020200188939 A KR1020200188939 A KR 1020200188939A KR 20200188939 A KR20200188939 A KR 20200188939A KR 20220096470 A KR20220096470 A KR 20220096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llection unit
state
measurement
data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8256B1 (en
Inventor
임겨레
이석배
김말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200188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256B1/en
Publication of KR20220096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4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2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2001/2244Exhaled gas, e.g. alcohol dete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Abstract

A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ement unit configured to generate measurement data by measuring components of gas discharged from the chimney; a data collection unit generating report data using the measurement data; and an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transmitting the report data to the control center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he measurement unit generates first state data representing a state of the measurement unit, and the data collection unit generates second state data representing a state of the data collection unit, and generates a process variable including the measurement data, the first state data, and the second state data, so as to transmit the process variable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Description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Tele Metering System}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Tele Metering System}

본 명세서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측정기기 및 자료 수집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real-time remote chimney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l-time remote chimney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grasping the status of a measuring device and a data collector in real time.

통상적으로 사업장 굴뚝에서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가스가 배출된다.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굴뚝배출 가스량을 배출허용기준을 적용하여 규제하고 있으며, 상기 배출가스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1996년 이전까지는 측정요원이 직접 굴뚝을 타고 올라가 측정공에 센서를 집어넣고 배출가스의 성상을 측정해야만 되었다. 그러나 상기 배출가스성상 측정이 위험하고, 번거로움이 많아 1996년부터는 직접 굴뚝 내부에 굴뚝 자동 측정기기를 설치하고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배출가스 성상에 대한 데이터를 한국환경공단 관제센터로 전송해주는 방법이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를 원격 측정 시스템(Tele Metering System, TMS)이라 한다. In general, gases including pollutants are emitted from business chimneys. The Air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regulates the amount of exhaust gas by applying the emission limit standards. Until 1996, the measurement personnel climbed the chimney directly, put the sensor in the measurement hole, and measu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gas as a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exhaust gas. had to measure However, since the measurement of the exhaust gas properties is dangerous and cumbersome, since 1996, a method of directly installing an automatic chimney measuring device inside the chimney and transmitting the data on the exhaust gas properties obtained from the sensor to the control center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has been used. It started, and this is called a Tele Metering System (TMS).

한국환경공단은 사업장에서 수신된 대기 오염 물질 자료를 통해 사업장의 배출 허용 총량 초과 여부를 확인하고 허용량 초과 알람을 발송하여 사업장의 자발적인 대기 오염 물질을 저감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으며, 초과시에는 배출 사업장에 과징금을 부과하고 배출허용총량관리제도에 따라 연도별 배출허용총량을 규제함으로써 대기 오염 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checks whether the total amount of emissions allowed at the workplace is exceeded through the air pollutant data received from the workplace, and sends an alarm to alert the workplace to reduce air pollutants voluntarily. Air pollution accidents are prevented by imposing fines and regulating the total amount of emission per year according to the emission control system.

다만, 굴뚝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대기 오염 물질 자료를 한국환경공단 관제센터로 전송하기 위해 굴뚝 측정기기와 연결되는 자료 수집기 역시 굴뚝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자료 수집기 또는 굴뚝 측정기기의 상태가 변동되거나 정상적으로 배출가스 성상을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 자료 수집기 또는 굴뚝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여 자료 수집기 및 측정기기의 상태를 파악하여야 하나, 자료 수집기 및 측정기기가 굴뚝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자료 수집기 및 측정기기에 접근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n order to transmit the air pollutant data measured by the chimney measuring device to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control center, the data collector connected to the chimney measuring device is also installed close to the chimney, so that the status of the data collector or the chimney measuring device may change or normally If the exhaust gas properties cannot be measured, the data collector or the chimney user must directly approach and check the status of the data collector and measuring device. Difficulty accessing the measuring device may occur.

