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463A - Applia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pplia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463A
KR20220096463A KR1020200188924A KR20200188924A KR20220096463A KR 20220096463 A KR20220096463 A KR 20220096463A KR 1020200188924 A KR1020200188924 A KR 1020200188924A KR 20200188924 A KR20200188924 A KR 20200188924A KR 20220096463 A KR20220096463 A KR 20220096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weather information
user
area
dr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9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0575B1 (en
Inventor
방기석
장은숙
Original Assignee
(주)지비엠 아이엔씨
대한민국(기상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비엠 아이엔씨, 대한민국(기상청장) filed Critical (주)지비엠 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18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575B1/en
Publication of KR20220096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4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is operated by a mobile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a touch screen and a GPS module and provides weather information to a user, wherein the application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includes: a weather information management part for acquiring weather information from a predefined server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a touch sensing part for sensing a touch and a drag made by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and an application control part for dividing a full screen into a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controlling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to display weather information necessary for each weather information area, specifying or modifying the weather information areas in response to a touch or a drag, when the touch or the drag is made by the user, and providing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ehensive weather information is provided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device of the user and, in particular, the weather information areas are specified, modified and provided to improve a use convenience in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Description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및 기상 정보 제공 방법 {APPLIA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Applications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and methods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APPLIA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본 발명은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및 기상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기상 예측이 가능해지고 있고, 또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기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more accurate and various weather forecasts are possible, and weather information can be more conveniently provided to users through various devices.

