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422A - Ma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for taping clothes and fabric for taping clothes manufactur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Ma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for taping clothes and fabric for taping clothes manufactured by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422A
KR20220096422A KR1020200188836A KR20200188836A KR20220096422A KR 20220096422 A KR20220096422 A KR 20220096422A KR 1020200188836 A KR1020200188836 A KR 1020200188836A KR 20200188836 A KR20200188836 A KR 20200188836A KR 20220096422 A KR20220096422 A KR 20220096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aping
layer
pattern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2337B1 (en
Inventor
박지원
Original Assignee
박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원 filed Critical 박지원
Priority to KR102020018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337B1/en
Publication of KR2022009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3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06M17/04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by applying synthetic resins as adhesives
    • D06M17/10Polyurethanes polyurea
    • A61F13/0002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1025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a sing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89Plasters use for bracing or str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and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manufactured thereby. The method includes: a step of preparing a base fabric; a step of preparing a taping fabric; a step of forming a resin coating layer on one surface of the taping fabric; a step of forming an adhesive resin layer on the adhesive resin coating layer by pressing release paper containing the adhesive resin layer on the resin coating layer and then peeling the release paper; a step of perforating the taping fabric on which the resin coating layer and the adhesive resin layer are formed; a pattern fabric forming step of forming a pattern-shaped fabric by processing the perforated taping fabric; and a step of attaching the base fabric and the pattern fabric by pressing one surface of the base fabric and the adhesive resin layer of the pattern fabric to face each other. In the fabric for taping clothing, the deterioration in wearing comfort due to a difference between the pattern fabric and the base fabric is suppressed, and the adhesion durability of the pattern fabric is very excellent.

Description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테이핑 의류 원단{MA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FOR TAPING CLOTHES AND FABRIC FOR TAPING CLOTHES MANUFACTURED BY THE SAME}Manufacturing method of fabric for taping clothes and taping fabric fabric manufactured thereby

본 기술은 기능성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성을 갖는 스포츠 의류용 원단 등의 표면에 이질적 탄성을 갖는 패터닝된 원단이 결합된 기능성 원단, 소위 테이핑 의류 원단의 제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unctional clothing fabric,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fabric in which a patterned fabric having heterogeneous elasticity is bonded to the surface of an elastic sports clothing fabric, etc.

최근에는 단순히 재질이나 디자인에 의하여 구별되는 고전적인 의류의 개념을 넘어 다양한 첨단 기능을 갖는 기능성 의류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원단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functional clothing having various cutting-edge functions beyond the concept of classical clothing that is simply distinguished by material or design has been developed.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various functional fabrics that can support this is accelerating.

스포츠 의류에 많이 적용되는 테이핑 의류는 근육의 운동 기작을 고려한 기능성 패턴을 기본 원단 상에 부착함으로써 근육 활동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성 의류이다. Taping clothing, which is often applied to sports clothing, is a functional clothing that enables efficient use of muscle activity by attaching a functional pattern in consideration of the muscle movement mechanism to the basic fabric.

이러한 의류 원단에 적용되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소재의 원단이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테이핑되고 있다. In order to form a pattern applied to such a garment fabric, fabrics of various materials are taped by various methods.

그러나 기본적으로 테이핑 의류는 기본 원단과 테이핑 되는 원단의 이질성, 특히 탄성의 이질성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떨어지거나 패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basically, taped clothing has a problem in that the wearability is deteriorated or the durability of the pattern is deteriorated due to the heterogeneity of the basic fabric and the fabric to be taped, in particular, the heterogeneity of elasticity.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발명으로서, 테이핑 원단의 부착 내구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베이스 원단과 테이핑 원단의 이질성에 기인한 착용감의 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Manufacturing of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that can improve not only the adhesion durability of the taping fabric but also the deterioration of the fit due to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 base fabric and the taping fabric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 및 착용감을 갖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fit by being manufactur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테이핑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테이핑 원단의 일면에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 코팅층 상에 점착 수지층을 포함하는 이형지를 압착한 후 상기 이형지를 박리함으로써 상기 점착 수지 코팅층 상에 점착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 코팅층 및 접착 수지층이 형성된 테이핑 원단을 타공하는 단계; 타공된 테이핑 원단을 가공하여 패턴 형상의 원단을 형성하는 패턴 원단 형성단계; 및 상기 베이스 원단의 일면과 상기 패턴 원단의 점착 수지층을 대향하도록 압착하여 상기 베이스 원단과 패턴 원단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for taping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base fabric; preparing a tapered fabric; forming a resin coating layer on one surface of the taping fabric;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layer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coating layer by pressing the release paper inclu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layer on the resin coating layer and then peeling the release paper; perforating the taping fabric on which the resin coating layer and the adhesive resin layer are formed; A pattern fabric forming step of processing the perforated taping fabric to form a pattern-shaped fabric; and attaching the base fabric and the pattern fabric by compressing one surface of the base fabric to face the adhesive resin layer of the pattern fabric.

상기 수지 코팅층은 우레탄계 수지층을 포함한다.The resin coating layer includes a urethane-based resin layer.

상기 수지 코팅층 또는 점착 수지층은 기본 베이스 수지 외에 실리콘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sin coating layer or the adhesive resi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ilicone-based resin in addition to the basic base resin.