또한, 대기오염공정시험 규정에 따라 자료 수집기 및 측정기기에서 측정되는 데이터의 영향을 미칠 수 없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없다는 제약사항으로 인해, 한국환경공단에서 규정하는 보고 주기보다 짧은 주기로 측정기기 및 자료 수집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별도의 프로토콜,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restriction that a program that cannot affect the data measured by data collectors and measuring devices cannot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Air Pollution Process Test Regulations, the reporting cycle of measuring devices and data collectors is shorter than the reporting cycle stipulated by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protocol, program,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system cannot be appli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real-time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a chimne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은 설비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성분을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포트 자료를 생성하는 자료 수집부; 및 상기 레포트 자료를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중간 자료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자료 수집부는 상기 자료 수집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제1 상태 데이터 및 상기 제2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변수를 생성하여 상기 중간 자료 수집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al-time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a chimn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ing unit for generating measurement data by measuring a component of a gas discharged from a facility; a data collection unit for generating report data by using the measurement data; and an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port data to the control center using a first protocol, wherein the measurement unit generates first state data indicating a state of the measurement unit, and the data collection unit includes a state of the data collection unit and generating second state data representing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은 측정기기 및 자료 수집기에서 획득된 측정 데이터가 한국환경공단에 전송되는 주기(5분, 30분)보다 짧은 주기(5초)로 중간 자료 수집부에 입력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측정 데이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put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with a shorter period (5 seconds) than the period (5 minutes, 30 minutes) at which the measurement data obtained from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data collector are transmitted to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monitoring the measurement data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은 측정기기 및 자료 수집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가 중간 자료 수집부에 입력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측정기기 및 자료 수집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측정기기 또는 자료 수집기에 발생한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real-time remote chimne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status of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data collector in real time because the state data indicating the state of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data collector is input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the measuring device or the data collector It has the effect of quickly identifying problems that have occur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은 굴뚝과 가까이에 위치한 측정기기 및 자료 수집기가 아닌 통신실 또는 제어실에 위치하는 중간 자료 수집부에서 측정기기 및 자료 수집기에서 측정되는 측정 데이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real-time remote chimne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easily view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and the data collector in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oom or control room rather than the measuring device and data collector located close to the chimney.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nfir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자료 수집기, 중간 자료 수집부 및 가상 사설망을 연결하는 기존의 사업장 네트워크에서 자료 수집기가 생성하는 프로세스 변수가 레포트 자료를 전송하는 제1 프로토콜과 다른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stall a separate program or build a separate system, and a data collector, an intermediate data collector, and a data collector in an existing business network that connects a virtual private network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cess variable generated by ? can be transmitted using a second protocol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rotocol that transmits the report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자료 수집부와 자료 수집기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되는 프로세스 변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자료 수집부의 GUI에 수집기 측정 항목이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자료 수집부의 GUI에 수집기의 설정상태가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자료 수집부의 GUI에 수집기의 현재상태가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l-time remote chimne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and a data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cess variable transmitted by a second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ollector measurement item is displayed on a GUI of an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tting state of the collector is displayed on the GUI of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current state of the collector is displayed on the GUI of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identical elements througho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known in the art and cases not related to the co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cases including the plural are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constru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with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t may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this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means that each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wo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are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이하,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eal-time remote chimne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c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자료 수집부와 자료 수집기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되는 프로세스 변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자료 수집부의 GUI에 수집기 측정 항목이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자료 수집부의 GUI에 수집기의 설정상태가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자료 수집부의 GUI에 수집기의 현재상태가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intermediate data collector and a data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cess variable transmitted by a second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ollector measurement item is displayed on a GUI of an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tting state of the collector is displayed on the GUI of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current state of the collector is displayed on the GUI of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은 측정부(100), 자료 수집부(Data Logger, DL)(200) 및 중간 자료 수집부(Front-End Processor, FEP)(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real-time remote chimne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ement unit 100 , a data logger (DL) 200 and a front-end processor (FEP). ) (300).

측정부(100)는 설비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다. 측정부(100)는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측정기기(101)로 구성된다.The measurement unit 100 analyzes a component of the gas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The measurement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ement devices 101 that generate measurement data.

측정기기(101)는 설비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분석하여 오염 물질 등의 양을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측정기(101)는 설비의 굴뚝에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 항목(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염화수소, 불화수소,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오염 물질 배출량 보정을 위한 보정 항목(산소, 온도, 유량) 및 추가 수집 항목(유량, 노내 온도, 출입 감시) 등의 항목을 측정하여 각 항목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측정기기(101)는 설비의 굴뚝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분석하기 위해 설비의 굴뚝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기(101)는 굴뚝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measuring device 101 analyzes the gas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to measure the amount of pollutants and the like to generate measurement data. Specifically, the measuring instrument 101 is a pollutant item (dust, sulfur oxide, nitrogen oxide, hydrogen chloride, hydrogen fluoride, ammonia, carbon monoxide) discharged from the chimney of the facility, a correction item (oxygen, temperature, flow rate) for compensating the pollutant emission amount ) and additional collection items (flow rate, furnace temperature, access monitoring), etc., to generate measurement data for each item. The measuring device 101 may be located close to the chimney of the facility in order to analyze the gas discharged from the chimney of the facility. For example, the measuring device 101 may be installed inside a chimne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100)는 측정기기(101)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제1 상태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상태 데이터는 측정기기(101)의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태 데이터는 측정기기(101)의 동작 상태로서 '정상', '교정중', '동작불량', '전원단절', '보수 중' 중 어느 한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ing unit 100 generates first state data, which is data indicating the state of the measuring device 101 . Specifically, the first state data may be data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measuring device 101 . For example, the first state data may be data indicating any one of 'normal', 'calibration', 'operational failure', 'power cut off', and 'maintenance' as the operating state of the measuring device 101. have.

측정기기(101)는 생성된 측정 데이터 및 생성된 제1 상태 데이터를 측정기기(101)와 연결된 자료 수집부(200)의 자료 수집기(201)로 전송한다. 이때, 측정기기(101)는 자료 수집기(201)와 시리얼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시리얼 통신은 전송거리가 길지 않기 때문에, 측정기기(101)와 자료 수집기(201)는 서로 가까이 위치한다. 예를 들어,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는 각각 설비의 굴뚝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101 transmits the generated measurement data and the generated first state data to the data collector 201 of the data collection unit 200 connected to the measuring device 101 . In this case, the measuring device 101 may be connected to the data collector 201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Since serial communication does not have a long transmission distance,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may be located inside and outside the chimney of the facility, respectively.