최근에는 모바일 기술의 발전 및 보급에 따라, 모든 사용자들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형 전자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mobile technology, all users are equipped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이러한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기상 정보는 웹 기반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구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 등이 적용되고 있다. Conventional weather information using such a portable terminal device is implemented as a web-based method, or a method of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to a user based on an application operable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appli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상 정보 제공 수단들은 기상 정보의 단편적인 제공에 그칠 뿐, 기상 정보의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However, these conventional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means are limited to providing only fragmentary weather information and failing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e weather information.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면서 편리한 인터페이스로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니즈가 증대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technology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through a more intuitive and convenient interface to users.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036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80362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종합적인 기상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기상 정보 영역을 구체화 및 변형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및 기상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comprehensive weather information using a user's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in particular, provides a weather forecast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i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t is to provide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nd a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at can be provided by specifying and transforming an information area.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상 정보를 제공하고, 기상 정보 영역의 특징을 도출하여 날씨 종합 코멘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상 특징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인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및 기상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with various weather information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and provide a comprehensive weather comment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ther information area to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recognize the weather characteristics to the us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nd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at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다른 시간 간격을 가지는 예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증대 시킴과 함께 보다 직관적으로 기상 예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및 기상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ecast having a different time interval according to a user's dragging direction for the weather forecast area, thereby increasing the user interface for the weather forecast area and providing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more intuitively It is to provide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통신 모듈, 터치 스크린 및 GPS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구동되어 사용자에게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정의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하는 기상정보 관리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및 전체 화면을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기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상 정보 영역 각각마다 필요한 기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가 발생하면, 발생한 터치 또는 드래그에 적응적으로 상기 기상 정보 영역을 구체화 또는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기상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s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that is driven in a mobile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 touch screen, and a GPS module to provide weather information to a user, and receives weather information from a predetermined server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weath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o obtain, a touch sensing unit for sensing a user's touch and drag on the touch screen, and the entire screen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and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required for each of the weather information areas It may include an applic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display and provides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to the user by realizing or transforming the weather information area adaptively to the generated touch or drag when the user's touch or drag occur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은 날씨 종합 영역 및 기상 예보 영역을 포함하고, 미세 먼지 영역, 전국 날씨 영역, 기상 특보 영역 및 기상 영상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may include a comprehensive weather area and a weather forecast area,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ne dust area, a national weather area, a special weather report area, and a meteorological image are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기상 예보 영역에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횡적 확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간격보다 넓은 제2 시간 간격을 가지는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horizontally expands and provides a forecast set at a first time interval in the weather forecast area according to a user's drag direction to the weather forecast area, or a second wider than the first time interval Forecasts with a 2-hour interval can be provided in a longitudinal extens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제1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상기 횡적 확장을 제공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s drag is determin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scrolls the forecast set at the first time interval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in the first direction to display the horizontal extensions can be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상기 종적 확장을 제공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when the user's drag is determin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forecast set at the second time interval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in the second direction A corresponding scroll display may provide the vertical expans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상기 기상 예보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서 이루어지면, 상기 횡적 확장 또는 상기 종적 확장을 취소하고,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의 스크롤을 제공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when the user's drag is made in an area out of the weather forecast area, cancels the horizontal or vertical expansion, and according to the user's drag,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Scrolling can be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GPS 모듈 또는 상기 통신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현재 온도 정보, 체감 온도, 미세먼지 정보 및 자외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날씨 종합 영역을 구성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GPS module or the communication module. Here,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sensible temperature, fine dust information, and ultraviolet light information to configure the weather comprehensive are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현재 온도 정보, 상기 체감 온도, 상기 미세먼지 정보 및 상기 자외선 정보 중에서 이전의 기록과 비교하여 일정 이상 차이를 가지는 요소를 선별하고, 선별된 요소에 의한 특징을 추출하여 특징 코멘트를 생성하며, 생성된 특징 코멘트를 상기 종합 영역에 포함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selects a factor having a difference of more than a certain level compared to a previous record from among the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the sensible temperature, the fine dust information, and the ultraviolet information, and selects a feature by the selected element can be extracted to generate a feature comment, and the generated feature comment can be included in the comprehensive area.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기상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상 정보 제공 방법은, 통신 모듈, 터치 스크린 및 GPS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기상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정의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하는 단계, 전체 화면을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기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상 정보 영역 각각마다 필요한 기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가 발생하면, 발생한 터치 또는 드래그에 적응적으로 상기 기상 정보 영역을 구체화 또는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기상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performed in a portable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 touch screen, and a GPS module,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weather information from a predetermined server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Sensing the user's touch and drag on the screen, dividing the entire screen into a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and controlling to display necessary weather information for each of the weather information areas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user's touch Alternatively, when a drag occurs, the step of providing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to the user by specifying or transforming the weather information area adaptively to the generated touch or drag.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은, 날씨 종합 영역 및 기상 예보 영역을 포함하고, 미세 먼지 영역, 전국 날씨 영역, 기상 특보 영역 및 기상 영상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may include a comprehensive weather area and a weather forecast area,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ne dust area, a national weather area, a special weather report area, and a meteorological image area.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기상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기상 예보 영역에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횡적 확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간격보다 넓은 제2 시간 간격을 가지는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providing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to the user may include horizontally extending and providing a forecast set at a first time interval in the weather forecast area according to the dragging direc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weather forecast area, or The method may include providing a forecast having a second time interval wider than the first time interval in a vertical extens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제1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상기 횡적 확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forecast by extending vertically, when the user's drag is determin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orecast set at the first time interval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corresponds to the first direction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the horizontal expansion by scrolling the display.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상기 종적 확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providing the forecast by extending vertically may include, if the user's drag is determin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forecast set at the second time interval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vertical expansion by scrolling in response to the second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상기 기상 예보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서 이루어지면, 상기 횡적 확장 또는 상기 종적 확장을 취소하고,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의 스크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tep of providing the forecast by vertically extending the forecast includes, when the user's drag is made in an area outside the weather forecast area, cancels the horizontal or vertical expansion, and according to the user's drag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scrolling of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상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GPS 모듈 또는 상기 통신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현재 온도 정보, 체감 온도, 미세먼지 정보 및 자외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날씨 종합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checks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GPS module or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includes a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and tangible sens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figuring the weather comprehensive area includ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fine dust information, and UV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날씨 종합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온도 정보, 상기 체감 온도, 상기 미세먼지 정보 및 상기 자외선 정보 중에서 이전의 기록과 비교하여 일정 이상 차이를 가지는 요소를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된 요소에 의한 특징을 추출하여 특징 코멘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징 코멘트를 상기 종합 영역에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figuring of the weather comprehensive area includes: selecting an element having a difference of more than a certain level from among the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the sensible temperature, the fine dust information, and the ultraviolet information, compared with a previous record; It may include extracting a feature by the selected element to generate a feature comment, and including the generated feature comment in the synthesis area.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do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종합적인 기상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에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기상 정보 영역을 구체화 및 변형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ehensive weather information is provided using a user's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in particular, the weather information area can be specified and provided by modifying the user's portable terminal device to increase ease of use. It work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상 정보를 제공하고, 기상 정보 영역의 특징을 도출하여 날씨 종합 코멘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상 특징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인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are configured to provide various weather information to the user, and weather characteristics are intuitively provided to the user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ther information area and providing a comprehensive weather comm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다른 시간 간격을 가지는 예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증대 시킴과 함께 보다 직관적으로 기상 예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forecast having a different time interval according to the user's drag direction for the weather forecast area, the user interface for the weather forecast area is increased and the weather forecast is more intuitive It has the ability to provide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드래그를 판단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device running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to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user drag in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순서도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각 단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서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도에 따른 순서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서도에서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Although various flowcharts are disclo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each step, and each step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flowchart. That is,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each other, performed in an order according to the flowchart,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in the flowch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 장치(100)를 구비하고, 휴대 단말 장치(100)에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사용자에게 위치기반 기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user is equipped with a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and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s driven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to provide location-based weather information to the user.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100)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서비스 연동 서버(300)와 연동하여 서비스 연동 서버(300)로부터 기상 정보 제공에 필요한 기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operates based on the user's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and may obtain weather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interworking server 300 in conjunction with the service interworking server 300 .

서비스 연동 서버(300)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서버로서,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배포하고,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기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interworking server 300 is a dedicated server for providing a service by interworking with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nd may distribute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to users and provide the weather information requir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n real time.