한편, 이외에도 상기 수지 코팅층은 우레탄계 수지를 베이스로 하되,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 입자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he resin coating layer is based on a urethane-based resin, but may include heat-treated porous ceramic particles, and further a block copolymer of a polymer contain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s a unit and a polymer containing a conjugated diene compound as a unit. may include

상기 타공 전 또는 타공 후에는 상기 패턴 원단의 노출면에 상에 디지털 전사 방식에 의한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여 디자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design effect can be maximized by forming an image pattern by a digital transfer metho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pattern fabric before or after the perforation.

한편, 상기 부착 단계 이후에, 상기 베이스 원단에 부착된 패턴 원단을 제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되는 테이핑 의류 원단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attaching step, the step of sewing the pattern fabric attached to the base fabric can be further included to reinforce the durability of the taped garment fabric manufact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용 원단은; 베이스 원단층; 및 상기 베이스 원단층 상에 부착되고 소정의 패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공에 의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패턴 원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원단층은, 일면에 우레탄계 수지 코팅층 및 점착 수지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테이핑 원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원단층과 상기 테이핑 원단층은 상기 점착 수지층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A fabric for taping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 fabric layer; and a pattern fabric layer attached on the base fabric layer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the pattern fabric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by perforations, wherein the pattern fabric layer has a urethane-based resin coating layer and an adhesive resin layer on one surface It includes a taping fabric layer including sequentially, and the base fabric layer and the taping fabric layer are attached by the adhesive resin layer.

상기 우레탄 수지 코팅층 또는 점착 수지층은 실리콘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수지 코팅층은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우레탄 수지 코팅층은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rethane resin coating layer or the adhesive resin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ilicone-based resin. In addition, the urethane resin coat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heat-treated porous ceramic particles. Furthermore, the urethane resin coat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a block copolymer of a polymer contain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s a unit and a polymer containing a conjugated diene compound as a unit.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패턴화된 원단을 베이스 원단에 부착 하기 전에 상기 패턴화된 원단을 타공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베이스 원단과 패턴화된 원단의 이질성에 의한 착용감 저하 문제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 for taping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assing through the step of perforating the patterned fabric before attaching the patterned fabric to the base fabric, the feeling of wearing due to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 base fabric and the patterned fabric The degradation problem can be effectively improved.

상기 테이핑 원단은 일면 또는 양면에 우레탄 수지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원단과 이질적인 탄성을 갖는 원단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우레탄 수지 코팅층은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 입자, 우레탄과 별도의 실리콘계 수지 등을 포함함으로써, 베이스 원단과의 이질성을 완충할 수 있고 나아가 베이스 원단에 부착된 테이핑 원단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지 코팅층은 본 발명에서 제시한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므로써, 유연성이 극대화된 패턴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고 나아가 착용감이 극대화될 수 있다. By including a urethane resin coating layer on one or both sides of the taping fabric, it can be provided as a fabric having elasticity different from the fabric, and the urethane resin coating layer includes heat-treated porous ceramic particles, urethane and a separate silicone-based resin, etc., It is possible to buffer the heterogeneity with the base fabric and furthe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taping fabric attached to the base fabric. In particular, since the resin coating layer contains the block copolymer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patterned fabric with maximized flexibility and furthermore, a feeling of wearing can be maximized.

또한, 테이핑 원단을 패턴화함과 동시에 상기 패턴화된 테이핑 원단 표면에 디지털 전사에 의한 이미지 패턴을 형성한 후, 이미지 패턴이 형성된 테이핑 원단을 베이스 원단에 부착 함으로써, 전체적인 패터닝 공정의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by patterning the taping fabric and forming an image pattern by digital transfer on the patterned taping fabric surface at the same time, and attaching the taping fabric with the image pattern to the base fabric, the workability of the overall patterning process will be improved.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수지층을 테이핑 원단에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예시한 사진이다.
도 3는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용 원단 또는 이에 의하여 제조된 테이핑 의류를 예시한 사진들이다.
1 is a flowchart for conceptually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for taping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forming an adhesive resin layer on a taping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a fabric for taping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 1 .
4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aping clothing manufactured by the fabric.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에 의하여 제조된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층상 구조에 대해서도 충분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설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구체화하여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설명들이며, 하기 설명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 설명 이외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이 당연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오직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제한될 수 있을 뿐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for taping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layered structure of the fabric for taping garments manufactured thereby will be sufficiently described. However, the following descriptions are exemplary descriptions for concret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natural that various embodiments other tha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possible,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nly be interpreted and limi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또한, 하기 설명을 위하여 참조되는 일부 도면의 각 층들의 스케일은 설명을 위하여 개념적으로 과장된 것일 수 있으므로, 도면의 스케일에 의하여 본 발명 패턴 의류 원단의 크기나 두께의 기술요소가 도면에 의하여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In addition, since the scale of each layer of some drawings referenced for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conceptually exaggerated for explanation,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size or thick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patterned clothing fabric by the scale of the drawings are limitedly interpreted by the drawings shouldn't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for conceptually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for taping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S100)은 베이스 원단 준비단계(S110)로부터 시작된다. 상기 베이스 원단 준비단계(S110)는 목적하는 의류의 용도나 기능성을 고려하여 의류의 기본 원단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스포츠 의류의 경우에는 주로 탄성이 있는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등의 원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쿨맥스 등 공지되어 시중에서 입수가능한 다양한 기능성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원단의 종류를 결정함에 있어, 부착되는 테이핑 원단과의 상호 작용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Referring to FIG. 1 , the manufacturing method ( S100 ) of the fabric for taping clothes starts from the base fabric preparation step ( S110 ). The base fabric preparation step ( S110 ) is a step of determining the basic fabric of the gar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tended use or functionality of the garment. In the case of sports clothing, fabrics such as polyester or nylon having elasticity may be used, and various functional fabrics that are known and available in the market such as Coolmax may be used. In addition, in determining the type of the base fabric,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interaction with the taping fabric to be attached.