또한, 측정기기(101)는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에서 전송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 받고, 수신한 원격 제어 신호에 대한 제어 결과를 자료 수집기(2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기(101)는 측정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 받고, 수신한 원격 제어 신호에 대한 측정 결과인 측정 데이터를 자료 수집기(201)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suring device 101 may receive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nd transmit a control result for the received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data collector 201 . For example, the measuring device 101 may receive a remote control signal requesting a measurement, and transmit measurement data that is a measurement result of the received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data collector 201 .

자료 수집부(200)는 측정부(100)에서 생성된 측정 데이터 및 제1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간 자료 수집부(300)로 전송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료 수집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기기(101)와 연결되어 측정 데이터 및 제1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복수의 자료 수집기(201)로 구성된다. The data collection unit 200 collects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first state data generated by the measurement unit 100 and transmits them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 1 and 2 , the data collection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collectors 201 connected to at least one measurement device 101 to collect measurement data and first state data.

자료 수집기(201)는 측정기기(101)와 시리얼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시리얼 통신은 전송거리가 길지 않기 때문에, 측정기기(101)와 자료 수집기(2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가까이 위치한다. 즉,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는 설비의 굴뚝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는 각각 설비의 굴뚝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에 접근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The data collector 201 may be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device 101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Since serial communication does not have a long transmission distance,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may be located near the chimney of the facility. For example,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may be located inside and outside the chimney of the facility, respectively. Accordingly,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access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는 사업장 내의 여러 설비의 굴뚝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는 사업장 내의 여러 곳에 분산 설치되어 있다. 이때, 자료 수집기(201)는 각 설비의 굴뚝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사업장 내에 각 설비의 굴뚝들은 고유 배출구 번호를 통해 구분되며 자료 수집기(201)는 각 굴뚝에 대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각 굴뚝에 위치하는 자료 수집기(201)는 각 굴뚝의 고유 배출구 번호를 통해 구분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chimneys of various facilities in the workplace. That is,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are distributed and installed in various places within the workplace. In this case, the data collector 201 may be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chimney of each facility. Specifically, since the chimneys of each facility in one workplace are identified through a unique outlet number, and the data collector 201 is located corresponding to each chimney, the data collector 201 located in each chimney is a unique outlet of each chimney. They can be identified by number.

자료 수집기(201)는 자료 수집기(201)와 연결된 측정기기(101)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일정한 측정 주기로 수집한다. 예를 들어, 자료 수집기(210)는 5초의 측정 주기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한다. The data collector 201 collects measurement data from the measurement device 101 connected to the data collector 201 at a constant measurement cycle. For example, the data collector 210 collects measurement data with a measurement period of 5 seconds.

자료 수집기(201)는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주기로 측정 데이터에 대한 레포트 자료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자료 수집기(201)는 자료 수집기(201)와 연결된 측정기기(101)로부터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5분 및 30분의 제1 주기로 레포트 자료를 생성한다. The data collector 201 generates report data on the measured data at regular intervals using the collected measured data. For example, the data collector 201 generates report data at first intervals of 5 minutes and 30 minutes by using the measurement data collected from the measurement device 101 connected to the data collector 201 .

자료 수집기(201)는 생성된 레포트 자료를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일정한 제1 주기로 중간 자료 수집부(3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프로토콜은 TCP/IP 소켓(socket)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주기는 5분 또는 30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료 수집기(210)는 생성된 레포트 자료를 TCP/IP 소켓(socket)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5분 또는 30분의 제1 주기로 중간 자료 수집부(300)로 전송한다.The data collector 201 transmits the generated report data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at a predetermined first cycle using the first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otocol may include a protocol using TCP/IP socket communication, and the first period may be 5 minutes or 30 minutes. For example, the data collector 210 transmits the generated report data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at a first cycle of 5 minutes or 30 minutes using a protocol using TCP/IP socket communication.

또한, 자료 수집기(201)는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의 원격 제어 신호를 중간 자료 수집부(300)를 통해 수신 받아 해당 측정기기(101)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측정기기(101)의 제어 결과를 수신하여 중간 자료 수집부(300)를 통해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collector 201 receives the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hrough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corresponding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measuring device 101 ) can be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hrough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료 수집기(201)는 자료 수집기(201)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상태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상태 데이터는 입력 통신 방식, 통신 포트와 같은 설정사항, 운전/정지 상태, CPU 온도, 보드 온도 및 메모리 온도 등과 같은 하드웨어의 상태 및 소프트웨어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llector 201 generates second state data indicating the state of the data collector 201 . Specifically, the second state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ardware state and a software state such as an input communication method, settings such as a communication port, run/stop state, CPU temperature, board temperature, and memory temper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료 수집기(201)는 수집된 측정 데이터 및 제1 상태 데이터 및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생성된 제2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세스 변수(Process Variable, PV)을 생성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llector 201 generates a process variable (PV) by using the collected measurement data and the first state data and the second state data generated from the data collector 201 . do.

프로세스 변수(PV)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료 수집기(201)에 의해 생성되며, 측정기기(101)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 제1 상태 데이터 및 자료 수집기(201)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상태 데이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자료 수집기(201)에서 중간 자료 수집부(300)로 전송되는 프로세스 변수(PV)는 코드 식별부 및 데이터부로 구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variable PV is generated by the data collector 201 , and the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measuring device 101 , the first state data, and the second state data indicating the state of the data collector 201 . includes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 the process variable PV transmitted from the data collector 201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is divided into a code identification unit and a data unit.