서비스 연동 서버(300)는 기상정보 서버(400)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게 기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기상정보 서버(400)는 기상 정보를 생성하여 직접 제공하는 서버로서, 예를 들어, 대한민국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The service interworking server 300 may obtain weather information from the weather information server 400 and convert it into a format requir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to provide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to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The weather information server 400 is a server that generates and directly provides meteorological information, and may be, for example,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한편, 도 1에서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서비스 연동 서버(300)를 통하여 기상 정보를 생성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직접 기상정보 서버(400)로부터 필요한 기상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 1 , an example in which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generates meteorological information through the service interworking server 300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obtain the necessary weather information from the weather information server 40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로서,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device performing a user interface display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및 표시부(19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mobil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 a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 a multimedia module 140 , a camera module 150 , a GPS module 155 , It includes an input/output module 160 , a sensor module 170 , a storage unit 175 , a power supply unit 180 , and a display unit 190 .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includes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and the multimedia module 140 includes a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an audio reproduction module 142, and a video reproduction module. (143);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 입력부/출력부라고도 함)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camera module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camera 151 and a second camera 152 , and the input/output module 160 (also referred to as an input/output unit) includes a button 161 and a microphone 162 . , a speaker 163 , a vibration motor 164 , a connector 165 , a keypad 166 , and at least one of an earphone connecting jack (Earphone Connecting Jack, 167).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가 각각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display unit 190 and the display controller 195 are a touch screen and a touch screen controller, respectivel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supply power to one or a plurality of batteries disposed in the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 One or a plurality of batteries supplies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camera 151 and a second camera 152 for capturing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include a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 an audio playback module 142 , or a video playback module 143 . The broadcasting communication module 141 includes a broadcasting signal (eg, a TV broadcasting signal, a radio broadcasting signal, or a data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and information from the broadcasting unit (eg, an Electric Program Guide (EPS) or An Electric Service Guide (ESG) may be received. The audio reproduction module 142 may reproduce a digital audio file (eg, a file having a file extension of mp3, wma, ogg, or wav). The video playback module 143 may play a digital video file (eg, a file having a file extension of mpeg, mpg, mp4, avi, mov, or mkv).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휴대 단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 등의 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connect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or a plurality of antennas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for voice calls, video calls, text messages (SMS) or multimedia messages (MMS) with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having a phone number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100 . have.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100)간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 The wireless LAN module 131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t a location where a wireless access point (AP) (not shown) is install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32 may perform wireles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devices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휴대 단말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The GPS module 155 receives radio waves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not shown) on Earth's orbit, and measures the time of arrival from the GPS satellites (not shown)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00 may be calculated using

센서 모듈(170)은 휴대 단말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7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that detects th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At least one sensor may detect a state,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110 .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uttons 161 , a microphone 162 , a speaker 163 , a vibration motor 164 , a connector 165 , and a keypad 166 .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으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영상과 동작 상태 및 메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 즉, 드래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90 may receive a user's manipulation, and may display an execution image of an application program, an operation state, and a menu state. That is, the touch screen 190 may provide the user with a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various services (eg, call, data transmission, broadcasting, photo taking). The touch screen 190 may transmit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ouch input to the user interface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 The touch screen 190 may receive at least one touch input through the user's body (eg, a finger including a thumb) or a touchable input means (eg, a stylus pen). Also, the touch screen 190 may receive a continuous movement of one touch, ie, a drag, among at least one touch. The touch screen 190 may transmit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touch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converts an analog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190 into a digital signal (eg, X and Y coordinates)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10 .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190 using a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단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75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 a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 a multimedia module 140 , a camera module 150 , a GPS module 155 , and an input/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 160 ), the sensor module 170 , and a signal or data input/outpu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190 may be stored. The storage unit 175 may store control programs and applications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device 100 or the controller 110 .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storage unit” refers to the storage unit 175, the ROM 112 in the control unit 110, the RAM 113, or a memory card (not shown)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eg, SD card, memory stick).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제어부(110)는 CPU(111),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 단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있다.The control unit 110 stores the CPU 111 , a ROM 112 in which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is stored, and signals or data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or is portable. It may include a RAM (RAM) 113 used as a storage area for a task perform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 The CPU 111 may include a single core, a dual core, a triple core, or a quad core. The CPU 111 , the ROM 112 , and the RAM 113 may be interconnected through an internal bus.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 a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 a multimedia module 140 , a camera module 150 , a GPS module 155 , an input/output module 160 , and a sensor module 170 ). , the storage unit 175 , the power supply unit 180 , the touch screen 190 ,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can be controlled.

이하, 도 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9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은 기상정보 관리부(210), 위치정보 관리부(220), 터치 감지부(230) 및 어플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th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10 ,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 a touch sensing unit 230 , and an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 can do.

기상정보 관리부(210)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통신 모듈, 즉, 이통 통신 모듈(120) 내지 서브 통신 모듈(130)을 이용하여 소정의 서버, 즉, 서비스 연동 서버(300) 또는 기상정보 서버(400)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기상정보 관리부(210)는 획득한 기상 정보를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제장하거나, 또는 어플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 있다.The weath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10 uses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to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to a predetermined server, that is, the service interworking server 300 or the weather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the server 400 . The weath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10 may store the obtained weather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75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or provide it to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

위치정보 관리부(220)는 GPS 모듈(155) 또는 상술한 통신 모듈과 연동하여 휴대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위치정보 관리부(220)는 확인된 휴대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어플 제어부(240)에 제공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checks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by interworking with the GPS module 155 or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odule.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provides the confirmed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00 to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

터치 감지부(23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30)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여 어플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touch sensing unit 230 may detect a user's touch and drag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The touch sensing unit 230 may obtain coordinate information for the user's touch and drag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and provide it to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

일 실시예에서, 터치 감지부(230)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가 어느 기상 정보 영역에서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정보를 어플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touch sensing unit 230 may determine in which weather information area the user's touch or drag occurred by check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provid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 and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it to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

어플 제어부(240)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의 타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controller 240 may control other components of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to control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to operate.