상기 베이스 원단이 준비(S110)되면, 상기 베이스 원단에 테이핑될 테이핑 원단을 준비하는 테이핑 원단 준비단계(S120)를 수행한다. 상기 테이핑 원단은 패턴을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 원단에 부착되는 원단으로서, 목적하는 의류의 기능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핑 원단은 베이스 원단과 동일한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테이핑 원단은 후술할 수지 코팅층의 형성(S130)에 의하여, 베이스 원단과 상이한 턴성을 갖게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테이핑 원단의 종류는 베이스 원단과 동일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목적하는 의류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상기 테이핑 원단으로서 상기 베이스 원단과 상이한 소재의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base fabric is prepared (S110), a taping fabric preparation step (S120) of preparing a taping fabric to be taped to the base fabric is performed. The taping fabric is a fabric attached to the base fabric by forming a pattern, and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functionality of the garment. In this embodiment, the same fabric as the base fabric may be used as the taping fabric. However, the taping fabric has a different turn property from that of the base fabric by forming a resin coating layer (S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the type of the taping fabric is the same as that of the base fabric, but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desired garment, a fabric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base fabric may be used as the taping fabric.

상기 테이핑 원단이 준비(S120)되면, 상기 테이핑 원단의 일면에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는 수지 코팅층 형성단계(S130)를 수행한다. 상기 수지 코팅층은 상기 테이핑 원단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층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지 코팅층을 상기 테이핑 원단의 일면에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수지 코팅층은 상기 테이핑 원단의 양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When the taping fabric is prepared (S120), a resin coating layer forming step (S130) of forming a resin coating layer on one surface of the taping fabric is performed. The resin coating layer is a layer for imparting elasticity to the taping fabric. In this embodiment, the resin coating layer has be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aping fabric, but differently the resin coating lay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aping fabric. may be

기본적으로 상기 수지 코팅층으로서는, 우레탄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코팅층은 미리 상기 수지 코팅층이 형성된 이형지를 상기 테이핑 원단에 열압착하고 이형지를 분리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상기 테이핑 원단 상에 형성될 수 있다. Basically, as the resin coating layer, a urethane-based resin may be used. The resin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release paper on which the resin coating layer is formed in advance to the taping fabric and separating the release paper, or may be formed on the taping fabric by various printing methods.

상기 수지 코팅층 형성단계(S130)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우레탄계 수지의 세부 특성은 테이핑 원단의 탄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The resin composition used in the resin coating layer forming step (S130) basically includes a urethane-based resin as described above, and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urethane-based resin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elasticity of the taping fabric.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실리콘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후술할 점착 수지층과의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ilicone-based resin, and the silicone-based resin may improve affinity with an adhesive resin layer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세라믹 입자는 테이핑 원단과 베이스 원단의 결합 내구성을 증가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원단과 테이핑 원단의 탄성 이질성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접합 계면에 완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heat-treated porous ceramic particles. The porous ceramic particles may increase the bonding durability between the taping fabric and the base fabric, and at the same time form a buffer space at the bonding interface to buffer the elastic heterogeneity between the base fabric and the taping fabric.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첨가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경화제, 지연제, 발포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 입자는 광물의 열처리를 통하여 형성된 다공성 광물로 이루어진 세라믹 입자들이다. 광물의 열처리를 통하여 다공성이 부여된 상기 세라믹 입자들은 베이스 원단 및 테이핑 원단의 결합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테이핑 원단의 베이스 원단에 대한 상대적인 유연성을 강화시킬 수 있어 제조되는 테이핑 의류의 착용감을 극대화할 수 있고, 베이스 원단과 테이핑 원단의 탄성 차이에 의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resin composition, various known additives may be included. As said additive, a hardening|curing agent, a retarder, a foaming agent, etc. are mentioned. On the other hand, the heat-treated porous ceramic particles are ceramic particles made of a porous mineral formed through the heat treatment of the mineral. The ceramic particles, which are given porosity through heat treatment of minerals, can enhance the relative flexibility of the taping fabric to the base fabric without deteriorating the bonding properties between the base fabric and the taping fabric, thereby maximizing the wearability of the taped cloth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ense of heterogeneity due to the difference in elasticity between the base fabric and the taping fabric.