코드 식별부는 프로세스 변수(PV)를 생성한 자료 수집기(201)를 구분하는 코드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료 수집기(201)는 설비의 각 굴뚝에 대응하여 위치하여 굴뚝의 고유 배출구 번호를 통해 구분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스 변수(PV)는 자료 수집기(201)를 구분하기 위한 코드 정보로서 자료 수집기(201)가 위치하는 각 굴뚝의 고유 배출구 번호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변수(PV)에 포함된 코드 정보를 통해 복수의 자료 수집기(201) 중 프로세스 변수(PV)를 생성한 자료 수집기(201)를 특정할 수 있다. The code identification unit includes cod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ata collector 201 that has generated the process variable PV.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ata collector 201 is located corresponding to each chimney of the facility and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unique outlet number of the chimney, the process variable PV is code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the data collector 201 . It includes a unique outlet number of each chimney in which the data collector 201 is located. The data collector 201 that generated the process variable PV may be specified among the plurality of data collectors 201 through co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cess variable PV.

데이터부는 측정기기(101)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 제1 상태 데이터 및 자료 수집기(201)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제2 상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기기(101)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는 굴뚝에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 항목(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염화수소, 불화수소,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오염 물질 배출량 보정을 위한 보정 항목(산소, 온도, 유량) 및 추가 수집 항목(유량, 노내 온도, 출입 감시) 등의 항목에 대한 측정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측정기기(101)의 상태 데이터인 제1 상태 데이터는 측정기기(101)의 동작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자료 수집기(201)의 상태 데이터인 제2 상태 데이터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통신 방식, 통신 포트와 같은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의 설정사항,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정지 상태, CPU 온도, 보드 온도 및 메모리 온도 등과 같은 하드웨어의 상태 및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unit may include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device 101 , first state data, and second state data that is data indicating the state of the data collector 201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A , the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measuring device 101 includes pollutant items (dust, sulfur oxides, nitrogen oxides, hydrogen chloride, hydrogen fluoride, ammonia, carbon monoxide) discharged from the chimney, pollutants It may be measurement data for items such as correction items (oxygen, temperature, flow rate) and additional collection items (flow rate, furnace temperature, access monitoring) for emission compensation. In addition, the first state data that is the state data of the measuring device 101 includes the operating state data of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second state data that is the state data of the data collector 201 is as shown in FIG. 4B . As such, input communication method, settings of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data collector 201 such as communication port, as shown in FIG. 4c, hardware such as run/stop state, CPU temperature, board temperature and memory temperature, etc. It may include the state and the state of the software.