어플 제어부(240)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에서 제공하는 전체 화면을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어플 제어부(240)는 기상 정보를 기초로, 기상 정보 영역 각각마다 필요한 기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controller 240 may divide the entire screen provid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into a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The application controller 240 may control to display necessary weather information for each weather information area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은, 날씨 종합 영역 및 기상 예보 영역을 포함하고, 미세 먼지 영역, 전국 날씨 영역, 기상 특보 영역 및 기상 영상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할 수 있다. 어플 제어부(240)는 제공받은 기상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 각각마다 필요한 기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may include a comprehensive weather area and a weather forecast area,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ne dust area, a national weather area, a special weather report area, and a meteorological image area. The application controller 240 may control to display necessary weather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based on the provided weather information.

어플 제어부(240)는 위치정보 관리부(220)에서 확인된 휴대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 현재 위치에서의 현재 온도 정보, 체감 온도, 미세먼지 정보 및 자외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날씨 종합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00 identifi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20,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sensible temperature, fine dust information, and ultraviolet light information You can configure the area.

일 실시예에서, 어플 제어부(240)는 현재 온도 정보, 체감 온도, 미세먼지 정보 및 자외선 정보 중에서 이전의 기록과 비교하여 일정 이상 차이를 가지는 요소를 선별하고, 선별된 요소에 의한 특징을 추출하여 특징 코멘트를 생성하며, 생성된 특징 코멘트를 종합 영역에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selects a factor having a difference of more than a certain level compared to the previous record among the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the sensible temperature, the fine dust information, and the ultraviolet information, and extracts the characteristics by the selected element. A feature comment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feature comment may be included in the comprehensive area.

어플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가 발생하면, 발생한 터치 또는 드래그에 적응적으로 기상 정보 영역을 구체화 또는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기상 세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When a user's touch or drag occurs,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may provide detailed wake-up information to the user by specifying or transforming the weather information area adaptively to the generated touch or drag.

일 실시예에서, 어플 제어부(240)는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기상 예보 영역에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횡적 확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간격보다 넓은 제2 시간 간격을 가지는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horizontally expands and provides the forecast set at the first time interval in the weather forecast area according to the user's drag direction for the weather forecast area, or a second wider than the first time interval Forecasts with time intervals can be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extension.

일 예로, 어플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드래그가 제1 방향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상기 횡적 확장을 제공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s drag is determin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may scroll and display the forecast set at a first time interval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in the first direction to provide the lateral expansion. have.

다른 예로, 어플 제어부(240)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상기 종적 확장을 제공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drag is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may correspond to the forecast set at the second time interval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in the second direction. can be scrolled to provide the vertical expansion.

일 실시예에서, 어플 제어부(240)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상기 기상 예보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서 이루어지면, 횡적 확장 또는 종적 확장을 취소하고,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의 스크롤을 제공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s dragging is made in an area outside the weather forecast area,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cancels the horizontal or vertical expansion, and scrolls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according to the user's drag. can provide

도 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이하 도 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어플 제어부(240)의 각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4 to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ach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controller 2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6 .

도 4 및 도 5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전체 화면, 즉,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의 예시적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ntire screen provid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that is, a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and FIGS. 6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exemplary screens of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날씨 종합 영역(510), 생활기상지수 영역(520), 기상 예보 영역(530), 전국 날씨 영역(540), 기상 특보 영역(550) 및 기상 영상 영역(560)을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ncludes a weather comprehensive area 510, a daily weather index area 520, a weather forecast area 530, a national weather area 540, a weather special area 550 and It may include a weather image area 560 .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날씨 종합 영역(510)은 휴대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 현재 위치에서의 현재 온도 정보, 체감 온도, 미세먼지 정보 및 자외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 the weather comprehensive area 5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sensible temperature, fine dust information, and ultraviolet light information. have.

어플 제어부(240)는 현재 온도 정보, 체감 온도, 미세먼지 정보 및 자외선 정보 중에서 이전의 기록과 비교하여 일정 이상 차이를 가지는 요소를 선별하고, 선별된 요소에 의한 특징을 추출하여 특징 코멘트(511)를 생성할 수 있다. 어플 제어부(240)는 생성된 특징 코멘트를 종합 영역(510)에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selects an element having a difference of more than a certain level compared to the previous record among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sensible temperature, fine dust information, and ultraviolet information, and extracts features by the selected element to make a feature comment (511) can create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may include the generated feature comment in the synthesis area 510 .

이와 같이, 어플 제어부(240)는 기상 정보 영역의 특징을 도출하여 날씨 종합 코멘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상 특징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인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weather characteristics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ther information area and providing the comprehensive weather comment.

어플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정보, 초미세먼지 정보, 오존 정보 등을 생활기상지수 영역(520)에 표시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may display fine dust information, ultrafine dust information, ozone information, etc. for an area including the user's location on the living weather index area 520 .

어플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에 대한 미래 시간에 대한 날씨 정보, 즉, 기상 예보를 기상 예보 영역(530)에 표시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controller 240 may display weather information for a future time of the user's current location or a location set by the user, ie, a weather forecast, in the weather forecast area 530 .

어플 제어부(240)는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를 감지하고,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기상 예보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어플 제어부(240)는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기상 예보 영역에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횡적 확장하여 제공하거나, 상기 제1 시간 간격보다 넓은 제2 시간 간격을 가지는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 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controller 240 may detect a user's drag to the weather forecast area, and provide a weather forecas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That is,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horizontally expands and provides the forecast set at the first time interval in the weather forecast area according to the user's drag direction to the weather forecast area, or has a second time interval wider than the first time interval. Forecasts can be extended vertically.