상기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 소재로서는, 질석, 세피올라이트,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장석, 현무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으로서는 복수종의 열처리 광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처리는 광물의 용융점 미만의 온도로 이루어진 후 냉각되어 입자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heat-treated porous ceramic material, vermiculite, sepiolite, zeolite pearlite, feldspar, basalt, etc. may be used, and a plurality of heat-treated minerals may be mixed as the heat-treated porous ceramic. On the other hand, the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made to a temperature below the melting point of the mineral and then cooled and granulated.

나아가, 상기 수지 조성물은 비닐화합물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2-메틸 스티렌, 3-메틸 스티렌, 4-메틸 스티렌, 2-에틸-4-벤질스티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화합물을 동시에 포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액 디엔 화합물로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텐타지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 역시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ck copolymer of a polymer containing a vinyl compound as a unit and a polymer containing a conjugated diene compound as a unit. As the aromatic vinyl compound, for example, styrene, α-methyl styrene, 2-methyl styrene, 3-methyl styrene, 4-methyl styrene, 2-ethyl-4-benzyl styrene, etc. may be used, and two or more types of compounds may be used. It can also be us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as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butadiene, isoprene, 23-dimethyl-1,3-butadiene, 1,3-tentaziene, etc. may be used, and two or more types of the compounds may also be mixed and used.

상기 공중합체는 수지 코팅층의 유연성을 보다 극대화 함으로써, 테이핑 원단과 베이스 원단의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By maximizing the flexibility of the resin coating layer, the copolymer can minimize the sense of heterogeneity between the taping fabric and the base fabric.

전술한 바와 같이, 위와 같이 준비된 수지 코팅층은 기본적으로 베이스 원단과 이질적인 탄성 특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테이핑 원단과 베이스 원단간의 탄성 차이로 인한 착용감 저하 문제가 해소되고, 유연성을 강화함여 착용감을 좀더 부드럽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sin coating layer prepared as above basically realizes elastic properties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se fabric, and at the same time solves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in fit due to the difference in elasticity between the taping fabric and the base fabric, and strengthens the flexibility to make the fit more soft do.

상기 수지 코팅층 형성단계(S140)가 완료되면, 상기 수지 코팅층 상에 점착 수지층을 형성하는 점착 수지층 형성단계(S150)를 수행한다. When the resin coating layer forming step (S140) is completed, the adhesive resin layer forming step (S150) of forming an adhesive resin layer on the resin coating layer is performed.

점착 수지층은 실질적으로 테이핑 원단과 베이스 원단을 결합 또는 부착을 유도하는 층으로서, 상기 점착 수지층은 미리 점착 수지층이 형성된 이형지를 상기 수지 고팅층이 형성된 테이핑 원단에 압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adhesive resin layer is a layer inducing bonding or adhesion between the taping fabric and the base fabric substantially, and the adhesive resin layer may be formed by pressing a release paper on which the adhesive resin layer is formed in advance to the taping fabric on which the resin fixing layer is form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수지층을 테이핑 원단에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예시한 사진이다. 2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forming an adhesive resin layer on a taping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장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고, 롤러에 궈취된 이형지를 입력된 테이핑 원단 상에 열압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대략 150℃ 내지 200℃ 사이에서 열압착이 이루어지나, 상기 온도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점착 수지층의 조성에 따라 상기 열압착 온도는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수지 코팅층도 본 장치를 활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The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and is an apparatus for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release paper wound on the rollers onto the input taping fabric. Although thermocompression bonding is performed between approximately 150° C. and 200° C., the temperature is exemplary and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temperatur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layer.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resin coating layer may also be formed by utilizing the present apparatus.

한편, 상기 점착 수지층을 이루는 점착 수지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베이스 원단의 종류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점착 수지층은 수지 코팅층을 이루는 조성물에 실리콘계 수지가 포함될 경우, 역시 실리콘계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지 코팅층과의 친화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the adhesive resin constituting the adhesive resi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various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base fabric. However, when a silicone-based resin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resin coating layer, the adhesive resin layer also includes a silicone-based resin, so that affinity with the resin coating layer needs to be improved.

상기 점착 수지층 내에 포함되는 실리콘계 수지는 수지 코팅층과의 친화성 뿐만 아니라, 베이스 원단과의 결합 특성을 강화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한다. The silicone-based resin included in the adhesive resin layer acts as an element capable of strengthening not only affinity with the resin coating layer, but also bonding characteristics with the base fabric.

상기 점착 수지층이 형성(S140)되면, 상기 수지 코팅층이 형성된 타면의 테이핑 원단에는 소정의 디자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이미지 패턴 전사단계(S150)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단계는 본 발명의 필수 단계는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 이미지 패턴 전사 단계(S150)이 생략될 수 있다. When the adhesive resin layer is formed (S140), an image pattern transfer step (S150) for forming a predetermined design pattern on the taping fabric of the other surface on which the resin coating layer is formed may be performed. This step is not an essential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some cases, the image pattern transfer step S150 may be omitted.

이러한 이미지 패턴의 형성은 디지털 프린팅된 전사지를 상기 이미지가 상기 테이핑 원단에 대향하도록 한 후 열압착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테이핑 원단 표면에 소정의 이미지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이미지 패턴은 기능성 측면이 아닌 시각적 측면의 디자인 요소로 기능한다. 한편, 이러한 이미지 패턴 전사단계(S150)도 전술한 도 2의 장치를 활용하여 이루질 수 있다. In the formation of such an image pattern,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aping fabric by performing thermocompression bonding after making the digitally printed transfer paper face the image to the taping fabric. The image pattern functions as a design element in the visual aspect rather than the functional aspect. On the other hand, this image pattern transfer step (S150) can also be accomplished by using the apparatus of FIG. 2 described above.