자료 수집기(201)는 생성된 프로세스 변수(PV)를 중간 자료 수집부(30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자료 수집기(201)는 생성된 프로세스 변수(PV)를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중간 자료 수집부(300)의 입출력 제어부(32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2 프로토콜은 실험 물리학 및 산업 제어 시스템(Experimental Physics and Industrial Control System, EPICS)의 채널 액세스(Channel Access, CA) 표준 프로토콜일 수 있다. The data collector 201 transmits the generated process variable PV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 Specifically, referring back to FIG. 2 , the data collector 201 transmits the generated process variable PV to the input/output control unit 320 of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using the second protocol. For example, the second protocol may be a Channel Access (CA) standard protocol of an Experimental Physics and Industrial Control System (EPIC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자료 수집기(201), 중간 자료 수집부(300) 및 가상 사설망(VPN)을 연결하는 기존의 사업장 네트워크에서 자료 수집기(201)가 생성하는 프로세스 변수(PV)가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예를 들어, 자료 수집기(201)는 레포트 자료를 제1 프로토콜인 TCP/IP 소켓(socket) 통신을 이용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프로세스 변수(PV)를 제2 프로토콜인 실험 물리학 및 산업 제어 시스템(EPICS)의 채널 액세스(CA)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은 데이터가 전달되는 방식 및 데이터의 형식에 차이가 있을 뿐 물리적으로 동일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이 진행된다.The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data collector 201,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and the virtual private network (VPN)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program or building a separate system. The process variable (PV) generated by the data collector 201 in the existing business network is transmitted using the second protocol. For example, the data collector 201 transmits the report data using a protocol using TCP/IP socket communication, which is a first protocol, and transmits a process variable (PV) to a second protocol, an experimental physics and industrial control system. It can be transmitted using the Channel Access (CA) standard protocol of (EPICS). At this time, the first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communicate using the same physically identical network,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forma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료 수집기(201)는 일정한 제2 주기로 프로세스 변수(PV)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료 수집기(201)는 5초의 제2 주기로 프로세스 변수(PV)를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llector 201 may transmit the process variable PV at a constant second cycle. For example, the data collector 201 may transmit the process variable PV at a second period of 5 second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료 수집기(201)는 레포트 자료를 전송하는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프로세스 변수(PV)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료 수집기(201)는 측정기기(101)로부터 수집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5분 및 30분의 제1 주기로 레포트 자료를 전송하고, 5초의 제2 주기로 프로세스 변수(PV)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한국환경공단에 전송하기 위한 레포트 자료보다 짧은 주기로 프로세스 변수(PV)를 중간 자료 수집부(300)로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측정기기(101)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 제1 상태 데이터 및 제2 상태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llector 201 may transmit the process variable PV in a second period shorter than the first period in which the report data is transmitted. For example, the data collector 201 transmits report data at first intervals of 5 minutes and 30 minutes using the measurement data collected from the measurement device 101 , and transmits the process variable PV at a second cycle of 5 seconds do. Accordingly, since the process variable (PV) is transmitted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at a shorter period than the report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he user can use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101 in real time, the first The state data and the second state data may be monitored.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레포트 자료를 수신하여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로 전송하고,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프로세스 변수(PV)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receives the report data from the data collector 201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nd receives and displays the process variable PV from the data collector 201 .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일정 주기로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에 전송하기 위한 레포트 자료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5분 또는 30분의 제1 주기로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에 전송하기 위한 레포트 자료를 수신한다.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receives report data for transmission from the data collector 201 to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t regular intervals. For example,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receives report data for transmission to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t a first cycle of 5 minutes or 30 minut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근거리 통신망(LAN)을 통해 복수의 자료 수집기(201)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굴뚝 가까이 위치하는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와 먼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업장 내에서 여러 곳에 분산 설치되어 있는 자료 수집기(201)와 연결되어 사업장의 여러 곳에 분산 설치된 자료 수집기(201)에서 수집하는 측정 데이터 및 제1 상태 데이터를 중간 자료 수집부(300)에서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는 굴뚝 가까이 위치하고,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굴뚝과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통신실 또는 제어실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굴뚝에 위치하여 접근이 어려운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에서 측정되는 측정 데이터, 제1 상태 데이터 및 제2 상태 데이터를 접근이 어렵지 않은 중간 자료 수집부(300)에서 용이하게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은 굴뚝과 가까이에 위치한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가 아닌 통신실 또는 제어실에 위치하는 중간 자료 수집부(300)에서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에서 측정되는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ata collectors 201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LAN). Accordingly,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may be located at a far distance from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located close to the chimney.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data collectors 201 distributed and installed in various places within the workplace, and the measurement data and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ors 201 distributed and installed in various places in the workplace are connected. 1 The state data may be checked remotely from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 For example,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may be located near a chimney, and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may be located in a communication room or a control room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chimney. Accordingly, the user is located in the chimney and is not difficult to access th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the first state data, and the second state data in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that is not difficult to access can be easily monitored remotely. That is, the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surement device 101 in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oom or control room rather than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located close to the chimney. and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data collector 201 may be checked in real time.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TCP/IP 소켓 통신을 이용하여 자료 수집기(210)로부터 레포트 자료를 수신한다.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receives the report data from the data collector 210 using TCP/IP socket communication.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수신한 레포트 자료를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로 전송한다. 대기 오염 물질에 대한 레포트 자료가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위조 및 변조 방지 및 자료 보안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의 가상 사설망 단말기(Virtual Private Network Client)로서, 자료 수집기(210)로부터 입력받은 레포트 자료를 5분 또는 30분의 제1 주기로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로 전송한다.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transmits the report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or 201 to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When the report data on air pollutants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since it may be vulnerable to forgery and falsification prevention and data security,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is a virtual private network of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s a terminal (Virtual Private Network Client), the report data input from the data collector 2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hrough a virtual private network with a first cycle of 5 minutes or 30 minute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일정한 제2 주기로 프로세스 변수(PV)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제2 프로토콜인 실험 물리학 및 산업 제어 시스템(EPICS)의 채널 액세스(CA)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5초의 제2 주기로 프로세스 변수(PV)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receives the process variable PV from the data collector 201 at a constant second cycle using the second protocol. For example,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uses the channel access (CA) standard protocol of the Experimental Physics and Industrial Control System (EPICS), which is the second protocol from the data collector 201, in 5 seconds from the data collector 201. The process variable PV may be received in the second cy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은 대기오염공정시험 기준에 따라 사업장의 자료 수집기(201), 중간 자료 수집부(300) 및 가상 사설망(VPN)의 네트워크는 사업장 내의 네트워크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보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규정상 측정 데이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떠한 프로그램도 설치해서는 안된다는 제약사항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자료 수집기(201), 중간 자료 수집부(300) 및 가상 사설망(VPN)을 연결하는 기존의 사업장 네트워크에서 자료 수집기(201)가 생성하는 프로세스 변수(PV)가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In the real-time remote chimne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of the data collector 201,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and the virtual private network (VPN) of the workplace according to the air pollution process test standard is the network and the physical network within the workplace. It has to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and secure, and there is a restriction that any program that can affect measurement data should not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s. At this time, the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ata collector 201,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and the virtual private network (VPN)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program or building a separate system. The process variable (PV) generated by the data collector 201 in the existing business network to which it is connected is transmitted using the second protocol.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수신한 프로세스 변수(PV)를 GUI를 통해 사용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프로세스 변수(PV)에 포함된 측정 데이터, 제1 상태 데이터 및 제2 상태 데이터를 표시한다.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displays the received process variable PV so that the user can monitor it through the GUI.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displays the measurement data, the first state data, and the second state data included in the process variable PV.

중간 자료 수집부(300)는 코어(310), 입출력 제어부(320), 표시부(330) 및 데이터베이스부(340)를 포함한다.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includes a core 310 , an input/output control unit 320 , a display unit 330 , and a database unit 340 .