이러한 어플 제어부(240)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The function of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6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 제어부(240)는 대한민국 전국에 대한 날씨를 요약하여 전국 날씨 영역(540)에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the application controller 240 may summarize the weather for the whole of Korea and display it in the national weather area 540 .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 제어부(240)는 기상 특보가 발효되는 경우, 기상 특보에 대한 전국 정보를 기상 특보 영역(55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어플 제어부(240)는 위성 영상, 레이더 영상 또는 아시아 위성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기상 영상 영역(560)을 제공할 수 있다.7 to 8 , when the special weather report takes effect,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may display national information on the special weather report in the special weather area 550 . In addition,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may provide a weather image area 560 capable of displaying a satellite image, a radar image, or an Asian satellite image.

도 9는 생활기상지수 영역(520)의 세부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전체 화면에서 사용자가 생활기상지수 영역(520)을 터치하면, 어플 제어부(240)는 도 9에 도시된 예와 같이, 생활기상지수 영역(520)의 세부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tailed screen of the living weather index area 520 . When the user touches the living weather index area 520 on the entire screen shown in FIG. 4 ,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provides a detailed screen of the living weather index area 520 to the user,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 can do.

또한, 어플 제어부(240)는 미세먼지 지수, 자외선 지수 등을 고려하여 생활기상지수를 설정하고, 생활기상지수에 대한 정보(522, 523)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어플 제어부(240)는 생활기상지수로서, 운동지수, 산책지수, 더위체감, 환기지수 등을 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기상지수는 온도, 체감온도, 습도, 미세먼지 지수, 자외선 지수를 포함하여 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may set the living weather index in consideration of the fine dust index, the UV index, and the like, and provide information 522 and 523 on the living weather index. For example,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may calculate an exercise index, a walking index, a feeling of heat, a ventilation index, etc. as a living weather index. This living weather index can be calculated including temperature, sensible temperature, humidity, fine dust index, and UV index.

도 10 내지 도 16은,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기상 예보 영역을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기상 예보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0 to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providing detailed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to a user by transforming a weather forecast area in response to a user's drag on the weather forecast area.

즉, 어플 제어부(240)는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기상 예보 영역에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횡적 확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제2 시간 간격을 가지는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시간 간격은 제1 시간 간격보다 넓다.That is,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horizontally expands and provides the forecast set at the first time interval in the weather forecast area according to the user's drag direction to the weather forecast area, or vertically expands and provides the forecast having the second time interval. can do. Here, the second time interval is wider than the first time interval.

즉,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서, 예보 시간 간격이 다른 예보 정보를 횡적으로 확장(스크롤)하거나 종적으로 확장(스크롤) 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예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forecast information can be intuitively provided to the user by horizontally expanding (scrolling) or vertically expanding (scrolling) the forecast information having different forecast time intervals according to the user's drag direction.

도 10 내지 도 12는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횡적 확장의 예를 도시한다. 10 to 12 show examples of lateral expansion for a weather forecast area.

도 10에 도시된 예와 같이, 사용자가 기상 예보 영역(531)에 대하여 제1 방향의 드래그, 즉, 횡방향 드래그를 하면, 어플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횡적 확장을 제공 할 수 있다.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 when the user drags the weather forecast area 531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horizontally drags,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responds to the user's drag at a first time interval. Horizontal expansion may be provided by scrolling the set forecast in response to the first direction.

도시된 예에서, 제1 시간 간격은 3시간 간격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time interval is a 3 hour interv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0에서 횡방향 드래그에 따라 횡적 스크롤이 수행되면 도 11과 같이 기상 예보 영역(532)이 변동되어 스크롤 된다. When a horizontal scroll is performed according to a horizontal drag in FIG. 10 , the weather forecast area 532 is changed and scrolled as shown in FIG. 11 .

도 12는 3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기상 예보 정보에 대하여 횡적 확장 전의 표시영역(531)과 횡적 확장 후의 표시 영역(532)의 예를 도시한다.12 shows an example of a display area 531 before horizontal expansion and a display area 532 after horizontal expansion with respect to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set at 3-hour intervals.

이와 같이, 사용자가 기상 예보 영역(530)을 가로 방향(횡방향) 드래그를 하면, 어플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횡적으로 확장하여 예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횡적 확장에 의한 예보의 시간 간격(예컨대, 3시간)은, 후술할 종적 확장에 의한 예보(예컨대, 1일)보다 짧게 설정된다.In this way, when the user drags the weather forecast area 5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horizontally expands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to provide a forecast. Here, the time interval (eg, 3 hours) of the forecast by the lateral expansion is set shorter than the forecast (eg, 1 day) by the vertical expans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3 내지 도 14는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종적 확장의 예를 도시한다. 13 to 14 show examples of longitudinal expansion for the weather forecast area.

도 1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사용자가 기상 예보 영역(531)에 대하여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의 드래그, 즉, 종방향 드래그를 하면, 어플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제2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종적 확장을 제공 할 수 있다.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 when the user drags the weather forecast area 531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longitudinal drag,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responds to the user's drag. Thus, the forecast set at the second time interval can be scrolled and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second direction to provide vertical expansion.

도시된 예에서, 제2 시간 간격은 1일 간격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econd time interval is a one-day interv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3에서 종방향 드래그에 따라 종적 스크롤이 수행되면 도 14와 같이 기상 예보 영역(533)이 일별 예보로 변동되어 스크롤 된다. 도 14에 도시된 예에서 종적 드래그가 계속되면, 어플 제어부(240)는 이후 일자에 대한 일별 예보를 스크롤 하면서 계속 제공한다.When vertical scroll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vertical drag in FIG. 13 , the weather forecast area 533 is changed to a daily forecast and scrolled as shown in FIG. 14 . If the vertical drag continue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continues to provide the daily forecast while scrolling for a later date.