상기 이미지 패턴 전사단계(S150)가 완료되면, 디지털 이미지가 표면에 형성된 테이핑 원단을 가공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패턴 원단으로 제조하는 패턴 원단 준비단계(S160)를 수행한다. 상기 패턴 원단 준비단계(S160)에서는 목적하는 의류의 기능성을 고려하여 테이핑 원단이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다양한 방법이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테이핑 원단은 착용자의 근육 운동 등을 고려하여 과학적으로 패턴화되며, 이러한 패턴의 형상은 또 다른 기술사상을 이루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When the image pattern transfer step (S150) is completed, a pattern fabric preparation step (S160) of manufacturing a pattern fabric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y processing the taping fabric having a digital image formed on the surface is performed. In the pattern fabric preparation step (S160), various methods may be introduced so that the taping fabric has a predetermined pattern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functionality of the garment. The taping fabric is scientifically patterned in consideration of the wearer's muscle movement, etc., and since the shape of this pattern constitutes another technical idea,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테이핑 원단의 패턴화는 테이핑 원단을 패턴 형상에 따라 절삭하거나,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하여 패턴화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패턴의 형상, 복잡성 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패턴 형성 방법을 결정하면 된다. 다만, 패턴 원단 준비단계(S160)는 전술한 이미지 패턴과 달리 테이핑 원단 표면의 이미지에 관한 패턴이 아니며, 테이핑 원단 자체의 형상과 관련된 패턴이다.For the patterning of the taping fabric, a method of cutting the taping fabric according to the pattern shape or patterning by press molding or the like may be used. The method of forming the patter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n efficient pattern forming method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and complexity of the pattern. However, the pattern fabric preparation step ( S160 ) is not a pattern related to the image of the surface of the taping fabric, unlike the image pattern described above, but a pattern related to the shape of the taping fabric itself.

패턴 원단이 준비(S160)되면 패턴 원단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타공하는 타공단계(S170)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공단계(S170)는 패턴 원단이 준비된 이후에, 상기 패턴 원단을 기반으로 이루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패턴 원단이 준비되기 전인 이미지 패턴 전사단계(S150) 이후에 먼저 타공단계(S170)가 이루어지고 이후에 테이핑 원단이 가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순서적 요소는 목적하는 의류의 종류, 타공의 크기, 테이핑 원단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경 가능하다. When the pattern fabric is prepared (S160), a punching step (S170) of perforating the pattern fabric to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per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perforating step (S170) is described as being made based on the patterned fabric after the patterned fabric is prepared, but differently, after the image pattern transferring step (S150) before the patterned fabric is prepared, the perforating step (S170) is first Step (S170) is made and thereafter, the taping fabric may be processed. These sequential elements can be changed so that the process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clothing desired, the size of the perforation, the material of the taping fabric, and the like.

타공단계(S170)에 의하여 형성된 관통홀은 베이스 원단과 패턴 원단이 부착되어 결합된 이후, 원단 사이의 탄성 불일치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질감을 관통홀에 의하여 발생하는 틈새 공간에 의하여 완충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며, 나아가 착용자의 땀 배출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타공단계(S170)에 의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의 직경 및 깊이 등은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잇는 가변 요소이다. The through-hole formed by the perforating step (S170) has a function of buffering the heterogeneity caused by the elastic mismatch between the base fabric and the pattern fabric by the gap space generated by the through-hole after the base fabric and the pattern fabric are attached and combined. and further increase the wearer's sweat output. The diameter and depth of the through hole formed by the drilling step (S170) are variable elements tha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이상과 같이,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고 타공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패턴 원단은 부착단계(S180)에 의하여 베이스 원단과 부착된다. 상기 부착은 이미 패턴 원단의 일면에 형성된 이형지를 박리한 후 점착 수지층을 매개로 상기 패턴 원단과 베이스 원단을 열압착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attern fabric including the image pattern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by the perforation is attached to the base fabric by the attaching step (S180). The attachment may be made by peeling the release paper alread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attern fabric and then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pattern fabric and the base fabric through an adhesive resin layer.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테이핑 원단과 베이스 원단간의 탄성 차이로 인한 착용감 저하 문제가 해소되고, 내구성이 강화된 테이핑 의류용 원단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 원단에 형성된 패턴 원단은 별도의 봉제 과정을 통하여 베이스 원단과 패턴 원단의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the problem of lowering fit due to the difference in elasticity between the taping fabric and the base fabric is solved, and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with enhanced durability can be manufactured.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pattern fabric formed on the base fabric can maximiz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ase fabric and the pattern fabric through a separate sewing process.