코어(310)는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로 레포트 자료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코어(310)는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로부터 수신한 원격 제어 신호를 자료 수집기(201)를 통해 측정기기(101)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신호에 따른 측정기기(101)의 제어 결과를 수신하여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코어(310)는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의 스케쥴링을 통해 측정 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된 측정 데이터 또는 레포트 자료를 불러올 수 있다.The core 310 controls the process for transmitting the report data to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Specifically, the core 310 transmits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o the measuring device 101 through the data collector 201, and the measuring device 101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can receive the control result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In addition, the core 310 may receive measurement data through scheduling of the measurement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 or may call measurement data or report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340 .

코어(310)는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5분 또는 30분의 일정한 제1 주기로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에 전송하기 위한 레포트 자료를 수신하고, 자료 수집기(210)로부터 수신한 레포트 자료를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로 전송한다. 이때, 코어(310)는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에서 세팅한 설정에 따라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레포트 자료를 수신하고, 수신한 레포트 자료를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re 310 receives the report data for transmission from the data collector 201 to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t a constant first cycle of 5 minutes or 30 minutes, and the report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or 2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t this time, the core 310 receives the report data from the data collector 201 according to the settings set in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and transmits the received report data to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310)는 제2 프로토콜에 대한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310)는 실험 물리학 및 산업 제어 시스템(EPICS)의 채널 액세스(CA) 표준 프로토콜의 주기 등과 같은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310 may control settings for the second protocol. For example, the core 310 may control settings such as the cycle of an Experimental Physics and Industrial Control System (EPICS) Channel Access (CA) standard protocol.

입출력 제어부(320)는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일정한 제2 주기로 프로세스 변수(PV)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입출력 제어부(320)는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5초의 제2 주기로 프로세스 변수(PV)를 수신하고, 수신한 프로세스 변수(PV)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입출력 제어부(320)에 저장된 프로세스 변수(PV)는 5초의 제2 주기로 갱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변수(PV)는 자료 수집기(201)에 의해 생성되며, 측정기기(101)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 측정기기(101)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상태 데이터 및 자료 수집기(201)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상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입출력 제어부(320)는 프로세스 변수(PV)를 5초의 제2 주기로 수신하고, 저장된 프로세스 변수(PV)는 5초의 제2 주기로 갱신되기 때문에, 자료 수집기(201)에 의해 생성되어 한국환경공단에 전송되는 레포트 자료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실시간으로 프로세스 변수(PV)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The input/output control unit 320 receives and stores the process variable PV from the data collector 201 at a constant second cycle using the second protocol. Specifically, the input/output control unit 320 receives the process variable PV at a second cycle of 5 seconds using the second protocol, and stores the received process variable PV. Accordingly, the process variable PV stored in the input/output control unit 320 is updated with a second cycle of 5 seconds.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variable PV is generated by the data collector 201 , the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device 101 , the first state data indicating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device 101 , and the data collector 201 . ) and second state data indicating the state of the In addition, since the input/output control unit 320 receives the process variable (PV) at a second cycle of 5 seconds, and the stored process variable (PV) is updated at a second cycle of 5 seconds, it is generated by the data collector 201 and generated by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Process variables (PV)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without affecting the reliability of the report data transmitted to the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은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에서 획득된 측정 데이터, 및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의 상태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변수(PV)가 레포트 자료가 수신되는 제1 주기(5분, 30분)보다 짧은 제2 주기(5초)로 수신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측정 데이터,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측정기기(101) 및 데이터 수집기(201)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The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cess variable (PV) including the measurement data obtained from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and the state of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Since the report data is received in a second cycle (5 seconds) shorter than the first cycle (5 minutes, 30 minutes) in which the report data is received, the user can check the measurement data, the status of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in real time. It can be monitored, 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it can be quickly dealt with.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은 굴뚝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의 각 상태 데이터가 통신실 또는 제어실에 위치하는 중간 자료 수집부(300)에 입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측정기기(101) 및 자료 수집기(201)에서 측정되는 측정 데이터, 제1 상태 데이터 및 제2 상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the real-time remote chimne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state data of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located close to the chimney is input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oom or control room. , the user can easily and remotely monitor the measurement data, the first state data, and the second state data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101 and the data collector 201 in real time.

입출력 제어부(320)는 입력 받은 프로세스 변수(PV)를 코어(310), 표시부(330) 및 데이터베이스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스 변수(PV)는 코어(310)로 전송되어 제2 프로토콜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표시부(330)로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부(34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input/output control unit 320 may transmit the received process variable PV to the core 310 , the display unit 330 , and the database unit 340 . Specifically, the process variable PV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e 310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second protocol,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330 to be displayed in real time, and transmitted to the database unit 340 to be stored. can

표시부(330)는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5초의 제2 주기로 수신하는 프로세스 변수(PV),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프로세스 변수(PV) 또는 레포트 자료를 GUI를 통해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30)는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프로세스 변수(PV)를 수신하는 5초의 제2 주기로 측정기기(101)로부터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도 4b 및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 데이터 및 제2 상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료 수집기(201)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측정 데이터, 측정기기 및 자료 수집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30)는 데이터베이스부(340)에 저장된 프로세스 변수(PV) 및 레포트 자료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30 displays the process variable (PV)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or 201 at a second cycle of 5 seconds, the process variable (PV) stored in the database unit, or report data through the GUI.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 the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the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measurement device 101 in a second period of 5 seconds for receiving the process variable PV from the data collector 201 . and, as shown in FIGS. 4B and 4C , the first state data and the second state data may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may monitor the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or 201 in real time, the measurement device, and the state of the data collector.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process variables (PV) and report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340 .