결국, 사용자가 기상 예보 영역(530)을 드래그 하는 방향에 따라, 제공되는 예보의 시간 간격 및 스크롤 방향이 변동되며, 이는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예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drags the weather forecast area 530, the time interval and scrolling direction of the provided forecast are changed, in order to provide forecast information more intuitively to the user.

도 15 내지 도 16은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종적 확장과 구분되는 전체 화면의 드래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5 to 1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drag of the entire scree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vertical expansion of the weather forecast area.

상술한 횡적 확장 및 종적 확장은 기상 예보 영역(530)에서만 수행되는 것이며, 기상 예보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510, 520)에 대한 드래그에 대해서는 어플 제어부(240)는 전체 화면이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The horizontal expansion and vertical expansion described above are performed only in the weather forecast area 530, and the application controller 240 controls the entire screen to be moved when dragging the areas 510 and 520 other than the weather forecast area.

즉, 어플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드래그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상 예보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서 이루어지면, 횡적 확장 또는 종적 확장을 취소하고,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의 드래그를 제공 할 수 있다. 도 16 전국 날씨 영역(540) 및 기상 특보 영역(550)이 표시되도록 상방향 스크롤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s dragging is performed in an area outside the weather forecast area as shown in FIG. 15 ,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cancels the horizontal or vertical expansion, and drags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according to the user's drag. can provide 16. It can be seen that the upward scrolling is performed so that the national weather area 540 and the weather warning area 550 are displayed.

일 실시예에서, 어플 제어부(240)는 기상 예보 영역(530)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가 불분명할 때, 이러한 드래그가 종적 드래그인지 횡적 드래그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은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드래그를 판단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s drag to the weather forecast area 530 is unclear, the application controller 240 may determine whether the drag is a vertical drag or a horizontal drag. 17 to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 user drag in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도 17과 같이, 사용자 드래그는 종적 성분 및 횡적 성분을 모두 포함하여 발생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사용자의 드래그는 수직 또는 수평 드래그보다는 도 17과 같이 수직 및 수평 성분을 포함하는 합성 드래그로 구현된다.17 , the user drag may be generated including both a vertical component and a horizontal component. Actually, the user's drag is implemented as a composite drag including vertical and horizontal components as shown in FIG. 17 rather than a vertical or horizontal drag.

어플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드래그 중에서 드래그의 시점이 기상 예보 영역(530)에 포함되는 경우, 종적 확장 또는 횡적 확장을 수행할 드래그로서 판단한다.When the user's dragging point is included in the weather forecast area 530 among the user's drags,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determines as a drag to be extend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도 18에 도시된 그림 (a)과 같이, 어플 제어부(240)는 드래그의 시점(Ps)와 종점(Pf)을 추출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드래그의 시점(Ps)은 기상 예보 영역(530)에 포함된다.As shown in Figure 18 (a),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extracts the starting point (Ps) and the end point (Pf) of the drag. Here, as described above, the time point Ps of the drag is included in the weather forecast area 530 .

어플 제어부(240)는 그림 (b)과 같이, 드래그의 시점(Ps)으로부터 종점(Pf)에 이르는 최단거리 드래그를 생성한다. 이후, 어플 제어부(240)는 그림 (c)와 같이, 최단거리 드래그의 횡적 성분(Dx)와 종적 성분(Dy)를 산출하고, 횡적 성분(Dx) 및 종적 성분(Dy) 중에서 큰 성분을 기초로 드래그의 방향을 판단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종적 성분(Dy)이 더 크므로, 어플 제어부(240)는 도 17의 드래그를 기상 예보 영역(530)에 대한 종적 드래그로 판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generates the shortest drag from the starting point (Ps) to the end point (Pf) of the drag, as shown in Figure (b). After that,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240 calculates the horizontal component (Dx) and the vertical component (Dy) of the shortest drag as shown in Figure (c), and based on the larger component among the horizontal component (Dx) and the vertical component (Dy) to determine the drag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since the vertical component Dy is larger, the application controller 240 may determine the drag of FIG. 17 as a vertical drag with respect to the weather forecast area 530 .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In the above,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8 .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할 기상 정보 제공 방법은 상술한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기초로 수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9 . However, since the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it can b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8 .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은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정의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S1910).Referring to FIG. 19 ,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may obtain weather information from a predetermined server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S1910).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은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 할 수 있다(S1920).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may detect a user's touch and drag on the touch screen (S1920).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은 전체 화면을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으로 구분하고, 기상 정보를 기초로, 기상 정보 영역 각각마다 필요한 기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S1930).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may divide the entire screen into a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and control to display necessary weather information for each weather information area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S1930).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가 발생하면, 발생한 터치 또는 드래그에 적응적으로 기상 정보 영역을 구체화 또는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기상 세부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S1940).When a user's touch or drag occurs,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may materialize or transform the weather information area adaptively to the generated touch or drag to provide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to the user (S1940).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은, 날씨 종합 영역 및 기상 예보 영역을 포함하고, 미세 먼지 영역, 전국 날씨 영역, 기상 특보 영역 및 기상 영상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may include a comprehensive weather area and a weather forecast area,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ne dust area, a national weather area, a special weather report area, and a meteorological image area.