도 3은 도 1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a fabric for taping clot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테이핑 의류용 원단(300)은 베이스 원단층(310), 수지 코팅층(320), 테이핑 원단층(330), 이미지 패턴층(340), 점착 수지층(50) 및 관통홀(7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지 코팅층(320), 점착 수지층(50), 테이핑 원단층(330) 그리고 형성된 관통홀(70)을 포함하여, 이하, 패턴 원단층으로 표현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fabric for taping clothing 300 includes a base fabric layer 310 , a resin coating layer 320 , a taping fabric layer 330 , an image pattern layer 340 , an adhesive resin layer 50 , and a through hole. (70). The resin coating layer 320 , the adhesive resin layer 50 , the taping fabric layer 330 , and the formed through-hole 70 , 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ttern fabric layer.

상기 베이스 원단층(310)의 소재는 목적하는 테이핑 의류의 기능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소재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핑 의류 원단(300)의 적층 구조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도록 한다.The material of the base fabric layer 310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functionality of the taped garment, an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material is omitted, and in this embodiment,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taped fabric 300 . do.

베이스 원단층(310)과 수지 코팅층(320)이 형성된 테이핑 원단층(330)은 점착 수지층(50)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턴 원단층(310)은 상기 베이스 원단층(310)과 동일한 원단이다. 상기 패턴 원단층(310)은 수지 코팅층(320)을 포함하므로써, 상기 베이스 원단층(310)과 이질적인 탄성을 나타내게 된다. The base fabric layer 310 and the base fabric layer 330 with the resin coating layer 320 formed thereon are coupled to each other via the adhesive resin layer 50 . In this embodiment, the patterned fabric layer 310 is the same fabric as the base fabric layer 310 . Since the pattern fabric layer 310 includes the resin coating layer 320 , it exhibits elastici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se fabric layer 310 .

상기 수지 코팅층(320)은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의 인쇄 또는 도포 후 경화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본 실시예에서, 실리콘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점착 수지층(50)과의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sin coating layer 320 may be formed by curing after printing or application of the urethane-based resin composition. Th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ilicone-based resin in this embodiment, and the silicone-based resin may improve affinity with the adhesive resin layer 50 .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세라믹 입자는 테이핑 원단층(330)과 베이스 원단층(310)의 결합 내구성을 증가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원단층(310)과 테이핑 원단층(330)의 탄성 이질성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접합 계면에 완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heat-treated porous ceramic particles. The porous ceramic particles increase the bonding durability between the taping fabric layer 330 and the base fabric layer 310, and at the same time buffer the elastic heterogeneity between the base fabric layer 310 and the base fabric layer 330. A buffer space may be formed at the bonding interface.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첨가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경화제, 지연제, 발포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 입자는 광물의 열처리를 통하여 형성된 다공성 광물로 이루어진 세라믹 입자들이다. 광물의 열처리를 통하여 다공성이 부여된 상기 세라믹 입자들은 베이스 원단층(310) 및 테이핑 원단층(330) 결합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테이핑 원단의 베이스 원단에 대한 상대적인 유연성을 강화시킬 수 있어 제조되는 테이핑 의류의 착용감을 극대화할 수 있고, 베이스 원단층(310)과 테이핑 원단층(330)의 탄성 차이에 의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resin composition, various known additives may be included. As said additive, a hardening|curing agent, a retarder, a foaming agent, etc. are mentioned. On the other hand, the heat-treated porous ceramic particles are ceramic particles made of a porous mineral formed through the heat treatment of the mineral. The ceramic particles, which are given porosity through heat treatment of minerals, can enhance the relative flexibility of the taping fabric to the base fabric without degrading the bonding properties of the base fabric layer 310 and the taping fabric layer 330.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wearing comfort of the clothes, and to minimize the sense of heterogeneity due to the difference in elasticity between the base fabric layer 310 and the taping fabric layer 330 .

상기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 소재로서는, 질석, 세피올라이트,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장석, 현무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으로서는 복수종의 열처리 광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처리는 광물의 용융점 미만의 온도로 이루어진 후 냉각되어 입자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heat-treated porous ceramic material, vermiculite, sepiolite, zeolite pearlite, feldspar, basalt, etc. may be used, and a plurality of heat-treated minerals may be mixed as the heat-treated porous ceramic. On the other hand, the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made to a temperature below the melting point of the mineral and then cooled and granulated.

나아가, 상기 수지 조성물은 비닐화합물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2-메틸 스티렌, 3-메틸 스티렌, 4-메틸 스티렌, 2-에틸-4-벤질스티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의 화합물을 동시에 포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액 디엔 화합물로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텐타지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합물 역시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ck copolymer of a polymer containing a vinyl compound as a unit and a polymer containing a conjugated diene compound as a unit. As the aromatic vinyl compound, for example, styrene, α-methyl styrene, 2-methyl styrene, 3-methyl styrene, 4-methyl styrene, 2-ethyl-4-benzyl styrene, etc. may be used, and two or more types of compounds may be used. It can also be us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as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butadiene, isoprene, 2,3-dimethyl-1,3-butadiene, 1,3-tentaziene, etc. may be used, and two or more types of the compounds may be mixed and used.

상기 공중합체는 수지 코팅층(320)의 유연성을 보다 극대화 함으로써, 테이핑 원단층(330)과 베이스 원단층(310)의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copolymer maximizes the flexibility of the resin coating layer 320 , thereby minimiz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between the taping fabric layer 330 and the base fabric layer 310 .