데이터베이스부(340)는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에 전송하기 위한 레포트 자료 및 프로세스 변수(PV)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340)는 입출력 제어부(320)에 저장된 프로세스 변수(PV)가 새로운 프로세스 변수(PV)에 의해 갱신되기 전에 입력받아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저장된 레포트 자료 및 프로세스 변수(PV)는 전술한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The database unit 340 stores report data and process variables (PV) for transmission to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Specifically, the database unit 340 receives and stores the process variable PV stored in the input/output control unit 320 before being updated by the new process variable PV. Accordingly, the stored report data and the process variable PV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display unit 330 .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는 5분 또는 30분의 제1 주기에 따라 레포트 자료를 중간 자료 수집부(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는 원격 제어 신호를 중간 자료 수집부(300)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신호는 자료 수집기(201)를 통해 측정기(101)로 전송된다.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는 원격 제어 신호에 따른 측정기기(101)의 제어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는 중간 자료 수집부(300), 자료 수집기(201) 및 측정기기(101)의 설정을 원격 제어 신호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may receive the report data from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first cycle of 5 minutes or 30 minutes. In addition,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ransmits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 and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easuring instrument 101 through the data collector 201 .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may receive the control result of the measuring device 101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That is, 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may control the settings of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00 , the data collector 201 , and the measuring device 101 through a remote control signal.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400)는 수신한 레포트 자료를 이용하여 사업장의 배출 허용 총량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허용량 초과 알람을 발송할 수 있다.The control center 400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may use the received report data to check whether the total amount of emission allowed by the workplace is exceeded and send an alarm of exceeding the allowable amount.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방법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구성요소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일련의 컴퓨터 지시어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시어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ASICs, FPGAs, DSPs, 또는 그 밖의 다른 유사 소자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시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다른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프로세서 또는 다른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일련의 컴퓨터 지시어들을 실행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및 절차들의 모두 또는 일부를 수행하거나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t least in part, using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or components. This component may be provided as a series of computer instructions via computer-readable media or machine-readable media, including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The directives may be provided as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implemented, in whole or in part, in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SICs, FPGAs, DSPs, or other similar devices. The instructions may be configured to be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or other hardware components, which when executing the series of computer instructions perform or perform all or part of the methods and procedures disclosed herein. make it possibl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측정부 101: 측정기기
200: 자료 수집부 201: 자료 수집기
300: 중간 자료 수집부 310: 코어
320: 입출력 제어부 330: 표시부
340: 데이터베이스부 400: 한국환경공단 관제센터
100: measuring unit 101: measuring device
200: data collection unit 201: data collector
300: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310: core
320: input/output control unit 330: display unit
340: database unit 400: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control center

Claims (12)

설비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성분을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포트 자료를 생성하는 자료 수집부; 및
상기 레포트 자료를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관제센터에 전송하는 중간 자료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자료 수집부는 상기 자료 수집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제1 상태 데이터 및 상기 제2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변수를 생성하여 상기 중간 자료 수집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
a measurement unit for generating measurement data by measuring a component of a gas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a data collection unit for generating report data by using the measurement data; and
and an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port data to the control center using the first protocol.
The measuring unit generates first state data indicating the state of the measuring unit,
The data collection unit generates second state data indicating the state of the data collection unit, generates a process variable including the measurement data, the first state data, and the second state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Features a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배출되는 가스에 대해 측정하는 복수의 측정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자료 수집부는 상기 복수의 측정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자료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변수는 상기 프로세스 변수를 생성한 자료 수집기를 구분하는 코드정보, 상기 프로세스 변수를 생성한 자료 수집기가 수집한 상기 측정 데이터, 상기 프로세스 변수를 생성한 자료 수집기와 연결된 측정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제1 상태 데이터, 및 상기 프로세스 변수를 생성한 자료 수집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ing devices for measuring the discharged gas,
The data colle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collectors respective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easurement devices,
The process variable includes code information for classifying the data collector that generated the process variable, the measurement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or that generated the process variable, and the state of a measurement device connected to the data collector that generated the process variable. A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first state data; and second state data indicative of a state of a data collector that has generated the process vari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자료 수집부는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스 변수를 주기적으로 입력 받아 갱신하는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includes an input/output control unit for periodically receiving and updating the process variable using a second protoc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배출되는 가스에 대해 측정하는 복수의 측정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자료 수집부는 상기 복수의 측정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제1 상태 데이터를 각각 수신 받는 복수의 자료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변수는 제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자료 수집기로부터 상기 중간 자료 수집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ing devices for measuring the discharged gas,
The data colle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collectors each receiving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first state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easurement devices,
The process variable is transmitted from the data collector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using a second protoc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포트 자료는 상기 제1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1 주기로 상기 자료 수집부에서 상기 중간 자료 수집부로 전송되고,
상기 프로세스 변수는 상기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로 상기 자료 수집부에서 상기 중간 자료 수집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por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in a first cycle using the first protocol,
The process variable is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eriod shorter than the first period is transmitt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설비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대해 측정하는 복수의 측정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자료 수집부는 상기 복수의 측정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복수의 자료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는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기기에서 상기 측정기기와 연결된 자료 수집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ing devices for measuring the gas discharged from the facility,
The data colle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collector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easurement devices,
The measured data is a real-time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a chimne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from the measuring device to a data collector connected to the measuring device using serial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자료 수집기는 각 설비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하나의 자료 수집기의 코드정보는 상기 자료 수집기가 설치된 설비의 고유 배출구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ingle data collector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and the code information of the single data collector is a unique outlet number of the facility in which the data collector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배출되는 가스에 대해 측정하는 복수의 측정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자료 수집부는 상기 복수의 측정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자료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 데이터는 상기 측정기기에 대한 동작상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 데이터는 상기 자료 수집기에 대한 설정 데이터, 하드웨어 상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 상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ing devices for measuring the discharged gas,
The data colle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collectors respective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easurement devices,
The first state data includes operation state data for the measuring device,
The second stat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setting data, hardware state data, and software state data for the data coll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포트 자료 및 상기 프로세스 변수는 동일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ort data and the process variable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포트 자료는 TCP/IP 소켓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자료 수집부로부터 상기 중간 자료 수집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or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to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using TCP/IP socket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포트 자료는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상기 중간 자료 수집부에서 한국환경공단의 관제센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al-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or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intermediate data collection unit to the control center of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through a virtual private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는 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염화수소, 불화수소,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산소, 온도, 유량, 유량, 노내 온도, 출입 감시에 대해 측정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굴뚝 원격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ed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dust, sulfur oxides, nitrogen oxides, hydrogen chloride, hydrogen fluoride, ammonia, carbon monoxide, oxygen, temperature, flow rate, flow rate, furnace temperature, and data measured for access monitoring in real time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KR1020200188939A 2020-12-31 2020-12-31 Tele Metering System KR1025282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939A KR102528256B1 (en) 2020-12-31 2020-12-31 Tele Mete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939A KR102528256B1 (en) 2020-12-31 2020-12-31 Tele Mete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470A true KR20220096470A (en) 2022-07-07
KR102528256B1 KR102528256B1 (en) 2023-05-02