단계 S19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은, GPS 모듈 또는 통신 모듈과 연동하여 휴대 단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현재 위치에서의 현재 온도 정보, 체감 온도, 미세먼지 정보 및 자외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날씨 종합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for step S1930,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checks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GPS module or communication modul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e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The step of configuring a comprehensive weather area including at least one of sensible temperature, fine dust information, and ultraviolet light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여기에서, 날씨 종합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로서,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은, 현재 온도 정보, 체감 온도, 미세먼지 정보 및 자외선 정보 중에서 이전의 기록과 비교하여 일정 이상 차이를 가지는 요소를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된 요소에 의한 특징을 추출하여 특징 코멘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징 코멘트를 종합 영역에 포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Here, as a step of configuring the weather comprehensive area,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selects an element having a difference of more than a certain level from the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the sensible temperature, the fine dust information, and the ultraviolet inform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record. The step and the step of extracting features by the selected elements to generate a feature comment, and including the generated feature comment in the comprehensive area may be performed.

단계 S194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은,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기상 예보 영역에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횡적 확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제1 시간 간격보다 넓은 제2 시간 간격을 가지는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for step S1940,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horizontally expands and provides the forecast set at the first time interval in the weather forecast area according to the user's drag direction for the weather forecast area, or the first The step of providing a forecast having a second time interval wider than the time interval may be vertically extended.

여기에서,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단계로서,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은, 사용자의 드래그가 제1 방향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횡적 확장을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Here, as a step of providing a forecast in a vertical extension, when the user's drag is determined in a first direction,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provides a forecast set at a first time interval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in the first time interval. A step of providing lateral expansion by scrolling in response to a direction may be performed.

또한,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단계로서,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은, 사용자의 드래그가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제2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상기 종적 확장을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step of providing a forecast by extending it vertically,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when the user's drag is determined to be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set at a second time interval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The step of providing the vertical expansion by scrolling the forecas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rection may be performed.

또한,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단계로서,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00)은, 사용자의 드래그가 상기 기상 예보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서 이루어지면, 횡적 확장 또는 종적 확장을 취소하고,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의 스크롤을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step of providing a forecast by extending it vertically,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200 cancels the horizontal or vertical expansion when the user's drag is made in an area outside the weather forecast area, and according to the user's drag The step of providing scrolling of a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may be per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recognize that it can be easily changed and modified.

100 : 휴대 단말 장치
200 :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300 : 서비스 연동 서버
400 : 기상정보 서버
210 : 기상정보 관리부
220 : 위치정보 관리부
230 : 터치 감지부
240 : 어플 제어부
100: mobile terminal device
200: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300: service interworking server
400: weather information server
210: Weather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220: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30: touch sensing unit
240: application control unit

Claims (16)