전술한 바와 같이, 위와 같이 준비된 수지 코팅층(320)은 기본적으로 베이스 원단층(310)과 이질적인 탄성 특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테이핑 원단층(330)과 베이스 원단층(310) 간의 탄성 차이로 인한 착용감 저하 문제가 해소되고, 유연성을 강화함여 착용감을 좀더 부드럽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sin coating layer 320 prepared as above basically implements elastic properties different from the base fabric layer 310, and at the same time, due to the difference in elasticity between the taping fabric layer 330 and the base fabric layer 310. The problem of wearability deterioration is resolved, and the wearability is made softer by strengthening the flexibility.

한편, 상기 수지 접착층(50) 역시, 상기 수지 코팅층(320)의 실리콘계 수지와 동일한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므로써, 상기 수지 코팅층(320)과의 친화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resin adhesive layer 50 also contains the same silicone-based resin as the silicone-based resin of the resin coating layer 320 , affinity with the resin coating layer 320 can be maximized.

상기 테이핑 원단층(330) 상에는 이미지 패턴층(3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미지 패턴층(340)은 디지털 전사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시각적 디자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An image pattern layer 340 is formed on the taping fabric layer 330 . The image pattern layer 340 may be formed by a digital transfer method and may include various visual design elements.

한편, 상기 테이핑 의류용 원단(300)은 상기 이미지 패턴층(340) 및 상기 테이핑 원단층(330)을 타공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패턴층(340) 및 상기 테이핑 원단층(33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70)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70)은 베이스 원단층(310)과 상기 패턴 원단층 간의 탄성 특성의 이질감을 완화하는 틈새 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착용자의 땀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aping fabric 300 for clothing sequentially penetrates the image pattern layer 340 and the taped fabric layer 330 by perforating the image pattern layer 340 and the taping fabric layer 330 . It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70 . The through-hole 70 may provide an interstitial space for alleviating the heterogeneity of elastic properties between the base fabric layer 310 and the pattern fabric layer, and may facilitate sweat dissipation of the wearer.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미지 패턴층(330)을 포함하는 테이핑 원단층(330)과 상기 베이스 원단층(310)은 결합력 강화를 위하여 봉제 부위를 포함할 수 잇다. Although not shown, the taping fabric layer 330 including the image pattern layer 330 and the base fabric layer 310 may include a sewing portion to enhance bonding strength.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테이핑 의류용 원단(400)은 베이스 원단층(410), 제1 수지 코팅층(420), 테이핑 원단층(430), 제2 수지 코팅층(440), 점착 수지층(60) 및 관통홀(7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taping fabric 400 is a base fabric layer 410 , a first resin coating layer 420 , a taping fabric layer 430 , a second resin coating layer 440 , and an adhesive resin layer 60 . and a through hole 70 .

도 3의 테이핑 의류용 원단(300)과 비교하여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테이핑 의류용 원단(400)은 도 3의 테이핑 의류용 원단(300)과 달리 베이스 원단층(410)과의 사이 뿐만 아니라, 상기 테이핑 원단층(430)의 노출면에 제2 수지 코팅층(440)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테이핑 의류용 원단(400)은 보다 강화된 탄성과 두께를 요구하는 패턴 원단을 구현할 수 있다. Compared to the fabric 300 for taping clothes of FIG. 3 ,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Unlike the fabric for taping clothes 300 of FIG. 3 , the fabric 400 for taping clothes is not only between the base fabric layer 410 but also a second resin coating layer 440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taping fabric layer 430 . ) is additionally included. The fabric 400 for taping clothes may implement a pattern fabric requiring more enhanced elasticity and thickness.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수지 코팅층(440) 상에 이미지 패턴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지 코팅층(420)과 제2 수지 코팅층(440)은 동일한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위치 관계의 차이를 고려하여 기능적으로 양 조성물은 차별화 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n image pattern layer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second resin coating layer 440 . In addition, although the second resin coating layer 420 and the second resin coating layer 440 may be formed of the same composition, the two compositions may be functionally differenti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in positional relationship.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의류용 원단 또는 이에 의하여 제조된 테이핑 의류를 예시한 사진들이다. 도 5을 참조하면, 타공된 패턴 원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 원단이 결합되어 형성된 태이핑 의류를 예를 확인할 수 있다. 5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aping clothing manufactured by the fabric. Referring to FIG. 5 , a perforated patterned fabric can be identified, and an example of tapping clothing formed by combining such a patterned fabric can be seen.

Claims (11)