Family

ID=8239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939A KR102528256B1 (en) 2020-12-31 2020-12-31 Tele Mete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25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6181A (en) * 2004-12-29 2006-07-04 환경관리공단 Internet data logger in stager tele-monitoring system
KR20080059366A (en) * 2004-12-29 2008-06-27 환경관리공단 Stack tele-monitoring system
KR20120117429A (en) * 2011-04-15 2012-10-24 한국환경공단 Remote observation system for quality of water and remote observ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199928B1 (en) * 2012-05-23 2012-11-09 한국환경공단 Stack tele-monitoring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KR101199924B1 (en) * 2012-05-23 2012-11-09 한국환경공단 Stack tele-monitoring system based on digital communication automated measuring instrument in flu ga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6181A (en) * 2004-12-29 2006-07-04 환경관리공단 Internet data logger in stager tele-monitoring system
KR20080059366A (en) * 2004-12-29 2008-06-27 환경관리공단 Stack tele-monitoring system
KR20120117429A (en) * 2011-04-15 2012-10-24 한국환경공단 Remote observation system for quality of water and remote observ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199928B1 (en) * 2012-05-23 2012-11-09 한국환경공단 Stack tele-monitoring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KR101199924B1 (en) * 2012-05-23 2012-11-09 한국환경공단 Stack tele-monitoring system based on digital communication automated measuring instrument in flu 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256B1 (en)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31934A1 (en) Monitoring system
CN104395848B (en) For real-time dry low NOx (DLN) and the method and system of diffusion combustion monitoring
CN110868425A (en) Industrial control information safety monitoring system adopting black and white list for analysis
US20040224627A1 (en) Fire/smoke damper control system
KR101500438B1 (en) Real-time odor monitoring system
CN205579626U (en) Heating furnace burning control system based on flue gas CO is control variable
RU2008102140A (en) SYSTEM AND METHOD OF CENTRALIZED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OPERATION MODE OF POWER TRANSFORMERS INSTALLED AT DIFFERENT SUBSTATIONS AND IN MONITORING CENTERS
KR20100113686A (en) Demand-based real time energ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CN110470147A (en)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cloud platform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ceramic kiln
KR20170024975A (en) Monitering System of Risk Factor of Industrial Complex and Industry and Method thereof
KR102335676B1 (en) Fire monitoring system that can provide fire monitoring
CN111061321A (en) CEMS intelligent housekeeper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WO2013176381A1 (en) Remote smokestack monitor system for remote control
WO2013176380A1 (en) Remote smokestack monitor system based on digital communication type automatic smokestack measuring device
KR100877947B1 (en) Data logger in stack tele-monitoring system
CN107860426A (en)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9597381B (en) Internet of things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KR102296561B1 (en) Integrated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for Swithchboar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Zigbee
KR20220096470A (en) Tele Metering System
CN110554145A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detecting and calibrating automatic flue gas monitoring system
KR101096593B1 (en) Sensor network middleware system for managing tele-metering system
KR20100028822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easurement of environment noise
KR102228349B1 (en) System for remote diagnosing fault of oxygen concentration analyzer and method thereof
CN210742765U (en) CEMS intelligent housekeeper system
WO2021261614A1 (en)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diagnos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