통신 모듈, 터치 스크린 및 GPS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구동되어 사용자에게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정의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하는 기상정보 관리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및
전체 화면을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기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상 정보 영역 각각마다 필요한 기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가 발생하면, 발생한 터치 또는 드래그에 적응적으로 상기 기상 정보 영역을 구체화 또는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기상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As 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that is driven in a mobile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 touch screen and a GPS module to provide weather information to a user,
a weath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obtaining weather information from a predetermined server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a touch sensing unit sensing a user's touch and drag on the touch screen; and
Divides the entire screen into a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controls to display necessary weather information for each weather information area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adapts to the generated touch or drag when the user's touch or drag occurs Containing an application control unit that provides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to the user by specifying or transforming the weather information area as a matter of fact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은,
날씨 종합 영역 및 기상 예보 영역을 포함하고,
미세 먼지 영역, 전국 날씨 영역, 기상 특보 영역 및 기상 영상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including a weather synthesis area and a weather forecast area;
Wha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ne dust area, a national weather area, a weather advisory area, and a weather image are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기상 예보 영역에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횡적 확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간격보다 넓은 제2 시간 간격을 가지는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user's drag direction to the weather forecast area, the forecast set at the first time interval is horizontally extended and provided in the weather forecast area, or the forecast having a second time interval wider than the first time interval is extended vertically. to offer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제1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상기 횡적 확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When the user's drag is determin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forecast set at the first time interval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is scrolled and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first direction to provide the lateral expansion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상기 종적 확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When the user's drag is determin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forecast set at the second time interval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is scrolled and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second direction to provide the vertical expansion to do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상기 기상 예보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서 이루어지면, 상기 횡적 확장 또는 상기 종적 확장을 취소하고,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의 스크롤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If the user's drag is made in an area outside the weather forecast area, cancel the horizontal or vertical expansion, and provide scrolling of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according to the user's drag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GPS 모듈 또는 상기 통신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정보 관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현재 온도 정보, 체감 온도, 미세먼지 정보, 생활기상지수 정보 및 자외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날씨 종합 영역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interworks with the GPS module or the communication module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Composing the comprehensive weather are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sensible temperature, fine dust information, living weather index information, and UV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현재 온도 정보, 상기 체감 온도, 상기 미세먼지 정보 및 상기 자외선 정보 중에서 이전의 기록과 비교하여 일정 이상 차이를 가지는 요소를 선별하고, 선별된 요소에 의한 특징을 추출하여 특징 코멘트를 생성하며, 생성된 특징 코멘트를 상기 종합 영역에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Among the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the sensible temperature, the fine dust information, and the ultraviolet information, a factor having a difference of more than a certain level compared to the previous record is selected, and a feature by the selected factor is extracted to generate a feature comment, and generate, Including the specified feature comment in the general area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통신 모듈, 터치 스크린 및 GPS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기상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정의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하는 단계;
전체 화면을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기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상 정보 영역 각각마다 필요한 기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가 발생하면, 발생한 터치 또는 드래그에 적응적으로 상기 기상 정보 영역을 구체화 또는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기상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 touch screen and a GPS module,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weather information from a predetermined server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detecting a user's touch and drag on the touch screen;
dividing the entire screen into a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and controlling to display necessary weather information for each of the weather information areas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providing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to the user by specifying or transforming the weather information area adaptively to the generated touch or drag when the user's touch or drag occurs;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은,
날씨 종합 영역 및 기상 예보 영역을 포함하고,
미세 먼지 영역, 전국 날씨 영역, 기상 특보 영역 및 기상 영상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including a weather synthesis area and a weather forecast area;
Wha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ne dust area, a national weather area, a weather warning area, and a meteorological image area
A method of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기상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상 예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기상 예보 영역에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횡적 확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간격보다 넓은 제2 시간 간격을 가지는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providing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to the user comprises:
According to the user's drag direction to the weather forecast area, the forecast set at the first time interval is horizontally extended and provided in the weather forecast area, or the forecast having a second time interval wider than the first time interval is extended vertically. providing;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제1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상기 제1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상기 횡적 확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providing the forecast by longitudinal extension comprises:
providing the horizontal expansion by scrolling the forecast set at the first time interval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user's drag is determined in the first direction;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 예보를 상기 제2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롤 표시하여 상기 종적 확장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of providing the forecast by longitudinal extension comprises:
When the user's drag is determin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forecast set at the second time interval in response to the user's drag is scrolled and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second direction to provide the vertical expansion to do;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예보를 종적 확장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가 상기 기상 예보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서 이루어지면, 상기 횡적 확장 또는 상기 종적 확장을 취소하고,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기상 정보 영역의 스크롤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of providing the forecast by longitudinal extension comprises:
when the user's drag is made in an area outside the weather forecast area, canceling the horizontal or vertical expansion, and providing scrolling of the plurality of weather information areas according to the user's drag;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정보 영역 각각마다 필요한 기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GPS 모듈 또는 상기 통신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 상기 현재 위치에서의 현재 온도 정보, 체감 온도, 미세먼지 정보 및 자외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날씨 종합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ling to display the necessary weather information for each of the weather information areas comprises:
Check the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GPS module or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obtain at least one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sensible temperature, fine dust information, and UV information. configuring the weather comprehensive area, including;
Weath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날씨 종합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온도 정보, 상기 체감 온도, 상기 미세먼지 정보 및 상기 자외선 정보 중에서 이전의 기록과 비교하여 일정 이상 차이를 가지는 요소를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된 요소에 의한 특징을 추출하여 특징 코멘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특징 코멘트를 상기 종합 영역에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상 정보 제공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onfiguring of the weather comprehensive area comprises:
comparing the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the sensible temperature, the fine dust information, and the ultraviolet light information, and selecting a factor having a difference of more than a certain amount from a previous record; and
extracting features by the selected elements to generate feature comments, and including the generated feature comments in the comprehensive area;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200188924A 2020-12-31 2020-12-31 Applia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KR102470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924A KR102470575B1 (en) 2020-12-31 2020-12-31 Applia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924A KR102470575B1 (en) 2020-12-31 2020-12-31 Applia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463A true KR20220096463A (en) 2022-07-07
KR102470575B1 KR102470575B1 (en) 2022-11-25

Family

ID=8239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924A KR102470575B1 (en) 2020-12-31 2020-12-31 Applia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57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335A (en) * 2012-09-25 201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as and method for offering a schedul of including a weather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04977A (en) * 2015-11-19 2016-01-13 원은욱 Method for displaying a weathe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and a device for displaying a weather information
KR20160020806A (en) * 2014-08-14 201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59375A (en) * 2014-11-18 201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80362B1 (en) 2020-03-13 2020-11-18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System for supplying servive weather based on location usign small scale weather predicting mod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335A (en) * 2012-09-25 201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as and method for offering a schedul of including a weather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20806A (en) * 2014-08-14 201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59375A (en) * 2014-11-18 201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04977A (en) * 2015-11-19 2016-01-13 원은욱 Method for displaying a weathe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and a device for displaying a weather information
KR102180362B1 (en) 2020-03-13 2020-11-18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System for supplying servive weather based on location usign small scale weather predicting mod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575B1 (en)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0730B2 (en)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ing of a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185456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7452B1 (en) Electro device comprising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27903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1990567B1 (en) Mobile apparatus coupled with externa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3517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u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CN109656442B (e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thereof
KR20140143556A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in the portable terminal
US201401959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KR20140111171A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ing representative information when scrolling content and control methode thereof
KR102186815B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vering medium for clipping of contents
KR20140136349A (en) Apparatus saving conversation and method thereof
CN108055635B (en)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KR20140110646A (en) User termial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the user terminal
KR20150001891A (en) electro device for sharing question mess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20096463A (en) Applia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KR20140131051A (en) electro device comprising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988616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680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croll using scrolltop attribute of web page
KR1021878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201401130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KR1023859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20140089714A (en) Mobile apparatus changing status ba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390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1022786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