베이스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테이핑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테이핑 원단의 일면에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 코팅층 상에 점착 수지층을 포함하는 이형지를 압착한 후 상기 이형지를 박리함으로써 상기 점착 수지 코팅층 상에 점착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 코팅층 및 접착 수지층이 형성된 테이핑 원단을 타공하는 단계;
타공된 테이핑 원단을 가공하여 패턴 형상의 원단을 형성하는 패턴 원단 형성단계; 및
상기 베이스 원단의 일면과 상기 패턴 원단의 점착 수지층을 대향하도록 압착하여 상기 베이스 원단과 패턴 원단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
preparing a base fabric;
preparing a tapered fabric;
forming a resin coating layer on one surface of the taping fabric;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layer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coating layer by pressing the release paper inclu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layer on the resin coating layer and then peeling the release paper;
perforating the taping fabric on which the resin coating layer and the adhesive resin layer are formed;
A pattern fabric forming step of processing the perforated taping fabric to form a pattern-shaped fabric; and
and attaching the base fabric and the pattern fabric by pressing the one surface of the base fabric to face the adhesive resin layer of the pattern fabr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코팅층은 우레탄계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sin coating lay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rethane-based resin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코팅층 또는 점착 수지층은 실리콘계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sin coating layer or the adhesive resin lay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ilicone-based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코팅층은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sin coating lay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heat-treated porous ceramic part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코팅층은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sin coating layer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ck copolymer of a polymer contain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s a unit and a polymer containing a conjugated diene compound as a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 전 또는 타공 후에 상기 패턴 원단의 노출면에 상에 디지털 전사 방식에 의한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n image pattern by a digital transfer metho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pattern fabric before or after the perfo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단계 이후에, 상기 베이스 원단에 부착된 패턴 원단을 제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attaching step,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wing the pattern fabric attached to the base fabric.
베이스 원단층; 및
상기 베이스 원단층 상에 부착되고 소정의 패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공에 의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패턴 원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원단층은,
일면에 우레탄계 수지 코팅층 및 점착 수지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테이핑 원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원단층과 상기 테이핑 원단층은 상기 점착 수지층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
base fabric layer; and
and a patterned fabric layer attached on the base fabric layer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the pattern fabric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by perforation,
The pattern fabric layer,
It includes a taping fabric layer sequentially including a urethane-based resin coating layer and an adhesive resin layer on one surface, wherein the base fabric layer and the taping fabric layer are attached by the adhesive resin layer,
Fabric for taping garmen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 코팅층 또는 점착 수지층은 실리콘계 수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rethane resin coating layer or the adhesive resin layer is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ilicone-based resi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 코팅층은 열처리된 다공성 세라믹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rethane resin coating layer is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heat-treated porous ceramic particl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 코팅층은 방향족 비닐화합물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의 블록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의류용 원단.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rethane resin coating layer is a fabric for taping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ck copolymer of a polymer containing an aromatic vinyl compound as a unit and a polymer containing a conjugated diene compound as a unit.
KR1020200188836A 2020-12-31 2020-12-31 Ma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for taping clothes and fabric for taping clothes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24723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36A KR102472337B1 (en) 2020-12-31 2020-12-31 Ma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for taping clothes and fabric for taping clothes manufactur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36A KR102472337B1 (en) 2020-12-31 2020-12-31 Ma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for taping clothes and fabric for taping clothes manufactured by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422A true KR20220096422A (en) 2022-07-07
KR102472337B1 KR102472337B1 (en) 2022-11-30

Family

ID=8239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836A KR102472337B1 (en) 2020-12-31 2020-12-31 Ma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for taping clothes and fabric for taping clothes manufactured by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33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894A (en) * 1996-04-18 1997-10-31 Nitto Denko Corp Printing sheet
KR20090069867A (en) * 2007-12-26 2009-07-01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Cloth material having decorative pattern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021522B1 (en) * 2019-03-14 2019-09-16 (주)라쉬반코리아 Manufacturing method of air permeable printed clothes
KR102057673B1 (en) * 2019-10-14 2019-12-19 이광희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fabric using natural immersion and multi function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fabric by the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894A (en) * 1996-04-18 1997-10-31 Nitto Denko Corp Printing sheet
KR20090069867A (en) * 2007-12-26 2009-07-01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Cloth material having decorative pattern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021522B1 (en) * 2019-03-14 2019-09-16 (주)라쉬반코리아 Manufacturing method of air permeable printed clothes
KR102057673B1 (en) * 2019-10-14 2019-12-19 이광희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fabric using natural immersion and multi function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fabric by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337B1 (en)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53404A1 (en) Artificial leather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CN110181908A (en) Sports pa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sports pad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cushion material
JP2003018168A5 (en)
US10575566B2 (en) Garment
KR20220096422A (en) Ma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for taping clothes and fabric for taping clothes manufactured by the same
WO2015170809A1 (en) Health functional self-adhesive inner wear
ATE314521T1 (en) METHOD FOR PRODUCING A MAT
DE502005010838D1 (en) PAPER MACHINE PRESS FELT AND METHOD AND DEVICE FOR ITS MANUFACTURE
KR10202152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ir permeable printed clothes
HRP20090173T1 (en) Method for making a fusible interlining and fusible interlining obtained thereby
KR102298319B1 (en) Maethod of manufacturing fabric for clothes having suede-silicon pattern and fabric for clothes having suede-silicon pattern manufactured by the same
JP4820479B2 (en) Thermocompression mark fabric
KR200406173Y1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sheet
JP2019179892A (en) Elastic circuit board
JP2002013014A (en) Working glov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1200482A (en) Cloth for mark
EP0853698B1 (en) Fabrics coated with adhesive dissipable by steam
JP6669801B2 (en) Sports gloves and sports clothing
JP2002115110A (en) Chest padding
KR102227790B1 (en) Diamond Tool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01149108A (en) Shoe insole
US20240092055A1 (en) 3d embossed film
CN101019698A (en) Making process of gloves with soft coating
JP2003293274A (en) Thermocompression bonding mark
JP4479936B2 (en) Flocking transfer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